KR102496971B1 -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971B1
KR102496971B1 KR1020200139620A KR20200139620A KR102496971B1 KR 102496971 B1 KR102496971 B1 KR 102496971B1 KR 1020200139620 A KR1020200139620 A KR 1020200139620A KR 20200139620 A KR20200139620 A KR 20200139620A KR 102496971 B1 KR102496971 B1 KR 102496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entral server
stored
information
kio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311A (ko
Inventor
박창병
Original Assignee
(주)신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신라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3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9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6Recognition of 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23Evaluating sense of bal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8Elder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선추적을 통해 인지능력 측정을 위한 아이트래커(100),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문진하기 위한 스피커(200),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열화상카메라(300), 사용자의 신체 균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체균형도센서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가 설치된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내부에는 상기 아이트래커(100), 스피커(200), 열화상카메라(300), 신체균형도센서부(400)와 측정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는 별도의 중앙서버(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아이트래커(100)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 정보가 상기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되고, 상기 중앙서버(600)에는 정상인의 시선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어 촬상된 사용자의 시선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도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피커(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기 저장된 문진이 음성으로 송신되고, 해당 문진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상기 중앙서버(600)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열화상카메라(300)를 통해 사용자의 온도 및 온도분포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신체균형도센서부(400)에 의해 사용자의 양 발 압력분포가 센싱되어 상기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된 정상인의 압력분포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낙상 위험도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Measurement system for non-contact body and recognition condition with kiosk}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개인의 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 이를 치료하는 것에 의료의 초점이 맞춰져 있었던 반면에, 최근에는 질병 예방 및 건강 관리가 중요시되고 이에 대한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건강에 대한 예방 관리 시스템이 부족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로 인해 건강 관리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병원이나 가정 등에 간단한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기들이 이미 많이 보급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획득된 신체 정보들이 화면에 표시한 후 삭제하거나, 내장 메모리에 저장하기 때문에 저장된 측정 정보를 다른 장소에서 열람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자가 입력 방식으로 정확한 데이터가 뒷받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쉽게 자신의 신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신체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건강 관리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해줄 수 있는 건강 관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경제 성장에 따른 전반적인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기대수명이 82.7세로 늘어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또한 2020년 기준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이 7.4%로 고령화 사회 (aging society)에 진입하였으며, 오는 2025년에는 20.0% 이상을 달성하여 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이다.
고령화 시대에 맞춰 요양보호 시설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취미 및 여가 활동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간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됨으로 인해 노인복지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정부는 2022년까지 공립 요양시설 261개, 공립 주간보호센터 278개 신설을 계획이나, 현재 주간보호센터는 전산화된 관리시스템이 보급되지 못하여 요양보호사에게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운영상 문제가 심각하다.
노인의 건강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헬스케어 제품은 별도로 없으며, 현재 공공기관 및 의료기관의 출입관리는 폐쇄 방식 또는 의료 인력이 수동으로 출입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비효율적이다.
KR 10-2018-0066309 (2018.06.08)
본 발명은 요양보호사의 개입 없이 노인의 건강 상태를 자동으로 측정하고자 함에 있고, 노인 관리에 도움이 되고, 기초 연구 데이터 확보를 하기 위함이며, 의료인력 대체 및 국민 건강관리를 위한 ICT 융복합 헬스케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선추적을 통해 인지능력 측정을 위한 아이트래커(100),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문진하기 위한 스피커(200),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열화상카메라(300), 사용자의 신체 균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체균형도센서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가 설치된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내부에는 상기 아이트래커(100), 스피커(200), 열화상카메라(300), 신체균형도센서부(400)와 측정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는 별도의 중앙서버(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아이트래커(100)에 설치된 카메라(10)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 정보가 상기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되고, 상기 중앙서버(600)에는 정상인의 시선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어 촬상된 사용자의 시선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도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피커(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기 저장된 문진이 음성으로 송신되고, 해당 문진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상기 중앙서버(600)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열화상카메라(300)를 통해 사용자의 온도 및 온도분포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신체균형도센서부(400)에 의해 사용자의 양 발 압력분포가 센싱되어 상기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된 정상인의 압력분포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낙상 위험도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진은 사용자의 우울, 식사, 복약, 수면에 대한 문진을 포함한 질의가 사용자에게 송신되고, 해당 질의에 대한 문진결과가 상기 중앙서버(600)에 저장되어 데이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오스크에는 별도의 광학카메라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면이 촬상되고, 상기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된 출입자 안면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얼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식, 음성 인식을 통한 문진 기능 도입을 통해 사용자가 편리한 방향으로 기능 이용이 가능하고, 노인 맞춤형 문진 및 결과에 따른 대응방안 제시도 가능하며, 노인의 신체정보 정량화를 위한 기본 빅데이터 활용 등이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키오스크의 정면도,
도 2는 키오스크를 중심으로 구현되는 기능 모식도,
도 3은 키오스크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는 정상인의 시선 정보와 실제 알츠하이머, 인지장애를 겪고 있는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의 체온 분포를 나타내는 예시,
도 8과 도 9는 신체 균형도 센서 관련되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문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키오스크의 정면도, 도 2는 키오스크를 중심으로 구현되는 기능 모식도, 도 3은 키오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선추적을 통해 인지능력 측정을 위한 아이트래커(100),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문진하기 위한 스피커(200),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열화상카메라(300), 사용자의 신체 균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체균형도센서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가 설치된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한편,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키오스크 내부에는 아이트래커(100), 스피커(200), 열화상카메라(300), 신체균형도센서부(400)와 측정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는 별도의 중앙서버(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해당 중앙서버(600)는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아이트래커(100)에 설치된 카메라(10)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 정보가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되고, 중앙서버(600)에는 정상인의 시선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어 촬상된 사용자의 시선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도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이트래커(100)는 사용자의 시선 움직임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반응정도, 관심도 및 호응도를 분석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해당 아이트래커(100)는 사용자가 연령대가 높은 대상자에게 효율적이며, 이를 통해 인지 능력 평가를 할 수 있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노인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되는 정상인의 시선 정보와 실제 알츠하이머, 인지장애를 겪고 있는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00)에는 시계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시계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과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된 정상인의 시선을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알츠하이머병이 의심될 수 있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통해서도 디스플레이부(500)에는 특정의 그림 혹은 사진이 표시되고, 영상에 나타나는 사람 수를 세도록 하는 경우 실제 인지장애가 의심되는 사용자의 시선 정보와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된 정상인의 시선 정보와 비교한 뒤 사용자에게 인지장애가 의심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통해서도 디스플레이부(500)에는 이동하는 물체가 표시되고, 실제 알츠하이머병이 의심되는 사용자의 시선 정보와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된 정상인의 시선 정보와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게 알츠하이머병이 의심된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키오스크 주변에 설치된 스피커(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기 저장된 문진이 음성으로 송신되고, 해당 문진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중앙서버(600)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연령대가 있는 대상자인 경우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건강 상태를 문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화상카메라(300)를 통해 사용자의 온도 및 온도분포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최근에는 세계적 위험 질병인 COVID19, MERS 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체온 측정이 필수적이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노인인 경우 노인의 체온을 측정하여 건강 상태 확인 및 기초 연구 데이터 수집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사용자의 체온 분포를 나타내는 예시이다.
한편, 본 발명은 신체균형도센서부(400)에 의해 사용자의 양 발 압력분포가 센싱되어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된 정상인의 압력분포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낙상 위험도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과 도 9는 신체 균형도 센서 관련되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균형도가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됨은 물론이고, 중앙서버(600)에는 정상인의 분포도가 기 저장되어 있어 기 저장된 분포도와 측정된 사용자의 분포도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양발의 압력 균형 정도의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리 낙상 위험도를 예측하여 경고를 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문진은 사용자의 우울, 식사, 복약, 수면에 대한 문진을 포함한 질의가 사용자에게 송신되고, 해당 질의에 대한 문진결과가 중앙서버(600)에 저장되어 데이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이러한 문진 내용의 예시에 대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진 콘텐츠로 노인의 상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우울, 식사, 복약, 수면에 대한 문진은 일 예이며, 다른 문진표로 사용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키오스크에는 별도의 광학카메라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면이 촬상되고, 상기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된 출입자 안면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주간보호센터에서 신체 및 인지 상태를 측정 및 분석하기 위한 키오스크의 새로운 개념을 제공하고, 요양보호사의 개입 없이 노인의 건강 상태 자동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노인 문진 데이터 수집을 통한 빅데이터 플랫폼 조성이 가능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100 : 아이트래커 200 : 스피커
300 : 열화상카메라 400 : 신체균형도센서부
500 : 디스플레이부 600 : 중앙서버
10 : 카메라

Claims (3)

  1. 사용자의 시선추적을 통해 인지능력 측정을 위한 아이트래커(100),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문진하기 위한 스피커(200),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열화상카메라(300), 사용자의 신체 균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체균형도센서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가 설치된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내부에는 상기 아이트래커(100), 스피커(200), 열화상카메라(300), 신체균형도센서부(400)와 측정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는 별도의 중앙서버(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키오스크에는 별도의 광학카메라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면이 촬상되고, 상기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된 출입자 안면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아이트래커(100)에 설치된 카메라(10)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 정보가 상기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되고, 상기 중앙서버(600)에는 정상인의 시선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어 촬상된 사용자의 시선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도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피커(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기 저장된 문진이 음성으로 송신되고, 해당 문진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상기 중앙서버(600)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열화상카메라(300)를 통해 사용자의 온도 및 온도분포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신체균형도센서부(400)에 의해 사용자의 양 발 압력분포가 센싱되어 상기 중앙서버(600)에 기 저장된 정상인의 압력분포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낙상 위험도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사용자가 알츠하이머병이 의심되는 경우,
    시계영상 및 이동물체가 표시되게 하여 이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정보가 상기 아이트래커를 통해 상기 중앙서버의 정상인 시선정보와 비교되고,
    사용자의 인지장애가 의심되는 경우, 특정그림 또는 사진 중 어느 하나의 것이 표시되게 하여 영상의 사람 수를 세는 시선정보가 상기 아이트래커를 통해 상기 중앙서버정보와 비교되어
    알츠하이머병 의심정보 또는 인지장애 의심정보 중 어느하나의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진은 사용자의 우울, 식사, 복약, 수면에 대한 문진을 포함한 질의가 사용자에게 송신되고, 해당 질의에 대한 문진결과가 상기 중앙서버(600)에 저장되어 데이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
  3. 삭제
KR1020200139620A 2020-10-26 2020-10-26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 KR102496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20A KR102496971B1 (ko) 2020-10-26 2020-10-26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20A KR102496971B1 (ko) 2020-10-26 2020-10-26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311A KR20220055311A (ko) 2022-05-03
KR102496971B1 true KR102496971B1 (ko) 2023-02-08

Family

ID=8159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620A KR102496971B1 (ko) 2020-10-26 2020-10-26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9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553B1 (ko) * 2017-03-16 2018-12-27 주식회사 인바디 낙상 위험 평가 시스템
KR102118585B1 (ko) * 2019-12-13 2020-06-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니어 케어를 위한 스마트미러 챗봇 시스템 및 방법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450B1 (ko) 2016-12-07 2018-12-06 주식회사 한국가스스프링 압축/인장에 따른 속도 제어 기능을 갖는 가스 실린더
KR102267162B1 (ko) * 2019-01-15 2021-06-2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장애인을 위한 시선 추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553B1 (ko) * 2017-03-16 2018-12-27 주식회사 인바디 낙상 위험 평가 시스템
KR102118585B1 (ko) * 2019-12-13 2020-06-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니어 케어를 위한 스마트미러 챗봇 시스템 및 방법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311A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mpbell et al. Computer vision analysis captures atypical attention in toddlers with autism
Poe et al. The Johns Hopkins fall risk assessment tool: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ity
Doughty et al. The design of a practical and reliable fall detector for community and institutional telecare
US20180089394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product or service delivery
Hannula et al. The eyes know: Eye movements as a veridical index of memory
US10289806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product or service delivery
US105957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s of dementia and providing dementia patient management service
Tasca et al. Prisoners’ assessments of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their children
Liu et al. Evaluation of two observational pain assessment tools in Chinese critically ill patients
Godoy et al. The straight truth: measuring observer attention to the crooked nose
CA2930697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product or service delivery
JP2014514049A (ja) モニタリング機器にファミリーモード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ooke et al. An examinati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efficacy of Dementia Care Mapping
Goerss et al. Automated sensor‐based detection of challenging behaviors in advanced stages of dementia in nursing homes
US2015013434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product or service delivery
Choi et al. Interexaminer reliability of infrared thermography for the diagnosis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Fontaine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to evaluate postoperative pain based on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Shmerling et al. The health needs of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children in out‐of‐home care
Lee et al. Head computed tomography utilization and intracranial hemorrhage rates
JP2019152914A (ja) 保育施設児童見守り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Švantner et al. Statistical study on human temperature measurement by infrared thermography
KR102496971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접촉 신체 및 인지 상태 측정 시스템
US10390802B1 (en) Eyescan app for detecting impairment
Keill Validity of wearable fitness trackers on sleep measure
Dollard et al. Patient acceptability of a novel technological solution (ambient intelligent geriatric management system) to prevent falls in geriatric and general medicine wards: a mixed-methods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