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849B1 - 증강현실 영상의 노출을 최소화한 증강현실 광학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영상의 노출을 최소화한 증강현실 광학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849B1
KR102496849B1 KR1020190176406A KR20190176406A KR102496849B1 KR 102496849 B1 KR102496849 B1 KR 102496849B1 KR 1020190176406 A KR1020190176406 A KR 1020190176406A KR 20190176406 A KR20190176406 A KR 20190176406A KR 102496849 B1 KR102496849 B1 KR 10249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ser
augmented reality
light
eye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777A (ko
Inventor
윤선규
이광훈
이진수
김양규
심하몽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7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8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Abstract

증강현실 영상의 노출을 최소화한 증강현실 광학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에 장착되는 증강현실 광학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은 반사시키되, 상기 기 설정된 편광방향 이외의 광은 투과시키는 편광 반사필름 및 상기 사용자의 안구의 전방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굴절률을 갖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필름은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방향의 렌즈의 일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광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영상의 노출을 최소화한 증강현실 광학장치 및 시스템{Augmented Reality Optical Device and System with Minimized Exposure of Augmented Reality Image}
본 발명은 증강현실 영상의 노출을 최소화한 증강현실 광학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실제 환경에 3차원 영상을 삽입하여 현실 세계 정보와 가상의 영상을 혼합한 것을 의미한다.
현실 세계 정보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는 정보도 있고, 때로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가 부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증강현실 시스템은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현실 세계와 필요한 정보의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증강현실 시스템에서는 시청자의 시야 전방에 영상을 출력하는데, 별도의 조작없이 영상을 출력하기에 출력되는 영상의 주변에 위치한 모든이들에게 노출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영상을 중심으로 시청자와 반대방향에 있는 이들에게도 영상이 노출되기에, 종래의 증강현실 시스템은 시청자의 사생활 보호가 미진한 측면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증강현실 광학 장치 대신, 사용자의 안구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현실세계의 광이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고 가상현실 영상만을 사용자에 제공하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기들의 개발과 판매가 활성화되는 상황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증강현실 영상의 외부로의 노출을 최소화한 증강현실 광학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에 장착되는 증강현실 광학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은 반사시키되, 상기 기 설정된 편광방향 이외의 광은 투과시키는 편광 반사필름 및 상기 사용자의 안구의 전방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굴절률을 갖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필름은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방향의 렌즈의 일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광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렌즈의 일면으로 조사되는 광은 상기 편광 반사필름으로 입사되며, 기 설정된 편광방향을 제외한 광만이 상기 편광 반사필름과 상기 렌즈를 거쳐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가까운 렌즈의 일면으로 조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편광 반사필름으로 입사되며,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만이 상기 편광 반사필름에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은 상기 편광 반사필름에 반사된 후, 다시 렌즈를 거쳐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에 장착되어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에 있어서,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은 반사시키되, 상기 기 설정된 편광방향 이외의 광은 투과시키는 편광 반사필름과 상기 사용자의 안구의 전방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굴절률을 갖는 렌즈 및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가까운 렌즈의 방향으로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필름은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방향의 렌즈의 일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렌즈의 일면으로 조사되는 광은 상기 편광 반사필름으로 입사되며, 기 설정된 편광방향을 제외한 광만이 상기 편광 반사필름과 상기 렌즈를 거쳐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된 증강현실 영상은 상기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편광 반사필름에 반사된 후, 다시 렌즈를 거쳐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시력을 갖는 사용자에 장착되는 증강현실 광학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은 반사시키되, 상기 기 설정된 편광방향 이외의 광은 투과시키는 편광 반사필름 및 상기 사용자의 안구의 전방에 배치되며, 광 파워(Optical Power)를 갖지 않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필름은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방향의 렌즈의 일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광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렌즈의 일면으로 조사되는 광은 상기 편광 반사필름으로 입사되며, 기 설정된 편광방향을 제외한 광만이 상기 편광 반사필름과 상기 렌즈를 거쳐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가까운 렌즈의 일면으로 조사되는 광은 상기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편광 반사필름으로 입사되며,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만이 상기 편광 반사필름에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은 상기 편광 반사필름에 반사된 후, 다시 렌즈를 거쳐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시력을 갖는 사용자에 장착되어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에 있어서,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은 반사시키되, 상기 기 설정된 편광방향 이외의 광은 투과시키는 편광 반사필름과 상기 사용자의 안구의 전방에 배치되며, 광 파워(Optical Power)를 갖지 않는 렌즈 및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가까운 렌즈의 방향으로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필름은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방향의 렌즈의 일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렌즈의 일면으로 조사되는 광은 상기 편광 반사필름으로 입사되며, 기 설정된 편광방향을 제외한 광만이 상기 편광 반사필름과 상기 렌즈를 거쳐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된 증강현실 영상은 상기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편광 반사필름에 반사된 후, 다시 렌즈를 거쳐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증강현실 영상의 외부로의 노출을 최소화여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학 시스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영상이 광학계를 거쳐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학 시스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광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증강현실 광학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온전히 현실세계의 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한다. 증강현실 광학 시스템(100)은 안경형 디스플레이(EDG: Eye Glass-type Display)와 같이 사용자의 시력을 보정하여 현실세계의 광(실물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에 장착되어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증강현실 광학 시스템(100)은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현실세계의 광의 광 손실은 최소화하면서, 증강현실 영상은 외부로의 노출을 최소화한 채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증강현실 영상이 사용자 이외의 다른 이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100)는 영상 출력부(210), 광학계(220), 제어부(230) 및 전원부(240)를 포함한다.
영상 출력부(210)는 사용자(110)에게 제공할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210)는 증강현실 영상을 외부(미도시)의 구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영상을 장치(100) 외부로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210)는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 기 설정된 편광방향 만을 갖도록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210)는 기 설정된 편광방향을 갖는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후술할 광학계(220)를 거쳐 증강현실 영상이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될 수 있도록 한다.
광학계(220)는 증강현실 장치(100) 외부에서 입사되는 현실세계의 광(실 물체에서 반사되는 광)은 통과시키되, 증강현실 영상은 사용자의 안구 방향으로 반사시켜 사용자가 현실세계의 광과 증강현실 영상을 모두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광학계(220)는 입사하는 광의 편광방향을 구분하여, 기 설정된 편광방향은 반사시키고 나머지 편광방향은 투과시킨다. 이처럼, 광학계(220)는 편광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의 반사 또는 투과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110)에게는 증강현실 영상과 현실세계의 광은 모두 제공하면서도, 외부로 증강현실 영상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광학계(220)에 대해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어부(230)는 영상 출력부(210) 및 전원부(2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부(240)는 증강현실 장치(100) 내 각 구성에 각 구성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220)는 편광 반사필름(310) 및 렌즈(320)를 포함한다.
편광 반사필름(310)은 렌즈(320)의 일면에 도포되어, 렌즈(320)로 입사하는 광 중 기 설정된 편광방향(도 3에 도시된 일 예로는 y축 방향)의 광은 반사시키고, 나머지 편광방향의 광은 투과시킨다. 편광 반사필름(310)은 렌즈(320)의 일면, 특히,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x축 방향) 렌즈의 일면에 도포되어, 렌즈(320)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거나 투과시킨다. 증강현실 장치(110) 외부에서 렌즈(320)로 입사되는 현실세계의 광(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렌즈의 일면으로 입사하는 광)은 외부에서 별도의 조작이 없는 한 특정 편광방향이 아닌 원편광 방향을 갖는다. 이와 같은 원편광 방향의 광이 렌즈(320)로 입사할 때, 먼저 편광 반사필름(310)을 거치며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은 반사되고, 나머지 편광방향의 광들이 편광 반사필름(310)을 투과한다. 반면, 영상 출력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증강현실 영상은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가까운 렌즈의 일면으로 입사한다. 증강현실 영상은 렌즈(320)를 1차적으로 통과하며, 편광 반사필름(310)으로 입사된다. 전술한 대로, 증강현실 영상은 기 설정된 편광방향을 갖기 때문에, 편광 반사필름(310)으로부터 온전히 반사된다. 이처럼, 편광 반사필름(310)이 렌즈(320)의 사용자 안구로부터 먼 일면에 도포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증강현실 장치(110) 외부에서 렌즈(320)로 입사되는 현실세계의 광은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 성분만이 편광 반사필름(310)에 의해 반사될 뿐, 나머지 성분은 모두 편광 반사필름(310)을 통과하여 렌즈(320)를 거치며 사용자 안구로 입사되기에, 현실세계의 광의 광 손실은 최소화된다. 또한, 현실세계의 광에서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 성분은 편광 반사필름(310)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현실세계의 광과 증강현실 영상과 간섭이 발생할 우려도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기 설정된 편광방향을 갖는 증강현실 영상은 편광 반사필름(310)으로부터 온전히 반사되기에, 편광 반사필름이 광을 반사하는 방향(사용자의 안구, 후술)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는 증강현실 영상이 도달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증강현실 장치(100)를 장착한 사용자와 다른 방향에 위치한 시청자들은 증강현실 영상을 확인할 수 없어, 증강현실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사생활이 충분히 보호될 수 있다.
편광 반사필름(310)은 편광방향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WGP(Wire Grid Polarizer)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렌즈(320)는 영상 출력부(210)가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광 경로상에 배치되어, 현실세계의 광이나 증강현실 영상을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시킨다. 렌즈(320)는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의 시력을 갖는 사용자가 현실세계의 광이나 증강현실 영상을 온전히 인식할 수 있도록 광 경로를 변화시킨다. 이때, 렌즈(320)는 사용자가 실제 착용하는 안경의 렌즈일 수도 있고, 그와 동일한 광 파워(Optical Power)를 갖는 렌즈로 구현될 수도 있어, 사용자(110)가 자신의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증강현실 영상을 시청할 수 있거나 안경의 착용없이도 증강현실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렌즈(320)의 일면으로 입사되는, 현실세계의 광은 편광 반사필름(310)을 거쳐 평행광 형태로 렌즈(320)에 입사되며, 렌즈(320)에 의해 사용자가 해당 광을 온전히 인식할 수 있는 광경로로 굴절되어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된다. 반면, 현실세계의 광과 달리, 영상 출력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증강현실 영상은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가까운 렌즈(320)의 일면으로 입사되기 때문에, 편광 반사필름(310)으로부터 반사되기 이전에 먼저 1차적으로 렌즈(320)를 거치게 된다. 1차적으로 렌즈(320)를 거친 증강현실 영상은 편광 반사필름(310)으로부터 온전히 반사되고, 반사된 증강현실 영상은 다시 2차적으로 렌즈(320)를 거쳐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된다. 현실세계의 광과 달리 증강현실 영상은 사용자 안구로 입사하기까지 렌즈(320)를 2회 거치기 때문에, 광 경로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영상이 광학계를 거쳐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출력부(210)로부터 출력된 증강현실 영상의 광은 분산되는 형태로 렌즈(320)에 입사하며 1차적으로 렌즈(320)를 거치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게 현실세계의 광과 증강현실 영상의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현실세계의 광과 같이 렌즈(320)를 1차적으로 거친 증강현실 영상이 평행광 형태를 가져야 한다. 렌즈(320)를 1차적으로 거친 증강현실 영상이 평행광 형태를 가지며 편광 반사필름(310)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렌즈(320)를 거치며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된다. 즉, 영상 출력부(210)는 자신이 출력하는 광 경로상에 배치된 렌즈(320)로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 렌즈를 1차적으로 거치는 광이 평행광 형태로 굴절되도록 광을 조사한다. 또한, 편광 반사필름(310)이 도포된 렌즈(320)는 광 경로 상에서 증강현실 영상이 편광 반사필름(310)으로부터 반사된 후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는 각도로 배치되어, 증강현실 영상의 노출을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현실세계의 광은 사용자 안구로부터 먼 렌즈(320)의 일면로 입사한 후 편광 반사필름(310)과 렌즈(320)를 거쳐 사용자의 안구로 온전히 입사하고, 증강현실 영상은 편광 반사필름(310)과 렌즈(320)에 의해 사용자의 안구로 대부분이 입사되며 사용자가 증강현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증강현실 광학 시스템(100)의 광학계(220) 내 렌즈는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의 시력을 갖는 사용자에 온전한 영상과 상을 제공하고자, 일정한 광 파워를 갖는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증강현실 광학 시스템(100)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정상시력 가진자에게도 장착될 수 있다. 광학계(220) 내 렌즈도 동일하게 포함되나, 렌즈는 광 파워를 갖지 않아, 현실세계의 광과 증강현실 영상이 사용자의 안구로 별도의 굴절없이 입사될 수 있도록 한다. 광 파워가 없는 렌즈가 포함됨에 따라, 정상시력 가진자도 동일하게 증강현실 광학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증강현실 영상을 외부로 노출하지 않고 시청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증강현실 광학 시스템
210: 영상 출력부
220: 광학계
230: 제어부
240: 전원부
310: 편광 반사필름
320: 렌즈

Claims (14)

  1. 사용자에 장착되는 증강현실 광학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은 반사시키되, 상기 기 설정된 편광방향 이외의 광은 투과시키는 편광 반사필름; 및
    상기 사용자의 안구의 전방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굴절률을 갖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필름은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방향의 렌즈의 일면에 도포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렌즈의 일면으로 조사되는 광은,
    상기 편광 반사필름으로 입사되어, 기 설정된 편광방향을 제외한 광만이 상기 편광 반사필름을 거쳐 상기 렌즈에 입사된 뒤, 상기 렌즈에 의해 사용자가 해당 광을 온전히 인식할 수 있는 광경로로 굴절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가까운 렌즈의 일면으로 조사되는 광은,
    기 설정된 편광방향을 가지며, 분산되는 형태로 상기 렌즈에 입사한 뒤 상기 렌즈를 1차적으로 거쳐 평행광 형태로 굴절되도록 조사되며, 상기 렌즈를 통과한 평행광 형태의 광은 상기 편광 반사필름으로 입사 후 상기 편광 반사필름에 반사되고, 다시 렌즈를 거쳐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도록 하여, 외부로의 노출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렌즈의 일면으로 조사되는 광과의 이질감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광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사용자가 실제 착용하는 안경의 렌즈 또는 그와 동일한 광 파워를 갖는 렌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광학장치.
  3. 삭제
  4. 삭제
  5. 사용자에 장착되어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에 있어서,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광은 반사시키되, 상기 기 설정된 편광방향 이외의 광은 투과시키는 편광 반사필름;
    상기 사용자의 안구의 전방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굴절률을 갖는 렌즈; 및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가까운 렌즈의 방향으로 기 설정된 편광방향의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렌즈로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시 상기 렌즈를 1차적으로 거치는 광이 평행광 형태로 굴절되도록 광을 조사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편광 반사필름은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방향의 렌즈의 일면에 도포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렌즈의 일면으로 조사되는 광은,
    상기 편광 반사필름으로 입사되어, 기 설정된 편광방향을 제외한 광만이 상기 편광 반사필름을 거쳐 상기 렌즈에 입사된 뒤, 상기 렌즈에 의해 사용자가 해당 광을 온전히 인식할 수 있는 광경로로 굴절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되고,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된 증강현실 영상은,
    분산되는 형태로 상기 렌즈에 입사한 뒤 상기 렌즈를 1차적으로 거쳐 평행광 형태로 굴절되며, 상기 렌즈를 통과한 평행광 형태의 광은 상기 편광 반사필름으로 입사된 후 상기 편광 반사필름에 반사되고 다시 렌즈를 거쳐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됨에 따라 외부로의 노출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렌즈의 일면으로 조사되는 광과 상기 증강현실 영상과의 이질감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사용자가 실제 착용하는 안경의 렌즈 또는 그와 동일한 광 파워를 갖는 렌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반사필름은 편광방향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WGP(Wire Grid Polarizer)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광학장치.
  14.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반사필름은 편광방향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WGP(Wire Grid Polarizer)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KR1020190176406A 2019-12-27 2019-12-27 증강현실 영상의 노출을 최소화한 증강현실 광학장치 및 시스템 KR10249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406A KR102496849B1 (ko) 2019-12-27 2019-12-27 증강현실 영상의 노출을 최소화한 증강현실 광학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406A KR102496849B1 (ko) 2019-12-27 2019-12-27 증강현실 영상의 노출을 최소화한 증강현실 광학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77A KR20210083777A (ko) 2021-07-07
KR102496849B1 true KR102496849B1 (ko) 2023-02-07

Family

ID=7686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406A KR102496849B1 (ko) 2019-12-27 2019-12-27 증강현실 영상의 노출을 최소화한 증강현실 광학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8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3330A2 (en) 2017-10-09 2019-04-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COMPONENTS AND OPTICAL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9594B2 (ja) * 1992-08-04 2003-11-2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ポータブル型映像表示装置
CN104781723B (zh) * 2012-08-21 2017-09-15 3M创新有限公司 观看装置
CN106104353B (zh) * 2014-03-18 2019-12-06 3M创新有限公司 用于近眼显示器的低轮廓图像组合器
KR20170017854A (ko) * 2016-10-31 2017-02-15 이승종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3330A2 (en) 2017-10-09 2019-04-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COMPONENTS AND OPTICAL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77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9615B2 (en) Wide field-of-view virtual image projector
EP3377932B1 (en) Rainbow removal in near-eye display using polarization-sensitive grating
CN105008981B (zh) 用于近眼显示器的光学系统
US9052414B2 (en) Virtual image device
CN105807428B (zh) 一种头戴式显示设备和系统
CN112840261B (zh) 基于偏振的动态聚焦器
TWI641868B (zh) 具備視力矯正功能之頭戴式顯示裝置
US10600352B1 (en) Display device with a switchable window and see-through pancake lens assembly
KR101852680B1 (ko)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의 구현이 가능한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06908953A (zh) 一种集成视力矫正的双目近眼显示装置
CN108027507A (zh) 可调整瞳孔距离可穿戴显示器
CN108614360B (zh) 增强现实眼镜
WO2016177326A1 (en) Display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es
CN105404005A (zh) 用于增强现实的头戴显示器
US20210286177A1 (en)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designing wide-focus ?lens to ?be used for the head-mounted ?display
WO2022199580A1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0955677B1 (en) Scene camera
US11669159B2 (en) Eye tracker illumination through a waveguide
KR102496849B1 (ko) 증강현실 영상의 노출을 최소화한 증강현실 광학장치 및 시스템
US20160131914A1 (en) Head-mounted display system including an eye-tracker system and means for adaptation of the images emitted
KR102496841B1 (ko) 편광 반사필름을 이용한 증강현실 광학장치 및 시스템
CN108803021A (zh) 一种近眼显示系统、头戴显示设备及光场显示方法
KR102543452B1 (ko) 착용자의 시력을 범용적으로 보정하는 증강현실 광학시스템
US11914143B2 (en) Immersiv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pparatus
TWM474154U (zh) 頭戴式3d立體成像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