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343B1 -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343B1
KR102496343B1 KR1020210159516A KR20210159516A KR102496343B1 KR 102496343 B1 KR102496343 B1 KR 102496343B1 KR 1020210159516 A KR1020210159516 A KR 1020210159516A KR 20210159516 A KR20210159516 A KR 20210159516A KR 102496343 B1 KR102496343 B1 KR 102496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module
management system
sprinkler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15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71Detection of area conflagratio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소방관리 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및 상기 소방관리 시스템이 대상부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방관리 시스템은 모니터유닛에 의하여 준비 혹은 설치 과정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소방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각 구역에 설치되어 화재를 탐지하여, 화재가 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 사실을 소방관리 서버(300)로 통보하는 화재 탐지기(100); 화재 탐지기(100)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이 통보된 구역에 설치된 스프링클러(200)에 액체를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 전송하는 소방관리 서버(300); 각 구역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방관리 서버(300)로부터 화재 진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액체를분사하는 스프링클러(200);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 탐지기(100)는, 화재 크기를 탐지하여 소방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소방관리 서버(300)는, 화재 크기에 매칭되는 액체량을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 스프링클러(200)에 전송하며, 상기 스프링클러(200)는, 상기 화재 진화 신호의 화재 크기에 매칭되는 액체량으로서 분사하고, 상기 스프링클러(200)는, 소방관리 서버(300)와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부(210); 액체를 개별적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 헤드(220); 각 분사 헤드(220)에 설치된 열선(230); 상기 열선(230)에 전력을 제공하는 가열 구동부(240); 상기 화재 진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가열 구동부(240)를 가열하여 분사 헤드(220)를 개방시키는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Providing method for a fir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탐지가 있게 되면 화재 경보뿐만 아니라 소방전기통신을 이용한 신속한 화재 진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화재 크기를 탐지하여 그에 맞는 액체량을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크기에 맞는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화재 진화가 가능하게 하는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통상 화재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화염을 감지하는 센서를 기반으로 화재발생 여부를 인식하고,벨 또는 사이렌 등의 음향장치를 통해 해당 공동주택의 관리자 및 세대원에게 화재발생 경보를 발하는 설비를말한다.
이에 따라, 자동화재탐지설비는 일반적으로 감지기, 발신기, 수신기 및 음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소방관리에 사용되는 화재 수신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해 공통 신호로써 수신하여 화재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리자 또는 소방서 측에 경보하여 주는 것으로서, P형수신기, R형 수신기, M형 수신기, GP형 수신기 및 GR형 수신기 등이 있다.
한편, 감지기 또는 발신기(M형 발신기 제외) 등으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 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리자에게 경보하여 주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옥내외 소화설비, 스프링클러(200) 설비, 물 분무 소화설비, 포 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화물 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배연설비 등 가압송수장치 또는 기동장치 등을 제어하는 P형 복합식 수신기가 있다.
이외에도 R형 복합식 수신기, GP형 복합식 수신기 및 GR형 복합식 수신기 등이 있다.
P형(Proprietary type) 수신기는 설치의 용이성 및 설비 단가의 이점으로 인해 중소규모의 건물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 회로별 경계구역을 표시하는 지구표시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성능에 따라 1급과 2급으로 구분된다.
P형 1급 수신기는 화재표시 동작, 감지기배선 도통시험,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간의 전환 등이 가능한 동시에회로 수에 제한이 없는 장점이 있으며, P형 2급 수신기는 P형 1급 수신기와 구조는 같으나 회전수가 5회선 이하로 제한된다.
최근 정보통신기술(ITC: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빠른 보급과 더불어 현재 건축되는 대부분의 건축물들은 인텔리전트 빌딩 및 지능형 아파트 등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소방설비분야에서 낙후된 과거의 기술로는 현 추세에 적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자동화재탐지설비(AFDE: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는 근린생활시설, 교육연구시설, 위락시설, 숙박시설, 의료시설 및 600㎡ 이상의 건축물 등에는 반드시 설치하도록 ‘소방기술기준’으로 규정하여 의무화하고 있으며, 4층 이상 건축물 등에는 필히 P형 1급 수신기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 중인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제어 알고리즘과 화재진압 제어시스템은 1970년대부터 사용하는 기술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에는 화재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자동 진압 내지 원격 제어를 통한 진압을 시도하는 동시에 대피용경보를 발하는 방식이므로, 초기 진화의 여부가 매우 중요한 동시에 초기 진화에 실패할 경우 상당한 재산 피해는 물론 인명 피해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화재 탐지가 있게 되면 화재 경보뿐만 아니라 소방전기통신을 이용한 신속한 화재 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재 크기를 탐지하여 그에 맞는 액체량을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크기에 맞는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화재 진화가 가능하게 하는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를 제공함에 있어 안전관리, 유지보수관리, 접근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신뢰성이 있는 추가수단을 함께 제공하는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추가수단을 통하여 추수 이상발생, 손해발생, 분쟁발생 등에 따른 정확한 데이터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수단 자체의 내진구조와 충격완화를 위한 구조가 적용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는 동작이 가능한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및 상기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이 대상부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은 모니터유닛에 의하여 준비 혹은 설치 과정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각 구역에 설치되어 화재를 탐지하여, 화재가 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 사실을 소방관리 서버(300)로 통보하는 화재 탐지기(100); 화재 탐지기(100)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이 통보된 구역에 설치된 스프링클러(200)에 액체를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 전송하는 소방관리 서버(300); 각 구역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방관리 서버(300)로부터 화재 진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액체를분사하는 스프링클러(200);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 탐지기(100)는, 화재 크기를 탐지하여 소방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소방관리 서버(300)는, 화재 크기에 매칭되는 액체량을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 스프링클러(200)에 전송하며, 상기 스프링클러(200)는, 상기 화재 진화 신호의 화재 크기에 매칭되는 액체량으로서 분사하고, 상기 스프링클러(200)는, 소방관리 서버(300)와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부(210); 액체를 개별적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 헤드(220); 각 분사 헤드(220)에 설치된 열선(230); 상기 열선(230)에 전력을 제공하는 가열 구동부(240); 상기 화재 진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가열 구동부(240)를 가열하여 분사 헤드(220)를 개방시키는 제어부(250);를 포함하는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재 탐지가 있게 되면 화재 경보뿐만 아니라 소방전기통신을 이용한 신속한 화재 진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재 크기를 탐지하여 그에 맞는 액체량을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크기에 맞는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화재 진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를 제공함에 있어 안전관리, 유지보수관리, 접근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신뢰성이 있는 추가수단을 함께 제공하는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추가수단을 통하여 추수 이상발생, 손해발생, 분쟁발생 등에 따른 정확한 데이터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수단 자체의 내진구조와 충격완화를 위한 구조가 적용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는 동작이 가능한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탐지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탐지기의 동작 예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예시 그림.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탐지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탐지기의 동작 예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은, 화재탐지기와 소방관리 서버(300)를 연결하는유무선 통신망(미도시)과, 공동주택의 각 구역에 설치되어 화재를 탐지하여, 화재가 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사실을 소방관리 서버(300)로 통보하는 화재 탐지기(100)와, 화재 탐지기(100)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이 통보된구역에 설치된 스프링클러(200)에 액체를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 전송하는 소방관리 서버(300)와, 각 구역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방관리 서버(300)로부터 화재 진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액체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200)를 포함한다.
유무선 통신망(미도시)은, 화재탐지기와 소방관리 서버(300)를 연결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라인으로서,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화재 탐지기(100)는 공동주택의 각 구역에 설치되어 화재를 탐지하여, 화재가 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 사실을 소방관리 서버(300)로 통보하는 기능을 한다.
화재 탐지는 연기 감지, 열 감지 등의 기존의 공지된 다양한 화재 탐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화재 탐지기(100)는 화재 발생 시 초기단계에서 발생하는 열, 연기 등을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설비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 연기 또는 가스 등을 감지하는 감지기, 발화장소를 명시하는 수신기, 발신기, 음향장치, 배선, 전원 등으로 구성된다.
참고로, 이러한 화재 탐지기(100)의 동작 예시를 도 3과 함께 간단히 설명하면, 화재 및 재해 발생(10) 시 재해감지센서(11,12,13)들이 동작하고, 수신기(14)에서 이를 감지하여 경보비상 방송(15)과 경보 표시판(16)을 작동시키고, 방화문 등의 방재설비(17,18)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소방관리 서버(3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도우(window), 리눅스(linu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유닉스(uni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 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소방관리 서버(300)는, 화재 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이 통보된 구역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에 액체를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1구역에 설치된 화재 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이 통보되는 경우 제1구역에 설치된 제1스프링클러에 화재 진화를 위한 액체(물)을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제2구역에 설치된 화재 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이 통보되는 경우 제2구역에 설치된제2스프링클러에 화재 진화를 위한 액체(물)을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 전송하며, 또한 제3구역에 설치된 화재 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이 통보되는 경우 제3구역에 설치된 제3스프링클러에 화재 진화를 위한액체(물)을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 전송한다.
스프링클러(200)는 각 구역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방관리 서버(300)로부터 화재 진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액체(물)을 분사하는 화재 소화기이다.
따라서 화재가 탐지되는 구역에 신속하게 스프링클러(200)를 동작시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화재 크기에 따라서 스프링클러(200)의 동작을 각각 다르게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화재 탐지기(100)는 화재 크기를 탐지하여 소방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연기량이 많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화재 크기가 크다고 탐지하게 된다.
소방관리 서버(300)는 화재 크기에 매칭되는 액체량을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 스프링클러(200)에 전송하며, 스프링클러(200)는, 화재 진화 신호의 화재 크기에 매칭되는 액체량으로서 분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화재 크기가 탐지되는 경우 제1액체량을 분사하도록 제어하며, 제1화재 크기보다 더 큰 제2화재크기가 탐지되는 경우 제1액량보다 더 많은 제2액체량으로 분사하도록 하며, 제2화재 크기보다 더 큰 제3화재크기가 탐지되는 경우 제2액량보다 더 많은 제3액체량으로 분사하도록 한다.
따라서 화재 크기에 따라서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화재 진화가 가능하게 된다.
화재 진화 신호의 화재 크기에 매칭되는 액체량으로서 분사하는 스프링클러(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부(210), 분사 헤드(220), 열선(230), 가열 구동부(240),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210)는, 소방관리 서버(300)와 데이터 통신하는 통신 유닛이다.
소방관리 서버(300)와 유선으로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TCP/IP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 이동통신(3G,4G),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분사 헤드(220)는, 복수개 마련되어 액체를 개별적으로 분사하는 유닛이다.
슬래브 밑면에 고정되어 소화수를공급하는 소방 급수관(미도시 됨)에 분기접속되는 분기관과, 분기관에 이음 연결되며, 천장패널에 지지되는 스프링클러가 나사 결합되는 엘보우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200)는 소방관리 서버(300)로부터 화재 진화 신호를 수신한 경우, 분사 헤드(220)가 개방되어 물을 고압으로 살수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특히 분사 헤드(220)는, 복수개 마련되어 개별적으로 액체를 각각 다른 량으로서 분사할 수 있다.
참고로, 분사 헤드(220)의 개방은, 기계식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계식 방식으로 개방이 이루어지는 경우, 용융점 온도에 도달하면 스프링클러(200) 본체와 분사헤드를 결합시킨 용융 금속이 녹아서 분사 헤드(220)가 본체와 이격되어 개방될 수 있다.
열선(230)은 각 분사 헤드(220)에 설치되어 열을 가하는 매체이다.
열선(230)은 스프링클러(200) 헤드에 매립내장되거나 상단부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열선(230)은 고저항체로서 전류의 흐름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는가열체로서, 예컨대, 니크롬선으로 구현되어 24[V]의 전압을 제공받아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가열 구동부(240)는 열선(230)에 전력을 제공하는데, 분사 헤드(220)에 장착된 열선(230)에 인위적으로 열을 가하여 분사 헤드(2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어부(250)는 화재 진화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가열 구동부(240)를 가열하여 분사 헤드(220)를 개방시키게 된다.
특히, 효율적인 화재 진화를 위하여 소방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화재 크기에 매칭되는 개수의 분사헤드(220)를 결정하여, 결정된 개수의 분사 헤드(220)의 열선(230)만을 가열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프링클러(200)의 분사 헤드(220)를 10개로 가정하여, 제1화재 크기인 경우 1개의 분사 헤드(220)만을 개방하여 제1액체량을 분사하도록 제어하며, 제1화재 크기보다 더 큰 제2화재 크기인 경우 2개의 분사 헤드(220)만을 개방하여 제1액체량보다 많은 제2액체량을 분사하도록 제어하며, 제2화재 크기보다 더 큰 제3화재크기인 경우 3개의 분사 헤드(220)만을 개방하여 제2액체량보다 많은 제3액체량을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가스렌지 가열같은 약한 온도 상승에도 불구하고 이를 화재로 감지하여 많은 양의 액체(물)을 분사할 경우, 집내부의 가구 살림이 망가지기 때문에 화재 크기에 비례하는 효율적은 액체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작은 화재라 판단하여 적은 개수의 분사 헤드(220)를 개방하여 화재 진화를 시도하였으나, 화재 진화가되지 않는 경우 모든 분사 헤드(220)를 개방하여 신속한 화재 진화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200)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60)를 포함한다.
제어부(250)는 분사 헤드(220)의 개방이 미리 설정된 제1분사 시간을 경과한 시점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화재온도 이상인 경우, 모든 분사 헤드(220)의 열선(230)을 가열하여 모든 분사 헤드(220)에서 액체가 분사되도록 한다.
따라서 결정된 분사 헤드(220)의 개수를 개방하여 진화 시도하였으나 설정된 제1분사 시간을 경과하여도온도가 높은 화재 온도를 초과한 상태에는 스프링클러(200)의 모든 분사 헤드(220)를 개방하여 신속한 화재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모든 분사 헤드(220)에서 액체가 분사된 후 미리 설정된 제2분사 시간을 경과한 시점의 온도가 화재 온도 이상인 경우, 소방관리 서버(300)로 화재진화 실패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총 10개 중에서 2개의 분사 헤드(220)를 개방하여 화재 진화를 시도하였으나 제1분사 시간인 3분이지나도 온도가 떨어지지 않는 화재 상태인 경우, 10의 분사 헤드(220) 모두를 개방하여 화재 진화를 시도하게되는데, 이러한 10의 분사 헤드(220) 모두를 개방하여 화재 진화를 시도하여도 제2분사 시간인 5분이 경과해도화재 상태로 판별되는 경우, 소방관리 서버(300)로 화재진화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여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다.
소방관리 서버(300)는, 화재진화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소방 관제 센터및 공동주택 관리자 단말기로 화재 사실을 통보하여 외부에서의 신속한 화재 진화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은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및 상기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이 대상부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은 모니터유닛에 의하여 준비 혹은 설치 과정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각 구역에 설치되어 화재를 탐지하여, 화재가 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 사실을 소방관리 서버(300)로 통보하는 화재 탐지기(100); 화재 탐지기(100)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이 통보된 구역에 설치된 스프링클러(200)에 액체를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 전송하는 소방관리 서버(300); 각 구역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방관리 서버(300)로부터 화재 진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액체를분사하는 스프링클러(200);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 탐지기(100)는, 화재 크기를 탐지하여 소방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소방관리 서버(300)는, 화재 크기에 매칭되는 액체량을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 스프링클러(200)에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클러(200)는 상기 화재 진화 신호의 화재 크기에 매칭되는 액체량으로서 분사하고, 상기 스프링클러(200)는, 소방관리 서버(300)와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부(210); 액체를 개별적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 헤드(220); 각 분사 헤드(220)에 설치된 열선(230); 상기 열선(230)에 전력을 제공하는 가열 구동부(240); 상기 화재 진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가열 구동부(240)를 가열하여 분사 헤드(220)를 개방시키는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상기 모니터유닛은, 현장에 단수 혹은 다수로 구비되어 다수에 대하여 모니터할 수 있다. 이러헌 상기 모니터유닛은 일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1기둥모듈(110')과, 타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2기둥모듈(210')과, 상기 제1기둥모듈(110')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기둥모듈(210')상에 설치되는 제2구동몸체(215')와,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대향하는 양측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관리모듈가 장착되는 바 형상의 수용모듈(3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모듈은 제1감시부(CM1)와 제2감시부(CM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모듈(310')은, 일측면에 상기 제1감시부(CM1)가 장착되며 타측면에 상기 제2감시부(CM2)가 장착되며,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 사이에서 설정반경으로 축회전된다.
아울러 상기 모니터유닛은 상기 제1구동몸체(1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2서브기둥모듈(220')과, 상기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서브기둥모듈(220')의 대향하는 양측으로 설치되는 가동패널(320')과, 상기 가동패널(32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모듈(310')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상방가동모듈(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의 좌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부(331')가 구비된다.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의 우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부(332')가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3온도조절부(333')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는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유체분사를 통해 설정오도로의 냉각 또는 히팅을 수행하되, 상기 수용모듈(310')이 무회전되는 일반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1동작모드와, 상기 수용모듈(310')이 축회전되는 회전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 가능하되, 상기 제1감시부(CM1)는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감시부(CM2)는 상기 제1감시부(CM1)와 대향하도록 상기 수용모듈(310')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동작모드를 통해 상기 제1감시부(CM1)와 상기 제2감시부(CM2)에 상기 유체분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감시부(CM1)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대향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와 대향하는 제2영역과,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의 대향하는 제3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감시부(CM2)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대향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와 대향하는 제2영역과,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의 대향하는 제3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하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장착체(341')와 하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2장착체(34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장착체(341')는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모듈(310')에 장착되며, 상기 제2장착체(342')는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모듈(310')에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1장착체(341')와 상기 제2장착체(342')는,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급정지 시키도록 기설정된 제1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1정지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를 점진적으로 정지 시키도록 상기 제1강도보다 약한 제2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2정지모드로의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서브기둥모듈(220')은 각각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기 위치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상기 제1장착체(341')와 상기 제2장착체(342')의 누름정도가 저감 혹은 보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가동모듈(2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구동패널(352')과, 상기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구동패널(352') 사이에 구비되는 하방가동모듈(3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의 상부 일측는 상부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4온도조절부(361')가 구비되며,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의 상부 타측는 상부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5온도조절부(362')가 구비된다.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는,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제2유체분사를 통해 설정오도로의 냉각 또는 히팅을 수행하되,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2유체분사를 수행하며, 상기 제2동작모드를 통해 상기 제1감시부(CM1)와 상기 제2감시부(CM2)에 상기 제2유체분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한다.
아울러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는 상기 제1장착체(341')의 대향하는 위치로 구비되며,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는 상기 제2장착체(342')의 대향하는 위치로 구비된다.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3장착체(370')와 상기 제3장착체(370') 좌측에 위치되며,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4장착체(371')와 상기 제3장착체(370') 우측에 위치되며,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5장착체(372')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기반으로 상기 제1감시부(CM1) 중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와 대향하는 제5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감시부(CM2) 중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와 대향하는 제5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4장착체(371')와 상기 제5장착체(372')는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급정지 시키도록 기설정된 제3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3정지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를 점진적으로 정지 시키도록 상기 제3강도보다 약한 제4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4정지모드로의 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구동패널(352')은, 상기 제1기동모듈과 상기 제2기동모듈로부터 상하로 제2위치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은,상기 제2위치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상기 제3장착체(370'), 상기 제4장착체(371') 및 상기 제5장착체(372')의 누름정도가 저감 혹은 보강되도록 한다.
상기 모니터유닛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기둥모듈(110')을 위치고정시키는 제1고정모듈(410')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기둥모듈(210')을 위치고정시키는 제2고정모듈(5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기둥모듈(110')은 하방단부에 외주면이 축소된 제1연장부(110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모듈(410')은, 하부의 제1본체패널(411')과, 상기 제1본체패널(411')의 상부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압입모듈(412')과, 상기 제1압입모듈(412')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1서브압입모듈(4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패널(411')은 상기 제1연장부(1101')가 거치되며, 상기 제1압입모듈(412')은 상기 제1연장부(1101')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1서브압입모듈(413')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한다.
한편, 상기 제2기둥모듈(210')은 하방단부에 외주면이 축소된 제2연장부(2101')가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모듈(510')은 하부의 제2본체패널(511')과, 상기 제2본체패널(511')의 상부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2압입모듈(512')과, 상기 제2압입모듈(512')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2서브압입모듈(513')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패널(511')은 상기 제2연장부(2101')가 거치되며, 상기 제2압입모듈(512')은 상기 제2연장부(2101')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2서브압입모듈(513')은 상기 제2기둥모듈(210')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1서브압입모듈(413')과 상기 제2서브압입모듈(513')은 각각 상기 제1압입모듈(412')과 상기 제2압입모듈(512')에서 둘레방향 회전을 기반으로 압입을 수행하되, 상기 제1서브압입모듈(413')과 상기 제2서브압입모듈(513')은 각각 상기 제1압입모듈(412')과 상기 제2압입모듈(512')에서 둘레방향 회전과 함께 상기 제1기둥모둘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을 향하여 둘레방향회전과 함께 근접이동이 가미되어 압입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압입모듈(412')의 상부에 제1연장바(413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바(4131') 상단에 설치되는 제1고정플랜지(413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압입모듈(512')의 상부에 제2연장바(513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장바(5131') 상단에 설치되는 제2고정플랜지(513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플랜지(4132')는 상기 제1기둥모듈(110') 외측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제1연장바(4131')는 상기 제1기둥모듈(110')이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하강하며, 상기 제2고정플랜지(5132')는 상기 제2기둥모듈(210') 외측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제2연장바(5131')는 상기 제2기둥모듈(210')이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하강한다.
아울러 상기 제1연장바(4131')와 상기 제2연장바(5131')의 하강에 기반하여 상기 제1고정플랜지(4132')와 상기 제2고정플랜지(5132')가 상기 제1기둥모둘(110')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을 하부로 당겨 고정력을 부여한다.
상기 모니터유닛은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관체(610')가 덮어지며, 상기 보관체(610')는 상기 제1고정플랜지(4132')와 상기 제2고정플랜지(5132')에 안착되며, 상기 보관체(610')는 상기 모니터유닛을 밀폐시켜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상기 유체분사와 상기 제2유체분사에 따라 유체가 내부 충진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화재 탐지기 200: 스프링클러
300: 소방관리 서버

Claims (2)

  1. 삭제
  2.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및
    상기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이 대상부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은 모니터유닛에 의하여 준비 혹은 설치 과정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각 구역에 설치되어 화재를 탐지하여, 화재가 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 사실을 소방관리 서버(300)로 통보하는 화재 탐지기(100);
    화재 탐지기(100)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이 통보된 구역에 설치된 스프링클러(200)에 액체를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 전송하는 소방관리 서버(300);
    각 구역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방관리 서버(300)로부터 화재 진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액체를분사하는 스프링클러(200);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 탐지기(100)는, 화재 크기를 탐지하여 소방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소방관리 서버(300)는, 화재 크기에 매칭되는 액체량을 분사하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신호를 스프링클러(200)에 전송하며,
    상기 스프링클러(200)는, 상기 화재 진화 신호의 화재 크기에 매칭되는 액체량으로서 분사하고, 상기 스프링클러(200)는, 소방관리 서버(300)와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부(210); 액체를 개별적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 헤드(220); 각 분사 헤드(220)에 설치된 열선(230); 상기 열선(230)에 전력을 제공하는 가열 구동부(240); 상기 화재 진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가열 구동부(240)를 가열하여 분사 헤드(220)를 개방시키는 제어부(250);를 포함하는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일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1기둥모듈(110')과,
    타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2기둥모듈(210')과,
    상기 제1기둥모듈(110')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기둥모듈(210')상에 설치되는 제2구동몸체(215')와,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대향하는 양측 사이에 설치되며 관리모듈가 장착되는 바 형상의 수용모듈(310')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모듈은 제1감시부(CM1)와 제2감시부(CM2)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모듈(310')은,
    일측면에 상기 제1감시부(CM1)가 장착되며 타측면에 상기 제2감시부(CM2)가 장착되며,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 사이에서 설정반경으로 축회전되며,
    상기 모니터유닛은,
    상기 제1구동몸체(1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2서브기둥모듈(220')과,
    상기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서브기둥모듈(220')의 대향하는 양측으로 설치되는 가동패널(320')과,
    상기 가동패널(32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모듈(310')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상방가동모듈(330')을 포함하되,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의 좌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부(331')가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의 우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부(332')가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3온도조절부(333')가 구비되는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KR1020210159516A 2021-11-18 2021-11-18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KR102496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516A KR102496343B1 (ko) 2021-11-18 2021-11-18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516A KR102496343B1 (ko) 2021-11-18 2021-11-18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343B1 true KR102496343B1 (ko) 2023-02-06

Family

ID=85224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516A KR102496343B1 (ko) 2021-11-18 2021-11-18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3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790B1 (ko) * 2019-08-28 2020-05-14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 소방전기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2313201B1 (ko) * 2020-11-30 2021-10-18 (주)한길이앤씨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790B1 (ko) * 2019-08-28 2020-05-14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 소방전기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2313201B1 (ko) * 2020-11-30 2021-10-18 (주)한길이앤씨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181B1 (ko)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KR102110790B1 (ko) 공동주택 소방전기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1684366B1 (ko) 공동주택의 통신망을 이용한 소방용 화재감시장치
KR101175202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20150254952A1 (en) Platform of Smart Security Protection Integrated System
CN106248149A (zh) 一种消防远程监控系统
CN111870843A (zh) 一种用于储能站的无线消防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754620B1 (ko) 화재발생 원격 관리시스템
KR101656491B1 (ko) 스프링클러의 원격 제어 장치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313201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감시시스템
KR101943334B1 (ko)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1720748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스마트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364813B1 (ko) 스마트형 소방 방재시스템
KR101399475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KR102496343B1 (ko) 건축물 소방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JP5266080B2 (ja) 家庭用消火装置
KR200417542Y1 (ko) 미세물분무 소화설비용 화재감지 경보장치
CN110237470A (zh) 智能灭火方法、装置及系统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20130087221A (ko) 단독 경보형 감지기를 이용한 자동 소화 시스템
KR101514897B1 (ko) 전력선 통신 및 보조 통신수단을 수반한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395973B1 (ko) 로봇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20100123351A (ko) 실시간 화재감지용 수신기,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감지방법
JP4522610B2 (ja) 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