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095B1 - Wiring clip for vehicle - Google Patents

Wiring clip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095B1
KR102496095B1 KR1020210097335A KR20210097335A KR102496095B1 KR 102496095 B1 KR102496095 B1 KR 102496095B1 KR 1020210097335 A KR1020210097335 A KR 1020210097335A KR 20210097335 A KR20210097335 A KR 20210097335A KR 102496095 B1 KR102496095 B1 KR 102496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ire harness
connector housing
base pa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15771A (en
Inventor
홍진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09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095B1/en
Publication of KR20230015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7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은: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고정하는 정렬부, 및 고정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전기 접속용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of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disclosed fixing clip of a vehicle wire harness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a vehicle body, an align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to align and fix the wire harness, and a fix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art to detachably bind a connector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inding portion to.

Description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WIRING CLIP FOR VEHICLE}Fixing clip of wire harness for vehicle {WIRING CLI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클립의 일측에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하고, 동일한 고정클립의 타측에 커넥터 하우징을 조립하여 고정함에 따라, 하나의 고정클립에 다기능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배선 작업에 따른 비용과 공수를 줄이고자 하는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arranging a wire harness on one side of the fixing clip and assembling and fixing a connector housing on the other side of the same fixing clip, so that one fixing clip plays a multifunctional role. By giving, it relates to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to reduce the cost and man-hours of wiring work.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많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또는 와이어용 고정클립을 사용하여 와이어를 고정하게 된다.In general, there are many electrical components including various sensors in an engine room of a vehicle. Most of the sensors in the engine room are attached to the engine or transmission, so the wires are fixed using various band cables or wire fixing clips until the wires reach their respective positions.

와이어용 고정클립은, 걸림후크의 상측에서 좌우 양측으로 벌려지는 지지판에 와이어를 대고서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지지판에 고정한 후, 걸림후크를 차체패널의 고정홀에 삽입하여 와이어가 고정된 고정클립을 차체패널에 고정하게 된다.The fixing clip for the wire is to apply the wire to the support plate that is widen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at the top of the hook, fix the wire to the support plate using adhesive tape, and then insert the hook into the fixing hole of the body panel to fix the wire. The clip is fixed to the body panel.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886호(등록일:2006년10월09일)에는 "와이어용 고정클립구조"가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for the present invention,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8886 (registration date: October 9, 2006) discloses a "fixing clip structure for a wire".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art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고정클립은, 와이어 하네스에 조인트 커넥터 적용시, 커넥터를 차체에 고정하거나 와이어링 주분기에 묶어서 고정하는 바, 차체에 고정할 경우 커넥터 고정용 클립이 추가됨에 따라 배선 작업에 따른 비용 및 공수가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a joint connector is applied to a wire harness, the fixing clip for a wire harn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xes the connector to the vehicle body or binds and fixes it to the wiring main unit.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st and man-hours are added.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클립의 일측에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하고, 동일한 고정클립의 타측에 커넥터 하우징을 조립하여 고정함에 따라, 하나의 고정클립에 다기능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배선 작업에 따른 비용과 공수를 줄이고자 하는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by arranging a wire harness on one side of a fixing clip and assembling and fixing a connector housing on the other side of the same fixing clip, giving a multifunctional role to one fixing clip. By doing so,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ixing clip for a vehicle wire harness to reduce the cost and man-hours of wiring work.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은: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고정하는 정렬부; 및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전기 접속용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한다.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a vehicle body; an align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ing unit to align and fix the wire harness; and a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and detachably coupling the connector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ion.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체에 면접되고, 고정홀을 통공한 베이스패드;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베이스패드의 상부로 연장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와 상기 고정홀을 통해 상기 차체와 상기 베이스패드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The fixing part may include a base pad interviewed on the vehicle body and through a fixing hole; a sleev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extending along an edge of the fixing hole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ad; and a coupling member coupling the vehicle body and the base pad through the sleeve and the fixing hole.

상기 결속부는, 상기 베이스패드의 타측에 구비되는 서포트패드; 상기 서포트패드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리브;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리브를 감싸거나 또는 지지된 채 슬라이드 안내되는 슬라이드리브;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가이드리브를 따라 이동 후 위치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한다.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support pad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ad; guide ribs provided on both edges of the support pa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bent outwardly; a slide rib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slide-guided while surrounding or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guide rib; and a positioning unit for guiding the connector housing to be fixed in position after moving along the guide rib.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드리브를 접하여 지지함으로써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한 쌍의 상기 가이드리브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포트패드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블록; 및 상기 슬라이드리브가 대응되는 상기 스토퍼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블록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슬라이드 조립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연적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The positioning unit may include a stopper provided at one edge of the guide rib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prevent further movement by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corresponding slide rib; a locking block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a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guide ribs; and a locking protrusion which prevents the connector housing from being naturally separ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housing is slid and assembled by being caught by the locking block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rib is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stopp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은 종래 기술과 달리 고정클립의 일측에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하고, 동일한 고정클립의 타측에 커넥터 하우징을 조립하여 고정함에 따라, 하나의 고정클립에 다기능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배선 작업에 따른 비용과 공수를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clip of the vehicle wire har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aligns the wire harness on one side of the fixing clip and assembles and fixes the connector housing on the other side of the same fixing clip, thereby fixing one fixing clip. By giving the clip a multifunctional ro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man-hours of wiring 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에 와이어 하네스와 커넥터 하우징이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에 커넥터 하우징을 조립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에 커넥터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harness and a connector housing are provided in a fixing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of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housing is assembled to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housing is assembled to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에 와이어 하네스와 커넥터 하우징이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harness and a connector housing are provided in a fixing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clip for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clip for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ar surface of a fixing clip for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에 커넥터 하우징을 조립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에 커넥터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housing is assembled to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xing clip for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housing is assembled to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20)의 고정클립(100)은 고정부(110), 정렬부(120) 및 결속부(130)를 포함한다.1 to 8, the fixing clip 100 of the wire harness 2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rt 110, an aligning part 120 and a binding part 130. .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100)은 일측에 와이어 하네스(20)를 정렬하고, 타측에 커넥터 하우징(3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다기능을 갖는다.In particular, the fixing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ulti-function so as to align the wire harness 20 on one side and detachably couple the connector housing 30 on the other side.

고정부(110)는 차체(10)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100)은 차체(10)에 위치 고정된다.The fixing part 110 is provided to be fixable to the vehicle body 10, and the fixing cl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10.

그리고, 정렬부(120)는 고정부(1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와이어 하네스(20)를 정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Also, the alignment unit 1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ing unit 110 and serves to align and fix the wire harness 20 .

아울러, 결속부(130)는 고정부(110)의 타측에 구비되고, 전기 접속용 커넥터 하우징(30)을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binding part 13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art 110 and serves to detachably bind the connector housing 30 for electrical connection.

상세히, 고정부(110)는 베이스패드(112), 슬리브(114) 및 결합부재(116)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fixing part 110 includes a base pad 112, a sleeve 114 and a coupling member 116.

베이스패드(112)는 차체(10)에 면접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고정클립(100)은 차체(10)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된다.As the base pad 112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o face the vehicle body 10, the fixing clip 100 is stably fixed to the vehicle body 10.

그리고, 베이스패드(112)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113)을 양방향으로 개방되게 통공 형성한다. 물론, 베이스패드(11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ase pad 112 has one or more fixing holes 113 open in both directions. Of course, the base pad 112 can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슬리브(114)는 고정홀(113)의 가장자리를 따라 차체(10)와 접하는 하부 방향에 반대되는 베이스패드(112)의 상부로 연장된다. 이때, 슬리브(114)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홀(113)은 슬리브(114)를 통해 상부로 노출된다.The sleeve 114 extends along the edge of the fixing hole 113 to the top of the base pad 112 opposite to the lower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10 . At this time, the sleeve 114 is made of a circular or polygonal column shape, and is formed to be open on both sides. Accordingly, the fixing hole 113 is exposed upward through the sleeve 114 .

결합부재(116)는 슬리브(114)의 내부로 삽입되며 고정홀(113)을 통해 차체(10)와 베이스패드(112)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결합부재(116)는 볼트나 스크류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The coupling member 116 is inserted into the sleeve 114 and serves to couple the vehicle body 10 and the base pad 112 through the fixing hole 113 . At this time, the coupling member 116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s or screws.

한편, 정렬부(120)는 결속블록(122), 탄성밴드(124), 요철부(126) 및 지지돌기(128)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alignment unit 120 includes a binding block 122, an elastic band 124, a concave-convex portion 126 and a support protrusion 128.

결속블록(122)은 베이스패드(112)의 일측 또는 베이스패드(112)의 일측에 해당되는 슬리브(114)의 둘레면에서 연장되고, 슬리브(114)의 중심축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삽입홀(123)을 통공한다.The binding block 122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ase pad 112 o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114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base pad 112, and is inserted through an insertion ho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entral axis of the sleeve 114 ( 123) through.

그리고, 탄성밴드(124)는 베이스패드(112)의 일측 또는 결속블록(122)의 둘레면에서 연장되고,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탄성밴드(124)는 와이어 하네스(20)를 감싸서 정렬한 채 삽입홀(123)에 삽입된다.And, the elastic band 124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ase pad 112 o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block 122, and is formed to have flexibility. Thus, the elastic band 12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3 while wrapping and aligning the wire harness 20 .

아울러, 요철부(126)는 탄성밴드(124)의 일측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요철부(126)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uneven portions 126 are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elastic band 124 . The concave-convex portion 126 can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지지돌기(128)는 삽입홀(123)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결속블록(122)에 돌출된다.The support protrusion 128 protrudes from the binding block 122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3 .

그래서, 탄성밴드(124)가 결속블록(122)의 삽입홀(123)에 삽입시, 요철부(126)는 지지돌기(128)와 접한 채 이동된다. 그리고, 탄성밴드(124)가 삽입홀(12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이 제거시, 지지돌기(128)는 해당 위치의 요철부(126)에 걸리게 된다. Thus, when the elastic band 12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3 of the binding block 122, the concavo-convex part 126 moves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rotrusion 128.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pulling the elastic band 124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hole 123 is inserted is removed, the support protrusion 128 is caught on the concave-convex portion 126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이로써, 탄성밴드(124)는 삽입홀(123)에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Thus, the elastic band 124 is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3 .

한편, 결속부(130)는 서포트패드(131), 가이드리브(132), 슬라이드리브(133) 및 위치설정부(134)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binding unit 130 includes a support pad 131, a guide rib 132, a slide rib 133 and a positioning unit 134.

서포트패드(131)는 베이스패드(112)의 타측에 구비된다. 이때, 서포트패드(131)는 베이스패드(112)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서포트패드(131)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The support pad 131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ad 112 . At this time, the support pad 131 is illustrated as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edge of the base pad 112 . Of course, the support pad 131 can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그리고, 가이드리브(132)는 서포트패드(131)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리브(132)는 서포트패드(131)의 축 방향을 따라 대칭되는 '기역자(ㄱ)'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물론, 가이드리브(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In addition, the guide ribs 132 are provided on both edge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pad 131, and are formed to be bent outward,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guide rib 132 is made of a symmetrical 'giyeokja (a)' shap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pad 131. Of course, the guide rib 132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아울러, 슬라이드리브(133)는 커넥터 하우징(30)의 일측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대응되는 가이드리브(132)를 감싸거나 또는 지지된 채 슬라이드 안내된다. 이때, 슬라이드리브(133)가 대응되는 가이드리브(132)에 지지될 경우, 커넥터 하우징(30)은 서포트 패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해당되는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슬라이드리브(133)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슬리브(114)는 일측 둘레면에 결속블록(122)을 일체로 구비하고, 타측 둘레면에 서포트패드(131)를 일체로 구비한다.In addition, the slide ribs 133 are provided side by side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30 and are slide-guided while wrapping or supporting the corresponding guide ribs 132 . At this time, when the slide rib 133 is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guide rib 132, the connector housing 3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out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e is moved from the support pad. The slide rib 133 can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In particular, the sleeve 114 integrally includes the binding block 122 on on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tegrally includes the support pad 131 on the oth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위치설정부(134)는 커넥터 하우징(30)이 가이드리브(132)를 따라 이동 후 위치 고정되도록 안내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ing unit 134 guides the connector housing 30 to be fixed in position after moving along the guide rib 132 .

실시예로서, 위치설정부(134)는 스토퍼(135), 걸림블록(136) 및 걸림돌기(137)를 포함한다.As an embodiment, the positioning unit 134 includes a stopper 135, a locking block 136 and a locking protrusion 137.

스토퍼(135)는 가이드리브(132)의 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리브(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대응되는 슬라이드리브(133)를 접하여 지지한다. 이로써, 커넥터 하우징(30)은 가이드리브(132)를 따라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stopper 135 is provided on one side edge of at least one of the pair of guide ribs 132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guide rib 132, and contacts and supports the corresponding slide rib 133. Thus, the connector housing 30 is prevented from moving any further along the guide rib 132 .

그리고, 걸림블록(136)은 한 쌍의 가이드리브(13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서포트패드(131)에 돌출 형성된다.Also, the locking block 136 protrudes from the support pad 131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pair of guide ribs 132 .

아울러, 걸림돌기(137)는, 슬라이드리브(133)가 대응되는 스토퍼(135)에 접한 상태에서, 걸림블록(136)을 따라 이동 후 걸림블록(136)의 후측면에 걸림으로써 커넥터 하우징(30)이 슬라이드 조립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연적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protrusion 137 is moved along the locking block 136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rib 133 is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stopper 135, and then caught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136, so that the connector housing 30 ) plays a role in preventing natural separa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e is assembled.

특히, 걸림블록(136)은 양측이 가이드리브(132)에 연결됨으로써, 서포트패드(131)에서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리브(132)의 변형을 방지한다.In particular, both sides of the locking block 136 are connected to the guide rib 132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guide rib 132 that is bent from the support pad 131 and extends outward.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30)은 삽입제한돌기(34)를 구비한다. 슬라이드리브(133)가 대응되는 스토퍼(135)에 접할 경우, 삽입제한돌기(34)가 서포트패드(131)의 대응되는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에 접하게 된다. 이때, 삽입제한돌기(34)는 서포트패드(131)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30)의 조립 방향을 용이하게 설정하는 역할도 한다. 물론, 삽입제한돌기(3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And, the connector housing 30 has an insertion limiting protrusion 34 . When the slide rib 13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stopper 135, the insertion limiting protrusion 3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edge or edge of the support pad 131. At this time, the insertion limiting protrusion 34 also serves to easily set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3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d 131 . Of course, the insertion limiting protrusion 34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이에 따라, 고정클럽은 차체(10)에 고정된 채 일측에 와이어 하네스(20)를 정렬 고정하고, 타측에 커넥터 하우징(30)을 결속한다.Accordingly, the fixing club aligns and fixes the wire harness 20 on one side while being fixed to the vehicle body 10, and binds the connector housing 30 on the other side.

이때, 커넥터 하우징(30)에 접속된 전기접속 케이블(32)은 와이어 하네스(20)에 합해져서 와이어링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32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30 may be combined with the wire harness 20 and wir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20: 와이어 하네스 30: 커넥터 하우징
100: 고정클립 110: 고정부
112: 베이스패드 113: 고정홀
114: 슬리브 116: 결합부재
120: 정렬부 122: 결속블록
124: 탄성밴드 126: 요철부
128: 지지돌기 130: 결속부
131: 서포트패드 132: 가이드리브
133: 슬라이드리브 134: 위치설정부
135: 스토퍼 136: 걸림블록
137: 걸림돌기
20: wire harness 30: connector housing
100: fixing clip 110: fixing part
112: base pad 113: fixing hole
114: sleeve 116: coupling member
120: alignment unit 122: binding block
124: elastic band 126: uneven portion
128: support protrusion 130: binding part
131: support pad 132: guide rib
133: slide rib 134: position setting unit
135: stopper 136: locking block
137: stumbling block

Claims (4)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고정하는 정렬부; 및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전기 접속용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체에 면접되고, 고정홀을 통공한 베이스패드;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베이스패드의 상부로 연장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와 상기 고정홀을 통해 상기 차체와 상기 베이스패드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베이스패드의 타측에 구비되는 서포트패드; 상기 서포트패드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리브;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리브를 감싸거나 또는 지지된 채 슬라이드 안내되는 슬라이드리브;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가이드리브를 따라 이동 후 위치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는, 상기 베이스패드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슬리브의 중심축과 동일 방향으로 삽입홀을 통공한 결속블록; 상기 베이스패드의 일측 또는 상기 결속블록의 둘레면에서 연장되고,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서 정렬한 채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탄성밴드; 상기 탄성밴드의 일측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요철부; 및 상기 삽입홀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상기 결속블록에 돌출되어 상기 요철부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밴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일측 둘레면에 결속블록을 일체로 구비하고, 타측 둘레면에 상기 서포트패드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
A fixing part fixed to the vehicle body; an align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ing unit to align and fix the wire harness; And a bind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art to detachably bind the connector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ion,
The fixing part may include a base pad interviewed on the vehicle body and through a fixing hole; a sleev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extending along an edge of the fixing hole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ad; and a coupling member coupling the vehicle body and the base pad through the sleeve and the fixing hole,
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support pad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ad; guide ribs provided on both edges of the support pa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bent outwardly; a slide rib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slide-guided while surrounding or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guide rib; And a positioning unit for guiding the connector housing to be fixed in position after moving along the guide rib,
The alignment unit may include a binding block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pad and passing through an insertion ho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entral axis of the sleeve; an elastic b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pad or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block, formed to have flexibility,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while wrapping and aligning the wire harness; a plurality of uneven portions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elastic band; And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inding block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to catch the concave-convex portion to prevent the elastic band from escap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sleeve is a fixing clip of a wire harnes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block is integrally provided on on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upport pad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other circumferential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드리브를 접하여 지지함으로써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한 쌍의 상기 가이드리브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포트패드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블록; 및
상기 슬라이드리브가 대응되는 상기 스토퍼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블록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슬라이드 조립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연적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클립.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setting unit,
a stopper provided at one edge of the guide rib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prevent further movement by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corresponding slide rib;
a locking block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a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guide ribs; and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rib is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stopper, it is caught on the stopping block to prevent the connector housing from being naturally disenga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lide-assembled direction. Fixing of the wire harnes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lip.
KR1020210097335A 2021-07-23 2021-07-23 Wiring clip for vehicle KR102496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35A KR102496095B1 (en) 2021-07-23 2021-07-23 Wiring cli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35A KR102496095B1 (en) 2021-07-23 2021-07-23 Wiring clip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771A KR20230015771A (en) 2023-01-31
KR102496095B1 true KR102496095B1 (en) 2023-02-06

Family

ID=8510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335A KR102496095B1 (en) 2021-07-23 2021-07-23 Wiring clip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09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435Y1 (en) * 2000-12-06 2001-07-19 경신공업 주식회사 Band Cable For Fixing The Connector
JP2009290994A (en) * 2008-05-29 2009-12-10 Kanto Auto Works Ltd Clamp for fixing electric wires
JP2011229232A (en) 2010-04-16 2011-11-10 Sumitomo Wiring Syst Ltd Wire harnes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049B1 (en) * 2008-10-23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rotating clamp
KR20120005001U (en)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2 two wiring harness fixing cl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435Y1 (en) * 2000-12-06 2001-07-19 경신공업 주식회사 Band Cable For Fixing The Connector
JP2009290994A (en) * 2008-05-29 2009-12-10 Kanto Auto Works Ltd Clamp for fixing electric wires
JP2011229232A (en) 2010-04-16 2011-11-10 Sumitomo Wiring Syst Ltd Wire har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771A (en)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4930B2 (en) Plug-in connector
WO2012011502A1 (en) Harness protector and wire-harness wiring structure
WO2019171977A1 (en) Connector
KR102496095B1 (en) Wiring clip for vehicle
JP413842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wire harness
JP2010146888A (en) Fixing tool for connector
KR101019609B1 (en) Fixed structure for wire harness joint connector
KR200388148Y1 (en) Wire harness fix clip
KR102192229B1 (en) Wire harness fixing module
KR101840462B1 (en) Stud clip for fixing bus-bar
KR102290434B1 (en) Clip device fixing wire for vehicle
KR200442526Y1 (en) Connector housing
KR100773313B1 (en) Clip of enlargeable diameter
KR102529734B1 (en) Wiring band-cable for vehicle
KR101840458B1 (en) Stud clip for fixing bus-bar
KR200271270Y1 (en) Clip for fixing a wire harness
KR102496094B1 (en) Wiring clip of vehicle
KR200396153Y1 (en) Wire harness fix clip
KR200378967Y1 (en) Wire harness fix clip
KR102620713B1 (en) Joint guide jig for connector
KR102496087B1 (en) Band cable for wire harness alignment
KR200466124Y1 (en) Multipurpose combination type clip
KR101840456B1 (en) Stud clip for fixing bus-bar
KR101840463B1 (en) Stud clip for fixing bus-bar
KR101840461B1 (en) Stud clip for fixing bus-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