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028B1 -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t power plant intake port - Google Patents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t power plant intake 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028B1
KR102496028B1 KR1020220141948A KR20220141948A KR102496028B1 KR 102496028 B1 KR102496028 B1 KR 102496028B1 KR 1020220141948 A KR1020220141948 A KR 1020220141948A KR 20220141948 A KR20220141948 A KR 20220141948A KR 102496028 B1 KR102496028 B1 KR 102496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frame
water intake
frame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금수
김경섭
허철원
조벽래
Original Assignee
한국동서발전(주)
(주)케이텍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동서발전(주), (주)케이텍플러스 filed Critical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to KR102022014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028B1/en
Priority to KR1020230013376A priority patent/KR202400628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0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5/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use of gas or air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intake sediment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sediment accumulated on an underwater floor of a water intake of a power plant. The water intake sediment removing device comprises: an input frame unit; a transfer unit coupled to the input frame unit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frame unit; a pump unit that moves along with movement of the transfer unit while being fixed to the transfer unit and sucks sediment accumulated on an underwater bottom of a water intake to discharge it through a discharge hose that can be connected to one side; and a moving for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external force to the transfer unit so that the transfer unit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scription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t power plant intake port}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t power plant intake port}

본 발명은 발전소 취수구의 수중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제거하는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intake sediment removal device for removing sediment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a water intake of a power plant water intake.

화력발전소나 원자력발전소 등 해수를 냉각수로 활용하는 발전소에는 냉각수를 수원(바닷물)으로부터 취수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취수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취수구에서 사용되는 취수를 위한 펌프, 오물 제거장치 등의 취수설비들의 정비를 위해서는 취수구에서의 해수 유입이 차단되어야 한다.In a power plant using seawater as cooling water, such as a thermal power plant or a nuclear power plant, a water intake is formed as a structure for taking cooling water from a water source (sea water). In order to maintain water intake facilities such as a water intake pump and a waste removal device used in the water intake, the inflow of seawater from the water intake must be blocked.

취수구에서의 해수 유입의 차단을 위해 철구조의 차단벽(Stop Gate)이 설치되며, 차단벽은 취수구 입구를 통해 취수구 양 측벽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내려지면서 취수구를 막아 해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In order to block the inflow of seawater from the water intake, a stop gate of steel structure is installed, and the barrier wall is lowered along the guide rails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water intake through the water intake entrance to block the water intake and block the inflow of seawater.

그러나 취수구의 바닥에는 통상 퇴적물이 쌓여 있어 퇴적물을 제거하지 않고서는 차단벽의 설치가 어렵다. 따라서 차단벽 설치에 앞서 취수구 수중 바닥의 퇴적물을 제거해야 한다.However, since sediment is usually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intake,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barrier wall without removing the sediment. Therefore, prior to the installation of the barrier, the sediment on the submerged bottom of the water intake must be removed.

종래 취수구 퇴적물의 제거 작업은 잠수사가 직접 투입되어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수중 10미터 정도의 깊이에서 잠수사가 직접 작업하는 것으로 매우 위험하고 실제 산업 잠수사들의 인사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안전규정상 잠수사의 '잠수시간'이 정해져 있는데다 잠수사가 사용하는 흡입펌프 등의 제거장비의 성능이 저조한 탓에 취수구 개소당 전체 작업 기간이 2~3일 이상 소요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the removal of the sediment at the water intake is performed by direct input of a diver. This work method is very dangerous as divers work directly at a depth of about 10 meters underwater, and personal accidents of industrial divers frequently occur. In addition, safety regulations stipulate divers' 'diving time', and divers use suction Due to the poor performance of removal equipment such as pumps,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the total work period per intake port taking more than 2 to 3 days.

취수구 퇴적물의 제거작업을 잠수사에 의하지 않고 특별히 제조된 제거장비로써 작업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제거장비는 복잡한 구조이면서 부피가 커 장비의 투입을 위해 취수구 구조물 자체에 불가피하게 구조 변경을 가해야 하는 등 작업 과정이 복잡하고 불편하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또한 제거장비의 성능도 저조하여 퇴적물의 제거효율이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가 있다.Even when the removal of sediment from the intake is carried out with a specially manufactured removal equipment, not by a diver, the conventional removal equipment has a complex structure and is bulky, so it is necessary to inevitably change the structure of the intake structure itself to insert the equipment. The process is complicated, inconvenient, and time-consuming, and the performance of the removal equipment is also poor, so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sediment is not satisfactory.

뿐만 아니라 취수구 주변 시설물에 누전으로 인한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고전압의 전동 장치들이 사용되어서는 안되는데도 기술력의 한계로 인해 전동 장치들이 포함되면서 누전 우려를 감수해야 하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high-voltage transmission devices should not be used so as not to affect the facilities around the water intake due to electric leakage, there is a problem of having to bear the risk of electric leakage due to the inclusion of transmission devices due to limitations in technology.

이러한 종래의 취수구 퇴적물의 제거 방식이나 장비의 문제점으로 인해, 성능, 제조 및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면서도 안전하고 신속하게 퇴적물을 제거할 수 있는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요구되고 있다.Due to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water intake sediment removal method or equipment, the development of a water intake sediment removal device capable of safely and quickly removing sediment while having excellent performance, manufacturing and ease of use is required as an urgent task.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80672호(공개일: 2006.07.1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80672 (published date: 2006.07.1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취수구 퇴적물을 제거할 수 있는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water intake deposit removal device capable of safely,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ing water intake deposi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는, 발전소의 취수구 입구를 통해 수중으로 투입될 수 있는 투입 프레임부, 상기 투입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투입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고정된 채 상기 이송부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며 취수구의 수중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흡입하여 일측에 연결될 수 있는 배출 호스를 통해 배출하는 펌프부 및 상기 이송부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이송부에 외력을 제공하는 이동력 제공부를 포함한다.An intake port sedimen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frame unit that can be put into water through an intake inlet of a power plant, a transfer unit coupled to the input frame unit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frame unit, the A pump unit that is fixed to the transfer unit and moves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unit, sucks in sediment accumulated on the water bottom of the water intake and discharges it through a discharge hose that can be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transfer unit so that the transfer unit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ncludes a moving for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external force to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력 제공부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투입 프레임부(100)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체인, 상기 이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채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체인을 따라 이동되는 메인 스프로킷 휠 및 상기 메인 스프로킷 휠이 회전되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회전력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intake port deposi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force providing unit is connected to the input frame unit 100 at both ends so as to be elastical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dispos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hain; It may include a main sprocket wheel coupled to the chain while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and moved along the chain while being rotated, and a rotational force providing unit providing an external force to rotate the main sprocket whe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 프레임부는, 상부 롤러의 하면이 접촉된 채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면과, 하부 롤러의 상면이 접촉된 채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면이 제공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펌프부가 고정되는 이송 플레이트와, 상기 이송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레일면에 하면이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상부 롤러와, 상기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레일면에 상면이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하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water intake deposi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frame unit includes at least one first rail surface form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oller is in contact with,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oller At least one second rail surface form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in contact therewith is provided, and the transfer part includes a transfer plate to which the pump unit is fixed, at least one support bar formed on the transfer plate, The upper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ar and disposed so that its low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ail surface, and the lower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ar and dispos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rail surface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 프레임부는 상기 투입 프레임부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포스트 프레임과, 상기 포스트 프레임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고정편이 제공되고, 상기 체인은 상기 고정편에 양단부가 고정되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the water intake deposi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frame unit includes a post fram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input frame unit, and a fixing piece coupled to the post frame to be elastical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vided, the chain can be moved elast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oth ends are fixed to the fixing pie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 프레임부의 측부에 고정된 채 상기 투입 프레임부가 취수구 바닥을 향해 하강될 때 취수구 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하강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투입 프레임부의 측부에 고정되면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water intake deposi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frame unit is lowered toward the bottom of the water intake port while being fixed to the side of the water intake frame unit, the guide unit is further guided along the guide rail formed on the water intake wall surface and lowered. Including, but the guide part, a pair of support plat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fixed to the side of the input frame uni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while being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plates, and the guide rai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guide roller that is coupled to and can be moved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guide r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 프레임부의 측부에 고정된 채 인출에 따라 취수구 벽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투입 프레임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투입 프레임부의 측부에 고정된 채 피스톤 로드가 취수구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는 유체압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에 따라 취수구 벽면을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intake port deposi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on fixing uni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frame unit while pressing the wall surface of the intake port according to withdrawal while being fixed to the side of the input frame unit is included, The fixing part includes a fluid pressure cylinder in which the piston rod is draw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water intake wall surface or drawn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being fixed to the side of the input frame unit, an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iston rod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piston rod. A pressure plate for pressing a wall surface of the water intake port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 프레임부의 상측에서 상기 투입 프레임부와 분리 장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배출 프레임부 및 중심에 제공되는 회전축부가 상기 배출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 호스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호스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부는 일측에 상기 배출 호스가 연결될 수 있고, 내부에 상기 배출 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퇴적물이 상기 회전축부의 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water intake deposi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frame portion coupled to the input frame portion to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put frame portion and the rotating shaft provided in the center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frame portion It further includes a hose reel portion formed so that the discharge hose can be wound or unwound according to rotation, the discharge hose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portion, and the sedimen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se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charge path through which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는 투입 프레임부에 이송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송부에 펌프부가 고정되면서, 투입 프레임부가 취수구 수중의 바닥에 접근한 상태에서 펌프부가 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퇴적물을 흡입 제거한다. 이송부의 이동 제어 및 펌프부의 작동 제어는 수중이 아닌 외부에서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므로 종래 잠수사에 의한 작업 과정에서의 사고 위험이 발생하는 일 없이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퇴적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Intake port sedimen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transfer unit is movably coupled to the input frame unit and the pump unit is fixed to the transfer unit, the pump unit is mov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ile the input frame unit approaches the bottom of the water intake port to suction and remove sediment do. Since the movement control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pump unit are performed by the operator outside of the water, the advantage of safely,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ing sediment without risk of accidents in the work process by conventional divers is provid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는 펌프부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흡입펌프가 적용되면, 퇴적물 배출 압력 조건을 형성하는 구성들이 배출부의 횡단면적 범위 내에서 축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흡입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부피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기존의 취수구의 입구에 대하여 구조적 변경을 가하지 않고도 그 입구를 통해 투입 및 사용이 용이한 제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ction pump develop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applied to the water intake sedimen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forming the sediment discharge pressure conditions ar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axial direction with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ortion The volume is minimized while ensuring suction performa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moval device that is easy to put in and use through the inlet of the existing water intake port without applying structural changes to the inl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는 가이드부가 포함됨으로써 기존 취수구 구조물의 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투입 프레임부 및 배출 프레임부가 가이드되면서 하강할 수 있어, 제거장치의 투입 과정이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sedimen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part so that the input frame part and the discharge frame part can descend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guide rail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existing water intake structure, so that the input process of the removal device is stable and fast. can proce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는 위치 고정부가 포함됨으로써 투입 프레임부가 수중 의도하는 위치에 접근했을 때 취수구 벽면을 이용하여 제 위치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그로 인해 펌프부에 의한 퇴적물의 제거 작업이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ake port deposi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fixing unit, so that when the input frame unit approaches the intended position in the water, the position can be quickly and stably fixed using the intake wall surface. The removal of sediment can be carried out stably and quick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는 투입 프레임부에 분리 장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배출 프레임부 및 여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호스릴부가 더 포함됨으로써, 배출 호스의 권취 및 관리가 용이하고, 배출 프레임부 및 투입 프레임부가 크레인에 의해 일체로 운반 및 투입이 가능하여 제거장치의 운용 편의성이 제고된다.In addition, the water intake sedimen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frame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input frame unit and a hose reel unit rotatably coupled thereto, so that winding and management of the discharge hose are easy, and discharge Since the frame part and the input frame part can be transported and put together by a crane, the operation convenience of the removal device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거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투입 프레임부의 측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부를 투입 프레임부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펌프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흡입펌프의 부분 절개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펌프부에 포함되는 브러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포스트 프레임 및 고정편을 나타내는 요부 도면,
도 9는 이동력 제공부를 나타내는 요부 도면,
도 10은 가이드부 및 위치 고정부를 나타내는 요부 도면,
도 11은 배출 프레임부 및 호스릴부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12는 호스릴부를 나타내는 요부 도면,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거장치가 크레인이 현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ater intake port deposi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removal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view from the inside of the side of the input frame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view of the transfer unit shown in Figure 1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input frame unit;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pump shown in Figure 1;
6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the suction pump shown in FIG. 5;
7 is a view showing a brush included in the pump unit shown in FIG. 1;
8 is a main part view showing a post frame and a fixing piece;
9 is a main part diagram showing a moving force providing unit;
10 is a main part view showing a guide part and a position fixing part;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frame unit and a hose reel unit;
12 is a main part view showing a hose reel;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ane is suspended in th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퇴적물 흡입펌프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n underwater sediment suctio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거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투입 프레임부의 측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부를 투입 프레임부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펌프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흡입펌프의 부분 절개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펌프부에 포함되는 브러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포스트 프레임 및 고정편을 나타내는 요부 도면, 도 9는 이동력 제공부를 나타내는 요부 도면, 도 10은 가이드부 및 위치 고정부를 나타내는 요부 도면, 도 11은 배출 프레임부 및 호스릴부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12는 호스릴부를 나타내는 요부 도면,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거장치가 크레인이 현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intake port sedimen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removal device shown in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the input frame shown in FIG. 1 viewed from the inside, Figure 4 is a view of the transfer unit shown in Figure 1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input frame unit,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pump unit shown in Figure 1, Figure 6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the suction pump shown in Figure 5, Figure 7 is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brush included in the pump unit shown in Figure 1,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main part showing a post frame and a fixing piece, Figure 9 is a drawing showing a main part showing a moving force providing unit, Figure 10 is showing a guide unit and a position fixing unit Figure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e frame portion and the hose reel portion, Figure 12 is a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hose reel portion, Figure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suspended cran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는 투입 프레임부(100), 이송부(200), 펌프부(300) 및 이동력 제공부를 포함한다.As shown, the intake port deposi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frame unit 100, a transfer unit 200, a pump unit 300, and a moving force providing unit.

투입 프레임부(100)는 발전소의 취수구 입구를 통해 수중으로 투입될 수 있고, 투입 후 하강하면서 취수구의 수중 바닥으로 접근한다. 투입 프레임부(100)는 취수구 입구의 형태와 그리고 취수구 바닥에서 퇴적물이 제거되어야 하는 영역이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에 상응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이 횡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put frame unit 100 can be put into the water through the water intake inlet of the power plant, and approaches the water bottom of the water intake while descending after being put in. The input frame unit 10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water intake inlet and the area in which sediment is to be removed from the water intake bottom is formed lo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rec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an be formed to

투입 프레임부(100)의 구조와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평판 형태의 다수의 프레임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시된 예와 같이 바 형태의 다수의 프레임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인 형태에 있어서도 도시된 일례와 같이 대체로 직육면체의 윤곽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그 외 다양한 다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input frame unit 10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 plurality of frame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or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plurality of frames in the form of a bar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s for the overall shape,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it may have a shape generally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utline, or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other shapes.

일례의 투입 프레임부(100)는 전방 프레임부(110), 후방 프레임부(120) 및 측방 프레임부(130)를 포함한다. 전방 프레임부(110)과 후방 프레임부(120)는 각각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의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마주보면서 평행하게 배치된다.An example input frame unit 100 includes a front frame unit 110, a rear frame unit 120 and a side frame unit 130. The front frame part 110 and the rear frame part 120 are each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hile facing each other while having the same size.

전방 프레임부(110) 및 후방 프레임부(120)는 각각, 상측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제1 프레임(111,121)과 그 하측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프레임(112,122),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면서 상단부가 제1 프레임(111,121)의 측면에, 하단부가 제2 프레임(112,122)의 측면에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제3 프레임(113,123)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11,121)과 제2 프레임(112,122) 사이는 브라켓이 연결됨으로써 상하방향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The front frame part 110 and the rear frame part 120 are each of the first frames 111 and 121 disposed to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frames 112 and 122 disposed in parallel from the lower side, and vertically It includes third frames 113 and 123 having upper ends fix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frames 111 and 121 and lower ends fix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frames 112 and 122 by brackets while being arranged to extend. A vertical distance may be maintained between the first frames 111 and 121 and the second frames 112 and 122 by connecting brackets.

전방 프레임부(110)와 후방 프레임부(120)는 이들 사이에 고정되는 부재에 의해 전후 방향 간격이 유지되면서 그 사이에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전방 프레임부(110)와 후방 프레임부(120)의 전후 방향 간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프레임부(130)에 의해 유지된다. 측방 프레임부(130)는 투입 프레임부(100) 측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 프레임(134)과 제5 프레임(135)을 포함할 수 있고, 제4 프레임(134)은 양단부가 제3 프레임(113,123)의 상단부에, 제5 프레임(135)은 양단부가 제3 프레임(113,123)의 하단부에 고정된다.The front frame part 110 and the rear frame part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a member fixed therebetween, and a space in which parts can be disposed is provided therebetween.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frame part 110 and the rear frame part 120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maintained by the side frame part 130 as shown in FIG. 3 . The side frame unit 130 may include a fourth frame 134 and a fifth frame 135 disposed in parallel while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ide of the input frame unit 100, and the fourth frame 134 has both ends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third frames 113 and 123, and the fifth frame 135 has both ends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third frames 113 and 123.

이송부(200)는 횡방향으로 향하는 투입 프레임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투입 프레임부(100)에 결합된다.The transfer unit 200 is coupled to the input frame unit 100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frame unit 100 that is direc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이송부(200)는 레일-롤러 결합, 체인-스프로킷 휠 결합, 랙 앤 피니언 결합 등 다양한 방식 내지 구조로써 투입 프레임부(10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롤러 결합 방식으로 이송부(200)가 투입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예를 제시한다.The transfer unit 20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input frame unit 100 in various ways or structures such as rail-roller coupling, chain-sprocket wheel coupling, rack and pinion coupling, and the like shown in FIG. 4 in this embodiment. As shown, an example in which the transfer unit 200 is coupled to the input frame unit 100 in a rail-roller coupling method is presented.

구체적으로, 우선 투입 프레임부(100)는 이송부(200)가 결합된 채 이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면(111a,121a)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면(111b,121b)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프레임(111,121)의 상면이 제1 레일면으로 기능하면서 2개의 제1 레일면(111a,121a)이 제공되고, 제1 프레임(111,121)의 하면이 제2 레일면으로 기능하면서 2개의 제2 레일면(111b,121b)이 제공된다. 제1 레일면(111a,121a) 및 제2 레일면(111b,121b)은 모두 길이방향이 투입 프레임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횡방향으로 이어진다.Specifically, first, the input frame unit 10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rail surface 111a and 121a and at least one second rail surface 111b and 121b so that the transfer unit 200 can be moved while being coupled thereto. do. In this embodiment, while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frames 111 and 121 function as the first rail surface, two first rail surfaces 111a and 121a are provided, and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frames 111 and 121 function as the second rail surface. Two second rail surfaces 111b and 121b are provided while doing so. Both the first rail surfaces 111a and 121a and the second rail surfaces 111b and 121b extend in a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frame unit 100 .

이송부(200)는, 이송 플레이트(210)와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221)와, 그리고 상부 롤러(231) 및 하부 롤러(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200 may include a transfer plate 210 , at least one support bar 221 , an upper roller 231 and a lower roller 232 .

이송 플레이트(210)는 예컨대 평판 형상일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210)에는 후술할 펌프부(300)가 고정되는데, 펌프부(300)는 이송 플레이트(210)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부품이 개재되어 간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다수의 고정봉(211) 및 현수 플레이트(212)에 의해 펌프부(300)가 이송 플레이트(210)에 간접으로 고정되는 예를 제시한다. 고정봉(211)은 상단부가 이송 플레이트(210)에 고정되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고정봉(211)의 하단부에는 현수 플레이트(212)가 고정되고 이 현수 플레이트(212)에 펌프부(300)가 고정된다.The transfer plate 210 may have, for example, a flat plate shape. A pump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transfer plate 210, and the pump unit 300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transfer plate 210 or may be indirectly fixed by interposing other components. In the illustrated example, an example in which the pump unit 300 is indirectly fixed to the transfer plate 210 by the plurality of fixing rods 211 and the suspension plate 212 is presented. The fixing rod 211 is arranged so that its upper end is fixed to the transfer plate 210 and extends downward, and a suspension plate 212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rod 211, and the pump unit 300 is attached to the suspension plate 212. ) is fixed.

지지바(221)는 이송 플레이트(210)의 하면에서 용접 등의 다양한 고정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지지바(221)가 형성되는데, 이 중 2개는 전방 제1 프레임(111)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면서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나머지 2개는 후방 제1 프레임(121)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면서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The support bar 221 may be formed to be disposed in a form extending downward by various fixing methods such as weld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plate 210, and may be formed as one or multip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four support bars 221 are formed, two of which are spaced a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ile being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front frame 111, and the other two are on the first rear frame 121 As they are formed to be adjacent, they are spaced a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부 롤러(231) 및 하부 롤러(232)는 지지바(2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지지바(221)에 관통 결합되면서 고정되는 롤러축에 상부 롤러(231) 및 하부 롤러(23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부 롤러(231) 및 하부 롤러(232)는 도시된 예와 같이 하나의 지지바(221)의 상측과 하측에 모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부 롤러(231)는 어느 하나의 지지바에 그리고 하부 롤러(232)는 다른 하나의 지지바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upper roller 231 and the lower roller 232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ar 221. Specifically, the upper roller 231 and the lower roller 232 are coupled to the roller shaft fixed while penetrating the support bar 221. ) is rotatably coupled. The upper roller 231 and the lower roller 232 may be coupled to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one support bar 221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Alternatively, the upper roller 231 may be coupled to one support bar and the lower roller 232 to the other support bar.

상부 롤러(231)는 지지바(221)에 결합된 채 상부 롤러(231)의 하면이 제1 레일면(111a,121a)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하방으로 지지되고, 하부 롤러(232)는 지지바(221)에 결합된 채 하부 롤러(232)의 상면이 제2 레일면(111b,121b)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방으로 지지된다. 이송 플레이트(210)가 후술할 이동력 제공부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력을 제공받으면 상부 롤러(231) 및 하부 롤러(232)는 제1 레일면(111a,121a) 및 제2 레일면(111b,121b)에 지지된 채 제1 레일면(111a,121a) 및 제2 레일면(111b,121b)을 따라 이동되고, 이로써 이송 플레이트(210) 및 이송 플레이트(210)에 고정된 펌프부(300)가 일체로 안정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upper roller 231 is supported downward by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bar 221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oller 23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ail surfaces 111a and 121a, and the lower roller 232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ar. While being coupled to 221,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oller 232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rail surfaces 111b and 121b and supported upward. When the conveying plate 210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force to b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a moving force provid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roller 231 and the lower roller 232 are formed on the first rail surfaces 111a and 121a and the second rail surface ( 111b and 121b) while being moved along the first rail surfaces 111a and 121a and the second rail surfaces 111b and 121b, thereby transferring the transfer plate 210 and the pump unit fixed to the transfer plate 210 ( 300)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integrally and stably.

이송 플레이트(210)는 하면에 상부 롤러(2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보조바(2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바(222)는 이송 플레이트(21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지지바(221)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부 롤러(231)는 롤러축의 양단부가 지지바(221) 및 보조바(222)에 고정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된다.An auxiliary bar 222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plate 210 to stably support the upper roller 231 . The auxiliary bar 222 is disposed in a form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plate 210 and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upport bar 221 . The upper roller 231 is stably supported by fixing both ends of the roller shaft to the support bar 221 and the auxiliary bar 222.

이송부(200)의 이동에 따라 펌프부(300)도 일체로 함께 이동되는데, 이동될 때 펌프부(300)가 투입 프레임부(100)의 측부 내측에 충격하지 않도록 이송부(200)의 횡방향 이동 거리는 제한되고 또한 감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일면(111a,121a) 상에서 상부 롤러(231)의 이동이 멈추어야 하는 위치에 상부 롤러(231)의 이동을 멈추는 스토퍼 플레이트(24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 플레이트(241)에 상부 롤러(231)가 접촉된 것을 감지하는 센서(242)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242)에 의해 상부 롤러(231)의 접촉이 감지되면 후술할 회전력 제공부에 포함되는 모터(443)의 구동을 제어하여 이송부(200)의 이동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As the transfer unit 200 moves, the pump unit 300 is also moved integrally, so that the pump unit 300 does not impact the inside of the side of the input frame unit 100 when moving, so that the transfer unit 200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distance is limited and can also be sensed.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2 and 3, a stopper plate 241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roller 231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upper roller 231 should stop on the first rail surfaces 111a and 121a. It can be. In addition, a sensor 242 for detecting contact of the upper roller 231 with the stopper plate 241 may be provided. When the contact of the upper roller 231 is detected by the sensor 242,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unit 200 may be stopp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443 included in the rotational force providing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펌프부(300)는 이송부(200)에 고정된 채 이송부(200)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취수구의 수중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흡입한다. 흡입되는 퇴적물은 펌프부(30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는 배출 호스를 통해 배출되며, 배출 호스는 의도하는 퇴적물 배출 위치로서 수중 또는 수면 밖의 외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pump unit 300 is fixed to the transfer unit 200 and moves along with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transfer unit 200 to suck in sediments accumulated on the water bottom of the intake port. Sediment that is sucked in is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hose that can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ump unit 300, and the discharge hose can be extended to an external location underwater or outside the water as an intended sediment discharge location.

펌프부(300)는 수중 바닥의 퇴적물을 흡입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공지된 다양한 펌프가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출원일 현재 미공개인 발명으로서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흡입펌프(이하, '흡입펌프'라 한다)가 적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는 펌프부(300)로서 이 흡입펌프가 적용된 예를 제시한다.The pump unit 300 may be applied with various well-known pumps capable of sucking sediments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Alternatively, a suction pump developed by the applicant as an undisclosed invention as of the filing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ction pump') may be applied, and the illustrated example suggests an example in which the suction pump is applied as the pump unit 300 .

흡입펌프(3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310), 회전축(320), 구동부(330), 임펠러(340), 흡입관(350) 및 가이더(guider; 3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uction pump 300 includes a discharge unit 310, a rotating shaft 320, a driving unit 330, an impeller 340, a suction pipe 350 and a guider 360. includes

배출부(310)는 내부에 유입실(315)을 가지며, 유입실(315)로 유입된 퇴적물이 흡입펌프(300)의 일단부(도면을 기준으로 상단부)인 배출구(3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 경로를 제공한다. 배출구(311)에는 수중 또는 수면 밖으로 이어지는 배출 호스(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310 has an inlet chamber 315 therein, and the sediment introduced into the inlet chamber 31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311, which is one end (upper part based on the drawing) of the suction pump 300. It provides a discharge path to be discharged. A discharge hose (not shown) leading underwater or out of the water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311 .

배출부(310)는 배출관(312)과 유입관(31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312)과 유입관(313)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품으로 제작되어 서로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배출관(312)과 유입관(313)의 상호 결합 부분인 플랜지부(314)는 전술한 현수 플레이트(212)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이와 같이 고정됨으로써 흡입펌프(300)가 이송 플레이트(2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310 may include a discharge pipe 312 and an inlet pipe 313 . The discharge pipe 312 and the inlet pipe 313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or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s shown and coupled to be fixed to each other. The flange portion 314, which is a mutually coupled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312 and the inlet pipe 313, is fixed to the above-described suspension plate 212 using a fixing member, and by being fixed in this way, the suction pump 300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late ( 210) can be fixed.

한편, 도 4에서는 흡입펌프(300)에서 배출관(312)이 배치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배출관(312)이 후술할 가이더(360)를 덮으면서 유입관(313)의 상부에 고정되면 배출관(312)의 상단부인 배출구(311)는 이송 플레이트(210)에 형성되는 관통공(213; 도 2 참조)을 통해 이송 플레이트(210)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다소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이 배출구(311)에 배출 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FIG. 4 shows a state before the discharge pipe 312 is disposed in the suction pump 300. When the discharge pipe 312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pipe 313 while covering the guider 360 to be described later, the discharge port 311, which is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12, is formed through a through hole 213 formed in the transfer plate 210; 2), it is arranged to slightl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plate 210, and a discharge hose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311.

유입관(313)은 내부에 유입실(315)을 가지며, 유입관(313)의 측면에는 후술할 흡입관(350)이 연결되어 흡입관(350)을 통해 흡입되는 퇴적물이 유입실(315)로 유입된다. 유입관(313)의 일단부는 배출관(312)의 타단부(도시된 기준에서 하단부)와 연결되어 배출관(312)의 내부 공간이 유입실(315)과 연통하며, 유입관(313)의 타단부는 밀폐되면서, 유입관(313)의 유입실(315)과 배출관(312)의 내부 공간은 전체적으로 배출구(311)를 향하는 배출 경로를 형성한다. 유입실(315)로 유입된 퇴적물은 배출 경로를 따라 압송되면서 배출구(311)를 통해 배출된다.The inlet pipe 313 has an inlet chamber 315 inside, and a suction pipe 35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inlet pipe 313 so that the sedimen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350 flows into the inlet chamber 315. do. One end of the inlet pipe 313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lower end in the illustrated standard) of the discharge pipe 312 so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discharge pipe 312 communicates with the inlet chamber 315 and the other end of the inlet pipe 313 While being sealed, the inlet chamber 315 of the inlet pipe 313 and the inner space of the discharge pipe 312 form a discharge path toward the outlet 311 as a whole. Sediments introduced into the inlet chamber 315 ar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11 while being pressured along the discharge path.

흡입펌프(300)는 퇴적물이 배출 경로를 따라 압송되도록 압력 조건을 형성하는 수단이 포함되며, 이러한 수단의 일례로 회전축(320), 임펠러(340) 및 구동부(330)를 포함하는 예가 제시된다.The suction pump 300 includes a means for forming a pressure condition so that the sediment is pumped along the discharge path, and an example including a rotating shaft 320, an impeller 340, and a driving unit 330 as an example of such a means is presented.

회전축(320)은 배출부(310) 내부의 중심에서 배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으로 축 방향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회전축(320)은 구동부(330)에 연결되어 구동부(330)의 작동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구동부(330)는 유입관(313)의 하단부에 배치되면서 회전축(320)의 축방향 선상에 배치된다. 구동부(330)는 에어모터일 수 있다. 임펠러(340)는 유입실(315) 상측 위치의 회전축(320) 상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340)는 회전축(320)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면서 유입실(315)로 유입된 퇴적물이 배출 경로를 따라 배출되도록 배출부(310)의 내부 공간에서 압력 조건을 형성한다.The rotating shaft 320 is disposed to have an axial direction in a direction along the discharge path from the center of the discharge unit 310 . The rotating shaft 3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30 and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30 . The drive unit 330 is disposed on the axial line of the rotation shaft 320 while being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inlet pipe 313 . The driving unit 330 may be an air motor. The impeller 340 may be fixedly disposed on the rotational shaft 320 at an upper position of the inlet chamber 315 . The impeller 340 is integrally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320 to form a pressure condition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discharge unit 310 so that the sediment introduced into the inlet chamber 315 is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ath.

흡입관(350)은 일단부가 유입관(313)의 측면에 연결되며 흡입관(350)의 내부 공간은 유입실(315)과 연통한다. 퇴적물은 흡입관(350)의 타단부를 통해 흡입관(350) 내부로 흡입되어 흡입관(350)을 통해 유입실(315)로 유입된다. 도시된 일례에서는 2개의 흡입관(350)이 유입관(313)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연결되면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예를 제시한다.One end of the suction pipe 35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inlet pipe 313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suction pipe 350 communicates with the inlet chamber 315 . Sediments are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350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pipe 350 and introduced into the inflow chamber 315 through the suction pipe 350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wo suction pipes 350 are connected to opposite sides of the inlet pipe 313 and are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가이더(360)는 퇴적물의 배출시 직진성이 향상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배출부(310) 내부이면서 임펠러(340)의 상측에 배치된다. 가이더(360)는 원통형인 가이드몸체(361)와 가이드몸체(361)의 내측면에서 연장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다수의 베인(362)을 포함한다.The guider 360 functions to improve the straightness when the sediment is discharged, and is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unit 310 and above the impeller 340 . The guider 360 includes a cylindrical guide body 361 and a plurality of vanes 362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body 361 and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흡입펌프(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부(310)의 횡단면적 범위 내에서 임펠러(340), 회전축(320) 및 구동부(330)가 축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때문에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부재인 배출부(310)에 있어서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차지하는 부피가 크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흡입관(350)을 가지면서도 이들이 유입관(313)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제거장치는 흡입펌프(300)의 흡입성능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취수구 입구의 짧은 변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의 폭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취수구 구조물 자체에 변경을 가하지 않더라도 기존의 취수구 입구를 통해 투입 및 사용이 용이한 제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pump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mpeller 340, the rotating shaft 320, and the driving unit 330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axial direction within the rang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unit 310. Therefore, in the discharge part 310, which is a member forming the discharge path, it can be designed so that the volume occupied in the front-back and left-right directions is not large. In addition, while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pipes 350, they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inlet pipe 313 and are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Due to this structural feature, the removal device can be designed to minimize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ch is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water intake inlet, while sufficiently securing the suction performance of the suction pump 300. Therefore, even if the water intake structure itself is not changed, a removal device that is easy to put in and use through the existing water intake entrance may be provided.

흡입관(350)의 단부에는 수중 바닥의 굳거나 뭉친 퇴적물을 흡입이 용이하도록 긁어 흩트리는 갈퀴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갈퀴부는 흡입관(35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몸체(351)와 이 회전몸체(351)에서 퇴적물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갈퀴날(35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몸체(351)는 기어(351a,353a)간 체인(미도시) 결합되어 외력을 전달하는 모터부(353)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At the end of the suction pipe 350, a rake portion may be formed to scrape and scatter hardened or aggregated sediments on the bottom of the water to facilitate suction. The rake part may include a rotating body 351 rotatably disposed at the end of the suction pipe 350 and a plurality of rake blades 352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diment from the rotating body 351 an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fixed. there is. Rotating body 351 may be provided with rotational force by a motor unit 353 that transmits an external force by coupling a chain (not shown) between gears 351a and 353a.

흡입관(350)의 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적물을 흩트리는 브러시(354)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354)는 회전몸체(351)의 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355)에서 퇴적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브러시(354)는 회전몸체(351)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몸체(351)의 회전에 따라 갈퀴날(352)과 브러시(354)가 일체로 함께 회전되며 회전되는 과정에서 퇴적물을 긁어 흩트린다.As shown in FIG. 7 , a brush 354 for scattering deposits may be additionally formed at an end of the suction pipe 350 . The brush 354 is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sediment from the bracket 355 fixed to the side of the rotating body 351, and a plurality of brushes 354 ar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body 35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 is. As the rotating body 351 rotates, the rake blade 352 and the brush 354 are integrally rotated together, and the sediment is scraped and scattered in the process of rota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제거장치는 굳거나 뭉친 퇴적물을 흩트리는 수단으로서 전술한 갈퀴부 및 브러시(354) 이외에 또는 이들과 함께, 회전되는 스크류를 이용하는 수단,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는 수단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Th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various means such as a means using a rotating screw, a means for spraying a high-pressure fluid, in addition to or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rakes and brushes 354 as a means for scattering hardened or clumped deposits. can be used

한편, 투입 프레임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레그부(103)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펌프부(300)는 이송부(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방향 폭이 제2 프레임(112,122)보다 하방으로 더 낮은 위치까지 차지할 수 있다. 투입 프레임부(100)가 수중 바닥에 지나치게 접근하면 펌프부(300)의 하단부가 수중 바닥에 부딪히면서 손상되거나 바닥 깊숙이 파묻히면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레그부(103)는 이를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레그부(103)의 하측 끝단의 위치는 펌프부(300)의 최하측 위치보다 더 낮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그부(103)에 의해, 투입 프레임부(100)가 수중 바닥에 접근할 때 레그부(103)의 하단부가 먼저 수중 바닥에 닿아 지지되면서 멈추게 되므로, 펌프부(300)의 하단부가 수중 바닥에 지나치게 접근하면서 부딪히거나 깊숙이 파묻히는 것이 방지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input frame unit 100 may additionally have a leg unit 103 extending downward. The above-described pump unit 300 may occupy a position lower in a vertical direction than the second frames 112 and 122 in a state in which it is fixed to the transfer unit 200 . If the input frame unit 100 approaches the bottom of the water excessively, the lower end of the pump unit 300 may be damaged while colliding with the bottom of the water, or it may not perform its function smoothly while being buried deep in the bottom. The leg part 103 is provided to prevent this,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leg part 103 may extend to be lower than the lowermost position of the pump part 300 . Due to the leg part 103, when the input frame part 100 approaches the bottom of the water, the lower part of the leg part 103 first touches the bottom of the water and stops while being supported, so the lower part of the pump part 300 stops at the bottom of the water It is prevented from being bumped into or deeply buried while approaching too much.

이동력 제공부는 투입 프레임부(100)에 결합된 이송부(200)가 투입 프레임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이송부(200)에 외력을 제공한다. 이동력 제공부는 투입 프레임부(100)와 이송부(200)의 결합 구조에 따라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랙 앤 피니언 결합 구조이거나 체인-스프로킷 휠 결합 구조인 경우 랙 기어나 스프로킷 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원을 포함하는 수단일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와 같이 레일-롤러 결합 구조인 경우는 롤러가 회전 이동되도록 롤러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외력을 제공하는 수단일 수 있다.The moving force providing unit provides an external force to the transfer unit 200 so that the transfer unit 200 coupled to the input frame unit 100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frame unit 100 . Various means may be used for the moving force providing unit depending o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nput frame unit 100 and the transfer unit 200 . In the case of a rack and pinion coupling structure or a chain-sprocket wheel coupling structure, it may be means including a driving source such as a rack gear or a drive motor for rotating a sprocket wheel.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 rail-roller coupling structur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a means for directly or indirectly providing an external force to the roller so that the roller rotates.

이동력 제공부의 일례로 도시된 예에서는 이송 플레이트(210)에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력을 제공하며, 체인(420), 메인 스프로킷 휠(431), 그리고 회전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예가 제시된다(도 1 및 2, 도 8 및 도 9 참조).In the example shown as an example of the moving force providing unit, an external force is provided so as to move the transfer plate 2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n example including a chain 420, a main sprocket wheel 431, and a rotational force providing unit is presented (FIG. 1 and 2, see FIGS. 8 and 9).

더욱 구체적으로, 우선 투입 프레임부(100)는 포스트 프레임(105)이 제공되는데, 포스트 프레임(105)은 전방측 좌우 제3 프레임(113) 각각의 측면에서 나란히 배치된 채 고정되면서 투입 프레임부(100)의 좌우 양측에서 상향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포스트 프레임(105) 중 적어도 하나에는 고정편(410)이 결합되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포스트 프레임(105) 각각에 고정편(410)이 결합된 예를 제시한다.More specifically, first, the input frame unit 100 is provided with a post frame 105. The post frame 105 is disposed side by side on the sid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third frames 113 on the front side and fixed while the input frame unit ( 100) are arranged to extend up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are also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addition, fixing pieces 410 ar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ost frames 105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e illustrated example, an example in which the fixing pieces 410 are coupled to each of the post frames 105 is presented.

체인(420)은 포스트 프레임(105)에 결합된 고정편(410)에 양단부가 고정되면서 투입 프레임부(100)의 길이방향인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체인(420)은 포스트 프레임(105)에 양단부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체인(420)은 포스트 프레임(105) 중 어느 하나에만 결합된 고정편(41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포스트 프레임(105)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The chain 420 is arranged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frame unit 100, while both ends are fixed to the fixing piece 410 coupled to the post frame 105. Both ends of the chain 4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ost frame 105 . Alternatively, the chain 420 may have one end fixed to the fixing piece 410 coupled to only one of the post frames 105 and the other end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post frame 105 .

메인 스프로킷 휠(431)은 이송부(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송부(200)는 이송 플레이트(210)의 상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채 고정되는 전방측 고정 플레이트(213) 및 후방측 고정 플레이트(214)가 제공된다. 메인 스프로킷 휠(431)은 고정 플레이트(213,214)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휠축에 고정되면서 이송부(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메인 스프로킷 휠(431)은 체인(420)에 결합되며, 회전하면서 체인(42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되고, 메인 스프로킷 휠(431)의 이동에 따라 이송부(200) 및 여기에 고정된 펌프부(300)가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된다.The main sprocket wheel 4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200 . The transfer unit 200 is provided with a front side fixing plate 213 and a rear side fixing plate 214 which are disposed and fixed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plate 210 . The main sprocket wheel 4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200 while being fixed to a wheel shaft having both end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lates 213 and 214 . The main sprocket wheel 431 is coupled to the chain 420, rotates and moves laterally along the chain 420, and the transfer unit 200 and the pump unit fixed thereto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sprocket wheel 431 300 is moved integral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메인 스프로킷 휠(4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 제공부로서, 도시된 일례에서는 웜 휠(441), 웜축(442) 그리고 모터(443)를 포함하는 예가 제시된다. 웜 휠(441)은 메인 스프로킷 휠(431)의 휠축 상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배치되며, 웜축(442)은 웜 휠(441)의 측방에 배치되어 웜축(442)의 웜(444)이 웜 휠(441)에 기어 결합된다. 모터(443)는 웜축(442)의 단부에 연결되며 모터(443) 및 웜축(442)은 이송 플레이트(210)에 고정되는 안착브라켓(445)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모터(443)의 구동에 따라 웜축(442)이 회전되고 그에 따라 웜 휠(441)이 회전되면서 메인 스프로킷 휠(431)이 회전된다.As a rotational for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main sprocket wheel 431, an example including a worm wheel 441, a worm shaft 442, and a motor 443 is present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worm wheel 441 is arranged to rotate integrally on the wheel axis of the main sprocket wheel 431, and the worm axis 442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worm wheel 441 so that the worm 444 of the worm axis 442 rotates the worm wheel It is gear-coupled to (441). The motor 443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worm shaft 442, and the motor 443 and the worm shaft 442 are supported by being fixed to a mounting bracket 445 fixed to the transfer plate 210. As the motor 443 is driven, the worm shaft 442 is rotated, and the worm wheel 441 is rotated accordingly, and the main sprocket wheel 431 is rotated.

회전력 제공부는 전술한 일례로 한정되지 않는다. 메인 스프로킷 휠(431)을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동원이 적용될 수 있고, 그 구동원은 다양한 구조와 배치 형태로 메인 스프로킷 휠(431)에 연결될 수 있다.The rotational force providing un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Various driving sources capable of rotating the main sprocket wheel 431 may be applied, and the driving sources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sprocket wheel 431 in various structures and arrangements.

이동력 제공부는 메인 스프로킷 휠(431)에 결합된 체인(420) 부분의 굽은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체인(420)이 메인 스프로킷 휠(431)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고 또한 메인 스프로킷 휠(431)의 체인(420)을 따르는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보조 스프로킷 휠(4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스프로킷 휠(432)은 메인 스프로킷 휠(431)의 측방향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방측 고정 플레이트(21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채 체인(420)에 결합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스프로킷 휠(431)은 체인(420)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결합되고, 보조 스프로킷 휠(432)은 체인(42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moving force providing unit maintains the bent shape of the chain 420 coupled to the main sprocket wheel 431 so that the chain 420 is stably coupled to the main sprocket wheel 431 and also the main sprocket wheel 431 An auxiliary sprocket wheel 432 for stably guiding movement along the chain 42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auxiliary sprocket wheel 432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sprocket wheel 431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chain 420 while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fixing plate 213 . In this case, as shown, the main sprocket wheel 431 may be coupled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chain 420, and the auxiliary sprocket wheel 432 may be coupl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hain 420.

한편, 메인 스프로킷 휠(431)의 회전시 메인 스프로킷 휠(431)과 체인(420) 간 결합 상태가 유지됨과 아울러 메인 스프로킷 휠(431)이 체인(42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이동되도록, 체인(420)은 정적으로 배치되기보다 횡방향으로 다소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체인(420)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편(410) 중 적어도 하나는 포스트 프레임(105)으로부터 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chain ( 420) is preferably arranged to be somewhat elastically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rather than being statically arranged. To this end, at least one of the fixing pieces 410 to which both ends of the chain 420 are fixed may be coupled to elastically move away from or approach the post frame 105 in the transverse direction.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프레임(105)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핀(411)이 체인(42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포스트 프레임(105)으로부터 체인(420) 방향으로 돌출된 이동핀(411)의 일단부에는 고정편(410)이 고정된다. 그리고, 포스트 프레임(105)으로부터 그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이동핀(411)의 단부에는 걸림편(412)이 형성되며 걸림편(412)과 포스트 프레임(105) 측면 사이의 이동핀(411)에 스프링(413)이 결합된다. 스프링(413)에 의해 탄력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포스트 프레임(105)에 결합되는 이동핀(411)의 단부에 고정편(410)이 고정됨으로써 고정편(410)은 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고정편(410)에 고정된 체인(420) 또한 탄력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메인 스프로킷 휠(431)은 회전시 체인(42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체인(4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 at least one moving pin 411 may be coupled through the post frame 105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in 420 . A fixing piece 410 is fixed to one end of the moving pin 411 protruding from the post frame 105 toward the chain 420 . In addition, a locking piece 412 is formed at an end of the moving pin 411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post frame 105, and is attached to the moving pin 411 between the locking piece 412 and the side of the post frame 105. Spring 413 is coupled. Since the fixing piece 410 is fixed to the end of the moving pin 411 coupled to the post frame 105 so as to be elastically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spring 413, the fixing piece 410 can be elastically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chain 420 fixed to the fixing piece 410 can also be moved elastical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reby the main sprocket wheel 431 is stably supported by the chain 420 during rotation and the chain 420 can be moved along

고정편(410) 및 체인(420)의 배치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투입 프레임부(100)의 상측이 아닌 하측 또는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한 고정편(410)은 투입 프레임부(100)의 다른 부분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fixing piece 410 and the chain 4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r inside of the input frame unit 100 instead of the upper side, and the fixing piece 410 is placed on the input frame unit 100. ) may be bonded to other parts of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는 투입 프레임부(100)가 취수구 바닥을 향해 하강될 때 취수구 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하강되도록 하는 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ake port deposi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500 that allows the input frame unit 100 to descend while being guided along a guide rail (not shown) formed on a wall surface of the intake port when the input frame unit 100 is lowered toward the bottom of the intake port. can

투입 프레임부(100)는 가이드부(500)와 같은 부품들이 고정될 수 있는 측부를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이 제공된다. 측면 프레임의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제1 지지프레임(151)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151)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ㄷ' 형태를 가지면서 상단부가 제4 프레임(134)에 그리고 하단부가 제5 프레임(135)에 고정되고, 좌우 대칭적인 형태로 배치된다.The input frame part 100 is provided with a side frame forming a side part to which parts such as the guide part 500 can be fixed. As an example of the side frame, an exampl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51 shown in FIG. 3 may be presented. The first support frame 151 is made of a pair, each having a 'c' shape,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fourth frame 134 and the lower end to the fifth frame 135, and is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are placed

가이드부(5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510)와 여기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10)는 평판 형태일 수 있으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510)는 한 쌍의 제1 지지프레임(151)에 각각 고정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롤러(520)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510) 사이에 배치된 채 지지 플레이트(510)에 고정되는 롤러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가이드 롤러(520)는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의 가이드 롤러(520)가 배치된 예를 제시한다. 가이드 롤러(520)가 취수구 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 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투입 프레임부(100)는 하강시 가이드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the guide unit 500 may include a pair of support plates 510 and at least one guide roller 520 coupled thereto. The support plate 510 may b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is made of a pair. The pair of support plates 51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ile being fixed to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s 151, respectively. The guide roller 520 is rotatably coupled by a roller shaft fixed to the support plate 510 while being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plates 510 . At least one guide roller 520 may be disposed, 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wo guide rollers 520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disposed. Since the guide roller 520 moves along the guide rail while being coupled to the guide rail formed on the wall of the water intake port, the input frame unit 100 can move stably while being guided when descending.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는 취수구 벽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투입 프레임부(1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 고정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ake port deposi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fixing unit 600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frame unit 100 while pressing a wall surface of the intake port.

투입 프레임부(100)는 위치 고정부(600)가 고정될 수 있는 측부를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이 제공되며, 일례로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제2 지지프레임(152)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제2 지지프레임(152)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ㄴ'형태를 가지면서 일측부(153)가 직접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510)가 개재된 채 간접으로 제1 지지프레임(15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지지프레임(152)의 일측부(153)에 직각을 이루는 타측부(154)는 투입 프레임부(100)의 측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The input frame unit 100 is provided with a side frame forming a side to which the position fixing unit 600 can be fixed, and examples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2 shown in FIGS. 3 and 10 can be presented as an example. there is. The second support frame 152 is made of a pair, and each has a 'b' shape, and one side portion 153 is directly or indirectly with the support plate 510 interposed as shown in the first support frame. (151) is fixed. In this fixed state, the other side portion 154 forming a right angle to one side portion 153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2 is disposed to face the side of the input frame portion 100.

위치 고정부(6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압 실린더(610)와 가압 플레이트(6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압 실린더(610)는 제2 지지프레임(152)의 타측부(154)에 관통 고정되며,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유체압 실린더(610)의 피스톤 로드(611)는 유체압 실린더(610)의 작동에 따라 취수구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인입된다. 가압 플레이트(620)는 피스톤 로드(611)의 단부에 형성되며 피스톤 로드(611)의 인출에 따라 취수구 벽면을 가압한다. 위치 고정부(600)는 투입 프레임부(100)의 일측부에만 배치되거나 또는 양측부 모두에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투입 프레임부(100)의 측부에서 하나만 배치되거나 또는 도시된 예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체압 실린더(610)의 작동에 따라 피스톤 로드(611)가 인출되면서 가압 플레이트(620)가 취수구 벽면을 가압하면 가압힘에 의해 투입 프레임부(100)가 제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the position fixing unit 600 may include a fluid pressure cylinder 610 and a pressure plate 620 . The fluid pressure cylinder 610 is penetrated and fixed to the other side 154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2, and in this fixed state, the piston rod 611 of the fluid pressure cylinder 610 is the fluid pressure cylinder 610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water intake, it is withdraw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wall surface or draw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pressure plate 620 is formed at an end of the piston rod 611 and presses the water intake port wall as the piston rod 611 is drawn out. The position fixing unit 600 may be disposed on only one side of the input frame unit 100 or on both sides. In addition, only on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input frame unit 100, or a pair disposed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When the pressure plate 620 presses the water intake wall surface while the piston rod 611 is drawn o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luid pressure cylinder 610, the input frame unit 100 can be stably fixed in place by the pressurized force.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릴부(900)와 그리고 호스릴부(9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배출 프레임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intake port deposi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hose reel unit 900 and a discharge frame unit 700 to which the hose reel unit 900 is rotatably coupled. can

배출 프레임부(700)는 일례로, 투입 프레임부(100)와 마찬가지로 전방 프레임부(710), 후방 프레임부(720) 및 측방 프레임부(730)를 포함하면서 취수구 입구를 통해 투입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discharge frame unit 700 includes, for example, a front frame unit 710, a rear frame unit 720, and a side frame unit 730 like the input frame unit 100, and can be introduced through a water intake inlet. made up of

배출 프레임부(700)는 투입 프레임부(100)의 상측에서 투입 프레임부(100)와 분리 장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분리 장착 구조의 일례로 투입 프레임부(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프레임(101)이 제공된다. 제1 결합프레임(101)은 투입 프레임부(100)의 네 귀퉁이로서 제3 프레임(113,123)의 측면에서 나란히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포스트 프레임(105)은 제1 결합프레임(101)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제1 결합프레임(101)의 상단부에는 상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축소되는 결합부(102)가 형성된다.The discharge frame unit 700 is coupled to the input frame unit 100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put frame unit 100 . As an example of the separate mounting structure, the input frame unit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frame 101 as shown in FIG. 1 . The first coupling frame 101 is disposed side by side on the side of the third frames 113 and 123 as four corners of the input frame unit 100, is fixed, and extends upward. The aforementioned post frame 105 may also function as the first combined frame 101 . An upper end of the first coupling frame 101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102 whos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in an upward direction.

배출 프레임부(700)에는 제1 결합프레임(101)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결합프레임(701)이 제공된다. 제2 결합프레임(701)의 하단부 내부는 하방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투입 프레임부(100)가 상향 이동하면서 제1 결합프레임(101)의 결합부(102)가 제2 결합프레임(701) 하단부의 공간부로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프레임(101)과 제2 결합프레임(701)이 서로 결합되면 배출 프레임부(700)는 투입 프레임부(100)의 상측에 배치된 채 투입 프레임부(100)에 의해 하방으로 지지된다.The discharge frame unit 70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frame 701 extending downward from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coupling frame 101 . The in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frame 701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opened downward. Therefore, while the input frame unit 100 moves upward, the coupling unit 102 of the first coupling frame 101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frame 701 and coupled thereto. When the first coupling frame 101 and the second coupling frame 701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discharge frame unit 700 is supported downward by the input frame unit 100 while being disposed above the input frame unit 100. .

호스릴부(900)는 중심에 제공되는 회전축부(910)를 포함하며, 펌프부(300)에 연결되는 배출 호스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호스릴부(900)는 회전축부(910)가 배출 프레임부(7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배출 호스가 감기거나 풀린다. 회전축부(910)는 전방 프레임부(710)의 내측면에 고정된 축지지 브라켓(711)의 상면에 형성된 축 지지부(712)에 회전축부(910)의 일단부가 그리고 후방 프레임부(720)의 상면에 형성된 후방측 축 지지부(722)에 회전축부(910)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호스릴부(900)는 태엽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어 회전에 대하여 태엽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The hose reel unit 900 includes a rotating shaft unit 910 provided at the center, and is formed so that a discharge hose connected to the pump unit 300 can be wound or unwound. In the hose reel unit 900, the rotating shaft unit 9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frame unit 700, and the discharge hose is wound or unwound according to rotation. The rotating shaft portion 910 includes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910 on the shaft support portion 71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aft support bracket 711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portion 710 and the rear frame portion 720.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unit 9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shaft support unit 7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t this time, the hose reel part 900 is coupled with a spring spring (not shown) so that elastic force by the spring spring can be applied to rotation.

호스릴부(900)는 배출 호스를 감아 지지하고 또한 감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축부(910) 상에서 이격되어 고정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원형태의 한 쌍의 디스크(920)와, 그리고 양단부가 양쪽 디스크 내측에 고정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핀(9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se reel unit 900 includes a pair of disks 920 in a circular shap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and fixed on the rotating shaft unit 910 to wind and support the discharge hose and to maintain the wound state, and both ends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pins 930 fixed to the inside of both disk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펌프부(300)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배출 호스는 그 타단부가 회전축부(9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축부(910)는 일측에 배출 호스가 연결될 수 있는 유입구(911)가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회전축부(910)의 내부에 퇴적물의 배출 경로를 제공하는데 구체적으로 내부는 타단부가 폐쇄되고 일단부가 개방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회전축부(910)의 일단부에는 배출구(912)가 형성된다. 유입구(911)는 외부 공간이 유입구(911)를 통해 회전축부(910)의 내부 공간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배출 호스의 양단부가 펌프부(300)와 유입구(911)에 연결되어, 펌프부(300)에 의해 퇴적물이 배출 호스를 통해 배출되면 퇴적물은 유입구(911)로 유입된 후 회전축부(910) 내부 공간을 통하면서 일단부에 형성된 배출구(912)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912)는 퇴적물의 최종 배출 위치일 수도 있고, 또는 배출구(912)에 최종 배출 위치까지 배출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관(미도시)이 추가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discharge hos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ump unit 300, may have its other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unit 910, and the rotation shaft unit 910 has an inlet 911 to which the discharge hose can be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It is formed to protrude into. A discharge path for deposits is provided inside the rotation shaft unit 910. Specifically, the interior consists of a space in which the other end is closed and one end is open, and a discharge port 91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unit 910. The inlet 911 is formed so that the external space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rotating shaft 910 through the inlet 911 . Therefore, when both ends of the discharge hose are connected to the pump unit 300 and the inlet 911, and the sedimen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se by the pump unit 300, the sediment flows into the inlet 911 and then the rotating shaft unit 910 ) I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912 formed at one en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The discharge port 912 may be the final discharge location of the sediment, or a discharge pipe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912 to provide a discharge path to the final discharge location.

배출 프레임부(700)가 취수구 입구를 통해 수면 근방까지 투입될 때 투입 프레임부(100)와 마찬가지로 취수구 벽면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배출 프레임부(700)의 측부에 투입 프레임부(100)의 가이드부(500)와 동일한 구조의 가이드부(800)가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discharge frame unit 700 is introduced to the vicinity of the surface of the water through the water intake inlet, the input frame unit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frame unit 700 so as to be moved stably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guide rail on the water intake wall, similar to the input frame unit 100. The guide part 800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guide part 500 of (100) may be fixed.

배출 프레임부(700)는 수중 깊은 곳까지 투입되지 않고 수면 근방에서 위치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배출 프레임부(700)에 부이(미도시)가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배출 프레임부(700)를 취수구 벽면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더 이상의 하강을 제한하는 추가의 고정 수단이 사용되어 수면 근방에 위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frame unit 700 may be located near the surface of the water without being put into the depths of the water. For this purpose, a buoy (not shown) may be fixed to the discharge frame unit 700 . Alternatively, an additional fixing means for fixing the discharge frame part 700 to the water intake wall surface or limiting further descent may be used and positioned near the water surface.

한편, 투입 프레임부(100)와 배출 프레임부(7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크레인(10)에 현수되어 일체로 운반 및 투입되도록 운용될 수 있다. 투입 프레임부(100)는 양 측부의 상측에 크레인 체인(11)이 연결되는 체인 롤러(104; 도 1, 2 및 10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프레임부(700)는 양 측부의 상측 및 하측에 크레인 체인(11)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 롤러(702; 도 11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3, the input frame unit 100 and the discharge frame unit 700 may be suspended on a single crane 10 and operated to be transported and put in integrally. The input frame unit 100 may have chain rollers 104 (see FIGS. 1, 2 and 10) to which the crane chain 11 is connected on the upper side of both side portions. In addition, support rollers 702 (see FIG. 11) capable of supporting the crane chain 11 may be form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charge frame unit 700.

크레인 체인(11)은 배출 프레임부(700)의 지지 롤러(702)에 지지되면서 투입 프레임부(100)의 체인 롤러(104)까지 연장되어 체인 롤러(104)에 연결된다. 크레인(10)의 작동으로 체인(11)이 단축되면 투입 프레임부(100)가 상향 이동되면서 투입 프레임부(100)의 상측에 결합된 배출 프레임부(700)도 일체로 함께 상향 이동될 수 있다.The crane chain 1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oller 702 of the discharge frame unit 700 and extends to the chain roller 104 of the input frame unit 100 and is connected to the chain roller 104 . When the chain 11 is shortened by the operation of the crane 10, the input frame unit 100 is moved upward, and the discharge frame unit 70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put frame unit 100 can also be moved upward together integrally. .

이와 같이 상향으로 들어 올려진 투입 프레임부(100) 및 배출 프레임부(700)는 크레인(10)의 이동에 따라 취수구 입구를 하방으로 마주하는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크레인 체인(11)이 신장되면 배출 프레임부(700) 및 투입 프레임부(100)는 함께 취수구 입구를 통해 수면으로 접근하도록 하강된다. 이때 가이드부(500,800)에 의해 가이드 레일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안정적으로 하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put frame unit 100 and the discharge frame unit 700 lifted upward may be moved to a position facing the water intake inlet downward as the crane 10 moves. After that, when the crane chain 11 is extended, the discharge frame unit 700 and the input frame unit 100 are lowered together to approach the water surface through the water intake inlet. At this time, it can stably descend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guide rail by the guide parts 500 and 800 .

배출 프레임부(700)는 수면에 이르러 부이 또는 추가의 고정수단에 의해 수면 근방에서 위치 고정되며, 크레인 체인(11)의 계속되는 신장에 따라 투입 프레임부(100)의 제1 결합프레임(101)이 배출 프레임부(700)의 제2 결합프레임(70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투입 프레임부(100)는 계속해서 하강하여 취수구 수중의 바닥까지 다다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호스릴부(900)는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배출 호스가 풀리게 된다.The discharge frame unit 700 reaches the water surface and is fixed in position near the water surface by a buoy or additional fixing means, and the first coupling frame 101 of the input frame unit 100 is fixed according to the continued extension of the crane chain 11.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coupling frame 701 of the discharge frame unit 700, the input frame unit 100 may continue to descend and reach the bottom of the water intake port. In this process, the hose reel unit 900 is rotated in a direction to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main spring, and the discharge hose is released accordingly.

투입 프레임부(100)가 수중 바닥에 접근하여 의도하는 위치까지 다다르면 위치 고정부(600)가 작동하여 투입 프레임부(100)의 위치가 고정되며, 이동력 제공부의 제어에 따라 이송부(200)가 횡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펌프부(300)가 작동되도록 제어되면서 수중 바닥의 퇴적물이 흡입이 용이하도록 흩트려지는 동시에 흡입되어 배출 호스를 통하면서 배출구(9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input frame unit 100 approaches the bottom of the water and reaches the intended position, the position fixing unit 600 operates to fix the position of the input frame unit 100, and the transfer unit 200 moves under the control of the moving force providing unit. While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while the pump unit 300 is controlled to operate, the sediment on the bottom of the water is scattered to facilitate suction,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sucked in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912 through the discharge hose.

본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는 투입 프레임부(100)의 수중 위치와 수중 바닥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입 프레임부(100)에 위치 감지를 위한 센서, 그리고 수중 카메라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In the intake port sedimen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ensor for position detection and an underwater camera ar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input frame unit 100 so as to check the underwater position of the input frame unit 100 and the state of the underwater bottom. can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펌프는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는 전술한 구성들의 작동을 위한 제어가 수면 밖 외부에서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므로, 잠수부를 투입하는 일 없이 수중 바닥의 퇴적물을 안전하면서 신속하게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In the suction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ontrol for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s performed by an operator outside the water surface, the sediment at the bottom of the water is safely and quickly suctioned and removed without introducing a diver. can do.

100: 투입 프레임부
105: 포스트 프레임 110: 전방 프레임부
120:후방 프레임부 130: 측방 프레임부
111a,121a: 제1 레일면 112a,122a: 제2 레일면
200: 이송부
210: 이송 플레이트 221: 지지바
231: 상부 롤러 232: 하부 롤러
300: 펌프부
310: 배출부 311: 배출구
312: 배출관 313: 유입관
315: 유입실 320: 회전축
330: 구동부 340: 임펠러
350: 흡입관 351: 회전몸체
352: 갈퀴날 354: 브러시
360: 가이더 361: 가이드몸체
362: 베인
410: 고정편 420: 체인
431: 메인 스프로킷 휠 432: 보조 스크로킷 휠
441: 웜 휠 442: 웜축
443: 모터
500: 가이드부
510: 지지 플레이트 520: 가이드 롤러
600: 위치 고정부
610: 유체압 실린더 611: 피스톤 로드
620: 가압 플레이트
700: 배출 프레임부
701: 제2 결합프레임 710: 전방 프레임부
720: 후방 프레임부 730: 측방 프레임부
800: 가이드부
900: 호스릴부
910: 회전축부 911: 유입구
912: 배출구 920: 디스크
930: 지지핀
100: input frame unit
105: post frame 110: front frame
120: rear frame portion 130: side frame portion
111a, 121a: first rail surface 112a, 122a: second rail surface
200: transfer unit
210: transfer plate 221: support bar
231: upper roller 232: lower roller
300: pump unit
310: discharge unit 311: discharge port
312: discharge pipe 313: inlet pipe
315: inflow chamber 320: rotation shaft
330: driving unit 340: impeller
350: suction pipe 351: rotating body
352: rake blade 354: brush
360: guider 361: guide body
362: vane
410: fixing piece 420: chain
431: main sprocket wheel 432: auxiliary sprocket wheel
441: worm wheel 442: worm shaft
443: motor
500: guide unit
510: support plate 520: guide roller
600: position fixing unit
610: fluid pressure cylinder 611: piston rod
620: pressure plate
700: discharge frame unit
701: second coupling frame 710: front frame portion
720: rear frame portion 730: side frame portion
800: guide unit
900: hose reel
910: rotating shaft 911: inlet
912: outlet 920: disk
930: support pin

Claims (6)

발전소의 취수구 입구를 통해 수중으로 투입될 수 있는 투입 프레임부(100);
상기 투입 프레임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투입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이송부(200);
상기 이송부(200)에 고정된 채 상기 이송부(20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며, 취수구의 수중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흡입하여 일측에 연결될 수 있는 배출 호스를 통해 배출하는 펌프부(300);
상기 이송부(200)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이송부(200)에 외력을 제공하는 이동력 제공부; 및
상기 투입 프레임부(100)의 측부에 고정된 채 피스톤 로드(611)가 취수구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는 유체압 실린더(610)와, 상기 피스톤 로드(61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611)의 인출에 따라 취수구 벽면을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620)를 포함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611)의 인출에 따라 상기 가압 플레이트(620)가 취수구 벽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투입 프레임부(1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 고정부(600)
를 포함하는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
An input frame unit 100 that can be put into water through the water intake inlet of the power plant;
a transfer unit 200 coupled to the input frame unit 100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frame unit 100;
A pump unit 300 that is fixed to the transfer unit 200 and moves together with the transfer unit 200, sucks in sediments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intake and discharges them through a discharge hose that can be connected to one side;
a moving for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external force to the transfer unit 200 so that the transfer unit 200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luid pressure cylinder 610 in which the piston rod 611 is draw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water intake wall surface or drawn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being fixed to the side of the input frame unit 100, and the end of the piston rod 611 Including a pressure plate 620 formed on the intake port to press the wall surface of the intake port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piston rod 611, the pressure plate 620 presses the intake port wall surface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piston rod 611, A position fixing unit 600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frame unit 100
Water intake sediment removal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프레임부(100)는, 상부 롤러(231)의 하면이 접촉된 채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면(111a,121a)과, 하부 롤러(232)의 상면이 접촉된 채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면(111b,121b)이 제공되며,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펌프부(300)가 고정되는 이송 플레이트(210)와, 상기 이송 플레이트(2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221)와, 상기 지지바(2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레일면(111a,121a)에 하면이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상부 롤러(231)와, 상기 지지바(2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레일면(111b,121b)에 상면이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하부 롤러(232)를 포함하는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frame unit 10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rail surface 111a and 121a form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oller 231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roller 232. At least one second rail surface (111b, 121b) form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is provided,
The transfer unit 200 includes a transfer plate 210 to which the pump unit 300 is fixed, at least one support bar 221 formed on the transfer plate 210, and rotation on the support bar 221. The upper roller 2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rail surfaces 111a and 121a, and the upper roller 2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ar 221 and the second rail surfaces 111b and 121b ) Intake port deposit removal device including the lower roller 232 dispos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프레임부(100)의 측부에 고정된 채 상기 투입 프레임부(100)가 취수구 바닥을 향해 하강될 때 취수구 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하강되도록 하는 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투입 프레임부(100)의 측부에 고정되면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510)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510)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취수구 벽면의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520)를 포함하는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guide part 500 fixed to the side of the input frame part 100 so that the input frame part 100 descends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guide rail formed on the water intake wall surface when the input frame part 100 descends toward the bottom of the water intake port. ,
The guide part 500 is fixed to the side of the input frame part 100 while being disposed between a pair of support plates 510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pair of support plates 510. An intake port deposit removal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guide roller 520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510 and coupled to a guide rail on a water intake wall surface to be guided along the guide rail and mov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력 제공부는,
상기 투입 프레임부(100)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체인(420), 상기 이송부(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채 상기 체인(420)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체인(420)을 따라 이동되는 메인 스프로킷 휠(431) 및 상기 메인 스프로킷 휠(431)이 회전되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회전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force providing unit,
A chain 420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input frame unit 100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200 and being coupled to the chain 420 and being rotated, the chain ( A water intake port deposit removal device comprising a main sprocket wheel 431 moving along 420 and a rotational force providing unit providing an external force to rotate the main sprocket wheel 4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프레임부(100)의 상측에서 상기 투입 프레임부(100)와 분리 장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배출 프레임부(700); 및
중심에 제공되는 회전축부(910)가 상기 배출 프레임부(7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 호스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호스릴부(9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부(910)는 일측에 상기 배출 호스가 연결될 수 있고, 내부에 상기 배출 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퇴적물이 상기 회전축부(910)의 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 경로를 제공하는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utput frame unit 700 coupled to the input frame unit 100 to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put frame unit 100; and
The rotating shaft portion 910 provided at the cent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frame portion 700 to further include a hose reel portion 900 formed so that the discharge hose can be wound or unwound according to rotation,
The rotary shaft part 910 has one side to which the discharge hose can be connected, and a water intake providing a discharge path through which the sedimen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s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nd of the rotary shaft part 910. sediment removal device.
삭제delete
KR1020220141948A 2022-10-31 2022-10-31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t power plant intake port KR1024960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948A KR102496028B1 (en) 2022-10-31 2022-10-31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t power plant intake port
KR1020230013376A KR20240062874A (en) 2022-10-31 2023-02-01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t power plant intake 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948A KR102496028B1 (en) 2022-10-31 2022-10-31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t power plant intake por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3376A Division KR20240062874A (en) 2022-10-31 2023-02-01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t power plant intake 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028B1 true KR102496028B1 (en) 2023-02-07

Family

ID=852213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948A KR102496028B1 (en) 2022-10-31 2022-10-31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t power plant intake port
KR1020230013376A KR20240062874A (en) 2022-10-31 2023-02-01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t power plant intake port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3376A KR20240062874A (en) 2022-10-31 2023-02-01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t power plant intake 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602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5793U (en) * 1989-02-21 1990-09-03 정복영 Pallet conveying device of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KR20060080672A (en) 2005-01-06 2006-07-11 주식회사 무진기연 Sandbar removing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KR20090116948A (en) * 2008-05-08 2009-11-12 주식회사 무진기연 Hoist driving apparatus for nuclear reactor
KR101481787B1 (en) * 2014-06-11 2015-01-14 (주)광산 Apparatus for drying painting
KR20150134854A (en) * 2014-05-23 2015-12-02 황현진 Open and close typed floodgate apparatus having maintaining balance apparatus of floodgate
KR101596895B1 (en) * 2014-11-27 2016-03-08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Mussel removal device for marine structures
KR101649077B1 (en) * 2015-07-06 2016-08-1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Sediment removal device of intake for electric power st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5793U (en) * 1989-02-21 1990-09-03 정복영 Pallet conveying device of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KR20060080672A (en) 2005-01-06 2006-07-11 주식회사 무진기연 Sandbar removing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KR20090116948A (en) * 2008-05-08 2009-11-12 주식회사 무진기연 Hoist driving apparatus for nuclear reactor
KR20150134854A (en) * 2014-05-23 2015-12-02 황현진 Open and close typed floodgate apparatus having maintaining balance apparatus of floodgate
KR101481787B1 (en) * 2014-06-11 2015-01-14 (주)광산 Apparatus for drying painting
KR101596895B1 (en) * 2014-11-27 2016-03-08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Mussel removal device for marine structures
KR101649077B1 (en) * 2015-07-06 2016-08-1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Sediment removal device of intake for electric power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874A (en)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762343U (en) Suitable for the floating type blowdown apparatus of industrial collecting-tank
JP2012110886A (en) Sludge scraping apparatus
KR102496028B1 (en) Underwater sediment removal device at power plant intake port
CN213869775U (en) Oil pumping pipe rod storage, cleaning and maintenance system for drilling/workover operation
JP3863114B2 (en) Water intake or drainage device
CN105139911B (en) Spent fuel storage pool bottom scrubbing device
CN212883896U (en) Cleaning equipment for marine oil stain oil collecting mechanism
CN109365436A (en) A kind of enclosed environment is interior to clear up robot and its method for cleaning
KR101613665B1 (en) Waste removal system of underwater
CN112360365A (en) Oil pumping pipe rod storage, cleaning and maintenance system for drilling/workover operation
CN114382161B (en) Sewage treatment water pump station convenient for replacing pump group
CN113897922B (en) Small-sized underwater dredging device and method suitable for gate grids
CN111501984A (en) Monitoring and cleaning device for large vertical water pump forebay sludge
CN213515732U (en) Bridge detection device convenient to maintain
KR102608791B1 (en) Unmanned automatic dredging system of power plant intake
KR102608799B1 (en) Unmanned dredger with pneumatic disturbance method for dredging water intake of power plant
CN217712589U (en) Novel tunnel lining form trolley
CN117569267A (en) Hydraulic gate for dredging front pool bottom of water supplementing pump
CN109537530B (en) Channel water diversion opening water filling and draining self-sinking floating blocking flow guiding device
CN219105364U (en) Automatic change pump station control system
KR102100281B1 (en) Mud removal device installed on screen of power plant
CN219590003U (en) Water sample extraction equipment for hydraulic engineering
CN220151559U (en) Dry-wet safety installation leakage-free self-coupling pump station
CN116588272B (en) Protective safety device for ship
CN219547895U (en) A desilting machine for hydraulic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