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450B1 -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450B1
KR102495450B1 KR1020220070462A KR20220070462A KR102495450B1 KR 102495450 B1 KR102495450 B1 KR 102495450B1 KR 1020220070462 A KR1020220070462 A KR 1020220070462A KR 20220070462 A KR20220070462 A KR 20220070462A KR 102495450 B1 KR102495450 B1 KR 102495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nodes
cloud
file
clou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원
Original Assignee
요다정보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다정보기술(주) filed Critical 요다정보기술(주)
Priority to KR1020220070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66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2Grid compu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5Multiple levels of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사용자를 위한 제1 단말기; 제2 사용자를 위한 제2 단말기; 및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와 접속되고,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가 엑세스하였을 때, 파일을 업로드하도록 하거나 저장된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를 송신하고,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하고,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로부터 파일버젼 복구입력을 받아 저장된 파일을 이전의 상태로 복구하고,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엑세스하여 작업한 시간을 기록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SYSTEM FOR SHARING CLOUD FILE}
본 발명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사용자 사이에 문서, 사진, 동영상 등의 파일에 쉽게 엑세스하여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와 파일을 공유하여 협업할 수 있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서 컴퓨팅 자원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은 학계와 산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새로운 컴퓨팅 패러다임이다. 최근 무선기기의 기능 향상과 네트워크의 발전에 힘입어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인 모바일 클라우드(mobile cloud)라는 새로운 서비스 트랜드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모바일 서비스의 결합으로 이동성을 갖는 모든 기기들(스마트폰, 노트북, PDA 등)을 통해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컴퓨팅 자원을 사용한 만큼 과금하는 방식(Pay as you go)과 컴퓨팅 자원을 유연하고 신속하게 할당할 수 있는 능력(self-provisioning resources) 등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
컴퓨팅 자원을 물리적으로 소유하는 것보다 서비스로 공유 및 활용하는 것이 유지, 보수 등 사후관리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역에서 제공될 뿐만 아니라 의료 데이터, 영상 콘텐츠 등에서의 열람 서비스에도 제공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12673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이전의 파일을 필요로 할 때 언제든지 이전의 파일을 확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활동기록으로부터 중요한 작업을 추적하는데 있어 유용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엑세스 권한이 있는 사용자라도 실수 또는 고의로 보호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제1 사용자를 위한 제1 단말기; 제2 사용자를 위한 제2 단말기; 및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와 접속되고,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가 엑세스하였을 때, 파일을 업로드하도록 하거나 저장된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를 송신하고,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하고,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로부터 파일버젼 복구입력을 받아 저장된 파일을 이전의 상태로 복구하고,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엑세스하여 작업한 시간을 기록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public blockchain network)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private blockchain network)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관리하되,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 노드 각각의 컴퓨팅 리소스를 관리하고,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노드를 인증하고, 컴퓨팅 리소스를 관리하고, 복수의 제1 노드 사이에 제한된 메시징 경로인 채널(channel)을 생성하고, 채널을 통해 복수의 제1 노드 중 특정 하위 집합에 대해 기밀성이 있는 정보를 교환하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제1 노드 및 복수의 제2 노드로부터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트랜잭션을 기반으로 블록체인의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현하되, 트랜잭션은 복수의 제1 노드 및 복수의 제2 노드에 의해 스캐닝된 암호화 QR 코드를 상기 암호화 QR 코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노드 및 복수의 제2 노드에 저장된 복호화 코드를 기반으로 복호화시 생성되고, 복호화 코드는 암호화 QR 코드를 기반으로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권한을 가지는 노드에게만 할당되고, 암호화 QR 코드는 노드 그룹별로 서로 다르게 생성되고, 복호화 코드는 노드 그룹별 상기 암호화 QR 코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상기 암호화 QR 코드와 페어링되어 생성되고, 복호화 코드는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고, 암호화 QR 코드별로 블록체인 상에서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노드 그룹은 복호화 가능한 암호화 QR 코드에 따라 블록체인 상에서 서로 다른 권한을 가지고 동작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복수의 제1 노드 및 복수의 제2 노드는, 노드 각각이 갖는 패킷 처리 리스트로부터 각 노드가 실행하는 패킷 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부여된 패킷을 수신하는 제1 수단과, 노드가 갖는 패킷 처리 리스트로부터 노드에 대응하는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패킷 처리를 실행하는 제2 수단을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패킷은 복수의 노드 각각에서 실행되는 패킷 처리에 관한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터가 부여되며, 제2 수단은 포인터에 대응하는 패킷 처리를 실행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파일은 사진 또는 동영상이고, 클라우드 서버는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과 동영상을 동기화하여 업로드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메일을 송수신할 때, 클라우드 서버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에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Public share link)를 송신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Public share link)를송신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비밀번호(Password)와 만료기간(Expiration date)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파일이 문서일 때,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가 문서를 업로드한 후 문서를 수정하여 다시 업로드할 때, 클라우드 서버는 문서를 수정하기 전과 수정한 후의 문서를 모두 저장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클라우드 서버는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가 엑세스할 때 엑세스되지 않도록 하는 억세스 잠금기능을 가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클라우드 서버는 로컬 스토리지 시스템에서 원격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이동시키는 오토 티어링(auto tiering) 기능을 가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제2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이고, 클라우드 서버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그룹화하여 엑세스하도록 하여 원격으로 웹 회의 화면을 공유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웹 회의 화면은 제1 단말기의 사용자와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화면이 분할된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전의 파일을 필요로 할 때 언제든지 이전의 파일을 확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활동기록으로부터 중요한 작업을 추적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엑세스 권한이 있는 사용자라도 실수 또는 고의로 보호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배치된 노드의 제어기능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파일 업로드시 또는 다운로드시 클라우드 서버가 송신하는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 화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에서 패스워드 설정 화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에서 다운로드 기간 설정 화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에서 클라우드 공유 이름 설정 화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메일 송수신시 클라우드 서버가 송신하는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Public share link) 화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문서의 수정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웹 회의 화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클라우드 파일공유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파일 업로드시 또는 다운로드시 클라우드 서버가 송신하는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 화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에서 패스워드 설정 화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에서 다운로드 기간 설정 화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에서 클라우드 공유 이름 설정 화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메일 송수신시 클라우드 서버가 송신하는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 화면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문서의 수정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의 웹 회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파일공유 시스템(1000)은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30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파일공유 시스템(1000)은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라 함은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의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는 클라우드 파일공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단말기(100, 200)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후 실행하여 클라우드 파일공유 서비스 시스템(1000)에 접속함으로써, 클라우드 파일공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면, 클라우드 파일공유 시스템(1000)에 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 단말기(100)는 제1 사용자를 위한 것이고, 제2 단말기(200)는 제2 사용자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는 서로 메세지를 송수신할 때의 2명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각각의 단말기를 의미하며, 제2 단말기(2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일 때 웹 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2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므로 웹 회의를 진행하는 경우에 2명 이상도 가능하다.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 각각은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로 데이터를 제공 또는 입력하거나,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파일의 열람을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각각은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이거나 클라우드 서버에 직접 연결된 전용 단말기일 수 있다.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는 각각의 사용자인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가 전용으로 사용하는 개인 단말기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어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문서, 사진, 동영상 등의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대용량 컴퓨터이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300)는 문서, 사진, 동영상 등의 파일을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여 보관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기반의 서버일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300)는 보안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각종 파일을 암호화한 후 분할하여 저장할 수 있고, 각종 파일의 열람을 허용하는 사용자에게 분할된 데이터를 병합한 후 복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클라우드 서버(300)는 각종 파일의 민감도, 즉 외부 사용자에게 누구나에게 공개되는 사항인지, 아니면 데이터 생산자와 관련도가 높은 일부 관련자에게만 공개하는 사항인지를 판단하여, 각종 파일이 민감하다고 판단되면 암호화하여 저장한 후, 각종 파일의 열람을 허용하는 사용자에게만 복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 각각은 클라우드 서버(300)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단순 입력 및 열람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이에 더하여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공유키 및 비밀키를 생성하고,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실제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 각각 데이터의 단순 입력 및 열람을 수행할 경우, 공유키 및 비밀키를 생성하거나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기능은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를 포함한 사용자 각각은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버(300) 상에서 공유키 및 비밀키를 생성하거나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가 엑세스하였을 때, 도 2에서와 같이 파일을 업로드하도록 하거나 저장된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를 송신한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패스워드, 다운로드 기간 및 클라우드 공유이름을 설정하여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게 로컬 자료 및 클라우드 드라이브 내의 대용량 파일을 쉽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가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끼리 글을 쓰고 이에 댓글을 작성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파일버젼 복구입력을 받아 저장된 파일을 이전의 상태로 복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이전의 파일을 필요로 할 때 언제든지 이전의 파일을 확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가 엑세스하여 작업한 시간을 기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기록으로부터 중요한 작업을 추적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여기서, 파일은 사진 또는 동영상이고,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에서 촬영된 사진과 동영상을 동기화하여 업로드하도록 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public blockchain network)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private blockchain network)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관리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 노드 각각의 컴퓨팅 리소스를 관리하고,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노드를 인증하고, 컴퓨팅 리소스를 관리한다. 컴퓨팅 리소스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이 제공하는 CPU, NETWORK, MEMORY, STORAGE 등의 유휴 리소스를 의미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복수의 제1 노드 사이에 제한된 메시징 경로인 채널(channel)을 생성하고, 채널을 통해 복수의 제1 노드 중 특정 하위 집합에 대해 기밀성이 있는 정보를 교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복수의 제1 노드 및 복수의 제2 노드로부터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트랜잭션을 기반으로 블록체인의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현한다.
여기서, 트랜잭션은 복수의 제1 노드 및 복수의 제2 노드에 의해 스캐닝된 암호화 QR 코드를 암호화 QR 코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노드 및 복수의 제2 노드에 저장된 복호화 코드를 기반으로 복호화시 생성된다.
복호화 코드는 암호화 QR 코드를 기반으로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권한을 가지는 노드에게만 할당된다.
암호화 QR 코드는 노드 그룹별로 서로 다르게 생성되고, 복호화 코드는 노드 그룹별 암호화 QR 코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암호화 QR 코드와 페어링되어 생성되고, 복호화 코드는 블록체인 상에 기록된다. 암호화 QR 코드별로 블록체인 상에서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노드 그룹은 복호화 가능한 상기 암호화 QR 코드에 따라 블록체인 상에서 서로 다른 권한을 가지고 동작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암호화 QR 코드를 기반으로 제한된 노드에 의한 블록체인 액세스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훼손을 방지하고, 블록체인 상에 저장된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노드는 노드 각각이 갖는 패킷 처리 리스트로부터 각 노드가 실행하는 패킷 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부여된 패킷을 수신하는 제1 수단과, 노드가 갖는 패킷 처리 리스트로부터 노드에 대응하는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패킷 처리를 실행하는 제2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패킷은 복수의 노드 각각에서 실행되는 패킷 처리에 관한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터가 부여되며, 제2 수단은 포인터에 대응하는 패킷 처리를 실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네트워크에 배치된 노드의 제어기능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가 메일을 송수신할 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도 6에서와 같이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에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Public share link)를 송신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비밀번호(Password)와 만료기간(Expiration date)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대용량 파일을 쉽게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가 엑세스할 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가 암호화된 엑세스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모든 통신과정에서 개인관련정보가 노출되지 않고 보호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가 미디어 파일을 요청할 때, 클라우드 서버는 미디어 파일을 스트리밍 송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미디어 파일을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파일이 문서일 때,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가 문서를 업로드한 후 문서를 수정하여 다시 업로드할 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문서를 수정하기 전과 수정한 후의 문서를 모두 저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이전의 문서를 필요로 할 때 언제든지 이전의 문서를 확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300)에 새로 생성된 문서(v1)를 업로드하고 2차례에 걸쳐 문서를 수정한 후(v2, v3) 클라우드 서버(300)에 다시 업로드하면, 클라우드 서버(300)는 3가지 버젼의 문서(v1, v2, v3)를 모두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는 3가지 버젼의 문서(v1, v2, v3)를 모두 확보하여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문서 1(v1), 문서 2(v2), 문서 3(v3)의 순서로 생성되었다.
또한, 파일이 문서일 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가 문서를 드래그 앤 드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가 엑세스할 때 엑세스되지 않도록 하는 억세스 잠금기능을 갖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엑세스하지 못하도록 해야하는 사용자가 있을 때 억세스 잠금기능을 통해 엑세스를 막아 다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미연의 사고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엑세스 권한이 있는 사용자라도 실수 또는 고의로 보호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로컬 스토리지 시스템에서 원격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이동시키는 오토 티어링(auto tiering) 기능을 갖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데이터 활용도에 따른 고성능 디스크와 저성능 디스크를 구분하여 데이터 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를 그룹화하여 엑세스하도록 하여 원격으로 웹 회의 화면을 공유하도록 한다. 이때, 제2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하나의 화면으로 웹 상에서 회의를 진행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웹 회의 화면은 도 8에서와 같이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의 화면이 분할된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들을 한 화면으로 보고 편리하게 회의를 진행할 수 있어 편리하다. 여기서, 제2 단말기(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편의상 하나의 단말기로 기재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제1 단말기 200 : 제2 단말기
300 : 클라우드 서버

Claims (11)

  1. 제1 사용자를 위한 제1 단말기;
    제2 사용자를 위한 제2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와 접속되고,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엑세스하였을 때, 파일을 업로드하도록 하거나 저장된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서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파일버젼 복구입력을 받아 저장된 파일을 이전의 상태로 복구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엑세스하여 작업한 시간을 기록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public blockchain network)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private blockchain network)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관리하되,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 노드 각각의 컴퓨팅 리소스를 관리하고,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노드를 인증하고, 컴퓨팅 리소스를 관리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노드 사이에 제한된 메시징 경로인 채널(channel)을 생성하고,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1 노드 중 특정 하위 집합에 대해 기밀성이 있는 정보를 교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노드 및 상기 복수의 제2 노드로부터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상기 트랜잭션을 기반으로 블록체인의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현하되,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복수의 제1 노드 및 상기 복수의 제2 노드에 의해 스캐닝된 암호화 QR 코드를 상기 암호화 QR 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노드 및 상기 복수의 제2 노드에 저장된 복호화 코드를 기반으로 복호화시 생성되고,
    상기 복호화 코드는 상기 암호화 QR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권한을 가지는 노드에게만 할당되고,
    상기 암호화 QR 코드는 노드 그룹별로 서로 다르게 생성되고,
    상기 복호화 코드는 상기 노드 그룹별 상기 암호화 QR 코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상기 암호화 QR 코드와 페어링되어 생성되고,
    상기 복호화 코드는 상기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고,
    상기 암호화 QR 코드별로 상기 블록체인 상에서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노드 그룹은 복호화 가능한 상기 암호화 QR 코드에 따라 블록체인 상에서 서로 다른 권한을 가지고 동작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노드 및 복수의 제2 노드는, 노드 각각이 갖는 패킷 처리 리스트로부터 각 노드가 실행하는 패킷 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부여된 패킷을 수신하는 제1 수단과, 노드가 갖는 패킷 처리 리스트로부터 노드에 대응하는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패킷 처리를 실행하는 제2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패킷은 복수의 노드 각각에서 실행되는 패킷 처리에 관한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터가 부여되며, 제2 수단은 포인터에 대응하는 패킷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로컬 스토리지 시스템에서 원격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이동시키는 오토 티어링(auto tiering)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를 그룹화하여 엑세스하도록 하여 원격으로 웹 회의 화면을 공유하며,
    상기 웹 회의 화면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의 화면이 분할된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사진 또는 동영상이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과 동영상을 동기화하여 업로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메일을 송수신할 때,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에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Public share link)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드라이브 연동링크(Public share link)를 송신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비밀번호(Password)와 만료기간(Expiration date)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이 문서일 때,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문서를 업로드한 후 문서를 수정하여 다시 업로드할 때,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문서를 수정하기 전과 수정한 후의 문서를 모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엑세스할 때 엑세스되지 않도록 하는 억세스 잠금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20070462A 2022-06-10 2022-06-10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 KR102495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462A KR102495450B1 (ko) 2022-06-10 2022-06-10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462A KR102495450B1 (ko) 2022-06-10 2022-06-10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450B1 true KR102495450B1 (ko) 2023-02-06

Family

ID=8522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462A KR102495450B1 (ko) 2022-06-10 2022-06-10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709B1 (ko) * 2023-07-10 2023-12-05 박소영 미디어파일 유출확인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246A (ko) * 2009-09-14 2013-10-07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시스템, 노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412673B1 (ko) 2012-12-28 2014-07-01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KR20190009694A (ko) * 2017-07-19 2019-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티어 올-플래시 데이터센터의 자동 데이터 배치 관리자
KR20190083254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장치와 블록체인을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JP2021015553A (ja) * 2019-07-16 2021-02-12 株式会社LEARNie 会議支援システム、会議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会議支援方法
KR102389969B1 (ko) * 2021-11-12 2022-04-25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암호화 qr 코드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392880B1 (ko) * 2021-09-06 2022-05-02 (주) 바우디움 계층화 문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220073552A (ko) * 2020-11-26 2022-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246A (ko) * 2009-09-14 2013-10-07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시스템, 노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412673B1 (ko) 2012-12-28 2014-07-01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KR20190009694A (ko) * 2017-07-19 2019-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티어 올-플래시 데이터센터의 자동 데이터 배치 관리자
KR20190083254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장치와 블록체인을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JP2021015553A (ja) * 2019-07-16 2021-02-12 株式会社LEARNie 会議支援システム、会議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会議支援方法
KR20220073552A (ko) * 2020-11-26 2022-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92880B1 (ko) * 2021-09-06 2022-05-02 (주) 바우디움 계층화 문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389969B1 (ko) * 2021-11-12 2022-04-25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암호화 qr 코드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709B1 (ko) * 2023-07-10 2023-12-05 박소영 미디어파일 유출확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2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data access using a mobile device
CN110417750B (zh) 基于区块链技术的文件读取和存储的方法、终端设备和存储介质
US9356895B2 (en)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a structure of a plurality of organizations
US20150127607A1 (en) Distributed data system with document management and access control
US20150195254A1 (en) Event-Triggered Release Through Third Party of Pre-Encrypted Digital Data From Data Owner to Data Assignee
KR101971225B1 (ko)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전송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EP3425846B1 (en) Authorization method and device for joint account, and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joint account
EP3044694A1 (en) Distributed data system with document management and access control
CN105450750A (zh) 智能终端安全交互方法
US10068098B2 (en) Data storage and access platform with jurisdictional control
TWI829219B (zh) 可將取用訊標由區塊鏈子系統移轉給資料請求者裝置的去中心化資料授權控管系統
CN110443047B (zh) 数据交换群组系统及方法
US20150327064A1 (en)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a structure of a plurality of organizations
KR102495450B1 (ko)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시스템
KR102154292B1 (ko) 블록체인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와 서비스 제공자간의 쿼리 처리 방법
CN103971062A (zh) 移动终端、文档管理方法、用于移动终端的程序
TWI829216B (zh) 可透過第三方服務子系統轉傳訊標請求的去中心化資料授權控管系統
TWI829218B (zh) 可經由第三方服務子系統間接移轉取用訊標的去中心化資料授權控管系統
US11310235B1 (en) Internet of things system based on security orientation and group sharing
US119776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ownership and content control of media files on untrusted systems
TWI829222B (zh) 可利用第三方服務子系統提供可查詢資料清單給資料請求者裝置的去中心化資料授權控管系統
TWI750973B (zh) 基於安全導向暨群組分享之物聯網系統
TWI829220B (zh) 可利用智能合約產生並移轉授權訊標的去中心化資料授權控管系統
Suthar Personal Mobile Storage Sharing
TWM621613U (zh) 網路設備權限管理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