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444B1 -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444B1
KR102495444B1 KR1020210017975A KR20210017975A KR102495444B1 KR 102495444 B1 KR102495444 B1 KR 102495444B1 KR 1020210017975 A KR1020210017975 A KR 1020210017975A KR 20210017975 A KR20210017975 A KR 20210017975A KR 102495444 B1 KR102495444 B1 KR 10249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aling part
support end
junction box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677A (ko
Inventor
김대수
Original Assignee
(주)루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맷 filed Critical (주)루맷
Priority to KR102021001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444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시설에서 태양 전지 모듈과 인버터의 연결을 위한 접속함의 방수 및 방진을 위한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지지단과 상기 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커버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잠금부재와 상기 커버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몸체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단에 밀착되는 제1 밀폐부와 상기 지지단의 단부에 전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커버를 닫을 때, 커버에 밀착되는 제2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junction box for solar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시설에서 태양 전지 모듈과 인버터의 연결을 위한 접속함의 방수 및 방진을 위한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시설은 복수의 태양 전지 모듈을 통해 발전된 DC 전력을 모아 인버터를 통해 AC 전력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때, 복수의 태양 전지 모듈과 인버터를 연결시켜기 위해 접속함을 이용하고 있다.
접속함은 내부에 각 태양 전지 모듈과 인버터로 연결된 복수 개의 케이블과 퓨즈를 비롯한 복수 개의 차단장치가 배치되어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육상에 설치되는 접속함은 염분이나, 수분 유입으로 인한 문제가 크게 발생되지 않았으나, 최근 수상이나, 해변가와 같은 지역에 태양광 발전 시설의 설치가 진행되면서 염분이나, 수분 유입에 의한 손상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1813578호 "태양광 모듈 접속함"과 같이 외부 염분 또는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밀폐력이 낮은 구조로 인하여 내외부 온도차 발생시 밀폐력이 급격하게 낮아져 염분이나, 수분 유입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3578호 "태양광 모듈 접속함"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염분이나, 수분 유입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은 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지지단과 상기 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커버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잠금부재와 상기 커버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몸체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단에 밀착되는 제1 밀폐부와 상기 지지단의 단부에 전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커버를 닫을 때, 커버에 밀착되는 제2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밀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되, 제1 밀폐부보다 높은 비중을 가지는 제3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슬롯과 상기 슬롯에 걸쳐지도록 배치되는 제3 밀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밀폐부는 슬롯에 삽입되어 슬롯에 걸쳐진 제3 밀폐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밀폐부는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커버를 닫을 때, 상기 지지단에 밀착되면서 홈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흡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밀폐부는 커버를 닫을 때 지지단에 밀착되어 압축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축부가 지지단에 밀착될 때, 골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흡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밀폐부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범퍼부와 상기 범퍼부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어 커버를 닫을 때, 커버와 지지단 사이에 소정의 압력으로 밀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에 의하면, 제1 밀폐부와 제2 밀폐부의 다중 배치를 통해 밀폐력을 높여 염분이나, 수분 유입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또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제1 밀폐부를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 또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의 제1 밀폐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은 태양광 발전시설에서 각 태양 전지 모듈로 연결된 각 케이블을 인버터에 연결된 케이블과 연결시켜주기 위한 것으로써, 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지지단(2)과 상기 몸체(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3)와 상기 몸체(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커버(3)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잠금부재(4)와 상기 커버(3)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몸체(1)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단에 밀착되는 제1 밀폐부(5)와 상기 지지단(2)의 단부에 전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커버(3)를 닫을 때, 커버(3)에 밀착되는 제2 밀폐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는 하부에 태양 전지 모듈 및 인버터로 연결되는 케이블의 통과시 밀폐를 위한 복수 개의 케이블 그랜드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3)의 내측에는 제습제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구(3a)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밀폐부(5)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3 밀폐부(7)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밀폐부는 커버(3)를 닫았을 때, 몸체(1)의 지지단(2)에 밀착되어 제1 밀폐부(5)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시켜 외부의 이물에 의해 제1 밀폐부(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3 밀폐부(7)는 수분이나, 염분 유입의 방지보다는 이물에 의한 제1 밀폐부(5)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더 크기 때문에 밀폐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밀폐부(5)보다 제3 밀폐부(7)가 높은 비중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밀폐부(5)는 커버(3)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슬롯(11)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3 밀폐부(7)는 단부에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슬롯(11)에 걸쳐지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밀폐부(5)는 제3 밀폐부(7)의 걸림턱(12)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간단한 구조로 제3 밀폐부(7)를 고정시키면서 제1 밀폐부(5)를 완전히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밀폐부(7)는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1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커버(3)를 닫을 때, 제3 밀폐부(7)의 단부가 상기 지지단(2)에 밀착되면서 홈(13)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흡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3 밀폐부(7)가 커버(3)와 몸체(1)의 지지단(2)에 완전히 붙어 1차적으로 외부 이물을 차단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밀폐부(5)는 커버(3)를 닫을 때 지지단(2)에 밀착되어 압축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압축부(21)와 상기 압축부(21)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골(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축부(21)가 지지단(2)에 밀착될 때, 골(2)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흡착되도록 구성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압축부(21)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골(2)이 형성된 부위보다 더 압축될 수 있으며, 골(2)이 형성된 부위는 진공흡착을 위해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밀폐부(6)는 내부에 빈 공간(6a)이 형성된 범퍼부(23)와 상기 범퍼부(23)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어 커버(3)를 닫을 때, 커버(3)와 지지단(2) 사이에 소정의 압력으로 밀착되는 날개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범퍼부(23)는 커버(3)와 지지단(2) 사이를 밀폐시키되, 자체 탄성력과 내부의 빈 공간(6a)을 통한 탄성력을 바탕으로 온도 등의 외부환경 변화에 따라 변동되는 몸체(1)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어느 정도 탄성수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날개부(24)는 내부 압력 변화에도 밀폐력이 변동되지 않도록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자체 탄성력을 바탕으로 커버(3)와 지지단(2)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몸체
2 : 지지단
3 : 커버
4 : 잠금부재
5 : 제1 밀폐부
6 : 제2 밀폐부
7 : 제3 밀폐부
11 : 슬롯
12 : 걸림턱
13 : 홈
21 : 압축부
22 : 골
23 : 범퍼부
24 : 날개부

Claims (6)

  1. 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지지단과;
    상기 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커버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잠금부재와;
    상기 커버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몸체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단에 밀착되는 제1 밀폐부와;
    상기 지지단의 단부에 전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커버를 닫을 때, 커버에 밀착되는 제2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슬롯과;
    상기 슬롯에 걸쳐지도록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제1 밀폐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밀폐부보다 높은 비중을 가지는 제3 밀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밀폐부는 슬롯에 삽입되어 슬롯에 걸쳐진 제3 밀폐부의 걸림턱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3 밀폐부를 고정시키고, 제3 밀폐부가 제1 밀폐부를 완전히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밀폐부는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커버를 닫을 때, 상기 지지단에 밀착되면서 홈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흡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폐부는
    커버를 닫을 때 지지단에 밀착되어 압축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축부가 지지단에 밀착될 때, 골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흡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폐부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범퍼부와;
    상기 범퍼부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어 커버를 닫을 때, 커버와 지지단 사이에 소정의 압력으로 밀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KR1020210017975A 2021-02-09 2021-02-09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KR102495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75A KR102495444B1 (ko) 2021-02-09 2021-02-09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75A KR102495444B1 (ko) 2021-02-09 2021-02-09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677A KR20220114677A (ko) 2022-08-17
KR102495444B1 true KR102495444B1 (ko) 2023-02-06

Family

ID=8311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975A KR102495444B1 (ko) 2021-02-09 2021-02-09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32B1 (ko) * 2023-08-25 2024-04-24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화재방지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45B1 (ko) 2016-10-24 2017-06-07 주식회사 창우 옥외 등주용 진공 이중 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669A (ko) * 2015-05-20 2016-11-30 주식회사 만도 전자기기용 하우징 결합구조
KR101813578B1 (ko) * 2016-04-04 2017-12-29 인피니티에너지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접속함
KR101956015B1 (ko) * 2016-11-28 2019-03-08 안달헌 수상 태양광 발전소용 메인 정션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45B1 (ko) 2016-10-24 2017-06-07 주식회사 창우 옥외 등주용 진공 이중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677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3075B2 (en) BIPV junction box
JP5279829B2 (ja) 端子ボックス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2495444B1 (ko)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US20120222880A1 (en) Water-resistant while-in-use electrical box
KR101678535B1 (ko) 밀폐케이스
KR20130103814A (ko) 일체형 압축 유닛을 갖는 전이부 프레임
JP6467529B2 (ja) ソーラーパネル用のソーラー接続箱
JP4966647B2 (ja) 電気接続箱のシール構造
JP4605144B2 (ja) 電気接続箱
KR20120009310A (ko) 태양전지 패널용 정션박스의 하우징 구조
JP2008500238A (ja) シール可能なドア付きウエハー容器
CN107278179B (zh) 用于容纳工具或小零件的箱体
CN214797582U (zh) 一种遥控器电池盖密封结构
CN218549413U (zh) 一种防水防尘式分线盒
CN105173368A (zh) 一种包装箱
BR102015028589A2 (pt) caixa eletroisolante com dois graus de hermeticidade para eletricidade, computação e/ou telefonia
CN116598973B (zh) 一种水密接线盒
CN110880829A (zh) 一种具有密封结构的微型电机
JP6868502B2 (ja) 電気接続箱
CN219496767U (zh) 一种防水光缆分纤箱
CN212710507U (zh) 一种防潮抗压的化妆品转运箱
CN215157289U (zh) 一种多功能安全箱
CN212196657U (zh) 一种电路板防水装置
CN217607408U (zh) 集装箱及储能系统
CN112448094A (zh) 电池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