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381B1 - 광 전송 시스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위한 스케줄링 방법 - Google Patents

광 전송 시스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위한 스케줄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381B1
KR102495381B1 KR1020180084774A KR20180084774A KR102495381B1 KR 102495381 B1 KR102495381 B1 KR 102495381B1 KR 1020180084774 A KR1020180084774 A KR 1020180084774A KR 20180084774 A KR20180084774 A KR 20180084774A KR 102495381 B1 KR102495381 B1 KR 102495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terminal
downlink
network controller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488A (ko
Inventor
다비드 미라
루크 마렛
미카엘 마망
Original Assignee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filed Critical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Publication of KR2019001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05Fixed allocated frame structures
    • H04J3/1652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2Line-of-sight transmission over an extended range
    • H04B10/1129Arrangements for outdoor wireless networking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3Bidirection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9Arrangements for indoor wireless networking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8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86Medium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89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SONET
    • H04J2203/0091Time slot ass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무선 시스템에서 전송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원들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간섭 다이어그램의 비대칭성을 고려하여 그리고 간섭이 없는 영역들에서, 각 채널에 대한 전송 간격의 재사용을 채택하여 할당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할당 방법은 최상의 업링크(또는 다운링크)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구별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릴레이를 허용한다.

Description

광 전송 시스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위한 스케줄링 방법 {Scheduling method for uplink and downlink of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광 무선 통신의 영역에 관한 것으로, 특히 Li-Fi(Light Fidelity)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펙트럼 점유 문제를 해결하고 Wi-Fi 시스템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최근 OWC(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s) 시스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개략적으로, Li-Fi 시스템은 Wi-Fi 시스템(IEEE 표준 802.11 준수)과 유사하지만, RF 스펙트럼 대신 가시 스펙트럼을 사용한다. Li-Fi 시스템들의 PHY(physical) 계층 및 MAC 계층은 이미 IEEE 표준 802.15.7에서 표준화되었다.
광 신호가 불투명한 파티션을 통과하지 않는 한, 그러한 파티션들에 의해 분리된 셀들 간에는 간섭이 없다. 그러나, Li-Fi 셀들이 자유 공간에 배치될 때, 인접 셀들 간의 간섭을 제거해야 한다.
광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 셀들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제1 기술은 주파수 재사용 패턴을 채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2013년 제24회 International Symposium on Personal, Indoor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s의 Proc에 공개된 C. Chen 등의 논문 “Fractional frequency reuse in optical wireless cellular network”의 pp. 3594-3598는 셀들이 전체 대역이 사용될 수 있는 중심 영역과 셀들 간의 간섭에 의한 영향을 받는 주변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두 개의 인접한 셀들의 두 개의 주변 영역들이 별개의 서브 대역들에 의해 커버되도록 오직 서브 대역들이 사용된다는 것을 제안한다.
광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2 간섭 관리 기술은 광원 아래의 공간에서 사용자들의 위치를 검출한 다음 시간 영역에서 이러한 사용자들 간의 광 흐름을 분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두 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사용자들은 별개의 순간에 공간적으로 적응된 셀들에 의해 서비스된다. 이 기술은 2009년 10월 31일자 제의서(proposal)인, S. Rajagopal 등의 “IEEE 802.15.7 VLC PHY/MAC proposal- Samsung ETRI”IEEE 표준에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는 많은 수의 광원들이 배치되는 것을 가정한다.
전술한 기술들은 업링크들과 다운링크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의 비대칭을 고려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업링크와 다운링크 간의 간섭의 비대칭성을 갖는 광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광 원격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이더넷 링크를 사용하여 메인 네트워크(100)에 연결된 다수의 광 액세스 포인트(AP)들(110)을 포함한다. 각각의 액세스는 가시광선 범위 내에서 발광하는 LED 광원에 연결된 모뎀이 장착되어 있으며, 모뎀은 방출된 광의 강도를 변조하도록 소스 전원 전류를 변조한다.
단말들(120)에는 광 수신기를 포함하는 “동글(dongle)”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광 수신기는 광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복조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복구한다. 역으로, 동글 또는 단말 자체는 적외선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업링크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는 적외선 신호를 변조하는데 사용된다. 적외선 신호는 액세스 포인트에 장착된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수신된 다음, 주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복조된다.
도시된 예에서,
Figure 112018072001261-pat00001
는 광 액세스 포인트(light access point)들을 나타내며,
Figure 112018072001261-pat00002
는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다.
도 1a는 액세스 포인트들
Figure 112018072001261-pat00003
각각의 광학 커버리지 영역을 도시한다.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004
Figure 112018072001261-pat00005
Figure 112018072001261-pat00006
의 커버리지 영역들에 위치하고, 그리고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007
Figure 112018072001261-pat00008
의 커버리지 영역에만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009
이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10
와 연결된다면(associated),
Figure 112018072001261-pat00011
에 의해 다운링크 상으로 방출된 신호는
Figure 112018072001261-pat00012
Figure 112018072001261-pat00013
간의 다운링크와 간섭한다.
도 1b는 업링크 상의 대응하는 간섭 상황을 도시한다.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14
는 단말들
Figure 112018072001261-pat00015
Figure 112018072001261-pat00016
에 의해 업링크 상으로 방출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반면,
Figure 112018072001261-pat00017
Figure 112018072001261-pat00018
에 의해 수신된
Figure 112018072001261-pat00019
Figure 112018072001261-pat00020
로부터의 신호들에 대한 간섭은 없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커버리지 영역의 공간 분포는 대칭적이지 않다; 수신기는 방사체(emitter)로부터 멀리 떨어져있을 수 있고, 방사체의 방사 다이어그램과 수신기의 수신 다이어그램은 거의 동일하지 않다(조준각, 지향성(directivity)). 뿐만 아니라, 렌즈와 같은 굴절 광학 컴포넌트들의 사용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간섭의 비대칭을 더욱 강조하는 방사선 다이어그램의 지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비대칭 상황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동일한 전략이 차선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상의 간섭의 비대칭을 고려하면서 간단하고 효율적인 광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시하는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그리고 다수의 단말들을 포함하는 광 무선 시스템에서 전송 타임 슬롯들(이하에서는 간단히 타임 슬롯이라 함)을 할당하는 방법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
-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각 단말과 연결되어,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 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평균 품질이 최대가 되게 하며;
-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각 단말은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커버리지 정보를 결정하고;
- 단말의 커버리지 정보가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로 감소될 때,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관리되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21
) 내에서, 다운링크에 타임 슬롯을 할당하며;
- 단말의 커버리지 정보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을 포함할 때,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22
) 내에서,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간의 다운링크에 타임 슬롯을 할당하며,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커버리지 정보에 속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가용 시간 범위들로부터 상기 할당된 타임 슬롯을 제거한다.
유리하게는 :
-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되는 단말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수신 정보를 결정하며;
- 단말의 식별자가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 정보에서만 나타날 때, 이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관리되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23
) 내에서, 업링크에 타임 슬롯을 할당하며;
- 상기 단말 식별자가 다수 항목의 수신 정보에서 나타날 때, 네트워크 제어기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24
) 내에서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업링크에 전송 타임 슬롯을 할당하고 그리고 그와 동시에, 자신의 수신 정보에서 상기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모든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상기 가용 시간 범위들로부터 상기 할당된 전송 타임 슬롯을 제거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및 다수의 단말들을 포함하는 광 무선 시스템에서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방법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
-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각 단말과 연결되어,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 간의 업링크의 품질이 최대가 되게 하며;
-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각 단말은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 및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과의 다운링크의 품질 표시자들을 포함하는 커버리지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커버리지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게 포워딩되며;
- 단말의 커버리지 정보가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로 감소될 때,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관리되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25
) 내에서, 다운링크에 타임 슬롯을 할당하며;
-  상기 커버리지 정보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을 포함할 때,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보조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여, 상기 보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 간의 다운링크의 품질이 최대가 되게 하며, 상기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단말 간의 다운링크는 상기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보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한 제1 링크 및 상기 보조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단말 사이의 제2 다운링크를 포함하며;
-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26
) 내에서, 상기 보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 간의 상기 제2 다운링크에 타임 슬롯을 할당하며, 그리고 그와 동시에, 상기 커버리지 정보에 속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상기 가용 시간 범위들로부터 상기 할당된 타임 슬롯을 제거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및 다수의 단말들을 포함하는 광 무선 시스템에서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방법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
-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각 단말과 연관되어,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 간의 다운링크의 품질이 최대가 되게 하며;
- 각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되는 단말 식별자들 및 이러한 단말들과의 업링크의 품질 표시자들을 포함하는 수신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게 전송되며;
- 단말의 식별자가 자신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 정보에서만 나타날 때, 이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관리되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27
) 내에서, 상기 업링크에 타임 슬롯을 할당하며;
- 단말 식별자가 다수 항목의 액세스 포인트 수신 정보에서 나타날 때,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보조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여, 상기 보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 간의 업링크의 품질이 최대가 되게 하며, 상기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단말 간의 업링크는 상기 단말 및 상기 보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제1 링크 및 상기 보조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유선 네트워크 내의 제2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와 관계없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시스템은 IEEE 표준 802.15.7을 준수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읽은 후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간섭의 비대칭성을 갖는 광 원격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식적으로(diagrammatically) 도시한다.
도 2는 조정된 토폴로지(coordinated topology)를 갖는 광 원격 통신 시스템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광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4a는 광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간섭 그래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의 광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간섭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c는 도 4a의 광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에 대한 타임 슬롯의 할당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광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타임 슬롯을 할당하기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를 위한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를 위한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롯 방법을 도 1a 및 도 1b의 광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방법을 도 1a 및 도 1b의 광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방법을 도 1a 및 도 1b의 광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서는 IEEE 표준 IEEE 802.15.7r1에 기술된 바와 같은 광 무선 통신 시스템(Li-Fi)을 고려할 것이다. 이 네트워크는 백홀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한다.
이 네트워크는 중앙 간섭 관리 메커니즘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코디네이터라고도 함)(210)은 위에서 언급한 표준의 의미에서 조정된 토폴로지에 따라 백홀 네트워크에 의해 글로벌 컨트롤러(250)에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각각의 단말(230)은 2 개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 간의 간섭을 검출할 수 있고, 간섭 리포트(메트릭)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250)로 포워딩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210)는 두 단말들에 의해 방출된 신호들 간의 간섭 레벨을 분석하고 간섭 리포트를 네트워크 제어기(25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간섭 비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기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백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신호 타임 슬롯들의 시간 할당을 전송한다.
특히, 네트워크 제어기의 기능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슈퍼프레임들을 방출하고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그것들에게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할당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 업링크/다운링크를 통한 전송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슈퍼프레임 구조를 사용한다.
슈퍼프레임은 모든 액세스 포인트들(코디네이터라고도 함)에 의해 동시에 방출되는 연속적인 비콘들로 구분된다. 이는 3 개의 연속된 부분들로 나누어진다 :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에서) 제어 메시지의 전송에 전용인 제어 주기 또는 비콘 주기(BP)라고 불리는 제1 부분 및 단말이 랜덤으로 전송할 수 있는 CAP(Contention Access Period)이라고 불리는 제2 부분 및 단말들과 액세스 포인트들이 각각 업링크와 다운링크에서 액세스 충돌의 위험 없이 전송할 수 있는 GTS(Guaranteed Time Slot)들로 나누어진 CFP(Contention-Free Period)라 불리는 제3 부분.
간섭 관리는 먼저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간섭 테이블(또는 간섭 매트릭스)을 결정하는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간섭 매트릭스는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배치 동안 커버리지 영역의 측량(survey)으로부터 시작하여 미리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단말들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들을 통해 네트워크 제어기로 포워딩되는 간섭 리포트들을 사용하여 진행될 때 구축될 수 있다.
간섭 매트릭스는 2진수이며 대칭이다.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각 쌍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이것은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상의) 이러한 두 개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커버지리 영역들이 교차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교차점의 부재 또는 존재는 2진 값으로 표시된다.
간섭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상에서 검출될 수 있다. 다운링크에서,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간섭은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을 통해 네트워크 제어기로 포워딩되는, 단말들로부터의 간섭 리포트들로부터 검출된다. 업링크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가 자신에게 어드레싱되지 않은 단말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자마자 간섭이 검출된다. 그 다음, 간섭 리포트는 관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네트워크 제어기에게 전송된다.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간섭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서 검출될 때, 이 간섭은 나중에 더 이상 관측되지 않더라도 획득된 것으로 간주된다.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 커버리지 영역의 교차부에 있는 경우에만 이 간섭이 검출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간섭 매트릭스는 액세스 포인트들 간에 기록된 간섭의 시간 히스토리 추적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액세스 포인트들
Figure 112018072001261-pat00028
간의 간섭 다이어그램을 고려하면, 간섭 테이블은 다음과 같이 주어질 것이다 :
Figure 112018072001261-pat00029
Figure 112018072001261-pat00030
Figure 112018072001261-pat00031
Figure 112018072001261-pat00032
Figure 112018072001261-pat00033
Figure 112018072001261-pat00034
Figure 112018072001261-pat00035
X 1 0 1 1 0
Figure 112018072001261-pat00036
1 X 1 1 1 1
Figure 112018072001261-pat00037
0 1 X 0 1 1
Figure 112018072001261-pat00038
1 1 0 X 1 0
Figure 112018072001261-pat00039
1 1 1 1 X 1
Figure 112018072001261-pat00040
0 1 1 0 1 X
간섭 테이블(또는 매트릭스)은 비호환성 그래프라고 하는 그래프의 인접 매트릭스로 간주될 수 있으며, 그래프의 정점(vertex)들은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이다. 이 표현에 따르면, 다운링크 상의 두 개의 간섭 액세스 포인트들은 비 호환성 그래프의 인접한 정점들로 표현된다.
도 4b는 도 4a의 간섭 다이어그램에 대응하는 비 호환성 그래프를 나타낸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간섭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이 분리된 타임 슬롯들을 할당받도록, 서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에 타임 슬롯들을 부여한다(
Figure 112018072001261-pat00041
부분에 제어 신호 타임 슬롯들,
Figure 112018072001261-pat00042
부분에 GTS(guaranteed time slot)들). 액세스 포인트가 그것의 이웃들 중 어느 것과도 간섭하지 않을 때, 자체적으로 타임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타임 슬롯들은 비 호환성 그래프의 컬러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그래프의 컬러링은 두 개의 인접한 정점들이 동일한 색상일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그래프의 각 정점들에 색상이 할당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최신 기술에 공지된 공정한(equitable) 컬러링 알고리즘(예를 들어, Welsh and Pwell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의 두 개의 인접한 정점들이 서로 다른 컬러로 채색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그래프 내의 상이한 컬러의 수가 최소화될 것이다.
도 4c는 도 4b의 비 호환성 그래프에 따라 타임 슬롯의 예시적 할당을 도시한다. 각 행은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하며, BP, CAP 및 CFP 부분들을 포함하여 다운링크에서 전송되는 슈퍼프레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들
Figure 112018072001261-pat00043
Figure 112018072001261-pat00044
에 대응하는 행들은 동일한 색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 제어 신호들은 임의의 간섭의 위험성을 가지면서 다운링크를 통해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45
에 대응하는 행의 색은 액세스 포인트들
Figure 112018072001261-pat00046
Figure 112018072001261-pat00047
에 대응하는 색과 상이하다. 따라서,
Figure 112018072001261-pat00048
는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들에 대한 간섭을 발생시킬 위험 없이
Figure 112018072001261-pat00049
Figure 112018072001261-pat00050
와 동시에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 신호 타임 슬롯들은 슈퍼프레임 내의 서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에 할당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들
Figure 112018072001261-pat00051
Figure 112018072001261-pat00052
Figure 112018072001261-pat00053
의 제1 간격(
Figure 112018072001261-pat00054
) 동안 그것들의 제어 메시지들을 발송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55
Figure 112018072001261-pat00056
의 제2 간격(
Figure 112018072001261-pat00057
)에서 발송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들
Figure 112018072001261-pat00058
Figure 112018072001261-pat00059
Figure 112018072001261-pat00060
의 간격(
Figure 112018072001261-pat00061
)에서 발송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62
는 간격(
Figure 112018072001261-pat00063
)에서 발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자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 타임 슬롯을 할당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 제1 단계는 슈퍼프레임의 제어 부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64
) 동안 타임 슬롯들의 할당에 적용된다.
단계 510에서, 다운링크에서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간섭이 검출된다. 이러한 간섭의 검출은 단말들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들을 통해 제어기에 포워딩된 (다운링크 상의) 간섭 리포트들로부터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업링크에서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간섭이 검출된다. 이러한 간섭의 검출은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포워딩된 (업링크 상의) 간섭 리포트들로부터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수행된다.
이 단계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배치(deployment) 중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이전에 검출된 간섭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간섭 매트릭스를 결정한다.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상의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간섭의 검출은 매트릭스 내의 제1 이진값에 대응하며 그리고 인터페이스의 부족은 역 이진값(inverse binary value)에 대응한다.
단계 530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정점들이 액세스 포인트들이고 인접 행렬이 간섭 매트릭스에 의해 주어지는 비 호환성 그래프를 구성한다.
단계 540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다운링크 상의 타임 슬롯들을 그래프 상에서 0이 아닌 차수(non-null degree)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할당한다. 이 할당은 이전 단계에서 획득된 비 호환성 그래프를 컬러링함으로써 이루어진다 : 서로 다른 색을 갖는 2 개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제어부 내의 분리된 타임 슬롯들을 할당받는다. 따라서, 커버리지 영역들이 중첩되는 두 개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반드시 분리된 타임 슬롯들을 할당받으며, 그리고 커버리지 영역들이 분리되는 두 개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동일한 시간 간격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그래프 내의 색상의 수를 최소화하면 개별 타임 슬롯들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가 비 호환성 그래프의 널 차수 노드(null degree node)에 대응할 때,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과 독립적으로, 단계 550에서 다운링크 상의 타임 슬롯들을 할당한다.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하는 단말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평균 품질이 가장 높은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링크의 품질은 신호 대 잡음 메트릭을 통해 추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단말은 슈퍼프레임의 제어 부분에서 이 액세스 포인트를 위해 예약된 수신 슬롯에서 상기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에게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발송한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다운링크에서 슈퍼프레임의 CFP(Contention-Free Period) 부분 동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GTS(guaranteed time slot)들을 할당할 수 있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제어기는 업링크 상에서 슈퍼프레임의 CFP 부분 동안 단말들에게 GTS를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일 GTS가 액세스 포인트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 할당될 수 있으며, 여기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는 분리된 스펙트럼 범위들의 사용(예를 들어, 다운링크에서 가시광선 그리고 업링크에서 적외선)에 의해 분리된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우선, 다운링크 상의 간섭이 검출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각각의 단말은 그것이 어느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한다.
단말 커버리지 정보라 불리는 이 정보(예를 들어, 검출된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의 목록)는 업링크를 통해 전송되고 네트워크 제어기에 공급된다.
단말 커버리지 정보가 단일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만을 포함한다면, 다운링크에 간섭이 없다고 결론지어진다. 그 다음, 해당 액세스 포인트는 자율적으로(즉, 네트워크 제어기를 참조하지 않고) 다운링크 상의 GTS를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는 자체 커버리지 영역(즉, 이웃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 영역과 공유되지 않은 커버리지 영역)에서 다운링크 상의 GTS 타임 슬롯들의 할당을 자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율적 할당은 아래에 정의된,
Figure 112018072001261-pat00065
라 불리는,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아직 할당되지 않은
Figure 112018072001261-pat00066
부분의 영역 내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명백하게, 이 영역 내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다른 다운링크에 타임 슬롯이 할당되어서는 안된다.
한편, 커버리지 정보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을 포함하면, 즉, 단말이 다운링크들 간의 간섭 영역에 있다면, GTS는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할당된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각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67
)에 대해 CFP 부분의 영역(
Figure 112018072001261-pat00068
)을 관리한다.
할당을 시작하기 전에, 즉 다운링크를 설정하기 전에, 각 액세스 포인트는 슈퍼프레임의 전체 CFP 부분과 동일한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69
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가 다운링크에서 단말에 GTS를 할당할 때,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70
를 줄임으로써 오직 이것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할당이 이루어질 때, 네트워크 제어기는 단말의 커버리지 정보에 나타나는 액세스 포인트들(
Figure 112018072001261-pat00071
)의 가용 시간 범위(다운링크)
Figure 112018072001261-pat00072
로부터 할당된 타임 슬롯을 제거한다.
실제로, 네트워크 제어기는 각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가용 시간 범위(다운링크)를 나타내는 제1 메모리 영역을 갖는다. 이 메모리 영역은 CFP 영역의 타임 슬롯 수와 동일한 수의 섹션들로 분할된다. 단말로의 다운링크를 위한 액세스 포인트에 타임 슬롯이 할당될 때, 단말의 커버리지 정보에 나타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제1 메모리 영역들의 대응 섹션들에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가 저장된다. 역으로,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 간의 다운링크가 끊어지면,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는 관련된 대응 섹션들로부터 삭제되고, 그리고 시간 범위들은 이전에 할당된 타임 슬롯만큼 증가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73
의 제1 메모리 영역의 섹션이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을 때, 그것이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74
의 일부를 형성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업링크에서의 간섭은 유사한 방식으로 검출된다. 보다 정확하게,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는 업링크상에서 수신하는 단말 식별자들의 리스트(이후, 수신 정보라 칭함)를 결정한다.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075
)의 식별자가 그것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 정보에만 나타나면, GTS는 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자율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업링크 상에 간섭이 존재할 것이고, 네트워크 제어기는 할당을 담당한다. 네트워크 제어기가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076
)과 그것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77
) 사이의 업링크에 GTS를 할당할 때, 관련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78
)에 대해 가용 시간 범위(업링크)
Figure 112018072001261-pat00079
내에서만 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할당이 이루어질 때, 네트워크 제어기는 연결 정보가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080
)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액세스(
Figure 112018072001261-pat00081
)의 가용 시간 범위(다운링크)
Figure 112018072001261-pat00082
로부터 할당된 타임 슬롯을 제거한다.
실제로, 다운링크에 관해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가용 시간 범위(업링크)를 나타내는 제2 메모리 영역을 갖는다. 이 메모리 영역은 CFP 영역 내의 각 타임 슬롯에 대해 하나의 섹션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섹션은 대응하는 타임 슬롯이 할당된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타임 슬롯이 업링크에 할당될 때, 수신 정보가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제2 메모리 영역들의 대응 섹션들에 단말 식별자가 저장된다. 반대로, 단말과 액세스 포인트 간의 업링크가 끊어질 때, 단말 식별자는 관련된 대응 섹션들에서 삭제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83
)의 제2 메모리 영역의 섹션이 임의의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을 때, 그것이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시간 범위(업링크)
Figure 112018072001261-pat00084
의 일부를 형성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를 위한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85
)와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086
) 간의 다운링크가 고려된다.
단계 610에서,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087
)은 그것의 커버리지 정보(검출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식별자들의 리스트)를 결정하고 그것을 네트워크 제어기에 전송한다.
단계 620에서, 커버리지 정보가 그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88
)로 감소되는지가 결정된다.
그렇다면, 단계 625에서,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89
)는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90
에서 다운링크에 타임 슬롯을 할당한다.
그렇지 않다면, 할당은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계 630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91
내에서 다운링크에 타임 슬롯을 할당한다.
단계 640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단말의 커버리지 정보에 존재하는 액세스 노드들(
Figure 112018072001261-pat00092
)에 대한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93
로부터, 그리고 이에 따라 특히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094
로부터 상기 할당된 타임 슬롯을 제거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에 대한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095
)과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96
) 사이의 업링크가 고려된다.
단계 650에서,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는 그 수신 정보(검출된 단말들의 식별자들의 리스트)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제어기에 전송한다.
단계 660에서,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097
)의 식별자가 오직 그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98
)에 대한 수신 정보에만 나타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러한 경우라면, 단계 665에서,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099
)는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100
에서 타임 슬롯을 업링크에 할당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할당은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계 670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101
내에서 업링크에 타임 슬롯을 할당한다.
단계 680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할당된 타임 슬롯의, 수신 정보가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들(
Figure 112018072001261-pat00102
)에 대한 시간 범위들
Figure 112018072001261-pat00103
, 그리고 이에 따라 특히, 그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104
)에 대한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105
를 절단한다. 타임 슬롯의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106
의 절단은, 이 타임 슬롯은 시간
Figure 112018072001261-pat00107
으로부터 제거되고 이 시간 범위의 나머지는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롯 할당 방법을 도 1a 및 도 1b의 광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다.
이 도면은 슈퍼프레임의 BP, CAP 및 CFP 부분들을 나타내는, 슈퍼프레임의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도면의 상부는 다운링크(DL) 상의 타임 슬롯들의 할당을 도시하고, 도면의 하부는 업링크(UL)상의 타임 슬롯들의 할당을 도시한다.
슈퍼프레임의 제어 부분(BP)에 관하여,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는 도 1a의 간섭 다이어그램과 일치하는 다운링크 상의 제어 신호 타임 슬롯(
Figure 112018072001261-pat00108
)을 가지며, 각 커버리지 영역은 다른 두 영역들과 교차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업링크에서, 제어 신호 타임 슬롯은 각각의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09
)에 할당된다.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110
)와 관련하여 귀속된 제어 신호 타임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이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업링크가 없기 때문이다.
슈퍼프레임의
Figure 112018072001261-pat00111
부분에 관하여, 다운링크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112
)는
Figure 112018072001261-pat00113
과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그것에 할당된 데이터 타임 슬롯(다운링크)(
Figure 112018072001261-pat00114
) 외부에서 전체 가용 시간 범위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Figure 112018072001261-pat00115
이다.
이에 대응하여, 이 타임 슬롯은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16
)의 커버리지 정보에 나타나는 액세스 포인트들, 즉
Figure 112018072001261-pat00117
에 대한 가용 시간 범위들(다운링크)로부터 삭제되었다.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118
는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19
)에 대한 커버리지 정보 또는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20
)에 대한 커버리지 정보에 나타나지 않는 한 전체 가용 시간 범위를 사용할 수 있다. 즉,
Figure 112018072001261-pat00121
이다.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122
)의 가용 시간 범위는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18072001261-pat00123
로 절단된다. 즉,
Figure 112018072001261-pat00124
이다. 타임 슬롯
Figure 112018072001261-pat00125
Figure 112018072001261-pat00126
와 통신하기 위해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127
내에서
Figure 112018072001261-pat00128
에 의해 할당된다.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29
의 커버리지 정보가
Figure 112018072001261-pat00130
로 한정되기 때문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31
Figure 112018072001261-pat00132
의 가용 시간 범위들에서 이 타임 슬롯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
업링크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Figure 112018072001261-pat00133
와 통신하기 위해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34
에 데이터 타임 슬롯
Figure 112018072001261-pat00135
을 할당한다.
Figure 112018072001261-pat00136
의 수신 정보, 즉
Figure 112018072001261-pat00137
이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38
의 식별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 타임 슬롯은
Figure 112018072001261-pat00139
의 가용 시간 범위(업링크)로부터 제거된다. 즉,
Figure 112018072001261-pat00140
이다. 한편,
Figure 112018072001261-pat00141
의 수신 정보, 즉
Figure 112018072001261-pat00142
이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43
의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타임 슬롯
Figure 112018072001261-pat00144
Figure 112018072001261-pat00145
의 가용 시간 범위(업링크)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네트워크 제어기는
Figure 112018072001261-pat00146
와의 업링크에 대해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47
에게 타임 슬롯
Figure 112018072001261-pat00148
을 할당한다.
Figure 112018072001261-pat00149
의 수신 정보, 즉
Figure 112018072001261-pat00150
이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51
의 식별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 타임 슬롯은 이에 대응하여
Figure 112018072001261-pat00152
의 가용 시간 범위(업링크)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Figure 112018072001261-pat00153
이다.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154
의 제2 메모리 영역에서
Figure 112018072001261-pat00155
에 대응하는 섹션이
Figure 112018072001261-pat00156
의 식별자들을 포함한다는 것의 유의될 것이다. 그러나, 업링크들
Figure 112018072001261-pat00157
,
Figure 112018072001261-pat00158
중 하나를 깨뜨리는 것은 시간 슬롯
Figure 112018072001261-pat00159
을 자유롭게 하지 않는다(not free). 링크가 끊어지지 않은 단말의 식별자가 관련 섹션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2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단말로의 연결은 오직 업링크의 품질에만 기초한다고 가정된다.
이 경우, 수신 정보는, 단말 식별자들에 추가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측정된 링크 품질 표시자들을 포함한다. 최고 품질의 업링크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과 연관되도록 선택된다.
단계 610에서,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들을 검출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품질(신호/잡음 비율)도 측정한다. 즉, 단말에 의해 네트워크 제어기에 전송되는 커버리지 정보는 단말로부터 볼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리스트뿐만 아니라,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로 생성될 수 있는 다운링크들의 품질 표시자들도 포함한다.
다음 단계는 커버리지 정보에 나타나는 액세스 포인트들 중 어느 것이 최상의 다운링크 품질 표시자를 갖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다운링크를 만들기 위해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가 업링크를 만들기 위해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하다면, 상황은 도 6a를 참조하여 기술된 상황과 동일하다. 한편, 이 액세스 포인트가 상이하다면, 다운링크는 보조 액세스 포인트라고 하는 최상의 다운링크 품질 표시자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한 제1 링크, 그리고 이 보조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 사이의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최적의 링크 품질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두에서 획득된다. 따라서, 단말과 연결된 (그리고 제어 기간
Figure 112018072001261-pat00160
에서 단말과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타임 슬롯이 할당되는 다운링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분리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방법을 도 1a 및 도 1b의 광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다.
도면의 상부는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61
)과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162
) 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Figure 112018072001261-pat00163
Figure 112018072001261-pat00164
간의 업링크는 최상의 링크 품질을 제공하는 업링크이다. 한편, 이 경우, 다운링크에서,
Figure 112018072001261-pat00165
Figure 112018072001261-pat00166
간의 링크 품질은
Figure 112018072001261-pat00167
Figure 112018072001261-pat00168
간의 링크보다 좋다. 따라서, 선택된 다운링크는
Figure 112018072001261-pat00169
Figure 112018072001261-pat00170
간의 유선 네트워크(이더넷)를 통한 제1 링크 및
Figure 112018072001261-pat00171
Figure 112018072001261-pat00172
간의 제2 링크(광 무선)로 구성된다.
도면의 아래 부분은 타임 슬롯들의 할당을 도시한다. 업링크 상에서의 이러한 할당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다운링크에서, 데이터 타임 슬롯은
Figure 112018072001261-pat00173
Figure 112018072001261-pat00174
사이의 링크에 할당되는 대신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75
Figure 112018072001261-pat00176
사이의 링크에 할당된다. 데이터 흐름은 여전히
Figure 112018072001261-pat00177
를 통해 전송되지만, 그것을
Figure 112018072001261-pat00178
로 전송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Figure 112018072001261-pat00179
으로 릴레이된다.
제3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과의 연결은 오직 다운링크의 품질에만 기초한다고 가정된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 이외에, 커버리지 정보는 단말에 의해 측정된 링크 품질 표시자들을 포함한다. 최고 품질의 다운링크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과 연관되도록 선택된다.
이 경우, 단계 650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단말들의 식별자들을 검출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품질(신호/잡음 비)도 측정한다. 즉,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네트워크 제어기에 전송되는 수신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볼 수 있는 단말들의 리스트뿐만 아니라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업링크들의 품질 표시자들도 포함한다.
다음 단계는 그것들의 수신 정보에서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들 중 어느 것이 최상의 업링크 품질 표시자를 갖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업링크를 만들기 위해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가 다운링크를 만들기 위해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하다면, 상황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황과 동일하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가 상이하다면, 업링크는 보조 액세스 포인트라고하는 최상의 업링크 품질 표시자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사이의 제1 링크, 그리고 이러한 보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한 제2 링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다운링크와 업링크 모두에서 최적의 링크 품질이 획득된다. 따라서, 단말과 연결된 (그리고 제어 기간
Figure 112018072001261-pat00180
에서 단말과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업링크 액세스 포인트, 즉 타임 슬롯을 할당받고 데이터가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분리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방법을 도 1a 및 도 1b의 광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다.
도면의 상부는 단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81
)과 액세스 포인트(
Figure 112018072001261-pat00182
) 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Figure 112018072001261-pat00183
Figure 112018072001261-pat00184
간의 다운링크는 최상의 링크 품질을 제공하는 다운링크이다. 한편, 이 경우, 업링크에서,
Figure 112018072001261-pat00185
Figure 112018072001261-pat00186
  간의 링크는
Figure 112018072001261-pat00187
Figure 112018072001261-pat00188
간의 링크보다 더 낫다. 따라서, 선택된 업링크는
Figure 112018072001261-pat00189
Figure 112018072001261-pat00190
간의 제1(광 무선) 링크 및
Figure 112018072001261-pat00191
Figure 112018072001261-pat00192
간의 유선 네트워크(이더넷)를 통한 제2 링크로 구성된다.
도면의 아래 부분은 타임 슬롯들의 할당을 보여준다. 다운링크에서의 이러한 할당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업링크에서, 데이터 타임 슬롯은
Figure 112018072001261-pat00193
Figure 112018072001261-pat00194
사이의 링크에 할당되는 대신에
Figure 112018072001261-pat00195
Figure 112018072001261-pat00196
사이의 링크에 할당된다. 그 다음,
Figure 112018072001261-pat00197
에 전송되는 데이터 흐름은
Figure 112018072001261-pat00198
에 의해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Figure 112018072001261-pat00199
에게 릴레이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는 업링크의 품질과 다운링크의 품질의 평균에 기초하여 선택되며, 링크의 품질은 예를 들어 에러율 또는 신호 대 잡음비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추정된다. 이 경우, 최상의 다운링크 품질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최상의 업링크 품질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모두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와 상이할 수 있다. 그 다음, 타임 슬롯은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다운링크에서 제1 보조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되며, 그리고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에서 제2 보조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된다. 마지막으로,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는 제어 신호들 및 메시지들에 대해서만 사용된다.

Claims (5)

  1.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그리고 다수의 단말들을 포함하는 광 무선 시스템에서 전송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각 단말과 연결되어(associated),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 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평균 품질이 최대가 되게 하며;
    -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각 단말은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커버리지 정보를 결정하고(610);
    - 단말의 커버리지 정보가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로 감소될 때,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관리되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200
    ) 내에서, 다운링크에 전송 타임 슬롯을 할당하며(625);
    - 단말의 커버리지 정보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을 포함할 때,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201
    ) 내에서,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간의 다운링크에 전송 타임 슬롯을 할당하며(630),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커버리지 정보에 속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가용 시간 범위들로부터 상기 할당된 전송 타임 슬롯을 제거하는(640)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타임 슬롯 할당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되는 단말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수신 정보를 결정하며(650);
    - 단말의 식별자가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 정보에서만 나타날 때, 이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관리되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22076728817-pat00202
    ) 내에서, 업링크에 타임 슬롯을 할당하며(660);
    - 상기 단말 식별자가 다수 항목의 수신 정보에서 나타날 때, 네트워크 제어기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22076728817-pat00203
    ) 내에서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업링크에 전송 타임 슬롯을 할당하고(670) 그리고 동시에 수신 정보에서 상기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모든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가용 시간 범위들로부터 상기 할당된 전송 타임 슬롯을 제거하는(680)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타임 슬롯 할당 방법.
  3.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및 다수의 단말들을 포함하는 광 무선 시스템에서 전송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각 단말과 연결되어,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 간의 업링크의 품질이 최대가 되게 하며;
    -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각 단말은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 및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과의 다운링크의 품질 표시자들을 포함하는 커버리지 정보를 결정하고(610), 상기 커버리지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게 포워딩되며;
    - 단말의 커버리지 정보가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로 감소될 때,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관리되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204
    ) 내에서, 다운링크에 전송 타임 슬롯을 할당하며(625);
    -  상기 커버리지 정보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을 포함할 때,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보조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여, 상기 보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 간의 다운링크의 품질이 최대가 되게 하며, 상기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단말 간의 다운링크는 상기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보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한 제1 링크 및 상기 보조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단말 사이의 제2 다운링크를 포함하며;
    -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205
    ) 내에서, 상기 제2 다운링크에 전송 타임 슬롯을 할당하며, 그리고 동시에, 상기 커버리지 정보에 속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가용 시간 범위들로부터 상기 할당된 타임 슬롯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타임 슬롯 할당 방법.
  4.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및 다수의 단말들을 포함하는 광 무선 시스템에서 전송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각 단말과 연결되어,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 간의 다운링크의 품질이 최대가 되게 하며;
    - 각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되는 단말 식별자들 및 이러한 단말들과의 업링크의 품질 표시자들을 포함하는 수신 정보를 결정하고(650), 상기 수신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게 전송되며;
    - 단말의 식별자가 상기 단말과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 정보에서만 나타날 때, 이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관리되는 가용 시간 범위(
    Figure 112018072001261-pat00206
    ) 내에서, 상기 업링크에 전송 타임 슬롯을 할당하며(665);
    - 단말 식별자가 액세스 포인트 다수 항목의 액세스 포인트 수신 정보에서 나타날 때, 상기 네트워크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보조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여, 상기 보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 간의 업링크의 품질이 최대가 되게 하며, 상기 연관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단말 간의 업링크는 상기 단말 및 상기 보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제1 링크 및 상기 보조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유선 네트워크 내의 제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타임 슬롯 할당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 무선 시스템에서 전송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광 시스템은 IEEE 표준 802.15.7을 준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타임 슬롯 할당 방법.
KR1020180084774A 2017-07-21 2018-07-20 광 전송 시스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위한 스케줄링 방법 KR102495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6914 2017-07-21
FR1756914A FR3069401B1 (fr) 2017-07-21 2017-07-21 Methode d'ordonnancement pour voies montante et descendante d'un systeme de transmission op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488A KR20190010488A (ko) 2019-01-30
KR102495381B1 true KR102495381B1 (ko) 2023-02-02

Family

ID=6095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774A KR102495381B1 (ko) 2017-07-21 2018-07-20 광 전송 시스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위한 스케줄링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61860B2 (ko)
EP (1) EP3432487B1 (ko)
JP (1) JP7273468B2 (ko)
KR (1) KR102495381B1 (ko)
FR (1) FR3069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8971B2 (en) * 2016-06-30 2021-05-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communications betwe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ccess points and user equipments
US10791560B2 (en) * 2017-09-28 2020-09-29 Intel Corporation Distributed and adaptive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management
US11968133B2 (en) * 2018-03-19 2024-04-23 Signify Holding B.V. Interference handling for wireless networks with multiple coordinators
CN110290468B (zh) * 2019-07-04 2020-09-22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虚拟隔音通信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CN114556808A (zh) * 2019-08-09 2022-05-27 昕诺飞控股有限公司 用于光学无线网络的干扰抑制
US11671837B2 (en) * 2019-10-17 2023-06-06 Mediatek Singapore Pte. Ltd. Multi-access point coordinated spatial reuse protocol and algorithm
US20210385388A1 (en) * 2019-10-18 2021-12-09 The Aerospace Corporation Tracking system
US11038661B1 (en) * 2019-12-11 2021-06-15 Wipro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ference in Li-Fi communication networks
US11233566B2 (en) * 2019-12-12 2022-01-25 Wipro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ference i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based network
US20230208520A1 (en) * 2020-06-12 2023-06-29 Signify Holding B.V. Interference mitigation
WO2022033951A1 (en) 2020-08-11 2022-02-17 Signify Holding B.V. Improved scheduling for interference handling in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230308176A1 (en) 2020-08-11 2023-09-28 Signify Holding B.V. Improved scheduling for interference handling in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WO2023083785A1 (en) * 2021-11-11 2023-05-19 Signify Holding B.V. Contention-based access fo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24043089A1 (ja) * 2022-08-26 2024-02-29 京セラ株式会社 光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基地局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05134A1 (en) 2009-10-31 2011-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10217044A1 (en) 2009-01-30 2011-09-08 Idro Co., Ltd. Visible light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643B1 (ko) * 2008-06-17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524873B1 (ko) * 2009-02-17 201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683881B1 (ko) * 2009-11-06 2016-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측 가시 프레임 출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166683B2 (en) * 2013-02-14 2015-10-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 joint power line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10292058B2 (en) * 2014-12-16 2019-05-14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Radio over fiber antenna extender systems and methods for high speed trai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7044A1 (en) 2009-01-30 2011-09-08 Idro Co., Ltd. Visible light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US20110105134A1 (en) 2009-10-31 2011-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69401A1 (fr) 2019-01-25
EP3432487B1 (fr) 2019-10-23
US10461860B2 (en) 2019-10-29
JP2019054508A (ja) 2019-04-04
US20190028193A1 (en) 2019-01-24
KR20190010488A (ko) 2019-01-30
EP3432487A1 (fr) 2019-01-23
FR3069401B1 (fr) 2019-08-30
JP7273468B2 (ja) 202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381B1 (ko) 광 전송 시스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위한 스케줄링 방법
US71425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scheduling using network membership information and neighborhood information
US200900409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d-hoc networking over umts protocol
EP3884594B1 (en) Interference-free scheduling for wireless optical networks with multiple coordinators
US20070081507A1 (en) Channel configuration and bandwidth allocation in multi-hop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US7382799B1 (en) On-demand broadcast protocol
US11968133B2 (en) Interference handling for wireless networks with multiple coordinators
KR101683885B1 (ko) 가시광 통신 시스템의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US6574199B1 (en) Unifying slot assignment protocol logical neighborhooding
JP726414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電子装置、及び方法
US11483073B2 (en) Interference handling by automatic time slot allocation for multiple coordinators
US20230179300A1 (en) Link establishment in a multi-cell wireless network
EP13711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scheduling using network membership information and neighborhood information
CN109429273B (zh) 一种资源分配的方法及装置
KR101846013B1 (ko) 인지 무선 tdma 기반 1 대 n 통신 시스템
KR101136641B1 (ko) 클러스터 헤드를 위한 주파수 채널 할당 방법
US7385999B1 (en) Heuristics for combining inter-channel and intra-channel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environment
KR101846014B1 (ko) 인지 무선 tdma 기반 1 대 n 통신 방법
KR101158974B1 (ko) 다중 라디오를 가진 무선 메쉬 노드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
KR20120060044A (ko) 멀티 홉 셀룰러 네트워크의 주파수 재사용 시스템
KR10143452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의 릴레이 중계기에서 간섭 정보를 이용한공간 다중화 장치 및 방법
Iacobelli et al. Radio environment map based architecture and protocols for mobile ad hoc networks
US202001629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time and frequency sequencing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packets in a mesh network
Wu et al. Distributed dynamic channel access scheduling in large WMN systems
CN114270730A (zh) 与通信网络中的无线通信相关的方法、设备和机器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