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028B1 - Sound Device with Function of Whistle Sound Recognition - Google Patents

Sound Device with Function of Whistle Sound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028B1
KR102495028B1 KR1020170152364A KR20170152364A KR102495028B1 KR 102495028 B1 KR102495028 B1 KR 102495028B1 KR 1020170152364 A KR1020170152364 A KR 1020170152364A KR 20170152364 A KR20170152364 A KR 20170152364A KR 102495028 B1 KR102495028 B1 KR 102495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histle
unit
service
whist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3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5535A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앤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앤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앤나
Priority to KR102017015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028B1/en
Publication of KR2019005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5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0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4Segmentation; Word boundary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6Recognition of special voice characteristics, e.g. for use in lie detectors; Recognition of animal vo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에 따르면,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사운드모듈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모듈과 근거리의 카메라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모듈과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을 구비하는 사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거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는 사운드 처리부와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고 상기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고유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휘파람소리 인식부와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한 경우에 지정된 S(S≥1)개의 서비스 기능 중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적어도 s(1≤s≤S)개의 서비스 기능과 상기 근거리모듈, 통신모듈, 카메라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상기 인식된 휘파람소리를 발생시킨 소리발생원을 촬영하는 영상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하며,상기 제어모듈은,M(M≥1)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와 N(N≥1)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i(i≥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j(j≥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생성하는 분포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m(1≤m≤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n(1≤n≤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결정하는 정보 결정부와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발화내용정보를 인식하는 발화내용 인식부와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거나 상기 휘파람소리의 인식 종료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인식 판단부와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하도록 처리하는 지능화 처리부 및 상기 활성화된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sound device having a whistle recogni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module including a sound input unit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and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a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ound device comprising a short-range camera device, a short-range module for proces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amera module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a subject, wherein the sound corresponds to a sound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A sound processing unit that buffers data in a designated buffer area or checks the sound data buffered in the designated buffer area, and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to recognize a designated whistling sound among non-verbal sounds or noises that may occur in a designated space to determine a specific situation. A whistl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unique to the whistle sound generator corresponding to the whistle frequency band of at least one designated whistle sound generator and corresponding to the whistle sound pattern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and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The camera by using at least s (1≤s≤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e among the S (S≥1) service functions specified in the case and any one or more of the short-distance module, communica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A control module including a service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 video service function for photographing a sound generating source that generates the recognized whistling sound through a device, wherein the control module includes M (M≥1)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A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d N whistle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N≥1) whistle pattern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he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generate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i (i≥2) times validly recognize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and use the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at least j ( j≥2) validly recognized whistles Optimize (or customize)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in the space where the sound device passes through a distribution generator that generates whistle sound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distribution and statistically processes the generated whistle sound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 (1≤m≤M) frequency bands of whistle sounds generated,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generated whistle sound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By reading the buffered sound data and a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1≤n≤N) whistle sound patterns optimized (or customized) for the whistling sound of the sound generator, A speech contents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speech contents and recognizes speech conten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speech contents by recognizing language utterances and processing them in natural language If the user's speech content is recognized within a certain time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confirms whether the user's speech content is recognized within s number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It further includes an intelligent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interpretation in association with a service function,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service function.

Description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Sound Device with Function of Whistle Sound Recognition}Sound device with function of whistle sound recognition {Sound Device with Function of Whistle Sound Recognition}

본 발명은 사운드 신호를 입출력하는 사운드모듈과 통신망에 연결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한 거치형 사운드장치에서 사운드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환 판단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한 휘파람소리를 인식 시도하여 인식한 경우에 상기 사운드모듈과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또는 둘의 조합)를 통해 제공 가능한 서비스 중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상기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ionary sound device having a sound modul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sound signals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which can be generated in a designated space by reading sound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module. Corresponds to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band designated for recognizing at least one whistle sound designated for determining a specific reimbursement among non-verbal sounds or noises and/or corresponds to at least one whistle sound pattern designated for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If a specific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and recognized, activate at least one designated service function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among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ound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or the designated service function To provide a sound device that provides.

최근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치형 사운드장치가 판매되고 있다. 예를들어, 아마존사의 '에코', SK텔레콤사의 '누구', KT사의 '기가지니' 등의 거치형 사운드장치가 판매되고 있다.Recently, a stationary sound device that recognizes a user's voice and provides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oice has been sold. For example, stationary sound devices such as Amazon's 'Echo', SK Telecom's 'Who', and KT's 'Giga Genie' are on sale.

그러나 종래의 거치형 사운드장치는 음원 서비스와 음성인식 기술을 결합한 것으로서, 단순히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음성인식을 통해 제공하거나 재생하는 서비스 위주로 동작하고 있으며, 그 외에 다른 분야에는 사용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ationary sound device is a combination of a sound source service and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operates mainly on a service that simply provides or reproduces a sound source desired by a user through voice recognition,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n other field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사운드모듈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모듈과 근거리의 카메라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모듈과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을 구비하는 사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거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는 사운드 처리부와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고 상기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고유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휘파람소리 인식부와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한 경우에 지정된 S(S≥1)개의 서비스 기능 중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적어도 s(1≤s≤S)개의 서비스 기능과 상기 근거리모듈, 통신모듈, 카메라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상기 인식된 휘파람소리를 발생시킨 소리발생원을 촬영하는 영상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하며,상기 제어모듈은,M(M≥1)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와 N(N≥1)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i(i≥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j(j≥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생성하는 분포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m(1≤m≤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n(1≤n≤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결정하는 정보 결정부와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발화내용정보를 인식하는 발화내용 인식부와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거나 상기 휘파람소리의 인식 종료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인식 판단부와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하도록 처리하는 지능화 처리부 및 상기 활성화된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sound module including a sound input unit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and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and a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hort distance A sound device comprising a short-range module for proces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amera device and a camera module for obtaining image information of a subject, wherein sound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A sound processing unit that buffers in a designated buffer area or checks the sound data buffered in the designated buffer area and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to recognize a designated whistling sound to determine a specific situation among non-verbal sounds or noises that may occur in a designated space A whistle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a unique whistling sound of a whistle sound generator corresponding to a whistle frequency band of at least one designated whistle sound generating source and corresponding to a whistling sound pattern of the whistling sound generating source and the whistling sound when recognizing the whistling sound The camera device using at least s (1≤s≤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e among S (S≥1) service functions specified in and any one or more modules of the short-distance module, communica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A control module comprising a; service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 video service function for photographing a sound generating source that generates the recognized whistling sound through Using an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corresponding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and N whistle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N≥1) whistle pattern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he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generate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alidly recognize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at least i (i≥2) times during a designated period of time, and use the N whistle pattern information to generate at least j (j ≥2) times valid recognized whistle pattern A distribu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and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generate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to optimize (or customize)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in the space where the sound device has passed through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 (1≤m≤M) number of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is determined, the generated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is statistically processed, and the whistle sound in the space where the sound device is installed A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n whistle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1≤n≤N) whistle patterns optimized (or customized) for the whistle sound of the source, and the buffered sound data is read to provide the user's language A speech content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speech contents and recognizes speech conten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speech contents by recognizing speech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f the user's speech is recogniz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or after the recognition judging unit and the whistling sound are recognized, the recognized user's speech is s service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It is to provide a sound device equipped with a whistling sound recognition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n intelligent processing unit processing to interpret in association with a function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service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사운드모듈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모듈과 근거리의 카메라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모듈과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을 구비하는 사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거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는 사운드 처리부와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고 상기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고유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휘파람소리 인식부와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한 경우에 지정된 S(S≥1)개의 서비스 기능 중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적어도 s(1≤s≤S)개의 서비스 기능과 상기 근거리모듈, 통신모듈, 카메라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상기 인식된 휘파람소리를 발생시킨 소리발생원을 촬영하는 영상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하며,상기 제어모듈은,M(M≥1)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와 N(N≥1)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i(i≥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j(j≥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생성하는 분포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m(1≤m≤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n(1≤n≤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결정하는 정보 결정부와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발화내용정보를 인식하는 발화내용 인식부와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거나 상기 휘파람소리의 인식 종료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인식 판단부와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하도록 처리하는 지능화 처리부 및 상기 활성화된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ound device having a whistle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module including a sound input unit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and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a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ound device comprising a short-range camera device, a short-range module for proces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amera module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a subject, wherein the sound corresponds to a sound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A sound processing unit that buffers data in a designated buffer area or checks the sound data buffered in the designated buffer area, and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to recognize a designated whistling sound among non-verbal sounds or noises that may occur in a designated space to determine a specific situation. A whistl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unique to the whistle sound generator corresponding to the whistle frequency band of at least one designated whistle sound generator and corresponding to the whistle sound pattern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and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The camera by using at least s (1≤s≤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e among the S (S≥1) service functions specified in the case and any one or more of the short-distance module, communica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A control module including a service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 video service function for photographing a sound generating source that generates the recognized whistling sound through a device, wherein the control module includes M (M≥1)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A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d N whistle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N≥1) whistle pattern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he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generate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i (i≥2) times validly recognize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and use the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at least j ( j≥2) validly recognized whistles Optimize (or customize)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in the space where the sound device passes through a distribution generator that generates whistle sound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distribution and statistically processes the generated whistle sound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 (1≤m≤M) frequency bands of whistle sounds generated,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generated whistle sound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By reading the buffered sound data and a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1≤n≤N) whistle sound patterns optimized (or customized) for the whistling sound of the sound generator, A speech contents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speech contents and recognizes speech conten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speech contents by recognizing language utterances and processing them in natural language If the user's speech content is recognized within a certain time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confirms whether the user's speech content is recognized within s number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telligen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o interpret in association with a service function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service fun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고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histle recognizing unit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corresponds to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band among the M whistle frequency bands, and selects at least one whistle pattern among the N whistle patter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whistling sound corresponding to.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결정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우선 판독할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여 신규 또는 갱신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우선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setting the determined m whistle frequency bands as firstly read whistle frequency bands and storing new or updated sounds, wherein the whistle recognition unit is configured to set the buffered sound. and a function of first recognizing a whistle sou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among the m number of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by reading the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결정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을 우선 판독할 휘파람소리 패턴으로 설정하여 신규 또는 갱신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우선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setting the determined n whistle sound patterns as whistle patterns to be read first and storing new or updated sounds, and the whistle sound recognition unit stores the buffered sound data and a function of first recognizing a whistle sou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sound pattern among the n number of whistle sound patterns stored ab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됨과 동시에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control unit may include a function of activating a specific service function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s utteran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s개의 서비스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와 연동하여 제공하는 서버 연동 서비스와, 상기 사운드모듈을 통해 제공하는 사운드 기반 서비스와, 상기 사운드모듈과 통신모듈을 복합 이용하여 제공하는 복합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 services are a server interworking service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an operation serv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sound-based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sound module, and a combination of the sound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rvice among complex services provided by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 연동 서비스는 무선단말정보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무선단말정보를 이용한 상황 알림 서비스,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호출 서비스,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상황 알림 서비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으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지정된 IPTV장치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interworking ser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paging service us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a situation notification service us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a paging service using an app installed in a wireless terminal, and a situation notification service using an app installed in a wireless termina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deo service that provides video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of the camera to an app installed in a wireless terminal and a video service that provides video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t least one camera to a designated IPTV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기반 서비스는 사운드모듈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지정된 서비스 소리를 지정된 신호출력강도로 출력하는 소음 출력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based service may include a noise output service that outputs a designated service sound at a designated signal output strength through a sound output unit of a sound modul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호출력강도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입력받은 신호입력강도에 반비례하는 신호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output strength may include a signal strength th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ignal input strength of the whistling soun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합 서비스는,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한 결과를 근거로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lex service recognizes the user's speech within a certain time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and associates the user's speech with a service function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ervice provided through an operation serv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공간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환 판단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 슬립모드로 운영되다가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여 인식된 경우에 슬립모드에서 자동으로 웨이크업되어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적어도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운드장치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one whistle designated for a specific reimbursement determination is not recognized among non-verbal sounds or noises that may occur in a designated space, at least one whistle designated to recognize the whistle while operating in a sleep mode When a specific whistle corresponding to a frequency band and/o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pattern designated for recognizing the whistle is recognized and automatically wakes up from the sleep mode, at least service related to the whistle is recognized.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sound device that activates a function or provides a service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운드장치와 운영서버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휘파람소리를 인식하여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암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한 휘파람소리 패턴을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휘파람소리와 발화내용을 연계 인식하여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sound device equipped with a whistling sound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sound device and an operating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recognizing a whistle sound and activating a service related to a whistle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optimizing (or customizing) a whistle frequency band for recognizing a whistle to a whistle sound of a whistle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optimizing (or customizing) a whistle sound pattern for recognizing a whistle sound to the whistle sound of a whistle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ctivating a whistle-related service by linking and recognizing a whistle sound and an utter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However, the drawings shown below and the description below relate to pre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mong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ly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below.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That is, the following examples correspond to examples of preferred union types among numer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s in which specific components (or steps) are omitted or specific configurations (or steps) are omitt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Embodiments in which functions implemented in are divided into specific configurations (or steps), or embodiments in which functions implemented in two or more configurations (or steps) are integrated into any one configuration (or steps), specific configurations (or steps) It is clearly stated that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operation sequence of is replaced are 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not separately mention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refore, it is clearly stated that various examples corresponding to subsets or complements can be divided retroactively from the filing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ollowing example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a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1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sound device 100 equipped with a whistling sound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105a)와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105b)를 포함하는 사운드모듈(105)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모듈(120)을 구비하고,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거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는 사운드 처리부(140)와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휘파람소리 인식부(145) 및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한 경우에 지정된 S(S≥1)개의 서비스 기능 중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적어도 s(1≤s≤S)개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서비스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제어모듈(130)을 구비하는 사운드장치(1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ure 1 shows a communication including a sound module 105 including a sound input unit 105a receiving a sound signal and a sound output unit 105b outputting a sound signal and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 sound processing unit having a module 120 and buffering sound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5a in a designated buffer area or checking sound data buffered in a designated buffer area ( 140) and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band designated to recognize at least one whistle sound designated for determining a specific situation among non-verbal sounds or noises that may occur in a designated space by reading the buffered sound data, and/or Among the whistle recognition unit 145 recognizing a specific whistle sou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esignated whistle pattern to recognize the whistle sound and S (S≥1) service functions designated when the whistle sound is recognized As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sound device 100 having a control module 130 including a service control unit 150 for activating at least s (1≤s≤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the presen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may refer to and/or modify this Figure 1 in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sound device 100 (eg, some components are omitted, subdivided, or combined). Implementation method) may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its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1.

본 도면1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105a)와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105b)를 포함하는 사운드모듈(105)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모듈(120)을 구비하고,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한 휘파람소리를 인식 시도하여 인식한 경우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상기 지정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를 구비한 제어모듈(130)을 구비하며,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15)을 구비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근거리의 카메라장치(185)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모듈(125)과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110)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키 버튼이나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입력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거나, 및/또는 각종 동작 상태나 정보를 출력하는 LED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도시생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면1의 실시예에서 "모듈"이라는 명칭은 편의 상 사운드장치(100)의 기능과 역할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한 용어일 뿐, 그 자체가 어떤 독리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the sound device 100 includes a sound module 105 including a sound input unit 105a receiving a sound signal and a sound output unit 105b outputting a sound signal; It has a communication module 120 includ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ad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5a to generate non-verbal information that can occur in a designated spac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band designated for recognizing at least one whistle sound designated for determining a specific situation among sounds or noises and/o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sound pattern designated for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A control module 130 having one or more functional components for activating at least one designated service function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or providing the designated service function when a specific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by attempting to recognize it, and an operating power supply Equipped with a power module 115 for supplying. Meanwhil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the sound device 10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short-distance module 125 for processing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hort-distance camera device 185 and the camera module 110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a photographed subject. A module may be further provided, and in some cases, an input unit (not shown) including a key button or a touch pad for receiving a user's operation may be further provided, and/or an LED or display for outputting various operating states or information. An included output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the name "module" is only a term for explaining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sound device 100 for convenience, and it is clearly clarified that it does not refer to any independent hardware configuration. it is put

상기 사운드모듈(105)은 사운드장치(100)의 구성부 중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105a)와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105b)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사운드 입출력 관련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a)와 사운드 출력부(105b)는 적어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입력하거나 출력 가능하며,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a)나 사운드 출력부(105b)를 제어모듈(130)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구비한다.The sound module 105 is a generic name for components related to sound input/output including one or more of a sound input unit 105a receiving a sound signal and a sound output unit 105b outputting a sound signal among components of the sound device 100. , Preferably, the sound input unit 105a and the sound output unit 105b can input or output sound signals of at least an audible frequency band, and the sound input unit 105a or the sound output unit 105b is used as a control module 130 and an interface unit (not shown) that interfaces with.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a)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공기의 진동을 검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과 지정된 엔코딩(Encoding) 규칙에 따라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하여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및/또는 회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a)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예컨대,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고, 지정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하여 생성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모듈(13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sound input unit 105a is a general term for a component that receives a sound signal, and encodes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one or more microphones and a designated encoding rule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that detects air vibration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ogram (and/or circuit) module that generates sound data. Preferably, the sound input unit 105a receives a sound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eg, a sound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uttered by a user) through the microphone, and outputs the input audio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designated encoding rule. Sound data generated by encoding the sound signal of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module 130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a)는 상기 사운드장치(100)가 거치된 공간에서 휘파람소리가 인식된 경우 상기 휘파람소리가 발생하는 방향을 탐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input unit (105a) includes one or more directional microphone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the whistling sound is generated when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in the space where the sound device 100 is mounted. may be implemen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b)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 가능한 상기 사운드 신호로 디코딩(Decoding)함과 동시에 상기 사운드 신호의 신호출력강도와 출력품질을 제어하는 프로그램(및/또는 회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출력부(105b)는 상기 제어모듈(130)을 통해 사운드 출력하도록 요청된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생성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 출력하되, 상기 사운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신호출력강도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제어(예컨대, 지정된 기준 거리 이상의 거리에서 지정된 신호수신강도 이상의 신호강도로 수신(또는 청취) 가능하게 설정된 신호강도로 증폭하거나 감소, 및/또는 지정된 방해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지정된 거리에서 지정된 신호수신강도 이상의 신호강도로 수신(또는 청취) 가능하게 설정된 신호강도로 증폭하거나 감소, 및/또는 지정된 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지정된 거리에서 지정된 신호수신강도 이상의 신호강도로 수신(또는 청취) 가능하게 설정된 신호강도로 증폭하거나 감소)하여 사운드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운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출력품질(예컨대, Fs. Qts, Vas 등의 스피커 파라미터)을 제어하여 최대한 사운드 왜곡을 차단하거나 억제하여 사운드 출력(예컨대, 스피커의 공진에 의한 사운드 왜곡을 차단/억제하도록 사운드의 출력품질을 제어하여 출력, 또는 음성신호의 경우 가청도(또는 청감도)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될 수 있도록 음성신호 상의 분절음에 대응하는 사운드 성분이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사운드의 출력품질을 제어하여 출력, 또는 사운드 신호에 비트 열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경우 비트 열이 부호화되는 주파수나 신호강도의 왜곡을 차단/억제하도록 사운드의 출력품질을 제어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105b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that outputs a sound signal, and checks one or more speakers that output sound signals and sound data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s and decodes them into the sound signals that can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ogram (and/or circuit) module that controls the signal output strength and output quality of the sound signal while decoding. Preferably, the sound output unit 105b outputs a sound signal generated by decoding the sound data requested to output sound through the control module 130 through the speaker, and the signal of the sound signal output as sound Control the output strength to a specified signal strength (e.g., amplify or reduce the signal strength set to enable receiving (or listening) with a signal strength higher than the specified signal reception strength at a distance greater than a specified reference distance, and/or even in the presence of a specified obstacle) Receive (or listen) at a signal strength higher than the specified signal reception strength at a specified distance, amplify or reduce to a set signal strength, and/or receive at a specified distance at a signal strength higher than the specified signal reception strength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noise of a specified decibel or higher exists Sound distortion is minimized by outputting sound by amplifying or reducing (or listening) to a set signal strength) and/or controlling the output quality (eg, speaker parameters such as Fs. Qts, Vas, etc.) of the output sound signal. Sound output by blocking or suppressing (eg, output by controlling the output quality of sound to block / suppress sound distortion caused by resonance of a speaker, or in the case of a voice signal, so that audibility (or hearing sensitivity) can be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or higher Controls the output quality of the sound so that the sound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articulations on the voice signal are clearly distinguished and outputs it, or blocks/suppresses distortion of the frequency at which the bit string is encoded or signal strength when bit strings are encoded and output in the sound signal. It can be output by controlling the output quality of the sound so that it can be output).

상기 통신모듈(120)은 사운드장치(100)의 통신망 연결을 처리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휴대인터넷 등)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무선망 통신부(120a)와, 무선AP나 중계기를 경유하는 근거리망(예컨대, 무선랜 등)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근거리망 통신부(120b)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부를 제어모듈(130)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20 is a general term for components that process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of the sound device 100, and is preferably a designated server (or device) via a wireless network (e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Internet, etc.) via a base station. and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a communicating by connect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local area network (eg, wireless LAN, etc.) via a wireless AP or repeater to communicate by connecting a designated server (or device) and a communication channel to communicate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among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s 120b is provided, and an interface unit (not shown) for interfacing the communication unit with the control module 130 is further provided.

상기 무선망 통신부(120a)는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기지국을 경유하는 광역 무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등)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30a)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30a)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30a)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a is a generic term for a communication component that connects the sound device 100 to a wide area wireless network (e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tc.) via a base st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frequency signal of a designated frequency band. An antenn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RF module, a baseband modul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a to transmit operation results correspond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various oper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130a through a wireless network. Alternatively, data is receiv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a, and at the same time, procedures of connection, registration, communication, and handoff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120a)를 통해 접속하는 무선망이 이동통신망인 경우, 상기 무선망 통신부(120a)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120a)는 이동통신망 이외의 다른 광역 무선망(예컨대,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 등)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120a)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120a)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무선망 상의 셀 기반 기지국을 경유하여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reless network accessed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a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a accesses and registers a loc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 call processing, call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t least one handoff.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a performs at least one of connection,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to a wide area wireless network other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g, portable Internet according to IEEE 802.16 standard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a. That is,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a provide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ased on packet communication via the cell-based base station on the wireless network for the sound device 100 regardless of the frequency band of the wireless section or the type or protocol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 general term for components connected to the data network.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20b)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 이내, 또는 30m 이내 등)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근거리에 구비된 망접속장치(예컨대, 무선AP 등)와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상기 망접속장치가 접속한 통신망에 연결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망 통신, 블루투스 근거리망 통신, 지그비 기반 근거리망 통신, UWB 기반 근거리망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근거리에 구비된 망접속장치와 상기 사운드장치(100) 간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망접속장치가 접속한 통신망에 연결시킬 수 있다.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b uses a radio frequency signal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in a certain distance (eg, within 10 m, or within 30 m, etc.)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network access device (eg, wireless AP, etc.) provided in a short distance. A general term for communication resources that connect the sound device 100 to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by the network access device through a local area wireless network that connects a session, preferably WiFi-based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Bluetooth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Zigbee-based local area network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 is connected between a network connection device provided in a short distance and the sound device 100 through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 UWB-based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and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and based on this, the sound device 100 is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network access device is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20b)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와 일정 거리 이내의 근거리에 구비된 망접속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망이 구현된 경우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상기 근거리 무선망의 망접속장치를 경유하여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이하, 편의상 사운드장치(100)의 망 통신 기능은 무선망 통신부(120a)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망 통신부(120b)를 이용한 망 통신 기능도 제공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b connects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 with a network connection device provided in a local area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ound device 100 when a local area wireless network is implemented. It is a general term for components that connect the sound device 100 to a data network that provide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ased on packet communication via the network access device of the local area network.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sound device 100 will be mainly described using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using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b. It is also clearly stated that it is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 중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20b)는 상기 근거리 무선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근거리에 구비된 카메라장치(185)와 근거리 무선망 기반의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20b)가 근거리의 카메라장치(185)와 근거리 무선망 기반의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장치(100)와 카메라장치(185)는 근거리 무선망 기반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암호 통신을 위한 키 값을 저장하거나 또는 근거리 무선망 기반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시점에 암호 통신을 위한 키 값을 교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사운드장치(100)와 카메라장치(185)는 상기 키 값을 이용한 암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b connects the camera device 185 provided in the local area of the sound device 100 via the local area wireless network and a local area wireless network-based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can be handled. When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b processes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a local area network with the camera device 185 in the local area, the sound device 100 and the camera device 185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local area wireless network. It is possible to store a key value for encrypted communication or to exchange a key value for encrypted communication at the time of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a local area network, whereby the sound device 100 and the camera device 185 Encrypted communication using key values can be performed.

상기 근거리모듈(125)은 사운드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부(125a)를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부(125a)와 제어모듈(130)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구비한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 무선부(125a)는 블루투스 규격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무선부(125a)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규격이 블루투스 규격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파이나 지그비 또는 UWB를 비롯한 모든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을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부(125a)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20b)일 수도 있다.The short-distance module 125 is a general term for components that proc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sound device 100, and includes a short-range wireless unit 125a that connect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the short-range wireless unit ( 125a) and an interface unit (not shown) that interfaces the control module 130. For example, the short-range wireless unit 125a may process Bluetooth-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Bluetooth standard. However, it is clearly stated that the standar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short-range wireless unit 125a is not limited to the Bluetooth standard, and may include al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including Wi-Fi, ZigBee, and UWB. Meanwhil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the local area wireless unit 125a may be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b.

상기 근거리 무선부(125a)는 지정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블루투스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무선부(125a)의 근거리 무선 통신 관련 구성이 블루투스 규격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블루투스 이외에 다양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음(예컨대, 와이파이 규격에 따른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지그비(ZigBee) 규격에 따른 지그비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UWB 규격에 따른 UWB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현존하거나 미래의 모든 근거리 무선 통신 관련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편의상 상기 근거리 무선부(125a)가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short-distance radio unit 125a is a general term for a component that process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a designated standard, and preferably may include a Bluetooth component that processes Bluetooth-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Bluetooth standard. Howeve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related configuration of the short-range wireless unit 125a is not limited to Bluetooth-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Bluetooth standard,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various standards other than Bluetooth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e.g., , WiFi-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Wi-Fi standard, ZigBee-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ZigBee standard, UWB-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UWB standard, etc. available) is clearly stat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ainly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short-range wireless unit 125a processes Bluetooth-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ut it is clearly st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모듈(125)(또는 근거리 무선부(125a))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근거리에 구비된 카메라장치(185)와 지정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모듈(125)(또는 근거리 무선부(125a))이 근거리의 카메라장치(185)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장치(100)와 카메라장치(185)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암호 통신을 위한 키 값을 저장하거나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시점에 암호 통신을 위한 키 값을 교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사운드장치(100)와 카메라장치(185)는 상기 키 값을 이용한 암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distance module 125 (or the short-distance wireless unit 125a) processe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a specified standard with the camera device 185 provided in the short-range of the sound device 100. can When the short-distance module 125 (or short-distance wireless unit 125a) process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hort-range camera device 185, the sound device 100 and the camera device 185 operate based 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store a key value for encrypted communication or to exchange a key value for encrypted communication at the time of connect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reby the sound device 100 and the camera device 185 use the key value. Encrypted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사운드장치(100)와 사용자가 이용하는 무선단말의 앱이 매핑된 경우(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에 지정된 앱을 설치하여 최초 실행(또는 매핑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사운드장치(100)를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식별정보(또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고유 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에 등록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매칭 등록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부(125a)는 상기 매칭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특정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지정된 각종 식별정보나 처리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지정된 운영서버(2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입력되거나 추출되거나 생성된 정보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거치용 사운드장치(100)의 제어모듈(130)로 전달되어 처리(예컨대, 사운드 출력 또는 운영서버(200)로 전송)되거나 및/또는 지정된 운영서버(200)에서 상기 사운드장치(100)로 수신되거나 상기 거치용 사운드장치(100)에서 인식되거나 추출되거나 생성된 정보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달되어 처리(예컨대, 화면 출력 또는 운영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ound device 100 and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used by the user are mapped (e.g., when a designated app is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executed for the first time (or executed before mapping registration), the user wireless termina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ound device 100 in the terminal app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pp) are registered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sound device 100 and the application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re matched and registered), the short-range wireless unit 125a connects the matched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provide vario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processing information specified to process a specific service. can be exchanged For example, information received as an app of a user's wireless terminal from a designated operation server 200 or input, extracted, or generated through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stationary sound device 100.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30 and processed (for example, sound output or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00) and/or received by the sound device 100 from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200 or the sound device 100 for installation. ) The information recognized, extracted, or generated from may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processed (eg, screen output or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00).

상기 카메라모듈(110)은 사운드장치(100)의 카메라 촬영을 처리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피사체를 촬영한 화상정보(예컨대, 이미지)나 영상정보(예컨대, 동영상)를 획득하는 카메라부(110a)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부(110a)와 제어모듈(130)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근거리모듈(125)(또는 근거리 무선부(125a)) 및/또는 근거리망 무선부를 통해 근거리의 카메라장치(185)와 연동 가능한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110)(또는 카메라부(110a))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camera module 110 is a general term for a component that processes camera shooting of the sound device 100, and preferably obtains image information (eg, image) or image information (eg, video) of a photographed subject (eg, video) 110a), and an interface unit (not shown) that interfaces the camera unit 110a and the control module 130. On the other hand, if the short-distance module 125 (or short-range wireless unit 125a) and/or the short-range camera device 185 can be interlocked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unit, the camera module 110 (or the camera unit 110a) It can be omit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상기 카메라부(110a)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검지하여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 및 상기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부 사이에서 자동초점 기능이나 손떨림 보정 기능을 구현하는 액츄에이터부(Actua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부 사이에 하나 이상의 필터부(예컨대, 적외선 필더 등)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부(110a)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를 통해 생성된 화상정보나 영상정보의 품질 향상을 위해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화상정보나 영상정보를 가공하는 이미지 신호처리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110a includes at least one lens unit that receives an optical signal reflected from a subject, an image sensor unit that detects an optical signal input through the lens unit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and a gap between the lens unit and the image sensor unit. It includes an actuator unit implementing an auto-focus function or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an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one or more filter units (eg, an infrared filter, etc.)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ens unit and the image sensor unit. can Meanwhile, the camera unit 110a includes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that processes the image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designated procedur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mage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image sensor unit. more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 사운드장치(100)에 상기 카메라모듈(110)이 구비된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110)은 카메라부(110a)의 촬영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130)(또는 카메라모듈(110))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카메라부(110a)의 촬영 방향을 변경하면서 카메라부(110a)의 이미지 센서부를 통해 생성된 화상정보 또는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가 거치된 공간과 같은 공간에 있는 소리발생원(예컨대, 휘파람소리를 발생시킨사람이나 물건)을 인식하고, 상기 구동부를 조작하여 상기 카메라부(110a)를 통해 소리발생원을 촬영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운드모듈(105)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105a)에 하나 이상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모듈(130)(또는 카메라모듈(110))은 상기 사운드모듈(105)의 사운드 입력부(105a)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통해 탐지된 휘파람소리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구동부를 조작하여 상기 카메라부(110a)를 통해 확인된 휘파람소리 방향을 촬영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camera module 110 is provided in the sound device 100, the camera module 110 includes a driving unit for changing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unit 110a, and the control module 130 ( Alternatively, the camera module 110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change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unit 110a and reads image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image sensor unit of the camera unit 110a to generate the sound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sound generating source (eg, a person or object generating a whistling sound) in the same space as the space where it is mounted, and operate the drive unit to photograph the sound generating source through the camera unit 110a. On the other hand, when one or more directional microphones are included in the sound input unit 105a provided in the sound module 105, the control module 130 (or camera module 110) is the sound input unit of the sound module 105 ( 105a) may check the detected whistle direction through one or more directional microphones, and operate the drive unit to photograph the detected whistle direction through the camera unit 110a.

상기 제어모듈(130)은 사운드장치(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모듈(110)을 통해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근거리모듈(125)을 통해 센서모듈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 통신모듈(120)을 통해 지정된 서버(예컨대, 운영서버(200))와 통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나 둘 이상을 조합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a)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130a)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나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한다. The control module 130 is a general term for components that control various operations of the sound device 100, and is preferably an operation of generating image data through the camera module 110 and a sensor module through the short-distance module 125. A control unit 130a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peration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an operation of collecting sensing data and an operation of communicating with a designated server (eg, operation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or program code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30a.

상기 제어부(130a)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및/또는 각종 칩이나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운드장치(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지정된 인터페이스(예컨대, 버스(BUS) 등)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a)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사운드장치(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기능적 구성은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거나 및/또는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되었다가 로딩되어 연산되는 프로그램 형태 및/또는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기능적 구성부를 본 제어부(130a)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130a is a general term for components that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ound device 100,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execution memory and/or various chips or control circuits,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ound It is connected to each component provided in the device 100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eg, a bus (BUS), et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a loads and calculates at least one program code provided in the sound device 100 into the execution memory through the processor, and transmits the result to at least one component through the bu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ound device 100.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or in the form of a chip or control circui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i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stored in a memory unit, and loaded and operated in the form of a program and/or chip. However, function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ntrol circuit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130a.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30a)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는 기능적 구성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is a generic term for non-volatile memory corresponding to storage resources of the sound device 100, and stor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30a and at least one data set used by the program code. and keep it The memory unit basically includes a system program code and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sound device 100,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sound device 100,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des and application data sets are stored, and program codes and data sets corresponding to functional configurations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상기 전원모듈(115)은 사운드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인가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외부 전원(예컨대, AC전원, AC전원을 정류한 DC전원, USB전원 등)을 공급받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도시생략)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 값이나 전류 값이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 값이나 전류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외부 전원을 지정된 전압 값이나 전류 값을 지닌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전원모듈(115)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원이 공급되거나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원이 동작 전원으로 변환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원이나 동작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사운드장치(100)로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충전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power module 115 is a general term for a component that supplies/a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ound device 100, and preferably uses an external power source (eg, AC power, DC power obtained by rectifying AC power, USB power, etc.) It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and applying, and when the voltage value or current valu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different from the voltage value or current valu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ound device 100,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supplied to a specified voltage value or current value. It further includes a power converter (not shown) that converts power into operating power having a current value. Meanwhile, when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or the external power is converted into operating power through the power conversion unit, the power module 115 charges the external power or operation power and operates the sound device 100. When external power is not supplied, a power charging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to apply the charged charging power.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지정된 공간의 지정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여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휘파람소리 인식 기반 서비스를 위해 제작된 전용 사운드장치(100)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100 recognizes a designated whistling sound in a designated space and provides a service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can b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주지의 음성 인식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 인식 동작 모드를 제공하되, 상기 사운드장치(100)에 구비된 소정의 입력부를 통한 특정한 설정 입력이나 음성 인식을 통한 특정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상기 음성 인식 동작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휘파람소리 인식 기반 서비스를 위한 휘파람소리 인식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 모드 전환 사운드장치(100)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100 provides a voice recognition operation mode that provides a well-known voice recognition based service, but sets a specific setting through a predetermined input unit provided in the sound device 100. It may be a mode switching sound device 100 that switches from the voice recognition operation mode to the whistle recognition operation mode for the whistle recognition 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specific voice recognition through input or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주지의 음성 인식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휘파람소리를 인식하여 휘파람소리 인식 기반 서비스도 다중 제공하도록 제작된 복합 사운드장치(100)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100 is a composite sound device designed to provide a well-known voice recognition-based service and at the same time recognize a whis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 multiple services based on whistle recognition. (100).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30)은, 제어모듈(130)의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될 발화내용정보 중 특정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인식될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메모리부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3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 module 130 selects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to be recognized in order to initiate or process a specific service among speech content information to be recogniz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of the control module 130 and acquired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t is provided with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that confirms and stores it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특정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내용 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특정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로부터 인식될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한 서비스제공정보와 매핑 저장할 수 있다. Whe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user's utterance content to determine the start or process of a specific servic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provides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including the utterance content to be recognized from the user's utterance in order to initiate or process the specific service. It is possible to check and store service provision information and mapping for initiation or processing of the specific servic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제공정보와 매핑될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미리 지정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지정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사운드 출력부(105b)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인식대상정보로 사용될 발화내용을 요청한 후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받아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되어 등록/갱신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와 매핑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등록/갱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to be mapped with the service provision information is specified including the previously designated utterance content, and/or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b of the sound device 100. After requesting the content of speech to be used as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it may be received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5a, acquired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registered/updated. Meanwhil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updated through an app of a user wireless terminal mapped with the sound device 10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거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는 사운드 처리부(140)와,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휘파람소리 인식부(145)와,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한 경우에 지정된 S(S≥1)개의 서비스 기능 중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적어도 s(1≤s≤S)개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휘파람소리나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모드를 슬립(Sleep)모드로 설정하는 서비스 제어부(150)를 구비하며, 상기 활성화된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180)를 더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와 서비스 제어부(150) 및 서비스 제공부(18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와 연동하는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2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가 운영서버(2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처리부(140)는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200)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 중 휘파람소리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편의상 본 도면1은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와 서비스 제어부(150) 및 서비스 제공부(180)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구현된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와 서비스 제어부(150) 및 서비스 제공부(180)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구현되는 경우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와 서비스 제어부(150) 및 서비스 제공부(180)는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와 서비스 제어부(150) 및 서비스 제공부(180)를 구현하는 방식이나 구현되는 모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 module 130 buffer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5a in a designated buffer area or buffers sound data buffered in a designated buffer area. a sound processing unit 140 that checks the buffered sound data and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designated to recognize at least one whistle sound designated for determining a specific situation among non-verbal sounds or noises that may occur in a designated space A whistling sound recognizing unit 145 for recognizing a specific whistling sound corresponding to a band and/o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pattern designated for recognizing the whistling sound, and a designated S when recognizing the whistling sound ( When at least s (1≤s≤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whistles are activated among S≥1) service functions and/or whistles or user's utterances are not recognized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the sound device ( 100) is provided with a service controller 150 that sets the operation mode to a sleep mode, and a service provider 180 that provides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service function is further provided.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is an operation serv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works with the sound device 100. 200, and if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is implemented in the operation server 200, the sound processing unit 140 transmits sound data buffered in a designated buffer area to the operation server 200. ) Or, among the buffered sound data, sound data determined to correspond to a whistle may be selectively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operation server 200. However, for convenience, Figure 1 describes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ing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are implement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 Meanwhile, when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are implement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and the service The study 18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f a program code form and a chip or control circuit form, and the whistle sound recognition unit 145,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and the service provider 18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an implementation method or implemented module.

상기 전원모듈(115)을 통해 상기 사운드장치(100)에 동작 전원이 인가된 후, 상기 사운드 처리부(14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을 지속(또는 반복)하며,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과정을 지속(또는 반복)한다. 한편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가 운영서버(2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처리부(140)는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200)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 중 휘파람소리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fter operating power is applied to the sound device 100 through the power module 115, the sound processing unit 140 generate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5a. The process of buffering in the designated buffer area and/or checking the sound data buffered in the designated buffer area is continued (or repeated), and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in the designated space. Corresponds to at least one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designated for recognizing at least one whistle sound designated for determining a specific situation among possible non-verbal sounds or noises and/or at least one whistle sound pattern designated for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Continue (or repeat) the process of recognizing a specific whistling sound corresponding to Meanwhile, when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is implemented in the operation server 200, the sound processing unit 140 provides sound data buffered in a designated buffer area to the operation server 200 or the buffered sound data Sound data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middle whistling sound may be selectively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operating server 20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에 동작 전원이 인가된 후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휘파람소리가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휘파람소리를 유효 인식한 후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휘파람소리가 유효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에 동작 전원이 인가된 후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가 발화한 발화내용이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절차에 따라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유효 인식(예컨대,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휘파람소리가 유효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된 후에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휘파람소리가 인식되지 않거나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는 상기 사운드장치(100)(또는 제어모듈(130))의 동작모드를 슬립(Sleep)모드로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슬립모드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더라도 휘파람소리를 인식하여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Wake-up)되거나 및/또는 미리 지정된 특정발화정보(예컨대, 휘파람소리 이외에 사운드장치(100)를 웨이크업하도록 설정한 특정한 발화정보)를 인식하여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Wake-up)되기 전에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근거하는 서비스(예컨대, 음원이나 신호음을 사운드 출력하는 사운드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비활성화한 상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편의상 휘파람소리를 인식하여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service controller 150 checks whether a whistling sound is not recogniz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after operating power is applied to the sound device 100 and/or effectively recognizes a whistling sound through the whistling sound recognizing unit 145. After that, it is checked whether the whistling sound is not recogniz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not, and/or the sound device 100 is powered on, and 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content of the user's utterance is not recogniz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not. After the user's speech content is effectively recognized according to a designated procedure (eg, the user's speech content is recognized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effectively recognized through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the user's speech content is recognized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or more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contents of the utterance are not recognized. If the whistling sound is not recogniz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the content of the user's speech is not recogniz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sound device 100 (or control module 130). It includes a function to set to sleep mode. Here, the sleep mode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to wake up from the sleep mode by recognizing a whistle even if the content of the user's utterance is recognized, and/or predetermined specific speech information (e.g., whistle sound). In addition, before waking up from the sleep mode by recognizing specific speech information set to wake up the sound device 100, services based on the recognized user's speech (eg, sound source or signal sound) are recognized. This includes a state in which a function providing a sound-based service) is disabl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an embodiment in which a whistle is recognized to wake up from a sleep mod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140)는 상기 슬립모드에서도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을 지속(또는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도 상기 슬립모드에서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과정을 지속(또는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립모드에서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휘파람소리를 유효 인식한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는 웨이크업되어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부(180)는 상기 활성화된 s개의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processing unit 140 buffer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ignal of the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5a in a designated buffer area even in the sleep mode, and/or It is preferable to continue (or repeat) the process of checking the sound data buffered in the designated buffer area, and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also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in the sleep mode to generate non-verbal information that can occur in the designated spac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band designated for recognizing at least one whistle sound designated for determining a specific situation among sounds or noises and/o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sound pattern designated for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It is desirable to continue (or repeat) the process of recognizing a particular whistle. Preferably, in the sleep mode, when a whistling sound is effectively recognized through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wakes up to activate s number of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may perform a procedure of providing services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s number of service functions.

한편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를 통해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둘 이상의 서비스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부(180)는 지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활성화된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 및/또는 상기 활성화된 서비스 기능 중 기 설정된 조건(예컨대,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는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wo or more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are activated through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performs a procedure for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service function according to a designated order, or And/or a procedure for providing at least one servi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eg, a condition for recognizing user's speech) among the activated service functions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고유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30)은 휘파람 소리발생원에 특화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학습하는 기능 및/또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에 특화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을 학습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istle recognition unit 145 corresponds to the whistle frequency ba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and/or the uniqu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corresponding to the whistle sound pattern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module 130 has a function of learning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band specific to a whistle sound generating source and/or a function of learning at least one whistling sound pattern specific to a whistling sound generating source. It is desirable to have.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30)은, M(M≥1)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N(N≥1)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35)를 구비하며,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는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 및/또는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휘파람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35)와 휘파람소리 인식부(145)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와 연동하는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2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편의상 본 도면1은 상기 정보 저장부(135)와 휘파람소리 인식부(145)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구현된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부(135)와 휘파람소리 인식부(145)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35)와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는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135)와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구현하는 방식이나 구현되는 모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ontrol module 130 stores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 (M≥1)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or N (N≥1)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for storing N whistle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 number of whistle pattern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he whistle sound recognition unit 145 stores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 whistle may be recognized using information and/or whistle pattern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and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is implemented through the operating server 200 on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works with the sound device 100. It can be. However, for convenienc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ainly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and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are implement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in FIG. 1 for convenie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and the whistle recognition unit 145 are implement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and the whistle recognition unit 145 are the program code form and chip or control. It may be implemented in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circuit typ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and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or a module to be implemented.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제어모듈(130)(또는 사운드장치(100))의 제조 시점에 메모리부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M(M≥1)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휘파람소리는 소리의 종류나 소리발생원에 따라 다양한(또는 최저 주파수와 최고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차이가 적어도 100Hz 이상의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휘파람소리의 주파수 대역을 M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예컨대, 균등 분할 또는 실험적으로 휘파람소리가 밀집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선택적 분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분할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stores M whistling sounds corresponding to M (M≥1) frequency bands of whistle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control module 130 (or sound device 100). Frequency band information may be stored. Among the non-verbal sounds or noises that can be generated in a designated spa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histling sound designated for determining a specific situation has a wide range (or a frequency difference of at least 100 Hz or more between the lowest frequency and the highest frequency) depending on the type of sound or sound source. It can have a frequency b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divide the frequency band of the whistling sound into M frequency bands (eg, equal division or experimentally selective division based on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in which the whistling sound is concentrated), an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may store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제어모듈(130)(또는 사운드장치(100))의 제조 시점에 메모리부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N(N≥1)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선 샘플 실험을 통해 확인된 휘파람소리의 패턴을 각 케이스 별로 정성 분석 및/또는 정량 분석 과정을 거쳐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stores N whistle sound patterns corresponding to N (N≥1) whistle sound pattern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control module 130 (or sound device 100).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The present invention first generates whistle pattern information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nd/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whistle pattern confirmed through the sample experiment for each case, an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generates the whistle pattern.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100)(또는 제어모듈(130))은 휘파람소리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휘파람소리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200)는 각각의 사운드장치(100)(또는 제어모듈(130))로부터 휘파람소리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휘파람소리에서 각 소리발생원 별 개별적 소리 특성을 정규화(Normalization)하는 정규화 과정 및/또는 각 케이스 별 정성 분석 및/또는 정량 분석 과정을 거쳐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정밀화 또는 다양화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정밀화 또는 다양화된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각각의 사운드장치(100)(또는 제어모듈(130))로 배포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정밀화 또는 다양화된 휘파람소리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휘파람소리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100 (or control module 130) may recognize whistle sound and then transmit the recognized whistle sound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operation The server 200 collects whistle sound information from each sound device 100 (or control module 130), and normalizes individual sound characteristics for each sound source in the collected whistle sound. Normalization process and / Or through the process of qualitative analysis and / or quantitative analysis for each case, the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an be refined or diversified, and the refined or diversified whistle pattern information in this way can be provided to each sound device 100 (or control module). (130)).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receives refined or diversified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generates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It can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패턴 정보를 상기 사운드장치(100)가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시점의 지정된 공간에서의 특정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황판단속성정보와 매칭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matches the generated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with one or more situation judgment attribut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specific situation in a designated space at the time when the sound device 100 recognizes the whistle sound, and then matches the designated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area.

여기서, 상기 특정 상황은 위급 상황, 특정인의 귀가 상황, 특정인의 방문 상황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의 실시 과정에서 다양한 상황이 제시될 수 있다.Here, the specific situation may be an emergency situation, a specific person's homecoming situation, a specific person's visit situatio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ituations may be presented in the course of practic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가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저장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 whistle frequency bands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nd/or N whistles corresponding to N whistle patterns ar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When sound pattern information is stored, the whistle sound recognition unit 145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among the stored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and/or the stored N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It is preferable to recognize a whist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pattern among the whistle sound patterns.

한편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 및/또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것이 아니라, 통계적 휘파람소리의 주파수 대역 및/또는 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정보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사운드장치(100)가 거치된 공간에 존재하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를 고속으로 인식하거나 및/또는 인식오류를 방지(또는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 및/또는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상기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Meanwhile, the M pieces of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and/or N pieces of whistle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re not optimized (or customized) for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but statistically the frequency band and/or sound of the whistle sound. It will b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Therefore, in order to recognize the whistle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existing in the space where the sound device 100 is mounted at high speed and/or prevent (or minimize) recognition errors, the stored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and/or the whistle sound A process of optimizing (or customizing) the pattern information to the whistling sound of the whistling sound generating source is required.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i(i≥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j(j≥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생성하는 분포 생성부(155)와,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m(1≤m≤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결정하거나 및/또는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n(1≤n≤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결정하는 정보 결정부(160)를 더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분포 생성부(155)와 정보 결정부(16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와 연동하는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2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편의상 본 도면1은 상기 분포 생성부(155)와 정보 결정부(160)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구현된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분포 생성부(155)와 정보 결정부(160)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구현되는 경우 상기 분포 생성부(155)와 정보 결정부(160)는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분포 생성부(155)와 정보 결정부(160)를 구현하는 방식이나 구현되는 모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 module 130 controls whistle frequencies corresponding to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s that have been recognized validly at least i (i≥2) times during a specified period of time using the M pieces of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Distribution generation that generates distribution information and/or generates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alidly recognized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at least j (j≥2) times during a specified period of time using the N pieces of whistle pattern information. The unit 155 statistically processes the generated whistle sound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to optimize (or customize)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in the space where the sound device 100 passes through m (1≤m≤M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 number of whistle frequency bands and/or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generated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whistle sound generating source in the space through which the sound device 100 has passed through A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160 for determining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1≤n≤N) whistle sound patterns optimized (or customized) for whistles is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55 and the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160 is implement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on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works with the sound device 100. can However, for convenienc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FIG. 1 based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55 and the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160 are implement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Meanwhile, when the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55 and the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160 are implement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the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55 and the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160 are in the form of program codes and chips or control circuits.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55 and the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160 or a module to be implemented.

상기 정보 저장부(135)를 통해 지정된 저장영역에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분포 생성부(155)는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휘파람소리가 유효 인식될 때마다 상기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의 주파수 대역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분포 생성부(155)는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통해 유효 인식되어 저장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근거로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i(i≥2)번 유효 인식된 i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When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is stored in the storage area designated through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the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55 stores the M whistle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Whenever a whistling sound is validly recognized using th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the validly recognized frequency band information of the whistling sound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The distribution generation unit 155 operates i whistle frequency bands that are validly recognized at least i (i≥2) times during a designated period based on the whistle frequency bands that have been validly recognized and stored through the information on the M number of whistle frequency bands. , an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i identified whistle frequency bands may be generated.

한편 상기 분포 생성부(155)를 통해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i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정보 결정부(160)는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되어 상기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를 고속 인식하거나 인식 오류를 방지(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m(1≤m≤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은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으며, 또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서 새롭게 정의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 결정부(160)를 통해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가 결정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결정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우선 판독할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신규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신규 또는 갱신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우선 인식할 수 있다.Meanwhile, when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that has been recognized validly at least i during a specified period of time is generated by the distribution generator 155, th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160 determines the generate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is statistically processed to optimize (or customize)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rce in the space through which the sound device 100 has passed through, thereby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rce at high speed or preventing (or minimizing) recognition error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 (1≤m≤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for Here, the m whistle frequency bands may be any one of the M whistle frequency bands, or may include a newly defined whistle frequency band within the whistle frequency band range. When the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is determined through th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160,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sets the determined m whistle frequency bands as whistle frequency bands to be read first and stores the designated information. It may be new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or updated and stored whistling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area. Thereafter, the whistle recognizing unit 145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and first recognizes a whist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band among the new or updated m whistle frequency bands.

한편 상기 정보 저장부(135)를 통해 지정된 저장영역에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분포 생성부(155)는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휘파람소리가 유효 인식될 때마다 상기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의 소피 패턴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분포 생성부(155)는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통해 유효 인식되어 저장된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j(j≥2)번 유효 인식된 j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j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when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 whistle sound patterns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through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the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55 stores the N whistle sound pattern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Whenever a whistling sound is validly recognized using the pattern information, the sophit pattern of the validly recognized whistling sound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The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55 verifies j whistle patterns that have been validly recognized and stored through the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at least j (j≥2) times during a specified period of time based on the stored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and generate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ecked distribution of j whistle sound patterns.

한편 상기 분포 생성부(155)를 통해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j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정보 결정부(160)는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되어 상기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를 고속 인식하거나 인식 오류를 방지(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n(1≤n≤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은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일 수 있으며, 또는 둘 이상의 휘파람소리 패턴의 조합이거나 신규의 휘파람소리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 결정부(160)를 통해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이 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결정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을 우선 판독할 휘파람소리 패턴으로 설정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신규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우선 인식할 수 있다.Meanwhile, when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histle sound pattern distribution that has been recognized validly at least j times during a specified period of time is generated by the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55, the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160 determines the generated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is statistically processed to optimize (or customize)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rce in the space through which the sound device 100 has passed through, thereby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rce at high speed or preventing (or minimizing) recognition error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1≤n≤N) whistle sound patterns for Here, the n whistle patterns may be any one of the N whistle patterns, 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whistle patterns or a new whistle pattern. When n whistle sound patterns are determined through th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160,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sets the determined n whistle sound patterns as whistle sound patterns to be read first and newly stores them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Whistling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area may be updated and stored. Thereafter, the whistle recognition unit 145 may first recognize a whist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pattern among the n whistle sound patterns by reading the buffered sound data.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발화내용정보를 인식하는 발화내용 인식부(165)와,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거나 상기 휘파람소리의 인식 종료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인식 판단부(170)와,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하도록 처리하는 지능화 처리부(17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와 인식 판단부(170)와 지능화 처리부(175)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와 연동하는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2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가 운영서버(2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처리부(140)는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200)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 중 사용자의 발화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편의상 본 도면1은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와 인식 판단부(170)와 지능화 처리부(175)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구현된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와 인식 판단부(170)와 지능화 처리부(175)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구현되는 경우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와 인식 판단부(170)와 지능화 처리부(175)는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와 인식 판단부(170)와 지능화 처리부(175)를 구현하는 방식이나 구현되는 모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 module 130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recognizes the user's language utterance, and processes natural language to recognize speech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utterance content. 165), and a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for checking whether the contents of the user's speech are recognized while the whistling sound is being recognized 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nd of the recognition of the whistling sound, and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and the whistle sound When the content of the user's speech is recognized within a certain time during or after the recognition of the user's speech, an intelligent processing unit 175 for processing to interpret the recognized user's speech by associating it with 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e may be provided. there i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165,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and the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75 is an operation serv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interworks with the sound device 100. 200. If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165 is implemented in the operation server 200, the sound processing unit 140 transfers sound data buffered to a designated buffer area to the operation server 200. ), or selectively extract sound data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user's speech among the buffered sound data and provide the sound data to the operation server 200. However, for convenience, Figure 1 describes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ing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165,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and the intelligent processing unit 175 are implement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 Meanwhile, when the speech contents recognition unit 165,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and the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75 are implement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the speech contents recognition unit 165,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and the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75 are implemented. The processing unit 17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f a program code form and a chip or control circuit form, and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165,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and the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75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an implementation method or implemented module.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발화내용정보를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가 운영서버(2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처리부(140)는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200)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 중 사용자의 발화에 대응(예컨대, 분절음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Whistle recognizing unit 145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and recognizes the whistling sound, and at the same time, the speech content recognizing unit 165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to utter the user's language. and perform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 recognize speech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speech content. Meanwhile, when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165 is implemented in the operation server 200, the sound processing unit 140 provides sound data buffered in a designated buffer area to the operation server 200 or the buffered sound data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extract sound data that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user's utterance (eg, including segmented sounds) and provide it to the operation server 200, where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는 지정된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화함과 동시에 형태 분석, 의미 분석, 대화 분석 중 하나 이상의 자연어 처리 절차를 통해 사용자가 발화한 발화내용을 인식한 발화내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unit 165 analyzes the buffered sound data through a designated speech recognition algorithm, recognizes and converts the speech spoken by the user into text, and at the same time analyzes form, semantics, and dialogue. Speech content information by recognizing the user's utterance content may be generated through one or mor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rocedures during the analysis.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는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가 휘파람소리를 인식하여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를 통해 상기 서비스장치의 동작모드가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된 경우에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슬립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는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설령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인식하더라도 서비스에는 이용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165 recognizes the whistling sound so that the operation mode of the service device is changed from the sleep mode through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user's utterance in case of waking up. If the operation mode of the sound device 100 is set to the sleep mode by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unit 165 may not perform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user's speech content. Even if the user's speech is recognized, it can be processed so that it is not used for the service.

한편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인식 판단부(170)는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휘파람소리의 인식이 종료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Meanwhile, when the user's speech content is recognized through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unit 165,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determines that the user's speech content is recognized while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through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It is checked whether it is recognized or whether the contents of the user's speech are recognized within a certain time after the whistle recognition is terminated through the whistle recognition unit 145.

만약 상기 인식 판단부(170)를 통해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지능화 처리부(175)는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하도록 처리하며, 이로써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 중 상기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 기능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는 상기 특정소리에 관련됨과 동시에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부(180)는 상기 활성화된 특정 서비스 기능을 지정된 절차에 따라 제공하는 절차 수행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rough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that the contents of the user's speech are recognized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the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75 determines the contents of speech recognizing unit 165 The user's speech contents recogniz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interpreted by relating them to 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whereby a specific servic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tterance contents among the 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can be determined. In this case,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may activate a specific service function related to the specific sound 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s utterance,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may activate the specific service function. The provided procedur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procedure.

만약 상기 인식 판단부(170)를 통해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지능화 처리부(175)는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를 통해 슬립모드로 전환하도록 처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에 의해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content of the user's speech is not recogniz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the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75 enters the sleep mode through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and/or a process of waking up from the sleep mode by the sound of the whistle may be perform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가 활성화하거나 및/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부(180)를 통해 제공 가능한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는 상기 통신모듈(120)을 통해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200)와 연동하여 제공하는 서버 연동 서비스와, 상기 사운드모듈(105)을 통해 제공하는 사운드 기반 서비스와, 상기 사운드모듈(105)과 통신모듈(120)을 복합 이용하여 제공하는 복합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 number of service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activated by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and/or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are provide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 server interworking service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server 200, a sound-based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sound module 105, and a composite service provided by using the sound module 105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in combin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rvice among them.

한편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중 상기 서버 연동 서비스는, 무선단말정보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무선단말정보를 이용한 상황 알림 서비스,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호출 서비스,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상황 알림 서비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으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지정된 IPTV장치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s service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the server interworking service is a paging service us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a situation notification service us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a paging service using an app installed on the wireless terminal, and using an app installed on the wireless terminal. At least one of a situation notification service, a video service that provides video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t least one camera to an app installed in a wireless terminal, and a video service that provides video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t least one camera to a designated IPTV device can include

한편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중 상기 사운드 기반 서비스는 사운드모듈(105)의 사운드 출력부(105b)를 통해 지정된 서비스 소리를 지정된 신호출력강도로 출력하는 소음 출력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운드 기반 서비스의 신호출력강도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입력받은 신호입력강도에 반비례하는 신호강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mong the s service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the sound-based service may include a noise output service that outputs a designated service sound at a designated signal output strength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05b of the sound module 105. Preferably, the signal output strength of the sound-based service includes a signal strength th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ignal input strength of the whistling sound.

한편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중 상기 복합 서비스는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한 결과를 근거로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2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s services related to the whistle, the composite service recognizes the user's speech within a certain time during or after the whistle is recognized, and analyzes the user's speech by associating the user's speech with a service function related to the whistle Based on one result, the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included.

한편 본 발명의 제1 카메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운드장치(100)에 근거리의 카메라장치(185)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근거리모듈(125)이 구비되고, 상기 근거리모듈(125)을 통해 근거리의 카메라장치(185)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는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휘파람소리를 인식한 경우에 상기 근거리모듈(125)을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185)와 통신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85)를 통해 상기 인식된 휘파람소리를 발생시킨 소리발생원을 촬영하는 영상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s개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부(180)는 상기 근거리모듈(125)을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185)와 통신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85)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운영서버(200)를 통해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으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및/또는 지정된 IPTV장치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장치(185)가 상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부(180)는 상기 근거리모듈(125)을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185)의 영상 서비스 기능이 동작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irst camera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short-distance module 125 for proces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hort-range camera device 185, and through the short-distance module 125 When proces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hort-range camera device 185,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recognizes a whistling sound through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and the camera device 125 through the short-range module 125. It is possible to activate s number of service functions including an image service function for photographing a sound generating source that generates the recognized whistling sound through the camera device 185 by communicating with the device 185,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 communicates with the camera device 185 through the short-distance module 125, receives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device 185, and provides the image to the app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At least one video service among service and/or video services provided to a designated IPTV device may be provided. Meanwhile, when the camera device 185 can provide the video service,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may process the video service function of the camera device 185 to operate through the short distance module 125 .

또는 본 발명의 제2 카메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운드장치(100)에 구비된 통신모듈(120)의 근거리망 통신부(120b)를 통해 근거리의 카메라장치(185)와 근거리 무선망 기반의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는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휘파람소리를 인식한 경우에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20b)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185)와 통신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85)를 통해 상기 인식된 휘파람소리를 발생시킨 소리발생원을 촬영하는 영상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s개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부(180)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20b)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185)와 통신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85)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운영서버(200)를 통해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으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및/또는 지정된 IPTV장치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장치(185)가 상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부(180)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20b)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185)의 영상 서비스 기능이 동작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the second camera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a local area network with the local camera device 185 is performed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b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provided in the sound device 100. In case of processing,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communicates with the camera device 185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b when recognizing the whistling sound through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and the camera device ( 185), it is possible to activate s number of service functions, including an image service function for photographing the sound generating source that generated the recognized whistling sound, and the service provider 180 communicates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b. It communicates with the camera device 185 to receive video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device 185 and provides it to an app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 or to a designated IPTV device. At least one video service among video services may be provided. Meanwhile, when the camera device 185 can provide the video service,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may process the video service function of the camera device 185 to operate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b.

또는 본 발명의 제3 카메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운드장치(100)에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110)이 구비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는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휘파람소리를 인식한 경우에 상기 카메라모듈(110)을 통해 상기 인식된 휘파람소리를 발생시킨 소리발생원을 촬영하는 영상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부(180)는 상기 카메라모듈(110)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운영서버(200)를 통해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으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및/또는 지정된 IPTV장치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ccording to the third camera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ound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camera module 110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a photographed subject,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whistling sound ( 145), when a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an image service function for photographing a sound generating source that generates the recognized whistling sound may be activat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10,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At least one of a video service providing video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10 to an app installed in a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and/or a video service provided to a designated IPTV device may be provided. there is.

도면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운드장치(100)와 운영서버(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ound device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사운드장치(100)의 제어모듈(130)의 기능 구성 중 적어도 일부의 기능 구성을 운영서버(200) 측에 구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도면1과 본 도면2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한 실시 방법(예컨대, 본 도면2의 운영서버(200) 측에 구현한 기능 구성 중 일부를 그대로 운영서버(200) 측에 구현하되 다른 일부를 사운드장치(100)의 제어모듈(130)에 구현하거나 상기 도면1의 제어모듈(130)에 구현한 기능 구성 중 일부를 그대로 제어모듈(130)에 구현하되 다른 일부를 운영서버(200) 측에 구현하는 실시 방법, 상기 도면1과 본 도면2에 도시된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 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권리범위로 포함하며, 상기 도면1과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of the control module 130 of the sound device 100 shown in Figure 1 are implemented on the operation server 200 sid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 implementation method (eg, this Figure 2 Some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implemented on the operation server 200 side are implemented on the operation server 200 side as they are, but other parts are implemented on the control module 130 of the sound device 100 or the control module 130 of the above drawing 1 A method of implementing some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implemented in the control module 130 as they are, but implementing other portions on the operation server 200 side, some components shown in the above drawing 1 and this drawing 2 are omitted, or subdivi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n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s the scope of rights,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s shown in Figure 1 and this Figure 2. No.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사운드장치(100)의 사운드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임시 보관하는 사운드 수신부(205)와,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휘파람소리 인식부(145)와,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한 경우에 지정된 S(S≥1)개의 서비스 기능 중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적어도 s(1≤s≤S)개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휘파람소리나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모드를 슬립(Sleep) 모드로 설정하는 서비스 제어부(150)를 구비하며, 상기 활성화된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180)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operation server 200, the sound receiving unit 205 for receiving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5a of the designated sound device 100 and temporarily storing it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Recognizes at least one whistling sound designated for determining a specific situation among non-verbal sounds or noises that may occur in a designated space by reading the received sound data, and corresponds to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band designated and/or the whistling sound A whistling sound recognizing unit 145 for recognizing a specific whistling sou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ing sound pattern designated to be recognized, and whistling sound and When at least s (1≤s≤S) related service functions are activated and/or a whistling sound or user's speech is not recognized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the operation mode of the sound device 100 is a sleep mode It has a service control unit 150 set to , and further includes a service providing unit 180 that provides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service function.

지정된 사운드장치(100)에서 사운드 입력부(105a)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상기 사운드 수신부(205)는 상기 사운드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임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운드장치(100)에서 휘파람소리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나 사용자의 발화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사운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수신부(205)는 상기 사운드장치(100)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송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임시 보관할 수 있다. When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5a is transmitted from the designated sound device 100, the sound receiving unit 205 receives the sound data transmitted from the sound apparatus 100 and temporarily stores the sound data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can be stored Meanwhile, when the sound device 100 selectively transmits one or more sound data of sound data corresponding to a whistling sound or sound data corresponding to a user's utterance, the sound receiver 205 transmits from the sound device 100 The selectively transmitted sound data may be received and temporarily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과정을 지속(또는 반복)한다. The whistle sound recognition unit 145 reads the received sound data and recognizes at least one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designated for determining a specific situation among non-verbal sounds or noises that may occur in a designated space. Continue (or repeat) the process of recognizing a specific whistle corresponding to and/o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pattern designated for recognizing the whistle.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에 동작 전원이 인가된 후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휘파람소리가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휘파람소리를 유효 인식한 후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휘파람소리가 유효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에 동작 전원이 인가된 후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가 발화한 발화내용이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절차에 따라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유효 인식(예컨대,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휘파람소리가 유효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된 후에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휘파람소리가 인식되지 않거나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모드를 슬립(Sleep) 모드로 원격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rvice controller 150 checks whether a whistling sound is not recogniz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after operating power is applied to the sound device 100 and/or effectively recognizes a whistling sound through the whistling sound recognizing unit 145. After that, it is checked whether the whistling sound is not recogniz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not, and/or the sound device 100 is powered on, and 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content of the user's utterance is not recogniz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not. After the user's speech content is effectively recognized according to a designated procedure (eg, the user's speech content is recognized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effectively recognized through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the user's speech content is recognized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or more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contents of the utterance are not recognized. If the whistling sound is not recogniz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or the content of the user's utterance is not recogniz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remotely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sound device 100 to a sleep mode. It can be made including the function to d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슬립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 가능하며, 상기 사운드 수신부(205)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슬립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도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슬립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과정을 지속(또는 반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립모드에서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휘파람소리를 유효 인식한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는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웨이크업시킴과 동시에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부(180)는 상기 활성화된 s개의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100 can transmit the input sound data in a sleep mode, and the sound receiver 205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mode of the sound device 100 is the sleep mode. receiving the sound data in the state, and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also reads the received sound data in the state that the operation mode of the sound device 100 is the sleep mode, and non-verbal sound or noise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designated spac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band designated for recognizing at least one whistle sound designated for determining a specific situation and/or a specific whistle sou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sound pattern designated for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The process of recognizing can be continued (or repeated). Preferably, in the sleep mode, when the whistle sound is effectively recognized through the whistle sound recognition unit 145,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wakes up the sound device 100 and simultaneously records s number of whistles related to the whistle sound. A service function may be activated,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may perform a procedure of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s number of service functions.

한편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를 통해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둘 이상의 서비스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부(180)는 지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활성화된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 및/또는 상기 활성화된 서비스 기능 중 기 설정된 조건(예컨대,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는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wo or more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are activated through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performs a procedure for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service function according to a designated order, or And/or a procedure for providing at least one servi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eg, a condition for recognizing user's speech) among the activated service functions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고유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운영서버(200)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에 특화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학습하는 기능 및/또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에 특화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을 학습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istle recognition unit 145 corresponds to the whistle frequency ba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and/or the uniqu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corresponding to the whistle sound pattern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It is preferable to recognize, and for this purpose, the operation server 200 has a function of learning at least one whistling sound frequency band specialized for a whistling sound generating source and/or a function of learning at least one whistling sound pattern specific to a whistling sound generating source. It is desirable to have.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M(M≥1)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N(N≥1)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35)를 구비하며,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는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 및/또는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휘파람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operation server 200 stores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 (M≥1) whistle frequency bands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nd/or N (N≥1)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for storing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 number of whistle sound patterns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nd the whistle sound recognition unit 145 is provided with a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A whistle may be recognized using information and/or whistle pattern information.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M(M≥1)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휘파람소리는 소리의 종류나 소리발생원에 따라 다양한(또는 최저 주파수와 최고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차이가 적어도 100Hz 이상의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휘파람소리의 주파수 대역을 M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예컨대, 균등 분할 또는 실험적으로 휘파람소리가 밀집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선택적 분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분할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may store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 (M≥1)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mong the non-verbal sounds or noises that can be generated in a designated spa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histling sound designated for determining a specific situation has a wide range (or a frequency difference of at least 100 Hz or more between the lowest frequency and the highest frequency) depending on the type of sound or sound source. It can have a frequency b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divide the frequency band of the whistling sound into M frequency bands (eg, equal division or experimentally selective division based on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in which the whistling sound is concentrated), an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may store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N(N≥1)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선 샘플 실험을 통해 확인된 휘파람소리의 패턴을 각 케이스 별로 정성 분석 및/또는 정량 분석 과정을 거쳐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may store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N≥1) whistle sound patterns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present invention first generates whistle pattern information through qualitative and/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whistle pattern identified through sample experiments for each case, an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generates the whistle pattern.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휘파람소리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휘파람소리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운영서버(200)의 지능화 처리부(175)는 각각의 사운드장치(100)로부터 휘파람소리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휘파람소리에서 각 소리발생원 별 개별적 소리 특성을 정규화(Normalization)하는 정규화 과정 및/또는 각 케이스 별 정성 분석 및/또는 정량 분석 과정을 거쳐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정밀화 또는 다양화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정밀화 또는 다양화된 휘파람소리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휘파람소리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100 can transmit the recognized whistle sound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200 after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and the intelligent processing unit 175 of the operation server 200 ) is a normalization process of collecting whistle sound information from each sound device 100 and normalizing individual sound characteristics for each sound source in the collected whistle sound and/or qualitative analysis and/or quantitative analysis for each case.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an be refined or diversified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may receive refined or diversified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store N pieces of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ed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에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가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에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저장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 whistle frequency bands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and/or N whistles corresponding to the N whistle patterns ar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When sound pattern information is stored,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reads the received sound data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whistling sound frequency band among the stored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and/or the stored N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It is preferable to recognize a whist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pattern among the whistle sound patterns.

한편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 및/또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것이 아니라, 통계적 휘파람소리의 주파수 대역 및/또는 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정보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사운드장치(100)가 거치된 공간에 존재하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를 고속으로 인식하거나 및/또는 인식오류를 방지(또는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 및/또는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상기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Meanwhile, the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and/or the N whistle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are not optimized (or customized) for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but the frequency band and/or sound of the statistical whistle sound. It will b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Therefore, in order to recognize the whistle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existing in the space where the sound device 100 is mounted at high speed and/or prevent (or minimize) recognition errors, the stored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and/or the whistle sound A process of optimizing (or customizing) the pattern information to the whistling sound of the whistling sound generating source is required.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i(i≥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j(j≥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생성하는 분포 생성부(155)와,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m(1≤m≤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결정하거나 및/또는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n(1≤n≤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결정하는 정보 결정부(160)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operating server 200 uses the M number of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for a designated period of time, at least i (i≥2) times, the whist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Distribution generation that generates distribution information and/or generates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alidly recognized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at least j (j≥2) times during a specified period of time using the N pieces of whistle pattern information. The unit 155 statistically processes the generated whistle sound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to optimize (or customize)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in the space where the sound device 100 passes through m (1≤m≤M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 number of whistle frequency bands and/or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generated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whistle sound generating source in the space through which the sound device 100 has passed through A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160 for determining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1≤n≤N) whistle sound patterns optimized (or customized) for whistles is further provided.

상기 정보 저장부(135)를 통해 지정된 저장매체에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분포 생성부(155)는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i(i≥2)번 유효 인식된 i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When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 whistle frequency bands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designated through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the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55 stores the M whistle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Using th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i validly recognized whistle frequency bands are identified at least i (i≥2) times during a designated period of time, an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i whistle frequency band distributions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한편 상기 분포 생성부(155)를 통해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i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정보 결정부(160)는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되어 상기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를 고속 인식하거나 인식 오류를 방지(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m(1≤m≤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은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으며, 또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서 새롭게 정의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 결정부(160)를 통해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가 결정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결정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우선 판독할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신규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신규 또는 갱신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우선 인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that has been recognized validly at least i during a specified period of time is generated by the distribution generator 155, th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160 determines the generate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is statistically processed to optimize (or customize)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rce in the space through which the sound device 100 has passed through, thereby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rce at high speed or preventing (or minimizing) recognition error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 (1≤m≤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Here, the m whistle frequency bands may be any one of the M whistle frequency bands, or may include a newly defined whistle frequency band within the whistle frequency band range. When the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is determined through th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160,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sets the determined m whistle frequency bands as whistle frequency bands to be read first and stores the designate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may be newly stored in a medium or updated and stored in the whistling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hereafter, the whistling sound recognizing unit 145 reads the received sound data to first recognize a whistling sou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among the new or updated stored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한편 상기 정보 저장부(135)를 통해 지정된 저장매체에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분포 생성부(155)는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j(j≥2)번 유효 인식된 j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j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when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 whistle sound patterns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through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the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55 stores the N whistle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Using the sound pattern information, at least j (j≥2) times during a designated period of time, validly recognized j whistle patterns are identified, and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identified j whistle patterns is generated. can do.

한편 상기 분포 생성부(155)를 통해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j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정보 결정부(160)는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되어 상기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를 고속 인식하거나 인식 오류를 방지(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n(1≤n≤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은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일 수 있으며, 또는 둘 이상의 휘파람소리 패턴의 조합이거나 신규의 휘파람소리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 결정부(160)를 통해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이 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결정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을 우선 판독할 휘파람소리 패턴으로 설정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신규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우선 인식할 수 있다.Meanwhile, when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histle sound pattern distribution that has been recognized validly at least j times during a specified period of time is generated through the distribution generator 155, th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160 determines the generated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is statistically processed to optimize (or customize)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rce in the space through which the sound device 100 has passed through, thereby recognizing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rce at high speed or preventing (or minimizing) recognition error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1≤n≤N) whistle sound patterns for Here, the n whistle patterns may be any one of the N whistle patterns, 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whistle patterns or a new whistle pattern. When n whistle sound patterns are determined through th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160,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sets the determined n whistle sound patterns as firstly read whistle patterns and newly stores them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or Whistling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may be updated and stored. Thereafter, the whistle recognition unit 145 may first recognize a whist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pattern among the n whistle sound patterns by reading the received sound data.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발화내용정보를 인식하는 발화내용 인식부(165)와,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거나 상기 휘파람소리의 인식 종료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인식 판단부(170)와,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하도록 처리하는 지능화 처리부(175)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operation server 200 reads the received sound data, recognizes the user's language utterance, and processes natural language to recognize the utterance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unit ( 165), and a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for checking whether the contents of the user's speech are recognized while the whistling sound is being recognized 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nd of the recognition of the whistling sound, and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and the whistle sound When the content of the user's speech is recognized within a certain time during or after the recognition of the user's speech, an intelligent processing unit 175 for processing to interpret the recognized user's speech by associating it with 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e may be provided. there is.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발화내용정보를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While reading the received sound data through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and performing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whistling sound,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unit 165 reads the received sound data to utter the user's language. and performs a procedure of recognizing speech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speech content by natural language processing.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는 지정된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화함과 동시에 형태 분석, 의미 분석, 대화 분석 중 하나 이상의 자연어 처리 절차를 통해 사용자가 발화한 발화내용을 인식한 발화내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unit 165 analyzes the received sound data through a designated speech recognition algorithm to recognize and characterize the speech spoken by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analyze the form, semantics, and dialogue. Speech content information by recognizing the user's utterance content may be generated through one or mor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rocedures during the analysis.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는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가 휘파람소리를 인식하여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를 통해 상기 서비스장치의 동작모드가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된 경우에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슬립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는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설령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인식하더라도 서비스에는 이용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165 recognizes the whistling sound so that the operation mode of the service device is changed from the sleep mode through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user's utterance in case of waking up. If the operation mode of the sound device 100 is set to the sleep mode by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unit 165 may not perform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user's speech content. Even if the content of the user's speech is recognized, it can be processed so that it is not used for the service.

한편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인식 판단부(170)는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145)를 통해 휘파람소리의 인식이 종료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Meanwhile, when the user's speech content is recognized through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unit 165,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determines that the user's speech content is recognized while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through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45. It is checked whether it is recognized or whether the user's utterance is recognized within a certain time after the whistle recognition is terminated through the whistle recognition unit 145.

만약 상기 인식 판단부(170)를 통해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지능화 처리부(175)는 상기 발화내용 인식부(165)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하도록 처리하며, 이로써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 중 상기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 기능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는 상기 특정소리에 관련됨과 동시에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부(180)는 상기 활성화된 특정 서비스 기능을 지정된 절차에 따라 제공하는 절차 수행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rough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that the contents of the user's speech are recognized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the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75 determines the contents of speech recognizing unit 165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zed through is processed to be analyzed by relating it to 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whereby a specific servic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tterance content among the 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can be determined. In this case,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may activate a specific service function related to the specific sound 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s utterance,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may activate the specific service function. The provided procedur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procedure.

만약 상기 인식 판단부(170)를 통해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지능화 처리부(175)는 상기 서비스 제어부(150)를 통해 슬립모드로 전환하도록 처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에 의해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content of the user's utterance is not recogniz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170, the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75 enters the sleep mode through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and/or a process of waking up from the sleep mode by the whistling sound may be perform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의 서비스 제어부(150)가 활성화하거나 및/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부(180)를 통해 제공 가능한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는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제공하는 서버 기반 서비스와, 상기 사운드장치(100)와 연동하여 제공하는 복합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control unit 150 of the operation server 200 activates and / or the s number of service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is the operation server ( 200) and at least one of a server-based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and a composite service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the sound device 100.

한편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중 상기 서버 기반 서비스는, 무선단말정보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무선단말정보를 이용한 상황 알림 서비스,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호출 서비스,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상황 알림 서비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으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지정된 IPTV장치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s service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the server-based service is a call service us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a situation notification service us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a call service using an app installed on the wireless terminal, and a call service using an app installed on the wireless terminal. At least one of a situation notification service, a video service that provides video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t least one camera to an app installed in a wireless terminal, and a video service that provides video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t least one camera to a designated IPTV device can include

한편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중 상기 복합 서비스는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한 결과를 근거로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2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s services related to the whistle, the complex service recognizes the user's speech within a certain time during or after the whistle is recognized, and analyzes the user's speech by associating the user's speech with a service function related to the whistle Based on one result, the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included.

도면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휘파람소리를 인식하여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recognizing a whistle sound and activating a service related to a whistle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 및/또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휘파람소리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 내지 서비스 활성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3에 도시 설명되는 과정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제공되거나 운영서버(200)를 통해 제공되거나 사운드장치(100)와 운영서버(200)의 연동을 통해 분산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편의상 본 도면3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과정을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In more detail,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recognizing a whistle using M pieces of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and/or N pieces of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activating a service related to the recognized whistle sound. ,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some steps are omitted) for the whistle recognition or service activation process by referring to and/or modifying this Fig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n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nd its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3.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FIG. 3 is provid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the operation server 200, or provided in a distributed form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the sound device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It is possible, and for convenienc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FIG. 3 focusing on the process provid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도면3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사운드장치(100)는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300) 및/또는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300). 이후, 사운드장치(100)는 사운드 입력부(105a)를 통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아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고(305),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의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한 휘파람소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310).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the sound device 100 stores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 whistle frequency bands for recognizing whistle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300) and/or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whistle sound patterns for recognizing whistles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300). Thereafter, the sound device 100 receive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ignal of the audible frequency band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105a, buffers it in a designated buffer area (305),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and reads the sound data in the designated space. For recognizing the at least one specified whistle, a whistl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band and/or a specific whistl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at least one whistle pattern for recognizing the whistle is selected. A recognition procedure is performed (3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저장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310).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면4 및/또는 도면5의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가 결정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가 결정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경우,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및/또는 상기 저장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고유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100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band among the stored M whistle frequency bands and/or to the stored N whistle frequency bands. A whistling sou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whistling sound patterns may be recognized (3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rocess of FIG. 4 and/or FIG. 5, m whistle frequencies optimized (or customized) for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in the space where the sound device 100 has passed through When band information is determin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or n whistling sound pattern information optimized (or customized) for the whistling sound of the whistling sound generator is determin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the sound device 100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band among the stored m whistle frequency bands and/or a whistle sou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pattern among the stored n whistle pattern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unique whistling sound of the generating source (310).

만약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한 시점에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슬립모드인 경우,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상기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될 수 있다(315). If the operation mode of the sound device 100 is the sleep mode at the time of recognizing the whistling sound, the sound device 100 may be woken up in the sleep mode (315).

한편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된 경우,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지정된 S(S≥1)개의 서비스 기능 중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적어도 s(1≤s≤S)개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320), 상기 활성화된 s개의 서비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기능을 지정된 절차에 따라 제공하는 절차 수행할 수 있다(325).Meanwhile, when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and/or the operation mode of the sound device 100 is woken up from the sleep mode, the sound device 100 among the designated S (S≥1)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At least s (1≤s≤S) number of service functions may be activated (320), and a procedure for providing at least one service function among the activated s number of service functions according to a specified procedure may be performed (325).

한편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휘파람소리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휘파람소리가 유효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한다(330). 만약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휘파람소리가 유효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335). Meanwhile, when the whistling sound is not recognized by reading the sound data, the sound device 100 checks whether the whistling sound is not effectively recognized for a designated period of time (330). If the whistling sound is not validly recognized for a designated period of time, the sound device 100 may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sound device 100 to a sleep mode (335).

도면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optimizing (or customizing) a whistle frequency band for recognizing a whistle sound to the whistle sound of a whistle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i(i≥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m(1≤m≤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결정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신규/갱신 저장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의 최적화(또는 맞춤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4에 도시 설명되는 과정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제공되거나 운영서버(200)를 통해 제공되거나 사운드장치(100)와 운영서버(200)의 연동을 통해 분산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편의상 본 도면4는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과정을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In more detail, Figure 4 shows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that has been recognized validly at least i (i≥2) times during a specified period of time using M pieces of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pre-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m (1≤m≤M) number of optimized (or customized) whistle sounds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in the space where the sound device 100 passed through by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generate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It shows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m pieces of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and storing them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s new/updated.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implementation methods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for the process of optimizing (or customizing) the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may be inferred by referring to and/or modifying FIG. The invention is made including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its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4.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FIG. 4 is provid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the operation server 200, or provided in a distributed form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the sound device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It is possible, and for convenienc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ainly in the process provid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in FIG. 4 .

도면4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사운드장치(100)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휘파람소리를 유효 인식한 후, 상기 휘파람소리를 유효 인식하는데 사용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한다(400).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the sound device 100 effectively recognizes a whistle using M pieces of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pre-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hen the whistle sound used to effectively recognize the whistle sound. The frequency band information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managed (400).

만약 상기 저장영역에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휘파람소리를 유효 인식하는데 사용된 i(i≥2)개의 휘파람소리 주파 대역 정보가 저장된 경우(405), 사운드장치(100)는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i(i≥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생성하고(410),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m(1≤m≤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결정한 후(415), 상기 결정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우선 판독할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신규/갱신 저장하며(420), 이후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상기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휘파람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If i (i≥2) pieces of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used to validly recognize whistles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are stored in the storage area (405), the sound device 100 provides at least i (i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 2) generates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alidly recognize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410), statistically processes the generate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and After determining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 (1≤m≤M) whistle frequency bands optimized (or customized) for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415), the determined m whistle frequencies The band is first set as a whistle frequency band to be read, and new/updated storage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420). Then, the sound device 100 recognizes a whistle using the stored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an

도면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한 휘파람소리 패턴을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optimizing (or customizing) a whistle sound pattern for recognizing a whistle sound to the whistle sound of a whistle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 저장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j(j≥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n(1≤n≤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결정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신규/갱신 저장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휘파람소리 패턴의 최적화(또는 맞춤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5에 도시 설명되는 과정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제공되거나 운영서버(200)를 통해 제공되거나 사운드장치(100)와 운영서버(200)의 연동을 통해 분산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편의상 본 도면5는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과정을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In more detail, FIG. 5 shows whistle sound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whistle sound pattern distributions that have been recognized validly at least j (j≥2) times during a designated period of time using N pieces of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pre-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n (1≤n≤N) number of whistles optimized (or customized) for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in the space where the sound device 100 passed through by generating and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generated whistle sound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It shows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ound pattern and storing it in a new/updated storage area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process of optimizing (or customizing) the whistling sound pattern (eg, an implementation method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may be inferred by reference and/or modific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ade including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that are,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this Figure 5.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is Figure 5 is provid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provid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or provided in a distributed form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the sound device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It is possible, and for convenienc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Figure 5 focusing on the process provid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도면5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사운드장치(100)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 저장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휘파람소리를 유효 인식한 후, 상기 휘파람소리를 유효 인식하는데 사용된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한다(500).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the sound device 100 effectively recognizes a whistle sound using N pieces of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pre-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hen the whistle sound pattern used to effectively recognize the whistle sound. Information is stored and manag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500).

만약 상기 저장영역에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휘파람소리를 유효 인식하는데 사용된 j(j≥2)개의 휘파람소리 주파 대역 정보가 저장된 경우(505), 사운드장치(100)는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j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생성하고(510),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100)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n(1≤n≤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결정한 후(515), 상기 결정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을 우선 판독할 휘파람소리 패턴으로 설정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신규/갱신 저장하며(520), 이후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상기 저장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휘파람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If j (j≥2) pieces of whistling frequency band information used to validly recognize whistles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are stored in the storage area (505), the sound device 100 is valid at least j times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Whistle sound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whistle sound pattern distribution is generated (510), and the generated whistle sound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is statistically processed so that the whistle of the whistle sound generating source in the space through which the sound device 100 passes After determining n whistle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1≤n≤N) whistle patterns optimized (or customized) for sound (515), the determined n whistle patterns are to be read first. is set to new/updated storage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520), and then the sound device 100 can recognize the whistle sound using the stored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도면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휘파람소리와 발화내용을 연계 인식하여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6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ctivating a service related to a whistling sound by recognizing a whistle sound and an utterance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하여 상기 인식된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 내지 서비스 활성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6에 도시 설명되는 과정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제공되거나 운영서버(200)를 통해 제공되거나 사운드장치(100)와 운영서버(200)의 연동을 통해 분산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편의상 본 도면6은 사운드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과정을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In more detail, FIG. 6 shows that when the contents of the user's speech are recognized within a certain time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the recognized user's speech contents are analyzed in association with 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and the recognition This shows an embodiment of activating a service related to a whistling soun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fer to and / or modify this Figure 6 to recognize the whistling sound or service activation process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implementation methods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may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the implementation shown in FI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shown and described in this Figure 6 is provid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provid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or provided in a distributed form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the sound device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200. It is possible, and for convenienc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FIG. 6 focusing on the process provided through the sound device 100.

도면6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사운드장치(100)는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발화내용정보를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600). 만약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유효 인식되지 않는지 확인한다(605). 만약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유효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610).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the sound apparatus 100 reads sound data buffered in a designated buffer area, recognizes a user's language utterance, processes it in natural language, and recognizes speech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speech content. is performed (600). If the user's speech content is not recognized, the sound device 100 checks whether the user's speech content is not validly recognized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or longer (605). If the content of the user's utterance is not validly recognized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or longer, the sound device 100 may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sound device 100 to a sleep mode (610).

한편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면,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슬립모드인지 확인한다(615). 만약 슬립모드인 경우에 휘파람소리를 인식하여 웨이크업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when the user's utterance is recognized by reading the sound data, the sound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mode of the sound device 100 is a sleep mode (615). If in the sleep mod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process of waking up by recognizing a whistling sound.

한편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인식한 시점에 상기 사운드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슬립모드가 아니라면(예컨대,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 중 또는 일정 시간 전에 휘파람소리가 인식되어 사운드장치(100)의 슬립모드가 웨이크업된 경우),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휘파람소리의 인식 종료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지 확인한다(620). 만약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슬립모드인지 확인하거나 휘파람소리를 인식하여 웨이크업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ion mode of the sound device 100 is not the sleep mode at the time of recognizing the contents of the user's speech (e.g., while the contents of the user's speech are recognized or a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before a certain time, the sound apparatus 100 When the sleep mode wakes up), the sound device 100 confirms that the content of the user's speech is recognized while the whistling sound is being recognized, and/or the user's speech is heard within a certain time after the end of the recognition of the whistling sound. It is checked whether the contents are recognized (620). If the content of the user's speech is not recognized within a certain time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the sound device 100 preferably performs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sound device 100 is in a sleep mode or waking up by recognizing the whistling sound. do.

한편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된 경우, 상기 사운드장치(100)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하며(625), 이를 근거로 S개의 서비스 기능 중 상기 특정소리에 관련됨과 동시에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630), 상기 활성화된 특정 서비스 기능을 지정된 절차에 따라 제공하는 절차 수행할 수 있다(635).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speech content is recogniz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the sound device 100 associates the recognized user's speech content with 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and interprets (625), based on this, a specific service function related to the specific sound 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s utterance can be activated (630), and the activated specific service function is designated as The provided procedure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635).

100 : 사운드장치 105 : 사운드모듈
105a : 사운드 입력부 105b : 사운드 출력부
110 : 카메라모듈 110a : 카메라부
115 : 전원모듈 120 : 통신모듈
120a : 무선망 통신부 120b : 근거리망 통신부
125 : 근거리모듈 125a : 근거리 무선부
130 : 제어모듈 130a : 제어부
130b : 메모리부 135 : 정보 저장부
140 : 사운드 처리부 145 : 휘파람소리 인식부
150 : 서비스 제어부 155 : 분포 생성부
160 : 정보 결정부 165 : 발화내용 인식부
170 : 상황 판단부 175 : 지능화 처리부
180 : 서비스 제공부 185 : 카메라장치
200 : 운영서버 205 : 사운드 수신부
100: sound device 105: sound module
105a: sound input unit 105b: sound output unit
110: camera module 110a: camera unit
115: power module 120: communication module
120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0b: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25: short-range module 125a: short-range wireless unit
130: control module 130a: control unit
130b: memory unit 135: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sound processing unit 145: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150: service control unit 155: distribution generation unit
160: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165: speech content recognition unit
170: situation judgment unit 175: intelligence processing unit
180: service provider 185: camera device
200: operation server 205: sound receiver

Claims (22)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사운드모듈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모듈과 근거리의 카메라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모듈과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을 구비하는 사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거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는 사운드 처리부;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비언어적 소리나 소음 중 특정한 상황 판단을 위해 지정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기 위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고 상기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고유한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휘파람소리 인식부;
상기 휘파람소리를 인식한 경우에 지정된 S(S≥1)개의 서비스 기능 중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적어도 s(1≤s≤S)개의 서비스 기능과 상기 근거리모듈, 통신모듈, 카메라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상기 인식된 휘파람소리를 발생시킨 소리발생원을 촬영하는 영상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M(M≥1)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와 N(N≥1)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i(i≥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j(j≥2)번 유효 인식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생성하는 분포 생성부;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주파수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m(1≤m≤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생성된 휘파람소리 패턴 분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장치를 거치한 공간에 있는 휘파람 소리발생원의 휘파람소리에 최적화(또는 맞춤화)된 n(1≤n≤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정보를 결정하는 정보 결정부;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언어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발화내용정보를 인식하는 발화내용 인식부;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거나 상기 휘파람소리의 인식 종료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인식 판단부;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이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s개의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하도록 처리하는 지능화 처리부; 및
상기 활성화된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
A sound module including a sound input unit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and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a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 short range camera device, and a short range module for proces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ubject In the sound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for obtaining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a sound processing unit which buffer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ignal of the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in a designated buffer area or checks the sound data buffered in the designated buffer area;
Corresponds to the whistle frequency band of at least one designated whistling sound generating source for recognizing a designated whistling sound for determining a specific situation among non-verbal sounds or noises that may be generated in a designated space by reading the buffered sound data, and of the whistling sound generating source a whistling sound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a unique whistling sound of a whistling sound generating source corresponding to a whistling sound pattern;
When recognizing the whistle, at least s (1≤s≤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e among the designated S (S≥1) service functions and any one or more of the short-distance module, communica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A control module including a service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n image service function for photographing a sound generating source that generates the recognized whistling sound through the camera device using the module,
The control module,
Information storage for storing M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 (M≥1)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and N whistle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N≥1) whistle sound pattern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wealth;
generating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i (i≥2) times validly recognize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using the M pieces of whistle frequency band information; and generating the N pieces of whistle pattern information a distribu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alidly recognized whistle pattern distribution at least j (j≥2) times during a specified period of time usi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 (1≤m≤M) frequency bands of whistles optimized (or customized) for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in the space through which the sound device is installed by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generated whistle frequency distribution information n (1≤n) optimized (or customized) for the whistle sound of the whistle sound generator in the space through which the sound device is located by determining m pieces of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and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generated whistle sound pattern distribution information a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n whistle soun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 whistle sound patterns;
an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unit that reads the buffered sound data, recognizes a user's language utterance, and recognizes utterance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utterance content by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 recogni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s of the user's speech are recognized while the whistling sound is being recognized or whether the contents of the user's speech are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nd of the recognition of the whistling sound;
If the content of the user's speech is recognized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an intelligent processing unit for interpreting the recognized user's speech content by associating it with s service functions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and
A sound device with a whistling sound recogni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rvice providing unit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service fun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고 상기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histling sound recognition unit,
and a function of reading the buffered sound data and recognizing a whist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frequency band among the M whistle frequency bands a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pattern among the N whistle patterns. A sound device equipped with a whistling sound recogni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결정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을 우선 판독할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여 신규 또는 갱신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된 m개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우선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setting the determined m whistle frequency bands as whistle frequency bands to be read first and storing them as new or updated;
The whistling sound recognizing unit comprises a function of reading the buffered sound data and firstly recognizing a whistling sou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e sound frequency band among the stored m whistle sound frequency bands. A sound device equipped with a recognition func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결정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을 우선 판독할 휘파람소리 패턴으로 설정하여 신규 또는 갱신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휘파람소리 인식부는, 상기 버퍼링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된 n개의 휘파람소리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휘파람소리 패턴에 대응하는 휘파람소리를 우선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setting the determined n whistle sound patterns as whistle sound patterns to be read first and storing them as new or updated,
wherein the whistling sound recognizing unit includes a function of reading the buffered sound data and firstly recognizing a whistling sou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whistling sound pattern among the stored n whistling sound patterns. equipped with a sound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휘파람소리와 관련됨과 동시에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control unit,
A sound device with a whistle recogni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unction of activating a specific service function related to the whistle sound 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s uttera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개의 서비스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와 연동하여 제공하는 서버 연동 서비스와,
상기 사운드모듈을 통해 제공하는 사운드 기반 서비스와,
상기 사운드모듈과 통신모듈을 복합 이용하여 제공하는 복합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 number of services,
A server linkage service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an operation serv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sound-based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sound module;
A sound device with a whistling sound recogni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service among complex services provided by combining the sound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연동 서비스는,
무선단말정보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무선단말정보를 이용한 상황 알림 서비스,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호출 서비스,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상황 알림 서비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으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지정된 IPTV장치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rver interworking service,
Call service us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Situation notification service us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A call service using an app installed on a wireless terminal;
A situation notification service using an app installed on a wireless terminal,
A video service that provides video information captured by at least one camera to an app installed on a wireless terminal;
A sound device with a whistling sound recogni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service among video services that provide video information captured by at least one camera to a designated IPTV devic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기반 서비스는,
사운드모듈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지정된 서비스 소리를 지정된 신호출력강도로 출력하는 소음 출력 서비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ound-based service,
A sound device with a whistling sound recogni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oise output service for outputting a designated service sound at a designated signal output strength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sound modul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강도는,
상기 휘파람소리를 입력받은 신호입력강도에 반비례하는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ignal output strength,
A sound device with a whistling sound recogni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gnal strength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ignal input strength of the whistling sound.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서비스는,
상기 휘파람소리가 인식되는 중 또는 후의 일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휘파람소리와 관련된 서비스 기능에 연관시켜 해석한 결과를 근거로 통신망 상의 운영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mplex service,
The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contents of the user's speech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or after the whistling sound is recognized and associating the contents of the user's speech with the service function related to the whistling sound Sound device equipped with a whistling sound recogni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52364A 2017-11-15 2017-11-15 Sound Device with Function of Whistle Sound Recognition KR1024950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364A KR102495028B1 (en) 2017-11-15 2017-11-15 Sound Device with Function of Whistle Sound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364A KR102495028B1 (en) 2017-11-15 2017-11-15 Sound Device with Function of Whistle Sound Recogn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535A KR20190055535A (en) 2019-05-23
KR102495028B1 true KR102495028B1 (en) 2023-02-07

Family

ID=6668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364A KR102495028B1 (en) 2017-11-15 2017-11-15 Sound Device with Function of Whistle Sound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0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1233A (en) * 2020-10-27 2021-02-05 郑州捷安高科股份有限公司 Auditory signal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665B1 (en) * 2008-09-18 2010-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based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KR101749100B1 (en) * 2010-12-23 201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gesture and sound for controlling device
KR102058918B1 (en) * 2012-12-14 2019-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195897B1 (en) * 2013-06-05 2020-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dectecting aucoustic event,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embodied thereon a program which when executed by a computer perorms the method
KR20170018140A (en) * 2015-08-05 2017-0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emergency diagnosis having nonlinguistic speech recognition function and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535A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85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ear control of remote devices
CN110431623B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721661B2 (en) Wireless device connection handover
US20170257072A1 (en) Intelligent audio output devices
CN106782540B (en) Voice equipment and voice interaction system comprising same
TW201716929A (en) Voice control method and voice control system
US20210241768A1 (en) Portable audio device with voice capabilities
TW201717655A (en) Voice control method and voice control system
KR102421824B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voice based service using externa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the externa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26272B1 (en) Electronic device for network setup of externa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852102B1 (en) Voice assistant proxy for voice assistant servers
CN111656440A (en) Speaker identification
KR102374054B1 (en) Method for recognizing voice and apparatus used therefor
JP7197992B2 (en) Speech recognition device, speech recognition method
WO2019228329A1 (en) Personal hearing device, external sound processing device,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652397B2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all function
JP2009178783A (en) Communication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WO2022199405A1 (en) Vo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102573242B1 (en) Sound Device for Recognition of Scream Sound
KR102495019B1 (en) Sound Device for Recognizing Animal Sound
KR102495028B1 (en) Sound Device with Function of Whistle Sound Recognition
JP2006025079A (en) Head se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53633A (en) Stationary Sound Device for Circumstantial Judgement
KR102645469B1 (en) Sound Device for Entry Recognition
KR20190052369A (en) Stationary Sound Device for Ba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