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281B1 -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281B1
KR102494281B1 KR1020220164883A KR20220164883A KR102494281B1 KR 102494281 B1 KR102494281 B1 KR 102494281B1 KR 1020220164883 A KR1020220164883 A KR 1020220164883A KR 20220164883 A KR20220164883 A KR 20220164883A KR 102494281 B1 KR102494281 B1 KR 102494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duration
peak
flame
ar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테크
정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테크, 정필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to KR102022016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18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using optical methods; using charged particle, e.g. electron, beams or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7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 G01J1/0433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using notch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05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hase or frequency of 2 mutually independent oscillations in demod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165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using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ulses, e.g. deviation from pulse flatness, rise time or duration
    • G01R29/027Indicating that a pulse characteristic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beyond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방전시와 불꽃에 의해 발생되는 광신호에서 일정한 광스펙트럼 대역만 통과시키도록 3 개의 적외선필터가 각각 120°로 배치되어 총 360°범위에서 적외선 감지 및 필터링이 가능한 복수 개의 적외선필터; 3 개의 수광소자가 상기 적외선 필터에 각각 대응하도록 각각 120°로 배치되어 총 360°범위에서 수광이 가능한 복수 개의 수광소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버퍼; 상기 수광소자에서 수신된 광신호를 적분하는 저역신호통과필터; 아크, 불꽃 지속시간이 위험수준을 초과할 때 작동하도록 신호레벨이 설정된 지속시간동작점설정기;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아크, 불꽃 지속시간 동안 구형파를 출력하는 비교기; 잡음을 제거하도록 일정 레벨 이상의 입력에서만 구형파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스미트트리거기;로 구성된 아크, 불꽃 지속시간 감지부;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버퍼; 상기 수광소자에서 수신된 광신호를 미분하는 고역신호통과필터; 첨두치 지속시간이 위험수준을 초과할 때 작동하도록 신호레벨이 설정된 첨두치시간동작점설정기; 아크, 불꽃의 첨두치 지속시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아크, 불꽃 첨두치 지속시간 동안 구형파를 출력하는 비교기; 잡음을 제거하도록 일정 레벨 이상의 입력에서만 구형파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스미트트리거기;로 구성된 아크, 불꽃 첨두치 지속시간 감지부; 및 상기 아크, 불꽃 지속시간 감지부와 아크, 불꽃 첨두치 지속시간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수배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DIFFERENTIATING-INTEGRATING TYPE ARC AND FIR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SIMULTANEOLSLY DURATION AND PEAK DURATION OF ARC AND FLAME GENERATED WITHIN SWITHBOARD AND HAVING 360 DEGREES SENSING RANGE AND CONTROL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 수배전반내에 설치된 전자기기의 내부에 오랜 시간 동안 누적된 먼지 및 습기와 같은 이물질로 인하여 절연이 열화되거나 파괴되어 발생하는 아크방전 불꽃(광)을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수배전반내 전선 또는 부스바 절연을 위해 설치하는 절연체나 애자 등의 표면에 수분에 의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어 내절연 전압이 낮아지면 절연체 표면을 따라 아크방전이 일어나면서 발생되는 순간적인 불꽃 신호를 감지하고 전력시스템 차단신호를 송출하여 전력기기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배전반내 화재를 방지하고 전력기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 내부에는 전압이 흐르는 도체와 지지용 철 구조물 간에 전기적 절연을 유지하기 위하여 절연체 또는 절연애자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적 절연을 유지하기 위한 절연체 또는 절연애자는 오랜 기간 대기 중에 노출되면 대기 중에 포함된 수분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먼지가 누적되어 퇴적되며, 이러한 누적된 퇴적층에서 절연 파괴가 일어나게 되었다.
상기 절연체 또는 절연 애자의 절연불량은, 초기에는 절연층이나 절연 애자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과 같은 부분방전을 야기하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진행되어 아크방전을 발생시킴에 따라 전기기기의 파손은 물론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사고로 이어졌다.
이러한 절연체나 절연 애자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아크는 순간적으로 일어나며, 아크의 지속시간과 크기에 따른 전체에너지에 비례하여 파급되는 사고범위와 전기기기의 손상정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아크의 지속시간과 크기를 모니터링하면 문제가 되는 아크 에너지를 알 수 있고, 그로인해 사고의 위험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문제가 되는 아크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종래에는 전기가 흐르는 전력선을 둘러싸는 고주파 전류변성기(HFCT: 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를 사용하여 유선으로 아크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아크 신호의 전력 주파수 스펙트럼이 넓어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을 추출하면 사고 유무 구분이 어려워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고, 일정 주파수 스펙트럼만을 추출하여 감지하면 대표성이 약하여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광전자적인 방법으로는 일정거리 이격된 장소에서 아크를 모니터링하여 아크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짧은 시간동안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아크는 콘덴서에 의한 적분이 충분히 이루어지기 어려워 순간적인 강도만을 측정하여서는 아크에 포함된 아크 에너지를 신뢰성 있게 판단할 수 없어 오동작 가능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고주파 전류변성기를 사용한 감지방법과 종래의 아크 감지방식은 모두 상황에 맞는 장단점이 존재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배전반 내 절연체나 절연애자 등의 절연 열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아크에 포함된 전체 에너지를 파악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아크의 위험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또 다른 아크 감지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특허등록 제10-1563189호는 적분연산 기법 아크에너지 감지 및 아크레벨 선택 기능을 갖는 사고검출기 장착형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써, 수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감지하여 상기 아크의 에너지를 연산하고, 연산된 아크의 에너지 레벨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아크센서; 및 상기 아크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그 감지신호에 따라 전력계통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수배전반 내부의 특정 지점 또는 상기 수배전반 주변의 온도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아크센서는 적외선 선별 필터, 수광소자 및 적분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선별 필터는 상기 아크에 포함된 다양한 파장 성분의 광 중 적외선 영역의 파장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상기 수광소자로 전달하며, 상기 수광소자는 상기 적외선 선별 필터를 투과한 적외선 영역의 파장 성분을 입력 받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며, 상기 적분연산부는 상기 수광소자에서 출력된 전기신호에 대해 적분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아크의 에너지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등록 제10-2262547호는 태양광 접속반 사고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적외선 선별 필터, 수광소자 및 적분연산부로 구성되어, 태양광 접속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감지하여 상기 수광소자에서 출력된 전기신호에 대해 적분 연산부를 통해 적분 연산을 수행하여 아크의 에너지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아크의 에너지 레벨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아크센서; 태양광 접속반 내부온도 또는 내부 전기설비부품 온도를 감지하고, 태양광 접속반 함체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태양광 접속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 및 촬영하는 화재센서; 아크센서, 온도센서 및 화재센서의 신호를 토대로 태양광 접속반의 상황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태양광 접속반 동작을 제어하는 감시장치;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태양광 접속반 상황을 파악하고, 그에 상응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관제센터 및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기술들은 모두 적분방식만에 의한 아크 감지기술로써, 아크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할 수 없어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였다.
1. 특허등록 제10-1563189호(2015년 10월 20일 등록, 명칭 : 적분연산 기법 아크에너지 감지 및 아크레벨 선택 기능을 갖는 사고검출기 장착형 수배전반) 2. 특허등록 제10-2262547호(2021년 06월 02일 등록, 명칭 : 태양광 접속반 사고관리시스템)
따라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배전반 내 절연체나 절연애자 등의 절연 열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아크(방전광)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360°범위에서 감지하여 아크에 포함된 전체 에너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 및 이의 제어장치는,
아크방전시와 불꽃에 의해 발생되는 광신호에서 일정한 광스펙트럼 대역만 통과시키도록 3 개의 적외선필터가 각각 120°로 배치되어 총 360°범위에서 적외선 감지 및 필터링이 가능한 복수 개의 적외선필터;
3 개의 수광소자가 상기 적외선 필터에 각각 대응하도록 각각 120°로 배치되어 총 360°범위에서 수광이 가능한 복수 개의 수광소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버퍼; 상기 수광소자에서 수신된 광신호를 적분하는 저역신호통과필터; 아크, 불꽃 지속시간이 위험수준을 초과할 때 작동하도록 신호레벨이 설정된 지속시간동작점설정기;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아크, 불꽃 지속시간 동안 구형파를 출력하는 비교기; 잡음을 제거하도록 일정 레벨 이상의 입력에서만 구형파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스미트트리거기;로 구성된 아크, 불꽃 지속시간 감지부;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버퍼; 상기 수광소자에서 수신된 광신호를 미분하는 고역신호통과필터; 첨두치 지속시간이 위험수준을 초과할 때 작동하도록 신호레벨이 설정된 첨두치시간동작점설정기; 아크, 불꽃의 첨두치 지속시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아크, 불꽃 첨두치 지속시간 동안 구형파를 출력하는 비교기; 잡음을 제거하도록 일정 레벨 이상의 입력에서만 구형파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스미트트리거기;로 구성된 아크, 불꽃 첨두치 지속시간 감지부; 및
상기 아크, 불꽃 지속시간 감지부와 아크, 불꽃 첨두치 지속시간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수배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 개의 적외선필터는 아크, 불꽃에 포함된 적외선을 통과시켜 배전반 내 조명등의 영향을 배제하도록 하고, 적외선 통과대역용으로 착색된 플라스틱 판또는 보다 좁은 통과파장을 위해 유리표면에 간섭필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 개의 수광소자는 불필요한 주변광의 영향을 줄일 수 있게 특정 각도 내의 아크, 불꽃을 수신할 수 있도록 표면에 렌즈가 형성되고, 자체적으로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케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 감지신호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제1 버퍼;,
아크, 불꽃의 첨두치지속시간 감지신호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제2 버퍼;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 정보와 첨두치지속시간 정보로부터 아크, 불꽃에 포함된 전체 에너지를 산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차단기 구동회로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제3 버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 정보와 첨두치지속시간 정보로부터 윗변이 첨두치지속시간이며, 밑변이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사다리꼴 면적으로 아크, 불꽃에 포함된 전체 에너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연산된 아크, 불꽃에 포함된 에너지 정보로부터 위험수준을 초과하는 아크, 불꽃을 판단하여 아크, 불꽃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각각 120°의 필터링범위를 갖도록 배치된 3 개의 적외선필터로부터 입력되는 적외선을 각각 120°의 수광범위를 갖도록 배치된 3 개의 수광소자가 수신하면, 수신된 적외선이 3 개의 수광소자 중 어느 곳에 수신된 것인지를 분석하여, 아크, 불꽃이 발생된 배전반 내부 구역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의 제1 및 제2 버퍼는 비교기의 출력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력을 정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수광소자는 그 후단에 가변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가변저항은 아크, 불꽃의 위험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설정되고, 그 설정된 바에 따라 신호감도가 조정되도록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에 따르면, 전기기기의 절연파괴 정도를 모니터링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절연파괴시 발생하는 아크에 포함된 전체 에너지를 측정 산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절연파괴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360°범위에서 감지신호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배전반 내부 전체에 대한 감시가 가능하다.
또한, 전기기기의 절연파괴시 발생하는 아크에 포함된 전체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아크의 전체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사다리꼴 면적을 토대로 전체 에너지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게 전체 에너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아크에 포함된 전체 에너지를 산출하므로 전체 에너지는 작으면서 순간적으로 첨두치가 높아 발생하는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 및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크, 불꽃신호를 수신하여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360°범위에서 판단하는 제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를 전기기기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의 초단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크신호의 크기별 감지 방법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크, 불꽃신호를 수신하여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360°범위에서 판단하는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를 전기기기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의 초단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에 수신되는 아크신호의 크기별 감지 방법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적분방식 아크센서(14)는 3 개의 적외선필터가 각각 120°로 배치되어 총 360°범위에서 적외선 감지 및 필터링이 가능한 복수 개의 적외선필터(1)와, 3 개의 수광소자가 각각 120°로 배치되어 총 360°범위에서 수광이 가능한 복수 개의 수광소자(2)와, 직류정전압회로(13)가 공통으로 구성되고, 여기에 아크(방전광), 불꽃의 지속시간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와, 아크, 불꽃의 첨두치 지속시간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가 각각 구성된다,
아크(방전광), 불꽃의 지속시간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는, 버퍼(3), 저역신호통과필터(4), 지속시간동작점설정기(5), 비교기(6), 스미트트리거기(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아크, 불꽃의 첨두치 지속시간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는, 버퍼(8), 고역신호통과필터(9), 첨두치시간동작점설정기(10), 비교기(11), 스미트트리거기(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크 또는 아크 방전광은 동일한 의미로써 혼용하기로 한다.
360°범위에서 적외선 감지 및 필터링이 가능한 적외선필터(1)는 아크, 불꽃에 많이 포함된 적외선만 통과시키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써, 배전반 내 조명등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적외선필터(1)는 적외선 통과대역용으로 착색된 플라스틱 판 또는 보다 좁은 통과파장을 위해서 유리표면에 간섭필터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360°범위에서 수광이 가능한 수광소자(2)는 불필요한 주변광의 영향을 감소시키면서 오직 아크, 불꽃만 수신할 수 있도록 표면에 렌즈가 형성되고, 자체적으로도 적외선만 통과시키는 케이스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로서 버퍼(3)는 지속시간감지신호 회로가 첨두치감지신호 회로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저역신호통과필터(4)는 적분회로로 아크, 불꽃신호를 적분하여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지속시간동작점설정기(5)는 아크 및 화재센서 입력신호의 전체 지속시간이 위험수준을 초과할 때 작동하도록 신호 레벨을 설정한다.
비교기(6)는 감지신호 하단의 펄스 지속시간을 감지하여 상응하는 펄스폭을 갖는 구형파를 발생한다.
스미트트리거기(7)는 일정 레벨 이상의 입력에서만 구형파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또한, 아크, 불꽃의 첨두치 지속시간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에서 버퍼(8)는 첨두치지속시간 감지신호 회로가 지속시간 감지신호 회로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고역신호통과필터(9)는 미분회로로 아크, 불꽃신호를 미분하여 첨두치 지속시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첨두치시간동작점설정기(10)는 아크 및 화재센서 입력신호 중 첨두치 지속시간이 위험수준을 초과할 때 작동하도록 신호 레벨을 설정한다.
비교기(11)는 감지신호 상단의 펄스 지속시간을 감지하여 상응하는 펄스폭을 갖는 구형파를 발생한다.
스미트트리거기(12)는 일정 레벨 이상의 입력에서만 구형파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로서의 수신기(19)는 버퍼(15), 버퍼(16), 마이크로프로세서(17), 버퍼(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버퍼(15)는 수신되는 지속시간 감지신호와 마이크로프로세서(17)의 입력회로가 정합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버퍼(16)는 수신되는 첨두치지속시간 감지신호와 마이크로프로세서(17)의 입력회로가 정합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각각 120°의 필터링범위를 갖도록 배치된 3 개의 적외선필터(1)로부터 입력되는 적외선을 각각 120°의 수광범위를 갖도록 배치된 3 개의 수광소자(2)가 수신하면, 수신된 적외선(감지신호)이 3 개의 수광소자 중 어느 곳에 수신된 것인지를 분석하여, 아크, 불꽃이 발생된 배전반 내부 구역을 특정하여 아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3 개의 수광소자(2)가 각각 120°를 커버할 수 있도록 배치되므로 그 방향을 배전반 내부 구역과 매칭시켜 아크, 불꽃이 발생된 구역을 판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전반 내부도 3 개의 구역으로 구분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배전반내에서 발생된 불꽃을 감지하는 수광소자(2)에서 수신된 적외선신호를 이용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화재여부 판단도 아크 판단과 유사하게, 불꽃 지속시간과 불꽃 첨두치 지속시간을 토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성은 아크, 불꽃이 발생되는 부스바 또는 전선, 절연체 또는 애자, 지지대 등의 전기기기(20)와, 360°범위에서 적외선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각각 120°의 필터링범위를 갖도록 배치된 3 개의 적외선필터(1) 및 360°범위에서 수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각각 120°의 수광범위를 갖도록 배치된 3 개의 수광소자(2)로 구성된 아크 및 화재센서(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기기(20)는 일반적으로 금속 지지대 위에 절연체 또는 절연애자가 설치되고, 그 위에 전기가 흐르는 전선 또는 부스바가 위치한다. 아크는 상기 전선 또는 부스바로부터 금속 지지대로 절연체 또는 절연애자를 따라 방전이 일어나면서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불꽃은 아크로 인하여 주위 불꽃에 민감한 소재의 구성부분들이 연소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아크, 불꽃에 포함된 특정 적외선대역만 적외선필터(1)를 통과하며, 수광소자(2)에 내장된 적외선필터에서 다시 필요한 적외선대역만 통과시킨다.
수광소자(2) 표면에 형성된 볼록렌즈는 총 360°범위에서 아크, 불꽃을 수광하여 주변 조명등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아크방전광감지센서(14)는 전기기기(20)에서 발생되는 아크, 불꽃에서 필요한 적외선만 안정적으로 추출하여 아크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의 초단부는 수광소자(2), 가변저항(21), 버퍼(3), 저역신호통과필터(4), 버퍼(8), 고역신호통과필터(9)를 포함할 수 있다.
3 개의 적외선필터(1)로부터 입력되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소자(2)는 360° 범위에서 수광이 가능하도록 3 개가 병렬로 구성되며, 가변저항(21)이 연결되어 감지신호가 가변저항(21) 양단에 나타나게 된다.
또한, 가변저항(21)은 별도의 고정저항들을 사용하여 아크, 불꽃의 위험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변저항(21)은 예를 들어 위험단계를 심각, 위험, 보통, 무시 등으로 구분하여 설정된 바에 따라 신호감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 감지회로에 구성된 버퍼(3)를 거친 신호는 적분연산 기능을 수행하도록 저역필터저항(22)과 저역필터콘덴서(23)로 구성된 저역신호통과필터(4)를 거친 후,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에 해당하는 적분신호(24)가 출력된다.
또한, 첨두치지속시간 감지회로에 구성된 버퍼(8)를 거친 신호는 미분연산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역필터저항(26)과 고역필터콘덴서(25)로 구성된 고역신호통과필터(9)를 거친 후, 아크, 불꽃의 첨두치 지속시간에 해당하는 미분신호(27)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는 360° 범위에서 적외선필터(1)와 수광소자(2)을 차례로 거친 아크, 불꽃신호가 저역신호통과필터(4)를 통과하면서 적분되어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되, 아크, 불꽃의 전체 지속시간이 지속시간동작점설정기(5)에 설정된 위험시간을 초과하면 별도의 제어가 행해지도록 한다.
반면, 위험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비교기(6) 및 스미트트리거기(7)를 거치면서 잡음이 제거된 구형파 출력신호가 수신기(19)에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별도의 제어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이 위험시간을 초과하였다는 신호가 직접 수신기(19)로 전송되어 배전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동시에, 적외선필터(1)와 수광소자(2)를 차례로 거친 아크, 불꽃신호가 고역신호통과필터(9)를 거치면서 미분되어 아크, 불꽃의 첨두치 지속시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되, 아크, 불꽃의 첨두치 지속시간이 첨두치시간동작점설정기(10)에 설정된 위험시간을 초과하면 별도의 제어가 행해지도록 한다.
반면, 위험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비교기(11) 및 스미트트리거기(12)를 거치면서 잡음이 제거된 구형파 출력신호가 수신기(19)에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아크, 불꽃의 첨두치 지속시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별도의 제어는, 아크, 불꽃의 첨두치 지속시간이 위험시간을 초과하였다는 신호가 직접 수신기(19)로 전송되어 배전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 불꽃신호는 고에너지신호파형(28), 중에너지신호파형(29) 및 저에너지신호파형(30)으로 예시하여 분류할 수 있다.
고에너지신호파형(28)에서는 첨두치지속시간(31)과 아크, 불꽃 지속시간(32)을 감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아크방전광, 불꽃지속시간(32)은 지속시간동작점설정기(5)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고, 첨두치지속시간(31)은 첨두치시간동작점설정기(10)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아크, 불꽃에 포함되는 전체에너지는 윗변이 첨두치지속시간(31)이고, 아래 변이 아크방전광, 불꽃 지속시간(32)으로 이루어지는 사다리꼴의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발명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중에서 일부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발명 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내에서 많은 다른 배열들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1 : 적외선필터 2 : 수광소자
3 : 버퍼 4 : 저역신호통과필터
5 : 지속시간동작점설정기 6 : 비교기
7 : 스미트트리거기 8, 15, 16, 18 : 버퍼
9 : 고역신호통과필터 10 : 첨두치지속시간동작점설정기
11 : 비교기 12 : 스미트트리거기
13 : 직류정전압회로 14 : 아크방전광감지센서
17 : 마이크로프로세서 19 : 수신기
20 : 전기기기 21 : 가변부하저항
22 : 저역필터저항 23 : 저역필터콘덴서
24 : 적분신호 25 : 고역필터콘덴서
26 : 고역필터저항 27 : 미분신호
28 : 고에너지신호파형 29 : 중에너지신호파형
30 : 저에너지신호파형 31 : 첨두치지속시간
32 : 아크방전광지속시간

Claims (9)

  1. 아크, 불꽃에 의해 발생되는 광신호에서 일정한 광스펙트럼 대역만 통과시키도록 3 개의 적외선필터가 각각 120°로 배치되어 총 360°범위에서 적외선 감지 및 필터링이 가능한 복수 개의 적외선필터;
    3 개의 수광소자가 상기 적외선 필터에 각각 대응하도록 각각 120°로 배치되어 총 360°범위에서 수광이 가능한 복수 개의 수광소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버퍼; 상기 수광소자에서 수신된 광신호를 적분하는 저역신호통과필터; 아크, 불꽃 지속시간이 위험수준을 초과할 때 작동하도록 신호레벨이 설정된 지속시간동작점설정기;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아크, 불꽃 지속시간 동안 구형파를 출력하는 비교기; 잡음을 제거하도록 일정 레벨 이상의 입력에서만 구형파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스미트트리거기;로 구성된 아크, 불꽃 지속시간 감지부;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버퍼; 상기 수광소자에서 수신된 광신호를 미분하는 고역신호통과필터; 첨두치 지속시간이 위험수준을 초과할 때 작동하도록 신호레벨이 설정된 첨두치시간동작점설정기; 아크, 불꽃의 첨두치 지속시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아크, 불꽃 첨두치 지속시간 동안 구형파를 출력하는 비교기; 잡음을 제거하도록 일정 레벨 이상의 입력에서만 구형파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스미트트리거기;로 구성된 아크, 불꽃 첨두치 지속시간 감지부; 및
    상기 아크, 불꽃 지속시간 감지부와 아크, 불꽃 첨두치 지속시간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수배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적외선필터는
    아크, 불꽃에 포함된 적외선을 통과시켜 배전반 내 조명등의 영향을 배제하도록 하고, 적외선 통과대역용으로 착색된 플라스틱 판또는 보다 좁은 통과파장을 위해 유리표면에 간섭필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광소자는
    불필요한 주변광의 영향을 줄일 수 있게 특정 각도 내의 아크, 불꽃을 수신할 수 있도록 표면에 렌즈가 형성되고, 자체적으로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케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감지신호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제1 버퍼;,
    아크, 불꽃의 첨두치지속시간 감지신호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제2 버퍼;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 정보와 첨두치지속시간 감지시간 정보로부터 아크, 불꽃에 포함된 전체 에너지를 산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외부 차단기 구동회로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제3 버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 정보와 첨두치지속시간 정보로부터 윗변이 첨두치지속시간이며, 밑변이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사다리꼴 면적으로 아크, 불꽃에 포함된 전체 에너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연산된 아크, 불꽃에 포함된 에너지 정보로부터 위험수준을 초과하는 아크, 불꽃을 판단하여 아크, 불꽃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각각 120°의 필터링범위를 갖도록 배치된 3 개의 적외선필터로부터 입력되는 적외선을 각각 120°의 수광범위를 갖도록 배치된 3 개의 수광소자가 수신하면, 수신된 적외선이 3 개의 수광소자 중 어느 곳에 수신된 것인지를 분석하여, 아크 , 불꽃이 발생된 배전반 내부 구역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버퍼는
    상기 비교기의 출력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력을 정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는 그 후단에 가변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가변저항은 아크, 불꽃의 위험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설정되고, 그 설정된 바에 따라 신호감도가 조정되도록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KR1020220164883A 2022-11-30 2022-11-30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KR102494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883A KR102494281B1 (ko) 2022-11-30 2022-11-30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883A KR102494281B1 (ko) 2022-11-30 2022-11-30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281B1 true KR102494281B1 (ko) 2023-02-06

Family

ID=8522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4883A KR102494281B1 (ko) 2022-11-30 2022-11-30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2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652A (ja) * 1999-07-30 2001-0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ーク検出器
JP2005309927A (ja) * 2004-04-23 2005-11-04 Hochiki Corp 炎検出器
KR20070039674A (ko) * 2005-10-10 2007-04-13 고세훈 불꽃감지부 및 그를 이용한 불꽃감지시스템
KR101563189B1 (ko) 2014-12-16 2015-10-27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적분연산 기법 아크에너지 감지 및 아크레벨 선택 기능을 갖는 사고검출기 장착형 수배전반
KR102262547B1 (ko) 2020-12-17 2021-06-08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태양광 접속반 사고관리시스템
KR102420902B1 (ko) * 2020-10-13 2022-07-15 주식회사 디케이 접속불량 감지장치 및 접속불량 감지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652A (ja) * 1999-07-30 2001-0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ーク検出器
JP2005309927A (ja) * 2004-04-23 2005-11-04 Hochiki Corp 炎検出器
KR20070039674A (ko) * 2005-10-10 2007-04-13 고세훈 불꽃감지부 및 그를 이용한 불꽃감지시스템
KR101563189B1 (ko) 2014-12-16 2015-10-27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적분연산 기법 아크에너지 감지 및 아크레벨 선택 기능을 갖는 사고검출기 장착형 수배전반
KR102420902B1 (ko) * 2020-10-13 2022-07-15 주식회사 디케이 접속불량 감지장치 및 접속불량 감지방법
KR102262547B1 (ko) 2020-12-17 2021-06-08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태양광 접속반 사고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75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ly detecting arcing faults in electric power systems in the presence of other light sources
EP1335466B1 (en) Self-powered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ly detecting arcing faults in electric power systems in the presence of other light sources
KR100956162B1 (ko) 복합형 전기안전 차단기 및 그 방법
US7035068B2 (en)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an optical fiber for closed-loop feedback detection of arcing faults
JP5571782B2 (ja) アーク閃光検出システム
EP32144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c fault detection in electrical systems
KR102012420B1 (ko) 감시기능을 포함하는 직류 아크차단장치
US20040027749A1 (en) Detection of arcing in dc electrical systems
KR101197021B1 (ko) 아크 플래시 감지 장치가 구비된 고ㆍ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
KR101820162B1 (ko) 직렬아크의 고정도 검출시스템
KR101879742B1 (ko) 아크 종류와 위치 검출 및 열화 방지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Parikh et al. A novel approach for arc-flash detection and mitigation: At the speed of light and sound
US109580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on from internal arcs in a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and electrical cabinet including such a device
KR20100049216A (ko) 배전시스템내의 아크 검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크 발생 경보시스템
KR20220048603A (ko) 접속불량 감지장치 및 접속불량 감지방법
KR20120127337A (ko) 광 및 음향파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2494281B1 (ko)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 불꽃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하고, 360° 감지범위를 갖는 미적분방식 아크 및 화재센서와 이의 제어장치
KR101535923B1 (ko) 전력 케이블 탄화 및 전력기기 접속 방전 상태 감시를 통한 전력 품질 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476521B1 (ko)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아크의 지속시간과 첨두치 지속시간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미적분방식 아크센서
EP3959525B1 (en) Arc fault detector
KR102641136B1 (ko)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
US107781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the energy produced by an electric arc in a photovoltaic installation
KR101902286B1 (ko) 적외선 및 유브이씨(uvc) 센서를 이용한 아크 플래시 검출 시스템
KR102421912B1 (ko) 전력품질 향상 및 전기적 사고 검출 장치
KR102525869B1 (ko)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화재와 방전아크를 동시에 감지하고 발생위치를 찾아내는 기능을 갖는 광전자센서 및 이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