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642B1 - 엔드리스 스토리지 - Google Patents

엔드리스 스토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642B1
KR102493642B1 KR1020220126480A KR20220126480A KR102493642B1 KR 102493642 B1 KR102493642 B1 KR 102493642B1 KR 1020220126480 A KR1020220126480 A KR 1020220126480A KR 20220126480 A KR20220126480 A KR 20220126480A KR 102493642 B1 KR102493642 B1 KR 102493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vertical beam
side plate
fix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22012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6Supporting means received within an edge of the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47B2220/0041Short shoulder brackets f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7Releasable locking means or connectors for fastening together parts of furnitur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엔드리스 스토리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엔드리스 스토리지는: 한 쌍 이상이 종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열되는 수직빔, 축 방향을 따라 수직빔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선반, 및 선반을 대응되는 한 쌍 이상의 수직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안내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선반이 결합부에 의해 선반의 가장자리 측에서 대응되는 수직빔 측으로 결합됨에 따라 수직빔에 다방향으로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드리스 스토리지{MULTI-PURPOSE ENDLESS STORAGE}
본 발명은 엔드리스 스토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장이나 수납함 등의 스토리지(storage)의 경우, 선반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조인트를 통해 선반을 수직빔에 체결 조립함으로써 수납공간을 용이하게 확장하거나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스토리지의 측판을 단순 끼움 조립하여 고정함에 따라 볼트 조립작업을 없애 조립 및 분해 작업성을 증대하며, 규격화되고 호환이 가능한 결합유닛을 통해 선반과 수직빔, 또는 선반과 수직빔과 측판 등의 주요 부품의 재조합을 통해 스토리지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스토리지의 사이즈에 맞게 신규 구매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더욱 증대하고자 하는 엔드리스 스토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장이나 선반장 등 스토리지(storage)는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책이나 진열품을 진열 및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스토리지는 대부분 좌우로 보강판을 구비하고, 보강판의 상하단 및 후단부에 마감판을 결합시켜 공간부를 형성하며, 공간부에 선반을 복수개로 조립하여 선반에 책을 꽂아서 보관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1346호(2011.12.26, 발명의 명칭: 조립식 책장)가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스토리지는 생산 공장에서 이미 조립된 상태로 유통되기 때문에 유통시 취급성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확장하는 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반장이나 수납함 등의 스토리지(storage)의 경우, 선반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조인트를 통해 선반을 수직빔에 체결 조립함으로써 수납공간을 용이하게 확장하거나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엔드리스 스토리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토리지의 측판을 단순 끼움 조립하여 고정함에 따라 볼트 조립작업을 없앰으로써 스토리지의 수납함의 조립 및 분해 작업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엔드리스 스토리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규격화되고 호환이 가능한 결합유닛을 통해 선반과 수직빔, 또는 선반과 수직빔과 측판 등의 주요 부품의 재조합을 통해 스토리지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스토리지의 사이즈에 맞게 신규 구매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더욱 증대하고자 하는 엔드리스 스토리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는: 한 쌍 이상이 종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열되는 수직빔;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빔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선반; 및 상기 선반을 대응되는 한 쌍 이상의 상기 수직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안내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반은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선반의 가장자리 측에서 대응되는 상기 수직빔 측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수직빔에 다방향으로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대응되는 상기 수직빔 측으로 개방된 채 상기 선반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 상기 함몰홈부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조인트; 및 상기 조인트를 통해 대응되는 상기 수직빔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선반을 상기 수직빔에 대해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함몰홈부에 수용되는 본체; 상기 수직빔 측으로 개방되는 상기 함몰홈부의 개방측을 막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를 삽입하거나 체결 안내하는 막음판; 및 상기 본체를 상기 선반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함몰홈부의 바닥면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부; 및 상기 고정홈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부에 끼움됨으로써, 상기 본체를 상기 선반에 고정하는 고정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빔은 상기 선반 사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은 장착부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빔은 대응되는 상기 측판의 측단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측판의 상부 가장자리 또는 상부 테두리면에서 상향 경사진 채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탄성편; 상기 상부탄성편에 돌출되어, 대응되는 상기 선반의 테두리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측판이 상기 선반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스토퍼; 상기 측판의 하부 가장자리 또는 하부 테두리면에서 하향 경사진 채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탄성편; 상기 하부탄성편에 돌출되어, 대응되는 상기 선반의 테두리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측판이 상기 선반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스토퍼; 및 대응되는 상기 경사면부에 접함으로써 해당되는 상기 측판이 상기 선반 사이의 공간 방향에 반대되는 외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측판의 측단면에 구비되는 엣지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부는 하나의 상기 측판의 상기 엣지브라켓, 또는 대응되는 한 쌍의 상기 측판 각각의 상기 엣지브라켓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는 선반장이나 수납함 등의 스토리지(storage)의 경우, 선반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조인트를 통해 선반을 수직빔에 체결 조립함으로써 수납공간을 용이하게 확장하거나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토리지의 측판을 단순 끼움 조립하여 고정함에 따라 볼트 조립작업을 없앰으로써 스토리지의 수납함의 조립 및 분해 작업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규격화되고 호환이 가능한 결합유닛을 통해 선반과 수직빔, 또는 선반과 수직빔과 측판 등의 주요 부품의 재조합을 통해 스토리지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스토리지의 사이즈에 맞게 신규 구매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더욱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요부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측판 조립 순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요부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10)는 수직빔(20), 선반(30) 및 결합부(100)를 포함한다.
수직빔(20)은 엔드리스 스토리지(10)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한 쌍 이상이 종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열된다. 이때, 수직빔(20)은 평면상 사각 궤적을 따라 배열되는 것으로 한다. 이는, 엔드리스 스토리지(10)가 안정적으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수직빔(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선반(30)은 축 방향을 따라 수직빔(20)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특히, 선반(30)은 평면상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한데, 편의상 사각 형상인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수직빔(20)은 평면상 하나의 선반(30)의 각 코너(cornor) 부위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4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선반(30)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수직빔(20)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결합부(100)는 선반(30) 각각을 대응되는 한 쌍 이상의 수직빔(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선반(30)은 결합부(100)에 의해 선반(30)의 가장자리 측에서 대응되는 수직빔(20) 측으로 결합됨에 따라, 수직빔(20)에 다방향으로 설치 가능하다. 즉, 결합부(100)에 의해, 엔드리스 스토리지(10)의 수납공간은 수직빔(20)의 측방향으로 연장 또는 축소가 가능하다.
상세히, 결합부(100)는 함몰홈부(110), 조인트(120) 및 체결부재(130)를 포함한다.
함몰홈부(110)는 대응되는 수직빔(20) 측으로 개방된 채 선반(30)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된다. 이때, 선반(30)의 각 코너 부위가 서로 다른 수직빔(20)에 대응되게 배치됨에 따라, 함몰홈부(110)는 선반(30)의 각 코너 부위에 해당되는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조인트(120)는 함몰홈부(110)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함몰홈부(110)는 선반(30)의 상측면, 하측면 또는 상하측면에 각각 함몰 형성될 수 있는데, 조인트(120)를 선반(30)의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선반(30)의 하측면에 함몰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조인트(12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체결부재(130)는 조인트(120)를 통해 대응되는 수직빔(20)에 체결됨으로써, 선반(30)을 대응되는 수직빔(20)에 고정한다. 이때, 체결부재(130)는 볼트나 스크류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조인트(120)는 드라이버나 전동드라이버 등 체결툴(132)의 체결 부위를 기울어지게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가 조인트(120)에서 대응되는 수직빔(20) 방향으로 삽입되며 수직빔(20)에 체결됨에 따라, 수직빔(20)은 동일 평면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다방향으로 선반(30)을 설치 가능하다.
특히, 수직빔(20)은 체결부재(130)와의 체결 위치 즉 선반(30)의 설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체결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조인트(120)는 본체(121), 막음판(122) 및 고정부(123)를 포함한다.
본체(121)는 함몰홈부(110)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조인트(120)의 외형을 형성한다.
막음판(122)은 대응되는 수직빔(20) 측으로 개방되는 함몰홈부(110)의 개방측을 막도록 본체(121)에 구비된다. 막음판(122)은 본체(121) 자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130)는 체결툴(132)에 의해 막음판(122)에 삽입되며 수직빔(20)과 체결되거나, 또는 막음판(122)과 수직빔(20)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막음판(12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막음판(122)은 수직빔(20)의 대응되는 둘레면에 면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막음판(122)은 체결부재(130)가 삽입되는 부위를 일부 절개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고정부(123)는 본체(121)를 선반(3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체(121)는 선반(30)에서 하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110)에 수용됨에 따라, 고정부(123)는 본체(121)가 임의적으로 선반(30)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고정부(123)는 고정홈부(124) 및 고정돌기(125)를 포함한다.
고정홈부(124)는 함몰홈부(110)의 바닥면에 함몰 형성된다. 고정홈부(124)는 함몰홈부(110)의 바닥면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돌기(125)는 고정홈부(124)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본체(121)에 돌출되어, 대응되는 고정홈부(124)에 억지 끼움된다.
그래서, 조인트(120)의 본체(121)가 선반(3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돌기(125)는 둘레면에 요철(126)을 형성할 수 있다. 요철(126)은 고정돌기(125)가 고정홈부(124)의 내측면에 대한 결속력을 증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요철(126)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평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의 측판 조립 순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드리스 스토리지(10)는 수직빔(20), 선반(30), 결합부(100), 측판(40), 도어(50) 및 장착부(200)를 포함한다.
수직빔(20), 선반(30) 및 결합부(10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측판(40)은 엔드리스 스토리지(10)의 수납공간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빔(20)의 축 방향을 따라 이웃한 선반(30)의 일부를 에워싸는 역할을 한다.
이때, 측판(40)과 상,하측의 선반(30)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은 일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는, 수납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도어(50)는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도록 대응되는 수직빔(20) 또는 측판(40)에 힌지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측판(40)과 도어(5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선반(30)이 평면상 사각 형상임에 따라, 측판(40)은 하나의 선반(30) 각 모서리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3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측판(40) 각각은 장착부(200)에 의해 대응되는 선반(30)과 수직빔(20)에 각각 또는, 대응되는 선반(30) 또는 수직빔(20)에 고정 장착된다.
예로서, 장착부(200)는 상부탄성편(210), 상부스토퍼(220), 하부탄성편(230), 하부스토퍼(240) 및 엣지브라켓(250)을 포함한다.
상부탄성편(210)은 측판(40)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 또는 상부 테두리면에서 상향 경사진 채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측판(40) 각각의 상부를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스토퍼(220)는 상부탄성편(210) 각각에서 돌출 또는 절곡되어, 대응되는 선반(30)의 테두리면에 접함으로써, 측판(40)이 선반(30)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상부탄성편(210)과 상부스토퍼(2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하부탄성편(230)은 측판(40) 각각의 하부 가장자리 또는 하부 테두리면에서 하향 경사진 채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측판(40) 각각의 하부를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된다.
하부스토퍼(240)는 하부탄성편(230) 각각에서 돌출 또는 절곡되어, 대응되는 선반(30)의 테두리면에 접함으로써, 측판(40)이 선반(30)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탄성편(230)과 하부스토퍼(2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수직빔(20)은 대응되는 측판(40)의 측단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부(22)를 형성한다.
또한, 엣지브라켓(250)은 측판(40)의 측단면에 구비된다. 그래서, 엣지브라켓(250)은 대응되는 경사면부(22)에 접함으로써 해당되는 측판(40)이 선반(30) 사이의 공간 방향에 반대되는 외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경사면부(22)는 하나의 측판(40)의 엣지브라켓(250), 또는 대응되는 한 쌍의 측판(40) 각각의 엣지브라켓(250)과 접한다. 한 쌍의 엣지브라켓(250)이 대응되는 경사면부(22)에 동시에 접할 경우, 해당되는 한 쌍의 엣지브라켓(250)은 서로 면접되어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엣지브라켓(25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탄성편(210), 하부탄성편(230) 및 엣지브라켓(250)이 동일한 측판(40)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상부탄성편(210)과 엣지브라켓(250)이 일체로 제작된 채 측판(40)의 측단부에 조립될 수 있고, 하부탄성편(230)과 엣지브라켓(250)이 일체로 제작된 채 측판(40)의 측단부에 조립될 수 있다.
편의상, 상부탄성편(210)과 엣지브라켓(250)은 상부연결부재(262)에 의해 연결되도록 제작되고, 상부연결부재(262)는 측판(40)의 상부 측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하부탄성편(230)과 엣지브라켓(250)은 하부연결부재(264)에 의해 연결되도록 제작되고, 하부연결부재(264)는 측판(40)의 하부 측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
상부연결부재(262)와 하부연결부재(26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측판(40)의 동일한 측단부에서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상부의 엣지브라켓(250)과 하부의 엣지브라켓(250)은 서로 연결될 수도 있고,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측판(40)은 주직빔이나 선반(30)에 볼팅 조립되지 않고, 장착부(200)로써 단순 설치됨으로 인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이때, 장착부(200)에 의해 설치되는 측판(40)은 평면상 사각 형상인 선반(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순서대로 설치되어야, 조립성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엔드리스 스토리지 20: 수직빔
22: 경사면부 30: 선반
40: 측판 50: 도어
100: 결합부 110: 함몰홈부
120: 조인트 121: 본체
122: 막음판 123: 고정부
124: 고정홈부 125: 고정돌기
126: 요철 130: 체결부재
132: 체결툴 200: 장착부
210: 상부탄성편 220: 상부스토퍼
230: 하부탄성편 240: 하부스토퍼
250: 엣지브라켓 262: 상부연결부재
264: 하부연결부재

Claims (8)

  1. 한 쌍 이상이 종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열되는 수직빔;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빔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선반; 및 상기 선반을 대응되는 한 쌍 이상의 상기 수직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안내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선반의 가장자리 측에서 대응되는 상기 수직빔 측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수직빔에 다방향으로 설치 가능하며,
    상기 결합부는, 대응되는 상기 수직빔 측으로 개방된 채 상기 선반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
    상기 함몰홈부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조인트; 및
    상기 조인트를 통해 대응되는 상기 수직빔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선반을 상기 수직빔에 대해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함몰홈부에 수용되는 본체;
    상기 수직빔 측으로 개방되는 상기 함몰홈부의 개방측을 막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를 삽입하거나 체결 안내하는 막음판; 및
    상기 본체를 상기 선반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리스 스토리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함몰홈부의 바닥면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부; 및
    상기 고정홈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부에 끼움됨으로써, 상기 본체를 상기 선반에 고정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리스 스토리지.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빔은 상기 선반 사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은 장착부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리스 스토리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측판의 상부 가장자리 또는 상부 테두리면에서 상향 경사진 채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탄성편;
    상기 상부탄성편에 돌출되어, 대응되는 상기 선반의 테두리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측판이 상기 선반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스토퍼;
    상기 측판의 하부 가장자리 또는 하부 테두리면에서 하향 경사진 채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탄성편; 및
    상기 하부탄성편에 돌출되어, 대응되는 상기 선반의 테두리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측판이 상기 선반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리스 스토리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빔은 대응되는 상기 측판의 측단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부는, 대응되는 상기 경사면부에 접함으로써 해당되는 상기 측판이 상기 선반 사이의 공간 방향에 반대되는 외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측판의 측단면에 구비되는 엣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리스 스토리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는 하나의 상기 측판의 상기 엣지브라켓, 또는 대응되는 한 쌍의 상기 측판 각각의 상기 엣지브라켓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리스 스토리지.
KR1020220126480A 2022-10-04 2022-10-04 엔드리스 스토리지 KR102493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480A KR102493642B1 (ko) 2022-10-04 2022-10-04 엔드리스 스토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480A KR102493642B1 (ko) 2022-10-04 2022-10-04 엔드리스 스토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642B1 true KR102493642B1 (ko) 2023-02-06

Family

ID=8522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480A KR102493642B1 (ko) 2022-10-04 2022-10-04 엔드리스 스토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6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61065A1 (en) * 2020-02-14 2023-03-02 Steelcase Inc. Retaining clip for securing a wall element of an item of furniture to a furniture structure and item of furniture having at least one retaining clip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9476A2 (en) * 1996-11-04 1998-05-06 Artinox S.r.l. Structure with modular elements for the technical-functional furnishing of interiors, particularly a shelving
US20050046133A1 (en) * 2003-09-03 2005-03-03 Bielefelder Kuchenmaschinen Apparatus for the disposition and transportation of items
KR20050047330A (ko) * 2003-11-17 2005-05-20 진만수 다기능선반장치
EP1690470A1 (en) * 2005-02-11 2006-08-16 Artinox S.p.A. Structure with modular elements for technical-functional furnishing of interiors, particularly a set of shelves
KR200476195Y1 (ko) * 2014-11-25 2015-02-06 주식회사 성현기업 모듈형 상품 진열대
KR102415981B1 (ko) * 2021-12-23 2022-07-05 (주)스피드랙 조립식 가구의 측판 조립용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가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9476A2 (en) * 1996-11-04 1998-05-06 Artinox S.r.l. Structure with modular elements for the technical-functional furnishing of interiors, particularly a shelving
US20050046133A1 (en) * 2003-09-03 2005-03-03 Bielefelder Kuchenmaschinen Apparatus for the disposition and transportation of items
KR20050047330A (ko) * 2003-11-17 2005-05-20 진만수 다기능선반장치
EP1690470A1 (en) * 2005-02-11 2006-08-16 Artinox S.p.A. Structure with modular elements for technical-functional furnishing of interiors, particularly a set of shelves
KR200476195Y1 (ko) * 2014-11-25 2015-02-06 주식회사 성현기업 모듈형 상품 진열대
KR102415981B1 (ko) * 2021-12-23 2022-07-05 (주)스피드랙 조립식 가구의 측판 조립용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61065A1 (en) * 2020-02-14 2023-03-02 Steelcase Inc. Retaining clip for securing a wall element of an item of furniture to a furniture structure and item of furniture having at least one retaining cl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8054B2 (ja) 電気機器キャビネット類の支持ベースおよびその支持ベース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KR102493642B1 (ko) 엔드리스 스토리지
US6200170B1 (en) Tower building-block biased latching system
KR20070019494A (ko) 조립식 선반
US7237854B2 (en) Computer enclosure incorporating mounting apparatus for disk drives
US20070022921A1 (en) Storage and work system
KR101694923B1 (ko) 연결브라켓이 구비된 가구용 프레임
CN111543778A (zh) 框架单元及桌子
KR101841156B1 (ko) 조립식 다단 수납장
US6036033A (en) Construction assembly having a quick coupler
EP3776766B1 (en) Removable module
EP0399595B1 (en) Sectional container for electrical boards assembled with joints
KR101863876B1 (ko) 조립식 책상
US10320112B2 (en) Modularly expandable enclosure
KR100789193B1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RU2293505C2 (ru) Набор металлических элементов для созда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меб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JPH08131851A (ja) 実験台
US20050217543A1 (en) Tool cabinet fixing and supporting structure
KR200363471Y1 (ko) 넉다운 가구의 결합구
JP3012339U (ja) 組立式収納ケース
KR200274393Y1 (ko) 분리식 사무용 칸막이구조
KR102235203B1 (ko) 피씨방 책상용 선반
KR102043676B1 (ko) 선반조립체
JP7449012B2 (ja) 天板及び屋内外装置品
CN217130006U (zh) 一种板材插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