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986B1 -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2986B1 KR102492986B1 KR1020220131909A KR20220131909A KR102492986B1 KR 102492986 B1 KR102492986 B1 KR 102492986B1 KR 1020220131909 A KR1020220131909 A KR 1020220131909A KR 20220131909 A KR20220131909 A KR 20220131909A KR 102492986 B1 KR102492986 B1 KR 1024929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tructing
- water
- fine dust
- hilly
- plaza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20 micro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8—Spray cleaning with rotary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은 다수의 레벨 차가 형성되는 구릉형 광장을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구릉형 광장을 둘러싸거나 일측에 위치하도록 레이어링 된 수경시설을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구릉형 광장에 미세먼지대비시설을 설치하는 제3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수경시설을 수로형태로 시공하는 제2-1단계와, 상기 수경시설을 담수형태로 시공하는 제2-2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성 증진 및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주택에서의 중앙광장은 비워진 잔디영역과 독립된 수경시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평면형의 광장은 이용성이 미흡하고, 관상형의 수경시설은 미세먼지개선에 비효과적이다.
더욱이 비대면 생활이 일상화되면서 여가공간의 필요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안전성, 친환경 욕구가 증대되어 사용자 중심공간, 친환경의 공간, 다양한 경험의 공간의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성의 증진과 함께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수공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성 증진 및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은 다수의 레벨 차가 형성되는 구릉형 광장을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구릉형 광장을 둘러싸거나 일측에 위치하도록 레이어링 된 수경시설을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구릉형 광장에 미세먼지대비시설을 설치하는 제3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수경시설을 수로형태로 시공하는 제2-1단계와, 상기 수경시설을 담수형태로 시공하는 제2-2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릉형 광장의 입구에 상기 수경시설을 활용한 초점경관을 형성하는 제4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4단계는 상기 구릉형 광장 및 상기 수경시설에 기초부를 시공하는 제4-1단계와, 상기 기초부의 상단에 베이스부를 시공하는 제4-2단계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 상호 간의 단 차가 형성된 다수의 단차부를 시공하는 제4-3단계와, 상기 단차부에서 상기 수경시설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부를 시공하는 제4-4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는 '∩'자 형상으로 제작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을 시공하는 제3-1단계와,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측벽을 시공하는 제3-2단계와, 상기 측벽에 미세먼지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을 시공하는 제3-3단계와,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천장유리를 시공하는 제3-4단계와,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타측에 벽면유리를 시공하는 제3-5단계와, 상기 측벽, 상기 천장유리 및 상기 벽면유리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벤치를 시공하는 제3-6단계와, 상기 천장유리의 내측면에 미스트 형태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장치를 시공하는 제3-7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7단계에서의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벤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와 연결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호스를 통해 이동된 물이 임시 저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되어 물이 지면을 향해 미스트 형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가 상기 고정프레임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장치는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회전축을 통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제1분사부분과, 상기 다수의 제1분사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을 통해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제2분사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물이 임시 저장되는 저장소와, 상기 저장소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노즐이 위치하는 노즐받침과, 상기 노즐받침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측면을 가려 미분사시 상기 분사노즐의 노출을 방지하는 측면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사장치의 외면에 차단장치를 설치하는 제3-8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8단계에서의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제1분사부분과 결합하는 틀 형상의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어 햇빛 또는 빗물을 차단하는 차단막과, 상기 결합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프레임이 접히도록 하는 접힘축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소 및 상기 노즐받침에는 상기 결합프레임과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에 의하면, 이용성 증진 및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수공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3단계 이후에 구비되는 제4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4단계를 통해 시공된 초점경관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4단계를 통해 시공된 초점경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3단계의 세부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3-1단계 내지 제3-7단계를 통해 시공된 미세먼지대비시설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미세먼지대비시설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3-1단계 내지 제3-8단계를 통해 시공된 미세먼지대비시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수공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3단계 이후에 구비되는 제4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4단계를 통해 시공된 초점경관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4단계를 통해 시공된 초점경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3단계의 세부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3-1단계 내지 제3-7단계를 통해 시공된 미세먼지대비시설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미세먼지대비시설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3-1단계 내지 제3-8단계를 통해 시공된 미세먼지대비시설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수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시설(200)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은 다수의 레벨 차가 형성되는 구릉형 광장(100)을 시공하는 제1단계(S100)와, 구릉형 광장(100)을 둘러싸거나 일측에 위치하도록 레이어링 된 수경시설(200)을 시공하는 제2단계(S200)와, 구릉형 광장(100)에 미세먼지대비시설(300)을 설치하는 제3단계(S30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단계(S100)에서의 구릉형 광장(100)은 현저하게 차이가 많이 나는 레벨 차가 아닌 완만한 언덕과 유사하게 레벨 차이가 나도록 해 이용도와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제2단계(S200)는 수경시설(200)을 수로형태로 시공하는 제2-1단계(S210)와, 수경시설(200)을 담수형태로 시공하는 제2-2단계(S220)를 구비하며, 일부 구간에 단 차가 형성되어 낙수를 통해 물이 미스트 형태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효과가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구릉형 광장(100)과 수로형태 또는 담수형태의 수경시설(200)은 수위에 따라 다양한 활동과 놀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상시에는 담수형태의 수경시설(200)을 통해 물놀이를 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만수위에는 수로형태의 수경시설(200)까지 포함하여 물놀이를 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수위나 겨울철과 같은 비 가동시에는 썰매 등 겨울철 엑티비티를 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활동과 놀이를 할 수 있다.
다음은 수경시설(200)을 활용하여 구릉형 광장(100)의 입구에 구비되는 초점경관(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3단계 이후에 구비되는 제4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4단계를 통해 시공된 초점경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4단계를 통해 시공된 초점경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시설(200)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은 구릉형 광장(100)의 입구에 수경시설(200)을 활용한 초점경관(400)을 형성하는 제4단계(S400)를 더 구비하고, 제4단계(S400)는 구릉형 광장(100) 수경시설(200)에 기초부(410)를 시공하는 제4-1단계(S410)와, 기초부(410)의 상단에 베이스부(420)를 시공하는 제4-2단계(S420)와, 베이스부(420)의 상단에 상호 간의 단 차가 형성된 다수의 단차부(430)를 시공하는 제4-3단계(S430)와, 단차부(430)에서 수경시설(200)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부(440)를 시공하는 제4-4단계(S4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4단계(S400)를 통해 시공되는 초점경관(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 방향으로 휘어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타단에서 낙수되어 발생하는 미스트 형태의 물을 통해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발휘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서 타단까지 평탄한 형태로 구비되어 별도의 조경시설(미도시) 등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단계(S400)를 통해 초점경관(400)을 시공하여 구릉형 광장(100)의 입구를 강조함으로써 이용자를 별도의 출입구 설치 없이 구릉형 광장(100)으로 안내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시설(200)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의 제3단계(S3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3단계의 세부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3-1단계 내지 제3-7단계를 통해 시공된 미세먼지대비시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미세먼지대비시설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시설(200)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의 제3단계(S300)는 '∩'자 형상으로 제작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310)을 시공하는 제3-1단계(S310)와, 한 쌍의 고정프레임(310)의 일측에 측벽(320)을 시공하는 제3-2단계(S320)와, 측벽(320)에 미세먼지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330)을 시공하는 제3-3단계(S330)와, 한 쌍의 고정프레임(310)의 상단에 천장유리(340)를 시공하는 제3-4단계(S340)와, 한 쌍의 고정프레임(310)의 타측에 벽면유리(350)를 시공하는 제3-5단계(S350)와, 측벽(320), 천장유리(340) 및 벽면유리(350)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벤치(360)를 시공하는 제3-6단계(S360)를 구비할 수 있다.
제3-1단계(S310) 내지 제3-6단계(S360)를 통해 시공된 미세먼지대비시설(300)은 이용자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여 구릉형 광장(100)이나 수경시설(200) 이용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미세먼지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사전에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 등으로부터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여유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3-6단계(S360) 이후에는 천장유리(340)의 내측면에 미스트 형태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장치(370)를 시공하는 제3-7단계(S370)를 구비될 수 있다.
제3-1단계(S310) 내지 제3-7단계(S370)를 통해 시공되는 다수의 분사장치(370)는 미세먼지 농도가 짙을 시 작동하여 미세먼지대비시설(300)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미세먼지의 영향을 덜 받도록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사장치(370)는 벤치(360)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수조(371)와, 고정프레임(3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수조(371)와 연결되는 호스(372)와, 호스(372)와 연결되어 호스(372)를 통해 이동된 물이 임시 저장되는 케이스(373)와, 케이스(373)의 일단에 구비되어 물이 지면을 향해 미스트 형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노즐(374)과, 케이스(373)의 타단에 구비되고 고정프레임(310)에 고정되어 케이스(373)가 고정프레임(310)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375)을 구비할 수 있다.
수조(371)는 벤치(36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고, 호스(372)는 고정프레임(31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여 외부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파손되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373)는 호스(372)를 통해 이동된 물이 임시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수조(371) 또는 호스(372)의 파손 등으로 인해 물을 공급받지 못하더라도 물의 분사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며, 분사노즐(374)은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여 미세먼지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축(375)은 평상시 천장유리(340)의 내면에 위치하는 케이스(373)를 고정프레임(3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분사노즐(374)을 통해 물이 미스트 형태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373)는 물이 임시 저장되는 저장소(3731)와, 저장소(3731)의 일단에 구비되어 분사노즐(374)이 위치하는 노즐받침(3732)과, 노즐받침(3732)의 일면에 구비되어 분사노즐(374)의 측면을 가려 미분사시 분사노즐(374)의 노출을 방지하는 측면덮개(3733)를 구비할 수 있다.
분사노즐(374)은 노즐받침(3732)과 측면덮개(3733)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형태가 되고, 평상시에는 상부가 천장유리(340)에 의해 덮여져 분사노즐(374)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외부의 충격 등이나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375)을 통해 케이스(373)가 고정프레임(310)의 외부로 돌출될 시에는 케이스(373)의 개방된 상부가 지면을 향하게 되어 분사노즐(374)을 통해 물이 미스트 형태로 용이하게 분사될 수 있다.
한편, 분사장치(370)는 천장유리(340)를 중심으로 천장유리(340)의 일측에 위치하고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회전축(375)을 통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제1분사부분(370a)과, 다수의 제1분사부분(370a)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축(375)을 통해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제2분사부분(370b)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 농도 또는 바람이 불어오는 바람 등을 고려하여 제1분사부분(370a) 또는 제2분사부분(370b)만이 작동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하거나 제1분사부분(370a)과 제2분사부분(370b) 모두 작동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사장치(370)에는 별도의 컨트롤러가 연결되어 컨트롤러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사장치(370)를 구비함으로써 미세먼지대비시설(300)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미세먼지로부터 용이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시설(200)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의 제3단계(S300)에서 제3-1단계(S310) 내지 제3-8단계(S380)를 통해 시공된 미세먼지대비시설(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3-1단계 내지 제3-8단계를 통해 시공된 미세먼지대비시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시설(200)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의 제3단계(S300)는 다수의 분사장치(370)의 외면에 차단장치(380)를 설치하는 제3-8단계(S3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8단계(S380)에서의 차단장치(380)는 제1분사부분(370a)과 결합하는 틀 형상의 결합프레임(381)과, 결합프레임(381)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어 햇빛 또는 빗물을 차단하는 차단막(382)과, 결합프레임(381)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어 결합프레임(381)이 접히도록 하는 접힘축(383)을 구비할 수 있다.
평상시 결합프레임(381)과 차단막(382)은 접힘축(383)에 의해 접힌 상태로 구비되어 제1분사부분(370a)에 구비되는 차단장치(380)와 제2분사부분(370b)에 구비되는 차단장치(380) 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분사장치(370)가 작동할 시에는 접힌 상태에서 본래의 형태로 펴질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373)의 저장소(3731) 및 노즐받침(3732)에는 결합프레임(381)과 결합하는 결합홈(3734)이 형성되어 차단장치(380)가 분사장치(370)에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차단장치(380)에는 별도의 컨트롤러가 연결되어 컨트롤러를 통해 분사장치(370)가 작동할 시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단장치(380)를 구비하여 지붕의 처마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햇빛 또는 빗물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구릉형 광장 200: 수경시설
300: 미세먼지대비시설 310: 고정프레임
320: 측벽 330: 터치스크린
340: 천장유리 350: 벽면유리
360: 벤치 370: 분사장치
370a: 제1분사부분 370b: 제2분사부분
371: 수조 372: 호스
373: 케이스 3731: 저장소
3732: 노즐받침 3733: 측면덮개
3734: 결합홈 374: 분사노즐
375: 회전축 380: 차단장치
381: 결합프레임 382: 차단막
383: 접힘축 400: 초점경관
410: 기초부 420: 베이스부
430: 단차부 440: 분사부
300: 미세먼지대비시설 310: 고정프레임
320: 측벽 330: 터치스크린
340: 천장유리 350: 벽면유리
360: 벤치 370: 분사장치
370a: 제1분사부분 370b: 제2분사부분
371: 수조 372: 호스
373: 케이스 3731: 저장소
3732: 노즐받침 3733: 측면덮개
3734: 결합홈 374: 분사노즐
375: 회전축 380: 차단장치
381: 결합프레임 382: 차단막
383: 접힘축 400: 초점경관
410: 기초부 420: 베이스부
430: 단차부 440: 분사부
Claims (5)
- 다수의 레벨 차가 형성되는 구릉형 광장을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구릉형 광장을 둘러싸거나 일측에 위치하도록 레이어링 된 수경시설을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구릉형 광장에 미세먼지대비시설을 설치하는 제3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수경시설을 수로형태로 시공하는 제2-1단계와, 상기 수경시설을 담수형태로 시공하는 제2-2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구릉형 광장의 입구에 상기 수경시설을 활용한 초점경관을 형성하는 제4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4단계는 상기 구릉형 광장 및 상기 수경시설에 기초부를 시공하는 제4-1단계와, 상기 기초부의 상단에 베이스부를 시공하는 제4-2단계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 상호 간의 단 차가 형성된 다수의 단차부를 시공하는 제4-3단계와, 상기 단차부에서 상기 수경시설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부를 시공하는 제4-4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3단계는 '∩'자 형상으로 제작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을 시공하는 제3-1단계와,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측벽을 시공하는 제3-2단계와, 상기 측벽에 미세먼지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을 시공하는 제3-3단계와,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천장유리를 시공하는 제3-4단계와,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타측에 벽면유리를 시공하는 제3-5단계와, 상기 측벽, 상기 천장유리 및 상기 벽면유리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벤치를 시공하는 제3-6단계와, 상기 천장유리의 내측면에 미스트 형태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장치를 시공하는 제3-7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3-7단계에서의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벤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와 연결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호스를 통해 이동된 물이 임시 저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되어 물이 지면을 향해 미스트 형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가 상기 고정프레임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장치는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회전축을 통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제1분사부분과, 상기 다수의 제1분사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을 통해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제2분사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물이 임시 저장되는 저장소와, 상기 저장소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노즐이 위치하는 노즐받침과, 상기 노즐받침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측면을 가려 미분사시 상기 분사노즐의 노출을 방지하는 측면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사장치의 외면에 차단장치를 설치하는 제3-8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8단계에서의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제1분사부분과 결합하는 틀 형상의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어 햇빛 또는 빗물을 차단하는 차단막과, 상기 결합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프레임이 접히도록 하는 접힘축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소 및 상기 노즐받침에는 상기 결합프레임과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1909A KR102492986B1 (ko) | 2022-10-14 | 2022-10-14 |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1909A KR102492986B1 (ko) | 2022-10-14 | 2022-10-14 |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2986B1 true KR102492986B1 (ko) | 2023-01-27 |
Family
ID=8510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1909A KR102492986B1 (ko) | 2022-10-14 | 2022-10-14 |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298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6941B2 (ja) * | 1995-08-31 | 2001-03-19 | 株式会社大林組 | ガラス造形物 |
KR20140010200A (ko) * | 2012-06-19 | 2014-01-23 | 변찬우 | 멀티셀 및 멀티레인의 습지와 연못 및 침전지 구조를 활용한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 시스템 |
KR102059332B1 (ko) | 2019-09-09 | 2019-12-26 |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 수질 정화기능 및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구비하는 친환경 수경공원 |
KR102111417B1 (ko) * | 2019-12-30 | 2020-05-15 | 주식회사 이코블록 | 미세먼지제거 및 안개발생기능을 갖는 사계절용 조경 시설물 |
-
2022
- 2022-10-14 KR KR1020220131909A patent/KR1024929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6941B2 (ja) * | 1995-08-31 | 2001-03-19 | 株式会社大林組 | ガラス造形物 |
KR20140010200A (ko) * | 2012-06-19 | 2014-01-23 | 변찬우 | 멀티셀 및 멀티레인의 습지와 연못 및 침전지 구조를 활용한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 시스템 |
KR102059332B1 (ko) | 2019-09-09 | 2019-12-26 |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 수질 정화기능 및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구비하는 친환경 수경공원 |
KR102111417B1 (ko) * | 2019-12-30 | 2020-05-15 | 주식회사 이코블록 | 미세먼지제거 및 안개발생기능을 갖는 사계절용 조경 시설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haw et al. | 'Sun, sand and sales': Enclave tourism and local entrepreneurship in Indonesia | |
Carmona | The Isle of Dogs: Four development waves, five planning models, twelve plans, thirty-five years, and a renaissance… of sorts | |
KR102492986B1 (ko) | 수경시설을 활용한 미세먼지개선용 수공간 시공방법 | |
Howell-Ardila | Berlin's search for a" democratic" architecture: Post-World War II and post-unification | |
Avery et al. | John Vanderlyn's Panoramic View of the Palace and Gardens of Versailles | |
Harris | Guerilla art, social value and absent heritage fabric | |
Ruggles et al. | Preserving the cultural landscape heritage of champaner-Pavagadh, Gujarat, India | |
Harman | 'Some dozen'raupo whares', and a few tents': Remembering raupo houses in colonial New Zealand | |
Obertreis | Imperial Cities and Recent Research Trends: Nostalgia, Water Infrastructure, and Segregation | |
Marchand | Negotiating licence and limits: expertise and innovation in Djenne's building trade | |
Rasheed et al. |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Study of the Ambar Shah Mosque, an Ancient Mosque in Dhaka, Bangladesh | |
Timoney | From Tall to Supertall: A Political Economic Analysis | |
Roy | Triumphal Gateway, Moyode Castle, County Galway | |
Wolff | The Fight for Home: How (Parts of) New Orleans Came Back | |
Kohler | The Commission of Fine Arts, a Brief History, 1910-1990 | |
Barras | Global City | |
Council | Pittencrieff Park | |
JP5432518B2 (ja) | 建物 | |
Liekens | On the Interstitial and the Waiting | |
Larkin | Speaking in the Silence: Youthful Negotiations of Beirut’s Post-War Spaces and Memories | |
Frakes | Monuments of passage: Roman North Africa and an emperor on the move | |
Ahmed et al. | Recasting Columbus: Local Contestations against the Monumentalization of Settler Colonialism | |
Dovey | Grollo Tower | |
Luigini | Survey and Project Design: an interdisciplinary model for postearthquake recostruction in minor historical centers | |
Kohler | The Commission of Fine Arts: A Brief History, 1910-1976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