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323B1 -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 - Google Patents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323B1
KR102492323B1 KR1020200176806A KR20200176806A KR102492323B1 KR 102492323 B1 KR102492323 B1 KR 102492323B1 KR 1020200176806 A KR1020200176806 A KR 1020200176806A KR 20200176806 A KR20200176806 A KR 20200176806A KR 102492323 B1 KR102492323 B1 KR 102492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self
stretchable
conductive
conductiv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784A (ko
Inventor
최상현
주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프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프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프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00176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3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3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 A61B5/27Conductive fabrics or text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8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섬유와 신축섬유를 일체로 구성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전도성 섬유가 감겨 상기 전도성 섬유와 일체로 된 신축 가능한 신축섬유로 이루어진 신축센싱섬유를 포함하는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SELF-MEASURING FABRIC}
본 발명은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도성 섬유와 신축섬유를 일체로 구성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산업간 융합제품이 대량으로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미 각종 전도성 소재와 이를 응용한 센서제품 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전도성 섬유사를 이용한 자수타입의 센싱용 전극, 금속 페이스트를 이용한 인쇄형 패턴 회로 등 의류 및 산업용에서 다양한 개발과 제품들이 출시되는 상황이다.
최근 섬유 및 의류산업 분야에서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인체의 체온 및 심박 등의 측정이 가능한 웨어러블 제품 개발과 그 사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웨어러블 제품의 일 실시예로, 자가 측정 의류(또는 장치)가 미국등록특허공보 US 9,858,611호(2018년 01월 02일,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미국등록특허의 자가 측정 의류는, 의류 착용자의 몸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자가 측정 의류 또는 장치로, 자가 측정 의류(또는 장치)는, 사람의 의류로 착용되도록 구성된 신축직물과, 이 신축직물과 함께 구성(또는 제직)되어 신축직물과 함께 신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도성 섬유와, 상기 신축직물의 신장에 대해 응답으로 상기 전도성 섬유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된 변화에 근거하여 신체 일부의 치수를 표시하여 출력하도록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1에는 상기한 미국등록특허의 자가 측정 의류에 적용되는 섬유센서의 상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싱부재(90)는, 의류에 적용(또는 사용)되는 것으로, 비전도성 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신축직물(94)과, 이 신축직물(94)과 함께 제직되어 이루어진 전도성 섬유(9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도성 섬유(92)는, 지그재그 스티치로 신축직물(94)에 꿰매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전도성 섬유(92)와 신축직물(94)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센싱부재(90)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 섬유(92)와 신축직물(94)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치수의 변화측정이 정확하지 않다.
즉, 별도로 구성된 신축직물(94)의 신장에 대하여 전도성 섬유(92)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값이 정확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전도성 섬유(92)와 신축직물(94)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측정값이 획득되도록 하는 컨트롤러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도성 섬유와 신축섬유를 일체로 구성하게 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는,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전도성 섬유가 감겨 상기 전도성 섬유와 일체로 된 신축 가능한 신축섬유로 이루어진 신축센싱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축섬유의 외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홈에 상기 전도성 섬유가 삽입되며, 상기 신축섬유가 성형될 때, 상기 전도성 섬유가 상기 나선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도성 섬유와 신축섬유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자가 측정 의류에 사용되는 센싱부재의 상세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D'부 상세도.
도 4는 도 3의 'D1'부 상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도 2의 'D'부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D1'부 상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 4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D)를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람의 팔(A)의 팔꿈치에 착용하여 팔꿈치를 보호하는 보호대(300)에 적용하였다.
도 3은 상기 보호대(300)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D)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전도성 섬유(113)가 감겨 상기 전도성 섬유(113)와 일체로 된 신축 가능한 신축섬유(111)로 이루어진 신축센싱섬유(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D)는, 도 3과 같은 방법은 물론이고, 다른 방법으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D)는, 위빙(weaving), 니팅(knitting), 스티칭(stitching) 등의 여러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섬유(111)는, 탄성, 내마모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여 여러 산업분야에서 사용하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계 신축섬유(111), 실리콘 또는 테프론계 신축섬유(11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신축섬유(111)의 외주면에는 나선홈(111a)이 형성되고, 이 나선홈(111a)에 전도성 섬유(113)가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신축섬유(111)의 나선홈(111a)에 전도성 섬유(113)가 삽입될 때, 신축섬유(111)가 성형될 때 전도성 섬유(113)가 삽입되면, 전도성 섬유(113)가 신축섬유(111)에 접착되며 삽입됨으로써, 전도성 섬유(113)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 섬유(113)는,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예컨대, 실리콘계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전도성 섬유(113)와 신축섬유(111)는 특정한 소재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3에서 도면번호 120은 일반적인 신축섬유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따라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D)에 일반적인 신축섬유(120)가 신축센싱섬유(110)와 함께 구성될 수 있음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D)는, 신축섬유(111) 외주면에 전도성 섬유(113)를 나선 형태로 감아 또는 삽입하여, 신축섬유(111)와 전도성 섬유(113)가 일체로 된 신축센싱섬유(1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직물지(또는 원단) 제조가 매우 쉬워진다. 즉, 종래의 자가 측정 직물지(또는 의류)의 경우에는 신축섬유(111)와 전도성 섬유(113)를 별도로 준비하여 제직하기 때문에 제직 공정이 복잡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D)는, 신축섬유(111)와 전도성 섬유(113)가 일체로 구성된 신축센싱섬유(110)만 준비하면 되기 때문에, 직물지의 제직 공정이 매우 단순하다.
또한, 종래의 자가 측정 직물지(또는 의류)는 신축섬유(111)와 전도성 섬유(113)를 별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축 변화 측정값의 획득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측정값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그 이유는, 종래의 자가 측정 직물지(또는 의류)의 경우에는 신축섬유(111)와 전도성 섬유(113)를 별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축 변화 측정장치(예컨대, 컨트롤러)의 연결이 복잡해지고, 특정 부위만의 측정이 가능하여 신축 변화의 측정값이 떨어진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D)의 경우에는 신축섬유(111)와 전도성 섬유(113)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축 변화 측정장치(예컨대, 컨트롤러)의 연결이 매우 단순해지고, 넓은 면적에서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어 신축 변화의 측정값의 신뢰성이 제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신축센싱섬유
111. 신축섬유
111a. 나선홈
113. 전도성 섬유
300. 보호대
D. 직물지

Claims (4)

  1.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전도성 섬유가 감겨 상기 전도성 섬유와 일체로 된 신축 가능한 신축섬유로 이루어진 신축센싱섬유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섬유의 외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홈에 상기 전도성 섬유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섬유가 성형될 때, 상기 전도성 섬유가 상기 나선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
KR1020200176806A 2020-12-16 2020-12-16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 KR102492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806A KR102492323B1 (ko) 2020-12-16 2020-12-16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806A KR102492323B1 (ko) 2020-12-16 2020-12-16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784A KR20220086784A (ko) 2022-06-24
KR102492323B1 true KR102492323B1 (ko) 2023-01-30

Family

ID=8221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806A KR102492323B1 (ko) 2020-12-16 2020-12-16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3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64B1 (ko) 2007-08-03 2008-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측정용 의복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195985A1 (en) 2015-06-30 2018-07-12 School Juridical Person Kitasato Institute Yarn, detection system, fiber sheet, connector, detection device, and liquid type estimation method
KR102129475B1 (ko) * 2019-10-08 2020-07-02 광림섬유(주) 피측정자의 체표면적 변화에도 신호왜곡 없이 심전도 측정이 가능한 신축성 심전도 직물전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828B1 (ko) * 2017-09-28 2021-07-30 주식회사 소프트로닉스 섬유 신축센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64B1 (ko) 2007-08-03 2008-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측정용 의복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195985A1 (en) 2015-06-30 2018-07-12 School Juridical Person Kitasato Institute Yarn, detection system, fiber sheet, connector, detection device, and liquid type estimation method
KR102129475B1 (ko) * 2019-10-08 2020-07-02 광림섬유(주) 피측정자의 체표면적 변화에도 신호왜곡 없이 심전도 측정이 가능한 신축성 심전도 직물전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784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6667B2 (ja) 人体動作検出用装着具
CN108139197B (zh) 用于在生物感测服装中监测呼吸的系统和方法
US20100286546A1 (en) Garment for detecting respiratory movement
TWI689263B (zh) 作爲衣著物品之用以監測使用者生理參數的裝置
Gioberto et al. Overlock-stitched stretch sensors: Characterization and effect of fabric property
JP7067874B2 (ja) 着用可能なステップカウンタシステ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者の歩行数を検出する方法
EP2173244A2 (en) Electrode for acquiring physiological signals of a recipient
JP2018534445A (ja) 容量性グリッドを実装したテキスタイル構造体
KR102265265B1 (ko) 유연센서 장치 및 제조방법
Guo et al. Knitted wearable stretch sensor for breathing monitoring application
Raji et al. Influence of rib structure and elastic yarn type variations on textile piezoresistive strain sensor characteristics
Frydrysiak et al. Textronic sensor for monitoring respiratory rhythm
CN105377122A (zh) 织物传感器和数字线的连接结构及方法
KR20180083220A (ko) 압력 측정이 가능한 직물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측정 장치
CN110621181A (zh) 用于测定肌肉活性度的服装型穿戴设备及其制造方法
Gioberto et al. Machine-stitched E-textile stretch sensors
KR102492323B1 (ko) 자가 측정이 가능한 직물지
US20060151308A1 (en) Proportional input interface
KR20060029641A (ko) 터치 감지 인터페이스
JP7240753B2 (ja) 被服、測定装置、および監視システム
Bozali et al. Development of hysteresis-free and linear knitted strain sensors for smart textile applications
CN114411304B (zh) 一种电阻式柔性应变传感织带及其制备方法
Tang et al. Fabricating a smart clothing system based on strain-sensing yarn and novel stitching technology for health monitoring
JP2024512270A (ja) ひずみ検知のために構成されたテキスタイル、ひずみ検知のためのテキスタイル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編成装置
CN110101152A (zh) 一种用于柔性器件与服装可拆卸集成技术的织物伸缩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