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674B1 -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1674B1 KR102491674B1 KR1020190121007A KR20190121007A KR102491674B1 KR 102491674 B1 KR102491674 B1 KR 102491674B1 KR 1020190121007 A KR1020190121007 A KR 1020190121007A KR 20190121007 A KR20190121007 A KR 20190121007A KR 102491674 B1 KR102491674 B1 KR 1024916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xels
- weight
- warped
- pixel
- patc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50—Lighting effects
- G06T15/503—Blending, e.g. for anti-aliasing
-
- G06T3/0093—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8—Image warping, e.g. rearranging pixels individually
-
- G06T5/005—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7—Retouching; Inpainting; Scratch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3차원 워핑을 이용하는 중간시점 영상 생성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변이를 이용하는 중간시점 영상 생성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시점 영상 생성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6-자유도 영상이 제공되는 상황의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한 실시예에 따른 슈퍼픽셀 기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블렌딩을 위한 제1 가중치 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가상시점 영상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렌딩을 위한 제2 가중치 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가상시점 영상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한 실시예에 따른 슈퍼픽셀이 맵핑되는 홀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한 실시예에 따른 슈퍼픽셀 맵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슈퍼픽셀 맵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종래 방식의 슈퍼픽셀 맵핑 방법에 의한 워핑 영상 및 블렌딩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슈퍼픽셀 맵핑 방법에 의한 워핑 영상 및 블렌딩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시점 영상좌표계의 한 점으로 워핑된 픽셀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한 실시예에 따른 깊이 값 분포에 기반한 제3 가중치 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한 실시예에 따른 블렌딩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f는 한 실시예에 따른 블렌딩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한 실시예에 따른 슈퍼픽셀의 크기에 따라 제4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0은 한 실시예에 따른 최종 가중치 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시점 영상 생성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Claims (20)
-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시점 영상(input-viewpoint image)을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시점 영상의 픽셀을 가상시점(virtual-viewpoint) 영상좌표계로 워핑시키는 단계,
상기 영상좌표계로 워핑된 복수의 픽셀 중 제1 픽셀의 제1 깊이 값과 상기 제1 픽셀에 이웃하는 제2 픽셀의 제2 깊이 값 사이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픽셀에 패치(patch)를 맵핑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제1 픽셀에 상기 패치를 맵핑하지 않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여 상기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픽셀 및 상기 제1 픽셀에 이웃하는 제2 픽셀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패치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제1 픽셀의 깊이 값은 상기 제2 픽셀의 깊이 값보다 작은, 가상시점 영상 생성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여 상기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의 깊이 값의 분포를 바탕으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에 각각 가중치를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중치를 바탕으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방법. - 제3항에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의 깊이 값의 분포를 바탕으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에 각각 가중치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중 밀집 분포 내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에는 큰 가중치를 할당하고,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중 희소 분포를 보이는 픽셀에는 작은 가중치를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방법. - 제3항에서,
상기 가중치를 바탕으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는 단계는,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중 희소 분포를 보이는 픽셀을 블렌딩에서 제외하고,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중 밀집 분포 내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을 블렌딩에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방법. - 제3항에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여 상기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치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패치에 상대적으로 작은 가중치를 할당하고, 상기 패치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패치에 상대적으로 큰 가중치를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여 상기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시점 영상의 픽셀과 서로 떨어진 거리에 따른 제1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의 깊이 값의 역수에 비례하는 제2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가중치를 통합하여 최종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최종 가중치를 바탕으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여 상기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치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1 패치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가중치를 할당하고, 상기 패치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2 패치에는 상대적으로 큰 가중치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치에 할당된 가중치 및 상기 제2 패치에 할당된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패치 및 상기 제2 패치를 블렌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여 상기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시점 영상의 픽셀과 서로 떨어진 거리에 따른 제1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의 깊이 값의 역수에 비례하는 제2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의 깊이 값의 분포를 바탕으로 제3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패치의 크기에 따른 제4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가중치, 상기 제2 가중치, 상기 제3 가중치, 및 상기 제4 가중치를 통합하여 최종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최종 가중치를 바탕으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방법. -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시점 영상(input-viewpoint image)의 픽셀을 가상시점(virtual-viewpoint) 영상좌표계로 워핑시키는 워핑부,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중 제1 픽셀과 상기 제1 픽셀에 이웃하는 제2 픽셀 사이의 거리를 바탕으로 슈퍼픽셀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픽셀의 제1 깊이 값과 상기 제2 픽셀의 제2 깊이 값 사이의 차이를 바탕으로 상기 제1 픽셀에 상기 슈퍼픽셀을 맵핑하는 슈퍼픽셀 맵핑부, 및
상기 영상좌표계로 워핑된 복수의 픽셀의 깊이 값의 분포를 바탕으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에 각각 가중치를 할당하고, 상기 가중치를 바탕으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을 블렌딩하는 블렌딩부
를 포함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장치. - 제10항에서,
상기 블렌딩부는,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중 밀집 분포 내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에는 큰 가중치를 할당하고,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중 희소 분포를 보이는 픽셀에는 작은 가중치를 할당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장치. - 제10항에서,
상기 블렌딩부는,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중 희소 분포를 보이는 픽셀을 블렌딩에서 제외하고,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중 밀집 분포 내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을 블렌딩에 사용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장치. - 제10항에서,
상기 블렌딩부는,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시점 영상의 픽셀과 서로 떨어진 거리에 따른 제1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의 깊이 값의 역수에 비례하는 제2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가중치를 통합하여 최종 가중치를 결정하며, 상기 최종 가중치를 바탕으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장치. - 삭제
- 제10항에서,
상기 슈퍼픽셀 맵핑부는,
상기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픽셀에 패치(patch)를 맵핑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패치를 맵핑하지 않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장치. - 제10항에서,
상기 블렌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시점 영상 중 제1 입력시점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제1 픽셀이 상기 가상시점 영상좌표계의 제1 위치로 워핑될 때, 상기 복수의 제1 픽셀 중 가장 작은 깊이 값을 갖는 픽셀을 상기 제1 입력시점 영상의 대표 픽셀로 결정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장치. - 제10항에서,
상기 블렌딩부는,
상기 슈퍼픽셀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슈퍼픽셀에 상대적으로 작은 가중치를 할당하고, 상기 슈퍼픽셀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슈퍼픽셀에 상대적으로 큰 가중치를 할당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장치. - 제10항에서,
상기 블렌딩부는,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시점 영상의 픽셀과 서로 떨어진 거리에 따른 제1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의 깊이 값의 역수에 비례하는 제2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의 깊이 값의 분포를 바탕으로 제3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가중치, 상기 제2 가중치, 및 상기 제3 가중치를 통합하여 최종 가중치를 결정하며, 상기 최종 가중치를 바탕으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장치. - 제10항에서,
상기 블렌딩부는,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시점 영상의 픽셀과 서로 떨어진 거리에 따른 제1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의 깊이 값의 역수에 비례하는 제2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의 깊이 값의 분포를 바탕으로 제3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패치의 크기에 따른 제4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가중치, 상기 제2 가중치, 상기 제3 가중치, 및 상기 제4 가중치를 통합하여 최종 가중치를 결정하며, 상기 최종 가중치를 바탕으로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장치. -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전달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시점 영상(input-viewpoint image)의 픽셀을 가상시점(virtual-viewpoint) 영상좌표계로 워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영상좌표계로 워핑된 복수의 픽셀 중 제1 픽셀의 제1 깊이 값과 상기 제1 픽셀에 이웃하는 제2 픽셀의 제2 깊이 값 사이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픽셀에 패치(patch)를 맵핑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제1 픽셀에 상기 패치를 맵핑하지 않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워핑된 복수의 픽셀 및/또는 상기 패치를 블렌딩하여 상기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상기 제1 픽셀 및 상기 제1 픽셀에 이웃하는 제2 픽셀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패치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670,057 US11528461B2 (en) | 2018-11-16 | 2019-10-31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rtual viewpoint im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142009 | 2018-11-16 | ||
KR1020180142009 | 2018-11-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7612A KR20200057612A (ko) | 2020-05-26 |
KR102491674B1 true KR102491674B1 (ko) | 2023-01-26 |
Family
ID=7091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1007A KR102491674B1 (ko) | 2018-11-16 | 2019-09-30 |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167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34792B2 (en) | 2020-06-17 | 2023-08-22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viewpoint image synthesis by mixing warped image |
KR102576700B1 (ko) * | 2020-06-17 | 2023-09-0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워핑된 영상의 혼합을 통한 가상 시점 영상 합성 방법 및 장치 |
KR102627659B1 (ko) * | 2021-12-02 | 2024-01-24 | (주)셀빅 | 후면 영상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138333B (zh) * | 2008-08-29 | 2014-09-24 | 汤姆逊许可公司 | 利用启发式视图合并的视图合成 |
KR102039741B1 (ko) * | 2013-02-15 | 2019-11-0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영상 워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2019
- 2019-09-30 KR KR1020190121007A patent/KR102491674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Mehrdad Panahpour Tehrani et al., ‘Free-viewpoint image synthesis using superpixel segmentation’, APSIPA Transactions on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SIP (2017), vol. 6, e5 (2017.06.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7612A (ko) | 2020-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2846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rtual viewpoint image | |
KR102491674B1 (ko) |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
JP5985910B2 (ja) | ホールレンダリングを用いるマルチビュー映像処理方法及び装置 | |
JP7105246B2 (ja) | 再構成方法および再構成装置 | |
US937858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idirectionally inpainting occlusion area based on predicted volume | |
KR101669840B1 (ko) | 다시점 비디오로부터 일관성 있는 변이를 추정하는 변이 추정 시스템 및 방법 | |
CN109767408B (zh) | 图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 |
US11181367B2 (en) | Feature/ground height-based colored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feature height-based colored image generating program | |
KR101855980B1 (ko) | 홀 채우기 방법 및 장치 | |
US9530212B2 (en) | Image frame conversion method and video frame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 |
US2021020157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igital surface model using satellite imagery | |
US2013000282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light field geometry using multi-view camera | |
JP6762570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JP2019536174A (ja) | 光強度画像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 |
JP2018036898A (ja) |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US9462251B2 (en) | Depth map aligning method and system | |
JP2013185905A (ja) |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KR20210096234A (ko) | 호모그래피 변환을 사용하는 포인트 클라우드 코딩 | |
US8842918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JP2018032938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12105019A (ja) | 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 |
JP6991700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 |
US20120170841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CN107590857A (zh) | 用于生成虚拟视点图像的设备和方法 | |
KR101993961B1 (ko) | 임의시점 영상의 홀 채움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