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321B1 -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321B1
KR102491321B1 KR1020180030483A KR20180030483A KR102491321B1 KR 102491321 B1 KR102491321 B1 KR 102491321B1 KR 1020180030483 A KR1020180030483 A KR 1020180030483A KR 20180030483 A KR20180030483 A KR 20180030483A KR 102491321 B1 KR102491321 B1 KR 10249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ts
support
workbench
multifunctional vehicle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8872A (en
Inventor
정광오
Original Assignee
정광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오 filed Critical 정광오
Priority to KR102018003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321B1/en
Publication of KR2019010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8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3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07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for engines, motor-vehicles or b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6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축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양측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암이 연장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암의 양측 말단에 형성되며, 차량 부품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ing part; at least one support shaft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support unit is formed, and a support arm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n both directions is extend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It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omprising a; and a mounting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arm and in which vehicle parts are mounted.

Description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본 발명은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부품의 크기가 차종이나 부품의 종류마다 다르기 때문에 작업대의 길이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작업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기타 기계요소나 공구 등의 수납부를 함께 구성함으로서, 작업자에게 편안한 작업 환경을 만들어 주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nd more particularly, since the size of vehicle parts is different for each type of vehicle or part,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workbench can be adjusted, the workbench can be moved, and other mechanical eleme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apable of improving work efficiency by creating a comfortable working environment for a worker by configuring a storage unit such as a tool or the like.

일반적으로 차량 부품의 종류로는, 범퍼, 라디에이터 그릴, 본넷, 도어, 휀더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차량 부품 각각은 그 형상과 크기가 매우 상이하다.In general, there are several types of vehicle parts, such as a bumper, a radiator grill, a bonnet, a door, and a fender, and each of the vehicle parts has a very different shape and size.

이러한 차량 부품을 정비하는 경우, 작업자는 작업을 편안하게 하고자 원하는 위치에 두고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크기가 작은 부품들은 일반적인 테이블 위에서 작업을 할 수가 있다.In the case of servicing these vehicle parts, the operator places the work in a desired position to make the work comfortable. Of course, smaller parts can work on a regular table top.

그러나, 범퍼, 도어 등과 같이 크기가 큰 부품들은 일반적인 테이블 위에서는 작업을 수행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타이어나 박스 등을 바닥에 깔고 부품을 그 위에 적치하여 작업을 수행하곤 한다.However, since it is inconvenient to work on large parts such as bumpers and doors on a general table, the work is often performed by laying tires or boxes on the floor and placing parts thereon.

따라서, 작업자는 쪼그려 앉거나 허리를 구부려 작업을 하는 등 상당히 불편한 자세로 작업을 하게 되어 과한 경우에는 작업자의 건강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Therefore, the worker is forced to work in a very uncomfortable posture, such as squatting or bending his or her back, which may result in deterioration of the worker's health in excessive cas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제10-1815177호에서는 작업자의 신체 조건이나 작업 환경에 따라 높이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부품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Patent Registration No. 10-1815177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eight or wid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r working environment of the operator, the damage of parts can be prevented, and the parts can be stably mounted. Disclosed is a vehicle parts holder capable of mounting parts while preventing damage to parts.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는 거치대 위에 거치된 부품에 한해서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세워서 작업을 해야 하는 차량 부품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편한 작업을 할 수 밖에 없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However, the registered patent can only work on parts mounted on a cradle, and has problems such as still inconvenient work for vehicle parts that need to be worked upright.

한국등록특허공보(B1) 제10-1393676호(등록일: 2014.05.02.)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B1) No. 10-1393676 (registration date: 2014.05.02.) 한국등록특허공보(B1) 제10-1815177호(등록일: 2017.12.28.)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B1) No. 10-1815177 (registration date: 2017.12.28.)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더욱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perform more efficient work while solving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이 거치되는 높이나 길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차량 부품이 파손되지 않도록 충격 흡수를 할 수 있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apable of absorbing shock so that vehicle parts are not damaged while adjusting the height or length at which vehicle parts are mounted.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을 세워서 작업하는 경우에도 차량 부품이 파손되지 않도록 충격 흡수를 할 수 있으며, 밀리지 않도록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apable of absorbing shock so that vehicle components are not damaged even when working with vehicle components upright and fixing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y are not pushed.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이 거치된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하고, 차량 부품의 정비 작업에 필요한 기계 요소나 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함으로서 작업 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that can be moved even when vehicle parts are mounted and can improve work efficiency by forming a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mechanical elements or tools necessary for maintenance work of vehicle parts. intended to provid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는,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축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양측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암이 연장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암의 양측 말단에 형성되며, 차량 부품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at least one support shaft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support unit is formed, and a support arm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n both directions is extend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And i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arm, and the vehicle parts are moun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암 및 거치부 중 적어도 하나는 충격 흡수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arm and the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hock absorber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암은 상기 받침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지지축 방향을 따라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ar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to be formed parallel to the support portion or to be inclin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부의 형상은 'U'자 형상, 'V'자 형상 및 '凹'자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y one of a 'U' shape, a 'V' shape and a 'concave' shap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는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abl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는 홈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slip portion is provided with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암의 평행한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어 각 미끄럼 방지부간의 상호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slip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moved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support arm,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 distance between each anti-slip portion is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slip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축에는 매트류가 걸어지는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부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의 상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shaft is formed with a hook part for hanging mats, and the hook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non-slip par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축의 외면에는 저장 공간이 구비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구걸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unit having a storage spac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and at least one tool hanger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torage uni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지지축과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shaft and detachable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 내부에는 차량 부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중량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weigh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vehicle parts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암에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가진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ruler having a regular interval is formed on the support arm to measure the length.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의하면,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이 거치되는 높이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r length at which vehicle parts are mounted can be adjusted, so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work in a comfortable posture.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이 거치될 때, 흡집이 발생하거나 오염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problems such as scratches or contamination when vehicle parts are mounted.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을 세워 놓은 상태에서도 밀리지 않도록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work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because the lower part can be fixed so that the vehicle parts are not pushed even when the vehicle parts are standing.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이 거치된 상태에서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정비 작업에 필요한 기계 요소나 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vehicle parts even in a mounted state, and can accommodate mechanical elements or tools necessary for maintenance work,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사용 상태 및 미끄럼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구비되는 수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of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use and an anti-slip portion of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orage unit provided in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use of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includes', 'has', 'consists',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is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In the case where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cluding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또한,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with '~ on', '~ on top', '~ below', 'next to', etc., ' Unless 'directly' or 'directly' is used,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wo parts.

그리고,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as 'after', 'after', 'after', 'before', etc., 'immediately' or 'before' Unless 'direct' is used, non-continuous cases may also be included.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so,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Z-axis direc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only as a geometric relationship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is perpendicular, an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ction functionally It can mean having a wider direction.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Also, 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not only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but also two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It may mean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one or more.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can be implemented together in an association relationship. may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사용 상태 및 미끄럼 방지부(1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use and an anti-slip unit 150 of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는 기본적으로 받침부(100), 지지부(220) 및 거치부(3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asically include a supporting part 100 , a supporting part 220 and a mounting part 300 .

받침부(100)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기본적으로 각 모서리 부분의 하면에 바퀴(110)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지축(210) 부분의 하면에 바퀴(11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축(210)은 거치된 차량 부품의 하중이 집중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받침부(100)와 지지축(210)이 만나는 부분이 파손될 수 있다. 지지축(210) 부분의 받침부(100) 하면에 바퀴(110)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면 보다 강한 하중을 버틸 수 있을 것이다.The support unit 100 may basically have wheels 11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corner portion so as to be movab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wheel 11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10 part. The support shaft 210 is where the load of the mounted vehicle parts is concentrated, and accordingly, a portion where the supporting portion 100 and the support shaft 210 meet may be damaged. If the wheel 110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100 of the support shaft 210, it will be able to withstand a stronger load.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바퀴(110)에는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바퀴(110)를 고정킬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1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parate locking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wheel 110. An operator can fix the wheel 110 as needed by using the locking devi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stable work in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part 100 is fixed.

지지부(220)는 받침부(100)의 상부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축(210)이 연장 형성되며, 지지축(210)의 상단에 양측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암(220)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In the support part 220, at least one support shaft 210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100 is formed extending, and a support arm 220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n both directions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210 ) is characterized by an extended formation.

지지축(210)은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내부가 관통 형성된 제1 지지프레임(211)과 제1 지지프레임(211)에 삽입되는 제1 지지바(212)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upport shaft 210 is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and may be composed of a first support frame 211 having an inside through therethrough and a first support bar 212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frame 211, but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going to be

제1 지지바(212)의 일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지지홀(21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홀(213)에 핀(25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1 지지프레임(211)에 삽입되는 제1 지지바(212)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신체 조건 또는 작업 환경에 따라 편안한 높이에 차량 부품을 두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t least one first support hole 213 having a regular interval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bar 212 . The height of the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bar 212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frame 211 by inserting the pin 250 into the first support hole 213.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lace the vehicle parts at a comfortable height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r work environment of the worker and perform the work.

한편, 지지축(21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걸이(25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핀(25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핀걸이(255)에 핀(250)을 걸어 놓음으로서 핀(250)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pin girl 25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shaft 210 . When the pin 250 is not used, the loss of the pin 250 can be prevented by hanging the pin 250 on the pin holder 255 .

지지암(220)은 너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지지축(210)과 마찬가지로, 내부가 관통 형성된 제2 지지프레임(221)과 제2 지지프레임(221)에 삽입되는 제2 지지바(222)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upport arm 22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width, and like the support shaft 210, the second support frame 221 through which the inside is formed and the second support bar 222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frame 221 It may consist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지지바(222)의 일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지지홀(22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홀(223)에 핀(25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2 지지프레임(221)에 삽입되는 제2 지지바(222)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부품의 길이에 따라 지지암(220)의 너비를 조절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차량 부품의 길이에 따라 너비를 조절하여 작업을 수행한다면 작업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At least one second support hole 223 having a regular interval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bar 222 . By inserting the pin 250 into the second support hole 223,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bar 222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frame 221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width of the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 Therefore, the work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support arm 22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vehicle part. As such, if the work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width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vehicle part, the work space can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지지암(220)은 받침부(100)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지지축(210) 방향을 따라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지축(210) 방향을 따라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support arm 220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ing portion 100 or formed to have a lower inclination along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210, preferably such that the inclination decreases along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210. may have been form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210) 방향을 따라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 차량 부품의 하중이 지지축(210)으로 자연스럽게 집중될 수 있어 지지암(220)이 평행하게 형성된 것 보다 강한 하중을 견딜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S. 1 and 2 , when the inclination is lowered along the support shaft 210 direction, the load of vehicle parts can be naturally concentrated on the support shaft 210 so that the support arm 220 is parallel. It will be able to withstand a stronger load than it is formed.

한편, 지지암(220)이 평행한 경우, 지지암(220)의 양측에서 삽입되는 제2 지지바(222)가 지지암(220)의 중앙에서 정지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차단부재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축(210) 방향을 따라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차단부재 없이도 지지암(220)의 양측에서 삽입되는 제2 지지바(222)를 지지암(220)의 중앙에서 정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upport arms 220 are parallel, a separate blocking member may be required to stop the second support bars 222 inserted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arms 220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arms 220. . However, when the inclination is lower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210, the second support bar 222 inserted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arm 220 is inserted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arm 220 without a separate blocking member. It can have a stopping effect.

거치부(300)는 지지암(220)의 양측 말단에 형성되며, 차량 부품이 거치되는 구성으로서, 지지암(220)과 수직하는 방향의 길이를 가지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holding portion 30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arm 220 and is configured to hold vehicle parts, and may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arm 220 and may b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거치부(300)의 형상은 'U'자 형상, 'V'자 형상 및 '凹'자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래로 볼록한 호 형상인 'U'자 형상일 수 있다.The shape of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include any one of a 'U' shape, a 'V' shape, and a 'concave' shape, and preferably may be a 'U' shape, which is a downward convex arc shape. there is.

한편, 지지암(220) 및 거치부(300) 중 적어도 하나는 충격 흡수재(40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재(400)는 스폰지,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으며, 지지암(220) 및 거치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암(220) 및 거치부(300)는 차량 부품이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분이므로, 충격 흡수재(400)가 설치되어 있다면 차량 부품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a shock absorber 40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arm 220 and the mounting portion 300 . The shock absorber 40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ponge, silicone, rubber, or the like, and may be installed in a form surrounding the exterior of at least one of the support arm 220 and the mounting portion 300 . Since the support arm 220 and the mounting portion 300 are parts that directly contact vehicle parts, if the shock absorber 400 is installed, damage to the vehicle parts can be prevented.

추가적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지암(220)에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눈금자가 지지암(22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차량 부품의 길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Additional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ruler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arm 220 to measure the length. In this way, when the ruler is formed on the support arm 220, the length of vehicle parts can be easily measured.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부품을 세워 놓은 모습과 받침부(1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부(150)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 an anti-slip unit 15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100 and a state in which vehicle parts are placed are shown.

미끄럼 방지부(150)는 차량 부품이 미끄러져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홈(151)이 형성된 블록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부품을 세워 놓은 경우, 차량 부품의 아래 부분이 홈(151)에 삽입되거나 걸리게 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부(150) 역시 차량 부품과 직접 맞닿게 되는 구성으로서, 차량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탄성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150)를 탄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하게 되면 마찰력이 향상되게 되어 미끄러짐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The anti-skid part 150 is a component that prevents vehicle parts from slipping and falling, and may have a block shape in which a groove 151 is formed. Therefore, when a vehicle part is placed upright,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part is inserted into or caught in the groove 151 to prevent slipping. The non-slip portion 150 is also configured to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vehicle parts,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prevent damage to vehicle parts. If the non-slip portion 15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frictional force is improved, so that slipping can be prevented more efficiently.

한편, 지지축(210)에는 매트류가 걸어지는 걸이부(270)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이부(270)는 미끄럼 방지부(150)의 상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shaft 210 is formed with a hook part 270 for hanging mats, and the hook part 27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non-slip part 150.

상기 매트류는 충격흡수매트, 차량용 발 매트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걸이부(270)에 교체하여 걸 수 있다.The mats refer to shock absorbing mats, vehicle foot mats, and the like, and can be replaced and hung on the hook part 270 as needed.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부품을 세워 놓은 경우에는 차량부품이 지지축(210)에 기대어지게 되는데, 지지축(210)에 충격 흡수재(400)가 설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걸이부(270)에 충격흡수매트가 걸려 있게 되면, 세워 놓은 차량 부품의 지지축(210)이 맞닿는 부분에 발생할 수 있는 흠집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parts are placed upright, the vehicle parts lean on the support shaft 210, and the shock absorber 40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shaft 210, and the hook 270 absorbs shock. When the mat is hung, it will be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scratches that may occur at the part where the support shaft 210 of the standing vehicle part abuts.

차량 부품을 세워서 작업하지 않아 충격흡수매트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용 발 매트 등의 다른 매트류로 교체하여 걸어 놓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If the shock absorbing mat is not required because the vehicle parts are not worked upright, it is natural that the mat can be replaced with other mats such as foot mats for vehicles.

추가적인 설명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거치부(300)는 세워진 차량 부품을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an additional explanation, as shown in FIG. 3 , the multi-function vehicle parts workbench mounting portion 300 can support the erected vehicle parts from both sides,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ix them more stably.

한편, 미끄럼 방지부(150)는 받침부(100)의 상면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받침부(100)의 상면에서 지지암(220)의 평행한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어 각 미끄럼 방지부(150)의 상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anti-slip parts 15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art 100, and are moved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support arm 2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art 100, so that each sliding Intervals between the preventing parts 150 may be adjus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구비되는 수납부(5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orage unit 500 provided in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수납부(500)는 저장 공간이 구비되어 기계 요소, 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지지축(2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500)는 지지축(210)의 외면과 탈부착이 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수납부(500)의 일면에 'ㄱ'자 형상의 고리가 형성되고, 지지축(210)에는 'ㄱ'자 형상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기계 요소는 볼트, 너트, 리벳 등의 결합용 기계 요소뿐만 아니라, 차량 부품의 조립에 사용되는 전반적인 기계적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storage unit 500 has a storage space an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10 as a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machine elements, too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500 may be detachab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10 .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L' shaped r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500, and a 'L' shaped hole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shaft 210. there is.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mechanical elements refer not only to mechanical elements for coupling such as bolts, nuts, and rivets, but also to overall mechanical components used in assembling vehicle parts.

이처럼 수납부(500)가 가까운 곳에 형성되어 있다면, 작업자가 작업 중에 차량 부품으로부터 분해된 기계 요소를 쉽게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리 저장된 기계 요소 중 필요한 기계 요소를 꺼내어 사용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으며, 공구를 바꾸어 사용하기 위해 올려 놓는 등 작업자의 작업 동선을 줄여줌으로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if the storage unit 500 is formed nearby, a worker can easily store mechanical elements disassembled from vehicle parts during work. In addition, it may be easy to take out and use necessary mechanical elements among pre-stored mechanical elements, and work efficiency may be improved by reducing a worker's work flow, such as changing a tool and putting it on for use.

게다가, 수납부(50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구걸이(510)가 형성되어 있다. 공구걸이(510)는 공구를 걸어 놓거나 올려 놓을 수 있는 구성으로서, 필요한 공구를 즉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tool hanger 51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unit 500 . The tool hanger 510 is a component capable of hanging or placing tools, so that necessary tools can be immediately replaced and used, thereby improving worker's work efficiency.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부(100)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부(150)가 형성된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이 있을 수 있는데, 상기 빈 공간에 추가적으로 수납함(550)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Referring back to FIG. 3, there may be an empty sp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art 100 except for the space in which the non-slip part 150 is formed. Of cours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받침부(100) 내부에는 거치부(300) 또는 받침부(100)에 올려진 차량 부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중량측정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중량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차량 부품의 무게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일부분에 설치된 중량측정표시부(61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상기 중량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다면, 차량 부품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필요 이상으로 초과되는 무게를 측정하거나 부족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weight measuring device (not shown)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upporting part 300 or the vehicle parts placed on the supporting part 1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upporting part 100, The weight of the vehicle parts measured by the weighing device may be displayed by the weight measurement display unit 610 installed on a part of the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If the weight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in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more efficient work may be possible because it is possible to measure excess weight or insufficient weight while performing vehicle parts work.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받침부 110: 바퀴
150: 미끄럼 방지부 151: 홈
200: 지지부 210: 지지축
211: 제1 지지프레임 212: 제1 지지바
213: 제1 지지홀 220: 지지암
221: 제2 지지프레임 222: 제2 지지바
223: 제2 지지홀 250: 핀
255: 핀걸이 270: 걸이부
300: 거치부 400: 충격 흡수재
500: 수납부 510: 공구걸이
550: 수납함 610: 중량측정표시부
100: supporting part 110: wheel
150: non-slip portion 151: groove
200: support 210: support shaft
211: first support frame 212: first support bar
213: first support hole 220: support arm
221: second support frame 222: second support bar
223: second support hole 250: pin
255: pin hook 270: hook part
300: mounting part 400: shock absorber
500: storage unit 510: tool hanger
550: storage box 610: weight measurement display unit

Claims (13)

상면에는 홈(151)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150)가 구비되는 받침부(100);
상기 받침부(100)의 상부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축(210)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210)의 상단에 양측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암(220)이 연장 형성된 지지부(200); 및
상기 지지암(220)의 양측 말단에 형성되며, 차량 부품이 거치되는 거치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210)에는 매트류가 걸어지는 걸이부(2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부(270)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150)의 상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Support portion 100 provided with a non-slip portion 150 having a groove 15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t least one support shaft 210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art 100 is formed extending, and a support arm 220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n both directions is exten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210 Formed support portion 200; and
I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arm 220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300 on which vehicle parts are mounted.
A hook 270 for hanging mats is formed on the support shaft 210, and the hook 270 is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anti-slip part 15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220) 및 거치부(300) 중 적어도 하나는 충격 흡수재(4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support arm 220 and the mounting part 300 is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er 400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220)은 상기 받침부(100)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지지축 방향을 따라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arm 220 is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ing portion 100 or formed to have a lower inclination along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300)의 형상은 'U'자 형상, 'V'자 형상 및 '凹'자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hape of the mounting portion 300 is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y one of a 'U' shape, a 'V' shape and a 'concav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는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ing portion 100 is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movab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150)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암(220)의 평행한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어 각 미끄럼 방지부(150)간의 상호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
The non-slip portion 150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moved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support arm 220 to adjust the mutual distance between each anti-slip portion 150. ben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15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
The non-slip portion 150 is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210)의 외면에는 저장 공간이 구비된 수납부(5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50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구걸이(5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
A storage unit 500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10, and at least one tool hanger 51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unit 500. Vehicle parts workbench.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500)는 상기 지지축(210)과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0,
The receiving part 500 is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shaft 210 and detach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 내부에는 차량 부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중량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
A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a weigh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vehicle parts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ing portion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220)에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가진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arm 220 is formed with a ruler having a regular interval to measure the length.
KR1020180030483A 2018-03-15 2018-03-15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KR1024913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83A KR102491321B1 (en) 2018-03-15 2018-03-15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83A KR102491321B1 (en) 2018-03-15 2018-03-15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72A KR20190108872A (en) 2019-09-25
KR102491321B1 true KR102491321B1 (en) 2023-01-25

Family

ID=6806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483A KR102491321B1 (en) 2018-03-15 2018-03-15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3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462B1 (en) 2022-08-24 2022-12-06 이홍대 Worker Accommodation Bogi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157Y1 (en) * 2002-08-28 2002-11-18 상 천 이 Case-type tool rack for a display stand
KR101543212B1 (en) * 2015-05-26 2015-08-07 홍연구 Multi worktable for painting exterior decor of car
KR101585012B1 (en) * 2014-02-11 2016-01-14 김우근 door holder frame for an automotiv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676B1 (en) 2012-12-06 2014-05-23 주식회사 한국메탈 Car parts stands
KR101815177B1 (en) 2017-09-05 2018-01-04 정완기 Vehicle parts cradle to prevent parts damage and mount par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157Y1 (en) * 2002-08-28 2002-11-18 상 천 이 Case-type tool rack for a display stand
KR101585012B1 (en) * 2014-02-11 2016-01-14 김우근 door holder frame for an automotive
KR101543212B1 (en) * 2015-05-26 2015-08-07 홍연구 Multi worktable for painting exterior decor of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72A (en)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7824B1 (en) Rack system for a vehicle
US6105719A (en) User-configurable mechanics stool
US8613454B2 (en) Under hood service tray
US20190210214A1 (en) Overhead creeper
KR102491321B1 (en) 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CN104709186A (en) Cargo area retention system
US8573661B1 (en) Vehicle side protector
US10118556B2 (en) Folding step ladder
CN207916908U (en) A kind of Simple goods carrier
US5873312A (en) Adjustable parts holder
US6059071A (en) Sawhorse
US5899297A (en) Adjustable workman's bed system
US20030075384A1 (en) Mechanic support device
KR102536529B1 (en) work and storage tables
KR100917294B1 (en) A ladder with multipurpose tool box
US6296279B1 (en) Vehicle fender protection device
US20010007343A1 (en) Vehicle lift rack mounted tool organizer
JP2017100481A (en) Carriage
US20160096265A1 (en) Creeper Tool Device
US6105718A (en) Roofer's extend-a-leg
US6837501B1 (en) Saw dolly and stand
CN210232994U (en) Multifunctional station appliance for automobile
CN212454210U (en) Ladder easy to move
CN210997292U (en) A clamping device
CN202664893U (en) Car repairing working chair with double purposes of kneeling and s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