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966B1 -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966B1
KR102490966B1 KR1020190070770A KR20190070770A KR102490966B1 KR 102490966 B1 KR102490966 B1 KR 102490966B1 KR 1020190070770 A KR1020190070770 A KR 1020190070770A KR 20190070770 A KR20190070770 A KR 20190070770A KR 102490966 B1 KR102490966 B1 KR 10249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user
bio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022A (ko
Inventor
박준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90070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9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개인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 또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의료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생체신호 또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의료기관 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의료기관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한 의료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과 관련된다.

Description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SYSTEM FOR SUPPORTING MEDICAL SERVICE AND CONSTRUCTING DATABASE BASED ON BIO-SIGNAL}
본 발명은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신호 및 관련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생체신호 및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을 지원하거나, 상기 생체신호 및 관련 정보, 또는 의료서비스 제공 결과에 기초한 의료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풍요로운 개인의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개인의 건강이 필수적인 요건이며,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생활의 질적 향상은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건강에 대한 관심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또한, 개인의 건강 증대는 국가 경쟁력 향상의 효과가 있어, 국가적 차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건강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노력이 중요하지만, 병원과 같은 다양한 의료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 또한 중요하다. 개인이 의료기관으로부터 의료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받기 위해서는, 개인의 건강 관련 정보를 상세하게 제공해야 한다. 또한, 상기 건강 관련 정보를 현재 개인이 갖고 있는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의료기관에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최근 의료기술 및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개인의 일상 생활에서 실시간 건강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 건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몇몇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몇몇 기술들은 단순히 실시간 건강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공하는 한계가 있다.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025769호 (2010.03.10.)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의료기관으로부터 의료서비스를 제공 받는 것을 지원하고, 상기 생체신호 및 관련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통합 연계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개인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 또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의료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생체신호 또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의료기관 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의료기관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한 의료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사용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상기 생체신호 또는 스마트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질병에 연관되는 생체신호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생체신호를 연관된 질병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적용하여 상기 생체신호의 상태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생체신호의 상태가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질병에 대한 제공자 후보를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한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은 정상 상태의 생체신호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적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자 후보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공자 후보와 연관된 질병 각각에 대한 이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도는 해당 질병의 중증도, 및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산출된 이상 결과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최고 이상도를 갖는 질병과 연관된 제공자 후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입력에 기초한 의료서비스의 제공 결과에 기초하여 연관 테이블 또는 이상 판단 기준을 업데이트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관 테이블은 질병 및 해당 질병의 증상을 나타내는 생체신호 간의 제1 연관 관계 또는 상기 질병과 상기 질병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 간의 제2 연관 관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생체신호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태가 긴급상황인지 결정하고, 긴급상황으로 결정된 경우 긴급상황 알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나타내는 수면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체신호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장기이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생체신호, 스마트 의료정보, 및 상기 의료서비스의 제공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초대사에 대한 사용자 통계를 사용자 배경에 따라 구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생체신호, 스마트 의료정보, 및 상기 의료서비스의 제공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질병과 생체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도록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부정맥 또는 심정지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생명이 위험할 수 있는 긴급상황 여부를 상기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예측하고, 긴급상황으로 예측된 경우 사용자가 진료 기관으로 이동하게 하는 알림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단순히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생체신호를 처리하여 수면상태정보, 장기이식 관리정보 등 개인의 건강 상태를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내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의료기관 서버를 통해, 생체신호 및/또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공받을 의료서비스를 지원한다.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의심질환을 결정하고, 상기 의심질환을 담당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시스템은 의료서비스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에 적합한 의료서비스를 탐색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의료와 연관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병과 생체신호에 대한 질환 데이터베이스 또는 사용자 의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정부기관 등에 제공되어 다양한 분석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정보가 서로 연계됨으로써, 사용자와 의료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강화되어 의료기관은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고품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부기관은 국민의 건강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안내하기 위한 의료기관 서버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들은 단지 도시(illustration)의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묘사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 및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은 여기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원리들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기재된 실시예로 제한되어 생각되지 않아야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잘 알려진 특징 및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실시예의 특징을 불필요하게 불명확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이하, “지원 및 구축 시스템”)(1)은 네트워크10를 통하여 통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의료기관 서버(30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원 및 구축 시스템1은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10)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 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0)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객체 간의 기능, 특성 등에 따라 사용되는 네트워크(10)의 종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 서버(300)와 데이터베이스 서버(500) 간에는 FTP 네트워크가 연결될 수 있지만, 의료기관 서버(300)와 사용자 디바이스(100) 사이에는 WiFi 네트워크가 연결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생체신호는, 예를 들어, 심전도, 체온, 혈당, 혈압, 피부의 온도, 피부의 습도, 피부의 유분, 코골이 음성, 근전도, 뇌파, 체액분비, 체지방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이러한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물리 신호를 획득하는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는, 체온 센서, 혈당 센서, 혈압 센서 등과 같이, 전술한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전술한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물리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감지센서는 접촉식으로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 표면의 전기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생체신호 감지센서는 침습식으로서, 사용자의 피부 내부로 침습하여 내부의 전기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생체신호 감지신호는 비접촉식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에 대응하는 물리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하기 적합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팔찌, 반지, 시계, 목걸이와 같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smart wearable device)의 구조를 갖거나, 또는 바이오 스탬프, 캡슐, 패치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획득된 생체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 및 생체신호와 관련된 정보(이하, “스마트 의료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의료정보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스마트 의료정보는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상기 스마트 의료정보는, 예를 들어, 긴급상황 알림정보, 수면상태정보, 장기이식 관리정보, 운동상태정보, 미용상태정보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예컨대, 성명, 주민등록번호, 사용자 ID, 디바이스 ID, 등), 사용자 배경정보(예컨대, 거주 지역, 연령, 성별 등)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상기 생체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긴급상황 알림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긴급상황은 단시간 내에 의료 행위가 없을 경우 사용자가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긴급상황은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 증상에 연관될 수 있다. 상기 긴급상황과 관련된 생체 증상은, 예를 들어, 심정지 또는 부정맥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이하,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심정지를 기초로 긴급상황 알림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심정지와 관련된 생체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심정지와 관련된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정지 정도를 나타내는 긴급상황 정도를 산출하고, 상기 긴급상황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긴급상황 여부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심정지와 관련된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긴급상황 정도가 산출되면, 긴급상황으로 결정한다. 상기 임계치는 사용자가 심정지를 갖는 것으로 의심할 수 있거나,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수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긴급상황으로 결정되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긴급상황을 알림으로써 의료진을 사용자로 호출하거나, 또는 사용자를 의료진으로 이송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긴급상황의 알림은 긴급상황 알림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긴급상황으로 결정되면, 긴급상황 알림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긴급상황 알림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 긴급상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생체신호, 및 긴급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긴급상황 정도 및/또는 결정 결과)를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수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수면상태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코골이, 체온, 호흡 등을 포함한 수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획득하고, 이러한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수면상태정보는 수면무호흡 등의 수면장애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장기이식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식용 신체장기를 설정하고, 상기 신체장기와 관련된 생체신호, 또는 상기 신체장기를 이식하는 수술을 위한 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근육, 심장, 신장 등을 포함한 장기를 이식하는데 활용되는 생체신호를 획득하고, 이러한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장기이식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장기이식 관리정보는 추후 사용자가 장기이식 수술에 참여할 경우, 장기이식 수술을 위한 준비 기간을 최소화하게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운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운동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근육활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획득하고, 이러한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운동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운동상태정보는 운동 도중에 획득된 생체신호 및 날짜, 운동시간, 운동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피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미용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피부상태(예컨대, 유분, 온도, 습도 등)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획득하고, 이러한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미용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의료기관 서버(300)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로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또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의료기관 서버(300)는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또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의료기관 서버(300)로의 정보 제공은 사용자의 동의를 전제로 수행된다. 이하, 사용자의 동의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의료기관 서버(300)는 생체신호 및 스마트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상기 의료서비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의료기관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서, 병원, 요양원, 보건소, 응급센터 등과 같은 직접적인 의료서비스 제공 기관, 및 119, 환자 이송업체 등 직접적인 의료서비스 업체와 사용자를 중계하는 간접적인 의료서비스 제공 기관을 포함한다. 의료기관 서버(300)는 상기 의료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를 지칭한다.
의료기술의 고도화로 인해, 의료기관은 진료과목을 세분화하여 정밀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의료기관인 병원의 경우, 이비인후과, 정신과, 신경외과, 가정의학과, 스포츠의학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피부과, 내과, 심혈관센터, 어지럼증센터, 건강증진센터, 암센터 등 다양한 진료과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료과목은 하위 진료과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과는 호흡기, 알레르기, 노인병, 순환기 등을 하위 진료과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300)는 다양한 의료제공자 후보 중에서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적합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무엇인지 또는 어디인지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서버(300)는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생체신호, 스마트 의료정보 및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재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지칭한다.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는 의료진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의료기관 서버(300)는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위치한 공간(예컨대, 진료부서, 또는 진료건물) 또는 의료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진료과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안내하기 위한 의료기관 서버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기관 서버(300)는 질병에 연관되는 생체신호를 검색하는 단계(S310); 검색된 생체신호를 연관된 질병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적용하여 상기 생체신호의 상태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330); 상기 생체신호의 상태가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질병에 대한 제공자 후보를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하는 단계(S350);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한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S370)를 포함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적합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안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질병과 연관되는 생체신호는 질병을 가질 경우 증상으로 나타나는 생체신호로서, 심전도, 체온, 혈당, 혈압, 피부의 온도, 피부의 습도, 피부의 유분, 코골이 음성, 근전도, 뇌파, 체액분비, 체지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의 설명을 위해 검색이 되었다고 가정한다.
단계(S330)에서, 의료기관 서버(300)는 검색된 생체신호의 상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정상 상태의 생체신호(예컨대, 신호 값 또는 형태 등)에 의존하여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은 생체신호별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전도 생체신호의 기준은 사용자의 심전도 생체신호가 정상 상태의 심전도 생체신호의 형태와 비교하여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형태를 갖는지 여부일 수 있다. 혈압 생체신호의 기준은 사용자의 혈압 생체신호가 정상 상태의 혈압 생체신호의 신호 값과 비교하여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신호 값을 갖는지 여부일 수 있다. 코골이 생체신호의 기준은 (예컨대, 무호흡 수면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코골이 생체신호가 정상 상태의 코골이 생체신호의 형태 또는 신호 값과 비교하여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지 여부일 수 있다.
단계(S330)에서 생체신호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생체신호와 연관된 질병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미리 연관된 제공자 후보를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한다(S350).
예를 들어, 심전도 이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심전도 생체신호와 연관된 질병은 부정맥일 수 있다. 이 경우, 의료기관 서버(300)는 부정맥을 담당하는 제공자 후보(즉, 부정맥 전문의)를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한다(S350). 체온 이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체온 생체신호와 연관된 질병은 감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의료기관 서버(300)는 감기를 담당하는 제공자 후보(즉, 감기/바이러스 전문의)를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한다(S350). 혈당 이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혈당 생체신호와 연관된 질병은 당뇨일 수 있다. 이 경우, 의료기관 서버(300)는 당뇨를 담당하는 제공자 후보(즉, 평생건강관리 전문의)를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한다(S350).
일 실시예에서, 이상이 있는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공자 후보가 복수인 경우, 의료기관 서버(300)는 상기 복수의 제공자 후보와 연관된 질병 각각에 대한 이상도(abnormal degree)를 산출하고, 각각 산출된 질병별 이상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결정한다(S350).
상기 이상도(abnormal degree)는 생체신호와 미리 연관된 질병의 중증도, 이상 결과의 정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상기 질병의 중증도는 해당 질병의 사망률, 조기 치료시 완치율, 완치 기간 등에 의존하여 미리 설정된다. 상기 이상 결과의 정도는 기준과의 차이(예컨대, (예컨대, 정상 상태의 생체신호와 사용자 현재의 생체신호 간의 차이)를 나낸다.
예를 들어, 심전도 및 코골이 생체신호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의료기관 서버(300)는 심전도 이상과 관련된 질병(예컨대, 심장질병)의 중증도, 이상결과 정도에 기초하여 심장질병에 대한 이상도를 산출하고, 코골이 이상과 관련된 질병(예컨대, 수면무호흡증)의 중증도, 이상결과 정도에 기초하여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이상도를 산출한다.
심장질병이 수면무호흡증에 비해 발병시 치사율이 높고, 사망에 도달하는 시간도 짧으므로, 심장질병은 수면무호흡증에 비해 높은 중증도를 가진다. 심전도와 코골이 생체신호의 이상결과 정도가 큰 차이가 없는 경우, 의료기관 서버(300)는 복수의 제공자 후보 중 심장질병 전문의를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서, 혈압 및 뇌파 생체신호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의료기관 서버(300)는 혈압 이상과 관련된 질병(예컨대, 순환기 질병)의 중증도, 이상결과 정도에 기초하여 순환기질병에 대한 이상도를 산출하고, 뇌파 이상과 관련된 질병(예컨대, 뇌질병)의 중증도, 이상결과 정도에 기초하여 뇌질병에 대한 이상도를 산출한다.
뇌질병 및 순환기 질병 모두 발병시 환자의 생명이 위험하고, 완치에도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중증도는 유사하게 결정된다. 뇌파의 이상결과 정도가 혈압의 이상결과 정도 보다 큰 경우, 의료기관 서버(300)는 복수의 제공자 후보 중 뇌질병 전문의(예컨대, 뇌졸증 전문의)를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기관 서버(300)는 보다 높은 이상도(예컨대, 최고값, 또는 상위 그룹)를 갖는 질병에 연관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300)는 미리 저장된 연관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예컨대, 단계(S310), 또는 단계(S35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관 테이블은 해당 의료기관에서 관련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질병 및 해당 질병의 증상을 나타내는 생체신호 간의 제1 연관 관계 및/또는 상기 질병과 상기 질병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 간의 제2 연관 관계를 가진다.
상기 연관 관계는 일대일 관계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연관 관계의 경우, 특정 생체신호는 다수의 질병을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어, 상기 제1 연관 관계는 n대일일 수도 있다. 다수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특정 질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높은 정확성을 가질 수 있어, 상기 제1 연관 관계는 일대n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연관 관계는 n대n(n은 2이상의 정수) 관계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연관 관계의 경우, 특정 제공자가 다수의 질병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연관 관계는 n대일일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질병에 대해서는 다수의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요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관 관계는 일대n일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의료기관 서버(300)는 사용자의 기존 병력(medical history)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결정할 수 있다(S350).
상기 기존 병력은 상기 사용자의 과거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기록으로서, 검사 결과, 질병 유무, 명칭 등을 포함한다. 의료기관 서버(300)는 의료기관 서버(300)에 미리 저장된 병력,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병력, 또는 외부 기관(예컨대, 다른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신한 병력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체온 및 근전도 생체신호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체온 이상과 관련된 질병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제공자 후보, 및 근전도 이상과 관련된 질병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제공자 후보를 가진다. 의료기관 서버(300)는 체온 이상과 관련된 질병(예컨대, 감기)의 중증도, 이상결과 정도에 기초하여 감기에 대한 이상도를 산출하고, 근전도 이상과 관련된 질병(예컨대, 근육질병)의 중증도, 이상결과 정도에 기초하여 근육질병에 대한 이상도를 산출한다.
그러면, 의료기관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기존 병력에 더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기존에 근손상을 갖고 있는 경우, 의료기관 서버(300)는 통증 전문의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 병력을 이용함으로써, 감기 전문의를 근육질병을 갖고 있는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갖고 있는 질병과 관련없는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결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서버(300)는 미리 연관된 생체신호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태 이상으로 결정된 생체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기존 병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결정할 수 있다(S350).
일부 실시예에서, 생체신호와 질병의 연관 관계가 일대일 관계인 경우, 상기 이상도는 아래의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이상도(abnormal degree) = wiDi+H
여기서, i는 생체신호, w는 질병의 중증도, D는 이상 결과 정도, H는 기존 병력을 나타낸다. 생체신호별로 비교 단위가 상이하므로, 생체신호별 이상도를 보다 정확하게 비교하기 위해, 각 생체신호별 질병의 중증도, 이상결과 정도 및/또는 이상도는 동일한 범위의 수치로 정규화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은 생체신호와 질병의 연관 관계가 1대n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생체신호에 제1-1 질병 및 제1-2 질병이 연관된 경우, 상기 제1-1 질병의 중증도 및 상기 제1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1-1 이상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1-2 질병의 중증도 및 상기 제1 생체신호를 이용한 제1-2 이상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S350)이후, 의료기관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안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나타내는 안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서버(300)는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위치 관련 정보를 더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장질병 전문의가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된 경우, 의료기관 서버(300)는 심장질병 전문의가 위치하는 장소(예컨대, 심혈관 센터) 정보를 더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서, 통증 전문의가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된 경우, 의료기관 서버(300)는 통증 전문의가 위치하는 부서(예컨대, 재활의학과) 정보를 더 안내할 수 있다.
위에서는 복수의 이상 생체신호를 갖는 경우 의료기관 서버(300)의 동작을 2개의 이상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서술하였으나, 3개 이상의 이상 생체신호의 경우에 대한 실시예들이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생체신호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의료기관 서버(300)는 이상 생체신호와 관련된 질병의 중증도, 이상결과 정도에 기초하거나, 또는 기존병력에 더 기초하여 이상으로 판단된 각 생체신호의 이상도를 산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예컨대, 가장 높은 이상도와 관련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한다.
의료기관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보다 고품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또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에서는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또는 스마트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치료 서비스를 제공 및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의료기관에서는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또는 스마트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예컨대, 방사선, 초음파, 혈액 검사 등) 추가 검사를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또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또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제공하여, 고품질의 의료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된, 의료서비스에 대한 결과는 상기 의료기관 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의료기관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다. 의료서비스 제공 결과는 의료서비스 제공자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에게 제공된 의료서비스를 서술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서비스를 서술하는 정보는, (예컨대, 수술, 문진, 처방, 입원 등) 의료서비스 유형, 또는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입력된 결과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서버(300)는 상기 제공 결과에 기초하여 연관 테이블 또는 이상 판단 기준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 스마트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서버(30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대량의 정형, 비정형 또는 반정형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하며, 정형 데이터는 고정된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예컨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스프레드쉬트 등이 있다. 또한, 비정형 데이터는 고정된 필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데이터로서, 예컨대, 텍스트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성 데이터 등이 있다. 또한, 반정형 데이터는 고정된 필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지만 메타데이터나 스키마를 포함하는 데이터로서, 예컨대, XML, HTML, 텍스트 등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생체신호 및/또는 스마트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질병과 생체신호에 대한 질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질환 데이터베이스는 의료기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의료서비스 제공 결과에 더 기초하여 구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생체신호 및/또는 스마트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한국인의 의료 기초 정보를 통합한 사용자 의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적어도 사용자의 생체신호와 연관시켜 상기 사용자 의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의료 데이터베이스는 체온, 혈당, 혈압 등의 기초대사에 대한 사용자 통계를 지역, 연령, 성별 등과 같은 사용자 배경정보에 기초하여 구축된 통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응급 상황에 대한 신호 연구를 위해 이용하거나, 또는 외부 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질병의 예방, 건강 관리를 위해 이용하거나, 또는 외부 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정밀 의료를 위한 정보로 이용하거나, 또는 외부 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로부터 이러한 질병 또는 응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기관은, 의료기관 서버(300)의 의료기관과 상이한 의료기관, 또는 국민건강보험공간, 심사평가원 등 국민의 의료, 건강과 관련된 정부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정보가 서로 연계됨으로써, 사용자와 의료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강화되어 의료기관은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고품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부기관은 국민의 건강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원 및 구축 시스템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퍼스널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고 통합될 수도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대체적이고 특별한 목적의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공간, 및 네트워킹 구성요소(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장치다.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와 호환되는 운영 체제, 애플 OS X 또는 iOS, 리눅스 배포판(Linux distribution), 또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OS와 같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 세트로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의 형태에 따라 그 명칭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의 형태가 스마트 폰인 경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이용권 기반 서브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프레그먼트(fra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개인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 또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의료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생체신호 또는 스마트 의료정보를 의료기관 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의료기관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한 의료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생체신호, 스마트 의료정보, 및 상기 의료서비스의 제공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초대사에 대한 사용자 통계가 사용자 배경에 따라 구축된 것이고,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입력에 기초한 의료서비스의 제공 결과에 기초하여 연관 테이블 또는 이상 판단 기준을 업데이트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연관 테이블은 질병 및 해당 질병의 증상을 나타내는 생체신호 간의 제1 연관 관계 또는 상기 질병과 상기 질병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 간의 제2 연관 관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 판단 기준은 정상 상태의 생체신호에 기초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사용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상기 생체신호 또는 스마트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질병에 연관되는 생체신호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생체신호를 연관된 질병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적용하여 상기 생체신호의 상태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생체신호의 상태가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질병에 대한 제공자 후보를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한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은 정상 상태의 생체신호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자 후보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공자 후보와 연관된 질병 각각에 대한 이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상도는 해당 질병의 중증도, 및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산출된 이상 결과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최고 이상도를 갖는 질병과 연관된 제공자 후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생체신호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태가 긴급상황인지 결정하고, 긴급상황으로 결정된 경우 긴급상황 알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생체신호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나타내는 수면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체신호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장기이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생체신호, 스마트 의료정보, 및 상기 의료서비스의 제공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질병과 생체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도록 구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90070770A 2019-06-14 2019-06-14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KR102490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770A KR102490966B1 (ko) 2019-06-14 2019-06-14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770A KR102490966B1 (ko) 2019-06-14 2019-06-14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022A KR20200143022A (ko) 2020-12-23
KR102490966B1 true KR102490966B1 (ko) 2023-01-26

Family

ID=7408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770A KR102490966B1 (ko) 2019-06-14 2019-06-14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9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09474A1 (en) * 2015-10-19 2017-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101946523B1 (ko) * 2017-08-29 2019-02-11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생체신호 및 증상정보 기반 케어플랜 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2488A (ja) * 2000-07-14 2002-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医療情報システム、患者用端末装置、媒体
KR100786817B1 (ko) * 2006-06-12 2007-12-18 주식회사 헬스피아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25769A (ko) 2008-08-28 2010-03-1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원격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98383B1 (ko) * 2012-05-21 2014-05-22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정보에 기반한 병원 검색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09474A1 (en) * 2015-10-19 2017-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101946523B1 (ko) * 2017-08-29 2019-02-11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생체신호 및 증상정보 기반 케어플랜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022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mmings et al. A diagnosis of dismobility—giving mobility clinical visibility: a Mobility Working Group recommendation
Ip Wearable devices for cardiac rhythm diagnosis and management
Devinsky et al. Preventing sudden unexpected death in epilepsy
Kansara et al. Potential of missing life-threatening arrhythmias after limiting the use of cardiac telemetry
Redberg et al. Cycling for health
Lampert et al. Heart rate variability during the week of September 11, 2001
Steinberg et al. When low-risk atrial fibrillation is not so low risk: beast of burden
Turakhia Moving from big data to deep learning—the case of atrial fibrillation
White The bigeminal pulse in atrioventricular rhythm
Tseng Sudden cardiac deaths—WHO says they are always arrhythmic?
Ullman et al. Complete heart block complicating the head impulse test
Bao et al. Evaluation of mask-induced cardiopulmonary stress: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KR102490966B1 (ko) 생체신호에 기초한 의료서비스 지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Osman et al. Pseudo–ventricular tachycardia, pseudo–atrial fibrillation, and pseudo–atrial flutter in a patient with Parkinson disease: two’s company, three’sa crowd
Kessler et al. Ambulatory electrocardiography: a cost per management decision analysis
Gachet et al. Big data processing of bio-signal sensors information for self-management of health and diseases
Cai et al. Giant T-wave Inversion in an Older Patient With Sudden Loss of Consciousness
Hegde et al. Wide complex tachycardia in a patient with a history of atrial fibrillation
Zhai et al. Brugada electrocardiographic pattern in an older man with syncope
Bhasin et al. A Young Man With Generalized Muscle Weakness and a Peculiar Electrocardiogram: Carpe Diem
Streed Assessing and Addressing the Well-being of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Gender Nonconforming Younger Adults in China
Rajendran et al. Unusual presentation of a common diagnosis in a patient with chronic kidney disease
Viljoen et al. Interpreting the Need for Implantable Loop Recorder Monitoring in Pregnant Women at High Risk of Arrhythmias—Reply
Littmann Electrocardiographic Risk Factors for a Common Cardiac Condition
Cao et al. ST-Segment Elevation in a Ma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