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037B1 -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037B1
KR102490037B1 KR1020200172721A KR20200172721A KR102490037B1 KR 102490037 B1 KR102490037 B1 KR 102490037B1 KR 1020200172721 A KR1020200172721 A KR 1020200172721A KR 20200172721 A KR20200172721 A KR 20200172721A KR 102490037 B1 KR102490037 B1 KR 10249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image
optical system
focal length
depth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641A (ko
Inventor
하정훈
박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티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티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티널
Priority to KR102020017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037B1/ko
Priority to US18/255,359 priority patent/US20240019706A1/en
Priority to PCT/KR2021/008831 priority patent/WO2022124510A1/ko
Priority to CN202180080609.2A priority patent/CN116710833A/zh
Publication of KR20220082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0Optical focus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7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depth of fiel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5Displaying image at variable distan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상 영상으로부터 출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키는 결상 광학계; 상기 결상 광학계에서 굴절 또는 반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을 향해 반사시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상 영상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반사 모듈로 구성되는 반사부; 상기 복수개의 반사 모듈로 구성되는 반사부가 배치되며, 실제 사물로부터 출사된 실제 사물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을 향해 투과시키는 광학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결상 광학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결상 광학계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 장치; 사용자의 초점 거리를 측정하는 초점 거리 트래킹부; 및 상기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상 영상의 깊이가 상기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상기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OPTICAL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 HAVING FUNCTIONS FOR ADJUSTING DEPTH OF VIRTUAL IMAGE}
본 발명은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이라 함은, 주지된 바와 같이, 현실 세계의 실제 영상에 컴퓨터 등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겹쳐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같은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현실 세계의 영상에 겹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광학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광학계로서는 HMD(Head Mounted Display)나 안경형의 장치를 이용하여 가상 영상을 반사 또는 굴절시키는 프리즘 등과 같은 광학 수단을 사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광학계를 이용한 장치들은, 그 구성이 복잡하여 무게와 부피가 상당하므로 사용자가 착용하기에 불편함이 있고 제조 공정 또한 복잡하므로 제조 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들은, 사용자가 현실 세계를 응시할 때 초점 거리를 변경하는 경우 가상 영상의 초점이 맞지 않게 된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상 영상에 대한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프리즘과 같은 구성을 이용하거나 초점 거리의 변경에 따라 가변형 초점 렌즈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등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또한 초점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해야 하거나 초점 거리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프로세서 등과 같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람의 동공보다 작은 크기의 반사부를 이용하여 가상 영상을 동공을 통해 망막에 투영함으로써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도 1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100)는, 광학 수단(101), 반사부(102), 화상 출사부(103) 및 프레임부(104)를 포함한다.
광학 수단(101)은 실제 사물로부터 출사된 화상광인 실제 사물 화상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는 수단으로써 예컨대 안경 렌즈일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반사부(102)가 매립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학 수단(101)은 반사부(102)로부터 반사된 증강 현실 화상광을 동공으로 전달하도록 투과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프레임부(104)는 화상 출사부(103)와 광학 수단(101)을 고정 및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안경 테와 같은 것일 수 있다.
화상 출사부(103)는 증강 현실용 화상에 상응하는 화상광인 증강 현실 화상광을 출사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증강 현실용 화상을 화면에 표시하여 증강 현실 화상광을 방사하는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방사되는 화상광을 평행광으로 시준하기 위한 콜리메이터(collimator)를 구비할 수 있다.
반사부(102)는 화상 출사부(103)로부터 출사된 증강 현실용 화상에 상응하는 화상광을 사용자의 동공을 향해 반사시킴으로써 증강 현실용 화상을 제공한다.
도 1의 반사부(102)는, 사람의 동공 크기보다 작은 크기 즉, 8mm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반사부(102)를 동공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면, 반사부(102)를 통해 동공으로 입사하는 빛에 대한 심도를 거의 무한대에 가깝게 즉, 심도를 매우 깊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심도(Depth of Field)라 함은, 초점이 맞는 것으로 인식되는 범위를 말하는데, 심도가 깊어지게 되면 증강 현실용 화상에 대한 초점 거리도 깊어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 세계를 응시하면서 실제 세계에 대한 초점 거리를 변경하더라도 이와 관계없이 증강 현실용 화상의 초점은 항상 맞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는 일종의 핀홀 효과(pinhole effect)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 세계에 존재하는 실제 사물을 응시하면서 초점 거리를 변경하더라도 사용자는 증강 현실용 화상에 대해서는 항상 선명한 가상 영상을 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원리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반사부(102)를 배치하면 시야각을 넓힐 수 있다.
도 2는 복수개의 반사부(102)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를 동공(105) 정면에 두었을 때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2의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는 복수개의 반사부(102)가 광학 수단(101)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의 경우보다 시야각이 넓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의 초점 위치가 가상 영상의 기준 깊이와 달라지는 경우 복수개의 반사부(102)의 경계부에서 가상 영상이 불연속적으로 관찰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복수개의 반사부(102)의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육각형은 하나의 반사부(102)에 의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가상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는 사용자의 초점 위치가 가상 영상의 기준 깊이와 일치하는 경우로서 원으로 나타낸 반사부(102)의 경계부에서 특별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3의 (b)는 사용자의 초점 위치가 가상 영상의 기준 깊이에서 벗어나는 경우로서 육각형으로 나타낸 반사부(102)들의 경계부에서 가상 영상이 어긋나서 중복 또는 갈라져서 보임을 알 수 있다.
도 3의 (c)는 사용자의 초점 위치가 가상 영상의 기준 깊이에서 보다 더 많이 벗어난 경우로서 육각형으로 나타낸 반사부(102)들의 경계부에서 가상 영상이 보다 심하게 중복되거나 갈라져셔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반사부(102)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초점 위치가 가상 영상에 대해 설계된 기준 깊이와 달라지면 복수개의 반사부(102)의 경계부에서 가상 영상이 어긋나서 가상 영상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가상 영상에 대해 설정된 기준 깊이와 사용자의 초점 위치의 불일치도가 클수록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해지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60519호(2016.09.29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반사부의 경계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상 영상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로서, 가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상 영상으로부터 출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키는 결상 광학계; 상기 결상 광학계에서 굴절 또는 반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을 향해 반사시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상 영상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반사 모듈로 구성되는 반사부; 상기 복수개의 반사 모듈로 구성되는 반사부가 배치되며, 실제 사물로부터 출사된 실제 사물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을 향해 투과시키는 광학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결상 광학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결상 광학계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 장치; 사용자의 초점 거리를 측정하는 초점 거리 트래킹부; 및 상기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상 영상의 깊이가 상기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상기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의 초점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결상 광학계는 콜리메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반사 모듈들 각각은 4mm 이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와 결상 광학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상 광학계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Figure 112020134336747-pat00001
(여기에서, d는 가상 영상의 깊이이고, d0는 광학 수단과 결상 광학계 사이의 거리이고, g는 디스플레이부와 결상 광학계 사이의 거리이고, f는 결상 광학계의 초점 거리임)의 수식에 의해, 가상 영상의 깊이(d)가 상기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상 광학계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거리인 g를 조절함으로써 가상 영상의 깊이(d)가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상 광학계의 위치인 d0를 조절함으로써 가상 영상의 깊이(d)가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상 광학계의 위치인 d0와 상기 결상 광학계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거리인 g를 동시에 조절함으로써 가상 영상의 깊이(d)가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상 광학계는 가변 초점 렌즈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상 광학계의 초점 거리인 f를 조절함으로써 가상 영상의 깊이(d)가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반사부의 경계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상 영상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복수개의 반사부(102)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를 동공(105) 정면에 두었을 때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복수개의 반사부(102)의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30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위치 조절 장치(60)의 구성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위치 조절 장치(60), 디스플레이부(10) 및 결상 광학계(20)가 배치된 하우징(9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제어부(80) 및 위치 조절 장치(6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가 관찰하는 가상 영상과 실제 세계 사물을 나타낸 증강 현실 화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30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300, 이하 간단히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300)"라 한다)는, 디스플레이부(10), 결상 광학계(20), 반사부(30), 광학 수단(40), 위치 조절 장치(60), 초점 거리 트래킹부(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가상 영상을 표시하는 수단이다.
디스플레이부(10)는, 가상 영상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화면을 통해 가상 영상에 상응하는 화상광인 가상 영상 화상광을 출사하는 소형의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상 영상(virtual image)이라 함은, 디스플레이부(10)의 화면에 표시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은 결상 광학계(20) 및 반사부(30)를 통해 사용자의 동공(50)으로 전달되는 화상을 의미하며, 이미지 형태의 정지 영상이거나 동영상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 자체는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며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가상 영상은 광학 수단(40)을 통해 전달되는 실제 세계에 존재하는 실제 사물로부터 출사되는 화상광인 실제 사물 화상광과 함께 사용자의 동공(50)으로 전달됨으로써, 사용자는 가상 영상과 실제 사물이 겹쳐진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결상 광학계(20)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가상 영상으로부터 출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키는 수단이다.
결상 광학계(20)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켜 반사부(30)로 전달하며,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시켜 평행광으로 출사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와 같은 렌즈일 수 있다. 이외에도, 가상 영상 화상광을 광학 수단(40)의 반사부(30)로 전달하는 기타 다른 반사 수단, 굴절 수단 또는 회절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기타 다양한 광학 소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상 광학계(20) 또한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며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반사부(30)는 결상 광학계(20)에서 굴절 또는 반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50)을 향해 반사시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상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사부(30)는, 복수개로 반사 모듈(31~34)로 구성된다. 반사 모듈(31~34)들은 결상 광학계(20)로부터 전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각각 반사시켜 사용자의 동공(5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결상 광학계(20)와 동공(50)의 위치를 고려하여 광학 수단(40)의 내부에서 적절한 경사각을 가지고 배치된다.
반사 모듈(31~34)들 각각은,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심도를 깊게 하여 핀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사람의 동공 크기보다 작은 크기 즉, 8mm 이하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4mm 이하로 형성된다.
즉, 반사 모듈(31~34) 각각은, 사람의 일반적인 동공 크기보다 작은 크기 즉, 8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mm 이하로 형성되는데, 이에 의해 반사 모듈(31~34) 각각을 통해 동공으로 입사하는 빛에 대한 심도(Depth of Field)를 거의 무한대에 가깝게 즉, 심도를 매우 깊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 세계를 응시하면서 실제 세계에 대한 초점 거리를 변경하더라도 이와 관계없이 가상 영상의 초점은 항상 맞는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반사 모듈(31~34)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반사 모듈(31~34)에서의 회절(diffraction.) 현상이 커지기 때문에, 반사 모듈(31~34) 각각의 크기는 예컨대 0.3mm 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반사 모듈(31~34) 각각의 크기는, 각 반사 모듈(31~34)의 가장자리 경계선 상의 임의의 두 점 간의 최대 길이일 수 있다.
또는, 반사 모듈(31~34) 각각의 크기는, 동공(50)과 반사 모듈(31~34) 사이의 직선에 수직하면서 동공(50)의 중심을 포함하는 평면에 각 반사 모듈(31~34)을 투영한 정사영의 가장자리 경계선 상의 임의의 두 점 간의 최대 길이일 수 있다.
한편, 반사 모듈(31~34)들 각각은 결상 광학계(20)로부터 출사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이 다른 반사 모듈(31~34)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4에서는 광학 수단(40)을 동공(50) 정면에 두었을 때, 디스플레이부(10) 및 결상 광학계(20)는 광학 수단(40)의 상부에 배치되고, 반사 모듈(31~34)들은 다른 반사 모듈(31~34)로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결상 광학계(20)의 광축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광축(optical axis)이란 결상 광학계(20)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의미한다.
광학 수단(40)은, 복수개의 반사 모듈(31~34)로 구성되는 반사부(30)가 배치되며, 실제 사물로부터 출사된 실제 사물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50)을 향해 투과시키는 수단이다.
여기에서, 광학 수단(40)은 실제 사물 화상광의 전부를 동공(50)을 향해 투과시키지만, 실제 사물 화상광의 일부만을 동공(50)을 향해 투과시킬 수도 있다.
광학 수단(4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 및 기타 합성 수지재의 렌즈로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굴절률 및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위치 조절 장치(60)는, 디스플레이부(10)와 결상 광학계(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상 광학계(20)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위치 조절 장치(60)는 제어부(8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0)와 결상 광학계(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상 광학계(20)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위치 조절 장치(60)는, 예컨대 모터와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위치 조절 장치(60)의 구성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위치 조절 장치(60), 디스플레이부(10) 및 결상 광학계(20)가 배치된 하우징(9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90) 내부에는 디스플레이부(10)와 결상 광학계(20)가 배치되며, 결상 광학계(20)는 하우징(90)의 하부 면에 고정된다. 디스플레이부(10)는 하우징(90)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하우징(90) 내부에는 위치 조절 장치(60)를 구성하는 모터(61), 나사부(62), 돌기부(63) 및 이동부(64)가 배치된다.
모터(61)는 제어부(8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나사부(62)는 모터(61)의 회전축과 결합하여 모터(61)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한다. 한편, 나사부(62)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63)는 이동부(64)에 고정 결합되며, 나사부(62)의 나사선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나사부(62)가 회전하면 돌기부(63)는 나사부(62)의 나사선을 따라 광축에 평행한 방향(화살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부(64) 또한 같은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동부(64)는 하우징(90)에 고정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모터(6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 또한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즉, 결상 광학계(20)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의 위치 조절 장치(60)는 결상 광학계(20)가 고정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부(10)만이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와 결상 광학계(20) 각각에 위치 조절 장치(60)를 결합하여 양자를 모두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치 조절 장치(60)는 도 5에 예시된 구성 이외에도 제어부(8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 및 결상 광학계(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기타 다른 적절한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초점 거리 트래킹부(70) 및 제어부(80)에 대해 설명한다.
초점 거리 트래킹부(70)는, 사용자의 초점 거리를 측정하는 수단이다.
초점 거리 트래킹부(70)는 사용자가 응시하는 실제 세계에 대한 초점 거리를 실시간으로 트래킹하여 측정하고 제어부(80)로 전달한다.
초점 거리 트래킹부(70)는 예컨대 깊이 카메라(depth camera)와 안구 추적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초점 거리 트래킹부(70)는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고, 종래 알려져 있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80)는 초점 거리 트래킹부(7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기초하여 위치 조절 장치(60)의 이동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즉, 제어부(80)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가상 영상의 깊이가 초점 거리 트래킹부(7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위치 조절 장치(60)의 이동을 제어한다.
도 6 및 도 7은 제어부(80) 및 위치 조절 장치(6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도 4의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300)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반사 모듈(31)을 하나만 나타내었다.
도 6의 (b)는 도 6의 (a)의 디스플레이부(10) 및 결상 광학계(20)를 반사 모듈(31)의 표면을 지나는 수직선을 대칭축으로 대칭이동시켜 디스플레이부(10) 및 결상 광학계(20)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b)에서 반사 모듈(31) 대신 핀홀(pinhole)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의 (a)에서 반사 모듈(31)을 핀홀로 대체한 등가 광학계가 된다. 이들은 광학적으로 동일한 등가 관계이기 때문에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동공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수직선은 광학 수단(40)의 중심축에 상응한다.
도 7의 등가 광학계에서, 가상 영상의 깊이(d)는 다음과 같은 수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수식 1]
Figure 112020134336747-pat00002
여기에서, d는 가상 영상의 깊이를 말한다. 가상 영상의 깊이란, 가상 영상이 사용자에게 관찰되는 위치로서, 광학 수단(40)으로부터 가상 영상이 위치한 것으로 사용자가 인식하는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d0는 광학 수단(40)과 결상 광학계(20) 사이의 거리이고, g는 디스플레이부(10)와 결상 광학계(20) 사이의 거리이다. 또한, f는 결상 광학계(20)의 초점 거리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렌즈 공식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d를 가상 영상의 깊이 즉, 광학 수단(40)에서 가상 영상까지의 거리라고 하면,
Figure 112020134336747-pat00003
가 된다.
렌즈 공식에서, 일반적인 렌즈의 경우 d0=0으로 해야 하지만, 핀홀로 대체된 반사 모듈(31)을 기준으로 삼기 위하여 오프셋을 d0만큼 적용한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134336747-pat00004
Figure 112020134336747-pat00005
이러한 원리에 기초하여, 가상 영상의 깊이(d)를 초점 거리 트래킹부(7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하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사 모듈(31~34)들의 경계부에서 가상 영상이 서로 어긋나서 중복되거나 갈라져서 보이는 문제 없이 항상 선명한 가상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f(결상 광학계(20)의 초점 거리)는 고정값이므로, 가상 영상의 깊이(d)는 d0를 고정하고(즉, 결상 광학계(20)의 위치를 고정하고), g, 즉, 결상 광학계(20)와 디스플레이부(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상 광학계(20)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0)를 광축에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g를 조절할 수 있다.
초점 거리 트래킹부(7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가 r이라고 할 때, 제어부(80)는 d=r을 만족하는 g를 계산하고, g에 상응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위치 조절 장치(60)로 전송한다.
위치 조절 장치(60)는,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8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61) 및 나사부(62)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돌기부(63)에 의해 이동부(64)가 상하 방향(화살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부(10)와 결상 광학계(20) 사이의 거리 즉, 제어부(80)에서 계산된 g에 상응하도록 조절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d0, 즉, 결상 광학계(20)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g를 고정값으로 유지한 채 d0만을 조절하는 방법과 d0와 g를 동시에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80)는 d=r을 만족하는 d0를 구하거나 또는 d0와 g를 구한 후 이에 상응하도록 결상 광학계(20)와 디스플레이부(1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위치 조절 장치(60)로 전송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가상 영상의 깊이(d)를 조절한다.
도 8은 사용자가 관찰하는 가상 영상과 실제 세계 사물을 나타낸 증강 현실 화면이다.
도 8의 (a)는 사용자가 먼 거리에 위치한 실제 세계 사물(꽃)에 초점 거리를 맞춘 경우, 가상 영상(얼룩말)이 어긋나 보이는 경우이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 영상의 설계된 깊이(d)와 사용자의 초점 거리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8의 (b)는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원리에 기초하여 가상 영상의 깊이(d)를 조절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영상(얼룩말)과 사용자가 초점 거리를 맞춘 실제 세계 사물(꽃)이 모두 선명하게 관찰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결상 광학계(20)는 고정된 초점 거리(f)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초점 거리(f)를 변경시킬 수 있는 가변 초점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가변 초점 렌즈는 화학적 물질의 조합에 의해 전기적,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신호에 의해 굴절률 등을 변화시켜 초점을 변경시킬 수 있는 광학 소자를 말한다.
가변 초점 렌즈 자체는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고, 종래 기술에서 알려져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가변 초점 렌즈를 이용하면, 앞서 설명한 수식 1에서 f를 조절하여 가상 영상의 깊이(d)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f만을 조절하거나, 앞서 설명한 방법과 병행하여 f, g, d0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200...종래의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300...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10...디스플레이부
20...결상 광학계
30...반사부
40...광학 수단
50...동공
60...위치 조절 장치
70...초점 거리 트래킹부
80...제어부
90...하우징

Claims (9)

  1.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로서,
    가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상 영상으로부터 출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키는 결상 광학계;
    상기 결상 광학계에서 굴절 또는 반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을 향해 반사시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상 영상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반사 모듈로 구성되는 반사부;
    상기 복수개의 반사 모듈로 구성되는 반사부가 배치되며, 실제 사물로부터 출사된 실제 사물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을 향해 투과시키는 광학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결상 광학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결상 광학계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 장치;
    사용자의 초점 거리를 측정하는 초점 거리 트래킹부; 및
    상기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반사 모듈들 각각은 4mm 이하의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광학 수단의 내면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반사 모듈들은 상기 결상 광학계에서 굴절 또는 반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각각 반사시켜 사용자의 동공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결상 광학계와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광학 수단의 내부에서 경사각을 가지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편 상기 복수개의 반사 모듈들 각각은 다른 반사 모듈로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상기 광학 수단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상 영상의 깊이가 상기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상기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상 광학계는 콜리메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Figure 112022093608947-pat00006

    (여기에서, d는 가상 영상의 깊이이고, d0는 광학 수단과 결상 광학계 사이의 거리이고, g는 디스플레이부와 결상 광학계 사이의 거리이고, f는 결상 광학계의 초점 거리임)의 수식에 의해, 가상 영상의 깊이(d)가 상기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상 광학계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거리인 g를 조절함으로써 가상 영상의 깊이(d)가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상 광학계의 위치인 d0를 조절함으로써 가상 영상의 깊이(d)가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상 광학계의 위치인 d0와 상기 결상 광학계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거리인 g를 동시에 조절함으로써 가상 영상의 깊이(d)가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상 광학계는 가변 초점 렌즈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상 광학계의 초점 거리인 f를 조절함으로써 가상 영상의 깊이(d)가 초점 거리 트래킹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초점 거리에 상응하도록 위치 조절 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0200172721A 2020-12-10 2020-12-10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49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721A KR102490037B1 (ko) 2020-12-10 2020-12-10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US18/255,359 US20240019706A1 (en) 2020-12-10 2021-07-09 Optical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depth of a virtual image
PCT/KR2021/008831 WO2022124510A1 (ko) 2020-12-10 2021-07-09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CN202180080609.2A CN116710833A (zh) 2020-12-10 2021-07-09 具有虚拟影像深度调节功能的增强现实用光学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721A KR102490037B1 (ko) 2020-12-10 2020-12-10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641A KR20220082641A (ko) 2022-06-17
KR102490037B1 true KR102490037B1 (ko) 2023-01-18

Family

ID=8197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721A KR102490037B1 (ko) 2020-12-10 2020-12-10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19706A1 (ko)
KR (1) KR102490037B1 (ko)
CN (1) CN116710833A (ko)
WO (1) WO202212451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887A (ja) 2004-02-06 2005-08-18 Olympus Corp 表示装置、撮像装置
JP2012008290A (ja) * 2010-06-23 2012-01-12 Softbank Mobile Corp 眼鏡型表示装置及び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4319B2 (en) * 2010-11-18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focus improvement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s
KR101409846B1 (ko) * 2012-12-18 2014-06-19 전자부품연구원 3차원 증강현실 기반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60519B1 (ko) 2015-03-09 2016-09-29 하정훈 증강 현실 구현 장치
EP3317712B1 (en) * 2015-07-03 2020-04-29 Essilor International Methods and systems for augmented reality
KR102634595B1 (ko) * 2018-07-18 2024-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1670A (ko) * 2018-08-21 2020-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36297A (ko) * 2019-05-27 202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초점 영역을 조절하는 증강 현실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887A (ja) 2004-02-06 2005-08-18 Olympus Corp 表示装置、撮像装置
JP2012008290A (ja) * 2010-06-23 2012-01-12 Softbank Mobile Corp 眼鏡型表示装置及び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19706A1 (en) 2024-01-18
CN116710833A (zh) 2023-09-05
WO2022124510A1 (ko) 2022-06-16
KR20220082641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3341B2 (en) Eye tracking based on polarization volume grating
KR102192942B1 (ko) 광 효율을 개선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US7952059B2 (en) Viewing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head mounted display with rotationally symmetric aspheric lenses
AU730608B2 (en) Optical system for alternative or simultaneous direction of light originating from two scenes to the eye of a viewer
JP6358248B2 (ja) 表示装置
US8582206B2 (en) Laser-scanning virtual image display
JPWO2014168010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
KR102438997B1 (ko)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CN118489082A (zh) 具有用于视差感测检测器的收集光学器件的显示系统
KR102503576B1 (ko) 전반사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282422B1 (ko) 고스트 이미지 차단 기능 및 광 시야각을 갖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US20220291508A1 (en) Optical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 with vision correction function
KR102490037B1 (ko) 가상 영상의 깊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US11366298B1 (en) Eye tracking based on telecentric polarization sensitive grating
KR102099231B1 (ko) 근접 거리의 증강 현실용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303641B1 (ko)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WO2008156675A1 (en) Viewing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head mounted display
KR102603651B1 (ko) 이미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모듈 및 이를 포함한 광학장치
KR102465800B1 (ko) 근안 영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시스루 광학 시스템 및 시스루 광학 시스템에서의 시선 추적 방법
KR102353010B1 (ko)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216588B1 (ko)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523617B1 (ko) 전반사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334813B1 (ko) 고스트 이미지 차단 기능을 갖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JP7094861B2 (ja) 投影装置
KR101999425B1 (ko) 허상 투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