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951B1 -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951B1
KR102489951B1 KR1020210039332A KR20210039332A KR102489951B1 KR 102489951 B1 KR102489951 B1 KR 102489951B1 KR 1020210039332 A KR1020210039332 A KR 1020210039332A KR 20210039332 A KR20210039332 A KR 20210039332A KR 102489951 B1 KR102489951 B1 KR 102489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rhythm
light
influence index
spectrum
light spect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4110A (ko
Inventor
김기현
김현식
신인희
송우섭
이병일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039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9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7Indicating the phase of biorhyth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Abstract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생활환경에서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 및 비교하여 생활 환경 분석과 목표 취침 시간 및 알람 시간에 최적화된 빛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RHYTHM INFLUENCE INDEX BY LIGHT}
본 발명은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 환경에서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 및 비교하여 생활 환경 분석과 목표 취침 시간 및 알람 시간에 최적화된 빛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간 광생물학(photobiology)에 대한 지식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눈을 통해 피검자에 가해지는 광 방사는 다양한 생리적 리듬을 제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광 방사는 수많은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 상태와 기능에도 영향을 준다.
다양한 광 중에서 블루라이트는 파장이 짧은 고 에너지 가시광선으로 태양광, LED조명, TV·컴퓨터 모니터,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등에서 방출되며, 인체의 바이오리듬 호르몬인 멜라토닌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블루라이트는 안구 건조증, 시력 저하, 망막 기능 저하 등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인체의 생체 리듬에 영향을 주어 수면을 유도하거나 또는 방해하기도 한다.
특히, 낮 시간에만 방출되는 태양광과는 달리 블루라이트는 현대인의 생활 습관상 하루 종일 노출이 되므로, 블루라이트에 대한 노출은 현대인의 건강 및 미용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이러한 블루라이트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셀 테스트, 스펙트럼 측정 등의 생체외(in vitro) 테스트가 알려져 있으며,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의 반응을 측정하여, 피부 반응에 의한 엘라스틴 물질의 양, 즉 광손상 정도를 측정한다.
또한, 블루라이트가 눈을 통해 가해진 광 방사로 인한 멜라토닌의 생성 및 억제는 광 방사의 선량(dose) 및 스펙트럼 조성(spectral composition)에 의존한다.
여기서, 멜라토닌은 24시간 주기를 보이며 생리적 리듬의 단계의 척도로 간주되는 호르몬으로서, 일반적으로 피검자의 긴장에 영향을 주는 수면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멜라토닌 사이클이 제어될 때, 긴장이 이완됨으로 인해 실수를 하게 될 위험이 감소되고, 비교적 낮은 멜라토닌 레벨은 긴장을 일으키며, 비교적 높은 멜라토닌 레벨은 좀 더 졸음이 오게 한다.
낮 동안에는, 멜라토닌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고, 저녁에 멜라토닌 레벨이 증가하여 한 밤 중에 최대치에 도달하며 기상 시간이 될 쯤에 멜라토닌 레벨이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한편, 사람이 생활하는 환경(조명)에 따라 서로 다른 스펙트럼에 노출되어 생체리듬이 영향을 받는 정도는 다르게 되지만, 정량적인 수치로 변환하지 못하여 각각의 생활 환경에 대한 비교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40002호(발명의 명칭: 발광 시스템 및 광 소스 또는 광 소스들의 조합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활 환경에서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 및 비교하여 생활 환경 분석과 목표 취침 시간 및 알람 시간에 최적화된 빛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로서, 임의의 환경에서 빛 스펙트럼을 측정하되, 상기 빛 스펙트럼을 측정한 시간을 감지하여 저장하고, 상기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망막내 세포의 흡수 스펙트럼 정보와 곱하여 빛 스펙트럼의 파장별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상기 빛 스펙트럼의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빛 스펙트럼 생체리듬 영향지수와 비교하여 생체리듬 변화값을 산출하는 측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망막내 세포는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흡수 스펙트럼은 멜라놉신(Melanopsin) 또는 멜라토닌(Melatonin)의 흡수 스펙트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측정장치는 임의의 환경에서의 빛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상기 빛 스펙트럼을 측정한 시간을 감지하여 저장하는 측정부; 및 상기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망막 신경절 세포의 멜라놉신(Melanopsin) 또는 멜라토닌(Melatonin)의 흡수 스펙트럼 정보를 곱하여 빛 스펙트럼의 파장별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상기 빛 스펙트럼의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빛 스펙트럼 생체리듬 영향지수와 비교하여 생체리듬 변화값을 산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는 측정부에서 측정된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에서, 흡수 스펙트럼의 450㎚ ~ 480㎚ 파장 범위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방법으로서, a) 측정장치가 임의의 환경에서 빛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상기 빛 스펙트럼을 측정한 시간을 감지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측정장치가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망막내 세포의 흡수 스펙트럼 정보와 곱하여 빛 스펙트럼의 파장별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측정장치 산출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상기 빛 스펙트럼의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빛 스펙트럼 생체리듬 영향지수와 비교 분석하고, 생체리듬 변화값을 산출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b) 단계의 망막내 세포는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b) 단계의 흡수 스펙트럼은 멜라놉신(Melanopsin) 또는 멜라토닌(Melatonin)의 흡수 스펙트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c) 단계는 측정된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에서, 흡수 스펙트럼의 450㎚ ~ 480㎚ 파장 범위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생활 환경에서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 및 비교하여 생활 환경 분석과 목표 취침 시간 및 알람 시간에 최적화된 빛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의 빛 스펙트럼 분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3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빛 스펙트럼의 그래프.
도4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의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의 빛 스펙트럼 분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100)는 임의의 환경에서 빛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빛 스펙트럼을 측정한 시간을 감지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측정장치(100)는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망막내 세포의 흡수 스펙트럼 정보와의 연산을 통해 생체리듬 영향지수로 변환하고, 변환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빛 스펙트럼의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빛 스펙트럼 생체리듬 영향지수와 비교하여 생체리듬 변화값을 산출하는 구성으로서, 입력부(110)와, 측정부(120)와, 분석부(130)와, 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 조명 정보 등과 같은 주변 환경 정보와, 나이, 인종, 신체 특이점 등의 신체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측정부(120)는 사용자가 위치한 임의의 환경에서의 빛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분광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120)는 사용자 주변에 설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광원부(200)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120)는 측정되는 빛의 스펙트럼별 파장과, 개별 파장별 세기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120)는 빛의 스펙트럼별 피크치를 기초로 색온도 정보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120)는 빛 스펙트럼을 측정한 시간, 즉 측정 시작 시간과 측정 종료 시간을 감지하고, 그 결과를 저장한다.
이러한 빛 스펙트럼의 측정을 통해 사용자가 노출된 생활 환경(또는 조명환경)에서 빛에 의한 생체리듬의 변화를 정량적인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130)는 측정부(120)에서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서,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망막내 세포의 흡수 스펙트럼의 정보를 연산하여 생체리듬 영향지수로 변환한다.
즉, 상기 분석부(130)는 측정부(120)를 통해 측정한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로부터 도3과 같은 환경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망막내 세포는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이고, 상기 흡수 스펙트럼은 멜라놉신(Melanopsin) 또는 멜라토닌(Melatonin)의 흡수 스펙트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130)는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에 도4와 같이 멜라놉신 흡수 스펙트럼 정보를 곱하는 연산을 통해 빛 스펙트럼의 파장별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변환한다.
또한, 상기 분석부(130)는 사용자의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빛 스펙트럼의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빛 스펙트럼 생체리듬 영향지수와 비교한다.
이러한 빛 스펙트럼의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빛 스펙트럼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부(130)는 사용자의 환경 조건 하에서 생체리듬 영향지수와 자연 상태에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정량적으로 대비하여 사용자가 예를 들어, 푸른 빛에 과도하게 노출되었는지 또는 부족하게 노출되었는지 분석한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빛 스펙트럼은 자연 상태에서의 빛 스펙트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후 1시 ~ 3시에 사이에는 푸른 빛(블루라이트)이 가장 많이 공급되는 시간으로, 주간에 푸른 빛에 노출된 시간이 충분하면 야간에 멜라토닌의 발생이 많아져 수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주간에 푸른 빛에 노출된 시간이 불충분하거나 야간에 푸른 빛에 많이 노출되면 멜라토닌의 발생이 감소하여 수면 부족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리듬의 영향지수를 정량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자연 상태에서의 시간대별 빛 스펙트럼과 해당 빛 스펙트럼에 노출된 시간을 빛 스펙트럼의 생체리듬 영향지수의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130)는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생체리듬 변화값을 산출함으로써, 푸른 빛의 노출이 부족하거나 또는 과도한 푸른 빛의 노출 정보에 기반하여, 생체리듬 제어 정보, 예를 들어 목표 취침 시간 및 알람 시간에 최적화된 빛 환경 정보를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즉, 밤 10시에 취침하여 멜라토닌의 생성이 최대가 되도록 생체리듬 영향 지수 값(예를 들어 '100')을 설정한 경우, 낮에 충분한 푸른 빛의 노출이 필요하지만 조명 환경 정보, 예를 들어 사무실의 조명이 어둡거나 충분한 조명이 제공되지 못하면 푸른 빛에 노출되는 시간과 노출되는 푸른 빛의 양이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리듬 영향지수 정보를 미리 저장된 자연상태에서의 생체리듬 영향지수와 비교한 결과, 사용자의 생체리듬 영향지수 값이 '50'이면, 생체리듬의 제어를 위한 생체리듬 변화 값, 예를 들어 조명의 밝기 증가, 빛의 노출 시간과 같은 부족한 생체리듬 영향지수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한다.
또한, 야간 근로자의 경우 바뀐 시간으로 인한 생체리듬 영향지수의 비교를 위해 주간의 자연상태에서 시간대별 생체리듬 영향지수와 야간 시간대별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대비하여 생체리듬 변화 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야간인 오전 1시 ~ 3시 사이에는 주간인 오후 1시 ~ 3시 사이에 푸른 빛에 노출되는 시간과 대비하여 푸른 빛의 공급과 노출이 충분하도록 생체리듬 변화 값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업무의 종료 후 주간 수면 시간에 멜라토닌의 발생이 많아져 수면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0)는 분석부(130)의 생체리듬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외부 단말(미도시)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산출된 생체리듬 변화 값을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수단 또는 상기 생체리듬 변화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방법을 도1, 도2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측정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 조명 정보 등과 같은 주변 환경 정보와, 나이, 인종, 신체 특이점 등의 신체 정보를 입력받아(S100) 측정장치(100)가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S100 단계의 설정이 완료되면, 측정장치(100)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노출된 환경에서 빛 스펙트럼과, 빛 스펙트럼을 측정한 시간을 감지하여 저장(S200)한다.
계속해서, 상기 측정장치(100)는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망막내 세포의 흡수 스펙트럼 정보와 연산을 통해 생체리듬 영향지수로 변환(S300)한다.
상기 S300 단계는 측정장치(100)가 측정된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망막내 세포인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의 흡수 스펙트럼인 멜라놉신(Melanopsin) 또는 멜라토닌(Melatonin)의 흡수 스펙트럼 정보를 곱하는 연산을 통해 측정된 빛 스펙트럼의 파장별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변환한다.
계속해서, 측정장치(100)는 S300 단계에서 변환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빛 스펙트럼의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자연 상태에서의 빛 스펙트럼 생체리듬 영향지수와 비교 및 분석(S400)한다.
즉, 상기 S400 단계에서 측정장치(100)는 사용자의 환경 조건 하에서 생체리듬 영향지수와 자연 상태에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정량적으로 대비하여 사용자가 예를 들어, 푸른 빛에 과도하게 노출되었는지 또는 부족하게 노출되었는지 분석한다.
또한, 측정장치(100)는 상기 S400 단계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생체리듬 변화값을 산출하고, 부족하거나 또는 과도한 빛의 노출 정보에 기반하여 산출한 생체리듬 제어 정보, 예를 들어 목표 취침 시간 및 알람 시간에 최적화된 빛 환경 정보를 출력(S500)한다.
또한, 상기 S500 단계의 출력 정보는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생활 환경에서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 및 비교하여 생활 환경 분석과 목표 취침 시간 및 알람 시간에 최적화된 빛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측정장치
110 : 입력부
120 : 측정부
130 : 분석부
140 : 출력부
200 : 광원부
300 : 멜라놉신 스펙트럼

Claims (10)

  1. 임의의 환경에서 빛 스펙트럼을 측정하되, 상기 빛 스펙트럼을 측정한 시간을 감지하여 저장하고,
    상기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망막내 세포의 흡수 스펙트럼 정보와 곱하여 빛 스펙트럼의 파장별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상기 빛 스펙트럼의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빛 스펙트럼 생체리듬 영향지수와 비교하여 생체리듬 변화값을 산출하는 측정장치(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막내 세포는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스펙트럼은 멜라놉신(Melanopsin) 또는 멜라토닌(Melatonin)의 흡수 스펙트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100)는 임의의 환경에서의 빛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상기 빛 스펙트럼을 측정한 시간을 감지하여 저장하는 측정부(120); 및
    상기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와 미리 설정된 망막 신경절 세포의 멜라놉신(Melanopsin) 또는 멜라토닌(Melatonin)의 흡수 스펙트럼 정보를 곱하여 빛 스펙트럼의 파장별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상기 빛 스펙트럼의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빛 스펙트럼 생체리듬 영향지수와 비교하여 생체리듬 변화값을 산출하는 분석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130)는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에서, 흡수 스펙트럼의 450㎚ ~ 480㎚ 파장 범위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6. 삭제
  7. a) 측정장치(100)가 임의의 환경에서 빛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상기 빛 스펙트럼을 측정한 시간을 감지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측정장치(100)가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망막내 세포의 흡수 스펙트럼 정보와 곱하여 빛 스펙트럼의 파장별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측정장치(100)가 산출된 생체리듬 영향지수를 상기 빛 스펙트럼의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빛 스펙트럼 생체리듬 영향지수와 비교 분석하고, 생체리듬 변화값을 산출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망막내 세포는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흡수 스펙트럼은 멜라놉신(Melanopsin) 또는 멜라토닌(Melatonin)의 흡수 스펙트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측정된 빛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에서, 흡수 스펙트럼의 450㎚ ~ 480㎚ 파장 범위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방법.
KR1020210039332A 2021-03-26 2021-03-26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489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332A KR102489951B1 (ko) 2021-03-26 2021-03-26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332A KR102489951B1 (ko) 2021-03-26 2021-03-26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110A KR20220134110A (ko) 2022-10-05
KR102489951B1 true KR102489951B1 (ko) 2023-01-18

Family

ID=8359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332A KR102489951B1 (ko) 2021-03-26 2021-03-26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9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002B1 (ko) 2000-09-08 2010-02-03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발광 시스템 및 광 소스 또는 광 소스들의 조합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002B1 (ko) 2000-09-08 2010-02-03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발광 시스템 및 광 소스 또는 광 소스들의 조합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Somnologie]Effects of light on human circadian rhythms sleep and mood
[20200125]Light entrainment of retinal biorhyth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110A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2128C2 (ru) Светочувств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алибровки светочувств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11554245B2 (en) Lighting system for circadian control and enhanced performance
JP3189369U (ja) 人間に概日効果をもたらす表示システム
EP2164568B1 (en) System for providing illumination and physiological stimuli
JP6279645B2 (ja) 眼鏡フレーム及びコンタクトレンズを備える光線療法システム
JP5992449B2 (ja) 光線療法用の眼鏡
CN107596533B (zh) 一种健康光环境的调控系统及方法
JP2016504166A (ja) 視覚電気生理学デバイス、患者の視覚系機能の指標を提供する方法
JP5251088B2 (ja) 照明装置
US11285337B2 (en) Temporally modulated multi-LED for enhanced subconscious physiological responses
Grote et al. Cardio-autonomic control and wellbeing due to oscillating color light exposure
WO2020234157A1 (en)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a light pulse by a device
KR102489951B1 (ko) 빛에 의한 생체리듬 영향지수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902899B1 (ko) 빛을 이용한 수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580353B2 (ja) 照明付き建物
US202203343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ghting an e-paper display
CN110237433B (zh) 一种基于高光谱的光照调节装置及方法
KR20220107565A (ko)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ukačka et al. Brightness matching experiments with pulsed light: Experiment design
CN110169202A (zh) 照明控制
Chen et al. Dynamic color temperature sleep assitant light implemented on the mobile device
TWM541548U (zh) 智慧型照明系統
WO2016189619A1 (ja) 補助照明装置
CN116982945A (zh) 一种有效监测内在生物节律的非干扰监测方法
CN113558617A (zh) 一种以用户实时血氧监控值为调整量的综合照明颐养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