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853B1 - Fixed focus oral camera - Google Patents

Fixed focus oral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853B1
KR102489853B1 KR1020220061411A KR20220061411A KR102489853B1 KR 102489853 B1 KR102489853 B1 KR 102489853B1 KR 1020220061411 A KR1020220061411 A KR 1020220061411A KR 20220061411 A KR20220061411 A KR 20220061411A KR 102489853 B1 KR102489853 B1 KR 102489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oral
extension
oral cavi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4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신웅
Original Assignee
(주)비포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포덴트 filed Critical (주)비포덴트
Priority to KR1020220061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853B1/en
Priority to KR1020230001592A priority patent/KR20230161866A/en
Priority to KR1020230001591A priority patent/KR202301618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8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8Shielding or protection of sensors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protection from mechanical damage
    • A61B2562/185Optical shielding, e.g. baff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focus oral camera. The fixed-focus oral camera, which photographs the oral cavity of a person to be examined and then generates an oral cavity image and transmits the same to an image processing device, comprises: a body part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n extension part extende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body part; and a camera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and having a lens so as to photograph the oral cavity of a person to be examined. The camera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ormed focal distance is fixed to a preset valu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blurring on an oral cavity image when the image is captured, thus having the effect of efficiently learning and identifying oral diseases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Description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FIXED FOCUS ORAL CAMERA}Fixed focus intraoral camera {FIXED FOCUS ORAL CAMERA}

본 발명은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초점(fixed focus) 방식을 이용하여 구강질환 부위를 식별하기 위한 구강영상을 생성하는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focus oral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for generating an oral image for identifying an oral disease region using a fixed focus method.

구강질환은 구강 내 통증, 저작기능 장애, 치주조직의 파괴, 구취 및 시린이 등과 같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고 치아상실을 초래하는 주된 원인으로, 최근 현대인들의 식생활의 변화로 구강질환의 원인요소도 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Oral diseases cause various symptoms such as pain in the mouth, chewing dysfunction, destruction of periodontal tissue, bad breath and cold teeth, and are the main cause of tooth loss. Recently, with the change in the diet of modern people, the causative factors of oral diseases are becoming more common. is on the rise.

이러한 구강질환에는 대표적으로 충치(치아우식증, dental caries), 풍치(치주질환, 잇몸병, periodontal disease), 부정교합(삐뚠이, malocclusion), 교모증(attrision), 마모증(abrasion) 등이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oral diseases include tooth decay (dental caries),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al disease, gum disease, periodontal disease), malocclusion (malocclusion), attrition, abrasion, and the like.

여기서 충치는 플라그(치면세균막, plaque) 내의 세균(충치균, streptococcus mutans)이 배설하는 산에 의해서 치아 표면의 칼슘과 인같은 무기질이 빠져나가고 그 속의 단백질과 같은 유기질이 용해되어 결국 치아의 파괴 현상을 초래하는 증상을 말한다. 초기 우식 단계에서는 치과에서 우식된 부위를 치과용 드릴로 긁어내고 그 자리에 아말감, 금 또는 레진과 같은 치과용 재료로써 채워주는 충전 치료를 한다. 그러나 초기 우식을 방치하여 치수(신경)까지 우식이 확산되는 경우에는 치수내 신경을 제거하고 수일동안 치수 내부를 소독한 후 치과재료로 채워주는 신경치료를 받게 된다.Here, tooth decay is caused by acids excreted by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in plaque (plaque), which removes minerals such as calcium and phosphorus from the tooth surface and dissolves organic substances such as proteins in it, eventually leading to tooth destruction. symptoms that cause In the initial caries stage, a dental filling treatment is performed in which the carious area is scraped out with a dental drill and filled with a dental material such as amalgam, gold, or resin. However, if the initial caries is neglected and the caries spreads to the pulp (nerve), the nerve in the pulp is removed, the inside of the pulp is disinfected for several days, and then nerve treatment is performed to fill it with dental materials.

풍치는 치아 주위 조직에 생긴 염증에 의해 잇몸, 뼈(치조골), 치아 주위의 지지 조직이 파괴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풍치는 플라그, 즉 치면세균막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치면세균막 내의 세균들이 독성 물질을 만들어 내어 잇몸에 염증을 일으켜 잇몸을 붉은 색으로 붓게 만든다. 또한, 이러한 치면세균막을 제거하지 않으면 딱딱한 석회화 물질인 치석으로 변하여 잇몸에 염증을 더욱 심하게 만들고 점차 치조골을 파괴하게 되며, 심한 경우 치아를 발치해야 하는 상황까지 가게 된다.Periodontitis refers to the destruction of gums, bones (alveolar bone), and supporting tissues around teeth due to inflammation in the tissues around the teeth. Plaque, that is, dental plaque, is the root cause of this taste, and bacteria in the dental plaque produce toxic substances, which inflame the gums and make the gums red and swollen. In addition, if this dental bacterial film is not removed, it turns into calculus, which is a hard calcified material, making the gums more inflamed and gradually destroying the alveolar bone, and in severe cases, the teeth must be extracted.

부정교합은 치아 배열이 가지런하지 못하거나 아래 위 치아와 턱뼈의 위치 관계가 알맞지 못한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부정교합의 원인은 대부분 선천성이나, 간혹 턱을 다치거나, 젖니를 적당한 시기에 뽑아주지 못했거나, 어린 나이에 간니를 뽑아 버렸거나, 구강과 관련된 나쁜 습관이 있는 경우에도 부정교합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부정교합 치아는 잘 닦이지 않기 때문에 충치나 풍치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부정교합에 의해 불균형하고 심한 치아마모 현상이 생길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Malocclusion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the teeth are not aligned or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and upper teeth and the jawbone is not appropriate. Most of the causes of malocclusion are congenital, but occasional jaw injuries, failure to extract milk teeth at the right time, extraction of adult teeth at a young age, or bad habits related to the oral cavity can also cause malocclusion. . Since these malocclusion teeth are not cleaned well, the possibility of tooth decay or cavities increases, and the possibility of unbalanced and severe tooth wear due to malocclusion also increases.

교모증이란 오랜 세월 동안 치아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치아의 씹는 면에 굴곡이 닳아 평평하게 되어 버린 현상을 말한다. 음식을 씹을때나 찬물에 과민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신경 치료나 금속 치관(crown, 크라운)을 씌워 줌으로써 과민증을 방지할 수 있다.Attrit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chewing surface of teeth is worn out and flattened due to the use of teeth for a long time. Hypersensitivity when chewing food or cold water, and in severe cases, hypersensitivity can be prevented by applying nerve treatment or a metal crown.

마모증이란 치아와 잇몸의 경계부가 패인 상태를 말한다. 즉, 치아의 가장 바깥층인 법랑질이 닳아 상실되고 중간층인 상아질 층이 노출되어 육안으로 노란 형태의 치아를 확인할 수 있다. 상아질이 노출되면서 뜨거운 음식을 먹으면 시큰거리거나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고, 단 음식에도 민감도가 증가하게 된다.Abrasion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the boundary between the teeth and gums is depressed. That is, the enamel, the outermost layer of the tooth, is worn away and the dentin layer, which is the middle layer, is exposed, so that yellow teeth can be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As the dentin is exposed, eating hot food causes discomfort or discomfort, and sensitivity to sweet food also increases.

이러한 구강질환들의 진단을 돕기 위해 다양한 X선 이미지들이 치과 진단 및 치료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중, X선 파노라마 이미지(X-ray panorama image)는 구강 구조를 전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를 적절히 드러내는 점에서 치료 계획 수립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To help diagnose these oral diseases, various X-ray images are widely used for dent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se, the X-ray panorama image is widely used in establishing treatment plans in that it can check the oral structure as a whole and appropriately reveals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그러나 이러한 X선 파노라마 이미지는 직접 육안에 의하여 병변 영역을 식별해야 하므로 구강질환 상태를 정확히 판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X선의 특성상 잇몸의 구강질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2D 방식의 X선 파노라마 이미지는 참조용으로만 활용될 뿐, 의사가 직접 환자(피검자)의 구강 내부 전체를 면밀히 살펴보면서 충치, 풍치, 부정교합, 교모증, 마모증 등의 다양한 구강질환을 각각 파악하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소모되므로, 임상 진료의 비효율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se X-ray panoramic image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state of oral disease because the lesion area must be identified directly with the naked eye. In addition, the existing 2D X-ray panoramic image is only used for reference, and the doctor directly inspects the entire inside of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subject) to treat various oral diseases such as tooth decay, tooth decay, malocclusion, attrition, and abrasion. Since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s consumed to identify each,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uses inefficiency in clinical care.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구강카메라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영상을 촬영한 후 이를 임상 진단할 때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강카메라 중에는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해주는 오토 포커스(auto focus)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있다.Accordingly, recently, an intraoral camera is used to take an intraoral image of a patient and then use it for clinical diagnosis. Among these intraoral cameras, there is an auto focus method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focus.

그러나 상술한 오토 포커스 방식의 구강카메라는 구강영상 촬영 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과정에서 영상에 자주 블러(blur)가 생기는 단점이 있으며, 촬영된 구강영상에 블러가 존재하는 경우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구강질환 학습 및 식별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4930호에 개시된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autofocus intraoral camera has a disadvantage that blur often occurs in the image during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focusing when taking oral images, and oral diseas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when blur exists in the captured oral images. There is a problem that learning and identification cannot be performed properly.
Meanwhile,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80493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493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04930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초점(fixed focus) 방식을 이용하여 구강질환 부위를 식별하기 위한 구강영상을 생성하는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s to provide a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for generating oral images for identifying oral disease areas using a fixed focus meth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피검자의 구강을 촬영한 후 구강영상을 생성하여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구강카메라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의 조작버튼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 일측에 형성되고, 렌즈가 구비되어 피검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형성되는 초점거리가 기 설정된 값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traoral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s oral cavity and then generating an oral cavity image and transmitting the image to an image processing device, the body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formed thereo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camera unit formed on one side of an end of the extension unit and provided with a lens to photograph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wherein the camera unit has a fixed focal length fixed to a predetermined value by a fixed-focus intraoral camera is achieved

또한, 상기 초점거리는, 7mm 내지 13mm의 값으로 고정될 수 있다.Also, the focal length may be fixed at a value of 7 mm to 13 mm.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형성된 단부 일측에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후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hood portion blocking light from the outside at one side of an end portion where the camera portion is formed.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제1축과 상기 제1축에 직교하는 가상의 제2축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도인 제1각도를 가지고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축 및 상기 제2축에 각각 직교하는 가상의 제3축과 상기 제1축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도인 제2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extends from the end of the body part with a first angle formed between a first imaginary ax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and a second imaginary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It extends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with a second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a virtual third axis orthogonal to the first and second axe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xis. The formed second extension part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며, 피검자의 구강 촬영 순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unit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outputting a guide voice for guiding an oral cavity photographing sequence of the subject.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영상 촬영 시 영상에 블러(blur)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구강질환 학습 및 식별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blur from occurring in an oral cavity image during oral imaging, learning and identification of oral diseases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치아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악궁에 따른 상악과 하악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를 XY평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를 XZ평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의 연장부에 후드부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의 제1부와 제2부가 각각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의 제2부에 에어커튼모듈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를 포함한 타임스탬프를 이용한 구강영상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s a w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tooth structure,
3 shows the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jaws according to the arch,
4 is a view of the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XY plane,
5 is a view of a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XZ plane,
6 is a block diagram of a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that a hood is provided in the extension of a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that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of the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re rotated,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that an air curtain module is provided in the second part of the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n intraoral image generation system using a timestamp including a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각의 "부", "모듈" 또는 "단계"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및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Also,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unit”, “module” or “step”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cessor and a memory. Processor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to include general purpose processor,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icroprocessor,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controller, microcontroller, state machine, and the like. In some circumstances, processor may refer to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the like. A processor may refer to a combination of processing devices, such as,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a DSP and a microprocess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icroprocessors,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in conjunction with a DSP core, or any other such configuration. .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리며, 각각의 "부", "모듈" 또는 "단계"는 전자 통신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기반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Also, memory should be construed broadly to include any electronic component capable of storing electronic information. Memory includes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only memory (RO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erasable-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electrically It may also refer to various types of processor-readable media, such as removable PROM (EEPROM), flash memory, magnetic or optical data storage, registers, and the like. A memory is said to be in electronic communication with the processor if the processor can read information from or write information to the memory, and each "part", "module" or "step" is said to be in electronic communication with the processor and the memory.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based program or application.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치아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악궁에 따른 상악과 하악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를 XY평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를 XZ평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의 연장부에 후드부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의 제1부와 제2부가 각각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의 제1부에 에어커튼모듈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를 포함한 타임스탬프를 이용한 구강영상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s a w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he structure of teeth, FIG. 3 shows the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jaws according to the arch, and FIG. A fixed-focus intraor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XY plane, Figure 5 is a fixed-focus intraor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XZ plane,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of a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ccording to, Figure 7 shows that the hood is provided in the extension of the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at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of the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re rotated, respectively, and FIG. 9 shows that the air curtain module is provided in the first part of the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shows an intraoral image generation system using a timestamp including a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고정 초점 방식을 이용하여 피검자(환자)의 구강을 촬영한 후 구강영상을 생성하여 영상처리장치(P)로 전송하는 구강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100)는 바디부(110)와, 연장부(120)와, 카메라부(130)와, 스피커부(140)와, 제어부(15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ral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oral cavity of a subject (patient) using a fixed focus method and then generating an oral cavity image and transmitting the image to an image processing device (P), as shown in FIGS. 1 to 10, The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ody part 110, the extension part 120, the camera part 130, the speaker part 140, and the controller 150. include

바디부(1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복수의 조작버튼(11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후술하는 제어부(15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부(110)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body portion 1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grasped by the user,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11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pace in which a control unit 150 described later can be installed is formed inside. This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ertain diame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조작버튼(111)은 보다 상세하게, 촬영버튼(111a)과, 회전버튼(111b)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button 111 includes, in more detail, a photographing button 111a and a rotation button 111b.

촬영버튼(111a)은 촬영 시작, 종료, 일시정지 등의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푸쉬버튼 방식으로 마련되어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The photographing button 111a generates input signals such as start, end, and pause of photographing, and is provided in a push button manner an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

회전버튼(111b)은 연장부(120)의 일부분이 회전방식으로 마련되는 경우 연장부(120)의 일부분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마련되어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rotation button 111b rotates a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120 when a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120 is provided in a rotational manner, and is provided in a sliding manner an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m going to do it.

연장부(120)는 바디부(110)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연장부(120)의 단부 일측에는 후술하는 카메라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장부(120)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extension part 120 extends from the end of the body part 110, and a camera part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120. This extension 1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ertain diame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연장부(12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130)가 형성된 단부 일측에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후드부(120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드부(120a)는 저면부보다 개구부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드부(120a)의 내주면의 사분점 위치에는 구강영상 생성 시 영상 위치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점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구강영상 촬영 시, 영상의 위치가 가이드점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구강영상이 일관성있게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the extension part 120 may have a hood part 120a that blocks light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at one side of the end where the camera part 130 is formed. The hood portion 120a may be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cross-s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opening is larger than that of the bottom portion. Meanwhile, a plurality of guide points for guiding an image position when generating an intraoral imag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f a quarter point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od part 120a. According to this, since the position of the image is guided by the guide points when capturing oral images, oral images can be easily and consistently created.

연장부(120)는 보다 상세하게, 제1연장부(121)와 제2연장부(122)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extension part 120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121 and a second extension part 122 .

제1연장부(121)는 바디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제1축(X축)과, 제1축에 직교하는 가상의 제2축(Y축)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도인 제1각도(α)를 가지는 것으로, 바디부(110)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extension part 121 is formed between a virtual first axis (X ax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110 and a virtual second axis (Y axis) orthogonal to the first axis. It has a first angle α, which is an angle, and extends from th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보다 상세하게, 제1연장부(121)의 제1각도(α)는 후술하는 카메라부(130)가 피검자의 구강 내부에서 기 설정된 값의 초점거리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1연장부(121)가 제2축(Y축)과 이루는 각도이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angle α of the first extension 121 is such that the camera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easily maintain a focal length of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 is an angle formed with the second axis (Y axis).

본 발명의 카메라부(130)는 고정 초점 방식을 이용하므로, 본 발명의 카메라부(130)가 기 설정된 초점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촬영 대상인 피사체, 즉 치아 또는 잇몸과 일정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피검자가 과도하게 입을 벌려야 했으며, 특히 피검자가 유아인 경우에는 구강 내부 공간이 크지 않아 구강영상 촬영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검자의 구강영상 촬영 과정에서 구강카메라의 단부에 의해 구강 내부가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Since the camera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ixed focus method, in order for the camera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intain a preset focal length, it must be maintain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that is, teeth or gums. do. However, to do this, the subject had to open his mouth excessively, and especially when the subject was an infant, oral imaging was not easy because the space inside the oral cavity was not large. In addition,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s damaged by the end of the intraoral camera in the process of taking oral images of the subject.

이에 따라, 유아와 성인 모두를 대상으로, 피검자가 과도하게 입을 개구하지 않아도 카메라부(130)가 기 설정된 초점거리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1각도(α)는 38° 내지 48°로 마련되어 카메라부(130)가 촬영 대상인 치아 또는 잇몸과 일정 거리로 용이하게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for both infants and adults, the first angle α is provided at 38° to 48° so that the camera unit 130 can easily maintain the preset focal length even if the subject does not open his or her mouth excessively. The camera unit 13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eeth or gums to be photograph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2연장부(122)는 제1축(X축) 및 제2축(Y축)에 각각 직교하는 가상의 제3축(Z축)과, 제1축(X축)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도인 제2각도(β)를 가지는 것으로, 제1연장부(121)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단부 일측에는 카메라부(130)가 형성된다. The second extension part 122 is an angle formed between a virtual third axis (Z axis) orthogonal to the first axis (X axis) and the second axis (Y axis) and the first axis (X axis). It has a second angle (β) of ,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1, and the camera unit 1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nd.

보다 상세하게, 제2연장부(122)의 제2각도(β)는 바디부(110) 내지 연장부(120)가 개구된 입의 입꼬리 부분(가장자리 부분)과 간섭되는 것이 회피될 수 있도록 제2연장부(122)가 제3축(Z축)과 이루는 각도이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angle β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122 is determined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body part 110 and the extension part 120 with the mouth tail part (edge part) of the open mouth can be avoided. This is an angle between the second extension part 122 and the third axis (Z axis).

구강카메라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취하는 경우, 구강 안쪽의 치아(예를 들면, 큰어금니 등) 또는 잇몸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환자 입의 입꼬리 부분과 간섭이 발생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에 따라 구강 안쪽의 치아 또는 잇몸이 제대로 촬영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검자의 피검자의 구강영상 촬영 과정에서 구강카메라의 바디부(110) 내지 연장부(120)의 간섭에 의해 입꼬리 부분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When the intraoral camera takes the form of being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evitably, interference with the corner of the mouth of the patient's mouth inevitably occurs in order to photograph the teeth (eg, molars, etc.) or gums inside the oral cavit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photograph the teeth or gums inside the oral cavity properly. 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corners of the mouth are damaged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body part 110 and the extension part 120 of the intraoral camera in the process of photographing the subject's oral cavity image.

이에 따라, 카메라부(130)가 구강 안쪽의 치아 또는 잇몸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제2각도(β)는 55° 내지 65°로 마련되어 구강 안쪽의 치아 또는 잇몸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바디부(110) 내지 연장부(120)가 입꼬리 부분과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Accordingly, the second angle β is provided at 55 ° to 65 ° so that the camera unit 130 can easily photograph the teeth or gums inside the mouth, even when the teeth or gums inside the mouth are photographed. 110) to the extension part 120 ar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corners of the mouth.

한편, 제2연장부(122)는 제1연장부(121)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부(122a)와, 제1부(122a)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단부 일측에 카메라부(130)가 형성되는 제2부(122b)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제1부(122a)와 제2부(122b)는 수동 방식 또는 모터 방식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우측의 치아를 촬영한 후 잠시 촬영을 일시정지 시킨 상태에서, 제1부(122a)를 180° 회전시킨 후 제2부(122b)를 180°회전시킴으로써 상악 우측을 촬영했던 방식과 동일하게(즉, 입꼬리 부분과 서로 간섭되지 않게) 상악 좌측의 치아를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악우측, 상악좌측, 하악좌측, 하악우측의 치아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the second extension part 122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part 122a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1 and the first part 122a, and the camera part 1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nd. ) is formed, and the first part 122a and the second part 122b may be rotatably provided in a manual method or a motor method, respectively. That is, as shown in FIG. 8, by rotating the first part 122a by 180 ° and then rotating the second part 122b by 180 ° in a state in which the photographing is paused for a while after photographing the teeth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jaw. The teeth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jaw can be photographed in the same manner as the way in which the right side of the upper jaw was photographed (ie, the corners of the mouth and the teeth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photograph the upper right, upper left, lower left, and lower right teeth.

한편, 회전버튼(111b)은 상술한 제2연장부(122)의 제1부(122a)와 제2부(122b)가 각각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마련된다. 예를 들면, 회전버튼(111b) 상면에 구비된 푸쉬버튼을 누르지 않고 회전버튼(111b)을 슬라이딩 시키는 경우 제1부(122a)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버튼(111b) 상면에 구비된 푸쉬버튼을 누르면서 회전버튼(111b)을 슬라이딩 시키는 경우 제2부(122b)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일이 손으로 제2연장부(122)의 제1부(122a)과 제2부(122b)을 파지한 후 회전시키지 않아도 제1부(122a)와 제2부(122b)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악우측, 상악좌측, 하악좌측, 하악우측의 치아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the rotation button 111b allows the first portion 122a and the second portion 122b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extension portion 122 to rotate, respectively, and is provided in a sliding manner. For example, when sliding the rotation button 111b without pressing the push butt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on button 111b, the first part 122a can be rotated 18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the rotation button (111b) When the rotation button 111b is slid while pressing the push butt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he second part 122b may be rotated 180°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ccording to this, the first part 122a and the second part 122b do not rotate after the user manually grips the first part 122a and the second part 122b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122 by hand. Since it can be easily rotated, there is an effect of easily photographing the teeth of the upper right side, the upper left side, the lower left side, and the lower right side.

카메라부(130)는 렌즈가 구비되어 피검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것으로, 연장부(120)의 단부 일측에 형성된다.The camera unit 130 is equipped with a lens to take pictures of the subject's oral cavity,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an end of the extension unit 120 .

여기서 카메라부(130)는 렌즈의 굴절률을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초점거리가 기 설정된 값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이때, 초점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mm 내지 30mm의 값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mm 내지 13mm의 값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구강영상 촬영 시 영상에 블러(blur)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영상처리장치(P)에서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구강질환 학습 및 식별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Here, the camera unit 130 may fix the focal length formed by fix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ens to a preset value. At this time, the focal length may be preferably fixed to a value of 10 mm to 30 mm, more preferably 7 mm. to 13 mm. According to this,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blur from occurring in the oral cavity image during oral imaging, learning and identification of oral diseases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the image processing device P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한편, 카메라부(130)가 형성되는 연장부(120), 즉 제2부(122b) 내부에는 에어커튼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130)가 형성되는 제2부(122b)의 내부에는 에어커튼모듈이 구비되고, 제2부(122b)의 카메라부(130)가 형성된 부분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통공(h)이 형성되는데, 에어커튼모듈은 복수의 통공(h)을 통해 카메라부(130)의 상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출시킴으로써 카메라부(130)의 상면에 수분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카메라부(130)의 상면에 맺히는 수분에 의해 영상처리장치(P)에서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구강질환 학습 및 식별 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n air curtain module may be provided inside the extension part 120 where the camera part 130 is formed, that is, the second part 122b. As shown in FIG. 9 , an air curtain module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portion 122b where the camera unit 130 is form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22b where the camera unit 130 is forme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h) are formed, and the air curtain module ejects high-pressure ai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mera unit 130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h) to moist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mera unit 130. this can be prevented.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rror from occurring when learning and identifying oral diseases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the image processing device P due to moisture condens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mera unit 130 .

스피커부(140)는 피검자의 구강 촬영 순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음성을 출력하는 것으로,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The speaker unit 140 outputs a guide voice for guiding the subject's oral cavity photographing sequence, an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unit 110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100)를 통해 생성된 구강영상은 외부의 영상처리장치(P)로 전송되어 학습 또는 식별되고, 식별된 각각의 구강질환의 부위가 노출되기 시작하는 구강영상의 프레임에 타임스탬프를 삽입한 후 디스플레이(D)를 통해 출력하는데, 이때 영상처리장치(P)의 식별부의 합성곱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이용한 학습모델은 악궁(dental arch)을 기초로 상악우측, 상악좌측, 하악좌측, 하악우측의 치아를 각각 구별한 후, 각각의 위치에 어떤 치아가 몇개로 존재하는지를 인식하여 식별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oral cavity image generated by the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image processing device (P) to be learned or identified, and each identified oral disease area is After inserting a timestamp into the frame of the oral image that starts to be exposed, it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D). At this time, the learning model using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of the identification unit of the image processing device (P) is After discriminating each of the upper right, upper left, lower left, and lower right teeth based on the dental arch, it can be learned to recognize and identify how many teeth are present in each position.

보다 상세하게, 학습모델은 상악우측의 11번부터 18번까지(앞니, 송곳니, 작은어금니, 큰어금니)의 치아 중 어떤 치아가 몇개로 존재하는지, 상악좌측의 21번부터 28번까지(앞니, 송곳니, 작은어금니, 큰어금니)의 치아 중 어떤 치아가 몇개로 존재하는지, 하악좌측의 31번부터 38번까지(전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의 치아 중 어떤 치아가 몇개로 존재하는지, 하악우측의 41번부터 48번까지(전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의 치아 중 어떤 치아가 몇개로 존재하는지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학습모델은 구강영상에서 치아와 잇몸을 각각 인식하여 식별하도록 학습되고, 치아 또는 잇몸에 충치, 풍치, 부정교합, 교모증, 마모증의 구강질환이 발생하였는지를 식별하도록 학습된다. 이후 영상처리장치(P)는 식별부에서 식별된 각각의 구강질환의 부위가 노출되기 시작하는 구강영상의 프레임에 타임스탬프를 각각 삽입하고, 디스플레이(D)는 영상처리장치(P)로부터 타임스탬프가 삽입된 구강영상을 출력한다. In more detail, the learning model determines how many teeth exist among the teeth of the right maxilla from No. 11 to No. 18 (incisors, canines, molars, and molars), and from No. 21 to No. 28 on the left side of the maxilla (front teeth, Canines, premolars, molars) how many teeth exist, how many teeth exist among teeth numbered 31 to 38 (anterior teeth, canines, premolars, molars) on the left side of the mandible, how many teeth exist on the right side of the mandible Of the teeth 41 to 48 (anterior teeth, canines, premolars, and molar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teeth exist and how many. Thereafter, the learning model is trained to recognize and identify teeth and gums in oral images, and is trained to identify oral diseases such as tooth decay, gum disease, malocclusion, attrition, and abrasion on the teeth or gums. Thereafter, the image processing device P inserts a timestamp into each frame of the oral cavity image in which the parts of each oral disease identified in the identification unit begin to be exposed, and the display D inserts the timestamp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P. It outputs the oral image inserted.

즉, 학습에 이용되는 구강영상들이 동일한 촬영 순서를 가져 학습모델의 학습이 용이하도록, 구강영상은 정면의 구강이 촬영된 후, 상악우측, 상악좌측, 하악좌측, 하악우측의 순서로 촬영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피커부(140)에서 출력되는 가이드음성은 피검자의 구강을 정면, 상악우측, 상악좌측, 하악좌측, 하악우측의 순서로 촬영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at is, the oral images used for learning have the same shooting sequence so that the learning model is easy, the oral images are taken in the order of the upper right side, the upper left side, the lower left side, and the lower right side after the oral cavity in front is taken. Preferably, the guide voice output from the speaker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uide the subject's oral cavity to be photographed in the order of front, upper right, upper left, lower left, and lower right.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구강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고, 전원공급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각 구성들로 선택적으로 공급시키며, 카메라부(130)가 피검자의 구강을 촬영하면 구강영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조작버튼(111)을 통해 인가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본 구강카메라의 각 구성들이 동작되도록 각 구성들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traoral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supplies power in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each component, and generates oral images when the camera unit 130 photographs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 Each component of the intraoral camera is controlled to be operat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applied by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111.

상술한 바와 같은 바디부(110)와, 연장부(120)와, 카메라부(130)와, 스피커부(140)와,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100)에 따르면, 구강영상 촬영 시 영상에 블러(blur)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구강질환 학습 및 식별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ixed focus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body part 110, the extension part 120, the camera part 130, the speaker part 140, and the controller 15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amera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blur from occurring in the oral cavity image when capturing the image, so that oral disease learning and identification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ne or more to operat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
110 : 바디부
111 : 조작버튼
111a : 촬영버튼
111b : 회전버튼
120 : 연장부
120a : 후드부
121 : 제1연장부
α : 제1각도
122 : 제2연장부
β : 제2각도
122a : 제1부
122b : 제2부
h : 통공
130 : 카메라부
140 : 스피커부
150 : 제어부
P : 영상처리장치
D : 디스플레이
100: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body part
111: operation button
111a: shooting button
111b: rotation button
120: extension
120a: hood part
121: first extension
α: first angle
122: second extension
β: Second angle
122a: part 1
122b: part 2
h: through hole
130: camera unit
140: speaker unit
150: control unit
P: image processing device
D: display

Claims (5)

피검자의 구강을 촬영한 후 구강영상을 생성하여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구강카메라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의 조작버튼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 일측에 형성되고, 렌즈가 구비되어 피검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형성되는 초점거리가 기 설정된 값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제1축과 상기 제1축에 직교하는 가상의 제2축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도인 제1각도를 가지고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축 및 상기 제2축에 각각 직교하는 가상의 제3축과 상기 제1축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도인 제2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
In the intraoral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and then generating an oral image and transmitting it to the image processing device,
a body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It is formed on one side of an end of the extension part and includes a camera unit provided with a lens to photograph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The camera unit,
The formed focal length is fixed to a preset value,
the extension,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with a first angle formed between a first imaginary ax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imaginary axis orthogonal to the first axis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having a second angle, which is an angle formed between a virtual third axis orthogonal to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xis, A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compri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점거리는,
7mm 내지 13mm의 값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
The method of claim 1,
the focal length,
A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fixed at a value of 7mm to 13m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형성된 단부 일측에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후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nsion,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d portion for blocking the inflow of light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nd where the camera portion is form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며, 피검자의 구강 촬영 순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focus intraoral camera further comprising a speaker formed in the body and outputting a guide voice for guiding an oral cavity photographing sequence of the subject.
KR1020220061411A 2022-05-19 2022-05-19 Fixed focus oral camera KR1024898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411A KR102489853B1 (en) 2022-05-19 2022-05-19 Fixed focus oral camera
KR1020230001592A KR20230161866A (en) 2022-05-19 2023-01-05 Fixed focus oral camera
KR1020230001591A KR20230161865A (en) 2022-05-19 2023-01-05 Fixed focus oral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411A KR102489853B1 (en) 2022-05-19 2022-05-19 Fixed focus oral camera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591A Division KR20230161865A (en) 2022-05-19 2023-01-05 Fixed focus oral camera
KR1020230001592A Division KR20230161866A (en) 2022-05-19 2023-01-05 Fixed focus oral came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853B1 true KR102489853B1 (en) 2023-01-19

Family

ID=8507813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411A KR102489853B1 (en) 2022-05-19 2022-05-19 Fixed focus oral camera
KR1020230001591A KR20230161865A (en) 2022-05-19 2023-01-05 Fixed focus oral camera
KR1020230001592A KR20230161866A (en) 2022-05-19 2023-01-05 Fixed focus oral camera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591A KR20230161865A (en) 2022-05-19 2023-01-05 Fixed focus oral camera
KR1020230001592A KR20230161866A (en) 2022-05-19 2023-01-05 Fixed focus oral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8985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999A (en) * 2013-06-05 2014-12-15 윤상룡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oral cavity
KR101804930B1 (en) 2016-01-22 2017-12-05 주식회사 맥스덴탈 Dual oral camera to adjust focus minutely
KR20190129247A (en) * 2018-05-10 2019-11-20 (주)비포덴트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ental diagnosis
KR20200143085A (en)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Dual hood for intra oral camer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999A (en) * 2013-06-05 2014-12-15 윤상룡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oral cavity
KR101804930B1 (en) 2016-01-22 2017-12-05 주식회사 맥스덴탈 Dual oral camera to adjust focus minutely
KR20190129247A (en) * 2018-05-10 2019-11-20 (주)비포덴트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ental diagnosis
KR20200143085A (en)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Dual hood for intra oral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866A (en) 2023-11-28
KR20230161865A (en)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853B1 (en) Fixed focus oral camera
Haywood Pre-bleaching exam vital for optimum whitening
KR101954262B1 (en) Mouthpiece for the dentist
KR101532645B1 (en) Dental model for x-ray imaging train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alton Diagnostic imaging A. endodontic radiography
KR202100554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Panoramic Dual and Ghost Image using Deep Learning
EP4033957B1 (en) Lip and cheek retractor,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 image of a dental arch
JP2001212081A (en) Oral cavity imaging instrument
KR102489867B1 (en) System for generating oral video using time stamp
Zlotolow Dental oncology and maxillofacial prosthetics
Eswaran et al. Feature we Need to Know in Dentistry While Taking Photography for Intraoral
JP2003135488A (en) Denture
RU2815572C1 (en) Method for restoration of vital teeth of anterior group with colour change using digital protocol at all stages of rehabilitation
Schwartz Radiographic techniques for the pediatric patient
JPH0428566Y2 (en)
Levine The Dental Products We’ve Left Behind (and What’s Replaced Them)
TWM616083U (en) Endoscopic photography detection system for dental hand-held maxillary sinus
Niessen et al. Geresthetics: Esthetic Dentistry for Older Adults
Read Dental Focal Infection and Its Diagnosis by X-Rays
Liu et al. Basic Images of Dental Clinical Photography
Brinker How to take accurate photographs and impressions for Invisalign Treatment
Uzunov et al. REGISTRATION OF IN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OTH USING DENTAL PHOTOGRAPHY
Perry The art of the scale and polish
Osgood Teeth and Jaws, Roentgenologically Considered...
Koch Temporary Tee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