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533B1 - Standing sign apparatus - Google Patents

Standing sig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533B1
KR102489533B1 KR1020210045520A KR20210045520A KR102489533B1 KR 102489533 B1 KR102489533 B1 KR 102489533B1 KR 1020210045520 A KR1020210045520 A KR 1020210045520A KR 20210045520 A KR20210045520 A KR 20210045520A KR 102489533 B1 KR102489533 B1 KR 102489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board
support
elastic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5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9186A (en
Inventor
윤환
Original Assignee
윤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환 filed Critical 윤환
Priority to KR102021004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533B1/en
Publication of KR2022013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1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5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입간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신장 및 압축 가능한 제1 신축부, 베이스부와 결합되어 제1 신축부가 신장함에 따라 간판면을 형성하는 간판부, 및 간판부와 결합되어 제1 신축부를 하방 지지하는 캡유닛을 포함하는 입간판 장치가 제공된다.A billboard device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portion having an upper open interior space, a first stretchable portion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ortion and elastically stretchable and compressible, and coupled with the base portion as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extends. There is provided a standing board device including a signboard part forming a signboard surface, and a cap unit combined with the signboard part to downwardly support the first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art.

Description

입간판 장치{STANDING SIGN APPARATUS}Standing signboard {STANDING SIGN APPARATUS}

본 발명은 입간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board device.

최근, 사용 시 공기를 주입하여 기립된 형태를 유지하고 사용 후 공기 주입을 멈추어 보관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에어 간판이 개발되어 매장 홍보 등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n air signboard has been developed that maintains an upright shape by injecting air during use and reduces the storage size by stopping air injection after use, and is widely used for store promotion.

그러나 이러한 에어 간판의 경우 기립된 형태의 유지를 위하여 컴프레셔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기를 주입시켜 주어야 하므로 전력 소비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n air signboa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occurs because air must be continuously injected through a compressor or the like to maintain an upright shape.

이에 따라 전력 소모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필요 시 신장시켜 간판으로 활용하고 이후에는 압축하여 용이하게 보관이 가능한 입간판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As a resul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standing signboard that can be stretched when necessary and used as a signboard, and then compressed and easily stored without causing a problem of power consumptio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1693호 (2020.05.20.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91693 (Announced on May 20, 2020)

본 발명은 전력 소모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신장시켜 간판으로 활용하고 이후에는 압축하여 용이하게 보관 가능한 입간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ing signboard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signboard by extending it as necessary without causing a problem of power consumption, and then compressed and easily stor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신장 및 압축 가능한 제1 신축부, 베이스부와 결합되어 제1 신축부가 신장함에 따라 간판면을 형성하는 간판부, 및 간판부와 결합되어 제1 신축부를 하방 지지하는 캡유닛을 포함하는 입간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portion having an upper open interior space, a first stretchable portion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ortion and elastically stretchable and compressible, and coupled with the base portion as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extends. There is provided a standing board device including a signboard part forming a signboard surface, and a cap unit combined with the signboard part to downwardly support the first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art.

베이스부 및 캡유닛과 결합되어, 제1 신축부가 신장함에 따라 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제2 신축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A second stretchable portion coupled to the base portion and the cap unit to form a columnar structure as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extends may further be included.

제2 신축부는, 베이스부와 결합되고 제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신축편, 제1 신축편과 제1 관통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 신축편, 및 제2 신축편과 제2 관통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캡유닛과 결합되는 제3 신축편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includes a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piece coupled to the base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and being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piece in the first through hole. It may include a piece, and a third elastic piece coupled to the second elastic piece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second through hole and coupled to the cap unit.

제2 신축부는, 제2 신축편 및 제3 신축편이 각각 제1 신축편 및 제2 신축편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이탈 방지 유닛은, 제1 신축편 및 제2 신축편 각각의 내주면 상부에서 돌출되는 제1 지지 돌기, 및 제2 신축편 및 제3 신축편 각각의 외주면 하부에서 제1 지지 돌기의 위치에 대응되게 돌출되는 제2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unit further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ng unit preventing the second elastic piece and the third elastic piec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elastic piece and the second elastic piece, respectively,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includes the first elastic piece and the second elastic piece. 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elastic pieces, and a second supporting protrusion protruding correspondingly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second and third elastic pieces.

캡유닛은, 제1 신축부를 하방 지지 가능한 지지면을 구비하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지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지지부의 외주면 및 지지 결합부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부의 외주면 및 지지 결합부의 내주면 중 다른 하나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간판부는 지지부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 결합부가 지지부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캡유닛과 결합될 수 있다.The cap unit includes a support part having a support surface capable of downwardly supporting the first stretchable part, and a support coupling part having an intern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unit,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eith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oupling part. A screw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oupling part, and the signboard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cap unit as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is screwed to the support portion while being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지지 결합부에는 제2 신축부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홈부의 내주면 및 제2 신축부의 단부 측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홈부의 내주면 및 제2 신축부의 단부 측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제2 신축부는 지지부와 지지 결합부가 나사 결합됨에 따라 홈부와 나사 결합되어 캡유닛과 결합될 수 있다.A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d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is formed in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eithe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side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side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are formed. A screw groove is formed in the other one of the two, and as the support part and the support coupling part are screwed together, the second elastic part may be screwed with the groove part to be combined with the cap unit.

베이스부의 내부 공간은 제1 신축부가 압축되는 경우 제1 신축부 및 간판부를 수납 가능하고, 베이스부의 내부 공간은, 제1 신축부가 수납되는 제1 수납 영역, 및 제1 수납 영역의 외측에 형성되어 간판부를 수납하는 제2 수납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base unit is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and the signboard when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is compressed, and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ortion is formed outside the first storage area in which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is accommodated and the first storage area. It may be partitioned into a second storage area for accommodating the signboard unit.

베이스부가 제1 신축부 및 간판부를 수납한 상태에서 캡유닛과 결합 가능하도록, 캡유닛 및 베이스부를 결합시키는 제1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제1 결합 유닛은, 캡유닛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 결합구, 및 제1 결합구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베이스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제1 결합구와 결합되는 제2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upling unit that couples the cap unit and the base unit so that the base unit can be combined with the cap unit in a state where the first stretchable unit and the signboard unit are stored, the first coupling unit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unit. It may include a first coupler, and a second coupler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coupler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er.

간판부는 제2 수납 영역에 수납되는 경우 부피가 감소되도록, 복수 회로 폴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gnboard portion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folded multiple times so as to reduce its volume when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area.

간판부는, 베이스부 및 캡유닛과 결합되고 간판면을 형성하는 바디, 바디에 형성되어 바디를 내측으로 폴딩시키는 복수의 제1 폴딩 라인, 및 바디에 형성되어 바디를 외측으로 폴딩시키는 복수의 제2 폴딩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gnboard part includes a body coupled with the base part and the cap unit and forming a signboard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folding lines formed on the body to fold the body inward, and a plurality of second fold lines formed on the body to fold the body outward. It may contain folding lines.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소모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필요 시 신장시켜 간판으로 활용하고 이후에는 압축하여 간판을 용이하게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tore the signboard by extending it when necessary and using it as a signboard and then compressing it without causing a problem of power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 장치의 (a)신장 상태 및 (b)압축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a)도 1의 A-A'선에 따른 입간판 장치의 단면도 및 (b)도 1의 B-B'선에 따른 입간판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부 및 제1 신축부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an extended state and (b) a compressed state of a standing boar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nding board device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and (b)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nding board device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gnboard portion and a first stretchabl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nding signboar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간판 장치(100, 2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billboard device 100,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신장 및 압축 가능한 제1 신축부(120), 베이스부(110)와 결합되어 제1 신축부(120)가 신장함에 따라 간판면을 형성하는 간판부(130), 및 간판부(130)와 결합되어 제1 신축부(120)를 하방 지지하는 캡유닛(140)을 포함하는 입간판 장치(100)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base part 110 having an upper open inner space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art 110 and is elastically stretchable and compressible. The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20 and the base unit 110 are combined with the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20 to form a signboard surface as the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20 extends, and the signboard unit 130 is combined with the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30 A standing board device 100 including a cap unit 140 supporting the unit 120 downward is provided.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전기 공급이 없이도 제1 신축부(120)를 신장시켜 간판부(130)의 간판면을 통해 입간판으로 활용할 수 있고, 그 이후에는 제1 신축부(120)를 압축시켜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stretchable part 120 can be extended and utilized as a standing board through the signboard surface of the signboard part 130 without a separate electricity supply, and then the first stretchable part 120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storage by compressing and reducing the volume.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billboar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베이스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base part 110 may have an upper open inner space.

여기서 베이스부(110)에 내부 공간이 마련됨에 따라 후술할 제1 신축부(120), 간판부(130), 제2 신축부(150) 등이 수납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고, 또한 상측이 개방됨에 따라 제1 신축부(120), 간판부(130), 제2 신축부(150) 등이 내부 공간의 상측 외부로 신장할 수 있게 된다.Here, as the internal space is provided in the base part 110, it can be used as a space in which the first elastic part 120, the sign part 130, the second elastic part 150, et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accommodated, and the upper side is As it is opened, the first stretchable part 120, the signboard part 130, the second stretchable part 150, etc. can extend to the upper outside of the inner space.

또한 베이스부(110)는 외력에 의한 전도를 방지하도록, 내부 공간의 하부 측에 중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art 110 may include a weight part (not shown)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to prevent conduction by an external force.

즉 베이스부(110)은 지지대 역할도 수행하므로, 외력에 대한 저항이 가능하도록 그 내부 공간에 중량을 가진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base part 110 also serves as a support, it may include a weight part having a weight in its internal space so as to be able to resist an external force.

이 때 중량부는 필요에 따라 탈착 가능할 수 있으며, 물과 같은 유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그 내부에 유체를 추가하거나 빼내어 중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weight part may be detachable as needed, an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ontainer capable of containing a fluid such as water, and the weight may be adjusted by adding or removing fluid therein as needed.

제1 신축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신장하고 압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first stretchable part 12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art 110 and elastically stretched and compressed.

여기서 제1 신축부(120)는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간판 신장을 위한 동력원으로 작용하고, 또한 압축이 가능한 바 간판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Here, the first extension unit 120 has elasticity and acts as a power source for elongation of the signboard, and also reduces the volume of the compressible bar signboard.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신축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제1 신축부(120)의 굵기, 재질 등은 신장 또는 압축의 정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a spring structure having an elastic force. At this time, the thickness, material, etc. of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120 may be Or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ression.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1 신축부(12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으므로, 후술한 제2 신축부(150)가 그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 since the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20 may have a space therein, the second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50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제1 신축부(120)는 상방으로의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간판이 기둥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elastic part 120 has an upward elastic force, the sign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shape of a column.

간판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와 결합되어 제1 신축부(120)가 신장함에 따라 간판면을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signboard portion 130 may be combined with the base portion 110 to form a signboard surface as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120 elongates.

이 때 간판부(130)는 제1 신축부(120)와 함께 신장 내지 압축되는 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신장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므로 오염에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gnboard portion 1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s it is stretched or compressed together with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120,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resistant to contamination because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stretched.

간판부(130)는 필요에 따라 교체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베이스부(110) 및 캡유닛(140)과 용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간판부(130)와 해당 구성들 간의 관계성을 살펴 후술하도록 한다.Since the sign part 130 may need to be replaced as needed, it can be easily and interchangeably coupled to the base part 110 and the cap unit 140 accordingly.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board unit 130 and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캡유닛(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판부(130)와 결합되어 제1 신축부(120)를 하방 지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cap unit 140 may be combined with the sign portion 130 to downward support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120 .

즉 제1 신축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캡유닛(140)이 이와 같은 제1 신축부(120)를 상부에서 하방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간판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120 has an upward elastic force as described above, the cap unit 140 supports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120 downward from the top so that the form of a stable signboard can be maintained. there is.

또한 캡유닛(140)의 하방 지지력은 베이스부(110)와 결합된 간판부(130)와의 결합에 따른 장력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간판부(130)는 이와 같은 장력 발생에도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ownward supporting force of the cap unit 140 can be obtained through tension due to the coupling between the base portion 110 and the sign portion 130, and thus the sign portion 130 is not damaged even when such tension occurs.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strength.

제2 신축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 및 캡유닛(140)과 결합되어, 제1 신축부(120)가 신장함에 따라 기둥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second stretchable portion 150 is combined with the base portion 110 and the cap unit 140 to form a pillar structure as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120 extends. .

즉 제2 신축부(150)는 신장되어 기둥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바람 등의 외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신축부(120) 및 간판부(130)를 포함하는 상부 구성들이 횡력을 받는 경우 휘어지거나 출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stretchable portion 150 can resist external forces such as wind by being stretched to form a column structure, and accordingly, the upper components including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120 and the signboard portion 130 can withstand lateral force. When received, it can be prevented from bending or bouncing.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신축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신축부(150)는 이러한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astic part 120, as shown in FIG. 2, can form an internal space by being made in the shape of a spring, etc.,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50 will be disposed in this internal space. can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신축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와 결합되고 제1 관통홀(152)을 구비하는 제1 신축편(151), 제1 신축편(151)과 제1 관통홀(152)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관통홀(154)을 구비하는 제2 신축편(153), 및 제2 신축편(153)과 제2 관통홀(154)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캡유닛(140)과 결합되는 제3 신축편(155)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 the second elastic part 150 includes a first elastic piece 151 coupled to the base part 110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152, the first elastic piece 151 and the second through-hole 152 are coupled to be slidably movable and have a second through-hole 154, and the second expansion and contraction piece 153, and the second expansion and contraction piece 153 and the second through-hole A third elastic piece 155 coupled to be slidably movable within the hole 154 and coupled to the cap unit 140 may be included.

즉 제1 신축부(120)가 신장함에 따라 제2 신축편(153) 및 제3 신축편(155)은 각각 제1 신축편(151)의 제1 관통홀(152) 및 제2 신축편(153)의 제2 관통홀(154)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That is, as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120 extends, the second stretchable piece 153 and the third stretchable piece 155 form the first through hole 152 and the second stretchable piece of the first stretchable piece 151, respectively ( 153) may slide up and down within the second through hole 154.

이 때 제2 신축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신축편(153) 및 제3 신축편(155)이 각각 제1 신축편(151) 및 제2 신축편(15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유닛(1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in the second elastic part 150, the second elastic piece 153 and the third elastic piece 155 are the first elastic piece 151 and the second elastic piece 153, respectively. )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7 preventing separation from the unit.

보다 구체적으로 이탈 방지 유닛(15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축편(151) 및 제2 신축편(153) 각각의 내주면 상부에서 돌출되는 제1 지지 돌기(158), 및 제2 신축편(153) 및 제3 신축편(155) 각각의 외주면 하부에서 제1 지지 돌기(158)의 위치에 대응되게 돌출되는 제2 지지 돌기(159)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57 includes a first support protrusion 158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elastic piece 151 and the second elastic piece 153,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159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58 may be inclu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second stretchable piece 153 and the third stretchable piece 155 .

여기서 제1 지지 돌기(158)는 제1 신축편(151) 및 제2 신축편(153) 각각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또한 제2 지지 돌기(159)는 제2 신축편(153) 및 제3 신축편(155)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58 may exten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stretchable piece 151 and the second stretchable piece 153,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59 is the second stretchable piece 153 And it may exte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elastic piece (155).

캡유닛(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축부(120)를 하방 지지 가능한 지지면을 구비하는 지지부(142), 및 지지부(142)의 형상에 대응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지지 결합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ap unit 140 includes a support part 142 having a support surface capable of supporting the first stretchable part 120 downward, and an intern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art 142. A support coupling part 144 may be included.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라, 지지부(142)의 외주면 및 지지 결합부(144)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부(142)의 외주면 및 지지 결합부(144)의 내주면 중 다른 하나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a screw thread is formed on any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4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oupling part 144, and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4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oupling part 144. A screw groove may be formed in the other one.

이에 따라 간판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42)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 결합부(144)가 지지부(142)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캡유닛(140)과 결합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 the sign portion 130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42 and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144 is screwed to the support portion 142, thereby forming the cap unit 140 and the cap unit 140. can be combined.

지지부(142)와 지지 결합부(144)가 나사 결합됨으로 통해 간판부(130)를 캡유닛(140)과 쉽게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캡유닛(14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바, 전술한 것과 같이 간판부(130)의 교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support part 142 and the support coupling part 144 are screwed together, the sign part 13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cap unit 140 an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ap unit 140, as described above. As such, the replacement of the signboard portion 130 can be made effectively.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라, 지지 결합부(144)에는 제2 신축부(150)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2 , a groove portion 145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150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144 .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45)의 내주면 및 제2 신축부(150)의 단부 측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홈부(145)의 내주면 및 제2 신축부(150)의 단부 측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a screw thread is formed on on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14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side of the second elastic part 15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part 145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50 ) A screw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ther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end side.

이에 따라 제2 신축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42)와 지지 결합부(144)가 나사 결합됨에 따라 홈부(145)와 나사 결합되어 캡유닛(140)과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 the second elastic part 150 is screwed to the groove part 145 as the support part 142 and the support coupling part 144 are screwed together and coupled to the cap unit 140. It can be.

다시 말해, 지지 결합부(144)는 나사 결합을 통해 지지부(142) 뿐만 아니라 제2 신축부(150)와도 동시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support coupling part 144 can be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second elastic part 150 as well as the support part 142 through screw coupling.

베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축부(120)가 압축되는 경우 제1 신축부(120) 및 간판부(130)를 수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b),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part 110 can accommodate the first elastic part 120 and the sign part 130 when the first elastic part 120 is compressed. .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축부(120)가 수납되는 제1 수납 영역(112), 및 제1 수납 영역(112)의 외측에 형성되어 간판부(130)를 수납하는 제2 수납 영역(114)으로 구획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art 110, as shown in FIG. 2 (b), includes the first storage area 112 in which the first elastic part 120 is accommodated and the first storage area 112. It may be partitioned into a second storage area 114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ignboard portion 130 for accommodating it.

이 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라, 베이스부(110)가 제1 신축부(120) 및 간판부(130)를 수납한 상태에서 캡유닛(140)과 결합 가능하도록, 캡유닛(140) 및 베이스부(110)를 결합시키는 제1 결합 유닛(1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cap unit ( 140) and the first coupling unit 160 coupling the base portion 110 may be further included.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유닛(16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유닛(14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 결합구(162), 및 제1 결합구(16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베이스부(11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제1 결합구(162)와 결합되는 제2 결합구(163)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first coupling unit 160 includes the first coupler 162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unit 140 and the first coupling unit 162. It may include a second coupler 163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art 11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er 162 .

이 때 제1 결합 유닛(160)은 고리형 타입, 클램프형 타입, 걸쇠형 타입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결합 유닛(160)은 압축된 제1 신축부(120)의 탄성 반발을 상쇄하여 압축된 상태를 유지 가능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unit 160 may be provided in a ring type, clamp type, clasp type, etc., through which the first coupling unit 160 elastically repels the compressed first elastic part 120. It may have a bearing capacity capable of maintaining a compressed state by offsetting the .

제1 신축부(120)는 압축됨에 따라 베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에 수납 가능한 탄성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the first stretchable part 120 is compressed, it may be provided with elasticity capabl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art 110 .

또한 간판부(130)는,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납 영역(114)에 수납되는 경우 부피가 감소되도록, 복수 회로 폴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b) and 3 , the sign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folded multiple times so as to reduce its volume when stor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area 114 .

보다 구체적으로 간판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 및 캡유닛(140)과 결합되고 간판면을 형성하는 바디(132), 바디(132)에 형성되어 바디(132)를 내측으로 폴딩시키는 복수의 제1 폴딩 라인(134), 및 바디(132)에 형성되어 바디(132)를 외측으로 폴딩시키는 복수의 제2 폴딩 라인(136)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signboard part 130 is coupled to the base part 110 and the cap unit 140 and is formed on the body 132 and the body 132 forming the signboard surface.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folding lines 134 for folding the body 132 inwardly and a plurality of second folding lines 136 formed on the body 132 for folding the body 132 outward.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라, 베이스부(110)와 간판부(130)를 결합시키는 제2 결합 유닛(170)이 더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 a second coupling unit 170 coupling the base portion 110 and the sign portion 130 may be further included.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 유닛(1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72), 및 결합홈(17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편(174)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upling unit 170, as shown in Figure 2, the coupling groove 17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and the coupling piec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172 ( 174) may be included.

이에 따라 간판부(130)는 결합홈(172)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편(174)이 결합홈(172)과 끼움 결합됨에 따라 베이스부(110)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ign portion 130 can be combined with the base portion 110 as the coupling piece 174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72 in a state disposed on the coupling groove 172 .

또한 제2 결합 유닛(170)은, 베이스부(1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결합 돌기(미도시), 및 결합 돌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간판부(130)는 결합 돌기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편이 결합 돌기와 끼움 결합됨에 따라 베이스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unit 170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not shown)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and a coupling piece (not show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 The portion 130 may be coupled to the base portion 110 as the coupling piece is fitted and coupl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in a state disposed on the coupling protrusion.

이와 같은 제2 결합 유닛(170)을 간판부(130)를 베이스부(110)와 용이 탈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바, 간판부(13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This second coupling unit 170 makes it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sign portion 130 from the base portion 110, so that the sign portion 130 can be easily replac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신장 및 압축 가능한 제1 신축부(120), 베이스부(110)와 결합되어 제1 신축부(120)가 신장함에 따라 간판면을 형성하는 간판부(130), 및 간판부(130)와 결합되어 제1 신축부(120)를 하방 지지하는 캡유닛(140)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입간판 유닛(210), 및 한 쌍의 제1 입간판 유닛(210)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의 충진이 가능한 상부 간판부(220)를 포함하는 입간판 장치(200)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base part 110 having an upper open inner spac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art 110, is elastically stretchable and compressible. The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20 and the base unit 110 are combined with the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20 to form a signboard surface as the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20 extends, and the signboard unit 130 is combined with the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30 A pair of first standing board unit 210 including a cap unit 140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120, and detachably coupl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first standing board unit 210, and air inside A standing board device 200 including an upper signboard portion 220 capable of filling is provided.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전기 공급 없이도 제1 신축부(120)를 신장시켜 간판부(130)의 간판면을 통해 입간판으로 활용할 수 있고, 그 이후에는 제1 신축부(120)를 압축시켜 부피를 줄임으로써 간판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stretchable part 120 can be extended and utilized as a standing board through the signboard surface of the signboard part 130 without a separate electricity supply, and then the first stretchable part 120 By compressing and reducing the volume, the sign can be easily stored.

또한 한 쌍의 제1 입간판 유닛(210) 및 상부 간판부(220)의 결합을 통하여 보다 넓은 광고면의 획득이 가능하고, 또한 해당 결합에 따른 아치형 구조를 통해 간판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air of first standing signboard unit 210 and the upper signboard portion 220, it is possible to obtain a wider advertising surface, and also the stability of the signboard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arch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

이 때 상부 간판부(220) 와 제1 입간판 유닛(210)의 결합 방식은 간판부(130)와 캡유닛(140) 내지 간판부(130)와 베이스부(110)의 그것이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method of the upper signboard part 220 and the first standing signboard unit 210 may be applied to that of the signboard part 130 and the cap unit 140 or the signboard part 130 and the base part 110.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신장 및 압축 가능한 탄성 신축부, 베이스부와 결합되고 탄성 신축부가 신장함에 따라 간판면을 형성하는 간판부를 포함하는 입간판 장치가 제공되며,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전기 공급이 없이도 탄성 신축부를 신장시켜 간판부의 간판면을 통해 입간판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portion, an elastic stretchable portion disposed above the base portion and elastically stretchable and compressible, and coupled to the base portion and including a signboard portion forming a signboard surface as the elastic stretchable portion extends A standing board device is provided, a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can be used as a standing board through the signboard surface of the signboard by extending the elastic elastic part without a separate electricity supply.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수직 방향의 신장 및 압축 가능한 제1 신축부, 한 쌍의 제1 신축부 상부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수평 방향의 신장 및 압축이 가능한 제2 신축부, 제1 신축부와 제2 신축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신축부, 및 베이스부와 결합되고 제1 신축부, 연결 신축부, 및 제2 신축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간판면을 형성하는 간판부를 포함하는 입간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base parts, a first elastic part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to be elastically stretchable and compressi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first elastic parts to provide elastic A second stretchable part capable of horizontal extension and compression, a connection stretchable part that elastically connects the first stretchable part and the second stretchable part, and a base part coupled to the first stretchable part, the connection stretchable part, and the second stretchable part. There is provided a standing board device including a signboard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stretchable portion to form a signboard surfac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전기 공급이 없이도, 제1 신축부, 제2 신축부 및 연결 신축부의 탄성력 내지 탄성 지지력에 의해 각 구성의 외측에 배치되는 간판부가 간판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보다 넓은 광고면의 획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해당 구조를 통한 간판의 안정성 향상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expansion unit, the second expansion unit, and the connecting expansion unit can form the signboard surface by the elastic force or the elastic supporting force of the signboard portion disposed outside each component without a separate electricity supply. At this time, not only is it possible to obtain a wider advertising surface, but also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signboard through the corresponding structure can be obtain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e lik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입간판 장치
110: 베이스부
112: 제1 수납 영역
114: 제2 수납 영역
120: 제1 신축부
130: 간판부
132: 바디
134: 제1 폴딩 라인
136: 제2 폴딩 라인
140: 캡유닛
142: 지지부
144: 지지 결합부
145: 홈부
150: 제2 신축부
151: 제1 신축편
152: 제1 관통홀
153: 제2 신축편
154: 제2 관통홀
155: 제3 신축편
156: 제3 관통홀
157: 이탈 방지 유닛
158: 제1 지지 돌기
159: 제2 지지 돌기
160: 제1 결합 유닛
162: 제1 결합구
163: 제2 결합구
170: 제2 결합 유닛
172: 결합홈
174: 결합편
200: 입간판 장치
210: 입간판 유닛
220: 상부 간판부
100: billboard device
110: base part
112: first storage area
114: second storage area
120: first elastic part
130: Signboard
132: body
134: first folding line
136: second folding line
140: cap unit
142: support
144: support coupling
145: groove part
150: second elastic part
151: first extension
152: first through hole
153: 2nd extension
154: second through hole
155: 3rd extension
156: third through hole
157: departure prevention unit
158: first support protrusion
159: second support protrusion
160: first coupling unit
162: first coupler
163: second coupler
170: second coupling unit
172: coupling groove
174: binding piece
200: billboard device
210: standing signboard unit
220: upper signboard

Claims (10)

상측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신장 및 압축 가능한 제1 신축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신축부가 신장함에 따라 간판면을 형성하는 간판부; 및
상기 간판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신축부를 하방 지지하는 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캡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신축부가 신장함에 따라 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제2 신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유닛은,
상기 제1 신축부를 하방 지지 가능한 지지면을 구비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지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 및 상기 지지 결합부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 및 상기 지지 결합부의 내주면 중 다른 하나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간판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결합부가 상기 지지부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캡유닛과 결합되는, 입간판 장치.
a base portion having an upper open inner space;
a first stretchable portion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ortion and elastically stretchable and compressible;
a signboard portion coupled to the base portion to form a signboard surface as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extends; and
A cap unit coupled to the signboard portion and supporting the first elastic portion downwardly;
A second elastic part coupled to the base part and the cap unit to form a columnar structure as the first elastic part extends;
The cap unit,
a support portion having a support surface capable of downwardly supporting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and
Includes a support coupling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oupling part,
A screw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oupling part,
The signboard unit is coupled to the cap unit as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is screwed to the support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ignboard por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축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고 제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신축편;
상기 제1 신축편과 상기 제1 관통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 신축편; 및
상기 제2 신축편과 상기 제2 관통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캡유닛과 결합되는 제3 신축편을 포함하는, 입간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elastic part,
a first stretchable piece coupled to the base portion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a second expansion and contraction piece coupled to the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piece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and
A standing board device comprising a third expansion and contraction piece coupled to the second expansion and contraction piece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second through hole and coupled to the cap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축부는,
상기 제2 신축편 및 상기 제3 신축편이 각각 상기 제1 신축편 및 상기 제2 신축편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 방지 유닛은,
상기 제1 신축편 및 상기 제2 신축편 각각의 내주면 상부에서 돌출되는 제1 지지 돌기; 및
상기 제2 신축편 및 상기 제3 신축편 각각의 외주면 하부에서 상기 제1 지지 돌기의 위치에 대응되게 돌출되는 제2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입간판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elastic part,
Further comprising a detachment preventing unit preventing the second elastic piece and the third elastic piec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elastic piece and the second elastic piece, respectively;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first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upper portions of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ieces; and
A standing board device comprising a second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at the bottom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second and third stretch piec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결합부에는 상기 제2 신축부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내주면 및 상기 제2 신축부의 단부 측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내주면 및 상기 제2 신축부의 단부 측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신축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 결합부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홈부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캡유닛과 결합되는, 입간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d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is formed in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on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side of the second elastic part,
A screw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side of the second elastic part,
The second expansion and contraction part is screwed with the groove part and coupled with the cap unit as the support part and the support coupling part are screwed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신축부가 압축되는 경우 상기 제1 신축부 및 상기 간판부를 수납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신축부가 수납되는 제1 수납 영역; 및
상기 제1 수납 영역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간판부를 수납하는 제2 수납 영역으로 구획되는, 입간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ortion is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rst elastic portion and the signboard portion when the first elastic portion is compressed,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art,
a first accommodating area in which the first elastic part is accommodated; and
A standing board device formed outside the first storage area and partitioned into a second storage area for accommodating the signboard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제1 신축부 및 상기 간판부를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캡유닛과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캡유닛 및 상기 베이스부를 결합시키는 제1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유닛은,
상기 캡유닛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 결합구; 및
상기 제1 결합구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결합구와 결합되는 제2 결합구를 포함하는, 입간판 장치.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cap unit and the base portion so that the base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cap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and the sign portion are accommodated,
The first coupling unit,
a first coupler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unit; and
A standing board device comprising a second coupler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coupler and coupled with the first coupl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판부는 상기 제2 수납 영역에 수납되는 경우 부피가 감소되도록, 복수 회로 폴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입간판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signboard unit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folded in a plurality of circuits so that the volume is reduced when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are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간판부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캡유닛과 결합되고 간판면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를 내측으로 폴딩시키는 복수의 제1 폴딩 라인; 및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를 외측으로 폴딩시키는 복수의 제2 폴딩 라인을 포함하는, 입간판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signage,
a body coupled to the base part and the cap unit and forming a signboard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folding lines formed on the body to fold the body inward; and
A standing board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folding lines formed on the body to fold the body outward.
KR1020210045520A 2021-04-07 2021-04-07 Standing sign apparatus KR1024895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20A KR102489533B1 (en) 2021-04-07 2021-04-07 Standing sig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20A KR102489533B1 (en) 2021-04-07 2021-04-07 Standing sig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186A KR20220139186A (en) 2022-10-14
KR102489533B1 true KR102489533B1 (en) 2023-01-17

Family

ID=8359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520A KR102489533B1 (en) 2021-04-07 2021-04-07 Standing sig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533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677A (en) * 2008-10-20 2010-04-29 병 조 최 Box type advertising device
KR20100070315A (en) * 2010-05-11 2010-06-25 이도훈 Foldable pole for advertising
KR200491693Y1 (en) 2019-09-06 2020-05-20 정화정 Arm folding type air sign ballo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186A (en)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3700B2 (en) Display apparatus
CN106652798B (en) A kind of display device and its bearing assembly
US20080156759A1 (en) Adjustable rack device
US20070045311A1 (en) Twist-collapsible storage box
US7766799B1 (en) Boxing training device
EP1945067A4 (en) Upright shaft post capable accommodating various containers
KR102489533B1 (en) Standing sign apparatus
US20080185805A1 (en) Ball Storage Rack
CN205806838U (en) Support
WO2016070422A1 (en) Composite pallet
US20220348381A1 (en) Foldable Cup And Spray Cup
US20080112191A1 (en) Supporting frame and supporting frame assembly for a backlight module
CN101318080B (en) Expansible bracket
CN104097832A (en) Treasure storage box
CN208994147U (en) A kind of pallet and load-carrying device
CN218704727U (en) Carton convenient to receive and release
BR9305706A (en) Bottle box
CN204233361U (en) A kind of medicated bag fixed mechanism
CN219092137U (en) Test tube receiver
CN219742309U (en) Cosmetic display rack
CN109878924A (en) The logistic storage system of cross-border electric business
CN211336937U (en) Wine bottle packing box
EP3392164A1 (en) Airtight sheath for packing a bottle
CN214690766U (en) Telescopic corrugated carton
CN207583292U (en) A kind of scalable insulation single ladder of powe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