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120B1 -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 - Google Patents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120B1
KR102489120B1 KR1020220030188A KR20220030188A KR102489120B1 KR 102489120 B1 KR102489120 B1 KR 102489120B1 KR 1020220030188 A KR1020220030188 A KR 1020220030188A KR 20220030188 A KR20220030188 A KR 20220030188A KR 102489120 B1 KR102489120 B1 KR 102489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cation
panel
concrete block
slid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주)한맥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맥기술 filed Critical (주)한맥기술
Priority to KR102022003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01D39/2072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or granular
    • B01D39/2075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or granular sintered or bonded by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34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s
    • C04B2111/00051Mortar or concrete mixtures with an unusual low cement content, e.g. for found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해 수질정화 패널을 콘크리드 블록 본체에 결합되어 고정시키거나 분리되어 이탈시키는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은, 저시멘트 바인더로 조성되고,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한 콘크리트 블록 본체;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 둘레에 결합되어 배치되고,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하는 수질정화 패널; 및 상기 수질정화 패널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제 1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고, 상기 제 1 방향의 수직인 제 2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에 결합되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CONCRETE BLOCK HAVING PANEL COUPLING STRUCTURE FOR WATER PURIFIC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우수한 정화성능을 통해 하천수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경제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심각해져가는 환경문제 중 국토 환경의 주요 요소인 하천 수질오염은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와 함께 금속히 악화되고 있으며, 수생태계의 자연 정화 능력을 초과함으로써, 인류의 삶자체를 위협하는 상황이다.
예컨대, 국내 하천은 과거의 콘크리트 위주의 정비 사업의 결과로 하천의 건천화, 하천 직강화에 따른 하천 단면의 단순화로 인한 하천의 수질정화 기능 약화 및 생물다양성 결여, 서식환경 변화로 생태계가 단절되는 사막화 현상까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질정화기능이 있는 콘크리트 블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수질정화기능이 있는 콘크리트 블록은 광촉매 담지 목탄분말을 콘크리트 블록의 내부에 혼입하여 제조되는 구조이므로, 수질정화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목탄의 기공이 시멘트에 막힘으로써, 수질정화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콘크리트 블록에서 목탄을 분리할 수 없으므로, 콘크리트 블록이 수질정화 기능이 저하시 추가로 목탄을 설치할 수 없고, 수질정화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새로운 목탄분말이 혼입된 콘크리트 블록으로 교체해야함으로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블록의 유지 보수도 어려운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8715호(2011.11.01 공고)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 폐목탄을 이용한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친환경 포러스 콘크리트블록 " 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목탄들을 포함한 수질정화 패널을 콘크리트 블록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은, 저시멘트 바인더로 조성되고,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한 콘크리트 블록 본체;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 둘레에 결합되어 배치되고,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하는 수질정화 패널; 및 상기 수질정화 패널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제 1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고, 상기 제 1 방향의 수직인 제 2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디 이동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에 결합되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질정화 패널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 대면되어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다공성을 형성하는 망체 부재; 및 상기 망체 부재의 내부에 수납되고, 복수개의 목탄들을 포함하는 목탄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측면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홈들에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의 일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홈들에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단 둘레에 배치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홈들에 결합되어 고정시키거나 분리되어 이탈시키는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콘크리트 블록 본체에 수질정화 패널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결합되어 고정시키거나 분리되어 이탈시키는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에 상기 수질정화 패널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수질정화 패널의 설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질정화 패널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질정화 패널는 하천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인해 하천수의 정화기능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과 수질정화 패널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 상태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의 구성 중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의 구성 중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의 구성 중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의 구성 중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100)은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에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위해 수질정화 패널(120)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결합되어 고정시키거나 분리되어 이탈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를 구성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는 수질정화 패널(120)을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100)과 수질정화 패널(120)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100)의 결합 상태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100)의 구성 중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132)들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100)의 구성 중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132)들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100)의 구성 중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132)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100)의 구성 중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132)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100)은,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 수질정화 패널(120) 및 적어도 하나의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는 시멘트, 고로슬래그 분만, 석고 및 강도증진제가 혼합된 저시멘트 바인더로 조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저시멘트 바인더로 조성된 콘리크드 블록 본체(110)는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여 수질오염이 적고 그러면서도 고강도의 발현을 통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블록(100)은 후술하는 수질정화 패널(120)을 결합하여 배치하기 위해 개방된 개구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질정화 패널(120)은 상기 개구부(111)의 내측면 둘레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질정화 패널(120)은 상기 개구부(111)를 통해 흐르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질정화 패널(120)은 지지 플레이트(121), 망체 부재(122) 및 목탄 패널(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121) 사각형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21)의 내부에는 사각형의 관통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망체 부재(122)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망체 부재(122)는 다공성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망체 부재(122)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상기 복수개의 목탄(A1)들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망체 부재(122)의 다공성의 크기는 상기 복수개의 목탄(A1)들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목탄(A1)들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이 형성된 상기 망체 부재(122)는 상기 물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목탄 패널(123)은 상기 망체 부재(122)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목탄 패널(123)은 상기 망체 부재(122)를 통과한 물을 여과하는 복수개의 목탄(A1)들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는 복수개의 제 1, 2 슬라이딩 결합 부재(131, 1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131)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1)의 외측면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결합 부재(131)들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개구부(111)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홈(110a)들에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홈(110a)들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1)의 외측 둘레에 외측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결합 부재(131)들은 결합시 상기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홈(110a)들에 끼워 슬라이딩 결합됨과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결합 부재(131)들은 분리시 상기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홈(110a)들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이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132)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결합 부재(131)들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132)들은 상기 개구부(111)의 일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홈들에 상기 제 1 방향(①)의 수직인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132)들은 본체 하우징(132a), 가이드홈(132b) 및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본체 하우징(132a)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상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장착홈(112)들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홈(132b)은 상기 본체 하우징(132a)에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는 상기 가이드홈(132b)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는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홈(110b)들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분리되어 이탈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를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홈들에 결합시,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 중 하나의 슬라이딩 부재(132c)를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홈(110b)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 중 다른 슬라이딩 부재(132c)는 상기 제 2 방향(②)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아딩 이동하여 다른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홈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의 일단은 상기 본체 하우징(132a)에 형성된 관통홀(B1)에서 돌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홈(110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의 타일단은 상기 본체 하우징(132a)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손잡이(C1)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토퍼 손잡이는 사용자가 잡고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들은 서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는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홈(110b)에 결합되면, 상기 수질정화 패널(120)을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에서 고정됨과 동시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질정화 패널(120)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를 통과하는 이물질이 포함된 물을 정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를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홈(110b)들에 분리시,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를 서로 가깝게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의 타일단에 형성된 스토퍼 손잡이(C1)를 대면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는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홈(110b)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의 일단은 다시 상기 본체 하우징(132a)의 관통홀(B1)에 인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는 상기 본체 하우징(132a)의 관통홀(B1)에 인입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 하우징(132a)의 가이드홈(132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132c)가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홈(110b)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132)들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0)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플레이트(121)의 외측면 둘레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결합 부재(131)들도 상기 복수개이 제 1 슬라이딩 홈(110a)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결합 부재(131)들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100)에서 이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개의 제 1, 2 슬라이딩 결합 부재(131, 132)들이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제 1, 2 슬라이딩 홈(110a, 110b)들에서 분리되면, 상기 수질정화 패널(120)도 함께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질정화 패널(120)의 지지 플레이트(121)가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개구부(11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상기 수질정화 패널(120)의 망체 부재(122)도 분리할 수 있고, 상기 망체 부재(122)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목탄(A1)들로 교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개의 목탄(A1)들이 파손 및 분실될 경우, 상기 망체 부재(122)에서 파손된 상기 복수개의 목탄(A1)들을 분리하고, 새로운 복수개의 목탄(미도됨)들을 상기 망체 부재(122)에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망체 부재(122)에서 분실된 상기 복수개의 목탄(A1)들도 새로운 복수개의 목탄들로 채울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복수개의 목탄들이 채워진 상기 수질정화 패널(12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1)의 내부에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21)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개구부(111)에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에 상기 수질정화 패널(120)이 재결합시, 상기 지지 플레이트(121)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제 1, 2 슬라이딩 결합 부재(131, 132)들이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 1, 2 슬라이딩 홈(110a, 110b)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에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결합되어 고정시키거나 분리되어 이탈시키는 복수개의 제 1, 2 슬라이딩 결합 부재(131, 132)들을 포함하는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130)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에 상기 수질정화 패널(12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수질정화 패널(120)의 설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질정화 패널(120)의 유지 보수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콘크리트 블록
110 : 콘크리트 블록 본체 120 : 수질정화 패널
130 :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
121 : 지지 플레이트 122 : 망체 부재
123 : 목탄 패널
131, 132 : 제 1, 2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

Claims (4)

  1.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저시멘트 바인더로 조성되고,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한 콘크리트 블록 본체;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 둘레에 결합되어 배치되고,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하는 수질정화 패널; 및
    상기 수질정화 패널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제 1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고, 상기 제 1 방향의 수직인 제 2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에 결합되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수질정화 패널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 대면되어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다공성을 형성하는 망체 부재; 및
    상기 망체 부재의 내부에 수납되고, 복수개의 목탄들을 포함하는 목탄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측면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홈들에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 1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의 일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홈들에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결합 부재들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단 둘레에 배치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 2 슬라이딩 홈들에 결합되어 고정시키거나 분리되어 이탈시키는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KR1020220030188A 2022-03-10 2022-03-10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 KR102489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188A KR102489120B1 (ko) 2022-03-10 2022-03-10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188A KR102489120B1 (ko) 2022-03-10 2022-03-10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120B1 true KR102489120B1 (ko) 2023-01-17

Family

ID=8511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188A KR102489120B1 (ko) 2022-03-10 2022-03-10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1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523A (ja) * 1996-02-07 1997-08-12 Kanemitsu:Kk 水質浄化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4052481A (ja) * 2002-07-24 2004-02-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構造パネル材
KR101888177B1 (ko) * 2016-12-14 2018-08-13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
KR101889467B1 (ko) * 2017-03-30 2018-08-17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523A (ja) * 1996-02-07 1997-08-12 Kanemitsu:Kk 水質浄化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4052481A (ja) * 2002-07-24 2004-02-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構造パネル材
KR101888177B1 (ko) * 2016-12-14 2018-08-13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
KR101889467B1 (ko) * 2017-03-30 2018-08-17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0107B2 (en) Exhaust gas purifying filter
KR102489120B1 (ko)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 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
DE69909760D1 (de) Verbesserte filterkartusche, insbesondere für kannen-wasserfilter
ATE468904T1 (de) Asymmetrischer wabenwandstromfilter mit verbesserter formfestigkeit
RU2008148557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бетонный стеновой пустотелый блок
GB2432727A (en) Multiband filter
CN109049295A (zh) 一种磷酸钾镁水泥基生态挡土墙砌块及其制备方法
CN204919572U (zh) 一种具有缓流净化功能的透水混凝土砌块
CN204709930U (zh) 过滤装置及净水设备
Novak On Goetschel and Voxman fuzzy matroids
CN204510144U (zh) 一种生态防渗水渠
CN218608348U (zh) 一种快换滤芯组件
DE60217007D1 (de) Dichtungsmaterial für Festpolymer-Brennstoffzellen-Separator
CN208943629U (zh) 一种磁化水净水器安装底座
KR101888177B1 (ko) 수질정화용 패널 결합구조를 지닌 저시멘트 바인더 활용 콘크리트 블록
ATE471197T1 (de) Filter mit mehreren in einer offset-anordnung verbundenen wabenelementen
CN217922914U (zh) 一种透水性好的防堵塞混凝土路面砖
CN213836330U (zh) 路桥建设混凝土养护用雨水收集装置
CN219539763U (zh) 一种高压气体干燥净化装置用可更换滤芯
CN208618717U (zh) 一种建筑装饰墙板的连接件
CN219032820U (zh) 一种水利工程用急流槽
KR200214280Y1 (ko) 폐수정화용 다공성 여과재
CN214401657U (zh) 一种观测廊道混凝土施工缝防渗水结构
DE3609151A1 (de) Partikelfilter fuer abgase
CN208857112U (zh) 一种小型高效集成氧化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