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990B1 - Spd(surge protective device) of three phase transformer - Google Patents

Spd(surge protective device) of three phase transfor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990B1
KR102488990B1 KR1020200189757A KR20200189757A KR102488990B1 KR 102488990 B1 KR102488990 B1 KR 102488990B1 KR 1020200189757 A KR1020200189757 A KR 1020200189757A KR 20200189757 A KR20200189757 A KR 20200189757A KR 102488990 B1 KR102488990 B1 KR 102488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urrent
relay
wire
var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6907A (en
Inventor
박근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189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990B1/en
Publication of KR20220096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9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9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2Two-phase, three-phase or polyphase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8Indicators;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for three-phase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3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 H02H3/3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 H02H3/33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with means to produce an artificial unbalance for other protection or monitoring reasons or remote control
    • H02H3/33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with means to produce an artificial unbalance for other protection or monitoring reasons or remote control the main function being self testing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상 변압기의 서지보호장치에 대한 것으로, 3상 변압기의 서로 다른 각 상과 연결된 전선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리스터(varistor)와,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 각각에 구비되며, 배리스터의 이상 여부에 따라 상기 배리스터와 연결된 어느 한 상의 전선 사이의 접점을 개폐하는 복수의 인디케이터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 각각에 대응하며, 대응하는 배리스터가 연결된 제1상의 전선과 다른 제2상의 전선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상의 전선이 타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상의 전류와 상기 제2상의 전류 사이의 전압차에 따라 발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상전원 램프와, 상기 복수의 인디케이터 스위치에 각각 연동되며 연동된 인디케이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특정 배리스터와 연결된 제1상의 전선을, 상기 특정 배리스터에 대응하는 상전원 램프의 타단과 연결시키거나 릴레이(relay)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스위치부, 및 상기 릴레이의 전류 입력단과 전류 출력단에 각각 입력단과 출력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상의 전류가 상기 릴레이로 인가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의 전류 입력단과 전류 출력단 사이의 전압차에 따라 발광하도록 형성되는 알람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e protection device for a three-phase transformer,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varistors connected to each of wires connected to different phases of a three-phase transformer, and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varistors. A plurality of indicator switches for opening and closing a contact between wires of any one phase connected to the varistor, and one end of a second phase wi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aristors and different from the first phase wire to which the corresponding varistor is connecte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hase power lamps configured to emit light according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of the first phase and the current of the second phase when the wire of the first phas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the plurality of indicator switche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ed indicator switch, a plurality of switch units for connecting the wire of the first phase connected to a specific varistor to the other end of the phase power lamp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varistor or to a relay, and the relay An alarm lamp formed to emit light according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a current input terminal and a current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when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are connected to a current input terminal and a current output terminal, respectively, when the current of the first phase is applied to the relay. to be characterized

Figure R1020200189757
Figure R1020200189757

Description

3상 변압기의 서지보호장치{SPD(SURGE PROTECTIVE DEVICE) OF THREE PHASE TRANSFORMER}Surge protection device for three-phase transformer {SPD (SURGE PROTECTIVE DEVICE) OF THREE PHASE TRANSFORMER}

본 발명은 3상 변압기의 서지보호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델타 결선을 사용하는 3상 변압기에 구비된 서지보호장치의 배리스터(Varistor)의 소손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e protection device for a three-phase transform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p indicating a burnout state of a varistor of a surge protection device provided in a three-phase transformer using a delta connection.

일반적으로 전력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3상 변압기는 1 차측 및 2 차측에 Y 결선 또는 델타(△) 결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여 3상 전압을 승압하거나 또는 감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3상 변압기는, 과도 전압, 즉 서지(surge)에 의한 소손을 방지하기 위해 서지보호장치(Surge Protective Device, SPD)를 구비하며, 서지보호장치는 전압에 따라 임피던스가 달라지는 배리스터를 구비하여 서지가 유입되는 경우 접지선을 통해 유입된 전류를 대지로 방전시킴으로서, 서지 전류가 부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서지보호장치는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다.In general, a three-phase transformer that supplies power to a power load is a device that boosts or reduces the three-phase voltage by adopting either a Y connection or a delta (Δ) connection method on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Such a three-phase transformer is provided with a surge protective device (SPD) to prevent burnout due to transient voltage, that is, surge, and the surge protective device is provided with a varistor whose impedance varies depending on the voltage to prevent surge When the current flows i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round line is discharged to the ground, so that the surge curren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load. Such a surge protector is as shown in FIG. 1 .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서지보호장치의 케이스(11)의 외부(10)에는 복수의 상전원 램프(12), 알람 램프(13), 외부 단자(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의 내부(20)에는 릴레이(21), 및 MOV(Metal Oxide Varistor)(41)를 포함하는 DIN 타입 SPD(40)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first, a plurality of phase power lamps 12, alarm lamps 13, and external terminals 14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10 of the case 11 of the surge protector. In addition, a DIN type SPD 40 including a relay 21 and a metal oxide varistor (MOV) 41 may be disposed in the inside 20 of the case 11 .

상기 DIN 타입 SPD(40)는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MOV(41)과 상기 MOV(41)에 접속 및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DIN Rail 취부대, 그리고 상기 착탈 가능한 MOV(41)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바(Common Bar), 및 각 상의 전선과 체결되는 전선 체결 단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SPD(40)는 편의상 2개의 MOV(41)가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케이스(11)의 내부(20)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MOV(41)가 배치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The DIN type SPD (40) is formed to support the MOV (41) formed to be replaceable, a DIN Rail mounting base formed to be connected and coupled to the MOV (41), and the detachable MOV (41) ( Common Bar), and wire fastening terminals fastened with wires of each phase. The SPD 40 shown in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MOVs 41 are provided for convenience, but as shown in the inside 20 of the case 11, three MOVs 41 are placed. It will be self-evident that it can.

상기 MOV(41)는 수명에 따른 소손 상태 여부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부(42)를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부(42)는 상기 MOV(41)의 소손 상태에 따라 홀(hole)을 통해 돌출되는 돌출부 또는 상기 홀을 통해 특정 색상의 광이 출력되도록 하는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MOV(41)의 소손 상태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여부 또는 상기 홀을 통한 광의 발광 여부나 발광되는 광의 색상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The MOV 41 includes an indicator unit 42 indicating whether the MOV 41 is burnt out or not, and the indicator unit 42 is a protrusion protruding through a hole or a A lamp or the like for outputting light of a specific color through the hole may be included. Accordingly, the burnout state of the MOV 41 may be indicated by whether the protruding portion protrudes, whether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hole, or the color of the emitted light.

한편 상기 SPD(40)의 바의 측면, 즉 상기 도 1에 도시된 SPD(40)의 저면에 해당하는 측면(30)에는 알람 단자(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PD(40)의 전선 체결 단지부의 측면, 즉 상기 도 1에 도시된 SPD(40)의 상면에 해당하는 측면(50)에는, 상기 각각의 MOV(41)에 연결되는 상전선(51)과 접지선(52)이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an alarm terminal 31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r of the SPD 40, that is, a side surface 30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PD 40 shown in FIG. 1. And on the side surface of the wire fastening end of the SPD 40, that is, the side surface 5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PD 40 shown in FIG. 1, the phase wire 51 connected to each MOV 41 and a ground line 52 may be disposed.

이를 살펴보면, 상기 상전선(51)으로 전류가 유입되면, 정상 상태의 경우 MOV(41)는 매우 큰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SPD(40) 내부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부하로 전류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설비(기기)의 운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11)의 상전원 램프들(12)은 온(on) 되며, 알람 램프(13)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전선(51)으로 서지 전류가 인입되면 SPD(40)에 구비되어 있는 MOV(41)의 임피던스가 상기 서지 전류의 과도한 전압으로 인해 급격히 낮아지면서, 서지 전류를 부하가 아닌 접지선(52)로 인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서지 전류는 대지로 방전되면서, 서지 전류로부터 설비(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Looking at this, when current flows into the phase wire 51, since the MOV 41 has a very large impedance in a normal state, current may flow into the load without flowing into the SPD 40. Accordingly, normal facility (device) operation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phase power lamps 12 of the case 11 are turned on, and the alarm lamp 13 remains off. In this state, when the surge current is introduced into the phase wire 51, the impedance of the MOV 41 provided in the SPD 40 is rapidly lowered due to the excessive voltage of the surge current, and the surge current is transferred to the ground line (not the load) 52) to be authorized. Therefore, while the surge current is discharged to the ground, equipment (devices) can be protected from the surge current.

한편, 여러 번 또는 대용량의 서지 전류에 의해 MOV(41) 수명이 다하는 경우 또는 소손되는 경우, 인디케이터부(42)를 통해 소손 상태가 표시되며, 수명이 다한 또는 소손된 MOV(41)에 연결된 상전원 램프(12) 중 어느 하나가 오프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부(42)의 동작에 의해, 알람 단자(6)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릴레이(21)에 전원이 인가되며, 릴레이(21)에 인가된 전원은 상기 릴레이(21)의 코일을 자화시켜 알람 램프(13)를 온 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MOV (41) is exhausted or burnt out several times or by a large-capacity surge current, the burnt state is displayed through the indicator unit 42, and the phase connected to the MOV (41) whose life is over or burnt out. Any one of the power lamps 12 may be turned off. In add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indicator unit 42, the contact state of the alarm terminal 6 is released and power is applied to the relay 21, and the power applied to the relay 21 magnetizes the coil of the relay 21. By doing so, the alarm lamp 13 can be turned on.

도 2는 이러한 서지보호장치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the circuit of such a surge protective device.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전류의 각 상(L1, L2, L3) 별로, 각 상에 대응하는 상전원 램프(111, 112, 113)와 각 상에 대응하는 MOV(121, 122, 123)가 각 상의 전선들에 연결(151, 152, 153)될 수 있으며, 상기 상전원 램프들(111, 112, 113)은 각각 보호도체(PE)와 연결(160)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상태인 경우 각 상전원 램프는 각 상의 전선과 보호도체(PE) 사이에 연결되어, 각 상의 접점들(151, 152, 153)을 통해 인가되는 각 상의 전류와 보호도체(PE) 접점(160)의 전압차에 따라 발광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MOV가 소손되는 경우 해당 MOV와 연결되는 상전원 램프 사이가 단선되어, 상기 특정 MOV와 연결되는 상전원 램프가 오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for each phase (L1, L2, L3) of current, phase power lamps 111, 112, and 113 corresponding to each phase and MOVs 121, 122, and 123 corresponding to each phase It may be connected to the wires of each phase (151, 152, 153), and the phase power lamps (111, 112, 113)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ve conductor (PE) (160), respectively. Therefore, in the normal state, each phase power lamp is connected between the wire of each phase and the protective conductor (PE), and the current applied through the contacts (151, 152, 153) of each phase and the protective conductor (PE) contact ( 160) may emit light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However, when a specific MOV is burnt out, a phase power lamp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MOV is disconnected, so that the phase power lamp connected to the specific MOV may be turned off.

한편 MOV들(121, 122, 123)은 알람 단자(190)에 연결될 수 있다. 알람 단자(190)는 평상시에는 단선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MOV들(121, 122, 123) 중 어느 하나가 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소손되는 경우 어느 한 상(도 2의 경우 L1)과 연결되는 접점(191)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알람 단자(190)를 통해 상기 어느 한 상(도 2의 경우 L1)의 접점(191)과 릴레이(130)가 연결되고, 상기 어느 한 상(도 2의 경우 L1)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가 릴레이(130)를 자화시키게 된다. Meanwhile, the MOVs 121 , 122 , and 123 may be connected to the alarm terminal 190 . The alarm terminal 190 normally maintains a disconnected state, but when one of the MOVs 121, 122, and 123 reaches the end of its life or burns out, a contact connected to any one phase (L1 in FIG. 2). (191) can be connected. Therefore, the contact 191 of any one phase (L1 in FIG. 2) and the relay 130 are connected through the alarm terminal 190, and the current applied from the one phase (L1 in FIG. 2) is (130) is magnetized.

릴레이(130)가 자화되면, 어느 한 상의 전선(도 2의 경우 L1)과 연결된 접점(181)과 릴레이(130) 상의 접점들 중 알람 램프(140)에 연결된 접점 사이가 연결된다. 따라서 보호도체(PE)에 연결된 알람 램프(140)와 상기 어느 한 상(도 2의 경우 L1)의 접점(181)이 서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접점(181)로부터 인가되는 어느 한 상(도 2의 경우 L1)의 전류와 보호도체(PE)의 접점(182) 사이의 전압차, 즉 L1 상의 전류와 접지 사이의 전압차에 의해 알람 램프(140)가 온 될 수 있다. When the relay 130 is magnetized, a contact 181 connected to a wire of one phase (L1 in FIG. 2 ) and a contact connected to the alarm lamp 140 among contacts on the relay 130 are connected. Therefore, the alarm lamp 140 connected to the protective conductor PE and the contact point 181 of any one phase (L1 in FIG.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alarm is caused by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of any one phase (L1 in FIG. 2) applied from the contact 181 and the contact 182 of the protective conductor PE, that is,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on L1 and the ground. Lamp 140 may be turned on.

그런데 도 3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중성점에 보호도체(PE)를 통해 접지되는 Y 결선 방식과 달리, 델타 결선 방식은 어느 한 상의 전선이 보호도체(PE)에 연결되어 접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 예로 도 3의 (b)는 L1상이 보호도체와 연결되는 L1상 접지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However, as shown in (a) of FIG. 3, unlike the Y connection method in which the neutral point is grounded through the protective conductor (PE), in the delta connection method, the wire of one phase must be connected to the protective conductor (PE) to be grounded. do. As an example, (b) of FIG.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L1 phase ground in which the L1 phase is connected to the protective conductor.

따라서 도 3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L1상 접지 형태로 결선되는 델타 방식을 3상 변압기가 채용하는 경우,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은 서지보호장치의 회로에서는 접지된 상, 즉 L1과 보호도체(PE) 사이의 전압차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L1상과 연결된 MOV(121)가 정상 동작을 하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압차가 없어짐에 따라, 접지된 상(L1)에 연결된 제1 상전원 램프(111)가 오프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서지보호장치를 사용하는 고객으로 하여금,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MOV(121)에 소손이 발생한 것으로 오인하게 한다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b) of FIG. 3, when a three-phase transformer adopts the delta method connected in the form of L1 phase grounding, in the circuit of the surge protector as shown in FIG. 2, the grounded phase, that is, L1 and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protective conductors PE disappears. Therefore, although the MOV 121 connected to the L1 phase is in a normal operating state, as the voltage difference disappears, the first phase power supply lamp 111 connected to the grounded phase L1 is turned off.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ustomer who uses a surge protector misunderstands that burnout has occurred in the MOV 121 performing a normal operation.

더욱이 모든 MOV(121, 122, 123)가 정상 동작하는 상태이므로, 알람 단자(190)는 회로가 단선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알람 램프(140)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고객은 제1 상전원 램프(111)가 오프(즉 제1 MOV 소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알람 램프(140)가 켜지지 않는 알람 램프(140)의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all of the MOVs 121, 122, and 123 are normally operating, the alarm terminal 190 maintains a disconnected circuit. Accordingly, the alarm lamp 140 remains off. Therefore, the customer may misunderstand that the alarm lamp 140 is not turned on even though the first phase power lamp 111 is turned off (ie, the first MOV burns out) as a failure of the alarm lamp 140 .

더욱이, 알람 램프(140)에 연결되는 특정 상의 전선이,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접지된 상(L1)인 경우, 알람 단자(190)가 릴레이(130)를 자화시킨다고 하여도, L1과 보호도체(PE) 사이의 전압차가 0V가 됨에 따라 알람 램프(140)가 온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Moreover, when the wire of a specific phase connected to the alarm lamp 140 is the grounded phase L1, as shown in FIG. 2, even if the alarm terminal 190 magnetizes the relay 130, L1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larm lamp 140 may not turn on as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protective conductors PE becomes 0V.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델타 결선 방식이 사용된 3상 변압기에서, 3상 변압기의 델타 결선 접지 상태에 따라 배리스터가 정상 작동함에도 불구하고 상전원 램프가 오프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배리스터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알람 램프가 온 되지 않는 문제점이 해결된 서지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ther problems, in a three-phase transformer in which a delta connection method is used, despite the normal operation of the varistor according to the delta connection grounding state of the three-phase transformer, Its object is to provide a surge protector that solves the problem that an alarm lamp does not turn on even though it is turned off or an error occurs in one of the varistors.

또한 본 발명은 델타 결선 방식이 사용된 3상 변압기에서, 상접지 상태에 상관없이 상전원 램프 및 알람 램프가 배리스터의 상태에 따라서만 오프 및 온 될 수 있도록 하는 서지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ge protection device that enables a phase power lamp and an alarm lamp to be turned off and on only according to the state of a varistor regardless of the phase ground state in a three-phase transformer using a delta connection method. to b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는, 3상 변압기의 서로 다른 각 상과 연결된 전선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리스터(varistor)와,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 각각에 구비되며, 배리스터의 이상 여부에 따라 상기 배리스터와 연결된 어느 한 상의 전선 사이의 접점을 개폐하는 복수의 인디케이터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 각각에 대응하며, 대응하는 배리스터가 연결된 제1상의 전선과 다른 제2상의 전선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상의 전선이 타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상의 전류와 상기 제2상의 전류 사이의 전압차에 따라 발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상전원 램프와, 상기 복수의 인디케이터 스위치에 각각 연동되며 연동된 인디케이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특정 배리스터와 연결된 제1상의 전선을, 상기 특정 배리스터에 대응하는 상전원 램프의 타단과 연결시키거나 릴레이(relay)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스위치부, 및 상기 릴레이의 전류 입력단과 전류 출력단에 각각 입력단과 출력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상의 전류가 상기 릴레이로 인가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의 전류 입력단과 전류 출력단 사이의 전압차에 따라 발광하도록 형성되는 알람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 a surge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aristors connected to each of wires connected to different phases of a three-phase transformer And, a plurality of indicator switch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varistors and opening and closing a contact between wires of any one phase connected to the varistor depending on whether the varistor is abnormal, 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aristors, and a corresponding varisto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ire of the second phase that is different from the wire of the connected first phase, and when the wire of the first phas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a plurality of lights formed to emit light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of the first phase and the current of the second phase.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phase power lamp and the indicator switch interlocked with the plurality of indicator switches, the wire of the first phase connected to the specific varisto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hase power lamp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varistor or relay ( relay), and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current input terminal and the current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respectively, and when the current of the first phase is applied to the relay, between the current input terminal and the current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larm lamp formed to emit light according to a voltage differenc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상의 전선과 연결되는 입력 접점과, 어느 하나의 상전원 램프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출력 접점 및, 상기 릴레이와 연결되는 제2 출력 접점을 포함하며, 디폴트(default) 상태로서, 상기 입력 접점과 상기 제1 출력 접점을 연결하며, 상기 스위치부에 연동된 인디케이터 스위치가 특정 배리스터와 어느 한 상의 전선 사이의 접점을 개방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접점을 상기 제2 출력 접점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witch unit includes an input contact connected to the wire of the first phase, a first output contac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ny one phase power lamp, and a second output contact connected to the relay. In a default state, the input contact and the first output contact are connected, and the input contact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indicator switch linked to the switch unit opens a contact between a specific varistor and a wire of any one phas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ing to the second output contac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스위치는, 상기 특정 배리스터가 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소손된 경우 동작하는 상기 특정 배리스터의 인디케이터에 연동하여, 상기 특정 배리스터와 상기 제1상의 전선 사이의 접점을 개방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상전원 램프는, 상기 인디케이터 스위치에 따라 연동되는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라 발광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스위치를 구비하는 상기 특정 배리스터의 상태를 나타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indicator switch opens a contact between the specific varistor and the wire of the first phase in conjunction with an indicator of the specific varistor, which is operated when the specific varistor reaches the end of its life or is burnt ou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phase power lamps emits ligh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witch unit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switch to indicate a state of the specific varistor including the indicator switch.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특정 배리스터의 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소손된 경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홀(hole)을 구비하며, 상기 인디케이터 스위치는,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되는 돌출부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으로 동작하는 물리적 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indicator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when the lifespan of the specific varistor is over or burnt out,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protrudes, and the indicator switch includes the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hysical switch that operates with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rotruding part protruding through.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의 제2 출력 접점들과 상기 릴레이 사이에, 상기 각 상의 전선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이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는, 상기 다이오드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류에 따라 자화되는 DC 릴레이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a diod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iodes for converting an AC current applied from an electric wire of each phase into a DC current between the second output contac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the relay, The rela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DC relay that is magnetized according to the DC current converted through the diode uni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전원 램프와 알람 램프는,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와 별개로, 상기 서지보호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hase power lamps and alarm lamps are provided in a case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surge protective device, separately from the plurality of varistor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와 별개로, 상기 서지보호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relay, separately from the plurality of varistor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side a case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surge protective devic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부는, 각각 제1 출력 접점에 대응하는 제1 입력 단자와 제2 출력 접점에 대응하는 제2 입력 단자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배리스터의 인디케이터와 연동되는 알람 단자들이며, 상기 제1 입력 단자는,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 외부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전원 램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입력 단자는,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 외부에 형성된 릴레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 units includes a first in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a first output contact point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output contact point, and an alarm terminal interlocked with indicators of different varistors. The first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one of the phase power lamps formed outside the plurality of varistors,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 relay formed outside the plurality of varistors. .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배리스터는, 금속 산화물 배리스터(Metal Oxide Varistor)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varis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oxide varistor (Metal Oxide Varistor).

본 발명에 따른 서지보호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surge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각 상의 상전원 램프가 각 상과 보호도체(PE)(접지) 사이의 전압차가 아닌, 각 상의 선간 전압 차이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고 알람 램프가 릴레이의 자화에 따른 전압차에 의하여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상전원 램프 및 알람 램프가 배리스터의 상태에 따라서만 오프 및 온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배리스터가 정상 작동함에도 불구하고, 델타 결선 방식의 상접지 형태에 따라 특정 상의 상전원 램프가 잘못 오프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배리스터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알람 램프가 온 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hase power lamp of each phase to operate according to the line voltage difference between each phase rather than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each phase and the protective conductor (PE) (ground), and the alarm lamp By making light emitted by the voltag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agnetization of the relay, the phase power lamp and the alarm lamp are turned off and on onl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aristor. Accordingly, even though the varistor operates norm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where the phase power lamp of a specific phase is accidentally turned off according to the phase grounding of the delta connection method or the alarm lamp does not turn on despite a problem in one of the varistors. It can be effective.

도 1은 통상적인 서지보호장치의 외부 및 내부의 외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델타 결선 방식을 사용하는 3상 변압기에서, L1상 접지가 이루어진 통상적인 서지보호장치의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3상 변압기에서 사용되는 Y 결선 방식과 델타 결선 방식에서의 상접지 예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의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MOV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 회로에서, MOV의 소손에 따른 스위칭부의 경로 스위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 회로에서, MOV가 소손된 경우에 릴레이로 전류가 인가되는 전류 흐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external and internal appearances of a typical surge protector.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of a conventional surge protective device in which an L1 phase ground is made in a three-phase transformer using a delta connection method.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examples of phase grounding in a Y connection method and a delta connection method used in a three-phase transformer.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of a surge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of current in a surge protector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V operates normally.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path switching of a switching unit according to burnout of an MOV in a surge protector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flow in which current is applied to a relay when an MOV is burnt out in a surge protector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urg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lso,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in themselves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consists of.” or "includes." Such ter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not be included, or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may be includ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more inclusive.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실시 예들의 조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로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해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 addition,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s well as combinations of embodiments, are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fall with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배리스터의 소손에 의해 동작하는 인디케이터에 연동되는 인디케이터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인디케이터 스위치와 연동하며 어느 한 상(제1상)의 전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다른 한 상(제2상)의 전선에 연결된 상전원 램프에 인가하거나 또는 릴레이로 인가하는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배리스터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상의 전선에 흐르는 전류(제1상 전류)와 제2 상의 전선에 흐르는 전류(제2상 전류)의 전압차에 근거하여 상전원 램프가 온 되도록 하고, 배리스터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상의 전류에 따라 릴레이가 자화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의 자화에 따른 제1상 전류의 전압차에 따라 알람 램프가 온 될 수 있도록 한다. First, in order to help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a switch unit for applying a current applied from a wire of one phase) to a phase power lamp connected to a wire of another phase (second phase) or to a relay. Therefore, when the varistor operates normally, the phase power lamp is turned on based on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phase wire (phase 1 current) and the current flowing in the second phase wire (phase 2 current), When the varistor does not operate normally, the relay is magnetized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first phase. And, the alarm lamp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of the first phase current according to the magnetization of the relay.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의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First, FIG.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of a surge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는 먼저 각 상(L1, L2, L3)의 전선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배리스터(701, 702, 703)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surg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irst include a plurality of varistors 701 , 702 , and 703 respectively connected to wires of the phases L1 , L2 , and L3 .

여기서 상기 각 상(L1, L2, L3)의 전선은 델타 결선 방식이 사용된 3상 변압기의 서로 다른 각 상과 연결된 전선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리스터는 MOV(Metal Oxide Varistor)일 수 있다. 상기 MOV는 전압이 클수록 저항, 즉 임피던스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상태의 전류, 즉 낮은 전압의 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임피던스가 높아져서 접지 전선 대신 부하로 전류를 유입시키고, 서지 전류, 즉 과도한 전압의 전류가 유입되면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낮아져서 접지선으로 서지 전류를 유도하여 대지로 방전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배리스터들은 MOV임을 가정하기로 한다. Here, the wires of the phases L1, L2, and L3 may be wires connected to different phases of a three-phase transformer in which a delta connection method is used. The varistor may be a metal oxide varistor (MOV). The MOV may be formed such that resistance, that is, impedance, decreases as the voltage increases. Therefore, when a steady-state current, that is, a current of low voltage, flows in, the impedance increases and current flows into the load instead of the ground wire.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grou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varistors are MOVs.

한편 각각의 MOV(701, 702, 703)는 수명이 다하거나 소손되는 경우에 이를 표시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는, 각 MOV와 서로 다른 각 상의 전선 사이를 연결하며, 연결된 MOV의 수명 또는 소손 상태에 따라, 각 MOV와 그 MOV가 연결된 각 상의 전선 사이를 연결시키거나(폐쇄 상태) 단선시키는(개방 상태)인디케이터 스위치들(801, 802, 803)을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each of the MOVs 701, 702, and 703 may have an indicator unit capable of displaying the end of life or burnout. In addition, the surg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between each MOV and the wires of each different phase, and connects between each MOV and the wires of each phase to which the MOV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life or burnout state of the connected MOV. Indicator switches 801, 802, and 803 may be provided (closed state) or disconnected (open state).

여기서 상기 인디케이터 스위치들(801, 802, 803)은 각 MOV의 인디케이터에 연동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인디케이터 스위치는 인디케이터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특정 MOV와 그 MOV가 연결된 상의 전선 사이의 접점을 개방하도록 형성된 전기적 스위치일 수 있다. Here, the indicator switches 801, 802, and 803 may be switches linked to indicators of each MOV. For example, the indicator switch may be an electrical switch configured to open a contact between a specific MOV and a phase wire to which the MOV is connected according to an operating state of the indicator unit.

또는 상기 인디케이터 스위치는 인디케이터부에 형성된 홀에서 인출되는 돌출부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동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에 의해 물리적으로 형성된 인디케이터 스위치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인디케이터 스위치가 개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특정 MOV와 그 MOV가 연결된 상의 전선 사이가 단선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indicator switch may be a switch that is physically driven by a protrusion extending from a hole formed in the indicator unit. In this case, whil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dicator switch physically formed by the protruding portion, the contact is released to open the indicator switch. Then, the wire between the specific MOV and the phase to which the MOV is connected may be disconnec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는 어느 한 상(제1상)의 전선과 상전원 램프를 연결시키는 제1 경로 또는 상기 제1상의 전선과 릴레이(600)를 연결시키는 제2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스위치부(301, 302, 303)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스위치부(301, 302, 303)는 각각 서로 다른 인디케이터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인디케이터 스위치에 연동하여 상기 제1 경로와 제2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rge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th connecting a phase power supply lamp and a wire of one phase (phase 1) or a second path connecting the wire of the first phase and the relay 600. 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 units (301, 302, 303) provided. Each of the switch units 301, 302, and 303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indicator switches, and may form one of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in association with the connected indicator switch.

보다 자세하게, 각 스위치는 상기 제1상의 전선과 연결되는 입력 접점과, 상전원 램프와 연결되는 제1 출력 접점, 그리고 릴레이(600)에 연결되는 제2 출력 접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된 인디케이터 스위치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접점과 상기 제1 출력 접점을 연결하여 상기 제1상의 전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상전원 램프와 연결시키는 제1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each switch may have an input contact connected to the wire of the first phase, a first output contact connected to the phase power lamp, and a second output contact connected to the relay 600. Further, when the connected indicator switch maintains a closed state, a first path may be formed connecting the current applied from the wire of the first phase to the phase power lamp by connecting the input contact and the first output contact.

반면 연결된 인디케이터 스위치가 개방된 경우 상기 입력 접점과 상기 제2 출력 접점을 연결하여 상기 제1상의 전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릴레이(600)에 연결시키는 제2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ed indicator switch is opened, a second path may be formed connecting the current applied from the wire of the first phase to the relay 600 by connecting the input contact and the second output contact.

이 경우 제1 스위치부(301)의 입력 접점은 L1 상의 전선과 연결되는 접점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위치부(301)의 제1 출력 접점은 제1 상전원 램프(901)와 연결되는 접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상전원 램프(901)는 다른 상의 전선, 즉 L2 상의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 접점과 상기 제1 출력 접점이 연결되는 경우 L1 상과 L2 상 사이에 제1 상전원 램프(901)가 연결되는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MOV(701)가 정상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L1 상 전선에 흐르는 전류(이하 L1 상 전류)의 전압과 상기 L2 상 전류의 전압 차이에 따라 상기 제1 상전원 램프(901)가 온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put contact of the first switch unit 301 may be a contact connected to the wire of L1. Also, the first output contact point of the first switch unit 301 may be a contact point connected to the first phase power lamp 901 . Here, the first phase power supply lamp 901 may be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of another phase, that is, an electric wire of phase L2. Therefore, when the input contact point and the first output contact point are connected, a circuit in which the first phase power lamp 901 is connected between the L1 phase and the L2 phase can be formed. Accordingly, when the first MOV 701 operates in a normal state, the first phase power supply lamp 901 operates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1 phase wi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1 phase current) and the L2 phase current. can be on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치부(301)의 제2 출력 접점은 다이오드부(400)를 통해 릴레이(600)에 연결되는 접점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MOV(701)가 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소손된 경우, 인디케이터 스위치(801)의 개방에 따라 상기 입력 접점과 상기 제2 출력 접점이 연결되어, L1 상의 전선과 상기 릴레이(60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L1 상 전류가 상기 릴레이(600)의 자화를 위한 구동 전류로 인가될 수 있다. And, the second output contact of the first switch unit 301 may be a contact connected to the relay 600 through the diode unit 400 . Therefore, when the first MOV 701 is exhausted or burnt out, the input contact and the second output contact are connecte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indicator switch 801, so that the wire on L1 and the relay 600 are connected. can Then, the L1 phase current may be applied as a driving current for magnetization of the relay 600 .

한편 제2 스위치부(302)의 입력 접점은 L2 상의 전선과 연결되는 접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위치부(302)의 제1 출력 접점은 제2 상전원 램프(902)와 연결되는 접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상전원 램프(902)는 L3 상의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 접점과 상기 제1 출력 접점이 연결되는 경우 L2 상과 L3 상 사이에 제2 상전원 램프(902)가 연결되는 회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MOV(702)가 정상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L2 상 전류의 전압과 상기 L3 상 전류의 전압 차이에 따라 상기 제2 상전원 램프(901)가 온 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nput contact point of the second switch unit 302 may be a contact point connected to the wire of L2 phase. Also, the first output contact point of the second switch unit 302 may be a contact point connected to the second phase power lamp 902 . Here, the second phase power lamp 902 may be connected to the wire of L3 phase. Therefore, when the input contact and the first output contact are connected, a circuit in which the second phase power supply lamp 902 is connected may be formed between phases L2 and L3, and thus the second MOV 702 is in a normal state. When operating as , the second phase power supply lamp 901 may be turned on according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L2 phase current and the L3 phase current.

그리고 상기 제2 스위치부(302)의 제2 출력 접점은 다이오드부(400)를 통해 릴레이(600)에 연결되는 접점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MOV(702)가 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소손된 경우, 인디케이터 스위치(802)의 개방에 따라 상기 입력 접점과 상기 제2 출력 접점이 연결되어, L2 상의 전선과 상기 릴레이(60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L2 상 전류가 상기 릴레이(600)의 자화를 위한 구동 전류로 인가될 수 있다. And, the second output contact of the second switch unit 302 may be a contact connected to the relay 600 through the diode unit 400 . Therefore, when the second MOV 702 is exhausted or burnt out, the input contact and the second output contact are connecte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indicator switch 802, so that the wire on L2 and the relay 600 are connected. can Then, the L2 phase current may be applied as a driving current for magnetization of the relay 600 .

또한 제3 스위치부(303)의 입력 접점은 L3 상의 전선과 연결되는 접점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스위치부(303)의 제1 출력 접점은 제3 상전원 램프(903)와 연결되는 접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상전원 램프(903)는 L1 상의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 접점과 상기 제1 출력 접점이 연결되는 경우 L3 상과 L1 상 사이에 제3 상전원 램프(903)가 연결되는 회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MOV(703)가 정상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L3 상 전류의 전압과 상기 L1 상 전류의 전압 차이에 따라 상기 제3 상전원 램프(903)가 온 될 수 있다. Also, the input contact of the third switch unit 303 may be a contact connected to the wire of L3. Also, the first output contact point of the third switch unit 303 may be a contact point connected to the third phase power lamp 903 . Here, the third phase power supply lamp 903 may be connected to the wire of L1 phase. Therefore, when the input contact and the first output contact are connected, a circuit in which the third phase power lamp 903 is connected can be formed between the L3 phase and the L1 phase, and thus the third MOV 703 is in a normal state. When operating as , the third phase power supply lamp 903 may be turned on according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L3 phase current and the L1 phase current.

그리고 상기 제3 스위치부(303)의 제2 출력 접점은 다이오드부(400)를 통해 릴레이(600)에 연결되는 접점일 수 있다. 따라서 제3 MOV(703)가 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소손된 경우, 인디케이터 스위치(803)의 개방에 따라 상기 입력 접점과 상기 제2 출력 접점이 연결되어, L3 상의 전선과 상기 릴레이(60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L3 상 전류가 상기 릴레이(600)의 자화를 위한 구동 전류로 인가될 수 있다. And, the second output contact of the third switch unit 303 may be a contact connected to the relay 600 through the diode unit 400 . Therefore, when the third MOV 703 is exhausted or burnt out, the input contact and the second output contact are connecte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indicator switch 803, so that the wire on L3 and the relay 600 are connected. can Then, the L3 phase current may be applied as a driving current for magnetization of the relay 600 .

한편 다이오드부(400)는 복수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며, 각 다이오드를 통해 각 스위치부(301, 302, 303)의 각 제2 출력 접점들에서 인가되는 전류(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각 스위치부(301, 302, 303)의 제2 출력 접점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교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각 상의 교류 전류는 직류 전류로 변환 및 합산되어 릴레이(600)에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MOV가 소손되는 경우에도 상기 릴레이(600)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iode unit 400 includes a plurality of diodes, and can convert current (AC current) applied from the second output contacts of each switch unit 301, 302, and 303 into direct current through each diode. there is. Therefore, as shown in FIG. 4, when AC current is applied from at least one of the second output contacts of each switch unit 301, 302, and 303, the AC current of each phase is converted into DC current and summed to form a relay (600). ) can be applied. Accordingly,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relay 600 even when one MOV is burnt out.

또한 상기 릴레이(600)에 인가되는 전류는 교류 전류가 변환된 직류 전류 이다. 따라서 상기 릴레이(600)는 직류 전류 릴레이 회로, 즉 DC 릴레이일 수 있다. Also, the current applied to the relay 600 is a direct current converted from an alternating current. Accordingly, the relay 600 may be a DC current relay circuit, that is, a DC relay.

한편 본 발명의 서지보호장치의 알람 램프(500)는 상기 릴레이(600)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릴레이(600)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형성되는 전압 차에 따라 상기 알람 램프(500)가 온 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MOV에서 수명 또는 소손으로 인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 스위치가 개방되어, 직류 전류로 변환된 적어도 한 상의 전류가 릴레이(600)로 인가되면, 상기 릴레이(600)에 전류가 입력되는 전류 입력단과 전류가 출력되는 전류 출력단 사이에 형성되는 전압차와 동일한 전압차가 알람 램프(500)에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형성된 전압차에 의해 상기 알람 램프(500)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Meanwhile, the alarm lamp 500 of the surge pro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600. Accordingly, the alarm lamp 500 may be turned on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form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600 . That is, when at least one indicator switch is opened in at least one MOV due to life or burnout, and the current of at least one phase converted to DC current is applied to the relay 600, the current input to the relay 600 A voltage difference equal to a voltage difference formed between an input terminal and a current output terminal through which current is output may be applied to the alarm lamp 500 . Also, the alarm lamp 500 may be switch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by the formed voltage difference.

반면 모든 MOV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릴레이(600)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릴레이(600)의 전류 입력단과 전류 출력단 사이에는 전압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알람 램프(500)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ll MOVs operate normally,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relay 600 . Accordingly, a voltage dif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current input terminal and the current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600, and thus the alarm lamp 500 maintains an off state.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MOV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또는 상기 MOV가 수명이 다하거나 소손되는 경우의 전류 흐름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제1 MOV(701)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a current flow when the MOV operates normally or when the MOV reaches the end of its life or burns ou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the first MOV 70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에서 MOV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의 전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First,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flow when a MOV operates normally in a surge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스위치부(301)는 L1 상의 전선에 연결되는 입력 접점(310)과, L1 상에 연결된 MOV(제1 MOV(701))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1 상전원 램프(901)에 연결되는 제1 출력 접점(311), 그리고 릴레이(600)에 연결되는 제2 출력 접점(3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치부(301)는 상기 제1 MOV(701)의 제1 인디게이터 스위치(801)와 연동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switch unit 301 includes an input contact 310 connected to a wire on L1 and a first phase for indicating the state of an MOV (first MOV 701) connected on L1. A first output contact point 311 connected to the power lamp 901 and a second output contact point 312 connected to the relay 600 may be included. Also, the first switch unit 301 may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indicator switch 801 of the first MOV 701 .

여기서 각 MOV의 인디케이터 스위치에 연동되는 각 스위치부의 입력 접점들은, 각 MOV가 연결되는 상의 전선과 동일한 상의 전선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스위치부와, 그 스위치부의 입력 접점과 동일한 상의 전선에 연결되는 MOV를, 서로 대응하는 관계에 있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각 스위치부에 연결되는 서로 다른 상전원 램프가, 각 스위치부에 대응하는 MOV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input contacts of each switch unit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switch of each MOV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wires of the same phase as wires of the phase to which each MOV is connected. Hereinafter, a switch unit and an MOV connected to a wire of the same phase as an input contact of the switch unit will be described as having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Further, different phase power lamps connected to each switch unit will be described as corresponding to MOVs corresponding to each switch unit.

상기 제1 스위치부(301)는 디폴트(default) 상태로서, 상기 입력 접점(310)과 제1 출력 접점(311) 사이를 연결(제1 경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접점(310)은 제1 상전원 램프(90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상전원 램프(901)는 상기 제1 MOV(701)에 대응하는 관계에 있을 수 있다. The first switch unit 301 is in a default state and can connect (first path) between the input contact point 310 and the first output contact point 311 . Here, the input contact point 3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hase power lamp 901 . Accordingly, the first phase power lamp 901 may have a relationship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V 701 .

한편 상기 제1 상전원 램프(901)는 상기 입력 접점(310)과 연결된 상과 다른 상의 전선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위치부(301)가 디폴트 상태에 있는 경우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입력 접점(310)에 연결된 상(L1), 즉 제1 스위치부(301)에 대응하는 MOV(제1 MOV(701))에 연결된 상(L1, 제1상)의 전선과, 상기 제1상과 다른 상(제2상, L2)의 전선이, 상기 제1 상전원 램프(901)의 양 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상(L1)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전압과, 상기 제2상(L2)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전압차, 즉 선간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상전원 램프(901)가 구동(온) 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phase power lamp 901 may be connected to a wire of a phase different from the phase connected to the input contact 310 . Therefore, when the first switch unit 301 is in the default state, as shown in FIG. 5 , the phase L1 connected to the input contact 310, that is, the MOV (first MOV) corresponding to the first switch unit 301 701), the wire of the phase (L1, phase 1) and the wire of the phase different from the first phase (second phase, L2)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phase power lamp 901 can Therefore, the first phase power lamp 901 is driven (on)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phase (L1) wire and the current flowing in the second phase (L2) wire, that is, the line voltage. It can be.

한편 상기 제1 MOV(70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1 MOV(701)의 인디케이터(도시되지 않음)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MOV(701)의 인디케이터에 연동되는 제1 MOV(701)의 인디케이터 스위치(제1 인디케이터 스위치)(801)는,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폐쇄 상태, 즉 제1 MOV(701)과 상기 제1 MOV(701)에 대응하는 상, 즉 L1 상의 전선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MOV(701)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3상 변압기의 결선 모드에 따른 상 접지 구조와 상관없이, 제1 상전원 램프(901)가 항상 온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first MOV 701 operates normally, an indicator (not shown) of the first MOV 701 may not operate. Therefore, the indicator switch (first indicator switch) 801 of the first MOV 701 linked to the indicator of the first MOV 701 is in a closed state, that is, the first MOV 701, as shown in FIG. and the phas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V 701, that is, the wire of the L1 phase may remain connected. Therefore, when the first MOV 701 operates normally, the first phase power lamp 901 can always be turned on regardless of the phase 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wiring mode of the three-phase transformer.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에서 MOV의 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소손에 따라 스위치부가 경로를 스위칭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에서 스위치부에 의해 경로가 스위칭되는 경우에 릴레이(600)로 전류가 인가되는 전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Meanwhile,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witch unit switches a path according to the end of life or burnout of a MOV in a surg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current applied to the relay 600 when a path is switched by a switch unit in a surge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MOV(701)이 수명을 다하거나 또는 소손되는 경우, 제1 MOV(701)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동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인디케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제1 MOV(701)과 L1 상의 전선을 연결하는 제1 인디케이터 스위치(801)가 개방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인디케이터 스위치(801)에 연동된 제1 스위치부(310)가,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스위치(801)의 개방에 따라, 입력 접점과 연결된 경로를 제1 경로에서 제2 경로로 스위칭할 수 있다. Referring first to FIG. 6 , when the first MOV 701 reaches the end of its life or burns out, an indicator (not shown) indicating a state of the first MOV 701 may be driven. Then, the first indicator switch 801 connecting the first MOV 701 and the wire of L1 may be opened by driving the indicator. Then, the first switch unit 310 linked to the first indicator switch 801 can switch the path connected to the input contact from the first path to the second path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first indicator switch 801. there is.

여기서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입력 접점(310)과 제2 출력 접점(312) 사이를 연결하는 경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입력 접점(310)을 통해 인가된 L1 상의 전류가 제2 경로를 따라 다이오드부(400)에 인가될 수 있다. 그러면 다이오드부(400)는 인가된 L1 상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류를 릴레이(600)에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릴레이(600)에 인가된 직류 전류는 릴레이(600)를 자화시킬 수 있다. Here, the second path may be a path connecting the input contact point 310 and the second output contact point 312 . Therefore, as shown in FIG. 7 , the current on L1 applied through the input contact point 310 may be applied to the diode unit 400 along the second path. Then, the diode unit 400 may convert the applied current on L1 into DC current and apply the converted current to the relay 600 . Also, the DC current applied to the relay 600 may magnetize the relay 600 .

한편 상기 릴레이(600)의 입력단과 출력단은 각각 알람 램프(50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600)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알람 램프(500)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양 단 간에 형성된 전압차에 의해 상기 알람 램프(50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60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alarm lamp 500, respectively. Accordingly,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600 may be equally formed at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alarm lamp 500 . Accordingly, the alarm lamp 500 may be switch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by a voltage difference formed between both ends.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는 보호도체(PE)와의 연결 없이 상기 알람 램프(500)가 구동(온)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서지보호장치는, 어느 하나의 MOV에 소손 또는 수명에 따른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3상 변압기의 결선 모드에 따른 상 접지 구조와 상관없이 알람 램프(500)를 온 시킬 수 있다. That is, in the surge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lamp 500 can be driven (on)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protective conductor (PE), and accordingly, the surge protectiv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MOV When a burnout or an abnormality according to a lifespan occurs in , the alarm lamp 500 may be turned on regardless of the phase 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wiring mode of the three-phase transformer.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MOV(701) 및, 상기 제1 MOV(701)에 대응하는 제1 스위치부(301), 그리고 제1 상전원 램프(90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연결되는 상의 전선 만 다를 뿐, 이와 유사하게 제2 MOV(702) 및, 상기 제2 MOV(702)에 대응하는 제2 스위치부(302), 그리고 제2 상전원 램프(902)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연결되는 상의 전선 만 다를 뿐, 제3 MOV(703) 및, 상기 제3 MOV(703)에 대응하는 제3 스위치부(303), 그리고 제3 상전원 램프(903)에도 상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MOV 701, the first switch unit 301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V 701, and the first phase power lamp 901 have been described as examples, but the connected phase wires However, of course, it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second MOV 702, the second switch unit 30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V 702, and the second phase power lamp 902. Similarly, only the wires of the connected phases are different, and the descriptions described above are also applied to the third MOV 703, the third switch unit 303 corresponding to the third MOV 703, and the third phase power lamp 903. The same can be applied.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각 스위치부(301, 302, 303)를 입력 접점과 제1 출력 접점이 연결되는 제1 경로 또는 상기 입력 접점과 제2 출력 접점이 연결되는 제2 경로로 스위칭하는 구성요소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스위치부들은, 알람 단자(190)의 회로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each of the switch units 301, 302, 303 is a component for switching to a first path in which an input contact point and a first output contact point are connected or a second path in which the input contact point and the second output contact point are connected. Although described, the switch units may have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alarm terminal 190, of course.

도 8은 이처럼 각 스위치부가 복수의 알람 단자의 형태로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의 외관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ppearance of a surge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each switch un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alarm terminals.

여기서 복수의 알람 단자 각각은 서로 다른 MOV 및 각 MOV의 인디케이터(인디케이터 스위치)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MOV의 인디케이터에 연동하여, 인디케이터의 동작 여부에 따라 MOV에 연결된 특정 상의 전류를 상전원 램프에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상의 전류를 다이오드부(400)를 통해 릴레이(600)에 인가할 수 있다.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alarm terminals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different MOVs and indicators (indicator switches) of each MOV. In conjunction with the indicator of each MOV, the current of a specific phase connected to the MOV may be applied to the phase power lamp or the current of the specific phase may be applied to the relay 600 through the diode unit 400 depending on whether the indicator is operating or not. there is.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지보호장치는,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통상적인 서지보호장치의 구성과 같이, 서지보호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외관에 MOV와 별개로 복수의 상전원 램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지보호장치의 케이스 내부에 상기 MOV와 별개로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urge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surge protective device shown in FIG. It may be, and a relay may be included separately from the MOV inside the case of the surge protector.

이 경우 도 8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각 알람 단자는 외부에 형성되는 제1 입력 단자와 제2 입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제1 입력 단자들은 각 스위치부의 제1 출력 접점들에 대응하며, 각 제2 입력 단자들은 각 스위치부의 제2 출력 접점들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입력 단자 각각은, 서지보호장치의 케이스에 형성된 서로 다른 상전원 램프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입력 단자 각각은 서지보호장치의 케이스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 each alarm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formed outside. Here, each of the first input terminals may correspond to first output contacts of each switch unit, and each of the second input terminals may correspond to second output contacts of each switch unit. Each of the first input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phase power lamps formed in the case of the surge protector, and each of the second input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a relay provided separately inside the case of the surge protector.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3상 변압기의 서로 다른 각 상과 연결된 전선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리스터(varistor);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 각각에 구비되며, 배리스터의 이상 여부에 따라 상기 배리스터와 연결된 어느 한 상의 전선 사이의 접점을 개폐하는 복수의 인디케이터 스위치;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 각각에 대응하며, 대응하는 배리스터가 연결된 제1상의 전선과 다른 제2상의 전선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상의 전선이 타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상의 전류와 상기 제2상의 전류 사이의 전압차에 따라 발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상전원 램프;
상기 복수의 인디케이터 스위치에 각각 연동되며 연동된 인디케이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특정 배리스터와 연결된 제1상의 전선을, 상기 특정 배리스터에 대응하는 상전원 램프의 타단과 연결시키거나 릴레이(relay)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스위치부; 및
상기 릴레이의 전류 입력단과 전류 출력단에 각각 입력단과 출력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상의 전류가 상기 릴레이로 인가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의 전류 입력단과 전류 출력단 사이의 전압차에 따라 발광하도록 형성되는 알람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상의 전선과 연결되는 입력 접점;
어느 하나의 상전원 램프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출력 접점; 및,
상기 릴레이와 연결되는 제2 출력 접점을 포함하며,
디폴트(default) 상태로서, 상기 입력 접점과 상기 제1 출력 접점을 연결하며, 상기 스위치부에 연동된 인디케이터 스위치가 특정 배리스터와 어느 한 상의 전선 사이의 접점을 개방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접점을 상기 제2 출력 접점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장치.
A plurality of varistors connected to each of the wires connected to each other of the three-phase transformer;
a plurality of indicator switch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varistors and opening and closing a contact point between wires of one phase connected to the varistor according to whether the varistor is abnormal;
Correspond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aristors, and when one end is connected to a second-phase wire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phase wire to which the corresponding varistor is connected, and the first-phase wir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 first-phase current and the second-phase wire a plurality of phase power lamps configured to emit light according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phase currents;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cator switches is interlocked,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ed indicator switch, the wire of the first phase connected to the specific varisto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hase power lamp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varistor or connected by a relay. a plurality of switch units; and
An alarm lamp formed to emit light according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input terminal and the current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when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current input terminal and the current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respectively, when the current of the first phase is applied to the relay. contains,
The switch unit,
an input contact connected to the wire of the first phase;
a first output contac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ny one phase power lamp; and,
And a second output contact connected to the relay,
In a default state, the input contact and the first output contact are connected, and the input contact is set according to whether an indicator switch linked to the switch unit opens a contact between a specific varistor and a wire of one phase. Surge protect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contac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스위치는,
상기 특정 배리스터가 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소손된 경우 동작하는 상기 특정 배리스터의 인디케이터에 연동하여, 상기 특정 배리스터와 상기 제1상의 전선 사이의 접점을 개방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상전원 램프는,
상기 인디케이터 스위치에 따라 연동되는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라 발광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스위치를 구비하는 상기 특정 배리스터의 상태를 나타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cator switch,
Opening a contact between the specific varistor and the wire of the first phase in conjunction with an indicator of the specific varistor, which operates when the specific varistor reaches the end of its life or is burnt out;
Any one of the phase power lamps,
Surge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indicate the state of the specific varistor having the indicator switch by emitting ligh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switc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특정 배리스터의 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소손된 경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홀(hole)을 구비하며,
상기 인디케이터 스위치는,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되는 돌출부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으로 동작하는 물리적 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indicator i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when the life of the specific varistor is over or burnt out; and,
It has a hol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protrudes,
The indicator switch,
A surge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hysical switch that operates with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rotrusion protruding through th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의 제2 출력 접점들과 상기 릴레이 사이에, 상기 각 상의 전선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이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는,
상기 다이오드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류에 따라 자화되는 DC 릴레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od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iodes between the second output contac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the relay, converting the AC current applied from the wire of each phase into a DC current,
the relay,
Surge protect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C relay magnetized according to the DC current converted through the diod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전원 램프와 알람 램프는,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와 별개로, 상기 서지보호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hase power lamps and alarm lamps,
A surge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case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surge protection device, separately from the plurality of varist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와 별개로, 상기 서지보호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ay,
Apart from the plurality of varistors, the surge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side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surge prot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부는,
각각 제1 출력 접점에 대응하는 제1 입력 단자와 제2 출력 접점에 대응하는 제2 입력 단자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배리스터의 인디케이터와 연동되는 알람 단자들이며,
상기 제1 입력 단자는,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 외부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전원 램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입력 단자는,
상기 복수의 배리스터 외부에 형성된 릴레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switches,
Each includes a first in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put contact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utput contact, and are alarm terminals interlocked with indicators of different varistors,
The first input terminal,
It is connected to one of the phase power lamps formed outside the plurality of varistors,
The second input terminal,
Surge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connected to a relay formed outside the plurality of varist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스터는,
금속 산화물 배리스터(Metal Oxide Varistor)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aristor,
A surge protector characterized by being a metal oxide varistor.
KR1020200189757A 2020-12-31 2020-12-31 Spd(surge protective device) of three phase transformer KR1024889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757A KR102488990B1 (en) 2020-12-31 2020-12-31 Spd(surge protective device) of three phase transfor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757A KR102488990B1 (en) 2020-12-31 2020-12-31 Spd(surge protective device) of three phase transfor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907A KR20220096907A (en) 2022-07-07
KR102488990B1 true KR102488990B1 (en) 2023-01-17

Family

ID=8239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757A KR102488990B1 (en) 2020-12-31 2020-12-31 Spd(surge protective device) of three phase transfor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99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08B1 (en) * 2012-08-07 2013-03-26 엠티엔시 (주) Earth leakage breaker
KR102076297B1 (en) * 2014-10-31 2020-02-11 가부시키가이샤 산코샤 Surge prot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309B1 (en) * 2018-11-02 2020-07-13 삼현씨앤에스 주식회사 Surge protect device comprising two switche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08B1 (en) * 2012-08-07 2013-03-26 엠티엔시 (주) Earth leakage breaker
KR102076297B1 (en) * 2014-10-31 2020-02-11 가부시키가이샤 산코샤 Surge prot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907A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5340C (en) Surge arrester circuit and housing therefor
KR100814514B1 (en) On-load tap changer
US11043344B2 (en) Arc flash reduction maintenance system with pyrotechnic circuit protection modules
US7510429B1 (en) Electrical wiring system with slide-in connector
US7168974B2 (en) Three phase lighted plugs and connectors for indicating the absence of at least one phase
US11043799B2 (en) Dual mode phase-to-phase surge protective devices
CN101897109A (en) Emc filter
JP6134452B1 (en) Light controller with surge protection function
JP2000201433A (en) Power distributing device
US6646839B2 (en) Surge suppressor
KR102488990B1 (en) Spd(surge protective device) of three phase transformer
US9356440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interruption (LCDI) device with ignition containment features
CN114123094A (en) Fire protection switch and method
CN110366804A (en) Circuit breaker system with builtin voltage limiter
CN111696829A (en) Electrical equipment capable of supplying or not supplying power according to on or off state of control component
KR200322546Y1 (en) Common terminal block installed with a current transformer by which a power line failure can be monitored by naked-eyes
KR840001584B1 (en) Wireless emergency power interrupting system for multibranch circuits
CN118020128A (en) Protective switching device
Gurevich Nonconformance in electromechanical output relays of microprocessor-based protection devices under actual operating conditions
US20110018363A1 (en) Current transformer assembly for electromechanical switching device
US8451568B2 (en) Remotely-controllable circuit breaker
JP3013803B2 (en) Switchboard
KR101381427B1 (en) Busbar relay mc module
KR20160071546A (en) Lighting apparatus using pn junction light emitting means
JP2002252922A (en) Lightning arr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