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720B1 -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 Google Patents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720B1
KR102488720B1 KR1020200139079A KR20200139079A KR102488720B1 KR 102488720 B1 KR102488720 B1 KR 102488720B1 KR 1020200139079 A KR1020200139079 A KR 1020200139079A KR 20200139079 A KR20200139079 A KR 20200139079A KR 102488720 B1 KR102488720 B1 KR 102488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as
prevention unit
condensate
seal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021A (ko
Inventor
김학섭
황남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3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7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14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eliminating water
    • F17D3/145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eliminating water in gas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4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for distribution of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공급배관; 상기 가스공급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공급배관에서 유입되는 부생가스 및 응축수가 일정높이 채워지는 드레인배관; 상기 드레인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가 담수되는 실포트; 상기 실포트와 연결되어 일정높이의 상기 응축수가 담수되는 오버플로우배관; 상기 오버플로우배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를 응축수집수조로 배출하는 응축수배출배관; 상기 오버플로우배관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응축수배출배관의 일측 끝단 하부에 위치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Seal port with gas blowout preventer}
본 발명은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버플로우배관의 일측에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됨으로서, 부생가스가 대기 중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생가스는 열원으로 재사용되며, 고로의 특성에 따라 고유의 불순물 및 응축수를 포함한다. 따라서, 부생가스의 배관경로 상에는 부생가스에 포함된 불순물 및 응축수를 걸러 배출하면서도 부생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장치로서, 응축수 및 부생가스의 유체압에 따라 작동되는 실포트(seal pot)가 주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 실포트는 대기 중으로 가스가 방출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수봉(water sealing)되어 있으며, 배관의 정상압력 상태에서 수봉수(water for water sealing)에 의한 가스 차단은 효과적이다.
하지만, 상기 실포트는 배관의 이상압력이 발생되면 수봉수를 통해 가스를 배출하는데, 이 때에 배관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 배출되는 가스와 함께 수봉수가 유출되면 상기 실포트의 수봉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의 정상압력 상태에서도 수봉수에 의해 가스가 차단되지 못하고, 부생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방출은 작업자의 가스 중독, 폭발, 화재 등의 위험을 야기한다.
더욱이, 작업자는 상기 실포트는 제철공정에 다수 제공되기 때문에 어느 지점의 실포트가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고 있는지 신속하게 인지하기 어려우며, 상기 실포트의 수봉수를 재충전하기 위하여 실포트 드레인 배관의 밸브를 개방하는 위험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35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공급배관 내에 과압력이 발생한 경우, 오버플로우배관의 일측에 설치된 가스분출방지유닛에 의해 가스가 대기 중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분출방지유닛에 의해 가스가 대기 중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가스 누출로 인한 화재, 폭발, 가스중독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스공급배관;
상기 가스공급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공급배관에서 유입되는 부생가스 및 응축수가 일정높이 채워지는 드레인배관;
상기 드레인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가 담수되는 실포트;
상기 실포트와 연결되어 일정높이의 상기 응축수가 담수되는 오버플로우배관;
상기 오버플로우배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를 응축수집수조로 배출하는 응축수배출배관;
상기 오버플로우배관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응축수배출배관의 일측 끝단 하부에 위치되는 가스분출방지유닛;
을 포함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분출방지유닛은,
제1승하강볼차단캡;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의 상부에 구비되는 단관;
상기 단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승하강볼차단캡;
상기 단관의 내부에 구비되는 승하강볼;
상기 승하강볼의 상부에 형성되는 소켓;
상기 소켓과 결합되고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의 상부 끝단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파일럿바;를 포함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버플로우배관의 상부 일측에 리밋스위치가 구비되되,
상기 리밋스위치는,
상기 파일럿바의 상부 끝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일럿바의 길이방향으로 무게추가 삽입되고, 상기 파일럿바의 끝단에 상기 무게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가 고정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의 내측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연속적인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의 내측은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의 내측과 상하대칭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일럿바의 끝단에 수위계가 설치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레인배관의 상부에 제1밸브가 설치되고, 하부에 제2밸브가 설치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의 일측에 제3밸브가 더 설치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에 따르면, 가스공급배관 내에 과압력이 발생한 경우, 오버플로우배관의 일측에 설치된 가스분출방지유닛에 의해 가스가 대기 중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분출방지유닛에 의해 가스가 대기 중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가스 누출로 인한 화재, 폭발, 가스중독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분출방지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분출방지유닛의 부분 결합사시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분출방지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분출방지유닛의 부분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는 크게 가스공급배관(10)과, 드레인배관(20)과, 실포트(30)와, 오버플로우배관(40)과, 응축수배출배관(50)과, 응축수집수조(60) 및 가스분출방지유닛(1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먼저, 상기 가스공급배관(10)은, 부생가스가 열원으로 재사용되도록 이동되는 통로로서 제철소 조업 중에 발생한 부생가스를 공급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가스공급배관(10)에서는 부생가스와 더불어 부생가스로 인해 응축된 응축수(W)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응축수(W)는 이하 설명될 드레인배관(20)을 따라 실포트(30) 측으로 포집하게 된다.
상기 드레인배관(20)은, 상기 가스공급배관(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공급배관(10)에서 유입되는 부생가스 및 응축수(W)가 일정높이 채워지게 된다.
즉, 상기 드레인배관(20)은 상기 가스공급배관(10)의 내부에서 부생가스와 함께 이동되는 응축수(W)가 자중에 의해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레인배관(20)의 상부에 제1밸브(V1)가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배관(20)의 하부에 제2밸브(V2)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드레인배관(2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어 응축수(W)가 상기 가스공급배관(10)의 내부에 일정량 고이게 되면 개방되어 응축수(W)를 상기 드레인배관(20)을 따라 자중에 의해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드레인배관(20)의 길이방향 하측에 설치되어 이하 설명될 실포트(30)에 포집된 응축수(W)가 범람하여 상기 드레인배관(20)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포트(30)는, 상기 드레인배관(20)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W)가 담수되는데, 이러한, 상기 실포트(30)는 응축수(W)를 배출시키게 되며, 상기 가스공급배관(10) 내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실포트(30)는 상기 가스공급배관(10)에 과압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실포트(30)로 부생가스가 분출되어 상기 가스공급배관(10) 및 공장의 용광로를 보호하는 구성이다.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은, 상기 실포트(30)와 연결되어 일정높이의 상기 응축수(W)가 담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은 상기 실포트(30)에 포집된 응축수(W) 및 상기 응축수(W)와 함께 상기 실포트(30)에 유입된 부생가스가 함께 배출되는 통로이다.
한편, 상기 가스공급배관(10) 내의 정상압력 상태에서 상기 실포트(30)에 가득 채워진 응축수(W)는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까지 채워진다. 여기서, 상기 가스공급배관(10) 내의 정상압력 상태 및 이상압력 상태의 판단기준이 되는 압력은 부생가스 및 응축수(W)의 합력일 수 있다.
상기 응축수배출배관(50)은,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W)를 응축수집수조(60)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응축수배출배관(50)은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으로부터 분기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응축수배출배관(50)의 끝단은 상기 응축수집수조(60)와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배출배관(50)에 유입된 응축수(W)는 자중에 의해 상기 응축수집수조(60)에 배출되고, 상기 응축수집수조(60)에 응축수가 포집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스공급배관(10) 내의 정상압력 상태에서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에 채워지는 응축수(W)는 상기 응축수배출배관(50)이 분기되는 지점까지 채워지게 된다.
상기 가스분출방지유닛(100)은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응축수배출배관(50)의 일측 끝단 하부에 위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가스분출방지유닛(100)은 제1승하강볼차단캡(110)과,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단관(120)과, 상기 단관(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승하강볼차단캡(130)과, 상기 단관(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승하강볼(140)과, 상기 승하강볼(140)의 상부에 형성되는 소켓(150)과, 상기 소켓(150)과 결합되고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의 상부 끝단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파일럿바(16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가스분출방지유닛(100)은 상기 단관(120)을 기준으로 상기 단관(120)의 상부에는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이 구비되고, 상기 단관(120)의 하부에는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의 일측은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의 일측과 연결되는 하부플렌지(111)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하부플렌지(111)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의 일측은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의 타측과 연결되는 상부플렌지(131)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상부플렌지(131)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의 내측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연속적인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의 내측은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의 내측과 상하대칭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과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의 내측은 수직 단면이 "ㅅ"형상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연속적인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의 내측은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의 내측과 상하대칭의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가스공급배관(10)으로 부터 유입되는 부생가스와 응축수(W)의 과압력으로 인하여 이하 설명될 승하강볼(140)의 승하강 시 상기 승하강볼(140)의 상부와 하부 일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의 일측에 제3밸브(V3)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3밸브(V3)는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에 채워지는 응축수(W)의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3밸브(V3)는 바람직하게 솔레노이드밸브로 설치됨으로서, 이하 설명될 리밋스위치(170)와 연동되어 상기 가스공급배관(10)으로 부터 유입되는 부생가스와 응축수(W)가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관(120)은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의 상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단관(120)의 상부 끝단 둘레와 하부 끝단 둘레에는 가스켓 또는 시일 등의 실링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과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의 일측에 구비됨으로서 부생가스와 응축수(W)가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승하강볼(140)은 상기 단관(120)의 내부에 구비되는데, 상기에서 설명한 제1승하강볼차단캡(110)과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의 형상으로 인해 상기 가스공급배관(10)으로 부터 유입되는 가스의 과압력으로 인한 상기 승하강볼(140)의 승하강 시, 상기 승하강볼(140)의 상부와 하부 일측이 각각 지지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승하강볼(140)은 상기 가스공급배관(10)으로 부터 유입되는 부생가스와 응축수(W)가 일정압력으로 유입될 경우, 상기 승하강볼(140)은 중력에 의해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응축수(W)의 유량을 조절하게 되고, 상기 가스공급배관(10)으로 부터 유입되는 부생가스와 응축수(W)가 과압력으로 유입될 경우, 상기 승하강볼(140)은 과압력에 의해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의 내측으로 부상하여 부생가스와 응축수(W)의 유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승하강볼(140)은 상기 가스공급배관(10)으로 부터 유입되는 부생가스와 응축수(W)의 유입 압력에 의해 부상하거나 하강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상기 가스공급배관(10)으로 부터 유입되는 부생가스와 응축수(W)의 외부유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승하강볼(140)은 구 형태로 제작되어 상술된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과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의 내측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승하강볼(14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어 응축수(W)와의 접촉 시 상기 승하강볼(140)의 외부면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볼(140)의 외부면에 녹이 슬게 되면,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과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의 내측과 상호 접촉될 경우, 접촉면이 고르지 않아 부생가스와 응축수(W)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상기 승하강볼(140)은 녹이 슬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승하강볼(140)의 상부에는 소켓(15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소켓(150)은 이하 설명될 파일럿바(160)와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소켓(150)은 상기 승하강볼(14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승하강볼(140)의 상부 내측으로 매설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파일럿바(160)는, 상기 소켓(150)과 결합되는데, 상기 파일럿바(16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파일럿바(160)의 끝단과 상기 소켓(150)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일럿바(160)는,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130)의 상부 끝단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파일럿바(160)의 끝단에는 수위계(G)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수위계(G)는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에 채워진 응축수(W)의 수위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스공급배관(10)으로 부터 유입되는 부생가스와 응축수(W)가 과압력으로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으로 유입될 경우, 상기 승하강볼(140)의 부상과 동시에 상기 파일럿바(160)의 승강으로 인해 상기 수위계(G)가 일정수위 이상임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위계(G)는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되어 작업자에게 응축수(W)의 수위를 알릴 수 있는데, 상기 수위계(G)는 붉은색으로 제작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파일럿바(160)의 길이방향으로는 무게추(180)가 삽입되고, 상기 파일럿바(160)의 끝단에는 상기 무게추(1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190)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게추(180)는 상기 파일럿바(160)의 외주면에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무게추(180)의 중앙 길이방향이 천공된 원통형상 또는 각진통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무게추(180)를 상기 파일럿바(160)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무게추(180)는 상술된 상기 승하강볼(140)의 부상높이 즉,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의 내측과 맞닿고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의 내부에 일정압력이 가해지면 부상되는 무게를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승하강볼(140)이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의 내측과 맞닿지 않고 부상되는 경우, 상기 무게추(180)를 상기 파일럿바(160)의 외주면에 일정무게 만큼 삽입하여 상기 승하강볼(140)을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의 내측과 맞닿을 수 있도록 무게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볼(140)이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의 내측과 맞닿지만,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의 내부에 일정압력이 가해져도 상기 승하강볼(140)이 부상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무게추(180)를 상기 파일럿바(160)의 외주면에서 일정무게 만큼 탈거하여 상기 승하강볼(140)이 일정압력에 의해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110)의 내측으로 부터 부상될 수 있도록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게추(180)는 상기 파일럿바(160)의 외주면에 복수개 삽입되거나 탈거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 무게추(1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190)가 고정함으로서 상기 승하강볼(140)의 부상 및 하강에 필요한 적정무게를 가감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의 상부 일측에 리밋스위치(170)가 구비되되, 상기 리밋스위치(170)는, 상기 파일럿바(160)의 상부 끝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리밋스위치(170)의 상부 끝단에는 센서(171)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센서(171)는 근접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센서(171)가 상기 파일럿바(160)의 상부 끝단과 접촉하게 되면 부저 등으로 알림할 수 있고, 별도로 구비되는 제어부와 연동되어 작업공정을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리밋스위치(170)는, 상기 가스공급배관(10)으로 부터 유입되는 부생가스와 응축수(W)가 과압력으로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으로 유입될 경우, 상기 승하강볼(140)의 부상과 동시에 상기 파일럿바(160)의 상승이 이루어지고, 상기 파일럿바(160)의 끝단과 상기 리밋스위치(170)가 접촉됨으로서 상술된 상기 수위계(G)와 더불어 위험수위임을 작업자에게 신속히 알림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밋스위치(170)는 상술된 상기 제3밸브(V3)와 연동되어 있으므로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에 상기 가스공급배관(10)으로 부터 과압력으로 유입되는 부생가스와 응축수(W)의 유입을 즉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에 따르면, 상기 가스공급배관(10) 내에 과압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오버플로우배관(4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가스분출방지유닛(100)에 의해 가스가 대기 중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스분출방지유닛(100)에 의해 가스가 대기 중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가스 누출로 인한 화재, 폭발, 가스중독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가스공급배관 20 : 드레인배관
30 : 실포트 40 : 오버플로우배관
50 : 응축수배출배관 60 : 응축수집수조
100 : 가스분출방지유닛 110 : 제1승하강볼차단캡
111 : 하부플렌지 120 : 단관
130 : 제2승하강볼차단캡 140 : 승하강볼
150 : 소켓 160 : 파일럿바
170 : 리밋스위치 171 : 센서
180 : 무게추 190 : 너트
W : 응축수 G : 수위계
V1 : 제1밸브 V2 : 제2밸브
V3 : 제3밸브

Claims (8)

  1. 가스공급배관;
    상기 가스공급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공급배관에서 유입되는 부생가스 및 응축수가 일정높이 채워지는 드레인배관;
    상기 드레인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가 담수되는 실포트;
    상기 실포트와 연결되어 일정높이의 상기 응축수가 담수되는 오버플로우배관;
    상기 오버플로우배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를 응축수집수조로 배출하는 응축수배출배관;
    상기 오버플로우배관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응축수배출배관의 일측 끝단 하부에 위치되는 가스분출방지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분출방지유닛은,
    제1승하강볼차단캡;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의 상부에 구비되는 단관;
    상기 단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승하강볼차단캡;
    상기 단관의 내부에 구비되는 승하강볼;
    상기 승하강볼의 상부에 형성되는 소켓;
    상기 소켓과 결합되고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의 상부 끝단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파일럿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배관의 상부 일측에 리밋스위치가 구비되되,
    상기 리밋스위치는,
    상기 파일럿바의 상부 끝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바의 길이방향으로 무게추가 삽입되고, 상기 파일럿바의 끝단에 상기 무게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의 내측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연속적인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의 내측은 상기 제2승하강볼차단캡의 내측과 상하대칭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바의 끝단에 수위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배관의 상부에 제1밸브가 설치되고, 하부에 제2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승하강볼차단캡의 일측에 제3밸브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KR1020200139079A 2020-10-26 2020-10-26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KR102488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79A KR102488720B1 (ko) 2020-10-26 2020-10-26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79A KR102488720B1 (ko) 2020-10-26 2020-10-26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021A KR20220055021A (ko) 2022-05-03
KR102488720B1 true KR102488720B1 (ko) 2023-01-13

Family

ID=8159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079A KR102488720B1 (ko) 2020-10-26 2020-10-26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7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647Y1 (ko) 2000-05-18 2000-12-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실포트
JP2011506856A (ja) 2008-03-28 2011-03-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重配管装置
KR101382167B1 (ko) 2012-12-27 2014-04-08 주식회사 포스코 부생가스 이송배관의 이상압력 해소장치
KR101606985B1 (ko) 2014-05-29 2016-03-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일포트장치
KR102023594B1 (ko) 2017-12-26 2019-09-20 주식회사 포스코 실포트의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650B1 (ko) * 2011-05-13 2012-11-23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배관의 시일포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647Y1 (ko) 2000-05-18 2000-12-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실포트
JP2011506856A (ja) 2008-03-28 2011-03-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重配管装置
KR101382167B1 (ko) 2012-12-27 2014-04-08 주식회사 포스코 부생가스 이송배관의 이상압력 해소장치
KR101606985B1 (ko) 2014-05-29 2016-03-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일포트장치
KR102023594B1 (ko) 2017-12-26 2019-09-20 주식회사 포스코 실포트의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021A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07608A1 (en) Valve assembly
US4011884A (en) Liquid-level valving device particularly useful as automatic relief valve
KR101787965B1 (ko) 가스 배관의 수봉변 감지 장치
US8668105B2 (en) Buoyant plug for emergency drain in floating roof tank
US4926898A (en) Safety choke valve
US20140182702A1 (en) Automatic Air Vent For Fire Suppression Wet Pipe System And Method Of Venting A Fire Suppression Wet Pipe System
KR102488720B1 (ko) 가스분출방지유닛이 설치된 실포트
US3699999A (en) Vertical jet breather valve
CA2886089C (en) Combination air valve
KR101382167B1 (ko) 부생가스 이송배관의 이상압력 해소장치
KR102007527B1 (ko) 수위감지장치
KR101961472B1 (ko) 압축공기 잔존여부의 육안 확인이 가능한 수계소화설비의 압력챔버
US20160305918A1 (en) Piston and process column
KR101363994B1 (ko) 저압 가스 안전변 시스템
KR102080673B1 (ko) 소화 설비용 부력식 유수검지장치
JP6898202B2 (ja) 補修弁の漏れ量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
KR102112624B1 (ko) 가스관의 수봉 상태 유지 장치
KR20020061599A (ko) 액화가스용기
KR20040104093A (ko)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CN220792779U (zh) 一种除氧器溢流口防喷气装置
KR101673947B1 (ko) 가스처리장치 및 가스처리방법
CN203763905U (zh) 一种水封罐撇油装置
CN220633423U (zh) 排料废气收集装置和排料废气收集系统
KR20180011093A (ko) 누설 방지 디바이스 및 그러한 디바이스가 제공되는 액체를 운송하기 위한 탱크
KR20110011381U (ko) 안전인식수단이 설치된 맨홀덮개를 구비하는 압력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