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400B1 - Ground pressure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ir lidar - Google Patents

Ground pressure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ir lid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400B1
KR102488400B1 KR1020220143482A KR20220143482A KR102488400B1 KR 102488400 B1 KR102488400 B1 KR 102488400B1 KR 1020220143482 A KR1020220143482 A KR 1020220143482A KR 20220143482 A KR20220143482 A KR 20220143482A KR 102488400 B1 KR102488400 B1 KR 102488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ating
geographic information
information data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태
이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Priority to KR1020220143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4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4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ndslide measurement and risk warning system using an aerial lidar, which includes: functional units which use a drone unit provided with an RGB camera installed with an airborne lidar sensor to photograph and measur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of areas expected to be congested, convert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to 3D modeling, and inform the level of a risk; and a seating unit and an opening/closing unit which operate in network with the functional units.

Description

항공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Ground pressure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ir lidar}Ground pressure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ir lidar

본 발명은 항공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 라이다 센서가 설치된 RGB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 유닛을 이용하여 땅밀림 예상 지역의 지형정보 데이터를 촬영하여 측정 후 3D 모델링으로 변환하여 위험 수준을 알려주는 기능부들과, 이들과 네트워크적으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안착 유닛 및 개폐 유닛이 구비된 항공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dslide measurement and risk warning system using an aerial lidar,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drone unit equipped with an RGB camera equipped with an aerial lidar sensor to photograph geographic information data of an area expected to landslides. It relates to a ground clearance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n airborne lidar equipped with functional units that convert into 3D modeling after measurement to inform the risk level, and a landing unit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m in a network manner.

땅밀림이란 땅속 깊은 곳에 위치한 점토층이나 지하수가 상승하며 토층(土層) 전체가 천천히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Landslid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clay layer located deep in the ground or groundwater rises and the entire soil layer moves slowly.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 및 화산, 지진 등의 지각활동, 산지개발에 따른 산지토사재해의 증가로 이에 대한 예방과 대응이 최대의 관심사항이다. 국내 산지토사재해는 크게 표층붕괴, 토석류, 땅밀림 총 3가지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 중 땅밀림에 관한 논의는 1996년도부터 시작되었고, 이때 땅밀림에 대한 정의는 활동면 위의 토괴가 일체로 미끄러지는 산사태의 한 형태로 이동속도는 0.01~10mm/day의 속도가 느린 특징을 가진다. 특히, 산지개발을 위한 벌채, 토석채취 등의 산지전용 증가는 난개발을 야기하며, 이와 동시에 인위적 훼손지에서 땅밀림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땅밀림 발생지는 대부분 생활권과 인접하여 발생하며, 그 피해규모가 커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Due to recent climate change, localized torrential rains, tectonic activities such as volcanoes and earthquakes, and landslides in mountainous areas have in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ountainous areas, prevention and response are of the greatest interest. Landslides in domestic landslid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urface layer collapse, debris flows, and landslides. Among them, the discussion on landslides began in 1996, and the definition of landslides at this time was a form of landslide in which land masses on the active surface slide integrally, and the movement speed was characterized by a slow speed of 0.01 to 10mm/day. have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conversion of mountainous areas, such as logging and earth and stone collection for mountain development, causes reckless development, and at the same time, landslides in artificially damaged lands tend to increase. Most landslides occur adjacent to living areas, and the scale of damage is large, so it is urgent to prepare countermeasures.

그러나 국내에서 땅밀림 발생지에 대한 조사체계마련과 지침 및 규정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땅밀림 원인, 발생규모, 원인, 진행상황 등의 기초정보 구축 및 안전 대책마련을 위한 구체적인 조사방법 제시가 우선되어야 한다.However, there is no investigation system, guidelines, and regulations for landslide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the establishment of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cause of landslide, scale of occurrence, cause, progress, etc., and the presentation of detailed investigation methods to prepare safety measures.

이에 본 발명은 항공라이다 센서가 설치된 RGB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 유닛을 이용하여 땅밀림 예상 지역의 지형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분석하고 이를 3D 모델링으로 변환하여 단말기로 경고하는 기능부들이 구축된 측정 서버와, 이들과 네트워크적으로 연동되어 드론 유닛의 착륙과 카메라 보호까지 겸비한 특수 제작된 드론 유닛을 제시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rone unit equipped with an RGB camera equipped with an aerial lidar sensor to obtain and analyz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of an area where landslide is expected, converting it into 3D modeling, and measuring server with built-in functional units that warn the terminal. Wow, I would like to present a specially manufactured drone unit that is networked with them and combines the landing of the drone unit and camera prote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공 라이다 센서가 설치된 RGB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 유닛을 구비한 항공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 clearance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n aerial lidar equipped with a drone unit equipped with an RGB camera equipped with an aerial lidar sensor. is to d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론 유닛을 이용하여 촬영한 지형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땅밀림 예상 수준을 3D 모델링으로 변환하여 경고하는 측정 서버가 구비된 항공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taken using a drone unit and convert the predicted level of landslide into 3D modeling to provide a warning system for landslide measurement and risk warning using an aerial lida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server.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정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동되어 드론 유닛의 착륙을 보조하는 안착 유닛이 구비된 항공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 clearance measurement and risk warning system using an aerial lidar equipped with a landing unit that assists the landing of a drone unit by being network-linked with a measurement serv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정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동되어 드론 유닛에 설치된 RGB 카메라를 보호하는 개폐 유닛이 구비된 항공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 clearance measurement and risk warning system using an aerial lidar equipped with an opening/closing unit that protects an RGB camera installed in a drone unit by networking with a measurement server.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은 항공 라이다 센서가 설치된 RGB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 유닛으로 촬영한 지형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땅밀림을 측정하고 경고하는 측정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ystem for measuring landslides and warning danger using an aerial li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errain information data captured by a drone unit equipped with an RGB camera equipped with an aerial lidar sensor to detect landslides. It can include a measurement server that measures and alert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서버는 촬영한 지형정보 로우데이터를 저장하는 지형정보 DB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지형정보 로우데이터에서 특정 지형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는 지형정보 획득부, 상기 지형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특정 지형정보 데이터를 분석하는 지형정보 분석부, 상기 지형정보 분석부에서 분석한 지형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땅밀림을 예상하기 위해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 상기 변위 측정부에서 측정된 변위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정보 데이터를 3D 모델링으로 변환하는 3D 변환부, 상기 3D 변환부에서 변환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반 변위가 기설정된 위험수준에 도달하면 단말기에 위험 경보를 송신하는 위험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asurement server includes a geographic information DB unit for storing raw geographic information data captured by the camera, a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obtains specific geographic information data from raw geographic information data captured by the camera, and obtain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A geographic informatio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specific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cquired by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alysis unit, a displacement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displacement to predict landslide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alyzed by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alysis unit, and is measured by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unit. A 3D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to 3D modeling based on the displacement data, and a danger that sends a danger alert to the terminal when the ground displacement reaches a preset risk level based on the 3D modeling data converted by the 3D conversion unit. It may include a management departm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서버는 상기 항공 라이다 센서가 설치된 RGB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형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지형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지형정보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지형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변위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정보 데이터를 3D 모델링으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반 변위를 기설정된 위험수준과 비교하는 단계, 지반 변위가 기설정된 위험수준에 도달하면 상기 단말기에 위험 경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asurement server includ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the terrain using an RGB camera in which the aerial lidar sensor is installed, acquiring the photograph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alyzing the acquir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analyzing the analyzed terrain. Measuring displacement based on information data, converting geospatial information data into 3D modeling based on the measured displacement data, comparing ground displacement with a preset risk level based on the converted 3D modeling data, groun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nding a danger alert to the terminal when the displacement reaches a preset danger leve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 유닛은 상기 측정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비행 가능한 드론 몸체, 상기 드론 몸체의 사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비행이 가능한 동력을 생성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 유닛의 하강 안착을 보조하는 안착 유닛, 상기 드론 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장착된 상기 카메라를 승하강하여 보호하고 촬영 가능하게 하는 개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one unit includes a drone body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server and capable of flight, a wing part extending in all directions of the drone body to generate power for flight, and installed inside the wing part, It may include a landing unit that assists the descent and landing of the drone unit,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that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drone body to protect the mounted camera by moving up and down and enable shoot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날개부는 실린더 형상의 날개 몸체, 상기 날개 몸체의 말단부에 비행 가능한 회전력을 생성하는 프로펠러, 상기 날개 몸체의 일 측에 상기 안착 유닛을 권출하기 위한 권출홈, 상기 날개 몸체의 타 측에 상기 안착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축홈, 상기 축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정을 위한 자력을 생성하는 고정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ing unit includes a cylinder-shaped wing body, a propeller generating rotational force capable of flying at the distal end of the wing body, an unwinding groove for unwinding the seating unit on one side of the wing body, and the other side of the wing body. It may include a shaft groove for fixing the seating unit on the side, and a stationary magnet installed inside the shaft groove to generate magnetic force for fix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 유닛은 상기 날개 몸체 내부에 제어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안착 롤러, 상기 안착 롤러에 권취되고 상기 권출홈을 통해 권출하여 상기 축홈에 고정되도록 말단부에 고정축이 형성된 안착 막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t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wing body to rotate by control, a seating roller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wound around the seating roller through the unwinding groove. It may include a seating film having a fixing shaft formed at an end portion to be unwound and fixed to the shaft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안착 롤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 롤러는 내부에 형성된 돌기홈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착 막의 권출 및 권취를 보조하기 위해 구비된 흡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ng shaft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seating roller, and the seating roller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a protrusion groove formed therein to assist in unwinding and winding of the seating film. can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안착 롤러에 승강 가능하게 나사산을 따라 삽입되는 복수 개의 흡착 돌기, 복수 개의 상기 흡착 돌기 각각에 연장 형성되어 흡착으로 인한 공기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일체로 연통되어 흡착으로 인한 공기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파이프, 상기 안착 롤러의 측부에 통공되어 상기 가이드 파이프에서 이동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dsorp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adsorption protrusions that are inserted along the screw threa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n the seating roller, a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adsorption protrusions and guiding air movement due to adsorption, and the guide unit. It may include a guide pipe integrall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o move air due to adsorption, and an outlet through a side of the seating roller to discharge the air moving in the guide pi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 유닛은 상기 측정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수집 후 비행 종료 시 상기 측정 서버를 통한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여 상기 안착 롤러가 권취된 상기 안착 막을 권출하고, 일 날개부에서 권출된 상기 안착 막의 상기 고정축이 타 날개부의 상기 축홈에 끼워져 상기 고정자석의 자력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안착 막의 권취 및 권출 시 복수 개의 상기 흡착 돌기,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따라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흡착 돌기가 상기 안착 막을 흡착하고,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통해 상기 배출구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t unit is networked with the measurement server, and when the flight ends after data collectio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rough the measurement server to unwind the seat film on which the seat roller is wound. , the fixing shaft of the seating film unwound from one w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haft groove of the other wing portion and fix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stationary magnet, and the plurality of adsorption protrusions, the guide portion, and the Air is sucked in along the guide pipe, the suction protrusion adsorbs the seating film, and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guide pipe to the outle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드론 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를 수용 가능한 수용 홈, 상기 수용 홈의 하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커버, 상기 수용 홈에 일정 간격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 복수 개의 승강 실린더, 상기 수용 홈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승강 실린더와 체결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부, 복수 개의 상기 승강 실린더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를 고정하는 브라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ncludes an accommodating groov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one body and accommodating the camera, a sliding cover installed to be slidably opened and cl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groove,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accommodating groove.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fting cylinders insert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 rotat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and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lift cylinders to be rotatable, and a bracket part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rality of lift cylinders to fix the camera. there i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홈은 양 측에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커버 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부는 복수 개의 상기 승강 실린더의 말단부에 설치되고, 양 측부에 브라켓 날개가 형성된 카메라 브라켓,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카메라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groove has cover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the sliding cover can slide, the bracket portion is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rality of lifting cylinders, and a camera bracket having bracket wings formed on both sides, the It may include a plate portion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mera bracket and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mera to mitigate impact transmitted to the camera.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브라켓 플레이트,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가 안착 결합되도록 안착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 결합체, 상기 안착 홈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결합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탄성력을 생성하는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ate unit includes a plate-shaped bracket plate installed under the camera bracket, a plate assembly having a seating groove for the bracket plate to be seated and coupled, and a plurality of plates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the bracket. It may include a buffer spring generating an elastic force to mitigat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plate and the plate assembly.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측정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수집을 위해 상기 측정 서버 작동 시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위해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 가능하고, 제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 가능하고, 제어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실린더가 승강 가능하면서 상기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고, 상기 카메라를 향해 충격 발생 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결합체를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완충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고, 상기 카메라 브라켓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고정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network-connected to the measurement server and can be controlled through a controller to capture the camera when the measurement server operates for data collection, and the sliding cover can be opened and closed by control. , while the plurality of cylinders can be moved up and down by control, the rotating part can be rotated, and when an impact occurs toward the camera, the impact is mitig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lurality of buffer springs along the bracket plate and the plate assembly, A feature of fixing the camera by a camera bracke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 라이다 센서가 설치된 RGB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 유닛을 이용하여 땅밀림 예상 지역의 지형정보 데이터를 촬영하여 측정 후 3D 모델링으로 변환하여 위험 수준을 알려주는 기능부들과, 이들과 네트워크적으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안착 유닛 및 개폐 유닛이 구비된 항공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drone unit equipped with an RGB camera equipped with an aerial lidar sensor, geographic information data of an area expected to be congested is photographed and converted into 3D modeling after measurement to inform the level of risk, and these A ground rollover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n aerial lidar equipped with a landing unit and an opening/closing unit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 network is provided.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전체적인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측정 서버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촬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드론 유닛의 전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안착 유닛의 상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안착 유닛의 안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개폐 유닛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개폐 유닛의 조립도 및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relationship of a ground clearance measurement and risk warning system using an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of a measurement server of a ground clearance measurement and risk warning system using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xample of photographing a system for measuring ground clearance and warning a danger using an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overall embodiment of the drone unit of the ground clearance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detailed embodiments of the landing unit of the land movement measurement and risk warning system using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 embodiment of the seating unit of the ground rolling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n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embodiments of an opening/closing unit of a ground rolling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n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 assembly diagram and other embodiments of an opening and closing unit of a ground rolling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n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Certain embodiments may be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The terminology described above is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Meanwhile, a “module” or “unit” for a component used in this specification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a "module" or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r operation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or “units” other than “modules” or “units” to be executed in specific hardware or to be executed in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abbreviated or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전체적인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relationship of a ground clearance measurement and risk warning system using an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은 항공라이다 센서가 장착된 RGB 카메라(100)가 설치된 드론 유닛(200) 및 측정 서버(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landslide measurement and risk warning system using aerial lidar may include a drone unit 200 equipped with an RGB camera 100 equipped with an aerial lidar sensor and a measurement server 10.

이때, 측정 서버(10)는 항공라이다 센서가 장착된 카메라가 설치된 드론 유닛(200)을 이용하여 지형을 촬영하여 땅밀림을 측정하고 경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asurement server 10 may measure and warn the landslide by photographing the terrain using the drone unit 200 equipped with a camera equipped with an aerial lidar sensor.

항공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측량은 지형도 제작과 표고자료 취득을 위해 항공기에 라이다(LiDAR)를 탑재하여 지상의 점(빌딩, 나무 등)과 항공탑재 센서간의 거리를 빛, 레이저 광선을 발사, 그 반사와 흡수를 이용하여 좌표를 측정하는 방식이다.Aerial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surveys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points on the ground (buildings, trees, etc.) It is a method of measuring coordinates by emitting a light beam and using its reflection and absorption.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시스템을 항공기에 장착하여 레이저 펄스를 지표면에 주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펄스의 도달시간을 관측함으로써 반사지점의 공간 위치 좌표를 계산하여 지표면에 대한 지형정보를 추출하는 측량기법이다. A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system is installed on an aircraft to scan laser pulses on the ground surface and observe the arrival time of the reflected laser pulses to calculate spatial coordinates of the reflection point and extract topographical information on the ground surface. It is a measurement technique that

이를 통해 기타 방법과는 달리 완전 자동처리가 가능하며, 처리속도가 빠르고, 능동적 센서이므로 어느 정도 날씨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Through this, unlike other methods, fully automatic processing is possible, the processing speed is fast, and since it is an active sensor, it is not affected by the weather to some extent.

지상기준점측량이 어려운 해안, 습지 측량과 그림자에 의해 방해받는 산림, 도심지역의 수치표고자료 제작에 유리하다.It is advantageous for coastal and wetland surveying where ground control point surveying is difficult, and digital elevation data production in forests and urban areas hindered by shadows.

LiDAR 장비의 기지점과 레이저 펄스로부터 측정된 거리로부터 대상체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항공 LiDAR 측량장비는 GPS와 IMU(관성항법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In general, airborne LiDAR surveying equipment includes GPS and IMU (inertial navigation unit) so that the position of an object can be calculated from the distance measured from the known point of the LiDAR equipment and the laser pulse.

항공레이저측량은 항공기를 이용하여 지상의 높이정보를 획득하는 장비로 일반적인 장비의 성능은 레이저 펄스(laser pulse) 주사율이 70kHz 정도이며, 지상고도 200~3,000m에서 운용한다. 스캔각도는 0°~±25°(±1°씩 증감)이다. 수평정확도는 1/2,000×고도(1σ)를 나타내며, 수직정확도는 비행고도에 따라 15~35cm(<15cm @1,200m, 1σ; <25cm @2,000m, 1σ)를 나타낸다.Aerial laser surveying is a device that acquires height information on the ground using an aircraft. The general performance of the device is about 70kHz laser pulse scanning rate, and it is operated at a ground altitude of 200 to 3,000m. The scan angle is 0° to ±25° (increased by ±1°). Horizontal accuracy represents 1/2,000 × altitude (1σ), and vertical accuracy represents 15 to 35cm (<15cm @1,200m, 1σ; <25cm @2,000m, 1σ) depending on the flight altitude.

또한, 측정 서버(10)는 지형정보 DB부(11), 지형정보 획득부(12), 지형정보 분석부(13), 변위 측정부(14), 3D 변환부(15), 및 위험 관리부(16)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server 10 includes a geographic information DB unit 11, a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 a geographic information analysis unit 13, a displacement measurement unit 14, a 3D conversion unit 15, and a risk management unit ( 16) may be included.

지형정보 DB부(11)는 카메라(100)를 이용하여 촬영한 지형정보 로우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geographic information DB unit 11 may store geographic information raw data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100 .

지형정보 획득부(12)는 카메라(100)를 통해 저장된 지형정보 로우데이터에서 특정 지형정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 may acquire specific geographic information data from raw geographic information data stored through the camera 100 .

이때 특정 지형정보 데이터란, 지형정보 로우데이터 중 특정 영역만을 확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specific geographic information data refers to data obtained by enlarging only a specific region among raw geographic information data.

지형정보 분석부(13)는 지형정보 획득부(12)에서 획득된 특정 지형정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The geographic information analyzer 13 may analyze specific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cquired by the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 .

변위 측정부(14)는 지형정보 분석부(13)에서 분석한 지형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땅밀림을 예상하기 위해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4 may measure displacement to predict landslide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alyzed by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alysis unit 13 .

여기서 변위란, 물리학에서 나중 위치의 값에서 처음 위치의 값을 뺀 벡터량 즉, 한 점의 최종 위치와 처음 위치 간의 차이이다.Here, displacement is a vector quantity obtained by subtracting the value of the initial position from the value of the final position in physics,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nal position and the initial position of a point.

3D 변환부(15)는 변위 측정부(14)에서 측정된 변위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정보 데이터를 3D 모델링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3D conversion unit 15 may convert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to 3D modeling based on the displacement data measured by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4 .

관리부(16)는 3D 변환부(15)에서 변환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반 변위가 기설정된 위험수준에 도달하면 단말기에 위험 경보를 송신할 수 있다.The management unit 16 may transmit a danger alert to the terminal when ground displacement reaches a predetermined risk level based on the 3D modeling data converted by the 3D conversion unit 15 .

이때, 기설정된 위험수준이라 함은 일 실시예에서 1m를 초과하면 땅밀림 위험수준으로 산사태와 같은 지반 변형이 우려됨으로써 단말기에 위험 경보를 송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t risk level is a risk level of landslide when it exceeds 1 m in one embodiment, and a danger aler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ue to concerns about ground deformation such as a landslid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측정 서버(10)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2 is a flow chart of the measurement server 10 of the system for measuring landslides and alerting danger using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110 단계 : 항공라이다 센서가 설치된 RGB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형을 촬영한다.Step S110: The topography is photographed using an RGB camera equipped with an aerial lidar sensor.

S120 단계 : 촬영된 지형정보 로우데이터에서 특정 지형정보 데이터를 획득한다.Step S120: Obtain specific geographic information data from the captured geographic information raw data.

S130 단계 : 획득된 특정 지형정보 데이터를 분석한다.Step S130: Analyzing the obtained specific geographic information data.

S140 단계 : 분석된 지형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변위를 측정한다.Step S140: Displacement is measured based on the analyz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S150 단계 : 측정된 변위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정보 데이터를 3D 모델링으로 변환한다.Step S150: Based on the measured displacement data,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s converted into 3D modeling.

S160 단계 : 변환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반 변위를 기설정된 위험수준과 비교한다.Step S160: Based on the converted 3D modeling data, ground displacement is compared with a preset risk level.

S170 단계 : 지반 변위가 기설정된 위험 수준에 도달하면 단말기에 위험 경보를 송신한다.Step S170: When the ground displacement reaches a preset danger level, a danger alert is sent to the terminal.

상기 기능부들에 따른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functional units ar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촬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an example of photographing a system for measuring ground clearance and warning a danger using an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측정 서버는 후술할 드론 유닛, 카메라, 안착 유닛 및 개폐 유닛의 유기적인 연동을 위해 리모컨과 같은 물리적 컨트롤러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의 작동에 의해 측정 서버와 연동된 드론 유닛, 카메라, 안착 유닛 및 개폐 유닛의 제어가 가능하다.The measurement server is networked with a physical controller such as a remote controller for organic linkage of the drone unit, camera, seating unit, and opening/closing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drone unit, camera, seating unit,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도 3을 참조하면, 드론 유닛(200)은 지형정보 DB부(11)와 네트워크적으로 연동되어 항공라이다 센서가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을 하기 위해 지형정보 DB부(11)에서 드론 유닛(200)의 작동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rone unit 200 is network-linked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DB unit 11 so that a camera equipped with an aerial lidar sensor takes pictures. ) can control the operation signal.

특히, 지형정보 DB부(11)는 드론 유닛(200)의 작동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리모컨과 같은 물리적 컨트롤러와도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용이하게 드론 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geographic information DB unit 11 can be network-connected to a physical controller such as a remote controller to control the operation signal of the drone unit 200, so that the drone unit 200 can be easily controlled.

일 실시예에서, 지형정보 DB부(11)에서 촬영 신호를 드론 유닛(200)으로 송신하여 드론 유닛(200)이 비행함으로써 카메라를 통해 지형을 촬영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hotograph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geographic information DB unit 11 to the drone unit 200 so that the drone unit 200 flies, thereby photographing the terrain through a camera.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지형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땅밀림을 예측하여 지반 변형에 따른 인근 지역의 산사태와 같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landslides may be predicted by analyz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 captured by a camera, and damage such as landslides in a nearby area due to ground deformation may be preven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드론 유닛(200)의 전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4 shows an overall embodiment of the drone unit 200 of the ground clearance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드론 유닛(200)은 드론 몸체(210), 날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drone unit 200 may include a drone body 210 and wing parts 220.

드론 몸체(210)는 측정 서버(1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비행 가능하도록 드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drone body 2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ron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server 10 and fly.

이때, 드론 형태는 형태에 제한은 없으나, 상공을 비행하기에 적합하도록 기류 및 유체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유선형(streamline)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drone is not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a streamline shape to mitigate impact due to air flow and fluid so as to be suitable for flying in the sky.

날개부(220)는 드론 몸체(210)의 사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비행이 가능한 동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ings 220 may extend in all directions of the drone body 210 to generate power capable of flight.

또한, 각 날개부(220)의 말단부에는 비행이 가능한 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프로펠러(2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peller 222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each wing 220 to generate power capable of flight.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안착 유닛(300)의 상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5 and 6 show detailed embodiments of the landing unit 300 of the landslide measurement and risk warning system using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드론 유닛(200)은 날개부(220) 내부에 설치되어 드론 유닛(200)의 하강 안착을 보조하는 안착 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drone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landing unit 300 installed inside the wing 220 to assist the drone unit 200 in descending and landing.

날개부(220)는 날개 몸체(221), 프로펠러(222), 권출홈(223), 축홈(224) 및 고정자석(2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ng unit 220 may include a wing body 221, a propeller 222, an unwinding groove 223, an axis groove 224, and a stationary magnet 225.

날개 몸체(221)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되며, 내부가 비어 있을 수 있다.The wing body 22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inside may be empty.

권출홈(223)은 날개 몸체(221)의 일 측에 안착 유닛(300)을 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unwinding groove 223 may be formed to unwind the seating unit 300 on one side of the wing body 221 .

축홈(224)은 날개 몸체(221)의 타 측에 안착 유닛(300)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haft groove 224 may be formed to fix the seating unit 300 to the other side of the wing body 221 .

고정자석(225)은 축홈(224)의 내부에 설치되어 안착 유닛(300)을 고정을 위한 자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tationary magnet 225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haft groove 224 to generate magnetic force for fixing the seating unit 300 .

또한, 안착 유닛(300)은 회전축(310), 안착 롤러(320), 및 안착 막(33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unit 300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310 , a seating roller 320 , and a seating film 330 .

회전축(310)은 날개 몸체(221)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어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3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wing body 221 to rotate by contro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회전축(310)은 안착 롤러(3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protrusion 311 for fixing the seating roller 320 may be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310 .

안착 롤러(320)는 회전축(310)에 삽입되어 회전축(3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롤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ating roller 320 may be provided in a roller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310 and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310 .

또한, 안착 롤러(320)는 내부에 형성된 돌기홈(320a)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안착 막(330)의 권출 및 권취를 보조하기 위해 구비된 흡착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roller 320 may include an adsorption unit 321 installed in a protruding groove 320a formed therein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o assist unwinding and winding of the seating film 330 .

흡착부(321)는 흡착 돌기(3211), 가이드부(3212), 가이드 파이프(3213), 및 배출구(32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sorption unit 321 may include an adsorption protrusion 3211 , a guide unit 3212 , a guide pipe 3213 , and an outlet 3214 .

흡착 돌기(3211)는 복수 개가 안착 롤러(320)에 승강 가능하게 나사산을 따라 삽입되도록 돌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dsorption protrusions 3211 may be provided in a protrusion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roller 320 along a screw threa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가이드부(3212)는 복수 개의 흡착 돌기(3211) 각각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흡착으로 인한 공기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사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3212 may extend downwar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uction protrusions 3211 and may be provided in an oblique shape to guide air movement due to suction.

이때, 가이드부(3212)는 흡착부(321)에 흡착력을 형성하기 위해 점점 좁아지는 사선형으로 구비되어 공기압을 형성하여 흡착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part 3212 is provided in a gradually narrower oblique shape to form an adsorption force on the adsorption part 321, and may be adsorbed by forming air pressure.

가이드 파이프(3213)는 가이드부(3212)와 일체로 연통되어 흡착으로 인한 공기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pipe 3213 may be integrally communicated with the guide part 3212 to move air due to adsorption.

배출구(3214)는 안착 롤러(320)의 측부에 통공되어 가이드 파이프(3213)에서 이동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3214 may be formed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seating roller 320 to discharge air moving in the guide pipe 3213 .

안착 막(330)은 안착 롤러(320)에 권취되고 권출홈(223)을 통해 권출하여 축홈(224)에 고정되도록 말단부에 고정축(330a)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ating film 330 may be wound around the seating roller 320 and unwound through the unwinding groove 223 to be fixed to the shaft groove 224 so that a fixed shaft 330a is formed at the distal end.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y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s and the effect of the embodiment ar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안착 유닛(300)에 있어서, 날개부(220)의 내부에 회전축(310)이 삽입된 안착 롤러(3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된다.In the seat unit 300, the seat roller 320 into which the rotary shaft 310 is inserted into the wing 220 is inser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안착 롤러(320)의 둘레부를 따라 안착 막(330)이 권취된다.A seating film 330 is wou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roller 320 .

날개부(220)의 일 측에는 권출홈(223)이, 날개부(220)의 타 측에는 축홈(224)이 형성된다.An unwinding groove 22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wing unit 220 and an axis groove 22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ng unit 220 .

안착 롤러(320)의 내부에는 흡착 돌기(3211)가 삽입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부(3212)가 형성된다.A guide portion 3212 having a screw thread is formed inside the seating roller 320 so that the suction protrusion 3211 is inserted therein.

가이드부(3212)의 하방으로는 가이드 파이프(3213)가 연장 형성되어 안착 롤러(320)의 측부에 통공된 배출구(3214)까지 연통된다.A guide pipe 3213 extends below the guide portion 3212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3214 through the side of the seating roller 320 .

일 실시예에서, 안착 유닛(300)은 지형정보 DB부(11)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지형정보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저장하면 드론 유닛(200)의 랜딩(landing)을 위해 동작한다.In one embodiment, the landing unit 300 operates for the landing of the drone unit 200 when it is network-connected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DB unit 11 and finally store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일 실시예에서, 안착 유닛(300)은 드론 유닛(200)의 랜딩을 위해 회전축(310)이 회전하면서 안착 롤러(320)가 안착 막(330)을 권출하여 축홈(224)의 고정자석(225)에 고정축(330a)이 체결되어 안착 막(330)을 펼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ting unit 300 rotates the rotational shaft 310 for landing of the drone unit 200 while the seating roller 320 unwinds the seating film 330 so that the stationary magnet 225 of the shaft groove 224 The fixing shaft 330a is fastened to ) to spread the seating film 330 .

일 실시예에서, 안착 유닛(300)은 지형정보 DB부(11)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드론 유닛(200)의 초기 비행 시 지형정보 DB부(11)가 촬영 신호를 드론 유닛(200)에 송신하면 동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nding unit 300 transmits a shooting signal to the drone unit 200 throug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DB unit 11 during the initial flight of the drone unit 200 connected to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DB unit 11 through a network. if you do it can work.

이때, 회전축(310)이 역회전하면서, 흡착부(321)의 흡착 돌기(3211)가 돌출되어 안착 막(330)에 흡착되면서 공기를 흡입하여 가이드 파이프(3213)를 통해 배출구(3214)로 배출한다.At this time, as the rotating shaft 310 reversely rotates, the adsorption protrusion 3211 of the adsorption unit 321 protrudes and is adsorbed to the mounting film 330 to suck in air and discharge it to the outlet 3214 through the guide pipe 3213. do.

그 다음, 회전축(310)의 역회전에 의해 안착 롤러(320)가 날개부(220)의 권출 홈을 따라 안착 막(330)을 권취할 수 있다.Then, the seating roller 320 may wind the seating film 330 along the unwinding groove of the wing unit 220 by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310 .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의 개폐 유닛(400)의 조립도와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7 and 8 show an assembly view and embodiments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of the landslide measurement and risk warning system using an aerial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드론 유닛(200)은 드론 몸체(2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장착된 카메라를 승하강하여 보호하고 촬영 가능하게 하는 개폐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drone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closing unit 400 that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drone body 210 to protect the mounted camera by moving up and down and enable shooting.

개폐 유닛(400)은 수용 홈(410), 슬라이딩 커버(420), 승강 실린더(430), 회전부(440), 및 브라켓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400 may include a receiving groove 410 , a sliding cover 420 , an elevating cylinder 430 , a rotation unit 440 , and a bracket unit 450 .

수용 홈(410)은 드론 몸체(2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카메라를 수용 가능하게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groove 410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one body 210 to form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camera.

또한, 수용 홈(410)은 양 측에 슬라이딩 커버(42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커버 홈(410a)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cover grooves 410a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groove 410 so that the sliding cover 420 is slidable.

슬라이딩 커버(420)는 수용 홈(410)의 하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sliding cover 420 may be installed to enabl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groove 410 .

승강 실린더(430)는 수용 홈(410)에 일정 간격으로 승강 가능하게 복수 개가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elevating cylinders 43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410 at regular intervals to be elevating.

이때, 승강 실린더(430)는 승강 가능하게 단차진 형상의 실린더일 수도 있고, 내부에 스프링 또는 나사산의 구조로 구비되어 승강 가능하게끔 동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vating cylinder 430 may be a stepped cylinder capable of elevating, or may be provided in the structure of a spring or a screw thread therein so as to be able to elevate.

회전부(4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홈(410)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승강 실린더(430)와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rotation unit 44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410 and may be rotatably provided by engaging with the plurality of elevating cylinders 430 .

브라켓부(450)는 복수 개의 승강 실린더(430)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카메라를 고정하도록 브라켓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bracket unit 450 may be provided in a bracket shape to fix the camera by being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rality of elevating cylinders 430 .

또한, 브라켓부(450)는 복수 개의 승강 실린더(430)의 말단부에 설치되고, 양 측부에 브라켓 날개(451a)가 형성된 카메라 브라켓(451)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unit 450 may include a camera bracket 451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rality of elevating cylinders 430 and having bracket wings 451a formed on both sides.

또한, 브라켓부(450)는 카메라 브라켓(451)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카메라의 상부와 체결되어 카메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플레이트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unit 450 may include a plate unit 452 installed below the camera bracket 451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mera to mitigate impact transmitted to the camera.

플레이트부(452)는 브라켓 플레이트(4521), 플레이트 결합체(4522), 및 완충 스프링(45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ate unit 452 may include a bracket plate 4521 , a plate combination body 4522 , and a buffer spring 4523 .

브라켓 플레이트(4521)는 카메라 브라켓(451)의 하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bracket plate 4521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installed under the camera bracket 451 .

플레이트 결합체(4522)는 브라켓 플레이트(4521)가 안착 결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안착 홈(4522a)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따.The plate combination body 4522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having a seating groove 4522a having an open top so that the bracket plate 4521 is seated and coupled thereto.

완충 스프링(4523)은 안착 홈(4522a)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브라켓 플레이트(4521)와 플레이트 결합체(4522)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탄성력을 생성하게끔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uffer springs 4523 may be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4522a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to relieve shock transmitted to the bracket plate 4521 and the plate assembly 4522 .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The assembly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s and the effect of the embodiment ar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개폐 유닛(400)에 있어서, 드론 몸체(210)의 하부에 수용 홈(410)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회전부(440)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In the opening/closing unit 400, an accommodation groove 41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rone body 210, and the rotating part 440 is rotatably assembled therein.

수용 홈(410)의 양 측에 슬라이딩 커버(4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된 커버 홈(410a)이 형성된다.On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groove 410, cover grooves 410a in which the sliding cover 420 is slidably built are formed.

회전부(440)의 하단면에 복수 개의 승강 실린더(430)가 일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조립된다.A plurality of elevating cylinders 430 are vertically assemb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440 at regular intervals.

복수 개의 승강 실린더(430)의 하부에 브라켓부(450)가 설치되고, 브라켓부(450)의 하부에 카메라가 조립된다.A bracket unit 450 is installed under the plurality of elevating cylinders 430, and a camera is assembled under the bracket unit 450.

이때, 브라켓부(450)는 카메라 브라켓(451), 브라켓 플레이트(4521), 복수 개의 완충 스프링(4523)이 설치된 플레이트 결합체(4522)가 순서대로 조립된다.At this time, the bracket unit 450 includes a camera bracket 451, a bracket plate 4521, and a plate assembly 4522 in which a plurality of buffer springs 4523 are installed.

이때, 카메라 브라켓(451)의 양 측에 형성된 브라켓 날개(451a)에 의해 카메라 브라켓(451)은 브라켓 플레이트(4521)에 조립된다.At this time, the camera bracket 451 is assembled to the bracket plate 4521 by bracket wings 451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mera bracket 451 .

일 실시예에서, 개폐 유닛(400)은 지형정보 DB부(11)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에 의해 항공라이다 센서가 장착된 카메라(100)를 돌출시키기 위해 작동한다.In one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unit 400 is networked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DB unit 11 and operates to protrude the camera 100 equipped with the aerial lidar sensor by control.

일 실시예에서, 개폐 유닛(400)은 지형정보 DB부(11)에서 촬영 신호를 개폐 유닛(400)으로 송신하면 슬라이딩 커버(420)가 커버 홈(410a)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개방된다.In one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unit 400 transmits a photographing signal from the geographic information DB unit 11 to the opening/closing unit 400, and the sliding cover 420 slides along the cover groove 410a to be opened.

그 다음, 복수 개의 승강 실린더(430)가 나란히 카메라(100)를 하방으로 돌출시키고, 회전부(440)의 회전에 의해 카메라(100)가 회전하여 촬영지점을 조절할 수 있다.Next, the plurality of elevating cylinders 430 protrude the camera 100 downward in parallel,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440 rotates the camera 100 to adjust the shooting point.

일 실시예에서, 개폐 유닛(400)은 지형정보 DB부(11)와 연동되어 작동함으로써 카메라를 향해 충격이 발생하면 지형정보 DB부(11)에서 브라켓 플레이트(4521) 및 플레이트 결합체(4522)를 따라 복수 개의 완충 스프링(4523)의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하여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unit 40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DB unit 11, so that when an impact occurs toward the camera, the geographic information DB unit 11 opens the bracket plate 4521 and the plate assembly 4522. Accordingly, the transmitted shock may be alleviated by generating elastic force of the plurality of buffer springs 4523 .

일 실시예에서, 개폐 유닛(400)은 카메라 브라켓(451)에 의해 카메라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unit 400 may firmly fix the camera by the camera bracket 451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측정 서버(10)
지형정보 DB부(11)
지형정보 획득부(12)
지형정보 분석부(13)
변위 측정부(14)
3D 변환부(15)
위험 관리부(16)
카메라(100)
드론 유닛(200)
드론 몸체(210)
날개부(220)
날개 몸체(221)
프로펠러(222)
권출홈(223)
축홈(224)
고정자석(225)
안착 유닛(300)
회전축(310)
고정 돌기(311)
안착 롤러(320)
돌기홈(320a)
흡착부(321)
흡착 돌기(3211)
나사산(321a)
가이드부(3212)
가이드 파이프(3213)
배출구(3214)
안착 막(330)
고정축(330a)
개폐 유닛(400)
수용 홈(410)
커버 홈(410a)
슬라이딩 커버(420)
승강 실린더(430)
회전부(440)
브라켓부(450)
카메라 브라켓(451)
브라켓 날개(451a)
플레이트부(452)
브라켓 플레이트(4521)
플레이트 결합체(4522)
안착 홈(4522a)
완충 스프링(4523)
Measurement Server (10)
Terrain information DB unit (11)
Top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
Geospatial information analysis unit (13)
Displacement measurement unit (14)
3D conversion unit (15)
Risk Management Department (16)
camera(100)
Drone unit (200)
Drone body (210)
wing part (220)
wing body(221)
Propeller(222)
Unwind groove (223)
shaft groove(224)
Stationary Magnet(225)
Seating unit (300)
axis of rotation (310)
Fixed protrusion (311)
Seating roller (320)
Protrusion groove (320a)
Adsorption unit (321)
Adsorption protrusion (3211)
Thread (321a)
Guide part (3212)
Guide pipe (3213)
Outlet (3214)
Seating Membrane(330)
Fixed axis (330a)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Receiving groove (410)
Cover groove (410a)
sliding cover(420)
Lifting Cylinder (430)
rotating part (440)
Bracket part (450)
Camera Bracket(451)
Bracket wing (451a)
Plate part 452
Bracket Plate (4521)
Plate Combination (4522)
Seating groove (4522a)
Buffer Spring (4523)

Claims (3)

항공 라이다 센서가 설치된 RGB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 유닛으로 촬영한 지형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땅밀림을 측정하고 경고하는 측정 서버;
를 포함하는,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서버는,
촬영한 지형정보 로우데이터를 저장하는 지형정보 DB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지형정보 로우데이터에서 특정 지형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는 지형정보 획득부;
상기 지형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특정 지형정보 데이터를 분석하는 지형정보 분석부;
상기 지형정보 분석부에서 분석한 지형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땅밀림을 예상하기 위해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
상기 변위 측정부에서 측정된 변위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정보 데이터를 3D 모델링으로 변환하는 3D 변환부;
상기 3D 변환부에서 변환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반 변위가 기설정된 위험수준에 도달하면 단말기에 위험 경보를 송신하는 위험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서버는,
상기 항공 라이다 센서가 설치된 RGB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형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지형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지형정보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지형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변위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정보 데이터를 3D 모델링으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반 변위를 기설정된 위험수준과 비교하는 단계;
지반 변위가 기설정된 위험수준에 도달하면 상기 단말기에 위험 경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론 유닛은,
상기 측정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비행 가능한 드론 몸체;
상기 드론 몸체의 사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비행이 가능한 동력을 생성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 유닛의 하강 안착을 보조하는 안착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실린더 형상의 날개 몸체;
상기 날개 몸체의 말단부에 비행 가능한 회전력을 생성하는 프로펠러;
상기 날개 몸체의 일 측에 상기 안착 유닛을 권출하기 위한 권출홈;
상기 날개 몸체의 타 측에 상기 안착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축홈;
상기 축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정을 위한 자력을 생성하는 고정자석;
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 유닛은,
상기 날개 몸체 내부에 제어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안착 롤러;
상기 안착 롤러에 권취되고 상기 권출홈을 통해 권출하여 상기 축홈에 고정되도록 말단부에 고정축이 형성된 안착 막;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안착 롤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 롤러는,
내부에 형성된 돌기홈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착 막의 권출 및 권취를 보조하기 위해 구비된 흡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는,
상기 안착 롤러에 승강 가능하게 나사산을 따라 삽입되는 복수 개의 흡착 돌기;
복수 개의 상기 흡착 돌기 각각에 연장 형성되어 흡착으로 인한 공기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일체로 연통되어 흡착으로 인한 공기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파이프;
상기 안착 롤러의 측부에 통공되어 상기 가이드 파이프에서 이동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
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유닛은,
상기 측정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수집 후 비행 종료 시 상기 측정 서버를 통한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여 상기 안착 롤러가 권취된 상기 안착 막을 권출하고,
일 날개부에서 권출된 상기 안착 막의 상기 고정축이 타 날개부의 상기 축홈에 끼워져 상기 고정자석의 자력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안착 막의 권취 및 권출 시 복수 개의 상기 흡착 돌기,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따라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흡착 돌기가 상기 안착 막을 흡착하고,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통해 상기 배출구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항공 라이다를 이용한 땅밀림 측정 및 위험경보 시스템.
A measurement server that measures and warns of landslid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 captured by a drone unit equipped with an RGB camera equipped with an aerial lidar sensor;
In the land movement measurement and risk warning system using aerial lidar, which includes,
The measurement server,
a topographical information DB unit for storing captured topographical information raw data;
a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specific geographic information data from geographic information raw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a geographic information analyzer analyzing specific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cquired by the geo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 displacemen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displacement to predict landslide based on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data analyzed by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analyzing unit;
a 3D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to 3D modeling based on the displacement data measured by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a risk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a danger alert to a terminal when ground displacement reaches a predetermined risk level based on the 3D modeling data converted by the 3D conversion unit;
including,
The measurement server,
photographing the terrain using an RGB camera equipped with the aerial lidar sensor;
Obtaining photograph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alyzing the obtain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measuring displacement based on the analyz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Convert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to 3D modeling based on the measured displacement data;
Comparing ground displacement with a preset risk level based on the converted 3D modeling data;
Transmitting a danger alert to the terminal when the ground displacement reaches a preset danger level;
Including more,
The drone unit,
a drone body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server and capable of flying;
Wings extending in all directions of the drone body to generate power for flight;
a land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wing unit to assist the drone unit in descending and landing;
including,
The wing part,
Cylinder-shaped wing body;
a propeller generating rotational force capable of flying at the distal end of the wing body;
an unwinding groove for unwinding the seating unit on one side of the wing body;
Shaft grooves for fixing the seating unit to the other side of the wing body;
A stationary magnet installed inside the shaft groove to generate magnetic force for fixation;
including,
The seating unit,
a rotating shaft installed inside the wing body to rotate by control;
a seating roller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ed by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 seating film wound around the seating roller, unwound through the unwinding groove, and having a fixing shaft formed at an end portion so as to be fixed to the shaft groove;
including,
The axis of rotation is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seating roller is formed,
The seating roller,
an adsorption unit installed in a protruding groove formed therein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o assist unwinding and winding of the seating film;
including,
the adsorption unit,
A plurality of adsorption protrusions inserted along the screw threa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seating roller;
a guide part extending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adsorption protrusions to guide air movement due to adsorption;
a guide pipe integrally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unit to move air due to adsorption;
an outlet through a side of the seating roller to discharge the air moving in the guide pipe;
including,
The seating unit,
Networked with the measurement server,
At the end of the flight after data collection, the rotating shaft rot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rough the measurement server to unwind the seating film on which the seating roller is wound,
The fixing shaft of the seating film unwound from one w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shaft groove of the other wing part and fix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stationary magnet,
During winding and unwinding of the seating film, air is sucked along the plurality of adsorption protrusions, the guide part, and the guide pipe so that the adsorption protrusion adsorbs the seating film;
A ground rollover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n aerial lidar, further comprising a feature in which the air sucked into the outlet through the guide pipe is discharg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43482A 2022-11-01 2022-11-01 Ground pressure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ir lidar KR1024884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482A KR102488400B1 (en) 2022-11-01 2022-11-01 Ground pressure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ir lid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482A KR102488400B1 (en) 2022-11-01 2022-11-01 Ground pressure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ir lid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400B1 true KR102488400B1 (en) 2023-01-18

Family

ID=8510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482A KR102488400B1 (en) 2022-11-01 2022-11-01 Ground pressure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ir lid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4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38095A (en) * 2023-02-22 2023-04-07 湖北通达数科科技有限公司 Mountain landslid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grated fusion mod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750B1 (en) * 2015-07-29 2016-06-09 주식회사 에이베스트 Method for safety prediction of terrain using a 3D aerial shooting
JP2019114177A (en) * 2017-12-26 2019-07-11 株式会社トーエン Landslide disaster evacuation notification system
KR20200143155A (en)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Real Time Monitoring Method for Landslide Area
KR20220105489A (en) * 2021-01-20 2022-07-27 한국전력공사 Takeoff and landing device for dr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750B1 (en) * 2015-07-29 2016-06-09 주식회사 에이베스트 Method for safety prediction of terrain using a 3D aerial shooting
JP2019114177A (en) * 2017-12-26 2019-07-11 株式会社トーエン Landslide disaster evacuation notification system
KR20200143155A (en)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Real Time Monitoring Method for Landslide Area
KR20220105489A (en) * 2021-01-20 2022-07-27 한국전력공사 Takeoff and landing device for dr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38095A (en) * 2023-02-22 2023-04-07 湖北通达数科科技有限公司 Mountain landslid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grated fusion mod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5820B1 (en) Navigation chart composition method, obstacle avoidance method and device, terminal, unmanned aerial vehicle
CN109196305A (en) monitoring method, monitoring system and program
KR102488400B1 (en) Ground pressure measurement and danger warning system using air lidar
JP2010241412A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weather in proximity to airborne aircraft
Reineman et al. A portable airborne scanning lidar system for ocean and coastal applications
CN105513247B (en) A kind of fire monitoring alignment system and method that ship is tethered at based on floating
KR102313178B1 (en) Measuring method for ground settlement using drone
Darwin et al. The potential of unmanned aerial vehicle for large scale mapping of coastal area
US20230385658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overtopping prediction device and overtopping prediction system using the same
Yusoff et al. Comprehensive analysis of flying altitude for high resolution slope mapping using UAV technology
Bakuła et al. Possibilities for using lidar and photogrammetric data obtained with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levee monitoring
Cook et al. Estimating seabird flight height using LiDAR
Baptista et al. New land-based method for surveying sandy shores and extracting DEMs: the INSHORE system
Nikolakopoulos et al. UAVs for the rapid assessment of the damages in the coastal zone after a storm
Lato et al. Rock slopes asset management: selecting the optimal three-dimensional remote sensing technology
Brock et al. Airborne topographic Lidar mapping for coastal science and resource management
KR102562370B1 (en) Flatness and altitude measurement system using aerial lidar
KR102522094B1 (en) Soil loss prediction system for river flooding based on drone photography
CN111942585A (en) Method for monitoring gas pipeline by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522086B1 (en) Porthole monitoring and vehicle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viation lidar
KR102522091B1 (en) River Turbidity Analysis System Using Drone-Based Hyperspectral Image
US20130215268A1 (en) Unknown
Pytharouli et al. Unmanned Aerial Vehicle (UAV) based mapping in engineering surveys: Technical considerations for optimum results
Hloupis et al. Low-cost warning system for the monitoring of the Corinth Canal
Zarro et al. High-resolution topographic surveys and earth features extraction through LiDARs. Discussion of some Case Stu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