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048B1 - 실외기실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실외기실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048B1
KR102488048B1 KR1020220012060A KR20220012060A KR102488048B1 KR 102488048 B1 KR102488048 B1 KR 102488048B1 KR 1020220012060 A KR1020220012060 A KR 1020220012060A KR 20220012060 A KR20220012060 A KR 20220012060A KR 102488048 B1 KR102488048 B1 KR 102488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outdoor unit
additional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혁
Original Assignee
최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혁 filed Critical 최문혁
Priority to KR1020220012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기실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외기실의 내부공기를 외부와 순환시켜 실외기실의 내부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외기의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실외기실 내부에서 실외기의 과열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판별하여 화재를 진압하며, 화재진압에 실패 시 화재 사실을 소방서에 전달하여 신속한 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실 안전장치는, 실외기가 수납되는 실외기실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 상기 실외기실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관련된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에 근거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과, 판단모듈의 판단결과가 화재인 경우 알림음을 발생하는 알림음 발생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외기실 안전장치{APPARATUS FOR OUTDOOR UNIT SAFETY}
본 발명은 실외기실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기실 내부에서 실외기의 과열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판별하여 화재를 진압하며, 화재진압에 실패 시 화재 사실을 소방서에 전달하여 신속한 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실외기실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덥거나 추운 계절적 환경에서 안락한 생활을 하도록 주거공간에는 에어컨, 온풍기 등의 냉난방 기기 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냉난방 기기 중 에어컨과 같은 공조기는 가동시 실외기에서 뜨거운 바람 등이 배출되는데, 사방이 밀폐된 실외기실의 벽체에는 공조기의 실외기에서 발생 되는 뜨거운 바람이나 배기가스 등을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환기창이 설치된다.
에어컨은 외기의 온도가 높은 하절기에 주로 사용되는 기기로서, 냉방 기기의 가동 여부에 따라 환기창을 개방하여 뜨거운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고, 동절기에는 외부로부터 빗물, 오물, 먼지, 벌레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겨울철 차가운 바람이 환기창을 통해 유입에 따른 난방의 저하 또는 동파 등을 방지 하기 위해 환기창을 닫아 외기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통상 실외기실에는 환기구에 루버가 설치된다.
종래의 실외기실에 설치되는 루버 시스템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552884호(2015년09월08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여름철 기온이 높은 환경에서 루버가 계속 닫혀 있어서 실외기실이 폐쇄된 경우, 에어컨의 가동시 실외기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되어 실외기실 측에서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르면 여름철에 루버가 개방되도록 할 경우, 실외로부터 실외기실을 통한 해충의 유입이 증가 되어 실내의 주거 쾌적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에는 실외기실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자동으로 감지 및 진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았으며, 거주자나 소방서에 알릴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528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외기실의 내부공기를 외부와 순환시켜 실외기실의 내부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외기의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실외기실 내부에서 실외기의 과열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판별하여 화재를 진압하며, 화재진압에 실패 시 화재 사실을 소방서에 전달하여 신속한 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실외기실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실 안전장치는, 실외기가 수납되는 실외기실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 상기 실외기실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관련된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실외기실에 설치되고, 소화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동으로 작동되는 자동소화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에 근거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과, 판단모듈의 판단결과가 화재인 경우 알림음을 발생하는 알림음 발생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실외기실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모듈의 판단결과가 화재인 경우 상기 자동소화부로 소화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화재 진화부는, 상기 실외기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롤부; 상기 롤부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롤부에 권취되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롤부에서 권출되는 포켓부; 상기 포켓부가 권출될 시, 상기 포켓부의 내부에 소화수를 각각 주입하는 주입부; 상기 포켓부에 소화수가 충진될 경우 상기 소화수가 분출되어 화재를 진화하도록 하면서 상기 실외기실에 보관되어 있는 보관물들을 적시도록 상기 포켓부를 천공하는 천공부; 상기 천공부가 상기 포켓부를 컷팅할 시 상기 소화수가 확산되도록 바람을 발생시키는 확산부; 상기 실외기실의 천장면 하측에 배치되는 부가 롤부; 상기 부가 롤부에 권취되며, 일정영역은 상기 부가 롤부에 미 권취되는 부가 포켓부; 상기 부가 롤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실외기실의 폭을 가로지르는 스크류바; 상기 스크류바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부가 구동부; 상기 스크류바에 장착되며, 저면이 상기 부가 포켓부의 미 권취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부가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크류바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부가 포켓부를 권출시키는 이동체; 상기 부가 포켓부가 권출될 시, 상기 부가 포켓부의 내부에 소화수를 주입하는 부가 주입부; 및 상기 부가 포켓부에 소화수가 충진될 경우 상기 소화수가 분출되어 화재를 진화하도록 상기 부가 포켓부를 천공하는 부가 천공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실외기실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센서; 상기 실외기실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 및 상기 실외기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에 근거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소방서에 연락하기 위한 소방서 서버 연락 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외기실의 내부를 촬영하여, 서버를 통해 관리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실 안전장치는, 실외기실의 내부공기를 외부와 순환시켜 실외기실의 내부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외기의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실외기실 내부에서 실외기의 과열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판별하여 화재를 진압하며, 화재진압에 실패 시 화재 사실을 소방서에 전달하여 신속한 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실 안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실 안전장치에 적용된 진화부를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실 안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실 안전장치(1)는, 실외기(1)가 보관되는 실외기실(2)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 시 신속한 진화가 이루어지면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실 안전장치는, 공기순환부(10)와, 감지부(20)와, 카메라(50)와, 제어부(30) 및 자동소화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순환부(10)는 실외기실(2)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으로, 모터 및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순환부(10)는 실외기실(2)의 외벽에 형성된 설치홀에 설치된다.
모터의 동력으로 프로펠러가 회전되면 프로펠러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고압과 저압이 발생되며, 이 압력차에 의해 실외기실(2) 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때, 공기순환부(10)는 외기를 실외기실(2)에 공급하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실외기실(2)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공기순환부(10)가 이와 같이 실외기실(2)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 실외기실(2) 내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외기(1)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감지부(20)는 실외기실(2)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관련된 신호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감지부(20)는 불꽃감지센서(21)와, 연기감지센서(22) 및 온도감지센서(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실외기실(2)의 천장면에 불꽃감지센서(21)와, 연기감지센서(22) 및 온도감지센서(23)가 모두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소반응으로 인해 불꽃이 발생하게 된다.
불꽃감지센서(21)는 불꽃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광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불꽃을 감지한다.
따라서, 불꽃감지센서(21)는 실외기실(2) 내부에서 실외기(1)나 기타 전자 부품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불꽃감지센서(21)는 화재가 발생할 시 발생되는 화원에 의한 자외선의 파장 영역을 감지하는 자외선 센서 및 적외선의 파장 영역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불꽃감지센서(21)가 자외선 센서와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자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자외선의 파장 영역에 대한 감지정보와,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적외선의 파장영역에 대한 감지정보가 제어부(30)로 전송될 수 있다.
불꽃감지센서(21)는 감지각도가 넓어짐과 동시에 보다 많은 광을 집광 및 증폭시킬 수 있도록 렌즈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불꽃감지센서(21)는 실외기실(2) 내부를 전체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실외기실(2)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실외기실(2) 내부에서 실외기(1) 또는 기타 전자부품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연기감지센서(22)는 실외기실(2) 내의 연기를 감지한다.
일 예로, 연기감지센서(22)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센서에서 수광센서로 수광되는 빛의 세기에 따라 실외기실(2) 내의 연기밀도를 감지하여 화재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다른 일 예로, 연기감지센서(22)는 화재로 인해 실외기실(2)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등과 같은 유독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온도센서는 실외기실(2) 내의 온도 변화를 감지한다.
카메라(50)는 실외기실(2) 내부를 전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실외기실(2)의 상측에 설치되며, 실외기실(2) 내부에서 실외기(1)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카메라(5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는 후술되는 제어부(30)로 전송된다.
제어부(30)는 판단모듈(31) 및 알림음 발생모듈(32)을 포함할 수 있다.
판단모듈(31)은 감지부(20)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에 근거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모듈(31)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감지부(20)는 불꽃감지센서(21), 연기감지센서(22) 및 온도감지센서(23)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 경우, 각각의 센서들의 감지값 범위를 각각 적용하여 화재 발생정도를 복합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꽃감지센서(21)의 감지 값이 대략 A이고, 연기감지센서(22)의 감지 값이 대략 B이며, 온도감지센서(23)의 감지 값이 대략 C℃이면 판단모듈(31)은 A,B,C 값을 모두 만족하는 화재 감지 범위를 설정 기준치와 대비하여 화재의 발생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판단모듈(31)은 불꽃감지센서(21)에서 전송된 감지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불꽃이 비화재 불꽃인지 화재 불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모듈(31)은 불꽃감지센서(21)에서 전송된 자외선의 파장 영역에 대한 정보, 적외선의 파장 영역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비화재 불꽃인지 화재 불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모듈(31)은 연기감지센서(22)에서 전송된 감지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연기가 비화재 불꽃인지 화재 불꽃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판단모듈(31)은 연기감지센서(22)에서 전송된 연기밀도 정보에 근거하여 비화재 연기인지 화재연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판단모듈(31)은 온도감지센서(23)에서 전송된 감지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온도가 비화재 온도인지 화재 온도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판단모듈(31)은 온도감지센서(23)에서 전송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비화재 온도이고,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화재온도로 판단한다.
알림음 발생모듈(32)은 감지부(20)의 판단결과가 화재인 경우에 알람을 발생한다.
즉, 제어부(30)는 감지부(20)의 판단결과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판단결과가 화재인 경우에 알림음 발생모듈(32)은 알림음을 발생한다.
알림음 발생모듈(32)은 실외기실(2)이나 거실, 방, 화장실 등에 설치된 경보기(3)에 알림음발생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관리자 단말기(4)로 알림메세지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4)는 휴대폰, 스마트폰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알림메세지는 SNS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알림음 발생모듈(32)은 화재 진압의 완료 상황에 대하여 알람을 발생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30)는 감지부(20)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소방서에 연락하기 위한 소방서 서버 연락 모듈(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불꽃감지센서(21)와, 연기감지센서(22) 및 온도감지센서(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화재를 감지한 순간의 시간정보를 소방서 서버 연락 모듈(33)을 통해 소방서 서버(5)로 전송한다.
제어부(30)는 저장 DB(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DB(34)는 전술한 카메라(5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저장하며, 소방서 서버 연락 모듈(33)은 저장 DB(34)에 저장된 촬영 영상정보를 소방서 서버(5)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판단모듈(31)의 판단결과가 화재인 경우 자동소화부(40)로 소화신호를 전송한다.
자동소화부(40)는 제어부(30)로부터 소화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동으로 작동되어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자동소화부(40)는 소화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동으로 소화작동되며, 자동소화부(40)의 분사 방향은 실외기(1)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자동소화부(40)의 소화약제는, 일 예로, 질산칼륨과 과연소산칼륨 등의 화합물로 구성되며, 주소화성분인 칼륨(K)의 미립자가 칼륨(K) 이온의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 산소를 차단함에 따라 화재를 진화한다.
한편, 제어부(30)를 구성하는 판단모듈(31)과, 알림음 발생모듈(32)과, 소방서 서버 연락 모듈(33) 및 저장 DB(34)는 일부의 구성요소가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서로 분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를 구성하는 판단모듈(31)과, 알림음 발생모듈(32)은 실외기실(2)의 제어패널 상에 구현되도록 하고, 소방서 서버 연락 모듈(33), 저장 DB(34)는 원격지 컴퓨터에 구현되어,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각 구성들끼리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실 안전장치에 적용된 화재 진화부(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실 안전장치에 적용된 진화부를 도시한 도이다.
제어부(30)는 예를 들어 자동소화부(40)에 의해 소화작동이 이루어지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전술한 불꽃감지센서(21)와, 연기감지센서(22) 및 온도감지센서(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화재로 감지하는 경우, 또는, 자동소화기가 소화작동이 이루어지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제어부(30)가 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는 불꽃, 연기, 온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화재로 판단하는 경우 화재진압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는 화재 진화부(60)를 작동시켜 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화재 진화부(60)는 롤부(61)와, 구동부(62)와, 포켓부(63)와, 주입부(64)와, 천공부(65)와, 확산부(66)와, 부가 롤부(67)와, 부가 포켓부(68)와, 스크류바(69)와, 부가 구동부(70)와, 이동체(71)와, 부가 주입부(72) 및 부가 천공부(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롤부(61)는 실외기실(2)의 상측에 배치된다.
롤부(61)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형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부(61)는 일측이 구동부(62)에 결합되고, 타측은 실외기실(2)의 벽면에 설치된 베어링(미도시)에 관통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 가능하다.
구동부(62)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모터 또는 D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62)의 모터축은 롤부(61)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롤부(61)는 모터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포켓부(63)는 상단이 롤부(61)에 고정된다. 포켓부(63)는 구동부(62)의 작동 즉, 모터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롤부(61)에서 권출된다.
포켓부(63)는 내부에 소화수가 주입되는 주입공간이 형성된다.
포켓부(63)는 물놀이용 튜브와 동일한 재질, 풍선과 동일한 재질, 비닐재질,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포켓부(63)는 권출될 시 그 하단이 실외기실(2)의 바닥면과 근접한다.
아울러, 포켓부(63)의 면적은 실외기실(2)의 내벽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약 50~90%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포켓부(63)는 권출될 시 실외기실(2)의 내벽면 전체를 가리거나 또는 약 50~90%를 가리게 된다.
주입부(64)는 실외기실(2)의 바닥면에 배치된다.
주입부(64)는 소화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는 연결라인(641)을 통해 포켓부(63)와 연결된다.
연결라인(641)은 호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이 포켓부(63)에 관통설치 된다.
따라서, 펌프가 작동시 저장탱크에 저장된 소화수는 연결라인(641)을 통해 포켓부(63)의 내부에 주입된다.
이로 인해, 포켓부(63)는 일정 부피로 팽창하게 된다.
천공부(65)는 포켓부(63)에 소화수가 충진될 경우 포켓부(63)를 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천공부(65)는 실외기실(2)의 내벽에 수직,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651) 및 실린더(651)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권출된 포켓부(63)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천공유닛(652)을 포함할 수 있다.
천공유닛(652)은 삼각형, 송곳, 칼날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천공유닛(652)들은 전진 시 포켓부(63)의 여러 곳을 동시에 천공하여 소화수가 분출되도록 한다.
확산부(66)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부(66)는 분출되는 소화수를 실외기실(2)의 내부에 고루게 분산시키도록 실외기실(2)의 내벽에 수직,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확산되는 소화수에 의해 화재가 진화된다.
나아가, 확산되는 소화수는 실외기실(2)에 보관되어 있는 각종 보관물 들을 적시게 됨으로, 보관물에 불이 쉽게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화재의 확산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부가 롤부(67)는 실외기실(2)의 천장면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부가 롤부(67)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형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롤부(67)는 일측과 타측이 실외기실(2)의 벽면에 설치된 베어링(미도시)에 관통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 가능하다.
부가 포켓부(68)는 부가 롤부(67)에 권취된다.
이때, 부가 포켓부(68)는 일단이 부가 롤부(67)에 고정된 상태에서 부가 롤부(67)에 권취될 수 있다.
부가 포켓부(68)는 내부에 소화수가 주입되는 주입공간이 형성된다.
부가 포켓부(68)는 물놀이용 튜브와 동일한 재질, 풍선과 동일한 재질, 비닐재질,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부가 포켓부(68)의 끝 부분 일정영역은 부가 롤부(67)에 미 권취된다.
부가 포켓부(68)는 부가 롤부(67)에서 권출될 시 그 면적이 실외기실(2)의 천장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약 50~90%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부가 포켓부(68)는 권출될 시 실외기실(2)의 천장면 전체를 가리거나 또는 약 50~90%를 가리게 된다.
스크류바(69)는 부가 롤부(67)의 상측에 배치되며, 실외기실(2)의 폭을 가로지는 형태를 이룬다.
스크류바(69)는 일측이 부가 구동부(70)에 결합되고, 타측은 실외기실(2)의 벽면에 설치된 베어링에 관통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 가능하다.
스크류바(69)의 외주연에는 이동체(71)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나선이 형성된다.
부가 구동부(70)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모터 또는 D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구동부(70)의 모터축은 스크류바(69)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스크류바(69)는 모터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동체(71)는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분에는 스크류바(69)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나선이 형성된다.
이동체(71)의 저면은 부가 포켓부(68)의 미 권취영역 상면에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실 안전장치는 이동체(71)가 스크류바(69)에서 제자리 회전되지 아니하고, 스크류바(69)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실외기실(2)의 천장면에 설치되는 레일부, 하단이 이동체(71)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측이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부가 구동부(70)가 스크류바(69)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드부 및 이동체(71)가 동시에 이송되며, 이로 인해 이동체(71)에 결합된 부가 포켓부(68)가 실외기실(2)의 천장측에서 펼쳐지게 된다.
부가 주입부(72)는 실외기실(2)의 바닥면에 배치된다.
부가 주입부(72)는 소화수를 저장하는 부가 저장탱크 및 부가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부가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 펌프는 부가 연결라인(721)을 통해 부가 포켓부(68)와 연결된다.
부가 연결라인(721)은 호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이 부가 포켓부(68)에 관통설치 된다.
따라서, 부가 펌프가 작동시 부가 저장탱크에 저장된 소화수는 연결라인(641)을 통해 부가 포켓부(68)의 내부에 주입된다.
이로 인해, 부가 포켓부(68)는 일정 부피로 팽창하게 된다.
부가 천공부(73)는 부가 포켓부(68)에 소화수가 충진될 경우 부가 포켓부(68)를 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부가 천공부(73)는 실외기실(2)의 천장면에 종, 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부가 실린더(731) 및 부가 실린더(731)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권출된 부가 포켓부(68)에 대해 하강 또는 상승하는 부가 천공유닛(732)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천공유닛(732)은 삼각형, 송곳, 칼날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부가 천공유닛(732)들은 하강 시 포켓부(63)의 여러 곳을 동시에 천공하여 소화수가 실외기실(2)의 바닥을 향해 분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분출되는 소화수에 의해서도 화재가 진화된다.
나아가, 분출되는 소화수는 실외기실(2)에 보관되어 있는 각종 보관물 들을 적시게 됨으로, 보관물에 불이 쉽게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화재의 확산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한편, 포켓부(63) 및 부가 포켓부(68)는 1회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화재를 진화한 다음에는 새로운 포켓부(63) 및 부가 포켓부(68)로 교체하면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공기순환부 20 : 감지부
21 : 불꽃감지센서 22 : 연기감지센서
23 : 온도감지센서 30 : 제어부
31 : 판단모듈 32 : 알림음 발생모듈
33 : 소방서 서버 연락 모듈 34 : 저장 DB
40 : 자동소화부 50 : 카메라
60 : 진화부 61 : 롤부
62 : 구동부 63 : 포켓부
64 : 주입부 641 : 연결라인
65 : 천공부 651 : 실린더
652 : 천공유닛 66 : 확산부
67 : 부가 롤부 68 : 부가 포켓부
69 : 스크류바 70 : 부가 구동부
71 : 이동체 72 : 부가 주입부
721 : 부가 연결라인 73 : 부가 천공부
731 : 부가 실린더 732 : 부가 천공유닛
74 : 롤러

Claims (5)

  1. 실외기가 수납되는 실외기실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
    상기 실외기실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관련된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실외기실에 설치되고, 소화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동으로 작동되는 자동소화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에 근거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과, 판단모듈의 판단결과가 화재인 경우 알림음을 발생하는 알림음 발생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실외기실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모듈의 판단결과가 화재인 경우 상기 자동소화부로 소화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화재 진화부는,
    상기 실외기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롤부;
    상기 롤부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롤부에 권취되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롤부에서 권출되는 포켓부;
    상기 포켓부가 권출될 시, 상기 포켓부의 내부에 소화수를 각각 주입하는 주입부;
    상기 포켓부에 소화수가 충진될 경우 상기 소화수가 분출되어 화재를 진화하도록 하면서 상기 실외기실에 보관되어 있는 보관물들을 적시도록 상기 포켓부를 천공하는 천공부;
    상기 천공부가 상기 포켓부를 컷팅할 시 상기 소화수가 확산되도록 바람을 발생시키는 확산부;
    상기 실외기실의 천장면 하측에 배치되는 부가 롤부; 상기 부가 롤부에 권취되며, 일정영역은 상기 부가 롤부에 미 권취되는 부가 포켓부;
    상기 부가 롤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실외기실의 폭을 가로지르는 스크류바;
    상기 스크류바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부가 구동부;
    상기 스크류바에 장착되며, 저면이 상기 부가 포켓부의 미 권취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부가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크류바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부가 포켓부를 권출시키는 이동체;
    상기 부가 포켓부가 권출될 시, 상기 부가 포켓부의 내부에 소화수를 주입하는 부가 주입부; 및
    상기 부가 포켓부에 소화수가 충진될 경우 상기 소화수가 분출되어 화재를 진화하도록 상기 부가 포켓부를 천공하는 부가 천공부;를 포함하는 실외기실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실외기실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센서;
    상기 실외기실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 및
    상기 실외기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에 근거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는 실외기실 안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소방서에 연락하기 위한 소방서 서버 연락 모듈을 더 포함하는 실외기실 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실의 내부를 촬영하여, 서버를 통해 관리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실외기실 안전장치.
KR1020220012060A 2022-01-27 2022-01-27 실외기실 안전장치 KR102488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060A KR102488048B1 (ko) 2022-01-27 2022-01-27 실외기실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060A KR102488048B1 (ko) 2022-01-27 2022-01-27 실외기실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048B1 true KR102488048B1 (ko) 2023-01-12

Family

ID=8492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060A KR102488048B1 (ko) 2022-01-27 2022-01-27 실외기실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0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884B1 (ko) 2014-09-02 2015-09-16 (주)대우건설 2세대 공동 사용이 가능한 복층 구조의 공동 주택용 실외기실
KR101965112B1 (ko) * 2018-10-19 2019-04-02 최대규 실외기실 화재 예방용 루버 개폐 시스템
KR102045795B1 (ko) * 2019-06-03 2019-11-18 이현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배전반 방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884B1 (ko) 2014-09-02 2015-09-16 (주)대우건설 2세대 공동 사용이 가능한 복층 구조의 공동 주택용 실외기실
KR101965112B1 (ko) * 2018-10-19 2019-04-02 최대규 실외기실 화재 예방용 루버 개폐 시스템
KR102045795B1 (ko) * 2019-06-03 2019-11-18 이현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배전반 방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0024B2 (en) Automatic smoke/carbon monoxide evacu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garage
US10755544B2 (en) Automatic smoke/carbon monoxide evacuation power switch method and system
KR100981725B1 (ko) 소화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762550B1 (ko) 공동주택의 화재 대피실 방화 장치
KR100884890B1 (ko) 화재시 배연의 기능성을 발휘하는 실내 환기시스템
KR101796308B1 (ko) 공동주택 정전시 자가발전을 이용한 소방전원공급장치
KR20020067525A (ko) 공기조화기
CN112116775A (zh) 一种多联机设备的火灾检测方法及多联机系统
CN109859434A (zh) 一种地铁车站通风排烟优化控制系统及方法
KR102529829B1 (ko) 스마트 화재 진압 방법 및 시스템
KR101638152B1 (ko) 스마트 화재예방 및 대응 시스템
JP2007020751A (ja) 可動ガラリおよびこれを備えた消火対象区画の消火システム
KR102168693B1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US20210222877A1 (en) Automatic Smoke/Carbon Monoxide Power Cut-Off Method and System
US2019033680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uppression of Fire Growth
KR102488048B1 (ko) 실외기실 안전장치
KR101113418B1 (ko) 화재 감시기능을 갖는 건물용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1324191A (ja) 空気調和装置
KR102111212B1 (ko) 가스를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방법, 시스템
CN105783172A (zh) 自动灭火新风管网系统
Singh et al. Raspberry pi based smart fire management system employing sensor based automatic water sprinkler
Awawdeh et al. Embedded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protection purposes with IoT control
KR102153935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WO2013110172A1 (en) Smart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117090B1 (ko)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