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716B1 - Door lock - Google Patents

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716B1
KR102487716B1 KR1020210043396A KR20210043396A KR102487716B1 KR 102487716 B1 KR102487716 B1 KR 102487716B1 KR 1020210043396 A KR1020210043396 A KR 1020210043396A KR 20210043396 A KR20210043396 A KR 20210043396A KR 102487716 B1 KR102487716 B1 KR 102487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case
fixing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7378A (en
Inventor
백리나
백비아
백기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코
Priority to KR1020210043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716B1/en
Publication of KR2022013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3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7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05B13/004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by locking the spindle, followe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핸들,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핸들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도어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핸들,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2 핸들과 연결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가 관통하며, 상기 연결바의 회전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래치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연결바 사이에 배치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 핸들을 회전하여 도어를 잠그는 경우, 상기 제1 핸들이 공회전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device installed on a door frame to open and close a door, wherein a first hand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frame, a first case,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through the first case , a second handl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frame, a second case,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passing through the second cas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handle, a connection ba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he A connection bar passes through and includes a latch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rotation of the connection bar and a lock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connection bar, wherein the locking portion locks the door by rotating the second handle, It provides a doo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andle is operated to idle.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Door lock}Door lock {Door lock}

실시예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일측에서 핸들을 조작하여 잠금상태로 설정시 타측 핸들의 동작이 공회전되도록 하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door lock.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door locking device that operates a handle on one side of a door to set it in a locked stat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handle on the other side is idling.

일반적으로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general, a door locking device installed on a door allows the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a door handle.

내측 손잡이와 외측 손잡이에 각각 연결되도록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걸림부재가 문설주에 형성된 구멍에 선단의 걸림편이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하여 문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거나 열릴 수 있게 한다.The locking member installed inside the door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handle and the outer handle respectively allows the locking piece of the front end to be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hole formed in the door jamb so that the door can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or opened.

그리고, 내측 손잡이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버튼이 구비되어 있고, 외측 손잡이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 제한을 해제하는 열쇠 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도어의 내측에서는 내측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걸림부재의 이동 제한을 해제하여 도어를 열 수 있으나. 도어의 외측에서는 외측 손잡이의 회전마저 제한되어 열쇠로 열쇠 뭉치를 회전시키지 않는 한 걸림부재의 이동 제한을 해제하지 못하고 도어를 열 수도 없다.In addition, a lock button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inner handle, and a key is provided on the outer handle to release the restriction on movement of the locking member. At this time, on the inside of the door, the door can be opened by releasing the movement restriction of the locking member only by rotating the inner handle. On the outside of the door, even the rotation of the outer handle is restricted, so that the door cannot be opened without releasing the restriction on the movement of the locking member unless the key bundle is rotated with the key.

이와 같이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는 손잡이와 잠금장치가 분리되어 있어 도어의 잠금을 위해서는 별도의 잠금장치의 조작이 필요한 불편이 존재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door locking device, since the handle and the locking device are separated, a separate locking device needs to be operated in order to lock the door.

실시예는 손잡이의 구동을 통해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maintain a locked or unlocked state of a door through driving of a handle.

또한, 일측 손잡이에서 잠금상태 설정시 타측 손잡이의 조작으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lock state is set in one handle, the object is to prevent the lock state from being released by manipulation of the other hand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i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핸들,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핸들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도어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핸들,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2 핸들과 연결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가 관통하며, 상기 연결바의 회전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래치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연결바 사이에 배치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 핸들을 회전하여 도어를 잠그는 경우, 상기 제1 핸들이 공회전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oor locking device installed on a door frame to open and close a door, a first hand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frame, a first case, and connection to the first handle through the first case. a first connecting portion; a second handl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frame, a second case,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handle through the second case; a connection ba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latch unit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bar passes and opens and closes the door by rotation of the connection bar; and a lock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art and the connecting bar, wherein the locking part operates so that the first handle idles when the door is locked by rotating the second hand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부는 상기 연결바가 삽입되는 고정케이스, 이동홀이 형성되고, 내벽에 나선 구조의 승강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케이스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부 및 상기 이동홀에 삽입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2 핸들의 동작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ocking part has a fixed case into which the connecting bar is inserted, a movable hole is formed, has a spiral structure lifting guide part on an inner wall, and is inserted into the movable hole and a rotating part rotatably fixed to the fixed case, , One side may include a lift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lifting part may move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and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부는 중앙의 일영역에 승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케이스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ocking part has an elevation hole formed in a central region, further includes a fixing portion inserted and fixed to the fixing case, and the elevation portion passes through the elevation hol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can be done with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한 쌍의 돌출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고정부는 상기 고정케이스에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xing part includes a pair of protruding fixing parts, and the protruding fixing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xing ca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홀은 도어의 개방시 상기 승강부와 접촉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ovement hole may have a support portion contacting the elevation portion when the door is open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홀의 일영역에는 상기 제1 핸들의 동작시 공회전을 하는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an area in which idle rotation occurs when the first handle is operated may be formed in one area of the movement 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핸들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래치부가 도어를 잠그는 경우,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2 핸들 측으로 전진하여 상기 제1 핸들과 상기 연결바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제1 핸들로 도어의 개폐가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latch part locks the door by rotating the second handle upward, the elevating part advances toward the second handl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handle and the connection bar is released, and the door is opened with the first handl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op.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부는 도어의 개폐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는 텐션스프링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텐션스프링고정부는 텐션스프링을 통해 상기 상태유지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ocking unit further includes a state holding unit for maintaining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a tension spring fixing uni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otating unit, and the tension spring fixing unit is connected to the state holding unit through a tension spring. can be characteriz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텐션스프링은 내각이 90도 이하의 구부러진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텐션스프링고정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상태유지부 내부에 돌출되는 돌출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ension spring is provided in a bent shape with an inner angle of 90 degrees or less, one side is fixed to the tension spring fixing part,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a protruding part protruding inside the state holding par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케이스 하부에는 상기 텐션스프링고정부가 회동할 수 있는 회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a rotation groove in which the tension spring fixing part can rotate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case.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를 통해 잠금 및 해제를 하도록 하여 도어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lock and unlock the door through the handl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ng the door.

또한, 일측 손잡이에서 잠금 설정시 타측 손잡이가 공회전을 하도록 하여 잠금상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the locked state by allowing the other handle to idle when setting the lock on one side handle.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Various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 잠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내부 구성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3의 구성요소인 잠김부의 구성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서 도어의 열림상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에서 도어의 닫힘상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locking devic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oor lock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Figure 2,
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FIG. 3,
6 and 7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part, which is a component of FIG. 3,
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door in an open state in FIG. 1;
9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11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in FIG. 1;
12 is a sectional view of FIG. 11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if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among the embodiments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can be used by combining and substitut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contextual meanings of related technolog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lso,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and C”, A, B, and C are combined.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 is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to, combined with,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with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the case of being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above (above) or below (below)” of each component, “upper (above)” or “lower (below)” is not only a case wher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one A case in which another component above is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s also included.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down)”,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1 to 12 clearly show only the main features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onceptually, and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iagram are expect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specific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It doesn't have to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 잠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내구 구성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3의 구성요소인 잠김부의 구성의 확대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oor locking device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rability of FIG. 2, FIG. 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FIG. 3 , and FIGS. 6 and 7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FIG. 3 .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1)는 도어프레임(10)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7 , the door loc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10 to open and close the door.

본 발명에서는 내측에서 도어 핸들을 회전하여 잠금으로 설정하는 경우, 바깥측에서 도어 핸들을 회전하더라도 도어 핸들이 공회전하도록 하여 잠금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handle is rotated from the inside to be locked, the locked state is maintained even when the door handle is rotated from the outside by allowing the door handle to id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1)는 도어프레임(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핸들(100), 제1 케이스(110) 및 상기 제1 케이스(1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핸들(100)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120), 도어프레임(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핸들(200), 제2 케이스(210) 및 제2 케이스(210)를 관통하여 제2 핸들(200)과 연결되는 제2 연결부(220), 제1 연결부(120)와 제2 연결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바(300), 연결바(300)가 관통하며 상기 연결바(300)의 회전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래치부(20), 제1 연결부(120)와 연결바(300) 사이에 배치되는 잠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lock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the first handle 1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frame 10, the first case 110, and the first case 110 to the first case 110. 1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connected to the handle 100, the second handle 20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frame 10, the second case 210, and the second case 210,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connected to the handle 200, the connection bar 300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and the connection bar 300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bar 300 It may include a latch unit 20 that opens and closes the door by rotation of , and a locking unit 400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and the connection bar 300 .

도어의 일측은 도어를 기준으로 잠금설정이 불가능한 영역을 의미하며, 도어의 타측은 잠금설정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One side of the door means an area in which a lock cannot be set based on the door, and the other side of the door means an area in which a lock can be set.

우선 도어 잠금장치(1)의 일측 구성을 살펴보면, 제1 핸들(100), 제1 케이스(110) 및 제1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looking at the structure of one side of the door locking device 1, it may include a first handle 100, a first case 110, and a first connection part 120.

제1 케이스(110)는 도어프레임(10)의 일측에 장착되어 핸들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10)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며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The first case 11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door frame 10 and a handle may be connected thereto. The shape of the first case 110 is not limited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제1 핸들(100)은 도어프레임(10)의 일측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핸들(100)은 절곡된 구조로 마련되어 제1 케이스(110)의 외측에 연결되며, 제1 연결부(120)가 결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andle 100 may be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door frame 10 . In one embodiment, the first handle 100 is provided in a bent structure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110, and a space for coupl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may be formed.

제1 연결부(120)는 제1 케이스(110)를 향해 돌출되는 제1 관통부(121)를 구비하며, 관통부는 제1 케이스(110)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111)을 관통하여 제1 연결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관통부(121)는 외부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제1 핸들(100)의 공간과 형합하게 되며, 제1 핸들(100)의 회전에 따른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includes a first through-hole 121 protruding toward the first case 110, and the through-through portion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111 formed in the first case 110 to form a first through-hole 111. 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20 . 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through-portion 121 to match the space of the first handle 100 and receive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handle 100. .

또한, 제1 관통부(121)가 배치되는 제1 연결부(120)의 반대측에는 제1 연결부(120)의 외측라인을 따라 제1 외벽(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벽(122)은 잠금부(400)의 구성요소가 수용될 수 있으며, 일측이 개방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외벽(122)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outer wall 122 may be formed along an outer lin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where the first through part 121 is disposed. Components of the locking part 4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outer wall 122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open. In one embodiment, the first outer wall 122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도어 잠금장치(1)의 타측 구성을 살펴보면, 제2 핸들(200), 제2 케이스(210) 및 제2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door locking device 1, it may include a second handle 200, a second case 210,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220.

제2 케이스(210)와 제2 핸들(200)은 제1 케이스(110) 및 제1 핸들(100)과 동일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The second case 210 and the second handle 20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ase 110 and the first handle 100 .

제2 연결부(220)에 형성되는 제2 관통부(221)는 제2 핸들(200)케이스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211)을 관통하여 제2 핸들(200)과 결합하게 되며, 제2 관통부(221)가 형성되는 반대측에는 제2 연결바고정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through-hole 221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hole 211 formed in the case of the second handle 200 and is coupled with the second handle 200. A second connection bar fixing groove 222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rough portion 221 .

연결바(300)는 제1 연결부(120)와 제2 연결부(220)를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연결바(30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2 연결부(220)와 제1 연결부(120)에 연결되는 잠금부(400)와 연결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사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연결바(300)는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ar 300 may connect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bar 300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locking part 400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art 220 and the first connecting part 120 provided in a rectangular pillar shape. The connection bar 300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can easily transmit rotational force, and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structures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래치부(20)는 연결바(300)가 중앙의 일영역을 관통하며, 핸들과 연동된 연결바(300)의 회전을 통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래치부(20)의 구조는 제한이 없으며, 연결바(300)의 회전과 연동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In the latch unit 20 , the connection bar 300 penetrates a central area, and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rotation of the connection bar 300 interlocked with the handle. The structure of the latch unit 20 is not limited, and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bar 300 may be used.

잠금부(400)는 제1 연결부(120)와 연결바(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잠금부(400)는 도어의 개방상태에서는 제1 핸들(100)의 회전력이 래치부(20)로 전달되어 도어가 개방되도록 동작하나, 도어의 잠금상태에서는 제1 핸들(100)이 공회전하도록 하여 제1 핸들(100)의 회전력이 래치부(2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에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locking part 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art 120 and the connecting bar 300 . The locking unit 400 operates to open the door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handle 100 to the latch unit 20 when the door is open, but allows the first handle 100 to idle when the door is locked. By preven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handle 10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atch unit 20, unlocking the door from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잠금부(400)는 고정케이스(410), 회전부(430), 승강부(450), 고정부(470) 및 상태유지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part 400 may include a fixed case 410, a rotating part 430, a lifting part 450, a fixing part 470, and a state holding part 490.

고정케이스(410)는 일측에는 연결바(300)가 삽입되는 제1 연결바 고정홈(412)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잠금부(400)의 구성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은 원통형의 제2 외벽(411)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case 410 has a first connecting bar fixing groove 412 into which the connecting bar 300 is inserted is formed on one side, and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mponents of the locking part 40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 The inner space may be formed through the cylindrical second outer wall 411 .

고정케이스(410)에는 고정부(470)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413)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고정홈(413)은 제2 외벽(411)의 일영역이 함입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 fixing groove 413 for fixing the fixing part 470 may be formed in the fixing case 410 . In one embodiment, the fixing groove 413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one region of the second outer wall 411 is recessed.

또한, 고정케이스(410)의 제2 외벽(411)의 하부에는 회전홈(414)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rotation groove 414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wall 411 of the fixing case 410 .

회전홈(414)은 회전부(430)에 마련되는 텐션스프링고정부(433)가 핸들의 구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rotation groove 414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tension spring fixing portion 433 provided in the rotating portion 430 can mov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handle.

회전부(430)는 중앙의 일영역에 이동홀(431)이 형성되고, 내벽에 나선 구조의 승강가이드부(432)를 구비하며, 고정케이스(41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The rotation unit 430 has a moving hole 431 formed in one area in the center, has a spiral structure lifting guide unit 432 on an inner wall, and can be rotatably fixed to the fixed case 410 .

회전부(430)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통형의 구조로 마련되어 이동홀(431)을 구비하며, 이동홀(431)은 승강부(450)가 핸들의 조작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제공한다.The rotating part 43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has a moving hole 431, and the moving hole 431 provides an internal space so that the lifting part 450 can move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승강가이드부(432)는 나선 구조로 회전부(430)의 내벽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승강부(450)에 구비되는 승강스크류(452)가 이동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elevating guide portion 432 may be provided in a pair on the inner wall of the rotating portion 430 in a spiral structure, and may serve as a guide for moving the elevating screw 452 provided in the elevating portion 450 .

승강가이드의 단부에는 승강스크류(452)와 접촉하여 회전하기 위한 지지부(435)가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지지부(435)는 승강스크류(452)의 단부가 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 support part 435 for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elevating screw 452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elevating guide.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part 435 may be formed such that an end of the elevating screw 452 has a jaw.

또한, 한 쌍으로 배치되는 승강가이드부(432)의 원주방향의 거리(R1)는 승강스크류(452)의 원주방향(R2)의 거리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핸들(100)의 동작시 공회전 영역(A)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 distance R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guide units 432 disposed as a pair may be greater than a distance R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2 of the elevating screw 452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dling area A during operation of the first handle 100 .

회전부(430)의 하부에는 텐션스프링고정부(433)가 구비될 수 있다. 텐션스프링고정부(433)는 회전부(430)의 외벽에서 돌출되는 구조로 마련되며, 단부에는 텐션스프링(493)이 고정될 수 있다.A tension spring fixing part 433 may be provided below the rotating part 430 . The tension spring fixing part 433 is provided in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of the rotating part 430, and the tension spring 493 may be fixed to an end thereof.

승강부(450)는 이동홀(431)에 삽입배치되며, 일측이 제1 연결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승강부(450)는 제2 핸들(200)의 동작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을 하도록 배치된다,The elevation part 450 is inserted into the moving hole 431 and one side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 The lifting part 450 is arranged to move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andle 200.

승강부(450)는 승강부본체(451)와 승강부본체(451) 단부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승강스크류(4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450 may include an elevating unit body 451 and a pair of elevating screws 452 disposed at an end of the elevating unit body 451 .

승강부본체(451)는 제1 연결부(120)에 삽입되며 제1 연결부(120)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면접촉을 하도록 제1 연결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승강부본체(451)는 계단식의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lifting part body 451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to make surface contact to receiv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 In one embodiment, the elevation unit body 451 may have a stepped structure.

승강스크류(452)는 나선형의 승강가이드부(432)와 접촉을 하도록 나선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The elevating screw 452 may be provided in a spiral structur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piral elevating guide portion 432 .

고정부(470)는 중앙의 일영역에 승강홀(471)이 형성되며, 고정케이스(410)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470)는 한 쌍의 고정돌출부(472)를 포함하며, 고정돌출부(472)는 고정케이스(410)에 형성되는 고정홈(413)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470 has an elevation hole 471 formed in one central region, and can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xing case 410 . The fixing part 470 includes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472 , and the fixing protrusions 472 may be inserted and fixed into fixing grooves 413 formed in the fixing case 410 .

승강홀(471)에는 승강부본체(451)가 삽입되며, 고정돌출부(472)를 통한 고정을 통해 승강부(450)가 승강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evation part main body 451 is inserted into the elevation hole 471,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vation portion 450 from twisting during elevation by being fixed through the fixing protrusion 472.

상태유지부(490)는 도어의 개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태유지부(490)는 텐션스프링(493), 제1 스프링케이스(491) 및 제2 스프링케이스(49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te holding unit 490 may maintain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The state holding unit 490 may include a tension spring 493 , a first spring case 491 and a second spring case 492 .

텐션스프링(493)은 일측이 텐션스프링고정부(433)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태유지부(490) 내부에 돌출되는 돌출고정부(492a)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내각이 90도 이하의 구부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tension spring 493 may have one side fixed to the tension spring fixing part 433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protruding fixing part 492a protruding inside the state holding part 490, and the inner angle is a bent shape of 90 degrees or less. can be provided.

제1 스프링케이스(491)와 제2 스프링케이스(492)는 결합을 통해 텐션스프링(493)의 동작시 탄성에 의해 텐션스프링(493)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spring case 491 and the second spring case 492 may be coupled to prevent the tension spring 493 from being separated due to elasticity during operation of the tension spring 493 .

제1 스프링케이스(491)와 제2 스프링케이스(492) 중 어느 일측에는 돌출고정부(492a)가 구비되어 텐션스프링(493)의 타측을 고정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spring case 491 and the second spring case 492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fixing part 492a to fix the other side of the tension spring 493 .

도 8은 도 1에서 도어의 열림상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단면도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in FIG. 1 in an open state, FIG. 9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 8 ,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 잠금장치(1)는 제1 핸들(100) 및 제2 핸들(200)의 조작을 통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핸들을 아래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어가 개방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8 to 10 , the door locking device 1 may open the door by manipulating the first handle 100 and the second handle 200 . At this time, when the handle is rotated downward, the door is opened.

제1 핸들(100)을 아래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연결부(120)에 연결되는 승강부(450)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때 승강부(450)는 회전부(430)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부(435)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연결바(300)가 함께 회전하여 래치부(20)를 동작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handle 100 is rotated downward, the elevation portion 45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 rotates together. At this time, the elevation portion 450 is a support portion disposed inside the rotation portion 430. It is supported by (435) and rotates. At this time, the connecting bar 300 rotates together to operate the latch unit 20 to open the door.

또한, 제1 핸들(100)을 개방상태에서 잠금동작을 하더라도 승강가이드부(432)에 형성되는 공회전 영역에 의해 도어의 닫힘이 제어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first handle 100 is locked in an open state, the closing of the door is controlled by the idling area formed in the elevation guide part 432 .

제2 핸들(200)을 아래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연결부(220)에 직접 연결되는 연결바(300)가 회전을 하게 되어 래치부(20)의 동작으로 도어가 개폐된다.When the second handle 200 is rotated downward, the connection bar 300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0 rotates, and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latch part 20 .

도 11은 도 1에서 도어의 닫힘상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이다.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door in FIG. 1 in a closed state,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1 .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어의 폐쇄는 제2 핸들(200)에서만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제1 핸들(100)은 공회전 영역에 의해 도어를 폐쇄할 수 없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 the door can be closed only by the second handle 200 . As mentioned above, the first handle 100 cannot close the door due to the idling area.

제2 핸들(200)에서 도어를 잠그기 위해 위쪽으로 도어를 회전하는 경우, 연결바(300)가 래치부(20)를 동작시켜 도어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연결바(300)의 회전으로 잠금부(400)가 회전시 잠금부(400) 내부에 있는 승강부(450)가 승강가이드부(432)를 따라 제2 핸들(200) 방향으로 전진을 하게 된다. When the door is rotated upward to lock the door by the second handle 200, the connection bar 300 operates the latch unit 20 to close the door. At this time, when the locking part 400 rotat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bar 300, the lifting part 450 inside the locking part 400 advanc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handle 200 along the lifting guide part 432. will do

이러한 잠금상태에서 도어 개방을 위해 제1 핸들(100)을 아랫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승강부(450)의 전진을 통해 도어 개방을 위해 접촉하던 승강스크류(452)와 지지부(435)의 접촉이 해제되어 있는 바, 제1 핸들(100)은 공회전을 하게 된다.In this locked state, even if the first handle 100 is rotated downward to open the door, the contact between the lifting screw 452 and the support 435, which were in contact for opening the door, is released through the advancement of the lifting part 450. As it exists, the first handle 100 is idling.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도어 잠금장치
10 : 도어프레임 20 : 래치부
100 : 제1 핸들 110 : 제1 케이스
111 : 제1 관통홀 120 : 제1 연결부
121 : 제1 관통부 122 : 제1 외벽
200 : 제2 핸들 210 : 제2 케이스
211 : 제2 관통홀 220 : 제2 연결부
221 : 제2 관통부 222 : 제2 연결바 고정홈
300 : 연결바 400 ; 잠금부
410 : 고정케이스 411 : 제2 외벽
412 : 제1 연결바 고정홈 413 : 고정홈
414 : 회전홈 430 : 회전부
431 : 이동홀 432 : 승강가이드부
433 : 텐션스프링고정부 435 : 지지부
450 : 승강부 451 : 승강부본체
452 : 승강스크류 470 : 고정부
471 : 승강홀 472 : 고정돌출부
490 : 상태유지부 491 : 제1 스프링케이스
492 : 제2 스프링케이스 492a : 돌출고정부
493 : 텐션스프링
1 : Door lock
10: door frame 20: latch unit
100: first handle 110: first case
111: first through hole 120: first connection part
121: first penetration part 122: first outer wall
200: second handle 210: second case
211: second through hole 220: second connection part
221: second through part 222: second connecting bar fixing groove
300: connecting bar 400; lock
410: fixed case 411: second outer wall
412: first connecting bar fixing groove 413: fixing groove
414: rotation groove 430: rotation part
431: moving hall 432: lifting guide part
433: tension spring fixing part 435: support part
450: lifting part 451: lifting part body
452: lifting screw 470: fixing part
471: lifting hole 472: fixed protrusion
490: state holding unit 491: first spring case
492: second spring case 492a: protruding fixing part
493: tension spring

Claims (10)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핸들,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핸들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도어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핸들,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2 핸들과 연결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가 관통하며, 상기 연결바의 회전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래치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연결바 사이에 배치되는 잠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 핸들을 회전하여 도어를 잠그는 경우, 상기 제1 핸들이 공회전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연결바가 삽입되는 고정케이스,
이동홀이 형성되고, 내벽에 나선 구조의 승강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케이스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부 및
상기 이동홀에 삽입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2 핸들의 동작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In the door lock device installed on the door frame to open and close the door,
a first hand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frame, a first case,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through the first case;
a second handl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frame, a second case,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handle through the second case;
a connection ba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latch unit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bar passes and opens and closes the door by rotation of the connection bar;
a lock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art and the connecting bar;
Including,
When the locking unit locks the door by rotating the second handle, the first handle operates to idle,
the locking part
A fixed case into which the connecting bar is inserted;
A moving hole is formed, a rotating part having a spiral structure lifting guide part on an inner wall, and a rotating part fixed to the fixed case so as to be rotatable;
It is inserted into the moving hole and includes an eleva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t one side,
The doo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unit moves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andl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중앙의 일영역에 승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케이스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part
An elevation hole is formed in one area in the center, and a fixing part inserted and fixed to the fixing case is further included.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elevation part passes through the elevation hol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한 쌍의 돌출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고정부는 상기 고정케이스에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xing part includes a pair of protruding fixing parts,
The doo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fixing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xing cas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홀은 도어의 개방시 상기 승강부와 접촉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movable hole has a support portion contacting the lifting portion when the door is open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홀의 일영역에는 상기 제1 핸들의 동작시 공회전을 하는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n idling area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movement hole when the first handle is opera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핸들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래치부가 도어를 잠그는 경우,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2 핸들 측으로 전진하여 상기 제1 핸들과 상기 연결바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제1 핸들로 도어의 개폐가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latch unit locks the door by rotating the second handle upward,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s stopped by the first handle by moving the elevating part forward toward the second handle and disconnecting the first handle from the connection ba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도어의 개폐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는 텐션스프링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텐션스프링고정부는 텐션스프링을 통해 상기 상태유지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state holding unit for maintaining the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door,
A tension spring fixing part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part,
The doo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spring fixing part is connected to the state holding part through a tension spring.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스프링은 내각이 90도 이하의 구부러진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텐션스프링고정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상태유지부 내부에 돌출되는 돌출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doo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spring is provided in a bent shape with an inner angle of 90 degrees or less, one side is fixed to the tension spring fixing part,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a protruding part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state holding par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스 하부에는 상기 텐션스프링고정부가 회동할 수 있는 회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According to claim 8,
A doo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rotation groove in which the tension spring fixing part can rotat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case.

KR1020210043396A 2021-04-02 2021-04-02 Door lock KR1024877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396A KR102487716B1 (en) 2021-04-02 2021-04-02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396A KR102487716B1 (en) 2021-04-02 2021-04-02 Door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378A KR20220137378A (en) 2022-10-12
KR102487716B1 true KR102487716B1 (en) 2023-01-13

Family

ID=8359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396A KR102487716B1 (en) 2021-04-02 2021-04-02 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716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70300T1 (en) * 2003-06-07 2007-09-15 Jer Ming Yu DOOR LOCK WITH A COUPLING HAVING A CAM BUSH FOR A HANDLE P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378A (en)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3425B2 (en) Padlock having dual unlocking modes
US20090107189A1 (en) Fire door lock
US4050272A (en) Lock assembly
US6568231B1 (en) Lock structure for bathroom use
JP2005533205A (en) Door locking device
KR20180022363A (en) Digital Door Rock
US8266934B2 (en) Keyed cylinder assembly for door lock
KR102487716B1 (en) Door lock
KR200452304Y1 (en) Door lock having hook
US4974884A (en) Selective self-locking deadbolt latch
RU2001100669A (en) SELF-LOCKING LATCH
KR200225346Y1 (en) Unlocking device for door lock
US20150135782A1 (en) Push button lock
US7134699B1 (en) Locking rotary latch
KR100648574B1 (en) double locking crossbar
KR20140064346A (en) Interlocking door-lock
AU2020310079A1 (en) Latch assembly
KR101117809B1 (en) Lock for tempered glass door
KR100427402B1 (en) Locking 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door
KR20070107293A (en) One touch door lock with one body type dual locking structure
KR200366984Y1 (en) double locking crossbar
KR102336019B1 (en) Door handle device having multi-directional open-close operation function
JPH11210277A (en) Plane handle
CN217658767U (en) Storage cabinet and robot with same
JP7238091B2 (en) loc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