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021B1 -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021B1
KR102487021B1 KR1020220046668A KR20220046668A KR102487021B1 KR 102487021 B1 KR102487021 B1 KR 102487021B1 KR 1020220046668 A KR1020220046668 A KR 1020220046668A KR 20220046668 A KR20220046668 A KR 20220046668A KR 102487021 B1 KR102487021 B1 KR 102487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dust
threshold
sensor unit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섭
여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협성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협성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협성기전
Priority to KR102022004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10Measuring moisture content, e.g. by measuring change in length of hygroscopic filament; Hygro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은 콘트롤 박스의 화재 발생을 예방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콘트롤 박스의 내부 공간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 센서부; 상기 내부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부; 관리자의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먼지 센서부로부터 획득하는 먼지량 및 상기 습도 센서부로부터 획득하는 습도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 상기 외부 기기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FIRE}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트롤 박스에서의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분전반/배전반)을 포함하는 콘트롤 박스는 집단거주지역(APT), 빌딩, 학교, 공장, 항만, 공항, 상하수 처리장, 변전소, 중공업 플랜트, 지하철, 화학단지, 제철소 등의 광범위한 전력 수용가에서 특고압의 전력을 저압으로 변환하여 해당 설비에게 공급하는 수배전계통에 설치되어 전력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하여 사용된다.
콘트롤 박스는 용량별로 36㎸ 또는 72㎸의 수배전계통에 사용되는 고압반(switchgear)과, 전력 229㎸, 24㎸, 258㎸ 등에 사용 가능한 특고압반으로 구분가능하다.
이런 콘트롤 박스의 내부는 통상적으로 특고측과 저압측으로 구분될 수 있되, 부연 설명하면, 설비를 기준으로 할 때, 전력 제공자인 한국전력에서 전기를 받는 수전설비가 위치한 쪽과, 수전설비를 통해 수전된 전기를 공장 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압 또는 용량으로 변경 공급하는 변압기 혹은 정전사고 등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체 설비를 보호하는 차단기 등을 구비한 배전설비가 위치한 쪽으로 구분 가능하다.
이러한 콘트롤 박스 내의 개폐기, 차단기, 변성기, 변압기, 부스바 등의 전력 설비들은 대부분의 경우 온도를 계측하여 과열여부를 검출할 필요성이 매우 크다. 예를 들면 개폐기, 차단기 등은 각각 인입 및 인출 단자대를 포함하고 있어 이에 대한 온도를 검출하여 과열에 의한 열화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선과 모선 간, 또는 모선과 분기선 등의 부스바 및 케이블 등의 접속부 등은 접속부의 느슨함이나 이물질 등의 영향으로 접촉저항이 증가함으로써 과열이 진행되어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상당히 자주 발생하고 있다.
특히, 콘트롤 박스 내부의 먼지로 인하여 합선이 발생되거나 정전기 발생으로 인해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상당하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0816 (2021.07.16.)호에서는 복합센서를 이용한 ESS 화재 및 운영환경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미세먼지 및 습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모바일 장치로 신호를 전송할 뿐, 미세먼지 및 습도에 기반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정확하게 콘트롤 박스에서의 화재 발생 위험을 예상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은 콘트롤 박스의 화재 발생을 예방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콘트롤 박스의 내부 공간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 센서부; 상기 내부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부; 관리자의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먼지 센서부로부터 획득하는 먼지량 및 상기 습도 센서부로부터 획득하는 습도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 상기 외부 기기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보다 정확하게 콘트롤 박스에서의 화재 발생 위험을 예상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의 콘트롤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의 먼지 센서부로부터 획득되는 먼지량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의 습도 센서부로부터 획득되는 먼지량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그래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은 콘트롤 박스의 화재 발생을 예방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콘트롤 박스의 내부 공간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 센서부; 상기 내부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부; 관리자의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먼지 센서부로부터 획득하는 먼지량 및 상기 습도 센서부로부터 획득하는 습도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 상기 외부 기기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먼지량이 기 설정된 먼지 임계치의 이상 여부 및 상기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임계치의 이상 여부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1차적으로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의 이상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2차적으로 상기 습도가 상기 습도 임계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습도 임계치는 미리 정해진 제1 습도 임계치 및 상기 제1 습도 임계치보다 큰 미리 정해진 제2 습도 임계치로 설정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정전기 발생 위험에 대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고, 상기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임계치 이상이며 상기 제2 습도 임계치 미만인 경우 알람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습도가 상기 제2 습도 임계치 이상인 경우 합선 발생 위험에 대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또, 콘트롤 박스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컨트롤러, 상기 먼지 센서부, 상기 습도 센서부 및 상기 통신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기기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는 경우, 콘트롤 박스의 전원을 차단하고, 전력이 충전된 상기 배터리부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의 콘트롤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의 먼지 센서부로부터 획득되는 먼지량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의 습도 센서부로부터 획득되는 먼지량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그래프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수배전반을 포함하는 콘트롤 박스 등 전력을 받아 다른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분배하는 장치에 대해 화재가 발생되기 전 이상 상황을 관리자에게 알람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콘트롤 박스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1)와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2)로 구성될 수 있다.
콘트롤 박스의 화재는 상기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먼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부 공간에 먼지가 많은 경우, 높은 습도 환경에서 먼지가 습기를 머금음에 따라 합선이 발생될 수 있고, 낮은 습도 환경에서는 정전기 발생에 의해 화재가 발생될 위험이 크다.
따라서, 상기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먼지에 따른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관리자에게 이상 상황을 알려줄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콘트롤 박스의 내부 공간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 센서부(100), 상기 내부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부(200), 관리자의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300) 및 상기 먼지 센서부(100)로부터 획득하는 먼지량 및 상기 습도 센서부(200)로부터 획득하는 습도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 상기 외부 기기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콘트롤 박스 상에 배치되어 관리자에게 소정의 알람을 소리 및/또는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먼지 센서부(100), 상기 습도 센서부(200), 상기 통신부(300), 상기 컨트롤러(400) 및 상기 배터리부(600)는 상기 콘트롤 박스 상에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부(500)는 상기 도어(1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관리자가 상기 표시부(500)를 통해 소정의 알람을 인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10)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먼지 센서부(100)는 상기 내부 공간 상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광산란 방식, 베타선 방식, 중량 농도 측정 방식 등일 수 있으나, 그 방법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내부 공간 상의 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상기 먼지 센서부(100)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습도 센서부(200)는 상기 내부 공간 상의 습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수분흡착 방식, 분광학적 방식, 확산식 방식, 방전식 방식 등일 수 있으나, 그 방법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내부 공간 상의 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상기 먼지 센서부(100)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장치로서, 유선 통신, 무선 통신 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근거리 통신 또는 원거리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기일 수 있으나, 외부 관리 서버 등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상기 먼지 센서부(100)로부터 먼지량을 획득하고, 상기 습도 센서부(200)로부터 습도를 획득하여, 먼지량과 습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알람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먼지량이 기 설정된 먼지 임계치(A1)의 이상 여부 및 상기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임계치(A2)의 이상 여부로 상기 알람을 송신하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3은 상기 먼지 센서부(100)가 측정하는 상기 먼지량의 일례이며, 도 4는 상기 습도 센서부(200)가 측정하는 상기 습도의 일례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센서부(100)가 측정하는 상기 먼지량은 경우에 따라 상기 먼지 임계치(A1) 미만일 수도 있고, 상기 먼지 임계치(A1) 이상일 수도 있다.
상기 먼지 임계치(A1)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콘트롤 박스의 설치 위치, 설치 환경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습도 센서부(200)가 측정하는 상기 습도는 경우에 따라 상기 습도 임계치(A2) 미만일 수도 있고, 상기 습도 임계치(A2) 이상일 수도 있다.
상기 습도 임계치(A2)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콘트롤 박스의 설치 위치, 설치 환경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먼지량이 기 설정된 먼지 임계치(A1)의 이상 여부 및 상기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임계치(A2)의 이상 여부로 상기 알람을 송신함에 따라, 상기 먼지량 및 상기 습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알람을 송신하는 조건이 아니라, 상기 먼지량과 상기 습도를 조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알람을 송신하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1차적으로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A1)의 이상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A1)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2차적으로 상기 습도가 상기 습도 임계치(A2)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컨트롤러(400)는 우선적으로 상기 먼지 센서부(100)로부터 획득한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A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A1) 미만인 경우 상기 알람을 송신하지 않으며,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A1) 이상인 경우 상기 습도 센서부(200)로부터 획득한 상기 습도가 상기 습도 임계치(A2)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컨트롤러(400)는 우선적으로 상기 먼지 센서부(100)로부터 획득한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A1) 이상인 경우, 상기 습도 센서부(200)의 전원을 off에서 on으로 제어하여 상기 습도 센서부(200)로부터 상기 습도를 획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전력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화재 발생 확률이 높은 상황에 대해 정확하게 관리자에게 상기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습도 임계치(A2)는 미리 정해진 제1 습도 임계치(A2-1) 및 상기 제1 습도 임계치(A2-1)보다 큰 미리 정해진 제2 습도 임계치(A2-2)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습도 임계치(A2-1)는 정전기 발생 위험에 대한 임계치로서, 콘트롤 박스의 설치 위치, 설치 환경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습도 임계치(A2-2)는 합선(누전) 발생 위험에 대한 임계치로서, 콘트롤 박스의 설치 위치, 설치 환경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60%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먼지 센서부(100)로부터 획득한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A1) 이상을 만족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임계치(A2-1) 미만인 경우 정전기 발생 위험에 대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고, 상기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임계치(A2-1) 이상이며 상기 제2 습도 임계치(A2-2) 미만인 경우 알람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습도가 상기 제2 습도 임계치(A2-2) 이상인 경우 합선 발생 위험에 대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A1) 이상을 만족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2차적으로 상기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임계치(A2-1) 미만인지 여부 및 상기 제2 습도 임계치(A2-2) 이상인지 여부를 추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상기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임계치(A2-1) 미만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400)는 정전기 발생 위험에 대한 소정의 알람을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500)를 통해 상기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가 상기 제2 습도 임계치(A2-2) 이상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400)는 합선 발생 위험에 대한 소정의 알람을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500)를 통해 상기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화재 발생 전에 합선 또는 정전기 발생에 따른 화재 발생 위험을 미리 예측할 수 있고, 미리 화재를 예방하는 조치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외부 기기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는 경우, 콘트롤 박스의 전원(P)을 차단하고, 전력이 충전된 상기 배터리부(600)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콘트롤 박스의 전원(P)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부(600)는 콘트롤 박스의 전원(P)으로부터 전력을 받아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장치 중 전력이 필요한 장치인 상기 상기 컨트롤러(400), 상기 먼지 센서부(100), 상기 습도 센서부(200) 및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콘트롤 박스의 전원(P)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것이 아닌, 상기 배터리부(6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외부 기기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는 경우, 즉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A1) 이상을 만족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임계치(A2-1) 미만인 경우와 상기 습도가 상기 제2 습도 임계치(A2-2) 이상인 경우, 외부로부터 콘트롤 박스의 전원(P)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콘트롤 박스의 전원(P)으로부터 상기 배터리부(6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과전류에 의한 화재 발생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10)의 추가적인 기술적 특징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습도 센서부(200)의 작동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A1) 미만인 경우 제1 주기로 상기 습도 센서부(200)를 작동시켜 상기 습도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A1)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주기보다 빠른 제2 주기로 상기 습도 센서부(200)를 작동시켜 상기 습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주기는 30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주기는 5분 또는 실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습도 센서부(200)로부터 획득하는 상기 습도에 따라 상기 먼지 임계치(A1)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임계치(A2-1) 이상이며 상기 제2 습도 임계치(A2-2) 미만인 경우 상기 먼지 임계치(A1)를 제1 임계치(예를 들어, 50㎍/m3)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임계치(A2-1) 미만이거나 상기 제2 습도 임계치(A2-2) 이상인 경우 상기 먼지 임계치(A1)를 제1 임계치 보다 낮은 제2 임계치(예를 들어, 30㎍/m3)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400)는 보다 정확하게 합선 및/또는 정전기에 의한 화재 발생 알람을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먼지 센서부
200: 습도 센서부
300: 통신부
400: 컨트롤러

Claims (5)

  1. 콘트롤 박스의 화재 발생을 예방하는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콘트롤 박스의 내부 공간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 센서부;
    상기 내부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부;
    관리자의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먼지 센서부로부터 획득하는 먼지량 및 상기 습도 센서부로부터 획득하는 습도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 상기 외부 기기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먼지량이 기 설정된 먼지 임계치의 이상 여부 및
    상기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임계치의 이상 여부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는 조건이되,
    1차적으로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의 이상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먼지량이 상기 먼지 임계치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2차적으로 상기 습도가 상기 습도 임계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인,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임계치는,
    미리 정해진 제1 습도 임계치 및
    상기 제1 습도 임계치보다 큰 미리 정해진 제2 습도 임계치로 설정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정전기 발생 위험에 대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고,
    상기 습도가 상기 제1 습도 임계치 이상이며 상기 제2 습도 임계치 미만인 경우 알람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습도가 상기 제2 습도 임계치 이상인 경우 합선 발생 위험에 대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는,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콘트롤 박스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컨트롤러, 상기 먼지 센서부, 상기 습도 센서부 및 상기 통신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기기로 소정의 알람을 송신하는 경우,
    콘트롤 박스의 전원을 차단하고, 전력이 충전된 상기 배터리부의 전력을 사용하는,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20046668A 2022-04-15 2022-04-15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87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668A KR102487021B1 (ko) 2022-04-15 2022-04-15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668A KR102487021B1 (ko) 2022-04-15 2022-04-15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021B1 true KR102487021B1 (ko) 2023-01-11

Family

ID=8489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668A KR102487021B1 (ko) 2022-04-15 2022-04-15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0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87B1 (ko) * 2008-10-31 2009-12-16 주식회사 아이파워 고압 전기시설물의 접속부 열화 검출에 의한 수배전반 불량감시장치 및 방법
KR102139074B1 (ko) * 2020-01-31 2020-07-30 에이치제이산전(주) 비상시 안전을 강화한 배터리 내장형 분전반
KR20220029986A (ko) * 2020-09-02 2022-03-10 (주)비에이에너지 Iot센서 기반의 ess 안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87B1 (ko) * 2008-10-31 2009-12-16 주식회사 아이파워 고압 전기시설물의 접속부 열화 검출에 의한 수배전반 불량감시장치 및 방법
KR102139074B1 (ko) * 2020-01-31 2020-07-30 에이치제이산전(주) 비상시 안전을 강화한 배터리 내장형 분전반
KR20220029986A (ko) * 2020-09-02 2022-03-10 (주)비에이에너지 Iot센서 기반의 ess 안전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336317B1 (ko) 유시티(U-city) 등 대규모 도시의 전기설비를 실시간으로 관리 및 운영을 하는 웹감시 기반 유시티 전기안전 통합관리시스템
MX2015001091A (es) Panel interruptor de circuitos.
KR101604110B1 (ko) 비접촉 반도체형 통합 온습도 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823010B1 (ko) 부분방전 진단 기능 및 IoT 기술을 구비한 친환경 배전반
EP2282384A1 (en) Management, automation and communications cabinet for a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installation
KR102472880B1 (ko) 전력설비의 전력손실 및 화재 진단 시스템
KR100990736B1 (ko) 보호 배전반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보호 시스템
KR101996928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사고 예방시스템을 내장한 배전반
KR101489300B1 (ko) 아크, 부분방전 및 온도 감시 통합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제어방법
EP2019323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dicating and signalling changes in a three-phase voltage system of power line, with the purpose to detect interrupted conductions
KR102104835B1 (ko) 원격감시용 ct 2차 개방 방지시스템을 구비한 29kv gis
KR20180003978A (ko) 수배전반 내에서 스스로 정확한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및 동작이 부정확하면 경보를 울리는 자가진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349333B1 (ko) 전력 감시 분전반
KR101723217B1 (ko) 수배전반 내에서 스스로 정확한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및 동작이 부정확하면 경보를 울리는 자가진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049862B1 (ko)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분배전반
KR102435800B1 (ko) 배전반의 열화 및 전력이상 진단 시스템
KR101053497B1 (ko)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분배전반
KR101208579B1 (ko) 배전반 감시 및 알림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감시 및 알림 방법
KR102487021B1 (ko) 화재 발생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14118A (ko) 이상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0991417B1 (ko) 누설전류의 상시 검출이 가능한 접지 단자함을 구비한 수배전반
KR20210001515A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706622B1 (ko) 연면 방전 또는 아크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20170051984A (ko) 사용전 전기단락저항 측정기 장치를 적용한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