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991B1 - Sale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usable containers - Google Patents

Sale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usable contain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991B1
KR102486991B1 KR1020220039258A KR20220039258A KR102486991B1 KR 102486991 B1 KR102486991 B1 KR 102486991B1 KR 1020220039258 A KR1020220039258 A KR 1020220039258A KR 20220039258 A KR20220039258 A KR 20220039258A KR 102486991 B1 KR102486991 B1 KR 102486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usable
product
reusable container
sa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2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희
홍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퍼웨어
Priority to KR102022003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9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9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2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thing itsel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sale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reusable container. The sales and management system for a reusable container comprise: a reusable container including a body for providing an inner space in which products are stored, a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to open and close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body, a sensor module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including a weight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products stored in the body, and an IoT device for transmitting measured values obtained by the sensor module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 user terminal including a user interface unit,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and for receiving a product order of a customer through an application or a product sales homepage that supports a product order using the reusable container and recovery of the reusable container; a container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all matters related to the reusable container, including sales, delivery, recovery, cleaning, and reuse of the reusable container, and operated by a manager; and a manager terminal including a user interface unit,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and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reusable container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to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Therefore, the amount of packaging containers used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Description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 및 방법{SALE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USABLE CONTAINERS}Sale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reusable containers {SALE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USABLE CONTAINERS}

본 발명은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 및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es management system for reusable containers and a sales management method for reusable containers.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는 모든 제품이 재사용될 수 있도록 장려하며 폐기물을 방지하는데 초점을 맞춘 원칙으로, 모든 제품, 포장 및 자재를 태우지 않고, 환경이나 인간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토지, 해양, 공기로 배출하지 않으며 책임 있는 생산, 소비, 재사용 및 회수를 통해 모든 자원을 보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Zero waste' is a principle that encourages all products to be reused and focuses on avoiding waste, which means that all products, packaging and materials are not incinerated, land that could endanger the environment or human health, It means conserving all resources through responsible production, consumption, reuse and recovery, with no emissions to the oceans or air.

최근 들어, 포장 또는 배달 서비스가 급증하면서 일회용품의 사용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고, 환경부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플라스틱 폐기물의 발생량은 하루 평균 848t으로, 지난 해보다 15.6% 증가했다고 한다. 현재는 이러한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제로 웨이스트' 가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Recently, as packaging or delivery services have soared,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has also increased exponentially. Currently, the seriousness of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is recognized, and 'zero waste' is attracting attention.

상품 판매와 관련하여서는, 제로 웨이스트 상품 판매가 있으며, 이는 포장 용기 없이, 디스펜서에 담긴 상품을 재사용 가능한 용기에 담아서 판매하는 무포장 판매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로 웨이스트 상품 판매는 버려지는 포장 용기없이 제품의 소비가 가능하므로, 최근 들어 국내 일부 대형마트에서도 제로 웨이스트 상품 판매를 시작하였으며, 국내 및 해외에서 제로 웨이스트 상품 판매를 전문적으로 하는 매장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Regarding product sales, there is zero-waste product sales, which refers to a no-package sales method in which products in a dispenser are sold in a reusable container without a packaging container. Sales of these zero-waste products enable product consumption without discarding packaging containers. Recently, some large marts in Korea have also started selling zero-waste products, and the number of stores specializing in selling zero-waste products in Korea and abroad is increasing. to be.

제로 웨이스트 상품 판매는 환경 보호를 위해 추구되어야 할 방향임이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오프라인에서의 구매는 가능하지만, 매장 방문없이 구매하는 온라인 구매가 어렵다는 제약이 있다. Although it is clear that selling zero-waste products is a direction to be pursued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t is currently possible to purchase offline, but there is a restriction that it is difficult to purchase online without visiting a store.

이는 기존의 온라인 상품 판매가, 상품이 담겨 있는 용기 또는 비닐 포장을 다시 박스나 비닐봉투 등으로 배송용 포장을 해야 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며, 제로 웨이스트의 취지를 감안할 때, 재사용이 불가능한 현재의 포장 방법을 사용하는 온라인 상품 판매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existing online product sales are made in the form of shipping containers or plastic packaging in which the product is contained, which must be packaged again in a box or plastic bag for shipping. Considering the purpose of zero waste, the current packaging method that cannot be reused This i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sell products online using .

또한, 제품의 종류에 따라 법규상 위생 및 안전에 적합한 용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판매자는 기준에 적합한 용기만을 사용해서 판매해야 하고, 아무 용기나 사용해서 제품을 판매할 수 없으며, 위생 및 안전을 위한 소재 및 기구적 특성을 만족하는 용기를 사용해야 한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product, containers suitable for hygiene and safety must be used according to the law, so sellers must sell products using only containers that meet the standards, cannot sell products using any container, and use materials for hygiene and safety. and a container that satisfies mechanical characteristics must be used.

또한, 제로 웨이스트 제품 용기는 재사용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세척 과정이 용이해야 하며, 세척 과정에서 파손, 변형, 흠집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해야 한다. In addition, the zero-waste product container should be easy to wash during the reuse process, and should have excellent dur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so that damage, deformation, scratches, etc. do not occur during the washing process.

또한, 제로 웨이스트 제품 용기는 소정 횟수 재사용을 해야 하므로 사용 가능한 제품 종류 및 사용 횟수 등이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제품 용기는 상품 종류에 따라서 일정 횟수를 사용한 이후에는 안전한 방법으로 폐기하여야 하므로 수명 관리 또한 요구된다. 즉, 제로 웨이스트 상품 판매를 통해 포장 용기의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판매되는 상품의 포장 용기를 상품에 담아 판매 개시하는 시점부터 수 회 또는 수십 회의 재사용을 거쳐서 폐기할 때까지 제품 용기에 대한 정보가 추적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In addition, since zero-waste product containers must be reused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types of products that can be used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must be continuously managed. It is required. In other words, in order to minimize the use of packaging containers through the sale of zero-waste products, information on the product containers is tracked from the time the packaging containers of the sold product are put into the product and sold, until it is reused several times or dozens of times before discarding. and must be managed.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제로 웨이스트 상품 판매는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초기 단계에 불과하며,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제로 웨이스트 제품 용기는 존재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sale of zero-waste products is only in the initial stage made offline, and there is no zero-waste product container that satisfies the above conditions.

즉, 온라인 쇼핑이 일상화된 지금, 이로 인해 생겨나는 엄청난 양의 포장 용기에 대한 문제는 모두가 인지하고 있는 사실로서, 지속가능한 친환경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제품 용기 및 판매 방법으로는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다. In other words, now that online shopping has become commonplace, the problem with the huge amount of packaging containers caused by this is a fact that everyone is aware of. There is no way to solve this with containers and sales methods.

이에,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재사용 가능한 상품 용기를 개발 제작하고 이에 적합한 관리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manufacture reusable product containers and build a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them.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재사용 가능하며 사용 이력이 관리되는 제로 웨이스트 제품 용기를 제공하고, 발생되는 포장 용기 자체의 양을 줄여 지속가능한 친환경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to provide a reusable, zero-waste product container in which the history of use is managed, and to reduce the amount of packaging containers themselves to create a sustainable eco-friendly society.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배송과 동시에 기존에 사용한 용기를 회수, 세척, 재활용할 수 있는 용기 판매 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배송 과정에서 추가로 폐기되는 포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러한 용기 판매 관리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sales management process that can recover, wash, and recycle previously used containers at the same time as delivery, and enables such a container sales management process to prevent additional discarded packaging from occurring during the delivery proces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제로 웨이스트 제품 용기의 사용 이력을 관리 가능하며, 용기에 담긴 제품의 잔여량 및 유통기한을 확인하여 제품 재구매 시기가 되면 소비자에게 이를 자동으로 알려주고, 용기 이력 관리를 통해 용기가 오염되는 상황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the use history of zero-waste product containers, check the remaining amount and expiration date of the product contained in the container, automatically notify the consumer when it is time to repurchase the product, and manage the container history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container. Its purpose is to prevent the situ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은, 제품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된 몸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는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에서 획득된 측정값을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이용하는 상품 주문 및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회수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품 판매 홈페이지를 통해 고객의 상품 주문을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배송, 회수, 세척 및 재사용을 포함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관리하며 관리자에 의해 운영되는 용기관리서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관리서버와 통신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IoT 디바이스에서 수신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용기관리서버로 전송한다. A sales management system for a reus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rovid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product is stored, a cov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open body, A sensor module including a weight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that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measures the weight of a product stored inside the body, and an IoT that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obtained from the sensor module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 reusable container containing the device; A user terminal that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and receives a customer's product order through an application or product sales homepage that supports product ordering using the reusable container and collection of the reusable container. ; A container management server managed by a manager and managing all matters related to the reusable container, including sales, delivery, collection, cleaning, and reuse of the reusable container; And a manager terminal comprising a user interface unit,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user terminal includes state information of the reusable container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 and is transmitted to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태 정보를 타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모니터링하여,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에 담긴 제품의 예상 소진 시기를 결정하는 용기 상태 모니터링부;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상품 주문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제품 소비 패턴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집된 데이터들을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사용자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는 데이터분석부; 용기 회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로 용기 회수 알람을 전송하는 용기 회수 관리부; 및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를 카운트하고,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및 재사용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관리하는 용기 세척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stor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eusable container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time table and monitors the container state to determine the expected exhaustion time of the product contained in the reusable container. monitoring unit; a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product consumption pattern data for a specific user by analyz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eusable container and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data, and recommends a user-customized product by learning the collected data with a deep learning algorithm; a container recovery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a container recovery alarm to the manager terminal when a container recovery request is received; and a container washing management unit that counts the number of washings of the reusable container and manages all matters related to washing and reuse of the reusable contain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세척 관리부는,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기 압력 센서가, 상기 관리자가 설정한 소정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ainer washing management unit determines that the reusable container is washed when the pressure sensor of the reusable container detects a press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set by the manager, and the reusable container is washed. It is desirable to count the number of washings of the vesse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세척 관리부는, 카운트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가, 용기별로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소정 값의 재사용 가능 횟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폐기 시점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용기 폐기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ainer washing management unit, when the number of times of washing the reusable container counted reaches a reusable number of a predetermined value set by the manager for each container, the time to discard the reusable container arrives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a container discard request to the manager terminal upon determining that the container has been discard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IoT 디바이스는 적층 구조로 상기 몸체 하부에 분리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module and the IoT device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in a laminated structur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는 내부에 상기 몸체와 상기 센서 모듈을 수납함으로써,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는 내부 용기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와, 외부 용기에 해당하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는 개방된 상기 몸체의 상부와 개방된 상기 IoT 디바이스의 상부를 동시에 개폐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by accommodating the body and the sensor module therein, the reusable container has a double structur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inner container and the Io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ontainer. Preferably, the cover has a structure that simultaneously opens and closes the opened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opened upper part of the IoT device.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은, 제로 웨이스트 매장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자에게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이용한 상품을 고객에게 판매하는 단계;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고객에 의해 사용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회수하는 단계; 회수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세척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재사용 가능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는, 제품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는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에서 획득된 측정값을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IoT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sales management method for a reus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oviding a reusable container to a product seller including a zero-waste store; Selling a product using the reusable container to a custome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reusable container in real time; recovering the reusable container used by the customer; washing the recovered reusable container; counting the number of washings of the reusable contain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washings has reached a preset number of reusable containers, wherein the reusable container includes: a body provid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product is accommodated; a cov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 sensor module including a weight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product stored in the body, and an IoT device for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value obtained from the sensor module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자는 상품판매서버를 운영하는 온라인 판매자이며, 상기 고객에 의해 사용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회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제품 예상 소진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품 예상 소진 시기가 도래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product seller is an online seller operating a product sales server, and prior to the step of recovering the reusable container used by the customer, by monitoring the state of the reusable container in real tim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expected product exhaustion time has arrived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expected product exhaustion time has arrived, transmitting an alarm to a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품 예상 소진 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품 사용기한이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품 사용기한이 도래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람을 전송하고, 상기 제품 사용기한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expected product exhaustion time has not arrived,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use-by date has arrived, and when the product use-by date has arrived, an alarm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It is desirable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reusable container again when the expiration date of the product has not arriv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는,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기 압력 센서가,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 소정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counting of the number of times of washing of the reusable container may include washing of the reusable container when the pressure sensor of the reusable container detects a press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set in advance by a manager. It is preferably made by counting the number of washings of the reusable container by determining that it is mad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재사용 가능한 제로 웨이스트 제품 용기의 사용을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포장 용기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포장용기 생산 비용, 사용한 포장용기의 폐기 비용,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도 기대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activating the use of reusable zero-waste product containers, thereby having an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amount of packaging containers used. Furthermore,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producing packaging containers, the cost of disposing of used packaging containers, and carbon emissions is also expec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로 웨이스트 제품의 비대면 (온라인, 모바일 등) 판매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나아가 제로 웨이스트 제품의 비대면 판매를 위한 비즈니스와 연계하여 활용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즉, 제품 공급업체들은 더욱 활발하게 제로 웨이스트 제품 판매를 할 수 있게 되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접근성이 제한적인 오프라인 매장이 아니더라도 온라인 구매를 통해 제로 웨이스트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n-face-to-face (online, mobile, etc.) sales of zero-waste products are possible, and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business for non-face-to-face sales of zero-waste products. In other words, product suppliers will be able to more actively sell zero-waste products,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umer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y can purchase zero-waste products through online purchase even if they are not in offline stores with limited accessibility.

또한, 기존의 일반 포장용기의 경우, 제품 정보를 용기 표면에 인쇄하거나, 용기에 별도의 인쇄물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표시하였는데, 이러한 기존의 포장 용기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인쇄 비닐을 분리하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관리 정보 뿐만 아니라 용기에 담긴 제품 정보도 사용자 단말의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기존 포장용기 재활용시에 요구되었던 인쇄비닐 분리 등의 불편함을 없애고, 재활용불가 포장재의 종량제 처리비용이 감소된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isting general packaging containers, product information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or displayed by attaching a separate printout to the container.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this was necessary.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product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container as well as container management information can be checked through the app of the user terminal, the inconvenience of separating the printed vinyl required for recycling the existing packaging container is eliminated, and the volume-rate system for non-recyclable packaging materials is eliminated.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processing cos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의 제품 사용에 대한 빅데이터 수집, 관리를 통해 사용자별 맞춤형 용량 판매 등과 같은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으로서는 필요한만큼만 제 때 소비함으로써 가계경제에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user-customized services such as sales of customized capacity for each user through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big data on the customer's product use, and the burden on the household economy can be reduced by consuming only the necessary amount on time.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직은 대중적 인식이 미약한 상태에 있는 제로 웨이스트에 대해 많은 소비자가 알게 되고, 제로 웨이스트 참여 인구 증가를 통한 포장 폐기물 저감 문화가 확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any consumers know about zero waste, which is still in a state where public awareness is weak, and a packaging waste reduction culture can be spread through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 participating in zero was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용기관리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용기 판매 관리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용기 판매 관리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ales management system for reusable contai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usable contain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er terminal constituting the sales management system for reusable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ainer management server constituting the sales management system for reusable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of a sales management method of a reus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tainer sales management method of FIG. 5 .
7 is a flow chart of a sales management method of a reus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tainer sales management method of FIG. 7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module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For example, the module may refer to a predetermined code and a logical unit of hardware resources for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de,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a physically connected code or one type of hard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to the average expert in the art.

본 발명은, 재사용 가능하며 사용 이력이 자동 관리되는 제로 웨이스트 제품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 이러한 재사용 가능하며 사용 이력이 관리되는 제로 웨이스트 제품 용기는, 편의상 '재사용 가능한 용기'라고 지칭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e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zero-waste product container that is reusable and whose use history is automatically managed. refers to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재사용 가능한 용기에 수납되는 내용물을 '제품'이라 지칭하고, 제품을 용기에 담아 고객에게 판매되는 형태를 '상품'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용기에 수납되는 제품은, 예를 들어, 세제, 화장품, 식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contents contained in a reusable container will be referred to as 'product', and a form in which the product is put in a container and sold to customers will be referred to as 'product'. Here, the product stored in the container may be, for example, detergent, cosmetics, food,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xampl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presented as examples only, and there may be various embodiments implemented through the technical idea.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Sales management system for reusable containe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ales management system 1 for reusable contai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1)은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 사용자 단말(200), 용기관리서버(300) 및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을 의미하고, 관리자 단말(400)은 관리자가 이용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usable container sales management system 1 includes a reusable container 100, a user terminal 200, a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and a manager terminal 400. Here, the user terminal 200 means a terminal used by a customer, and the manager terminal 400 means a terminal used by a manager.

용기관리서버(300)는 용기의 판매, 배송, 회수, 세척, 재사용 등 용기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관리하며 용기 판매관리자(이하, '관리자'라 한다.)에 의해 운영된다.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manages all matters related to containers, such as sales, delivery, collection, washing, and reuse of containers, and is operated by a container sales manag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nage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1)은 상품판매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품판매서버(500)는 상품 판매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관리하며, 온라인 판매를 진행하는 상품 판매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eusable container sales management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a product sales server 500 . The product sales server 500 manages all matters related to product sales and may be operated by a product seller conducting online sales.

또한,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1)의 각 구성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each component of the reusable container sales management system 1 communicates through a network. Here, the network is, for example, R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network,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Internet ),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network, NFC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s,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1)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reusable container sales management system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 Reusable Containers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가 도 2 에 도시된다. A reusable contain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는, 제품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120)와, 몸체(1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된 몸체(12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110)와, 센서 모듈(130)과, IoT 디바이스(140)을 포함한다. The reusable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20 provid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products are accommodat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2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20 and opened. It includes a cover 11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 sensor module 130, and an IoT device 140.

예를 들어,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130)과 IoT 디바이스(140)는 적층 구조로 몸체(120) 하부에 분리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고,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140)이 내부에 몸체(120)와 센서 모듈(130)을 수납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는 내부 용기에 해당하는 몸체(120)와, 외부 용기에 해당하는 IoT 디바이스(140)의 2중 구조가 되며, 덮개(110)는 개방된 몸체(120)의 상부와 개방된 IoT 디바이스(140)의 상부를 동시에 개폐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몸체(120)의 상측 개방부와 IoT 디바이스(140)의 상측 개방부는 그 형태와 위치가 대응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A, the sensor module 130 and the IoT device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120 in a laminated structure, and as shown in FIG. 2B, The IoT device 140 may be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the body 120 and the sensor module 130 are accommodated therein. In this case, the reusable container 100 has a double structure of the body 120 corresponding to the inner container and the IoT device 140 corresponding to the outer container, and the cover 110 is the open body 120. It is preferable to be manufactured to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the top and the open top of the IoT device 140 .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body 120 and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IoT device 140 correspond to each other.

센서 모듈(130)은 무게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의 몸체(120) 저면을 지지하며 몸체(120) 내부에 수납되는 제품의 무게를 측정한다. 무게 센서에서 측정된 제품 무게는 실시간으로 획득되어 IoT 디바이스(14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130 includes a weight sensor,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20 of the reusable container 100, and measures the weight of a product stored in the body 120. The product weight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may be acquired in real time and stored in the memory of the IoT device 140 .

또한, 센서 모듈(130)은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및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13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nsor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IoT 디바이스(140)는, 센서 모듈(130)이 획득한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의 정보를 용기관리서버(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과의 통신을 위해, IoT 디바이스(140)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 검색 기능을 통해 블루투스 방식으로 재사용 가능한 용기(10)에 접속할 수 있다. 접속되면, 사용자 단말(200)에 미리 다운로드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용기(10)에 담긴 제품의 무게 변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획득한 제품 무게 변화 데이터를 용기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The IoT device 14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reusable container 100 obtained by the sensor module 130 to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or the user terminal 200 . For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e IoT device 140 may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at a short distance can access the reusable container 10 in a Bluetooth manner through a Bluetooth device search function. When connected, the weight change data of the product contained in the reusable container 10 can be transmitted to and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downloaded in advance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obtained product weight change data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즉, IoT 디바이스(140)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IoT 디바이스 구동을 위한 전원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IoT device 14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and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and a memory for driving the IoT device.

다음으로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user terminal 200 constituting the sales management system 1 for reusable containers will be described.

사용자 단말(200)User terminal 200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일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smart phone, a mobil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navigation terminal,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nd a tablet PC ( Tablet PC), wearable device (e.g., smart watch,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terminal, smart TV, digital broadcasting It may be various terminals such as terminals.

사용자 단말(200)은 본 발명에 관련된 상품 주문 및 용기 재사용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일 수 있으며, 고객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이용하는 상품의 주문, 용기 회수 요청, 상품 재주문 등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고객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품(내용물)의 정보, 제품 성분, 제조일, 산지, 사용기한, 나의 사용 패턴 등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이용하는 상품에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 terminal on which an application for supporting product ordering and container reus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a customer may order a product using a reusable container, request container collection, or reorder a product throug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an In addition to this, customers can check overall information related to products using reusable containers, such as product (contents) information, product ingredients, manufacturing date, origin, expiration date, and my usage pattern, through the application.

또는, 고객은 별도의 전용 앱을 다운로드하지 않고도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이용하는 상품의 주문, 용기 회수 요청, 상품 재주문 등을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ustomer may access the product sales homepage using the user terminal 200 without downloading a separate dedicated app, ordering products using reusable containers, requesting collection of containers, reordering products, and the like.

도 3에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이 도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인터페이스부(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such a user terminal 200 .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210, a communication unit 220, a storage unit 230 and a control unit 240.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품판매서버(400)로 상품 구매 요청을 전송하거나, IoT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재사용 가능한 용기에 관련된 데이터를 용기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 단말(200)과 사용자(고객)와의 소통을 위한 것으로, 입력부(212), 출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a product purchase request to the product sales server 400 based on user input or transmit data related to reusable containers obtained from the IoT device to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210 . The user interface unit 210 i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a user (customer), and may include an input unit 212 and an output unit 214.

입력부(212)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음성 입력부, 제스쳐 입력부, 터치 입력부 및 기계식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212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ice input unit, a gesture input unit, a touch input unit, and a mechanical input unit.

출력부(214)는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14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touch,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and a speaker.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unit 210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or (not shown) that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user interface unit 210 .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용기관리서버(300)로부터 용기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용기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제품 소진 예정 알림, 제품 사용 기한 완료 알림, 용기 회수 시점이 도래 예정이라는 알림, 등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container-related information from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 The container-related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a notification that a product is going to be exhausted, a notification that a product use-by date has been completed, a notification that a container collection time is scheduled to arrive, and the like.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20)를 포함한다. 통신부(2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 여기서, 외부 장치는 서버(300, 400), 기지국 등일 수 있다. 통신부(22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20 . The communication unit 220 is a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Her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server 300 or 400 or a base station.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ransmission antenna, a reception antenna, a radio frequency (RF) circuit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an RF element to perform communication.

통신부(220)는, 근거리 통신부(221), 위치 정보부(222), 광통신부(223), 방송 송수신부 (224) 및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통신부(2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21, a location information unit 222, an optical communication unit 223, a broadcast transmission/reception unit 224, and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communication unit 225.

여기서, 근거리 통신부(221)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221)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Her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221 is a unit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21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Wireless-Fi (Wi-Fi). Local communication may be supported using at least one of Wi-Fi Direct, Wi-Fi Direct,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USB) technologies.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상품 구매 정보, 용기 관련 정보 등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이용하는 상품 구매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 (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등의 저장 매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the storage unit 230 to store various data related to product purchase using a reusable container, such as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container-related information. The storage unit 230 includes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secure digital card (SD card),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web storage (web). storage) may be implemented as any one or more storage media.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200) 내의 각 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4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24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 (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240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s of each unit within the user terminal 200 . The controller 240 include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and controllers. I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and microprocessors.

다음으로,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용기관리서버(300)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constituting the sales management system 1 for reusable containers will be described.

용기관리서버(300)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용기관리서버(300)에는, IoT 디바이스(140)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의 고유 번호에 매칭되는 용기 정보 및 용기에 담겨 있는 제품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정보에는 제품명, 제품의 종류, 제품의 사용 기한, 용기 제작 시기, 용기 수명, 용기별 가능한 재사용 횟수, 용기가 재사용된 횟수, 용기 유통 내역 등의 상세 내역이 포함될 수 있다. In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container information matching the unique number of the reusable container 100 including the IoT device 140 and product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container are stored. Such information may include details such as the product name, type of product, expiration date of the product, when the container was made, shelf life of the container, number of possible reuses per container, number of times the container has been reused, container distribution history, and the like.

또한, 용기관리서버(300)는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재사용 가능한 용기 내의 제품 무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에 수납되는 제품의 양이 변할 때마다, 즉 특정 사용자가 용기 내의 제품을 소진할 때마다, 그 양과 시간이 타임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may receive product weight information in a reusable container from the user terminal 200 in real time. Thus, whenever the amount of product contained in the reusable container 100 changes, that is, whenever a specific user runs out of the product in the container, the amount and time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time table.

또한, 용기관리서버(300)는 수신한 무게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가 구매한 제품의 예상 소진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용기관리서버(300)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제품 소비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용기관리서버(300)는 제품의 예상 소진 시기 정보, 예상되는 제품 재구매 시기 정보, 용기 회수 시기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may predict an expected exhaustion time of a product purchased by a specific user using the received weight data. In addition,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may analyze product consumption data for a specific user. In addition,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may transmit product expected exhaustion time information, product repurchase time information, container collection time information, etc. to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manager terminal 400 .

구체적으로, 도 4 를 참조하면, 용기관리서버(300)는, 용기 상태 모니터링부(310), 데이터분석부(320), 용기 회수 관리부(330), 용기 세척 관리부(3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container state monitoring unit 310, a data analysis unit 320, a container recovery management unit 330, and a container washing management unit 340.

용기 상태 모니터링부(3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제품 무게 정보를 타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등 용기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또한, 용기 상태 모니터링부(310)는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재사용 가능한 용기에 담긴 제품의 예상 소진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사용 가능한 용기 내 잔여 제품량이 용기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소정 값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400)로 알람을 보낼 수 있다. The container state monitoring unit 310 monitors the container state in real time, such as storing product weigh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form of a time table. In addition, the container state monitoring unit 310 may predict an expected exhaustion time of products contained in a reusable container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product remaining in the reusable container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preset by the container manager, an alarm may be sent to the manager terminal 400 .

데이터분석부(3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제품 및 용기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시점의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제품 소비 데이터를 분석한다. The data analysis unit 320 analyzes product consumption data for a specific user by analyzing data at a specific time point using product and contain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또한, 데이터분석부(320)는 소정 주기 동안 특정 사용자가 사용한 제품의 종류, 제품 사용량 등의 정보에 대해 통계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analysis unit 320 may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n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product used by a specific user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amount of product used, and transmit the data to a dedicated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or an administrator terminal.

또한, 데이터분석부(320)는 고유 번호가 각각 부여된 재사용 가능한 용기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용도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분석부(320)는 사용자가 구매한 제품 정보들을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사용자 맞춤형 상품 추천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analysis unit 320 may extract data for a specific purpose by analyzing big data collected from reusable containers each having a unique number assigned thereto. To this end, the data analysis unit 320 may recommend products customized to the user by learning product information purchased by the user through a deep learning algorithm.

예를 들어, 재사용 가능한 용기에 담긴 제품이 세제인 경우, 일정 주기동안의 특정 사용자의 세제 사용량이, 관리자에 의해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의 일정 주기동안의 통상 사용자의 세제 사용량 평균 이상인 경우, 데이터분석부(320)는 해당 사용자가 대용량 상품이 필요할 것이라고 예측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대용량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product contained in a reusable container is detergent, the detergent usage of a specific user during a certain period is greater than the average user's detergent usage during a certain period of the big data analysis result collected by the manager, data The analysis unit 320 predicts that the user will need a large-capacity product, and may recommend a large-capacity product to the corresponding user.

다음으로, 용기 회수 관리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용기 회수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 단말(400)로 용기 회수 알람을 전송한다. 용기 회수 알람을 받은 관리자는, 용기를 회수하여 재사용을 위해 세척한다. Next, when a container recovery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container recovery management unit 330 transmits a container recovery alarm to the manager terminal 400 . Upon receiving the container collection alarm, the manager collects the containers and cleans them for reuse.

한편, 사용자로부터 용기 회수 요청은 없었지만 데이터분석부(320)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제품 예상 소진 시기가 도래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 용기 회수 여부를 묻는 알람을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용기 회수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request for container collection from the user, but the expected product exhaustion time has arrived according to the results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320, an alarm asking whether to collect the container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200, so that the user can You can decide whether or not to return it.

관리자에 의해 회수된 용기는 세척, 살균되어 재사용(상품 판매자에게 재공급)되며, 용기 세척 관리부(340)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및 재사용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관리한다. Containers recovered by the manager are washed, sterilized, and reused (re-supplied to product sellers), and the container cleaning management unit 340 manages all matters related to washing and reuse of reusable containers.

또한, 용기 세척 관리부(340)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가 세척되는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Also, the container washing management unit 340 may count the number of times the reusable container 100 is washed.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는 센서 모듈(130)을 포함하며, 센서 모듈(130)은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reusable container 100 includes the sensor module 130, and the sensor module 130 includes a pressure sensor.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의 세척은, 세척실에서 소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된 용수를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 내부로 분사함으로써 이루어지며, 따라서 압력 센서가 소정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에, 용기 세척 관리부(340)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10)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leaning of the reusable container 100 is performed by spraying water pressurized to a predetermined pressure or higher into the reusable container 100 in the washing chamber, and thus, when the pressure sensor detects a pressure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pressure, the container is washed. The manager 340 may determine that the reusable container 10 is being washed.

나아가, 관리자는 압력 센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세척 횟수 카운트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용기를 출고할 때, 즉 고객 또는 상품 판매자에게 제공시에는 압력 센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고객으로부터 빈 용기를 회수해서 관리자에 의한 세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압력 센서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manager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counting the number of washings by controlling on/off of the pressure sensor. For example, when a manager releases a container, that is, when providing it to a customer or product seller, the pressure sensor is turned off, and the pressure sensor is turned on only when an empty container is retrieved from the customer and cleaned by the manager. can be controlled with

또한, 용기 세척 관리부(340)에서 카운트한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가, 용기별 설정된 재사용 가능 횟수에 도달하게 되면, 용기 세척 관리부(340)는 용기 폐기 시점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로 용기 폐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washing reusable containers counted by the container washing management unit 340 reaches the number of reusable containers set for each container, the container washing management unit 340 determines that the container disposal time has arrived and sends the container to the manager terminal. A discard request can be sent.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IoT 디바이스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사용 횟수 및 세척 횟수를 기록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용기의 안전성 확보 및 폐기 시점 확인 등 체계적인 수명 관리가 가능해진다. In the same way as above,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washing of the reusable container using the unique number of the IoT device of the reusable container, and systematic life management such as securing the safety of the container and confirming the disposal time is possible using this. It happens.

관리자 단말(400)Administrator terminal (400)

관리자 단말(400)의 구성은 상술한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r terminal 4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aforementioned user terminal 200,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용기관리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용기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들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은 용기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제품의 예상 소진 시기 정보, 예상되는 제품 재구매 시기 정보, 용기 회수 시기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The manager may access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using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check data received from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 For example, the manager terminal 40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when products are expected to be exhausted, information about when to repurchase products, information on when to collect containers, and the like, received from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sales management method of a reus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How to manage sales of reusable containers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은, 상품 판매자가 제로 웨이스트 매장과 같이 오프라인 판매자인 경우와, 온라인 판매자인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A sales management method of a reusable container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in the case where the product seller is an offline seller such as a zero-waste store and in the case of an online seller.

우선,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상품 판매자가 오프라인 판매자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5 and 6 , a case in which the product seller is an offline seller will be described.

도 5를 참조하면, 상품 판매자가 제로 웨이스트 매장인 경우의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5 , a flowchart of a sales management method of a reusable container when a product seller is a zero-waste store is shown.

우선, 용기 판매관리자는 상품 판매자에게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제공한다(S100). 이 경우, 상품 판매자는 제로 웨이스트 매장과 같은 오프라인 판매자이다. First, the container sales manager provides a reusable container to the product seller (S100). In this case, the product seller is an offline seller such as a zero-waste store.

상술한 바와 같이, 제로 웨이스트 매장에서는, 고객이 재사용 가능한 용기에 직접 제품을 담아 구매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in zero-waste stores, customers can buy products directly in reusable containers.

고객에게 상품을 판매(S110)한 이후, 용기관리서버(300)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S120). After selling the product to the customer (S110),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monitors the state of the reusable container 100 in real time (S12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는 센서 모듈(130)과 IoT 디바이스(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센서 모듈(130)이 획득한 재사용 가능한 용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200)과 용기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재사용 가능한 용기 정보에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에 담긴 제품의 무게 변화 데이터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usabl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nsor module 130 and the IoT device 140, the sensor module 130 acquires the reusable container information in real time at the user terminal. It can be transmitted to (200) and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Here, the reusable container information includes weight change data of the product contained in the reusable container.

상품을 구매한 고객은, 제품을 모두 소진하면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를 상품 판매자에게 반납할 것이다. Customers who have purchased a product will return the reusable container 100 to the product seller when the product is exhausted.

사용된 재사용 가능한 용기가 상품 판매자에게 반납되면, 용기 판매관리자는 해당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회수(S150)하여, 세척(S160)한다. 여기서, 세척은 사전적 의미의 세척 뿐만 아니라, 살균, 건조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When the used reusable container is returned to the product seller, the container sales manager collects the reusable container (S150) and cleans it (S160). Here, washing is a concept that includes not only cleaning in a dictionary sense, but also sterilization and drying.

세척이 완료되면, 용기관리서버(300)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를 카운트한다(S170). When the washing is completed,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counts the number of washings of the reusable container (S170).

상술한 바와 같이,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의 세척은, 세척실에서 소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된 용수를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 내부로 분사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는 압력 센서와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압력 센서가 소정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에, 용기관리서버(300)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10)의 세척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of the reusable container 100 is performed by spraying water pressurized to a predetermined pressure or higher in the washing chamber into the reusable container 100, and the reusable container 100 includes a pressure sensor and IoT. Since it includes a device, when the pressure sensor of the reusable container detects a press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300 may determine that the reusable container 10 has been cleaned.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를 카운트(S170)한 이후, 세척 횟수가 재사용 가능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S180)한다. 여기서, 재사용 가능 횟수는 용기별, 제품별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이는 관리자에 의해 초기 설정될 수 있다. After counting the number of washings of the reusable container (S17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washings has reached the number of reusable containers (S180). Here, the number of reusable times may be different for each container and product, and may be initially set by a manager.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가 재사용 가능 횟수에 도달한 경우에는, 용기의 수명이 다한 것으로 판단하여 용기 폐기를 결정하고, 세척 횟수가 재사용 가능 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세척된 용기를 재사용을 위해 상품 판매자에게 재공급한다.When the number of times of washing of a reusable container reaches the number of reusable times, it is determined that the life of the container is over and discarding the container is determined. Resupply to the seller of the product.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의 판매부터 회수, 세척, 재공급까지의 일 주기가 이루어지며, 이를 도식화하면 도6 과 같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a cycle from sale of the reusable container 100 to collection, washing, and resupply is performed, and a schematic diagram thereof is shown in FIG. 6 .

다음으로, 상품 판매자가 온라인 판매자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case where the product seller is an online seller will be described.

도 7을 참조하면, 상품 판매자가 온라인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의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의 판매 관리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7 , a flow chart of a sales management method of a reusable container 100 when a product seller sells a product online is shown.

용기 판매관리자가 상품 판매자에게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제공(S100)하고, 상품 판매자가 고객에게 상품을 판매(S110)하고, 재사용 가능한 용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120)는 상품 판매자가 오프라인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ntainer sales manager provides a reusable container to the product seller (S100), the product seller sells the product to the customer (S110), and monitors the reusable container status (S120), the product seller sells the product offline Since it is the same as the cas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재사용 가능한 용기 상태를 모니터링(S130)하여, 용기관리서버는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품 예상 소진 시기를 예측하고 제품 예상 소진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한다(S130a). 판단 결과, 제품 예상 소진 시기가 도래한 경우(YES)에는 사용자 단말(200)로 알람을 전송한다(S140). By monitoring the reusable container state (S130),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predicts the expected product exhaustion time using the collected data and determines whether the expected product exhaustion time has arrived (S130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expected product exhaustion time has arrived (YES), an alarm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S140).

제품 예상 소진 시기가 도래하지 않더라도(NO), 제품 사용기한이 도래하였는지 판단하여(S130b), 사용기한이 도래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알람을 전송한다(S140). 한편, 제품 사용기한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재사용 가능한 용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120)로 돌아간다.Even if the expected product exhaustion time has not arrived (NO),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oduct use-by date has arrived (S130b), and when the product use-by date has arrived, an alarm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S140). On the other hand, if the expiration date of the product has not arrived, it returns to the step of monitoring the reusable container state (S120).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품 예상 소진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130a) 이후에 제품 사용기한이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30b) 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양 단계의 순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품 사용기한이 제품 예상 소진 시기보다 앞서 도래하는 경우에는, 제품 사용기한이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30b) 이후에, 제품 예상 소진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130a)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use-by date has arrived (S130b) is performed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xpected product exhaustion time has arrived (S130a), but the order of the two steps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product use-by date arrives ahead of the expected product use-by date,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use-by date has arrived (S130b),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use-by date has arrived (130a) may be performed.

사용자 단말(200)로 알람을 전송(S140)한 후, 사용자는, 상기 알람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재사용 가능한 용기(100)의 회수 요청을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용기 회수 요청이 있으면, 관리자는 회수 요청된 용기를 회수(S150)하여 세척(S160)한다. After the alarm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S140), the user may request the collection of the reusable container 100 using the user terminal 200 in response to the alarm. If there is a user's request for container recovery, the manager collects the container requested for collection (S150) and cleans it (S160).

세척 단계(160), 세척 횟수 카운트 단계(S170), 세척 횟수가 재사용 가능 횟수에 도달했는지 판단하는 단계(S180)는 상품 판매자가 오프라인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washing step 160, the washing count counting step S170, and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washing reaches the reusable count step S180 are the same as when the product seller sells the product offline, so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

이러한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을 도식화하면 도 8 과 같다. A schematic diagram of the sales management method of such a reusable container is shown in FIG. 8 .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 (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 (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FPGA). array), programmable logic units (PLUs), microprocessors,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re are cases in which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can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Also,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 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 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0184]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 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 체에 저장될 수 있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Optical media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OM), RA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are include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0184]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and may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configure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 collectively) to command processing units.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tangible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It can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device, or in a signal wave being transmitted.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재사용 가능한 용기 판매 관리 시스템
100: 재사용 가능한 용기
200: 사용자 단말
300: 용기관리서버
400: 상품판매서버
110: 덮개
120: 몸체
130: 센서 모듈
140 : IoT 디바이스
2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12 : 입력부
214 : 출력부
220 : 통신부
230 : 저장부
240 : 제어부
310 : 용기 상태 모니터링부
320 : 데이터 분석부
330 : 용기 회수 관리부
340 : 용기 세척 관리부
1: Reusable container sales management system
100: reusable container
200: user terminal
300: container management server
400: product sales server
110: cover
120: body
130: sensor module
140: IoT device
210: user interface unit
212: input unit
214: output unit
220: Communication Department
230: storage unit
240: control unit
310: container condition monitoring unit
320: data analysis unit
330: container recovery management unit
340: container washing management unit

Claims (10)

제품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된 몸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는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에서 획득된 측정값을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이용하는 상품 주문 및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회수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품 판매 홈페이지를 통해 고객의 상품 주문을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배송, 회수, 세척 및 재사용을 포함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관리하며 관리자에 의해 운영되는 용기관리서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관리서버와 통신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IoT 디바이스에서 수신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용기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용기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태 정보를 타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모니터링하여,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에 담긴 제품의 예상 소진 시기를 결정하는 용기 상태 모니터링부;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상품 주문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제품 소비 패턴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집된 데이터들을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사용자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는 데이터분석부;
용기 회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로 용기 회수 알람을 전송하는 용기 회수 관리부; 및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를 카운트하고,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및 재사용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관리하는 용기 세척 관리부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
A body provid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products are accommodated, a cov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nd can open and close the upper part of the opened body,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nd reduces the weight of the product stored inside the body. A reusable container including a sensor module including a weight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nd an IoT device for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value obtained from the sensor module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 user terminal that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and receives a customer's product order through an application or product sales homepage that supports product ordering using the reusable container and collection of the reusable container. ;
A container management server managed by a manager and managing all matters related to the reusable container, including sales, delivery, collection, cleaning, and reuse of the reusable container; and
A manager terminal comprising a user interface unit,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includes,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eusable container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to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The container management server,
a container state monitoring unit that stores and monitor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eusable container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time table, and determines an expected exhaustion time of the product contained in the reusable container;
a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product consumption pattern data for a specific user by analyz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eusable container and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data, and recommends a user-customized product by learning the collected data with a deep learning algorithm;
a container recovery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a container recovery alarm to the manager terminal when a container recovery request is received; and
A sales management system for reusable containers comprising a container washing management unit that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reusable container is washed and manages all matters related to washing and reuse of the reusable contain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세척 관리부는,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기 압력 센서가, 상기 관리자가 설정한 소정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를 카운트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washing management unit,
When the pressure sensor of the reusable container detects a press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set by the manager, it is determined that the reusable container is cleaned and the number of washings of the reusable container is counted. sales management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세척 관리부는,
카운트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가, 용기별로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소정 값의 재사용 가능 횟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폐기 시점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용기 폐기 요청을 전송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ainer washing management unit,
When the counted number of washings of the reusable container reaches the reusable number of a predetermined value set by the manager for each container,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card time of the reusable container has arrived and a container discard request is sent to the manager terminal Sending, reusable container sales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IoT 디바이스는 적층 구조로 상기 몸체 하부에 분리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module and the IoT device are coupled in a detachable form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in a laminated structure, a sales management system of a reusabl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는 내부에 상기 몸체와 상기 센서 모듈을 수납함으로써,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는 내부 용기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와, 외부 용기에 해당하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는 개방된 상기 몸체의 상부와 개방된 상기 IoT 디바이스의 상부를 동시에 개폐하는 구조인,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By accommodating the body and the sensor module inside the IoT device, the reusable container has a double structur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inner container and the Io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ontainer,
The cover is a structure that simultaneously opens and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opened body and the upper part of the IoT device that is opened, a sales management system for a reusable container.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으로서,
제로 웨이스트 매장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자에게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이용한 상품을 고객에게 판매하는 단계;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고객에 의해 사용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회수하는 단계;
회수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세척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재사용 가능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는, 제품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는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에서 획득된 측정값을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
A sales management method for reusable containers made in a sales management system for reusable containers,
providing reusable containers to product sellers, including zero-waste stores;
Selling a product using the reusable container to a custome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reusable container in real time;
recovering the reusable container used by the customer;
washing the recovered reusable container;
counting the number of washings of the reusable container;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washings has reached a preset number of reusable times; includes,
The reusable container includes a body provid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product is accommodated, a cov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a weight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product stored inside the body. A sales management method for a reusable container comprising a sensor module and an IoT device that transmits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from the sensor module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자는 상품판매서버를 운영하는 온라인 판매자이며,
상기 고객에 의해 사용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회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제품 예상 소진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품 예상 소진 시기가 도래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duct seller is an online seller operating a product sales server,
Prior to the step of recovering the reusable container used by the custome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reusable container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expected product exhaustion time has arriv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expected product exhaustion time has arriv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n alarm to a user terminal, sales management method of a reusable contain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품 예상 소진 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품 사용기한이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품 사용기한이 도래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람을 전송하고, 상기 제품 사용기한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8,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expected product exhaustion time has not arrived, performing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use-by date has arrived,
When the product use-by date has arrived, an alarm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product use-by date has not arrived, monitoring the state of the reusable container again, a sales management method of a reusable container.
제7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는,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기 압력 센서가,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 소정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세척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Counting the number of washings of the reusable container,
When the pressure sensor of the reusable container detects a press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set in advance by the manager, it is determined that the reusable container is cleaned and the number of washings of the reusable container is counted. Reusable container sales management method.

KR1020220039258A 2022-03-30 2022-03-30 Sale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usable containers KR1024869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258A KR102486991B1 (en) 2022-03-30 2022-03-30 Sale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usable contain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258A KR102486991B1 (en) 2022-03-30 2022-03-30 Sale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usable contain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991B1 true KR102486991B1 (en) 2023-01-10

Family

ID=8489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258A KR102486991B1 (en) 2022-03-30 2022-03-30 Sale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usable contain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99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610A (en) * 2019-07-15 2021-01-25 (주)모람씨앤티 Sensor tag, distribution container having the sensor tag an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610A (en) * 2019-07-15 2021-01-25 (주)모람씨앤티 Sensor tag, distribution container having the sensor tag an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2552B2 (en) Retail subscription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9715674B1 (en) Proximity directed stowage
US10783507B1 (en) Consumables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200800522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content descriptions to reusable containers
US20190392403A1 (en) Collecting and sorting garbage and managing recycling using sensing technology
US11126955B1 (en) Sensor data-based reordering of items
US20190205821A1 (en) Automated identification, status monitoring and notification of stored items
WO2020023293A1 (en) System for dynamic smart cart content notifications
CA2868407A1 (en) Fresh departments management system
WO2007058154A1 (en) Code management system
EP3761279A1 (en) Consumables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WO2019099854A1 (en) Distributed sensor systems and methods for inventory control
CN109034980B (en) Collocation commodity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and user terminal
Balaji et al. Smart kitchen wardrobe system based on IoT
KR102486991B1 (en) Sale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usable containers
US20230046625A1 (en) System for managing product stocks which is suitable for household use
CN104624603A (en) Recovery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ed materials
CN109089417B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ing a user about an estimated time of consumption of a product
US11346600B2 (en) Method of setting system and processing device
JP2020101931A (en) Delivery management system, server device, reader, and delivery management method
CN108256961B (en) Shopping list generation method, system and storage device
JP2018511350A (en) Interactive mirror
KR101705721B1 (en) Linen laundr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N210983502U (en) Intelligent retail system
CN115014018B (en) Intelligent refrigerator and preserva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