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706B1 -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partment houses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Google Patents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partment houses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6706B1 KR102486706B1 KR1020210169805A KR20210169805A KR102486706B1 KR 102486706 B1 KR102486706 B1 KR 102486706B1 KR 1020210169805 A KR1020210169805 A KR 1020210169805A KR 20210169805 A KR20210169805 A KR 20210169805A KR 102486706 B1 KR102486706 B1 KR 1024867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box
- integrated terminal
- enclosure
- earthquake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 G01V1/008—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선배치공간과 통신선배치공간이 공간분할격판에 의해 분할된 내진기능을 가진 공동주택용 통합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특징으로써, 건물의 벽체(W)에 매립 설치되고, 전방을 향해 내부가 노출되게 개구 형성되는 외함(10); 상기 외함(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함(10)의 유동에도 서로 간섭되지 않는 작은 부피를 갖는 통합단자함(20); 상기 통합단자함(20)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전장품들이 보호되게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30); 상기 외함(10)과 통합단자함(20) 사이에 서로 연결 장착되고, 상기 외함(10)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통합단자함(20)의 유동을 차단하는 내진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는 외함과, 외함에 내장되며 각종 전장품을 수납하는 통합단자함을 이중구조로 구성하는데 이어 외함과 통합단자함 사이에 지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통합단자함을 보호하는 내진유닛을 구성함으로써, 지진의 여파로 인해 단선, 단락 등으로 인한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in which an electric wire arrangement space and a communication wire arrangement space are divided by a space partitioning plate, and as a feature of its configuration, is embedded and installed in a wall (W) of a building, and is installed inside toward the front. An enclosure (10) formed with an opening so that it is exposed; an integrated terminal box 20 mounted inside the enclosure 10 and having a small volum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even when the movement of the enclosure 10 occurs; a door 30 mounted on the front of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and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to protect the electronic components; A seismic damper connected to and mounted between the enclosure 10 and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and blocking the flow of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by absorbing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enclosure 10;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dual structure of an enclosure embedded in the wall of a building and an integrated terminal box built into the enclosure and accommodating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followed by absorbing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an earthquake between the enclosure and the integrated terminal box to protect the integrated terminal box. By configuring the earthquake-resistant unit, it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various accidents due to wire disconnection, short circuit, etc. due to the aftermath of an earthquak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 사무용건물, 주택옥내 등의 전기 및 통신제품에 연결되어 전원을 분배 및 단속하는 각종 전장품들을 수납하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는 외함과, 외함에 내장되며 각종 전장품을 수납하는 통합단자함을 이중구조로 구성하는데 이어 외함과 통합단자함 사이에 지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통합단자함을 보호하는 내진유닛을 구성함으로써, 지진의 여파로 인해 단자함 내부의 보드 파손 또는 전기선/통신선의 단선, 단락 등으로 인한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전기선과 통신선을 하나의 단자함에 통합 수용하는 내진기능을 가진 공동주택용 통합단자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box for accommodating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that distribute and control power by being connected to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products such as apartment houses, office buildings, and indoor houses, and more particularly, an enclosure embedded in a wall of a building, and an enclosure The integrated terminal box, which is built in and houses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is composed of a double structure, and then an earthquake-resistant unit that protects the integrated terminal box by absorbing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earthquake between the enclosure and the integrated terminal box, It relates to an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partment houses that can prevent various accidents due to board damage, disconnection, short circuit, etc. of electric/communication lines, and has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that integrates electric and communication lines into one terminal box.
일반적으로 단자함은 건물내에 전력 공급 및 통신망을 연결하기 위해서 건물내 또는 공동주택의 벽면, 지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전력공급, 유선전화선로 또는 인터넷선을 연결하는 접속단자의 집합체로써, 거주공간 또는 사무공간에 빠짐없이 설치되고 있다.In general, a terminal box is a collection of connection terminals installed in a building or on the wall of an apartment house or underground wall to connect power supply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 a building to connect power supply, wired telephone lines or Internet lines, living space or office space It is installed without fail.
이러한 단자함은 상자형태로 형성되며, 건물시공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하여 타설되거나, 건물의 벽면에 설정 크기의 공간을 미리 형성한 다음 이 곳에 내삽하여 다수개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주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있다.These terminal boxe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box, and are embedded and poured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concrete pouring, or a space of a set size is formed on the wall of a building in advance, and then inserted into this place and fixed using a plurality of bolts. there is.
즉, 기존의 단자함은 언급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에 단순 매립 설치됨에 따라 별도의 내진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는다.That is, as mentioned above, the existing terminal box does not have a separate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 as it is simply buried and installed in the wall of a building.
따라서 지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이 그대로 단자함에 전달됨으로써 단자함에 고정된 보드의 변형/파손으로 인해 함체 내부 보드에 장착된 전장품들이 단선, 단락 등의 고장은 물론 이로 인한 각종 사고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as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earthquak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box as it is, deformation/damage of the board fixed to the terminal box causes various accidents as well as failures of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the board inside the enclosure such as disconnection and short circuit.
또한, 다세대, 공동주택(아파트), 사무용 건물 등에 설치되는 전력용 분전반과 전화/인터넷선의 통신단자함이 별개로 설치되어 공간활용과 관리에 불편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are inconveniences in space utilization and management because power distribution boards and communication terminal boxes for telephone/internet lines installed in multi-households, multi-family houses (apartments), and office buildings are separately install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는 외함과, 외함에 내장되며 각종 전장품을 수납하는 통합단자함을 이중구조로 구성하는데 이어 외함과 통합단자함 사이에 지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통합단자함을 보호하는 내진유닛을 구성함으로써, 지진의 여파로 인해 단선, 단락, 쇼트 등으로 인한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내진기능으로 안전성을 보장하는 내진기능을 가진 공동주택용 통합단자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onsists of a dual structure of an enclosure embedded in a wall of a building and an integrated terminal box built into the enclosure and accommodating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followed by transmission from earthquakes between the enclosure and the integrated terminal box. By constructing a seismic unit that protects the integrated terminal box by absorbing the external force of the earthquake, it has an excellent seismic function that can prevent various accidents caused by disconnection, short circuit, short circuit, etc.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partment houses.
또한, 본 발명은 건물 내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전기선과 통신선 단자함을 통합하는 내진기능을 가진 공동주택용 통합단자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that integrates electric wire and communication line terminal boxes installed for each household in a building.
본 발명은 내진기능을 가진 공동주택용 통합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벽체에 매립 설치되고, 전방을 향해 내부가 노출되게 개구 형성되는 외함; 상기 외함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함의 유동에도 서로 간섭되지 않는 작은 부피를 갖는 통합단자함; 상기 통합단자함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전장품들이 보호되게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외함과 통합단자함 사이에 서로 연결 장착되고, 상기 외함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통합단자함의 유동을 차단하는 내진유닛;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통합단자함은 공간분할격판에 의해 전기선배치공간과 통신선배치공간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comprising: an integrated terminal box mounted inside the enclosure and having a small volum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even when the movement of the enclosure is carried out; a door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tegrated terminal box and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to protect the electrical components; An earthquake-resistant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ounted between the enclosure and the integrated terminal box and absorbing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enclosure to block the flow of the integrated terminal box, wherein the integrated terminal box is composed of an electric wire arrangement space and a communication wire arrangement by a space dividing parti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divided into spaces.
또한, 내진유닛은, 상기 외함의 내면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통합단자함이 내장되게 지지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연결샤프트에 관통 삽입 장착되어 외함과 통합단자함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을 유도하는 연결허브; 상기 연결대와 연결허브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연결대와 연결허브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상기 연결허브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허브로부터 베어링의 이탈이 차단되게 구속하는 고정덮개; 상기 연결대의 일단에 체결되고, 상기 베어링의 내륜을 가압하여 연결대로부터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너트; 상기 통합단자함의 외면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통합단자함과 연결허브가 동심하게 연결을 유도하는 연결링; 상기 연결허브와 연결링 사이에 중심을 기점으로 방사로 개재되고, 상기 통합단자함으로부터 외함이 다 방향으로 유동되게 연결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연결링의 외측에서 중심을 향해 방사로 체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을 구속하며 탄성을 조절하는 홀더볼트; 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earthquake-resistant unit includes a connection stand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and supporting the integrated terminal box to be built in; a connection hub which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haft of the connection stand and induces a rotatable connection between the enclosure and the integrated terminal box; a bearing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ng rod and the connecting hub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connecting rod and the connecting hub; a fixing cover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hub and restraining the bearing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hub; a fixing nut fasten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pressurizing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to prevent the bearing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rod; a connection ring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tegrated terminal box and inducing concentric connection between the integrated terminal box and the connection hub; Coil springs radially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on hub and the connection ring from the center and connecting the enclosure to the integrated terminal box to flow in multiple directions; holder bolts radially fasten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on ring toward the center, and restraining the coil spring and adjusting elasticity; consists of
첫째,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는 외함과, 외함에 내장되며 각종 전장품을 수납하는 통합단자함을 이중구조로 구성하는데 이어 외함과 통합단자함 사이에 지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통합단자함을 보호하는 내진유닛을 구성함으로써, 지진의 여파로 인해 단선, 단락, 쇼트 등으로 인한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ual structure of an enclosure embedded in a wall of a building and an integrated terminal box built into the enclosure and accommodating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nd then protecting the integrated terminal box by absorbing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an earthquake between the enclosure and the integrated terminal box. By configuring the earthquake-resistant unit,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in advance various accidents due to disconnection, short circuit, short circuit, etc. due to the aftermath of the earthquake.
둘째, 본 발명은 내진유닛이 통합단자함으로부터 외함을 좌우방향으로의 회전과 함께 편심공전과 전후이동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틸팅되게 구현함으로써, 지진파 중 S파에 의한 수직외력은 물론 P파와 L파의 수평외력과 더불어 R파의 역회전 원운동외력까지 모두 흡수할 수가 있어 지진의 강도나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두루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Seco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thquake-resistant unit is implemented so that the enclosure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integrated terminal box, rotated eccentrical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tilt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n addition to the horizontal external force, it can absorb both the external force of reverse rotation and circular motion of the R wave, so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r region of the earthquake.
셋째, 본원 발명은 전기선과 통신선을 하나의 단자함에 통합 수용함으로서 합리적인 공간활용과 유지관리에 효과가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rational space utilization and maintenance by integrating and accommodating electric lines and communication lines in one terminal box.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이 설치된 상태를 평면에서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과 도어를 평면에서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내진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내진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유닛이 지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단자함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진경보시스템 단선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y cutting it from a plan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separated main components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erminal box and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it in a plane.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nlarged earthquake-resistant unit of a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exploded views showing the seismic unit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parated manner.
8 to 11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earthquake-resista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an earthquake.
12 is an internal schematic diagram of an integrated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ngle-line diagram of an earthquake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like elements.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document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and/or importance, an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It is used only and does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For example, 'first part' and 'second part' may indicate different part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named a second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element may also be renamed to the first element.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a general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t be interpreted as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본 발명은 전기설비에 연결되어 전원을 분배 및 단속하는 각종 전장품들을 수납하는 내진기능을 가진 공동주택용 통합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도 1처럼 외함(10)과 통합단자함(20) 그리고 도어(30)와 내진유닛(4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우수한 내진기능으로 안전성을 보장하는 전기설비용 단자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for accommodating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connected to electrical equipment to distribute and regulate power, and as shown in FIG. 1, a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외함(10)은 도 1 및 도 2처럼 건물의 벽체에 매립 설치되어 지진으로부터 통합단자함(20)을 보호한다.First, the
즉, 외함(10)은 통합단자함(20)의 부피보다 큰 부피를 가진 상자형태로 형성되되, 통합단자함(20)이 내장되도록 전방이 노출된 상태로 개구 형성된다.That is, the
이러한 외함(10)은 건물의 벽체(W)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설치되어 거푸집으로도 대체 사용할 수 있다.This
물론, 별도의 거푸집을 통해 마련된 벽체(W)의 공간으로 삽입 장착될 수도 있다.Of course, it may also be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wall (W) prepared through a separate formwork.
여기서 정면을 기준으로 외함(10)의 내부에는 내진유닛(40)이 장착되도록 전후로 관통되는 복수의 외함장착홀(11)이 형성된다.Here, a plurality of
여기서 외함장착홈(11)은 외함(10)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지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합단자함(20)은 도 1 및 도 2처럼 외함(10)의 내부에 장착되어 각종 전장품들을 수납해준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즉, 통합단자함(20)은 지진에 의해 유동하는 외함(10)과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외함(10)에 비해 작은 부피를 갖는 상자형태로 형성된다.That is, the integrated
이러한 통합단자함(20)의 전면에는 외함(10)의 유동을 유도하는 내부의 빈 공간을 외부로부터 은폐시키는 플레이트(21)가 장착된다.A
여기서 플레이트(21)는 지진에 의해 유동하는 외함(10)과 간섭되지 않도록 벽체(W)의 전면으로부터 소정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장착된다.Here, the
따라서 통합단자함(20)의 전면에는 플레이트(21)가 밀착고정되도록 전면 테두리에 외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는 통합단자함플랜지(23)가 형성된다.Accordingly, an integrated
그리고 정면을 기준으로 통합단자함(20)의 내부에는 내진유닛(40)이 장착되도록 전후로 관통되는 복수의 통합단자함장착홀(24)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tegrated terminal
이때, 통합단자함(20)은 여닫이 또는 미닫이방식의 도어(30)가 장착되도록 경첩(25) 또는 레일(26)이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tegrated
경첩(25)은 도어(30)를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되게 장착해주는 것으로, 통합단자함(20)의 전면부위의 우측 또는 좌측 변부에 하나 이상 장착된다.The
레일(26)은 도어(30)를 미닫이방식으로 개폐되게 장착해주는 것으로, 평면기준 ㄴ형(좌측)의 홈부가 형성된다.The
이러한 레일(26)은 정면을 기준으로 통합단자함(20)의 상하단 좌우측마다 장착되어 도어(30)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속한다.These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30)는 도 1 및 도 2처럼 통합단자함(20)의 전면에 장착되고, 통합단자함(20)의 내부를 개폐시켜 수납된 전장품들을 보호할 뿐 아니라 일반인의 접근을 제한 한다..Next, the
이러한 도어(30)는 도 1과 같이 경첩(25)에 장착되는 여닫이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2와 같이 레일(26)에 장착되는 미닫이방식으로도 구성할 수가 있다.The
즉, 통합단자함의 전방으로 신발장과 같이 기타 장애물이 위치될 경우에는 개폐에 지장을 주지 않는 미닫이방식 도어(3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other obstacles such as a shoe rack are located in front of the integrated terminal box,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liding
물론, 통합단자함의 전방으로 장애물이 없을 경우에는 여닫이방식 도어(3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when there is no obstacle in front of the integrated terminal box,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여기서 미닫이방식 도어(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도어판(31)과 손잡이(32) 및 도어자석(33)과 금속체(34)로 구성된다.Here, the sliding
도어판(31)들은 굽힘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수지재로 형성되고, 통합단자함(20)에 장착된 레일(26)상에 좌우측 양쪽으로 분할 삽입된다.The
이러한 도어판(31)들은 ㄴ형의 레일(26)을 따라 굽힘이 가능하도록 전면에 소정 간격마다 V형의 절곡홈(31a)들이 형성된다.V-shaped
손잡이(32)는 도어판(31)끼리 마주하는 일변에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각각 장착되어 사용자로부터 개폐조작이 가능하게 유도한다.The
여기서 손잡이(32)들이 마주하는 일면에는 교합돌부(32a)와 교합홈부(32b)가 각각 형성된다.Here, an
즉, 손잡이(32)들이 서로 밀착되어 통합단자함(20)을 폐쇄하면, 교합돌부(32a)와 교합홈부(32b)가 암수로 맞물리게 되면서 통합단자함(20)의 내부를 빈틈없이 폐쇄해준다.That is, when the
도어자석(33)은 좌측 손잡이(32)의 일면에 장착되어 서로 대향하는 우측 손잡이(32)를 자력으로 흡착한다.The
금속체(34)는 우측 손잡이(32)의 일면에 장착되어 대향하는 도어자석(33)의 자력에 반응하여 흡착을 유도한다.The
즉, 도어자석(33)과 금속체(34)는 손잡이(32)들을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여기서 도어자석(33)과 금속체(34)의 장착위치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금속체(34) 대신 양측 손잡이(32)마다 도어자석(33)만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간에 지진발생시 취침 중인 실내 거주자에게 지진발생에 따른 신속한 대응을 위해 지진안내 경보기를 울리게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when an earthquake occurs at night, an earthquake guidance alarm is sounded to an indoor occupant sleeping in order to quickly respond to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상기 경보기(52)는 외함(10) 내에 설치된 지진감지센서(51)에 의해 지진을 감지하면 소리로 경보하는 스피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지진감지센서(51)는 외함(10) 내측 즉 통합단자함(20)과 외함(10) 간의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는 지진발생시 외함(10)에는 지지의 진동이 그대로 전달되지만 통합단자함(20)에는 온전히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vibration of the support is transmitted to the
지진감지센서(51)가 작동되면 경보작동과 함께 단자함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하여 비상조명등(53)이 자동 점등되게 한다. 비상조명등(53)은 단자함 내부를 육안으로 쉽게 찾고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하기 위함이다.When the
상기 지진 안내 경보 및 비상조명등의 전원은 통합단자함 내 전원을 이용한다.Power for the earthquake guidance warning and emergency lighting uses the power in the integrated terminal box.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어(30)는 여닫이나 미닫이방식이 아닌 통합단자함(20)으로부터 단순 탈/부착되는 덮개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유닛(40)은 도 1 및 도 2처럼 외함(10)과 통합단자함(20) 사이에 서로 연결 장착되고, 외함(10)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통합단자함(20)의 유동을 차단해준다.Finally, the earthquake-
이러한 내진유닛(4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41), 연결허브(42), 베어링(43), 고정덮개(44), 고정너트(45), 연결링(46), 코일스프링(47), 홀더볼트(48)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 a
연결대(41)는 정면을 기준으로 외함(10)의 내부 중앙부위에 밀착 장착되어 통합단자함(20)이 내장되게 지지한다.The
이러한 연결대(41)는 연결원판(41a)과 연결샤프트(41b) 및 연결대홀(41c)과 체결나사(41d)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connecting
연결원판(41a)은 소정 직경을 가진 원형의 판으로써, 외함(10)에 형성된 외함장착홀(11)에 장착된다.The connecting
연결샤프트(41b)는 연결원판(41a)의 중앙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베어링(4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connecting shaft 41b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연결대홀(41c)은 연결원판(41a)의 외측에 중심축 방향을 향해 관통 배열되어 외함(10)과 체결되게 볼트를 수용한다.The connecting
체결나사(41d)는 연결샤프트(41b)의 일단 외면에 마련되어 고정너트(45)의 체결을 유도한다.The
연결허브(42)는 연결대(41)의 연결샤프트(41b)에 관통 삽입 장착되어 외함과 통합단자함(10)(20)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을 유도한다.The
이러한 연결허브(42)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측 내부에는 베어링(43)을 삽입 구속하는 단턱이 형성된다.This
베어링(43)은 연결허브(42)내에 내삽된 상태에서 중앙으로 연결대(41)의 연결샤프트(41b)를 관통 수용한다.The
즉, 베어링(43)의 내륜은 연결샤프트(41b)에 밀착 고정되고, 외륜은 연결허브(42)에 밀착 고정되어 연결대(41)와 연결허브(42)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해준다.That is, the inner ring of the
고정덮개(44)는 연결허브(42)의 일면에 장착되어 연결허브(42)에 삽입된 베어링(43)의 이탈이 차단되게 구속한다.The fixed
즉, 고정덮게(44)는 연결허브(42)의 단턱 대향측에 고정되어 베어링(43)이 연결허브(42)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the fixed
고정너트(45)는 연결대(41)의 일단에 체결되어 연결대(41)로부터 베어링(43)의 이탈이 차단되게 구속한다.The fixing
즉, 고정덮개(44)는 연결허브(42)에 장착되어 베어링(43)의 외륜을 가압하고, 고정너트(45)는 체결나사(41d)에 체결되어 베어링(43)의 내륜을 가압한다.That is, the fixed
연결링(46)은 통합단자함(20)의 후면 중앙 부위에 장착되어 통합단자함(20)과 연결허브(42)가 동심하게 연결해준다.The
이러한 연결링(46)은 연결링판(46a)과 연결보스(46b) 및 연결링홀(46c)과 홀더홀(46d)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연결링판(46a)은 연결허브(42)를 감싸는 도넛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통합단자함(20)에 형성된 통합단자함장착홀(24)에 장착된다.The
연결보스(46b)는 연결링판(46a)의 내측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코일스프링(47)이 장착될 자리를 마련해준다.The
연결링홀(46c)은 연결링판(46a)의 외측에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 배열되어 통합단자함(20)과 체결되게 볼트를 수용한다.The
홀더홀(46d)은 연결보스(46b)상에서 중심을 향해 방사로 관통 배열되어 코일스프링(47)의 삽입과 홀더볼트(48)의 체결을 유도한다.The holder holes 46d are arranged radially through the
코일스프링(47)은 압축탄성을 지닌 것으로, 연결허브(42)와 연결링(46) 사이에 중심을 기점으로 방사로 개재된다.The
이러한 코일스프링(47)들은 통합단자함(20)으로부터 외함(10)이 다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해준다.These coil springs 47 connect the
홀더볼트(48)는 연결링(46)의 홀더홀(46d)마다 체결되어 삽입 개재된 코일스프링(47)들을 구속한다.The
여기서 통합단자함(20)은 전장품의 수용과 함께 후면부위의 편향된 장착으로 인해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처지게 된다.Here, the
즉, 상/하측에 위치하는 홀더볼트(48)들의 체결을 통해 코일스프링(47)의 탄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외함과 통합단자함(10)(20)이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o properly adjust the elasticity of the
즉, 연결링(46)의 홀더홀(46d)에 체결되는 홀더볼트(48)의 조임 정도에 따라 코일스프링(47)의 탄성이 조절된다.That is, the elasticity of the
이때, 연결허브(42)와 홀더볼트(48)들은 코일스프링(47)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삽입 수용되는 안내보스(42a)(48a)가 돌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이러한 안내보스(42a)(48a)는 코일스프링(47)의 이탈을 차단해줌과 함께 상시 정 위치에 있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These
한편, 연결대(41)와 연결링(46)은 각각 외함(10)과 통합단자함(20)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장착하여도 무방하다.Meanwhil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즉, 외함(10)에 연결링(46)이 장착되고, 통합단자함(20)에 연결대(41)가 장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That is,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진유닛(40)이 취하는 동작을 토대로 지진으로부터 통합단자함(20)을 보호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protecting the
첫째, 외함(10)에 장착되는 연결대(41)와, 통합단자함(20)에 장착되는 연결링(46)은 도 8과 같이 베어링(43)에 의해 중심축을 기점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First, the
둘째, 연결대(41)는 도 9와 같이 코일스프링(47)들의 신축성으로 인해 연결링(46)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편심회전이 가능하다.Second, the connecting
셋째, 연결대(41)는 도 10과 같이 코일스프링(47)들의 신축성으로 인해 연결링(46)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Third, as shown in FIG. 10 , the connecting
넷째, 연결대(41)는 도 11과 같이 코일스프링(47)들의 신축성으로 연결링(46)으로부터 상하좌우방향으로 틸팅이 가능하다.Fourth, as shown in FIG. 11 , the connecting
이러한 연결대(41)의 동작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질적으로 복합적으로 동작된다.Although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ng
결과적으로 지진으로부터 발생한 외력이 벽체(W)를 통해 외함(10)에 도달되면, 외함(10)은 지진의 외력에 대응하는 다양한 동작을 취하면서 소멸시킨다.As a result, when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from the earthquake reaches the
이와 같이 내진유닛(40)이 통합단자함(20)으로부터 외함(10)을 좌우방향으로의 회전과 함께 편심공전과 전후이동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틸팅 동작을 구현해줌에 따라 지진파 중 S파에 의한 수직외력은 물론 P파와 L파의 수평외력과 더불어 R파의 역회전 원운동외력까지 모두 흡수할 수가 있으므로 통합단자함(20)에 수납된 전장품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각종 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다.In this way, as the earthquake-
즉, 지진으로 인해 외함(10)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외함(10)과 연결허버(42)에 의해 연결된 통합단자함(20)은 변형이 없으므로 통합단자함(20) 내에 수장된 전장품 등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That is, even if the
따라서 지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이 그대로 단자함에 전달됨으로써 단자함에 고정된 보드의 변형/파손으로 인해 함체 내부 보드에 장착된 전장품들이 단선, 단락 등의 고장은 물론 이로 인한 각종 사고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as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earthquak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box as it is, deformation/damage of the board fixed to the terminal box causes various accidents as well as failures of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the board inside the enclosure such as disconnection and short circuit.
상기 통합단자함(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분할격판에 의해 전기선과 통신선으로 분리되는 통합단자함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2, the
이는 주거용 건물인 공동주택 단독주택 및 사무공간이 오피스텔 일반 사무실 등에는 전기전용선과 통신전용선이 함께 배선되며, 이러한 전기전용선과 통신전용선의 제어/분전반을 별도로 배치하는 것 보다는 통합설치하는 것이 관리 및 공간활용 면에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This means that residential buildings such as apartment houses, detached houses and office spaces, officetels and general offices are wired together with dedicated electric lines and exclusive communication lines, and that it is better to install them integratedly rather than separately arranging the control/distribution panels for these exclusive electric lines and exclusive communication lines for management and space. Because it is effective in terms of use.
상기 통합단자함(20)은 전기선배치공간(27)과 통신선배치공간(28)으로 분할되며, 전기선배치공간(27)과 통신선배치공간(28)을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하기 위해 양 공간 간에는 공간분할격판(29)이 설치된다.The
상기 공간분할격판(29)은 양 공간을 물리적으로 분할 할 뿐 아니라, 전기선과 통신선간의 유도에 의한 상호 간섭을 방지한다. The
상기 전기선배치공간(27)의 상하/단에는 전기선통과홀(27h)이 형성되고, 통신선배치공간(28) 상하단에는 통신선통과홀(28h)가 형성된다.Electric wire passage holes 27h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ectric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W: 벽체 10: 외함
11: 외함장착홀 20: 통합단자함
21: 플레이트
23: 통합단자함플랜지 24: 통합단자함장착홀
25: 경첩 26: 레일
27: 전기선배치공간 27h:전기선통과홀
28: 통신선배치공간 28h; 통신선통과홀
29: 공간분할격판 30: 도어
31: 도어판 31a: 절곡홈
32: 손잡이 32a: 교합돌부
32b: 교합홈부 33: 도어자석
34: 금속체 40: 내진유닛
41: 연결대 41a: 연결원판
41b: 연결샤프트 41c: 연결대홀
41d: 체결나사 42: 연결허브
42a, 48a: 안내보스 43: 베어링
44: 고정덮개 45: 고정너트
46: 연결링 46a: 연결링판
46b: 연결보스 46c: 연결링홀
46d: 홀더홀 47: 코일스프링
48: 홀더볼트 51: 지지감지센서
52: 경보기 53: 비상조명등W: wall 10: enclosure
11: enclosure mounting hole 20: integrated terminal box
21: plate
23: integrated terminal box flange 24: integrated terminal box mounting hole
25: hinge 26: rail
27: electric
28: communication
29: space dividing plate 30: door
31:
32: handle 32a: occlusal projection
32b: mating groove 33: door magnet
34: metal body 40: earthquake-resistant unit
41: connecting
41b: connecting
41d: Fastening screw 42: Connection hub
42a, 48a: guide boss 43: bearing
44: fixed cover 45: fixed nut
46: connecting
46b: connecting
46d: holder hole 47: coil spring
48: holder bolt 51: support detection sensor
52: alarm 53: emergency lighting
Claims (2)
건물의 벽체(W)에 매립 설치되고, 전방을 향해 내부가 노출되게 개구 형성되는 외함(10);
상기 외함(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함(10)의 유동에도 서로 간섭되지 않는 작은 부피를 갖는 통합단자함(20);
상기 통합단자함(20)의 전면에 장착되고, 전장품들이 보호되게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30);
상기 외함(10)과 통합단자함(20) 사이에 서로 연결 장착되고, 상기 외함(10)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통합단자함(20)의 유동을 차단하는 내진유닛(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통합단자함(20)은 상기 도어(30)가 미닫이 식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통합단자함(20)의 상/하단 좌/우측에 ㄴ형의 레일(26)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소정 간격마다 “V”형의 절곡홈(31a)이 형성된 도어판(31)이 장착되고,
상기 통합단자함(20) 내에는 지진감지센서(51)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기(52)가 부가되며,
상기 통합단자함(20)은 공간분할격판(29)에 의해 전기선배치공간(27)과 통신선배치공간(28)으로 분할되고,
상기 내진유닛(40)은,
상기 외함(10)의 내면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통합단자함(20)이 내장되게 지지하는 연결대(41);
상기 연결대(41)의 연결샤프트(41b)에 관통 삽입 장착되어 외함과 통합단자함(10)(20)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을 유도하는 연결허브(42);
상기 연결대(41)와 연결허브(42)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연결대(41)와 연결허브(42)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43);
상기 연결허브(42)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허브(42)로부터 베어링(43)의 이탈이 차단되게 구속하는 고정덮개(44);
상기 연결대(41)의 일단에 체결되고, 상기 베어링(43)의 내륜을 가압하여 연결대(41)로부터 베어링(43)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너트(45);
상기 통합단자함(20)의 외면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통합단자함(20)과 연결허브(42)가 동심하게 연결을 유도하는 연결링(46);
상기 연결허브(42)와 연결링(46) 사이에 중심을 기점으로 방사로 개재되고, 상기 통합단자함(20)으로부터 외함(10)이 다 방향으로 유동되게 연결하는 코일스프링(47);
상기 연결링(46)의 외측에서 중심을 향해 방사로 체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7)을 구속하며 탄성을 조절하는 홀더볼트(4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을 가진 공동주택용 통합단자함.
In the integrated terminal box for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in an apartment house,
An enclosure (10) which is embedded in the wall (W) of the building and is formed with an opening so that the inside is exposed toward the front;
an integrated terminal box 20 mounted inside the enclosure 10 and having a small volum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even when the movement of the enclosure 10 occurs;
a door 3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and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to protect electrical components;
An earthquake-resistant unit 40 connected to and mounted between the enclosure 10 and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and absorbing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enclosure 10 to block the flow of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In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L-shaped rails 26 are formed on the upper/lower left/right sides of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so that the door 30 is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and is moved along the rai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door plate 31 having a “V” shaped bending groove 31a is mounted on each side,
An alarm 52 operated by an earthquake detection sensor 51 is added in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is divided into an electric wire arrangement space 27 and a communication wire arrangement space 28 by a space dividing plate 29,
The earthquake-resistant unit 40,
a connecting rod 41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10 and supporting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therein;
a connection hub (42) which is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the connection shaft (41b) of the connection stand (41) and induces a rotatable connection between the enclosure and the integrated terminal box (10, 20);
a bearing 43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ng rod 41 and the connecting hub 42 and supporting the connecting rod 41 and the connecting hub 42 rotatably with each other;
a fixed cover 44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hub 42 and restraining the bearing 4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hub 42;
a fixing nut 45 fasten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41 and pressurizing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43 to prevent the bearing 4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rod 41;
a connection ring 46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and gui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and the connection hub 42 concentrically;
Coil springs 47 that are radially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on hub 42 and the connection ring 46 from the center and connect the enclosure 10 from the integrated terminal box 20 to flow in multiple directions;
Holder bolts (48) fastened radially from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ring (46) toward the center, restraining the coil spring (47) and controlling elasticity;
An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n apartment house having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9805A KR102486706B1 (en) | 2021-12-01 | 2021-12-01 |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partment houses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KR1020220089999A KR102486717B1 (en) | 2021-12-01 | 2022-07-21 | Integrated terminal box for each apartment unit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9805A KR102486706B1 (en) | 2021-12-01 | 2021-12-01 |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partment houses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9999A Division KR102486717B1 (en) | 2021-12-01 | 2022-07-21 | Integrated terminal box for each apartment unit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6706B1 true KR102486706B1 (en) | 2023-01-10 |
Family
ID=848934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9805A KR102486706B1 (en) | 2021-12-01 | 2021-12-01 |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partment houses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KR1020220089999A KR102486717B1 (en) | 2021-12-01 | 2022-07-21 | Integrated terminal box for each apartment unit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9999A KR102486717B1 (en) | 2021-12-01 | 2022-07-21 | Integrated terminal box for each apartment unit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486706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8601B1 (en) * | 2007-01-26 | 2007-04-18 | (주)건일엠이씨 | Electrical terminal box of building |
KR20150018215A (en) * | 2013-08-09 | 2015-02-23 | (주)서전기전 | Power distributing board having cutting-off system of equipped seismic-sensing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
KR101777405B1 (en) * | 2017-03-14 | 2017-09-12 | (주)하일기술단 | Communication terminal box |
KR102157724B1 (en) | 2020-04-22 | 2020-09-18 |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 Anti-vibration structure of communication terminal box for building |
KR102236005B1 (en) | 2020-10-16 | 2021-04-05 |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 Anti-vibration structure of communication terminal box for building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5907B1 (en) * | 2021-05-27 | 2022-02-08 | 서한컨설탄트(주) |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partment houses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KR102355906B1 (en) * | 2021-05-27 | 2022-02-08 | 서한컨설탄트(주) | Integrated terminal box for buildings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KR102355905B1 (en) * | 2021-05-27 | 2022-02-08 | 서한컨설탄트(주) | earthquake-proof integrated terminal box of apartment houses |
-
2021
- 2021-12-01 KR KR1020210169805A patent/KR10248670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7-21 KR KR1020220089999A patent/KR10248671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8601B1 (en) * | 2007-01-26 | 2007-04-18 | (주)건일엠이씨 | Electrical terminal box of building |
KR20150018215A (en) * | 2013-08-09 | 2015-02-23 | (주)서전기전 | Power distributing board having cutting-off system of equipped seismic-sensing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
KR101777405B1 (en) * | 2017-03-14 | 2017-09-12 | (주)하일기술단 | Communication terminal box |
KR102157724B1 (en) | 2020-04-22 | 2020-09-18 |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 Anti-vibration structure of communication terminal box for building |
KR102236005B1 (en) | 2020-10-16 | 2021-04-05 |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 Anti-vibration structure of communication terminal box for build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6717B1 (en) | 2023-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7405B1 (en) | Communication terminal box | |
KR101592525B1 (en) | Electric power supply cable establishing | |
US20160017640A1 (en) | Electronic Door Locking System | |
US20140334810A1 (en) | Mount for a wired device | |
KR101606555B1 (en) | The device of wall laying total cabinet | |
KR102486706B1 (en) |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partment houses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
KR102355905B1 (en) | earthquake-proof integrated terminal box of apartment houses | |
KR102355906B1 (en) | Integrated terminal box for buildings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
KR102355907B1 (en) | Integrated terminal box for apartment houses wit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 |
KR102111347B1 (en) | Protecting apparatus of communication cable for apartment house | |
KR102376655B1 (en) | Firefighting wireless communication auxiliary equipment monitoring system with earthquake-resistance function | |
KR200473168Y1 (en) | controller box having open/close-type door at panel | |
KR102355908B1 (en) | earthquake-proof integrated terminal box for each apartment household | |
KR100835243B1 (en) | Wall Buried Power Distribution Line Guard of Apartment | |
KR101392869B1 (en) | Controller box having reinforced space | |
KR101597195B1 (en) | Wall embedded type compact cabinet panel | |
KR200460707Y1 (en) | Storage box for home automation controller | |
KR101249731B1 (en) | Furniture having Display | |
KR20220160184A (en) | Terminal box for electrical equipment that guarantees safety with excellent seismic performance | |
JP3899982B2 (en) | Security device | |
AU2011205036B2 (en) | A Frame Assembly | |
JP6708115B2 (en) | Wiring cover and storage battery unit | |
RU2384926C2 (en) | Distribution cabinet for electric equipment of houses and buildings | |
KR102391488B1 (en) |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electricity/communication facilities | |
KR20200034371A (en) | Household Integrated Distribution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2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30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72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209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