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291B1 - 라우드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음향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라우드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음향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291B1
KR102486291B1 KR1020180092298A KR20180092298A KR102486291B1 KR 102486291 B1 KR102486291 B1 KR 102486291B1 KR 1020180092298 A KR1020180092298 A KR 1020180092298A KR 20180092298 A KR20180092298 A KR 20180092298A KR 102486291 B1 KR102486291 B1 KR 102486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penings
sound guide
guide unit
conver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144A (ko
Inventor
리암 켈리
서재갑
위호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8884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65907A4/en
Priority to PCT/KR2018/013443 priority patent/WO2019107781A1/en
Priority to CN201880076610.6A priority patent/CN111386712B/zh
Priority to US16/184,488 priority patent/US10667043B2/en
Publication of KR2019006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144A/ko
Priority to US16/855,692 priority patent/US1091186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5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n acoustic labyrinth or a transmission line
    • H04R1/285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n acoustic labyrinth or a transmission lin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76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 H04R1/288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2Plurality of transduce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ound channels in each earpiece of headphones or in a singl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Abstract

음향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 음향 출력 장치는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 및 상기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를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 각각은,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향 변환부 및 복수의 개구를 통해 상기 음파를 지향성 있게 출력하는 사운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 각각의 직경은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우드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음향 출력 장치{LOUDSPEAKER AND SOUND OUTPU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지향성(directivity) 및 감도(sensitivity)가 개선된 라우드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라우드 스피커는 텔레비전, 라디오 등에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공기에 음파를 복사하여 음파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라우드 스피커는 발생되는 음파가 특정 방향으로 출력되지 않고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무지향성 라우드 스피커(omni-directional loudspeaker)와 발생되는 음파가 특정 방향으로 출력되는 지향성 라우드 스피커 드라이버(directional loudspeaker)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실내 공간에서 재생되는 영화, 드라마 등의 영상 매체의 발달에 따라, 영상 매체는 입체적인 음장 컨텐츠를 포함하게 되었으며, 라우드 스피커는 이러한 입체적인 음장 컨텐츠를 음파의 형태로 출력하며, 출력된 음파가 얼마만큼 청취자에게 구현하고 전달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 있어서, 지향성 라우드 스피커는 음파를 실내 벽면 등의 특정 방향으로 출력하고, 실내 벽면에서 반사된 음파를 통해, 사용자에게 입체적인 음파를 구현할 수 있으며, 청각적 착각(auditory illusion)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청취자에게 각광받고 있다.
다만, 이러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이전에는 복수개의 무지향성 라우드 스피커를 일렬로 나열하여 세팅하였으나, 이러한 세팅은 복수개의 무지향성 라우드 스피커를 필요로 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크기가 변경되는 복수의 개구를 이용하여 지향성과 감도가 개선된 라우드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 및 상기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를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 각각은,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향 변환부(Acoustic transducer) 및 복수의 개구를 통해 상기 음파를 지향성 있게 출력하는 사운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 각각의 직경은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의 직경은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비선형적인 비율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제1 개구 및 상기 복수의 제1 개구에 이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멀어질수록 제1 비율에 따라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제3 개구 및 상기 복수의 제3 개구에 이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3 개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제2 비율에 따라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제4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제2 비율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정현파(sinusoidal wave)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는 바(bar) 형태이며,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둘레를 감는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개구보다 직경이 작은 추가 개구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단면적은, 상기 음향 변환부가 설치된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에서 상기 음향 변환부가 설치된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 배치되는 음향 저항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 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음파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필터링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 부재의 단면적은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단면적의 0.1배 내지 0.7배일 수 있다.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에서 상기 음향 변환부가 설치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돌출 부재까지의 거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내부 단면적 중 가장 큰 직경의 0.2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 변환부와 결합되고, 상기 음파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필터링하는 파이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향 변환부 및 복수의 개구를 통해서 상기 음파를 지향성 있게 출력하는 사운드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변환부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일 단에 형성되어 상기 음파를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로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개구의 직경은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라우드 스피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드 스피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사운드 가이드부와 음향 변환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사운드 가이드부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라우드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4의 Ⅵ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사운드 가이드부 및 돌출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사운드 가이드부의 주파수에 따른 감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가이드부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9는 음향 변환부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도 8의 복수의 개구의 직경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는 도 8의 구조에 따른 지향성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가이드부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2는 음향 변환부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도 11의 복수의 개구의 직경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개시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드 스피커 및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음향 출력 장치(1)는 본체(2) 및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장치(1)는 HTS(Home Theatre System), 사운드 바, 텔레비전, 디지털 TV, 라디오,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등의 스피커를 갖는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본체(2)는 음향 출력 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며,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100)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본체(2)에 두 개의 라우드 스피커만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 시에 본체(2)에는 1개의 라우드 스피커가 포함되거나 3개 이상의 라우드 스피커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에는 2개의 라우드 스피커와 별도의 우퍼 스피커를 구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는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100)는 본체(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향 출력 장치(1)는 라우드 스피커(100)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기 설정된 방향인 실내 벽면으로 방사하여 음향 출력 장치(1)의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체(2)의 외형은 바(bar)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여러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본체(2)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100)는 벽면으로의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본체(2) 내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100) 각각은 음파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방향으로 생성된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100) 각각은 서로 다른 음파를 출력할 수 있으며, 동일한 음파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라우드 스피커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 1을 도시함에 있어서, 음향 출력 장치(1)가 음파를 출력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음향 출력 장치(1)는 디스플레이 등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도시함에 있어서, 음향 출력 장치(1)의 기구적인 구성만을 도시하였지만, 구현 시에 음향 출력 장치(1)는 외부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및 수신된 음원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향 변환부(140)를 구동하는 증폭기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드 스피커(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사운드 가이드부(130)와 음향 변환부(14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라우드 스피커(100)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라우드 스피커(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라우드 스피커(100)는 특정한 방향으로 음파를 발생시키는 지향성 스피커이며, 음파를 방사시키는 출구 역할을 행하는 사운드 가이드부(130), 음파를 발생시키는 하나의 음향 변환부(140) 및 음향 저항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변환부(140)는 음파를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음향 변환부(140)는 음향 출력 장치(1)의 내부에 저장된 음원 컨텐츠 또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음원 컨텐츠에 대응되는 증폭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하여 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변환부(140)는 영구 자석 방식, 보이스 코일(voicecoil) 방식, 다이내믹(electrodynamic)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변환부(140)는 스피커 유닛 또는 유닛으로 지칭될 수 있다.
사운드 가이드부(130)는 음향 변환부(140)가 배치되는 일단(10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또한,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일측면에는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길이 방향은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가장 긴 길이 방향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사운드 가이드부(130)는 음향 변환부(140)에서 발생된 음파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특히 특정 방향(예를 들어, 복수의 개구가 배치된 방향)으로 음파를 가이드하여 음파가 상술한 특정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내부 최대 단면의 크기는 고지향 음파 방사를 하고자 하는 주파수성분의 반파장 보다 더 짧게 설계 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가이드부(130a 내지 130d)는 앞서 언급된 사운드 가이드부(130a 내지 130d)의 내부 단면적이 음향 변환부(140)에서 거리가 멀어지는 위치에 따라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하거나, 혹은 증가하는 변화를 주거나, 혹은 일정하게 하는 등의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운드 가이드부(130a 내지 130d)의 단면 형태는 곡면, 다각면 및 타원면과 같이 특정형태로 고정되거나, 음향 변환부(140)에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그 위치 별로 단면 형태 및 그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특수한 파이프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가이드부(130c)는 음향 변환부(140)에서 멀어짐에 따라,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의 내부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영역의 음파의 감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의 내부 단면적의 변화는 저주파수 및 고주파수 영역의 음파의 감도와 관련된 대역폭(bandwidth)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가이드부(130)는 복수의 개구(111)와 연통되는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은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내면이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내부에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의 길이는 음향 변환부(140)로부터 발생하는 음파의 가장 긴 파장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변환부(140)에서 발생되는 음파가 사운드 가이드부(130) 내면에 충돌, 반사 및 굴절이 되더라도 다양한 주파수의 음파의 손실 없이 복수의 개구(111)를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운드 가이드부(130)는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조립 과정 없이 사운드 가이드부(130)를 생산함으로써, 생산 시간 및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만, 사운드 가이드부(1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사운드 가이드부 (130)는 상/하측 부품으로 구성된 결합구조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결합 방식 및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운드 가이드부(130)는 음파의 고주파수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돌출 영역(106)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영역(106)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타측에는 음향 저항 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향 저항 부재(150)가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타단(102)에 인접하여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저항 부재(150)는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타단(102)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일단(101)에 배치된 음향 변환부(140)로부터 발생되는 음파가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타단(102)에서 반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음향 저항 부재(150)는 음파의 댐퍼(damper)와 같은 역할로서, 재질 및 설계에 따라 음파를 흡수하여 사운드 가이드부(130)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원치 않는 반사파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반사파는 의도하지 않은 주파수응답 및 지향특성 실현에 방해가 된다. 이에 따라, 음향 저항 부재(150)는 음파의 주파수응답 및 지향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을 참조하여, 복수의 개구(11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의 개구(111)는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일측면에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111)는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과 연통될 수 있다.
각 개구(111)의 크기는 음향 변환부(140)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결정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111)는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음향 변환부(140)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개구(111) 중 사운드 가이드부(130)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개구(111)의 직경이 최대가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구(111) 각각의 직경들 간의 관계는 반복 실험을 통해 최적 값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변환부(140)가 설치된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거리를 20 레벨로 구분하고, 음향 변환부(140)로부터 12 레벨에 해당하는 지점(즉, 12/20에 해당하는 지점)에 배치된 개구(Y1)와, 음향 변환부(140)로부터 17레벨에 해당하는 지점(즉, 17/20에 해당하는 지점)에 배치된 개구(Y2)가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Y1의 직경의 제곱근을 a1이라 하고, Y2의 직경의 제곱근을 a2라고 하면, a2/a1은 21/20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구(111)들의 모든 표면적의 합이 클수록 음파의 감도는 증가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개구(111)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음파의 지향성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구현 시에 라우드 스피커(100)의 감도 및 지향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개구(111)의 크기를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개구(111)들의 모든 표면적의 합과 복수의 개구(111)들이 형성되지 않은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상면의 표면적의 비는 10-6 내지 0.35 범위 이내에서 정해지는 비율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지향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주파수 영역의 음파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개구(111) 각각은 음향 저항 역할을 행하는 직물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직물 소재를 이용하여 개구 별의 음파 방사 특성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변환부(140)에 가까운 개구는 두꺼운 직물소재를 가질 수 있으며, 음향 변환부(140)에서 멀어질수록 개구는 얇아지는 저지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직물소재의 두께를 음향 변환부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 직물소재의 두께는 개구의 직경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는 음향 변환부(140)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데, 직물소재의 두께는 개구의 직경에 반비례 형태로 점차 얇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은 두께를 갖는 개구(또는 음향 변환부에 인접한 개구)에 두꺼운 직물소재를 덮음으로써 불필요한 저주파 공명 성분을 댐핑할 수 있고, 라우드 스피커(100)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평탄도를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작은 두께를 갖는 개구(또는 음향 변환부에 인접한 개구)에 두꺼운 직물소재를 덮음으로써 저주파수 음파 성분의 방사 지향성(Directivity)을 향상시키기 위한 '음향 전파특성 조절기'역할을 행할 수 있다.
아울러, 직물 소재는 저지(jersey)를 포함하는 다양할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개구(111) 중 크기가 작은 개구들은 저주파수 대역의 음파 방사에 영향을 주고, 복수의 개구 중 크기가 큰 개구들은 고주파수 대역의 음파 방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라우드 스피커(100)는 동일한 개구 크기를 갖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개구를 갖는바, 저주파수 대역에서 고주파수 대역 전체적으로 지향 특성이 향상된다.
복수의 개구(111)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 열로 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며 한 개 혹은 복수 개의 직선 혹은 곡선 열과 같이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 참조하여, 돌출 영역(106)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라우드 스피커(100)의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4의 Ⅵ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운드 가이드부(130)는 음향 변환부(140)가 배치되는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일단(101)과 인접한 일측에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내부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영역(1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가이드부(130)는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내부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 영역(106)을 형성하는 돌출부재(10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재(105)는 별도 부재로서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내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운드 가이드부(13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돌출부재(105)는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내부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일단(101)에 배치된 음향 변환부(140)와 돌출 영역(106) 사이의 공간인 사운드 유입구(108) 및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을 연통시키는 사운드 연통구(104)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운드 가이드부(130)가 별도의 파이프 부재를 포함하거나 파이프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파이프 부재는 일단(10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음향 변환부(140)가 배치되는 일단(101)과 인접한 일측에 돌출 영역(106)을 형성하도록 절곡 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부재는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별도 부재로서,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일 측에 연결되어 음향 변환부(140)와 결합되고, 음파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 영역(106)을 포함하는 별도 파이프 부재를 제조하여 사운드 가이드부(130)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돌출 영역(106)의 단면적(S2)은 음향 변환부(140)가 배치되는 일측의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단면적(S1)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영역(106)의 단면적(S2)은 음향 변환부(140)가 배치되는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단면적의 0.1배 내지 0.7배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 영역(106)에 포함되고, 사운드 연통구(104)의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적(S2)은 사운드 유입구(108)의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적(S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돌출 영역(106)에 포함되는 사운드 연통구(104)의 단면적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사운드 연통구(104)의 최소 단면적(S2)이 사운드 유입구(108)의 단면적(S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일단(101)로부터 돌출 영역(106)까지의 거리(L)는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내부 단면적 중 가장 큰 직경(D)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일단(101)로부터 돌출 영역(106)까지의 거리(L)는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내부 단면적 중 가장 큰 직경(D)의 0.2배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 영역(106)은 일정 수준의 지향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특정 주파수 대역의 감도를 늘릴 수 있다.
아울러, 돌출 영역(106)은 사운드 유입구(108)와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 사이에 배치되어 사운드 유입구(108)와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을 연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 영역(106)은 사운드 연통구(104)를 통해 사운드 유입구(108)와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음향 변환부(140)에서 발생된 사운드는 순차적으로 사운드 유입구(108), 사운드 연통구(104),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 복수의 개구(111)를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하측 내면이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상측 내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7은 돌출 영역(106)을 포함하는 사운드 가이드부 (P) 및 돌출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사운드 가이드부 (Q) 각각의 주파수별 감도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PL은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을 의미하며, 음향 변환부(140)로부터의 특정 위치에서 측정된 음파의 감도를 의미한다. 돌출 영역(106)을 포함하는 사운드 가이드부(130)는 특정주파수 (예를 들어, 중~저주파수) 대역의 감도를 늘리는 음향필터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 결과, 특정주파수 대역에서의 감도레벨이, 돌출 영역(106)을 포함하지 않는 사운드 가이드부의 그래프(Q)보다 돌출 영역(106)을 포함하는 사운드 가이드부의 그래프(P)가 더 우세한 모습을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복수의 개구(1111)의 직경의 변화 및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가이드부(1130)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9는 음향 변환부(140)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도 8의 복수의 개구(1111)의 직경의 변화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는 도 8의 구조에 따른 지향성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복수의 개구(1111)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사운드 가이드부(113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과 연통되는 구조는 동일한 것으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가이드부(1130)는 직경이 변환하는 복수의 개구(1111)와 직경이 동일한 복수의 개구(A1 내지 A22)을 포함할 수 있다.
직경이 변환하는 복수의 개구(111)는 음향 변환부(140)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커지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개구(A1 내지 A22)는 직경이 변환하는 복수의 개구(111) 이후에 배치되며, 동일한 크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개구(A1 내지 A22)는 직경이 변환하는 복수의 개구(111)의 최우측에 위치하는 개구의 크기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개구(1111)는 사운드 가이드부(1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음향 변환부(140)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제1 개구(G1) 및 복수의 제1 개구(G1)에 이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제2 개구(G2)로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개구(G1)는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개구들(A1 내지 A18)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2 개구(G2)는 직경이 일정한 개구들(A19 내지 A2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향 변환부(14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복수의 제1 개구(G1)에 포함되는 개구들(A1 내지 A18)의 직경은 일정하게 증가하며, 복수의 제2 개구(G2)에 포함되는 개구들(A19 내지 A22)은 직경이 복수의 제1 개구(G1)에 포함되는 개구들 중 직경이 가장 큰 개구(A18)보다 직경이 크며 직경이 일정할 수 있다.
참고로, 도 9에 개시된 x축의 원점은 음향 변환부(140)가 배치된 위치를 의미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복수의 제2 개구(G2)에 포함되는 개구들(A19 내지 A22)의 직경은 복수의 제1 개구(G1)에 포함되는 개구들 중 직경이 가장 큰 개구(A19)의 직경과 동일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파의 주파수 영역에 따른 감도(SPL)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개구(111)를 포함하는 사운드 가이드부(130)의 그래프(S)보다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1, 2 개구(G1, G2)를 포함하는 사운드 가이드부(1130)의 그래프(R)가 더 높게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전반적인 주파수 영역, 특히 고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제2 개구(G2)의 직경을 특성을 포함하는 경우 감도(SPL)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의 그래프는 선행기술 및 본 발명 기술에 기반한 음향 출력 장치(1)를 통해 얻게 되는 음파방사 지향특성에 관해서 비교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의 그래프에서 쓰인 측정기준은 ANSI/CEA-2034-A (2015)로서 규격화되어 있는 음파방사 지향특성 기준의 수정판에 해당되는 'Lateral directivity index'이다.
구체적으로, Lateral directivity index는 상기 규격 문헌 상에서 정의되어 있는 'Listening window'와, 음향 출력 장치(1)의 측면(1XX)에서의 음압레벨 간의 차에 해당되는 값이다.
여기서, Listening window'는 음향 출력 장치(1)의 '정면'의 영역(1XX)으로 볼 수 있는 전방에서의 서로 다른 9 곳에서 측정된 음압레벨 값들 간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복수의 개구(2111)의 직경의 변화 및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가이드부(2130)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12는 음향 변환부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도 11의 복수의 개구(2111)의 직경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복수의 개구(2111)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사운드 가이드부(213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과 연통되는 구조는 동일한 것으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가이드부(2130)는 복수의 개구(2111)를 포함하여, 복수의 개구(2111)는 음향 변환부(14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증가하나, 복수의 개구(2111)의 직경이 증가하는 비율은 상이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개구(2111)의 직경이 증가하는 비율은 비 선형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2111)가 음향 변환부(140)에서 멀어짐에 따라 양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직경이 증가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개구(2111)가 증가하는 비율(기울기의 변동률)은 음향 변환부(14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위치하는 변곡점(Z)을 기준으로 양에서 음으로 변화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개구(2111)의 직경이 증가하는 비율은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곡점(Z)을 기준으로 변곡점 이전에 배치되는 제3 개구의 직경이 증가하는 제1 비율은, 변곡점 이후에 배치되는 제4 개구의 직경이 증가하는 제2 비율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음향 변환부(140)로부터 멀어지는 순서에 따라 복수의 개구(2111)는 제3 개구(G3) 내지 제5 개구(G5)로 정의되는 경우, 제4 개구(G4)에 포함되는 복수의 개구(B9 내지 B16)의 직경이 증가하는 비율은 제3 개구(G3)에 포함되는 복수의 개구(B1 내지 B8)의 직경이 증가하는 비율 및 제5 개구(G5)에 포함되는 복수의 개구(B17 내지 B24)의 직경이 증가하는 비율보다 클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복수의 개구들(2111)은 기 설정된 거리에 위치한 변곡점(Z)을 기준으로, 각 개구들은, 개구들 간의 거리 (Δx) 대비 각 개구들의 크기(A) 의 제곱근값 √A의 증분의 비율 (Δ√A /Δx)이 증가하는 규칙성에 따라, 그 크기가 증가시킬 수 있다.
역으로 변곡점(Z) 이후의 위치에서는 비율 (Δ√A/Δx)이 감소하는 규칙성에 따라, 그 크기가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개구들(2111)은 변곡점(Z)의 위치까지, 개구들 간의 거리 (Δx) 대비 각 개구들의 크기 (A) 의 제곱근값 √A의 증분의 비율 (Δ√A/Δx)이 동일해지는 규칙성 규칙성에 따라, 그 크기가 증가시킬 수 있다.
역으로 변곡점(Z) 이후 이후의 위치에서는 복수의 개구들(2111) 간의 크기가 변하지 않거나, 서로 유사한 크기를 갖도록 만들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3 개구(G3) 내지 제5 개구(G5)에 포함되는 복수의 개구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가이드부(2130)의 감도와 지향성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개구(111)를 포함하는 사운드 가이드부(130)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개시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의 형태는 원형뿐만 아니라, 가로/세로 길이 비율을 다양하게 변형한 대칭적 사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111e, 111f)는 사각형과 같은 대칭적인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구현 시에 개구의 형상은 정사각형 이외에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꼴 등 다양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복수의 개구(111e, 111f)는 음향 변환부(140)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운드 가이드부(130e, 130f)의 길이 방향을 따라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형에 제한되지 않고 직사각형 형상의 복수의 개구(111e, 111f)를 통해서도, 음향 출력 장치(1)의 지향성 및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111g)는 사운드 가이드부(130g)의 둘레를 따라 사운드 가이드부(130g)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가이드부(130g)가 원형일 경우, 복수의 개구(111g)는 사운드 가이드부(130g)의 길이 방향으로 사운드 가이드부(130g)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가이드부(130h)는 사운드 가이드부(130h)의 길이 방향에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111h)를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111h) 중 적어도 두 개의 개구는 사운드 가이드부(130h)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에 대해 편차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개구(111h)는 사운드 가이드부(130h)의 길이 방향으로 정현파(sinusoidal wave)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개구(111h)가 배치되는 패턴은 정현파에 제한되지 않고, 정현파와 같은 다양한 곡선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렬로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111h)는 상호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개구(111h)가 일정하게 분산된 패턴으로 배치됨으로써, 특정 방향, 특히 사운드 가이드부(130h)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음파의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가이드부(31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복수의 개구(3111)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사운드 가이드부(313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과 연통되는 구조는 동일한 것으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3111)는 사운드 가이드부(3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가이드부(3130)는 사운드 가이드부(3130)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 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3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열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평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현 시에는 복수의 개구(3111)가 사운드 가이드부(31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개구는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 열 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며, 한 개 혹은 복수 개의 직선 혹은 곡선 열과 같이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사운드 가이드부(3130)의 단면이 원형(즉, 사운드 가이드부가 원통형)의 형상일 경우, 복수의 개구(3111)는 사운드 가이드부(3130)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열 간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일정한 간격일 뿐만 아니라, 간격이 서로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개구(3111)의 증가로 인해 음압 레벨의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복수 열로 배치되는 패턴을 통해 측 방향으로의 지향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가이드부(41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복수의 개구(4111)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사운드 가이드부(413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과 연통되는 구조는 동일한 것으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가이드부(4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개구(4111)가 배치되며, 복수의 개구(4111) 사이에는 추가 개구들(4111a)이 배치될 수 있다.
추가 개구들(4111a)은 사운드 가이드 공간(103)과 연통되며, 복수의 개구(411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구현 시에 추가 개구들(4111a)의 직경은 필요에 따라 복수의 개구(4111)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을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시에 추가 개구들(4111a)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추가 개구(4111a)들을 통해, 음향 출력 장치(1)의 정밀한 지향성 및 감도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사운드 가이드부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의 모든 표면적의 합과 복수의 개구들이 형성되지 않은 사운드 가이드부의 표면적의 비는 10-6 내지 0.35 범위 이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복수의 개구들의 형상, 패턴에 제한되지 않고, 특정 수준의 지향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주파수 영역의 음파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음향 출력 장치
100: 라우드 스피커
106: 돌출영역
111: 개구
130: 사운드 가이드부
140: 음향 변환부
150: 음향 저항 부재

Claims (20)

  1.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 및
    상기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를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 각각은,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향 변환부(acoustic transducer); 및
    복수의 개구를 통해 상기 음파를 지향성 있게 출력하는 사운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 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음파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필터링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 각각의 직경은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음향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의 직경은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비선형적인 비율로 증가하는 음향 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제1 개구; 및
    상기 복수의 제1 개구에 이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멀어질수록 제1 비율에 따라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제3 개구; 및
    상기 복수의 제3 개구에 이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3 개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제2 비율에 따라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제4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제2 비율보다 큰, 음향 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 열로 배치되는 음향 출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정현파(sinusoidal wave) 패턴으로 배치되는 음향 출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는 바(bar) 형태이며,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둘레를 감는 패턴으로 배치되는 음향 출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개구보다 직경이 작은 추가 개구들이 각각 배치되는 음향 출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단면적은, 상기 음향 변환부가 설치된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음향 출력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에서 상기 음향 변환부가 설치된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 배치되는 음향 저항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의 단면적은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단면적의 0.1배 내지 0.7배인 음향 출력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에서 상기 음향 변환부가 설치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돌출 부재까지의 거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내부 단면적 중 가장 큰 직경의 0.2배보다 작은 음향 출력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 변환부와 결합되고, 상기 음파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필터링하는 파이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15.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향 변환부; 및
    복수의 개구를 통해서 상기 음파를 지향성 있게 출력하는 사운드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변환부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일 단에 형성되어 상기 음파를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로 전달하고,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 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음파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필터링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개구의 직경은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라우드 스피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의 직경은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비선형적인 비율로 증가하는 라우드 스피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제1 개구; 및
    상기 복수의 제1 개구에 이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라우드 스피커.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음향 변환부에서 멀어질수록 제1 비율에 따라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제3 개구; 및
    상기 복수의 제3 개구에 이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3 개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제2 비율에 따라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제4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제2 비율보다 큰, 라우드 스피커.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 열로 배치되는 라우드 스피커.
  20. 삭제
KR1020180092298A 2017-11-28 2018-08-08 라우드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음향 출력 장치 KR102486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84089.6A EP3665907A4 (en) 2017-11-28 2018-11-07 SPEAKER AND SOUND OUTPUT DEVICE INCLUDING IT
PCT/KR2018/013443 WO2019107781A1 (en) 2017-11-28 2018-11-07 Loudspeaker and sound outpu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880076610.6A CN111386712B (zh) 2017-11-28 2018-11-07 扬声器和具有该扬声器的声音输出设备
US16/184,488 US10667043B2 (en) 2017-11-28 2018-11-08 Loudspeaker and sound outpu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6/855,692 US10911866B2 (en) 2017-11-28 2020-04-22 Loudspeaker and sound outpu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91388P 2017-11-28 2017-11-28
US62/591,388 2017-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144A KR20190062144A (ko) 2019-06-05
KR102486291B1 true KR102486291B1 (ko) 2023-01-10

Family

ID=6684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298A KR102486291B1 (ko) 2017-11-28 2018-08-08 라우드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음향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665907A4 (ko)
KR (1) KR102486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682A (ko) * 2019-11-06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우드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4329A1 (en) * 2008-05-02 2009-11-05 Ickler Christopher B Passive Directional Acoustical Radiating
JP2009296153A (ja) * 2008-06-03 2009-12-17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指向性スピーカ
WO2016134861A1 (en) * 2015-02-27 2016-09-01 Pss Belgium Nv High-directivity speaker un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2569A (en) * 1995-03-08 1996-09-03 Sapkowski; Mechislao Exponential multi-ported acoustic enclosure
KR102560990B1 (ko) * 2016-12-09 2023-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향성 스피커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4329A1 (en) * 2008-05-02 2009-11-05 Ickler Christopher B Passive Directional Acoustical Radiating
JP2009296153A (ja) * 2008-06-03 2009-12-17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指向性スピーカ
WO2016134861A1 (en) * 2015-02-27 2016-09-01 Pss Belgium Nv High-directivity speake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5907A4 (en) 2020-08-19
EP3665907A1 (en) 2020-06-17
KR20190062144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86712B (zh) 扬声器和具有该扬声器的声音输出设备
JP4948397B2 (ja) 閉ループ式埋込み型オーディオ伝送ライン技術
KR101973488B1 (ko) 표면 반사에 의해 야기되는 오디오 칼라레이션이 감소된 라우드스피커
EP3041265B1 (en) Loudspeaker with improved directional behavior and reduction of acoustical interference
US20170251296A1 (en) Loudspeaker with narrow dispersion
CN108141661B (zh) 包括喇叭的扬声器和使用扬声器形成均匀声音的方法
US9161119B2 (en) Phi-based enclosure for speaker systems
JP2011101375A (ja) 改良型ラウドスピーカー
US20230319461A1 (en) Playback Devices Having Waveguides
KR102486291B1 (ko) 라우드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음향 출력 장치
US10547934B2 (en) Speaker assemblies with wide dispersion patterns
RU2612535C2 (ru)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CN105764000B (zh) 一种音效播放装置
KR20210054682A (ko) 라우드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TWI549521B (zh) Sound playba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