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846B1 - Contactless smart door lock - Google Patents

Contactless smart 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846B1
KR102485846B1 KR1020200155648A KR20200155648A KR102485846B1 KR 102485846 B1 KR102485846 B1 KR 102485846B1 KR 1020200155648 A KR1020200155648 A KR 1020200155648A KR 20200155648 A KR20200155648 A KR 20200155648A KR 102485846 B1 KR102485846 B1 KR 102485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nit
password
carbon atoms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6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68651A (en
Inventor
장희숙
이현빈
이민석
장우원
백종민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5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846B1/en
Publication of KR2022006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8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어락과 연동되는 외부기기부, 도어락에 형성되되,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비밀번호를 식별하는 잠금유닛과 외부기기부 및 도어락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잠금유닛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기 설정된 비밀번호에 의해 개방할 수 있고, 잠금유닛은 외부기기부와 상호 연동되어 외부기기부에 센싱된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의해 원격으로 개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contact smart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an external device unit interlocked with the door lock, a lock unit formed in the door lock and identifying a registe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password, and a control that controls the external device unit and the door lock. unit, the lock unit can be open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a pre-registered user and a preset password, and the lock unit interlocks with an external device to access the pre-registere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external device. can be opened remotely by

Description

비접촉식 스마트 도어락{CONTACTLESS SMART DOOR LOCK}Contactless smart door lock {CONTACTLESS SMART DOOR LOCK}

본 발명은 비접촉식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어락 연동되는 외부기기부, 도어락에 형성되되,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비밀번호를 식별하는 잠금유닛과 외부기기부 및 도어락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잠금유닛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기 설정된 비밀번호에 의해 개방할 수 있고, 잠금유닛은 외부기기부와 상호 연동되어 외부기기부에 센싱된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의해 원격으로 개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contact smart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an external device unit interlocked with the door lock, a lock unit formed in the door lock to identify a registe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passwor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unit and the door lock. Including, the lock unit can be opened by pre-registe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a preset password, and the lock unit interlocks with the external device unit by pre-registe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external device unit. Can be opened remotely.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현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 또는 열쇠를 사용함에 따라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또 사용자가 외출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도어가 잠기도록 작동하는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a door lock refers to a device that is installed in the front door, unlocks the door as the user inputs a password or uses a key, and operates so that th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when the user goes out.

일반적으로 사무실, 아파트 또는 보안이 요구되는 특정공간이나 시설물에는 보안을 위해 보안장치가 설치된다. 외부 침입자가 발생하는 경우 보안 장치는 경비업체로 경보신호를 전달하여 경비업체에서 신속히 현장으로 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security devices are installed for security in offices, apartments, or specific spaces or facilities requiring security. When an outside intruder occurs, the security device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security company so that the security company can promptly mobilize to the scene.

일반 가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설경비업체에 의뢰하여 특별한 보안시스템을 갖추기도 하지만 주로 도어록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described above, in a general home, a special security system is provided by requesting a private security company, but it is common to mainly use a door lock device.

현재 아파트의 현관이나 사무실, 일반 가정의 현관 등에 많이 사되고 있으며, 이러한 도어락 시스템의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별도의 열쇠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에 의해 그 사용범위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Currently, it is widely used in the entrances of apartments, offices, and entrances of ordinary homes, and in the case of these door lock systems, the range of use is increasing day by day due to the advantage of not having to carry a separate key by using a password.

통상의 도어락 장치는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해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 폰을 개폐시키는 아날로그 방식의 도어락 장치와 버튼을 조작하여 전자적으로 도어락을 개폐시키는 디지털방식의 도어락 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는 방문자가 집주인을 호출하기 위한 호출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Conventional door lock devices can be divided into an analog type door lock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a door phone using a key to open and close a door, and a digital type door lock device that electronically opens and closes a door lock by manipulating a button. The door lock device has a call button for visitors to call the landlord.

그러나, 종래의 도어락은 단순히 현관 단속에만 사용되는 비밀번호 방식이나 지문인식 방식 등을 사용하고 있다.However, conventional door locks use a password method or a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that are simply used only for front door control.

이에, 비밀번호의 경우 번호 부분의 지문이 남아 보안성이 낮으며 지문인식의 경우 보안성은 높을지 모르지만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password, the fingerprint of the number part remains and the security is low, and in the case of fingerprint recognition, the security may be high, bu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따라서, 비접촉식으로 지문을 남기지 않아도 현관 또는 문을 개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하여 보안성을 높임과 동시에 편의성을 강화할 수 있는 비접촉식 스마트 도어락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on-contact smart door lock that can open the front door or door without leaving a fingerprint in a non-contact manner and can enhance security and convenience at the same time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10-2012-0041876 A10-2012-0041876 A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접촉식 스마트 도어락을 통해 잔류 지문으로 인한 표적 범죄 문제를 해결하고 보안을 강화하여 가구원들의 불안감 해소와 안전성을 증대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target crime due to residual fingerprints through a non-contact smart door lock and to enhance security and relieve anxiety of household members and increase safe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스마트 도아락에 따르면, 도어락; 상기 도어락과 연동되는 외부기기부; 상기 도어락에 형성되되,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비밀번호를 식별하는 잠금유닛; 및 상기 외부기기부 및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기 설정된 비밀번호에 의해 개방할 수 있고,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contactless smart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An external device unit interlocked with the door lock; Doedoe formed in the door lock, the lock unit for identify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password of the pre-registered us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unit and the door lock, wherein the lock unit can be opened by pre-registered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and a preset password,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외부기기부와 상호 연동되어 상기 외부기기부에 센싱된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의해 원격으로 개방될 수 있다.The lock unit may be remotely opened by biometric information of a pre-registered user sensed by the external device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잠금유닛은 터치스크린 형식이고,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제1 잠금부 및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센싱하는 제2 잠금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unit is a touch screen type, and includes a first locking unit for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a second locking unit for sensing a preset passwor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잠금부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생체 정보를 센싱하여 문을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1 잠금부는, 상기 외부기기부에 센싱되는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되어 원격으로 문을 개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ocking unit can open the door by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and the first locking unit corresponds to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hat is already registered and sensed by the external device. The door can be opened remotely.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잠금부는, 번호가 새겨진 비밀번호부; 및 상기 비밀번호부와 결합되되, 손가락의 위치 유무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기 설정된 비밀번호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부에 기 설정된 비밀번호의 번호에 순차적으로 손가락을 비접촉식으로 인접하면 상기 센서부는 손가락의 위치를 센싱하여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센싱하였을 경우 문을 개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ocking unit, number engraved password unit; And a sensor unit that is coupled to the password unit and sen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nger position, and when the user sequentially approaches the number of the password set in the password unit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a preset password, the sensor unit When a preset password is sensed by sensing the location of a finger, the door can be open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밀번호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점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word unit is turned 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비접촉식으로 문을 개방할 수 있어 기존의 지문이 도어락에 남아 발생하는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Since the door can be opened in a non-contact way, it can solve the security problem that fingerprints remain on the door lock.

또한, 패널을 가압할 필요 없이 간단히 손가락을 인접하기만 하면 문을 개방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can be opened simply by simply touching a finger without pressing the panel,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convenience.

또한, 문을 개방하기 위해 불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nvenience is increased by preventing unnecessary operations to open the door.

순차적으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어 비밀번호 입력 시 발생되는 실수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passwords are input sequentially, so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mistakes that occur when entering passwords.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도어락과 외부기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잠금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기기부를 통해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제2 잠금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해제 과정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door lock and an external device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shown to explain the lock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unlocking the door lock through the exter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second locking unit.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unloc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을 의미하며 폭 방향이란 Y축을 의미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fers to the X axis with respect to FIG. 1 , and the width direction refers to the Y axis.

본 발명에 비접촉식 스마트 도어락(200)은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기기와 연동되어 도어락(200)의 패널(S)에 손가락을 터치할 필요 없이 원격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며 원격이 아닌 도어락(200)에 손가락을 인접하여 지문인식으로 문을 개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contact smart door lock 200 is interl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o unlock the door remotely without the need to touch the finger to the panel S of the door lock 200, and the door lock 200 is not remote The door can be opened by fingerprint recognition by placing a finger adjacent to the door.

또한, 기 설정된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비밀번호를 비접촉식으로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문을 개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can be opened by sequentially inputting a password corresponding to a preset password in a non-contact manner.

이를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외부기기부(100) 및 도어락(200)을 포함하며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referring to FIG. 1 ,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xternal device unit 100 and a door lock 200 and a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them.

외부기기부(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unit 100 can display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can be used with smart phones, mobile phone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M),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PMPs.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tablet PC (tablet PC), ultrabook (ultrabook), wearable device (wearable device), glass type terminal (smart glas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또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hat software programs and applications be installed to provide services.

또한, 외부기기부(100)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0)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unit 100 preferably has a display unit 110 capable of being touched.

외부기기부(100)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터치키, 푸시키 등 사용자의 손가락 감압/전기적 신호 및 제스처를 인지하는 소자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unit 100 may detect user input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touch, a touch key, and an element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 pressure/electrical signal and gesture, such as a touch key and a push key.

디스플레이부(110)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및 양자점 디스플레이(Quantum dot)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an e-ink display, and a quantum dot display.

또한, 외부기기부(100)는 도어락(200)과 연동되어 원격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부기기부(100)는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있으며 도어락(200)과 인접하게 되면 근처 반경에 노출된 접근자를 판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출입이 가능한 사람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unit 100 can be interlocked with the door lock 200 to remotely unlock the lock. For this purpose,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external device unit 100 has software or applications embedded therein, and the door lock When it is adjacent to (2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accessor exposed to a nearby radius,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a person is able to enter or exit.

이를 통해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무선 통신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rough this,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based on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HSDPA))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활용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은, 블루투스 통신부(320),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320), 근거리 무선 통신부(320)(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320), 지그비(Zigbee) 통신부(320),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320), WFD(Wi-Fi Direct) 통신부(320), UWB(ultra wideband) 통신부(320), Ant+ 통신부(32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utilized,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320, a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unit 320, a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320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 WLAN (Wi-Fi) communication unit 320, Zigbee communication unit 320,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communication unit 320, WFD (Wi-Fi Direct) communication unit 320, UWB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unit 320, Ant+ communication unit 320, etc.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후, 도 2를 참조하면 외부기기부(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지문을 인식할 수 있도록 안내 문구가 디스플레이된다.After that, referring to FIG. 2 , a guide phras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of the external device unit 100 so that the fingerprint can be recognized.

이에, 사용자는 지문을 인식하게 되면 원격으로 문이 개방되어 출입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fingerprint, the door is remotely opened and accessed.

여기서, 외부기기부(1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즉, 사용자의 지문 정보, 홍채 정보, 음성 정보 및 얼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문 인식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external device unit 100 may acquire and recognize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hat i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voice information, and face information,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fingerprint recognition is describ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문을 개방하기 위해 불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nvenience is increased by preventing unnecessary operations to open the door.

또한, 도어락(200)에 지문을 남기지 않아 위생적이며, 보안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hygienic by not leaving fingerprints on the door lock 200 and has an effect of increasing security.

도 3을 참조하면, 생체 정보뿐만 아니라 외부기기부(100)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 방법으로 문을 개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oor can be opened by a password input metho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unit 100 as well as biometric information.

상세히, 생체 정보로 도어를 개방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기 설정된 비밀번호 배열읕 통해 문을 개방할 수 있다.In detail, in a situation where the door cannot be opened with biometric information, the door can be opened through a preset password arrangement.

사용자는 문을 개방하기 위해 비밀번호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외부기기부(100)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되며 이에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password mode to open the door, the external device unit 100 displays the password so that the password can be input, and the user can open the door by inputting the passwor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락(200)은 외부기기부(100)의 원격 개방뿐만 아니라 도어락(200)의 잠금 해체 방식으로 문을 개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door lock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n the door not only by remotely opening the external device unit 100 but also by unlocking the door lock 200 .

이를 위해 도어락(200)은 잠금유닛을 포함하여 잠금유닛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잠금유닛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잠금부(220) 및 제2 잠금부(210)로 설명한다.To this end, the door lock 200 includes a locking unit, and the locking unit may be configured in a touch screen mann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ocking unit will be described as the first locking unit 22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10. .

잠금유닛의 제1 잠금부(22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여 문을 개방할 수 있다.The first locking unit 220 of the locking unit may open the door by recogniz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제1 잠금부(220)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지문을 접촉하면 기 설정된 지문인지 판단 후 문을 개방하게 된다.The first locking unit 2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and when a user's fingerprint is touched, the door is opened after determining whether it is a preset fingerprint.

이때, 제1 잠금부(220)는 지문인식을 위해 지문 형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지문을 접촉하는 위치를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locking unit 220 can display a fingerprint shape for fingerprint recognition, and thus the user can know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print.

또한, 제1 잠금부(220)는 외부기기부(100)를 구비하지 않아도 문을 개방할 수 있으며, 지문인식으로 인해 기존의 비밀번호 인식으로 인한 지문을 남기지 않아 범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ocking unit 220 can open the door without having the external device unit 100, and does not leave a fingerprint due to the existing password recognition due to fingerprint recognition, thereby preventing exposure to crime. there is.

또한, 비밀번호를 외우지 않아도 문을 개방할 수 있어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can be opened without memorizing the password, efficiency is increased.

덧붙여, 문을 개방하기 위해 불필요한 행동을 취할 필요가 없어 편의성 및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take unnecessary actions to open the door,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convenience and efficiency.

도 5를 참조하여 제2 잠금부(210)를 설명한다.The second locking unit 2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제2 잠금부(210)는 번호가 새겨진 비밀번호부(211,212,213) 및 손가락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211a,212a,213a)를 포함한다.The second locking unit 210 includes numbered password units 211, 212, and 213 and sensor units 211a, 212a, and 213a for sensing the position of a finger.

제2 잠금부(210)는 도어락(200)의 패널(S)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번호가 새겨진 비밀번호부(211,212,213) 구비한다.The second locking unit 210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panel S of the door lock 200 and includes password units 211 212 213 with respective numbers engraved thereon.

비밀번호부(211,212,213)는 1 부터 9까지의 번호가 새겨져 있으며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형성된다.The password units 211, 212, and 213 are engraved with numbers 1 to 9 and are formed to input a preset password.

비밀번호부(211,212,213) 내부에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211a,212a,213a)가 위치한다.Sensor units 211a, 212a, and 213a for sensing finger movements are located inside the password units 211, 212, and 213.

여기서 비밀번호부와 센서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도면부호만 기재했을 뿐 기재된 도면부호에 해당하는 부분만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 only so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password unit and the sensor unit ar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do not mean only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비밀번호부(211,212,213)는 기존의 도어락(200)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도어락(200)의 패널(S)에 직접 맞닿아 입력하는 것이 아닌 비접촉식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The password unit (211,212,213) can input the password in a non-contact manner rather than directly contacting and inputting the panel (S) of the door lock (200) to input the password of the existing door lock (200).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잠금부(210)는 패널(S)에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second locking part 210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anel S by a predetermined length.

즉, 돌출되어 패널(S)과 제2 잠금부(210)는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잠금부(210)는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하기 위해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ed panel S and the second locking part 210 are perpendicular, and the second locking part 210 is preferably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to recognize the user's hand gesture.

이에, 패널(S)과 제2 잠금부(210)의 사이에는 손가락이 인접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anel S and the second locking part 210 so that a finger can be adjacent to it.

이때, 센서부(211a,212a,213a)의 종류는 적외선 센서, 도플러 센서, 초음파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ypes of sensor units 211a, 212a, and 213a may be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infrared sensors, Doppler sensors, and ultrasonic sensor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7을 참조하면, 제2 잠금부(210)의 비밀번호부(211,212,213)는 손가락으로 비밀번호부(211,212,213)의 센서부(211a,212a,213a) 즉 비밀번호부(211,212,213) 외측면에 인접하면 비밀번호부(211,212,213)에 내장된 센서부(211a,212a,213a)는 손가락의 유무와 위치를 센싱하여 비밀번호부(211,212,213)에 대응되는 번호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password parts 211, 212, and 213 of the second locking part 210 are adjacent to the sensor parts 211a, 212a, and 213a of the password parts 211, 212, and 213,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password parts 211, 212, and 213 with a finger. The sensor units 211a, 212a, and 213a embedded in (211, 212, and 213) may sense the presence and position of a finger to input a password of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assword unit (211, 212, and 213).

이때, 패널(S)에 손가락이 맞닿지 않으며 비밀번호부(211,212,213)의 외측에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번호에 맞춰 손가락을 인접하기만 하면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finger does not touch the panel S, and it is possible to input the password simply by bringing the user's finger adjacent to the number the user wants to input on the outside of the password unit 211, 212, 213.

이에,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게 되면 문이 개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or may be opened by sequentially inputting a preset password.

센서부(211a,212a,213a)는 손가락이 위치하게 되면 손가락이 위치하고 있는 위치를 센싱하게 되고 센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번호를 입력하게 되며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문을 개방할 수 있다.The sensor units 211a, 212a, and 213a sense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is located when the finger is located, input a number based on the sensed data, and open the door by comparing the input password with the previously set and stored data. can do.

이에, 비접촉식으로 문을 개방할 수 있어 기존의 지문이 도어락(200)에 남아 발생하는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door can be opened in a non-contact manner, the existing fingerprint remains in the door lock 200, thereby solving a security problem.

또한, 패널(S)을 가압할 필요 없이 간단히 손가락을 인접하기만 하면 문을 개방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can be opened simply by simply touching a finger without pressing the panel 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convenience.

도 5를 참조하면, 비밀번호부(211,212,213)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인접한 위치에 대응되어 비밀번호부(211,212,213)에 새겨진 대응되는 번호에 점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password units 211 , 212 , and 213 may light up corresponding numbers engraved on the password units 211 , 212 , and 213 in correspondence to positions adjacent to the user's fingers.

상세히, 사용자가 '3'의 번호에 손가락을 인접한다면 3의 숫자에 해당하는 비밀번호부(211,212,213)가 점등된다.In detail, if the user's finger is adjacent to the number '3', the password units 211, 212, and 213 corresponding to the number '3' are turned on.

이에,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입력 시, 정확한 인식유무를 알 수 있어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the password,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the password is correctly recognized, thereby increasing efficiency.

또한, 순차적으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어 비밀번호 입력 시 발생되는 입력 실수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passwords are input sequentially, thereby reducing input mistakes that occur when inputting passwords.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번호를 재입력하여 비밀번호 입력의 오류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user from re-inputting a previously entered number and causing an error in inputting a password.

덧붙여, 비밀번호부(211,212,213)의 점등되는 특징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ON'또는 'OFF'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feature of the password units 211, 212, and 213 may be 'ON' or 'OFF'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은 외부기기와 도어락(200)의 센싱 데이터를 저장 및 검증하며 상호 데이터 교환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유닛(300)이 형성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nd verifies the sensing data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door lock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is formed to enable mutual data exchange and control.

도 8을 참조하면, 제어유닛(300)은 제어부(310), 통신부(320) 및 메모리부(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 control unit 310 , a communication unit 320 and a memory unit 330 .

제어부(31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혹은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제어부(310)에 연결된 본 발명의 비접촉식 스마트 도어락(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 예 :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다른 구성요소( 예 : 통신부(32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메인 제어부(310)( 예 :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10)),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제어부(310)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제어부(310)( 예 :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제어부(310), 센서 허브 제어부(310), 또는 커뮤니케이션 제어부(310)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제어부(310)는 메인 제어부(310)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Embedded)되어 운영될 수 있다.The controller 310, for example, drives software or a program (application) to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eg,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 of the non-contact smart door lock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10. and can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and calculations. The control unit 310 may load and process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other components (eg, the communication unit 320) into a volatile memory, and store resultant data in a non-volatile memory. The control unit 310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main control unit 310 (e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r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310), and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uses lower power than the main control unit 310 or has designated functions. may include a specialized auxiliary controller 310 (eg, a graphic processing device, an image signal controller 310, a sensor hub controller 310, or a communication controller 310). Here, the auxiliary control unit 310 may be operated separately from or embedded with the main control unit 310 .

또한, 통신부(3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외부 서버 등 타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제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20)는 무선 통신 모듈( 예 :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 또는 유선 통신 모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20 may support establishment of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other devices such as a wearable device, a smart phone, or an external server,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The communication unit 320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control units 310 that support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ed independently. The communication unit 32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modul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can include

메모리부(330)는 제어부(3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외부기기로 입력되거나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생체 정보 및 비밀번호 정보를 포함한다). The memory unit 330 may store programs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0, and may store data input to or output from external devices (includ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메모리부(3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50)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unit 33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or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150). etc.), RAM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a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개의 모듈들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을 의미한다.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unit 330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Here, the plurality of modules are software, not hardware, and mean functionally operating modules.

UI 모듈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도어락(200)과 외부기기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도어락(200)과 외부기기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은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UI module may provide a specialized UI, GUI, etc. that interworks with the door lock 200 and external devices for each application. The touch screen module may detect a user's touch gesture on the touch screen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touch gesture to the door lock 200 and the external device unit 100 . The touch screen module can recognize and analyze the touch code. The touch screen module may be composed of separate hardware including a controller.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9, the mode of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먼저, 도어락(200)에 접근하여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S100)하면 사용자는 기 등록된 지문을 인식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S200)한다.First, when approaching the door lock 200 and driving the mobile phone application (S100), the user recognizes a pre-registered fingerprint or inputs a password (S200).

또는, 도어락(200)에 지문인식(생체 정보) 또는 비접촉식 방식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된다.Alternatively, a password is input to the door lock 200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biometric information) or a non-contact method.

이때, 기 설정된 생체 정보 및 비밀번호는 도어락(200)의 제어부(310)에 미리 등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t biometric information and password may be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controller 310 of the door lock 200 .

제어부(310)가 외부기기에 입력된 생체 정보 및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인식(S300)하면 도어락(200)은 수신한 인증 데이터(생체정보, 비밀번호)를 검증(S400)하고 인증 데이터와 비교하게 된다.When the control unit 310 generates and recognizes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password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S300), the door lock 200 verifies (S400) the received authentication data (biometric information, password) and compares it with the authentication data.

이후, 데이터 검증이 완료되면 문의 잠금을 해제(S500)하여 개방하게 된다.Thereafter, when data verification is completed, the door is unlocked (S500) and opened.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즉 코딩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분야에 종사하는 동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used in computer readable media, that is, coding, may not be specially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who work in the software field.

하드웨어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같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역으로 사용 또한 마찬가지다.Hardware may be used in conjunction with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본 발명의 잠금유닛의 표면에는 정전기에 의한 소자의 손상 및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ating layer may be included on the surface of the lock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damage and failure of elements caused by static electricity.

상기 코팅층은 대전방지층으로,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먼지 및 이물질 부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력이 우수해 코팅층의 부착력이 우수하다.The coating layer is an antistatic layer, which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and the adhesion of dust and foreign substances, and has excellent adhesion, so that th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is excellent.

상기 대전방지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그라파이트; 및 전도성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istatic layer is a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1; graphite; and conductive fillers: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20124412415-pat00001
Figure 112020124412415-pat00001

여기서,here,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며,m is an integer from 1 to 100;

p는 3 내지 10의 정수이며,p is an integer from 3 to 10;

R1 내지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R1 to R3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heavy hydrogen, a hydrox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and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상기 치환된 알킬렌기, 치환된 아릴렌기, 치환된 알킬기 및 치환된 아릴기는 수소, 중수소,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개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24의 알키닐기, 탄소수 7 내지 30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헤테로아릴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르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 내지 24의 헤테로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실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실릴기 및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The substituted alkylene group, the substituted arylene group, the substituted alkyl group and the substituted aryl group are hydrogen, deuterium, cyano group, nitro group, halogen group, hydroxyl group,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cyclo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lkenyl group having 2 to 30 carbon atoms, alkynyl group having 2 to 24 carbon atoms, aralkyl group having 7 to 30 carbon atoms, ar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heteroaryl group having 5 to 60 nuclear atoms, heteroarylalk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 C1 to C30 alkoxy group, C1 to C30 alkylamino group, C6 to C30 arylamino group, C6 to C30 aralkylamino group, C2 to C24 heteroarylamino group, C1 to C30 alkylsilyl group, an arylsil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and an aryloxy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and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ubstituents, which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보다 바림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below: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20124412415-pat00002
Figure 112020124412415-pat00002

여기서, m 및 p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Here, m and p are as defined in Formula 1 above.

상기 그라파이트는 소량 포함되어, 대전방지층 내의 대전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라파이트는 고가의 전도성 필러인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 내의 대전방지층에는 소량 포함되어, 지속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The graphite is included in a small amount, so that the antistatic effect in the antistatic layer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Considering that graphite is an expensive conductive filler, it is included in a small amount in the antistatic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 continuous antistatic effect can be maintained.

상기 전도성 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의 입자 직경은 30 내지 5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전기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The conductive fill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alumina, and mixtures thereof, but is preferably alumina,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filler is 30 to 50 μm,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The conductive filler may exhibit electrical conductivity.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대전방지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그라파이트 및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으로 구별된다. 친수성 부분은 비공유 전자쌍을 포함하는 산소 원자에 의해, 물 분자와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the antistatic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1; Including graphite and a conductive filler, it may exhibit an antistatic effect. The polysiloxane is divided into a hydrophilic part and a hydrophobic part. The hydrophilic portion is capable of hydrogen bonding with water molecules by an oxygen atom containing an unshared pair of electrons.

반면, 알킬기는 소수성기로 작용한다. 따라서, 친수성 부분이 대전방지층의 표면으로 위치하게 되고, 소수성 부분이 그 반대로 위치하게 되어, 반영구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lkyl group acts as a hydrophobic group. Therefore, the hydrophilic portion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antistatic layer, and the hydrophobic portion is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a semi-permanent antistatic effect can be exhibited.

상기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대전방지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그라파이트; 전도성 필러 및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antistatic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ntistatic layer is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1; graphite; It can be prepared by mixing a conductive filler and an organic solvent.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세인, 프로페인, 톨루엔,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The organic solv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methanol, butanol, hexane, propane, toluene, phenol, and mixtures thereof.

바람직하게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40 내지 80 중량부, 그라파이트 5 내지 1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ntistatic composition may include 40 to 80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1, 5 to 10 parts by weight of graphite, and 30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conductive fill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상기 범위 내 중량부를 포함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을 이루는 성분의 상호 작용으로 단순 조합 이상의 대전 방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In the case of preparing an antistatic composition including parts by weight within the above range, an antistatic effect more than a simple combination may appear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대전방지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그라파이트; 전도성 필러; 유기용매에 천연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antistatic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ntistatic layer is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1; graphite; conductive filler; It can be prepared by further including a natural extract in an organic solvent.

상기 천연추출물은 개별꽃 추출물, 개감채 추출물, 자주개자리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The natural extrac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dividual flower extracts, persimmon extracts, alfalfa extracts, and mixtures thereof.

상기 개별꽃(Krascheninikovia coreana Nakai)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미치광이풀 및 섬개별꽃으로도 불리며, 신갈나무 숲 또는 그 자장자리에 자라고, 잎은 마주나기하며 윗부분의 잎이 특히 커지지 않고 거꿀피침모양이며 길이 10~40mm, 폭 2~4mm로서 예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꽃은 5월에 피며 꽃자루는 길이 2~3cm로서 한쪽에 털이 줄지어 돋고 1개의 백색 꽃이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꽃잎도 5개로서 거꿀달걀모양이고 길이 6mm이며 원두 또는 둔한 절두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씨방에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고 지면 가까이에 닫힌꽃이 몇 개씩 달리며 대가 있다. 삭과는 난상 원형이고 3개로 갈라져서 세립 종자를 산출한다. 원줄기는 1~2개씩 나오고 높이 8~12cm로서 줄로 돋은 털이 있으며 가늘고 길며 곧게 선다. 방추형의 덩이뿌리가 1~2개씩 달린다. 뿌리를 태자삼이라 한다.The individual flower (Krascheninikovia coreana Nakai) is a perennial plant of the dicotyledonous plant centroleaceae, also called lunatic grass and island individual flower, grows in oak forest or its edge, leaves are opposite, and the upper leaves are especially It is not enlarged and is inverted lanceolate, 10-40mm long, 2-4mm wide, sharp-headed, and the lower part narrows to look like a petiole. Flowers bloom in May, peduncles are 2-3cm long, hairs grow in rows on one side, and one white flower runs upward. There are 5 sepals and 5 petals, inverted egg shape, 6mm long, round or dull truncated. There are 10 stamens, anthers are yellow, and there is a style divided into 3 in the ovary, and several closed flowers hang close to the ground, and there is a stem. Capsules are egg-shaped and divided into 3 to produce fine seeds. The main stem comes out by 1-2 pieces, is 8-12cm high, has hairs in a row, and is thin, long, and stands straight. Fusiform tuberous roots run 1-2 each. The root is called taejasam.

상기 개감채(Lloydia serotina (L.) Rchb.)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와판화, 두메무릇 및 산무릇으로도 불리며, 높은 산의 암석지에 자라고, 근생엽은 보통 2개씩 달리며 길이 7~20cm, 폭 1mm 정도로서 선형이다. 줄기잎은 2~4장이 달리고 선형이며 길이 4~35mm로서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위로 말리며 위쪽의 것일수록 작다. 화경은 길이 7~15cm로서 2~4개의 잎이 달린다. 꽃은 7월에 피고 넓은 종 같으며 길이 10~13mm, 지름 1.5cm 정도이고, 화피열편은 6개로서 거의 비슷하며 긴 타원형이고 백색이지만 뒷면의 맥이 때로 자줏빛이 돈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 길이의 1/2정도이며 꽃밥은 타원형이고 아래쪽으로 수술대에 붙는다. 씨방은 타원형이며 암술대는 길이 2~2.5mm로서 씨방보다 짧고 암술머리는 희미하게 3개로 갈라진다. 삭과로 갈색이고 길이 6~7mm로서 넓은 거꿀달걀모양이다. 비늘줄기는 원주형이고 외피는 연한 황갈색이다.The dog persimmon (Lloydia serotina (L.) Rchb.) is a perennial plant of the monocotyledonous lily lily family, also called wapanhwa, dumemuru, and mountain, grows on rocky ground in high mountains, and usually has two root leaves. The length is 7~20cm, the width is about 1mm, and it is linear. Stem leaves are 2-4, linear, 4-35mm long, dull at the end, with curled up edges, and the upper ones are smaller. The scape is 7-15cm long, with 2-4 leaves. Flowers bloom in July, look like wide bells, 10-13mm long, 1.5cm in diameter, 6 sepals, almost similar, long oval, white, but the veins on the back sometimes turn purple. There are 6 stamens, about 1/2 the length of the perianth, and the anther is elliptical and attaches to the filament downward. The ovary is elliptical, and the style is 2-2.5mm long, shorter than the ovary, and the stigma is faintly divided into 3 pieces. It is a capsule, brown, 6-7mm long, and has a wide inverted egg shape. The scale stem is columnar and the outer skin is light yellowish brown.

상기 자주개자리(Medicago sativa L.)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알팔파로도 불리며, 한반도 북부 및 중부에 분포하고 잎은 어긋나기하며 우상 3출엽이고 소엽은 거꿀피침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주맥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2-3cm, 넓이 6-10mm로서 윗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윗면에 털이 거의 없고 뒷면에 털이 복생한다. 탁엽은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총상꽃차례는 액생하며 화경이 있고 꽃은 7-8월에 피며 접형화는 길이 7-8mm로서 연한 자주색이고 포는 침형이다. 꽃받침은 길이 5-6mm이며 열편은 종형으로서 판통보다 길다. 협과는 나선상으로 2-3회로 말리며 털이 있고 여러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신형으로서 작고 황갈색이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털이 거의 없고 속이 비어있다. 원뿌리는 원주형이며 땅속에 깊이 자란다.The alfalfa (Medicago sativa L.) is a perennial plant of the dicotyledonous plant Rosemary leguminous family, also called alfalfa, distributed in the northern and central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leaves are alternate, pinnate 3 leaves, and the lobules are lanceolate or long oval, The tip of the main vein is sharp, the lower part is acute, 2-3cm long, 6-10mm wide, with fine sawtooth on the upper edge, almost no hairs on the upper side, and hairs on the back side. The leaves are lanceolate and the edges are flat. Raceme is axillary, has scape, flowers bloom in July-August, sphenoid flowers are 7-8mm long, light purple, and bracts are needle-shaped. The calyx is 5-6mm long, and the lobe is bell-shaped and longer than pantong. Legumes are spirally rolled 2-3 times, hairy, and contain several seeds. Seeds are new, small and yellowish brown. Stems grow upright or obliquely, and many branches diverge. It has little hair and is hollow inside. The main root is columnar and grows deep into the ground.

바람직하게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40 내지 80 중량부, 그라파이트 5 내지 1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 개별꽃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개감채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ntistatic composition contains 40 to 80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1, 5 to 10 parts by weight of graphite, 30 to 50 parts by weight of a conductive filler,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n individual flower extrac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n organic solvent. 5 to 10 parts by weight of persimmon extract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alfalfa extract.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대전 방지 상승효과가 소폭 더 향상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대전 방지 효과가 미미하거나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the antistatic synergistic effect due to the interaction of each component is further slightly improved, and when out of the above range, the antistatic effect may be insignificant or not improved.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는 1,200 내지 1,500cP이며, 상기 점도가 1,200cP 미만인 경우에는 일면에 코팅 시 흘러내려 대전방지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5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대전방지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More preferably, the viscosity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is 1,200 to 1,500 cP, and when the viscosity is less than 1,200 cP,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form an antistatic layer because it flows down when coated on one surface, and when it exceeds 1,500 cP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form a uniform antistatic layer.

[제조예 1: 대전 방지 코팅층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antistatic coating layer]

1. 코팅 조성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coating composition

톨루엔 및 페놀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기 용매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n antistatic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a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2, a conductive filler, and graphite in an organic solvent in which toluene and phenol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1: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20124412415-pat00003
Figure 112020124412415-pat00003

여기서, m은 10 내지 30의 정수이며, p는 3 내지 5의 정수이다.Here, m is an integer of 10 to 30, and p is an integer of 3 to 5.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와 같다.A mor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SC1SC1 SC2SC2 SC3SC3 SC4SC4 SC5SC5 SC6SC6 유기용매organic solvent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폴리실록산polysiloxane 2020 3030 4040 6060 8080 100100 알루미나alumina 1010 2020 3030 4040 5050 6060 그라파이트graphite 1One 33 55 77 1010 1515

(단위 중량부)상기 알루미나는 입자 직경이 30 내지 50㎛이다.(Parts by unit weight) The alumina has a particle diameter of 30 to 50 μm.

2. 코팅층의 제조2. Preparation of coating layer

잠금유닛의 표면에 상기 SC1 내지 SC6의 대전방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열 경화 시켜 대전방지층(코팅층)을 형성하였다.After applying the antistatic composition of SC1 to SC6 on the surface of the lock unit, it was heat-cured to form an antistatic layer (coating layer).

[실험예 1: 코팅층에 의한 대전방지 효과 실험][Experimental Example 1: Antistatic effect test by coating layer]

1. 점도 측정1. Viscosity measurement

잠금유닛의 포면에 대한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전,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레오미터(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를 이용하였다. 점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과 같다.Before forming the antistatic layer on the surface of the lock unit, the viscosity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was measured. Viscosity was measured using a rheometer (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 The viscosity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SC1SC1 SC2SC2 SC3SC3 SC4SC4 SC5SC5 SC6SC6 점도(cP)Viscosity (cP) 620620 800800 12501250 13501350 15001500 20002000

(단위 : cP)2. 표면 전기 저항 측정 (Unit: cP) 2.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

잠금유닛의 일면에 SC1 내지 SC6의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코팅층에 대해, Resistance Meter SIMCO 저항기 ST-4(25℃, 상대습도 50%)를 이용하여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coating layer formed with the antistatic layer of SC1 to SC6 on one surface of the locking unit was measured using a Resistance Meter SIMCO ST-4 (25° C., 50% relative humidity).

비교예로,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잠금유닛의 표면(비교예 1)에 표면전기저항도 함께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As a comparative example,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was also measured on the surface of the locking unit (Comparative Example 1) on which the antistatic layer was not fo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SC1SC1 SC2SC2 SC3SC3 SC4SC4 SC5SC5 SC6SC6 표면전기저항
(Ω/cm2)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Ω/cm 2 )
7.4Х1010 내지
1.6×1012
7.4Х10 10 to
1.6×10 12
6.4Х109 내지
1.4×1010
6.4Х10 9 to
1.4×10 10
1.4Х109 내지
1.6×1010
1.4Х10 9 to
1.6×10 10
7.2Х108 내지
6.1×109
7.2Х10 8 to
6.1×10 9
4.4Х107 내지
2.1×108
4.4Х10 7 to
2.1×10 8
6.5Х107 내지
4.5×108
6.5Х10 7 to
4.5×10 8
5.8Х108 내지
7.8×108
5.8Х10 8 to
7.8×10 8

(단위 : Ω/cm2)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SC1 내지 SC6의 표면전기저항이 낮으므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우수한 대전방지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Unit: Ω/cm 2 )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antistatic layer is not formed, since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SC1 to SC6 is low,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excellent,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xcellent antistatic effect appears.

3.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3. Evaluation of surface appearance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 나타내었다.Due to the difference in viscosity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after preparing the coating layer,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on whether a uniform surface was formed. Evaluation was conducted on whether or not a uniform coating layer was formed, and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 균일한 코팅층 형성○: uniform coating layer formation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Formation of non-uniform coating layer

SC1SC1 SC2SC2 SC3SC3 SC4SC4 SC5SC5 DY6DY6 관능 평가sensory evaluation ХХ ХХ ХХ

결과적으로,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거울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As a result, whe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flow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mirror when the viscosity is less than a certain level, and it is difficult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in many cases. Accordingly, a problem of lowering the production yield may occur. In addition, even when the viscosity is too high,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apply the composition and it is impossible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또한,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40 내지 8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 및 그라파이트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대전 방지 상승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ntistatic composition includes 40 to 80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2, 30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conductive filler,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graphi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the mutual It can be seen that the antistatic synergistic effect by the action is excellent.

[제조예 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코팅층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antistatic coating layer containing natural extract]

상기 대전 방지 조성물에 대해 천연추출물을 포함하여 대전 방지 효과 증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천연 추출물을 제조 후, 실험예 1에서 대전방지효과가 가장 우수했던 SC4 조성물에 천연추출물을 추가하여 대전 방지 조성물로 제조하였다.After preparing a natural extract to check whether the antistatic effect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was increased or decreased by including the natural extract, the antistatic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the natural extract to the SC4 composition, which had the best antistatic effect in Experimental Example 1. did

1. 개별꽃 추출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individual flower extracts

개별꽃 잎을 세척 및 건조한 후, 믹서기로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분말 시료를 추출 용매인 30% 에탄올에 침지하여 24시간 동안 상온에 방치한 후 추출액을 수득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수득한 추출액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감압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 성분을 제거한 개별꽃 추출물(PE)을 수득하였다.After washing and drying the individual flower leaves, they were pulverized with a blender to prepare a powder. The powder sample was immersed in 30% ethanol as an extraction solvent,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nd then the process of obtaining an extract was repeated twice. The obtained extract was filtered under reduced pressure with Whatman No. 2 filter paper, and the filtered extract was concentrated using a vacuum rotary evaporator to obtain an individual flower extract (PE) from which solvent components were removed.

2. 기타 천연 추출물의 제조2. Preparation of other natural extracts

상기 개별꽃 추출물(PE)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개감채 추출물(LE)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ME)을 제조하였다.Using the same method a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ndividual flower extract (PE), persimmon extract (LE) and alfalfa extract (ME) were prepared.

3. 코팅 조성물의 제조3. Preparation of coating composition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며, 천연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하기 표 5와 같은 조성으로 대전방지 코팅층을 제조하였다.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an antistatic coating layer was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5 below, further including a natural extract.

SC7SC7 SC8SC8 SC9SC9 SC10SC10 SC11SC11 유기용매organic solvent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폴리실록산polysiloxane 6060 6060 6060 6060 6060 알루미나alumina 4040 4040 4040 4040 4040 그라파이트graphite 77 77 77 77 77 개별꽃 추출물(PE)Individual flower extract (PE) 1One 33 55 77 1010 개감채 추출물(LE)Persimmon extract (LE) 1One 33 55 77 1010 자주개자리 추출물(ME)Alfalfa Extract (ME) 0.10.1 0.50.5 1One 33 55

(단위 중량부)(unit weight parts)

4. 코팅층의 제조4. Preparation of the coating layer

잠금유닛의 일면에 대전방지 조성물(SC7 내지 SC11)을 도포한 후, 열경화 시켜 대전방지층(코팅층)을 형성하였다.After applying the antistatic composition (SC7 to SC11) on one surface of the lock unit, it was thermally cured to form an antistatic layer (coating layer).

[실험예 2: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에 의한 대전방지 효과 실험][Experimental Example 2: Antistatic effect test by coating layer containing natural extract]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코팅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도 측정 평가, 표면 전기 저항 측정 평가 및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 내지 표 8에 나타내었다.For the coating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2, viscosity measurement evaluation,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 evaluation, and surface appearance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6 to 8 below. .

점도 측정viscosity measurement

점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The viscosity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below.

SC7SC7 SC8SC8 SC9SC9 SC10SC10 SC11SC11 점도(cP)Viscosity (cP) 12501250 13001300 13701370 14501450 14901490

(단위 : cP) 표면 전기 저항 측정 (Unit: cP)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

잠금유닛의 표면에 SC7 내지 SC11의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코팅층에 대해, Resistance Meter SIMCO 저항기 ST-4(25℃, 상대습도 50%)를 이용하여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고, 비교예로 상기 실험예1의 SC4의 대한 표면전기저항 값을 지수 5로 하여 SC7 내지 SC11의 표면전기저항 정도를 지수 1 내지 10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 값은 숫자가 클수록 표면전기저항 값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For the coating layer on which the antistatic layer of SC7 to SC1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ock unit,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was measured using a Resistance Meter SIMCO resistor ST-4 (25 ° C, 50% relative humidity), and as a comparative example, the above Experimental Example 1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SC4 was set to 5, and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SC7 to SC11 was represented by 1 to 10. The higher the index value, the higher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SC4SC4 SC7SC7 SC8SC8 SC9SC9 SC10SC10 SC11SC11 표면전기저항
(Ω/cm2)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Ω/cm 2 )
55 44 33 22 22 44

(단위 : Ω/cm2)상기 표 6에 따르면, SC4의 표면전기저항 값보다 SC7 내지 SC11의 표면전기저항 측정값이 낮아, 전기전도도가 높아 우수한 대전방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바람직한 중량부의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SC8 내지 SC10의 경우, 표면전기저항 값이 더욱 낮아 전기전도도가 보다 더 우수하여 대정방지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Unit: Ω/cm 2 ) According to Table 6,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sured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values of SC7 to SC11 were lower than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values of SC4, and exhibited excellent antistatic effect due to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C8 to SC10 containing a preferred weight part of the natural extract,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was lower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better than the antistatic effect.

표면 외관 평가Surface appearance evaluation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Due to the difference in viscosity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after preparing the coating layer,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on whether a uniform surface was formed. Evaluation was conducted on whether or not a uniform coating layer was formed, and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below.

○: 균일한 코팅층 형성○: uniform coating layer formation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Formation of non-uniform coating layer

SC7SC7 SC8SC8 SC9SC9 SC10SC10 SC11SC11 관능 평가sensory evaluation

상기 표 8에 의하면, 바람직한 점도 즉, 1200cP 내지 1500cP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잠금유닛 일면에서 균일한 코팅층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According to Table 8, it was confirmed that a uniform coating layer wa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ck unit when the viscosity was within the range of 1200 cP to 1500 cP.

결과적으로, 코팅층 형성 시 일정 점도 미만이거나 초과하는 경우, 불균일한 코팅층이 형성됨을 확인하였으며,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코팅 조성물인 SC7 내지 SC11의 경우, 점도, 표면 전기 저항 및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모두 우수하였고, 바람직한 중량부의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코팅 조성물의 대전방지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 non-uniform coating layer was formed when the viscosity was less than or exceeded a certain level during formation of the coating layer, and in the case of SC7 to SC11, which are antistatic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natural extracts, evaluation of viscosity,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and surface appearance All were excell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static effect of the coating composition was further improved when a preferred weight part of the natural extract was included.

즉, 상기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전방지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40 내지 8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 그라파이트 5 내지 10 중량부, 개별꽃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개감채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SC8 내지 SC10의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대전 방지 상승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That is, the antista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natural extract contains 40 to 80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2, 30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conductive filler, 5 to 10 parts by weight of graphite, and individual flower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In the case of SC8 to SC10 containing 5 to 10 parts by weight of extract, 5 to 10 parts by weight of persimmon extract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alfalfa extract, it can be seen that the antistatic synergistic effect due to the interaction of each component is excell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m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100 : 외부기기부,
110 : 디스플레이부,
200 : 도어락,
210 : 제2 잠금부,
211,212,213 : 비밀번호부,
211a,212a,213a : 센서부,
220 : 제1 잠금부,
300 : 제어유닛,
310 : 제어부,
320 : 통신부,
330 : 메모리부,
S : 패널.
100: external device unit,
110: display unit,
200: door lock,
210: second locking unit,
211,212,213: password part,
211a, 212a, 213a: sensor unit,
220: first locking unit,
300: control unit,
310: control unit,
320: communication department,
330: memory unit,
S: Panel.

Claims (5)

도어락;
상기 도어락과 연동되는 외부기기부;
상기 도어락에 형성되되,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비밀번호를 식별하는 잠금유닛; 및
상기 외부기기부 및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기 설정된 비밀번호에 의해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외부기기부와 상호 연동되어 상기 외부기기부에 센싱된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의해 원격으로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잠금유닛은 터치스크린 형식이고,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제1 잠금부 및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센싱하는 제2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부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생체 정보를 센싱하여 문을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1 잠금부는, 상기 외부기기부에 센싱되는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응되어 원격으로 문을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2 잠금부는,
번호가 새겨진 비밀번호부; 및
상기 비밀번호부와 결합되되, 손가락의 위치 유무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기 설정된 비밀번호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부에 기 설정된 비밀번호의 번호를 순차적으로 손가락을 비접촉식으로 인접하면 상기 센서부는 손가락의 위치를 센싱하여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센싱하였을 경우 문을 개방할 수 있고,
상기 비밀번호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점등되고,
상기 잠금유닛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코팅층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대전 방지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그라파이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스마트 도어락:
[화학식 1]
Figure 112022117331228-pat00013

여기서,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p는 3 내지 10의 정수이며,
R1 내지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치환된 알킬렌기, 치환된 아릴렌기, 치환된 알킬기 및 치환된 아릴기는 수소, 중수소,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개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24의 알키닐기, 탄소수 7 내지 30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헤테로아릴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르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 내지 24의 헤테로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실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실릴기 및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door lock;
An external device unit interlocked with the door lock;
Doedoe formed in the door lock, the lock unit for identify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password of the pre-registered us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unit and the door lock;
The lock unit can be opened by pre-registered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and a pre-set password,
The lock unit may be remotely opened by biometric information of a pre-registered user sensed by the external device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unit,
The lock unit is a touch screen type,
A first locking unit for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Including; a second locking unit for sensing a preset password;
The first locking unit may open the door by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first locking unit may remotely open a door in response to biometric information of a pre-registered user sensed by the external device unit,
The second locking part,
numbered password unit; and
Doedoe combined with the password unit,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nger position; includes,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number of the preset password in the password unit sequentially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t password, the sensor unit senses the position of the finger to open the door when the preset password is sensed,
The password unit senses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and is turned on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ocking unit,
The coating layer is formed using a coating composition and exhibits an antistatic effect,
The coating composition is a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1; conductive filler; graphite; and an organic solvent
Contactless Smart Door Lock:
[Formula 1]
Figure 112022117331228-pat00013

Here, m is an integer from 1 to 100,
p is an integer from 3 to 10;
R1 to R3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heavy hydrogen, a hydrox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and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The substituted alkylene group, the substituted arylene group, the substituted alkyl group and the substituted aryl group are hydrogen, deuterium, cyano group, nitro group, halogen group, hydroxyl group,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cyclo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lkenyl group having 2 to 30 carbon atoms, alkynyl group having 2 to 24 carbon atoms, aralkyl group having 7 to 30 carbon atoms, ar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heteroaryl group having 5 to 60 nuclear atoms, heteroarylalk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 C1 to C30 alkoxy group, C1 to C30 alkylamino group, C6 to C30 arylamino group, C6 to C30 aralkylamino group, C2 to C24 heteroarylamino group, C1 to C30 alkylsilyl group, an arylsil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and an aryloxy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and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ubstituents, which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55648A 2020-11-19 2020-11-19 Contactless smart door lock KR1024858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48A KR102485846B1 (en) 2020-11-19 2020-11-19 Contactless smart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48A KR102485846B1 (en) 2020-11-19 2020-11-19 Contactless smart door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651A KR20220068651A (en) 2022-05-26
KR102485846B1 true KR102485846B1 (en) 2023-01-05

Family

ID=8180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648A KR102485846B1 (en) 2020-11-19 2020-11-19 Contactless smart 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84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27Y1 (en) * 2013-08-08 2015-02-10 주식회사 천조 Non-toutch type selection switch
KR101665250B1 (en) * 2015-05-07 2016-10-1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n-contact type door-loc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316B1 (en) 2010-10-22 2012-05-09 김영수 Fingerprint door lock
KR20180062692A (en) * 2016-12-01 2018-06-11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Method, user terminal, door lock device and entry security system for controlling of opening and closing door
KR102066185B1 (en) * 2018-02-23 2020-01-14 주식회사 온페이스 The face recognition doorlock device with improved accuracy and quickn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27Y1 (en) * 2013-08-08 2015-02-10 주식회사 천조 Non-toutch type selection switch
KR101665250B1 (en) * 2015-05-07 2016-10-1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n-contact type door-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651A (en)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846B1 (en) Contactless smart door lock
CN106296920A (en)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CN106023363A (en)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CN204695313U (en) Bas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hat iris recognition unlocks
CN110782567B (en) Unlocking method and setting method of intelligent lock
CN105115102A (en) Entrance guard and air conditioner linkag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493594A (en) A kind of internet of things equipment access AP method and AP
CN102240172A (en) Coffee maker with fingerprint identify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ffee making
CN205493115U (en) Manpower is archives management cabinet for resource management
CN105788035A (en) With the passive intelligence lock that has NFC function card reader mode mobile communication
US11539922B2 (en) Point-to-point visual communications in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CN106373237A (en) Remote control door lock system based on Wechat
CN205692230U (en) A kind of integration access controller
KR101666319B1 (en) Control system
CN107045625A (en) Optical finger print identification sensor
CN109377625A (en) A kind of intelligence authorization door lock circuit based on NB-IOT technology
CN205809949U (en) Quick Response Code is swiped the card door opener
CN205644642U (en) Payment password input device based on RFID technique
CN206249318U (en) A kind of encryption identity card Intelligent Recognition management system
CN106408707A (en) Visitor entering/leaving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CN207440783U (en) Hardware iris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FPGA
CN205367354U (en) Elevator intelligent control management system
CN107063252A (en) A kind of indoor positioning navigation system based on palm print and palm vein authentication
CN210983466U (en) Smart card and smart card system
CN103295283B (en) A kind of light-operated lock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