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628B1 - Charging cart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Google Patents

Charging cart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628B1
KR102485628B1 KR1020220008219A KR20220008219A KR102485628B1 KR 102485628 B1 KR102485628 B1 KR 102485628B1 KR 1020220008219 A KR1020220008219 A KR 1020220008219A KR 20220008219 A KR20220008219 A KR 20220008219A KR 102485628 B1 KR102485628 B1 KR 102485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charging
inform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5176A (en
Inventor
이훈
신동혁
김기재
Original Assignee
(주)에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바 filed Critical (주)에바
Priority to PCT/KR2022/0079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60360A1/en
Priority to JP2023576003A priority patent/JP2024527478A/en
Priority to EP22820488.9A priority patent/EP4353521A1/en
Publication of KR20220165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176A/en
Priority to KR1020230000506A priority patent/KR202300089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628B1/en
Priority to US18/531,213 priority patent/US2024010117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20Energy converters
    • B60Y2400/209Piezoelectr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충전 카트가 개시된다. 상기 전기차 충전용 충전 카트는, 바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에 관련한 외력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바디의 이동을 허용하는 주행부, 상기 바디의 이동 가능 여부에 관련한 주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상기 주행부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외력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 및 상기 주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charging cart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disclosed. The charging cart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a body, a handle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nd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to obtain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force related to th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 sensor unit that allows movement of the body, a sensing unit that obtains driving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body can move, a drive unit that applies a driving force to the driving unit, and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force and the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ased on driving stat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용 충전 카트{CHARGING CART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Charging cart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CHARGING CART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이동식 충전 카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harging cart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최근 들어, 화석 연료의 고갈, 환경 오염 등 각종 문제들로 인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운송 수단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운송 수단으로 상용화가 이루어진 운송 수단으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가 대표적이다. Recently,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ransportation means to replace them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 electric vehicle (Electric Vehicle) is a typical transportation means that has been commercialized as such a transportation means.

한편, 전기자동차가 등장할 때마다 함께 언급되는 것이 전기차의 충전에 대한 것이다. 아파트, 빌딩과 같은 건물 주차장의 모든 주차공간에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너무 많은 비용이 들게 되며, 전기자동차가 아닌 일반 자동차도 존재하는 점에서 비효율적이다.On the other hand, whenever an electric vehicle appears, what is mentioned together is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nstall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s in all parking spaces of building parking lots such as apartments and buildings is realistically expensive and inefficient in that non-electric vehicles exist.

그렇다면, 일부 주차공간에만 전기차 충전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주차공간이 남게되는 효율성의 문제점과 주차장에 전기차가 많이 진입할 경우 충전 장치가 모자랄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f so, install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only in some parking spaces can be an alternative. In this case, the efficiency problem of leaving a parking space and the problem that charging devices may be insufficient when a lot of electric cars enter the parking lot occur. do.

위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충전 카트를 공유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충전 카트는, 충전 모듈 및 이를 위한 전자 소자들의 조합을 통해 구성됨에 따라 다소 높은 중량(예컨대, 약 700kg)을 통해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힘을 인가하여 충전 카트를 이동시키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예컨대, 내리막길이나 오르막길 등에서 사용자의 조작 의도에 관계없이 충전 카트가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Due to the above problems, an alternative has emerged to perform charging by sharing a charging cart. Generally, a charging cart has a rather high weight (eg, about 700 kg) as it is configured through a combination of a charg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s therefor. As provided through,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move the charging cart by applying force. For example, the charging cart may be moved regardless of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on a downhill or uphill road, and thus safety problems may occur.

따라서, 당 업계에는,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다양한 센서를 통해 파악하여 충전 카트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전기차 충전을 위해 충전 카트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용 충전 카트에 대한 수요가 존재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art, when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is grasped through various sensors and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is controlled to move the charging cart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to provide convenience of movement. There may be a demand for carts.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공보 20-2021-0000504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20-2021-00005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다양한 센서를 통해 파악하여 충전 카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충전 카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charging cart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by grasping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through various senso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충전 카트가 개시된다. 상기 충전 카트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며 외력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 상기 바디의 주행상태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외력센싱정보 및 상기 주행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바디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charging cart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disclosed. The charging cart includes a body, a sensor connected to the body and collecting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a handle connected to the sensor, a sensing unit acquir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body, and a driving connected to the body. 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driving force to the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body moves based on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력센싱정보 보다 상기 주행상태정보를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unit is controlled by preferentially reflecting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rather than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손잡이부 양단 각각에 연결되는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력센싱정보는, 상기 제1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제1센싱 정보와 상기 제2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제2센싱 정보의 크기 차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회전산정정보 및 상기 각 센싱 정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속도산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sensor unit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and a second sensor unit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unit, and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includes first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It may include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ize difference of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cond sensor unit and speed calculatio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ize of each sensing information.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산정정보 및 속도산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or the traveling unit based on the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and the speed calculation information.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부는, 상기 바디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관련한 주행을 허용하는 제1주행부 및 제2주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산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주행부 및 상기 제2주행부 각각에 인가되는 동력 상이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driving unit and a second driving unit allowing driving with respect to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first driving unit based on the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The driving unit may be controlled so that power applied to each of the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is different.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어 물리적인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 모듈 및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방출시킨 후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piezoelectric sensor module provided on the handle portion to sense physical pressure, and a piezoelectric sensor module provided on the handle portion or the outside of the handle portion to emit electromagnetic waves toward the user and detect reflected electromagnetic waves. It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module that does.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에 관련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camera module that obtains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and generates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based on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카트는, 상기 바디의 이동에 관련한 주행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주행영상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영상 정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위험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harging cart further includes a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driving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body,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danger detection information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driving image information. can do.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 감지 정보를 상기 주행 상태 정보 보다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unit or the driving unit by reflecting the danger detection information with priority over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어 물리적인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 모듈; 또는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방출시킨 후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외력센싱정보가 지속적으로 감지되더라도 상기 압전 센서 모듈 또는 상기 근접 센서 모듈로부터 감지되는 신호가 사라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주행부의 작동을 중단시키거나 파워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piezoelectric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handle to sense a physical pressure; or a proximity sensor module provided on the handle or an outer side of the handle to emit electromagnetic waves toward a user and detect reflected electromagnetic waves, even if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is continuously sensed from the sensor, the piezoelectric sensor module. Alternatively, when the signal sensed by the proximity sensor module disappears, the control unit may stop an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or the driving unit or lower power.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파악하여 충전 카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충전 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rging cart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by grasping a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through various sensor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충전 카트를 활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충전 카트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충전 카트의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충전 카트를 상면에서 바라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충전 카트를 상면에서 투시한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Various aspects are now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o collectively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planation purposes,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a charging car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block diagram of a charging car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illustratively illustrated illustration of a charging car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xemplary view viewed from the top of a charging car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a charging car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ensing uni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ensing unit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ensing unit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facilitate a genera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exemplary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principle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sed, and the described descriptions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Specifically, “embodiment,” “example,” “aspect,” “exemplary,” etc., as used herein, is not to be construed as indicating that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is superior to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Maybe not.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or components, these elements or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or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or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or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 “or” is intended to mean an inclusive “or” rather than an exclusive “or”. Tha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clear from the context, “X employs A or B” is intended to mean one of the natural inclusive substitutions. That is, X uses A; X uses B; Or, if X uses both A and B, "X uses either A or B" may apply to either of these cases. Also, 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should be understood to refer to and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related items.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Also,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where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that a singular form is indicated, the singular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generally be construed to mean "one or more".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o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means that the other element or layer is directly on, as well as intervening, the other layer or other component. Including all intervening cases.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on”, it indicates that no other component or layer is intervening.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 or i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figures.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For example, if you flip a component that is shown in a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can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Elem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충전 카트를 활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a charging car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카트를 활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관리 서버(200) 및 충전 카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충전 카트를 활용한 차량 충전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a charging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 a management server 200, and a charging cart 100. Here, the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the charging cart shown in FIG. 1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ts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as necessary.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 관리 서버(200) 및 충전 카트(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0,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the charging cart 100 may transmit and receive mutual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The networks presented here include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x Digital Subscriber Line (xDSL), Rate Adaptive DSL (RADSL), Multi Rate DSL (MDSL), Very High Speed DSL (VDSL), and Universal Digital Subscriber Line (UADSL). Asymmetric DSL), HDSL (High Bit Rate DSL), and various wired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may be used.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presented here i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 (Single Carrier-FDMA) and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may be used, such as different systems.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A networ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regardless of its communication mode, such as wired and wireless, and may be composed of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can In addition, the network may be a known World Wide Web (WWW), or may use a wireless transmission technology use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or Bluetooth.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used in the networks mentioned above as well as other network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엔티티와의 통신을 위한 매커니즘을 가지며,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임의의 형태의 엔티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에이전트(Agent),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 플러그-인(Plug-in)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되는 임의의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애플리케이션 소스 및/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10)은 자신의 전기차(11)에 대한 충전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임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충전 카트(100)의 사용을 허가 받기 위한 정보들 또는 충전 카트(100) 활용에 따른 요금 산정에 관한 정보들을 관리 서버(2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활용하여 관리 서버(200)와 정보를 교환하고, 이에 따라, 충전 카트(100)를 활용하여 자신의 전기차(11)를 충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0 has a mechanism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entities through a network, and may refer to any type of entity in a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ervic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 book (note book), a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 smart phone (smart phone), a tablet pc (tablet pc), and the like, It may include all types of terminals capable of accessing wired/wireless networks.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an arbitrary server implemented by at least one of an agent,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and a plug-in.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an application source and/or a client application.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any terminal related to a user requesting a charging service for his or her electric vehicle 11 . For example, the user may transmit/receive information for obtaining permission for use of the charging cart 100 or information regarding charge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harging cart 100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there is. That is, the user can use the user terminal 10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accordingly, use the charging cart 100 to charge his or her electric vehicle 1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근거리 통신망에서 집약적인 처리 기능을 서비스하는 서브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본 발명에 개시된 내용과 관련된 임의의 기능들에 대한 제어 및 데이터 관리 등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제어하거나, 메인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데이터·프로그램·파일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이나 모뎀·팩스·프린터 공유, 기타 장비 등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특수한 형태로 자신의 하드디스크에 담겨진 정보들을 외부에 공개해주는 컴퓨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러 정보들을 관리 서버(200)에서 관리하고, 일반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단말들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고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200)는 정보를 제어, 저장 또는 송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 또는 충전 카트(100)와 공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fer to a subsystem that provides intensive processing functions in a local area network. The management server 200 monitors and controls the entire network, such as control of arbitrary functions related to the conten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data management, or connects to other networks through a mainframe or public network, such as data, programs, and files. It can play a role of helping to share hardware resources such as software resources, modem/fax/printer sharing, and other equipment.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fer to a computer that discloses information contained in its hard disk to the outside in a special form. In general,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are managed by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general users can access the management server 200 using their terminals and us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200. In one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control, store, or transmit/receive information to share with the user terminal 10 or the charging cart 100 .

구체적인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충전 카트(100) 사용 허가 요청에 관련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사용 허가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충전 카트(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 충전 요금 산정에 관련한 정보, 또는 충전량 설정에 관한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다. 다만, 관리 서버가 수신 및 전송하는 정보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기차(11)의 충전 서비스를 위한 보다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For a specific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a request for permission to use the charging cart 100 from the user terminal 10 .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cart 100 to the user terminal 10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permission to use, information about charging charge calculation, or information about charging amount setting. However, the information received and transmitted by the management server is not limited thereto, and more diverse information for charging service of the electric vehicle 11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임의의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등에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판독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OM(판독 전용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CD(컴팩트 디스크)-ROM,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통신 매체는,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exchange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store arbitrary information/data in a database or computer readable medium.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and computer readable communication media. Such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may include all types of storage media in which programs and data are stored so that they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is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CD (compact disk)-ROM, DVD (digital video disk)-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Also, computer-readable communication media may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dditionally, such media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ed system to store computer readable codes and/or instructions in a distributed man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100)는 전기차(1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전기차(11)는 배터리 엔진에 의해 구동력을 생성하여 이동하는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내연기관 엔진이 없이, 충전된 배터리 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만을 동력원으로 전기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주행 가능한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전기차(11)는 주행 시,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등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기차는 배터리 엔진과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력을 생성하여 이동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카트(100)는 전기차(11)의 충전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해당 충전 커넥터를 통해 전기차(1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rt 100 may include a charging modul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1. The electric vehicle 11 may refer to a vehicle that moves by generating driving force by a battery engine. It may refer to a vehicle capable of driving by driving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only with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a charged battery cell without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electric vehicle 11 may be environmentally friendly as it does not use fossil fuels and does not emit carbon dioxide or nitrogen oxides during driving. In an embodiment, an electric vehicle may include a hybrid vehicle that moves by generating driving force by a battery engine an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charging cart 100 has a charging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11, and can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1 through the charging connector.

충전 카트(100)는 주차 공간 내 복수의 사용자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충전 카트(100)는 바디(110)의 이동을 허용하는 주행부(140)를 포함하여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들은 자신의 전기차(11)를 주차하고, 자신의 전기차(11)가 주차된 위치로 충전 카트(100)를 이동시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기차(11)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The charging cart 10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in a parking space may share and use the charging cart 100 . In the embodiment, as the charging cart 100 is provided including a driving unit 140 allowing movement of the body 110, it may be movable in a parking space where a plurality of vehicles are parked. For example, users can charge their electric car 11 by parking their electric car 11 and moving the charging cart 100 to the location where their electric car 11 is parked to supply power.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100)는 이동을 위한 힘 즉, 사용자의 노동력을 경감시키기 위해 전동에 의해 보조되어 이동될 수 있는 전동 카트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차(11)의 충전을 위한 카트는, 충전 모듈(예컨대, 에너지 저장 장치)와 이를 위한 전자 소자들의 조합을 통해 구성됨에 따라 다소 높은 중량(예컨대, 약 700kg)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로 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이 요구될 수 있다. 특히, 충전 카트의 이동 경로 상에 오르막길, 내리막길, 또는 과속 방지턱 등이 있는 경우, 충전 카트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많은 힘이 요구될 수 있다. 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데 많은 힘이 요구됨에 따라 이동 제어가 어려운 경우, 이는 큰 안정상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harging cart 100 may be an electric cart that can be moved while assisted by electric power in order to reduce the force for movement, that is, the user's labor force. In general, a cart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1 may be equipped with a rather high weight (eg, about 700 kg) as it is configured through a combination of a charging module (eg,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electronic elements therefor. . In this case, a lot of labor may be required for the user to move the cart to the location where the user's vehicle is parked.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n uphill road, a downhill road, or a speed bump on the moving path of the charging cart, a lot of user's force may be requir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If the movement control is difficult as much force is requir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art, this may cause a great stability problem.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는 비교적 높은 중량을 통해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주행을 제어하지 않는 경우, 안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충전 카트를 이끌고 내리막길을 이동하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손이 손잡이부를 이탈하는 경우, 충전 카트는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정지에 관련한 센싱 정보를 생성하여야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charging cart is provided with a relatively high weight, a safety hazard may occur if the driving is not controlled by immediately recognizing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For example, in a situation where a user leads a charging cart and moves downhill, if the user's hand leaves the handle, the charging cart must immediately sense this and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stopping to prevent an accident.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카트(100)는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다양한 센서를 통해 파악하여 충전 카트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자신의 전기차(11)의 충전을 위해 충전 카트(100)를 이동시키고 하는 경우, 해당 충전 카트(100)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충전 카트(100)의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충전 카트(100)에 동력을 부여하여 적은 힘을 통해 충전 카트(100)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충전 카트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파악하는 방법 및 이를 통해 충전 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The charging ca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ssist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by recognizing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through various sensors. For example, when a user moves the charging cart 100 to charge his or her electric vehicle 11, the user's manipulation for moving the charging cart 100 through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charging cart 10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100 through a small amount of force by identifying the intention and applying power to the charging cart 100 in response thereto. A detailed description of a method of determining a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using a charging cart and a method of controlling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through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hereinaf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충전 카트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충전 카트의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충전 카트를 상면에서 바라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충전 카트를 상면에서 투시한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2 show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ging car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illustratively illustrated illustration of a charging car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xemplary view viewed from the top of a charging car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a charging car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ensing uni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ensing unit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ensing unit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충전 카트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카트(100)는 바디(110), 충전부(120), 손잡이부(130), 주행부(140), 구동부(150), 센서부(160), 감지부(170), 주행영상획득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컴포넌트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이 존재하거나 또는 도 2에서 도시되는 컴포넌트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2 show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ging car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charging cart 100 includes a body 110, a charging unit 120, a handle unit 130, a driving unit 140, a driving unit 150, a sensor unit 160, a sensing unit ( 170), a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180, and a control unit 190.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exemplary, and additional components may exist or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100)는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0)는 충전 카트(100)의 본체를 형성하는 구성 요소로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충전 장치 및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11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 이외에 전동 차량의 충전을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rt 100 may include a body 110. The body 110 is a component forming the main body of the charging cart 100, and may form an internal space that may include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 charging device, and a motor.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body 110, various components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100)는 전기차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충전부(120)는 바디(110)의 일부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충전부(120)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는 전기차(11)의 충전구에 도킹되는 도킹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에너지 저장 장치는 충전소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전기차에 제공하는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2차 전지(연료 전지)일 수 있다.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기에너지는 충전 장치를 통해 전기차(11)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충전 카트를 이용하여 전기차(11)를 충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rt 100 may include a charging unit 120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 the embodiment, the charging unit 120 may be provided connected to a part of the body 110 . The charging unit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nd the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nd as shown in FIG. 3 , one end may include a docking connector dock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11.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may refer to a member that receives electrical energy from a charging station and provides it to an electric vehicle. For example,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may be a secondary battery (fuel cell). Electric energy from the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1 through a charging device, and thus, a user may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1 using a charging c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100)는 손잡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30)는 사용자가 바디(110)의 이동을 위해 파지하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130)는 바디(110)의 내측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30)와 연결된 바디(110)의 내측 일부 영역에는 센서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모듈(즉, 센서부)은 사용자의 신체와 손잡이부(130)가 맞닿는 경우 발생하는 외력을 감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3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외력을 인가하여 충전 카트(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손잡이부(13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손잡이부(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인가되는 힘의 세기와 방향을 조작함으로써, 충전 카트(100)의 이동 속도와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rt 100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130. The handle part 130 refers to an area that the user grips to move the body 110, and as shown in FIG. 3, it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body 110. For example, the handle part 130 may be connected to an inner part of the body 110 . In an embodiment, a sensor module may be provided in a partial inner region of the body 110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130 . In this case, the sensor module (ie, the sensor unit) may be used to detect an external force generated when the user's body and the handle unit 130 come into contact. The user may move the charging cart 10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while holding the handle 130 by hand. For example, the handle part 130 may be provided through a handle shape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and the user manipulates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applied force while holding the handle part 130 to charge the cart ( 100) can control the movement speed and movement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100)는 바디(110)의 이동을 허용하는 주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부(140)는 하나 이상의 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바디(110)의 하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주행부(140)는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충전 카트(100)의 이동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부(140)는 구동부(15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을 통해 회전할 수 있다. 주행부(140)는 구동부(150)의 회전수(RPM)와 회전력(토크) 등에 따라 구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rt 100 may include a driving part 140 allowing movement of the body 110 . The traveling unit 140 is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wheels and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10 . The driving unit 140 may provide convenience for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100 through rotation in one direction or ano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40 may rotate through a driving force applied from the driving unit 150 . The traveling unit 140 may be driven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volutions (RPM) and rotational force (torque) of the driving unit 150 .

일 실시예에서, 주행부(140)는 4개의 휠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4개의 휠 중 2개는 전륜으로서 회전축이 고정된 상태로 구동부(150)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4개의 휠 중 나머지 2개는 후륜으로서 커넥터에 의해 이동 방향에 따라 회전축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전륜은 자유도가 없는 상태로 구동부(150)에 의해 구동되어 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후륜은 자유도가 있는 상태로 전륜의 구동에 종동되며 커넥터에 의해 자세가 가변되어 회전축이 이동 방향과 수직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휠의 구조와 기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계적 설계 요청에 따라 보다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40 may include four wheels. In one embodiment, two of the four wheels may be driven by the driving unit 150 with the rotational axis fixed as front wheels, and the other two of the four wheels are rear wheels, and the rotational axis is rotat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by the connector. can be changed. That is, the front wheels are driven by the drive unit 150 without a degree of freedom to move the cart, and the rear wheels follow the driving of the front wheels with a degree of freedom, and the posture is changed by the connector so that the rotation axis is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can be changed to Howev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wheel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more diverse structures and functions according to mechanical design request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부(140)는 제1주행부(141) 및 제2주행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부(140)는 바디(11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관련한 주행을 허용하는 제1주행부(141) 및 제2주행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주행부(141) 및 제2주행부(142) 각각에 상이한 구동력 또는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충전 카트(100)의 이동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주행부(141) 보다 제2주행부(142)에 많은 구동력이 인가되어 제2주행부(142)가 제1주행부(141) 보다 많이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좌측 보다 우측에 이동 거리가 더 많아져 충전 카트(100)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각 주행부에 인가되는 구동력 및 회전 수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4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141 and a second driving unit 142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driving unit 140 includes a first driving unit 141 and a second driving unit 142 that allow driving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10, respectively. can include In an embodimen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harging cart 100 may be controlled as different driving or rotational forces are transmitted to each of the first driving unit 14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42 . For example, more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142 than the first driving unit 141 so that the second driving unit 142 can be rotated more than the first driving unit 141, and accordingly , The moving distance is greater on the right side than on the left side, so that the charging cart 100 can be moved to be rotated in the left direction. The driving force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applied to each driving unit described above are on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100)는 주행부(140)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전동기(즉, 모터)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구동부(150)는 휠에 구동력을 인가하여 휠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50)의 회전 수와 회전력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동부(150)에는 다양한 종류의 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모터는 인휠모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rt 100 may include a driving unit 150 that applies a driving force to the driving unit 140 . The drive unit 150 refers to a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by using a force applied to a current-carrying conductor in a magnetic field, and may be, for example, an electric motor (ie, a motor). In an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50 may rotate the wheel by applying a driving force to the wheel. In this case, the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unit 15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Various types of motors may be used for the driving unit 150. For example, the motor may be an in-wheel mo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동부(150)는 바디(110)의 내측 일 영역에 주행부(140)와 연결되어 구비됨에 따라, 주행부(140)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구동부(150)를 통해 생성된 동력에 의해 주행부(140)가 주행됨에 따라, 사용자가 바디(110)를 이동시키기 위해 인가하는 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디(1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많은 힘을 인가하지 않아도 구동부(150)가 발생시킨 구동력에 통해 바디(1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the driving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40 and provided in one inner region of the body 110 , rotatio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40 . In the embodiment, as the driving unit 140 is driven by the power generated through the driving unit 150,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to move the body 110 may be minimized. In other words, when moving the body 110,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body 110 through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150 without applying much force, so convenience can be improved. .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15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충전 카트(100)의 이동 속도 및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구동부(예컨대, 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여 충전 카트(100)의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제1주행부(141) 및 제2주행부(142) 각각에 상이한 구동력 또는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주행부(141) 및 제2주행부(142) 각각은 바디(11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주행에 관련한 것일 수 있다. 즉, 구동부(150)는 제어부(190)에 의해 좌측 및 우측 간의 이동 속도를 상이하게 조정하여 충전 카트(100)의 이동 방향(또는 주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50 may be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9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50 to determine the moving speed and direction of the charging cart 100 . For a specific example, the control unit 190 may determine the moving speed of the charging cart 100 by controlling rotational force of a driving unit (eg, a motor). For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90 may determine the direction of movement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50 to provide different driving force or rotational force to each of the first driving unit 14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42 . Here, each of the first driving unit 14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42 may be related to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10 . That is, the driving unit 150 may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r driving direction) of the charging cart 100 by differently adjusting the moving speed betwee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by the control unit 19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100)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에 관련한 외력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60)는 사용자가 충전 카트(10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해당 인가된 외력에 관련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160)가 획득하는 센싱 정보는 충전 카트(100)의 이동에 관련한 사용자의 조작 의도에 관련한 것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이러한 센서부(160)의 센싱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제어 의도를 판별하여 구동부(150)를 제어함으로써, 충전 카트(100)의 이동 상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rt 100 may include a sensor unit 160 that obtains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force related to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100, the sensor unit 160 may obtain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applied external force. In this case, the sens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or unit 160 may be related to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100 . The control unit 190 can provide convenience for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100 by determining the user's control intention through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160 an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5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60)는 막대형 로드셀로서 인가되는 외력의 방향과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60)는 다축 힘센서나 피에조 센서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손잡이 또는 바디에 인가되는 힘의 방향과 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은 모두 센서부(160)에 적용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d-shaped load cell and can measure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an applied external force. Meanwhile, a multi-axis force sensor or a piezo sensor may be applied to the sensor unit 160 . All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force applied to the handle or body may be applied to the sensor unit 160 .

즉, 센서부(160)는 충전 카트(100)에 관련한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외력에 관련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힘의 방향 및 세기를 감지하는 로드 셀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sensor unit 160 may obtain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external force in order to grasp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related to the charging cart 100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nsor unit 160 may be provided through a load cell that senses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force applied from the user.

실시예에서, 한쪽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나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strain gage가 미세하게 변화하게 되며, 이에 기초하여 힘의 방향 및 세기에 관련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센서부(160)는 로드 셀을 통해 힘의 방향과 세기를 센싱하여 사용자의 조작 의도에 관련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a pulling force or a pushing force is applied in one direction, the strain gage is slightly changed, and based on this,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the force may be obtained. That is, the sensor unit 160 may obtain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by sensing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the force through the load cell.

실시예에서, 센서부(160)는 손잡이부(130)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60)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손잡이부(130)에 구비되어, 해당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의 세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130)는 바디(1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부재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sensor unit 160 may be connected to the handle unit 130 and provided.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60 may be provided on the handle unit 13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nd may obtain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user. Here, the handle part 130 may be disposed on top of the body 110, and may be a member that the user's body contacts.

실시예에서, 센서부(160)를 구성하는 로드 셀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30)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손잡이부(130)의 양 끝단 각각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제1센서부(161) 및 제2센서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60)가 획득하는 센싱 정보는, 회전산정정보 및 속도산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 정보는, 제1센서부(161)를 통해 획득된 제1센싱 정보와 제2센서부(162)를 통해 획득한 제2센싱 정보 각각의 크기 차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회전산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센싱 정보가 제2센싱 정보 보다 큰 경우(즉, 제1센서부에 인가되는 압력이 제2센서부에 인가되는 압력 보다 큰 경우), 우회전에 관련한 회전산정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각 센싱 정보의 크기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센싱 정보는, 제1센서부(161) 및 제2센서부(162) 각각에서 획득되는 센싱 정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속도산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센싱 정보의 크기가 클수록 빠른 속도산정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며, 각 센싱 정보의 크기가 작을수록 비교적 느린 속도산정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센서부에 인가되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속도산정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 load cell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160 may be connected to and provided with the handle unit 130 as shown in FIG. 4 . The sensor unit 160 may include a first sensor unit 161 and a second sensor unit 162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unit 130 . The sens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or unit 160 may include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and speed calculation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es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a siz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161 and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cond sensor unit 162. can include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ie,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sensor unit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sensor unit),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related to right turn is generated. ca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ize of each sensing information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sensing information may include speed calculatio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ize of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each of the first sensor unit 161 and the second sensor unit 162 . For example, as the size of each sensing information increases, faster speed estim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as the size of each sensing information decreases, relatively slower speed estim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In other words, speed calcul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to each sensor unit.

즉, 센서부(16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인가되는 힘에 관련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센서부가 센싱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판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동부(150)를 제어함으로써, 충전 카트(100)의 이동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가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That is, the sensor unit 160 may obtain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a force applied while the user grips the handle unit 130 . The control unit 190 may control the moving speed and direction of the charging cart 100 by determining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50 based on thi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how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100)는 주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상태 정보는, 충전 카트(100)가 주행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감지부(170)는 현재 충전 카트(100)가 주행이 가능한지 아닌지 여부에 관련한 주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감지부(170)는 사용자의 신체(예컨대, 손)가 손잡이부(130)에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170)는 손잡이부(130)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rt 100 may include a sensing unit 170 that obtains driving state information. Here,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he charging cart 100 is in a driving state. That is, the sensor 170 may obtain driving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current charging cart 100 is capable of driving. In an embodiment, the sensing unit 170 may be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body (eg, hand) is in contact with the handle unit 130 .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70 may detect whether the user's hand is in contact with the handle unit 130 .

본 발명의 충전 카트(100)는, 전기차(11)의 충전을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비됨에 따라 높은 중량(예컨대, 약 700kg)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100)가 높은 중량을 통해 구비됨에 따라, 충전 카트의 주행 가능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감지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The charging c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high weight (eg, about 700 kg) as it is provided including various components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harging cart 100 is provided with a high weight, the sensing unit 170 may be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charging cart can run.

구체적인 예를 들어, 충전 카트(100)가 주행 조작을 위한 센서부(160)만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경우(즉, 감지부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충전 카트(100)를 이동을 중지시키기 위해 센서부(160)에 인가되는 압력을 해제(즉, 손잡이부를 파지한 손을 떼는 경우)하더라도, 약 700kg의 중하중이 센서부(160)를 구성하는 로드 셀에 걸리므로, 해당 로드 셀이 단시간에 완전히 돌아오지 않아(즉, strain gage가 돌아오지 않아), 즉각적으로 정지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harging cart 100 includes only the sensor unit 160 for driving operation (ie, the sensor unit is not provided), the user stops the charging cart 100 from moving. Even i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nsor unit 160 is released (that is, when the hand holding the handle is released), a heavy load of about 700 kg is applied to the load cell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160, so that the load cell does not work for a short time. (i.e. the strain gage does not return), so it may not stop immediately.

이러한 오류는 임계 기준이 되는 센싱 값의 보정 등 소프트웨어적인 보정 즉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상황마다 그 센싱 값의 크기나 지속시간 등에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산정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 카트(100)의 지속적인 사용 시 사용자의 의도와 상이한 잘못한 센싱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안정상의 위험을 야기시킬 수 있다. Such an error may be removed through software correction, ie, calibration, such as correction of a sensing value serving as a critical reference. However, since information such as the size or duration of the sensed value is different for each situation, it may be difficult to accurately calculate it. Accordingly, when the charging cart 100 is continuously used, erroneous sensing inform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user's intention is obtained, so that it is stable. may pose a hazard.

한편, 충전 카트(100)가 경사진 곳에 위치하는 경우 센서부(160)로부터 압력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충전 카트(100)는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경사면을 따라 중량에 의해 이동할 경우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상황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감지부와 같은 추가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charging cart 100 is located on an inclined surface, it may move along the inclined surface even if no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sensor unit 160 . Since the charging cart 100 is quite heavy, a serious accident may occur when it is unintentionally moved by weight along an inclined surface. In order to prevent such a dangerous situation in adva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such as a sensing uni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60) 이외에 별도의 모듈들 즉, 감지부(170)를 구비하여 현재 충전 카트(100)가 주행에 적정한지 여부를 판별하는데 기준이 되는 주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하드웨어적으로 추가적인 모듈(즉, 감지부)을 구비함으로써, 힘의 방향과 세기만을 판단하는 센서부(160) 보다 정확하게 충전 카트(100)의 주행 가능 상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급하게 충전 카트(100)의 손잡이부(130)를 놓는 경우, 감지부(17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가 충전 카트(100)에서 떨어짐을 감지함으로써, 카트를 긴급하게 정지시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평지에서도 이동 중이 충전 카트(100)의 이동을 멈출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경사부에서 더 큰 효과를 발휘한다. 감지부(170)에 관련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6 to 8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parate modules, that is, a sensing unit 170 in addition to the sensor unit 160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charging cart 100 is suitable for driving. It is possible to obtain driving state information that i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harging cart 100 can be driven more accurately than the sensor unit 160 that determines only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force by providing an additional module (ie, a sensing unit) in terms of hardware. For example, when the user hurriedly places the handle part 130 of the charging cart 100, the sensor 170 detects that the user's body falls from the charging cart 100, thereby urgently stopping the cart to improve stability. can be secur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op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100 while moving even on a flat surface, but exerts a greater effect on an inclined portio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nsing unit 17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170)는 손잡이부(130)에 구비되어 물리적인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 모듈(17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센서 모듈(171)은 손잡이부(130)의 좌우측 각각에 두 개의 압전 센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13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통해 구비되며, 해당 빈 원기둥 공간 사이로 각 근접 센서에 전원에 관련한 전원선 또는 제어부(190)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선 등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압전 센서 모듈(171)은, 사용자가 인가한 힘의 세기 및 방향을 감지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 유무 만을 판별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압전 센서 모듈(171)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가 손잡이와 접촉하였다는 정보는 주행부 및 구동부가 작동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활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170 may include a piezoelectric sensor module 171 provided on the handle unit 130 to sense physical press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piezoelectric sensor module 17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two piezoelectric sensors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130 . In this case, the handle part 130 is provided through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side, and a power line related to power or a connection line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ntrol unit 190 is connected to each proximity sensor between the corresponding empty cylindrical spaces. There may be. Here, the piezoelectric sensor module 171 may not detect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but may be a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contact with the user's body. Meanwhil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iezoelectric sensor module 171 that the user has contacted the handle may be used as a precondition for operating the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170)는 손잡이부(130)의 외측에 전자기장 또는 전자기파를 방출하며, 상기 전자기장 또는 전자기파에 관련한 감응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모듈(1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근접 센서 모듈(17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30)를 향해 전자기장 또는 전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도록 바디(110)의 상단 일 영역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근접 센서 모듈(172)은 전자기장 또는 전자기파를 손잡이부(130) 방향으로 방출하고, 이에 대한 감응을 통해 해당 위치(즉, 손잡이부)에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17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module 172 that emits an electromagnetic field or electromagnetic wave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portion 130 and detects a response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or electromagnetic wave. there i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 the proximity sensor module 172 may protrude from one region of the top of the body 110 to emit an electromagnetic field or electromagnetic wave toward the handle 130 . That is, the proximity sensor module 172 emits an electromagnetic field or electromagnetic wave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part 130, and obtains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user's body is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e, the handle part) through a response thereto. ca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170)는 사용자에 관련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17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17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관련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73)이 획득하는 영상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와 충전 카트(100)의 거리가 일정 이상 가까운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73)은 손잡이부(130)에 관련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손이 손잡이부(130)를 파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주행 가능 여부에 관련한 주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170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73 that obtains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and generates driving state information based on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 the camera module 173 may be provided in the direc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in order to obtain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For example,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amera module 173 may b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distance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charging cart 100 is clos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173 obtains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grip part 1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hand is gripping the handle part 130, and provides driving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driving is possible. can be obtained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감지부(170)는 카메라 모듈(173)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에 관련한 영상을 획득하고, 해당 영상에 기초한 안면 인식을 통해 주행 가능 상태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미리 설정된 특정 사용자들에 한해서 충전 카트(100)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In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sensing unit 170 may obtain an image related to the user's face through the camera module 173 and detect whether or not the driving state is possible through facial recognition based on the image. In this case, the use of the charging cart 100 may be permitted only to specific users set in advance.

감지부(170)는, 압전 센서 모듈, 근접 센서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셋 모두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감지부(170)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있거나 손잡이를 즉각적으로 잡을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적외선 수광 센서나 조도 센서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적외선 수광 센서나 조도 센서 또한 압전 센서 모듈, 근접 센서 모듈 및 카메라 모듈과 함께 적용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a piezoelectric sensor module, a proximity sensor module, and a camera module may be applied to the sensing unit 170, and all three may be applied simultaneously.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70 is a component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or can immediately grasp the handle, and may correspond to an infrared light receiving sensor or an illuminance sensor. Likewise, an infrared light receiving sensor or an illuminance sensor may also be applied together with a piezoelectric sensor module, a proximity sensor module, and a camera module.

즉, 본 발명의 충전 카트는,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명확히 인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의 세기 및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부(160)와는 별도로, 압력을 감지하거나, 전자파에 대한 감응을 감지하거나, 또는 영상을 분석하여 충전 카트(100)와 사용자의 신체 간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가 충전 카트(10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예컨대, 사용자가 손잡이를 놓는 경우), 감지부(170)를 통해 해당 상황을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충전 카트(100)를 긴급하게 정지시킬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charging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part from the sensor unit 160 that detects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detects pressure or sensitivity to electromagnetic waves in order to clearly recognize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Alternatively, a sensing unit 170 may be provided to detect contact between the charging cart 100 and the user's body by analyzing the image. Accordingly, when the user's body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cart 100 (for example, when the user releases the handle), the sensing unit 170 immediately detects the situation and urgently stops the charging cart 100. This can be done to improve stability.

정리하면, 중량이 비교적 큰 충전 카트(100)는 외력의 세기만을 감지하여 이동을 제어하는 경우, 센서부의 즉각적인 반응이 어려워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내리막길의 경우, 사용자가 해당 장치로 힘을 인가하지 않더라도, 높은 중량이 걸리고 있음에 따라 센서부(즉, 로드 셀)이 해당 상황(즉, 힘이 인가되지 않는 상황)을 즉각적으로 센싱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카트(100)는 지속적인 활용 과정에서 센서부(160)를 구성하는 로드 셀이 처음과 다르게 미세하게 휘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센싱 정보가 0이 아니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신체와 충전 카트(100) 간의 접촉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센서부(160)에 대한 주기적인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감지부(170)를 별도로 구비하여 주행 가능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충전 카트(100)의 이동을 높은 정확도를 통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센서부(160) 이외에 추가적으로 감지부(170)를 구비함으로써, 충전 카트(100)의 이동 시, 빠르고 정확한 긴급 제동을 가능하게 하여 향상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summary, when the charging cart 100 having a relatively large weight controls movement by sensing only the strength of an external force, an immediate reaction of the sensor unit is difficult, and stability may not be secur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ownhill road, even if the user does not apply force to the device, the sensor unit (i.e., the load cell) immediately senses the corresponding situation (i.e., the situation in which force is not applied) as a high weight is applied. may not be able to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use of the charging cart 100, the load cells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160 may be finely bent differently from the beginning, and through this, sensing information may become non-zero. In this case, periodic calibration of the sensor unit 160 may be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contact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charging cart 100 .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170 is separately provide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driving state, and thus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100 with high accuracy. That is, by providing the sensor unit 170 additionally in addition to the sensor unit 160, when the charging cart 100 is moved, fast and accurate emergency braking is enabled and improved stability can be secured.

즉, 센서부(160) 이외에 추가적으로 감지부(170)를 구비함으로써, 충전 카트(100)의 이동 시, 빠르고 정확한 긴급 제동을 가능하게 하여 향상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at is, by providing the sensor unit 170 additionally in addition to the sensor unit 160, when the charging cart 100 is moved, fast and accurate emergency braking is enabled and improved stability can be sec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100)는 바디(110)의 이동에 관련한 주행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주행영상획득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영상획득부(180)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주행영상획득부(1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카트(100)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충전 카트(100)의 주행 또는 이동에 관련한 주행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주행영상획득부(180)는 바디(110)의 다양한 영역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디(110)의 이동에 관련한 파노라마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파노라마 영상 정보는, 일반적인 시야각 이상의 화각을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동시에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들의 결합을 통해 보다 넓은 시야각을 확보(예컨대, 360도 방향의 시야)하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파노라마 비디오 이미지는 위에서 바라본 합성된 원형 뷰(circular view)에 관련한 비디오 이미지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rt 1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180 that acquires driving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body 1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180 may be provided through a camera modu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18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harging cart 100 to acquire driving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r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100 . In an additional embodiment, a plurality of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s 180 may be provided in various areas of the body 110, and thus, panoramic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body 110 may be acquired. Panoramic image information may be image information that simultaneously captures a view angle higher than a general viewing angle through a plurality of cameras, and secures a wider viewing angle (eg, a 360-degree field of view)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captured images. For example, the panoramic video image may be a video image related to a synthesized circular view viewed from above.

추가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100)는 장애물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애물 센서는 장애물을 센싱하여,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장애물 정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장애물에 대한 정보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장애물에 대한 3차원 정보(Threedimensional information)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the charging cart 100 may further include an obstacle sensor. The obstacle sensor may sense an obstacle,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obstacle, and generate an obstacle stop signal. Information about obstacles may exist in various ways, and for example, may b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bout obstacl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장애물에 대한 3차원 정보는 충전 카트(100)와 장애물 사이의 거리, 장애물의 형태나 크기 등에 관한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장애물 센서는 장애물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장애물 센서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장애물 센서로서 라이다, 초음파 센서, 3D 카메라 모듈, RGBD 카메라 모듈 및 키넥트 등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3D information about the obstacle may be depth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between the charging cart 100 and the obstacle, the shape or size of the obstacl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Furthermore, the obstacle sensor may generate 3D information on the obstacle in a time-sequential manner. Various types of sensors may be used as the obstacle sensor, and for example, LIDAR, an ultrasonic sensor, a 3D camera module, an RGBD camera module, and a Kinect may be used as the obstacle senso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카트(100)는 구동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90)는 통상적으로 충전 카트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구동함으로써, 연계된 단말들(예컨대,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 등)에게 적정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rt 1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90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1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90 may generally handle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harging cart. The control unit 190 processes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or drives application programs stored in memory, so that information appropriate to associated terminals (eg, user terminal or manager terminal, etc.) Alternatively, it may provide or process a function.

예컨대, 제어부(190)는 손잡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행 정보 및 정지 신호 등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장애물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장애물 정지 신호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범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격 정지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9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ip unit 130 to receive driving information and a stop signal. Also, the control unit 19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bstacle sensor to receive an obstacle stop signal. In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controller 19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mper to receive an impact stop signal.

제어부(190)는, 이동 또는 정지에 관련한 주행 정보, 장애물 정지 신호 및 충격 정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구동부(150) 또는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충전 카트(1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90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100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50 or the brake based on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movement or stop, an obstacle stop signal, and an impact stop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90)는 센서부(160)를 통해 획득한 센싱 정보 및 감지부(170)를 통해 획득한 주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9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50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nsor unit 160 and driving stat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detector 170 .

센서부(160)가 획득하는 센싱 정보는, 회전산정정보 및 속도산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 정보는, 제1센서부(161)를 통해 획득된 제1센싱 정보와 제2센서부(162)를 통해 획득한 제2센싱 정보 각각의 크기 차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회전산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센싱 정보가 제2센싱 정보 보다 큰 경우(즉, 제1센서부에 인가되는 압력이 제2센서부에 인가되는 압력 보다 큰 경우), 우회전에 관련한 회전산정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각 센싱 정보의 크기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센싱 정보는, 제1센서부(161) 및 제2센서부(162) 각각에서 획득되는 센싱 정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속도산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센싱 정보의 크기가 클수록 빠른 속도산정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며, 각 센싱 정보의 크기가 작을수록 비교적 느린 속도산정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센서부에 인가되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속도산정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The sens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or unit 160 may include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and speed calculation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es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a siz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161 and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cond sensor unit 162. can include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ie,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sensor unit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sensor unit),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related to right turn is generated. ca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ize of each sensing information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sensing information may include speed calculatio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ize of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each of the first sensor unit 161 and the second sensor unit 162 . For example, as the size of each sensing information increases, faster speed estim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as the size of each sensing information decreases, relatively slower speed estim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In other words, speed calcul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to each sensor unit.

일 예로, 사용자가 손잡이부(130)에 양손으로 균등하게 전방으로 힘을 인가한다는 센싱 정보(즉, 속도산정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특정 속도를 통해 주행부(140)가 주행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주행부(141) 및 제2주행부(142)는 동일한 회전수와 회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에 따라 회전수와 회전력이 결정(이동 속도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sensing information (ie, speed calculation information) that the user equally applies force forward to the handle part 130 with both hands,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that the driving unit 140 moves through a specific speed. The driving unit 150 may be controlled to drive. In the embodiment, the first driving unit 14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42 can be driven with the same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al force, and the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al force are determined (moving spee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can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회전산정정보에 기초하여 제1주행부(141) 및 제2주행부(142) 각각에 인가되는 동력이 상이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손잡이부(130)에 양손 방향 중 왼쪽이 편향되도록 전방으로 힘을 인가하는 경우, 센서부(160)를 통해 우회전에 관련한 회전산정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특정 속도로 우회전으로 주행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주행부(141)의 회전수와 회전력은 제2주행부(142)의 회전수와 회전력보다 높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에 따라 회전수와 회전력이 결정(이동 속도 결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각 센서부(즉,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로부터 획득되는 각 센싱 정보의 크기 차에 대응하는 회전산정정보를 통해 각 주행부(140)의 회전수와 회전력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나아가,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30)에서 양손을 놓았다는 센싱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충전 카트(100)가 정지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9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so that power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driving unit 14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42 is different based on the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handle unit 130 in a forward direction such that the left side of both hands is deflected,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right turn may be obtained through the sensor unit 160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9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50 to drive in a right turn at a specific speed. Here, the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iving unit 141 may be higher than the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driving unit 142, and the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al forc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moving speed determination). It can be. That is,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each driving unit 140 through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in size of each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each sensor unit (ie,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The torque can be determined differently. In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controller 19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50 to stop the charging cart 100 when sens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placed both hands on the handle unit 130 is ob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90)는 센싱 정보 보다 주행 상태 정보를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구동부(15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 카트(100)는,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명확히 인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의 세기 및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부(160)와는 별도로, 압력을 감지하거나, 전자파에 대한 감응을 감지하거나, 또는 영상을 분석하여 충전 카트(100)와 사용자의 신체 간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가 충전 카트(10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예컨대, 사용자가 손잡이를 놓는 경우), 감지부(170)를 통해 해당 상황을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충전 카트(100)를 긴급하게 정지시킬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9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driving unit 150 by preferentially reflect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rather than sensing information. In order to clearly recognize the user's manipulation intention, the charging c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pressure or responds to electromagnetic waves, apart from the sensor unit 160 that senses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A sensing unit 170 may be provided to detect contact between the charging cart 100 and the user's body by detecting or analyzing an image. Accordingly, when the user's body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cart 100 (for example, when the user releases the handle), the sensing unit 170 immediately detects the situation and urgently stops the charging cart 100. This can be done to improve stability.

예를 들어, 충전 카트(100)의 속도가 소정 크기 이상인 상태에서 센서부(160) 및/또는 감지부(170)를 통해 인가되는 센싱 정보가 0이 되거나 손잡이부(130)에서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구동부(150) 및 주행부(140)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활용하여 충전 카트(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손잡이부(130)에서 손을 떼거나 센서부(160)로부터 인가되는 힘이 0이 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일괄적으로 구동부(150)와 주행부(140)를 중단시킬 경우 오히려 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173)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충전 카트(100)와 근접하게 있는 것이 확인될 경우 경고 알람만 발생시키도록 제어되거나 소정시간 이후에 경고 알람 또는 충전 카트(100) 비상 정지 조치 등을 취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speed of the charging cart 1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sensing information applied through the sensor unit 160 and/or the sensor unit 170 becomes 0 or the user's hand is moved from the handle unit 130. When not detected, the control unit may stop the charging cart 100 by utilizing the brake system of the driving unit 150 and the traveling unit 140 . However, the user may temporarily release his hand from the handle part 130 or the force applied from the sensor part 160 may become zero. In this case, when the driving unit 150 and the driving unit 140 are collectively stopped, a more dangerous situation may occur. In this cas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charging cart 100 by utilizing the camera module 173 or the like, it is controlled to generate only a warning alarm or a warning alarm or an emergency stop of the charging cart 100 after a predetermined time. back can be taken.

즉, 본 발명은 감지부(170)를 별도로 구비하여 주행 가능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주행 상태 정보를, 센서부(160)가 획득한 센싱 정보 보다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구동부(150)를 제어함으로써, 충전 카트(100)의 이동을 높은 정확도를 통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센서부(160)에서 획득된 센싱 정보 보다 감지부(170)를 통해 획득한 주행 상태 정보를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충전 카트(100)의 이동을 제어함에 따라, 충전 카트(100)의 이동 시, 빠르고 정확한 긴급 제동을 가능하게 하여 향상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170 is separately provided to obtain information on a driving state, and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is preferentially reflected over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or unit 160 to operate the driving unit 150.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100 can be controlled with high accuracy. That is, as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100 is controlled by preferentially reflecting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unit 170 rather than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or unit 160, when the charging cart 100 moves , it is possible to secure improved stability by enabling quick and accurate emergency brak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90)는, 주행 영상 정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위험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주행 영상 정보에 기반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차량의 주행, 보행자 출현 등 돌발 상황을 영상 분석을 통해 감지하는 모델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위험 감지 정보 생성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기간 동안 구동부(150)를 제어함으로써, 충전 카트(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위험 감지 정보 생성에 대응하여, 제어부(190)는 손잡이부(130)에 진동을 인가하거나, 또는 음향출력부(미도시)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위험 감지에 관련한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주행 상황에 관련한 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90 may generate danger detection information through image analysis of driving imag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190 may perform image analysis based on driving image information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a model that detects unexpected situations such as driving of a vehicle or appearance of a pedestrian through image analysis.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90 may limit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100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50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in response to generation of danger sensing information.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of danger detection information, the controller 190 applies vibration to the handle 130 or provides a notification related to danger detection through an audio output unit (not shown) or a display. Cognit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situ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예를 들어, 장애물 센서로부터 이동 경로상 충전 카트(100)의 원만한 이동을 저해할 정도의 장애물이 감지되거나 주행 영상 정보로부터 장애물 또는 돌발 상황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는 구동부(150)의 작동을 중단하거나 주행부(140)에 구비된 브레이크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손잡이부(13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충전 카트(100) 운행 중인 경우 1차적으로 손잡이부(130)에 진동을 전달하거나 기타 알람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장애물이 존재함을 인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장애물의 존재를 알렸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운행을 멈추지 않을 경우 충전 카트(100)의 소정 반경 이내에 장애물이 들어왔을 때 제어부는 구동부(150)의 작동을 중단하거나 주행부(140)에 구비된 브레이크 시스템을 강제로 작동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n obstacle that hinders the smooth movement of the charging cart 100 on a moving path is detected by an obstacle sensor or an obstacle or an unexpected situation is detected from driving imag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50. Alternatively, a brake system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140 may be operated. If the user is driving the charging cart 100 while holding the handle part 130, vibration may be primarily transmitted to the handle part 130 or other alarm functions may be used to alert the user that an obstacle exists. there is. However, in some cases, if the user does not stop driving despite notifying the user of the existence of an obstacle in various ways, when an obstacle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charging cart 100,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50 or drives the driving unit 150. The brake system provided in the unit 140 may be forcibly operated.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주행 영상 정보는, 일반적인 시야각 이상의 화각을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동시에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들의 결합을 통해 보다 넓은 시야각을 확보(예컨대, 360도 방향의 시야)하는 파노라마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파노라마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는 경우, 주행 환경에 관련하여 보다 넓은 시야에 관한 이미지 분석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위험 감지의 범위가 보다 확정되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image information includes panoramic image information that simultaneously captures a view angle higher than a general viewing angle through a plurality of cameras and secures a wider viewing angle (eg, a 360-degree view)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captured images. can include When image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panoramic image information, since image analysis information on a wider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the driving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he risk detection range can be more determined and stability can be improv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써,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can be replaced in actual devices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 it may not necessarily be a component necessary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processes presented is an example of example approaches. Based upon design prioriti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processes may be rearranged while remain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ying method claims present elements of the various steps in a sample order, but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presented.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use or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 사용자 단말
11: 전기차
100: 충전 카트
200: 관리서버
110: 바디 120: 충전부
130: 손잡이부 140: 주행부
141: 제1주행부 142: 제2주행부
150: 구동부 160: 센서부
161: 제1센서부 162: 제2센서부
170: 감지부 171: 압전 센서 모듈
172: 근접 센서 모듈 173: 카메라 모듈
180: 주행영상획득부 190: 제어부
10: user terminal
11: EV
100: charging cart
200: management server
110: body 120: charging part
130: handle part 140: driving part
141: first driving unit 142: second driving unit
150: driving unit 160: sensor unit
161: first sensor unit 162: second sensor unit
170: sensing unit 171: piezoelectric sensor module
172: proximity sensor module 173: camera module
180: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190: control unit

Claims (10)

전기차 충전용 충전 카트에 있어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며 외력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
상기 바디부의 주행상태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외력센싱정보 및 상기 주행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바디부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력센싱정보 보다 상기 주행상태정보를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충전 카트.
In the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body part;
a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body unit and collecting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a handle part connected to the sensor part;
a sensing unit that obtains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body unit;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body unit;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driving force to the traveling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body part moves based on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unit is controlled by preferentially reflecting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rather than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삭제delete 전기차 충전용 충전 카트에 있어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며 외력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
상기 바디부의 주행상태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외력센싱정보 및 상기 주행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바디부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손잡이부 양단 각각에 연결되는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력센싱정보는,
상기 제1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제1센싱 정보와 상기 제2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제2센싱 정보의 크기 차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회전산정정보 및 상기 각 센싱 정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속도산정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용 충전 카트.
In the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body part;
a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body unit and collecting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a handle part connected to the sensor part;
a sensing unit that obtains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the body unit;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body unit;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driving force to the traveling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body part moves based on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sensor unit,
A first sensor unit and a second sensor unit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unit,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cond sensor unit, and speed calcul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ize of each sensing information containing information,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산정정보 및 속도산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충전 카트.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unit or the driving unit is controlled based on the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and the speed calculation information.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상기 바디부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관련한 주행을 허용하는 제1주행부 및 제2주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산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주행부 및 상기 제2주행부 각각에 인가되는 동력 상이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전기차 충전용 충전 카트.
According to claim 4,
the driving part,
A first driving part and a second driving part allowing driving in relatio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power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traveling unit and the second traveling unit is different based on the rotation calculation information.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어 물리적인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 모듈; 및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방출시킨 후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모듈;
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용 충전 카트.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sensor,
a piezoelectric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handle portion to sense physical pressure; and
a proximity sensor module provided on the handle or an outer side of the handle to emit electromagnetic waves toward a user and detect reflected electromagnetic waves;
including,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에 관련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용 충전 카트.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sensor,
a camera module that obtains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 and generates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image information;
including,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카트는,
상기 바디부의 이동에 관련한 주행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주행영상획득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영상 정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위험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전기차 충전용 충전 카트.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charging cart,
a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acquiring driving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movement of the body part;
Including more,
The control unit,
generating danger detection information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driving image information;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 감지 정보를 상기 주행 상태 정보 보다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충전 카트.
According to claim 8,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unit or the driving unit is controlled by reflecting the danger detection information with priority over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어 물리적인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 모듈; 또는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방출시킨 후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외력센싱정보가 지속적으로 감지되더라도 상기 압전 센서 모듈 또는 상기 근접 센서 모듈로부터 감지되는 신호가 사라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주행부의 작동을 중단시키거나 파워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충전 카트.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sensor,
a piezoelectric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handle portion to sense physical pressure; or a proximity sensor module provided on the handle or an outer side of the handle to emit electromagnetic waves toward the user and then detect the reflected electromagnetic waves;
Even if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is continuously sensed by the sensor unit, when the signal sensed by the piezoelectric sensor module or the proximity sensor module disappears, the control unit stops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or the driving unit or lowers power. A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KR1020220008219A 2021-06-07 2022-01-20 Charging cart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KR102485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7915 WO2022260360A1 (en) 2021-06-07 2022-06-03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JP2023576003A JP2024527478A (en) 2021-06-07 2022-06-03 Charging cart for electric vehicles
EP22820488.9A EP4353521A1 (en) 2021-06-07 2022-06-03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KR1020230000506A KR20230008902A (en) 2021-06-07 2023-01-03 Charging cart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US18/531,213 US20240101177A1 (en) 2021-06-07 2023-12-06 Charging car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73578 2021-06-07
KR1020210073578 2021-06-07
KR1020210171983 2021-12-03
KR20210171983 2021-12-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506A Division KR20230008902A (en) 2021-06-07 2023-01-03 Charging cart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176A KR20220165176A (en) 2022-12-14
KR102485628B1 true KR102485628B1 (en) 2023-01-06

Family

ID=8443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219A KR102485628B1 (en) 2021-06-07 2022-01-20 Charging cart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62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3105A (en) * 2000-12-25 2002-07-10 Bridgestone Cycle Co Cart for carri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979B1 (en) * 2009-10-12 2012-03-2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Two wheeled Luggage Carry Apparatus
KR20200146030A (en) * 2019-06-20 2020-12-31 이정용 Wired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electric vehicles
KR20210000504U (en) 2019-08-23 2021-03-04 오재연 Handheld type Electric Vehicle slow Charger that can selectable power by us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3105A (en) * 2000-12-25 2002-07-10 Bridgestone Cycle Co Cart for carri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176A (en)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7782B2 (en) Vehicle occupancy confirmation method and system
US10471829B2 (en) Self-destruct zone and autonomous vehicle navigation
US103288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scape route from a vehicle
US103994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jecting a charging handle from a vehicle
US10699326B2 (en) User-adjusted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7999506B1 (en) System to automatically recharge vehicles with batteries
US11252544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erver
US110276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operation of a motor vehicle
US11493625B2 (en) Simulated LiDAR devices and systems
CN114599547A (en) Robot charging system and method
EP2571661B1 (en) Mobile human interface robot
CN109496192B (en) Electric vehicle
US20190128043A1 (en) Powered accessory port closure lid
US20210237578A1 (en) Faulty power source ejection in a safe zone
US10073463B2 (en) Snow plow mode for autonomous driving
KR102485628B1 (en) Charging cart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CN113904065A (en) Stackable battery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230008902A (en) Charging cart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KR102656274B1 (en) Intelligent Autonomous Charging System
US2023022699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 surveillance
CN109658737A (en) Mobile auxiliary system and mobile householder method
KR20230083992A (en) Docking connector assembly
US20210035323A1 (en) 3d mapping using sign reference points
IL297790A (en) Flexible connector mechanism for light electric vehicles
KR20240132767A (en) Movabl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that provides a charging gun that matches the shape of the charging 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