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525B1 - Method for managing volunteer activity recor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volunteer activity recor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525B1
KR102485525B1 KR1020220066843A KR20220066843A KR102485525B1 KR 102485525 B1 KR102485525 B1 KR 102485525B1 KR 1020220066843 A KR1020220066843 A KR 1020220066843A KR 20220066843 A KR20220066843 A KR 20220066843A KR 102485525 B1 KR102485525 B1 KR 102485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ification
volunteer
node
volunteer activity
n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연창학
황학선
권수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5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aging volunteer activity records on a blockchain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The method for managing volunteer activity records on the blockchain includes the steps of: creati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s by a volunteer activity agency node; verifyi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s by the volunteer activity agency node; storing the verified volunteer activity records on the blockchain by the volunteer activity agency node; and receiving, by a user, the volunteer activity non-fungible token (NFT)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s based on the blockcha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nsparently shari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s.

Description

블록체인 상에서 봉사 활동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managing volunteer activity recor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Method for managing volunteer activity recor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Method for managing volunteer activity recor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블록체인 상에서 봉사 활동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봉사활동 이력 제출이 필요한 기관에 위변조 불가한 봉사 활동 기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블록체인 상에서 봉사 활동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aging volunteer activity records on a blockchain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It relates to a method of managing volunteer activity records on a blockchain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volunteer activity records that cannot be forged or tampered with to organizations that need to submit volunteer activity record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블록체인(blockchain)은 퍼블릭 네트워크(public network) 또는 프라이빗 네트워크(private network)에서 발생하는 거래 정보를 암호화한 후 해당 네트워크 구성원 간 공유되는 디지털 원장(Ledger)을 의미한다.Blockchain refers to a digital ledger that encrypts transaction information that occurs in a public network or private network and is then shared among members of the network.

블록체인은 거래 원장의 복사본이 각 네트워크 구성원으로 분산(distributed) 저장되어 새로운 거래 발생시마다 구성원들의 동의에 따른 거래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따라서, 블록체인에서는 거래 정보가 임의로 변경 불가능하다. In the block chain, a copy of the transaction ledger is distributed and stored to each network member, and whenever a new transaction occurs, a transaction authentication procedur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sent of the members. Therefore, in the blockchain, transaction information cannot be arbitrarily changed.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시 거래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정보 추적이 용이하다. 특히,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업무 효율성이 높아지고 새로운 서비스가 구축될 수 있다.In the case of blockchain-based transactions, the reliability of transactions increases and information tracking is easy. In particular, when blockchain technology is applied in the field of financial services,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new services can be built.

블록체인을 금융 서비스에 적용하는 경우, 분산 장부를 이용하여 투명한 거래로 보안, 감독, 규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블록체인 기술은 금융 분야뿐만 아니라 물류, 유통, 정부 공공 행정 서비스에 적용 가능하다.When blockchain is applied to financial services, it is possible to reduce security, supervision, and regulatory costs through transparent transactions using a distributed ledger. Blockchain technology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financial sector, but also to logistics, distribution, and government public administration services.

현재 봉사활동에 대한 기록들이 사용자에 대한 이력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인인증 확인, QR(quick response) 코드 생성 및 스캔 등록, 활동에 따른 보상 내역 등 봉사 활동에서 필요한 주요 핵심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이를 본인 및 인증 또는 수요기관에서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이 되는 경우, 봉사 활동 이력에 대한 검증이 보다 빠르고 신뢰도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Records of current volunteer activities can be utilized as user records. For example, key data required for volunteer activities, such as identity authentication verification, QR (quick response) code generation and scan registration, and reward details for activities, can be stored in the blockchain and easily and quickly checked by the person and the authentication or requesting organization. If a platform with existing services is established, verification of volunteer activity history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reliabl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of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봉사활동 기록의 위변조 가능성을 해결하고, 봉사 활동에 대한 인증, 실행, 등록, 조회, 발급, 검증 등 관련한 전반적인 단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봉상활동이력을 투명하게 공유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ossibility of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existing volunteer activity records, prevents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ata generated in overall steps related to certification, execution, registration, inquiry, issuance, and verific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nd rewards activity history Its purpose is to provide blockchain technology to transparently shar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봉사활동 검증을 위한 문서 발급 및 이력 제공, 확인, 이력 검증에 따른 시간, 비용을 절감하고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봉사활동이력에 대한 포인트 적립 등 리워드를 지급하고, 리워드의 지역 내 활용 및 리워드의 거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time and cost of issuing documents for volunteer activity verification, providing history, confirming, and verifying history, and providing rewards such as point accumulation for volunteer activity history based on the block chain. The purpose is to secure transparency in the use of and reward transactions within the reg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Representative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상에서 봉사 활동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은 봉사활동기관노드가 봉사활동기록을 생성하는 단계,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가 상기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복사활동기록관리노드가 검증된 봉사활동기록을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장치가 상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상기 봉사활동기록에 대응되는 봉사활동 NFT(non-fungible token)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aging a volunteer activity record on a blockchain includes generating a volunteer activity record by a volunteer activity institution node, verifyi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by a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and copyi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Including the step of storing the verified volunteer activity record on the blockchain by the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and the step of receiving the volunteer activity non-fungible token (NFT)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based on the blockchain can do.

한편, 상기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 중 상기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하기 위한 복수의 검증 노드가 선택되고,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는 복수의 검증 노드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 그룹이 상기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할 수 있다.Meanwhile, amo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s, a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for verifyi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s are selected,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form a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 groups, and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 groups are configured to perform the volunteer activities. records can be verified.

또한, 상기 봉사활동 NFT는 제1 타입 봉사활동NFT과 제2 타입 봉사활동NFT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봉사활동 NFT는 사용자에 의해 보관되는 원본 NFT로서 하나만 존재하고, 상기 제2 타입 봉사활동 NFT는 상기 제1 타입 봉사활동 NFT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NFT로서 다른 기관을 제출을 위해 생성되는 NFT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olunteer activity NFT includes a first type volunteer activity NFT and a second type volunteer activity NFT, the first type volunteer activity NFT exists as an original NFT stored by a user, and the second type volunteer activity NFT exists. The NFT is an NFT created based on the first type volunteer activity NFT, and may be an NFT created for submission to another organiz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상에서 봉사 활동 기록을 관리하는 봉사활동기록 관리 시스템은 봉사활동기록을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봉사활동기관노드, 상기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하고 검증된 봉사활동기록을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도록 구현되는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와 상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상기 봉사활동기록에 대응되는 봉사활동 NFT(non-fungible token)를 수신하도록 구현되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volunteer activity records on a blockchain includes a volunteer activity agency node implemented to generate a volunteer activity record, verifyi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and storing the verified volunteer activity record. It may include a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implemented to store on a blockchain and a user device implemented to receive a volunteer activity non-fungible token (NFT)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based on the blockchain.

한편, 상기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 중 상기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하기 위한 복수의 검증 노드가 선택되고,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는 복수의 검증 노드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 그룹이 상기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할 수 있다.Meanwhile, amo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s, a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for verifyi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s are selected,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form a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 groups, and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 groups are configured to perform the volunteer activities. records can be verified.

또한, 상기 봉사활동 NFT는 제1 타입 봉사활동NFT과 제2 타입 봉사활동NFT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봉사활동 NFT는 사용자에 의해 보관되는 원본 NFT로서 하나만 존재하고, 상기 제2 타입 봉사활동 NFT는 상기 제1 타입 봉사활동 NFT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NFT로서 다른 기관을 제출을 위해 생성되는 NFT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olunteer activity NFT includes a first type volunteer activity NFT and a second type volunteer activity NFT, the first type volunteer activity NFT exists as an original NFT stored by a user, and the second type volunteer activity NFT exists. The NFT is an NFT created based on the first type volunteer activity NFT, and may be an NFT created for submission to another organiz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봉사활동 기록의 위변조 가능성을 해결하고, 봉사 활동에 대한 인증, 실행, 등록, 조회, 발급, 검증 등 관련한 전반적인 단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봉상활동이력을 투명하게 공유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술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olves the possibility of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existing volunteer activity records, prevents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ata generated in overall steps related to authentication, execution, registration, inquiry, issuance, and verific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nd Blockchain technology for transparent sharing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봉사활동 검증을 위한 문서 발급 및 이력 제공, 확인, 이력 검증에 따른 시간, 비용이 절감되고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봉사활동이력에 대한 포인트 적립 등 리워드의 지급시, 리워드의 지역 내 활용 및 리워드의 거래 투명성이 확보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and cost of issuing documents for verifying volunteer activities, providing history, verifying, and verifying history are reduced, and when rewards such as point accumulation for volunteer activity history are paid based on the block chain, Transparency in regional utilization of rewards and transaction of rewards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봉사활동기록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증 노드 간의 교차 검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상에서 봉사활동기록을 NFT로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생성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lockchain-based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ross-validation method between verification n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verting volunteer activity records into NFTs on a block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discloses a method for adjusting block generation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llows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from one embodiment to anoth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is not performed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taken as encompassing the scope claimed by the claims and all scopes equivalent thereto. Lik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봉사활동기록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lockchain-based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봉사활동기록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봉사활동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1 discloses a method for managing a user's volunteer activity record based on a blockchain-based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봉사활동기록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100), 봉사활동기관노드(120),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140) 및 블록체인(16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a user device 100, a volunteer activity institution node 120, a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140, and a blockchain 160.

봉사활동기관노드(120)는 봉사활동기관의 노드로서 블록체인 및 다른 노드와 연결되어 봉사활동기록을 생성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봉사활동기관노드(120)는 사용자의 봉사활동기록을 생성하고 봉사활동기록은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140)에 의해 검증되어 블록체인(160) 상에 기록될 수 있다.The volunteer activity organization node 120 is a node of a volunteer activity organization and can be implemented to create a volunteer activity record by being connected to a blockchain and other nodes. The volunteer activity agency node 120 creates a user's volunteer activity record, and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can be verified by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140 and recorded on the blockchain 160 .

사용자 장치(100)는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장치일 수 있다. 봉사활동의 수행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블록체인(160) 상에 기록된 봉사활동기록을 확인하고, 블록체인(160) 상에 기록된 봉사활동기록은 추후 다른 기관에 제출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The user device 100 may be a device of a user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After performing the volunteer activity, the user checks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recorded on the blockchain 160 through the user device, and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recorded on the blockchain 160 will be used to submit to other institutions later. can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140)는 봉사활동기관노드(120)에 의해 전달된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하고, 봉사활동기록을 블록체인(160) 상에 기록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140)는 복수개일 수 있고, 복수의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140)는 봉사활동기록의 변조, 허위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검증이 완료된 봉사활동기록을 블록체인(160) 상에 기록할 수 있다.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140 may be implemented to verify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transmitted by the volunteer activity institution node 120 and record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on the blockchain 160 . There may be a plurality of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s 140, and the plurality of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s 140 verify whether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is falsified or not, and the verified volunteer activity record is transferred to the blockchain 160. ) can be written on.

블록체인(160)은 봉사활동기록을 기록하고 저장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컨트랙트를 기반으로 봉사활동기록은 NFT(non-fungible token)의 형태로 생성되어 사용자 또는 봉사활동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기관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The blockchain 160 may be implemented to record and store service activity records. Based on smart contracts on the blockchain, volunteer activity records can be created in the form of non-fungible tokens (NFTs) and delivered to users or organizations that require confirm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사활동기록 관리 시스템은 봉사활동추천장치 및 리워드 관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olunteer activity recommendation device and a reward management device.

봉사활동추천장치는 봉사 활동에 대한 추천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봉사활동추천장치는 블록체인 상에 기록된 봉사활동기록에 포함되어 있는 봉사활동 대상, 봉상활동지역, 봉사활동기간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봉사활동기록을 분석 및 가공하여 유사한 봉사활동에 대해 다른 사용자들에게 추천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The volunteer activity recommendation device may be implemented to recommend volunteer activities. The volunteer activity recommendation device collects information on the volunteer activity target, bonus activity area, and volunteer activity period included in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recorded on the blockchain, analyzes and processes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and provides different information about similar volunteer activities. It can be implemented to recommend to users.

리워드 관리 장치는 봉사활동에 따라 제공된 리워드를 관리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NFT화된 봉사활동기록을 통해 특정 리워드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리워드를 통해 사용자는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다.The reward management device may be implemented to manage rewards provided according to volunteer activities. A specific reward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s NFTed volunteer activity record, and the user can receive benefits through the rewar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는 봉사활동기관노드에 의해 전달된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하고, 봉사활동기록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기 위한 합의 동작을 수행하는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가 개시된다.In FIG. 2, a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is disclosed that verifies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delivered by the volunteer activity institution node and performs an agreement operation to record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on the blockchain.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봉사활동기관노드에 의해 생성되는 봉사활동기록은 블록체인 상에 저장되기 전에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200)에 의한 합의 절차를 통해 검증되어 기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volunteer activity records created by a plurality of volunteer activity agency nodes may be verified and recorded through a consensus procedure by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200 before being stored on the blockchain.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200)는 복수개의 노드일 수 있고, 전체 복수개의 노드 중 일부의 노드가 검증 노드(220)로서 랜덤하게 선택되어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할 수 있다. 즉,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하는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200)는 항상 변화될 수 있다.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200 may be a plurality of nodes, and some nodes among the entire plurality of nodes may be randomly selected as verification nodes 220 to verify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That is,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200 that verifies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can always be changed.

전체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200) 중 봉사활동기록의 검증을 위해 선택된 복수의 노드는 검증 노드(220)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검증 노드 그룹(240)은 복수의 검증 노드(22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검증 노드 그룹(240)은 복수개 설정되어 동시에 생성되는 서로 다른 트랜잭션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A plurality of nodes selected for verification of volunteer activity records among all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s 200 may be expressed in terms of verification nodes 220 . The verification node group 2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220, and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 groups 24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erification of different transactions generated simultaneously.

하나의 블록의 생성을 위한 복수의 검증 노드(220)가 결정될 수 있고, 복수의 검증 노드(220)는 그룹핑되어 검증 노드 그룹(240)을 형성할 수 있다. 검증 노드(220)는 스마트컨트랙트를 기반으로 이전 블록의 검증을 수행하지 않은 노드를 우선 순위로 설정하여 결정되고, 그 중 검증 신뢰도가 임계값 이상인 노드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검증 신뢰도는 검증 노드(220)의 봉사활동기록에 대한 검증에 대한 오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220 for generating one block may be determined, and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220 may be grouped to form a verification node group 240 . The verification node 220 is determined by prioritizing nodes that have not performed verification of the previous block based on the smart contract, and may be randomly selected from among nodes whose verification reliability is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Verification reliability may be determined based on an error in verification of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of the verification node 220 .

검증 노드(220)가 결정되는 경우, 검증 노드 그룹(240)이 결정될 수 있다. 검증 노드 그룹(240)은 미리 설정된 검증 노드 그룹 설정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verification node 220 is determined, a verification node group 240 may be determined. The verification node group 240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preset verification node group setting algorithm.

검증 노드 그룹 설정 알고리즘은 검증 노드(220)의 검증 신뢰도 및 검증 노드의 검증 전문성을 기반으로 검증 노드 그룹(240)을 설정할 수 있다. The verification node group setting algorithm may set the verification node group 240 based on the verification reliability of the verification node 220 and the verification expertise of the verification node.

우선 검증 노드 그룹(240)은 마스터 노드(250), 일반 노드(260)로 구분될 수 있고, 마스터 노드(250), 일반 노드(260)로 구분될 수 있다. 마스터 노드(250)는 가장 높은 제1 범위의 검증 신뢰도를 가지는 노드이고, 일반 노드(260)는 제1 범위 보다 낮은 제2 범위, 제3 범위, 제n 범위의 검증 신뢰도를 가지는 노드일 수 있다.First, the verification node group 240 may be divided into a master node 250 and a general node 260, and may be divided into a master node 250 and a general node 260. The master node 250 may be a node having the highest verification reliability of the first range, and the general node 260 may be a node having verification reliability of the second range, the third range, and the nth range lower than the first range. .

최종적인 봉사활동기록의 조작 여부 검증은 마스터 노드(250)와 일반 노드(260)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행되고, 신뢰도 범위에 따라서도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final verification of whether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is manipulated is performed by assigning different weights to the master node 250 and the general node 260, and may be performed by assigning different weights according to the reliability range.

또한, 검증 노드 그룹(240)은 봉사 활동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검증 노드별 전문성을 가지는 봉사 활동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ification node group 240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service activity category having expertise for each verification node in consideration of the service activity category.

검증 노드(220)의 봉사활동기록에 대한 검증 알고리즘은 서로 다를 수 있고, 검증 알고리즘의 정확도에 따라 검증 노드(220)별로 검증 전문성을 가지는 전문 봉사 활동 카테고리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증 노드A는 병원 봉사 활동에 대한 검증 전문성을 가지고, 병원 봉사 활동이 검증 노드A의 전문 봉사 활동 카테고리로 설정될 수 있다. 검증 노드B는 환경 정화 봉사 활동에 대한 검증 전문성을 가지고, 환경 정화 봉사 활동이 검증 노드B의 전문 봉사 활동 카테고리로 설정될 수 있다.Verification algorithms for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s of the verification node 220 may be different, and professional volunteer activity categories having verification expertise may be set for each verification node 220 according to the accuracy of the verification algorithm. For example, verification node A has verification expertise for hospital service activities, and hospital service activities may be set as a professional service category of verification node A. Verification NodeBs have verification expertise in environmental cleanup service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cleanup service activities can be set as a professional service activity category of verification NodeBs.

이러한 방식으로 봉사활동기록에 대한 검증이 검증 노드 그룹(240)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봉사활동기록에 대한 검증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this way, verification of volunteer activity records is performed based on the verification node group 240, and verification accuracy of volunteer activity records can be improved.

검증이 완료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봉사활동기록을 포함하는 봉사활동기록검증 트랜잭션이 생성되어 블록체인 상으로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verification is completed, a service activity record verification transaction including at least on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on a blockchai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증 노드 간의 교차 검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ross-validation method between verification n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는 검증 노드 그룹의 검증 결과에 대한 교차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3 discloses a method for enabling cross-validation of verification results of verification node groups.

도 3을 참조하면, 봉사활동기록 중 일부의 봉사활동기록은 검증 노드의 검증 결과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교차 검증 대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봉사활동기록이 발생되는 경우, n개의 봉사활동기록 중 a개의 봉사활동기록은 봉사활동기록(교차검증)(300)으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some of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s may be set as cross-verification targets for testing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verification node. For example, when n volunteer activity records are generated, a volunteer activity record among the n volunteer activity records may be set as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cross-verification) 300 .

a개의 봉사활동기록(교차검증) (300)은 중복되어 복수의 교차 검증 그룹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복수의 교차 검증 그룹 각각은 a개의 봉사활동기록(교차검증)(300) 각각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A number of service activity records (cross-validation) 300 may be overlapped and delivered to a plurality of cross-validation groups. Each of the plurality of cross-verification groups may perform verification on each of the a number of volunteer activity records (cross-verification) 300 .

복수의 교차 검증 그룹 각각의 a개의 봉사활동기록(교차검증)(300) 각각에 대한 검증 결과는 비교되어 검증 결과에 대한 교차 검증이 수행되고, 검증 노드에 대한 신뢰도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다.Verification results for each of the a number of volunteer activity records (cross-verification) 30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ross-verification groups are compared, cross-verification is performed on the verification results, and a reliability test for the verification node may be performed.

예를 들어, a개의 봉사활동기록(교차검증)(300) 중 b개의 봉사활동기록(교차검증)(300)에 대한 검증 결과가 다른 경우, b개의 봉사활동기록(교차검증)(300)에 대한 추가 판단을 통해 잘못 판단한 검증 노드인 오류 검증 노드가 추출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verification results for b volunteer activity records (cross-verification) 300 among a volunteer activity records (cross-verification) 300 are different, the b volunteer activity records (cross-verification) 300 An error verification node, which is an incorrectly determined verification node, can be extracted through additional judgment on

오류 검증 노드의 검증 신뢰도는 조정되고, 임계 횟수 이상의 검증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오류 검증 노드는 검증 노드에서 제외될 수 있다.Verification reliability of the error verification node is adjusted, and if verification errors occur more than a threshold number of times, the corresponding error verification node may be excluded from the verification nod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상에서 봉사활동기록을 NFT로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verting volunteer activity records into NFTs on a block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는 봉사활동기록을 기반으로 한 NFT 발행이 개시된다.In FIG. 4, NFT issuance based on volunteer activity records is initiated.

도 4를 참조하면, 봉사활동기록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는 경우, 봉사활동기록을 기반으로 한 봉사활동NFT가 생성될 수 있다. 봉사활동NFT는 봉사활동기록(봉사활동 대상, 봉상활동지역, 봉사활동기간, 봉사활동자 등)을 포함하여 발행될 수 있다. 봉사활동NFT는 사용자 장치로 전달될 수 있고, 사용자 장치의 지갑 상에 보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when the verification of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is completed, a volunteer activity NFT based on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y be created. Volunteer activity NFTs can be issued including volunteer activity records (volunteer activity target, bonus activity area, volunteer activity period, volunteer activity person, etc.). Volunteer NFTs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device and stored in the wallet of the user device.

봉사활동NFT는 제1 타입 봉사활동NFT(410)과 제2 타입 봉사활동NFT(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olunteer activity NFT may include a first type volunteer activity NFT 410 and a second type volunteer activity NFT 420 .

제1 타입 봉사활동 NFT(410)는 사용자가 보관하기 위한 원본 NFT로서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The first type volunteer activity NFT 410 may exist only as an original NFT for the user to keep.

제2 타입 봉사활동 NFT(420)는 제1 타입 봉사활동 NFT(410)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NFT로서 다른 기관을 제출을 위해 생성되는 NFT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타입 봉사활동NFT(410)를 기초로 제2 타입 봉사활동NFT(420)를 요청하는 경우, 제2 타입 봉사활동NFT(420)는 블록체인 상에서 제1 타입 봉사활동NFT(410)를 기초로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second type volunteer NFT 420 is an NFT created based on the first type volunteer NFT 410 and may be an NFT created for submission by another organization. When the user requests the second type volunteer activity NFT 420 based on the first type volunteer activity NFT 410, the second type volunteer activity NFT 420 is the first type volunteer activity NFT 410 on the blockchain. It can be created and provided based on.

사용자가 봉사활동기록을 검증 기관으로 제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원본인 제1 타입 봉사활동NFT(410)가 아닌 제2 타입 봉사활동NFT(420)를 제출하여 봉사활동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user wants to submit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to the verification institution, the user can submit the 2nd type volunteer activity NFT (420) instead of the original 1st type volunteer activity NFT (410) to perform verification of the volunteer activity. there i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생성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5 discloses a method for adjusting block generation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블록 생성 시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5 discloses a method for adaptively adjusting a block generation time.

도 5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상에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가 존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 plurality of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s may exist in order to create a block on a blockchain.

본 발명에서는 시간대별로 블록체인 상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에 대한 기록을 수집하고, 트랜잭션 기록을 기반으로 블록 생성 시간이 시간대별로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of transactions occurring on the blockchain are collected for each time period, and block generation time can be adaptively determined for each time period based on the transaction records.

트랜잭션은 2개의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제1 타입 트랜잭션(510)은 블록 생성 시간이 상대적으로 민감한 트랜잭션으로서 빠르게 제1 타입 봉사활동 NFT의 생성이 임계 시간 이내에 필요한 경우나, 빠르게 제2 타입 봉사활동 NFT의 생성이 임계 시간 이내에 필요한 경우의 트랜잭션일 수 있다.Transaction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first type transaction 510 is a transaction with a relatively sensitive block generation time, where it is necessary to quickly generate a first type service NFT within a critical time, or a second type service quickly. It may be a transaction where the creation of an active NFT is required within a threshold time.

제2 타입 트랜잭션(520)은 블록 생성 시간이 상대적으로 민감하지 않은 트랜잭션일 수 있다. 제1 타입 봉사활동 NFT의 생성 및 제2 타입 봉사활동 NFT의 생성이 임계 시간 이내에 필요하지 않은 경우의 트랜잭션일 수 있다.The second type transaction 520 may be a transaction in which the block generation time is relatively insensitive. It may be a transaction when the generation of the first type service NFT and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type service NFT are not required within the threshold time.

블록 생성 시간 예측 장치(550)는 발생되는 트랜잭션을 기반으로 블록 생성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블록 생성 시간 예측 장치(550)는 제2 타입 트랜잭션(520)을 필터링하고, 제1 타입 트랜잭션(510)을 추출하여 블록 생성 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The block generation time prediction device 550 may predict the block generation time based on the generated transaction. The block generation time prediction apparatus 550 may filter the second type transaction 520, extract the first type transaction 510, and perform learning to predict the block generation time.

제1 타입 트랜잭션(510)은 제1 타입 트랜잭션(510)임을 표시하는 트랜잭션 타입 식별자와 제1 타입 봉사활동 NFT 또는 제2 타입 봉사활동 NFT의 생성을 필요로 하는 시간에 대한 제1 트랜잭션 생성 요청 시간 정보(5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ype transaction 510 is a transaction type identifier indicating that it is the first type transaction 510 and a first transaction generation request time corresponding to a time required to generate a first type service NFT or a second type service NFT. information 525.

제1 트랜잭션 생성 요청 시간 정보(525)는 제1 타입 트랜잭션(510)의 생성을 요청하는 처리 요청 시간 정보, 제1 타입 트랜잭션(510)의 생성이 특정 시점까지 불가능할 경우, 트랜잭션의 처리 불가를 지시하는 트랜잭션을 전달을 요청하기 위한 한계 시간에 대한 정보인 한도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ransaction creation request time information 525 indicates processing request time information for requesting generation of the first type transaction 510 and, when generation of the first type transaction 510 is impossible until a specific point in time, indicates that the transaction cannot be processed. It may include limit tim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the limit time for requesting the transfer of a transaction.

제2 타입 트랜잭션(520)은 제2 타입 트랜잭션(520)임을 표시하는 트랜잭션 타입 식별자와 제1 타입 봉사활동 NFT 또는 제2 타입 봉사활동 NFT의 생성을 필요로 하는 시간에 대한 제2 트랜잭션 생성 요청 시간 정보(5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ype transaction 520 is a transaction type identifier indicating that it is the second type transaction 520 and a second transaction creation request time relative to the time required to generate the first type service NFT or the second type service NFT. information 535.

제2 트랜잭션 생성 요청 시간 정보(535)는 제2 타입 트랜잭션(520)의 생성이 특정 시점까지 불가능할 경우, 트랜잭션의 처리 불가를 지시하는 트랜잭션을 전달을 요청하기 위한 한계 시간에 대한 정보인 한도 시간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action creation request time information 535 is limited time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a limit time for requesting transfer of a transaction indicating that the transaction cannot be processed when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type transaction 520 is impossible until a specific point in time. may contain only

블록 생성 시간 예측 장치(550)는 트랜잭션 처리 시간에 대한 예측을 위해 트랜잭션 발생 시간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시간별로 발생하는 거래량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The block generation time prediction device 550 may hierarchically divide the transaction generation time to predict the transaction processing time and perform learning on the amount of transactions generated by time.

블록 생성 시간 예측 장치(550)는 제1 타입 트랜잭션(510) 및 제1 타입 트랜잭션(510) 발생시 블록 생성 시간을 기반으로 블록 생성 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The block generation time prediction apparatus 550 may perform learning to predict the block generation time based on the first type transaction 510 and the block generation time when the first type transaction 510 occurs.

블록 생성 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학습을 위해 제1 타입 트랜잭션(510)과 제1 타입 트랜잭션 처리 시간 정보(560)를 포함할 수 있다.For learning to predict the block generation time, the first type transaction 510 and the first type transaction processing time information 560 may be included.

블록 생성 시간 결정 장치(550)는 제1 타입 트랜잭션에 포함되는 제1 트랜잭션 생성 요청 시간 정보(525)와 제1 타입 트랜잭션 처리 시간 정보(560) 및 시간 계층 정보(570)를 기반으로 한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시간 계층 정보(570)는 시간 단위를 계층화한 정보로서 시간 단위를 계층화하여 블록 생성 시간의 시간 민감도를 고려한 블록 생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block generation time determining unit 550 is configured to perform learning based on the first transaction generation request time information 525 included in the first type transaction, the first type transaction processing time information 560, and the time layer information 570. can be performed The time layer information 570 is information layered on time units, and may be used to perform block generation in consideration of time sensitivity of block generation time by layering time units.

제1 시간 계층은 가장 작은 시간 단위로서 초 단위, 제2 시간 계층은 분 단위, 제3 시간 계층은 시간 단위일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계층의 설정을 통해 초 단위 민감도를 기반으로 한 블록 생성 시간에 대한 학습, 분 단위 민감도를 기반으로 한 블록 생성 시간에 대한 학습, 시간 단위 민감도를 기반으로 한 블록 생성 시간에 대한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time layer may be the smallest time unit, and may be a second unit, a second time layer may be a minute unit, and a third time layer may be a time unit. Through the setting of these time layers, learning about block creation time based on sensitivity in seconds, learning about block creation time based on sensitivity in minutes, and learning about block creation time based on sensitivity in time are performed. It can be.

블록 생성 시간 예측 장치(550)는 시간 민감도(초 단위 민감도, 분 단위 민감도, 시간 단위 민감도)를 설정하고 학습된 결과를 기반으로 블록 생성 시간이 임계 블록 생성 시간 이하가 되도록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생성 시간 예측 장치(550)가 시간 민감도를 초단위 민감도로 설정한 경우, 초단위 민감도로 블록 생성 시간이 임계 블록 생성 시간 이하가 되도록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The block creation time prediction device 550 sets time sensitivity (sensitivity in seconds, sensitivity in minutes, sensitivity in time) and generates blocks so that the block creation tim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reshold block creation time based on the learned result. . For example, when the block generation time prediction device 550 sets the time sensitivity to second-unit sensitivity, blocks can be generated with the second-unit sensitivity such that the block generation tim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reshold block creation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상의 블록 생성 시기는 적응적으로 조절되어 봉사활동인증 취소 가능 구간이 설정될 수 있다. 취소 가능 구간 상에서 전술한 봉사활동기록(교차검증)에 대한 트랜잭션에 대한 서로 다른 판단시 추가적인 검증이 수행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generation time on the blockchain may be adaptively adjusted to set a service activity certification cancelable interval. Additional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when different judgments are made on the transaction for the above-mentioned service activity record (cross-verification) in the cancelable period.

취소 가능 구간은 블록 생성 시간 예측 장치에 의해 예측된 예상 블록 생성 시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고, 취소 가능 구간은 채권 거래가 발생한 시기 및 블록 생성 시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The cancelable interval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expected block generation time predicted by the block generation time prediction device, and the cancelable interval may be adap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 when a bond transaction occurs and the block creation time.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A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with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may seek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scop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ly changed from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o belong to

Claims (6)

블록체인 상에서 봉사 활동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은,
봉사활동기관노드가 봉사활동기록을 생성하는 단계;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가 상기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가 검증된 상기 봉사활동기록을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는 단계; ??
사용자 장치가 상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상기 봉사활동기록에 대응되는 봉사활동 NFT(non-fungible token)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봉사활동 NFT는 제1 타입 봉사활동NFT과 제2 타입 봉사활동NFT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봉사활동 NFT는 사용자에 의해 보관되는 원본 NFT로서 하나만 존재하고,
상기 제2 타입 봉사활동 NFT는 상기 제1 타입 봉사활동 NFT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NFT로서 다른 기관으로의 제출을 위해 생성되는 NFT이고,
상기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 중 상기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하기 위한 복수의 검증 노드가 선택되고,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는 복수의 검증 노드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 그룹이 상기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하고,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 그룹 각각은 마스터 노드와 일반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는 가장 높은 제1 범위의 검증 신뢰도를 가지는 노드이고,
상기 일반 노드는 상기 제1 범위 보다 낮은 제n 범위(여기서 n은 2보다 큰 자연수)의 상기 검증 신뢰도를 가지는 노드이고,
상기 봉사활동기록의 조작 여부에 대한 검증은 상기 마스터 노드와 상기 일반 노드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행되고,
상기 봉사활동기록의 조작 여부에 대한 검증은 상기 검증 신뢰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 그룹 각각은 봉사 활동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검증 노드별 전문성을 가지는 봉사 활동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봉사활동기록 중 일부의 봉사활동기록은 검증 노드의 검증 결과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교차 검증 대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How to manage volunteer activity records on the blockchain,
generating a volunteer activity record by the volunteer activity agency node;
verifyi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by a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storing the verified volunteer activity records on a blockchain by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
Receiving, by the user device, a volunteer activity non-fungible token (NFT)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based on the blockchain;
The volunteer NFT includes a first type volunteer NFT and a second type volunteer NFT,
The first type volunteer NFT is an original NFT stored by the user, and there is only one,
The second type volunteer NFT is an NFT created based on the first type volunteer NFT and is created for submission to another organization,
Amo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s, a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for verifyi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s are selected;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form a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 groups;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 groups verify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Each of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 groups includes a master node and a general node,
The master node is a node having the verification reliability of the highest first range,
The general node is a node having the verification reliability of an n-th range (where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2) lower than the first range,
Verification of whether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is manipulated is performed by assigning different weights to the master node and the general node,
The verification of whether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is manipulated is performed by assigning different weights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liability,
Each of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 groups is determined based on a service activity category having expertise for each verification node in consideration of the service activity category,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some of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s are set as cross-verification targets for testing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verification n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검증 대상은 복수의 교차 검증 그룹을 통해 교차 검증되고,
상기 교차 검증은 상기 복수의 교차 검증 그룹 각각의 설정된 복수개의 봉사활동기록(교차검증) 각각에 대한 검증 결과에 대한 비교를 기반으로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 각각에 대한 신뢰도 테스트는 상기 교차 검증을 통해 수행되고,
상기 신뢰도 테스트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 중 오류 검증 노드의 상기 검증 신뢰도는 조정되고, 임계 횟수 이상의 검증 오류를 발생시킨 오류 검증 노드는 검증 노드에서 제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ross-validation target is cross-validated through a plurality of cross-validation groups,
The cross-validation is performed based on comparison of verification result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olunteer activity records (cross-validation) se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ross-validation groups,
The reliability tes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is performed through the cross-validation,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verification reliability of an error verification node among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is adjusted through the reliability test, and an error verification node generating a verification error equal to or more than a threshold number of times is excluded from the verification n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 생성에 대한 예측은 블록 생성 시간 예측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블록 생성 시간 예측 장치는 트랜잭션 처리 시간에 대한 예측을 위해 트랜잭션 발생 시간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시간별로 발생하는 거래량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prediction of block generation of the blockchain is performed by a block generation time prediction device,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block generation time prediction device hierarchically divides the transaction generation time to predict the transaction processing time and learns the amount of transactions generated by time.
블록체인 상에서 봉사 활동 기록을 관리하는 봉사활동기록 관리 시스템은,
봉사활동기록을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봉사활동기관노드;
상기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하고 검증된 봉사활동기록을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도록 구현되는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 및
상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상기 봉사활동기록에 대응되는 봉사활동 NFT(non-fungible token)를 수신하도록 구현되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봉사활동 NFT는 제1 타입 봉사활동NFT과 제2 타입 봉사활동NFT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봉사활동 NFT는 사용자에 의해 보관되는 원본 NFT로서 하나만 존재하고,
상기 제2 타입 봉사활동 NFT는 상기 제1 타입 봉사활동 NFT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NFT로서 다른 기관을 제출을 위해 생성되는 NFT이고,
상기 봉사활동기록관리노드 중 상기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하기 위한 복수의 검증 노드가 선택되고,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는 복수의 검증 노드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 그룹이 상기 봉사활동기록을 검증하고,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 그룹 각각은 마스터 노드와 일반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는 가장 높은 제1 범위의 검증 신뢰도를 가지는 노드이고,
상기 일반 노드는 상기 제1 범위 보다 낮은 제n 범위(여기서 n은 2보다 큰 자연수)의 검증 신뢰도를 가지는 노드이고,
상기 봉사활동기록의 조작 여부에 대한 검증은 상기 마스터 노드와 상기 일반 노드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행되고,
상기 봉사활동기록의 조작 여부에 대한 검증은 상기 검증 신뢰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 그룹 각각은 봉사 활동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검증 노드별 전문성을 가지는 봉사 활동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봉사활동기록 중 일부의 봉사활동기록은 검증 노드의 검증 결과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교차 검증 대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사활동기록 관리 시스템.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volunteer activity records on the blockchain,
Volunteer activity organization node implemented to generate a volunteer activity record;
a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 implemented to verify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and store the verified volunteer activity record on a blockchain; and
Including a user device configured to receive a volunteer activity non-fungible token (NFT)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based on the blockchain,
The volunteer NFT includes a first type volunteer NFT and a second type volunteer NFT,
The first type volunteer NFT is an original NFT stored by the user, and there is only one,
The second type volunteer activity NFT is an NFT created based on the first type volunteer activity NFT and is created for submission by another organization,
Amo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nodes, a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for verifying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s are selected;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form a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 groups;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 groups verify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Each of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 groups includes a master node and a general node,
The master node is a node having the verification reliability of the highest first range,
The normal node is a node having a verification reliability of an n-th range (where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2) lower than the first range,
Verification of whether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is manipulated is performed by assigning different weights to the master node and the general node,
The verification of whether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is manipulated is performed by assigning different weights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liability,
Each of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 groups is determined based on a service activity category having expertise for each verification node in consideration of the service activity category,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ome of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s are set as cross-verification targets for testing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verification no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검증 대상은 복수의 교차 검증 그룹을 통해 검증되고,
상기 복수의 교차 검증 그룹 각각의 설정된 복수개의 봉사활동기록(교차검증) 각각에 대한 검증 결과에 대한 비교를 기반으로 한 교차 검증을 통해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 각각에 대한 신뢰도 테스트가 진행되고.
상기 신뢰도 테스트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검증 노드 중 오류 검증 노드의 상기 검증 신뢰도는 조정되고, 임계 횟수 이상의 검증 오류를 발생시킨 오류 검증 노드는 검증 노드에서 제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사활동기록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cross-validation target is verified through a plurality of cross-validation groups,
A reliability test is per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through cross-validation based on comparison of verification result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rvice activity records (cross-verification) se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ross-validation groups.
The volunteer activity recor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ification reliability of an error verification node among the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is adjusted through the reliability test, and an error verification node that has generated a threshold number of verification errors or more is excluded from the verification no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 생성에 대한 예측은 블록 생성 시간 예측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블록 생성 시간 예측 장치는 트랜잭션 처리 시간에 대한 예측을 위해 트랜잭션 발생 시간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시간별로 발생하는 거래량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사활동기록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prediction of block generation of the blockchain is performed by a block generation time prediction device,
Wherein the block generation time prediction device hierarchically divides the transaction generation time to predict the transaction processing time and learns the amount of transactions generated by time.
KR1020220066843A 2021-11-23 2022-05-31 Method for managing volunteer activity recor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48552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390 2021-11-23
KR20210162390 2021-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525B1 true KR102485525B1 (en) 2023-01-06

Family

ID=8492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843A KR102485525B1 (en) 2021-11-23 2022-05-31 Method for managing volunteer activity recor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52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534A (en) * 2016-08-01 2018-02-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based block chain
KR20200016458A (en)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유비케어 Blockchain-based phr platform server operating method and phr platform server operating system
US20210035246A1 (en) * 2019-07-30 2021-02-04 Intellectual Technologies PDE. LTD. Intellectual property asset management system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KR20210032129A (en) * 2019-09-16 2021-03-24 장현주 Db .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534A (en) * 2016-08-01 2018-02-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based block chain
KR20200016458A (en)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유비케어 Blockchain-based phr platform server operating method and phr platform server operating system
US20210035246A1 (en) * 2019-07-30 2021-02-04 Intellectual Technologies PDE. LTD. Intellectual property asset management system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KR20210032129A (en) * 2019-09-16 2021-03-24 장현주 Db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42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dentity verification services
US11636541B2 (en) Secure system
US11354672B2 (en) System for secure routing of data to various networks from a process data network
Bore et al. Towards blockchain-enabled school information hub
US20190026821A1 (en) Intermediate blockchain system for managing transactions
US11334882B1 (en) Data access management on a distributed ledger system
US20170244721A1 (en) System for providing levels of security access to a process data network
US11048780B2 (en) Preventing fraud in digital content licensing and distribution using distributed ledgers
US20200159890A1 (en) Securely storing digital content using a distributed ledger
GB2570301A (en) Interaction between blockchains
KR20220115571A (en) Account holder financing for customer verification process through coin payment, renewal of accredited investor verification, and fee monitoring
US202203918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enance of NFT Assets
Sujatha et al. Optimized digital transformation in government services with blockchain
WO2020047116A1 (en) Techniques for data access control utilizing blockchains
Nardini et al. A blockchain-based decentralized electronic marketplace for computing resources
TWI724758B (en) Method for processing transaction via external node on blockchai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485525B1 (en) Method for managing volunteer activity recor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CN109690550A (en) Digital asset framework
Jayabodhi et al. Minimization of fraudulent activities in land authentication through blockchain-based system
Koulizakis et al. A development framework for blockchain technologies in digital government
JP7316921B2 (en) Electronic asset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asset management device
US11748807B1 (en) Community-based digital transaction authentication
CN114626934A (en) Block chain-based multi-level wind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14450687A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for enabling verification of a calculation result
JPWO2020122095A1 (en) Control methods, servers, programs, and data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