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153B1 - Optical fiber distribution box - Google Patents

Optical fiber distribution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153B1
KR102485153B1 KR1020200071685A KR20200071685A KR102485153B1 KR 102485153 B1 KR102485153 B1 KR 102485153B1 KR 1020200071685 A KR1020200071685 A KR 1020200071685A KR 20200071685 A KR20200071685 A KR 20200071685A KR 102485153 B1 KR102485153 B1 KR 10248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jumper
case
distribution box
jumper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6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4552A (en
Inventor
윤영석
권영도
김점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153B1/en
Publication of KR2021015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5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분배함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이 삽입되는 공간과 광점퍼코드가 삽입되는 공간이 분리되고, 다수의 광점퍼코드들 각각에 대해 개별적인 삽입통로가 제공됨으로써 광점퍼코드 삽입 및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distribution box, wherein a space for inserting cables and a space for inserting optical jumper cords are separated, and individual insertion passages are provid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optical jumper cords, thereby facilitating insertion and connection of optical jumper cords. be able to carry out.

Description

광분배함{OPTICAL FIBER DISTRIBUTION BOX}Optical distribution box {OPTICAL FIBER DISTRIBUTION BOX}

본 발명은 광분배함에 관한 것으로, 광케이블을 다수의 광점퍼코드로 분기시켜주는 광분배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distribution box, and relates to an optical distribution box for branching an optical cable into a plurality of optical jumper cords.

광분배함에는 다수의 광회선(심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이 인입되며, 광케이블의 각 심선은 어댑터를 매개로 각각의 광점퍼코드에 연결된다.An optical cable having a plurality of optical circuits (core wires) is inserted into the optical distribution box, and each core wire of the optical cable is connected to each optical jumper code through an adapter.

도 1에는 이러한 광분해함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광분배함(1)은 대략 박스(함체) 형상의 외부케이스(1a)와 그 외부케이스(1a)에서 회동 방식으로 개폐되는 내부케이스(1b)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1b)에는 광접속부(1c) 및 어댑터부(1d)가 구비되어 있다.1 shows an example of such photolysis. The optical distribution box 1 includes an outer case 1a in the shape of a box (enclosure) and an inner case 1b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a rotational manner in the outer case 1a, and the inner case 1b includes an optical connection unit. (1c) and adapter part 1d are provided.

어댑터부(1d)는 어댑터브라켓에 설치된 다수의 어댑터 양측으로 광점퍼코드와 연결심선이 연결되고, 광분배함(1)으로 삽입된 광케이블의 각 심선과 상기 연결심선이 광접속부(1c)에서 일대일로 연결된다.In the adapter unit 1d, optical jumper cords and connection cores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a plurality of adapters installed in the adapter bracket, and each core wire of the optical cable inserted into the optical distribution box 1 and the connection cores are one-to-one in the optical connection unit 1c. connected to

상기 광접속부(1c)는 양측부에 심선들의 여장을 정리할 수 있는 여장정리부가 형성된 트레이 형상으로 제공된다.The optical connection part 1c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tray having a redundant arrangement part for arranging the redundancy of the core wires on both sides.

한편, 광중계국 및 광기지국 등에서는 한정된 공간에서 수많은 광케이블을 분기 및 접속시켜야하기 때문에 도 2(랙의 전면도)와 같이 랙(Rack)(2)의 내부에 광분배함(1)을 다수 적층하여 사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ptical relay stations and optical base stations, since numerous optical cables must be branched and connected in a limited space, a plurality of optical distribution boxes 1 are stacked inside a rack 2 as shown in FIG. 2 (front view of a rack). I am using it.

랙(2)은 금속재 캐비닛과 같은 것으로 전면과 후면 모두에 도어가 설치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개방할 수 있으며 전면 및 후면에서 모두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rack 2 is like a metal cabinet, and has doors install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so that it can be opened as needed, and work can be performed from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도 3(랙의 후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3)과 광점퍼코드(4)는 모두 광분배함(1)의 후면에서 그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런데 광케이블(3)은 다수의 심선이 하나의 케이블을 이룸으로써 광분배함(1)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만 광점퍼코드(4)의 경우에는 다수의 선이 모두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분배함(1) 내부로 삽입하기가 쉽지 않았다.As shown in FIG. 3 (rear view of the rack), both the optical cable 3 and the optical jumper cord 4 are installed in a structure inserted into the optical distribution box 1 from the rear side thereof. By the way, the optical cable (3) is easy to insert into the optical distribution box (1) as a plurality of core wires form one cable, but in the case of the optical jumper cord (4), since the plurality of wires are all individually formed, the optical distribution It was not easy to insert into the box (1).

또한 광점퍼코드(4)의 삽입은 광분배함(1)의 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삽입홀의 면적이 충분히 크지 않고 삽입홀이 랙의 벽면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어서 작업이 불편하였다.In addition, the insertion of the optical jumper cord 4 is performed through an insertion hole formed on the rear or side surface of the optical distribution box 1. The area of the insertion hole is not large enough and the insertion hole is located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of the rack. The work was inconvenient.

상기와 같이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광점퍼코드(4)가 설치된 상황에서 또 다른 광점퍼코드(4)를 삽입할 때 먼저 설치된 광점퍼코드(4)에 물리적인 영향을 주어 광회선 품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Not only is the work inconvenient as described above, but also when another optical jumper cord (4) is inserted in a situation where a plurality of optical jumper cords (4) are installed, the optical jumper cord (4) installed first is physically aff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optical line. There is always the possibility of adverse effects.

따라서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 작업자 1인이 후면에서 광점퍼코드(4)를 삽입해주고 다른 1인이 전면에서 해당 광점퍼코드(4)를 잡아당겨 인출한 후 어댑터(1d)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작업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광회선 구성 작업을 작업자 2인이 실시하므로 인력과 비용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었다.Therefore, to make the work easier, one worker inserts the optical jumper cord (4) from the rear, and the other worker pulls the optical jumper cord (4) from the front, withdraws it, and connects it to the adapter (1d). are doing As such, it was very inefficient in terms of manpower and cost because two workers were performing the optical line construction work.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96211 (2008.01.14. 등록)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796211 (registered on January 14, 20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광점퍼코드의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시 먼저 설치된 회선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며, 1인의 작업자가 혼자 작업할 수 있도록 된 광분배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ptical distribution box in which the insertion of optical jumper cords is easy,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previously installed circuit when inserted, and allows one worker to work alone. Its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후방에서 케이블이 삽입되는 상부유닛과, 다수의 광점퍼코드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하는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에 형성되고 상기 광점퍼코드 각각에 대해 개별적인 통과 경로를 제공하는 광점퍼코드 삽입통로를 포함한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an upper unit into which cables are inserted from the rear, a lower unit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optical jumper cords pass from the rear to the front, and the lower unit. and an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providing an individual passage for each optical jumper cord.

상기 상부유닛은 납작한 박스 형상의 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에 내장되고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전면판에 다수의 어댑터가 설치되고, 바닥판에 케이블의 심선과 어댑터에 연결된 연결심선이 광접속되는 트레이가 설치된다.The upper unit includes a flat box-shaped outer case and an inner case built into the outer case and withdrawable forward. In the inner case, a plurality of adapters are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and the core wire and adapter of the cable are A tray to which the connected core wires are optically connected is installed.

상기 내부케이스는 슬라이드레일을 매개로 외부케이스에 설치된다.The inner case is installed to the outer case via a slide rail.

상기 하부유닛의 케이스 바닥판에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광점퍼코드 삽입통로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barrier rib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bottom plate of the case of the lower unit to form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상기 격벽들의 후단은 모두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격벽들의 후단부와 케이스의 후단부 사이에는 광점퍼코드의 여장을 정리할 수 있는 여장정리공간이 형성된다.The rear ends of the barrier ribs are all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nd a cross-dressing organiz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ar ends of the barrier ribs and the rear end of the case to organize the optical jumper cord's cross-dressing.

상기 격벽들의 전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광점퍼코드의 인출 방향을 상기 어댑터쪽으로 유도하는 경사부가 형성된다.The front ends of the barrier ribs are bent in one direction to form an inclined portion for guiding an optical jumper cord toward the adapter.

상기 광점퍼코드 삽입통로의 후방단부와 전방단부에 고유 식별번호가 표시된 다.Unique identification numbers are displayed on the rear and front ends of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바닥판과 그에 이어진 양쪽 측면판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를 덮어주는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커버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고 후방으로부터 케이블이 인입되며 전면판에 상기 케이블의 심선에 광접속된 다수의 어댑터가 설치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커버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아래쪽 공간으로 삽입된 다수의 광점퍼코드들 각각에 대해 개별적인 통과 경로를 제공하는 광점퍼코드 삽입통로를 포함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ase forming the bottom plate and both side plates connected thereto, the upper cover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and the space formed by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over An inner case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a cable is introduced from the rear, and a plurality of adapters optically connected to the core wire of the cable are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and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of the inner case in the space formed by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over. and an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providing an individual passage for each of a plurality of optical jumper cords.

상기 내부케이스는 슬라이드레일을 매개로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된다.The inner case is installed to the lower case via a slide rail.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판에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광점퍼코드 삽입통로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barrier rib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case to form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상기 격벽들의 후단은 모두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격벽들의 후단부와 하부케이스의 후단부 사이에는 광점퍼코드의 여장을 정리할 수 있는 여장정리공간이 형성된다.The rear ends of the barrier ribs are all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barrier ribs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lower case are formed between the rear ends of the barrier ribs to organize the optical jumper cord's cross-dressing.

상기 격벽들의 전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광점퍼코드의 인출 방향을 상기 어댑터쪽으로 유도하는 경사부가 형성된다.The front ends of the barrier ribs are bent in one direction to form an inclined portion for guiding an optical jumper cord toward the adapter.

상기 광점퍼코드 삽입통로의 후방단부와 전방단부에 고유 식별번호가 표시된다.Unique identification numbers are displayed on the rear end and the front end of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점퍼코드마다 개별적인 삽입통로가 제공됨으로써 랙의 측벽 및 다른 광점퍼코드와의 간섭 없이 광점퍼코드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individual insertion passages are provided for each optical jumper cor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the optical jumper cord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sidewall of the rack and other optical jumper cords.

상기와 같이 광점퍼코드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광점퍼코드 삽입시 먼저 설치된 광점퍼코드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무리한 삽입 작업에 의한 광회선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Since interference between the optical jumper codes does not occu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tical jumper cords are inserted, the previously installed optical jumper cords are not affected, so that deterioration in optical line quality due to unreasonable insertion work can be prevented.

광점퍼코드의 삽입이 용이하므로 작업자 1인이 광회선 연결 작업을 전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인력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Since it is easy to insert the optical jumper cord, one worker can exclusively perform the optical line connection work,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manpower and cost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2유닛 개별형 구조 및 2유닛 일체형 구조로 제작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manufactured and used as a 2-unit individual structure and a 2-unit integrated struc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분배함의 일 예시도.
도 2는 광분배함이 설치된 랙의 전면도.
도 3은 광분배함이 설치된 랙의 후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의 상부유닛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의 하부유닛의 사시도.
도 8은 상기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이 일체로 구성된 광분배함의 사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of an optical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front view of a rack in which an optical distribution box is installed;
3 is a rear view of a rack in which an optical distribution box is installed;
4 is a front view of an optical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of an optical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unit of an optical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unit of an optical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distribution box in which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r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user or operator or a precedent.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의 정면도와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은 상부유닛(10)과 하부유닛(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유닛(10)의 전면에는 다수의 어댑터(15)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유닛(20)에는 전후 방향을 관통하는 ‘광점퍼코드 삽입통로’들이 형성된다.4 and 5 are front and rear views of the optical distribution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s shown, the optical distribution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n upper unit 10 and a lower unit 20. A plurality of adapters 15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unit 10, and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s'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formed in the lower unit 20.

도 6은 상기 상부유닛(10)을 상부에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유닛(10)은 외부케이스(11)와, 그 외부케이스(11)에 수납된 내부케이스(12)를 포함한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unit 10 from above. As shown, the upper unit 10 includes an outer case 11 and an inner case 12 accommodated in the outer case 11. include

상기 외부케이스(11)는 판상의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은 개구되어 있고, 양측면판의 전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마운팅플랜지(11a)가 형성되어 랙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outer case 11 has a plate-shap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front surface is open, and a mounting flange 11a bent outward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both side plates so as to be mounted on a rack.

외부케이스(11)의 후면판 양측 단부와 양쪽 측면판의 후방 단부 및 바닥판의 양측 후방 단부 측에는 각각 삽입홀(11b)이 관통 형성된다. 이 삽입홀(11b)들을 통해 광케이블이 상부유닛(10)의 내부로 삽입된다.Insertion holes 11b are formed through both ends of the rear plate of the outer case 11, rear ends of both side plates, and rear ends of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respectively. An optical cable is inserted into the upper unit 10 through the insertion holes 11b.

도 6에서 외부케이스(11)의 상판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상판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FIG. 6 , the top plate of the outer case 11 is not shown,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op plate can be formed as needed.

상기 내부케이스(12)는 외부케이스(11)보다 폭과 두께가 조금 작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내부케이스(12)의 경우 상판은 필요치 않음)으로서 외부케이스(11)의 내부에 서랍식으로 수납되어 밀어 넣거나 잡아당겨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내부케이스(12)의 양측면판과 외부케이스(11)의 양측면판 사이에는 슬라이드레일(13)이 설치되어 외부케이스(11)에 대한 내부케이스(12)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inner case 12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slightly smaller width and thickness than the outer case 11 (in the case of the inner case 12, a top plate is not required), and is stored in a drawer type inside the outer case 11 and pushed or It is designed to be pulled out. To this end, slide rails 13 are installed between both side plates of the inner case 12 and both side plates of the outer case 11 so that the inner case 12 can smoothly open and close the outer case 11. has been

내부케이스(12)의 경우 외부케이스(11)의 삽입홀(11b)을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이 내부케이스(12)의 내부 공간으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후면판은 형성되지 않는다.In the case of the inner case 12, the cable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b of the outer case 11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se 12 and the rear surface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able. Plates are not formed.

내부케이스(12)의 바닥판에는 트레이(14)가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14)의 중간 부분에는 케이블의 심선 코어와 어댑터(15)(이하, 설명함)에 연결된 연결심선의 코어의 접합부가 수용 보관되는 광접속부(14a)가 구비된다.A tray 14 is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inner case 12 .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tray 14, an optical connection portion 14a is provided in which a junction between the core wire core of the cable and the core wire connected to the adapter 15 (to be described below) is accommodated and stored.

또한 상기 광접속부(14a)의 양쪽 측부에는 상기 심선들의 여장을 정리할 수 있는 여장정리부(14b)가 마련된다.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optical connection part 14a, a redundant arrangement part 14b for arranging the redundancy of the core wires is provided.

상기 내부케이스(12)의 전면판에는 다수의 어댑터(15)가 설치된다. 내부케이스(12)의 전면판에는 폭 방향 일측으로 치우쳐서 다수의 어댑터홀이 형성되고, 그 어댑터홀에 동수의 어댑터(15)가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어댑터(15)의 외측 부분(내부케이스(12)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광점퍼코드가 연결되고, 내측 부분(내부케이스(12)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연결심선이 연결된다.A plurality of adapters 15 are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of the inner case 12 . A plurality of adapter holes are formed on the front plate of the inner case 12 in one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ame number of adapters 15 are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adapter holes. Therefore, the optical jumper cord is connected to the outer part of the adapter 15 (the part protruding outside the inner case 12), and the connecting core wire is connected to the inner part (the part protruding inside the inner case 12).

상기 어댑터(15)는 이에 연결되는 광점퍼코드의 헤드부, 즉 어댑터(15)에 삽입되는 콘넥터와 코드(cord)의 연결 부분에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으면서 부드럽고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작업자가 상부유닛(10)의 전면을 마주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대략 20 ~ 30도 정도의 각도로 기울여져 설치된다.The adapter 15 is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optical jumper cord connected thereto, that is,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cord inserted into the adapter 15 is not subjected to stress and can be smoothly and easily connected in one direction. It is installed in an angularly rotated state. That is, when the operator faces the front of the upper unit 10, it is installed at an angle of about 20 to 30 degre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한편, 상기 하부유닛(20)의 케이스(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바닥판 양측에 측면판이 형성된 형상으로서 그 좌우 폭 및 전후 길이는 상기 상부유닛(10)의 외부케이스(11)와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the case 21 of the lower unit 20 has a shape in which side plat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tangular bottom plate,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and the front and rear lengths thereof are the outer case of the upper unit 10 ( 11) is the same as

상기 케이스(21)의 양쪽 측면판 전방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마운팅플랜지(21a)가 형성되어 랙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Mounting flanges 21a bent outward are formed at front ends of both side plates of the case 21 so that they can be fixedly installed in a rack.

상부유닛(10)과 하부유닛(20)은 랙에 설치될 때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하로 인접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하부유닛(20)의 케이스(21)의 경우 상부유닛(10)의 외부케이스(11) 바닥판이 상부판(커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으므로 굳이 상부판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하부유닛(20) 자체의 상부판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upper unit 10 and the lower unit 20 are installed in a rack, as shown in FIGS. 4 and 5, they are installed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Since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case 11 can replace the role of the top plate (cover), there is no need to form the top plate.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upper plate of the lower unit 20 itself can be formed as needed.

상기 케이스(21)의 바닥판에는 다수의 격벽(22)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격벽(22)들은 하부유닛(2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격벽(22)들의 사이에 ‘광점퍼코드 삽입통로’가 형성된다.On the bottom plate of the case 21,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22 are installed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the barrier ribs 22 are continuous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unit 20 . Accordingly, an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barrier ribs 22 .

상기 광점퍼코드 삽입통로의 수는 상부유닛(10)에 설치된 어댑터(15)의 수와 동일하다. 즉 하나의 광점퍼코드 삽입통로에 하나의 광점퍼코드가 삽입되고 일대일 대응되는 어댑터(15)에 연결되는 것이다.The number of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s is equal to the number of adapters 15 installed in the upper unit 10. That is, one optical jumper cord is inserted into on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and connected to the adapter 15 corresponding one to one.

상기 격벽(22)의 후단부는 모두 케이스(21)의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 즉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All of the rear ends of the partition wall 22 are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se 21, that is, on the same line.

상기 격벽(22)들의 후단부와 케이스(21)의 후단부 사이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즉 격벽(22)들의 후단부 뒤쪽으로 빈 공간과 바닥면이 존재하므로 그 부분을 광점퍼코드의 여장을 정리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광점퍼코드의 여장 정리를 위해 필요한 브라켓 등이 설치될 수 있으나 도시하지는 않았다.A predetermined distance is spaced between the rear ends of the barrier ribs 22 and the rear end of the case 21 . That is, since there is an empty space and a bottom surface behind the rear ends of the bulkheads 22, that portion can be used as a space for arranging the clothes of the optical jumper cords. Brackets necessary for arranging the optical jumper cord may be installed, but are not shown.

상기 격벽(22)의 전단부는 일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곡 형성된 경사부(22a)가 형성된다. 모든 경사부(22a)의 절곡 각도는 동일하며 이에 광점퍼코드 삽입통로의 전단부 폭은 모두 동일하다.The front end of the partition wall 22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22a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one direction. The bending angles of all the inclined portions 22a are the same, and thus the front end widths of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s are all the same.

도 7에서 미설명 부호 23은 ‘전면플레이트’로서 케이스(21)의 전면부에서 격벽(22)이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막아주는 것이다.In FIG. 7, reference numeral 23 is a 'front plate' and blocks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ront of the case 21 where the partition wall 22 is not installed.

도 4,5 및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유닛(10)과 하부유닛(20)이 랙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들 유닛들의 좌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5)들과 격벽(22)들은 서로 반대 방향에 설치된다. 즉 어댑터(15)들은 상부유닛(10)에서 폭방향 왼쪽으로 치우쳐 설치되고 그에 반해 격벽(22)들은 하부유닛(20)에서 폭방향 오른쪽으로 치우쳐 설치된다.4, 5 and 6, 7,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unit 10 and the lower unit 20 are installed in the rack, the adapters 15 and the bulkhead 22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se units ) are installed in opposite directions. That is, the adapters 15 are installed skewed to the left side of the upper unit 10 in the width direction, whereas the bulkheads 22 are installed skewed to the right side of the lower unit 20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와 같은 위치 관계와 상기 경사부(22a)에 의해서 격벽(22)들의 사이(광점퍼코드 삽입통로)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된 광점퍼코드는 코드가 과도하게 꺾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어댑터(15)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광점퍼코드의 헤드부에 스트레스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 above-mentioned positional relationship and the optical jumper cord drawn forwar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arrier ribs 22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by the inclined portion 22a can be naturally connected to the adapter 15 without excessive bending of the cord. Therefore, stress does not occur in the head part of the optical jumper cord.

이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The operation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상기 상부유닛(10)과 하부유닛(20)은 랙에 설치될 때 도 4,5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된다.When the upper unit 10 and the lower unit 20 are installed in the rack, they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상부유닛(10)과 하부유닛(20)은 각각의 외부케이스(11) 및 케이스(21)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마운팅플랜지(11a, 21a)가 랙의 대응 부분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됨으로써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upper unit 10 and the lower unit 20 are formed by fixing the outer case 11 and the mounting flanges 11a and 21a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ase 21 to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rack wit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The installation state can be maintained stably.

상기와 같은 설치 상태에서 전면은 도 4와 같은 구조이고, 후면은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In the installation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has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and the rear has the s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5.

광케이블은 상부유닛(10)의 삽입홀(11b)을 통해 상부유닛(10)의 내부로 삽입되고, 광점퍼코드는 하부유닛(20)의 격벽(22) 사이에 형성된 광점퍼코드 삽입통로의 후단을 향해 삽입된다. 케이블의 심선과 어댑터(15)에 연결된 연결심선의 접속 작업은 광점퍼코드 연결작업 이전에 선행되어 있다.The optical cable is inserted into the upper unit 10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b of the upper unit 10, and the optical jumper cord is at the rear end of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2 of the lower unit 20. inserted towards The connecting work of the core wire of the cable and the connecting core wire connected to the adapter 15 precedes the connecting work of the optical jumper cord.

상기와 같은 광분배함 설치 상태에서 광분배함과 사용자측 네트워크의 연결을 위해 광점퍼코드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랙의 후방에서 하부유닛(20)의 후면에 마련된 광점퍼코드 삽입통로로 광점퍼코드를 삽입한다.In the above optical distribution box installation state, an optical jumper cord is installed to connect the optical distribution box to the user's network. Insert the jumper cord.

이때 삽입통로 하나당 하나의 광점퍼코드를 삽입하게 되므로 광점퍼코드가 다른 광점퍼코드에 간섭되지 않고 매우 용이하게 하부유닛(20)을 통과할 수 있으며, 따라서 광점퍼코드 삽입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At this time, since one optical jumper cord is inserted per insertion passage, the optical jumper cord can pass through the lower unit 20 very easily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 optical jumper cords, and thus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operation is very easy. .

이후 작업자는 랙의 전면으로 이동하여 광점퍼코드 삽입통로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광점퍼코드의 헤드부(콘넥터)를 잡고 당겨 대응하는 어댑터(15)에 꽂아 연결을 완료한다.Thereafter, the operator moves to the front of the rack, grabs and pulls the head (connector) of the optical jumper cord protruding forward of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and inserts it into the corresponding adapter 15 to complete the connection.

이때 역시 광점퍼코드에 다른 광점퍼코드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광점퍼코드를 쉽게 잡아 당겨 삽입통로로부터 인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22a)에 의해 광점퍼코드의 인출방향이 자연스럽게 어댑터(15)쪽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에 더하여 어댑터(15)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광점퍼코드를 어댑터(15)에 매우 쉽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점퍼코드의 헤드부에 과도한 꺾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여유 있는 곡률 반경이 확보됨) 콘넥터와 코드의 연결부에 물리적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헤드부 내부의 코어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광접속 품질의 저하가 방지된다.At this time, since other optical jumper cords do not contact the optical jumper cord, the optical jumper cord can be easily pulled out from the insertion passage, and the optical jumper cord is naturally drawn toward the adapter 15 by the inclined portion 22a. direction, and in addition, since the adapter 15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optical jumper cord can be connected to the adapter 15 very easily, and the head of the optical jumper cord is excessively bent. Since this does not occur (a marginal radius of curvature is secured), physical stress is not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or and the cord. Therefore, since the core inside the head unit is not damaged, deterioration of optical connection quality is prevented.

한편, 상기 광점퍼코드 삽입통로의 전단과 후단 바닥 부분에는 각 삽입통로 고유의 식별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삽입통로의 전단부의 경우에는 경사부(22a)에도 식별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식별번호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여 어댑터(15)에도 광점퍼코드 삽입통로에 형성된 순번과 동일한 순번으로 각각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Meanwhile, identification numbers unique to each insertion passage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and rear bottom portions of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In the case of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 passage, an identification number may also be displayed on the inclined portion 22a.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identification numbers are consecutively assigned from left to right or from right to left. Correspondingly, each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may be assigned to the adapter 15 in the same order as the order formed in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상기와 같이 광점퍼코드 삽입통로마다 고유의 식별번호가 부여됨으로써 광점퍼코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 효율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s assigned to each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the optical jumper cord can be easily identified, thereby facilitating maintenance work and improving work efficiency.

상기와 같이, 광점퍼코드 하나당 하나의 독립적인 삽입통로가 확보됨으로써 광점퍼코드의 삽입 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 실수에 의한 광점퍼코드 연결 오류가 예방된다. 이러한 효과는 상기 식별번호 표시에 의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one independent insertion passage is secured for each optical jumper cord, it is very easy to insert the optical jumper cord,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preventing an error in connecting the optical jumper cord due to a worker's mistake. This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by the identification number display.

또한 기존에는 광점퍼코드 연결 작업 시 작업자 2인이 1조를 구성하여 랙의 전후에서 작업하였으나,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작업자 1인이 충분히 작업할 수 있으므로 인력 비용이 절반으로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when connecting optical jumper cords, two workers formed a team to work in front and behind the rack, but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ne worker can work sufficiently,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manpower costs by half. .

또한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유닛(20)의 후방부 즉 광점퍼코드 삽입통로가 형성된 부분(격벽(22) 설치부)의 후방에 빈공간이 마련되어 광점퍼코드의 여장 정리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게는 광분배함(100), 넓게는 랙의 사용 상태 미관 향상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n empty spac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lower unit 20, that is, at the rear of the part where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is formed (partition wall 22 installation part), so that the optical jumper cord can be arranged and maintained. In addition to being conveni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optical distribution box 100 in a narrow sense and the rack in a broad sense.

한편, 도 8은 상부유닛(10)과 하부유닛(20)의 하나의 일체형 유닛으로 제작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8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upper unit 10 and the lower unit 20 are manufactured as one integral unit.

도 4,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분배함(100)은 상부유닛(10)과 하부유닛(20)이 독립적인 개별 유닛으로 형성되고, 이들이 각각 랙에 상하 방향으로 인접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광분배함 역할을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In the optical distribution box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and 5, the upper unit 10 and the lower unit 20 are formed as independent individual units, and they are installed adjacent to the rack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so that one It can be used to act as an optical distribution box.

또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분배함(100′)은 상부유닛(10)과 하부유닛(20)이 통합되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distribution box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may be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unit 10 and the lower unit 20 are integrated to form one unit.

이른바 2U(Two Unit) 일체형 타입으로서, 광분배함(100′)은 하나의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커버(120) 내부에 필요한 구성 요소가 모두 설치된다.As a so-called 2U (Two Unit) integrated type, the light distribution box 100' has all necessary components installed inside one lower case 110 and upper cover 120.

하부케이스(110)의 양측판 전단부에는 마운팅플랜지(111)가 형성되어 랙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 mounting flange 111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both side plates of the lower case 110 to be fixed to the rack.

하부케이스(110)의 바닥면에는 상기 격벽(22)이 일정 간격으로 어댑터(15)와 동수로 설치됨으로써 ‘광점퍼코드 삽입통로’들을 형성한다(도면에는 격벽(22)의 전방부인 경사부(22a)만 도시되어 있으나 내부 구조는 도 7에서 설명한 하부유닛(20)의 구조와 동일하다).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 the partition walls 22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at the same number as the adapters 15 to form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s' (in the drawing, the inclined portion, which is the front part of the partition wall 22 ( Although only 22a) is shown, the internal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lower unit 20 described in FIG. 7).

상기 광점퍼코드 삽입통로들이 형성된 공간의 상부에 상기 내부케이스(12)가 설치되는데, 내부케이스(12)는 슬라이드레일(13)을 매개로 하부케이스(110)의 양측벽 상부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원위치로 밀려들어갈 수 있다.The inner case 12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pace where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s are formed. It can be withdrawn or pushed back into place.

내부케이스(12)의 전면에는 광점퍼코드 삽입통로와 동수의 어댑터(15)가 설치된다.The same number of adapters 15 as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s ar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inner case 12.

상기와 같이 광분배함(100′)이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필요 구성을 모두 구비한 2유닛 일체형일 경우, 도 6에 도시된 상부유닛(10)의 외부케이스(11)는 필요 없게 되어 광분배함(100')을 보다 간단한 구조로 가볍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optical distribution box 100' is a two-unit integrated type having all necessary components inside one case, the outer case 11 of the upper unit 10 shown in FIG. The box 100' can be manufactured lightly with a simpler structure.

따라서 광분배함의 생산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취급 및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production cost of the optical distribution box is reduced, and handling and assembly are eas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will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belong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 : 상부유닛 11 : 외부케이스
11a : 마운팅플랜지 11b : 삽입홀
12 : 내부케이스 13 : 슬라이드레일
14 : 트레이 14a : 광접속부
14b : 여장정리부 15 : 어댑터
20 : 하부유닛 21 : 케이스
21a : 마운팅플랜지 22 : 격벽
22a : 경사부 23 : 전면플레이트
100,100′: 광분배함 110 : 하부케이스
111 : 마운팅플랜지 120 : 상부커버
10: upper unit 11: outer case
11a: mounting flange 11b: insertion hole
12: inner case 13: slide rail
14: tray 14a: optical connection
14b: dress organizer 15: adapter
20: lower unit 21: case
21a: mounting flange 22: bulkhead
22a: inclined portion 23: front plate
100,100′: optical distribution box 110: lower case
111: mounting flange 120: upper cover

Claims (13)

후방에서 케이블이 삽입되는 상부유닛과;
다수의 광점퍼코드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하는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에 형성되고, 상기 광점퍼코드 각각에 대해 개별적인 통과 경로를 제공하는 광점퍼코드 삽입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유닛의 케이스 바닥판에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광점퍼코드 삽입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들의 전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광점퍼코드의 인출 방향을 상기 상부유닛에 설치된 어댑터쪽으로 유도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an upper unit into which cables are inserted from the rear;
a lower unit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optical jumper cords pass from the rear to the front;
An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formed in the lower unit and providing an individual passage for each of the optical jumper cords;
A plurality of barrier rib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bottom plate of the case of the lower unit to form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An optical distribu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s of the barrier ribs are bent in one direction to form an inclined portion for guiding an optical jumper cord to an adapter installed in the upper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은 납작한 박스 형상의 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에 내장되고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전면판에 다수의 어댑터가 설치되고, 바닥판에 케이블의 심선과 어댑터에 연결된 연결심선이 광접속되는 트레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unit includes a flat box-shaped outer case and an inner case built into the outer case and withdrawable forward. In the inner case, a plurality of adapters are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and the core wire and adapter of the cable are An optical distribu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a tray to which the connected core wires are optically connected is install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슬라이드레일을 매개로 외부케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case is an optical distribu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outer case via a slide rail.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의 후단은 모두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격벽들의 후단부와 케이스의 후단부 사이에는 광점퍼코드의 여장을 정리할 수 있는 여장정리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ends of the barrier ribs are all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nd a cross-dressing organiz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barrier ribs and the rear end of the case to organize optical jumper cord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점퍼코드 삽입통로의 후방단부와 전방단부에 고유 식별번호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The method of claim 1,
An optical distribu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unique identification numbers are marked on the rear end and the front end of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바닥판과 그에 이어진 양쪽 측면판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를 덮어주는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커버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고, 후방으로부터 케이블이 인입되며, 전면판에 상기 케이블의 심선에 광접속된 다수의 어댑터가 설치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커버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아래쪽 공간으로 삽입된 다수의 광점퍼코드들 각각에 대해 개별적인 통과 경로를 제공하는 광점퍼코드 삽입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판에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광점퍼코드 삽입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들의 전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광점퍼코드의 인출 방향을 상기 어댑터쪽으로 유도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A lower case forming a bottom plate and both side plates connected thereto;
an upper cove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an inner case installed in an upper space of the space formed by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over, into which cables are introduced from the rear, and a plurality of adapters optically connected to the core wires of the cable are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An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providing an individual passage for each of a plurality of optical jumper cords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of the inner case in the space formed by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over,
A plurality of barrier rib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case to form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An optical distribu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s of the barrier ribs are bent in one direction to form an inclined portion to guide an optical jumper cord in a drawing direction toward the adapt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슬라이드레일을 매개로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The method of claim 8,
The inner case is an optical distribu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lower case via a slide rail.
삭제delet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의 후단은 모두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격벽들의 후단부와 하부케이스의 후단부 사이에는 광점퍼코드의 여장을 정리할 수 있는 여장정리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The method of claim 8,
The rear ends of the barrier ribs are all located on the same line, and an optical distribution box is form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barrier ribs and the rear end of the lower case to organize the rear end of the optical jumper cord.
삭제delet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점퍼코드 삽입통로의 후방단부와 전방단부에 고유 식별번호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The method of claim 8,
An optical distribu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unique identification numbers are marked on the rear end and the front end of the optical jumper cord insertion passage.
KR1020200071685A 2020-06-12 2020-06-12 Optical fiber distribution box KR102485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685A KR102485153B1 (en) 2020-06-12 2020-06-12 Optical fiber distribution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685A KR102485153B1 (en) 2020-06-12 2020-06-12 Optical fiber distribution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552A KR20210154552A (en) 2021-12-21
KR102485153B1 true KR102485153B1 (en) 2023-01-06

Family

ID=7916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685A KR102485153B1 (en) 2020-06-12 2020-06-12 Optical fiber distribution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15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971Y1 (en) 2002-09-13 2003-01-24 (주)텔레필드 Shelf for wiring optical cable
KR101078352B1 (en) * 2011-07-27 2011-10-31 최병찬 Composite optical fiber distribution storge shelf
KR101218201B1 (en) 2011-07-28 2013-01-03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Optical fiber distribution fr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951Y1 (en) * 1998-11-26 2001-11-22 조규백 Optical fiber distribution
KR100796211B1 (en) 2007-10-26 2008-01-21 동양정보통신기술(주) Structure of customer device box having fiber ditribution frame
KR100972576B1 (en) * 2008-06-16 2010-07-28 (주)신월정보통신 Optical jumper cord array tool of optical transmission equipment
KR20130031654A (en) * 2011-09-21 2013-03-29 주식회사 케이티 Combination structure of optical jumper code shelf and ra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971Y1 (en) 2002-09-13 2003-01-24 (주)텔레필드 Shelf for wiring optical cable
KR101078352B1 (en) * 2011-07-27 2011-10-31 최병찬 Composite optical fiber distribution storge shelf
KR101218201B1 (en) 2011-07-28 2013-01-03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Optical fiber distribution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552A (en)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2110A (en) Cabinet for an optical cable head
US9995897B2 (en) Adapter panel with lateral sliding adapter arrays
US6925241B2 (en) Drawer for the management of optical fibers
US9134497B2 (en) Fiber optic cable management module and panel
US9423585B2 (en) Fiber optic connectivity system
CN103281596A (en) Adapter panel with lateral sliding adapter arrays
US20190293889A1 (en) Optical wiring rack
WO1997030370A1 (en) Optical fibre distribution system
US10175443B1 (en) Optical fiber rack
US8628157B2 (en) Cabinet cable management
US10859783B2 (en) Fiber optic cable rack
US11073671B2 (en) Termination unit
US8139914B2 (en) Enclosure for housing splice trays
US10641979B2 (en) Optical fiber rack
KR102485153B1 (en) Optical fiber distribution box
US20130228368A1 (en) Wall box and wall mounted plate with integrated ducts
US20210247581A1 (en) Optical Distribution Chassis and Cassette
EP2521234A1 (en) Wall mounted plate with integrated ducts
US5567178A (en) Apparatus for the arrangement of patch panels, supporting optical waveguide plug systems
CN219801785U (en) Wire harness arranging device for network access
EP2538255B1 (en) Cable coupling device with overlength storage for jumper cables
KR100289845B1 (en) Connector shelf
JP4753802B2 (en) Optical wiring board and jumper cord laying method
JPH03175699A (en) Rack system
WO2006125952A1 (en) Cable managemen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