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118B1 - 다이얼 회전 방식의 접이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다이얼 회전 방식의 접이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118B1
KR102485118B1 KR1020220098691A KR20220098691A KR102485118B1 KR 102485118 B1 KR102485118 B1 KR 102485118B1 KR 1020220098691 A KR1020220098691 A KR 1020220098691A KR 20220098691 A KR20220098691 A KR 20220098691A KR 102485118 B1 KR102485118 B1 KR 102485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clutch
dial
inclined surface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주)동연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연디자인 filed Critical (주)동연디자인
Priority to KR102022009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2003/008Folding or stowable tables the underframe parts being stored in recesses in the underside of the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다이얼 회전 방식의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상판, 테이블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다리부, 테이블상판의 하면에 부착되어 복수 개의 다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회전브래킷, 및 다이얼의 회전에 연동하는 클러치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각 회전브래킷에 상기 클러치가 체결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각 회전브래킷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복수 개의 회전구속부를 포함함으로서 사용자가 매우 작은 힘으로 안전하게 테이블을 접고 펼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얼 회전 방식의 접이식 테이블 {Folding table of dial rotation type}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접거나 펴질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테이블은 상판이 고정되어 있어 여러 개를 보관할 때에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운반할 때에도 부피가 커서 매우 불편하다. 근래 들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이식 테이블이 등장하였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29305호 "접이식 테이블"은 상판 저면에 설치되어 상판의 접고 펴는 동작을 제어하는 록킹수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록킹수단은 인장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음에 따라 상판을 접고 펴는 과정에서 상당한 힘이 요구되어 불편하고 과한 힘을 사용할 시 스프링의 탄성 한도를 넘어 소성 변형이 일어나 상판을 접고 펼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17146호 "테이블 상판의 각도조절장치"는 상판 지지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에 의해 회동하는 단속부재의 일단이 상판 지지대의 상부를 통해 축고정 프레임의 축 고정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됨에 따라 상판의 접고 펴는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수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동수단은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음에 따라 상판을 접고 펴는 과정에서 상당한 힘이 요구되어 불편하고 과한 힘을 사용할 시 스프링의 탄성 한도를 넘어 소성 변형이 일어나 상판을 접고 펼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사용자의 조작 부위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다칠 수 있다.
사용자가 매우 작은 힘으로 안전하게 테이블을 접고 펼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블의 접힌 상태나 펼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은 평판 형상의 테이블상판; 상기 테이블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다리부; 상기 테이블상판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 개의 다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회전브래킷; 및 다이얼의 회전에 연동하는 클러치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상기 각 회전브래킷에 상기 클러치가 체결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각 회전브래킷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복수 개의 회전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다리부에 결합된 각 회전브래킷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다리부에 대해 상기 테이블상판이 접힌 상태가 되거나 펼친 상태가 된다.
상기 각 회전구속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회전브래킷에 체결되거나 상기 각 회전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되는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회전브래킷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에 끼워지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로부터 빠져 나오는 구조에 의해 상기 각 회전브래킷에 체결되거나 상기 각 회전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각 회전구속부는 상기 다이얼의 회전 운동을 상기 클러치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다이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변환샤프트에 의해 직선 이동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로부터 빠져 나오게 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 고정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환샤프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 회전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환샤프트는 상기 다이얼에 결합되어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이 상기 고정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밀어냄에 따라 상기 클러치는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이 상기 고정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밀어냄에 따라 상기 회전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과 상기 고정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간의 접촉 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회전레일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로부터 빠져 나오게 될 수 있다.
상기 각 회전구속부는 상기 클러치를 감싸는 클러치하우징; 및 상기 클러치하우징과 상기 클러치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직선 이동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에 끼워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가 상기 직선 이동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이 상기 회전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에 올라탐에 따라 상기 회전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과 상기 고정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간의 접촉 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에 끼워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복수 개의 회전구속부의 좌측 회전구속부의 클러치와 우측 회전구속부의 클러치 중 어느 한 쪽이 움직이면 다른 한 쪽이 움직이도록 상기 좌측 회전구속부와 상기 우측 회전구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의 회전에 연동하는 클러치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각 회전브래킷에 클러치가 체결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각 회전브래킷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함으로써 사용자가 매우 작은 힘으로 안전하게 테이블을 접고 펼 수 있다. 클러치는 다이얼의 회전 운동을 클러치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샤프트에 의해 직선 이동되어 클러치의 체결돌기가 각 회전브래킷의 체결홀에 끼워지거나 체결홀로부터 빠져 나오는 구조에 의해 각 회전브래킷에 체결되거나 각 회전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테이블의 접힘 또는 펼침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테이블상판의 고정은 회전브래킷의 체결홀에 대한 클러치의 체결돌기의 끼움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프링의 탄성력은 테이블상판의 고정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의 탄성력은 작은 부품인 클러치가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밀어낼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며 사용자는 아주 적은 힘으로 테이플상판의 고정을 조작할 수 있어 편리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4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전구속부(6)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회전구속부(6)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클러치하우징(64)과 그 내부 부품들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에서의 회전브래킷(5)의 체결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변환샤프트(63)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매우 작은 힘으로 다이얼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안전하게 테이블을 접고 펼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블의 접힌 상태나 펼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접이식 테이블을 간략하게 "접이식 테이블"로 호칭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접이식 테이블의 펼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에서 테이블상판(1)이 제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접이식 테이블의 접힌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구성요소들 중 외부에서 관찰이 어려운 구성요소가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도 4에는 테이블상판(1)과 가림판(2)이 생략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은 테이블상판(1), 가림판(2), 복수 개의 다리부(3), 다리연결부(4), 복수 개의 회전브래킷(5), 및 복수 개의 회전구속부(6)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철재로 제작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다리부(3)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다리부(3)로 구현된다. 복수 개의 회전브래킷(5)과 복수 개의 회전구속부(6)도 일반적으로 다리부(3)의 개수에 대응하여 두 개의 회전브래킷(5)과 두 개의 회전구속부(6)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리부(3), 회전브래킷(5), 및 회전구속부(6) 각각의 개수가 두 개 외에 다른 개수로 본 실시예가 변형되어 설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리부(3), 회전브래킷(5), 및 회전구속부(6) 각각의 개수를 두 개로 특정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테이블상판(1)은 약간의 두께를 가진 사각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책이나 노트북 같은 개인 물품을 두어 공부, 독서, 필기, 문서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테이블상판(1)은 일반적으로 목재로 제작되고, 회전브래킷(5)에 탑재되어 회전브래킷(5)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테이블상판(1)은 평상시에는 복수 개의 다리부(3)에 대해 펼친 상태로 사용되며, 보관 혹은 운반시에는 복수 개의 다리부(3)에 대해 접힌 상태로 사용된다.
가림판(2)은 양쪽 다리부(3) 사이의 빈 공간에 설치되어, 의자에 앉아 접이식 테이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림판(2)은 양쪽 다리부(3)가 벌어지거나 좁아지지 않도록 거리를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가림판(2)은 철재 혹은 목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더운 여름 통풍에 유리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다리부(3)는 테이블상판(1) 하측에 위치하여 테이블상판(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각 다리부(3)는 메인다리(31), 보조다리(32), 및 다리브래킷(33)으로 구성된다. 메인다리(31)는 일반적으로 철재로 제작되며 테이블상판(1)의 주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다리(32)는 일반적으로 철재로 제작되며 메인다리(31)가 넘어지지 않도록 메인다리(31)를 지지하면서 테이블상판(1)의 하중 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리브래킷(33)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메인다리(31)와 보조다리(32) 사이에 삽입되어 메인다리(31)와 보조다리(3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접이식 테이블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메인다리(31)가 보조다리(32)보다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여러 개의 접이식 테이블을 보관하고자 할 때에 여러 개의 접이식 테이블을 포개서 보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관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이식 테이블의 운반 시에도 포개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접이식 테이블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메인다리(31)와 보조다리(32) 각각의 하단에는 바퀴(34)가 부착되어 있다.
다리연결부(4)는 두 개의 다리부(3)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두 개의 다리부(3)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리연결부(4)는 두 개의 바홀더(41), 크로스바(42), 연결로드(43)로 구성된다. 두 개의 바홀더(41) 각각은 원통형으로 두 개의 메인다리(31) 각각의 상단에 부착된다. 크로스바(42)는 원통관 형태로 두 개의 메인다리(31) 상단에 부착된 두 개의 두 개의 바홀더(41)에 끼워짐으로써 두 개의 메인다리(31)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두 개의 메인다리(31)를 연결한다. 또한, 크로스바(42)는 그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로드(43)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크로스바(42)에는 가방 등을 걸 수 있는 행거 등이 부착될 수 있다.
연결로드(43)는 크로스바(42) 내부에 위치하여 두 개의 회전구속부(6)의 좌측 회전구속부(6)의 클러치(62)와 우측 회전구속부(6)의 클러치(62) 중 어느 한 쪽이 움직이면 다른 한 쪽이 움직이도록 좌측 회전구속부(6)와 우측 회전구속부(6)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로드(43)는 긴 사각막대 형태로 그 양단에는 육각홈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로드(43)의 양단 육각홈 중 좌측 육각홈에는 좌측 회전구속부(6)의 변환샤프트(63)의 육각쐐기형 말단이 끼워지고, 우측 육각홈에는 우측 회전구속부(6)의 변환샤프트(63)의 육각쐐기형 말단이 끼워진다.
두 개의 회전브래킷(5)은 테이블상판(1)의 하면에 부착되어 두 개의 다리부(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각 회전브래킷(5)은 횡단면 "L" 형 브래킷으로서 수평판과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수평판 부분이 테이블상판(1)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그 수직판 부분이 각 다리부(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각 회전브래킷(5)의 수직판 부분에는 각 다리부(3)와의 회전 결합을 위해 네 개의 체결홀(51)이 형성되어 있다. 각 다리부(3)에 결합된 각 회전브래킷(5)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복수 개의 다리부(3)에 대해 테이블상판(1)이 접힌 상태가 되거나 펼친 상태가 된다.
복수 개의 회전구속부(6)는 다이얼(61)의 회전에 연동하는 클러치(62)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각 회전브래킷(5)에 클러치(62)가 체결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각 회전브래킷(5)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전구속부(6)는 스프링(65)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브래킷(5)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이 아니라, 다이얼(61)의 회전에 연동하는 클러치(62)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각 회전브래킷(5)에 클러치(62)가 체결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각 회전브래킷(5)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사용자가 매우 작은 힘으로 안전하게 테이블을 접고 펼 수 있다.
도 5는 도 1~4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전구속부(6)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회전구속부(6)의 분해도이다. 도 5, 6을 참조하면, 각 회전구속부(6)는 다이얼(61), 클러치(62), 변환샤프트(63), 클러치하우징(64), 스프링(65), 및 커버(66)로 구성된다. 다이얼(61)은 원통캡 형태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한다. 다이얼(61)의 사용자 조작면 반대쪽에는 변환샤프트(63)와의 끼움 결함을 위한 육각홈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얼(61)은 사용자의 회전력을 직접 받아들여 변환샤프트(6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클러치(62)는 다이얼(61)의 회전에 따라 각 회전브래킷(5)에 체결되거나 각 회전브래킷(5)으로부터 분리된다. 클러치(62)는 원통캡 형태로 각 회전브래킷(5)과의 체결을 위해 그 원형 평면의 가장 자리에는 일정 간격으로 네 개의 체결돌기(621)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62)는 다이얼(61)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되어 클러치(62)의 네 개의 체결돌기(621)가 각 회전브래킷(5)의 네 개의 체결홀(51)에 끼워지거나 각 회전브래킷(5)의 네 개의 체결홀(51)로부터 빠져 나오는 구조에 의해 각 회전브래킷(5)에 체결되거나 각 회전브래킷(5)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62)의 네 개의 체결돌기(621)가 각 회전브래킷(5)의 네 개의 체결홀(51)에 끼워지는 구조에 의해 클러치(62)는 각 회전브래킷(5)에 체결되기 때문에 테이블의 접힘 또는 펼침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클러치(62)의 네 개의 체결돌기(621)가 회전브래킷(5)의 네 개의 체결홀(51)에 끼워져 회전브래킷(5)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준다. 사용자가 상판을 접거나 펴기 위해 다이얼(61)을 돌리면, 클러치(62)는 변환샤프트(63)로부터 힘을 받아 클러치하우징(64) 내부로 들어가면서 회전브래킷(5)으로부터 이격되고 회전브래킷(5)은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다이얼(61)에서 손을 떼어 클러치(62)가 힘을 받지 않게 되면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로 밀려나며 다시 회전브래킷(5)과 체결되어 테이블상판(1)이 고정된다.
클러치(62) 원형 평면의 중심에는 변환샤프트(63)가 통과하는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62) 원형 평면의 중심홀 주변에는 두 개의 고정레일(622)이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고정레일(622)은 그 각각이 하나의 경사면과 세 개의 수직면을 갖는 삼각뿔 형태로 두 개의 고정레일(622)의 경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클러치(62) 원형 평면의 중심홀 주변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각 고정레일(622)의 경사, 수직은 클러치(62)의 원평 평면을 기준으로 한다. 클러치(62)는 이러한 두 개의 고정레일(622)을 통해 변환샤프트(63)로부터 그것의 직선 이동을 위한 힘을 받게 된다. 클러치(62)의 둘레면에는 클러치(62)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두 개의 레일홈(623)이 형성되어 있다.
변환샤프트(63)는 다이얼(61)의 회전 운동을 클러치(62)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클러치(62)는 다이얼(61)이 회전함에 따라 변환샤프트(63)에 의해 직선 이동되어 클러치(62)의 네 개의 체결돌기(621)가 각 회전브래킷(5)의 네 개의 체결홀(5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변환샤프트(63)는 육각막대 형태로 그 말단(631)은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로드(43)의 양단 육각홈 중 어느 한 쪽에 끼워진다. 변환샤프트(63)의 말단 반대쪽 단부(633)는 육각헤드형으로 형성되어 다이얼(61)의 육각홈에 끼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로드(43)의 양단 육각홈 중 좌측 육각홈에는 좌측 회전구속부(6)의 변환샤프트(63)의 육각쐐기형 말단(631)이 끼워지고, 우측 육각홈에는 우측 회전구속부(6)의 변환샤프트(63)의 육각쐐기형 말단(631)이 끼워진다.
좌측 회전구속부(6)의 변환샤프트(63)의 육각헤드형 단부(633)는 좌측 다이얼(61)에 끼워지고 우측 회전구속부(6)의 변환샤프트(63)의 육각헤드형 단부(633)는 우측 다이얼(61)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각 다이얼(61)은 그것에 끼움 결합된 변환샤프트(63)를 통해 연결로드(43)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양쪽 다이얼(61) 중 어느 한 쪽의 다이얼(61)을 돌리는 것만으로 다른 쪽이 함께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쪽 다이얼(61) 중 어느 하나만을 돌려서 편리하게 테이블상판(1)을 접고 펼 수 있다.
변환샤프트(63)의 둘레면에는 두 개의 회전레일(632)이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회전레일(632)은 그 각각이 하나의 경사면, 하나의 수평면, 두 개의 수직면을 갖는 삼각뿔 형태로 두 개의 회전레일(632)의 경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변환샤프트(63)의 둘레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각 회전레일(632)의 경사, 수평, 수직은 변환샤프트(63)의 길이방향 면을 기준으로 한다. 변환샤프트(63)는 다이얼(61)에 결합되어 다이얼(6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과정에서 변환샤프트(63)의 두 개의 회전레일(632)의 경사면이 클러치(62)의 두 개의 고정레일(622)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밀어냄에 따라 클러치(62)는 직선 이동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변환샤프트(63)의 육각 헤드형 단부(633)는 다이얼(61)에 끼움 결합되어 다이얼(61)의 회전력을 두 개의 회전레일(632)에 전달한다. 변환샤프트(63)의 두 개의 회전레일(632)은 받아들인 회전력으로 클러치(62)의 두 개의 고정레일(622)을 밀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변환샤프트(63)가 회전하면, 변환샤프트(63)의 두 개의 회전레일(632)의 경사면은 클러치(62)의 두 개의 고정레일(622)의 경사면을 밀어내게 되어 클러치(62)가 직선으로 밀리는 현상을 야기한다. 본 실시예에서 직선 이동하는 것은 클러치(62)만이며, 변환샤프트(63)는 제자리에서 회전만 하며 힘을 받은 클러치(62)가 클러치하우징(64) 내부로 들어감에 따라 회전브래킷(5)과의 체결이 풀어지게 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클러치하우징(64)과 그 내부 부품들의 확대도이다. 도 7의 (a)는 도 6에 도시된 클러치하우징(64) 내부에 위치하는 부품들의 배치도이고, 도 7의 (b)에는 클러치하우징(64)의 내부가 노출되는 방향으로 클러치하우징(64)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러치하우징(64)은 원통캡 형태로 각 회전브래킷(5)의 수직판 부분의 외면에 부착된 커버(66)와 결합되어 각 회전브래킷(5)의 수직판 부분의 내면에 부착되며 각 회전브래킷(5)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부품들, 즉 클러치(62), 스프링(65), 변환샤프트(63) 일부를 감싼다.
이와 같이, 클러치하우징(64) 내부에는 클러치(62), 스프링(65), 변환샤프트(63)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특히, 클러치하우징(64)은 스프링(65)이 외부 충격에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과 함께 스프링(65)이 그것의 탄성 방향으로만 힘을 받아들이고 방출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클러치하우징(64)의 함몰면에는 두 개의 고정돌기(641)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하우징(64)의 두 개의 고정돌기(641)는 클러치(62) 둘레면의 두 개의 레일홈(6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어 변환샤프트(63)로부터 힘을 받은 클러치(62)가 어느 한 방향으로만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각 고정돌기(641)에는 커버(66)와의 결합을 위한 너트형 홀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65)은 압축스프링 형태로 클러치하우징(64)의 바닥면과 클러치(62) 사이에 삽입된다. 사용자가 다이얼(61)에 대해 어떤 조작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클러치(62)에 스프링(65)의 탄성력만 작용하게 된다. 클러치(62)는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다이얼(61) 회전에 의한 직선 이동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어 클러치(62)의 네 개의 체결돌기(621)가 각 회전브래킷(5)의 네 개의 체결홀(51)에 끼워지게 된다. 스프링(65)의 탄성력이 너무 약하면 클러치(62)가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충분히 밀어내지 못해 테이블상판(1)이 고정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탄성력이 너무 세면 사용자가 다이얼(61)을 돌릴 때 큰 힘이 필요해 불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상판(1)의 고정은 회전브래킷(5)의 네 개의 체결홀(51)에 대한 클러치(62)의 네 개의 체결돌기(621)의 끼움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프링(65)의 탄성력은 테이블상판(1)의 고정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65)의 탄성력은 작은 부품인 클러치(62)가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밀어낼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며 사용자는 아주 적은 힘으로 테이블상판(1)의 고정을 조작할 수 있어 편리하고 스프링(65)의 탄성력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커버(66)는 원통캡 형태로 각 회전브래킷(5)의 수직판 부분의 내면에 부착된 클러치하우징(64)과 결합되어 각 회전브래킷(5)의 수직판 부분의 외면에 부착되며 회전브래킷(5)의 수직판 부분의 네 개의 체결홀(51)을 덮는다. 커버(66)의 원형 평면에는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볼트(67)가 커버(66)의 두 개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클러치하우징(64)의 두 개의 고정돌기(641)에 체결됨으로써 커버(66)는 클러치하우징(64)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66)는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62), 변환샤프트(63), 회전브래킷(5)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클러치(6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에서의 회전브래킷(5)의 체결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에는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회전브래킷(5)과 클러치(62)의 체결 모습이 확대 도시되어 있고, 도 8의 (b)에는 접이식 테이블이 접힌 상태에서의 회전브래킷(5)과 클러치(62)의 체결 모습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회전브래킷(5)의 네 개의 체결홀(51)은 두 개의 장홀(511)과 두 개의 단홀(512)로 구분된다. 회전브래킷(5)과 클러치(62)의 체결 시에 각 장홀(511)에는 클러치하우징(64)의 고정돌기(641) 하나와 클러치(62)의 체결돌기(621) 하나가 위치하게 되고, 각 단홀(512)에는 클러치(62)의 체결돌기(621) 하나가 위치하게 된다.
각 장홀(511)에는 클러치하우징(64)의 고정돌기(641) 하나가 항상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회전브래킷(5)과 클러치(62)의 분리 시에는 회전브래킷(5)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고 회전브래킷(5)과 클러치(62)의 체결 시에는 회전브래킷(5)의 회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에서 단홀(512)에 끼워진 클러치(62)의 체결돌기(621)는 접힌 상태에서는 장홀(511)에 끼워지게 되고, 반대로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에서 장홀(511)에 끼워진 클러치(62)의 체결돌기(621)는 접힌 상태에서는 단홀(512)에 끼워지게 진다. 이에 따라, 회전브래킷(5)은 서로 다른 회전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은 사용자가 다이얼(61)에 대해 어떤 조작도 않은 상태에서는 회전브래킷(5)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가 되어 테이블상판(1)의 회전이 불가능하다. 즉, 무조작 상태에서는 각 회전구속부(6)의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62)가 밀려나 클러치(62)가 각 회전브래킷(5)의 수직판 내면에 밀착된 위치에 있게 되며 클러치(62)의 네 개의 체결돌기(621)가 회전브래킷(5)의 네 개의 체결홀(51)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브래킷(5)이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변환샤프트(63)의 확대도이다. 도 9의 (a)에는 변환샤프트(63)의 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의 (b)에는 변환샤프트(63)의 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각 회전브래킷(5)의 회전 구속 해제는 다음과 같은 동작 메커니즘로 진행된다. 사용자가 다이얼(61)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변환샤프트(63)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변환샤프트(63)는 좌우로 움직일 수 없고 클러치(62)만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변환샤프트(6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변환샤프트(63)의 두 개의 회전레일(632)은 클러치(62)의 두 개의 고정레일(622)을 밀어내게 된다.
무조작 상태에서는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62)가 밀려나 변환샤프트(63)의 두 개의 회전레일(632)의 경사면과 클러치(62)의 두 개의 고정레일(622)의 경사면은 최대 면적으로 접촉되어 포개져 있게 된다. 이 때 두 개의 회전레일(632)과 두 개의 고정레일(622)은 서로 하나씩 쌍을 이루어 최대한 밀착되어 접촉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변환샤프트(6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각 회전레일(632)의 경사면이 각 고정레일(622)의 경사면을 밀어냄에 따라 각 회전레일(632)의 경사면과 각 고정레일(622)의 경사면간의 접촉 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클러치(62)는 변환샤프트(63)의 회전레일(632)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어 스프링(65)을 누르면서 클러치하우징(64)에 진입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다이얼(61) 회전이 계속됨에 따라 변환샤프트(63)의 회전도 계속되어 클러치(62)의 네 개의 체결돌기(621)가 회전브래킷(5)의 네 개의 체결홀(5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될 때까지 클러치(62)는 계속적으로 밀리게 된다. 클러치(62)의 네 개의 체결돌기(621)가 회전브래킷(5)의 네 개의 체결홀(51)로부터 빠져 나오면 회전브래킷(5)은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테이블상판(1)을 접거나 펼 수 있다.
사용자가 테이블상판(1)을 접거나 편 후 다이얼(61)로부터 손을 떼면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62)가 다이얼(61)의 회전에 의한 직선 이동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각 고정레일(622)의 경사면이 각 회전레일(632)의 경사면에 올라탐에 따라 각 회전레일(632)의 경사면과 각 고정레일(622)의 경사면간의 접촉 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클러치(62)의 네 개의 체결돌기(621)는 회전브래킷(5)의 네 개의 체결홀(51)에 끼워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변환샤프트(63)와 다이얼(61)은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돌게 된다. 결국, 클러치(62)는 각 회전브래킷(5)의 수직판 내면에 밀착된 위치에 있게 되며 회전브래킷(5)이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테이블상판
2 ... 가림판
3 ... 다리부
31 ... 메인다리
32 ... 보조다리
33 ... 다리브래킷
4 ... 다리연결부
41 ... 바홀더
42 ... 크로스바
43 ... 연결로드
5 ... 회전브래킷
6 ... 회전구속부
61 ... 다이얼
62 ... 클러치
63 ... 변환샤프트
64 ... 클러치하우징
65 ... 스프링
66 ... 커버

Claims (9)

  1. 평판 형상의 테이블상판(1);
    상기 테이블상판(1)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다리부(3);
    상기 테이블상판(1)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 개의 다리부(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회전브래킷(5); 및
    다이얼(61)의 회전에 연동하는 클러치(62)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상기 각 회전브래킷(5)에 상기 클러치(62)가 체결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각 회전브래킷(5)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복수 개의 회전구속부(6)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다리부(3)에 결합된 각 회전브래킷(5)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다리부(3)에 대해 상기 테이블상판(1)이 접힌 상태가 되거나 펼친 상태가 되고,
    상기 각 회전구속부(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다이얼(61); 및
    상기 다이얼(61)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회전브래킷(5)에 체결되거나 상기 각 회전브래킷(5)으로부터 분리되는 클러치(62)를 포함하고,
    상기 각 회전브래킷(5)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62)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6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62)는 상기 다이얼(6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621)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51)에 끼워지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51)로부터 빠져 나오는 구조에 의해 상기 각 회전브래킷(5)에 체결되거나 상기 각 회전브래킷(5)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각 회전구속부(6)는
    상기 다이얼(61)의 회전 운동을 상기 클러치(62)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샤프트(6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62)는 상기 다이얼(6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변환샤프트(63)에 의해 직선 이동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621)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5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62)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 고정레일(6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환샤프트(63)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 회전레일(6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환샤프트(63)는 상기 다이얼(61)에 결합되어 상기 다이얼(6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레일(632)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이 상기 고정레일(622)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밀어냄에 따라 상기 클러치(62)는 직선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일(632)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이 상기 고정레일(622)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밀어냄에 따라 상기 회전레일(632)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과 상기 고정레일(622)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간의 접촉 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면서 상기 클러치(62)는 상기 회전레일(632)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621)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5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구속부(6)는
    상기 클러치(62)를 감싸는 클러치하우징(64); 및
    상기 클러치하우징(64)과 상기 클러치(62)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65)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62)는 상기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직선 이동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621)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51)에 끼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62)가 상기 직선 이동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레일(622)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이 상기 회전레일(632)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에 올라탐에 따라 상기 회전레일(632)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과 상기 고정레일(622)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간의 접촉 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62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51)에 끼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회전구속부(6)의 좌측 회전구속부(6)의 클러치(62)와 우측 회전구속부(6)의 클러치(62) 중 어느 한 쪽이 움직이면 다른 한 쪽이 움직이도록 상기 좌측 회전구속부(6)와 상기 우측 회전구속부(6)를 연결하는 연결로드(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KR1020220098691A 2022-08-08 2022-08-08 다이얼 회전 방식의 접이식 테이블 KR102485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691A KR102485118B1 (ko) 2022-08-08 2022-08-08 다이얼 회전 방식의 접이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691A KR102485118B1 (ko) 2022-08-08 2022-08-08 다이얼 회전 방식의 접이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118B1 true KR102485118B1 (ko) 2023-01-09

Family

ID=8489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691A KR102485118B1 (ko) 2022-08-08 2022-08-08 다이얼 회전 방식의 접이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1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2385A (zh) * 2021-11-30 2022-02-18 杭州恒丰家具有限公司 翻转锁止机构及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2385A (zh) * 2021-11-30 2022-02-18 杭州恒丰家具有限公司 翻转锁止机构及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5723B2 (en) Folding and tilting table
US4838180A (en) Folding table leg apparatus
US5324064A (en) Adjustable height mechanism for a collapsible support frame
CA2232210C (en) Folding table leg apparatus
US20180146796A1 (en) Collapsible crib frame
US5222705A (en) Tripod having collapsible leg assemblies and extendible neck and latch mechanisms for maintaining leg assemblies and neck in predetermined positions
US20030079661A1 (en) Foldable and portable table
KR20080025133A (ko) 조절 가능한 높은 의자
US5490467A (en) Folding table mechanism
GB2260265A (en) "music stand"
GB2225716A (en) Collapsible non-slipping bed guard
JP2012521847A (ja) 折畳式脚を有する幼児用椅子
KR102485118B1 (ko) 다이얼 회전 방식의 접이식 테이블
CA3049893C (en) Articulated support bracket
CA2296956C (en) Table tennis table
US6578500B2 (en) Collapsible structure
US5595128A (en) Table assembly
US6382716B1 (en) Folding chair with safety guard
US6865985B2 (en) Foldable panel supporter
US20190254417A1 (en) Collapsible Table System
US5386958A (en) Feeding tube support apparatus
US6739560B1 (en) Self-adjusting anti-glide apparatus
US20080229982A1 (en) Change table
EP3746304A1 (en) Convertible printed product collecting assembly
WO2004010824A1 (en) Portable fold up work surface and seat comb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