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065B1 -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065B1
KR102485065B1 KR1020220142391A KR20220142391A KR102485065B1 KR 102485065 B1 KR102485065 B1 KR 102485065B1 KR 1020220142391 A KR1020220142391 A KR 1020220142391A KR 20220142391 A KR20220142391 A KR 20220142391A KR 102485065 B1 KR102485065 B1 KR 10248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evice
power
charging
moving obje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3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8646A (en
Inventor
이원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142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065B1/en
Publication of KR2022015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6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0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4Detection or removal of foreign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Abstract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며, 전력 설비로부터의 전력을 토대로 생성되는 충전 전력을 기반으로 이동체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충전 전력을 상기 이동체에 무선으로 전달하는 충전 장치,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충전 장치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are disclosed.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inside of a housing and the housing, so that a battery of a mobile body can be charged based on charging power generated based on power from a power facility, the charging power as described above. It includes a charging device that wirelessly transmits to a mobile body, a support that is fixed to the ground, and a driving unit that is hing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upport and rotates the housing to raise or lower the charging device.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의 주차 분쟁과 유선 충전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전력 송출부에 금속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resolving parking disputes of electric vehicles and the hassle of wired charging, and preventing metal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attached to power transmission units. It's about how.

전기 자동차는 전용 충전기(급속 혹은 완속)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고, 그 공간에 구비된 충전기를 연결하여 충전하며 충전된 금액만큼 과금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때, 전기 자동차의 전용 충전기(급속 혹은 완속)는 고정형 형태로 벽체에 고정이 되거나 스탠드 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동형 완속 충전기 형태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충전기는 주차공간이 확보된 상태에서 설치되거나 사용되어야 한다. 특히 전기 자동차는 충전하는 동안 그 공간을 점유해야 하는 점을 고려하여, 별도의 전용 주차장 확보가 필요하다.It is a general method to operate an electric vehicle by moving to a place where a dedicated charger (fast or slow) is installed, charging by connecting the charger provided in the space, and charging the charged amount. At this time, the dedicated charger (quick or slow) of the electric vehicle is generally fixed to a wall in a fixed form or installed in a stand type, and is divided into a mobile slow charger form. These chargers must be installed or used with a parking space secured.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electric vehicles must occupy the space during charging,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eparate dedicated parking lot.

그러나 전기차 전용 충전구역은 법적으로 전기차 이외의 내연기관 차량이 주차할 수 없도록 하고 있어 기존 주차 공간이 부족한 노후된 아파트에서는 별도의 전기차용 충전 공간을 만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charging zones exclusively for electric vehicles are legally prohibited from parking vehicles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s other than electric vehicles, making it difficult to create separate charging spaces for electric vehicles in old apartments that lack existing parking spaces.

한편, 요즘에는 유선 충전의 불편함(접속 플러그 규격도 다르고 주차 후 내려서 접속하는 번거로움)을 개선하기 위해, 전자 유도를 통한 무선 충전 PAD(충전용 코일 내장)를 이용한 전기차용 무선 충전 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력 송출부의 송신 플레이트 위에 금속의 이물질이 있게 되면, 과열에 의한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무선 충전 PAD는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of wired charging these days (connecting plug specifications are different, and the hassle of getting down and connecting after park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using a wireless charging PAD (embedded charging coil)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is developed. This is actively being done. However, if there is a metal foreign substance on the transmission plat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here is a risk of fire due to overheating, so the wireless charging PA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must always be kept clean.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5986호(2019.02.15. 공개, 무선충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 장치, 전기차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충전 제어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15986 (2019.02.15. Publication, wireless charging control method and pow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charging control method of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there 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자동차의 주차 분쟁과 유선 충전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전력 송출부에 금속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hassle of wired charging and parking disputes of electric vehicles, and to prevent metal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attach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t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자동차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과금할 수 있도록하여 주차부터 충전 그리고 과금까지 종합적으로 무인화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comprehensively unmanned parking, charging, and billing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and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 and another problem (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며, 전력 설비로부터의 전력을 토대로 생성되는 충전 전력을 기반으로 이동체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충전 전력을 상기 이동체에 무선으로 전달하는 충전 장치,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충전 장치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inside of a housing and the housing, so that a battery of a mobile body can be charged based on charging power generated based on power from a power facility, the charging power as described above. It includes a charging device that wirelessly transmits to a mobile body, a support that is fixed to the ground, and a driving unit that is hing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upport and rotates the housing to raise or lower the charging device.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이동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이동체가 인증된 이동체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 장치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제어부, 상기 이동체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송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device includes a sensing unit that detects the moving object,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moving object is an authorized moving object,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elevate or lower the charging device. It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wirelessly transmits power to the mobile body.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이동체가 인증된 이동체인 경우,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 장치를 하강시키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체가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감지된 이동체가 인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 장치를 승강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tected moving object is an authenticated moving objec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lower the charging device so that the charging device is horizontally positioned on the ground, and detects the moving object through the detecting unit. If not, or if the detected moving object is not authenticated, the charging device may be moved up and down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charging device is locat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본 발명은 상기 충전 장치를 통해 무선 충전이 가능한 이동체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이동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동체 종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를 인증된 이동체로 판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mobile body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through the charging device, and the control unit, when the detected moving object corresponds to the type of moving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mobile body. It can be judged as a certified moving object.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이동체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후, 상기 이동체의 고유 식별정보,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및 충전 진행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may stor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body, a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nd a charging progress time after the battery of the mobile body is completely charged.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체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후,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 장치를 승강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charging device is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when the moving object is not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after the battery charging of the moving object is completed, so that the charging device is moved up and down. can make it

본 발명에서 상기 전력 송출부는, 상기 충전 전력에 따른 부하 전류가 인가되는 송신 코일이 설치된 송신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transmission plate having a transmission coil to which a load current according to the charging power is applied.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송신 플레이트가 상기 이동체의 수신 플레이트와 동축상에서 정렬되도록, 상기 송신 코일의 부하 전류가 최대가 되는 지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posi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plate by monitoring a point where the load current of the transmitting coil is maximized so that the transmitting plate is coaxially aligned with the receiving plate of the moving body. can do.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전력 송출부로 공급되는 상기 충전 전력을 단속하는 단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속부는, 상기 이동체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전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충전 전력이 상기 전력 송출부로 공급되도록 단락되고, 상기 이동체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전력 송출부로 공급되는 상기 충전 전력이 차단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regulation unit for regulating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regulation unit transmits the charging power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mounted in the mobile body is started. It is short-circuited to be supplied, and can be opened to cut off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mounted in the mobile body is completed.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 장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동체 충전 전용 주차 구역임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거나, 이동체의 충전 가능 여부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unit, and the notification unit may output a signal informing that it is a parking area exclusively for charging movable objects or a signal informing whether charging of movable objects is possib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전력 설비는, 설치된 위치에서 지면을 기준으로 승강하여 지면상에 노출되거나 지면 아래에 매립될 수 있도록 동작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전력 설비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equipment operates so that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relative to the ground at an installed position to be exposed on the ground or buried under the ground,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be provided on top of the power equipment.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충전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충전 장치로 이동체의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body includes a power receiver wirelessly receiving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ing device,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charg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transmitt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body to the charging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an include

본 발명에서 상기 전력 수신부는, 상기 충전 장치의 송신 코일에 인가되는 부하 전류에 의해 유도 전압이 발생하는 수신 코일이 설치된 수신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plate installed with a receiving coil generating an induced voltage by a load current applied to the transmitting coil of the charg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은, 충전 장치가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여 이동체 전용 주차 구역임을 알리는 상태에서, 이동체가 감지되면,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감지된 이동체가 인증된 이동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이동체가 인증된 이동체이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충전 장치를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전력 설비로부터의 전력을 토대로 생성되는 충전 전력을 구비된 전력 송출부를 통해 상기 이동체의 전력 수신부로 전달하여 상기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후, 상기 이동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충전 장치를 상기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oving object is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device is locat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and indicates that it is a parking area exclusively for moving object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etermines that the detected moving object is an authorized moving object. Determining, if the detected moving object is an authenticated moving objec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ositions the charging devic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ground, and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unit provided with charging power generated based on power from a power facility, charg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body by transmitting power to the power receiver of the mobile body, and positioning the charging device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b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en the mobile body is not detected after the battery charging is completed. include

본 발명은 상기 감지된 이동체가 인증된 이동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감지된 이동체가 저장부에 저장된 이동체 종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를 인증된 이동체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moving object is an authorized moving objec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determine the moving object as an authenticated moving object when the detected moving object corresponds to the type of moving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re is.

본 발명은 상기 이동체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이동체의 고유 식별정보,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및 충전 진행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of the mobile body is complete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stor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body, a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nd a charging progress time.

본 발명은 상기 이동체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전력 송출부의 송신 플레이트가 상기 수신 플레이트와 동축상에서 정렬되도록, 송신 코일의 부하 전류가 최대가 되는 지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charg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bod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onitors the point at which the load current of the transmission coil is maximized so that the transmission plat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coaxially aligned with the reception plate. The position of the plate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은, 감지부를 통해 인증된 이동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증된 이동체를 무선으로 충전시킴으로써, 이동체의 주차 분쟁과 유선 충전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cognizes an authenticated moving object through a sensing unit and wirelessly charges the authenticated moving object,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parking the moving object and the hassle of wired charging.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은, 평상 시 충전 장치를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우고 있으므로, 전력 송출부에 금속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rging device is normally erected vertically on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metal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attach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은, 이동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과금할 수 있도록하여 주차부터 충전 그리고 과금까지 종합적으로 무인화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recognize and charge a moving object, so that parking, charging, and charging can be comprehensively unmanned.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주차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충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가 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for a mobi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shown in FIG. 4 .
7 to 10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djusting a position of a transmission plate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an apparatus, a software program, a data stream, or a signal. Even if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discussed only as a method), the implementation of features discuss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an apparatus or program). The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suitable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The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 apparatus such as a processor, which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for example, a computer, microprocessor, integrated circuit, programmable logic device, or the lik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주차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arking spa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은 이동체(10) 및 무선 충전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bile body 10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이동체(10)는 탑재된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체(10)는 예컨대, 전기 자동차, 이동 로봇 등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이동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기 자동차를 예시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The mobile body 10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an installed battery (not shown) and may include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for charging the battery. The mobile body 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devices that move by receiving power through a battery, such as an electric vehicle or a mobile robot, bu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 vehic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전기 자동차는 전기차 충전 주차 공간(1)의 주차 구역(2)으로 진입하여 주차를 하고, 그 주차 구역(2)에 설치된 무선 충전 장치(2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를 통해 내장된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enters the parking area 2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space 1, parks, and wirelessly receives power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nstalled in the parking area 2. ), charging power can be supplied by the built-in battery.

배터리는 전기 자동차의 주행을 위해 전기 자동차의 구동계(미도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더하여, 배터리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다른 충전수단(유선 충전 수단)에 의해서도 충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The battery may supply power to a driving system (not shown) of the electric vehicle to drive the electric vehicle. The battery may be charged by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00 . In addition, the battery may be configured to be charged not only by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00 but also by other charging means (wired charging means) tha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무선 충전 장치(200)는 전기차 충전 주차 공간(장소)(1)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주차 공간(1)은 복수개의 주차 구역(2)으로 나누어지고, 각 주차 구역(2)에는 무선 충전 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주차 구역(2)은 페인트 등에 의해 구획된 주차 공간(1)의 주차 칸 중 하나일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200)는 인증된 이동체(10)만이 주차 구역(2)에 주차(충전)할 수 있도록 주차 구역(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충전 장치(200)는 주차 구역(2)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주차 구역(20)으로 진입하는 이동체(10)가 인증된 이동체(10)이면, 무선 충전 장치(200)는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이동체(10)는 주차 구역(2)에 주차(충전)를 할 수 있다. 만약, 주차 구역(20)으로 진입하는 이동체(10)가 인증된 이동체(10)가 아니면, 무선 충전 장치(200)는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므로(세워진 상태), 무선 충전 장치(200)는 장애물의 역할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동체(10)는 주차 구역(2)에 주차할 수 없게 된다.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devices 200 may be install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space (place) 1 as shown in FIG. 2 .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space 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king areas 2,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be installed in each parking area 2. The parking area 2 may be one of the parking spaces of the parking space 1 demarcated by paint or the lik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be located inside the parking area 2 so that only the authorized moving object 10 can park (charge) in the parking area 2. For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arking area 2. Accordingly, if the moving object 10 entering the parking area 20 is the certified moving object 10,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s l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ground, so the moving object 10 is in the parking area 2 You can park (recharge). If the moving object 10 entering the parking area 20 is not the certified moving object 10,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s positioned vertically on the ground (standing state), s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serves as an obstacle, and due to this, the movable body 10 cannot be parked in the parking area 2.

무선 충전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의 감지 여부에 따라 전기차 전용 주차 구역(2)임을 알리거나 전기 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무선 충전 장치(200)는 전기차 전용 주차 구역(2)을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가 감지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를 충전시키는 충전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notify that it is an electric car parking area 2 or charge the electric car depending on whether an electric car is detected. For example, when an electric vehicle is not detecte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play a role of notifying a parking area 2 dedicated to electric vehicles. When an electric vehicle is detecte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serve as a charger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무선 충전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가 주차하는 지면에 매설되는 전력 설비(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가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전기차 충전 주차 공간(1)의 주차 구역(2)에 주차한 경우, 무선 충전 장치(200)는 전력 설비(20)로부터의 전력을 토대로 생성되는 충전 전력을 기반으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 전력을 전기 자동차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장치(200)는 전력 설비(20)로부터의 전력을 토대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전력 설비(20)는 소정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전력 설비(20)로서 전기를 사용하는 수용가에 지중화 전력 공급을 수행하는 지상 변압기(PAD 형)가 채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설치된 위치에서 지면을 기준으로 승강하여 지면상에 노출되거나 지면 아래에 매립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매립형(매설형) 지상 변압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이동체(10)가 전기 자동차로 구현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전력 설비(20)를 매립형 지상 변압기로 구현하고 지상 변압기의 상단에 무선 충전 장치(200)를 설치한 후, 지상 변압기가 지면 아래에 매립된 상태에서 전기 자동차가 지상 변압기의 상부에 주정차하게 될 경우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배터리가 충전되는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be installed on a power facility 20 buried in the ground where the electric vehicle parks. When an 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2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space 1 to charge the batter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s based on the charging power generated based on the power from the power facility 20 Charging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00 of the electric vehicle so that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harged. That i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generate charging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power from the power facility 20 . At this time, the power facility 20 should be able to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ground transformer (PAD type) that supplies underground power to consumers using electricity may be employed as the power facility 20. Furthermo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buried type (embedded) ground transformer that operates so that it can be elevated on the ground at the installed position and exposed on the ground or buried under the ground. That is, considering that the mobile body 10 can be implemented as an electric vehicle, the power facility 20 is implemented as a buried ground transformer, and after install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on top of the ground transformer, the ground transformer An embodiment in which a battery mounted in an electric vehicle is charged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and stopped on top of a ground transformer in a buried state may be implemen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for a mobi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10)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는 통신부(110), 전력 수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의 구성은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00 of the mobile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power receiver 120, and a control unit 130.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00 described above is not necessarily an essential configur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or fewer components.

통신부(110)는 무선 충전 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동체 식별정보, 충전 속도와 같은 충전 효율, 충전된 정도 등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충전 장치(200)를 향해 일방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일방향 통신 수단일 수도 있고, 무선 충전 장치(200)와 쌍방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일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component that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and can transmit charging information including moving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harging efficiency such as charging speed, charging degree, etc.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a one-way communication means for generating a signal in one direction towar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or may be a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n both directions.

전력 수신부(120)는 무선 충전 장치(2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아 배터리에 전달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120)는 예를 들어 전자기 코일 패널일 수 있으며, 전자기 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으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전력 수신부(120)는 무선 충전 장치(200)의 전력 송출부(223)에 설치된 송신 코일에 인가되는 부하 전류에 의해 유도 전압이 발생하는 수신 코일이 설치된 수신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receiver 120 may wirelessly receive power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and transfer the power to the battery. The power receiving unit 120 may be, for example, an electromagnetic coil panel, and may receive power wirelessly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resonance method. That is, the power receiving unit 120 may include a receiving plate installed with a receiving coil in which an induced voltage is generated by a load current applied to a transmitting coil installed in the power transmitting unit 223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이러한 전력 수신부(120)는 차량의 전방측(예를 들어, 엔진룸보다 하측)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wer receiver 12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eg, lower than the engine room),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이동체 식별정보(예: 기종 고유 번호)를 무선 충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장치(200)로부터의 충전 전력을 전력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200)는 이동체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체(10)를 인증(검증)하고, 인증(검증)된 이동체(10)인 경우 전력 송출부(223)를 통해 전력을 송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transmit mobile body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model-specific number)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ransmit charging power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to the power receiver 120. It can be received through the charging of the battery.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can authenticate (verify) the mobile body 10 using the mobile bod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power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3 if the mobile body 10 has been authenticated (verified). there i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충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가 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shown in FIG. 7 to 10 are block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device, and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djusting a position of a transmission plate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00)는 하우징(210), 하우징(210) 내측에 형성되는 충전 장치(220), 구동부(230) 및 지지대(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10, a charging device 220 formed inside the housing 210, a driving unit 230, and a support 240. can include

하우징(210)은 충전장치의 외곽둘레에 설치되는 패널부재로서, 이동체 전용 주차 공간(1)의 각 주차 구역(2)에 고정 설치되는 충전 장치(220)의 외관을 구성하며 빗물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housing 210 is a panel member install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arging device, and constitutes the exterior of the charging device 220 fixedly installed in each parking area 2 of the parking space 1 for movable objects, such as rainwater or dust. It can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nd protect i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지지대(24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240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구동부(230)는 하우징(210)과 지지대(240)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하우징(210)을 회전시킴으로써, 충전 장치(22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unit 230 is hinged between the housing 210 and the support 240 to rotate the housing 210, thereby lifting or lowering the charging device 220.

구동부(230)는 하우징(2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충전 장치(22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하우징(210)(충전 장치(22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수단으로서, 서버모터나 전동모터 등과 같이 제어가능한 모터와 같은 회전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driving unit 23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ousing 210 and is a rotational driving means for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housing 210 (charging device 220) for raising or lowering the charging device 220, and is a server motor. It consists of a rotation driving means such as a controllable motor such as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구동부(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22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체(10)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구동부(230)는 a와 같이 충전 장치(220)가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200)는 이동체(10)(전기차) 전용 주차 구역(2)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증된 이동체(10)가 감지된 경우, 구동부(230)는 b와 같이 충전 장치(220)가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200)는 이동체(10)를 충전시키는 충전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driving unit 230 may raise or lower the charging device 220 . For example, when the moving object 10 is not detected, the driving unit 230 may operate the charging device 220 to be positioned vertically on the ground as in a.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play a role of notifying the parking area 2 dedicated to the mobile body 10 (electric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authenticated moving object 10 is detected, the driving unit 230 may operate the charging device 220 to be horizontally positioned on the ground as shown in b.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serve as a charger for charging the mobile body 10 .

상술한 바와 같이 평상 시 충전 장치(220)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으므로, 전력 송출부(223)에 금속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평상 시 충전 장치(220)는 세워져 있으므로, 금속 이물질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게 되어, 금속 이물질이 전력 송출부(223)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harging device 220 is normally erected vertically on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metal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attached to the power transmitter 223 . That is, since the charging device 220 is normally upright, the metal foreign matter descends downward due to gravity,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tal foreign matter from being attach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3 .

충전 장치(220)는 하우징(210)의 내측에 형성되며, 전력 설비(20)로부터의 전력을 토대로 생성되는 충전 전력을 기반으로 이동체(10)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 전력을 이동체(10)에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harging device 220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210 and supplies charging power to the mobile body so that the battery of the mobile body 10 can be charged based on the charging power generated based on the power from the power facility 20. 10) can be transmitted wirelessly.

이러한 충전 장치(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21), 저장부(222), 전력 송출부(223), 제어부(224), 위치 조정부(225), 단속부(226), 알림부(227), 및 전원 공급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charging device 220 includes a sensing unit 221, a storage unit 222, a power transmission unit 223, a control unit 224, a position adjusting unit 225, a control unit 226, A notification unit 227 and a power supply unit 228 may be included.

감지부(221)는 주차 구역(2)에 진입한 이동체(10)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221)는 이동체 식별정보, 이동체(10)의 번호판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221)는 카메라, QR CODE 스캐너, 하이패스, RFID 인식기, 광학 스캐너, 열화상 카메라, 라이다(레이더), 사용자 단말(핸드폰) 인식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or 221 may detect the moving object 10 entering the parking area 2 . At this time, the sensor 221 may detect moving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license plate of the moving object 10, and the like. The sensing unit 221 may include a camera, a QR code scanner, a high pass, an RFID reader, an optical scanner, a thermal imaging camera, a lidar (radar), a user terminal (cell phone) recognition device, and the like.

저장부(222)는 충전 장치(22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저장부(222)는 공지된 저장매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OM, PROM, EPROM, EEPROM, RAM 등과 같이 공지된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22)에는 무선 충전 장치(200)를 통해 무선 충전이 가능한 이동체(10)의 종류에 대한 정보, 이동체(10)의 충전 완료 정보(이동체(10)의 고유 식별정보, 배터리의 충전량 및 충전 진행 시간 등을 포함함)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되는 정보들은 필요에 따라 제어부(224)에 의해 취사선택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22 is a component that stores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220 . Here, the storage unit 222 may use a known storage medium, and for example, any one or more of known storage media such as ROM, PROM, EPROM, EEPROM, and RAM may be used.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222 includes information on the type of mobile body 10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charging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body 10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body 10, battery (including charging amount and charging progress time) may be stored, and the stored information may be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224 as needed.

제어부(224)는 감지부(221)를 통해 감지된 이동체(10)가 인증된 이동체(10)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충전 장치(22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감지된 이동체(10)가 저장부(222)에 저장된 이동체 종류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224)는 감지된 이동체(10)를 인증된 이동체(10)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24 determines whether the moving object 10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221 is the authenticated moving object 10, and controls the drive unit 23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lift or lower the charging device 220. can be lowered At this time, if the detected moving object 10 corresponds to the type of moving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2, the controller 224 may determine the detected moving object 10 as the authenticated moving object 10.

감지된 이동체(10)가 인증된 이동체(10)인 경우, 제어부(224)는 충전 장치(220)가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충전 장치(2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만약, 감지부(221)를 통해 이동체(10)가 감지되지 않거나 감지부(221)를 통해 감지된 이동체(10)가 인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24)는 충전 장치(220)가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충전 장치(2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When the detected moving object 10 is the certified moving object 10, the control unit 224 may lower the charging device 220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230 so that the charging device 220 is horizontally positioned on the ground. there is. If the moving object 10 is not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221 or the moving object 10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221 is not authenticated, the control unit 224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device 220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charging device 220 may be moved up and down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230 to b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제어부(224)는 감지된 이동체(10)가 충전 허용 이동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이동체(10)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21)가 차량에 탑재된 RFID 단말(예: 하이패스 단말)로부터 이동체(10)의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제어부(224)로 전송하면, 제어부(224)는 이동체(1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10)의 종류를 인식하고, 인식된 이동체(10)의 종류가 저장부(222)에 사전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을 통해 충전 허용 이동체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충전 허용 이동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이동체(10)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24 may charge the battery mounted on the mobile body 10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mobile body 10 is a charging allowable mobile body. For example, when the detection unit 221 recogniz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10 from an RFID terminal (eg, a high-pass terminal) mounted in a vehicle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224, the control unit 224 detec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10 Recognizing the type of the moving object 1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ype of the recognized moving object 10 has been pre-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222 determines whether the charge is allowed. , the battery mounted on the mobile body 10 can be charged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body is allowed to charge.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는 전기차 충전 주차 공간(1)에 주차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므로, 충전 장치(220)는 상시 세워진 상태로 운영될 수 있다. 이때 세워진 부분에 이동체 인식이 가능한 감지부(221)(카메라, QR CODE, 하이패스, RFID, 핸드폰 등 인식)를 부착함으로써, 주차(충전)하려는 이동체(10)가 충전 허용 이동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ince gener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are prohibited from parking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space 1, the charging device 220 may be operated in a standing state at all times. At this time, by attaching the sensing unit 221 (recognition of camera, QR CODE, high pass, RFID, mobile phone, etc.) capable of recognizing the mobile body to the erected par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body 10 to be parked (charged) is allowed to charge. there is.

예를 들면, 감지부(221)가 카메라인 경우, 감지부(221)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해 번호판을 인식하여 제어부(224)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24)는 번호판을 분석하여 전기 자동차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21)가 통신부로 구현된 경우, 감지부(221)는 이동체(10)로부터 이동체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이동체 식별정보를 제어부(224)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24)는 이동체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체(10)가 전기 자동차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tector 221 is a camera, the detector 221 may photograph a license plate of a vehicle, recognize the license plate through the photographed image, and transmit the image to the control unit 224 . Then, the controller 224 may analyze the license plat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n electric vehicle. Also, when the sensing unit 221 is implemented as a communication unit, the sensing unit 221 may receive moving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ving object 10 and transmit the received moving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224 . Then, the controller 224 may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moving object 10 is an electric vehicle by using the moving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즉, 미리 인증된 이동체(10)에 대하여만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무선 충전 장치(200)는 인증된 이동체(10)의 종류를 저장부(222)에 미리 저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4)는 이동체(10)로부터 전송되는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10)의 종류를 인식하고, 인식된 이동체(10)의 종류가 저장부(222)에 존재하는 경우, 그 이동체(10)를 인증된(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동체(10)의 배터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enable battery charging only for the previously authenticated moving object 10,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stores the type of the authenticated moving object 10 in the storage unit 222 in advance. Accordingly, the controller 224 recognizes the type of the moving object 10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ving object 10, and if the recognized type of the moving object 10 exists in the storage unit 222, the type of the moving object 10 is stored. The battery of the mobile body 10 may be charged by determining that the mobile body 10 is authenticated (verified).

또한, 제어부(224)는 전력 송출부(223)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고, 위치 조정부(22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4)는 위치 조정부(225)를 제어함으로써 전력 송출부(223)를 이동시키거나 전력 송출부(223)를 기울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24 may control whether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3 is operated or not, and control driving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25 . The controller 224 may move the power transmitter 223 or tilt the power transmitter 223 by controlling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25 .

이동체(10)에 대한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면, 제어부(224)는 이동체 식별정보, 배터리의 충전량 및 충전 진행 시간을 포함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저장부(222)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2)에 저장된 충전 완료 정보는 이동체(10)의 배터리 충전 이력을 관리하거나 요금 정산에 활용될 수 있다.When battery charging of the moving object 1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224 may store charging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moving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nd a charging progress time in the storage unit 222 . The charge comple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2 may be used to manage a battery charging history of the moving object 10 or to calculate charges.

한편, 제어부(224)는 무선 충전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24)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24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Here, the controller 224 may include all types of devices capable of processing data, such as a processor. Here, a 'processor' may refer to a data processing device embedded in hardware having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functions expressed by codes or instructions included in a program, for example. As an example of such a data processing device built into hardware, a microprocess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cessor core, a multiprocess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ASIC) circuit),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etc.,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력 송출부(223)는 이동체(10)의 전력 수신부(120)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송출부(223)는 충전 전력(즉, 전력 설비(20)의 전원 공급부(228)에 의해 생성되어 이동체(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에 따른 부하 전류가 인가되는 송신 코일이 설치된 송신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tter 223 may wirelessly transmit power to the power receiver 120 of the mobile body 10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3 is a transmission coil to which a load current according to charging power (that is,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228 of the power facility 20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moving object 10) is applied. It may include an installed transmission plate.

즉, 송신 플레이트의 송신 코일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의 수신 플레이트의 수신 코일은 상호 자기적으로 결합하며, 송신 코일에 인가되는 부하 전류에 의해 수신 코일에 유도 전압이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따라 배터리에 대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력 송출부(223)는 전자기 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으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at is, the transmitting coil of the transmitting plate and the receiving coil of the receiving plat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generates an induced voltage in the receiving coil by a load current applied to the transmitting coil. Accordingly, wireless charging of the battery may be performe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3 may wirelessly transmit power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resonance method.

이때,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송신 플레이트 및 수신 플레이트가 동축상에서 정렬될 때(즉, 고정된 이격거리를 갖는 상태에서 이탈거리가 '0'의 값을 가질 때) 송신 코일에 흐르는 부하 전류가 최대가 되어 배터리에 최대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동체(10)가 충전하기 위해 진입하는 방향은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설비(20) 상에서의 이동체(10)의 주차 위치는 고정된 것이 아닌, 이동체(10)의 진입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송신 플레이트 및 수신 플레이트 간의 정렬 오차로 이어지게 된다. 나아가, 이동체(10)에 수신 플레이트가 설치된 위치 또한 복수의 이동체별로 소정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신 플레이트의 위치 오차는 송신 플레이트 및 수신 플레이트 간의 정렬 오차를 가중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when the transmitting plate and the receiving plate are coaxially aligned (ie,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has a value of '0' in the state of having a fixed separation distance), the loa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mitting coil is It becomes maximum so that it can supply maximum power to the battery. However,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body 10 enters for charging may change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parking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10 on the power facility 20 is not fixed, but in the direction of entry of the movable body 1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late, which leads to an alignment error between the transmitting plate and the receiving plate. Furthermore, a predetermined error may exist in the position where the receiv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movable body 10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ovable bodies, and such a positional error of the receiving plate may increase an alignment error between the transmitting plate and the receiving plate.

이에, 무선 충전 장치(200)는 송신 플레이트가 이동체(10)의 수신 플레이트와 동축상에서 정렬되도록, 송신 코일의 부하 전류가 최대가 되는 지점을 모니터링하여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onitors the point where the load current of the transmitting coil is maximized so that the transmitting plate is coaxially aligned with the receiving plate of the mobile body 10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plate 225 can include

위치 조정부(225)는 전력 송출부(223)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위치 조정부(225)는 이동체(10)의 전력 수신부(120)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전력 송출부(22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체(10)의 전력 수신부(120)가 대략적으로 전력 송출부(223) 상에 위치하여 충전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전력 송출부(223)가 최적 충전 상태에 놓이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주차가 잘못되어 전력 수신부(120)가 전력 송출부(223)의 직상방 영역에서 벗어나서 충전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또한, 전기 자동차의 하중 및 전/후륜 타이어 마모의 불균일성 등으로 인해 전력 수신부(120)가 기울어질 경우 충전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위치 조정부(225)는 전력 송출부(223)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전력 송출부(223)는 최적 충전 상태에 놓일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225 may move or rotat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3 . That is, the position adjuster 225 may move the power transmitter 223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ower receiver 120 of the mobile body 10 . Even if the power receiver 120 of the mobile body 10 is located on the power transmitter 223 and can be charged, the power transmitter 223 is not in an optimal charging state. For example,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incorrectly parked, the power receiving unit 120 may deviate from an area immediately above the power transmitting unit 223, and charging efficiency may decrease, and load of the electric vehicle and front/rear tire wear may be uneven, etc. Due to this, when the power receiver 120 is inclined, charging efficiency may decrease. However,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225 moves or rotate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3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3 can be placed in an optimal charging state.

도 8 및 도 9는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 조정부(225)의 구조를 예시로서 도시하고 있으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치 조정부(225)는 Y축 리액션 레일(225a), Y축 고정 샤프트(225b), Y축 구동모터(225c, 예: 리니어 모터)와, X축 리액션 레일(225d), X축 고정 샤프트(225e), X축 구동모터(225f)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송신 플레이트는 Y축 리액션 레일(225a)과 결합되어 형성되며, Y축 구동모터(225c)에 의해 Y축 리액션 레일(225a)이 회전하게 되면 Y축 리액션 레일(225a)의 나사산이 회전하고, 나사산이 없는 Y축 고정 샤프트(225b)를 고정축으로 하여 송신 플레이트는 Y축 구동모터(225c)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에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Y축 리액션 레일(225a)과 Y축 고정 샤프트(225b)는 X축 리액션 레일(225d)과 X축 고정 샤프트(225e)와 결합되어 형성되며, X축 구동모터(225f)의 회전에 의해 Y축 리액션 레일(225a)과 Y축 고정 샤프트(225b)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송신 플레이트는 X축 구동모터(225f)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에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8 and 9 show the structure of the positioning unit 225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plate as an example, and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positioning unit 225 is a Y-axis reaction rail 225a ), a Y-axis fixed shaft 225b, a Y-axis drive motor 225c (eg, a linear motor), an X-axis reaction rail 225d, an X-axis fixed shaft 225e, and an X-axis drive motor 225f. can As shown in FIG. 8, the transmission plate is formed by being coupled with the Y-axis reaction rail 225a, and when the Y-axis reaction rail 225a is rotated by the Y-axis driving motor 225c, the Y-axis reaction rail 225a The screw thread of is rotated, and the transmission plate can be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and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Y-axis driving motor 225c by using the threadless Y-axis fixing shaft 225b as a fixed axis. The Y-axis reaction rail 225a and the Y-axis fixed shaft 225b are formed by combining the X-axis reaction rail 225d and the X-axis fixed shaft 225e, and the Y-axis reaction rail 225d is rotated by the X-axis drive motor 225f. As the reaction rail 225a and the Y-axis fixing shaft 225b move in the X-axis direction, the transmission plate can move in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and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X-axis driving motor 225f.

도 9를 참조하여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가 조정되는 구체적 예시를 설명하면, Y축 구동모터(225c)가 정회전(시계 방향) 함에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Y축 리액션 레일(225a)이 정회전하게 되면, Y축 리액션 레일(225a)에 나사산 결합되어 있는 송신 플레이트의 나사산 결합 부분이 역회전(반시계 방향) 하게 되어 송신 플레이트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동일한 원리로, X축 구동모터(225f)가 정회전(시계 방향) 함에 따라 X축 리액션 레일(225d)이 정회전하게 되어 Y축 리액션 레일(225a)과 Y축 고장 샤프트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송신 플레이트도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a specific exampl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plate is adjusted with reference to FIG. 9, as the Y-axis drive motor 225c rotates forward (clockwise), the threaded Y-axis reaction rail 225a rotates forward. , the threaded portion of the transmission plate threadedly coupled to the Y-axis reaction rail 225a rotates counterclockwise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transmission plate can be moved downward. In the same principle, as the X-axis drive motor 225f rotates forward (clockwise), the X-axis reaction rail 225d rotates forward, and the Y-axis reaction rail 225a and the Y-axis failure shaft move to the right. The transmission plate can also be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치 조정부(225)는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부하 전류가 최대가 되는 지점을 탐색하는 방식으로 송신 플레이트를 수신 플레이트와 동축상에 정렬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25 moves the transmission plate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sequentially while searching for a point where the load current is maximum, so that the transmission plate is coaxial with the reception plate. can be sorted on

한편, 위치 조정부(225)는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할 때, 이동체(10)가 전력 설비(20)에 도달하기 위해 진입하는 방향, 이동체(10)에 수신 플레이트가 설치된 위치, 및 무선 충전 장치(200)에 설치된 송신 플레이트의 기준 위치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이 적용되어 미리 확보된 위치 조정 모델을 이용하여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plate,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25 determin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body 10 enters to reach the power facility 20, the position where the receiving plate is installed in the moving body 1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 200),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plate may be adjusted using a position adjustment model secured in advance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to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plate.

전술한 것과 같이 이동체(10)가 이동체 전용 주차 구역(2)에 주차하기 위해 진입하는 방향은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설비(20) 상에서의 이동체(10)의 주차 위치는 이동체(10)의 진입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또한 이동체(10)에 수신 플레이트가 설치된 위치도 이동체별로 소정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이동체(10)가 전력 설비(20)에 도달하기 위해 진입하는 방향과, 이동체(10)에 수신 플레이트가 설치된 위치는 송신 플레이트 및 수신 플레이트 간의 정렬 오차를 야기하는 변수가 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송신 플레이트 및 수신 플레이트가 신속하게 동축상에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변수를 입력으로 하는 기계 학습을 통해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가 조정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object 10 enters to park in the movable object-only parking area 2 may change according to circumstances, the parking position of the movable object 10 on the power facility 20 is the movable object 10 ), and the location where the receiving plate is installed in the moving body 10 may also have a predetermined error for each moving body.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body 10 enters to reach the power facility 20 and the position where the receiving plate is installed in the movable body 10 are variables that cause an alignment error between the transmitting plate and the receiving plate, this embodiment In an example,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plate may be adjusted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the above variables as inputs so that the transmitting plate and the receiving plate can be rapidly aligned coaxially.

상기와 같은 변수와 함께, 충전 장치(220)에 설치된 송신 플레이트의 초기 위치(즉, 이동체(10)가 주차 구역(2)에 주차한 시점에서의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도 기계 학습에 고려되어야 한다(즉, 위치 조정 모델을 이용하여 송신 플레이트가 조정되어야 하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 조정이 시작되는 기준 위치가 기계 학습에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충전 장치(220)의 제어부(224)는 이동체(10)가 전력 설비(20)에 도달하기 위해 진입하는 방향, 이동체(10)에 수신 플레이트가 설치된 위치, 및 충전 장치(220)에 설치된 송신 플레이트의 기준 위치를 입력으로 하고, 수신 플레이트와 동축상에서 정렬되기 위한 송신 플레이트의 변위를 출력으로 하는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토대로 미리 확보된 위치 조정 모델을 이용하여 위치 조정부(225)를 통해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Along with the above variable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plate installed in the charging device 220 (ie,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plate at the time when the moving object 10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2) should also be considered for machine learning. (That is,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ition to which the transmission plate should be adjusted using the position adjustment model, the reference position at which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ransmission plate starts must be considered in machine learning). Therefore, the control unit 224 of the charging device 220 determin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body 10 enters to reach the power facility 20, the position where the receiving plate is installed in the mobile body 10, and the transmission installed in the charging device 220. Transmitting through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25 using a position adjustment model obtained in advance based on machine learning that takes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plate as an input and outputs the displacement of the transmission plate to be coaxially aligned with the receiving plate. The position of the plate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조정부(225)는 충전 장치(220)를 포함하는 하우징(210)을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전력 송출부(223)를 최적 충전 상태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조정부(225)는 충전 장치(220)를 주차 구역(2)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대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수신부(120)가 전혀 충전이 불가능한 위치에 놓일 때에도 위치 조정부(225)는 주차 구역(2) 전반을 이동하면서 충전이 가능한 대략적인 위치를 찾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25 moves or rotates the housing 210 including the charging device 220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by controll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3. It can be placed in an optimal charging state. At this time,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25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charging device 220 with respect to a partial area or the entire area of the parking area 2 . Therefore, even when the power receiver 120 is placed in a position where charging is impossible at all, the position adjuster 225 can find an approximate position where charging is possible while moving throughout the parking area 2.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조정부(225)는 충전 장치(22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조정부(225)는 예를 들어, 레일, 이러한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바퀴 및 이러한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하 방향 위치 조정부와 상하 방향 위치 조정부 상에서 이동하는 좌우 방향 위치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위치 조정부(225)는 다른 주지의 구동 원리를 갖는 장치가 차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25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order to move the charging device 220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positioning unit 225 may include, for example, a rail, a wheel moving on the rail, and a motor driving the wheel, including a vertical positioning unit and a left-right positioning unit moving on the vertical positioning unit. can do.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 device having a different well-known driving principle may be used as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25 .

한편, 충전 장치(220)는 전력 송출부(223)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단속하는 단속부(22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단속부(226)는 충전 전력이 전력 송출부(223)로 공급되는 라인 상에 접속되는 개폐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속부(226)는 제어부(224)의 제어 하에 이동체(10)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전이 개시되는 경우 충전 전력이 전력 송출부(223)로 공급되도록 단락될 수 있고, 이동체(10)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전력 송출부(223)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이 차단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장치(220)의 전력 손실을 저감시키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rging device 220 may further include a regulation unit 226 that regulates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3, and the regulation unit 226 controls the charging power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3. It can be implemented as an open/close switch connected on a supply line. Accordingly, the intermittent unit 226 may be short-circuited so that charging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3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mounted in the mobile body 10 is star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24, and the mobile body 10 )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mounted on the battery is completed,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3 may be opened to be cut off. Accordingly, power loss of the charging device 220 may be reduced and energy efficiency may be increased.

알림부(227)는 제어부(224)의 제어에 의해 이동체 충전 전용 주차 구역(2)임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거나, 이동체(10)의 충전 가능 여부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24, the notification unit 227 may output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parking area 2 is exclusively for charging mobile bodies or output a signal indicating whether charging of the mobile bodies 10 is possible.

예를 들어, 충전 장치(220)가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알림부(227)는 이동체 충전 전용 주차 구역(2)임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21)를 통해 감지된 이동체(10)가 인증된 경우, 알림부(227)는 인증된 이동체(10)이므로 충전 가능함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21)를 통해 감지된 이동체(10)가 인증되지 않은 이동체(10)인 경우, 알림부(227)는 인증되지 않은 이동체(10)이므로 충전 가능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harging device 220 is horizontally positioned on the ground, the notification unit 227 may output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parking area 2 is exclusively for charging mobile vehicles. In addition, when the moving object 10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221 is authenticated, the notification unit 227 may output a signal indicating that charging is possible because the moving object 10 has been authenticated. In addition, when the moving object 10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221 is an unauthenticated mobile object 10, the notification unit 227 outputs a signal indicating that charging is not possible because it is an unauthenticated mobile object 10. can

이러한 알림부(227)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오디오부(미도시), LED,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227 may be implemented with a display unit (not shown), an audio unit (not shown), an LED, and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전원 공급부(228)는 지상 변압기로 구현될 수 있는 전력 설비(20)로부터 3상(R, S, T) 전력 중 두 개 이상의 상의 교류 전력을 기반으로 무선 충전 장치(200)의 동작 전원(즉, 무선 충전 장치(200)의 각 하위 구성)을 공급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상의 교류 전력을 기반으로 무선 충전 장치(2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상이 전원을 공급하지 못할 경우 나머지 상의 전원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28 is the operating pow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based on the AC power of two or more phases of the three-phase (R, S, T) power from the power facility 20 that can be implemented as a ground transformer (that is, , Each sub-componen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can be supplied. By supplying operating pow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based on AC power of two or more phases, when one phase fails to supply power, operating powe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using the power of the remaining phases.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충전 장치(220)가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여 전기차 전용 주차 구역(2)임을 알리는 상태에서(S1110), 이동체(10)가 감지되면(S1120), 무선 충전 장치(200)는 감지된 이동체(10)가 인증된 이동체(10)인지를 판단한다(S1130). 이때, 감지된 이동체(10)가 저장부(222)에 저장된 이동체 종류에 해당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200)는 감지된 이동체(10)를 인증된 이동체(10)로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in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device 220 is positioned vertically on the ground to indicate that it is an electric vehicle parking area 2 (S1110), when a moving object 10 is detected (S1120),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moving object 10 is the authenticated moving object 10 (S1130). At this time, when the detected moving object 10 corresponds to the type of moving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2,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detected moving object 10 as the authenticated moving object 10.

S1130 단계의 판단결과, 감지된 이동체(10)가 인증된 이동체(10)이면, 무선 충전 장치(200)는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충전 장치(220)를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킨다(S1140). 이때, 무선 충전 장치(200)는 송신 플레이트가 이동체(10)의 수신 플레이트와 동축상에서 정렬되도록, 송신 코일의 부하 전류가 최대가 되는 지점을 모니터링하여 송신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장치(200)는 전력 송출부(223)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전력 송출부(223)를 최적 충전 상태에 놓을 수 있다.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n step S1130, if the detected moving object 10 is the authenticated moving object 10,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controls the driving unit 230 to position the charging device 220 vertically on the ground (S1140 ).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plate by monitoring the point where the load current of the transmission coil is maximized so that the transmission plate is coaxially aligned with the reception plate of the mobile body 10 . That i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place the power transmitter 223 in an optimal charging state by moving or rotating the power transmitter 223 .

S1140 단계가 수행되면, 무선 충전 장치(200)는 전력 설비(20)로부터의 전력을 토대로 생성되는 충전 전력을 기반으로, 전력 송출부(223)를 통해 충전 전력을 이동체(10)의 전력 수신부(120)로 전달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킨다(S1150).When step S1140 is performe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transmits charging power through the power transmitter 223 to the power receiver of the mobile body 10 based on the charging power generated based on the power from the power facility 20 ( 120) to charge the battery (S1150).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후, 무선 충전 장치(200)는 이동체 식별정보, 배터리의 충전량 및 충전 진행 시간을 포함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저장한다(S1160).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후, 이동체(10)가 감지되지 않으면, 무선 충전 장치(200)는 충전 장치(220)를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After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stores charging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moving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nd a charging progress time (S1160). After the battery charge is completed, if the moving object 10 is not detecte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position the charging device 220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만약, S1130 단계의 판단결과, 감지된 이동체(10)가 인증된 이동체(10)가 아니면 무선 충전 장치(200)는 알림부(227)를 통해 인증된 이동체가 아님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한다(S1170). 이때, 충전 장치(220)는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If,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130, if the detected moving object 10 is not the authenticated moving object 10,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outputs a signal informing that it is not an authenticated moving object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227 (S1170). ). At this time, the charging device 220 may be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00) 및 방법은, 감지부(221)를 통해 인증된 이동체(10)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증된 이동체(10)를 무선으로 충전시킴으로써, 이동체(10)의 주차 분쟁과 유선 충전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authenticated moving object 10 through the sensing unit 221, and wirelessly detects the authenticated moving object 10. By charging with,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arking dispute of the mobile body 10 and the hassle of wired charg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00) 및 방법은, 평상 시 충전 장치를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우고 있으므로, 전력 송출부(223)에 금속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rging device is normally placed vertically on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metal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attached to the power transmitter 22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은, 이동체(10)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과금할 수 있도록하여 주차부터 충전 그리고 과금까지 종합적으로 무인화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recognize and charge a moving object 10, so that parking, charging, and billing can be comprehensively unmann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 : 이동체
20 : 전력 설비
100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110 : 통신부
120 : 전력 수신부
130. 224 : 제어부
200 : 무선 충전 장치
210 : 하우징
220 : 충전 장치
221 : 감지부
222 : 저장부
223 : 전력 송출부
225 : 위치 조정부
226 : 단속부
227 : 알림부
228 : 전원 공급부
230 : 구동부
240 : 지지대
10: mobile body
20: power equipment
100: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10: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power receiving unit
130. 224: control unit
200: wireless charging device
210: housing
220: charging device
221: sensing unit
222: storage unit
223: power transmission unit
225: position adjustment unit
226: control department
227: notification unit
228: power supply
230: driving unit
240: support

Claims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며, 전력 설비로부터의 전력을 토대로 생성되는 충전 전력을 기반으로 이동체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충전 전력을 상기 이동체에 무선으로 전달하는 충전 장치;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충전 장치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이동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이동체가 인증된 이동체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 장치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체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송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충전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충전 장치로 이동체의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수신부는,
상기 충전 장치의 송신 코일에 인가되는 부하 전류에 의해 유도 전압이 발생하는 수신 코일이 설치된 수신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housing;
a charging device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wirelessly transferring the charging power to the mobile body so that the battery of the mobile body can be charged based on the charging power generated based on the power from the power facility;
Supports fixed to the ground; and
A drive unit that is hing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upport and rotates the housing to raise or lower the charging device,
The charging device,
a sensing unit that senses the moving object;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moving object is an authorized moving object,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raise or lower the charging device; and
A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to the mobile body;
The mobile body,
a power receiver wirelessly receiving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ing device;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charging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to the charging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power receiver,
A wireless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receiving plate installed with a receiving coil in which an induced voltage is generated by a load current applied to the transmitting coil of the charging device.
KR1020220142391A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KR1024850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391A KR102485065B1 (en)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504A KR102462562B1 (en) 2021-05-24 2021-05-24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KR1020220142391A KR102485065B1 (en)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504A Division KR102462562B1 (en) 2021-05-24 2021-05-24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646A KR20220158646A (en) 2022-12-01
KR102485065B1 true KR102485065B1 (en) 2023-01-09

Family

ID=84043630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504A KR102462562B1 (en) 2021-05-24 2021-05-24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KR1020220142395A KR102485068B1 (en)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KR1020220142390A KR102485074B1 (en)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KR1020220142394A KR102485067B1 (en)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KR1020220142393A KR102485066B1 (en)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KR1020220142392A KR102485064B1 (en)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KR1020220142391A KR102485065B1 (en)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Family Applications Before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504A KR102462562B1 (en) 2021-05-24 2021-05-24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KR1020220142395A KR102485068B1 (en)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KR1020220142390A KR102485074B1 (en)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KR1020220142394A KR102485067B1 (en)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KR1020220142393A KR102485066B1 (en)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KR1020220142392A KR102485064B1 (en) 2021-05-24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46256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7660A1 (en) 2011-03-11 2014-03-06 Kevin Terrill Cornish Method and proces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to automatically engage the charging apparatus of an electric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527B1 (en) * 2016-10-28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57248B1 (en) * 2019-10-28 2022-02-0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ortab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7660A1 (en) 2011-03-11 2014-03-06 Kevin Terrill Cornish Method and proces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to automatically engage the charging apparatus of an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064B1 (en) 2023-01-09
KR102462562B1 (en) 2022-11-07
KR20220158650A (en) 2022-12-01
KR102485068B1 (en) 2023-01-09
KR102485074B1 (en) 2023-01-09
KR102485066B1 (en) 2023-01-09
KR20220158648A (en) 2022-12-01
KR20220158645A (en) 2022-12-01
KR102485067B1 (en) 2023-01-09
KR20220158646A (en) 2022-12-01
KR20220158649A (en) 2022-12-01
KR20220158647A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2995B2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US106040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harging of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US9815377B2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CN107107773B (en) Method and ground unit for inductively charging a vehicle
RU2598491C1 (en) System of non-contact power supply and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TWI712726B (en) Parking lock type smart charging pile and using method thereof
RU2594893C1 (en) Contactless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RU2594175C1 (en) Contactless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CN103568860B (en) vehicle charging system
KR20150120528A (en) Contactless electricity supply system
KR101922781B1 (en) Charging device and contactless power supply device
CN106315100A (en) Intelligent control method of warehousing system
JP2013055803A (en) Non-contact charger
US20200047623A1 (en) Vehicle charging system object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CN110667427B (en) Electric automobile wireless charging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24850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n-contract charging
JPH0917666A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battery charger
KR101226738B1 (en) Car, method for charging thereof,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thereof
KR102530682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using wireless charging kiosk
KR102498464B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KR20230092653A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using smart-phone
KR20220135092A (en) A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apable of Moving along the Parking Area of Charging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