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864B1 - Rotary Button Assembly - Google Patents

Rotary Button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864B1
KR102484864B1 KR1020210008863A KR20210008863A KR102484864B1 KR 102484864 B1 KR102484864 B1 KR 102484864B1 KR 1020210008863 A KR1020210008863 A KR 1020210008863A KR 20210008863 A KR20210008863 A KR 20210008863A KR 102484864 B1 KR102484864 B1 KR 102484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utton
rotary button
slit
rota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8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5916A (en
Inventor
구세민
송성민
김준수
Original Assignee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864B1/en
Publication of KR2022010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9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8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로타리 버튼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는, 버튼 하우징의 실장 공간에 위치하는 하단에 걸림 단턱부가 형성된 제1 회전 가이드와, 버튼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 가이드를 에워싸는 제2 회전 가이드와, 버튼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로타리 버튼에 형성되는 탄성 후크와, 제1 회전 가이드와 제2 회전 가이드 사이의 버튼 하우징에 형성되며 탄성 후크가 관통되는 슬릿 및 로타리 버튼에 형성되는 디텐트 캠과 버튼 하우징에 설치되는 볼 플런저 구성된 디텐트 기구를 포함하며, 탄성 후크는 실장 공간에서 상기 걸림 단턱부에 맞물리게 결합되는 쐐기 모양의 후크부와, 로타리 버튼과 상기 후크부를 연결하며 로타리 버튼 회전 시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탄동부로 구성되고, 로타리 버튼 조립 시 후크부가 삽입되는 후크 삽입부가 상기 슬릿에 형성되되, 후크 삽입부는 슬릿의 일부 구간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켜 구성되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서만 탄동부가 외측으로 탄동 가능하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슬릿 구간에서는 탄동부의 탄동이 슬릿에 의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요지로 한다. A rotary button assembly is disclosed. The rotary butt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otation guide having a hooking step formed at a lower end located in a mounting space of a button housing, a second rotation guide formed on a button housing and surrounding the first rotation guide, and a button housing; An elastic hook formed on the rotary button for coupling, a slit formed in the button housing between the first rotation guide and the second rotation guide, and a slit through which the elastic hook passes, and a detent cam formed in the rotary button and the button housing. It includes a detent mechanism composed of a ball plunger, wherein the elastic hook connects a wedge-shaped hook portion interlockingly coupled to the hooking step portion in a mounting space, and a rotary button and the hook portion, and moves along the slit when the rotary button rotates It is composed of a ballistic part, and a hook insertion part into which a hook part is inserted when assembling a rotary button is formed in the slit. It is possible to ballistically, and the ballistic of the ballistic part is suppressed by the slit in the remaining slit section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is formed.

Description

로타리 버튼 조립체{Rotary Button Assembly}Rotary Button Assembly {Rotary Button Assembly}

본 발명은 버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버튼을 회전시켜 다양한 기능(예컨대, 볼륨 조절, 풍량 조절, 네비게이션 조작)의 실행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ry button assembly capable of inputting commands for executing various functions (eg, volume control, air volume control, navigation operation) by rotating the button.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전방에는 자동차의 부속기능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각종 컨트롤 스위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컨트롤 스위치는 작동 방식에 따라 크게 레버 방식, 푸쉬 버튼 방식, 로타리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컨트롤 스위치 하나로 여러 기능을 컨트롤 할 수 있는 복합형 스위치(푸쉬 버튼 방식 + 로타리 방식)가 주를 이루고 있다.In general, various control switches are provided in front of a driver's seat of a vehicle to control auxiliary functions of the vehicle. These control switche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lever type, push button type, rotary type, etc.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Recently, composite type switches (push button type + rotary type) that can control multiple functions with one control switch are the main ones. is making up

도 1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종래 복합형 스위치의 절단면도로서, 종래 복합형 스위치는 크게, 버튼부(100)와 버튼 하우징(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버튼부(100)는 누름 입력 및 회전 입력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버튼 하우징(200)은 버튼부(100)의 누름 입력 및 회전 입력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데, 이때 버튼 하우징(200)과 버튼부(100) 간 결합에는 후크 결합 방식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mposite type switch applied to automobiles, and the conventional composite type switch may be largely composed of a button unit 100 and a button housing 200. The button unit 100 is configured to enable push input and rotation input, and the button housing 200 has a structure capable of implementing push input and rotation input of the button unit 100. At this time, the button housing 200 and the button A hook coupling method is generally used for coupling between the parts 100 .

그러나 후크 결합 방식의 종래 복합형 스위치 대부분은, 도 1과 같이 버튼부 측 후크(110)와 버튼 하우징 후크(210)가 상호 체결되는 부분(도 1의 타원부)에 형성되는 여유 공간(버튼부 측 후크(110)가 외측으로 탄동하여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이 버튼부(100)가 회전하는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외력이나 충격에 후크(110)가 쉽게 벌어져 버튼부(100)가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hybrid switches of the hook coupling method, as shown in FIG. 1, the free space (button portion)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button portion side hook 110 and the button housing hook 210 are mutually engaged (elliptical portion in FIG. 1) Since the side hook 110 is formed over the entir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part 100 rotates, the hook 110 is easily opened by an external force or impact, and the button part 100 is separated. there is a problem

한국등록특허 제10-1915661호(등록일 2018.10.31.)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915661 (registration date 2018.10.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력이나 충격에도 버튼(로타리 버튼)이 버튼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ry button assembly in which a button (rotary button)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a button housing even with external force or impact.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버튼 하우징의 실장 공간에 위치하는 하단에 걸림 단턱부가 형성된 제1 회전 가이드;A first rotation guide formed with a hooking step at the lower end located in the mounting space of the button housing;

상기 버튼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 가이드를 에워싸는 제2 회전 가이드;a second rotation guide formed on the button housing and surrounding the first rotation guide;

버튼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로타리 버튼에 형성되는 탄성 후크;an elastic hook formed on the rotary button for coupling with the button housing;

제1 회전 가이드와 제2 회전 가이드 사이의 버튼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후크가 관통되는 슬릿; 및a slit formed in the button housing between the first rotation guide and the second rotation guide, through which the elastic hook passes; and

로타리 버튼에 형성되는 디텐트 캠과 버튼 하우징에 설치되는 볼 플런저 구성된 디텐트 기구;를 포함하며,A detent mechanism composed of a detent cam formed on the rotary button and a ball plunger installed on the button housing; includes,

상기 탄성 후크는 실장 공간에서 상기 걸림 단턱부에 맞물리게 결합되는 쐐기 모양의 후크부와, 로타리 버튼과 상기 후크부를 연결하며 로타리 버튼 회전 시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탄동부로 구성되고,The elastic hook is composed of a wedge-shaped hook part engagedly coupled to the hooking step in the mounting space, and a ballistic part connecting the rotary button and the hook part and moving along the slit when the rotary button rotates,

로타리 버튼 조립 시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는 후크 삽입부가 상기 슬릿에 형성되되, 후크 삽입부는 상기 슬릿의 일부 구간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켜 구성되며, When assembling the rotary button, a hook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hook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lit, and the hook insertion portion is configured by extending a portion of the slit in a radial direction,

상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에서만 상기 탄동부가 외측으로 탄동 가능하고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슬릿 구간에서는 상기 탄동부의 탄동이 상기 슬릿에 의해 억제되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를 제공한다.Provided is a rotary button assembly in which the ballistic part is capable of bouncing outward only at a por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ortion is formed and the ballistic portion of the ballistic portion is suppressed by the slit in the remaining slit section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ortion is 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되지 않은 슬릿의 폭(W1)은 상기 탄동부의 두께(T1)보다 크고 상기 후크부의 최대 두께(T2)보다는 작으며, 상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의 슬릿의 폭(W2)과 길이(L2)는 적어도 상기 후크부의 최대 폭(W3)과 두께(T2)보다 커서,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슬릿 구간에서는 상기 탄동부의 탄동이 억제될 수 있다.Preferably, the width (W1) of the slit in which the hook insertion part is not formed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ballistic part and smaller than the maximum thickness (T2) of the hook part, and the width of the slit in the por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is formed. Since (W2) and length (L2) are greater than at least the maximum width (W3) and thickness (T2) of the hook part, the ballistic part of the ballistic part can be suppressed in the remaining slit section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is formed.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디텐트 기구는, 상기 탄성 후크가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위치했을 때 로타리 버튼을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탄성 후크가 해당 슬릿 구간을 회피할 수 있도록 정렬될 수 있다.In the detent mechanis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astic hook is located in the slit sec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is formed, the rotary button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elastic hook can avoid the slit s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 삽입부와 정확히 일치하는 지점의 슬릿 구간에 상기 탄성 후크가 위치했을 때 상기 디텐트 기구의 볼 플런저가, 로타리 버튼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복수의 산과 골이 교대로 연속되는 구조인 상기 디텐트 캠의 어느 한 산과 골 사이 경사면에 탄성 밀착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elastic hook is located in the slit section exactly coincident with the hook insertion part, the ball plunger of the detent mechanism has a plurality of peaks and valleys alternate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tary button rotates. It may be aligned so as to elasticall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an inclined surface between any one peak and valley of the detent cam.

또한, 상기 로타리 버튼에는 탄성 후크와의 사이에 결속 요부가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탄성 후크를 주위를 둘러싸는 측면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 하우징에 로타리 버튼 결합 시 상기 측면 커버와 탄성 후크 사이로 형성되는 상기 결속 요부에 상기 제2 회전 가이드가 맞물리는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button is provided with a side cover surrounding the elastic hook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a binding recess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 hook and formed between the side cover and the elastic hook when the rotary button is coupled to the button housing.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rotation guide is engaged with the binding recess.

이때, 상기 버튼 하우징의 상면에 상기 제2 회전 가이드보다 낮게 제2 회전 가이드를 둘러싸는 실링 커버가 형성되되, 상기 버튼 하우징에 로타리 버튼 결합 시 상기 실링 커버가 상기 측면 커버의 하단 일부를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ealing cover surrounding the second rotation guid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housing lower than the second rotation guide, and when the rotary button is coupled to the button housing, the sealing cover surrounds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ide cover can be configur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에 의하면, 버튼 측의 탄성 후크가 특정 위치(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를 제외한 모든 작동 구간에서 탄성 후크의 탄동(벌어짐)이 슬릿에 의해 억제됨으로써,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탄성 후크가 벌어져 버튼(로타리 버튼)이 버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otary butt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hook on the button side is resilient (widened) by the slit in all operation sections except when the elastic hook is located at a specific position (the slit sec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is formed). By being suppressed, it can be prevented that the button (rotary button) is separated from the button housing due to the elastic hook opening due to external force or impact.

더욱이, 유일하게 버튼이 분리될 수 있는 위치(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탄성 후크가 위치한 상태)에서 버튼 조작을 멈추더라도 해당 위치를 회피할 수 있도록 디텐트 기구가 구성됨으로써, 유지 보수를 위한 의도적인 버튼 분리가 아닌 이상 어떠한 외력이나 충격에도 탄성 후크가 벌어져 버튼이 분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the detent mechanism is configured to avoid the position even if the button operation is stopped at the only position where the button can be separated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hook is located in the slit sec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is formed), so that the detent mechanism is intentionally designed for maintenance. Unless the in-button is separated, the elastic hook can be opened to prevent the button from being separated by any external force or impact.

도 1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종래 복합형 스위치의 절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타리 버튼 조립체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단면도.
도 4는 버튼 하우징으로부터 로타리 버튼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로타리 버튼이 분리된 버튼 하우징을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로타리 버튼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탄성 후크가 위치하도록 로타리 버튼이 회전 조작된 경우 디텐트 기구의 정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mposite type switch applied to a vehicle.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butt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utaway view of the rotary button assembly shown in Figure 2 as viewed in the AA line direc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butt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button is separated from the button housing.
5 is a planar view of a button housing from which a rotary button is separate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button shown in Figure 4 viewed from the bottom.
7 is a view showing an alignment state of the detent mechanism when a rotary button is rotated so that an elastic hook is located in a slit section in which a hook insertion part is formed;
8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타리 버튼 조립체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버튼 하우징으로부터 로타리 버튼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로타리 버튼이 분리된 버튼 하우징을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butt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tary button assembly shown in FIG. 2 viewed from the line A-A.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butt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button is separated from the button housing, and Fig. 5 is a plan view of the button housing from which the rotary button is separated.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20) 조립체는 크게, 고정체인 버튼 하우징(10)과 회전체인 로타리 버튼(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체와 회전체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고정체는 회전체에 대해 고정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회전체는 고정체에 대해 회전 및 정해진 범위 안에서 고정체를 향하거나 반대방향으로 진퇴 운동을 하는 부분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S. 2 to 5 , the rotary button 20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argely composed of a button housing 10, which is a fixed body, and a rotary button 20, which is a rotating body. Here, the fixed body and the rotating body are relative concepts. The fixed body refers to a part that is fixed to the rotating body, and the rotating body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toward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means part.

버튼 하우징(10)은 그 내부에 각종 부품(기판, 스위치, 광원 등)을 실장할 수 있는 소정의 실장 공간(11)이 형성되며, 도면상 버튼 하우징(10)의 상면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회전 가이드(12)를 포함한다. 이때 버튼 하우징(10)의 상기 실장 공간(11)에 위치하는 제1 회전 가이드(12)의 하단에는 후술하게 될 탄성 후크(22)의 후크부(23)와 맞물리는 걸림 단턱부(13)가 형성된다.The button housing 10 has a predetermined mounting space 11 in which various components (substrates, switches, light sources, etc.) can be mounted, and has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housing 10 in the drawing. It includes a first rotation guide 12 protruding. At this time,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rotation guide 12 located in the mounting space 11 of the button housing 10, a hooking step 13 engaged with the hook portion 23 of the elastic hook 22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is formed

버튼 하우징(10)의 상면부에는 또한, 상기 제1 회전 가이드(12)와 임의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1 회전 가이드(12) 주위를 에워싸는 제2 회전 가이드(14)가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회전 가이드(12)와 제2 회전 가이드(14)는 도 4 내지 도 5의 예시와 같이 중간 중간이 끊긴 단속적인 원통 모양이거나,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끊김 없이 연속되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housing 10, a second rotation guide 14 surrounding the first rotation guide 1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rotation guide 12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do. Here, the first rotation guide 12 and the second rotation guide 14 may be formed in an intermittent cylindrical shape with intermittent breaks as shown in the examples of FIGS. 4 to 5, or in a continuous cylindrical shape without interrup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

제1 회전 가이드(12)와 제2 회전 가이드(14) 사이의 버튼 하우징(10)에는 호형(弧形)의 슬릿(15)이 형성된다. 슬릿(15)은 로타리 버튼(20) 회전 조작 시 탄성 후크(22)가 이동될 경로를 구획하는 것으로, 도 4 내지 도 5의 예시와 같이 곡률 반경이 같은 복수의 단위 슬릿으로 분할 형성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중간에 끊김 없이 연속되는 단일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n arc-shaped slit 15 is formed in the button housing 10 between the first rotation guide 12 and the second rotation guide 14 . The slit 15 divides a path along which the elastic hook 22 is moved when the rotary button 20 is rotated, 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slits havi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s shown in FIGS. 4 to 5, or shown in FIGS. However,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slit that is continuous without a break in the middle.

슬릿(15)에는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다. 후크 삽입부(16)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슬릿(15)의 일부 구간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로타리 버튼(20) 조립 시 상기 후크 삽입부(16)를 통해서만 탄성 후크(22)의 후크부(23)가 버튼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 단턱부(13)에 맞물리는 구조로 결속될 수 있다. A hook insertion portion 16 is formed in the slit 15 .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hook insertion portion 16 may be formed by expanding a portion of the aforementioned slit 15 in the radial direction, and when assembling the rotary button 20, the hook insertion portion ( 16), the hook portion 23 of the elastic hook 22 is inserted into the button housing 10 and can be bound in a structure engaged with the hooking step portion 13.

도 4의 부분 확대도와 같이, 슬릿(15)을 사이에 두고 후크 삽입부(16) 맞은편의 제1 회전 가이드(12)에는 후트 가이드(17)가 형성될 수 있다. 후트 가이드(17)는 로타리 버튼(20)이 정확하게 조립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마커로서 기능한다. 또한 로타리 버튼(20) 조립 시 탄성 후크(22)가 자연스럽게 벌어질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를 위해 후트 가이드(17)는 슬릿(15)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안내면(17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4 , a hook guide 17 may be formed in the first rotation guide 12 opposite the hook insertion part 16 with the slit 15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oot guide 17 serves as a marker to guide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ry button 20 is accurately assembled. Also, when assembling the rotary button 20, the elastic hook 22 functions to naturally open. To this end, the foot guide 17 may include a guide surface 170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slit 15 .

로타리 버튼(20)에는 상기 버튼 하우징(10)과의 결합을 위한 탄성 후크(22)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탄성 후크(22)는 후크부(23)와 탄동부(24)로 구성될 수 있다. 후크부(23)는 실장 공간(11)에서 상기 걸림 단턱부(13)에 맞물리게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도면의 예시와 같은 쐐기 모양일 수 있으며, 탄동부(24)는 로타리 버튼(20)과 후크부(23)를 연결하며 로타리 버튼(20) 회전 시 상기 호형의 슬릿(1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An elastic hook 22 for coupling with the button housing 1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otary button 20 . The elastic hook 22 may be composed of a hook part 23 and a ballistic part 24 . The hook part 23 is a part engagedly coupled to the hooking step part 13 in the mounting space 11 and may have a wedge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ballistic part 24 includes the rotary button 20 and the hook part 23 is connected and can be moved along the arc-shaped slit 15 when the rotary button 20 rotates.

로타리 버튼(20)과 버튼 하우징(10)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탄성 후크(22)와 후크 삽입부(16)는 적어도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둘 이상 복수의 후크 삽입부(16)는 상기 슬릿(15)에 균일 또는 불균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후크(22)는 슬릿(15)에 균일 또는 불균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둘 이상 복수의 후크 삽입부(16) 각각에 하나씩 매칭되어 조립될 수 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two or more elastic hooks 22 and hook inserts 16 formed in each of the rotary button 20 and the button housing 10 may be formed in plurality. At this time, two or more hook insertion parts 16 may be formed at regular or non-uniform intervals in the slit 15, and the two or more elastic hooks 22 are formed in the slit 15 at regular or non-uniform intervals. It can be arranged in a form that can be assembled by matching one to each of the hook insertion parts 16 of the.

탄성 후크(22)는 앞서도 설명했듯이 후크 삽입부(16)를 통해서만 버튼 하우징(1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해 로타리 버튼(20) 조립 시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부분에서만 상기 탄성 후크(22)의 탄동부(24)가 외측으로 탄동되어 벌어질 수 있으며,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슬릿 구간에서는 상기 탄동부(24)의 탄동이 상기 슬릿(15)에 의해 억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hook 22 may be inserted into the button housing 10 only through the hook insertion portion 16 . In other words, when assembling the rotary button 20, the ballistic part 24 of the elastic hook 22 can be released by bouncing outward only at the part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16 is formed, and the hook insertion part 16 is formed. This means that the ballistic motion of the ballistic part 24 can be suppressed by the slit 15 in the rest of the slit section except for the part.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로타리 버튼(20) 조립 후 회전 조작할 경우, 특정 구간(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15)의 구간)을 제외하고는 탄성 후크(22)의 탄동(벌어짐)이 슬릿(15)에 의해 제한된다. 이에 따라 탄성 후크(22)가 상기 특정 구간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회전 위치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로타리 버튼(20)은 버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otary button 20 is rotated after assembling, the elastic hook 22 bounces (spreads) except for a specific section (the section of the slit 15 in which the hook insertion portion 16 is formed). It is limited by this slit (15). Accordingly, the rotary button 20 is not separated from the button housing 10 even when any external force or impact is applied except for the rotational position where the elastic hook 22 exactly matches the specific section.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슬릿 구간에서 탄성 후크(22)의 탄동이 억제되는 구조는 바람직하게,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되지 않은 슬릿(15)의 폭(W1)을 탄동부(24)의 두께(T1)보다 크게 하고 후크부(23)의 최대 두께(T2)보다는 작게 하며,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부분의 슬릿(15)의 폭(W2)과 길이(L2)는 적어도 상기 후크부(23)의 최대 폭(W3)과 두께(T2)보다 크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resilience of the elastic hook 22 is suppressed in the remaining slit section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ortion 16 is formed preferably has a width W1 of the slit 15 in which the hook insertion portion 16 is not formed. It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ballistic part 24 and smaller than the maximum thickness (T2) of the hook part 23, and the width (W2) and length (W2) of the slit 15 in the por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16 is formed ( L2) may be implemented by making it larger than at least the maximum width (W3) and thickness (T2) of the hook part (23).

도 3의 절단면도와 같이 로타리 버튼(20)에는 또한, 탄성 후크(22)와의 사이에 결속 요부(27)가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탄성 후크(22)를 주위를 둘러싸는 측면 커버(2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버튼 하우징(10)에 로타리 버튼(20) 결합 시 상기 측면 커버(26)와 탄성 후크(22) 사이로 형성되는 상기 결속 요부(27)에 제2 회전 가이드(14)가 맞물리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cutaway view of FIG. 3, the rotary button 20 also has a side cover 26 surrounding the elastic hook 22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a binding recess 27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 hook 22. may be provided. Due to this, when the rotary button 20 is coupled to the button housing 10, the second rotation guide 14 is coupled to the coupling recess 27 formed between the side cover 26 and the elastic hook 22 in a structure in which it is engaged. It can be.

이때 버튼 하우징(10)의 상면에는 바람직하게, 제2 회전 가이드(14)보다 낮게 제2 회전 가이드(14)를 둘러싸는 실링 커버(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 하우징(10)에 로타리 버튼(20) 결합 후 도 3의 예시와 같이, 실링 커버(18)가 상기 측면 커버(26)의 하단 일부를 에워싸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방진 성능이나 방수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preferably, a sealing cover 18 surrounding the second rotation guide 14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second rotation guide 1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housing 10 . In this case, after the rotary button 20 is coupled to the button housing 10,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3, the sealing cover 18 surrounds a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side cover 26, so that the overall dustproof or waterproof performance is greatly improved. can be improved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로타리 버튼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button shown in FIG. 4 viewed from the bottom.

도 6 및 앞선 도 4를 참조하면, 로타리 버튼(20)과 버튼 하우징(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텐트 기구(30)가 설치된다. 디텐트 기구(30)는 로타리 버튼(20)을 회전 조작하여 원하는 기능(예컨대, 볼륨 조절, 풍량 조절, 네비게이션 조작 등)을 컨트롤 할 경우, 사용자가 로타리 버튼(20)의 조작 여부와 그 조작량을 감각적으로 인식하게 하고, 의도된 조작 외 로타리 버튼(20)의 임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기능한다. Referring to FIG. 6 and FIG. 4 , at least one detent mechanism 30 is installed between the rotary button 20 and the button housing 10 . When the detent mechanism 30 rotates the rotary button 20 to control desired functions (eg, volume control, air volume control, navigation operation, etc.), the user controls whether or not the rotary button 20 is operated and the operation amount thereof. It functions to sensibly recognize and suppress arbitrary rotation of the rotary button 20 other than the intended operation.

본 실시 예에 적용된 디텐트 기구(30)는 바람직하게, 로타리 버튼(20)에 일체로 형성되는 디텐트 캠(32)과 버튼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볼 플런저(34, 도 7 참조)로 구성될 수 있다. 디텐트 캠(32)은 도 6과 같이 로타리 버튼(20)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삼각형 모양의 복수의 산(320)과 골(322)이 교대로 연속된 구성일 수 있고, 볼 플런저(34, 도 7 참조)는 디텐트 캠(32)에 접하는 볼(35)과 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36), 예컨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etent mechanism 30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detent cam 32 integrally formed on the rotary button 20 and a ball plunger 34 (see FIG. 7) installed on the button housing 10.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6, the detent cam 32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riangular peaks 320 and valleys 322 are alternately continuou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ry button 20 rotates, and the ball plunger 34 , see FIG. 7) may be composed of a ball 35 contacting the detent cam 32 and an elastic body 36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ll 35, for example, a coil spring.

이와 같은 구성의 디텐트 기구(30)에 의하여, 원하는 기능을 컨트롤하기 위해 사용자가 로타리 버튼(20)을 회전 조작하면, 디텐트 캠(32)이 함께 회전운동을 하고, 이때 볼 플런저(34)의 볼(35)이 상기 탄성체(36)에 의해 디텐트 캠(32)의 캠면(산과 골이 교대로 연속된 요철 형태의 면)에 가압 밀착된 상태로 로타리 버튼(20) 회전에 따른 상기 캠면의 높이 변화에 맞춰 상대적으로 요동운동을 함으로써 회전 조작감이 발생된다. With the detent mechanism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rotates the rotary button 20 to control a desired function, the detent cam 32 rotates together, and at this time, the ball plunger 34 The cam surfa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button 20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35 of the elastic body 36 presses and adheres to the cam surface of the detent cam 32 (a concavo-convex surface in which peaks and valleys are alternately continuous) A sense of rotation operation is generated by relatively oscillating mo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height of the shaft.

도 7은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탄성 후크가 위치하도록 로타리 버튼이 회전 조작된 경우 디텐트 기구의 정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ignment state of the detent mechanism when a rotary button is rotated so that an elastic hook is located in a slit section where a hook insertion part is form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 구간(S)에 상기 탄성 후크(22)가 위치하는 로타리 버튼(20)의 회전 조작 상태에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디텐트 기구(30)는, 이를 구성하는 볼 플런저(34)의 볼(35)이 상기 디텐트 캠(32)의 어느 한 산(320)과 골(322) 중간의 경사면(321)에 위치하여 탄성체(36)의 반발력으로 해당 경사면(321)을 가압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dete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otational state of the rotary button 20 in which the elastic hook 22 is located in the slit section S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16 is formed The mechanism 30 is an elastic body ( 36) may be arranged to press the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321 with the repulsive force.

다시 말해, 로타리 버튼(20)의 회전 위치 중 도 7의 (a)와 같이 탄성 후크(22)와 후크 삽입부(16)의 평면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회전 위치에서는, 볼 플런저(34)의 볼(35)이 도 7의 (b)와 같이 디텐트 캠(32)의 특정 경사면(321)에 위치하도록 디텐트 기구(30)가 구성됨으로써, 해당 위치에서만큼은 볼 플런저(34)의 반발력으로 로타리 버튼(20)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rotary button 20, as shown in (a) of FIG. 7, the flat positions of the elastic hook 22 and the hook insertion part 16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ball of the ball plunger 34 As shown in (b) of FIG. 7, the detent mechanism 30 is configured so that the detent mechanism 30 is positioned on a specific inclined surface 321 of the detent cam 32, so that the rotary with the repulsive force of the ball plunger 34 at that position. It can be configured to rotate the button 20 a certain angl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특정 상황을 제외하고는,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탄성 후크(22)가 위치했을 시점에 로타리 버튼(20)의 회전 조작이 멈추더라도, 디텐트 기구(30)가 발생시킨 반발력에 의해 로타리 버튼(20)이 도 8의 작동 상태도와 같이 소정 각도 회전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탄성 후크(22)는 해당 슬릿 구간(후크 삽입부 형성된 슬릿 구간, S)을 벗어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xcept for specific circumstances, even if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ry button 20 stops at the time when the elastic hook 22 is positioned in the slit sec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ortion 16 is formed, the detent mechanism ( 30) causes the rotary button 20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the operating state diagram of FIG. 8 by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by the elastic hook 22. can get away

참고로, 앞서 언급한 특정 상황은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 구간(S)에 탄성 후크(22)가 위치하도록 로타리 버튼(20)을 의도적으로 회전 조작한 상태로 로타리 버튼(20)을 구속하고 있는 상황, 다시 말해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 구간(S)에 탄성 후크(22)가 위치하도록 로타리 버튼(20)을 의도적으로 회전 조작한 상태로 로타리 버튼(20)을 쥐고 있는 상황일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specific situation mentioned above, the rotary button 20 is operated while the rotary button 20 is intentionally rotated so that the elastic hook 22 is located in the slit section S in which the hook insertion part 16 is formed. The restraining situation, that is, holding the rotary button 20 while intentionally rotating the rotary button 20 so that the elastic hook 22 is located in the slit section S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16 is formed it could be a situation

도 7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and FIG. 8 showing an operating state.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탄성 후크(22)가 위치했을 때 디텐트 기구(30)의 볼(35)은 도 7의 (b)와 같이 디텐트 캠(32)의 특정 경사면(321) 상에 위치한다. 이때 볼(35)은 이를 지지하는 탄성체(36)의 반발력에 의해 해당 경사면(321)을 가압하는 상태이다. 때문에 볼(35)을 통해 해당 경사면(321)에 작용하는 상기 탄성체(36)의 반발력이 로타리 버튼(20)을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When the elastic hook 22 is positioned in the slit section in which the hook insertion part 16 is formed, the ball 35 of the detent mechanism 30 has a specific inclined surface of the detent cam 32 as shown in (b) of FIG. 321) is located on top. At this time, the ball 35 is in a state of pressing the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321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body 36 supporting it. Therefore, the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body 36 acting on the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321 through the ball 35 acts as a force for rotating the rotary button 20.

이로 인해 로타리 버튼(20)이 소정 각도 회전되고, 도 8의 (b)와 같이 해당 경사면(321)과 가장 인접한 특정 골에 볼(35)이 정확히 위치하는 순간 로타리 버튼(20)은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 7의 (a)와 같이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 구간(S)에 위치해 있던 탄성 후크(22)는 도 8의 (a)와 같이 유일하게 로타리 버튼(20)이 분리될 수 있는 위치인 해당 슬릿 구간(S)을 벗어나 위치하게 된다.As a result, the rotary button 2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rotary button 20 stops rotating at the moment when the ball 35 is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specific goal closest to the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321 as shown in (b) of FIG. do. In this process, as shown in (a) of FIG. 7, the elastic hook 22 located in the slit section (S)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16 is formed is separated from the rotary button 20 uniquely as shown in (a) of FIG. 8. It is located outside the corresponding slit section (S), which is a position that can be.

후크 결합 방식을 채택한 종래 복합형 스위치 대부분은, 앞선 도 1과 같이 버튼부 측 후크와 버튼 하우징 후크가 상호 체결되는 부분(도 1의 타원부)에 여유 공간(버튼부 측 후크가 외측으로 탄동하여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이 버튼부가 회전하는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버튼부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후크가 벌어져 버튼부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Most of the conventional composite switches adopting the hook coupling method, as shown in FIG. Since the space that can be opened) is formed over the entir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part rotates, when an external force or impact is applied to the button p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ook is opened and the button part is easily separated.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는, 버튼 측의 탄성 후크가 특정 위치(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를 제외한 모든 작동 구간에서 탄성 후크의 탄동(벌어짐)이 슬릿에 의해 억제됨으로써,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탄성 후크가 벌어져 버튼(로타리 버튼)이 버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otary butt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hook on the button side moves (spreads) to the slit in all operating sections except for the case where the elastic hook is located at a specific position (the slit sec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ortion is formed). By being restrained by the external force or impact, the button (rotary butt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tton housing due to the opening of the elastic hook.

더욱이, 유일하게 버튼이 분리될 수 있는 위치(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탄성 후크가 위치한 상태)에서 버튼 조작을 멈추더라도 해당 위치를 회피할 수 있도록 디텐트 기구가 배치됨으로써, 유지 보수를 위한 의도적인 버튼 분리가 아닌 이상 어떠한 외력이나 충격에도 탄성 후크가 벌어져 버튼이 분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even if the button operation is stopped at the position where the button can only be separated (a state where the elastic hook is located in the slit sec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is formed), the detent mechanism is arranged to avoid the position, which is intentional for maintenance. Unless the in-button is separated, the elastic hook can be opened to prevent the button from being separated by any external force or impact.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al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ccordingly.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rather it is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10 : 버튼 하우징 11 : 실장 공간
12 : 제1 회전 가이드 13 : 걸림 단턱부
14 : 제2 회전 가이드 15 : 슬릿
16 : 후크 삽입부 17 : 후크 가이드
18 : 실링 커버 20 : 로타리 버튼
22 : 탄성 후크 23 : 후크부
24 : 탄동부 26 : 측면 커버
27 : 결속 요부 30 :디텐트 기구
32 : 디텐트 캠 34 : 볼 플런저
35 : 볼 36 : 탄성체
170 : 안내면
S :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
10: button housing 11: mounting space
12: first rotation guide 13: hooking step
14: second rotation guide 15: slit
16: hook insertion part 17: hook guide
18: sealing cover 20: rotary button
22: elastic hook 23: hook part
24: ballistic part 26: side cover
27: binding main part 30: detent mechanism
32: detent cam 34: ball plunger
35: ball 36: elastic body
170: guide surface
S: slit sec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is formed

Claims (7)

버튼 하우징의 실장 공간에 위치하는 하단에 걸림 단턱부가 형성된 제1 회전 가이드;
상기 버튼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 가이드를 에워싸는 제2 회전 가이드;
상기 버튼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로타리 버튼에 형성되는 탄성 후크;
상기 제1 회전 가이드와 제2 회전 가이드 사이의 버튼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후크가 관통되는 슬릿; 및
로타리 버튼에 형성되는 디텐트 캠과 버튼 하우징에 설치되는 볼 플런저 구성되는 디텐트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후크는 실장 공간에서 상기 걸림 단턱부에 맞물리게 결합되는 쐐기 모양의 후크부와, 로타리 버튼과 상기 후크부를 연결하며 로타리 버튼 회전 시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탄동부로 구성되고,
로타리 버튼 조립 시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는 후크 삽입부가 상기 슬릿에 형성되되, 후크 삽입부는 상기 슬릿의 일부 구간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켜 구성되며,
상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되지 않은 슬릿의 폭(W1)은 상기 탄동부의 두께(T1)보다 크고 상기 후크부의 최대 두께(T2)보다는 작으며, 상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의 슬릿의 폭(W2)과 길이(L2)는 적어도 상기 후크부의 최대 폭(W3)과 두께(T2)보다 커서, 상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에서만 상기 탄동부가 외측으로 탄동 가능하고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슬릿 구간에서는 상기 탄동부의 탄동이 상기 슬릿에 의해 억제되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
A first rotation guide formed with a hooking step at the lower end located in the mounting space of the button housing;
a second rotation guide formed on the button housing and surrounding the first rotation guide;
an elastic hook formed on the rotary button for coupling with the button housing;
a slit formed in the button housing between the first rotation guide and the second rotation guide through which the elastic hook passes; and
A detent mechanism composed of a detent cam formed on the rotary button and a ball plunger installed on the button housing; includes,
The elastic hook is composed of a wedge-shaped hook part engagedly coupled to the hooking step in the mounting space, and a ballistic part connecting the rotary button and the hook part and moving along the slit when the rotary button rotates,
When assembling the rotary button, a hook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hook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lit, and the hook insertion portion is configured by extending a portion of the slit in a radial direction,
The width (W1) of the slit in which the hook insertion part is not formed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ballistic part and smaller than the maximum thickness (T2) of the hook part, and the width (W2) of the slit of the part where the hook insertion part is formed The length L2 is at least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W3 and thickness T2 of the hook portion, so that the ballistic portion can be projected outward only at a por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ortion is formed, and in the remaining slit section excluding the portion where the hook insertion portion is formed. Rotary button assembly in which the ballistic movement of the ballistic part is suppressed by the sli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기구는,
상기 탄성 후크가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위치했을 때 로타리 버튼을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탄성 후크가 해당 슬릿 구간을 회피할 수 있도록 정렬되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nt mechanism,
When the elastic hook is located in the slit section in which the hook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he rotary button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elastic hook is aligned to avoid the slit se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삽입부와 정확히 일치하는 지점의 슬릿 구간에 상기 탄성 후크가 위치했을 때 상기 디텐트 기구의 볼 플런저가, 로타리 버튼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복수의 산과 골이 교대로 연속되는 구조인 상기 디텐트 캠의 어느 한 산과 골 사이 경사면에 탄성 밀착되도록 정렬되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elastic hook is positioned in the slit section exactly coincident with the hook insertion part, the ball plunger of the detent mechanism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eaks and valleys are alternately continuou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ry button rotates. A rotary button assembly that is aligned so as to elastically adhere to a slope between a peak and a valley of a tent ca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후크 및 후크 삽입부는 적어도 둘 이상 복수로 구성되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ry button assembly comprising at least two or more elastic hooks and hook inse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리 버튼에는 탄성 후크와의 사이에 결속 요부가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탄성 후크를 주위를 둘러싸는 측면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 하우징에 로타리 버튼 결합 시 상기 측면 커버와 탄성 후크 사이로 형성되는 상기 결속 요부에 상기 제2 회전 가이드가 맞물리는 구조로 결합되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ry button is provided with a side cover surrounding the elastic hook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a binding recess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 hook,
When the rotary button is coupled to the button housing, the rotary button assembly is coupl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rotation guide is engaged with the binding recess formed between the side cover and the elastic hook.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하우징의 상면에 상기 제2 회전 가이드보다 낮게 제2 회전 가이드를 둘러싸는 실링 커버가 형성되되,
상기 버튼 하우징에 로타리 버튼 결합 시 상기 실링 커버가 상기 측면 커버의 하단 일부를 에워싸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6,
A sealing cover surrounding the second rotation guide is formed lower than the second rotation gu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housing,
A rotary button assembly in which the sealing cover surrounds a lower portion of the side cover when the rotary button is coupled to the button housing.
KR1020210008863A 2021-01-21 2021-01-21 Rotary Button Assembly KR1024848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863A KR102484864B1 (en) 2021-01-21 2021-01-21 Rotary Button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863A KR102484864B1 (en) 2021-01-21 2021-01-21 Rotary Button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16A KR20220105916A (en) 2022-07-28
KR102484864B1 true KR102484864B1 (en) 2023-01-09

Family

ID=8260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863A KR102484864B1 (en) 2021-01-21 2021-01-21 Rotary Button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86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79B1 (en) * 2019-01-03 2020-03-18 용성전기 주식회사 Control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661B1 (en) 2017-07-06 2018-11-06 주식회사 서연전자 Multi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 of vehicles
KR102442657B1 (en) * 2017-10-17 2022-09-1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Vehicular rotary switch unit
KR20190071501A (en) * 2017-12-14 2019-06-24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79B1 (en) * 2019-01-03 2020-03-18 용성전기 주식회사 Control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16A (en)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6769B2 (en) Mode switch assembly of automobile having impact/load absorbing apparatus
US7442886B2 (en) Multi-directional input unit
US7026561B2 (en) Remote control button assembly built in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US10832876B2 (en) Push-button switch with the switching elment arranged on the keycap
JP3173137U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N104185573B (en) Resetting means and motor vehicles for the steering-column switch system of motor vehicles
EP1750292A1 (e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witch system
US20070051592A1 (en) Switch device and steering switch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witch device
JP2007220579A (en) Electronic device
US20190108954A1 (en) Switch device
EP0748958A2 (en) Shift lock mechanism for shift lever device
EP1693278A2 (en) Switch on steering wheel
KR102484864B1 (en) Rotary Button Assembly
US20080116048A1 (en) Switch unit operable with rocker switches for control units
EP2040274A1 (en) Switch for vehicle
US10096442B2 (en) Combination switch lever
KR101047393B1 (en) Automotive Kickdown Switch Unit
EP1909158B1 (en) Actuating element
JP2007123193A (en) Key switch
EP0731480B1 (en) CAM follower assembly for use in a latching switch
JP3902436B2 (en) Automotive steering switch
JP2008234934A (en) Switch device
JP3680434B2 (en) Lever switch for vehicle
JP4084133B2 (en) Automotive steering switch
JP6934625B2 (en) Combined operation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