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580B1 -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580B1
KR102484580B1 KR1020220063182A KR20220063182A KR102484580B1 KR 102484580 B1 KR102484580 B1 KR 102484580B1 KR 1020220063182 A KR1020220063182 A KR 1020220063182A KR 20220063182 A KR20220063182 A KR 20220063182A KR 102484580 B1 KR102484580 B1 KR 102484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gas
solution
inlet
mixing chamber
c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영
박상준
최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Priority to KR1020220063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1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for delivering foam or atomised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4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herein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roduced at the circumference of the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01F35/718051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공기포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혼합 챔버는 내부공간을 갖고, 한쪽 단에 포수용액을 유입하는 포수용액 유입구가 형성되며, 중앙 쪽에 압축가스를 주입하는 압축가스 주입구가 형성되며, 다른 쪽 단에 포수용액과 압축가스의 혼합에 따라 생성된 압축공기포를 배출하는 압축공기포 배출구가 형성된다.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는 포수용액 공급원으로부터 포수용액을 공급받아 혼합 챔버 내로 유입시키도록 포수용액 유입구에 연결된다.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는 압축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가스를 공급받아 혼합 챔버 내로 주입시키도록 압축가스 주입구에 연결된다. 역류방지 체크밸브는 혼합 챔버 내로 유입되는 포수용액이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포수용액 유입구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압축공기포 혼합장치{MIXING APPARATUS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FOAM}
본 발명은 압축공기포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소화약제와 소화수가 혼합된 포수용액을 공급받아 압축가스를 주입해서 혼합시킴에 따라 압축공기포를 생성하는 압축공기포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의 화재는 A, B, C급 화재를 동반하는 복합적 화재이다. 그런데, 수계소화설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정유공장 등의 산업시설에는 그 위험도에 따라 포소화설비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계소화설비 및 포소화설비는 많은 양의 소화수를 사용하게 되고, 또한 기존 포소화설비의 경우 많은 양의 포수용액이 포(foam)로 전환되지 못하고 수용액 상태로 방사되어 화재 진압시 확실한 질식 및 냉각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버려지는 포수용액을 최소화하고 화재 진압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포수용액에 압축가스를 주입해서 압축공기포를 생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혼합기술이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66036호(2016.10.14,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포수용액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화재진압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압축공기포 혼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포 혼합장치는 혼합 챔버와,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와,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 및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혼합 챔버는 내부공간을 갖고, 한쪽 단에 포수용액을 유입하는 포수용액 유입구가 형성되며, 중앙 쪽에 압축가스를 주입하는 압축가스 주입구가 형성되며, 다른 쪽 단에 포수용액과 압축가스의 혼합에 따라 생성된 압축공기포를 배출하는 압축공기포 배출구가 형성된다.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는 포수용액 공급원으로부터 포수용액을 공급받아 혼합 챔버 내로 유입시키도록 포수용액 유입구에 연결된다.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는 압축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가스를 공급받아 혼합 챔버 내로 주입시키도록 압축가스 주입구에 연결된다. 역류방지 체크밸브는 혼합 챔버 내로 유입되는 포수용액이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포수용액 유입구에 장착된다.
여기서, 역류방지 체크밸브는, 중앙에 양분된 유로들이 형성되고 바깥쪽 둘레가 포수용액 유입구의 안쪽 둘레를 따라 고정되는 밸브 몸체와, 밸브 몸체에 스윙 동작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밸브 몸체의 유로들을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체크 플레이트들과, 체크 플레이트들이 밸브 몸체의 유로들을 폐쇄시키도록 동작한 상태에서 유로들 주변을 실링하도록 체크 플레이트들에 각각 고정된 탄성 시트들, 및 체크 플레이트들을 폐쇄 동작시키는 방향으로 체크 플레이트들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는, 압축가스 주입구에 고정되어 압축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가스를 공급받는 노즐 몸체, 및 노즐 몸체로부터 혼합 챔버 내로 연장되면서 압축공기포 배출구를 향해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져 노즐 몸체로부터 압축가스를 전달받아 분사하는 노즐관을 포함할 수 있다.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는, 포수용액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는 포수용액을 입구를 통해 유입해서 출구로 배출하는 연결관, 및 연결관의 출구 주변을 따라 확장되어 포수용액 유입구 주변에 고정되는 연결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혼합 챔버는 압축공기포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게이지를 연결하도록 압축공기포 배출구에 인접하여 형성된 압력게이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가스 공급원은 혼합 챔버 내로 유입되는 포수용액의 유량에 맞게 계산된 유량으로 압축가스를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로 공급해서 혼합 챔버 내로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포 혼합장치는 포수용액을 기존 포소화설비와 달리 대략 90% 이상으로 포(foam)로 전환시킴으로써, 버려지는 포수용액을 최소화하여 기존 포소화설비 대비 포수용액의 사용량을 대략 1/3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고, 양질의 포(foam)를 생성시켜 화재 진압 효과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포 혼합장치는 소화약제와 소화수를 혼합하는 일반 포소화설비에 다양하게 사용되어 일반 포소화설비의 기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고, 소화약제와 소화수의 혼합비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포소화설비에 공용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혼합장치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축공기포 혼합장치에 대한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역류방지 체크밸브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혼합장치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축공기포 혼합장치에 대한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역류방지 체크밸브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혼합장치(100)는 혼합 챔버(110)와,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120)와,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130), 및 역류방지 체크밸브(140)를 포함한다.
혼합 챔버(110)는 내부공간을 갖는다. 혼합 챔버(110)의 내부공간은 공급받은 포수용액과 압축가스를 혼합시켜 압축공기포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공간으로 제공된다. 혼합 챔버(110)의 내부공간은 포수용액을 유량 최대치에도 압축가스와 충분히 혼합시켜 압축공기포를 생성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혼합 챔버(110)는 한쪽 단에 포수용액을 유입하는 포수용액 유입구(111)가 형성된다. 포수용액은 포소화약제와 소화수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수용액이다. 혼합 챔버(110)는 중앙 쪽에 압축가스를 주입하는 압축가스 주입구(112)가 형성된다. 압축가스는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 등에 해당한다. 압축가스는 포수용액에 혼합되면서 압축공기포를 생성한다.
혼합 챔버(110)는 다른 쪽 단에 포수용액과 압축가스의 혼합에 따라 생성된 압축공기포를 배출하는 압축공기포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압축공기포 배출구(113)로부터 배출된 압축공기포는 압축공기포 분사기(30)를 거쳐 방사되어 화재 진압에 사용될 수 있다.
압축공기포 분사기(30)는 공지의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혼합 챔버(110)는 배출관(114)이 압축공기포 배출구(113)로부터 연장되고, 배출 플랜지(115)가 배출관(114)의 출구 주변으로부터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114)은 원형 관으로 이루어지고, 배출 플랜지(115)는 원형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 플랜지(115)는 압축공기포 분사기(30)의 입구 주변에 볼팅 등으로 체결됨으로써, 혼합 챔버(110)와 압축공기포 분사기(30)를 연결할 수 있게 한다. 배출 플랜지(115)와 압축공기포 분사기(30)의 입구 주변 사이는 실링 부재에 의해 실링 처리될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혼합 챔버(110)는 압력게이지 연결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게이지 연결부(116)는 압축공기포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게이지(미도시)를 연결하도록 혼합 챔버(110)의 압축공기포 배출구(113)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압력게이지 연결부(116)는 혼합 챔버(110)의 배출관(114)에 형성될 수 있다. 압력게이지는 혼합 챔버(110) 내에서 생성된 압축공기포가 압축공기포 배출구(113)로 방출되는 방출압을 측정해서 표시한다. 압력게이지는 사용자가 혼합 챔버(110) 내에 생성된 압축공기포의 방출압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혼합 챔버(110) 내에서 생성된 압축공기포가 압축공기포 분사기(30)의 방사구까지 방사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압력게이지는 공지의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120)는 포수용액 공급원(10)으로부터 포수용액을 공급받아 혼합 챔버(110) 내로 유입시키도록 포수용액 유입구(111)에 연결된다. 포수용액 공급원(10)은 포소화약제와 소화수를 설정 비율로 다양하게 혼합해서 포수용액을 만들어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120)를 거쳐 혼합 챔버(110) 내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포수용액 공급원(10)은 공지의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120)는 연결관(121), 및 연결 플랜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121)은 포수용액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받는 포수용액을 입구를 통해 유입해서 출구로 배출한다. 연결관(121)은 원형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관(121)은 입구 주변을 따라 입구 플랜지(123)가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입구 플랜지(123)는 원형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구 플랜지(123)는 포수용액 공급원(10)의 출구 주변에 볼팅 등으로 체결됨으로써, 연결관(121)과 포수용액 공급원(10)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입구 플랜지(123)와 포수용액 공급원(10)의 출구 주변 사이는 실링 부재에 의해 실링 처리될 수 있다.
연결 플랜지(122)는 연결관(121)의 출구 주변을 따라 확장되어 포수용액 유입구(111) 주변에 고정된다. 연결 플랜지(122)는 사각형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혼합 챔버(110)는 포수용액 유입구(111) 주변에 연결 플랜지(122)와 대응되는 사각 형태의 유입구 플랜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플랜지(122)는 유입구 플랜지(117)에 볼팅 등으로 체결됨으로써, 연결관(121)과 혼합 챔버(110)를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연결 플랜지(122)와 유입구 플랜지(117) 사이는 실링 부재에 의해 실링 처리될 수 있다.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130)는 압축가스 공급원(20)으로부터 압축가스를 공급받아 혼합 챔버(110) 내로 주입시키도록 압축가스 주입구(112)에 연결된다. 압축가스 공급원(20)은 압축가스를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130)를 거쳐 혼합 챔버(110) 내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압축가스 공급원(20)은 혼합 챔버(110) 내로 유입되는 포수용액의 유량에 맞게 계산된 유량으로 압축가스를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130)로 공급해서 혼합 챔버(110) 내로 주입할 수 있다. 압축가스 공급원(20)은 혼합 챔버(110) 내에서 포수용액을 대략 90% 이상 포(foam)로 전환시킬 수 있는 유량으로 압축가스를 혼합 챔버(110)로 주입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버려지는 포수용액이 최소화되고 양질의 포가 생성되어 화재 진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압축공기포는 화재 진화를 위한 곳에 사용되는 습식포와, 재발화 방지나 수손(水損) 피해를 줄이기 위한 곳에 사용되는 건식포로 나뉠 수 있다. 습식포는 포수용액과 압축가스의 혼합 비율이 1:4~1:10으로 설정되어 생성될 수 있다. 건식포는 포수용액과 압축가스의 혼합 비율이 1:10 이상으로 설정되어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습식포는 포수용액의 유량이 100LPM(Liter Per Minute) 일 때, 압축가스의 유량이 대략 400~1000LPM 으로 설정되어 생성될 수 있다. 건식포는 포수용액의 유량이 100LPM 일 때, 압축가스의 유량이 대략 1000~1500LPM 으로 설정되어 생성될 수 있다. 압축가스 공급원(20)은 포수용액의 유량에 따라 습식포 또는 건식포를 생성할 수 있는 유량으로 압축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압축가스 공급원(20)은 공지의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130)는 노즐 몸체(131)와, 노즐관(132)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몸체(131)는 압축가스 주입구(112)에 고정되어 압축가스 공급원(20)으로부터 압축가스를 공급받는다. 노즐 몸체(131)는 압축가스 공급원(20)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가스를 입구를 통해 유입해서 출구로 배출한다.
노즐 몸체(131)는 출구 주변이 압축가스 주입구(112) 주변에 볼팅 등으로 체결됨으로써,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130)를 혼합 챔버(110)에 연결할 수 있게 한다. 노즐 몸체(131)의 출구 주변과 압축가스 주입구(112) 주변 사이는 실링 부재에 의해 실링 처리될 수 있다.
노즐관(132)은 노즐 몸체(131)로부터 혼합 챔버(110) 내로 연장되면서 압축공기포 배출구(113)를 향해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져 노즐 몸체(131)로부터 압축가스를 전달받아 분사한다. 노즐관(132)은 일정한 내,외경을 갖고 90도로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관(132)은 한쪽 개구단이 노즐 몸체(131)의 출구와 통하게 연결되며, 다른 쪽 개구단이 압축공기포 배출구(113)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관(132)은 혼합 챔버(110) 내에서 생성된 압축공기포가 압축공기포 배출구(113)로부터 역류하여 진행하지 못하게 하고, 압축공기포를 압축공기포 배출구(113)로 이송시키는 압력을 제공하여 정방향으로 방사할 수 있게 한다.
역류방지 체크밸브(140)는 혼합 챔버(110) 내로 유입되는 포수용액이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1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포수용액 유입구(111)에 장착된다. 일 예로, 역류방지 체크밸브(140)는 밸브 몸체(141)와, 체크 플레이트(142)들과, 탄성 시트(143)들, 및 스프링(14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몸체(141)는 중앙에 유로(141a)들이 양분되어 형성되고, 바깥쪽 둘레가 포수용액 유입구(111)의 안쪽 둘레를 따라 고정된다. 밸브 몸체(141)는 중공을 갖고, 격벽(141b)이 중공을 가로질러 구획함으로써, 중앙에 양분된 유로(141a)들을 가질 수 있다. 밸브 몸체(141)의 유로(141a)들은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120)의 유로와 일렬로 연결됨으로써, 포수용액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밸브 몸체(141)는 바깥쪽 둘레를 따라 걸림턱(141c)이 형성되고, 포수용액 유입구(111)는 혼합 챔버(110)의 내측에 가까운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턱(141c)을 걸어서 지지하는 지지턱(111a)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 몸체(141)는 포수용액 유입구(111)에 삽입된 후,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120)의 연결 플랜지(122)가 포수용액 유입구(111)의 유입구 플랜지(117)와 체결됨에 따라 걸림턱(141c)이 포수용액 유입구(111)의 지지턱(111a)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포수용액 유입구(111)에 고정될 수 있다.
밸브 몸체(141)는 걸림턱(141c)보다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120)에 가깝게 바깥쪽 둘레에 패킹 장착홈(141d)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 몸체(141)가 패킹 장착홈(141d)에 오링 등의 패킹(미도시)을 장착한 상태로 포수용액 유입구(111)에 삽입되면, 패킹이 압착 변형되어 밸브 몸체(141)와 포수용액 유입구(111) 사이를 실링함으로써 포수용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 몸체(141)는 강건한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크 플레이트(142)들은 밸브 몸체(141)에 스윙 동작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밸브 몸체(141)의 유로(141a)들을 개폐하도록 동작한다. 체크 플레이트(142)들은 밸브 몸체(141)보다 혼합 챔버(110)의 내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체크 플레이트(142)들은 밸브 몸체(141)의 격벽(141b)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쌍을 이룰 수 있다.
체크 플레이트(142)들은 밸브 몸체(141)의 격벽(141b)을 향한 내측 단부들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되며, 외측 단부들에 힌지 결합편(142a)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 몸체(141)는 가장자리 부위에 힌지 결합편(142a)들을 각각 끼우도록 힌지 축받이(141e)들이 형성된다. 힌지 축(145)이 힌지 축받이(141e)와 힌지 결합편(142a)을 관통해서 결합된다. 따라서, 체크 플레이트(142)들은 힌지 축(145)들을 중심으로 스윙 동작하면서 밸브 몸체(141)의 유로(141a)들을 개폐할 수 있다. 체크 플레이트(142)들은 강건한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시트(143)들은 체크 플레이트(142)들이 밸브 몸체(141)의 유로(141a)들을 폐쇄시키도록 동작한 상태에서 유로(141a)들 주변을 실링하도록 체크 플레이트(142)들에 각각 고정된다. 탄성 시트(143)들은 체크 플레이트(142)들보다 밸브 몸체(141)에 가깝게 배치된다.
탄성 시트(143)들은 체크 플레이트(142)들의 폐쇄 동작 상태에서 밸브 몸체(141)의 유로(141a)들 주변에 밀착됨으로써, 혼합 챔버(110) 내의 포수용액이 체크 플레이트(142)들과 밸브 몸체(141)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탄성 시트(143)들은 쌍을 이루어 체크 플레이트(142)들에 볼팅 또는 접착될 수 있다. 탄성 시트(143)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144)들은 체크 플레이트(142)들을 폐쇄 동작시키는 방향으로 체크 플레이트(142)들에 탄성력을 가한다. 스프링(144)들은 체크 플레이트(142)들이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120)로 공급되는 포수용액의 압력에 의해 개방 동작하면 탄성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144)들은 포수용액 공급원(10)으로부터 포수용액의 공급이 중단되어 체크 플레이트(142)들에 가해진 포수용액의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력으로 체크 플레이트(142)들을 폐쇄 동작시켜 폐쇄 위치로 복귀시킨다.
스프링(144)은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144)은 힌지 축(145)을 감싼 상태로 한쪽 단이 밸브 몸체(141)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이 체크 플레이트(142)에 고정됨으로써, 체크 플레이트(142)에 폐쇄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역류방지 체크밸브(14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포수용액이 포수용액 공급원(10)으로부터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120)로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체크 플레이트(142)들은 밸브 몸체(141)의 유로(141a)들을 폐쇄한 상태로 대기한다. 이때, 체크 플레이트(142)들의 탄성 시트(143)들이 밸브 몸체(141)의 유로(141a)들 주변을 실링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포수용액이 포수용액 공급원(10)으로부터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120)를 통해 밸브 몸체(141)의 유로(141a)들로 유입되면, 밸브 몸체(141)의 유로(141a)들을 폐쇄하고 있던 체크 플레이트(142)들이 포수용액의 압력에 의해 탄성 시트(143)들과 함께 밸브 몸체(141)로부터 멀어지게 스윙 동작하면서 밸브 몸체(141)의 유로(141a)들을 개방시킨다. 그에 따라, 포수용액은 밸브 몸체(141)의 개방된 유로(141a)들을 통과해서 혼합 챔버(110) 내로 유입된다. 이때, 스프링(144)들은 탄성 변형된다.
이후, 포수용액 공급원(10)으로부터 포수용액의 공급이 중단되면, 체크 플레이트(142)들에 가해졌던 포수용액의 압력이 제거된다. 그러면, 체크 플레이트(142)들은 스프링(144)들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 몸체(141)에 가까워지게 스윙 동작하면서 밸브 몸체(141)의 유로(141a)들을 폐쇄한다. 이때, 체크 플레이트(142)들의 탄성 시트(143)들이 밸브 몸체(141)의 유로(141a)들 주변에 실링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에 따라, 혼합 챔버(110) 내의 포수용액은 밸브 몸체(141)의 폐쇄된 유로(141a)들로 진행하지 않게 되므로,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120)로 역류하지 않게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혼합장치(100)는 포수용액을 대략 90% 이상 포(foam)로 전환시킴으로써, 버려지는 포수용액을 최소화하여 기존 포소화설비 대비 포수용액의 사용량을 대략 1/3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고, 양질의 포(foam)를 생성시켜 화재 진압 효과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포 혼합장치(100)는 소화약제와 소화수를 혼합하는 일반 포소화설비에 다양하게 사용되어 일반 포소화설비의 기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고, 소화약제와 소화수의 혼합비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포소화설비에 공용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포수용액 공급원
20..압축가스 공급원
30..압축공기포 분사기
100..압축공기포 혼합장치
110..혼합 챔버
111..포수용액 유입구 111a..지지턱
112..압축가스 주입구 113..압축공기포 배출구
114..배출관 115..배출 플랜지
116..압력게이지 연결부 117..유입구 플랜지
120..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
121..연결관 122..연결 플랜지
123..입구 플랜지
130..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
131..노즐 몸체 132..노즐관
140..역류방지 체크밸브
141..밸브 몸체 141a..유로
141b..격벽 141c..걸림턱
141d..패킹 장착홈 141e..힌지 축받이
142..체크 플레이트 142a..힌지 결합편
143..탄성 시트 144..스프링
145..힌지축

Claims (6)

  1. 내부공간을 갖고, 한쪽 단에 포수용액을 유입하는 포수용액 유입구가 형성되며, 중앙 쪽에 압축가스를 주입하는 압축가스 주입구가 형성되며, 다른 쪽 단에 포수용액과 압축가스의 혼합에 따라 생성된 압축공기포를 배출하는 압축공기포 배출구가 형성된 혼합 챔버;
    포수용액 공급원으로부터 포수용액을 공급받아 상기 혼합 챔버 내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포수용액 유입구에 연결되는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
    압축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혼합 챔버 내로 주입시키도록 상기 압축가스 주입구에 연결되는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 및
    상기 혼합 챔버 내로 유입되는 포수용액이 상기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포수용액 유입구에 장착되는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 체크밸브는,
    격벽이 중공을 가로질러 구획함에 따라 중앙에 양분된 유로들이 형성되고 바깥쪽 둘레가 상기 포수용액 유입구의 안쪽 둘레를 따라 고정되는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에 스윙 동작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밸브 몸체의 유로들을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체크 플레이트들과,
    상기 체크 플레이트들이 상기 밸브 몸체의 유로들을 폐쇄시키도록 동작한 상태에서 유로들 주변을 실링하도록 상기 체크 플레이트들에 각각 고정된 탄성 시트들, 및
    상기 체크 플레이트들을 폐쇄 동작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체크 플레이트들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들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몸체는 바깥쪽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포수용액 유입구는 상기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와 체결됨에 따라 상기 혼합 챔버의 내측에 가까운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턱을 걸어서 지지하는 지지턱에 의해 상기 밸브 몸체를 고정하며;
    상기 밸브 몸체는 걸림턱보다 상기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에 가깝게 바깥쪽 둘레에 패킹 장착홈이 형성되어 패킹 장착홈에 장착되는 패킹에 의해 상기 포수용액 유입구와의 사이를 실링하며;
    상기 체크 플레이트들은 상기 밸브 몸체의 격벽을 향한 내측 단부들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되고 외측 단부들에 힌지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는 가장자리 부위에 힌지 결합편들을 각각 끼우도록 힌지 축받이들이 형성되어, 힌지 축이 힌지 축받이와 힌지 결합편을 관통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는,
    상기 압축가스 주입구에 고정되어 압축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가스를 공급받는 노즐 몸체, 및
    상기 노즐 몸체로부터 상기 혼합 챔버 내로 연장되면서 상기 압축공기포 배출구를 향해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 몸체로부터 압축가스를 전달받아 분사하는 노즐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수용액 유입용 연결부는,
    포수용액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는 포수용액을 입구를 통해 유입해서 출구로 배출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출구 주변을 따라 확장되어 상기 포수용액 유입구 주변에 고정되는 연결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챔버는 압축공기포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게이지를 연결하도록 상기 압축공기포 배출구에 인접하여 형성된 압력게이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압축가스 공급원은 상기 혼합 챔버 내로 유입되는 포수용액의 유량에 맞게 계산된 유량으로 압축가스를 상기 압축가스 주입용 노즐부로 공급해서 상기 혼합 챔버 내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KR1020220063182A 2022-05-24 2022-05-24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KR102484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182A KR102484580B1 (ko) 2022-05-24 2022-05-24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182A KR102484580B1 (ko) 2022-05-24 2022-05-24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580B1 true KR102484580B1 (ko) 2023-01-03

Family

ID=8492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182A KR102484580B1 (ko) 2022-05-24 2022-05-24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95572A (zh) * 2023-12-11 2024-03-15 湖北博利特种汽车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压缩空气泡沫的cafs电动消防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809A (ko) * 2013-12-02 2015-06-10 김윤석 지능형 멀티 에이전트 압축공기포 소화 시스템
KR101666036B1 (ko) 2016-03-17 2016-10-14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KR101721199B1 (ko) * 2015-05-18 2017-04-10 양정승 듀얼 플레이트 체크밸브
KR102271066B1 (ko) * 2019-09-18 2021-07-01 주식회사 나브텍 포소화약제의 정량 비례 혼합이 가능한 비례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809A (ko) * 2013-12-02 2015-06-10 김윤석 지능형 멀티 에이전트 압축공기포 소화 시스템
KR101721199B1 (ko) * 2015-05-18 2017-04-10 양정승 듀얼 플레이트 체크밸브
KR101666036B1 (ko) 2016-03-17 2016-10-14 주식회사 엠티케이방재시스템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KR102271066B1 (ko) * 2019-09-18 2021-07-01 주식회사 나브텍 포소화약제의 정량 비례 혼합이 가능한 비례혼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95572A (zh) * 2023-12-11 2024-03-15 湖北博利特种汽车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压缩空气泡沫的cafs电动消防车
CN117695572B (zh) * 2023-12-11 2024-05-14 湖北博利特种汽车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压缩空气泡沫的cafs电动消防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580B1 (ko)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US6276459B1 (en) Compressed air foam generator
RU2450837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TWI287463B (en) Portable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nd liquid atomizer
CA2785031C (en) Apparatus for regulating two-phase flow and portable atomizer based on two-phase flow
KR101571003B1 (ko) 압축공기포 소화장치
JP2008541984A (ja) 消火装置および消火ヘッド
RU2451560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с вихревым распылителем
CN112546498B (zh) 一种实时快速生成泡沫的气液比例混合器
KR101695198B1 (ko) 교육용 소화장치
RU175400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2431334B1 (ko) 물과 포 겸용 분사건
JP2006296491A (ja) 液体噴射用発泡ノズル
EP1707243A1 (en) Nozzle for small capacity fire extinguisher
RU197058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на основе подачи 2-х компонентного огнетушащего средства
RU2497561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CN203090324U (zh) 一种多功能压缩空气泡沫消防枪
RU2451559C1 (ru) Вихревой пеногенератор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US20220168602A1 (en) Small space fire extinguisher
RU2497562C1 (ru) Вихревой пеногенератор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CN212730800U (zh) 一种高倍数的泡沫灭火装置
SU946390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зовани огнегасительной пены
RU2505329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с вихревым распылителем
KR102450380B1 (ko) 일제개방형 소방밸브
RU24891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тонкораспыленным потоком огнетушащей жидкости или потоком пены и распылитель для их формиров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