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134B1 - 스마트링을 이용한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링을 이용한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134B1
KR102484134B1 KR1020200138287A KR20200138287A KR102484134B1 KR 102484134 B1 KR102484134 B1 KR 102484134B1 KR 1020200138287 A KR1020200138287 A KR 1020200138287A KR 20200138287 A KR20200138287 A KR 20200138287A KR 102484134 B1 KR102484134 B1 KR 10248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smart ring
activity information
lif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929A (ko
Inventor
한승현
박영욱
Original Assignee
(주) 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로완 filed Critical (주) 로완
Priority to KR1020200138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1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방법은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 활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 또는 사용자 라이프 패턴 정보를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링을 이용한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및 장치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Life Pattern and Management Using smart ring}
실시예들은 스마트링을 이용한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링을 이용하여 수면 정보, 운동 정보 또는 식사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워치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때,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생체 정보나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들은 스마트 워치를 일상 생활에서 착용하지만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 이를 해제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많은 사용자들은 운동 중에 스마트 워치를 해제하기도 한다. 일 예로,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 손목에 착용되어 수면 중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운동 중에도 다른 물체와 충돌 위험성이 있어 이를 해제하고 수면 및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수면이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스마트링을 이용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스마트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6503호
본 명세서는 스마트링을 이용한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스마트링을 이용하여 수면 정보, 운동 정보 또는 식사 정보와 같은 라이프 패턴 정보를 획득하여 시스템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스마트링을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분석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사항들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에 의해 구현되는,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관리하는 방법은,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 활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 또는 사용자 라이프 패턴 정보를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링은 제 1 스마트링 및 제 2 스마트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스마트링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 1 사용자 활동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스마트링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 2 사용자 활동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활동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손 동작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마트링과 상기 제2 스마트링은, 사용자의 한 손의 서로 다른 손가락, 각 다른 손의 손가락, 및 한 손의 같은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착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를 입력 정보로서 받아 동작하는 활동 정보 학습 모델을 이용하되, 상기 활동 정보 학습 모델은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수면 상태, 운동 상태, 식사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출력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활동 정보 학습 모델이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도구 파지 여부, 파지한 도구의 종류, 손 제스처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출력 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링을 이용한 사용자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방법.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프 패턴 정보로서, 수면상태, 운동상태, 및 식사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활동 정보 학습 모델에 입력되는 사용자 활동 정보를 입력 전 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소정 시간 동안 소정 거리 이상을 이동하는 경우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스마트링으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 활동 정보는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술한 스마트링을 이용하여 사용자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스마트링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라이프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스마트링을 이용하여 수면 정보나 운동 정보와 같은 라이프 패턴 정보를 획득하여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스마트링을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분석하고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스마트링을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를 딥러닝에 기초한 학습을 통해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위 기재된 사항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아래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내용들로 확장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내지 3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10)의 동작 환경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4c는 본 명세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10)의 동작 환경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스마트 링의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및 6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링 획득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의 식사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와 시스템 및 디바이스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PC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가전처럼 고정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차량 내 클러스터 또는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가능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기기를 디바이스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10), 하나 이상의 서버(120, 130, 140)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스마트 반지,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다른 서버들(120 - 140)과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각 서버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와 네트워크(1)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정보 제공 등)를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배포하고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해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200)는 도1을 참조하여 상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 또는 서버(120-140)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장치와 서버들은 일부 구성요소를 더 하거나 제외하여 구성됨으로써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그리고 송수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장치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30)을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이 네트워크(1)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모듈(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네트워크(1)를 통해 사용자 기기(110)와 서버(120 -14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110) 및/또는 서버(120 - 140) 각각이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부(240)는 외부 입력/출력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외부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장치(200)는 적용되는 장치의 성질에 따라서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200)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적용되는 경우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에서 서술하는 스마트링은 상술한 도 2의 컴퓨팅 장치(200)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스마트링에는 컴퓨팅 장치(200)에 대한 구성들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활동 정보 및 그 밖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하기에서 의료기관 서버(또는 서버)는 상술한 도 1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서버 또는 시스템일 수 있다. 즉, 의료기관 서버는 도 1에서처럼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스마트링은 상술한 도 1에 기초하여 통신을 통해 의료기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스마트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도 3a 내지 3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10)의 동작 환경을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스마트링은 사용자의 손에 장착되는 다양한 센서가 포함되는 디바이스(310-1, 310-2)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스마트링은 각각의 개별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각각의 스마트링은 사용자 활동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10)로 직접 또는 중간 라우터 등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10)는 상술한 도 2에 기초한 컴퓨팅 장치로서 스마트링과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 또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라이프 로그 관리 장치는 스마트링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한 라이프 패턴 정보를 의료기관 서버(32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라이프 패턴 정보와 함께 또는 별개로 사용자 활동 정보(예컨대 사용자 동작의 종류가 라벨링되지 않은)를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링은 두 개의 디바이스(310-1, 310-2)가 하나의 세트일 수 있다. 즉, 스마트링은 두 개의 디바이스(310-1, 310-2)로 구성되고, 상호 연동을 통해 구현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링의 두 개의 디바이스(310-1, 310-2)는 각각 제 1 스마트링(310-1) 및 제 2 스마트링(310-2)일 수 있으나, 상술한 명칭 또는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제 1 스마트링(310-1) 및 제 2 스마트링(310-2) 각각은 다수의 입력 유닛 및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후술한다.
이때, 제 1 스마트링(310-1) 및 제 2 스마트링(310-2) 각각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손 동작 관련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스마트링(310-1) 및 제 2 스마트링(310-2) 각각은 사용자의 손에 대한 활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활동 정보는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스마트링의 위치 및 기울기 변화, 압력, 상대적인 거리 정보 등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하나의 스마트링만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활동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정보에 대한 정확도에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제 1 스마트링(310-1) 및 제 2 스마트링(310-2) 각각은 사용자로부터 활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는 각각 획득한 활동 정보를 비교하여 스마트링 간의 거리 또는 구체적인 손가락의 동작 형태가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링의 개수는 2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스마트링은 사용자의 오른손 검지에 끼워지고, 제2 스마트링은 사용자의 오른손 중지에 끼워질 수 있다. 또는 제2 스마트링은 사용자의 오른손 검지에 끼워지되, 제1 스마트링과 제2 스마트링은 서로 다른 마디에 끼워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스마트링이 착용됨으로써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한 손에 끼워진 두 개 이사의 스마트링 각각의 가속도 정보 뿐만 아니라 각 스마트링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 정보가 함께 이용되어 손 제스처가 식별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은 서버에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사용자가 러닝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을 움켜진 상태(주먹진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양 손에 각각 착용된 제 1 스마트링(310-1) 및 제 2 스마트링(310-2)은 유사한 움직임을 보일 수 있으며, 상호 연동을 통해 가속도 정보 또는 상대적인 거리를 이용하여 오차 정보를 산출하여 보정함으로서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사용자가 웨이트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스마트링(310-1)의 압력과 제 2 스마트링(310-2)의 압력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손가락마다 다른 힘을 줄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각각의 스마트링을 통해 획득되는 압력 정보는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스마트링을 통해 획득한 정보는 대응되는 손가락에 대한 기준 정보와 비교될 수 있다. 이때, 기준 정보와 상술한 압력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올바르게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스마트링을 이용하는바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 밖에도 두 개의 스마트링은 상호 연동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링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 활동 정보는 서버(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스마트링(310-1, 310-2)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서버의 분석은 기계적인 분석으로 이루어지거나, 의료인의 입력 정보(임상의견 등)를 더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분석 결과, 의료기관 시스템(320)은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스마트링으로부터 얻은 정보(각 스마트링의 기울기, 온도, 압력, 이동거리, 서로간의 간격)을 기초로 사용자 상태(수면, 운동, 식사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위 상태에서 손가락의 동작 형태(제스쳐)를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구체적인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구간의 데이터에 대하여 수면상태, 식사상태, 식사상태 및 포크사용, 식사상태 및 포크사용 이면서 음식물 선택과 같은 라벨링된 데이터가 라이프 패턴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사용자가 수면 중이며, 램수면 상태이다 또는 현재 사용자가 식사중이며 젓가락을 사용하고 있다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예로 서버(10)는 스마트링(310-1, 310-2)으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활동정보를 분석한 결과인 라이프 패턴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사용자의 스마트폰 또는 사용자가 가입한 건강관리 서비스의 계정)로 전송하거나 라이프 패턴 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식사 중 젓가락 사용횟수가 동일 연령대 또는 동일 질병을 가진 그룹원들에 비하여 적거나 많은 경우 사용횟수를 조절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b는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c는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스마트링(310-1, 310-2)의 기본 동작은 상술한 도 3a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스마트링(310-1, 310-2)은 사용자가 수면 중에도 착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 중 사용자 활동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서버는 수면시의 활동정보 패턴을 학습하고, 이를 이용해 사용자의 수면을 확인하고, 수면중 라이프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는 사용자가 뒤척이거나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는 등 이상 동작이 감지되면 이에 관련된 활동 정보를 사용자의 수면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즉,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10)는 수신한 수면 중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여 수면에 대한 평가 및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는 획득한 활동 정보를 기초로 수면의 시작과 종료 및 수면의 깊이에 대한 정보를 추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수면 중 손가락의 동작에 대한 데이터를 현재 모니터링되는 또는 획득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위와 같은 수면의 시작 종료 깊이에 대한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10)는 사용자가 식사중인 시간 동안의 활동 정보를 학습하여, 획득한 활동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식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링(310-1, 310-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복수의 스마트링이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손가락에 두개 이상이 순차적으로 끼워지거나, 한 손의 서로 다른 손가락에 끼워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획득한 사용자 활동 정보는 다양한 센서값을 가질 수 있고 라이프 로그 서버는 획득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식사중인지 여부 및 식사 중 사용자의 손 제스처(3차원 공간 상의)에 대하여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기초로 손이 움직이는 횟수, 손이 움직이는 속도, 도구 파지 여부(맨손으로 먹는 경우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파지한 도구의 종류(스푼, 포크, 젓가락, 나이프 등), 도구 이동시 기울기 값 등이 식사 관련 사용자 활동 정보로서 분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 서버(320)은 스마트링(310-1, 310-2)을 통해 사용자의 식사 관련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 라이프 패턴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나이프 사용시 각도가 지나치게 크거나 작은 경우 이를 판별할 수 있다.
도 4a, 4b 및 4c는 스마트링이 사용자 양손 각각에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스마트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가 하나의 세트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스마트링(410-1)과 제 2 스마트링(410-2)은 서로 다른 손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손에만 스마트링이 장착되면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 정보(e.g. 운동 정보, 수면 정보, 식사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운동 정보로서 사용자가 러닝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각 손은 교차되어 움직일 수 있으며, 한 손에만 스마트링이 장착되어 있으면 이에 대한 정보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4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수면 정보로서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측정하는 경우, 한 손에만 스마트링이 장착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양 손에 스마트링이 장착되어 있으면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의료기관 서버(420)으로 전송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손에 끼워진 스마트링 간의 상대적 거리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팔 동작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식사 정보로서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식사를 수행하는 경우, 한 손에만 스마트링이 장착되어 있으면 식사 패턴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두 손을 모두 이용하여 식사를 하지만 하나의 손 동작만 인식하면 식사 동작에 대한 측정은 절반만 수행되는 바 측정 동작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양손에 스마트링이 장착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식사 패턴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스마트 링의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링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링은 상술한 의료기관 서버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동하기 위해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스마트링은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시스템이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링은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링은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 정보(또는 센서 정보 또는 사용자 활동 정보)를 일정 기간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일정 주기에 기초하여 시스템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스마트링은 카메라,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굽힘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속도 센서 및 그 밖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스마트링은 압력 센서로 사용자의 심박수나 그 밖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방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링은 충전 방식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스마트링은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고, 이에 기초하여 측정 중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링 획득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반 활용은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10)에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10)은 인공지능에 기초하여 스마트링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입력으로 이용하여 사용자 라이프 패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1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인공지능에 기초하여 사용자 활동 정보에 대한 학습 모델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활동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얻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활동 정보는 학습 모델의 입력 정보로서 학습 모델을 통해 분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학습 모델은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도구를 파지했는지 여부,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손 제스처, 팔 동작 및 자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를 입력 정보로서 활동 정보 학습 모델에 입력하고, 활동 정보 학습 모델로부터 수면 상태, 운동 상태, 식사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출력 정보로서 출력받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활동 정보 학습 모델이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도구 파지 여부, 파지한 도구의 종류, 손 제스처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출력 정보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학습 모델의 학습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활동 정보 학습 모델에 입력되는 사용자 활동 정보를 입력 전 전처리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링이 소정 시간 동안 소정 거리 이상을 이동하는 경우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스마트링으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 활동 정보는 제외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손이 음식 위에서 입으로 이동되는 동안의 데이터값을 제외될 수도 있다. 음식을 도구에 고정시키기 위해 손이 움직이는 시간 구간 또는 도구를 파지하기 위해 손이 움직이는 시간 구간의 데이터를 중점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손 제스처 식별의 정확성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이 기간 동안의 데이터가 유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포크로 음식을 찍어 입으로 이동하는 손가락의 이동 경로와, 수저로 음식을 떠 입으로 이동하는 손가락의 이동 경로는 서로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스마트링은 초음파 센서,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및 굽힘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손가락 동작에 대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의 학습 모델은 딥러닝 기반으로 손가락 동작에 대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식사중인지 여부, 또는 도구(e.g. 젓가락, 숟가락)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 또는 사용중인 도구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젓가락을 파지할 때의 손가락 압력, 각도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딥러닝을 통해 분석된 학습 모델과 비교함으로써 이를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스마트링으로부터의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 모델은 도구 파지 후 음식의 이동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식사시 사용하는 도구, 도구별 사용 빈도, 순서 등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이에 기초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확인하고, 라이프 패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식사 패턴을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다. 일 예로, 평가기준은 기 설정된 기준일 수 있으며, 식사시 왼손과 오른손 사용 비율, 도구 사용 시간, 도구의 사용 패턴(예컨대 오전의 포크 사용량 또는 저녁의 포크 사용량)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입력 정보는 운동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링으로부터 획득한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 모델을 통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운동 기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손 모양, 손의 압력 및 그 밖의 정보를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운동 기구를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운동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파지한 운동 기구에 대한 무게, 운동 기구로 운동을 수행하는 횟수 및 반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패턴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출력 값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사용자 활동 정보는 수면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링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수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 자세나 패턴을 학습 모델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손의 유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 정보로 학습 모델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또는 뒤척임) 횟수 등을 학습 모델과 비교하여 수면 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출력 값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 모델을 통해 획득되는 출력 값은 학습 모델에 다시 피드백될 수 있다. 즉, 학습 모델은 스마트링을 통해 획득한 입력 정보와 이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이에 기초하여 패턴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6b를 참조하면, 상술한 학습 모델이 기초하여 획득한 정보는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10) 또는 의료기관 서버(32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 또는 의료기관 서버는 이에 대한 정보를 분석 및 평가하여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관리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다시 상술한 학습 모델로 피드백될 수 있다. 예컨대 피드백되는 관리 정보는 사용자 라이프 패턴 정보를 기초로 판단된 치매 위험 인자 발견 또는 소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피드백을 통해, 상술한 학습 모델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패턴 분석의 정확도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7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수면 패턴을, 도 7c는 식사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도 7a를 참조하면, 스마트링은 상술한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 정보(e.g. 운동 정보, 수면 정보, 식사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라이프 로그 서버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일 예로, 스마트링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링은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지속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a를 참조하면, 스마트링은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한 시점과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 및 각각의 동작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링은 해당 동작에 대한 정보를 시간 정보와 결합하여 라이프 로그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링이 전송하는 정보에는 동작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관련 시간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라이프 패턴 분석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b에서 스마트링은 사용자의 사용자의 움직임(또는 뒤척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면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도 7c를 참조하면, 스마트링은 사용자의 식사 시간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식사 시간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방법은 상술한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10)에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에 의해 구현되는,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관리하는 방법은,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 활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810), 상기 획득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820)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 또는 사용자 라이프 패턴 정보를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820)는, 상기 제1 사용자 활동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손 동작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다양한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의 기능들의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명세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포함하도록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라이프 로그 관리 서버에 의해 구현되는,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둘 이상의 스마트링을 통해 사용자 활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 또는 사용자 라이프 패턴 정보를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를 입력 정보로서 받아 동작하는 활동 정보 학습 모델을 이용하되, 상기 활동 정보 학습 모델은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식사 상태를 출력 정보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사 상태는, 식사 여부, 식사 중 사용하는 도구의 종류 및 도구의 사용 순서, 및 도구 사용 자세를 포함하는, 스마트링을 이용한 사용자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링은 제 1 스마트링 및 제 2 스마트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스마트링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 1 사용자 활동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스마트링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 2 사용자 활동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활동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손 동작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마트링과 상기 제2 스마트링은,
    사용자의 한 손의 서로 다른 손가락, 각 다른 손의 손가락, 및 한 손의 같은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착용되는, 스마트링을 이용한 사용자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정보 학습 모델은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수면 상태 또는 운동 상태를 출력 정보로서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링을 이용한 사용자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활동 정보 학습 모델이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도구 파지 여부, 파지한 도구의 종류, 손 제스처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출력 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링을 이용한 사용자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프 패턴 정보로서, 수면상태, 운동상태, 및 식사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링을 이용한 사용자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활동 정보 학습 모델에 입력되는 사용자 활동 정보를 입력 전 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스마트링이 소정 시간 동안 소정 거리 이상을 이동하는 경우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스마트링으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 활동 정보는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링을 이용한 사용자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방법.
  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마트링을 이용하여 사용자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38287A 2020-10-23 2020-10-23 스마트링을 이용한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48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87A KR102484134B1 (ko) 2020-10-23 2020-10-23 스마트링을 이용한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87A KR102484134B1 (ko) 2020-10-23 2020-10-23 스마트링을 이용한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929A KR20220053929A (ko) 2022-05-02
KR102484134B1 true KR102484134B1 (ko) 2023-01-04

Family

ID=8159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287A KR102484134B1 (ko) 2020-10-23 2020-10-23 스마트링을 이용한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3432A1 (en) * 2021-07-21 2023-01-26 Min Jeong Wa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ementia risk factors using deep learning
KR20230166295A (ko) 2022-05-30 2023-12-07 박진옥 헬스케어용 스마트링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2076B2 (en) * 2014-09-17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mart ring
KR20170089305A (ko) * 2016-01-26 2017-08-03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라이프로그 수집 및 통합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70089684A (ko) * 2016-01-27 2017-08-04 크루셜텍 (주) 반지형 헬스케어 장치
KR20180066503A (ko) 2016-12-09 2018-06-19 임현철 스마트 링 디바이스
KR102162522B1 (ko) * 2018-10-04 2020-10-06 김창호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929A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0091B2 (en) Motion predictions of overlapping kinematic chains of a skeleton model used to control a computer system
US103145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biomechanical feedback to human and object motion
US1050757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instructions for a robotic system to carry out a task
US11474593B2 (en) Tracking user movements to control a skeleton model in a computer system
CN104238736B (zh) 利用抓握对象识别运动的装置、方法和系统
KR102484134B1 (ko) 스마트링을 이용한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및 장치
US9469028B2 (en) Robotic handover system natural for humans
WO2014186619A1 (en) Correlating sensor data obtained from a wearable sensor device with sensor data obtained from a smart phone
US9833173B2 (en) Matching system for correlating accelerometer data to known movements
US11175729B2 (en) Orientation determination based on both images and inertial measurement units
US11079860B2 (en) Kinematic chain motion predictions using results from multiple approaches combined via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US20220022604A1 (en) Receiving feedback based on pressure sensor data and movement data
US11237632B2 (en) Ring device having an antenna, a touch pad, and/or a charging pad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based on user motions
WO2020009715A2 (en) Tracking user movements to control a skeleton model in a computer system
US20160131677A1 (en) Motion pattern based event detection using a wearable device
KR102532419B1 (ko) 실시간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대시보드 디자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80549B1 (ko) 스마트링을 이용해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임상적 판단을 셀럽을 통해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Bannach Tools and methods to support opportunistic human activity recognition
KR102575979B1 (ko) 스마트링을 이용한 음주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202102595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terogenou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 a deterministic system
EP4060678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biomarkers platform
US20230153611A1 (en) Providing unlabelled training data for training a computational model
KR20230076173A (ko) 스켈레톤 모델을 활용한 건강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TW202402356A (zh) 運動表現預估方法、裝置及電腦可讀儲存媒體
CN117372467A (zh) 运动表现预估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