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926B1 - Floating Decanter - Google Patents

Floating Deca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926B1
KR102483926B1 KR1020220090953A KR20220090953A KR102483926B1 KR 102483926 B1 KR102483926 B1 KR 102483926B1 KR 1020220090953 A KR1020220090953 A KR 1020220090953A KR 20220090953 A KR20220090953 A KR 20220090953A KR 102483926 B1 KR102483926 B1 KR 102483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anter
outflow
supernatant
reaction tank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9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희
조흥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텍
Priority to KR1020220090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9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9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3Sequencing batch reactors [SB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ating decanter that comprises: a decanter body including outflow chambers formed on both sides such that supernatant water including no foreign substances, which is treated water treated in a reaction tank flows out after overflowing through the inle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bottom as maintaining a parallel state at all times on the water surface of the reaction tank without being biased to one side in order to allow only supernatant water to flow out smoothly, ballast chambers disposed respectively on each side and bottom of the outflow chamber to keep the balance on the water surface, and a weight uni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let to maintain a horizontal center across the inlet; outflow pipe frames rotatab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ecanter body, through which supernatant overflowing into the outflow chamber flows out; an installation block where a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supernatant water is discharge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reaction tank and the horizontal outflow pipe of the outflow pipe frame is rotatably disposed; and a lifting means connected to the outflow pipe frame with a wire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ction tank to lift the decanter body. Accordingly, the decanter has excellent performance and ensures high reliability.

Description

부유식 디캔터{Floating Decanter} Floating Decanter {Floating Decanter}

본 발명은 부유식 디캔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반응조의 수면상에서 어느 일측으로 편중(偏重)됨 없이 항시 평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반응조에서 처리된 처리수인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상등수만을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한 부유식 디캔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deca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maintain a parallel state at all times without being biased to one side on the water surface of a reaction tank, so that only supernatant water, which is treated water in a reaction tank, does not contain foreign substances, smoothly It is about a floating decanter that allows you to spill it out.

일반적으로 오수의 처리 방법에 있어, 복수 개의 반응조에서 오수의 유기물을 제거를 위한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 처리수를 배출하였으나, 복수 개의 반응조 구비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오수를 처리할 수 있는 하나의 반응조에서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In general, in the treatment method of sewage, treated water is discharged after treatment with aerobic and anaerobic microorganisms to remove organic matter in the sewage in a plurality of reaction tanks. A method of sequentially processing in one reactor that can be used has been proposed.

상기한 하나의 반응조에서 오수의 처리방식은 오수를 유입 후 혐기성 및 호기성 미생물 처리에 의한 유기물, 질소, 인 등을 제거한 후 침전시키고, 처리된 상등수만을 유출시키는 순차적 배치반응공법(SBR공법)이 사용된다. The method of treating sewage in one of the above reactors is a sequential batch reaction method (SBR method) that removes organic matter, nitrogen, phosphorus, etc. by anaerobic and aerobic microorganism treatment after inflow of sewage, precipitates, and discharges only the treated supernatant. do.

이러한 순차적 배치반응공법에서 혐기성 및 호기성 반응을 거쳐 소정 시간 침전과정을 거치게 되면 반응조의 하층에는 슬러지가 침전되고, 그 위에는 응집물이 완전히 첨전되지 못하고 유동하는 상태의 중간층이 존재하게 되며, 반응조의 수면에는 응집된 부유물이 떠 있게 되므로 상기 응집물이 유동하는 중간층과 부유물이 존재하는 수면 사이의 상층부에 배출 가능하게 처리된 상등수가 존재하게 된다. In this sequential batch reaction method, when the sedimentation process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anaerobic and aerobic reactions, sludge is precipitated in the lower layer of the reaction tank, and an intermediate layer in a flowing state exists on top of which the aggregate is not completely precipitated, and on the surface of the reaction tank Since the flocculated suspended matter floats, the supernatant treated to be discharged exists in the upper layer between the middle layer in which the flocculated matter flows and the water surface where the suspended matter exists.

이와 같이 수표면의 부유물을 배출하지 않으면서 상등수만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디캔터(decanter)를 사용하고 있다. In this way, a decanter is used to discharge only the supernatant without discharging the suspended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water.

상기한 디캔터는 반응조의 수위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되어야 하고, 수표면의 부유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The height of the decanter described above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reaction tank, and the suspended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water should not be discharged.

상기와 같이 반응조의 상등수를 배출하기 위한 디캔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Prior art related to the decanter for discharging the supernatant of the reaction tank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0040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유입 방지판을 구비하는 부력체, 흡입관 및 유입관을 포함하는 상등수 흡입부를 포함하는 상등수 배출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First,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400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supernatant discharge including a supernatant intake including a buoyancy body, a suction pipe, and an inlet pipe having a sludge inflow prevention plate A technique such as a device has been propose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1378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SBR공법의 침전과정에서 반응조의 슬러지 계면을 모니터링하여 일정 수위의 상등수 층이 형성된 이후 슬러지 침전과 상등수 배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상부 스토퍼, 하부 스토퍼를 포함하는 디켄터 바디는 디켄터 지지 부재를 따라 상하 운동하되, 디켄터 바디가 최대 레벨인 경우 상부 스토퍼에 의해 커넥트 암이 고정되어 스컴 월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디켄터 바디가 최대 레벨 이하 경우에는 하부 스토퍼에 의해 커넥트 암이 제한되어 스컴 월의 개방 범위를 제어하는 구조인 디켄터 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4137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the sludge interface of the reaction tank is monitored in the sedimentation process of the SBR method, and after the supernatant layer of a certain level is formed, sludge precipitation and The decanter body including the upper stopper and the lower stoppe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decanter support member so that the supernatant water can be discharged simultaneously. When the decanter body is at the maximum level, the connect arm is fixed by the upper stopper and the scum wall is closed. , and when the decanter body is below the maximum level, a technology such as a decanter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 arm is limited by the lower stopper to control the open range of the scum wall has also been proposed.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86071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반응조의 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관과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관을 플렉시블한 주름호스로 연결하고, 상등수가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구들이 형성된 상등수유입관, 필터유닛, 부력체, 변형제어유닛 등을 포함하는 수처리용 부유식 디켄터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38607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a flexible corrugated hose connects a pipe fixed to the sidewall of the reaction tank and a pipe that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addition, technologies such as a floating decanter for water treatment including a supernatant inlet pipe having a plurality of inlets through which supernatant water flows in, a filter unit, a buoyancy body, and a deformation control unit have also been proposed.

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172호(이하 '특허문헌 4'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밸브의 조작이 용이하며 상등수의 취수구를 복수 개 설치함에 따라 배출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반응조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힌지유닛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으로 분기배출관이 형성되는 부력통이 설치되는 회동관, 상기 분개배출관들을 개폐하는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부유식 디캔터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917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4'), the operation of the valve is easy and a plurality of intake ports of supernatant water are installed to increase the discharge efficiency of the reaction tank. It is rotatably supported by a hinge unit having a fixed bracket installed on one side and is rotatably installed, and includes a pivoting tube in which a buoyancy cylinder is installed with branch discharge pipes formed on both sides, and a discharge pipe including a valve unit that opens and closes the branch discharge pipes. Techniques such as expression decanters have also been proposed.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부력체의 구조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은 물론 상등수 흡입부 역시 상당히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과 아울러, 특히 부력에 의해 승강 시 상등수 흡입부가 어느 일측으로 편중됨으로 인해 일부 슬러지가 유입되는 문제점 또한 가진다. However, in Patent Document 1, not only the structure of the buoyancy body has a complicated technical configuration, but also the supernatant suction unit has a fairly complicated technical configuration, and in particular, some sludge is introduced due to the supernatant suction unit being biased to one side during elevation due to buoyancy. also has problems.

특허문헌 2 역시 디켄터 장치를 구성하는 디켄터 바디와 스컴 월의 기술적 구성이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가짐은 물론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반응조의 일면에 설치되어야만 하는 제한이 따른 문제점도 가진다. Patent Document 2 also has a fairly complex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decanter body and the scum wall constituting the decanter device, and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must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action tank due to structural features.

특허문헌 3 내지 4 또한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잦은 승강으로 인해 주름호스 또는 힌지유닛이 단시간에 내에 손상 등이 발생하는 단점과 함께 상등수를 배출하기 위해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등수 배출부가 어느 일측으로 편중됨으로 인해 일부의 슬러지가 포함되어 배출되는 단점도 가진다. Patent Documents 3 to 4 In addition, with the disadvantage that the corrugated hose or hinge unit is damaged within a short time due to frequent elevation to the surface by buoyancy, the supernatant water discharge unit is moved to one side in the process of being raised by buoyancy to discharge the supernatant water It also has a disadvantage that some sludge is included and discharged due to the bia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0040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4004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1378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4137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86071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38607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172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9172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반응조의 수면상에서 어느 일측으로 편중(偏重)됨 없이 항시 평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반응조에서 처리된 처리수인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상등수만을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한 부유식 디캔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is to maintain a parallel state at all times without being biased to one side on the water surface of the reaction tan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ating decanter capable of smoothly draining only supernatant water that has not been applied.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디캔터가 수면에 담수되는 깊이에 따라 상등수의 월류 높이가 적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overflow height of supernatant water can be appropriately made according to the depth at which the decanter is filled with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디캔더 바디의 수평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re stably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decanter body.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밑면 중앙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입구로 유입되는 상등수가 월류된 후 유출 가능하도록 양측에 형성되는 유출 챔버, 상기 유출 챔버의 각 측면 및 하부에 수면상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밸러스트 챔버, 상기 유입구의 하부 그 유입구를 가로질러 수평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웨이트부를 포함하는 디캔더 바디; 상기 디캔더 바디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유출 챔버로 월류되는 상등수가 유출되는 유출배관 프레임; 반응조의 하부에 상등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유출배관 프레임의 가로 유출배관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설치 블록; 및 상기 유출배관 프레임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디캔더 바디를 인양하기 위해 반응조의 상면에 구비되는 인양수단;을 포함한다. The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specific technical solution is an outflow chamber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the supernatant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center overflows and then flows out, the outflow chamber Each ballast chamber provided on each side and bottom of the decanter body including a weight portion formed to maintain a horizontal center across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port and the inlet port; Outflow piping frames rotatab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canter body and through which supernatant water flowing into the outflow chamber flows out; An installation block in which a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supernatant water is discharged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eaction tank and a horizontal outlet pipe of the outflow pipe frame is rotatably provided; and a lift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ction tank to lift the decanter body connected to the outflow pipe frame by a wire.

상기 유입구의 상부 유출 챔버의 각 유입면에는 상등수의 월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각각의 유출웨어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Each inlet surface of the upper outlet chamber of the inlet may be provided with outlet ware for limiting the overflow height of supernatant water.

상기 각각의 밸러스트 챔버에는 부력 조절을 위해 에어 또는 유체를 공급하는 연결라인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 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Each of the ballast chambers includes at least one buoyancy control valve connected to a connection line for supplying air or fluid to adjust buoyancy.

상기 부력 조절밸브는 밸러스트 챔버의 각 상면 및 하부 각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The buoyancy control valve includes being formed on each upper surface and each lower side of the ballast chamber.

상기 웨이트부는 내부가 중공되어 액체인 유체가 공급되는 연결라인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이트 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The weight unit includes at least one weight control valve having a hollow interior and connected to a connection line through which a liquid fluid is supplied.

상기 유출배관 프레임은 디캔더 바디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세로 유출배관, 상기 디캔더 바디 양측과 연결되는 반대 측에 설치 블록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로 유출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The outflow pipe frame includes vertical outlet pipes rotatab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canter body and horizontal outlet pipes rotatably provided in an installation block on an opposite sid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decanter body.

상기 인양수단은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기, 상기 디캔더 바디를 인양시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아이들 휠을 구비하는 고정링크를 포함한다. The lifting means includes a winder for winding the wire, and a fixed link having an idle wheel to support the wire when the decanter body is lifted.

본 발명은 반응조의 수면상에서 어느 일측으로 편중(偏重)됨 없이 항시 평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반응조에서 처리된 처리수인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상등수만을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성능을 가짐과 아울러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parallel state at all times without being biased to one side on the water surface of the reaction tank, so that only the supernatant water treated in the reaction tank, which is the treated water, does not contain foreign substances, and has excellent performance.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securing high reliability.

또한, 디캔터가 수면에 담수되는 깊이에 따라 상등수의 월류 높이가 적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등수의 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overflow height of the supernatant to be appropriately made according to the depth at which the decanter is filled with fresh water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outflow of the supernatant can be made smoothly.

또, 디캔더 바디의 수평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의 상등수만을 원활하게 유출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In addition, by enabl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decanter body to be more stably maintained, only supernatant water in a clean state free of foreign substances can be smoothly discharged.

도 1은 본 발명이 반응조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캔터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캔터 바디와 유출배관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부분 사시도 및 절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eaction vessel;
2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decanter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cutaway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ecanter body and the outflow pip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이 반응조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디캔터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정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디캔터 바디와 유출배관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부분 사시도 및 절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인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eaction tank, FIG. 2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decanter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2, and FIG. 4 is a decanter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and cutaway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outflow pipe frame and Figure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디캔터(decanter)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반응조에서 수표면의 부유물을 배출하지 않으면서 상등수만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설이다. As shown, the decanter (decanter) is a facility used to discharge only the supernatant water without discharging the suspended matter on the water surface in the reaction tank,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이러한, 디캔터는 반응조의 수위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되어야 하고, 수표면의 부유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조건을 가진다. Such a decanter has a condition that its height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reaction tank and that floating matter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should not be discharged.

그러나 종래 통상적인 디캔터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부력체의 구조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은 물론 상등수 흡입부 역시 상당히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과 아울러, 특히 부력에 의해 승강 시 상등수 흡입부가 어느 일측으로 편중됨으로 인해 일부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However,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of the invention, the conventional decanter has a complicat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buoyancy body, as well as a very complicat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pernatant suction part, and in particular, supernatant suction when ascending and descending by buoyancy Due to the portion being biased to one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some floating matter is introduced.

본 발명은 반응조의 수면상에서 어느 일측으로 편중(偏重)됨 없이 항시 평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반응조에서 처리된 처리수인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상등수만을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한 부유식 디캔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parallel state at all times without being biased to one side on the water surface of the reaction tank, so that only supernatant water treated in the reaction tank, which is treated water, does not contain foreign substances. Provides a floating decanter that can smoothly flow out is to do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디캔터는 디캔더 바디(10), 유출배관 프레임(20), 설치 블록(30) 및 인양수단(40)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The floating dec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decanter body 10, an outflow pipe frame 20, an installation block 30 and a lifting means 40.

디캔더 바디(10)는 반응조(100)의 수면상에서 상등수만을 유출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밑면 중앙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입구(12)로 유입되는 상등수가 월류된 후 유출 가능하도록 양측에 형성되는 유출 챔버(14), 상기 유출 챔버(14)의 각 측면 및 하부에 수면상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밸러스트 챔버(15), 상기 유입구(12)의 하부 그 유입구(12)를 가로질러 수평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웨이트부(16)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The decanter body 10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capable of draining only the supernatant water from the water surface of the reaction tank 100, so that the supernatant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1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verflows and then flows out. Discharge chambers 14 formed on both sides, each ballast chamber 15 provided on each side and bottom of the discharge chamber 14 to remain horizontal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12, the inlet 12 It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weight portion 16 formed to maintain a horizontal center across the .

상기에서, 유출 챔버(14)는 유입구(12)가 중간에 위치하도록 단면이 한글 자음의 디귿("ㄷ") 자의 개방된 부분이 상부로 위치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형태이다. In the above, the outflow chamber 14 is in the form of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inlet 12 is located in the middle so that the open part of the Korean consonant Digut (“c”) is located at the top.

다시 말해서, 상기 디캔더 바디는 수면상에서 밸러스트 챔버와 웨이트부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편중됨 없이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유출 챔버로 월류되는 상등수만이 유출될 수 있는 구조이다. In other words, the decanter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supernatant 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chamber can flow out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at all times without being biased to one side by the ballast chamber and the weight part on the water surface.

즉, 웨이트부에 의해 디캔더 바디의 하부 중심이 항시 중앙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며, 더욱이 각각의 밸러스트 챔버에 의해 혹여 어느 일측으로 편중될 경우, 각 밸러스트 챔버에 에어 또는 유체를 공급 또는 배출시켜 편중됨 없이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That is, the lower center of the decanter body can always be located in the center by the weight part, and moreover, if it is biased to one side by each ballast chamber, air or fluid is supplied or discharged to each ballast chamber to It must be kept in a horizontal position at all times.

그로 인해 유출 챔버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고 항시 상등수만이 유입되어 유출될 수 있는 것이며, 그로 인해 디캔터의 우수한 성능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As a result, foreign substances are not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chamber, and only supernatant water is alway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ereby ensuring excellent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the decanter.

아울러, 상기 유입구(12)의 상부 유출 챔버(14)의 각 유입면에는 상등수의 월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각각의 유출웨어(14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each inlet surface of the upper outlet chamber 14 of the inlet 12 is preferably provided with respective outlet weirs 14A for limiting the overflow height of supernatant water.

즉, 상기 유출웨어는 디캔터 바디가 수면상에서 담수되는 깊이에 따라 낮은 높이나 높은 높이로 설치할 수 있어, 상등수만이 원활하게 월류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outflow ware can be installed at a low or high height according to the depth at which the decanter body is fresh water on the water surface, so that only the supernatant water flows smoothly.

그리고 상기 각각의 밸러스트 챔버(15)에는 부력 조절을 위해 에어 또는 유체를 공급하는 연결라인(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 조절밸브(15A)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부력 조절밸브(15A)는 밸러스트 챔버(15)의 각 상면 및 하부 각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each of the ballast chambers 15 includes at least one buoyancy control valve 15A connected to a connection line (not shown) for supplying air or fluid for buoyancy control, but the buoyancy control valve (15A) is preferably formed on each upper surface and each lower side of the ballast chamber (15).

다시 말해서, 상기 부력 조절밸브는 각 밸러스트 챔버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혹여 디캔더 바디가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고자 할 때 상기 부력 조절밸브를 통하여 각 밸러스트 챔버에 부력을 부여함으로써, 디캔터 바디가 어느 일측으로 편중됨 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other words, the buoyancy control valve is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each ballast chamber, and when the decanter body is biased to one side, by applying buoyancy to each ballast chamber through the buoyancy control valve, which decanter body It allows you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ithout being biased to one side.

또한, 상기 웨이트부(16)는 관 형태로 내부가 중공되어 액체인 유체가 공급되는 연결라인(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이트 조절밸브(16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weight unit 16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weight control valve 16A connected to a connection lin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inside of the weight unit 16 is hollow to supply liquid fluid.

즉, 상기 웨이트부는 자체 웨이트에 의해 평상시 디캔터 바디의 하부 중심이 항시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디캔터 바디의 수평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weight part serves to ensure that the lower center of the decanter body is always located in the center by its own weight. This is to make the horizontal state of the decanter body more stable.

유출배관 프레임(20)은 상기 디캔더 바디(1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유출 챔버(14)로 월류되는 상등수가 유출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Outflow piping frames 20 are rotatab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canter body 10 and have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supernatant water flowing into the outflow chamber 14 flows out.

상기에서, 유출배관 프레임(20)은 디캔더 바디(10) 양측에 통상적인 이중관 조인트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세로 유출배관(22), 상기 디캔더 바디(10) 양측과 연결되는 반대 측에 설치 블록(30)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로 유출배관(24)으로 구성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In the above, the outlet pipe frame 2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vertical outlet pipes 22 rotatab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canter body 10 by a conventional double pipe joint method, and both sides of the decanter body 10 It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horizontal outflow pipe 24 rotatably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block 30 on the opposite side.

다시 말해서, 유출배관 프레임은 유출 챔버를 통하여 유출되는 상등수를 유출하는 역할과 함께 인양수단에 의해 수면상에서 인양되는 역할을 한다. In other words, the outflow pipe frame plays a role of being lifted from the surface of the water by a lifting means together with a role of outflowing the supernatant flowing out through the outflow chamber.

설치 블록(30)은 유출배관 프레임(20)의 설치와 배출관(P)을 연결하는 것으로, 반응조(100)의 하부에 상등수가 배출되는 배출관(P)이 연결되고 상기 유출배관 프레임(20)의 가로 유출배관(24)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설치 블록은 반응조의 일 측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 형태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The installation block 30 connects the installation of the outflow piping frame 20 and the discharge pipe P, and the discharge pipe P through which the supernatant is discharge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reaction tank 100, and the outflow piping frame 20 It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rizontal outflow pipe 24 is rotatably provided. The installation block may be installed in a block shape as shown on one side of the reaction tank, or may be installed in a frame shape (not shown).

인양수단(40)은 상기 유출배관 프레임(20)에 와이어(W)로 연결되어 디캔더 바디(10)를 인양하기 위해 반응조(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인양수단(40)은 와이어(W)가 권취되는 권취기(42), 상기 디캔더 바디(10)를 인양시 와이어(2)를 지지하도록 아이들 휠을 구비하는 고정링크(44)를 포함한다. The lifting means 40 is connected to the outflow pipe frame 20 with a wire W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ction tank 100 to lift the decanter body 10. The lifting means 40 is a wire (W) includes a winding machine 42 wound, and a fixed link 44 having an idle wheel to support the wire 2 when the decanter body 10 is lifted.

다시 말해서, 인양수단은 디캔터 바디와 유출배관 프레임을 인양하는 것으로, 수면의 높이에 따라 디캔터 바디를 수명상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other words, the lifting means is to lift the decanter body and the outflow pipe frame, so that the decanter body can be maintained over the lif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ater surface.

이로써,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디캔터 바디 자체에서 무게 중심은 물론 수평상태로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응조에서의 상등수 유출시 이물질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의 상등수만을 원활하게 유출과 함께 배출시킨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complicated technical configuration, but allows the decanter body itself to maintain the balance in a horizontal state as well as the center of gravity, so that when the supernatant flows out of the reaction tank, only the supernatant in a clean state that does not contain any foreign substances is smoothly discharged with spillage.

그로 인해 디캔터의 우수한 성능과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As a result, it has conditions for securing excellent performance and high reliability of the decanter.

10 : 디캔터 바디 12 : 유입구
14 : 유입 챔버 14A : 유출웨어
15 : 밸러스트 챔버 15A : 부력 조절밸브
16 : 웨이트부 16A : 웨이트 조절밸브
20 : 유출배관 프레임 22 : 세로 유출배관
24 : 가로 유출배관 30 : 설치 블록
40 : 인양수단 42 : 권취기
44 : 고정링크
100 : 반응조
10: decanter body 12: inlet
14: inflow chamber 14A: outflow ware
15: ballast chamber 15A: buoyancy control valve
16: weight part 16A: weight control valve
20: outflow piping frame 22: vertical outflow piping
24: horizontal outflow pipe 30: installation block
40: lifting means 42: winder
44: fixed link
100: reaction tank

Claims (7)

밑면 중앙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입구로 유입되는 상등수가 월류된 후 유출 가능하도록 양측에 형성되는 유출 챔버, 상기 유출 챔버의 각 측면 및 하부에 수면상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밸러스트 챔버, 상기 유입구의 하부 그 유입구를 가로질러 수평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웨이트부를 포함하는 디캔더 바디;
상기 디캔더 바디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유출 챔버로 월류되는 상등수가 유출되는 유출배관 프레임;
반응조의 하부에 상등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유출배관 프레임의 가로 유출배관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설치 블록; 및
상기 유출배관 프레임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디캔더 바디를 인양하기 위해 반응조의 상면에 구비되는 인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유입구의 상부 유출 챔버의 각 유입면에는 상등수의 월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각각의 유출웨어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부는 내부가 중공되어 액체인 유체가 공급되는 연결라인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이트 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부유식 디캔터.
Discharge chambers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supernatant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center overflows and then discharges, each side and bottom of the discharge chamber are provided to maintain horizontality on the surface of the water Each ballast chamber, a decanter body including a weight portion formed to maintain a horizontal center across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Outflow piping frames rotatab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canter body and through which supernatant water flowing into the outflow chamber flows out;
An installation block in which a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supernatant water is discharged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eaction tank and a horizontal outlet pipe of the outflow pipe frame is rotatably provided; and
Including; a lifting means connected to the outflow pipe frame by a wire an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ction tank to lift the decanter body,
Each inlet surface of the upper outlet chamber of the inlet is provided with an outlet ware for limiting the overflow height of the supernatant,
The floating decanter comprising at least one weight control valve to which the weight portion is hollow and connected to a connection line to which a liquid fluid is suppli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밸러스트 챔버에는 부력 조절을 위해 에어 또는 유체를 공급하는 연결라인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 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부유식 디캔터.
According to claim 1,
Floating decanter comprising at least one buoyancy control valve connected to a connection line for supplying air or fluid for buoyancy control in each of the ballast chamb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조절밸브는 밸러스트 챔버의 각 상면 및 하부 각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부유식 디캔터.
According to claim 3,
The buoyancy control valve is a floating decanter comprising formed on each upper surface and each lower side of the ballast cham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배관 프레임은 디캔더 바디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세로 유출배관, 상기 디캔더 바디 양측과 연결되는 반대 측에 설치 블록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로 유출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부유식 디캔터.
According to claim 1,
The outflow piping frame includes vertical outflow pipes rotatab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canter body and horizontal outflow pipes rotatably provided in an installation block on the opposite sid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decanter body. expression decan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수단은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기, 상기 디캔더 바디를 인양시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아이들 휠을 구비하는 고정링크를 포함하는 부유식 디캔터.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means is a floating decanter comprising a winder on which the wire is wound, and a fixed link having an idle wheel to support the wire when lifting the decanter body.
KR1020220090953A 2022-07-22 2022-07-22 Floating Decanter KR102483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953A KR102483926B1 (en) 2022-07-22 2022-07-22 Floating Deca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953A KR102483926B1 (en) 2022-07-22 2022-07-22 Floating Decan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926B1 true KR102483926B1 (en) 2023-01-04

Family

ID=8492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953A KR102483926B1 (en) 2022-07-22 2022-07-22 Floating Deca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92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8767A (en) * 2005-05-17 2006-11-24 금호산업주식회사 Apparatus for discharging cleaned water from sequencing batch reactor
KR100732185B1 (en) * 2006-12-28 2007-06-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Balance keeping type decanter for wastewater treatment
KR101263431B1 (en) * 2012-10-23 2013-05-10 주식회사 그레넥스 Floating decanter and the sb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therewith
KR200469172Y1 (en) 2012-12-27 2013-09-25 주식회사 장호 a floating decanter
KR101840040B1 (en) 2017-11-09 2018-03-19 주식회사 한일이엔지 Decanter
KR102141378B1 (en) 2019-12-17 2020-08-06 (주)티에스케이코퍼레이션 Decanter apparatus to discharge supernatant
KR102386071B1 (en) 2021-11-04 2022-04-14 주식회사 송림 Decanter for water purific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8767A (en) * 2005-05-17 2006-11-24 금호산업주식회사 Apparatus for discharging cleaned water from sequencing batch reactor
KR100732185B1 (en) * 2006-12-28 2007-06-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Balance keeping type decanter for wastewater treatment
KR101263431B1 (en) * 2012-10-23 2013-05-10 주식회사 그레넥스 Floating decanter and the sb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therewith
KR200469172Y1 (en) 2012-12-27 2013-09-25 주식회사 장호 a floating decanter
KR101840040B1 (en) 2017-11-09 2018-03-19 주식회사 한일이엔지 Decanter
KR102141378B1 (en) 2019-12-17 2020-08-06 (주)티에스케이코퍼레이션 Decanter apparatus to discharge supernatant
KR102386071B1 (en) 2021-11-04 2022-04-14 주식회사 송림 Decanter for water purif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7273B1 (en) Floating decanter for supernatant liquid
KR101709269B1 (en) Decanter for SBR Operation
US4596658A (en) Sequencing batch reactor decanter systems
US9587651B2 (en) Valveless siphon decanter and methods of use
KR200469172Y1 (en) a floating decanter
KR101840040B1 (en) Decanter
KR102483926B1 (en) Floating Decanter
KR100473885B1 (en) spontaneous-floating type decanter and decanting method thereby
CN209522645U (en) A kind of floated water decanter
KR101353401B1 (en) Membrane bioreactors which are in response to the high processing load fluctuations effectively
KR101779725B1 (en) Apparatus of treating sewage using inflow dividing device and treated water discharging device
KR10144578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lurge from rising in wasterwater treatment system
KR101000076B1 (en) discharge apparatus of superiority water
JPS6119769Y2 (en)
KR101921447B1 (en) Upper water exhaust apparatus
CN111777178A (en) Vertical oxidation ditch micro-power water treatment system
CN215939106U (en) Sewage water inflow grit chamber
KR20010074161A (en) Exhaust device of foul drain processing unit for exhausting processed foul drain
JPH0137755Y2 (en)
CN215592726U (en) Unpowered water decanting device
KR102545064B1 (en) Multi-stage sewage treatment system
KR102614473B1 (en) Sewage Treatment System equipped with MBR
KR960009094Y1 (en) Outputting apparatus of sludge
CN218188095U (en) Floating ball self-adjusting liquid level sewage precipitation mechanism
KR200380322Y1 (en) Disposal water drain equipment for sewage disposal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