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557B1 -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557B1
KR102483557B1 KR1020160134493A KR20160134493A KR102483557B1 KR 102483557 B1 KR102483557 B1 KR 102483557B1 KR 1020160134493 A KR1020160134493 A KR 1020160134493A KR 20160134493 A KR20160134493 A KR 20160134493A KR 102483557 B1 KR102483557 B1 KR 102483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phase
transmission
matching circuit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871A (ko
Inventor
조종필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710110863.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809263B/zh
Priority to US15/458,051 priority patent/US10334421B2/en
Priority to EP17184611.6A priority patent/EP3293666A3/en
Publication of KR20180028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안테나, 송신 증폭기, 안테나 및 송신 증폭기 사이에 연결되는 정합 회로, 그리고 송신기를 포함한다. 송신기는 송신 증폭기를 통해 정합 회로로 송신 클럭을 전송하고, 송신 클럭에 응답하여 정합 회로에 형성되는 파형으로부터 추출 클럭을 추출하고, 송신 클럭 및 추출 클럭의 위상 차이를 저장하고, 그리고 위상 차이에 따라 안테나, 송신 증폭기 및 정합 회로를 통한 정보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은 근거리에 위치한 리더가 무선으로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리고 무선으로 카드와 통신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 주파수 식별(RFID)의 일 예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이 사용되고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NFC)은 하나의 통신 장치가 리더의 기능 및 카드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높은 유연성(flexibility)을 제공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NFC) 장치의 제조 과정의 오류로 인해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장치의 설계 목적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NFC)의 표준에서 정의된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와 근거리 무선 통신(NFC) 장치의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다를 수 있다. 중심 주파수와 공진 주파수가 다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NFC) 장치의 통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통신 품질을 갖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안테나, 송신 증폭기, 정합 회로, 그리고 송신기를 포함한다. 송신기는 송신 증폭기를 통해 정합 회로로 송신 클럭을 전송하고, 송신 클럭에 응답하여 정합 회로에 형성되는 파형으로부터 추출 클럭을 추출하고, 송신 클럭 및 추출 클럭의 위상 차이를 저장하고, 그리고 위상 차이에 따라 안테나, 송신 증폭기 및 정합 회로를 통한 정보 신호의 송신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안테나, 송신 증폭기, 정합 회로, 그리고 송신기를 포함한다. 송신기는 송신 증폭기를 통해 정합 회로로 송신 클럭을 전송하고, 송신 클럭에 응답하여 정합 회로에 형성되는 파형으로부터 추출 클럭을 추출하고, 그리고 송신 클럭 및 추출 클럭으로부터 안테나 및 정합 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송신 클럭의 중심 주파수 사이의 차이를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중심 주파수와 공진 주파수가 달라도 통신 거리가 감소하지 않고 유지된다. 따라서, 향상된 통신 품질을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보여준다.
도 2는 중심 주파수와 공진 주파수의 차이가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는 예를 보여준다.
도 3은 위상을 조절하여 통신 거리를 확장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4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가 카드 모드에서 위상 측정 및 송신을 수행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4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공진 주파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의 중심 주파수가 일치할 때의 기준 클럭, 송신 신호, 추출 클럭, 그리고 조절된 클럭의 파형들의 예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4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공진 주파수가 제1 공진 주파수일 때의 기준 클럭, 송신 신호, 추출 클럭, 그리고 조절된 클럭의 파형들의 예를 보여준다.
도 8은 도 4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공진 주파수가 제2 공진 주파수일 때의 기준 클럭, 송신 신호, 추출 클럭, 그리고 조절된 클럭의 파형들의 예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4의 위상 제어 블록의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4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응용 예를 보여준다.
도 11은 도 1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가 카드 모드에서 위상 측정 및 송신을 수행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12는 도 1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응용 예를 보여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1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시스템(10)의 예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제1 및 제2 근거리 무선 통신(NFC) 장치들(11, 13)을 포함한다. 제1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1)는 제1 안테나(12)와 연결되고,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3)는 제2 안테나(14)와 연결된다.
제1 및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들(11, 13) 각각은 리더 모드 또는 카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1)가 리더 모드로 동작하고,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3)가 카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리더 모드의 제1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1)는 제1 안테나(12)와 제2 안테나(14) 사이의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3)에 제1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신호는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연속파(continuous wave) 및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연속파에 더해지는 제1 정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3)는 제1 신호의 연속파로부터 전원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3)는 제1 신호의 제1 정보 신호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3)는 제1 신호의 연속파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제2 정보 신호를 더하여 제1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1)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3)는 제2 안테나(14) 및 제1 안테나(12) 사이의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제2 신호를 제1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1)로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중심 주파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표준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13.56Mhz일 수 있다. 제1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1)의 제1 안테나(12)의 공진 주파수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1)의 제조사의 설계 목적에 따라 그리고 제조사의 설계 공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3)의 제2 안테나(14)의 공진 주파수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3)의 제조사의 설계 목적에 따라 그리고 제조사의 설계 공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조사들의 설계 목적에 따라 또는 제조사들의 설계 공정의 오류에 따라, 제1 및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들(11, 13)의 제1 및 제2 안테나들(12, 14)의 공진 주파수들은 근거리 무선 통신의 중심 주파수와 다를 수 있다. 공진 주파수와 중심 주파수가 다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통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도 2는 중심 주파수와 공진 주파수의 차이가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는 예를 보여준다. 도 2에서 가로축은 공진 주파수(Fres)를 가리키고, 세로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거리(D), 예를 들어 최대 통신 거리 또는 평균 통신 거리를 가리킨다. 제1 선(L1)은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10)에서 공진 주파수(Fres)에 따른 통신 거리(D)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진 주파수(Fres)와 중심 주파수(FC)가 일치할 때 통신 거리(D)는 최댓값을 갖는다. 공진 주파수(Fres)가 중심 주파수(FC)보다 높아질수록 통신 거리(D)가 감소하고, 마찬가지로 공진 주파수(Fres)가 중심 주파수(FC)보다 낮아질수록 통신 거리(D)가 감소한다. 즉, 공진 주파수(Fres)가 중심 주파수(FC)와 달라지면 통신 거리(D)가 감소하며, 따라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통신 품질이 저하된다.
이와 통신 거리(D)의 감소는 공진 주파수(Fres)가 중심 주파수(FC)와 다를 때, 안테나(12 또는 14)와 연관된 경로 지연(path delay)으로 인해 송신 신호의 위상이 정렬(예를 들어, 0도에 정렬)되지 않고 지연(delay) 또는 전진(advance)함에 따라 발생한다. 즉, 공진 주파수(Fres)와 중심 주파수(FC)가 다를 때 송신 신호의 위상이 조절되면, 통신 거리(D)가 확장될 수 있다.
도 3은 위상을 조절하여 통신 거리(D)를 확장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더하여 제2 라인(L2)이 더 도시된다. 제2 라인(L2)은 중심 주파수(FC)와 공진 주파수(Fres)의 차이에 따라 송신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때의 통신 거리(D)를 보여준다.
예시적으로, 공진 주파수(Fres)가 중심 주파수(FC)와 일치할 때, 송신 신호는 기본 위상(θd)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위상(θd)은 0도 또는 180도일 수 있다.
공진 주파수(Fres)가 중심 주파수(FC)보다 낮아지면, 송신 신호의 위상이 제1 위상 조절(PA1)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주파수(Fres)가 감소함에 따라 송신 신호의 위상이 지연(delay) 또는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주파수(Fres)가 제1 공진 주파수(Fres1)로 낮아지면, 송신 신호의 위상은 제1 위상(θ1)으로 조절될 수 있다.
공진 주파수(Fres)가 중심 주파수(FC)보다 높아지면, 송신 신호의 위상이 제2 위상 조절(PA2)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주파수(Fres)가 증가함에 따라 송신 신호의 위상이 전진(advance)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주파수(Fres2)가 제2 공진 주파수(Fres2)로 높아지면, 송신 신호의 위상은 제2 위상(θ2)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제1 위상 조절(PA1) 및 제2 위상 조절(PA2)이 실시되면, 통신 거리 확장(Communication Distance Extension, CDE)이 발생할 수 있다. 통신 거리 확장(CDE)이 발생하면, 제2 선(L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Fres)와 중심 주파수(FC)가 달라져도 통신 거리(D)가 감소하는 것이 제1 라인(L1)과 비교하여 감소된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통신 품질이 향상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공진 주파수(Fres)와 중심 주파수(FC)의 차이를 자체적으로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송신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카드 모드로 동작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카드 모드로 한정되지 않으며, 리더 모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를 보여준다. 예시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중에서 본 발명과 연관된 송신 기능과 연관된 구성 요소들이 도 4에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는 송신기(110), 송신 증폭기(120), 정합 회로(130), 그리고 안테나(140)를 포함한다.
송신기(110)는 위상 측정 모드 및 송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위상 측정 모드에서, 송신기(110)는 송신 클럭(CLKt)을 송신 증폭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송신기(110)는 송신 클럭(CLKt)에 응답하여 안테나(140) 및 정합 회로(130)에 형성되는 파형으로부터 추출 클럭(CLKe)을 추출할 수 있다. 송신기(110)는 송신 클럭(CLKt)과 추출 클럭(CLKe)의 위상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송신 모드에서, 송신기(110)는 미리 저장된 위상 차이에 대한 정보에 따라 송신 신호의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송신기(110)는 기순 클럭 생성 블록(111), 멀티플렉서(112), 클럭 추출 블록(113), 비교 및 선택 블록(114), 위상 룩업 테이블(115), 그리고 위상 제어 블록(116)을 포함한다.
기준 클럭 생성 블록(111)은 기준 클럭(CLKr)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클럭(CLKr)은 근거리 무선 통신의 표준에 의해 정해진 중심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클럭(CLKr)은 13.56MHz의 중심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기준 클럭(CLKr)은 멀티플렉서(112)와 비교 및 선택 블록(114)으로 전달된다.
멀티플렉서(112)는 기준 클럭 생성 블록(111)으로부터 기준 클럭(CLKr)을 수신하고, 위상 제어 블록(116)으로부터 조절된 클럭(CLKa)을 수신한다. 위상 측정 모드에서, 멀티플렉서(112)는 기준 클럭(CLKr)을 송신 클럭(CLKt)으로 출력할 수 있다. 송신 클럭(CLKt)은 송신 증폭기(120)로 전달될 수 있다. 송신 모드에서 멀티플렉서(112)는 조절된 클럭(CLKa)을 출력할 수 있다. 조절된 클럭(CLKa)에 송신 정보(IF)가 더해질 수 있다. 송신 정보(IF)가 더해진 조절된 클럭(CLKa)은 정보 신소(SIGi)로서 송신 증폭기(120)로 전달될 수 있다.
클럭 추출 블록(113)은 안테나(140) 및 정합 회로(130)에 형성되는 파형으로부터 추출 클럭(CLKe)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럭 추출 블록(113)은 안테나(140) 및 정합 회로(130)에 형성되는 파형과 동위상을 갖는 추출 클럭(CLKe)을 출력할 수 있다. 추출 클럭(CLKe)은 비교 및 선택 블록(114)과 위상 제어 블록(116)으로 전달된다.
비교 및 선택 블록(114)은 위상 측정 모드에서 기준 클럭(CLKr)과 추출 클럭(CLKe)을 비교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위상 측정 모드에서 멀티플렉서(112)는 기준 클럭(CLKr)을 송신 클럭(CLKt)으로 출력하므로, 비교 및 선택 블록(114)은 위상 측정 모드에서 송신 클럭(CLKt)과 추출 클럭(CLKe)의 위상을 비교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비교 및 선택 블록(114)은 비교 결과에 따라 기준 클럭(CLKr)과 추출 클럭(CLKe)의 위상 차이(△θ)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위상 차이(△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주파수(FC) 및 안테나(140)와 정합 회로(130)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 주파수 사이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 거리(D)의 감소는 공진 주파수(Fres)와 중심 주파수(FC)가 다를 때 발생하는 경로 지연(path delay)에 의해 발생한다. 경로 지연(path delay)은 기준 클럭(CLKr)과 추출 클럭(CLKe)의 위상 차이(△θ)로 정량화될 수 있다. 즉, 공진 주파수와 중심 주파수 사이의 차이는 위상 차이(△θ)의 크기 및 부호에 의해 정량화될 수 있다.
위상 측정 모드에서 비교 및 선택 블록(114)은 위상 룩업 테이블(115)을 참조하여 위상 차이(△θ)에 대응하는 위상 선택 정보(θs)를 획득할 수 있다. 위상 선택 정보(θs)는 송신 모드에서 송신 신호(예를 들어 정보 신호(SIGi))의 위상을 어느 정도 조절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Fres)가 중심 주파수(FC)와 다를 때 조절되어야 하는 위상 값이 정량화될 수 있다. 위상 룩업 테이블(115)은 복수의 위상 차이들 및 복수의 위상 차이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위상 선택 정보들을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비교 및 선택 블록(114)은 위상 룩업 테이블(115)을 참조하여 위상 차이(△θ)에 대응하는 위상 선택 정보(θs)를 획득할 수 있다. 위상 선택 정보(θs)는 위상 제어 블록(116)으로 전달될 수 있다.
위상 측정 모드에서 위상 제어 블록(116)은 위상 선택 정보(θs)를 저장할 수 있다. 송신 모드에서, 위상 제어 블록(113)은 추출 클럭(CLKe)을 위상 선택 정보(θs)에 따라 조절하여 조절된 클럭(CLKa)을 출력할 수 있다.
송신기(110)는 다양한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송신기(110)에 포함된 블록들은 반도체 회로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집적 회로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송신 증폭기(120)는 송신기(1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정합 회로(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정합 회로(130)는 안테나(140)에 대한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할 수 있다. 정합 회로(130)는 인덕터(L) 및 제1 내지 제4 커패시터들(C4)을 포함한다. 인덕터(L)의 제1단은 송신 증폭기(120)의 출력에 연결되고 제2단은 제1 및 제2 커패시터들(C1, C2)의 제1단들에 연결된다. 제1 커패시터(C1)의 제2단은 접지 전압이 공급되는 접지 전극에 연결된다. 제2 커패시터(C2)의 제2단은 제3 및 제4 커패시터들(C3, C4)의 제1단들 및 안테나(140)에 연결된다. 제3 커패시터(C3)의 제2단은 접지 전극에 연결된다. 제4 커패시터(C4)의 제2단은 송신기(110)의 클럭 추출 블록(113)에 연결된다.
도 5는 도 4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가 카드 모드에서 위상 측정 및 송신을 수행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에서 가로축은 시간(T)을 가리키고, 세로축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의 서비스 모드(SM), 동작 시퀀스(SQ), 송신 신호(TXS), 그리고 수신 신호(RXS)를 보여준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시간(T1)에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의 서비스 모드(SM)가 오프(OFF) 상태로부터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가 활성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서비스 모드(SM)가 온(ON) 상태로 전환된 후에, 송신기(110)는 위상 측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위상 측정 모드에서, 제2 시간(T2)에 동작 시퀀스(SQ)는 방사 구간(RI)에 진입하고 제3 시간(T3)에 동작 시퀀스(SQ)는 계산 구간(CI)에 진입할 수 있다. 방사 구간(RI) 및 계산 구간(CI)에서, 송신기(110)는 기준 클럭(CLKr)을 송신 클럭(CLKt)으로 출력할 수 있다. 송신 클럭(CLKt)은 안테나(140) 및 정합 회로(130)에서 파형을 형성하며, 형성된 파형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가 안테나(140)로부터 방사될 수 있다. 방사 구간(RI) 동안 파형이 안정되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계산 구간(CI) 동안 위상 차이(△θ)가 계산된다. 송신기(110)는 위상 선택 정보(θs)를 위상 제어부(116)에 저장할 수 있다.
위상 측정 모드가 종료되면, 송신기(110)는 송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송신기(110)가 송신 모드로 진입한 후에, 외부의 리더로부터 방사되는 신호가 제4 시간(T4)에 안테나(140)에서 수신 신호(RXS)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RXS)는 연속파(continuous wave)일 수 있다. 수신 신호(RXS)는 수신기(미도시)를 통해 수신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제5 시간(T5)에 수신 신호(RXS)는 수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RXS)는 연속파에 수신 정보가 더해진 형태일 수 있다. 수신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동작 시퀀스(SQ)는 수신 구간(RX)으로 진입할 수 있다. 수신 구간(RX) 동안 수신 정보가 수신기에서 해석될 수 있다. 수신 구간(RX)이 종료되면, 수신 신호(RXS)는 수신 정보를 갖지 않는 연속파로 복원될 수 있다.
수신 구간(RX) 동안 해석된 수신 정보에 응답하는 송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제6 시간(T6)에 송신기(110)는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상 제어 블록(116)은 추출 클럭(CLKe), 예를 들어 수신 신호(RXS)의 연속파로부터 추출된 클럭을 위상 선택 정보(θs)에 따라 조절하여 조절된 클럭(CLKa)으로 출력할 수 있다. 조절된 클럭(CLKa)에 송신 정보(IF)가 추가된 정보 신호(SIGi)가 안테나(140)를 통해 송신 신호(TXS)로 방사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의 공진 주파수(Fres)와 근거리 무선 통신의 중심 주파수(FC)가 일치할 때의 기준 클럭(CLKr), 송신 신호(TXS), 추출 클럭(CLKe), 그리고 조절된 클럭(CLKa)의 파형들의 예를 보여준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중심 주파수(FC)와 공진 주파수(Fres)가 일치할 때, 경로 지연에 따른 위상 변경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송신 신호(TXS)의 파형의 위상은 기준 클럭(CLKr)의 위상과 일치한다. 송신 신호(TXS)로부터 추출되는 추출 클럭(CLKe)의 위상 또한 기준 클럭(CLKr)과 일치한다. 따라서, 위상 차이(△θ)는 0이고, 위상 차이(△θ)를 보상하기 위한 위상 선택 정보(θs)는 위상 조절 없음을 가리킨다. 따라서, 조절된 클럭(CLKa)은 추출 클럭(CLKe)과 동일한 위상을 갖는다. 즉, 송신 모드에서, 위상 제어 블록(116)은 수신 신호(RXS, 도 5 참조)의 연속파로부터 추출되는 추출 클럭(CLKe)을 위상 조절 없이 조절된 클럭(CLKa)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의 공진 주파수(Fres)가 제1 공진 주파수(Fres1)일 때의 기준 클럭(CLKr), 송신 신호(TXS), 추출 클럭(CLKe), 그리고 조절된 클럭(CLKa)의 파형들의 예를 보여준다.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진 주파수(Fres)가 제1 공진 주파수(Fres1)일 때, 공진 주파수(Fres)는 중심 주파수(FC)보다 작다. 따라서, 송신 신호(TXS)의 파형의 위상은 기준 클럭(CLKr)의 위상보다 지연(delay)된다. 송신 신호(TXS)로부터 추출되는 추출 클럭(CLKe)의 위상 또한 기준 클럭(CLKr)보다 지연된다. 예시적으로, 송신 신호(TXS)의 파형의 위상 및 추출 클럭(CLKe)의 위상은 기준 클럭(CLKr)보다 90도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위상 차이(△θ)는 90도(90˚)이고, 위상 차이(△θ)를 보상하기 위한 위상 선택 정보(θs)는 90도 감소(또는 전진)를 가리킨다. 따라서, 조절된 클럭(CLKa)은 추출 클럭(CLKe)보다 90도 전진(advance)된 위상을 갖는다. 즉, 송신 모드에서, 위상 제어 블록(116)은 수신 신호(RXS, 도 5 참조)의 연속파로부터 추출되는 추출 클럭(CLKe)의 위상을 90도 전진하여 조절된 클럭(CLKa)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의 공진 주파수(Fres)가 제2 공진 주파수(Fres2)일 때의 기준 클럭(CLKr), 송신 신호(TXS), 추출 클럭(CLKe), 그리고 조절된 클럭(CLKa)의 파형들의 예를 보여준다. 도 3,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공진 주파수(Fres)가 제2 공진 주파수(Fres2)일 때, 공진 주파수(Fres)는 중심 주파수(FC)보다 크다. 따라서, 송신 신호(TXS)의 파형의 위상은 기준 클럭(CLKr)의 위상보다 전진(advance)된다. 송신 신호(TXS)로부터 추출되는 추출 클럭(CLKe)의 위상 또한 기준 클럭(CLKr)보다 전진된다. 예시적으로, 송신 신호(TXS)의 파형의 위상 및 추출 클럭(CLKe)의 위상은 기준 클럭(CLKr)보다 90도 전진될 수 있다. 따라서, 위상 차이(△θ)는 -90도(-90˚)이고, 위상 차이(△θ)를 보상하기 위한 위상 선택 정보(θs)는 90도 증가(또는 지연)를 가리킨다. 따라서, 조절된 클럭(CLKa)은 추출 클럭(CLKe)보다 90도 지연(delay)된 위상을 갖는다. 즉, 송신 모드에서, 위상 제어 블록(116)은 수신 신호(RXS, 도 5 참조)의 연속파로부터 추출되는 추출 클럭(CLKe)의 위상을 90도 지연하여 조절된 클럭(CLKa)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위상 제어 블록(116)의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위상 제어 블록(116)은 위상 고정 루프(116a), 위상 스플리터(116b), 그리고 클럭 선택기(116c)를 포함한다.
위상 고정 루프(116a)는 송신 모드에서 추출 클럭(CLKe)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고 추출 클럭(CLKe)의 위상과 동일한 위상을 갖는 고정 위상 클럭(CLKl)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 고정 루프(116a)는 송신 시퀀스(TX, 도 5 참조)가 시작되기 이전에 수신 신호(RXS) 또는 수신 신호(RXS)의 연속파의 위상과 동일한 위상을 갖는 고정 위상 클럭(CLKl)을 출력할 수 있다. 고정 위상 클럭(CLKl)이 출력되면, 위상 고정 루프(116a)는 추출 클럭(CLKe)의 위상에 변화가 생겨도 고정 위상 클럭(CLKl)의 위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송신 시퀀스(TX)에서 송신 신호(TXS)와 수신 신호(RXS)가 합성되어 추출 클럭(CLKe)의 위상이 변화하여도, 위상 고정 루프(116a)는 고정 위상 클럭(CLKl)을 유지할 수 있다.
위상 스플리터(116b)는 고정 위상 클럭(CLKl)을 수신하고, 고정 위상 클럭(CLKl)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고 서로 다른 위상들을 갖는 복수의 클럭들(CLK1~CLKn)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 스플리터(116b)는 직렬 연결된 복수의 지연기들(D)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연기들(D) 각각의 지연량은 고정 위상 클럭(CLKl)의 1/4 주기보다 작을 수 있다. 고정 위상 클럭(CLKl)은 첫 번째 지연기(D)에 입력될 수 있다. 위상 스플리터(116b)는 위상 고정 클럭(CLKl) 및 지연기들(D)의 출력들을 각각 복수의 클럭들(CLK1~CLKn)로 출력할 수 있다.
클럭 선택기(116c)는 위상 선택 정보(θs)에 따라 복수의 클럭들(CLK1~CLKn) 중 하나를 조절된 클럭(CLKa)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위상 제어 블록(116)에서 위상 고정 루프(116a)가 제거될 수 있다. 위상 고정 루프(116a)가 제거되면, 위상 스플리터(116b)는 추출 클럭(CLKe)으로부터 복수의 클럭들(CLK1~CLKn)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 시퀀스(TX, 도 5 참조)에서, 안테나(140) 및 정합 회로(130)에 형성되는 파형은 수신 신호(RXS)와 송신 신호(TXS)가 합성된 형태이며, 송신 신호(TXS)가 우세할(dominant)할 수 있다. 따라서, 추출 클럭(CLKe)은 송신 신호(TXS)를 추종할 수 있다. 송신 신호(TXS)가 추출 클럭(CLKe)으로 추출되고, 추출 클럭(CLKe)이 클럭 선택기(116c)에 의해 조절되어 조절된 클럭(CLKa)으로 출력되고, 조절된 클럭(CLKa)이 송신 신호(TXS)로 송신되는 과정이 반복되면, 클럭 선택기(116c)에 의한 클럭 조절이 매 클럭 사이클마다 누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럭 선택기(116c)는 복수의 클럭들(CLK1~CLKn)을 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럭 선택기(116c)는 클럭들(CLK1~CLKn) 중 클럭 선택 정보(θs)에 의해 지정된 클럭을 시작 클럭으로 선택하고, 이후에 매 클럭 사이클마다 다른 클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록 사이클마다 클럭 선택기(116c)는 더 후단의 지연기의 출력을 또는 더 선단의 지연기의 출력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의 응용 예를 보여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0)는 송신기(210), 송신 증폭기(220), 정합 회로(230), 그리고 안테나(240)를 포함한다.
송신 증폭기(220), 정합 회로(230), 그리고 안테나(240)는 도 4의 송신 증폭기(120), 정합 회로(130), 그리고 안테나(140)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송신기(210)는 위상 고정 루프(211), 멀티플렉서(212), 클럭 추출 클록(213), 비교 및 선택 블록(214), 위상 룩업 테이블(215), 그리고 위상 제어 블록(216)을 포함한다.
위상 고정 루프(211)는 위상 측정 모드에서 추출 클럭(CLKe)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고 추출 클럭(CLKe)과 동일한 위상을 갖는 고정 위상 클럭(CLKl)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212)는 위상 측정 모드에서 고정 위상 클럭(CLKl)을 송신 클럭(CLKt)으로 송신 증폭기(220)로 전달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212)는 송신 모드에서 조절된 클럭(CLKa)을 출력할 수 있다. 조절된 클럭(CLKa)에 송신 정보(IF)가 더해져 정보 신호(SIGi)로서 송신 증폭기(220)로 전달될 수 있다.
클럭 추출 블록(213)이 추출 클럭(CLKe)을 위상 고정 루프(211)로도 전달하는 것을 제외하면, 클럭 추출 블록(213), 비교 및 선택 블록(214), 위상 룩업 테이블(215), 그리고 위상 제어 블록(216)은 도 4의 클럭 추출 블록(113), 비교 및 선택 블록(114), 위상 룩업 테이블(115), 그리고 위상 제어 블록(116)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11은 도 1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0)가 카드 모드에서 위상 측정 및 송신을 수행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11에서 가로축은 시간(T)을 가리키고, 세로축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0)의 서비스 모드(SM), 동작 시퀀스(SQ), 송신 신호(TXS), 그리고 수신 신호(RXS)를 보여준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시간(T1)에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0)의 서비스 모드(SM)가 오프(OFF) 상태로부터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0)가 활성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서비스 모드(SM)가 온(ON) 상태로 전환된 후에, 외부의 리더로부터 방사되는 신호가 제2 시간(T2)에 안테나(240)에서 수신 신호(RXS)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RXS)는 연속파(continuous wave)일 수 있다. 수신 신호(RXS)는 수신기(미도시)를 통해 수신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수신 신호(RXS)가 수신되기 시작한 후 그리고 수신 시퀀스(RX)가 시작되기 전에, 송신기(210)는 위상 측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위상 측정 모드에서, 제3 시간(T3)에 동작 시퀀스(SQ)는 방사 구간(RI)에 진입하고 제4 시간(T4)에 동작 시퀀스(SQ)는 계산 구간(CI)에 진입할 수 있다. 방사 구간(RI) 및 계산 구간(CI)에서, 송신기(210)의 위상 고정 루프(211)는 수신 신호(RXS) 또는 수신 신호(RXS)의 연속파의 위상과 동일한 위상을 갖는 고정 위상 클럭(CLKl)을 출력할 수 있다. 송신기(210)는 고정 위상 클럭(CLKl)을 송신 클럭(CLKt)으로 출력할 수 있다. 송신 클럭(CLKt)은 안테나(240) 및 정합 회로(230)에서 파형을 형성하며, 형성된 파형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가 안테나(240)로부터 방사될 수 있다. 방사 구간(RI) 동안 파형이 안정되면,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계산 구간(CI) 동안 위상 차이(△θ)가 계산된다. 송신기(210)는 위상 선택 정보(θs)를 위상 제어부(216)에 저장할 수 있다.
제5 시간(T5)에 수신 신호(RXS)는 수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RXS)는 연속파에 수신 정보가 더해진 형태일 수 있다. 수신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동작 시퀀스(SQ)는 수신 구간(RX)으로 진입할 수 있다. 수신 구간(RX) 동안 수신 정보가 수신기에서 해석될 수 있다. 수신 구간(RX)이 종료되면, 수신 신호(RXS)는 수신 정보를 갖지 않는 연속파로 복원될 수 있다.
수신 구간(RX) 동안 해석된 수신 정보에 응답하는 송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제6 시간(T6)에 송신기(110)는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상 제어 블록(216)은 추출 클럭(CLKe), 예를 들어 수신 신호(RXS)의 연속파로부터 추출된 클럭을 위상 선택 정보(θs)에 따라 조절하여 조절된 클럭(CLKa)으로 출력할 수 있다. 조절된 클럭(CLKa)에 송신 정보(IF)가 추가된 정보 신호(SIGi)가 안테나(240)를 통해 송신 신호(TXS)로 방사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는 기준 클럭 생성 블록(111)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이 시작되기 전에 자체적으로 위상 선택 정보(θs)를 검출하는 반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시작된 후에 수신 신호(RXS)를 이용하여 위상 선택 정보(θs)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200)의 응용 예를 보여준다. 도 12를 참조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300)는 송신기(310), 송신 증폭기(320), 정합 회로(330), 그리고 안테나(340)를 포함한다.
송신 증폭기(320), 정합 회로(330), 그리고 안테나(340)는 도 4의 송신 증폭기(120), 정합 회로(130), 그리고 안테나(140)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송신기(310)는 클럭 추출 클록(313), 비교 및 선택 블록(314), 위상 룩업 테이블(315), 그리고 위상 제어 블록(316)을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위상 제어 블록(316)은 위상 고정 루프(PLL)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 고정 루프(PLL)는 위상 측정 모드에서 추출 클럭(CLKe)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고 추출 클럭(CLKe)과 동일한 위상을 갖는 고정 위상 클럭(CLKl)을 송신 클럭(CLKt)으로서 송신 증폭기(320)로 출력할 수 있다. 위상 고정 루프(PLL)는 송신 보드에서 고정 위상 클럭(CLKl)의 위상을 위상 선택 정보(θs)에 따라 조절한 조절된 클럭(CLKa)을 출력할 수 있다. 조절된 클럭(CLKa)에 송신 정보(IF)가 더해져 정보 신호(SIGi)로서 송신 증폭기(320)로 전달될 수 있다.
클럭 추출 블록(313), 비교 및 선택 블록(314), 위상 룩업 테이블(315), 그리고 위상 제어 블록(216)은 도 4의 클럭 추출 블록(113), 비교 및 선택 블록(114), 위상 룩업 테이블(115), 그리고 위상 제어 블록(116)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10의 송신기(210)는 위상 측정 모드 시에 고정 위상 클럭(CLKl)을 생성하는 위상 고정 루프(211)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위상 제어 블록(216)에 위상 고정 루프(116a)가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도 12의 송신기(310)는 위상 제어 블록(316)의 위상 고정 루프(PLL)를 위상 측정 모드 및 송신 모두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 도 10 또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 200 또는 300)의 송신기(110, 210 또는 310)는 기본 클럭을 송신 클럭(CLKt)으로 송신할 수 있다. 기본 클럭은 기준 클럭 생성부(111)에 의해 생성되는 기준 클럭(CLKr) 또는 위상 고정 루프(211 또는 PLL)에 의해 생성되는 고정 위상 클럭(CLKl)일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송신기(110, 210 또는 310)는 송신 신호(TXS)로부터 클럭, 예를 들어 추출 클럭(CLKe)을 추출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송신기(110, 210 또는 310)는 기준 클럭(CLKr 또는 CLKl)과 추출 클럭(CLKe)을 비교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송신기(110, 210 또는 310)는 기준 클럭(CLKr 또는 CLKl)과 추출 클럭(CLKe)의 위상 차이 정보, 예를 들어 위상 선택 정보(θs) 또는 위상 차이(△θ)를 저장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송신기(110, 210 또는 310)는 외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110, 210 또는 310)는 외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연속파를 수신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송신기(110, 210 또는 310)는 수신된 외부 신호로부터 클럭을 추출할 수 있다.
S170 단계에서, 송신기(110, 210 또는 310)는 위상 차이 정보에 따라 추출된 클럭(CLKe)의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S180 단계에서, 송신기(110, 210 또는 310)는 조절된 클럭(CLKa)에 동기되어 정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들이다. 본 발명에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술한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앞으로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11, 13;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12, 14; 안테나
100, 200, 300;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110, 210, 310; 송신기
120, 220, 320; 안테나
130, 230, 330; 정합 회로
140, 240, 340; 안테나

Claims (20)

  1. 안테나;
    송신 증폭기;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송신 증폭기 사이에 연결되는 정합 회로; 그리고
    상기 송신 증폭기를 통해 상기 정합 회로로 송신 클럭을 전송하고, 상기 정합 회로에 형성되는 파형으로부터 추출 클럭을 추출하고, 상기 송신 클럭 및 상기 추출 클럭의 위상 차이와 연관된 정보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위상 차이와 연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안테나, 상기 송신 증폭기 및 상기 정합 회로를 통한 정보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합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파형은 상기 송신 클럭의 상기 정합 회로로의 전송에 응답하여 형성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추출 클럭의 위상을 상기 송신 클럭의 위상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위상 차이에 대응하는 위상 선택 정보를 생성하는 비교 및 선택 블록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위상 차이들 및 상기 위상 차이들에 각각 대응하는 위상 선택 정보들을 저장하는 위상 룩업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 및 선택 블록은 상기 위상 차이와 연관된 정보 및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위상 선택 정보를 생성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위상 측정 모드 및 송신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위상 측정 모드 시에 상기 위상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위상 제어 블록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정보는 위상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파형은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송신 모드에서, 상기 위상 제어 블록은 상기 추출 클럭의 위상을 상기 위상 차이와 연관된 정보에 적어도 일부분 기반하여 조절하여 조절된 클럭으로 출력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기준 클럭을 출력하는 기준 클럭 발생 블록; 그리고
    상기 위상 측정 모드에서 상기 기준 클럭을 상기 송신 클럭으로 선택하여 상기 송신 증폭기로 전달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 모드에서 상기 조절된 클럭을 선택하여 상기 송신 증폭기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된 클럭이 상기 송신 증폭기에 의해 전달되기 전에, 상기 조절된 클럭에 송신 정보가 추가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 블록은,
    상기 추출 클럭의 위상에 고정되는 위상 고정 클럭을 출력하는 위상 고정 루프;
    상기 위상 고정 클럭의 위상을 조절하여 서로 다른 위상들을 갖는 복수의 클럭들을 생성하는 위상 스플리터; 그리고
    상기 위상 차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클럭들 중 하나를 상기 조절된 클럭으로 선택하는 클럭 선택기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 블록은,
    서로 다른 위상들을 갖는 복수의 클럭들을 생성하는 위상 스플리터; 그리고
    상기 위상 차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클럭들 중 하나를 상기 조절된 클럭으로 선택하는 클럭 선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럭들 중에서 상기 위상 차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럭 선택기에 의해 선택되는 클럭은 상기 추출 클럭의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달라지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위상 측정 모드 및 전송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고,
    상기 정합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파형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형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추출 클럭의 위상에 고정된 고정 위상 클럭을 출력하는 위상 고정 루프; 그리고
    상기 위상 측정 모드에서 상기 고정 위상 클럭을 상기 송신 클럭으로 선택하여 상기 송신 증폭기로 전달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 모드에서 상기 조절된 클럭을 선택하여 상기 송신 증폭기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위상 측정 모드 및 전송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고,
    상기 정합 회로에 형성되는 상기 파형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형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위상 측정 모드에서 상기 위상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위상 제어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 제어 블록은 상기 추출 클럭의 위상에 고정된 고정 위상 클럭을 출력하는 위상 고정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측정 모드에서 상기 위상 제어 블록은 상기 고정 위상 클럭을 상기 송신 증폭기로 전달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 모드에서 상기 위상 제어 블록은 상기 조절된 클럭을 상기 송신 증폭기로 전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차이는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정합 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송신 클럭의 중심 주파수 사이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가리키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주파수가 상기 중심 주파수보다 낮으면 상기 추출 클럭은 상기 송신 클럭보다 지연되고,
    상기 공진 주파수가 상기 중심 주파수보다 높으면 상기 추출 클럭은 상기 송신 클럭보다 전진(advance)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15. 안테나;
    송신 증폭기;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송신 증폭기 사이에 연결되는 정합 회로; 그리고
    상기 정합 회로에 형성되는 제1 파형으로부터 제1 추출 클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 클럭을 송신 클럭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송신 클럭을 전송하고, 상기 송신 증폭기를 통해 상기 정합 회로로 송신 클럭을 전송하고, 상기 송신 클럭을 상기 정합 회로를 통해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정합 회로에 형성되는 제2 파형으로부터 제2 추출 클럭을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 클럭 및 상기 제2 추출 클럭 사이의 위상 차이를 검출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제3 파형으로부터 제3 추출 클럭을 추출하고, 상기 검출된 차이에 따라 상기 제3 추출 클럭의 위상을 조절하여 조절된 클럭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조절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증폭기, 상기 정합 회로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정보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17. 안테나;
    송신 증폭기;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송신 증폭기 사이에 연결되는 정합 회로; 그리고
    위상 측정 모드 및 송신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고, 그리고 송신 클럭을 상기 송신 증폭기를 통해 상기 정합 회로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위상 측정 모드에서 제1 클럭을 상기 송신 클럭으로 선택하여 상기 송신 증폭기로 전송되게 하고, 상기 송신 클럭을 상기 정합 회로를 통해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정합 회로로부터 추출되는 제1 추출 클럭 및 상기 송신 클럭 사이의 위상 차이를 검출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 모드에서 제2 클럭을 상기 송신 클럭으로 선택하여 상기 송신 증폭기로 전송되게 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럭은 상기 위상 차이에 기반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정합 회로로부터 제2 추출 클럭을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위상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추출 클럭의 위상을 조절하여 상기 제2 클럭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정합 회로로부터 제3 추출 클럭을 추출하여 상기 제1 클럭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 클럭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기준 클럭 생성 블록을 더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KR1020160134493A 2016-09-08 2016-10-17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KR102483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110863.8A CN107809263B (zh) 2016-09-08 2017-02-28 近场通信装置
US15/458,051 US10334421B2 (en) 2016-09-08 2017-03-14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EP17184611.6A EP3293666A3 (en) 2016-09-08 2017-08-03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15860 2016-09-08
KR1020160115860 2016-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871A KR20180028871A (ko) 2018-03-19
KR102483557B1 true KR102483557B1 (ko) 2023-01-05

Family

ID=6191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493A KR102483557B1 (ko) 2016-09-08 2016-10-17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3131A (ko) * 2021-02-05 2022-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0389A (ja) 2007-11-19 2009-06-11 Felica Networks Inc 通信装置、同調周波数調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4836B2 (en) * 2012-06-28 2015-01-13 Broadcom Corporation NFC device with PLL controlled active load modulation
KR102283255B1 (ko) * 2014-10-10 2021-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0389A (ja) 2007-11-19 2009-06-11 Felica Networks Inc 通信装置、同調周波数調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871A (ko) 201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4540B2 (en) Active load modulation technique in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7809263B (zh) 近场通信装置
EP3280064B1 (en) Method and system to measure the phase offset based on the frequency response in a nfc system
US107568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s device that communicates via inductive coupling
US20150072737A1 (en) Semiconductor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c card, and microcomputer
JP6711359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EP3280061B1 (en) Method and system for high resolution tuning of the phase for active load modulation in a nfc system
US10447350B2 (en) High-speed circuits for active load modulation and related methods
EP3461018B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s device that communicates via inductive coupling
US10164766B1 (en) Advanced synchronization schemes for NFC card emulation mode, peer-to-peer mode and RFID tag design
US11799517B2 (en) Detection of NFC devices
US10819440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48355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CN107852189B (zh) 通信装置、通信方法和通信系统
US20130094562A1 (en) Transmitter and transmitting method using delay locked loop
CN108462511B (zh) 近场通信设备及近场通信设备的操作方法
US10863467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ntenna resonant circuit
US20140159871A1 (en) Active Electronic Tag Apparatus for Memory Card
CA2898428C (en) Amplifier circuit, antenna modul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CN108933613B (zh) 用于有源负载调制的方法及通信装置
JP6102275B2 (ja) 増幅回路、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無線通信装置
CN113988095A (zh) 非接触式通信设备模式切换管理
CN116671027A (zh) 基于载波频率调节来区分有源和无源nfc设备的系统和方法
KR20180095418A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JP2014157471A (ja) 増幅回路、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