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308B1 - Quadrature hybrid coupler, a feed network and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 Google Patents

Quadrature hybrid coupler, a feed network and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308B1
KR102483308B1 KR1020210033639A KR20210033639A KR102483308B1 KR 102483308 B1 KR102483308 B1 KR 102483308B1 KR 1020210033639 A KR1020210033639 A KR 1020210033639A KR 20210033639 A KR20210033639 A KR 20210033639A KR 102483308 B1 KR102483308 B1 KR 102483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transmission line
quadrature hybrid
hybrid coupler
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8900A (en
Inventor
박익모
왕희수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308B1/en
Publication of KR20220128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3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01Q9/285Planar dipo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포트, 격리(isolated) 포트, 제1, 2 출력 포트,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격리 포트 사이에 제1 임피던스를 갖는 제1 션트 전송선로,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출력 포트 사이에 제2 임피던스를 갖는 제1 시리즈 전송선로, 상기 격리 포트와 상기 제2 출력 포트 사이에 상기 제2 임피던스를 가지며, 상기 제1 션트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한 제2 시리즈 전송선로 및 상기 제1, 2 출력 포트 사이에 상기 제1 임피던스를 가지며, 상기 제1 시리즈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한 제2 션트 전송선로를 포함하는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제공한다.An input port, an isolated port,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a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having a first impedance between the input port and the isolation port, and between the input port and the first output port. A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having a second impedance, a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having the second impedance between the isolation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and being parallel to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and the first, A quadrature hybrid coupler including a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 having the first impedance between two output ports and parallel to the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Description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급전 네트워크 및 원형편파 안테나{Quadrature hybrid coupler, a feed network and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Quadrature hybrid coupler, a feed network and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본 발명은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급전 네트워크 및 원형편파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넓은 주파수 구간에서 출력 포트의 위상 차 변동이 적은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급전 네트워크 및 원형편파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drature hybrid coupler, a feed network, and a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and more particularly, to a quadrature hybrid coupler, a feed network, and a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having a small phase difference variation of an output port in a wide frequency range.

커플링(Coupling)이란 독립된 공간 또는 선로 간에서 전자계적으로 교류 신호 에너지가 상호 전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Coupling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lternating signal energy is transmitted electromagnetically between independent spaces or lines.

커플러(Coupler)는 이러한 커플링의 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선로의 길이와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여 한쪽에 원하는 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장치이다.A coupler is a device that artificially adjusts the degree of coupling, and arbitrarily adjusts the length and spacing of the line so that desired power is transmitted to one side.

일반적으로 결합 선로 커플러에 있어서, 결합 계수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선로 간의 간격이 매우 좁아야 하는데, 이 경우 일단 제작이 어렵고 두 선로 사이의 간격이 좁아 선로 간에 단락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In general, in a coupled line coupler, the distance between lines must be very narrow 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coefficien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하이브리드 커플러(Hybrid Coupler)로서, 특히 90도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결합도(Coupling)가 3dB인 등분배 커플러로서 송수신 시스템에 자주 이용된다.To solve this problem, a hybrid coupler is used. In particular, a 90-degree hybrid coupler is an equal distribution coupler having a coupling of 3dB and is often used in 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나타낸 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general quadrature hybrid coupler.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4 단자망으로서, 제1, 2 시리즈(Series) 전송선로(11, 12) 및 제1, 2 션트(Shunt) 전송선로(21, 22)의 전기적 길이가 각각 중심 주파수의 λ/4 길이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this, the hybrid coupler is a 4-terminal network, and the electrical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s 11 and 12 and the first and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s 21 and 22 are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length of λ/4 of the center frequency.

그리고, 제1, 2 시리즈(Series) 전송선로(11, 12)와 제1, 2 션트(Shunt) 전송선로(21, 22)는 상하/좌우 대칭인 형태를 이루고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s 11 and 12 and the first and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s 21 and 22 form a vertically/left-right symmetrical shape.

여기서, 제1, 2 시리즈(Series) 전송선로(11, 12)의 각 출력의 크기는 같고, 90°의 위상 차를 갖는 신호가 발생된다.Here, the magnitude of each output of the first and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s 11 and 12 is the same, and a signal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90° is generated.

즉, 포트 2(Port 2 : Output of through arm) 및 포트 3(Port 3 : Output of coupled arm)에서 동일한 크기의 90°위상 차를 갖는 신호가 출력된다.That is, signals having the same size and 90° phase difference are output from Port 2 (Output of through arm) and Port 3 (Output of coupled arm).

한편, 포트 4(Port 4 : Isolation Port)는 격리되어 아무런 신호를 출력하지 못한다.Meanwhile, Port 4 (Isolation Port) is isolated and cannot output any signal.

또한, 제1, 2 시리즈(Series) 전송선로(11, 12) 및 제1, 2 션트(Shunt) 전송선로(21, 22)의 전기적 길이가 각각 중심 주파수의 λ/4 길이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제1, 2 시리즈(Series) 전송선로(11, 12)는 35Ω의 특성 임피던스를 갖고, 제1 및 제2 션트 전송선로(21)(22)는 50Ω의 특성 임피던스를 갖도록 전송선로가 설정된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ical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s 11 and 12 and the first and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s 21 and 22 are λ/4 of the center frequency,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s 11 and 12 have a characteristic impedance of 35 Ω, and the first and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s 21 and 22 have a characteristic impedance of 50 Ω.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중심 주파수를 벗어나는 경우 제1, 2 시리즈(Series) 전송선로(11, 12) 및 제1, 2 션트(Shunt) 전송선로(21, 22)의 전기적 길이에 달라지게 되어 복사 패턴이 비대칭적으로 변환되어 축비가 증가하게 된다. 넓은 축비 대역폭을 구현하기 위해서 metasurface, parasitic patch, cavity 등의 추가적인 구조가 적용되어야 한다.When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deviates from the center frequency, the electrical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s 11 and 12 and the first and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s 21 and 22 change, so that the radiation pattern This asymmetrical transformation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axial ratio. In order to realize a wide axial bandwidth, additional structures such as metasurfaces, parasitic patches, and cavities should be applied.

최근들어, 넓은 주파수 구간에서 출력 포트의 위상 차 변동이 적은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연구 중에 있다.Recently, a quadrature hybrid coupler with less variation in the phase difference of an output port in a wide frequency range is being studied.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주파수 구간에서 출력 포트의 위상 차 변동이 적은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급전 네트워크 및 원형편파 안테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adrature hybrid coupler, a power supply network, and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with little phase difference variation of an output port in a wide frequency rang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크기와 광대역 특성을 가지고 복사 패턴이 대칭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급전 네트워크 및 원형편파 안테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adrature hybrid coupler, a power supply network, and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capable of symmetrically generating radiation patterns with a small size and broadband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입력 포트, 격리(isolated) 포트, 제1, 2 출력 포트,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격리 포트 사이에 제1 임피던스를 갖는 제1 션트 전송선로,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출력 포트 사이에 제2 임피던스를 갖는 제1 시리즈 전송선로, 상기 격리 포트와 상기 제2 출력 포트 사이에 상기 제2 임피던스를 가지며, 상기 제1 션트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한 제2 시리즈 전송선로 및 상기 제1, 2 출력 포트 사이에 상기 제1 임피던스를 가지며, 상기 제1 시리즈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한 제2 션트 전송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A quadrature hybrid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port, an isolated port,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a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having a first impedance between the input port and the isolation port, the input port and A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having a second impedance between the first output port, a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having the second impedance between the isolation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and being parallel to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and a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 having the first impedance and parallel to the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상기 제1 션트 전송선로는, 상기 입력 포트에 연결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소정 각도를 이루고 상기 격리 포트에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may include a first portion connected to the input port and a second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isolation port.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시리즈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할 수 있다.The first portion may be parallel to the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상기 제1 시리즈 전송선로는, 상기 입력 포트에 연결된 제3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과 소정 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1 출력 포트와 연결된 제4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may include a third portion connected to the input port and a fourth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third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ort.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2 션트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할 수 있다.The third portion may be parallel to the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

상기 제1, 2 션트 전송선로의 두께는, 0.4 mm 내지 0.6 mm 이고, 상기 제1, 2 시리즈 전송선로의 두께는, 0.7 mm 내지 0.9 mm 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s may have a thickness of 0.4 mm to 0.6 mm, and the first and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s may have a thickness of 0.7 mm to 0.9 mm.

상기 제1 션트 전송선로 및 상기 제2 시리즈 전송선로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 션트 전송선로 및 상기 제1 시리즈 전송선로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and the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may be the same a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 and the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상기 제1 션트 전송선로 및 상기 제2 시리즈 전송선로 사이의 이격거리는, 0.4 mm 내지 0.6 mm 일 수 있다.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and the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may be 0.4 mm to 0.6 mm.

상기 제2 출력 포트는, 상기 제1 출력 포트와의 위상 차를 90°로 맞추기 위해 선로가 굽어질 수 있다.A line of the second output port may be bent to match a phase difference with the first output port to 90°.

본 발명에 따른 급전 네트워크는, 제1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및 입력 포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와 180°회전된 대칭 구조로 연결된 제2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각각은, 상기 입력 포트, 격리(isolated) 포트, 제1, 2 출력 포트,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격리 포트 사이에 제1 임피던스를 갖는 제1 션트 전송선로,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출력 포트 사이에 제2 임피던스를 갖는 제1 시리즈 전송선로, 상기 격리 포트와 상기 제2 출력 포트 사이에 상기 제2 임피던스를 가지며, 상기 제1 션트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한 제2 시리즈 전송선로 및 상기 제1, 2 출력 포트 사이에 상기 제1 임피던스를 가지며, 상기 제1 시리즈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한 제2 션트 전송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A power supply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quadrature hybrid coupler and a second quadrature hybrid coupler connected to the first quadrature hybrid coupler in a symmetrical structure rotated by 180 ° with respect to an input port, wherein the first, Each of the two quadrature hybrid couplers includes the input port, an isolated port,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a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having a first impedance between the input port and the isolation port, the input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A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having a second impedance between the first output port, a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having the second impedance between the isolation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and being parallel to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and a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 having the first imped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and parallel to the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에 따른 원형편파 안테나는, 제1 급전 네트워크, 상기 제1 급전 네트워크에 좌우 대칭 구조로 연결된 제1, 2 다이폴, 상기 제1 급전 네트워크과 독립된 제2 급전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급전 네트워크에 좌우 대칭 구조로 연결된 제3, 4 다이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다이폴은, 상기 제1 급전 네트워크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며, 전계 위상의 차이가 180°이며, 상기 제3, 4 다이폴은, 상기 제2 급전 네트워크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며, 전계 위상의 차이가 180°이고, 상기 제1 내지 제4 다이폴에서 복사되는 전력의 위상은, 시계 방향으로 각각 0°, -90°, -180°, -270°로 360°의 위상 차이를 가질 수 있다.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eed network, first and second dipoles connected to the first feed network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a second feed network independent of the first feed network, and left-right symmetrical to the second feed network. It includes third and fourth dipoles connected in a structur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poles have opposite directions of currents supplied from the first feed network, a difference in electric field phase is 180°, and the third and fourth dipoles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second feed network is opposite, the electric field phase difference is 180 °, and the phases of the power radiated from the first to fourth dipoles are clockwise at 0 ° and -90 °, respectively. °, -180°, -270° can have a phase difference of 360°.

본 발명에 따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급전 네트워크 및 원형편파 안테나는, 회로 구성시 면적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the feed network, and the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area when constructing a circu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급전 네트워크 및 원형편파 안테나는, 반사계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the feed network, and the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dvantage of improving reflec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급전 네트워크 및 및 원형편파 안테나는, 넓은 주파수 구간에서 출력 포트의 위상 차 변동이 적은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the feed network, and the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dvantage in that the phase difference variation of the output port is small in a wide frequency range.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1은 일반적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예에 따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특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포함하는 급전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급전 네트워크의 특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6는 도 4에 나타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포함하는 급전 네트워크를 적용한 원형편파 안테나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원형편파 안테나의 전류 표면 분포를 나타낸 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general quadrature hybrid coupler.
2 is a diagram showing a quadrature hybrid coupl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characteristics of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shown in FIG. 2 .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network including a quadrature hybrid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upply network shown in FIG. 4;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to which a feed network including a quadrature hybrid coupler shown in FIG. 4 is applied.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current surface distribution of the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shown in FIG. 6;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개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개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나타낸 도 및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특성을 나타낸 도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quadrature hybrid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characteristics of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shown in FIG. 2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는 입력 포트(Port 1), 격리 포트(Port 4), 제1, 2 출력 포트(Port 2, Port 3), 제1, 2 션트 전송선로(111, 112) 및 제1, 2 시리즈 전송선로(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100 includes an input port (Port 1), an isolation port (Port 4),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Port 2 and Port 3), and first and second shunts. Transmission lines 111 and 112 and first and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s 121 and 122 may be included.

여기서, 도 2(a)는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의 기하학 구조를 나타내며, 도 2(b)는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의 설계 구조를 나타낸다.Here, FIG. 2 (a) shows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100, and FIG. 2 (b) shows the design structure of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100.

먼저, 입력 포트(Port 1)는 급전선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일 수 있다.First, the input port (Port 1) may be a port through which a signal is input to a feeder line.

격리 포트(Port 4)는 Isolation 포트로써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포트일 수 있다.The isolation port (Port 4) is an isolation port and may be a port that does not output a signal.

또한, 제1, 2 출력 포트(Port 2, Port3)는 동일한 크기의 90°위상 차를 갖는 신호가 출력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Port 2 and Port 3 output signals having the same size and 90° phase difference.

제1 션트 전송선로(111)는 입력 포트(Port 1)와 격리 포트(Port 4) 사이를 연결하며 제1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111 connects between the input port (Port 1) and the isolation port (Port 4) and may have a first impedance.

여기서, 제1 션트 전송선로(111)는 제1, 2 부분(111a, 111b)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111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parts 111a and 111b.

제1 부분(111a)은 입력 포트(Port 1)에 연결되며, 제2 부분(111b)는 제1 부분(Port 1)과 소정 각도를 이루고 격리 포트(Port 4)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part 111a is connected to the input port (Port 1), and the second part 111b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part (Port 1) and is connected to the isolation port (Port 4).

제2 션트 전송선로(112)는 제1, 2 출력 포트(Port 2, Port 3) 사이에 연결되며, 제1 션트 전송선로(111)과 동일하게 제1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 112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Port 2 and Port 3 and may have the same first impedance as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111 .

제1, 2 션트 전송선로(111, 112) 각각의 두께(Wf)는 0.4 mm 내지 0.6 mm 일 수 있으며, 0.4 mm 미만인 경우 설계 상에 어려움이 있으며, 0.7 mm 이상인 경우 커플러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The thickness (Wf)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s 111 and 112 may be 0.4 mm to 0.6 mm, and if it is less than 0.4 mm, design difficulties may arise, and if it is greater than 0.7 mm, the area of the coupler may be increased. there is.

제1 시리즈 전송선로(121)는 입력 포트(Port 1)와 제1 출력 포트(Port 2) 사이에 제2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121 may have a second impedance between the input port (Port 1) and the first output port (Port 2).

여기서, 제1 시리즈 전송선로(121)는 제3, 4 부분(121a, 121b)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121 may include third and fourth portions 121a and 121b.

제3 부분(121a)은 입력 포트(Port 1)에 연결되며, 제4 부분(121b)는 제3 부분(121a)과 소정 각도를 이루고 제1 출력 포트(Port 2)에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part 121a is connected to the input port (Port 1), and the fourth part 121b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third part 121a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ort (Port 2).

제2 시리즈 전송선로(122)는 격리 포트(Port 4)와 제2 출력 포트(Port 3) 사이에 연결되며, 제1 시리즈 전송선로(121)과 동일한 제2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122 is connected between the isolation port (Port 4) and the second output port (Port 3), and may have the same second impedance as the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121.

여기서, 제2 시리즈 전송선로(122)의 길이(Lq)는 7.7 mmm 내지 7.9 mm일 수 있으며, 길이(Lq)는 제2 시리즈 전송선로(122)의 두께(Wq) 및 전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Here, the length (Lq) of the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122 may be 7.7 mm to 7.9 mm, and the length (Lq)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Wq) and power of the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122. and is not limited thereto.

제1, 2 시리즈 전송선로(121, 122)의 두께(Wq)는 0.7 mm 내지 0.9 mm일 수 있으며, 0.7 mm 미만이거나 1.0 mm 이상인 경우 제1, 2 출력 포트(Port 2, Port 3)의 전력 위상차가 발생할 수 있다.The thickness (Wq) of the first and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s 121 and 122 may be 0.7 mm to 0.9 mm, and when less than 0.7 mm or greater than 1.0 mm, the power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Port 2 and Port 3) A phase difference may occur.

여기서, 제1 션트 전송선로(111)의 제1 부분(111a)는 제2 시리즈 전송선로(122)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션트 전송선로(112)는 제1 시리즈 전송선로(121)의 제3 부분(121a)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portion 111a of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111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122, and the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 112 is the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 121)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third part 121a.

제1 션트 전송선로(111)의 제1 부분(111a) 및 제2 시리즈 전송선로(122) 사이의 이격거리(g)는 제2 션트 전송선로(112) 및 제1 시리즈 전송선로(121)의 제3 부분(121a) 사이의 이격거리(g)와 동일할 수 있다.The separation distance g between the first portion 111a of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111 and the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122 is It may be the same as the separation distance g between the third parts 121a.

여기서, 이격거리(g)는 0.4 mm 내지 0.6 mm일 수 있다. 이때, 이격거리(g)는 제1, 2 션트 전송선로(111, 112) 각각의 두께(Wq)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1, 2 출력 포트(Port 2, Port 3) 사이의 전력 위상차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Here, the separation distance (g) may be 0.4 mm to 0.6 mm. At this time, the separation distance (g) can be maintained equal to the thickness (Wq)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s (111, 112), and the power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Port 2 and Port 3). can be kept constant.

또한, 제2 출력 포트(Port 3)는 제1 출력 포트(Port 2)와의 위상 차를 90°로 맞추기 위해 선로가 굽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e of the second output port (Port 3) may be bent to match the phase difference with the first output port (Port 2) to 90°.

역서, 제2 출력 포트(Port 3)의 굽어진 부분의 길이(Lo)는 0.9 mm 내지 1.1 mm 일 수 있으며, 제1 출력 포트(Port 2)의 길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Conversely, the length (Lo) of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output port (Port 3) may be 0.9 mm to 1.1 mm,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output port (Port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n't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100), 도 1에 나타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및 90°위상 지연 선로를 추가한 T-junction 파워 디바이더를 ANSYS HFSS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한 특성을 나타낸다.FIG. 3 shows simulated characteristics of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100 shown in FIG. 2,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shown in FIG. 1, and the T-junction power divider to which a 90° phase delay line is added using ANSYS HFSS.

도 3(a)는 각 구조의 반사계수이며, 6.0 GHz에서 임피던스 정합이 가장 잘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3(a) is the reflection coefficient of each structure, and it was designed to achieve the best impedance matching at 6.0 GHz.

반사계수 특성은 T-junction 파워 디바이더가 가장 좋았으며,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의 반사계수 특성은 도 1에 나타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보다 좋음을 알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the T-junction power divider has the best reflec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s, and the reflec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s of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100 are better than those of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shown in FIG. 1 .

도 3(b)는 제1, 2 출력 포트(Port 2, Port 3)간 전력의 크기 차이이다. 3(b) is a difference in pow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Port 2 and Port 3).

T-junction 파워 디바이더는 제1, 2 출력 포트(Port 2, Port 3)간 전력의 크기 차가 넓은 구간에서 작았으며,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의 전력의 크기 차이 특성은 도 1에 나타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보다 좋음을 알 수 있다.In the T-junction power divider, the power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Port 2 and Port 3) was small in a wide range, and the power difference characteristic of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100 is the quadrature shown in FIG. It can be seen that it is better than hybrid.

도 3(c)는 제1, 2 출력 포트(Port 2, Port 3)간 전력의 위상차이다. 3(c) is a phase difference of pow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Port 2 and Port 3).

도 1에 나타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제1, 2 출력 포트(Port 2, Port 3)간 전력의 위상차가 넓은 구간에서 일정했으며,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의 전력 위상차 특성은 T-junction 파워 디바이더 보다 좋음을 알 수 있다.In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shown in FIG. 1, the phase difference of pow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Port 2 and Port 3) was constant in a wide range, and the power phase difference characteristic of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100 was T-junction power divider you can see it's bett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포함하는 급전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 및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급전 네트워크의 특성을 나타낸 도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supply network including a quadrature hybrid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upply network shown in FIG. 4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급전 네트워크(200)는 제1, 2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210, 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 the power supply network 2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quadrature hybrid couplers 210 and 220 .

여기서, 제1, 2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210, 220)는 도 2에 나타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입력 포트(Port 1), 격리 포트(Port 4), 제1, 2 출력 포트(Port 2, Port 3), 제1, 2 션트 전송선로(111, 112) 및 제1, 2 시리즈 전송선로(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quadrature hybrid couplers 210 and 220 ar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100 shown in FIG. , 2 output ports (Port 2 and Port 3), first and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s 111 and 112, and first and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s 121 and 122.

제1, 2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210, 220)는 입력 포트(Port 1)을 기준으로 180°회전된 대칭 구조로 결하뵐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quadrature hybrid couplers 210 and 220 may be connect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rotated by 180° with respect to the input port (Port 1).

즉, 상술한 대칭 구조는 90°위상 차를 가지는 제1, 2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210, 220)를 입력 포트(Port 1)를 중심으로 180° 회전시켜 결합한 구조이므로 제1 쿼드러쳐 하이브리트 커플러(210)의 제1 출력 포트(Port 2), 제2 출력 포트(Port 3), 제2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220)의 제1 출력 포트(Port 2) 및 제2 출력 포트(Port 3)의 출력 위상은 각각 0°, -90°, 0°, -90°일 수 있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symmetric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quadrature hybrid couplers 210 and 220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90 ° are rotated by 180 ° around the input port (Port 1) and combined, so that the first quadrature hybrid coupler 210 of the first output port (Port 2), the second output port (Port 3), the first output port (Port 2) and the second output port (Port 3) of the second quadrature hybrid coupler 220 The output phase may be 0°, -90°, 0°, or -90°, respectively.

제1, 2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210, 220) 각각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1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quadrature hybrid couplers 210 and 220 is the same as that of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100 shown in FIG. 2,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급전 네트워크의 특성을 나타낸다.Here, FIG. 5 shows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upply network shown in FIG. 4 .

도 5(a)는 S-parameter 이며 중심 주파수인 6.0 GHz 근처에서 임피던스 정합이 가장 잘 이루어지고 각 제1, 2 출력 포트(Port 2, Port 3)의 전력 크기도 거의 같음을 알 수 있다. 5(a) is an S-parameter, and it can be seen that impedance matching is best achieved near the center frequency of 6.0 GHz, and the power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Port 2 and Port 3) are almost the same.

도 5(b)는 제1, 2 출력 포트Port 2, Port 3)의 전력 위상이며, 전력 위상의 차이가 넓은 범위에서 일정함을 알 수 있다. 5(b) shows the power phases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Port 2 and Port 3), and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wer phases is constant over a wide range.

도 6는 도 4에 나타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포함하는 급전 네트워크를 적용한 원형편파 안테나를 나타낸 도 및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원형편파 안테나의 전류 표면 분포를 나타낸 도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to which a feed network including a quadrature hybrid coupler shown in FIG. 4 is applied, and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current surface distribution of the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shown in FIG. 6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안테나(300)는 도 4에 나타낸 급전 네트워크(200)와 다이폴을 결합한 원형편파 안테나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antenna 300 represents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combining the feed network 200 shown in FIG. 4 and a dipole.

여기서, 안테나(300)는 면적을 줄이기 위해 꺽인 다이폴을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antenna 300 may use a bent dipole to reduce an area.

두 개의 급전 네트워크(200)의 출력 포트는 시계방향으로 각각 0°, -90°, 0°, -90° 위상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원형편파를 구현하려면 전력의 위상이 0°, -90°, -180°, -270°가 되어야 하며, 원형편파는 X축에 대해 대칭 방식으로 배열된 구부러진 쌍극자를 사용하여 180°의 추가 위상차를 도입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output ports of the two feed networks 200 may output power of 0°, -90°, 0°, and -90° phases in a clockwise direction, respectively. However, to implement circular polarization, the phases of power must be 0°, -90°, -180°, -270°, and circular polarization uses bent dipoles arranged symmetrically about the X-axis to provide an additional phase difference of 180°. can be implemented by introducing

즉, 도 6에 나타낸 안테나(300)의 구조는 급전 네트워크의 각 출력 포트마다 다이폴 pair 1, 2와 3, 4 를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at is, in the structure of the antenna 300 shown in FIG. 6, dipole pairs 1 and 2 and 3 and 4 may be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utput port of the feed network.

중심 기준 좌우 대칭인 두 다이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반대이며, 복사되는 전계위상의 차이가 180°일 수 있다.The directions of the currents flowing in the two dipoles that are left-right symmetric about the center are opposite, and the difference in phase of the radiated electric field may be 180°.

도 6(a)와 같이, 다이폴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구조인 다이폴 pair 1, 2와 3, 4를 급전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네 개의 다이폴들에서 복사되는 전력의 위상은 시계방향으로 각각 0°, -90°, -180°, -270°가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when dipole pairs 1, 2, 3, and 4, which have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based on the center of the dipole, a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network, the phases of power radiated from the four dipoles are 0° in the clockwise direction, respectively. , -90°, -180°, -270°.

도 6(b) 및 도 6(c)는 상부에서 바라본 안테나의 윗면과 밑면이다. 임피던스 정합을 위하여 설계 파라미터 Wi와 Wo 를 조절하였으며 축비 조절을 위해 Lq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6(b) and 6(c) are top and bottom views of the antenna viewed from above. Design parameters Wi and Wo are adjusted for impedance matching, and the length of Lq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axial ratio.

도 6(a)를 이루는 안테나(300)의 구조에 따른 설계 파라미터는 아래와 같이 주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Design parameter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ntenna 300 constituting FIG. 6 (a) may be given as follow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W는 mm, Wd는 0.5 mm. Ld는 10.2 mm, Lb1은 3.3 mm, Lb2는 2.5 mm, W1은 0.8 mm. W2는 0.5 mm, Lq는 9.2 mm, g는 0.5 mm, Wo는 0.3 mm. Lo는 2 mm, Wr은 1 mm, Lr은 2.2 mm, Pt는 1.7 mm, Pb는 3mm 일 수 있다. W is mm, Wd is 0.5 mm. Ld is 10.2 mm, Lb1 is 3.3 mm, Lb2 is 2.5 mm, and W1 is 0.8 mm. W2 is 0.5 mm, Lq is 9.2 mm, g is 0.5 mm, and Wo is 0.3 mm. Lo may be 2 mm, Wr may be 1 mm, Lr may be 2.2 mm, Pt may be 1.7 mm, and Pb may be 3 mm.

이때, 도 7은 상술한 설계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중심 주파수인 6 GHz에서의 시간에 따른 안테나 표면전류 분포를 나타낸다.At this time, FIG. 7 shows the antenna surface current distribution over time at a center frequency of 6 GHz by applying the above-described design parameters.

시간(t)가, 0, T/4, T/2, 3T/4 에서의 표면 전류 분포를 관찰하면, 전류가 반 시계방향(RHCP)으로 회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Observing the surface current distribution at times t, 0, T/4, T/2, and 3T/4,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urrent rotates counterclockwise (RHCP).

본 발명에 따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및 급전 네트워크는 안테나에 적용하는 경우,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90°에 가까운 위상 차를 만들 수 있음으로써, 원형 편파를 구현하기 용이할 수 있다.When applied to an antenna, the quadrature hybrid coupler and feed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a phase difference close to 90° in a wide frequency band, so that circular polariz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with respect to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vari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ese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exemplify the above to the extent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have not been mad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1)

입력 포트;
격리(isolated) 포트;
제1, 2 출력 포트;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격리 포트 사이에 제1 임피던스를 갖는 제1 션트 전송선로;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출력 포트 사이에 제2 임피던스를 갖는 제1 시리즈 전송선로;
상기 격리 포트와 상기 제2 출력 포트 사이에 상기 제2 임피던스를 가지며, 상기 제1 션트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한 제2 시리즈 전송선로; 및
상기 제1, 2 출력 포트 사이에 상기 제1 임피던스를 가지며, 상기 제1 시리즈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한 제2 션트 전송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 포트는, 상기 제1 출력 포트와의 위상 차를 90°로 맞추기 위해 선로가 굽어지며,
상기 제2 출력 포트의 굽어진 부분의 길이는 0.9mm 내지 1.1mm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input port;
an isolated port;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a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having a first impedance between the input port and the isolation port;
a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having a second impedance between the input port and the first output port;
a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having the second impedance between the isolation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and being parallel to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and
a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 having the first imped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and being parallel to the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In the second output port, the line is bent to match the phase difference with the first output port to 90 °,
The length of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output port is 0.9 mm to 1.1 mm
Quadrature Hybrid Coup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션트 전송선로는,
상기 입력 포트에 연결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소정 각도를 이루고 상기 격리 포트에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a first portion coupled to the input port; and
a second portion angled with the firs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isolation port;
Quadrature Hybrid Coupl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시리즈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한,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part,
Parallel to the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and each other,
Quadrature Hybrid Coup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리즈 전송선로는,
상기 입력 포트에 연결된 제3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과 소정 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1 출력 포트와 연결된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a third portion coupled to the input port; and
A fourth part formed at an angle with the third pa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ort,
Quadrature Hybrid Coupl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2 션트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한,
쿼드러쳐 라이브리드 커플러.
According to claim 4,
The third part,
Parallel to the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
Quadrature live lead coup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션트 전송선로의 두께는,
0.4 mm 내지 0.6 mm 이고,
상기 제1, 2 시리즈 전송선로의 두께는,
0.7 mm 내지 0.9 mm 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s is
0.4 mm to 0.6 mm,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s,
0.7 mm to 0.9 mm,
Quadrature Hybrid Coup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션트 전송선로 및 상기 제2 시리즈 전송선로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 션트 전송선로 및 상기 제1 시리즈 전송선로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and the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Same a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 and the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Quadrature Hybrid Coupl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션트 전송선로 및 상기 제2 시리즈 전송선로 사이의 이격거리는,
0.4 mm 내지 0.6 mm인,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According to claim 7,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and the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0.4 mm to 0.6 mm,
Quadrature Hybrid Coupler.
삭제delete 제1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및
입력 포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와 180°회전된 대칭 구조로 연결된 제2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쿼드러쳐 하이브리드 커플러 각각은,
상기 입력 포트;
격리(isolated) 포트;
제1, 2 출력 포트;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격리 포트 사이에 제1 임피던스를 갖는 제1 션트 전송선로;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출력 포트 사이에 제2 임피던스를 갖는 제1 시리즈 전송선로;
상기 격리 포트와 상기 제2 출력 포트 사이에 상기 제2 임피던스를 가지며, 상기 제1 션트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한 제2 시리즈 전송선로; 및
상기 제1, 2 출력 포트 사이에 상기 제1 임피던스를 가지며, 상기 제1 시리즈 전송선로와 서로 평행한 제2 션트 전송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 포트는, 상기 제1 출력 포트와의 위상 차를 90°로 맞추기 위해 선로가 굽어지며,
상기 제2 출력 포트의 굽어진 부분의 길이는 0.9mm 내지 1.1mm인
급전 네트워크.
a first quadrature hybrid coupler; and
A second quadrature hybrid coupler connected to the first quadrature hybrid coupler in a symmetrical structure rotated by 180 ° based on the input por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quadrature hybrid couplers,
the input port;
an isolated port;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a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having a first impedance between the input port and the isolation port;
a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having a second impedance between the input port and the first output port;
a second series transmission line having the second impedance between the isolation port and the second output port and being parallel to the first shunt transmission line; and
a second shunt transmission line having the first imped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ports and being parallel to the first series transmission line;
In the second output port, the line is bent to match the phase difference with the first output port to 90 °,
The length of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output port is 0.9 mm to 1.1 mm
feed network.
삭제delete
KR1020210033639A 2021-03-15 2021-03-15 Quadrature hybrid coupler, a feed network and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KR1024833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639A KR102483308B1 (en) 2021-03-15 2021-03-15 Quadrature hybrid coupler, a feed network and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639A KR102483308B1 (en) 2021-03-15 2021-03-15 Quadrature hybrid coupler, a feed network and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900A KR20220128900A (en) 2022-09-22
KR102483308B1 true KR102483308B1 (en) 2022-12-30

Family

ID=8344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639A KR102483308B1 (en) 2021-03-15 2021-03-15 Quadrature hybrid coupler, a feed network and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30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83B1 (en) * 2007-10-19 2009-04-17 전자부품연구원 Hybrid coup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83B1 (en) * 2007-10-19 2009-04-17 전자부품연구원 Hybrid cou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900A (en)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n et al. Compact dual-polarized shared-dipole antennas for base station applications
Zhang et al. Wideband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with gain improvement
Wu et al. A wideband, unidirectional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for full-duplex applications
CN107895846B (en) Circular polarization patch antenna with broadband
JPH09246815A (en) Multi-port radio frequency signal transformer circuit network
JP2009517904A (en) Circularly polarized dual antenna array
Tong et al. Differentially coplanar-fed filtering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for millimeter-wave applications
WO2015168598A1 (en) Quasi tem dielectric travelling wave scanning array
CN107579344A (en) Millimeter-wave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double-circle polarization Sidelobe Shared aperture array antenna
CN107546457A (en) Difference directional coupler, signal translating system and the method for changing differential input signal
US20190044234A1 (en) Tripole current loop radiating element with integrated circularly polarized feed
Zhu et al. Wideband hybrid couplers with unequal power division/arbitrary output phases and applications to miniaturized Nolen matrices
US9941587B2 (en) 3×3 Butler matrix and 5×6 Butler matrix
Naseri et al. A low-profile antenna system for generating reconfigurable OAM-carrying beams
Madhav et al. Analysis of dual feed asymmetric antenna
JP4985963B2 (en) Circularly polarized planar functional antenna
Yang et al. Analytical design method and implementation of broadband 4× 4 Nolen matrix
KR102483308B1 (en) Quadrature hybrid coupler, a feed network and a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Jizat et al. Dual band beamforming network integrated with array antenna
Wen et al. Wideband differentially-fed slot antenna and array with circularly polarized radiation for millimeter-wave applications
Malakooti et al. A Pattern Diversity Microstrip Antenna with Switchable Sum and Difference Beams in $ E $-and $ H $-plane
KR101077407B1 (en) Broadband hybrid junction and associated methods
Doghri et al. Broadband ${\rm E} $-Plane Junction for Three-Dimensional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Circuits and Systems
US6211751B1 (en) Microstrip broadband balun with four ground plates
US9007143B2 (en) Wide bandwidth integrated 2X4 RF div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