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969B1 -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969B1
KR102482969B1 KR1020220043250A KR20220043250A KR102482969B1 KR 102482969 B1 KR102482969 B1 KR 102482969B1 KR 1020220043250 A KR1020220043250 A KR 1020220043250A KR 20220043250 A KR20220043250 A KR 20220043250A KR 102482969 B1 KR102482969 B1 KR 102482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feit
seller
product
fak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엽
송노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이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이커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이커즈
Priority to KR102022004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969B1/ko
Priority to KR1020220184381A priority patent/KR102650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1Comparing pixel values or logical combinations thereof, or feature values having positional relevance, e.g. template ma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82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neur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은 가품을 취급하는 온라인 판매 그룹인 가품 셀러 그룹을 고유 키값에 따라 생성하고, 가품 셀러 그룹에서 취급하는 가품이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각 셀러 그룹에서 취급하는 가품 및 셀러에 대한 자동화된 대응 절차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가품지수(Counterfeit Rating) 및 셀러의 위협 레벨(Seller threat level)을 산출하여 가품지수과 개별 셀러의 위험도에 따른 대응 정책 및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신고된 가품 셀러에 해당하는 셀러 그룹을 추출하고, 추출된 셀러 그룹에 매칭된 정책 및 프로세스에 따라 신고된 가품 셀러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COUNTERFEIT PRODUCT CRACKDOWN}
본 개시는 인공지능 기술에 기반한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가품을 취급하는 온라인 판매(seller) 그룹을 생성하여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가품 및 가품 판매처를 단속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2017년 기준 전세계 위조상품 판매 규모는 26조원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온라인 쇼핑이 급증함에 따라 가품의 판매 유형도 온라인 판매로 급변하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상 가품의 실제 단속 실적은 전체 시장의 0.26%에 불과하다. 위조 상품 시장 규모는 브랜드의 위조품을 역수입하는 방식으로 커지는 추세이다. 또한, SNS를 이용한 오픈마켓을 통해 생계형 레플리카 형태로 조직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픈마켓의 자동 등록 기능을 이용해 대량의 위조품 개별 상점을 운영하거나 새벽 시간대 판매, 폐쇄형 상점 운영 등으로 위조상품의 지능화된 판매 행태가 지속으로 확장되고 있다. 최근에는 위조품 제작 사이클이 단축되고, 구매력이 약한 젊은 층의 위조품 이용에 대한 문제 의식이 무뎌는 추세이다.
온라인 판매는 물리적인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단속이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온라인 가품 판매의 형태가 오픈 마켓, 해외 직구, 소셜 미디어, 라이브 커머스 등의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 가품 판매 업체는 판매 게시글을 삭제하고 그 계정을 삭제하더라도 새로운 계정으로 온라인 판매를 반복하고 있고, 판매자가 해외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판매자에 대한 법적 조치가 쉽지 않다.
지식산업사회에 있어 브랜드라는 무형 자산은 기업의 가장 큰 가치이지만, 가품 판매는 정상 제품의 판매를 감소시키고, 기업이 수년간 쌓아 올린 브랜드 이미지를 희석하여(brand dilution) 기업의 유, 무형적 가치를 훼손한다. 특히, 소비자가 가품을 정품으로 오인하여 구매하는 경우 소비자는 직접적인 손해를 입게 되고, 이를 회복하기 위한 절차도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중소기업의 경우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가품을 구매하더라도 이를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의 신뢰를 잃게 되어 사용자 이탈이 가속화되어 매출이 감소함으로써, 기업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중소기업 및 온라인 스토어 입장에서 온라인 상의 가품 셀러 및 가품 탐지는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1795697호 (2017.11.02) 2. 한국 특허등록 제10-1420361호 (2014.07.10)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은 가품을 취급하는 온라인 판매 그룹인 가품 셀러 그룹을 고유 키값에 따라 생성하고, 가품 셀러 그룹에서 취급하는 가품이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각 셀러 그룹에서 취급하는 가품 및 셀러에 대한 자동화된 대응 절차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가품지수(Counterfeit Rating) 및 셀러의 위협 레벨(Seller threat level)을 산출하여 가품지수과 개별 셀러의 위험도에 따른 대응 정책 및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신고된 가품 셀러에 해당하는 셀러 그룹을 추출하고, 추출된 셀러 그룹에 매칭된 정책 및 프로세스에 따라 신고된 가품 셀러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은 가품 판매 셀러가 이용하는 이미지, 가품 판매 셀러 이름, 셀러 웹페이지, URL, 아웃링크, 아이디, 오픈채팅데이터를 포함하는 가품 셀러 정보를 수집하는 가품 셀러 정보 수집 모듈; 수집된 가품 셀러 정보를 기반으로 가품 셀러를 그룹핑(grouping)하여, 가품 셀러 그룹을 생성하는 셀러 그룹 생성 모듈; 개별 가품의 위험도 및 개별 가품 셀러의 위협도를 산출하는 산출모듈; 및 생성된 가품 셀러 그룹에 매칭된 대응 절차에 따라 상기 가품 셀러 그룹 및 상기 가품 셀러 그룹에서 취급하는 가품이 온라인에서 삭제되도록 처리하는 대응 모듈; 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방법은 (A) 가품 셀러 정보 수집 모듈에서 가품 판매 셀러가 이용하는 이미지, 가품 판매 셀러 이름, 셀러 웹페이지, URL, 아웃링크, 아이디, 오픈채팅데이터를 포함하는 가품 셀러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셀러 그룹 생성 모듈에서 수집된 가품 셀러 정보를 기반으로 가품 셀러를 그룹핑(grouping)하여, 가품 셀러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C) 산출모듈에서 개별 가품의 위험도 및 개별 가품 셀러의 위협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대응 모듈에서 생성된 가품 셀러 그룹에 매칭된 대응 절차에 따라 상기 가품 셀러 그룹 및 상기 가품 셀러 그룹에서 취급하는 가품이 온라인에서 삭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은 가품 탐지, 가품 확인, 후속 절차 진행의 개별 과정 없이 셀러 그룹에 매칭된 하나의 대응 과정을 통해 가품을 단속함으로써,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가품 단속 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셀러 그룹에 매칭된 자동화된 대응 절차를 통해, 온라인 상 가품 셀러 및 가품 노출을 신속하게 중단시켜 업체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또한, 가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셀러(Seller) 그룹을 고유 키값에 따라 생성하고 생성된 셀러 그룹 별 대응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해당 셀러가 취급하는 가품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셀러 그룹에서 취급하는 가품 및 셀러에 대한 자동화된 대응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상 가품 단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셀러 그룹 별 자동화된 대응 절차를 통해 온라인상 가품 셀러 및 가품 노출을 신속하게 중단시켜 업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셀러 그룹을 생성에 이용하는 셀러의 고유 키 값을 통해 가품 셀러를 정확하게 판별하고, 가품 셀러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중소기업의 브랜드 보호 및 기업경쟁력의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브랜드 기준에서의 가품 판매 데이터와 플랫폼 기준에서의 가품 판매 데이터를 동시에 확보하여, 크로스 탐지에 의한 가품 탐지 효율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가품 단속 서버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의 가품 및 가품 셀러 탐지 통계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셀러의 위협 레벨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가품의 위험도인 가품지수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가품 단속 서버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은 가품 단속 서버(100), 정품 생산 업체(200) 및 관리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품 단속 서버(100)는 가품을 취급하는 온라인 셀러 그룹을 생성하여 해당 셀러 그룹이 취급하는 가품 및 셀러 그룹을 단속하기 위한 대응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또한, 가품 단속 서버(100)는 상품 별 가품지수(Counterfeit Rating) 및 셀러의 위협도(Seller threat level)을 산출하여 가품지수과 개별 셀러의 위협도에 따른 정책과 대응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정품 생산 업체(200)는 가품 단속 서버(100)로부터 가품 취급 셀러 그룹 정보 및 온라인상 불법 유통되는 가품 정보를 전달받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법적 조치 및 노출 삭제 조치를 수행한다.
실시예에서 관리자 단말(300)은 웹 서핑 중 가품 셀러 또는 가품 판매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 접속한 페이지 정보를 가품 단속 서버(100)로 전송하여 온라인상 가품 판매를 관리자가 직접 단속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가품을 취급하는 온라인 판매 그룹인 가품 셀러 그룹을 고유한 키값에 따라 생성하고, 각 셀러 그룹에서 취급되는 상품들이 온라인상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셀러 그룹에서 취급하는 가품에 자동화된 대응 절차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가품 탐지, 가품 확인, 후속 절차 진행의 개별 과정 없이 셀러 그룹에 매칭된 하나의 대응 과정을 통해 가품을 단속함으로써,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가품 단속 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셀러 그룹에 매칭된 자동화된 대응 절차를 통해, 온라인 상 가품 셀러 및 가품 노출을 신속하게 중단시켜 업체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가품 단속 서버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가품 단속 서버(100)는 가품 셀러 정보 수집 모듈(110), 셀러 그룹 생성 모듈(120), 산출 모듈(130), 대응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가품 셀러 정보 수집 모듈(110)은 가품 판매 셀러가 이용하는 이미지, 가품 판매 셀러 이름, 셀러 URL, 아웃링크, 아이디, 오픈채팅데이터를 포함하는 가품 셀러 정보를 수집한다. 실시예에서 아웃링크는 상품 결재 및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검색 포털 외부에서 연결되는 브라우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디 및 오픈 채팅 데이터는 인스턴트 메신저 플랫폼(예컨대, 카카오톡)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텍스트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 데이터 및 채팅방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셀러 그룹 생성 모듈(120)은 수집된 가품 셀러 정보를 기반으로 가품 셀러 그룹을 정의하고 가품 셀러 그룹을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셀러 그룹 생성 모듈(120)은 가품 판매 셀러가 이용하는 이미지, 셀러 URL, 구매를 유도하는 아웃링크, 플랫폼 별 아이디 및 오픈채팅데이터 등 셀러 별 고유 키값(unique key)을 정의하고, 정의된 고유 키값에 따라 셀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이미지를 셀러 1,2,3이 가품 판매에 이용하는 경우, 셀러 그룹 생성 모듈(120)은 특정 이미지를 고유 키값으로 정의하고, 고유 키값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이용하는 셀러 1,2,3을 그룹핑(Grouping)하여 셀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인스턴트 메신저 플랫폼에 동일한 아이디로 로그인 하거나, 동일한 오픈 채팅방 링크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셀러를 그룹핑하여 셀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셀러 그룹 생성 모듈(120)은 아이디 또는 채팅방 링크를 고유 키값으로 정의하고, 고유 키 값에 해당하는 아이디 또는 채팅방 링크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셀러를 그룹핑하여 셀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셀러 그룹 생성 모듈(120)은 정의된 고유 키 값이 이미지인 경우 인공지능 머신러닝을 통한 이미지 인식을 통해 고유 키 값을 확장하고, 해당 이미지를 이용하는 셀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셀러 그룹 생성 모듈(120)은 인공지능 머신러닝을 통한 이미지 인식(image recognition)과정을 통해 가품 셀러가 이용하는 이미지를 파악하고,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및 배경을 인식하여 가품 셀러 별 고유 이미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인식을 위해, 이미지에 포함된 가품 객체와 배경을 분류(classification), 검출(detection)하고, 객체를 픽셀 단위로 식별하여 분할(segmentation)하는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셀러 그룹 생성 모듈(120)은 노이즈 대응 외 학습하지 못한 패턴 처리를 위해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out of distribution detection)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는 인공지능에 입력된 이미지가 학습된 확률분포 데이터 인지 아닌지 식별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를 통해 인공 신경망이 판단하기 어려운 이미지를 걸러내거나 예외 처리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학습 외 분포 데이터 탐지를 위해서 딥러닝 판정에 대해 얼마나 확신(confidence)하는지를 나타내는 확률 값을 보정(calibration)하거나 학습 외 분포 데이터를 생성적 대립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으로 생성하고 학습하여 탐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가품 셀러 별 이미지 인식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모델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연산을 간소화하는 경량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가품 셀러 별 고유 이미지를 확정하고 이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인식을 위해 콘볼루션 신경망(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에서 콘볼루션 필터를 변형하여 연산 차원을 축소(Reduction)하거나 큰 영향이 없는 신경망의 가중치(weight)를 삭제하는 가지치기, 가중치 값의 부동 소수점을 줄여 연산을 간소화하는 양자화 과정을 수행하여 데이터 경량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미리 학습시킨 큰 신경망의 출력을 작은 신경망에서 모방 학습하도록 하여 연산을 간소화하며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산출모듈(130)은 온라인상에서 수집된 가품 각각의 가품지수 및 개별 셀러 위협도를 산출한다. 실시예에서 가품지수(Counterfeit Rating)란 개별 상품 단위에서 측정되는 위험도로서, 온라인상 유통되는 가품이 정품으로 인식될 가능성 및 정품 판매에 미치는 위협도를 정량화 한 수치이다.
실시예에서 가품지수는 정품위협요소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정품위협요소는 온라인상에서 판매되는 가품의 팩터(factor) 정보로서, 가품의 가격, 노출기간, 누적판매횟수, 침해유형, 가품의 가시성, 가품 판매 기간, 정품과의 가격 차이 등의 세부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침해 유형은 가품의 종류 및 침해 정보로서, 위조여부, 모조여부, 저작권침해여부,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침해 상품의 가시성은 검색 엔진에서의 가품 검색 가능 여부, 검색 노출 비율, 가품의 노출 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품지수는 가품 가격과 정품 가격의 차이에 반비례하고, 노출기간과 누적 판매 횟수에 비례하도록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정품 위협 요소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품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가품을 대단위로 리스팅(listing)하는 경우 실제로 대응이 시급한 가품을 판별하고 이에 대해 효율적인 대처를 수행하기 어려우므로, 실시예에서는 정품위협요소를 반영한 가품지수를 통해, 정품에 큰 위협을 주는 가품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 정책과 절차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산출모듈(130)은 브랜드 세부 정보에 따라 정품위협요소 각각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가품지수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랜드 세부 정보는 브랜드 판매 실적, 홍보 및 마케팅 상황 정보로서, 정품 판매 기간, 정품의 기간별 매출액, 정품가격, 주요 소비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산출모듈(130)은 정품가격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고가 상품을 위조한 가품의 경우 정품 위협 요소 중 해당 정품과의 가격 차이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품지수를 산출하고, 스테디셀러인 상품을 위조한 가품의 경우 정품 위협 요소 중 가품의 판매 기간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품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산출모듈(130)은 브랜드 세부 정보 변화에 따라 정품 위협 지수 각각의 가중치를 조정하여 가품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시장과 상품 변화에 따라 가장 위협이 되는 가품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산출 모듈(130)은 셀러의 위협 레벨(Seller threat level)을 산출한다. 실시예에서 셀러의 위협 레벨은 개별 셀러의 위험도로서, 온라인 상에서 가품을 취급하는 셀러의 영향력을 등급화 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셀러의 위협 레벨은 개별 셀러의 판매 기간, 오인구매(Misleading) 유도요인, 판매 수, 판매가격을 포함하는 위협요소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셀러의 위협 레벨은 셀러가 가품을 판매한 기간, 판매가격, 오인구매 유도요인 및 누적 판매 수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인구매 유도요인은 정품과의 가격차이 및 제품 상세 설명의 정품 주장 횟수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산출 모듈(130)은 제품 상세 페이지에 기재된 텍스트 함의 인식(Text-entailment Recognition)을 통해 정품 주장 횟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오인구매 유도요인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산출모듈(130)은 인공지능 기반의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제품 상세 페이지에서 정보 추출(Information Extraction)을 수행하여 정품 주장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정보추출은 텍스트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정보들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과정으로서, 실시예에서는 '정품', '진짜', '인증', '확실' 등의 정품 주장 표현에 포함되는 단어를 키워드로 설정하고 키워드 관련 정보추출을 통해, 가품을 설명하는 비정형 문서 내의 정품 주장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산출모듈(130)은 위협요소에 기반한 셀러 그룹 별 특징을 추출하여, 셀러 그룹의 위협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산출모듈(130)은 셀러 그룹에 포함된 셀러의 가품 판매 기간이 일정 기간을 초과하는 장기간 판매한 셀러(long term seller)이고, 오인구매를 일정 횟수 이상 유도(Misleading)하고, 누적 판매수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다수 판매자(Heavy seller)인 경우 해당 셀러가 포함된 셀러 그룹의 위협레벨을 최고 등급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산출모듈(130)은 각 셀러가 취급하는 상품의 가품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가품지수에 따라 셀러의 위협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셀러의 위협 레벨은 산출된 가품 지수의 범위에 따라 A, B, C, D, E의 등급으로 결정될 수 있다.
대응 모듈(140)은 생성된 가품 셀러 그룹 각각에 매칭된 대응 절차에 따라 가품 셀러 그룹 및 가품 셀러 그룹에서 취급하는 가품을 온라인상에서 삭제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실시예에 대응 모듈(140)은 등록된 관리자 단말에 의한 가품 셀러 및 가품 신고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가품 셀러 및 가품 신고 정보에 해당하는 가품 셀러 그룹을 추출한다. 이후, 실시예에서는 추출된 가품 셀러 그룹에 매칭된 대응 정보에 따라 신고 정보에 포함된 가품 셀러 또는 가품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의 가품 및 가품 셀러 탐지 통계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은 탐지된 가품 및 가품 셀러의 수, 소셜 미디어에서 탐지된 가품 및 셀러 수를 날자 별로 업데이트 하고, 탐지된 가품의 침해 종류(infringement type) 정보를 파악하여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침해 종류는 위조(counterfeit), 상표침해(trademark infringement), 불공정경쟁(unfair competition), 디자인 침해(design infringement)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탐지된 가품들의 유통 채널(distribution channel)을 파악하여 채널 별 분포 및 비율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셀러의 위협 레벨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가품 단속 서버는 가품을 유통시키는 셀러를 탐지하고, 셀러의 고유 키 값을 기반으로 셀러 그룹을 생성한다. 실시예에서는 각 셀러 그룹에 포함된 셀러의 수, 전체 가품 수, 업데이트 날짜, 셀러 그룹의 위협레벨(10) 및 게시물 삭제 조치 여부를 파악하여 표 및 그래프 등으로 시각화 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러 그룹의 위협 레벨(10)은 A 내지 E 등급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가품의 위험도인 가품지수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가품 단속 서버는 가품을 유통시키는 웹페이지의 썸네일, 타이틀, 가품 가격, 유통 채널, 셀러, 포스팅 날자, 업데이트 날자, 카테고리, 침해 종류, 가품지수(20), 셀러의 위협레벨, 셀러 그룹, 웹페이지 상태, 삭제 여부 등의 정보를 파악하여 그래프와 표 등의 자료로 시각화 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예서 가품지수는 0점 내지 100 점으로 산출될 수 있고, 가품지수(20)가 일정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가품지수를 색, 폰트, 밑줄 등으로 강조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방법의 작용(기능)은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가품 단속 서버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100 단계에서는 가품 셀러 정보 수집 모듈에서 가품 판매 셀러가 이용하는 이미지, 가품 판매 셀러 이름, 셀러 웹페이지, URL, 아웃링크, 아이디, 오픈채팅데이터를 포함하는 가품 셀러 정보를 수집한다.
S200 단계에서는 셀러 그룹 생성 모듈에서 수집된 가품 셀러 정보를 기반으로 가품 셀러를 그룹핑(grouping)하여, 가품 셀러 그룹을 생성한다. 실시예에서는 가품 판매 셀러가 이용하는 이미지, 셀러 웹페이지, URL, 구매를 유도하는 아웃링크, 플랫폼 별 아이디, 및 오픈채팅데이터를 포함하는 고유 키값(unique key)을 정의하고, 정의된 고유 키값에 따라 복수의 셀러를 그룹핑하여 셀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는 산출모듈에서 개별 가품의 위험도 및 개별 가품 셀러의 위협도를 산출한다. S300 단계에서는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가품의 가격, 검색 포털 노출기간, 누적판매횟수, 정품가격과의 차이, 판매기간을 포함하는 정품위협요소에 따라 가품 별 가품지수(Counterfeit Rating)를 산출한다. 또한, S300 단계에서는 정품과의 가격차이 및 가품 상세 설명 페이지의 정품 주장 횟수에 따라 오인구매 유도요인을 산출한다. 이후, 개별 셀러의 판매 기간, 오인구매 유도요인, 판매 수를 포함하는 셀러위협요소에 따라 셀러의 위협 레벨(Seller threat level)을 결정할 수 있다.
S400 단계에서는 대응 모듈에서 생성된 가품 셀러 그룹에 매칭된 대응 절차에 따라 상기 가품 셀러 그룹 및 상기 가품 셀러 그룹에서 취급하는 가품이 온라인에서 삭제되도록 처리한다. 실시예에서 S400 단계에서는 등록된 관리자 단말로부터 가품 셀러 및 가품 신고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고 정보를 포함하는 가품 셀러 그룹을 추출한다. 이후 추출된 가품 셀러 그룹에 매칭된 대응정보에 따라 가품 셀러 또는 가품이 삭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은 가품 탐지, 가품 확인, 후속 절차 진행의 개별 과정 없이 셀러 그룹에 매칭된 하나의 대응 과정을 통해 가품을 단속함으로써,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가품 단속 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셀러 그룹에 매칭된 자동화된 대응 절차를 통해, 온라인 상 가품 셀러 및 가품 노출을 신속하게 중단시켜 업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각 셀러 그룹에서 취급하는 가품 및 셀러에 대한 자동화된 대응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상 가품 단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셀러 그룹 별 자동화된 대응 절차를 통해 온라인상 가품 셀러 및 가품 노출을 신속하게 중단시켜 업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셀러 그룹을 생성에 이용하는 셀러의 고유 키 값을 통해 가품 셀러를 정확하게 판별하고, 가품 셀러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중소기업의 브랜드 보호 및 기업경쟁력의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브랜드 기준에서의 가품 판매 데이터와 플랫폼 기준에서의 가품 판매 데이터를 동시에 확보하여, 크로스 탐지에 의한 가품 탐지 효율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0)

  1.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에 있어서,
    가품 판매 셀러가 이용하는 이미지, 가품 판매 셀러 이름, 셀러 웹페이지, URL, 아웃링크, 아이디, 오픈채팅데이터를 포함하는 가품 셀러 정보를 수집하는 가품 셀러 정보 수집 모듈;
    상기 수집된 가품 셀러 정보를 기반으로 가품 셀러를 그룹핑(grouping)하여, 가품 셀러 그룹을 생성하는 셀러 그룹 생성 모듈;
    개별 가품의 위험도 및 개별 가품 셀러의 위협도를 산출하는 산출모듈; 및
    상기 생성된 가품 셀러 그룹에 매칭된 대응 절차에 따라 상기 가품 셀러 그룹 및 상기 가품 셀러 그룹에서 취급하는 가품이 온라인에서 삭제되도록 처리하는 대응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셀러 그룹 생성 모듈; 은
    가품 판매 셀러가 이용하는 이미지, 셀러 웹페이지, URL, 구매를 유도하는 아웃링크, 플랫폼 별 아이디, 및 오픈채팅데이터를 포함하는 고유 키값(unique key)을 정의하고, 정의된 고유 키값에 따라 복수의 셀러를 그룹핑하여 셀러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셀러 그룹 생성 모듈은
    정의된 고유 키 값이 이미지인 경우 인공지능 머신러닝을 통한 이미지 인식을 통해 고유 키 값을 확장하고, 이미지에 포함된 가품 객체와 배경을 분류(classification) 및 검출(detection)하고, 객체를 픽셀 단위로 식별하여 분할(segmentation)하는 이미지 인식(image recognition)과정을 통해 가품 셀러가 이용하는 이미지를 파악하고,
    상기 산출모듈; 은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가품의 가격, 검색 포털 노출기간, 누적판매횟수, 정품 가격과의 차이, 판매기간을 포함하는 정품위협요소 각각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품위협요소 각각의 가중치를 반영하여, 가품 가격과 정품 가격의 차이에 반비례하고, 노출기간과 누적 판매 횟수에 비례하도록 가품 별 가품지수(Counterfeit Rating)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모듈은
    정품가격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고가 상품을 위조한 가품의 경우 정품 위협 요소 중 정품과의 가격 차이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품지수를 산출하고,
    판매기간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스테디셀러인 상품을 위조한 가품의 경우 정품 위협 요소 중 판매 기간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품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모듈; 은
    개별 셀러의 판매 기간, 오인구매 유도요인, 판매 수를 포함하는 셀러위협요소에 따라 셀러의 위협 레벨(Seller threat level)을 결정하고,
    상기 오인구매 유도요인은
    정품과의 가격차이 및 가품 상세 설명 페이지의 정품 주장 횟수에 따라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모듈; 은
    등록된 관리자 단말로부터 가품 셀러 및 가품 신고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고 정보를 포함하는 가품 셀러 그룹을 추출하고, 추출된 가품 셀러 그룹에 매칭된 대응정보에 따라 가품 셀러 또는 가품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6.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방법에 있어서,
    (A) 가품 셀러 정보 수집 모듈에서 가품 판매 셀러가 이용하는 이미지, 가품 판매 셀러 이름, 셀러 웹페이지, URL, 아웃링크, 아이디, 오픈채팅데이터를 포함하는 가품 셀러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셀러 그룹 생성 모듈에서 상기 수집된 가품 셀러 정보를 기반으로 가품 셀러를 그룹핑(grouping)하여, 가품 셀러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C) 산출모듈에서 개별 가품의 위험도 및 개별 가품 셀러의 위협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대응 모듈에서 상기 생성된 가품 셀러 그룹에 매칭된 대응 절차에 따라 상기 가품 셀러 그룹 및 상기 가품 셀러 그룹에서 취급하는 가품이 온라인에서 삭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의 단계; 는
    가품 판매 셀러가 이용하는 이미지, 셀러 웹페이지, URL, 구매를 유도하는 아웃링크, 플랫폼 별 아이디, 및 오픈채팅데이터를 포함하는 고유 키값(unique key)을 정의하는 단계;
    정의된 고유 키값에 따라 복수의 셀러를 그룹핑하여 셀러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정의된 고유 키 값이 이미지인 경우 인공지능 머신러닝을 통한 이미지 인식을 통해 고유 키 값을 확장하고, 이미지에 포함된 가품 객체와 배경을 분류(classification) 및 검출(detection)하고, 객체를 픽셀 단위로 식별하여 분할(segmentation)하는 이미지 인식(image recognition)과정을 통해 가품 셀러가 이용하는 이미지를 파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C)의 단계; 는
    (C-1)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가품의 가격, 검색 포털 노출기간, 누적판매횟수, 정품 가격과의 차이, 판매기간을 포함하는 정품위협요소 각각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품위협요소 각각의 가중치를 반영하여, 가품 가격과 정품 가격의 차이에 반비례하고, 노출기간과 누적 판매 횟수에 비례하도록 가품 별 가품지수(Counterfeit Rating)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C-1); 의 단계; 는
    정품가격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고가 상품을 위조한 가품의 경우 정품 위협 요소 중 정품과의 가격 차이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품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판매기간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스테디셀러인 상품을 위조한 가품의 경우 정품 위협 요소 중 판매 기간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품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의 단계; 는
    (C-2)정품과의 가격차이 및 가품 상세 설명 페이지의 정품 주장 횟수에 따라 오인구매 유도요인을 산출하는 단계; 및
    (C-3)개별 셀러의 판매 기간, 오인구매 유도요인, 판매 수를 포함하는 셀러위협요소에 따라 셀러의 위협 레벨(Seller threat level)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의 단계; 는
    등록된 관리자 단말로부터 가품 셀러 및 가품 신고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신고 정보를 포함하는 가품 셀러 그룹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가품 셀러 그룹에 매칭된 대응정보에 따라 가품 셀러 또는 가품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방법.
KR1020220043250A 2022-04-07 2022-04-07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102482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250A KR102482969B1 (ko) 2022-04-07 2022-04-07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84381A KR102650139B1 (ko) 2022-04-07 2022-12-26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250A KR102482969B1 (ko) 2022-04-07 2022-04-07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381A Division KR102650139B1 (ko) 2022-04-07 2022-12-26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969B1 true KR102482969B1 (ko) 2022-12-29

Family

ID=845394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250A KR102482969B1 (ko) 2022-04-07 2022-04-07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84381A KR102650139B1 (ko) 2022-04-07 2022-12-26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381A KR102650139B1 (ko) 2022-04-07 2022-12-26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29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239B1 (ko) * 2022-04-11 2023-05-18 주식회사 페이커즈 인공지능 기반 위조 상품 탐지를 위한 이미지 라이브러리 시스템 및 가품 탐지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359A (ko) * 2007-06-28 2009-01-07 한국신용정보 주식회사 대표자 개인신용과, 쇼핑몰 매출실적 및 민원/분쟁사실의종합적 평가를 통한 판매자 신용 공개 시스템
KR101333748B1 (ko) * 2013-02-28 2013-11-28 더치트 주식회사 사기 방지 및 범죄 용의자 실시간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KR101420361B1 (ko) 2012-07-17 2014-07-21 석인수 큐알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시스템과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795697B1 (ko) 2016-04-01 2017-11-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진품 관리를 위하여 제품별 주소 및 인덱스를 생성하고 위조품을 검출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202788B1 (ko) * 2020-05-04 2021-01-14 주식회사 아우라제이 모조품 판별을 위한 인공지능 장치 및 방법
KR20210009051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구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제품을 사전에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359A (ko) * 2007-06-28 2009-01-07 한국신용정보 주식회사 대표자 개인신용과, 쇼핑몰 매출실적 및 민원/분쟁사실의종합적 평가를 통한 판매자 신용 공개 시스템
KR101420361B1 (ko) 2012-07-17 2014-07-21 석인수 큐알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시스템과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333748B1 (ko) * 2013-02-28 2013-11-28 더치트 주식회사 사기 방지 및 범죄 용의자 실시간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KR101795697B1 (ko) 2016-04-01 2017-11-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진품 관리를 위하여 제품별 주소 및 인덱스를 생성하고 위조품을 검출하는 방법 및 서버
KR20210009051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구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제품을 사전에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02788B1 (ko) * 2020-05-04 2021-01-14 주식회사 아우라제이 모조품 판별을 위한 인공지능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239B1 (ko) * 2022-04-11 2023-05-18 주식회사 페이커즈 인공지능 기반 위조 상품 탐지를 위한 이미지 라이브러리 시스템 및 가품 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139B1 (ko) 2024-03-22
KR20230144455A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38696B (zh) 基于设备标识码和社交群组信息的刷单检测方法及系统
CN110009372B (zh) 一种用户风险识别方法和装置
CN109711955B (zh) 基于当前订单的差评预警方法、系统、黑名单库建立方法
CN103544436A (zh) 一种钓鱼网站鉴别系统和方法
US201401292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Eliminating Marketing of Fraudulent Goods
CN111241367A (zh) 一种基于自定义规则对网络餐饮平台进行监管的方法及系统
CN103577988A (zh) 一种识别特定用户的方法和装置
CN104158828B (zh) 基于云端内容规则库识别可疑钓鱼网页的方法及系统
JP7372707B2 (ja) 暗号通貨取引を分析するためのデータ取得方法及び装置
CN105787744A (zh) 一种基于购物需求的抗攻击信誉评价计算方法
KR102482969B1 (ko) 인공지능 기반 온라인 위조상품 단속 시스템 및 방법
CN115378629A (zh) 基于图神经网络的以太坊网络异常检测方法、系统和存储介质
KR102228737B1 (ko) Ai를 이용한 가짜뉴스 판독 방법 및 장치
KR101784559B1 (ko) 사용자의 소비 패턴/관심사 분석 방법 및 장치
CN112200196A (zh) 钓鱼网站检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346088A (zh) 品牌官方商城恶意抢购防控方法及系统
US20130282443A1 (en) Seller url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113763057A (zh) 用户身份画像的数据处理方法和装置
Soldner et al. Trends in online consumer fraud:: A data science perspective
CN115496555A (zh) 一种智能化跨境电商网站安全质量评估方法及系统
KR101815558B1 (ko) 비콘을 이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CN112950017A (zh) 合同风险识别方法、装置和电子设备
Khoo et al. Fraudulent e-commerce website detection model using HTML, text and image features
KR102533239B1 (ko) 인공지능 기반 위조 상품 탐지를 위한 이미지 라이브러리 시스템 및 가품 탐지 방법
Thilagavathy et al. Fake Product Review Detection and Elimination using Opinion M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