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854B1 - Storage and toast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orage and toast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854B1
KR102482854B1 KR1020210133359A KR20210133359A KR102482854B1 KR 102482854 B1 KR102482854 B1 KR 102482854B1 KR 1020210133359 A KR1020210133359 A KR 1020210133359A KR 20210133359 A KR20210133359 A KR 20210133359A KR 102482854 B1 KR102482854 B1 KR 102482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opening
pair
brea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3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이노텍
Priority to KR102021013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8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8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8Bread-toasters
    • A47J37/08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unit for a toaster. The storage unit for a toaster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part formed outside the main body of the toaster and accommodating a storage container; and an opening/closing part disposed in the main body par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In addition, a toaster including the storage unit for a toaster is provided.

Description

토스터용 저장고 및 이를 갖는 토스터{Storage and toaster having the same}Storage for toaster and toaster having same {Storage and toas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스터용 저장고 및 이를 갖는 토스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a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aster storage and a toaster having the same.

통상 토스터에 의해 제조된 빵은 오븐으로부터 분리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경화되므로 취식하기가 불편하고 빵 고유의 맛과 풍미를 느낄 수 없는 단점이 있다.Bread produced by a normal toaster is hardened as a whole when a certain time elapses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oven, so it is inconvenient to eat and cannot feel the original taste and flavor of the bread.

이에 따라 빵의 취식시에 빵을 구워서 취식할 수 있도록 제작된 토스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토스터기는 대부분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두께를 갖는 빵을 구울 수 있다.Accordingly, toasters designed to bake and eat bread when eating bread are widely used, but most of the toasters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can bake bread having a certain thickness.

즉, 종래의 토스터는 볼록하거나 두께가 불균일한 빵을 골고루 구울 없고, 굽는다 할지라도 히터가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히터와 균일한 거리확보가 불가능하여, 빵의 둘레에 불균일한 열이 가해져 빵의 일부가 타거나 덜 구워지는 문제가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toaster cannot evenly bake convex or unevenly-thick bread, and even if it bakes, it is impossible to secure a uniform distance from the heater because the heater is installed at a set position, and uneven heat is applied around the bread, resulting in poor bread quality. There is a problem that some are burnt or under-bak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2169호(등록일자:2005.04. 08)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다용도 샌드위치 토스터가 제시되어 있다.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a multipurpose sandwich toaster as shown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2169 (registration date: 2005.04.08) is proposed.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382169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케이스(2,2′)의 탈착부(9)상에 탈착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원하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수개가 구비되는 2개 1조의 샌드위치 구이판(4), 그릴구이판(4a), 와플구이판(4b),누룽지구이판(4c)으로 이루어지며, 구이판(4,4a,4b,4c)에는 케이스(2,2′)의 끼움공(10,10′)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11,11′)와 교체레버(13)의 돌출편(132)이 걸림, 이탈되는 걸림홈(12)을 형성하고, 교체레버(13)는 스프링(136)에 탄력결합된 누름버턴(135)에 연동되는 가이드(134)가 일측에 형성되어 누름버턴(135)의 누름편(137)이 가이드(134)를 눌러서 축핀(131)을 중심으로 교체레버(13)를 각운동시켜 반대측돌출편(132)을 걸림홈(12)으로부터 걸림,이탈시키도록 구성하며, 샌드위치 구이판(4)은 식빵이 내입되는 안치부(41)가 각각 형성되고 안치부(41)에는 대각선 돌출라인(42)을 구비시켜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82169 is detachable and detachable on the detachable parts 9 of the upper and lower cases 2 and 2′, so that several can be replaced with desired ones. It consists of two sets of sandwich grilling boards 4, grill grilling boards 4a, waffle grilling boards 4b, and nurung grilling boards 4c, which are provided with cases 2 and 2' The fitting protrusions 11 and 11' fitted into the fitting holes 10 and 10' of ) and the protruding piece 132 of the replacement lever 13 form a hooking groove 12 in which they are hooked and separated, and the replacement lever In (13), a guide 134 interlocked with the push button 135 elastically coupled to the spring 136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push piece 137 of the push button 135 presses the guide 134, and the axis pin 131 ) to make the replacement lever 13 angularly move around the center so that the opposite protruding piece 132 is caught and detached from the catching groove 12, and the sandwich grilling plate 4 has a set portion 41 into which bread is inserted. The main point is that each is formed and the seating portion 41 is provided with a diagonal protruding line 42.

등록실용신안 제20-0382169호로 개시된 토스터에 의하면 샌드위치 등의 여러 가지 형태의 빵을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조리하여 취식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toaster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2169,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ok and eat various types of bread such as sandwiches at home or in the office, but it is accompanied by various problems as follows.

종래 토스터는 빵을 굽는 과정에서 빵이 2개 1조의 샌드위치 구이판(4) 사이에 투입되어 밀폐되므로 가열시 발생되는 빵의 수분이 증발 없이 그대로 잔류하게 되므로 빵의 변형이 초래되어 외관이 불량해지고, 빵 조직이 질겨져 취식이 곤란하고 바삭바삭한 식감이 사라지는 단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toaster, bread is put between two sets of sandwich baking plates 4 in the process of baking bread and sealed, so that the moisture of the bread generated during heating remains without evaporation, resulting in deformation of the bread, resulting in poor appearance,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the bread tissue becomes tough, making it difficult to eat, and the crispy texture disappears.

또한 종래 토스터는 빵이 샌드위치 구이판(4)에 내입된 안치부(41)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굽는 과정에서 열기 및 수분에 의해 안치부(41)의 홈내부에 쉽게 고착되어 쉽게 분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빵이 안치부(41) 내에서 검게 탄화되어 취식이 불가능하게 되고, 쉽게 제거되지 않으므로 제거과정에서 손 등에 화상을 입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oaster, since the bread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41 inserted into the sandwich baking sheet 4, it is easily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seating portion 41 by heat and moisture during the baking process and cannot be easily separated. there is. As a result, the bread is carbonized black in the seating portion 41, making it impossible to eat, and since it is not easily removed, there is a limit to getting burned on the back of the hand during the removal process.

또한 종래 토스터는 상, 하 케이스(2,2′)가 절첩되면서 빵을 구워내는 것이어서 여전히 식빵과 같이 두께가 얇은 빵만을 구워낼 수 있으므로 바게트, 소형롤빵, 막대형 빵과 같은 종류의 빵을 구워낼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toaster bakes bread while the upper and lower cases (2, 2′) are folded, it can still bake only thin bread such as white bread, so it bakes various types of bread such as baguettes, small rolls, and bread sticks. There are limits that cannot be reached.

더하여 이와 같이 구워낸 빵을 일정 시간 동안 토스터 자체에서 보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oasted bread cannot be stored in the toaster itself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더하여, 공개실용 제20-1998-0000178호(1998.03.30)에서는 장방체로 형성된 케이싱(11)의 상부에는 그 일측이 개방되어 출입구(13)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투명창(12a)이 구비된 조리실(12)을 갖는 케이싱부(10)와, 상기 조리실(12) 양측으로 축설되는 주동축(12)과 종동축(22)은 지지프레임(10a)에 고 정된 베어링 삽지구(24)에 의하여 각각 지디되며, 주동축(21)의 하부는 모터(27)와 접속된 감속기(27a) 와 연결되고, 주동축(21)과 종동축(22)의 상부에 축설된 스프로켓(23)들 사이에는 체인벨트(25)가 장착 된 구동부(20)와, 상기 체인벨트(25)에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된 지지편(25a)에는 고정봉(25b)이 돌출 형 성되고, 고정봉(25b)에는 용기(31) 하부에 뚫려진 삽지홈(32a)이 끼워져 용기(31)가 착탈되는 안내부(30)와, 상기 용기(31)들의 하부에 장착되는 히터(41)에 의하여 구성되는 전기 오븐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 역시 구워낸 빵을 일정 시간 동안 장치 자체에서 안정적인 온도를 유지하면서 일정 시간 보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Public Room No. 20-1998-0000178 (Mar. 30, 1998), one side of the casing 11 formed in a rectangular body is opened to form an entrance 13 and a cooking room equipped with a transparent window 12a on the front side. The casing part 10 having 12, and the main shaft 12 and the driven shaft 22, which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oking chamber 12, are respectively supported by bearing inserts 24 fixed to the support frame 10a. The lower part of the main shaft 21 is connected to the reducer 27a connected to the motor 27, and the chain between the sprockets 23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shaft 21 and the driven shaft 22 A fixing bar 25b protrudes from the drive unit 20 to which the belt 25 is mounted and the support piece 25a mounted to the chain belt 25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ixing bar 25b has a container. (31) An electric oven composed of a guide part 30 into which the container 31 is detachable by inserting the insertion groove 32a drilled in the lower part, and the heater 41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31 Provided However, this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baked bread cannot be sto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maintaining a stable temperature in the device itself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02701호가 있다.Prior literatu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02701.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워진 빵을 토스터의 본체부 상단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부에 보관하여 구워진 빵을 일정 시간 동안 보관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토스터용 저장고 및 이를 갖는 토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for a toaster that can easily store toasted brea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storing toasted bread in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of the toaster, and a toaster having the same. aims to do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토스터용 저장고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for a toaster.

상기 토스터용 저장고는 토스터의 본체부 외부에 형성되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 및,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The storage for the toaster is formed outside the main body of the toaster and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sto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and an opening/closing portion disposed in the body portion and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ng space portion.

여기서 상기 수용 공간부는,Here, the receiving space unit,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홈 부와,An accommodation groov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the storage container;

상기 저장 용기에 배치되며, 빵이 얹혀지는 그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isposed in the storage contain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grill on which bread is placed.

또한 상기 개폐부는,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상기 본체부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단과,A hinge e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상기 힌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개폐되는 개폐 도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door,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end to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특히, 상기 수용홈 부는 하나 또는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 용기의 향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one or more, and is formed as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storage container.

상기 수용홈 부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저장 용기 역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s made of stainless material. The storage container is also made of stainless material.

상기 개폐 도어에는, 일정 형상을 가지는 통풍구가 형성된다.A ventilation hol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상기 통풍구는, 상기 수용홈 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면적을 자기고, 다수의 라인을 형성하는 그릴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도어 역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The ventilation hole may be formed as a grill hol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forming a plurality of line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also formed of a stainless material.

상기 힌지단에는 회전 모터의 축이 축 연결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개폐 도어를 회전개폐한다.A shaft of a rotary motor is connected to the hinge end in a shaft connection manner. The rotary motor i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rotate and open and close the door.

상기 수용홈 부에는 가열 코일이 더 매설된다. 상기 개폐 도어에는 상기 수용 홈부에서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온도 센서가 설치된다.A heating coil is further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A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transmit the temperature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수용 홈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되는 온도가 기설정되는 보관 온도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가열 코일을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ing coil using a current provider so that the measured temperature is included in a preset storage temperature range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상기 개폐 도어의 하단에는 상기 수용 홈부에 배치되는 상기 저장 용기에 빵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근접센서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 용기에 빵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전류 제공기의 구동을 제어한다.A proximity sensor is further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o check whether bread is present in the storage container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The control unit controls driving of the current provider when there is bread in the storage container.

상기 개폐 도어에는 상기 그릴홀을 개폐하는 개폐판이 더 배치되고, 상기 개폐판은 신축 되는 실린더의 축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An opening/closing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rill hole is further disposed on the opening/closing door, the opening/closing plate is installed on a shaft of a cylinder to be extended, and the cylinder may be driven under control of a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수용 홈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되는 온도가 기설정되는 보관 온도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개폐판을 이동시켜 상기 그릴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한다.The controller adjusts the opening/closing degree of the grill hole by moving the opening/closing plate using the cylinder so that the measured temperature is within a preset storage temperature range while the sto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토스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aster.

상기 토스터는 전방에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가열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유입된 빵을 상기 가열 공간에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경계로 상기 가열 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가열 공간에 설정된 가열 온도를 제공하는 한 쌍의 가열부와, 상기 이동부, 상기 한 쌍의 가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The toast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t the front and a heating space formed therein, a mov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moving bread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into the heating space, and the moving part.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ating space as a boundary, a pair of heating units providing a set heating temperature to the heating spac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driving of the moving unit and the pair of heating units,

상기 본체부 외부에 형성되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 및,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an accommodating space portion formed outside the main body portion and accommodating a storage container; and an opening/closing portion disposed in the body portion and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ng space portion.

여기서 상기 수용 공간부는,Here, the receiving space unit,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홈 부와,An accommodation groov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the storage container;

상기 저장 용기에 배치되며, 빵이 얹혀지는 그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isposed in the storage contain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grill on which bread is placed.

또한 상기 개폐부는,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상기 본체부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단과,A hinge e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상기 힌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개폐되는 개폐 도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door,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end to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한편, 상기 한 쌍의 가열부는, 상기 가열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가열봉과, 상기 가열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가열봉을 포함하고,Meanwhile, the pair of heating units include a first heating rod disposed above the heating space and a second heating rod disposed below the heating space,

상기 제 1가열봉의 상부에는 웨이브 형상을 이루는 금속 재질의 제 1반사판이 배치되고,A first reflector made of a metal material forming a wave shape is disposed above the first heating rod,

상기 제 2가열봉의 상부에는 웨이브 형상을 이루는 금속 재질의 제 2반사판이 배치되고,A second reflector made of a metal material forming a wave shape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heating rod,

상기 제 1반사판과 상기 제 2반사판의 외면에는 일정 두께의 법랑층이 코팅된다.An enamel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coated on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상기 제 1가열봉과 상기 제 2가열봉은 상기 본체부의 측방에 형성된 교체홀을 통해 인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heating rod and the second heating rod can be withdrawn through a replacement hole formed at a side of the body part.

또한 상기 이동부는,In addition, the moving unit,

상기 가열 공간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구동축과,A pair of drive shafts spaced apart from the heating space;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한 쌍의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와,A rotator for rotating the pair of drive shaft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상기 한 쌍의 구동축의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 부재와,A pair of chain member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drive shafts;

상기 한 쌍의 체인 부재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빵이 안착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안착봉을 구비하되,A plurality of seating rods installed at multiple locations of the pair of chain members and forming a region in which the bread is seated,

상기 다수의 안착봉의 외면에는 일정의 거칠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roughness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eating rods.

또한 상기 본체부는,In addition, the body part,

트레이를 구비하되,Provide a tray,

상기 트레이는 상기 개구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고,The tray can be inserted and detached in a sliding manner through the opening,

상기 한 쌍의 가열부 중,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하부에 배치되고,Among the pair of heating parts, it is disposed under one of the moving parts,

상기 트레이는,the tray,

트레이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개구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고,It is possible to insert and remove in a sliding manner through the opening by the tray moving means,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설정된 조리 시간에 이르면, 상기 트레이 이동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트레이를 상기 개구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되,When the set cooking time is reached, use the tray moving means to protrude the tray out of the opening,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가열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안전 온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를 상기 개구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spac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within a set safe temperature range, the tray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opening.

특히, 상기 한 쌍의 가열부는 제 1가열부와, 제 2가열부로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pair of heating units are composed of a first heating unit and a second heating unit.

상기 제 1가열부는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first heating unit is disposed under the moving unit.

상기 제 1가열부는 한 쌍의 제 1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에 양단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 1가열봉과,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시키는 제 1전류 제공기를 갖는다.The first heating unit provides a pair of first guides, a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first guides, and a first current for heating by applying current to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have a spirit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에는 상하를 따르는 다수의 제 1가이드 홀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1가이드 홀에는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의 양단이 관통한다. Here, a plurality of first guide holes are formed alo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air of first guides.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guide holes.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된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들이 설치된다.In addition, in one of the pair of first guides, first cylinders having a first shaf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are install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실린더들을 구동시켜 상기 제 1축을 승강시킨다. 이에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 각각의 승강 위치는 가변된다.The control unit drives the first cylinders to elevate the first shaft. Accordingly, the elevation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is varied.

상기 제 2가열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second heating unit is disposed above the moving unit.

상기 제 2가열부는 한 쌍의 제 2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제 2가이드에 양단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 2가열봉과,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시키는 제 2전류 제공기를 갖는다.The second heating unit provides a pair of second guides, a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second guides, and a second current for heating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have a spirit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2가이드에는 상하를 따르는 다수의 제 2가이드 홀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2가이드 홀에는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의 양단이 관통한다. Here, a plurality of second guide holes are formed alo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air of second guides.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guide holes.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2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된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들이 설치된다.In addition, second cylinders having a second shaf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passing through are installed in one of the pair of second guid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실린더들을 구동시켜 상기 제 2축을 승강시킨다. 이에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 각각의 승강 위치는 가변된다.The controller drives the second cylinders to elevate the second shaft. Accordingly, the lifting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is varied.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가열 공간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heating space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상기 온도 측정기는 영상기를 구비한다. 상기 영상기는 상기 가열 공간의 영상을 취득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다.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includes an imager. The imager acquires an image of the heating spac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상기 가열 공간에서의 온도 분포를 산출한다.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heating space through image processing.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상기 온도 분포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분포에 이르도록 상기 제 1,2실린더를 구동시켜 상기 다수의 제 1,2가열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가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drives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so that the calculated temperature distribution reaches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distribution, thereby changing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in real time.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빵을 가열 공간에 자동으로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현함과 아울러, 가열 공간에 위치된 빵의 상부 및 하부에 균일한 열을 제공하여 빵의 탄화를 방지하고, 균일한 가열 온도로 빵을 굽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By means of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that bread can be automatically introduced and discharged into the heating space, and provides uniform heat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bread located in the heating space to prevent carbonization of the bread, , has the effect of allowing bread to be baked at a uniform heating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은 가열을 위한 가열부를 본체부의 측부에 형성된 교체홀을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교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easy replacement by allowing the heating unit for heating to be drawn out through a replacement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unit.

또한, 본 발명은 가열봉들을 반사판에 형성된 굴곡진 홈에 위치되도록 하여 가열봉이 가열됨에 따라 발생되는 열의 손실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가열 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서 일정한 열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stant heat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ating space by efficiently preventing the loss of heat generated as the heating rods are heated by positioning the heating rods in the curved grooves formed in the reflector. .

또한 본 발명은 빵이 구워지는 가열 공간에서의 가열 온도를 설정된 온도 분위기를 이루도록 빵의 상부 및 하부에서 해당 위치에 배치되는 가열 수단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eating means dispos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read in real time so as to achieve a set temperature atmosphere in the heating space where bread is baked.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토스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 그릴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의 저장고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 가열부, 승강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이동부와 가열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제 1,2반사판 및 제 1,2가열봉들과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시시도이다.
도 11b는 제 1,2반사판의 외면에 유리질 융착층이 코팅된 예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2반사판 및 제 1,2가열봉들과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저면 시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2가열봉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제 1,2가열봉들의 위치가 가변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oast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container and a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oaster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osition relationship of a moving unit, a heating unit, and an elev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osition relationship between a moving unit and a heating unit.
1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first and second reflecting plates and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11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glassy fusion layers are coated on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1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osition relationship between first and second reflectors and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are var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provision or arrangement of an arbitrary element on the "upper (or lower)" or "upper (or lower)" of the base material means that the arbitrary element is provided or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means that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not including other components between the substrate and any components provided or disposed on (or under) the substrate.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토스터용 저장고 및 이를 포함하는 토스터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torage for a toa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oaster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는 저장고(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고(2)의 구성은 토스터를 설명함에 포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toas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reservoir (2). 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2 will be described including the description of the toast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 그릴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container and a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용 저장고(2)는 토스터의 본체부(100) 상단, 즉 상판(110)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S. 2 to 5 , the toaster storag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100 of the toaster, that is, on the top plate 110.

상기 토스터의 본체부(10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토스터는 빵을 일정의 온도를 이루도록 굽는 장치이다.The main body 100 of the toaster is made of stainless material. The toaster is a device that toasts bread to achieve a certain temperature.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용 저장고(2)는 토스터의 본체부(100)의 상단에 배치된다.The toaster storag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op of the main body 100 of the toaster.

상기 저장고(2)는 수용 공간부(600)와, 개폐부(700)를 포함한다.The storage unit 2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600 and an opening/closing unit 700 .

상기 수용 공간부(600)는 본체부의 상단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 공간부(600)는 본체부(100)의 상단 일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은 본체부(100)에서 탈착 가능하게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ccommodating space 600 is formed in a groove shape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e accommodating space 600 may be formed as a part of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as a separate structure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body portion 100 .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 역시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열전달이 용이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00 is also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o that heat transfer can be facilitated.

상기 수용 공간부(6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 용기(620)가 수용되는 수용홈 부(610)와, 상기 저장 용기(620)에 배치되며, 빵이 얹혀지는 그릴(630)을 포함한다.The accommodating space portion 60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and is disposed in an accommodating groove portion 610 in which the storage container 620 is accommodated and the storage container 620, and bread is placed on top of the storage container 620. Ji includes a grill 630 .

상기 수용홈 부(610)는 하나 또는 다수로 형성되며, 열을 이루어 형성되며, 크기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portion 610 is formed in one or more, formed in rows, and may have the same size or different sizes.

상기 그릴(630)은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판과 다리로 형성된다. 다리는 수용홈 부(610)의 저면에 지지되고, 상판은 수용 홈부(6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상판에는 본체부(100)에서 구워진 빵이 올려지는 영역을 제공한다.The grill 630 is made of metal and is formed of a top plate and legs. The legs are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610, and the upper plate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610. The upper plate provides an area on which bread baked in the main body 100 is placed.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700)는 수용 공간부(600)를 개폐하도록 본체부(100)의 상단에 배치된다.The opening/closing unit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unit 100 to open and close the accommodation space unit 600 .

상기 개폐부(7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단(710)과, 상기 힌지단(71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개폐되는 개폐 도어(720)로 구성된다.The opening/closing part 700 is composed of a hinge end 71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100 and an opening/closing door 720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end 710. .

상기 개폐 도어(720)는 열전달이 용이하도록 금속으로 형성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720 is made of metal to facilitate heat transfer.

특히, 상기 수용홈 부(610)는 하나 또는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 용기(620)의 향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610 is formed in one or more, and is formed as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storage container 620.

상기 수용홈 부(610)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저장 용기(620) 역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100 where the receiving groove part 610 is formed is made of stainless material. The storage container 620 is also made of stainless material.

상기 개폐 도어(720)에는, 일정 형상을 가지는 통풍구(721)가 형성된다.A ventilation hole 72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720 .

상기 통풍구(721)는 상기 수용홈 부(610)의 형상에 상응하는 면적을 자기고, 다수의 라인을 형성하는 그릴홀(621)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도어(720) 역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The vent 721 may be formed as a grill hole 621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610 and forming a plurality of line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720 is also made of stainless material.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면, 토스터를 통해 빵이 구워진 이후, 빵은 일정 온도로 가열된 상태를 이룬다. 아울러 토스터의 본체부(100) 역시 일정 온도를 이룬다.Referr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fter the bread is toasted through the toaster, the bread is heated to a certain temperature. 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of the toaster also achieves a certain temperature.

본체부(100)의 열은 그 상단에 형성된 수용홈 부(61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수용홈 부(610)는 일정의 고온을 형성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Heat of the body portion 100 is transferred to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610 formed at the top thereof. Accordingly, the receiving groove 610 can achieve a state in which a certain high temperature is formed.

그리고 개폐 도어(720)를 개방하면, 수용홈 부(610) 및 수용홈 부(610)에 수용된 저장 용기(620)는 외부에 개방된다.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720 is opened, the receiving groove 610 and the storage container 62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610 are opened to the outside.

상기 구원진 빵은 저장 용기(620)에 배치된 그릴(630) 상에 놓여질 수 있다. 그리고 개폐 도어(720)는 닫아질 수 있다.The baked bread may be placed on a grill 630 disposed in a storage container 620 . Als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720 may be closed.

이에 따라 구워진 빵은 본체부(100)로부터 전달 받은 열에 의해 일정의 온도를 이루는 저장 용기(620)의 그릴(630)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baked bread can be stored while being placed on the grill 630 of the storage container 620 at a constant temperature by the heat received from the body portion 100 .

또한 구워진 빵으로부터 방출되는 열기는 개폐 도어(720) 상에 형성된 그릴홀들(721)을 통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heat emitted from the baked bread can be natur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rill holes 721 form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720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의 저장고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oaster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폐 도어의 힌지단(710)에는 회전 모터(730)의 축이 축 연결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전 모터(73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개폐 도어(720)를 회전개폐한다.Referring to FIG. 6 , a shaft of a rotary motor 730 is connected to the hinge end 71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haft connection manner. The rotary motor 730 i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to rotate and open and close the door 720 .

상기 수용홈 부(610)에는 가열 코일(611)이 더 매설된다. 상기 개폐 도어(720)에는 상기 수용 홈부(610)에서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400)로 전송하는 온도 센서(740)가 설치된다.A heating coil 611 is further buried in the receiving groove 610. A temperature sensor 740 is installed in the opening/closing door 720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 the accommodation groove 610 and transmit the temperature to the control unit 400 .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저장 용기(620)가 상기 수용 홈부(6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되는 온도가 기설정되는 보관 온도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가열 코일(611)을 전류 제공기(612)를 사용하여 제어한다.The controller 400,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container 62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610, operates the heating coil 611 to the current provider 612 so that the measured temperature is included in a preset storage temperature range. ) is used to control.

상기 개폐 도어(720)의 하단에는 상기 수용 홈부(610)에 배치되는 상기 저장 용기(620)에 빵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근접 센서(722)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저장 용기(620)에 빵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전류 제공기(612)의 구동을 제어한다.A proximity sensor 722 is further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720 to check whether bread is present in the storage container 620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610 .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driving of the current provider 612 when there is bread in the storage container 620 .

상기 개폐 도어(720)에는 상기 그릴홀(721)을 개폐하는 개폐판(미도시)이 더 배치되고, 상기 개폐판은 신축 되는 실린더의 축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An opening/closing plate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rill hole 721 is further disposed in the opening/closing door 720, and the opening/clos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shaft of a cylinder to be expanded and contracted, and the cylinde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0. can be driven by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저장 용기(620)가 상기 수용 홈부(6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되는 온도가 기설정되는 보관 온도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개폐판을 이동시켜 상기 그릴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한다.The control unit 400 moves the opening/closing plate using the cylinder so that the measured temperature is included in a preset storage temperature range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container 6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610,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grill hole.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면,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빵이 구워진 이후에, 외부로 배출되면, 제어부(400)는 회전 모터(730)를 사용하여 개폐 도어(720)를 힌지단(71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시켜 개방시킨다.Referr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fter bread is baked inside the main body unit 10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400 opens and closes the door 720 using the rotary motor 730 at the hinge end 710. It is opened by rotating upward with the center of rotation.

이에 따라 수용 홈부(610)에 수용된 저장 용기(620) 및 그릴(630)은 외부에 노출된다. 이어 구워진 빵은 각 수용 홈부(610)에 수용된 저장 용기(620) 또는 저장 용기(620)에 수용된 그릴(630) 상에 놓여져 보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orage container 620 and the grill 63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610 are exposed to the outside. Subsequently, the baked bread may be placed and stored on the storage container 620 accommodated in each receiving groove 610 or the grill 630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ntainer 620 .

그리고 제어부(400)는 회전 모터(730)를 사용하여 개폐 도어(720)를 닫아 수용 공간부를 밀폐한다.Then, the control unit 400 close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720 using the rotary motor 730 to seal the accommodation space.

이어 제어부(400)는 근접 센서에 의해 그릴 상에 빵이 존재함이 감지되면, 상기 저장 용기(620)가 상기 수용 홈부(6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되는 온도가 기설정되는 보관 온도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가열 코일(611)을 전류 제공기(612)를 사용하여 제어한다.Then, when the presence of bread on the grill i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the control unit 400,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container 62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610, the measured temperature is within a preset storage temperature range. The heating coil 611 is controlled by using the current provider 612 so as to be included in .

동시에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저장 용기(620)가 상기 수용 홈부(6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되는 온도가 기설정되는 보관 온도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개폐판을 이동시켜 상기 그릴홀(721)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400 moves the opening/closing plate using the cylinder so that the measured temperature is included in a preset storage temperature range while the storage container 6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610.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grill hole 721 may be adjus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는 토스터와 같이 빵을 굽는 장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열을 사용하여 수용 공간부에 수용된 빵이 식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top of a bread baking device such as a toaster, so that the brea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can be stored so that it does not cool down using the heat received from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가 토스터의 본체부와 별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다른 조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of the toas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other cooking devices.

본 발명에 따른 수용 공간부는 자석을 사용하여 금속으로 형성되는 조리 장치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The accommodating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of the cooking device formed of metal using a magnet.

다음은 상기와 같이 저장고가 배치된 본 발명에 따는 토스터를 설명한다.Next, the t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torage compartment is arrang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는 본체부(100)와, 이동부(200)와, 한 쌍의 가열부(300)와, 제어부(400)를 포함한다.6 to 8 , the t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00, a moving part 200, a pair of heating parts 300, and a control part 400.

상기 각 구성을 설명한다.Each of the abov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본체부(100)Body part (100)

상기 본체부(100)의 전단에는 개구(10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101)를 통해 재료인 빵이 투입 또는 배출될 수 있다.An opening 101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100 . Bread as a material may be input or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101 .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개구(101)와 연통되는 가열 공간(a)이 형성된다.A heating space (a)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101 is formed in the body part 100 .

상기 본체부(100)는 상판(110)과, 개구(101)를 형성하는 전면판(120)과, 후면판(130)과, 상기 전면판(120) 및 후면판(130)의 측부를 에워싸는 한 쌍의 측판(140)과, 하부 몸체(150)를 갖는다.The main body portion 100 surrounds the top plate 110, the front plate 120 forming the opening 101, the rear plate 130, and the sides of the front plate 120 and the rear plate 130. It has a pair of side plates 140 and a lower body 150.

상기 본체부(100)에는 전면판(120)과, 후면판(130) 및 한 쌍의 측판(140)으로 에워싸이는 가열 공간(a)이 형성된다.A heating space (a) surrounded by a front plate 120, a rear plate 130, and a pair of side plates 140 is formed in the body part 100.

상기 본체부(100)는 트레이(90)를 구비한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 tray 90 .

상기 트레이(90)는 상기 개구(101)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다.The tray 9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through the opening 101 in a sliding manner.

상기 한 쌍의 가열부(300) 중, 상기 이동부(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301)의 하부에 배치된다.Among the pair of heating parts 300, one 301 disposed below the moving part 200 is disposed below.

상기 트레이(90)는 트레이 이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개구(101)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다.The tray 9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in a sliding manner through the opening 101 by a tray moving means (not shown).

또한 본체부(100)의 하단에는 이동부(200) 하부에 위치되어 입출 가능한 하단 트레이(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하단 트레이(50)에는 가열공간에서 빵이 구워지는 경우 발생되는 잔유물이 낙하되어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wer tray 50 is further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unit 100 and is located below the moving unit 200 and can be moved in and out. Residue generated when bread is baked in the heating space may fall and be accommodated in the lower tray 50 .

이동부(200)Moving part (200)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열 공간(a)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구동축(210)과,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한 쌍의 구동축(210)을 회전시키는 회전기(220)와, 상기 한 쌍의 구동축(210)의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 부재(230)와, 상기 한 쌍의 체인 부재(230)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빵이 안착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안착봉(240)으로 구성된다.The mov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by a pair of driving shafts 2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ating space (a) formed inside the body unit 100 and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A rotator 220 for rotating the pair of driving shafts 210, a pair of chain members 230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driving shafts 210, and a plurality of the pair of chain members 230 It is installed in a position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ating rods 240 forming an area in which the bread is seated.

여기서 상기 다수의 안착봉(240)의 외면에는 일정의 거칠기가 형성될 수 있다.Here, a certain roughnes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eating rods 240 .

상기 다수의 안착봉(240)은 내열성의 재질로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seating rods 240 are formed of a heat-resistant material.

상기 체인 부재(230)의 상류 및 하류의 전단은 상기 개구(101) 근방에 위치되고, 상기 체인 부재(230)의 상류 및 하류의 후단은 상기 가열 공간(a)의 내측에 위치된다.Upstream and downstream front ends of the chain member 230 are located near the opening 101, and upstream and downstream rear ends of the chain member 230 are located inside the heating space (a).

실질적으로 상기 체인 부재(230)의 상류에 배치되는 안착봉들(240)에 빵이 안착된다.Bread is seated on the seating rods 240 substantially disposed upstream of the chain member 230 .

상기의 회전기(220)는 상기의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구동축(210)을 정역방향을 따라 회전시킨다. 이에 상류에 안착되는 빵은 개구(101)를 통해 가열 공간(a)으로 투입 또는 가열 공간(a)에서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The rotator 220 rotates the pair of drive shafts 210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 Accordingly, the bread seated upstream may be 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a) through the opening 101 or may be moved to be discharged from the heating space (a) to the outside.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200)는 컨베이어 장치 일 수 있다.The mov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a conveyor devic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 가열부, 승강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이동부와 가열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a는 제 1,2반사판 및 제 1,2가열봉들과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시시도이고, 도 11b는 제 1,2반사판의 외면에 유리질 융착층이 코팅된 예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2반사판 및 제 1,2가열봉들과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저면 시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2가열봉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moving unit, the heating unit, and the elev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unit and the heating unit, Figure 11a is a first and second reflectors and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11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glassy fusion layer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with the heating rods, and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bottom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with the heating rods 1 and 2.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 쌍의 가열부a pair of heating elements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가열부는 상기 이동부를 경계로 상기 가열 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가열 공간에 설정된 가열 온도를 제공한다.9 to 13, a pair of heating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ing temperature set in the heating space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ating space with the moving unit as a boundary.

상기 한 쌍의 가열부(300)는 제 1가열부(310)와, 제 2가열부(320)로 구성된다.The pair of heating units 300 include a first heating unit 310 and a second heating unit 320 .

상기 제 1가열부(310)는 상기 이동부(200)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first heating part 310 is disposed below the moving part 200 .

상기 제 1가열부(310)는 한 쌍의 제 1가이드(311)와,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311)에 양단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 1가열봉(312)과,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312)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시키는 제 1전류 제공기(313)를 갖는다.The first heating unit 310 includes a pair of first guides 311, a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312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first guides 311, and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312. 1 has a first current provider 313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heating rod 312 to heat it.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312)의 양측에는 한 쌍의 제 1가이드(311)가 설치된다.A pair of first guides 311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312 .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311)에는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312)의 양단이 관통되어 고정된다.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312 pass through and are fixed to the pair of first guides 311 .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312)은 그 위치가 고정된다.Accordingly,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312 are fixed.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312)은 굴록진 홈을 갖는 웨이브 형상의 제 1반사판(314)에 수용된다.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312 are accommodated in the wave-shaped first reflector 314 having convex grooves.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312)은 상기 제 1반사판(314)의 홈에 수용된다.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312 are accommodated in grooves of the first reflector 314 .

상기 제 1반사판(314)은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별도의 고정 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된다.The first reflector 314 is fixed inside the main body 100 through a separate fixing member (not shown).

또한 상기 제 2가열부(320)는 상기 이동부(200)의 상부에 배치된다.Also, the second heating unit 320 is disposed above the moving unit 200 .

상기 제 2가열부(320)는 한 쌍의 제 2가이드(321)와, 상기 한 쌍의 제 2가이드(321)에 양단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 2가열봉(322)과,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322)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시키는 제 2전류 제공기(323)를 갖는다.The second heating unit 320 includes a pair of second guides 321, a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second guides 32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A second current provider 323 is provided to heat the two heating rods 322 by applying current to them.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322)의 양단은 한 쌍의 제 2고정판(325)을 관통하여 고정된다.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pass through a pair of second fixing plates 325 and are fixed.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2가이드(321)에는 상하를 따르는 다수의 제 2가이드 홀(321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2가이드 홀(321a)에는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322)의 양단이 관통한다. Here, a plurality of second guide holes 321a are formed along the top and bottom of the pair of second guides 321 .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guide holes 321a.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322)은 굴곡진 홈을 갖는 웨이브 형상의 제 2반사판(324)에 수용된다.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are accommodated in the wave-shaped second reflector 324 having curved grooves.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322)은 상기 제 2반사판(325)의 홈에 수용된다.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are accommodated in grooves of the second reflecting plate 325 .

상기 제 2반사판(325)은 본체부의 내부에서 별도의 다른 고정 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된다.The second reflection plate 325 is fixed inside the main body through another fixing member (not shown).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322)은 제 2가이드 홀(321a)을 따라 승강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may have a variable elevation position along the second guide hole 321a.

여기서 상기 제 1가열봉들(321)은 가열 공간(a)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가열봉들(322)은 가열 공간(a)의 하부에 배치된다.Here, the first heating rods 321 are disposed above the heating space (a), and the second heating rods 322 are disposed below the heating space (a).

그리고 제 1반사판(314)은 제 1가열봉(3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반사판(324)은 제 2가열봉들(322)의 하부에 배치된다.Also, the first reflector 314 is disposed above the first heating rods 321 and the second reflector 324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heating rods 322 .

상기 제 1,2반사판(314, 324)은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314 and 324 are formed in a wave shape and made of a metal material.

특히, 상기 제 1반사판(314)과 상기 제 2반사판(324)의 외면에는 일정 두께의 유리질 융착층(C)이 형성된다.In particular, a vitreous fusion layer C having a certain thickness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reflector 314 and the second reflector 324 .

상기 유리질 융착층(C)은 금속으로 형성된 제 1,2반사판(314, 324)의 외면에 유리질을 융착시킨 법랑층이다. 상기 법랑층은 제 1,2반사판(314, 324)의 표면에 유리질의 불투명한 유약을 바르고 700~1000℃로 가열해서 구워 형성한다.The vitreous fusion layer (C) is an enamel layer in which glass is fus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314 and 324 formed of metal. The enamel layer is formed by applying a glassy, opaque glaze to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314 and 324 and heating and baking at 700 to 1000°C.

상기와 같이 제 1,2가열봉들(321, 322)에서 가열되는 열을 가열 공간(a)으로 반사시키는 제 1,2반사판(314, 324)의 외면에 범랑층을 코팀함으로써, 가열된 열을 반사함과 동시에 일정 시간의 열을 유지하여 빵을 굽는 동안에 가열 공간(a)에 열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oat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314 and 324 to reflect the heat heated by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321 and 322 to the heating space a, the heated heat It is possible to reflect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 hea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maintain heat in the heating space (a) while baking bread.

또한 금속으로 형성된 제 1,2반사판(314, 324)이 부식되어 금속 가루가 가열 공간으로 낙하되어 빵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introduced into bread due to metal powder falling into the heating space due to corrosion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314 and 324 formed of metal.

그리고, 상기의 다수의 제 1,2가열봉(312, 322)은 유격 장치에 의해 상하 간격이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pacings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312 and 322 may be variably adjusted by a spacing device.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격장치는 다수의 제 1가열봉(312)을 지지하는 판과, 다수의 제 2가열봉(322)을 지지하는 판을 구비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의 판은 스크루 부재와 연결되고, 스크루 부재의 회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루 부재는 모터와 같은 장치를 통해 회전되어 각 판의 승강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gap device may include a plate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312 and a plate supporting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a screw member and It is connected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member. The screw member may be rotated by a device such as a motor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lifting position of each plate.

동시에, 한 쌍의 제 2고정판(325)에 의해 고정된 다수의 제 2가열봉(322) 역시 승강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fixed by the pair of second fixing plates 325 may also be moved up and down.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다수의 제 2가열봉(322)이 승강됨에 따라 제 1,2가열봉들(312, 322) 간 상하 유격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Through this, as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are elev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clear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312 and 322 can be variably adjusted.

제어부(400)control unit 400

도 6 내지 도 8을 참조 하면, 본체부(100)는 트레이(9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S. 6 to 8 ,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tray 90 .

상기 트레이(90)는 상기 개구(101)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다.The tray 9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through the opening 101 in a sliding manner.

한 쌍의 가열부(310, 320) 중, 상기 이동부(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310)의 하부에 배치된다.Among the pair of heating units 310 and 320, one 310 disposed below the moving unit 200 is disposed below.

상기 트레이(90)는 트레이 이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개구(101)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다.The tray 9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in a sliding manner through the opening 101 by a tray moving unit (not shown).

상기 제어부(400)는 설정된 조리 시간에 이르면, 상기 트레이 이동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트레이(400)를 상기 개구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When the set cooking time is reached, the control unit 400 protrudes the tray 400 out of the opening by using the tray moving unit.

상기 제어부(400)는 온도 센서(410)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가열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안전 온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90)를 상기 개구(10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400 causes the tray 90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pening 101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spac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10 is within a set safe temperature range.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제 1,2가열봉들의 위치가 가변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14 and 15 are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positions of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are var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를 참조 하면, 상기 한 쌍의 가열부(300)는 제 1가열부(310)와, 제 2가열부(32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 the pair of heating units 300 include a first heating unit 310 and a second heating unit 320 .

상기 제 1가열부(310)는 상기 이동부(200)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first heating part 310 is disposed below the moving part 200 .

상기 제 1가열부(310)는 한 쌍의 제 1가이드(311)와,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311)에 양단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 1가열봉(312)과,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312)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시키는 제 1전류 제공기(313)를 갖는다.The first heating unit 310 includes a pair of first guides 311, a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312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first guides 311, and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312. 1 has a first current provider 313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heating rod 312 to heat it.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311)에는 상하를 따르는 다수의 제 1가이드 홀(311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1가이드 홀(311a)에는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312)의 양단이 관통한다. Here, a plurality of first guide holes 311a are formed alo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air of first guides 311 .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312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guide holes 311a.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311)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된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312)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 1축(316a)을 갖는 제 1실린더들(316)이 설치된다.Also, in one of the pair of first guides 311, first cylinders 316 having first shafts 316a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312 penetrating are installed. do.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 1실린더들(316)을 구동시켜 상기 제 1축(316a)을 승강시킨다. 이에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312) 각각의 승강 위치는 가변된다.The controller 400 drives the first cylinders 316 to elevate the first shaft 316a. Accordingly, the elevation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312 is varied.

상기 제 2가열부(320)는 상기 이동부(200)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second heating unit 320 is disposed above the moving unit 200 .

상기 제 2가열부(320)는 한 쌍의 제 2가이드(321)와, 상기 한 쌍의 제 2가이드(321)에 양단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 2가열봉(322)과,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322)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시키는 제 2전류 제공기(323)를 갖는다.The second heating unit 320 includes a pair of second guides 321, a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second guides 32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A second current provider 323 is provided to heat the two heating rods 322 by applying current to them.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2가이드(321)에는 상하를 따르는 다수의 제 2가이드 홀(321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2가이드 홀(321a)에는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322)의 양단이 관통한다. Here, a plurality of second guide holes 321a are formed along the top and bottom of the pair of second guides 321 .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guide holes 321a.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2가이드(321)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된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322)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 2축(326a)을 갖는 제 2실린더들(326)이 설치된다.In addition, in one of the pair of second guides 321, second cylinders 326 having second shafts 326a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penetrating are installed. do.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 2실린더들(326)을 구동시켜 상기 제 2축(326a)을 승강시킨다. 이에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322) 각각의 승강 위치는 가변된다.The controller 400 drives the second cylinders 326 to elevate the second shaft 326a. Accordingly, the lifting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322 is varied.

여기서 상술한 제 1가열봉들(312)은 제 1지지판(312a)을 관통하여 지지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제 1실린더(316)의 제 1축(316a) 단부는 상기 제 1지지판(312a)에 연결된다.Here, the above-described first heating rods 312 are supported through the first support plate 312a, and substantially the end of the first shaft 316a of the first cylinder 316 is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312a. Connected.

여기서 상술한 제 2가열봉들(322)은 제 2지지판(322a)을 관통하여 지지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제 2실린더(326)의 제 2축(326a) 단부는 상기 제 2지지판(322a)에 연결된다.Here, the above-described second heating rods 322 are supported through the second support plate 322a, and substantially the end of the second shaft 326a of the second cylinder 326 is attach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322a. Connected.

또한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가열 공간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42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42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heating space is installed in the body part 100 .

상기 온도 측정기(420)는 영상기(421)를 구비한다. 상기 영상기(421)는 상기 가열 공간의 영상을 취득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400)로 전송한다.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420 includes an imager 421 . The imager 421 acquires an image of the heating spac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400 .

상기 제어부(400)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상기 가열 공간에서의 온도 분포를 산출한다.The controller 400 calculate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heating space through image processing.

상기 제어부(400)는 산출된 상기 온도 분포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분포에 이르도록 상기 제 1,2실린더(316, 326)를 구동시켜 상기 다수의 제 1,2가열봉(312, 322)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drives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316 and 326 so that the calculated temperature distribution reaches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distribution, thereby controll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312 and 322 . can be changed in real time.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빵을 가열 공간에 자동으로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현함과 아울러, 가열 공간에 위치된 빵의 상부 및 하부에 균일한 열을 제공하여 빵의 탄화를 방지하고, 균일한 가열 온도로 빵을 굽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that bread can be automatically put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heating space, and also prevents carbonization of bread by providing uniform heat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read located in the heating space. and to bake bread at a uniform heating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은 가열을 위한 가열부를 본체부의 측부에 형성된 교체홀을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교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easy replacement by allowing the heating unit for heating to be drawn out through a replacement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unit.

또한, 본 발명은 가열봉들을 반사판에 형성된 굴곡진 홈에 위치되도록 하여 가열봉이 가열됨에 따라 발생되는 열의 손실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가열 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서 일정한 열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stant heat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ating space by efficiently preventing the loss of heat generated as the heating rods are heated by positioning the heating rods in the curved grooves formed in the reflector. .

또한 본 발명은 빵이 구워지는 가열 공간에서의 가열 온도를 설정된 온도 분위기를 이루도록 빵의 상부 및 하부에서 해당 위치에 배치되는 가열 수단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eating means dispos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read in real time so as to achieve a set temperature atmosphere in the heating space where bread is baked.

또한 본 발명은 제 1,2가열봉들의 위치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위치 가변이 가능하기 때문에,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빵을 굽는 경우, 빵의 둘레에 균일한 열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빵의 둘레 국부에 열이 집중되어 타지 않고 균일하게 구울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ed in the same way as described above, when baking bread with an irregular thickness, uniform heat can be appli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bread,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ake uniformly without burning because the heat is concentrated in the local area around the circumference.

이에 본 발명은 얇은 식빵에서 두꺼운 베이글까지 하나의 토스터를 사용하여 여러 두께의 빵을 구울 수 있고, 핵심부품인 히터인 제 1,2가열봉을 쉽게 교체 하실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ead of various thicknesses can be toasted using one toaster, from thin bread to thick bagels, and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which are core components, can be easily replaced.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convey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체부
200 : 이동부
300 : 가열부
400 : 제어부
100: body part
200: moving part
300: heating unit
400: control unit

Claims (6)

토스터의 본체부 외부에 형성되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 및,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 공간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홈 부와,
상기 저장 용기에 배치되며, 빵이 얹혀지는 그릴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단과,
상기 힌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개폐되는 개폐 도어를 구비하되,
상기 수용홈 부는 하나 또는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 용기의 향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 부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저장 용기 역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 도어에는, 일정 형상을 가지는 통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통풍구는, 상기 수용홈 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면적을 자기고, 다수의 라인을 형성하는 그릴홀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폐 도어 역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단에는 회전 모터의 축이 축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모터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개폐 도어를 회전개폐하고,
상기 수용홈 부에는 가열 코일이 더 매설되고,
상기 개폐 도어에는 상기 수용 홈부에서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온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수용 홈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되는 온도가 기설정되는 보관 온도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가열 코일을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용 저장고.
an accommodating space portion formed outside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toaster and accommodating a storage container; and,
Disposed in the main body,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ng space,
The receiving space part,
An accommodation groov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the storage container;
It is disposed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has a grill on which bread is placed,
The opening part,
A hinge e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 opening and closing door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end to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is formed in one or more, and is formed as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storage container,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s made of stainless material, and the storage container is also made of stainless material.
A ventilation hol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he ventilation hole may be formed as a grill hol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forming a plurality of line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also formed of stainless material,
A shaft of a rotary motor is connected to the hinge end in a shaft connection manner, and the rotary motor is driven by a control unit to rotate and open and close the door,
A heating coil is further buried in the receiving groove,
A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ing coil using a current provider so that the measured temperature is within a preset storage temperature range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의 하단에는 상기 수용 홈부에 배치되는 상기 저장 용기에 빵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근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 용기에 빵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전류 제공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개폐 도어에는 상기 그릴홀을 개폐하는 개폐판이 더 배치되고, 상기 개폐판은 신축 되는 실린더의 축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수용 홈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되는 온도가 기설정되는 보관 온도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개폐판을 이동시켜 상기 그릴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용 저장고.
According to claim 1,
A proximity sensor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o check whether bread is present in the storage container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The control unit controls driving of the current provider when bread is present in the storage container,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rill hole is further dispos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shaft of a cylinder to be extended, and the cylinder is driven by control of a controller,
The controller adjusts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grill hole by moving the opening/closing plate using the cylinder so that the measured temperature is within a preset storage temperature range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Storage for toaster with.
삭제delete 전방에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가열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유입된 빵을 상기 가열 공간에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경계로 상기 가열 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가열 공간에 설정된 가열 온도를 제공하는 한 쌍의 가열부와, 상기 이동부, 상기 한 쌍의 가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토스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외부에 형성되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 및,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 공간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홈 부와,
상기 저장 용기에 배치되며, 빵이 얹혀지는 그릴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단과,
상기 힌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개폐되는 개폐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가열부는, 상기 가열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가열봉과, 상기 가열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가열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 1가열봉의 상부에는 웨이브 형상을 이루는 금속 재질의 제 1반사판이 배치되고,
상기 제 2가열봉의 상부에는 웨이브 형상을 이루는 금속 재질의 제 2반사판이 배치되고,
상기 제 1반사판과 상기 제 2반사판의 외면에는 일정 두께의 유리질 융착층이 코팅되고,
상기 제 1가열봉과 상기 제 2가열봉은 상기 본체부의 측방에 형성된 교체홀을 통해 인출 가능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열 공간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구동축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한 쌍의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와,
상기 한 쌍의 구동축의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체인 부재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빵이 안착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안착봉을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안착봉의 외면에는 일정의 거칠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트레이를 구비하되,
상기 트레이는 상기 개구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가열부 중,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개구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조리 시간에 이르면, 상기 트레이 이동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트레이를 상기 개구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되,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가열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안전 온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를 상기 개구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가열부는 제 1가열부와, 제 2가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가열부는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가열부는 한 쌍의 제 1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에 양단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 1가열봉과,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시키는 제 1전류 제공기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에는 상하를 따르는 다수의 제 1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 1가이드 홀에는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의 양단이 관통하고,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된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실린더들을 구동시켜 상기 제 1축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가열봉 각각의 승강 위치는 가변되고,
상기 제 2가열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가열부는 한 쌍의 제 2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제 2가이드에 양단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 2가열봉과,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시키는 제 2전류 제공기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제 2가이드에는 상하를 따르는 다수의 제 2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 2가이드 홀에는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의 양단이 관통하고,
상기 한 쌍의 제 2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된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실린더들을 구동시켜 상기 제 2축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2가열봉 각각의 승강 위치는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t the front and a heating space formed therein, a mov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moving the bread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into the heating space, and In the toaster including a pair of heating units providing a heating temperature set in the heating space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ating spac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driving of the moving unit and the pair of heating units,
an accommodating space portion formed outside the main body portion and accommodating a storage container; and,
Disposed in the main body,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ng space,
The receiving space part,
An accommodation groov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the storage container;
It is disposed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has a grill on which bread is placed,
The opening part,
A hinge e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 opening and closing door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end to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The pair of heating units include a first heating rod disposed above the heating space and a second heating rod disposed below the heating space,
A first reflector made of a metal material forming a wave shape is disposed above the first heating rod,
A second reflector made of a metal material forming a wave shape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heating rod,
A vitreous fusion layer having a certain thickness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The first heating rod and the second heating rod can be withdrawn through a replacement hole formed at a side of the main body,
The moving part,
A pair of drive shafts spaced apart from the heating space;
A rotator for rotating the pair of drive shaft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pair of chain member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drive shafts;
A plurality of seating rods installed at multiple locations of the pair of chain members and forming a region in which the bread is seated,
A certain roughness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eating rods,
The body part,
Provide a tray,
The tray can be inserted and detached in a sliding manner through the opening,
Among the pair of heating parts, it is disposed under one of the moving parts,
the tray,
It is possible to insert and remove in a sliding manner through the opening by the tray moving means,
The control unit,
When the set cooking time is reached, use the tray moving means to protrude the tray out of the opening,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spac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within the set safe temperature range, the tray protrudes outward from the opening;
The pair of heating units are composed of a first heating unit and a second heating unit,
The first heating unit is disposed under the moving unit,
The first heating unit provides a pair of first guides, a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first guides, and a first current for heating by applying current to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with spirit,
A plurality of first guide holes are formed alo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air of first guides,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guide holes,
In one of the pair of first guides, first cylinders having a first shaf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are installed,
As the control unit drives the first cylinders to lift the first shaft, the lifting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heating rods is varied,
The second heating unit is disposed above the moving unit,
The second heating unit provides a pair of second guides, a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second guides, and a second current for heating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with spirit,
A plurality of second guide holes are formed along the top and bottom of the pair of second guides,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guide holes,
In one of the pair of second guides, second cylinders having a second shaf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are installed,
The toaste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n elevation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heating rods is varied as the control unit drives the second cylinders to elevate the second shaf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가열 공간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 측정기는 영상기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기는 상기 가열 공간의 영상을 취득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상기 가열 공간에서의 온도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상기 온도 분포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분포에 이르도록 상기 제 1,2실린더를 구동시켜 상기 다수의 제 1,2가열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
According to claim 4,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heating space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imager,
The imager acquires an image of the heating spac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heating space through image processing,
The toaste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so that the calculated temperature distribution reaches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distribution, thereby vary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heating rods in real time.
삭제delete
KR1020210133359A 2021-10-07 2021-10-07 Storage and toaster having the same KR1024828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359A KR102482854B1 (en) 2021-10-07 2021-10-07 Storage and toast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359A KR102482854B1 (en) 2021-10-07 2021-10-07 Storage and toast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854B1 true KR102482854B1 (en) 2023-01-02

Family

ID=8492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359A KR102482854B1 (en) 2021-10-07 2021-10-07 Storage and toast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85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362U (en) * 2006-05-09 2006-08-17 明宗 李 Electric oven
KR101287552B1 (en) * 2013-04-10 2013-07-23 오승택 Electric toaster
KR20160000416U (en) * 2014-07-25 2016-02-03 김태형 multi-function microwave range
KR20190134205A (en) * 2018-05-25 2019-12-04 최병주 Bread storage airtight container toas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362U (en) * 2006-05-09 2006-08-17 明宗 李 Electric oven
KR101287552B1 (en) * 2013-04-10 2013-07-23 오승택 Electric toaster
KR20160000416U (en) * 2014-07-25 2016-02-03 김태형 multi-function microwave range
KR20190134205A (en) * 2018-05-25 2019-12-04 최병주 Bread storage airtight container toa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7044B1 (en) Batch toaster
US10085595B2 (en) Grill accessory for providing food access and maintaining airflow control
US7739948B2 (en) Simplified device to quickly cook food
CN105283105B (en) Improved electricity bread baker
US20090139409A1 (en) Toasting appliance
WO2013159018A1 (en) Improved portable baking oven
US11452404B2 (en) Pizza oven
KR20090017608A (en) Horizontal toasting device having relatively small top heating means
AU2305101A (en) A toaster with transparent heater walls
JP6771430B2 (en) Cooker
JPH01502240A (en) electric toaster
KR102482854B1 (en) Storage and toaster having the same
KR20110045771A (en) Automatic direct roaster
US20020152898A1 (en) Flat bread and tortilla warmer
US5839354A (en) Revolving toaster apparatus
KR20220057425A (en) Toaster
KR102169100B1 (en) Grilled table
JP3881777B2 (en) Gas grill
KR200415465Y1 (en) Device of Meat Roaster
KR101952315B1 (en) Multi-purpose Stone-plate Roaster
JPS5839305Y2 (en) Cooker grill
KR100733270B1 (en) Device of meat roaster
JP7163707B2 (en) Housing and heating cooker
JP3234351U (en) Pizza baking auxiliary kiln
WO2008090491A1 (en) Horizontal toasting device having a shutter plate for preventing radiated heat from reaching toasted foodstu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