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657B1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657B1
KR102482657B1 KR1020160000986A KR20160000986A KR102482657B1 KR 102482657 B1 KR102482657 B1 KR 102482657B1 KR 1020160000986 A KR1020160000986 A KR 1020160000986A KR 20160000986 A KR20160000986 A KR 20160000986A KR 102482657 B1 KR102482657 B1 KR 102482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drawer
bar
slo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81940A (en
Inventor
이지홍
김우성
이건호
한인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657B1/en
Priority to AU2016226784A priority patent/AU2016226784B2/en
Priority to PCT/KR2016/002029 priority patent/WO2016140490A1/en
Priority to CN201610115882.5A priority patent/CN105937122B/en
Priority to EP16158045.1A priority patent/EP3064637A1/en
Priority to US15/058,258 priority patent/US10125442B2/en
Publication of KR20170081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940A/en
Priority to US16/186,175 priority patent/US10954618B2/en
Priority to AU2018282397A priority patent/AU20182823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6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의 양단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면 및 제3면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면, 상기 제2면 및 상기 제3면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외주면은 곡면으로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1절곡부,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3면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2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제2면에 나란한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체결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제3면에 나란한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provided with an entrance, a first surface pro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ntrance is located, and second and third surfaces ext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from both ends of the first surface, A drawer body that can be withdrawn from the cabinet through a drawer body, provided inside the drawer body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rfaces is a curved surface. a tub provided with a tub,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and accommodating clothes, a first ben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surface toward a sp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a second bent part protruding from the first surface toward a space formed between the third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a transfer part provided in the first bent part and reciprocat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A first fastening part that reciprocat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by the transfer part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inet parallel to the second surface, and reciprocat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by the transfer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inet parallel to the third surface.

Figure R1020160000986
Figure R1020160000986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device.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In general, a laundry treatment device is a concept including a device for washing clothes (objects to be washed or objects to be dried), a device for drying clothes, and a device capable of washing and drying clothes.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Among conventional laundry handling apparatuses, there is one that includes a cabinet, a drawer that can be drawn out of the cabinet, and an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side the drawer to provide a space for processing clothes such as washing or drying clothes.

그러나,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처리과정이 진행될 때 드로워가 캐비닛 내부에서 진동하거나 상기 드로워가 캐비닛 내부에서 인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laundry handling apparatus, problems may occur such that the drawer vibrates inside the cabinet or the drawer is pulled out of the cabinet when the laundry treatment process is in progress.

본 발명은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이 구비된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a drawer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clothes from being taken out of a cabinet.

또한, 본 발명은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과 드로워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위치시킴으로써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the volume by placing a means for preventing a drawer from being pulled out of a cabinet in a space formed between a space for storing clothes and a drawer.

또한, 본 발명은 드로워가 구비된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의류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제2처리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with a separate second treatment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on top of a first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a drawer.

또한,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컨트롤패널이 제2처리장치에 의해 가려지더라도 드로워를 캐비닛에서 인출하지 않고도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를 제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 locking unit that prevents a drawer from being taken out of a cabinet even when a control panel provided in a first handling device is covered by a second handling device, without taking the drawer out of the cabinet. Make it the problem you are trying to solve.

본 발명은 출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의 양단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면 및 제3면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면, 상기 제2면 및 상기 제3면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외주면은 곡면으로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1절곡부;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3면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2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제2면에 나란한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체결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제3면에 나란한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inet equipped with an entrance; A drawer body including a first surface pro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ntrance is located, second and third surface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surface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and withdrawable from the cabinet through the entrance. ; a tub provided inside the drawer body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having a curv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ositio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and accommodating clothes; a first ben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surface toward a sp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a second ben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surface toward a space formed between the third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a conveying part provided in the first bent part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a first fastening part reciprocat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by the transfer part and detachably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inet parallel to the second surface; and a second fastening part reciprocat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by the transfer part and detachably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inet parallel to the third surface.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제1바; 상기 제1바를 상기 이송부에 연결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한 제1바 자유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제2바; 상기 제2바를 상기 이송부에 연결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한 제2바 자유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includes a first bar reciprocat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by the transfer part; a first coupling part connecting the first bar to the conveying part; and a free end of a first bar detachable from the cabinet,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unit includes a second bar reciprocat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by the transfer unit; a second coupling part connecting the second bar to the conveying part; and a free end of a second bar detachable from the cabinet.

상기 제2바는 상기 제2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절곡부에 위치하는 바 바디; 상기 제2바 자유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2절곡부에 위치하는 바 착탈부; 상기 제1면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바디; 상기 바 바디와 상기 연결바디를 연결하며, 상기 제1절곡부를 향해 경사진 제1경사부; 상기 바 바디와 상기 바 착탈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절곡부를 향해 경사진 제2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ar is provided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he bar body located in the first bent portion; a bar detachable portion having a free end of the second bar and located in the second bent portion; a connection body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a first inclined portion connecting the bar body and the connection body and inclined toward the first bent portion; A second inclined portion connected to the bar body and the detachable bar portion and inclined toward the second bent portion may be included.

상기 이송부는 상기 드로워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바디; 상기 이송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부가 결합하며, 상기 이송바디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 자유단이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바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바디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 자유단을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바를 이동시키는 제1슬롯; 상기 이송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하며, 상기 이송바디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바 자유단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바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바디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바 자유단을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바를 이동시키는 제2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part may include a transfer body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It is provided in the transfer body to engage the first coupling part, and when the transfer body moves in a first direction, the free end of the first bar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ar is fixed to the cabinet. a first slot for moving the first ba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first bar is separated from the cabinet when it moves in two directions; It is provided in the transfer body to engage the second coupling part, and when the transfer body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bar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second bar is fixed to the cabinet, and the transfer body and a second slot for moving the second ba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second bar is separated from the cabinet when the second bar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은 회전축이 구비된 모터; 상기 이송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바디의 왕복 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바디슬롯;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암; 상기 암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슬롯에 삽입되는 슬롯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슬롯의 길이는 상기 슬롯연결부가 형성하는 궤적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상기 슬롯연결부가 형성하는 궤적의 지름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otor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a body slot provided in the transfer body and provided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iprocating motion direction of the transfer body; an arm fixed to the rotating shaft; A slot connecting portion provided on the arm and inserted into the body slot, wherein the length of the body slot is the same as a diameter of a trajectory formed by the slot connecting portion or longer than a diameter of a trajectory formed by the slot connecting portion. It can be.

본 발명은 상기 제1절곡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바디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바디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fer body guider provided on the first bent portion to provide a movement path for the transfer body.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 자유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제1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 자유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제2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 the cabinet, to which the free end of the first bar is detachably coupled, and spaced apart from the entran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A second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 the cabinet, to which the free end of the second bar is detachably coupled, and spaced apart from the entran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은 상기 제1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uider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second bar.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패널에서 상기 제2바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바와 상기 제1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2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rawer panel fixed to the drawer body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and protrudes from the drawer panel toward the second bar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ar and the first surface. A second guider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 상기 제2면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제3가이더 바디; 상기 제3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바 자유단이 삽입되는 제3가이더 바디 관통홀; 상기 제3면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제4가이더 바디; 상기 제4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바 자유단이 삽입되는 제4가이더 바디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awer panel fixed to the drawer body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a third guider body extending from the second surface toward the drawer panel; a third guider body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third guider body and into which the free end of the first bar is inserted; a fourth guider body extending from the third surface toward the drawer panel; I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guider body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ourth guider body and into which the free end of the second bar is inserted.

본 발명은 상기 출입구가 구비된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나란한 패널 전방면, 상기 패널 전방면의 양측면에서 상기 캐비닛을 향해 연장되는 제1측면 및 제2측면, 상기 패널 전방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패널 상부면을 포함하는 드로워 패널; 상기 이송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잠금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side of a panel parallel to one side of the cabinet having the entrance, first and second side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panel toward the cabinet, and an upper portion of the panel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panel. a drawer panel comprising cotton; a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transfer unit;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unlocking unit provided on one of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n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re separated from the cabinet.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부를 왕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be provided to reciprocate the transfer unit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 상기 패널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구동부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컨트롤패널;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드럼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잠금해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rum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rum; a control panel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nel and inputting control command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rum driving unit;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rum driv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control panel and to control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unlocking unit.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 바디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지 않으면 상기 컨트롤패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의 세탁 또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의류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abinet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rol pane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rawer body is not withdrawn from the cabinet;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lothes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side the second cabinet and providing a space for washing clothes or drying clothes.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패널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드로워 패널 내부에 고정된 지지부; 상기 패널 관통홀에 삽입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가 상기 드로워 패널 내부로 가압되면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신호발생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되 상기 패널 관통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패널 관통홀과 상기 신호발생부 사이에 위치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awer panel further includes a panel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nd the unlocking unit includes a support fixed to the inside of the drawer panel; a pressing unit inserted into the panel through-hole; a signal generato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pressing unit is pressed into the drawer panel; and an extension portion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panel through hole, and positioned between the panel through hole and the signal generating portion.

상기 잠금해제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구동부의 작동도 중단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unlocking unit, the control unit not only controls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first fastening unit and the second fastening unit are separated from the cabinet, but also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um driving unit. .

본 발명은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이 구비된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the effect of providing a laundry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a drawer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clothes from being taken out of a cabinet.

또한, 본 발명은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과 드로워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위치시킴으로써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providing a laundry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the volume by locating a means for preventing the drawer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cabinet in a space formed between a space for storing clothes and a drawer.

또한, 본 발명은 드로워가 구비된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의류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제2처리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n effect of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with a separate second treatment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on top of a first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a drawer.

또한,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컨트롤패널이 제2처리장치에 의해 가려지더라도 드로워를 캐비닛에서 인출하지 않고도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를 제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 locking unit that prevents a drawer from being taken out of a cabinet even when a control panel provided in a first handling device is covered by a second handling device, without taking the drawer out of the cabinet. The effect provided can be realized.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해제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show an example of the first treatment devic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4, 5, 6 and 7 show an example of a locking uni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 example of the unlocking uni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components. indicat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100)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제1처리장치(100) 및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처리장치(200)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처리장치(100) 및 제2처리장치(200)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only the first treatment device 100, and the first treatment device 100 and a second treatment device located above the first treatment device ( 200) may be provided to include all of them.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ing both the first treatment device 100 and the second treatment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처리장치(100)는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이고, 제2처리장치(200)는 상기 제1처리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처리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treatment device 100 is a device that implements a laundry treatment function such as washing or drying clothes (objects to be washed or dried), and the second treatment device 200 is detachable from the first treatment device 100. It may be provided as a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a laundry treatment function.

상기 제2처리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캐비닛(210),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의류수용부(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treatment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 second cabinet 210 forming an exterior and a second clothes accommodating part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second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washing or drying clothes. It can be.

상기 제2의류수용부는 상기 제2캐비닛(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제2터브(미도시),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clothing accommodating part provides a second tub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second cabinet 210 to store water and a space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second tub to store clothes. It may be provided with 2 drums (not shown).

이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200)는 상기 제2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부, 상기 제2터브에 저장된 물을 제2캐비닛(2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treatment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second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to the second tub and a second drainage unit discharging water stored in the second tub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abinet 210. can include

상기 제2캐비닛(210)에는 의류의 출입을 위한 제2처리장치 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2처리장치 투입구는 제2캐비닛(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처리장치 도어(230)에 의해 개폐된다.The second cabinet 210 is provided with a second treatment device inlet (not shown) for clothes entering and exiting, and the second treatment device inle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cabinet 210 through a second treatment device door. It is opened and closed by (230).

상기 제2처리장치 도어(230)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에서 제2드럼 내부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윈도우(231)가 구비될 수 있다.A window 231 may be provided at the door 230 of the second treatment device to allow checking of the inside of the second drum from the out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상기 제2처리장치 투입구는 제2터브에 구비된 제2터브 투입구 및 제2드럼에 구비된 제2드럼 투입구를 통해 제2드럼 내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처리장치 도어(230)를 개방함으로써 제2드럼 내부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2드럼 내부에 저장된 의류를 제2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The second treatment device inlet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second drum through a second tub inlet provided in the second tub and a second drum inlet provided in the second drum. Accordingly, by opening the door 230 of the second treatment device, the user can insert clothes into the second drum or take out clothes stored in the second drum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abinet.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200)가 의류의 건조 기능도 수행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캐비닛(210) 내부에는 상기 제2터브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열풍공급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Meanwhile, when the second treatment device 200 is also provided to dry clothes, a second hot air supply device (not shown) supplies air heated by the second tub to the inside of the second cabinet 210. ) should be further provided.

상기 제2열풍공급장치(미도시)는 제2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제2터브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열교환부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hot air supply device (not shown) may be provided as a circulation duct provided to circulate air inside the second tub, and a heat exchange unit provided inside the circulation duct to dehumidify and he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tub. can

그러나, 상기 제2열풍공급장치(미도시)는 제2터브 내부의 공기를 제2캐비닛(2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제2터브 외부의 공기를 제2터브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에 구비되어 공급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However, the second hot air supply device (not shown) includes a discharge duct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second tub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abinet 210, a supply duct for supplying air outside the second tub to the second tub, It may be provided as a heat exchange unit provided in the supply duct to heat air introduced into the supply duct.

상술한 바와 달리 제2처리장치(200)가 의류의 건조만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면, 제2처리장치(200)에서 제2터브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처리장치(200) 내부에는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어야 하고, 상술한 제2열풍공급장치는 제2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Unlike the above description, if the second treatment device 200 is provided only to dry clothes, the second tub may be omitted from the second treatment device 200 . In this case, a mean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drum should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second treatment device 200, and the above-described second hot air supply device should be provided to supply hot air to the second drum.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처리장치(100)는 캐비닛(2),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3),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4, 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treat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2, a drawer 3 withdrawable from the cabinet 2, and provided inside the drawer to provide a processing space for clothes. It includes clothes accommodating parts 4 and 5 to do.

상기 캐비닛(2)에는 출입구(21)가 구비되는데, 상기 드로워(3)는 상기 출입구(21)를 통해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은 너비방향(X축 방향)의 길이가 높이방향(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드로워의 너비방향 길이가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cabinet 2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21 , and the drawer 3 can be drawn out of the cabinet 2 through the entrance 21 or inserted into the cabinet 2 . The cabinet 2 preferably has a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longer than a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drawer in the width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

상기 캐비닛(2) 내부에는 상기 드로워(3)를 지지하는 슬라이더(23, 도 4 참고)가 구비되는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캐비닛(2) 내부에 고정되는 하우징(231), 상기 드로워(3)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231)에 삽입된 슬라이더 바디(233)로 구비될 수 있다.A slider 23 (refer to FIG. 4) supporting the drawer 3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2, and the slider includes a housing 231 fixed inside the cabinet 2, the drawer 3 ) and may be provided with a slider body 233 inserted into the housing 231.

상기 드로워(3)는 드로워 바디(31, 도 3 참고),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35)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바디(31)는 상부에 개방면이 구비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커버(35)는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awer 3 includes a drawer body 31 (see FIG. 3) and a drawer cover 35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drawer body. The drawer body 31 may have a hexahedral shape having an open surfac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drawer cover 35 may be provided to close an upper surface of the drawer body 31 .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는 드로워 패널(33)이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상기 출입구(21)를 개폐하는 수단인 동시에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2)으로 인입시키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A drawer panel 3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body 31 . The drawer panel 33 may be provided as a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21 and a means for drawing the drawer body 31 out of or into the cabinet 2 at the same time.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상기 캐비닛(2)의 전방면(출입구가 구비된 면)에 나란한 패널 전방면(33a), 상기 패널 전방면의 양측면에서 상기 드로워 바디(51)을 향해 연장되는 제1측면(33c) 및 제2측면(33d), 상기 패널 전방면(33a)의 상단에서 드로워 바디(51)를 향해 연장되어 드로워 패널(33)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패널 상부면(33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awer panel 33 has a panel front surface 33a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2 (the surface provided with the entrance) and extends toward the drawer body 51 from both sides of the panel front surface. The first side surface 33c and the second side surface 33d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panel front surface 33a toward the drawer body 51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panel 33. 33b) may be provided.

상기 패널 상부면(33b)에는 제1처리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3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331)은 상기 수용부(4, 5)에 물을 급수 또는 배수하기 위한 수단(급수부, 배수부), 의류를 회전시키는 수단(드럼구동부), 의류에 스팀이나 열풍을 공급하는 수단(수분공급장치, 열풍공급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A control panel 33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treatment device 1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33b of the panel. The control panel 331 is a means for supplying or draining water to the accommodating parts 4 and 5 (a water supply part and a drain part), a means for rotating clothes (a drum driving part), and a means for supplying steam or hot air to clothes. It is a means for the user to input a control command to control means (moisture supply device, hot air supply device) and the like.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331)에는 사용자가 제1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부(332), 상기 입력부(332)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표시부(333, 제1처리장치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수단)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컨트롤패널(331)은 상기 패널 상부면(33b)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331 has an input unit 332 that allows the user to input a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processing device, confirms the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32, or controls the control command input by the user. A display unit 333 (means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rocessing device)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execution process may be provided. The aforementioned control panel 33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33b of the pane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커버(35)에는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로워 바디(31) 내부를 드로워 바디(3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관통홀(351),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후술할 급수관(71)이 삽입되는 제2관통홀(353)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first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drawer cover 35 to pass through the drawer cover 35 and communicates the inside of the drawer body 31 with the outside of the drawer body 31 . A second through hole 353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hole 351 and the drawer cover 35 and into which a water supply pipe 71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상기 드로워(3)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부(4, 5)는 상기 드로워 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4),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이 저장되는 드럼(5)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s 4 and 5 provided inside the drawer 3 include a tub 4 provided inside the drawer body 31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It can be provided as a drum 5 in which clothes are stored.

상기 터브(4)는 터브지지부(48)에 의해 드로워(3)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터브지지부(48)는 상기 터브(4)의 외주면과 상기 드로워(3)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기 터브지지부(48)는 상기 드로워에 구비된 제1브라켓(481),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2브라켓(483),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연결하는 지지바(485)를 포함할 수 있다.The tub 4 is movably fixed inside the drawer 3 by the tub support 48 . The tub support portion 48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4 and the drawer 3, and the tub support portion 48 includes the first bracket 481 provided in the drawer and the tub A second bracket 483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upport bar 485 connecting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may be included.

상기 터브(4)의 상부면에는 터브(4) 내부를 터브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41), 물을 터브(2)로 공급하는 급수구(43),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45)가 구비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4, an inlet 41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tub 4 with the outside of the tub, water A water supply port 43 supplying water to the tub 2 and a door 45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re provided.

상기 도어(45)는 터브(4)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터브의 상부면 일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도어(45)는 상기 제1관통홀(351)을 통해 상기 드로워 커버(35)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인출시킨 뒤 도어(45)를 열어 터브(4)에 의류을 투입할 수 있다.The door 45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4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is provid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and the door 45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51. It can rotat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drawer cover 35. Therefore, the user can put clothes into the tub 4 by opening the door 45 after pulling the drawer 3 out of the cabinet 2 .

상기 드럼(5)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4) 내부에 위치하는 드럼바디(51), 상기 드럼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드럼 투입구(53)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바디(51) 원주면과 바닥면에는 드럼 관통홀(55)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바디(51)의 바닥면에는 구동축(57)이 구비된다.The drum 5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drum body 51 positioned inside the tub 4 and a drum inlet 53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um body. A drum through-hole 55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51, and a driving shaft 57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51.

상기 드럼 바디(51)는 상기 터브(4)의 외부에 구비된 드럼구동부에 의해 터브(4)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드럼구동부는 터브(4)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M1),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M3)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57)은 상기 터브(4)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로터(M3)에 연결된다.The drum body 51 may be rotated inside the tub 4 by a drum driving unit provided outside the tub 4 . The drum drive unit may include a stator M1 fixed to the tub 4 to form a rotating magnetic field and a rotor M3 rotating by the rotating magnetic field, and the driving shaft 57 is the bottom of the tub 4. It penetrates the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rotor M3.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53)은 상기 투입구(41)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되도록 구비(드로워 바디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riving shaft 53 may be provided to form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inlet 41 (formed with a right angl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body).

수용부가 터브(4)와 드럼(5)으로 구비되는 것은 본 발명이 세탁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려면 캐비닛(2) 내부에는 터브(2)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되면 된다.The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as the tub 4 and the drum 5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washing function. Therefore, in order for the first treatment device 100 to also perform the drying function of clothes, a hot air supply device (not shown)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tub 2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cabinet 2 .

상기 제1처리장치는 급수부(7)를 통해 캐비닛(2)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에 연결된다. 상기 급수부(7)는 급수원(미도시)과 급수구(42)를 연결하는 급수관(71), 제어부에 의해 급수관(71)을 개폐하는 밸브(73)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treatment device is connected to a water source located outside the cabinet 2 through a water supply unit 7 . The water supply unit 7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ipe 71 connecting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and the water supply port 42 and a valve 73 that opens and closes the water supply pipe 71 by a control unit.

상기 터브(4)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8)를 통해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배수부(8)는 터브(4) 내부의 물을 캐비닛(2)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83), 터브(4) 내부의 물을 상기 제1배수관(83)으로 배출시키는 펌프(81,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물을 캐비닛(2)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85)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stored in the tub 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2 through the drain 8, which guides the water inside the tub 4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2. A first drain pipe (83), a pump (81,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for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tub (4) to the first drain pipe (83), and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2). It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drain pipe 85 to guide.

상기 드럼구동부는 터브(4)에 고정되고, 터브(4)는 터브지지부(48)를 통해 드로워(3)에 고정되므로,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처리장치(100)는 로터(M3)가 회전할 때 드럼이나 터브에서 발생된 진동이 드로워(3)로 전달 가능한 구조이다.Since the drum driving unit is fixed to the tub 4, and the tub 4 is fixed to the drawer 3 through the tub support 48, the first treatment device 1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has a rotor M3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drum or tub can be transmitted to the drawer 3 when it rotates.

상기 드럼(5)이나 터브(4)의 진동이 드로워(3)에 전달되면, 드로워(3)와 캐비닛(2)의 충돌에 따른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드럼구동부의 작동 중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When the vibration of the drum 5 or the tub 4 is transmitted to the drawer 3, not only noise or vibration occurs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drawer 3 and the cabinet 2, but also the drawer 3 during operation of the drum drive unit. The possibility that (3) is withdrawn from cabinet (2) cannot be ruled out.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드로워(3)가 캐비닛(2) 내부에서 진동하는 것도 최소화하는 잠금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events the drawer 3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cabinet 2, but also minimizes vibration of the drawer 3 inside the cabinet 2. A locking part 9 may be further includ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9)는 상기 드로워의 너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왕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부(91, 92), 상기 체결부를 작동시키는 이송부(95), 상기 이송부(95)를 상기 드로워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왕복시키는 구동부(9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 the locking part 9 is provided to reciprocate along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drawer, and fastening parts 91 and 92 detachably fixed to the cabinet 2 , a conveying part 95 for operating the fastening part, and a driving part 97 for reciprocating the conveying part 95 along the he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drawer.

상기 체결부는 상기 드로워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2)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한 제1체결부(91), 상기 드로워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2)의 타측면에 착탈 가능한 제2체결부(92)로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is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wer and detachable to one side of the cabinet 2,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91 is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wer an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binet 2. It may be provided with a detachable second fastening part 92.

상기 제1체결부(91)는 상기 드로워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제1바(91)로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92)는 상기 드로워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제2바(921)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91 includes a first bar 91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wer,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92 includes a second bar 91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wer. It may be provided as a bar 921.

상기 제1바(911)는 제1결합부(913)를 통해 상기 이송부(95)에 연결되는데, 상기 제1바 자유단(F1)은 상기 이송부(95)의 위치에 따라 캐비닛(2)에 구비된 제1수용부(93)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1수용부(93)에서 분리된다.The first bar 911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art 95 through the first coupling part 913, and the free end F1 of the first bar is connected to the cabinet 2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part 95. It is coupled to the provided first accommodating part 93 or separa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93.

마찬가지로, 상기 제2바(921)는 제2결합부(923)를 통해 상기 이송부(95)에 연결되며, 상기 제2바 자유단(F2)은 상기 이송부(95)의 위치에 따라 캐비닛(2)에 구비된 제2수용부(94)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2수용부(94)에서 분리된다.Similarly, the second bar 921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art 95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art 923, and the free end F2 of the second bar is connected to the cabinet 2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part 95. ) Is coupl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94 provided in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94.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제1수용바디(931), 상기 제1수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 자유단(F1)이 수용되는 수용홈(9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제2수용바디(941), 상기 제2수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 자유단(F2)을 수용되는 수용홈(9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body 931 fixed inside the cabinet and an accommodating groove 933 provid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body and accommodating the free end of the first bar F1.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a second accommodating body 941 fixed inside the cabinet and an accommodating groove 943 provid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body and accommodating the second free end F2 of the bar.

다만, 상기 제1수용부(93)와 제2수용부(94)는 상기 출입구(21)에서 상기 캐비닛(2)의 내부를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도 6 참고).However,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93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94 should be provided at position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trance 21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2 (see FIG. 6).

상기 잠금부(9)가 상기 출입구(21)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33)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들(93, 94)이 출입구(21)보다 캐비닛(2) 내측에 위치되어야만 제1체결부(91)와 제2체결부(92)가 제1수용부(93)와 제2수용부(94)에 각각 삽입되었을 때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캐비닛(2)에 고정될 것이기 때문이다.Since the locking part 9 is provided inside the drawer panel 33 that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21, the receiving parts 93 and 94 must be located inside the cabinet 2 rather than the entrance 21. The drawer body 31 is fixed to the cabinet 2 when the first fastening part 9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92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93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94, respectively. because it i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95)는 드로워 바디(31)의 높이방향(Y)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바디(951), 상기 이송바디(951)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91)가 연결되는 제1슬롯(953), 상기 이송바디(951)에 구비되어 제2체결부(92)가 연결되는 제2슬롯(955)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transfer unit 95 is provided on a transfer body 951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Y of the drawer body 31 and is provided on the transfer body 951 to provide the first fastening unit. It may include a first slot 953 to which 91 is connected and a second slot 955 provided in the transfer body 951 to which the second fastening part 92 is connected.

상기 드로워 바디(31)에는 이송바디(95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부 가이더(99)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상기 이송부 가이더(99)가 상기 이송바디(951)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draw body 31 may include a transport guider 99 that provides a moving path for the transport body 951. FIG. 5 shows that the transport guider 99 supports both sides of the transport body 951. A case in which it is provided is shown as an example.

상기 제1슬롯(953)은 제1바에 구비된 제1결합부(913)를 밀거나 당겨주는 수단(제1바(911)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제1바(911)는 상기 제1결합부(913)가 상기 제1슬롯(95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송바디(951)에 연결된다.The first slot 953 is a means for pushing or pulling the first coupling part 913 provided in the first bar (a means for moving the first bar 911), and the first bar 911 is the first bar 911. 1 coupling part 913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body 951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slot 953 .

상기 제1슬롯(953)은 상기 이송바디(951)의 운동방향(Y축 방향, 이송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바디(951)의 중심을 통과하고 이송바디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직선(기준선, K1)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lot 953 not only has a certain length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ransfer body 951 (Y-axis direction, height direction of the transfer body), but also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transfer body 951 and It may be provid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reference line, K1)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즉, 상기 제1슬롯(953)은 상기 기준선(K1)에 대해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K2)로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바디(951)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제1바(911)를 이동시키기 위함이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lot 953 be inclined at an angle K2 greater than 0 degrees and smaller than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K1. This is to move the first bar 911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body 951.

상기 제2슬롯(955)은 제2바에 구비된 제2결합부(923)를 밀어주거나 당겨주는 수단(제2바(921)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제2바(921)는 상기 제2결합부(923)가 상기 제2슬롯(95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송바디(951)에 연결된다.The second slot 955 is a means for pushing or pulling the second coupling part 923 provided in the second bar (meaning for moving the second bar 921), and the second bar 921 is the The second coupling part 923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body 951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slot 955 .

상기 제2슬롯(955) 역시 상기 이송바디(951)의 운동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준선(K1)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된다.The second slot 955 is also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ransfer body 951 a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K1.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1결합부(913)와 상기 제2결합부(923)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이송바디(951)의 이동방향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결합부(913)와 상기 제2결합부(923)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이송바디(951)의 이동방향으로 설정할 경우, 상술한 제1슬롯(953)과 제2슬롯(955)은 상기 이송바디(951)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의 자유단(F1)과 제2바의 자유단(F2)을 각 수용부(93, 94)에 결합시키고, 상기 이송바디(951)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바의 자유단(F1)과 제2바의 자유단(F2)을 각 수용부(93, 94)에서 분리시키게 될 것이다.The first direction is set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body 951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9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923 is widened, and the second direction is the first coupling part When sett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ransfer body 951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9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923 is narrowed, the above-described first slot 953 and the second slot 955 are the transfer body ( When 951)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free end F1 of the first bar and the free end F2 of the second bar are coupled to the receiving parts 93 and 94, and the transfer body 951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When moving in two directions, the free end F1 of the first bar and the free end F2 of the second bar will be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ortions 93 and 94, respectively.

즉, 상기 제1결합부(913) 및 제2결합부(923)가 각 슬롯(953, 955)의 하단(슬롯 사이의 간격이 최대인 지점,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지점)에 각각 위치하면, 각 바의 자유단(F1, F2)은 제1수용바디(931) 및 제2수용바디(935)에 각각 결합할 것이다.That is, the first coupling part 9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923 ar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each slot 953 and 955 (the point where the gap between the slots is maximum,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When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is the maximum), the free ends F1 and F2 of each bar will be coupl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body 93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body 935, respectively.

그러나, 상기 제1결합부(913) 및 제2결합부(923)가 제1슬롯(953) 및 제2슬롯(955)의 상단(슬롯 사이의 간격이 최소인 지점,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지점)에 각각 위치하면, 상기 제1바 자유단(F1) 및 제2바 자유단(F2)은 제1수용바디(931) 및 제2수용바디(935)에서 각각 분리될 것이다.However, the first coupling portion 9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923 are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lot 953 and the second slot 955 (the point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slots is the minimum,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955). When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upling parts is minimum), the first bar free end F1 and the second bar free end F2 are the first receiving body 931 and the second receiving body 935 will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술한 이송부(95)는 구동부(97)를 통해 드로워의 높이방향(Y)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97)는 모터(971, 도 4 참고), 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송바디(951)의 왕복운동 동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975)로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ransfer unit 95 may reciprocate along the height direction Y of the drawer through the driving unit 97 . The driving unit 97 may include a motor 971 (see FIG. 4 ) and a conversion unit 975 that converts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into reciprocating power of the transfer body 951 .

상기 변환부(975)는 상기 이송바디(951)의 너비방향(X)을 따라 구비되는 바디슬롯(976), 상기 모터의 회전축(973)에 결합되는 암(977), 상기 암(977)과 바디슬롯(976)을 연결하는 슬롯연결부(979)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version unit 975 includes a body slot 976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transfer body 951, an arm 977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973 of the motor, and the arm 977. It may be provided as a slot connection part 979 connecting the body slot 976.

상기 암(977)은 모터의 회전축(973)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슬롯연결부(979)는 상기 암(977)에서 돌출되므로, 상기 모터(971)의 작동 시 상기 슬롯연결부(979)는 일정한 지름(L2)을 가진 원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될 것이다.Since the arm 977 rotates by the rotating shaft 973 of the motor and the slot connection part 979 protrudes from the arm 977, the slot connection part 979 has a constant diameter when the motor 971 is operated. It will rotate while drawing a circular trajectory with (L2).

한편, 상기 바디슬롯(976)은 이송바디(951)의 운동방향(Y)에 수직한 방향(X)을 따라 구비되되 슬롯연결부(979)가 형성하는 원궤적의 지름(L2)과 동일하거나 원궤적의 지름(L2)보다 더 긴 길이(L1)로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slot 976 is provided along the direction (X)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direction (Y) of the transfer body 951, but is equal to or circular in diameter L2 of the circular trajectory formed by the slot connection part 979. It is provided with a longer length (L1) than the diameter (L2) of the trajectory.

따라서, 모터 회전축(973)의 회전운동은 상기 변환부(975)에 의해 이송바디(951)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되며, 상기 이송바디(951)는 가이더(99)의 안내를 받아 드로워(3)의 높이방향(Y)을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될 것이다.Therefor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rotation shaft 973 is converted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transfer body 951 by the conversion unit 975, and the transfer body 951 receives the guide of the guider 99 and draws ( It will reciprocate along the height direction (Y) of 3).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잠금부(9)는 상기 드로워 패널(33) 내부 공간 중 드로워 패널(33)의 중심(K, 도 4)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잠금부(9)는 드로워 패널(33)의 일측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the locking part 9 described above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K, FIG. 4) of the drawer panel 33 in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panel 33. desirable. That is, the locking part 9 is prefer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awer panel 33 .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바닥면에 나란한 상기 터브(4)의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 모서리(드로워 바디의 전방면과 드로워 바디의 측면이 만나는 지점)와 터브(4)의 원주면(43) 사이에 공간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바디의 모서리와 상기 터브 원주면(43) 사이의 공간에 상기 잠금부(9)가 구비되면, 상기 드로워 패널(33)의 두께(드로워 패널의 Z축 방향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제1처리장치(100) 전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tub 4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body 31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the front edge of the drawer body 31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body and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body) A space is created between the meeting point)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3 of the tub 4 . Therefore, when the locking part 9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edge of the drawer body and the tub circumferential surface 43, the thickness of the drawer panel 33 (the thickness of the drawer panel in the Z-axis direction) By minimizing the volume, the overall volume of the first treatment device 100 can be minimized.

이를 위해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은 상기 출입구(21)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된 제1면(311), 상기 제1면(311)의 양단에서 상기 캐비닛(2)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면(312) 및 제3면(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면(312)과 상기 제3면(313)은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바닥면에서 드로워 커버(35)를 향해 연장되는 면(드로워 바디의 측면)이 될 것이다.To this end,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body 31 is the first surface 311 provided in the direction where the entrance 21 is located, and the inside of the cabinet 2 is open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urface 311. It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312 and a third surface 313 extending toward each other. In this case, the second surface 312 and the third surface 313 may be surfaces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body 31 toward the drawer cover 35 (side surfaces of the drawer body). will be.

상기 제1면(311)에는 상기 제1면(311)에서 상기 제2면(312)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43) 사이의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1절곡부(314), 상기 제1면(311)에서 상기 제3면(313)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4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2절곡부(315)가 더 구비된다.The first surface 311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314 protruding from the first surface 311 toward a space between the second surface 312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3 of the tub. A second bent portion 315 protruding from the surface 311 toward a space formed between the third surface 313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3 of the tub is further provided.

이 경우, 상기 잠금부(9)는 제1절곡부(314)와 제2절곡부(31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는데, 도 6은 상기 잠금부(9)가 상기 제1절곡부(314)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locking part 9 may be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bent part 314 and the second bent part 315, and FIG. 6 shows that the locking part 9 is the first bent part ( 314) is shown as an example.

상기 잠금부(9)가 상기 제1절곡부(314)에 구비될 경우, 상기 이송바디(951)는 상기 제1절곡부(314)에 구비되어 드로워 바디(31)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왕복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고, 상기 이송부 가이더(99)는 제1절곡부(314)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바디(95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제1바(911)의 길이는 상기 제2바(92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게 될 것이다.When the locking part 9 is provided in the first bent part 314, the transfer body 951 is provided in the first bent part 314 in the height direction (Y axis) of the drawer body 31. direction), the conveying part guider 99 should be provided on the first bent part 314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body 951, and the first bar 911 The length of will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bar 921.

또한, 상기 제1체결부(91)에 구비된 제1바 자유단(F1)은 상기 제2면(312)에 나란한 캐비닛(2)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92)에 구비된 제2바 자유단(F2)은 상기 제3면(313)에 나란한 캐비닛(2)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bar free end F1 provided in the first fastening part 91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inet 2 parallel to the second surface 312,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 92), the free end F2 of the second bar should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inet 2 parallel to the third surface 313.

즉, 상기 제1수용부(93)는 상기 제2면(312)에 나란한 캐비닛(2)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수용부(94)는 상기 제3면(313)에 나란한 캐비닛(2)의 내주면에 고정되어야 할 것이다.That i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93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inet 2 parallel to the second surface 31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94 is parallel to the third surface 313 of the cabinet ( 2) should b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나아가, 상기 제2바(921)는 상기 제2결합부(923)가 구비되며 상기 제1절곡부(314)에 위치하는 바 바디(921a), 상기 제2바 자유단(F2)이 구비되며 상기 제2절곡부(315)에 위치하는 바 착탈부(921b), 상기 제1면(311)의 너비방향(X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바디(921c), 상기 바 바디(921a)와 상기 연결바디(921c)를 연결하며 상기 제1절곡부를 향해 경사진 제1경사부(921d), 상기 바 바디(921a)와 상기 바 착탈부(921b)를 연결하며 상기 제2절곡부를 향해 경사진 제2경사부(921e)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제2경사부(921e)는 상기 제2바 자유단(F2)이 상기 제1바(911)의 연장선 상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second bar 921 is provided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923 and is provided with a bar body 921a positioned at the first bent portion 314 and a free end F2 of the second bar. The bar detachable portion 921b located at the second bent portion 315, the connection body 921c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311, and the bar body 921a A first inclined portion 921d connecting the connection body 921c and inclined toward the first bent portion, and connecting the bar body 921a and the bar attaching and detaching portion 921b and inclined toward the second bent portion It should be provided as a second inclined portion 921e. In this case, the second inclined portion 921e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free end F2 of the second bar is positioned on an extension of the first bar 911 .

상기 드로워 바디(31)에는 상기 제2바(921)의 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더(3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가이더(36)는 제1면(31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바(921)의 하부면만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바(921)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draw body 31 may include a first guider 36 that guides the motion of the second bar 921, and the first guider 36 protrudes from the first surface 311 to It may be provided to support only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r 921, or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bar 921, respectively.

한편, 상기 드로워 패널(33)에는 상기 제2바(921)와 제1면(311)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2가이더(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second guider 37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ar 921 and the first surface 311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draw panel 33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캐비닛의 전방면에 나란하고 상기 제1면(311)과 소정거리 이격된 패널 전방면(33a), 상기 패널 전방면(33a)의 양측면 위치하여 상기 패널 전방면을 상기 드로워 바디(31)에 고정시키는 제1측면(33c) 및 제2측면(33d)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가이더(37)는 상기 패널 전방면(33a)에서 상기 드로워 바디의 제1면(311)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awer panel 33 is located on the panel front surface 33a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3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on both sides of the panel front surface 33a. A first side surface 33c and a second side surface 33d fix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anel to the drawer body 31 may be provided, and the second guider 37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33a of the panel. It may protrude toward the first surface 311 of the drawer body.

또한, 상기 드로워 바디(31)에는 상기 제1바 자유단(F1)을 지지하는 제3가이더(38), 상기 제2바 자유단(F2)를 지지하는 제4가이더(39)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w body 31 further includes a third guider 38 supporting the free end F1 of the first bar and a fourth guider 39 supporting the free end F2 of the second bar. It can be.

상기 제3가이더(38)는 드로워 바디의 제2면(312)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33)을 향해 연장되는 제3가이더 바디(381), 상기 제3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바 자유단(F1)이 삽입되는 제3가이더 바디 관통홀(383)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guider 38 is provided to pass through a third guider body 381 extending from the second surface 312 of the draw body toward the draw panel 33 and through the third guider body. It may be provided as a third guider body through-hole 383 into which the 1-bar free end F1 is inserted.

마찬가지로, 상기 4가이더(39)는 드로워 바디의 제3면(313)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33)을 향해 연장되는 제4가이더 바디(391), 상기 제4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바 자유단(F2)이 삽입되는 제4가이더 바디 관통홀(393)로 구비될 수 있다.Similarly, the 4-guider 39 is provided to pass through a fourth guider body 391 extending from the third surface 313 of the draw body toward the draw panel 33, and the fourth guider body. It may be provided as a fourth guider body through-hole 393 into which the second bar free end F2 is inserted.

상술한 실시예는 드로워 바디(31)의 바닥면에 나란한 터브(4)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드로워 바디의 바닥면에 나란한 터브의 단면이 반드시 원형인 경우에만 적용 가능한 특징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case w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tub 4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body 31 is circular, but only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tub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 body is necessarily circular. Not an applicable feature.

즉, 상술한 실시예는 상기 터브(4)의 외주면 중 드로워 바디의 제1면(311), 제2면(312) 및 제3면(313)을 향하는 면이 곡면으로 구비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surfaces facing the first surface 311, the second surface 312, and the third surface 313 of the drawer body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ub 4 are curved. can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부(9)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process of the locking unit 9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슬롯(976)이 모터의 회전축(973)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면(제1결합부(913)는 제1슬롯(953)의 상단에 위치되고 제2결합부(923)는 제2슬롯(955)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 상기 제1바 자유단(F1)은 제1수용부(93)에서 분리되고 제2바 자유단(F2)는 제2수용부(94)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인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body slot 976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rotational axis 973 of the motor (the first coupling part 913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lot 95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923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lot 955), the first bar free end F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93, and the second bar free end F2 is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F2. It remains disconnected from section 94. Accordingly, the user can withdraw the drawer 3 from the cabinet 2 .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관통홀(351), 투입구(41) 및 드럼 투입구(53)를 통해 드럼 바디(51)에 의류를 투입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drawer 3 is withdrawn from the cabinet 2, the user can put clothes into the drum body 51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51, the input hole 41, and the drum input hole 53. .

상기 드럼(5)에 의류 투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3)를 캐비닛(2) 내부로 밀어넣은 후 컨트롤패널(331)의 입력부(332)를 통해 제1처리장치의 작동을 지시한다(제어명령을 입력)한다.After putting clothes into the drum 5, the user pushes the drawer 3 into the cabinet 2 and instructs the operation of the first treatment device through the input unit 332 of the control panel 331. (enter control comman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332)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C)는 모터(571)를 작동시켜 회전축(973)을 회전시킨다.As shown in FIG. 3 , 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32 , the control unit C operates the motor 571 to rotate the rotary shaft 973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 모터의 회전축(973)이 회전하면, 이송바디(951)는 이송부 가이더(99)를 따라 드로워(3)의 상단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바디(951)의 상승으로 바디슬롯(976)이 회전축(973)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하면, 제1체결부(91)와 제2체결부(92)는 도 6의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4 , when the rotating shaft 973 of the motor is rotated by the control unit, the transfer body 951 moves toward the upper end of the drawer 3 along the guider 99 of the transfer unit. When the body slot 976 moves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rotation shaft 973 due to the lifting of the transfer body 951, the first fastening part 9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92 become in the state shown in FIG. 6 .

즉, 바디슬롯(976)이 회전축(973)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하면, 제1바 자유단(F1) 및 제2바 자유단(F2)은 이송바디(95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각각 이동(제1바와 제2바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That is, when the body slot 976 moves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rotating shaft 973, the first bar free end F1 and the second bar free end F2 move toward a direction away from the transfer body 951, respectively ( The first bar and the second bar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각 바의 자유단(F1, F2)이 이송바디(95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제1바 자유단(F1)은 제1수용부(93)에 결합되고, 제2바 자유단(F2)은 제2수용부(94)에 결합되므로 드로워 바디(31)는 캐비닛(2)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럼(5)의 회전 시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free ends F1 and F2 of each bar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ransfer body 951, the first bar free end F1 is coupl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93, and the second bar free end ( Since F2) is coupl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94, the drawer body 31 is fixed to the cabinet 2.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rawer 3 from being drawn out of the cabinet 2 when the drum 5 rotates.

상기 컨트롤패널(331)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실행이 완료되면, 제어부(C)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573)을 회전시켜 상기 바디슬롯(976)을 모터의 회전축(973)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시킨다.When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control panel 331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 rotates the rotating shaft 573 of the motor to move the body slot 976 to a lower position than the rotating shaft 973 of the motor. mov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슬롯(976)이 모터의 회전축(973)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바 자유단(F1)은 제1수용부(93)에서 분리되고 제2바 자유단(F2)는 제2수용부(94)에서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인출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7 , when the body slot 976 moves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rotating shaft 973 of the motor, the free end F1 of the first ba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93 and the second Since the free end F2 of the bar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94, the user can withdraw the drawer 3 from the cabinet 2.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부(9)는 드럼(5)의 회전 중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지만, 상기 드럼의 회전 중(제1처리장치의 작동 중, 제1처리장치에 입력된 제어명령이 완료되기 전) 드로워(3)를 인출시켜야 할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The locking part 9 having the above structure can prevent the drawer 3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cabinet 2 during rotation of the drum 5, but during rotation of the drum (during operation of the first treatment device). , before the control command input to the first processing device is completed), when a situation in which the drawer 3 needs to be withdrawn occurs, it is difficult to release the state in which the drawer 3 is fixed to the cabinet 2. .

상기 드럼(5)의 회전 중 드로워(3)의 인출이 필요한 상황은 드럼(5)에 의류를 추가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1처리장치가 어떤 원인에 의해 입력된 제어명령을 완료하지 못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A situation in which the drawer 3 needs to be withdrawn while the drum 5 rotates is when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supply clothes to the drum 5, and the first processing device fails to complete the input control command for some reason. case, etc.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잠금부(9)를 제어하는 잠금해제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laundry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locking unit 6 that controls the locking unit 9 so that the drawer 3 can be withdrawn from the cabinet 2. can include mor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해제부(6)는 상기 드로워 패널(33)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33a, 33b, 33c, 33d) 중 제1측면(33c)과 제2측면(33d)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8 , the unlocking part 6 has a first side surface 33c and a second side surface 33d among surfaces 33a, 33b, 33c, and 33d formed by the drawer panel 33. ) is preferably provided in any one of them.

상기 컨트롤패널(331)이 구비되는 패널 상부면(33b)에 잠금해제부(6)가 구비될 수 있지만, 제1처리장치(100)의 상부면에 제2처리장치(200)가 안착될 경우, 사용자가 잠금해제부(6)에 접근하기 어려운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의 캐비닛(2) 상부면에 상기 제2처리장치(200)가 안착 될 경우, 상기 패널 상부면(33b)은 제2처리장치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도 1 참고). 따라서, 상기 패널 상부면(33b)에 잠금해제부(6)가 위치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Although the unlocking part 6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33b of the panel where the control panel 331 is provided, when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2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cessing device 100 ,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ccess the unlocking unit 6 may occur. This is because when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2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2 of the first processing device, the panel upper surface 33b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 see Figure 1).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for the unlocking part 6 to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33b of the panel.

한편, 항상 사용자의 접근이 가능한 패널 전방면(33a)에 상기 잠금해제부(6)가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심미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unlocking unit 6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33a of the panel, which is always accessible to the user, in this case, the aesthetic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grad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잠금해제부(6)는 상기 드로워 패널(33) 내부에 고정된 지지부(61), 상기 지지부(6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패널 관통홀(339)에 삽입되는 가압부(64), 상기 가압부(64)가 상기 드로워 패널(33) 내부로 가압되면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C)에 전송하는 신호발생부(63)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unlocking part 6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from the support part 61 fixed inside the drawer panel 33 and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second When the pressing part 64 is inserted into the panel through-hole 339 provided on one of the two sides and the pressing part 64 is pressed into the drawer panel 33,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generate the control unit C. ) It may be provided as a signal generator 63 for transmission to

상기 지지부(61)는 드로워 패널(33)에 고정되는 지지바디(611),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6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613)로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61 may include a support body 611 fixed to the drawer panel 33 and an elastic force providing part 613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body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part 64. there is.

상기 탄성력 제공부(613)는 상기 지지바디(61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C'자 형상의 슬릿(slit)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탄성력 제공부(613)는 상기 가압부(6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force providing part 613 may be provided as a 'C' shaped slit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body 611. In this case, the elastic force providing part 613 is the pressing part 64 ) It is preferably provided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잠금해제부(6)는 사용자가 가압부(64)를 드로워 패널(33) 내부로 가압하면, 상기 신호발생부(63)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C)에 전송하고, 제어부(C)는 상기 제1체결부(91)와 상기 제2체결부(92)가 각 수용부(93, 94)에서 분리되도록 모터(971)를 제어하게 될 것이다.In the unlocking unit 6 having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unit 64 into the drawer panel 33, the signal generating unit 63 generates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C. And, the controller C will control the motor 971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art 9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92 are separated from the respective accommodating parts 93 and 94.

한편, 상기 패널 관통홀(339)을 통해 물이 드로워 패널(33) 내부로 유입될 경우, 신호발생부(63)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패널 관통홀(339)과 상기 신호발생부(63) 사이에는 상기 지지바디(611)와 상기 가압부(64)를 연결하되 상기 패널 관통홀(339)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확장부(65)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when water flows into the drawer panel 33 through the panel through-hole 339, the signal generator 63 may be damaged, so the panel through-hole 339 and the signal generator 63 ) may further include an expansion part 65 connecting the support body 611 and the pressing part 64 but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panel through-hole 339.

상기 확장부(65)가 상기 패널 관통홀(339)과 상기 신호발생부(63) 사이에 구비되면, 상기 패널 관통홀(339)을 통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물이 상기 신호발생부(63)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expansion part 65 is provided between the panel through-hole 339 and the signal generator 63, even if water flows in through the panel through-hole 339, water flows into the signal generator 63. movement can be prevented.

상술한 잠금해제부(6)는 신호발생부(63)에서 발생된 제어신호가 제어부(C)를 통해 모터(971)에 전달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했지만, 상기 신호발생부(63)는 모터(971)에 직접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unlocking unit 6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case where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ng unit 63 is transferred to the motor 971 through the control unit C, but the signal generating unit 63 is a motor It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directly to 971.

다만, 상술한 잠금해제부(6)가 파손될 경우, 상기 잠금부(9)를 해제시켜 드로워(3)를 캐비닛(2)에서 분리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91, 92)가 각 수용부(93, 94)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바디(951)를 이동시키는 와이어(67)가 더 구비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above-described unlocking unit 6 is damaged,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drawer 3 from the cabinet 2 by releasing the locking unit 9 .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wire 67 for moving the transfer body 951 so that the fastening parts 91 and 92 can move in a direction separated from the respective receiving parts 93 and 94. may be provid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67)는 일단은 상기 이송바디(951)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드로워 패널(33)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의 자유단에는 핸들(69)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one end of the wire 67 may be fixed to the transfer body 951 and a free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rawer panel 33 . In this case, a handle 69 may be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wire.

따라서, 도 4와 같이 드로워(3)가 캐비닛(2)에 고정된 상태에서 잠금해제부(6)가 고장날 경우, 사용자는 핸들(69)을 당겨 이송바디(951)를 드로워 패널(33)의 하부방향(드로워의 바닥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이송바디(951)는 도 7과 같이 이동하므로, 제1체결부(91)는 제1수용부(93)에서 분리되고, 제2체결부(92)는 제2수용부(94)에서 분리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잠금해제부가 고장난 경우에도 드로워(3)와 캐비닛(2)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 , when the unlocking unit 6 fails while the drawer 3 is fixed to the cabinet 2, the user pulls the handle 69 to move the transfer body 951 to the drawer panel 33. ) in the lower direc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Then, since the transfer body 951 moves as shown in FIG. 7, the first fastening part 9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93,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92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94. will be separat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drawer 3 and the cabinet 2 even when the unlocking unit is out of order.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its right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will be able to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캐비닛 21: 출입구 3: 드로워
31: 드로워 바디 311: 제1면 312: 제2면
313: 제3면 314: 제1절곡부 315: 제2절곡부
33: 드로워 패널 33c: 제1측면 33d: 제2측면
331: 컨트롤패널 35: 드로워 커버 36: 제1가이더
37: 제2가이더 38: 제3가이더 39: 제4가이더
4: 터브 41: 투입구 42: 급수구
45: 도어 48: 터브지지부 5: 드럼
6: 잠금해제부 61: 지지부 611: 지지바디
613: 탄성력제공부 64: 가압부 63: 신호발생부
65: 확장부 7: 급수부 8: 배수부
9: 잠금부 91: 제1체결부 911: 제1바
913: 제1결합부 92: 제2체결부 921: 제2바
923: 제2결합부 93: 제1수용부 94: 제2수용부
95: 이송부 97: 구동부
2: cabinet 21: doorway 3: drawer
31: Drawer body 311: First surface 312: Second surface
313: third surface 314: first bent portion 315: second bent portion
33: drawer panel 33c: first side 33d: second side
331: control panel 35: drawer cover 36: first guider
37: 2nd guider 38: 3rd guider 39: 4th guider
4: tub 41: inlet 42: water inlet
45: door 48: tub support 5: drum
6: unlocking part 61: support part 611: support body
613: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64: pressing unit 63: signal generating unit
65: expansion part 7: water supply part 8: drainage part
9: locking part 91: first fastening part 911: first bar
913: first coupling part 92: second fastening part 921: second bar
923: second coupling part 93: first accommodating part 94: second accommodating part
95: transfer unit 97: drive unit

Claims (17)

출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되는 제1면, 상기 제1면의 양단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면 및 제3면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
상기 드로워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면, 상기 제2면 및 상기 제3면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외주면은 곡면으로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드로워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바디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기 제1면은, 상기 제2면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절곡된 제1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절곡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드로워 패널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드로워 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제2면에 나란한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상기 제3면에 나란한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cabinets with entrances;
A drawer body including a first surface pro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ntrance is located, second and third surface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surface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and withdrawable from the cabinet through the entrance. ;
a drawer panel fixed to the drawer body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a tub provided inside the drawer body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having a curv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ositio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and accommodating clothes; and
a locking part provided on the drawer body to prevent the drawer body from being drawn out of the cabinet;
The first surface of the drawer body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bent to protrude toward a sp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The locking part may include: a transfer part provided in the first bent part,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bent part and the drawer panel,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a first fastening part reciprocat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by the transfer part and detachably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inet parallel to the second surface; and
and a second fastening part reciprocat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by the transfer par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inet parallel to the thir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높이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제1슬롯 및 제2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슬롯의 상단과 상기 제1슬롯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슬롯의 하단과 상기 제2슬롯의 하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으며,
상기 제1체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슬롯에 연결되고, 자유단이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2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슬롯에 연결되고, 자유단이 상기 캐비닛의 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first slot and a second slot having a length along a height direction, and a distance between an upper end of the first slot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slot is It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lot,
The first fastening part includes a first ba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slo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slot and having a free end detach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abinet;
The second fastening part includes a second ba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lo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second slot and a free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abin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제3면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절곡된 제2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바는
상기 제2슬롯에 연결된 일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드로워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바 바디;
상기 캐비닛의 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유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절곡부와 상기 드로워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바 착탈부;
상기 제1면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바디;
상기 바 바디와 상기 연결바디를 연결하며, 상기 제1절곡부를 향해 경사진 제1경사부; 및
상기 바 바디와 상기 바 착탈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절곡부를 향해 경사진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surface further includes a second bent portion bent to protrude toward a space formed between the third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The second bar is
a bar body includ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lot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ent part and the drawer panel;
a detachable bar portion including a free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drawer panel;
a connection body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a first inclined portion connecting the bar body and the connection body and inclined toward the first bent portion; and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connecting the bar body and the detachable bar portion and inclined toward the second bent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의 자유단은, 상기 제1바 일단이 상기 제1슬롯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1바의 일단이 상기 제1슬롯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바의 자유단은 상기 제2바의 일단이 상기 제2슬롯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캐비닛의 타면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바의 일단이 상기 제2슬롯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캐비닛의 타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ree end of the first bar is separated from one surface of the cabinet when one end of the first bar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lot, and one end of the first bar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lot. In the case, 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binet,
The free end of the second bar is separat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cabinet when one end of the second bar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lot, and one end of the second bar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lot. In this case,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abi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를 상기 드로워 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회전축이 구비된 모터;
상기 이송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의 왕복 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바디슬롯;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암; 및
상기 암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슬롯에 삽입되는 슬롯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슬롯의 길이는 상기 슬롯연결부가 형성하는 궤적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상기 슬롯연결부가 형성하는 궤적의 지름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drawer body to reciprocate the transfer uni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the driving unit,
A motor equipped with a rotating shaft;
a body slot provided in the transfer unit and provided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iprocating motion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an arm fixed to the rotating shaft; and
A slot connection part provided on the arm and inserted into the body slot; includes,
The length of the body slot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track formed by the slot connection part or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rack formed by the slot connec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부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guider provided on the first bent part to provide a moving path for the transfer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의 자유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제1수용부;
상기 캐비닛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의 자유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제2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accommodating par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binet, detachably coupled to a free end of the first bar, and spaced apart from the entran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A second accommodat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abinet, to which the free end of the second bar is detachably coupled, and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ntran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clothes handl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and a first guider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to provide a moving path for the second b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패널에서 상기 제2바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바와 상기 제1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2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and a second guider protruding from the drawer panel toward the second bar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ar and the first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제3가이더 바디;
상기 제3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바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제3가이더 바디 관통홀;
상기 제3면에서 상기 드로워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제4가이더 바디;
상기 제4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바 자유단이 삽입되는 제4가이더 바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third guider body extending from the second surface toward the drawer panel;
a third guider body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third guider body and into which a free end of the first bar is inserted;
a fourth guider body extending from the third surface toward the drawer panel;
and a fourth guider body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ourth guider body and into which the free end of the second bar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드로워 패널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면의 중심부와 상기 드로워 패널 사이의 간격보다 큰,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ent portion and the drawer panel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drawer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부를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로워 패널에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잠금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riving unit reciprocating the transfer uni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and
and an unlocking unit provided on the drawer panel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e unit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re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ine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
상기 드로워 패널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구동부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컨트롤패널;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드럼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잠금해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2,
a drum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rum;
a control panel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awer panel and inputting control command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rum driving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rum drive uni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control panel and control the drive uni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lock release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바디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지 않으면 상기 컨트롤패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의 세탁 또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의류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3,
a second cabinet seated on top of the cabinet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rol pane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rawer body is not withdrawn from the cabine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lothes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side the second cabinet and providing a space for washing or drying cloth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패널은 상기 드로워 패널의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패널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드로워 패널 내부에 고정된 지지부; 상기 패널 관통홀에 삽입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가 상기 드로워 패널 내부로 가압되면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신호발생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되 상기 패널 관통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패널 관통홀과 상기 신호발생부 사이에 위치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drawer panel further includes a panel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drawer panel,
The unlocking unit may include a support unit fixed inside the drawer panel; a pressing unit inserted into the panel through-hole; a signal generato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pressing unit is pressed into the drawer panel; and an expansion part connecting the support part and the pressing part,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panel through hole, and positioned between the panel through hole and the signal generating par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구동부의 작동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5,
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unlocking unit, the control unit not only controls the drive unit so that the first fastening unit and the second fastening unit are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but also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um driving unit. A clothes handling device made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제3면과 상기 터브의 원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절곡된 제2 절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절곡부와 상기 드로워 패널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면의 중심부와 상기 드로워 패널 사이의 간격보다 큰,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rface further includes a second bent portion bent to protrude toward a space formed between the third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drawer panel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drawer panel.
KR1020160000986A 2015-03-02 2016-01-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826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986A KR102482657B1 (en) 2016-01-05 2016-01-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6226784A AU2016226784B2 (en) 2015-03-02 2016-02-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CT/KR2016/002029 WO2016140490A1 (en) 2015-03-02 2016-02-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610115882.5A CN105937122B (en) 2015-03-02 2016-03-01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EP16158045.1A EP3064637A1 (en) 2015-03-02 2016-03-01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drawer
US15/058,258 US10125442B2 (en) 2015-03-02 2016-03-0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drawer locking unit
US16/186,175 US10954618B2 (en) 2015-03-02 2018-11-0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drawer locking unit
AU2018282397A AU2018282397B2 (en) 2015-03-02 2018-12-2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986A KR102482657B1 (en) 2016-01-05 2016-01-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940A KR20170081940A (en) 2017-07-13
KR102482657B1 true KR102482657B1 (en) 2022-12-29

Family

ID=5935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986A KR102482657B1 (en) 2015-03-02 2016-01-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6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418B1 (en) * 2020-02-21 202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493056B1 (en) * 2020-03-06 202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746A (en) * 2001-03-26 2002-10-03 Okamura Corp Cabine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115B1 (en) * 2014-05-30 2021-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746A (en) * 2001-03-26 2002-10-03 Okamura Corp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940A (en)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461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drawer locking unit
KR10231608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8265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8506313A (en)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AU202122189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190017209A1 (en) Clothes-handling apparatus
KR20170135113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70037182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265600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38167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1608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023289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049838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