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282B1 -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282B1
KR102482282B1 KR1020210176405A KR20210176405A KR102482282B1 KR 102482282 B1 KR102482282 B1 KR 102482282B1 KR 1020210176405 A KR1020210176405 A KR 1020210176405A KR 20210176405 A KR20210176405 A KR 20210176405A KR 102482282 B1 KR102482282 B1 KR 102482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bolt
recycled plastic
bricks
assembl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7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을 재활용한 벽돌을 볼트로 체결하여 조립하는 벽돌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볼트조립형 벽돌(11)을 시멘트몰타르가 시공된 바닥위에 얹고, 제2 볼트(B)를 수직나사구멍(13)에 삽입하고 조여서 상기 바닥에 고정시킨 후, 적조하는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으로 구현한다.
상기 볼트조립형 벽돌(11)은 수평으로 볼트를 조일 수 있도록 벽돌 정면에는 수평나사구멍(12)이 각 벽돌 마다 일정 간격을 두고 4개씩 형성되고, 벽돌 상부에는 수직으로 볼트를 조일 수 있도록 수직나사구멍(13)이 각 벽돌 마다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볼트조립형 벽돌(11)을 초보자도 손쉽게 적조시킬 수 있도록 상부와 저부에 V자 형상으로 오목한 오목부(V)가 형성된 하부벽돌(111)과, 상부와 저부에 A자 형상으로 볼록한 볼록부(A)가 형성된 상부벽돌(A)로 이루어지고, 하부벽돌(111)과 상부벽돌(112)이 상하 교대로 반복적으로 연속되면서 적조되며; 상기 오목부(V)와 상기 볼록부(V)는 서로 잘 맞물리도록 크기와 형상이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트조립형 벽돌(11) 배면에는 적조된 복수개의 벽돌과 볼트로 체결할 수 있는 볼트체결판(21)이 위치하고, 이 볼트체결판(21)에는 상기 수평나사구멍(12)과 대응된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홀(22)이 형성되며; 제1 볼트(B1)을 이용하여 볼트체결판(21)의 관통홀(22) 및 벽돌(11)의 수평나사구멍에 삽입되면서 체결되며, 상기 관통홀(22) 및 수평나사구멍(12)의 각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볼트(B1)이 체결되기에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 제조방법{Brick manufacturing method of bolt assembly type brick system}
본 발명은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한 벽돌을 볼트로 체결하여 조립하는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의 종래기술을 살펴보도록 한다.
등록번호 10-1125177(조립식 벽돌)호에 따르면, "조립식 벽돌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습식으로 조적할 때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시멘트 몰탈은 물과 시멘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벽돌을 조적하는데 어려움이 많아 이에 대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반인들도 건식으로 간단하고 빠르게 벽돌을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벽에 체결구로 고정시킨 벽체 고정용 가이드 레일에 벽돌을 하나씩 삽입해가면 조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벽돌(20)을 조립할 수 있게 ㄷ자형으로 이루어진 본체(11)의 양단부를 각각 상부와 하부로 절곡하여 상부 돌출편(12)과 하부 돌출편(13)이 형성된 벽체 고정용 가이드레일(10)과, 상기 상부 돌출편(12)과 하부 돌출편(13)에 삽입할 수 있게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상부 삽입구(21)와 하부 삽입구(22)가 형성된 벽돌(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을 제공한다."라고 공개된 바가 있다.
등록번호 10-1125177(조립식 벽돌)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벽돌은 실제 현장에서 시공할 때 수년간의 경력을 가진 기술자가 아니면, 초보자들이 간편하게 시공하기가 어렵고, 시멘트몰타르가 굳기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시공기간도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공장에서 미리 제조된 플라스틱벽돌에 전동으로 조이는 전동공구로 간편하게 볼트 체결 방식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초보자들이라도 숙련자 못지 않은 작업속도를 보여주는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폐기물을 이용하여 볼트조립형 플라스틱벽돌을 제조하는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볼트조립형 벽돌(11)을 시멘트몰타르가 시공된 바닥위에 얹고, 제2 볼트(B)를 수직나사구멍(13)에 삽입하고 조여서 상기 바닥에 고정시킨 후, 적조하는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으로 구현한다.
상기 볼트조립형 벽돌(11)은 수평으로 볼트를 조일 수 있도록 벽돌 정면에는 수평나사구멍(12)이 각 벽돌 마다 일정 간격을 두고 4개씩 형성되고, 벽돌 상부에는 수직으로 볼트를 조일 수 있도록 수직나사구멍(13)이 각 벽돌 마다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볼트조립형 벽돌(11)을 초보자도 손쉽게 적조시킬 수 있도록 상부와 저부에 V자 형상으로 오목한 오목부(V)가 형성된 하부벽돌(111)과, 상부와 저부에 A자 형상으로 볼록한 볼록부(A)가 형성된 상부벽돌(A)로 이루어지고, 하부벽돌(111)과 상부벽돌(112)이 상하 교대로 반복적으로 연속되면서 적조되며; 상기 오목부(V)와 상기 볼록부(V)는 서로 잘 맞물리도록 크기와 형상이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트조립형 벽돌(11) 배면에는 적조된 복수개의 벽돌과 볼트로 체결할 수 있는 볼트체결판(21)이 위치하고, 이 볼트체결판(21)에는 상기 수평나사구멍(12)과 대응된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홀(22)이 형성되며; 제1 볼트(B1)을 이용하여 볼트체결판(21)의 관통홀(22) 및 벽돌(11)의 수평나사구멍에 삽입되면서 체결되며, 상기 관통홀(22) 및 수평나사구멍(12)의 각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볼트(B1)이 체결되기에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조립형 벽돌(11)의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체결판(21)은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가로와 세로 기준 길이에 따른 선별기준구멍으로 재활용플라스틱이 일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컨베이어로 이송되면서 상기 선별기준구멍으로 재활용플라스틱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선별기준구멍보다 큰 재활용플라스틱은 그대로 직진함으로써 재활용플라스틱을 가로 세로 크기별로 분류되는 단계 S11; 상기 선별기준구멍으로 떨어진 재활용플라스틱은 작은 호퍼로 컨베이어 이송이 수행되고 상기 선별기준구멍으로 떨어지지 않은 재활용플라스틱은 큰 호퍼로 컨베이어 이송이 수행되면서 크기별로 호퍼에 투입되는 단계 S12; 상기 단계 S12를 거쳐 호퍼에 투입된 재활용플라스틱을 분쇄하여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 및 분쇄하는 단계 S13;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된 재활용플라스틱 입자를 메쉬(MESH) 벨트 컨베이어 상에 얹어서 이송시킴으로써 입자가 매우 작은 미세플라스틱 뿐만 아니라, 재활용플라스틱에 남아있는 물기를 떨어뜨림으로써 분쇄입자를 탈수처리하는 단계 S14; 상기 단계 S14에서 탈수처리된 재활용플라스틱 입자를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면서 일정 온도 이하의 온풍을 불어서 탈수입자를 건조처리하는 단계 S15; 상기 단계 S15에서 건조처리된 재활용플라스틱 입자를 재활용플라스틱이 녹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재활용플라스틱 재질로 압출시키는 단계 S16; 가열압출된 재활용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볼트조립형 벽돌(11)로 성형하기 위하여 사각형상의 벽돌로 성형시킨 후, 제조하고자 하는 벽돌을 하부벽돌(111)과 상부벽돌(112)로 1:1로 구분하고, 하부벽돌(111)의 상부와 저면에는 오목부(V)를 형성시키고, 상부벽돌(112)의 상부와 저면에는 볼록부(A)를 형성시키며, 벽돌의 상부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1개의 수직나사구멍(13)을 형성시키며, 벽돌의 정면에는 수평방향으로 4개의 수평나사구멍(12)을 형성하도록 가공하는 단계 S17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효과에 따르면, 플라스틱벽돌을 볼트로 체결하는 전동공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초보자라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벽돌에 형성된 볼록부와 오목부를 이용하여 벽돌 간격을 자동으로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작업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플라스틱폐기물을 이용하는 벽돌이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조립형 벽돌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조립형 벽돌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요철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조립형 벽돌들과 체결되는 볼트체결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과 볼트체결판 그리고 제1 볼트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부투과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과 볼트체결판 그리고 제1 볼트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이 지면상에 볼트로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폐기물을 이용하여 플라스틱벽돌로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조립형 벽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조립형 벽돌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요철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조립형 벽돌들과 체결되는 볼트체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과 볼트체결판 그리고 제1 볼트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부투과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과 볼트체결판 그리고 제1 볼트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이 지면상에 볼트로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폐기물을 이용하여 플라스틱벽돌로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볼트조립형 벽돌(11)을 시멘트몰타르가 시공된 바닥위에 얹고, 제2 볼트(B)를 수직나사구멍(13)에 삽입하고 조여서 상기 바닥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볼트조립형 벽돌(1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으로 볼트를 조일 수 있도록 벽돌 정면에는 수평나사구멍(12)이 각 벽돌 마다 일정 간격을 두고 4개씩 형성되고, 벽돌 상부에는 수직으로 볼트를 조일 수 있도록 수직나사구멍(13)이 각 벽돌 마다 하나씩 형성된다.
또한, 벽돌을 초보자도 손쉽게 적조시킬 수 있도록 상부와 저부에 V자 형상으로 오목한 오목부(V)가 형성된 하부벽돌(111)과, 상부와 저부에 A자 형상으로 볼록한 볼록부(A)가 형성된 상부벽돌(A)로 이루어지고, 하부벽돌(111)과 상부벽돌(112)이 상하 교대로 반복적으로 연속되면서 적조된다. 이때, 상기 오목부(V)와 상기 볼록부(V)는 서로 잘 맞물리도록 크기와 형상이 대응되도록 형성한다.
예컨대, 적조된 벽돌 1층이 하부벽돌(111)로 이루어진다면 그 위에 얹혀지는 벽돌 2층은 상부벽돌(112)이고, 그 위에 얹혀지는 벽돌 3층은 하부벽돌(111)이며, 그 위에 얹혀지는 벽돌 4층은 상부벽돌(112)로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돌 배면에는 적조된 복수개의 벽돌과 볼트로 체결할 수 있는 볼트체결판(21)이 위치하고, 이 볼트체결판(21)에는 상기 수평나사구멍(12)과 대응된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홀(2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볼트(B1)을 이용하여 볼트체결판(21)의 관통홀(22) 및 벽돌(11)의 수평나사구멍에 삽입되면서 체결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2) 및 수평나사구멍(12)의 각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볼트(B1)이 체결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그런데, 2층 높이 이상의 벽돌 하부에는 시멘트몰타르가 존재하지 않고, 그 아래에 적조된 2개의 벽돌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2층의 수직나사구멍(13)을 관통한 제2 볼트(B2)가 삽입되기에 용이하도록 벽돌의 재질을 유연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벽돌을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플라스틱은 환경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방법을 먼저 고려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을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가로와 세로 기준 길이에 따른 선별기준구멍으로 재활용플라스틱이 일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컨베이어로 이송되면서 상기 선별기준구멍으로 재활용플라스틱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선별기준구멍보다 큰 재활용플라스틱은 그대로 직진함으로써 재활용플라스틱을 가로 세로 크기별로 분류되는 단계 S11을 진행한다.
상기 선별기준구멍으로 떨어진 재활용플라스틱은 작은 호퍼로 컨베이어 이송이 수행되고 상기 선별기준구멍으로 떨어지지 않은 재활용플라스틱은 큰 호퍼로 컨베이어 이송이 수행되면서 크기별로 호퍼에 투입되는 단계 S12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 S12를 거쳐 호퍼에 투입된 재활용플라스틱을 분쇄하여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 및 분쇄하는 단계 S13,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된 재활용플라스틱 입자를 메쉬(MESH) 벨트 컨베이어 상에 얹어서 이송시킴으로써 입자가 매우 작은 미세플라스틱 뿐만 아니라, 재활용플라스틱에 남아있는 물기를 떨어뜨림으로써 분쇄입자를 탈수처리하는 단계 S14를 차례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14에서 탈수처리된 재활용플라스틱 입자를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면서 일정 온도 이하의 온풍을 불어서 탈수입자를 건조처리하는 단계 S15, 상기 단계 S15에서 건조처리된 재활용플라스틱 입자를 재활용플라스틱이 녹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재활용플라스틱 재질로 압출시키는 단계 S16을 차례로 수행한다.
가열압출된 재활용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볼트조립형 벽돌(11)로 성형하기 위하여 사각형상의 벽돌로 성형시킨 후, 제조하고자 하는 벽돌을 하부벽돌(111)과 상부벽돌(112)로 1:1로 구분하고, 하부벽돌(111)의 상부와 저면에는 오목부(V)를 형성시키도록 가공하고, 상부벽돌(112)의 상부와 저면에는 볼록부(A)를 형성시키도록 가공하며, 벽돌의 상부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1개의 수직나사구멍(13)을 형성시키며, 벽돌의 정면에는 수평방향으로 4개의 수평나사구멍(12)을 형성하도록 가공하는 단계 S17을 진행하여 볼트조립형 벽돌(11)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17에서는 벽돌을 사각형상으로 단순 성형후 가공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볼록부(A), 오목부(V)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부벽돌(111) 및 상부벽돌(112)를 성형한 다음, 수평나사구멍(12)과 수직나사구멍(13)을 가공하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11; 벽돌
12; 수평나사구멍
13; 수직나사구멍
A; 볼록부
V; 오목부
111; 하부벽돌
112; 상부벽돌
21; 볼트체결판
22; 관통홀
B1; 제1볼트
B2; 제2볼트

Claims (3)

  1. 볼트조립형 벽돌(11)을 시멘트몰타르가 시공된 바닥위에 얹고, 제2 볼트(B)를 수직나사구멍(13)에 삽입하고 조여서 상기 바닥에 고정시키고, 상기 볼트조립형 벽돌(11)은 수평으로 볼트를 조일 수 있도록 벽돌 정면에는 수평나사구멍(12)이 각 벽돌 마다 일정 간격을 두고 4개씩 형성되고, 벽돌 상부에는 수직으로 볼트를 조일 수 있도록 수직나사구멍(13)이 각 벽돌 마다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볼트조립형 벽돌(11)을 초보자도 손쉽게 적조시킬 수 있도록 상부와 저부에 V자 형상으로 오목한 오목부(V)가 형성된 하부벽돌(111)과, 상부와 저부에 A자 형상으로 볼록한 볼록부(A)가 형성된 상부벽돌(112)로 이루어지고, 하부벽돌(111)과 상부벽돌(112)이 상하 교대로 반복적으로 연속되면서 적조되며, 상기 오목부(V)와 상기 볼록부(A)는 서로 잘 맞물리도록 크기와 형상이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트조립형 벽돌(11) 배면에는 적조된 복수개의 벽돌과 볼트로 체결할 수 있는 볼트체결판(21)이 위치하고, 이 볼트체결판(21)에는 상기 수평나사구멍(12)과 대응된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홀(22)이 형성되며, 제1 볼트(B1)을 이용하여 볼트체결판(21)의 관통홀(22) 및 벽돌(11)의 수평나사구멍에 삽입되면서 체결되며, 상기 관통홀(22) 및 수평나사구멍(12)의 각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볼트(B1)이 체결되기에 용이하도록 한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볼트조립형 벽돌(11)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로와 세로 기준 길이에 따른 선별기준구멍으로 재활용플라스틱이 일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컨베이어로 이송되면서 상기 선별기준구멍으로 재활용플라스틱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선별기준구멍보다 큰 재활용플라스틱은 그대로 직진함으로써 재활용플라스틱을 가로 세로 크기별로 분류되는 단계 S11;
    상기 선별기준구멍으로 떨어진 재활용플라스틱은 작은 호퍼로 컨베이어 이송이 수행되고 상기 선별기준구멍으로 떨어지지 않은 재활용플라스틱은 큰 호퍼로 컨베이어 이송이 수행되면서 크기별로 호퍼에 투입되는 단계 S12;
    상기 단계 S12를 거쳐 호퍼에 투입된 재활용플라스틱을 분쇄하여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 및 분쇄하는 단계 S13;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된 재활용플라스틱 입자를 메쉬(MESH) 벨트 컨베이어 상에 얹어서 이송시킴으로써 입자가 매우 작은 미세플라스틱 뿐만 아니라, 재활용플라스틱에 남아있는 물기를 떨어뜨림으로써 분쇄입자를 탈수처리하는 단계 S14;
    상기 단계 S14에서 탈수처리된 재활용플라스틱 입자를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면서 일정 온도 이하의 온풍을 불어서 탈수입자를 건조처리하는 단계 S15;
    상기 단계 S15에서 건조처리된 재활용플라스틱 입자를 재활용플라스틱이 녹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재활용플라스틱 재질로 압출시키는 단계 S16;
    가열압출된 재활용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볼트조립형 벽돌(11)로 성형하기 위하여 사각형상의 벽돌로 성형시킨 후, 제조하고자 하는 벽돌을 하부벽돌(111)과 상부벽돌(112)로 1:1로 구분하고, 하부벽돌(111)의 상부와 저면에는 오목부(V)를 형성시키도록 가공하고, 상부벽돌(112)의 상부와 저면에는 볼록부(A)를 형성시키도록 가공하며, 벽돌의 상부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1개의 수직나사구멍(13)을 형성시키며, 벽돌의 정면에는 수평방향으로 4개의 수평나사구멍(12)을 형성하도록 가공하는 단계 S17을 포함하는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10176405A 2021-12-10 2021-12-10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 제조방법 KR102482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405A KR102482282B1 (ko) 2021-12-10 2021-12-10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405A KR102482282B1 (ko) 2021-12-10 2021-12-10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282B1 true KR102482282B1 (ko) 2022-12-30

Family

ID=8453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405A KR102482282B1 (ko) 2021-12-10 2021-12-10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2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957Y1 (ko) * 2001-11-27 2002-02-25 주식회사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벽돌
KR20090118780A (ko) * 2008-05-14 2009-11-18 권화숙 벽돌 패널
KR101125177B1 (ko) 2009-09-09 2012-03-19 김석렬 조립식 벽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957Y1 (ko) * 2001-11-27 2002-02-25 주식회사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벽돌
KR20090118780A (ko) * 2008-05-14 2009-11-18 권화숙 벽돌 패널
KR101125177B1 (ko) 2009-09-09 2012-03-19 김석렬 조립식 벽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0141B2 (en) Mold box for making first and second wall blocks
US5105595A (en) Mold panel unit and spring-water processing structure using mold panel units
US10273685B2 (en) Block interlocking module and system to build architectural structures
BR0012399A (pt) Elemento de molde perdido para a construção de lajes lisas de concreto reforçadas tradicionais
US3873225A (en) Paving stones
ATE164651T1 (de) Tragende thermoplastische elemente und daraus hergestellte strukturen
US9764495B2 (en) Molding equipment for molding inter-engaging brick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482282B1 (ko) 볼트조립형 벽돌시스템의 벽돌 제조방법
KR101037331B1 (ko)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EP2410102B1 (de) Bausteinsystem, insbesondere zur Erstellung von Bauwerken
WO2020034315A1 (zh) 装配式拼接隔墙轻薄模板
DE102017011331A1 (de) Formstein zur Errichtung von Mauern und Gebäuden
CN210342413U (zh) 一种易于砌筑的煤矸石烧结空心砖
DE202011110256U1 (de) Baustein, insbesondere zur Erstellung von Bauwerken
EP3766385A1 (en) Modular pavement
EP0390702B1 (en) Mold panel unit and spring-water processing structure using mold panel units
US3616590A (en) Prefabricated core structure for a prefabricated structural panel
EP1380700A1 (en) Antislip brick particularly suitable for antiseismic constructions
CN102975943B (zh) 用于预制件存放及运输的胶垫装置
CN219908422U (zh) 绿色环保节能高分子聚合pp聚丙烯高强扣牙式多彩漏水板
RU8922U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JPH0423145Y2 (ko)
JP3018123U (ja) 合成樹脂タイル
CN206091275U (zh) 建筑模板单元及建筑模板组
CN206175853U (zh) 一种缠绕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