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951B1 -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 Google Patents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951B1
KR102481951B1 KR1020200082744A KR20200082744A KR102481951B1 KR 102481951 B1 KR102481951 B1 KR 102481951B1 KR 1020200082744 A KR1020200082744 A KR 1020200082744A KR 20200082744 A KR20200082744 A KR 20200082744A KR 102481951 B1 KR102481951 B1 KR 10248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air
protective clothing
protection par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205A (ko
Inventor
송상현
Original Assignee
송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현 filed Critical 송상현
Priority to KR1020200082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9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5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having ventilation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41Retaining means for connecting the glove to the garment or the arm of the 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호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를 방호복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장치와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모듈이 구비된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장치가 체결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호복에 있어서, 몸통을 감싸도록 형성된 몸통보호부와 상기 몸통보호부 상부에 머리를 감싸도록 연통 형성되며, 일측에 투명 재질의 투시창을 포함하는 머리보호부와 상기 몸통보호부 상부 양측에 양팔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통 형성된 양팔보호부와 상기 몸통보호부 하부에 다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통 형성된 다리보호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상기 몸체의 착탈의를 위해 구비된 지퍼부, 상기 몸통보호부 배면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되어 상기 송풍장치와 결합되도록 결합모듈이 구비된 개방부, 상기 양팔보호부와 상기 다리보호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Protective clothing with blower}
본 발명은 방호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를 방호복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장치와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모듈이 구비된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에 관한 것이다.
방호복이라 함은, 연구실, 실험실, 원자력 발전소, 화학공장, 청정실 등에서 근무하는 사람이나, 정비사, 분진발생장소의 작업자 등이 신체와 의복 등을 보호하거나 인체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인체의 정전기 등을 차단시키기 위해서 착용하는 특수복을 말한다.
이러한 방호복은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구성되고, 그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크게는 두부를 덮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방사선 시설 내에서 근무할 경우에는 방사능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부를 완전히 덮도록 형성된 형태의 방호복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방호복의 원단은 주로 외부 공기가 전혀 통하지 않고 내부에서 발생된 땀이나 열 발산이 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방호복을 입고 장시간 작업 시 오히려 작업자의 집중력과 컨디션을 저하시켜 작업능률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2582호는 소정 재질의 방호용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모자, 상의 또는 하의에 소정 크기의 홀을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시키되, 상기 홀에 투습, 통풍 및 방수성 원단을 덧대고 핫멜트형 접착제로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투습, 통풍 및 방수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방호복에 관한 기술을 공지하는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방호복 내부에 공기를 유입하고 배출하는 방식이 아닌 투습, 통풍 및 방수성 원단을 덧대고 핫멜트형 접착제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방호복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방식이 아닌 내부에서 작업자에 의해 발생한 땀이 외부로 발산하는 방식으로 방호복 내부를 보다 시원하게 만들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6628호는 몸통과 다리 및 팔을 감싸고 있으며, 목부분이 개방되고 적어도 하나로 관통된 몸체 배출구를 가지는 몸체 피복과 머리를 감쌀 수 있고 적어도 하나로 관통된 후드 배출구를 가지는 후드 피복과 상기 후드 피복의 내부와 연통되어 마스크체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시키는 흡입관과 마스크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후드 피복과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마스크체의 내부에 호흡에 의해 발생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공기 주입형 방사선 방호복에 관한 기술을 공지하는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공기를 공급시키기 위한 흡입관과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관이 구비되어 방호복 내부에 산소를 공급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방호복 내부를 시원하게 만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2582호 (2006.03.2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628호 (2009.11.1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호복 내부를 시원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방호복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은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장치가 체결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호복에 있어서, 몸통을 감싸도록 형성된 몸통보호부와 상기 몸통보호부 상부에 머리를 감싸도록 연통 형성되며, 일측에 투명 재질의 투시창을 포함하는 머리보호부와 상기 몸통보호부 상부 양측에 양팔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통 형성된 양팔보호부와 상기 몸통보호부 하부에 다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통 형성된 다리보호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상기 몸체의 착탈의를 위해 구비된 지퍼부, 상기 몸통보호부 배면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되어 상기 송풍장치와 결합되도록 결합모듈이 구비된 개방부, 상기 양팔보호부와 상기 다리보호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배출모듈은 상기 양팔보호부와 상기 다리보호부 내부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공기유입부와 상기 양팔보호부와 상기 다리보호부 외측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몸체 배면으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호스와 상기 공기배출호스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들이 상기 공기배출호스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배출호스를 연결시키는 연결커넥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퍼부는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착탈의가 더욱 용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모듈은 상기 개방부 둘레를 따라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장치 둘레에도 상기 개방부 둘레와 대응되도록 상기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어 상기 벨크로 테이프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모듈은 상기 개방부 모서리에 한 개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장치 모서리에도 상기 개방부 모서리와 대응되도록 상기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자석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모듈은 상기 송풍장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한 개 이상의 걸림턱과 상기 개방부 둘레에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걸이가 구비된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턱이 상기 고정걸이에 체결되어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개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팔보호부 끝단에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손까지 전달되도록 일체형 장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리보호부 끝단에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발까지 전달되도록 일체형 신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은 송풍장치로 인해 방호복 내부에 공기를 유입되어 방호복 내부가 시원한 상태로 유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은 공기배출모듈로 인해 방호복 내부의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은 지퍼부가 ∩형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방호복을 입고 벗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은 송풍장치가 벨크로테이프, 자석, 걸림식체결고리와 같은 3가지의 방법으로 손쉽게 결합이 이루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의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내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내부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과 송풍장치에 구비된 결합모듈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의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의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장치(200)가 체결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호복에 있어서, 상기 방호복은 몸체(100), 지퍼부(160), 개방부(180), 공기배출모듈(3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몸체(100)는 몸통을 감싸도록 형성된 몸통보호부(110)와 상기 몸통보호부(110) 상부에 머리를 감싸도록 연통 형성된 머리보호부(120)와 상기 몸통보호부(110) 상부 양측에 양팔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통 형성된 양팔보호부(130)와 상기 몸통보호부(110) 하부에 다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통 형성된 다리보호부(1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머리보호부(120)는 일측에 투명 재질로 형성된 투시창(122)을 포함하여 작업자의 시야 확보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양팔보호부(130)와 상기 다리보호부(140)는 각 끝단에 조임끈부재(15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송풍장치(20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방호복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조임끈부재(150)는 고무줄과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이동 시 복장이 흐트러지지 않고 처음의 착용상태가 유지되어 활동하기에 편리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조임끈부재(150)는 상기 양팔보호부(130)와 상기 다리보호부(140) 끝단 둘레에 따라 신축성이 뛰어난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벨크로 타입의 부착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이중으로 상기 방호복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방호복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퍼부(160)는 상기 몸체(100) 일측에 착탈의를 위해 구비되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퍼부(160)는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착탈의가 더욱 용이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퍼부(160)는 상기 몸통보호부(110) 전면과 상기 다리보호부(140) 상부에 ∩형으로 배치되어 일자형에 비해 작업자가 상기 방호복을 손쉽게 입고 벗을 수 있도록 해준다.
다음으로, 상기 개방부(180)는 상기 몸통보호부(110) 배면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방부(180)는 상기 몸체(10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상기 송풍장치(200)와 결합되도록 결합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모듈(400)은 상기 개방부(180)와 상기 송풍장치(200)를 결합시키는 역할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a) 내지 (c)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배출모듈(300)은 상기 양팔보호부(130)와 상기 다리보호부(140)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장치(20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몸체(100) 외부로 배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배출모듈(300)은 공기유입부(320), 공기배출호스(340), 연결커넥터(36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공기유입부(320)는 상기 양팔보호부(130)와 상기 다리보호부(140) 내부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유입부(320)는 상기 양팔보호부(130)와 상기 다리보호부(140) 끝단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멍은 링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공기유입부(32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유입부(320)는 상기 양팔보호부(130)와 상기 다리보호부(140) 끝단에 형성된 상기 조임끈부재(15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양팔보호부(130)와 상기 다리보호부(140) 끝단까지 도달하여 상기 몸체(100) 내부를 시원하게 만들어준 다음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배출호스(340)는 상기 양팔보호부(130)와 상기 다리보호부(140)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입부(3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몸체(100) 배면으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배출호스(340)는 상기 양팔보호부(130)와 상기 다리보호부(140)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작업 시, 상기 공기배출호스(340)로 인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양팔보호부(130)와 상기 다리보호부(140)는 외측면에 한 개 이상의 배출가이드부재(3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부재(342)는 상기 양팔보호부(130)와 상기 다리보호부(140) 외측면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호스(34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100) 배면 방향으로 나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배출호스(340)가 상기 양팔보호부(130)와 상기 다리보호부(140) 끝단에서 외측면을 따라 상기 몸체(100) 배면 방향으로 나오도록 구비되어 작업 시 작업자가 상기 공기배출호스(340)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시킴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커넥터(360)는 상기 공기배출호스(340)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입부(320)로 유입된 공기들이 상기 공기배출호스(340)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유입부(320)와 상기 공기배출호스(340)를 연결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커넥터(360)는 양측에 상기 공기유입부(320)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부(320)를 상기 홈에 끼울 수 있도록 개폐식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커넥터(360)는 상기 공기유입부(320)가 상기 홈에 끼워진 상태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부(320)는 상기 연결커넥터(360)에 형성된 홈에 끼운 다음 상기 연결커넥터(360)를 체결됨으로 상기 공기유입부(320)가 작업자의 동작에 따라 유연하게 회전이 가능함으로 착용감을 향상시켜준다.
따라서, 상기 연결커넥터(360)는 상기 공기유입부(320)와 상기 공기배출호스(340)를 연결시켜, 상기 공기유입부(320)로 유입된 공기들을 모아 상기 공기배출호스(340)로 배출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공기배출모듈(300)은 상기 송풍장치(200)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인해 상기 몸체(100) 내부가 공기로 가득차서 부풀려지지 않도록 상기 몸체(100) 배면으로 일정량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내부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장치(200)는 하우징(240)과 필터판(22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240)은 상기 송풍장치(200) 외면에 상기 필터판(22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판(220)은 상기 송풍장치(200)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장치(200)를 통해 상기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 외부에 있는 공기가 상기 송풍장치(200)에 결합된 상기 필터판(220)에 의해 여과되어 신선한 공기가 상기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내부단면도이다.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호스(340)는 상기 송풍장치(200)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장치(200)를 통해 상기 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풍장치(200)는 내부에 상기 공기배출호스(34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몸체(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동통로(26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동통로(260)은 상기 송풍장치(200) 내부 상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공기배출호스(340)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 공기가 상기 유동통로(260)를 지나 상기 송풍장치(2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송풍장치(200)는 상기 필터판(220)이 외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동통로(260)를 지나 상기 필터판(220)을 거쳐서 배출됨으로 상기 몸체(100) 외부로 여과된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200)는 상기 필터판(220)에 여과된 공기를 상기 몸체(100)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송풍장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유동통로(260)를 지나 상기 필터판(220)을 거쳐 상기 몸체(100)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도 6(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과 송풍장치에 구비된 결합모듈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6(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장치(200)는 상기 몸통보호부(110)에 형성된 상기 개방부(180)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결합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모듈(400)은 벨크로 테이프(420), 자석(440), 걸림식 체결고리(460)로 구비되며, 이 중 한 개 이상의 방법으로 결합되어진다.
먼저, 상기 벨크로 테이프(420)는 상기 개방부(180)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벨크로 테이프(420)는 상기 송풍장치(200) 둘레에 상기 개방부(180) 둘레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부(180)와 상기 송풍장치(200)에 구비된 상기 벨크로 테이프(4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져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자석(440)은 상기 개방부(180) 모서리에 한 개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자석(440)은 상기 송풍장치(200) 모서리에 상기 개방부(180) 모서리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부(180)와 상기 송풍장치(200)에 구비된 상기 자석(4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져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식 체결고리는 걸림턱(462)과 프레임(464)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걸림턱(462)은 상기 송풍장치(200) 둘레를 따라 한 개 이상 돌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464)은 내부가 빈 형상으로 상기 개방부(180)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462)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걸이(465)가 더 구비되어진다.
이때, 상기 걸림턱(462)은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걸이(465)와 체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462)이 상기 프레임(464)에 구비된 상기 고정걸이(465)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송풍장치(200)와 상기 개방부(180)가 결합되는 것이다.
도 6(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180)에 상기 송풍장치(200)가 상기 결합모듈(40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개방부(180)와 결합된 상기 송풍장치(200) 외면에 상기 필터판(220)이 결합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호복의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는 일체형 장갑(500)과 일체형 신발(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일체형 장갑(500)은 상기 양팔보호부(130)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장치(2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손까지 전달되도록 해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체형 장갑(500)은 상기 양팔보호부(130) 끝단과 접하는 부위 내부에 고정부재(7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20)는 상기 공기유입부(320)를 상기 양팔보호부(130) 끝단에 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720)는 상기 일체형 장갑(5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입부(320)를 고정시켜 작업자가 상기 일체형 장갑(500) 착탈의 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시켜줌으로써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일체형 장갑(500)은 내부에 작업자의 손등을 따라 한 개 이상의 공기유입호스(700)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공기유입호스(700)는 상기 몸체(100) 외부로 상기 송풍장치(200)를 통해 상기 일체형 장갑(500)으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를 유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호스(700)는 상기 연결커넥터(360)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유입호스(700)로 유입된 공기들이 상기 공기배출호스(340)를 따라 상기 몸체(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유입호스(700)는 기저귀 고무줄처럼 가운데가 뚫려 있는 고무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일체형 신발(600)은 상기 다리보호부(140)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장치(2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발까지 전달되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일체형 신발(600)은 상기 다리보호부(140) 끝단과 접하는 부위 내부에 고정부재(7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20)는 상기 공기유입부(320)를 상기 다리보호부(140) 끝단에 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720)는 상기 일체형 신발(6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입부(320)를 고정시켜 작업자가 상기 일체형 신발(600) 착탈의 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시켜줌으로써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일체형 신발(600)은 내부에 작업자의 발등을 따라 한 개 이상의 공기유입호스(700)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공기유입호스(700)는 상기 몸체(100) 외부로 상기 송풍장치(200)를 통해 상기 일체형 신발(600)으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를 유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호스(700)는 상기 연결커넥터(360)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유입호스(700)로 유입된 공기들이 상기 공기배출호스(340)를 따라 상기 몸체(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유입호스(700)는 기저귀 고무줄처럼 가운데가 뚫려 있는 고무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일체형 장갑(500)과 상기 일체형 신발(600)이 상기 몸체(100)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송풍장치(2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전신으로 다 유입되어 상기 방호복 내부를 시원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몸체
110: 몸통보호부
120: 머리보호부 ---- 122: 투시창
130: 양팔보호부
140: 다리보호부
150: 조임끈부재
160: 지퍼부
180: 개방부
200: 송풍장치 ---- 220: 필터판 240: 하우징 260: 유동통로
300: 공기배출모듈
320: 공기유입부
340: 공기배출호스 ---- 342: 배출가이드부재
360: 연결커넥터
400: 결합모듈
420: 벨크로 테이프
440: 자석
460: 걸림식체결고리 ---- 462: 걸림턱 464: 프레임 465: 고정걸이
500: 일체형 장갑
600: 일체형 신발
700:공기유입호스
720: 고정부재

Claims (8)

  1.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장치가 체결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호복에 있어서,
    몸통을 감싸도록 형성된 몸통보호부와 상기 몸통보호부 상부에 머리를 감싸도록 연통 형성되며, 일측에 투명 재질의 투시창을 포함하는 머리보호부와 상기 몸통보호부 상부 양측에 양팔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통 형성된 양팔보호부와 상기 몸통보호부 하부에 다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통 형성된 다리보호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상기 몸체의 착탈의를 위해 구비된 지퍼부;
    상기 몸통보호부 배면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되어 상기 송풍장치와 결합되도록 결합모듈이 구비된 개방부;
    상기 양팔보호부와 상기 다리보호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배출모듈은,
    상기 양팔보호부와 상기 다리보호부 내부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공기유입부와,
    상기 양팔보호부와 상기 다리보호부 외측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몸체 배면으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호스와,
    상기 공기배출호스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들이 상기 공기배출호스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배출호스를 연결시키는 연결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부는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착탈의가 더욱 용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모듈은,
    상기 개방부 둘레를 따라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장치 둘레에도 상기 개방부 둘레와 대응되도록 상기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어 상기 벨크로 테이프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모듈은,
    상기 개방부 모서리에 한 개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장치 모서리에도 상기 개방부 모서리와 대응되도록 상기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자석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모듈은,
    상기 송풍장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한 개 이상의 걸림턱과,
    상기 개방부 둘레에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걸이가 구비된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턱이 상기 고정걸이에 체결되어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개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팔보호부는 끝단에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손까지 전달되도록 일체형 장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보호부는 끝단에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발까지 전달되도록 일체형 신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KR1020200082744A 2020-07-06 2020-07-06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KR10248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744A KR102481951B1 (ko) 2020-07-06 2020-07-06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744A KR102481951B1 (ko) 2020-07-06 2020-07-06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205A KR20220005205A (ko) 2022-01-13
KR102481951B1 true KR102481951B1 (ko) 2022-12-26

Family

ID=7934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744A KR102481951B1 (ko) 2020-07-06 2020-07-06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437A1 (ko) * 2021-10-13 2023-04-20 송상현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KR102484434B1 (ko) 2022-07-18 2023-01-09 주식회사 심우 공기순환기능을 가진 보호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20Y1 (ko) * 2002-09-04 2002-11-22 세안기술 주식회사 공기 공급라인을 갖는 방사선 방호복
KR200446628Y1 (ko) * 2009-04-09 2009-11-18 (주)코스코텍 공기 주입형 방사선 방호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582Y1 (ko) 2005-12-01 2006-03-29 노승국 투습, 통풍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호복
KR102279829B1 (ko) * 2017-12-26 2021-07-21 테츠로 토요다 기류를 송풍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20Y1 (ko) * 2002-09-04 2002-11-22 세안기술 주식회사 공기 공급라인을 갖는 방사선 방호복
KR200446628Y1 (ko) * 2009-04-09 2009-11-18 (주)코스코텍 공기 주입형 방사선 방호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205A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9594A (en) Clothing to protect the environment from contamination
US8037547B2 (en) Protective hood
KR102481951B1 (ko)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CA2480607C (en) Protective headgear system
JP2020045585A (ja) 防護服及び防護服の製造方法
WO2015005955A1 (en) Respiratory hood capable of being worn with external head gear
KR20120018626A (ko) 방사선 방호복
JP4131333B2 (ja) 衣服
US11612770B1 (en) PPE with rotating assembly providing multiple face covers
CN111227378A (zh) 一种气密贴合调节方便的面部无压迫医用防护服
WO2023063437A1 (ko)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KR102221681B1 (ko) 탈부착 후드형 마스크
JP6978039B2 (ja) 保全工法用防護スーツシステム及び該保全工法用防護スーツ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防護スーツ
KR20100040767A (ko) 동물실용 무균작업복
KR102267637B1 (ko) 일체형 방호복을 재사용하기 위한 재사용시스템
KR102267633B1 (ko) 포켓주머니, 안면가리개와 덧신으로 이루어지는 포켓형 방호복을 재사용하기 위한 재사용시스템
CN2616243Y (zh) 一种通风安全隔离服
CN216453514U (zh) 一种具有高效防菌功能的医用防护服
CN212393901U (zh) 一种一体式面部透明防护服
CN213428420U (zh) 隔离防护头罩衫和防护头罩衫
CN214630252U (zh) 一种防护服
KR20230126822A (ko) 방호복
CN216293101U (zh) 具有散热功能的医用防护服
CN212368392U (zh) 一种分装式自动送风医用全防护服
KR100366788B1 (ko) 농약 보호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