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681B1 -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및 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 그리고 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법 - Google Patents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및 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 그리고 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681B1
KR102481681B1 KR1020220087234A KR20220087234A KR102481681B1 KR 102481681 B1 KR102481681 B1 KR 102481681B1 KR 1020220087234 A KR1020220087234 A KR 1020220087234A KR 20220087234 A KR20220087234 A KR 20220087234A KR 102481681 B1 KR102481681 B1 KR 102481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self
minute
directed
directed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상
Original Assignee
유용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용상 filed Critical 유용상
Priority to KR1020220087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66Timetables, lists or forms for shooter enlistment, e.g. for use at compe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1Plann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및 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 그리고, 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는 집중할 수 있는 30분 동안 공부할 분량을 스스로 계획을 세워 30분 후 자기반성과 스스로 학습방법을 터특하기 위한 30분 계획표를 포함하며, 상기 30분 계획표는, 30분 단위의 시간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시간 기재 파트(part); 상기 시간 기재 파트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공부할 과목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과목 기재 파트(part); 및 상기 시간 기재 파트 또는 상기 과목 기재 파트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학습범위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학습범위 기재 파트(part)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및 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 그리고 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법{Self-directed learning planning sheet and self-directed learning planning diary, and self-directed learn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및 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 그리고, 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좀 더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자기주도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서 소기의 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및 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 그리고, 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법에 관한 것이다.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이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그 이후 학습 참여 범위 설계, 학습 전략의 선택, 학습 결과의 평가와 같은 학습의 전(all)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학습 형태이다.
자기주도학습이 자율학습, 자습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둘은 일정 부문 같으면서도, 다른 부문도 있다.
독학 / 자습 / 자율학습은 강사가 나와서 진행하는 정규 수업과 대비하여, 자율적으로 공부하는 "시간"이다. 야간자율학습처럼 외부의 강제성을 띌 경우, 자율학습이더라도 자기주도학습은 아니다.
한편, 기존의 전통적 교육에서 학교, 학원 강의는 다대일 강의가 일반적이며, 필연적으로 대부분은 학습자는 교사가 강의하고, 문제를 풀고 해설하는 것을 수동적이고, 방관자적으로 지켜볼 뿐이다. 이러한 고전적인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단시간에 대량의 학생을 가르치는데 용이하기 때문에, 시간 대비 효율성이 좋다. 정해진 틀만 반복하기 때문에 교사의 수와 질이 떨어져도 무방하며, 따라서 교사 인원 대비 효율성이 높다. 교실에 학생을 몰아넣거나 인터넷 강의를 배포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교육의 비용 대비 효율성이 높다. 교실에 학생을 몰아넣거나 인터넷 강의를 배포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정해진 내용 가르칠 수 있다. 즉 일정하게 정해진 커리큘럼을 빠르게 전수하는데 있어서 자기주도학습보다 효율적이다.
그렇지만, 시대가 변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가르쳐야 하는 내용이 방대해졌다. 즉 산업과 학문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직업이 탄생했으며, 직업이 다양해짐에 따라 직업별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역시 많아졌고, 기존의 학교 교육체제에선 소화할 수 없는 양이다.
또한, 시대 변화에 따른 사회와 학생의 요구를 따라가기 어려워졌다. 2000년대 이전만 해도 유튜버, SNS 인플루언서라는 직업은 없었고, 10대가 경제활동을 하는 것도 편의점 아르바이트 외엔 생각하기도 어려웠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이런 직업들이 등장하면서 10대 학생들이 다양한 경제 및 사회활동을 하게 되었고, 기존의 학교에선 이런 직업에 어울리는 교육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점들을 두루 고려해볼 때, 자기주도학습의 필요성이 더 커지는 추세다.
한편, 자기주도학습에 있어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자세가 강조된다. 자기주도학습을 제대로 하려면 강의 수강만이 아니라 스스로 공부하는 자습 시간 확보가 중요하다. 그러나 시간이 확보되었다 하더라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자기 절제심이 필요하다. 즉, 학습자의 목표의식에 따라서는 성과가 극과 극으로 치달 수 있는 학습법이다.
전통적 교육철학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하 관계라 비유한다면, 자기주도학습에서는 상호 대등한 수평적 관계이다. 학습자가 명령이나 강제로 학습을 강요받는 일련의 행위보다는 학습자가 교수자를 이용해서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측면을 강조한다. 즉, 학습의 주체는 학습자이며 교수자는 학습자에 대해 도움을 주는 조력자(assistant, advisor)로서 위치한다.
도 1의 표는 강의 시간을 제외하고, 최상위권 (전국 상위 1%) 진입에 필요한, 추정 권장 학습 시간이다.
그리고, 도 2의 표는 학기 중 평일 자습 시간이다. 학교 수업과 숙제 및 사교육 수업, 숙제에 소비된 시간을 제외한다. 순수하게 혼자서 공부한 시간을 의미한다. 당연하겠지만, 고등학생부터는 밤을 새우지 않고서야 저 시간을 채울 수 없는 것이 당연하다.
한편, 자기주도학습을 잘하려면 목표와 동기가 중요하다. 즉 '어떻게 공부하는가'보다는 '왜 공부하는가'를 인지해야 한다. 목표가 없는 사람은 꾸준히 성실하게 일을 해내기 어렵다. 공부 기본기가 잡혀있다면야 중상위권 정도의 성적을 얻을 수는 있지만 아무래도 비전이 없는 것과 있는 것의 차이는 크다. 확실한 기준을 세우고 청사진을 그려 가면서 대략적인 방향을 잡는 게 급선무. 단 '이 정도면 되겠다'가 아니라, 지금의 부족한 부분을 없애 잘하는 부분으로 만들겠다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자기주도학습을 진행할 때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공부 커리큘럼을 파악해야한다. 즉 자신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솔직하게 파악해야 한다. 자신의 실력과 목표를 분명하게 인지하고 그에 맞춰서 공부해야 한다.
자신의 수준을 파악하려면 자기 자신에게 솔직해져야 한다.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인정해야 하며, '에이 실수했네' 라던지 '다음에 보면 알겠다' 따위 생각으로 넘어가다가는 한계에 부딪힌다. 모르거나 애매하거나 잘 이해하지 못한 부분은 스스로 기록하는 습관을 들여라. 그리고 잘하는 과목, 못 하는 과목 사이에서 적정한 조율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한순간에 알기 어려우며, 조금씩 변화를 주어 가면서 최적의 공부법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단, 너무 자주 바꿔도 안 된다. 공부는 단기간에 변화나 성과를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 당연하다.
한편, 이런 것들을 잘 알고 인지했다 하더라도 자기주도학습을 꾸준히 실현해서 원하는 목표를 얻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공부 환경이 조성되어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특정한 형태의 계획표 등이 요구된다. 하지만, 아직은 이와 관련한 제대로된 계획표나 방법이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최적의 자기주도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21-013998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8-000622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0121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095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좀 더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자기주도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서 소기의 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및 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 그리고, 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집중할 수 있는 30분 동안 공부할 분량을 스스로 계획을 세워 30분 후 자기반성과 스스로 학습방법을 터특하기 위한 30분 계획표를 포함하며, 상기 30분 계획표는, 30분 단위의 시간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시간 기재 파트(part); 상기 시간 기재 파트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공부할 과목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과목 기재 파트(part); 및 상기 시간 기재 파트 또는 상기 과목 기재 파트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학습범위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학습범위 기재 파트(pa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30분 계획표는, 상기 시간 기재 파트, 상기 과목 기재 파트 또는 상기 학습범위 기재 파트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해당 30분동안 해당 과목의 해당 학습범위를 집중해서 학습했는지의 결과 평가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평가 기재 파트(part)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가 기재 파트에는 평가 기호로 표기할 수 있다.
상기 시간 기재 파트, 상기 과목 기재 파트, 상기 학습범위 기재 파트 및 상기 평가 기재 파트가 순서대로 우측 방향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외피를 형성하는 외피용 겉지; 상기 외피용 겉지 내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및 상기 외피용 겉지와 상기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는, 집중할 수 있는 30분 동안 공부할 분량을 스스로 계획을 세워 30분 후 자기반성과 스스로 학습방법을 터특하기 위한 30분 계획표를 포함하되 상기 30분 계획표는, 30분 단위의 시간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시간 기재 파트(part); 상기 시간 기재 파트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공부할 과목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과목 기재 파트(part); 상기 시간 기재 파트 또는 상기 과목 기재 파트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학습범위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학습범위 기재 파트(part); 및 상기 시간 기재 파트, 상기 과목 기재 파트 또는 상기 학습범위 기재 파트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해당 30분동안 해당 과목의 해당 학습범위를 집중해서 학습했는지의 결과 평가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평가 기재 파트(pa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평가 기재 파트에는 평가 기호로 표기하며, 상기 시간 기재 파트, 상기 과목 기재 파트, 상기 학습범위 기재 파트 및 상기 평가 기재 파트가 순서대로 우측 방향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의 30분 계획표 중에서 30분 단위의 시간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시간 기재 파트(part)와, 공부할 과목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과목 기재 파트(part)와, 학습범위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학습범위 기재 파트(part)를 기재하는 30분 계획표 일부 작성단계; 상기 30분 계획표에 작성된 내용대로 실행하는 30분 계획표 실행단계; 상기 30분 계획표 중에서 해당 30분동안 해당 과목의 해당 학습범위를 집중해서 학습했는지의 결과 평가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평가 기재 파트(part)를 기재하는 30분 계획표 나머지 작성단계; 및 작성된 상기 30분 계획표를 토대로 선생님과의 일대일 매칭 토론 또는 수업을 진행하는 매칭 토론 또는 수업 진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학습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한편, 상기 목적은, 학습자 본인이 학습의 과정에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정의하면서 학습 요구에 대한 진단을 실행하는 학습 요구에 대한 진단단계; 학습을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최종 행동, 인지 수준의 결과물인 학습목표를 수립하는 학습목표 수립단계;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에게 필요한 사람과 여러 가지 자원을 확보하는 학습을 위한 인적 또는 물적 자원 확보단계; 실제 학습 실행 과정에서 시간관리 전략 등을 선택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의 30분 계획표 중에서 30분 단위의 시간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시간 기재 파트(part)와, 공부할 과목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과목 기재 파트(part)와, 학습범위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학습범위 기재 파트(part)를 기재하는 30분 계획표 일부 작성단계; 상기 30분 계획표에 작성된 내용대로 실행하는 30분 계획표 실행단계; 및 상기 30분 계획표 중에서 해당 30분동안 해당 과목의 해당 학습범위를 집중해서 학습했는지의 결과 평가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평가 기재 파트(part)를 기재하는 30분 계획표 나머지 작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학습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좀 더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자기주도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서 소기의 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통상의 최상위권 추정 권장 학습시간을 나타낸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3의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를 펼친 도면이다.
도 5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시제 사용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의 진도관리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9는 진도관리표 작성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진도관리표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의 이미지, 도 4는 도 3의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를 펼친 도면, 도 5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에 대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시제 사용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법의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좀 더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자기주도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서 소기의 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은 형태의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120), 도 3 및 도 4와 같은 형태의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120)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100), 그리고, 도 7과 같은 자기주도학습법에 그 권리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120)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100)에 대해 소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100)는 외피를 형성하는 외피용 겉지(110)와, 외피용 겉지(110) 내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120)와, 외피용 겉지(110)와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12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용 겉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100)의 외피를 이루기 때문에, 쉽게 구겨지거나 쉽게 오염되지 않는 두꺼운 코팅종이로 형성될 수 있다. 외피용 겉지(110)의 표면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100)의 요약, 회사명 등을 표기한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연결부재(150)는 외피용 겉지(110)와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120)들을 연결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50)는 스프링 타입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외피용 겉지(110) 또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120)를 넘기기가 좋다.
한편,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120)는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계획을 기재하는 종이로서, 외피용 겉지(110) 내에 복수 개로 마련된다.
물론,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120)는 도 3 및 도 4처럼 외피용 겉지(110) 및 연결부재(150)와 함께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100)로 사용될 수 있지만, 낱장의 종이처럼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어떠한 방식일지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120)는 집중할 수 있는 30분 동안 공부할 분량을 스스로 계획을 세워 30분 후 자기반성과 스스로 학습방법을 터특하기 위한 30분 계획표(130)가 인쇄된다.
30분 계획표(130)는 30분 단위의 시간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시간 기재 파트(141, part)와, 시간 기재 파트(141)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공부할 과목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과목 기재 파트(142, part)와, 시간 기재 파트(141) 또는 상기 과목 기재 파트(142)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학습범위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학습범위 기재 파트(143, part)와, 시간 기재 파트(141), 과목 기재 파트(142) 또는 학습범위 기재 파트(143)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해당 30분동안 해당 과목의 해당 학습범위를 집중해서 학습했는지의 결과 평가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평가 기재 파트(144,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른 파츠(parts)와 달리 평가 기재 파트(144)에는 평가 기호로 표기할 수 있다. 평가 기호는 도 6의 이미지와 같은 형태일 수 있는데, 이러한 평가 기호를 사용하면 평가를 한 눈에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30분 계획표(130)를 구현함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 기재 파트(141), 과목 기재 파트(142), 학습범위 기재 파트(143) 및 평가 기재 파트(144)가 순서대로 우측 방향 배열되게 한다. 따라서, 작성도 쉽고, 보기도 좋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법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30분 계획표 일부 작성단계(S110), 30분 계획표 실행단계(S120), 30분 계획표 나머지 작성단계(S130) 및 매칭 토론 또는 수업 진행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30분 계획표 일부 작성단계(S110)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120)의 30분 계획표(130) 중에서 30분 단위의 시간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시간 기재 파트(141, part)와, 공부할 과목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과목 기재 파트(142, part)와, 학습범위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학습범위 기재 파트(143, part)를 기재하는 과정이다.
30분 계획표 실행단계(S120)는 30분 계획표 일부 작성단계(S110)에서 작성한 30분 계획표(130)에 작성된 내용대로 실행하는 과정이다.
30분 계획표 나머지 작성단계(S130)는 30분 계획표(130) 중에서 해당 30분동안 해당 과목의 해당 학습범위를 집중해서 학습했는지의 결과 평가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평가 기재 파트(144, part)를 기재하는 과정이다. 이때는 숫자와 문자가 아닌 평가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매칭 토론 또는 수업 진행단계(S140)는 작성된 30분 계획표(130)를 토대로 선생님과의 일대일 매칭 토론 또는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공부에 대한 한 단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이하, 자기주도학습법을 하는 과정을 일련적으로 알아본다.
우선,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120)의 30분 계획표(130) 중에서 30분 단위의 시간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시간 기재 파트(141, part)와, 공부할 과목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과목 기재 파트(142, part)와, 학습범위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학습범위 기재 파트(143, part)를 기재한다.
이때는 셀프 진단을 먼저 한다. 예컨대, 나는 나만의 공부목표를 미리 세운다. 나는 공부에 얼마만큼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할지를 계획한다. 나는 내 공부목표를 향해 잘 나아가고 있는지 확인한다. 나는 내가 공부하면서 생기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려고 한다. 나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학습전략을 선택한다. 나는 공부를 해야 할때는 놀고 싶은 유혹이 생겨도 참는다. 나는 내가 세운 공부목표를 잘 달성했는지 스스로 평가해본다. 나는 현재의 결과에 비추어 내 공부목표와 계획을 조정한다.
다음, 위에서 작성한 30분 계획표(130)에 작성된 내용대로 실행해 본다.
다음, 30분 계획표(130) 중에서 해당 30분동안 해당 과목의 해당 학습범위를 집중해서 학습했는지의 결과 평가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평가 기재 파트(144, part)를 기재한다. 이때는 숫자와 문자가 아닌 평가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작성된 30분 계획표(130)를 토대로 선생님과의 일대일 매칭 토론 또는 수업을 진행한다. 이 과정을 통해 공부에 대한 한 단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부연하면, 특히,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은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학업 과정에서 교사의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 자신의 학업과정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에서의 자기주도성을 신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예컨대, 하루 14시간 자기주도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다 보면 자기주도학습자는 메타인지활용(인지조절), 동기화된 학습(동기조절), 적극적 참여(행동조절)의 특징을 보인다.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의 전 과정에서 개인 학습자의 학습 통제권과 주도권을 보장한다. 자기주도학습은 학교 밖 비형식적 교육 및 정규 교육과정에서 자신의 학습과정을 주도적으로 설계하는 자율성 증진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학교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의 목적은 수준 높은 학업수행과 학업성취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좀 더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자기주도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서 소기의 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의 진도관리표에 대한 구성도, 도 9는 진도관리표 작성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진도관리표의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다이어리 내의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에 진도관리표가 추가될 수 있다. 진도관리표는 줄여서 '진관표'라 부를 수도 있다.
아무런 계획 없이 공부를 하면 막연한 목표설정으로 인하여 느슨해지고 기간 내에 명확한 공부성과를 거둘 수 없다. 반면, 처음부터 혼자 계획을 세워 공부하다 보면 실행할 수 없는 많은 범위를 잡아 공부하여 실천하지 못하거나 나의 실력보다 너무 작은 범위에 대한 학습 계획을 세워 풀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모든 것을 보완해줄 수 있는 것이 본 실시예의 진도관리표이다.
진도관리표은 도 8과 같은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 9와 같은 작성팁을 통해 예컨대 도 10처럼 작성함으로써,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기간 내에 명확한 공부성과를 거둘 수 있게끔 하는 한편, 너무 많은 범위를 잡아 공부하여 실천하지 못하거나 나의 실력보다 너무 작은 범위에 대한 학습 계획을 세워 풀어질 수 있는 등의 다양한 문제를 보완해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덜도 좀 더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자기주도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서 소기의 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 110 : 외피용 겉지
120 :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130 : 30분 계획표
141 : 시간 기재 파트 142 : 과목 기재 파트
143 : 학습범위 기재 파트 144 : 평가 기재 파트
150 : 연결부재

Claims (7)

  1. 학습자 본인이 학습의 과정에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정의하면서 학습 요구에 대한 진단을 실행하는 학습 요구에 대한 진단단계;
    학습을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최종 행동, 인지 수준의 결과물인 학습목표를 수립하는 학습목표 수립단계;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에게 필요한 사람과 여러 가지 자원을 확보하는 학습을 위한 인적 또는 물적 자원 확보단계;
    실제 학습 실행 과정에서 시간관리 전략 등을 선택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의 30분 계획표 중에서 30분 단위의 시간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시간 기재 파트(part)와, 공부할 과목을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과목 기재 파트(part)와, 학습범위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학습범위 기재 파트(part)를 기재하는 30분 계획표 일부 작성단계;
    상기 30분 계획표에 작성된 내용대로 실행하는 30분 계획표 실행단계; 및
    상기 30분 계획표 중에서 해당 30분동안 해당 과목의 해당 학습범위를 집중해서 학습했는지의 결과 평가를 기재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 평가 기재 파트(part)를 기재하는 30분 계획표 나머지 작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학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87234A 2022-07-14 2022-07-14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및 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 그리고 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법 KR102481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234A KR102481681B1 (ko) 2022-07-14 2022-07-14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및 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 그리고 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234A KR102481681B1 (ko) 2022-07-14 2022-07-14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및 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 그리고 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681B1 true KR102481681B1 (ko) 2022-12-27

Family

ID=84568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234A KR102481681B1 (ko) 2022-07-14 2022-07-14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및 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 그리고 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68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222U (ko) 1996-07-12 1998-04-30 김승범 전격 살충기
KR200393072Y1 (ko) * 2005-05-24 2005-08-17 박상혁 개량된 링 제본부재를 가진 다이어리
KR20080001212U (ko) 2006-11-16 2008-05-21 고구려엔지니어링(주) 전동차량의 도어 장애물 감지장치
KR20090000957U (ko) 2007-07-26 2009-02-02 철인홈텍(주) 가정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100079420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교원 루스리프식 학습관리 다이어리
KR20140105664A (ko) * 2013-02-22 2014-09-02 신범수 역산출 학습 플래너 및 그 사용방법
KR20180048303A (ko) * 2016-11-01 2018-05-10 김용욱 진로 학습플래너
KR20180055219A (ko) * 2016-11-16 2018-05-25 차선희 버터플라이 면취기 조절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222U (ko) 1996-07-12 1998-04-30 김승범 전격 살충기
KR200393072Y1 (ko) * 2005-05-24 2005-08-17 박상혁 개량된 링 제본부재를 가진 다이어리
KR20080001212U (ko) 2006-11-16 2008-05-21 고구려엔지니어링(주) 전동차량의 도어 장애물 감지장치
KR20090000957U (ko) 2007-07-26 2009-02-02 철인홈텍(주) 가정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100079420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교원 루스리프식 학습관리 다이어리
KR20140105664A (ko) * 2013-02-22 2014-09-02 신범수 역산출 학습 플래너 및 그 사용방법
KR20180048303A (ko) * 2016-11-01 2018-05-10 김용욱 진로 학습플래너
KR20180055219A (ko) * 2016-11-16 2018-05-25 차선희 버터플라이 면취기 조절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lther-Thomas et al. Planning for effective co-teaching the key to successful inclusion: The key to successful inclusion
Janney et al. Modifying schoolwork in inclusive classrooms
Mustafa et al. Teacher autonomy and centralised control: The case of textbooks
Hodges Implementing methods: If you can't blame the cooperating teacher who can you blame?
Wiske et al. From recitation to construction: Teachers change with new technologies
Guskey A historical perspective on closing achievement gaps
Gordon et al. Top 10 Learning needs for teacher leaders
Duncan et al. Shifting Schemas: Perspectives and Practice in a Learner-Centered Course.
Zakrzewski et al. Technology in teacher education: Student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technology in the classroom
KR102481681B1 (ko) 자기주도학습 계획 시트 및 그를 구비하는 자기주도학습 계획 다이어리, 그리고 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법
Jay Meta, meta, meta: Modeling in a methods course for teaching English
Mauki et al. Competenc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the role of the universities in kenya
Gould et al. Planning for the inclusive classroom: Meeting the needs of diverse learners
Campoy Reflective Thinking and Educational Solutions: Clarifying What Teacher Educators are Attempting to Accomplish.
Munk et al. Collaborative preteaching of students at risk for academic failure
Ralph et al. Collaborative autonomy: Exploring the professional freedom of three science teachers
Snow The Teacher's Role in Effective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Intervention
Galaczi et al. The Cambridge English approach to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Machaal Could Explicit Training in Metacognition Improve Learners’ Autonomy and Responsibility?
Marshall A how-to plan for widening the gap
Shank Arts integration: learning" through" and" with" the arts, a curricular process and as a collaborative engagement
Swaner et al. Engaged Learning: Toward Excellence in 21st-Century Christian Education
Carter et al. A Collaborative Self-Study of Supervisors in a University-Based Literacy Clinic: Exploring Tensions in Support, Feedback, and Conflict Resolution
Fekete et al. Redesigning higher education study skills courses: reflections of Gen Z students on a dynamic and interactive syllabus
Lathleiff Imagining an authentic workplace using simulation: exploring simulation pedagogy in auditing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