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303B1 -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 Google Patents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303B1
KR102481303B1 KR1020210159612A KR20210159612A KR102481303B1 KR 102481303 B1 KR102481303 B1 KR 102481303B1 KR 1020210159612 A KR1020210159612 A KR 1020210159612A KR 20210159612 A KR20210159612 A KR 20210159612A KR 102481303 B1 KR102481303 B1 KR 102481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condensate
type air
air conditioner
window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6674A (en
Inventor
홍순일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21015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303B1/en
Publication of KR2022010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6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3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4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in a window-type room air condit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서 실내측에 설치되는 증발기, 상기 케이스 내에서 실외측에 설치되는 응축기, 증발기 팬 및 응축기 팬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받이; 상기 응축수 받이에 설치되는 펌프; 상기 응축기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에는 제1 유출 구멍이 형성되는 응축수 컨테이너; 상기 펌프와 응축수 컨테이너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 및 상기 응축기와 응축수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유출 구멍과 연통하는 위치에 제2 유출 구멍이 형성되는 응축기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응축수가 응축기의 상부 안쪽을 통해 하부로 흐르는 과정에서 응축기를 냉각하면서 스스로는 증발하여 응축기의 냉각이 한층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부에 노출되는 호스 없이도 응축수를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condensate drying function, and to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case, an evaporator installed indoors within the case, a condenser installed outdoors within the case, an evaporator fan, and a condenser fan. The condensate receiver disposed under the condenser and accommodating the condensate falling from the evaporator; A pump installed in the condensate receiver; a condensate container installed above the condenser and having a first outflow hole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 hose connecting between the pump and the condensate container; and a condenser bracket install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condenser container and having a second outlet hole formed at a posi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hole.
Accordingly, while cooling the condenser while the condensate flows downward through the in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ondenser, it evaporates by itself, so that the condenser can be cooled more easily and the condensate can be treated naturally without a hose exposed to the outside. .

Description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Window type air conditioner with condensate drying function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본 발명은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에서 발생하여 응축수 받이에 수용된 응축수를 기계적으로 응축기에 공급하여 응축수의 건조와 응축기의 냉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condensate dry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ensate drying unit capable of simultaneously drying the condensate and cooling the condenser by mechanically supplying condensate generated in an evaporator and accommodated in a condensate receiver to a condenser. It relates to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that includes a function.

최근의 창문형 에어컨은 실내기(증발기)와 실외기(응축기)가 케이스 내에 일체로 내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창문에 설치되는 창틀 설치 프레임을 별도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 기사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recent window type air condition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door unit (evaporator) and the outdoor unit (condenser) are integrally built into the case, and a window frame installation frame installed on the window is separately included, so users other than professional engineers can easily install it directly. it is possible

특히, 실외를 향하는 에어컨의 배면이 외벽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중창틀에 설치될 경우 미사용시 외측 창문을 폐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rea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facing the outdoors does not protrude through the outer wall, when installed on the double-glazed window fram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uter window can be closed when not in use.

한편, 상기 창문형 에어컨은 창틀이나 창문에 직접 설치되기 때문에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별도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호스가 연결되는 경우 호스와 창문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응축수가 의부로 방출되기 위해 호스가 실외로 튀어나와 있으므로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window type air conditioner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or window, when a hose for discharging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evaporator to the outside is connected, not only must an additional configuration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hose and the window, but also the condensate Since the hose protrudes to the outside to be discharge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appearance was not goo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20818호(2000.04.1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0-0020818 (2000.04.1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에서 발생하여 낙하된 응축수를 펌프를 통해 흡상하여 응축기의 표면에 흘려줌으로써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응축기를 냉각시켜서 냉각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vaporate the condensate by absorbing the condensate that has fallen from the evaporator through a pump and flow it to the surface of the condenser, while simultaneously cooling the condenser to achieve cooling efficiency It is to provide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that includes a condensate drying function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performan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서 실내측에 설치되는 증발기, 상기 케이스 내에서 실외측에 설치되는 응축기, 증발기 팬 및 응축기 팬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받이;
상기 응축수 받이에 설치되는 펌프;
상기 응축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응축수가 수용되는 임시 수용홈부와, 상기 임시 수용홈부와 연통되며 응축기의 폭방향 일측에 상기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임시 수용홈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제1 유출 구멍을 포함하는 응축수 컨테이너;
상기 펌프와 응축수 컨테이너의 유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 및,
상기 응축기와 응축수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되는 응축기 브라켓;
을 포함하되,
상기 응축기의 배관 파이프가 상기 응축기 브라켓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임시 수용홈부 바닥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n evaporator installed indoors within the case, a condenser installed outdoors within the case, an evaporator fan, and a condenser fan. in
a condensate tray disposed under the condenser and accommodating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evaporator;
A pump installed in the condensate receiv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denser, a temporary accommod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condensed water,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temporary accommodation groove and protru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condens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denser, and a bottom of the temporary accommodation groove. A condensate container including a first outflow hole formed;
a hose connecting between the pump and the inlet of the condensate container; and,
a condenser bracket install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condenser water container;
Includ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ing pipe of the condenser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emporary receiving groove of the condensate container in a state where it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bracket.

상기 유입구 중심의 높이는 상기 배관 파이프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inle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pipe.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유입구에 대향하는 응축수 컨테이너의 타측에는 폭방향을 따라 계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viewed from a plan view,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ep portion 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condensate container facing the inlet.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유출 구멍은 응축기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의 실외면쪽으로 편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viewed from a plan view, a plurality of the first outlet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denser, and are biased toward the outdoor surface of the condenser.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는 상기 응축기의 폭방향을 따라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임시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임시 수용홈부를 형성하는 바닥면에는 상기 제1 유출 구멍과 상기 응축기의 배관 파이프의 곡면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densate container has an inlet protruding outward at one sid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denser, a temporary accommodation groove is formed on the inside, and the first outlet hole and the condenser pipe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forming the temporary accommodation gro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which the curved end of the pipe passes.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유입구가 형성되는 임시 수용홈부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가 높낮이 낙차에 의해 자연스럽게 바닥면의 타측을 향해 흐를 수 있도록, 수평 가이드부, 곡면 가이드부 및 수직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배출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가이드부의 상면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가 직선 방향으로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side of the temporary accommodation groove where the inlet of the condensate container is formed includes a horizontal guide, a curved guide and a vertical guide so that the condensate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can naturally flow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floor by a drop in he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guide is formed.
A discharge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guide part so that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can be stably discharged in a straight direction.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바닥면 둘레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구성되어,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둘레 하단이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상면에 면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면이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두께방향 양측면에는 수 착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두께방향 양측면에는 상기 수 착탈부와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암 착탈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e container is configur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ondenser bracket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condensate contain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enser bracket characterized by
Water detachable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densate contain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arm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denser brack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상기 호스의 유출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ib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utflow direction of the hose is disposed inside the condensate container.

상기 응축수 받이에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condensate is installed in the condensate receiver.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응축기의 상부에 제1 유출 구멍과 제2 유출 구멍을 각각 형성하는 응축수 컨테이너와 응축기 브라켓을 구성함으로써, 응축수가 응축기의 상부 안쪽을 통해 하부로 흐르는 과정에서 응축기를 냉각하면서 스스로는 증발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condensate container and the condenser bracket to form the first outlet hole and the second outlet hole, respectively, at the top of the condenser, in the process of condensate flowing downward through the inside of the top of the condenser. As it cools the condenser, it evaporates itself.

따라서, 응축기의 냉각이 한층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부에 노출되는 호스 없이도 응축수를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denser can be cooled more easily and condensed water can be treated naturally without a hos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응축기 브라켓에는 응축수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응축기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있어 응축기에 대한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condensate outlet in the condenser bracket, condensed water can be discharged out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enser, so that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ndenser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응축수 컨테이너와 응축기 브라켓은 상호 착탈결합되는 수 착탈부 및 암 착탈부를 구성함으로써,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가 응축기 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ensate container and the condenser bracket constitute a detachable and detachable part and a detachable arm,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for maintenance work and the condensate container flow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denser bracket or vertically. can prevent doing so.

또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리브를 배치함으로써, 응축수가 충격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유출 구멍을 가로지르지 않고 제1 유출 구멍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isposing a rib inside the condensate container, when the condensate is shockingly introduced, it may be guided in a direction where the first outlet hole is located without crossing the first outlet hole.

또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에는 배출가이드를 형성함으로써, 유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가 높낮이 낙차로부터 자연스럽게 바닥면의 타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운동에너지를 부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forming a discharge guide in the condensate container, the condensate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provides an effect of imparting kinetic energy so that the condensed water naturally flows from the height drop to the other side of the floor surf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의 주요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응축수 컨테이너 및 응축기 브라켓의 구성 및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응축수 받이에 설치되는 수위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window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densate container and the condenser bracket in FIG. 4;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
FIG. 7 is a plan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in the condensate receiver of FIG. 4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1000)은.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에서 실내측에 설치되는 증발기(200)와, 상기 케이스(100) 내에서 실외측에 설치되는 응축기(300)와, 응축기 팬(800) 및 증발기 팬(9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window type air conditione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100, an evaporator 200 installed on the indoor side within the case 100, a condenser 300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within the case 100, a condenser fan 800 and an evaporator fan (900).

특히,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1000)은,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에서 상기 증발기(200)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받이(120)와, 상기 응축수 받이(120)에 설치되는 펌프(130)와. 상기 응축기(3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에는 제1 유출 구멍(410)이 형성되는 응축수 컨테이너(400)와, 상기 펌프(130)와 응축수 컨테이너(400)의 유입구(430)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500)와, 상기 응축기(300)와 응축수 컨테이너(400) 사이에 설치되며 제2 유출 구멍(610)이 형성되는 응축기 브라켓(600)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4 to 7, the window type air conditione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densate receiver 120 for accommodating condensate falling from the evaporator 200 at the bottom of the case 100 and , The pump 130 installed in the condensate receiver 120 and. A hose connected between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denser 300 and having a first outlet hole 410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pump 130 and the inlet 430 of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500 and a condenser bracket 600 installed between the condenser 300 and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and having a second outlet hole 610 formed therein.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펌프(130)에 의해 응축수 받이(120) 내에 수용된 응축수가 호스(500)를 통해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로 유입되고 상기 제1 유출 구멍(410)을 통해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으로 이동한 후 다시 상기 제2 유출 구멍(610)을 통해 응축기(300)로 유동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densate received in the condensate receiver 120 by the pump 130 flows into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through the hose 500 and the condenser bracket ( 600), and flows again to the condenser 300 through the second outlet hole 610.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 내로 유입되는 응축수는 제1 유출 구멍(410)을 통해 아래로 낙하한 후 그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의 제2 유출 구멍(610)과 응축수 배출구(630)를 통해 응축기의 두께방향 내,외부 양쪽으로 응축수가 흘러서 응축기(300)를 한층 효과적으로 냉각하게 된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ate flowing into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falls down through the first outlet hole 410, and then the second outlet hole 610 of the condenser bracket 600 located below and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port 630, the condensed water flow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ondens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by cooling the condenser 300 more effectively.

상기 제1 유출 구멍(410)과 제2 유출 구멍(610)은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 및 응축수 브라켓(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응축수가 다수 개의 제1 유출 구멍(410) 및 제2 유출 구멍(610)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응축기(300)의 안쪽에 대한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유출 구멍(410)은 응축기(300)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300)의 실외면쪽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outlet hole 410 and the second outlet hole 610 may be formed in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and the condensate bracket 600. Since it can be quickly discharged through the hole 410 and the second outlet hole 610, cooling efficiency for the inside of the condenser 300 can be increased.
As shown in FIG. 7 (a),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a plurality of first outlet holes 410 are spaced a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denser 300, and the seal of the condenser 300 It may be arranged biased towards the outer surface.

물론, 낙하하는 응축수는 고온의 응축기(300)을 냉각하면서 스스로는 증발하게 된다.Of course, the falling condensate evaporates itself while cooling the high-temperature condenser 300 .

이러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의 내부에는, 상기 호스(500)의 유출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420)가 배치되어 있어 응축수가 충격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유출 구멍(410)을 가로지르지 않고 다수의 제1 유출 구멍(4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Inside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a rib 420 extending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outflow direction of the hose 500 is disposed to prevent the first outlet hole 410 when condensate is shockingly introduced. It can be guided in the direction where the plurality of first outlet holes 410 are located without crossing.

상기 리브(420)는 하나만 형성되어도 어느 정도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나, 응축수의 유동 안정화 및 배출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면 다수 개의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Even if only one rib 420 is formed, a certain degree of effect can be exerted, but a plurality of ribs 420 can be manufactured if conditions for stabilizing the flow of condensate and increasing the speed of discharge are met.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리브(420)는 응축수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룰 수도 있으나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제1 유출 구멍(410)으로 안내하는 최적의 배출 효율성을 갖도로 한다.When viewed from a plane, the rib 420 may form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ndensed water, but may form an acute angle or an obtuse angle so as to have optimal discharge efficiency for guiding to the first outlet hole 410.

구체적으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는 상기 응축기(300)의 폭방향을 따라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입구(43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리브가 형성되는 임시 수용홈부(401)가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has an inlet 430 protruding outward on one sid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denser 300, and a temporary receiving groove 401 in which the rib is formed is formed inside.

즉, 상기 유입구(430)는 상기 호스(500)와 결합되어 응축수를 유입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임시 수용홈부(401)는 응축수를 임시로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다.That is, the inlet 430 is combined with the hose 500 to serve to introduce condensed water, and the temporary receiving groove 401 is a space provided to temporarily accommodate condensed water.

그리고 상기 임시 수용홈부(401)를 형성하는 바닥면에는 상기 제1 유출 구멍(410)과 상기 응축기(300)의 배관 파이프(390)의 곡면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공(411)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유입구(430) 중심의 높이는 상기 배관 파이프(390)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A through hole 411 through which the first outflow hole 410 and the curved end of the piping pipe 390 of the condenser 300 pass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where the temporary receiving groove 401 is formed.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inlet 430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piping pipe 390.

특히,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의 유입구(430)가 형성되는 임시 수용홈부(401)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430)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가 높낮이 낙차로부터 자연스럽게 바닥면의 타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배출가이드(440)가 형성된다.In particular, on one side of the temporary accommodation groove 401 where the inlet 430 of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is formed, the condensate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430 can naturally flow from the height drop to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A guide 440 is formed.

정단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배출가이드(440)는 윗쪽에서 아래쪽을 향해 만곡되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가이드(440)는 수평 가이드부(445), 곡면 가이드부(446) 및 수직 가이드부(447)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viewed from a front cross-sectional view, the discharge guide 440 is preferably formed as a curved surface curved from top to bottom.
That is, as shown in FIG. 7(b), the discharge guide 440 may include a horizontal guide part 445, a curved guide part 446, and a vertical guide part 447.

아울러, 상기 배출가이드(440)를 구성하는 수평 가이드부(445)의 상면에는 상기 유입구(430)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가 두께방향으로 넓게 퍼지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출 가이드홈(441)이 형성된다.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guide part 445 constituting the discharge guide 440, the discharge guide groove ( 441) is formed.

또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의 바닥면은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윗쪽에 위치하고,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둘레 하단이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의 상면에 면밀착 상태로 지지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enser bracket 600, and the circumferential lower end of the condensate container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enser bracket 600 in a surface-contact state.

또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의 두께방향 양측면에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과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수 착탈부(450a,450b)가 형성된다.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in the thickness direction, detachable and detachable parts 450a and 450b are formed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denser bracket.

상기 수 착탈부(450a,450b)는 응축수 컨테이너(400)와 응축기 브라켓(600) 간의 상호 착탈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내부 청소 등 유지보수를 한층 수월하게 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유입구(430)를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의 수압에 의해 응축수 컨테이너(400)가 응축기 브라켓(60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유입구(430)에 대향하는 응축수 컨테이너(400)의 타측에는 폭방향을 따라 계단부(480)가 형성된다.
The detachable and detachable parts 450a and 450b facilitate the mutual detachable coupling between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and the condenser bracket 600 to provide convenience for easier maintenance such as internal cleaning, as well as the inlet 4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from flow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denser bracket 600 or flowing vertically due to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condens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condenser bracket 600 .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a step portion 48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facing the inlet 430 along the width direction.

한편,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은 상기 응축기(300)와 응축수 컨테이너(4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유출 구멍(410)과 연통하는 위치에 제2 유출 구멍(610)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condenser bracket 600 is installed between the condenser 300 and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and a second outlet hole 610 is formed at a posi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hole 410.

상기 제2 유출 구멍(610)은 응축기(300)의 안쪽 공간으로 응축수를 배출시켜 응축기(300)에 대한 냉각효과는 물론 응축수의 증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e second outlet hole 610 discharges the condensed water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ndenser 300 to increase the cooling effect of the condenser 300 and the evaporation efficiency of the condensed water.

구체적으로, 증발기(200)로 인해 발생한 응축수는 펌프(130)에 의해 응축기(300) 상단부의 응축수 컨테이너(400)로 이동이 되고 응축수 컨테이너(400) 내의 응축수는 제1 유출 구멍(410)을 통해 응축기 브라켓(600)으로 흘러 가고 이때 응축수는 응축기 브라켓(600)의 평면에 위치한 제2 유출 구멍(610)들을 통해 응축기(300)의 알루미늄 판(냉각핀)으로 이동한다. 이때 차가운 응축수가 뜨거워진 알루미늄 판 평면에 고르게 퍼지면서 자연 증발 및 냉각이 되어 방열 효율을 좋게 한다.Specifically, the condensate generated by the evaporator 200 is moved to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at the top of the condenser 300 by the pump 130, and the condensate in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passes through the first outflow hole 410. It flows into the condenser bracket 600, and at this time, the condensed water moves to the aluminum plate (cooling fin) of the condenser 300 through the second outflow holes 610 located on the plane of the condenser bracket 600. At this time, the cold condensed water spreads evenly on the heated aluminum plate surface, and naturally evaporates and cools, improving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그리고 알루미늄 판 평면에 고르게 펼처진 응축수 중 자연 증발이 안된 응축수는 알루미늄 판의 슬로팅 부분을 통해 아래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 판을 냉각 시키며 응축수를 자연 증발시키는 역활을 한다.Among the condensed water spread evenly on the plane of the aluminum plate, the condensed water that has not evaporated naturally moves downward through the slotting part of the aluminum plate in sequence, cooling the aluminum plate in the same way and naturally evaporating the condensed water.

이러한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은 응축기(300)의 상단에 설치되는 바닥부재(601)와, 상기 바닥부재(601)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윗쪽으로 세워지는 제1 측면부재(602)와, 상기 바닥부재(601)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윗쪽을 세워지는 제2 측면부재(603)로 이루어진다.The condenser bracket 600 includes a bottom member 601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denser 300, a first side member 602 bent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member 601 and erected upward, It consists of a second side member 603 bent from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member 601 and standing upright.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은 상부가 개방된 채널형 구조이다.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condenser bracket 600 has a channel-type structure with an open top.

상기 바닥부재(601)에는 상기 제2 유출 구멍(610)과 응축기(300)의 배관 파이프(390)가 통과하는 배관공(620)이 형성된다.A pipe hole 620 through which the second outlet hole 610 and the piping pipe 390 of the condenser 300 pass is formed in the bottom member 601 .

이러한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은 응축기(300)의 배관 파이프(390)가 배관공(620)을 통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응축기(300)의 상단에 견고한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condenser bracket 6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iping pipe 390 of the condenser 300 passes through the piping hole 620, it is stably fixed to the top of the condenser 300 without using a separate fastening configuration. can be maintained as

특히, 상기 바닥부재(601)와 제1 측면부재(602)가 연결되는 절곡면에는 응축수를 응축기(300)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구(63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부재(603)에는 길이방향의 일부분을 파단하여 상기 수 착탈부와 후술할 암 착탈부 간의 체결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방공간(640)을 형성한다.In particular, a condensate outlet 630 for discharging condensate to the out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enser 300 is formed on the bent surface where the bottom member 601 and the first side member 602 are connected, and the second side member ( 603), an open space 640 is formed by breaking a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fastening action between the male attachable and detachable part and the arm attachable and detachable part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performed.

즉,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은 응축수를 제2 유출 구멍(610)으로 배출시키는 것 외에도 외측면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응축수 배출구(63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응축기(300)의 내,외부 양쪽으로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있어 응축기(300)에 대한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condenser bracket 600 forms a condensate outlet 630 so that the condens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er surface in addition to the second outlet hole 610, so that bo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denser 300 can be discharged. Since the condensed water can be discharged,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ndenser 300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응축수 배출구(630)는 절곡면으로부터 바닥부재(601)와 제1 측면부재(602)의 안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측면부재(602)로 연장되는 응축수 배출구(630)의 공간 길이보다 상기 바닥부재(601)로 연장되는 응축수 배출구(630)의 공간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The condensate outlet 630 preferably extends long from the bent surfac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bottom member 601 and the first side member 602, and the condensate outlet extending to the first side member 602 ( 63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length of the space of the condensed water outlet 630 extending to the floor member 601 longer.

또한, 상기 제1 측면부재(602)와 제2 측면부재(603)에는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와 상보적으로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암 착탈부(650a,650b)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side member 602 and the second side member 603 are formed with respective detachable arm portions 650a and 650b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densate container 400 in a complementary manner.

한편, 상기 응축기 팬(800)과 증발기 팬(900)은 구조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응축기 팬(800)의 가동과 함께 실외의 공기가 제2 흡입부(160)을 통해 제2 토출부(170)로 배출되면서 응축기(300)를 냉각시키게 되고, 상기 증발기 팬(900)의 가동과 함께 실내의 공기는 제1 흡입부(140)를 통해 제1 토출부(150)로 나오면서 케이스(100)의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denser fan 800 and the evaporator fan 900 have a cylindrical exterior that extends vertically in structure, and outdoor air flows through the second suction part 160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denser fan 800. The condenser 300 is cooled while the condenser 300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170, and the air in the room moves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40 to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along with the operation of the evaporator fan 900. As it comes out, the inside of the case 100 is cooled.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 받이(120)에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300)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기계적인 압력의 작용을 발생시키는 펌프(13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8 , a pump 130 generating mechanical pressure to move the condensed water to the top of the condenser 300 is installed in the condensate receiver 120 .

또한, 상기 응축수 받이(120)에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70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water level sensor 700 for detecting the level of condensate is installed in the condensate receiver 120.

즉, 상기 수위센서(700)는 응축수 받이(120)에 모여진 응축수가 외부로 범람하지 않도록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펌프(130)가 구동하여 상기 응축기(300)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응축수가 응축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흘러내려 응축기(300)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when the water level sensor 700 reaches a certain level so that the condensate collected in the condensate receiver 120 does not overflow to the outside, the pump 130 is driven to move the condensate to the upper part of the condenser 300, and then the condensed water is transferred to the condenser. It flows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denser 300 to cool the condenser 300, and serves to sense the level of condensed water so that evaporation can be made.

아울러, 상기 응축기 팬(800)은 응축수 받이(120) 영역에 있으므로 상기 응축수 받이(120)에 수용된 응축수에 의한 응축기 팬(800)의 간접 냉각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condenser fan 800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condensate receiver 120, indirect cooling of the condenser fan 800 by the condensate received in the condensate receiver 120 is possibl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경우 상기 증발기(200)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 팬(800)이 배치된 응축수 받이(120)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유로(110)가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in this case, a guide passage 110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evaporator 200 to the condensate receiver 120 where the condenser fan 800 is disposed may be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below.

100... 케이스
120... 응축수 받이
130... 펌프
200... 증발기
300... 응축기
400... 응축수 컨테이너
401... 임시 수용홈부
410... 제1 유출 구멍
420... 리브
430... 유입구
440... 배출가이드
500... 호스
600... 응축기 브라켓
610... 제2 유출 구멍
700... 수위센서
800... 응축기 팬
900... 증발기 팬
1000... 창문형 에어컨
100... case
120... condensate tray
130... pump
200... evaporator
300... condenser
400... condensate container
401... temporary housing unit
410... first outflow hole
420... rib
430... inlet
440... discharge guide
500... hose
600... condenser bracket
610... second outflow hole
700... water level sensor
800... condenser fan
900... evaporator fan
1000... window air conditioner

Claims (8)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서 실내측에 설치되는 증발기, 상기 케이스 내에서 실외측에 설치되는 응축기, 증발기 팬 및 응축기 팬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받이;
상기 응축수 받이에 설치되는 펌프;
상기 응축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응축수가 수용되는 임시 수용홈부와, 상기 임시 수용홈부와 연통되며 응축기의 폭방향 일측에 상기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임시 수용홈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제1 유출 구멍을 포함하는 응축수 컨테이너;
상기 펌프와 응축수 컨테이너의 유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 및,
상기 응축기와 응축수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되는 응축기 브라켓;
을 포함하되,
상기 응축기의 배관 파이프가 상기 응축기 브라켓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임시 수용홈부 바닥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In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case, an evaporator installed indoors within the case, a condenser installed outdoors within the case, an evaporator fan, and a condenser fan,
a condensate tray disposed under the condenser and accommodating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evaporator;
A pump installed in the condensate receiv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denser, a temporary accommod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condensed water,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temporary accommodation groove and protru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condens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denser, and a bottom of the temporary accommodation groove. A condensate container including a first outflow hole formed;
a hose connecting between the pump and the inlet of the condensate container; and,
a condenser bracket install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condenser water container;
Including,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emporary receiving groove of the condensate container in a state where the piping pipe of the condenser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중심의 높이는 상기 배관 파이프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According to claim 1,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inlet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pipe.
제1항에 있어서,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유입구에 대향하는 응축수 컨테이너의 타측에는 폭방향을 따라 계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According to claim 1,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 step portion 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condensate container facing the inlet.
제1항에 있어서,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유출 구멍은 응축기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의 실외면쪽으로 편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According to claim 1,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a plurality of first outlet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denser, and the window type air conditioner is biased toward the outdoor surface of the conden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유입구가 형성되는 임시 수용홈부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가 높낮이 낙차에 의해 자연스럽게 바닥면의 타측을 향해 흐를 수 있도록, 수평 가이드부, 곡면 가이드부 및 수직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배출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temporary accommodation groove where the inlet of the condensate container is formed includes a horizontal guide, a curved guide and a vertical guide so that the condensate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can naturally flow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floor by a drop in height.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guide is form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부의 상면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가 직선 방향으로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According to claim 5,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 discharge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guide part so that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can be stably discharged in a straigh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바닥면 둘레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구성되어,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둘레 하단이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상면에 면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면이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According to claim 1,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e container is configur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ondenser bracket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condensate contain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enser bracket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두께방향 양측면에는 수 착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두께방향 양측면에는 상기 수 착탈부와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암 착탈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According to claim 7,
Water detachable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densate contain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respectively,
The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arm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denser brack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respectively.




KR1020210159612A 2021-01-22 2021-11-18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KR1024813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612A KR102481303B1 (en) 2021-01-22 2021-11-18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53A KR102330606B1 (en) 2021-01-22 2021-01-22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KR1020210159612A KR102481303B1 (en) 2021-01-22 2021-11-18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653A Division KR102330606B1 (en) 2021-01-22 2021-01-22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674A KR20220106674A (en) 2022-07-29
KR102481303B1 true KR102481303B1 (en) 2022-12-26

Family

ID=787481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653A KR102330606B1 (en) 2021-01-22 2021-01-22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KR1020210159612A KR102481303B1 (en) 2021-01-22 2021-11-18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653A KR102330606B1 (en) 2021-01-22 2021-01-22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3060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064B1 (en) 2006-11-06 2013-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774B1 (en) 1998-09-24 2002-08-24 엘지전자주식회사 Window Slim Air Conditioner
KR101660716B1 (en) * 2009-05-29 201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Ventilating device
WO2013163379A1 (en) * 2012-04-27 2013-10-31 Grg, Llc Louver device for removing moisture and du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064B1 (en) 2006-11-06 2013-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606B1 (en) 2021-11-24
KR20220106674A (en)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2771C2 (en) Internal air conditioner unit
CN106337269B (en) Drying system and clothes drying device
US20170342622A1 (en) Heat pump drying or washing-drying machine
KR20080003525A (en) Air conditioner
KR102481303B1 (en)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KR102094901B1 (en) An outdoor unit for a an air conditioner
KR100900283B1 (en) drain pan of ceiling suspension type air-conditioner
KR102436120B1 (en) Dehumidifier for lowering temperature of output air
KR20070028884A (en) Air conditioner incorporated evaporator and condenser in one body
JP5382153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2252569B1 (en)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CN219846486U (en) Cleaning machine
KR100850938B1 (en) Ceiling-installed air conditioner
KR100382522B1 (en) Convertible type indoor device of air-conditioner
KR20190084588A (en) Movable air conditioner
KR100441102B1 (en) The evaporator mounting of an air-conditioner
CN220486088U (en) Box structure and washing machine
WO2022037718A1 (en) Refrigerator having condenser arranged in compressor cabin
KR100362468B1 (en) Condensing water discharge apparatus of heat exchanger for vehicles
KR100575305B1 (en) Drain Pan for air conditioner
KR100874230B1 (en) Condensate Collection Structure for Ceiling Air Conditioners
KR100484932B1 (en) Air Conditioner
CN116712015A (en) Cleaning machine
KR20100007019U (en) Ceiling type air-conditioner
KR20010093370A (en) Condensing water drain apparatus of air-conditioner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