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101B1 - Coupling member, fluid-device connecting jig and fluid-device connec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Coupling member, fluid-device connecting jig and fluid-device connect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101B1
KR102481101B1 KR1020170160419A KR20170160419A KR102481101B1 KR 102481101 B1 KR102481101 B1 KR 102481101B1 KR 1020170160419 A KR1020170160419 A KR 1020170160419A KR 20170160419 A KR20170160419 A KR 20170160419A KR 102481101 B1 KR102481101 B1 KR 102481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ece
jig
connecting member
flui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2952A (en
Inventor
히데유키 다케다
히로키 이와타
히로토 야스에
야스노리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2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9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1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ed by toggle-action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6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과제] 누액 발생 시에 시급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좁은 스페이스에서 설치 가능한 작업성이 좋은 유체 기기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제1 접속부(21)를 갖는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접속부(31)를 갖는 제2 유체 기기(3)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를 접속하는 환상 시일 부재(4)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 부재(5)를 갖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1)에 있어서, 연결 부재(5)는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구비하고,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의 일단부에 제1 힌지부(63)와 제2 힌지부(73)를 갖는 것,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외형은 원 형상인 것, 제1 연결편(6)은 개구부(6a)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이며,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하여 제1 접속부(21)부와 제2 접속부(31)가 접한다.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that enables an urgent response when liquid leakage occurs and that can be installed in a small space and has good workability.
[Solution] The first fluid device 2 hav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 the second fluid device 3 hav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In a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1) having an annular seal member (4) connecting a ) and a connection member (5) maintaining a connected state of a first connection portion (21)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the connection member (5)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a second connection piece (7), the first hinge portion 63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73,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is circular,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is substantially U-shaped with an opening 6a,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he 1st connection part 21 part and the 2nd connection part 31 contact|connect more than 180 degree of the whole circumference of (21) and the 2nd connection part 31.

Description

연결 부재, 유체 기기 접속 지그 및 유체 기기 접속 구조{COUPLING MEMBER, FLUID-DEVICE CONNECTING JIG AND FLUID-DEVICE CONNECTING STRUCTURE}Connection member, fluid device connection jig and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COUPLING MEMBER, FLUID-DEVICE CONNECTING JIG AND FLUID-DEVICE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제1 접속부를 갖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접속부를 갖는 제2 유체 기기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접속하는 환상 시일 부재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 부재를 갖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st fluid device having a first connecting portion, a second fluid device having a second connecting portion, an annular seal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a connected stat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t relates to a connecting member used in a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having a connecting member holding a.

종래, 반도체 제조 공정이나 액정 제조 공정 등에 사용하는 약액의 제어에는, 유량 제어 밸브나 개폐 밸브 등의 밸브류나, 필터, 압력 센서나 유량 센서 등의 센서류, 조인트 블록이나 유로 블록 등의 배관 블록류 등, 유체 기기가 사용된다. 최근 들어, 장치의 콤팩트화를 위해, 이들 유체 기기의 접속부끼리를,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직접 연결하여, 유닛화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Conventionally, in the control of liquid chemicals used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es and liquid crystal manufacturing processes, valves such as flow control valves and on/off valves, filters, sensors such as pressure sensors and flow sensors, piping blocks such as joint blocks and flow paths, etc. , fluidic devices are used. In recent years, for the purpose of miniaturization of an apparatus, connecting parts of these fluid devices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connecting member to form a unit.

도 33은, 종래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의 연결 부재(106)의 통상 사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종래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의 연결 부재(106)의 체결력 증대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3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member 106 of a conventional fluid device connecting structure in a normally used state. Fig. 3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nnecting member 106 of the conventional fluid device connecting structure is increased.

연결 부재(106)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107)과 제2 연결편(108)의 양단부를 걸림 결합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편(107) 및 제2 연결편(108)의 일단부(제1 걸림 결합부)는 지지축(111)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한편, 제1 연결편(107) 및 제2 연결편(108)의 타단부(제2 걸림 결합부)는 제2 연결편(108)의 제1 연장 설치부(108c)에 돌출 설치한 걸림 고정 갈고리(108e)를 제1 연결편(107)의 제2 연장 설치부(107c)에 형성한 삽입 관통 구멍(107e)에 탄성 변형시키면서 삽입 관통한 후, 걸림 고정 갈고리(108e)를 복원시켜서 제2 연장 설치부(107c)에 걸림 고정시킴으로써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이 접속 상태가 연결 부재(106)로 접속부끼리를 접속하는 통상 사용 상태이다.As shown in FIG. 33, the connecting member 106 is configured by engaging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107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108. One ends (first engagement portions)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107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108 are rotatably engaged via a support shaft 111 .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s (second engaging portions)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107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108 are hooked hooks 108e protru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08c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108. )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07e formed i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07c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107 while elastically deforming it, and then the locking claw 108e is restored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 The connected state is maintained by engaging with 107c). This connection state is a normal use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a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member 106 .

접속부와 환상 시일 부재와 제1 및 제2 연결편(107, 108)은, 수지를 재질로 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접속부에 비정상적인 고온의 약액과 비정상적인 저온의 순수가 교대로 장기간 가해지면, 접속부가 크리프 변형되어, 시일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시일력이 저하되면, 누액이 발생한다. 이러한 긴급 시에, 체결력 증대가 행해진다.The connecting portion, the annular sealing member,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ieces 107 and 108 are made of resin. For this reason, for example, when an abnormally high-temperature chemical solution and an abnormally low-temperature pure water are alternately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nnection part may creep deform and the sealing force may decrease. When the sealing force is lowered, leakage occurs. In such an emergency, tightening force increase is performed.

연결 부재(106)에는, 제1 및 제2 연결편(107, 108)을 서로 근접시켜서 접속부끼리를 가까이 끌어당겨서, 시일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체결력 증대 부재(110)가 설치되게 되어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06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force increasing member 110 for increasing the sealing force by bring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eces 107 and 108 close to each other to attract the connecting portions to each other.

체결력 증대 부재(110)를 제1 연결편(107)의 삽입 관통 구멍(107d)에 삽입 관통하여 제2 연결편(108)의 볼트 구멍(108d)에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 연결편(107, 108)을 가까이 끌어당겨서, 접속부끼리를 근접시킨다. 따라서, 연결 부재(106)는 체결력 증대 부재(110)를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시일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astening force increasing member 110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07d of the first linking piece 107 and fastened to the bolt hole 108d of the second linking piece 108,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inking pieces 107 and 108 ) to bring them closer to each other. Therefore, the connecting member 106 is fastened using the fastening force increasing member 110, thereby improving the sealing force.

일본 특허 제5134573호 공보Japanese Patent No. 5134573 일본 특허 제4575973호 공보Japanese Patent No. 4575973

그러나, 종래의 연결 부재(106)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necting member 106 has the following problems.

연결 부재(106)에서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107)과 제2 연결편(108)을 일체로 해 두기 위한 지지축(111)과, 연결 부재(106)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된 제1 연장 설치부(108c)와 제2 연장 설치부(107c)를 설치하기 위해서, 연결 부재(106) 자체가 커진다.In the connecting member 106, as shown in FIG. 33, the supporting shaft 111 for integrating the first connecting piece 107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108 and the connecting member 106 are closed. In order to install the first extension installation portion 108c and the second extension installation portion 107c formed on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connecting member 106 itself becomes large.

또는, 안전 기구로서의 체결력 증대용의 제2 걸림 결합부를 반경 방향 외측에 설치했기 때문에, 연결 부재(106) 자체가 커진다. 이에 의해, 연결 부재(106)를 설치하기 위한 넓은 작업 스페이스가 필요하다.Alternatively, sinc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for increasing fastening force as a safety mechanism is provided radially outward, the connecting member 106 itself becomes large. As a result, a wide working space for installing the connecting member 106 is required.

또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면(300)에 유체 기기를 병렬로 다수 설치하는 경우, 특히 중앙의 유체 기기의 작업 스페이스는 설치면(300)과는 반대측에 한정되어, 종래의 연결 부재(106)에서는, 양측의 유체 기기에 연결 부재(106)가 설치되어 있으면, 연결 부재(106)의 제1 연결편(107)과 제2 연결편(108)을 근접시켜서 폐쇄할 수 없다. 가령 연결 부재(106)를 설치했다고 해도, 삽입 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부터 손을 넣어서 통상 사용 상태로 하기 때문에, 걸림 고정 갈고리(108e)를 걸림 결합시킬 수 없고, 또한, 체결력 증대 상태로 하기 때문에, 안쪽까지 손이 들어가지 않는 좁은 스페이스에서는 작업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5, when a plurality of fluid devices are installed in parallel on the installation surface 300, in particular, the work space of the central fluid device is limit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installation surface 300, and the conventional connection In the member 106, if the connecting member 106 is attached to the fluid equipment on both sides, the first connecting piece 107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108 of the connecting member 106 cannot b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and closed. Even if the connecting member 106 is installed, the hand is inserted from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to make it a normal use state, so the locking claw 108e cannot be engaged, and the tightening force is increased. However, since it is not possible to work in a narrow space where hands cannot enter all the way, there was a problem that workability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고, 좁은 스페이스에서 설치 가능한 작업성이 좋은 유체 기기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in a small space and has good workability.

본 발명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The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1) 제1 접속부를 갖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접속부를 갖는 제2 유체 기기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사이에 배치된 환상 시일 부재와, 환상 시일 부재를 통하여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접속하는 연결 부재를 갖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에 있어서, 연결 부재는,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을 구비하고,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의 일단부에 회동 연결부를 갖는 것,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외형은 원 형상인 것, 제1 연결편은, 개구부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이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하여 제2 연결편과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 first fluid device having a first connecting portion, a second fluid device having a second connecting portion, an annular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via the annular sealing member; A connecting member used in a fluid device connecting structure having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 second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iece and a second connecting piece, and a pivot connecting portion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circular, the first connecting piece is approximately U-shaped with an opening, and extends beyond 180 degrees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iece and the engaging coupling.

(2) (1)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개구부의 크기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각 관상부의 직경(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 제1 연결편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각 관상부의 직경으로부터 개구부의 크기의 차분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2) In the connecting member described in (1), the size of the opening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uter diameter) of each tubula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piece comprise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deformed so as to widen outsi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of each tubular part of the 2 connection part and the size of the opening part.

(3) (1) 또는 (2)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1 연결편에 절결부를 가진 박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connecting member described in (1) or (2)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in portion having a notch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piece.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의 회동 연결부에는, 자중 회동 방지를 위한 저항 발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제2 연결편의 내주면이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와 맞닿는 면에,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와 맞닿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4) In the connecting member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3), a resistance generating portion for preventing self-weight rotation is formed in the pivot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An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 portion tha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by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1 연결편의 외주에는 T자 또는 L자 형상의 착탈 걸림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 The connecting member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a T- or L-shaped detachable a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2 연결편의 외주에는 회동 작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 The connecting member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5), characterized in that a rotation ac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1 연결편의 제1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제1 연결편의 제2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7) In the connecting member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6), at a posi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Each is characterized in that convex projections are formed.

(8) (7)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2 연결편의 제1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제2 연결편의 제2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8) In the connecting member described in (7), convex projections are formed at positions fac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and at positions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1 연결편의 타단부는, 제1 걸림 고정부를 구비하고, 제2 연결편의 타단부는, 제1 걸림 고정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1 걸림 고정 수용부를 구비하고, 연결 부재는, 제1 걸림 고정부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가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는 것, 연결 부재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환상 시일 부재 방향으로 근접한 제2 걸림 고정 위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9) In the coupling member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8),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iece has a first lock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has a first locking portion. A first locking accommodating portion to be engaged is provided, the connecting member is positioned at a first engaging position where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first engaging receiving portion are engaged, and the connecting member compris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a second locking position closer in the direction of the annular seal member than when it is at the position.

(10) (9)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1 걸림 고정 위치는, 통상의 사용 상태이며, 제2 걸림 고정 위치는,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10) In the connecting member described in (9), the first engagement position is a normal use state, and the second engagement position is a fastening force increasing state.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에 있어서, 제1 연결편은, 외주면에 제2 지그 걸림부가 형성되고, 제2 연결편은, 외주면에 제1 지그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유체 기기 접속 지그는, 제1 지그 걸림부에 걸림 결합하는 공통 걸림부와, 제2 지그 걸림부에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와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1) In the fluid equipment connecting jig used for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0), the first connecting piece has a second jig hook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jig having a jig hooking portion and a fluid equipment connecting jig include a common hooking part that engages with the first jig hooking part, a first hooking position hooking part and a second hooking part that engages with the second jig hooking par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osition locking part.

(12)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에 있어서, 유체 기기 접속 지그는, 연결 부재를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을 걸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2) In the fluid device connecting jig used for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0), the fluid device connecting jig is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on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are engaged by being inserted from the.

(13)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에 있어서, 유체 기기 접속 지그가 연결 부재에 설치된 상태인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3) In the fluid device connecting jig used for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0), the fastening force is increased when the fluid device connecting jig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member. .

(14)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14) It is characterized by a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0).

본 발명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갖고 있다.The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ctions and effects.

상기 (1)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편은 개구부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이며, 제1 연결편은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하여 제2 연결편과 걸림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 부재의 반경 방향 외측에 걸림 결합부를 설치하고 있지 않아, 연결 부재 자체가 콤팩트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 기기를 병렬로 다수 설치하는 관상부끼리나 벽면이 인접하여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에도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1) above, the first connecting piece is substantially U-shaped with an opening, and the first connecting piece is engaged with the second connecting piece by exceeding 180 degrees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 this reason, the engaging portion is not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member itself is formed compactly. Therefore, it can be installed even when there is no space because tubular parts or wall surfac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ere a large number of fluid devices are installed in parallel, and workability is good.

상기 (2)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편의 개구부의 크기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각 관상부의 직경(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고, 제1 연결편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각 관상부의 직경(외경)으로부터 개구부의 크기의 차분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장착할 때에, 제1 연결편은 일정한 길이 분 외측으로 넓어지고,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감입하여 임시 고정을 할 수 있으므로, 감입 후, 자중이나 외력이 가해져도 빠지기 어려워, 작업성이 좋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2) above, the size of the opening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uter diameter) of each tubula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piec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outer diameter) of each tubular portion and the size of the opening can be deformed so as to widen outward, when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connecting piece widens outward by a certain length, and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since it can be temporarily fixed by inserting in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t is difficult to come off even when its own weight or external force is applied after inserting, and workability is good.

상기 (3)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편에 절결부를 가진 박육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연결편은,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에 장착할 때에, 박육부가 적당한 강도의 탄성 변형을 일으켜서, 개구부를 확장할 수 있고, 장착 후에는 개구부가 닫히기 때문에, 적당한 장착력으로, 또한 작업자는 적당한 장착감을 느끼면서 장착할 수 있고, 장착 후에는 빠지기 어려워져, 작업성이 좋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3) above, since the thin portion having the cutout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piece, when the first connecting piece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he thin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with an appropriate intensity. , the opening can be expanded, and since the opening is closed after attachment, the operator can wear it with an appropriate attachment force while feeling an appropriate attachment feeling, and it is difficult to come off after attachment, resulting in good workability.

상기 (4)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의 저항 발생부와 제2 연결편의 내주면에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맞닿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연결편과,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가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범위가 있음과 동시에, 그곳에서는 마찰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1 연결편을 장착 후, 제2 연결편을 걸림 결합시킬 때까지의 동안, 제2 연결편의 위치를 작업하기 쉬운 위치에서 임시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4) above, since a portion wher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do not come into contac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sistance generat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the second connection piece;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do not interfere.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range in which it can rotate freely and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there, it is easy to work 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linking piece after the first linking piece is attached until the second linking piece is engaged. It can be temporarily fixed in position, so workability is good.

상기 (5)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편의 외주에 착탈 걸림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탈 걸림 고정부를 집을 수 있고, 또한, 지그를 착탈 걸림 고정부와 걸림 결합시켜서 압박하거나, 인장함으로써, 연결 부재를 장착하거나, 제거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5) above, since the attachment/detachment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linking piece, the attachment/detachment/locking portion can be picked up, and furthermore, the jig is engaged with the attachment/detachment/locking portion to press or pull. , Since it becomes easy to attach or remove the connecting member, the workability is good.

상기 (6)의 구성에 의하면, 제2 연결편의 외주에는 회동 작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 작용부에 연결 부재를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하중을 가함으로써 제2 연결편을 회동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6) above, since the rotation ac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by applying a load to the rotation action portion from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 The connection piece can be rotated, so the workability is good.

상기 (7) 또는 (8)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즉, 제1 연결편의 제1 걸림 고정부의 선단부와, 제2 연결편의 제1 걸림 고정 수용부의 선단부가 통상 서로 맞닿아서 걸림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제1 연결편 및 제2 연결편의 공차에 의해, 선단부와 선단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맞물릴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 상태는, 시일력에는 영향 없지만, 사용자가 본 경우에 장착이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 상기 (7)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편의 제1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제1 연결편의 제2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8)의 구성에 의하면, 제2 연결편의 제1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제2 연결편의 제2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이,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선단부와 선단부의 사이의 간극이 없어져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7) or (8), the following effects are exhibited.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first locking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locking receiving part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normally abut and engage each other. However, due to the tolerance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distal end and the distal end cannot be engaged. This state does not affect the sealing force,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ser feels that the attachment is not completed when view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7) above, convex projections are formed at positions fac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at positions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respectively. Furth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8) above, convex projections are provided at positions fac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and opposit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respectively. Si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ince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are press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he gap between the tip ends is eliminated and they can be engaged reliably. do.

상기 (9) 또는 (10)의 구성에 의하면, 접속부에 비정상적인 고온의 약액과 비정상적인 저온의 순수가 교대로 장기간 가해지는 등에 의해, 시일력이 저하되어서 누액이 발생한 경우 등에, 제1 걸림 고정 위치와 제2 걸림 고정 위치가 있기 때문에, 보다 환상 시일 부재 방향으로 근접하고 있는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함으로써,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 간의 접합력을 높여서, 누액 발생 시에 시급한 대응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9) or (10) above, when an abnormally high-temperature chemical solution and an abnormally low-temperature pure water are alternately appli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o the connection part, the sealing force is lowered and leakage occurs, etc., Since there is a second locking position, by making the second locking position closer in the direction of the annular seal memb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o take immediate action when leakage occurs. .

상기 (11)의 구성에 의하면, 유체 기기 접속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을 제1 걸림 고정 위치와 제2 걸림 고정 위치의 양쪽의 접속 상태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11) above, the first connection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can be connected to both the first engagement position and the second engagement position by using the fluid device connection jig.

상기 (12)의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를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유체 기기 접속 지그를 삽입하여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을 걸림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방향으로부터만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체 기기가 병렬로 다수 설치된 좁은 스페이스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12) above, since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can be engaged by inserting the fluid device connecting jig from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can be engaged. It is possible to work only from the inside, and it is possible to work easily even in a narrow space where a large number of fluid devices are installed in parallel, and the workability is good.

상기 (13)의 구성에 의하면, 유체 기기 접속 지그가 연결 부재에 설치된 상태인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시에 한눈에 체결력 증대 상태의 유체 기기를 찾아서 대응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13) above, since the clamping force increasing state can be easi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by the fluid equipment connecting jig being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the fluid equipment in the clamping force increasing state can be found at a glance during maintenance. It can respond, and workability is good.

도 1은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의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연결 부재와 유체 기기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병렬로 설치된 유체 기기에서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유체 기기 접속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C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유체 기기, 및 환상 시일 부재의 분해도이다. (b)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유체 기기, 및 환상 시일 부재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다. (c)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유체 기기, 및 환상 시일 부재의 접속 상태에 연결 부재를 삽입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d)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유체 기기, 및 환상 시일 부재의 접속 상태에 연결 부재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의 (a)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b)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c)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b)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c)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E부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8의 (a)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b)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는 제1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c)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는 제2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d)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9의 (a)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b)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유체 기기를 병렬로 설치시킨 상태에서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정면도이다.
도 21의 (a)는 연결 부재를 제거할 때에 지그를 연결 부재에 건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b)는 지그를 빼서 연결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의 (a)는 연결 부재를 제거할 때에 지그를 연결 부재에 건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b)는 지그를 빼서 연결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12의 (d)의 DD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K부 확대도이다.
도 25는 병렬로 설치된 유체 기기에서 연결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26은 연결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연결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연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연결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30은 연결 부재의 좌측면도이다.
도 31은 연결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32는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종래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의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종래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의 제2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병렬로 설치된 유체 기기에서 종래의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6은 다른 실시 형태의 제1 연결편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다른 실시 형태의 제2 연결편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6의 I부 확대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RR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6의 J부 확대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TT 단면도이다.
도 42는 도 37의 Q부 확대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UU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in a first locking posi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in a first locking posi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in a first locking posi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in a first locking posi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before engagement.
6 is a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7 is a BB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8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nnecting member and a fluid device.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necting members are installed in fluid devices installed in parallel;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uid device connection jig.
11 is a CC sectional view of FIG. 10 .
Fig. 12(a)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fluid device, the second fluid device, and the annular seal member.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fluid device, the second fluid device, and the annular seal member are connected.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fluid device, the second fluid device, and the annular seal member. (d)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set to the first engaging position in the connected state of the first fluid device, the second fluid device, and the annular seal member.
Fig. 1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engaging a connecting member with a jig.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the middle of engaging the connecting member with a jig. (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set to the first engaging position by the j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placed in a second engaging position by means of a jig;
Fig. 15(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before engaging the connecting member with a jig. (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the middle of engaging the connecting member with the jig. (c)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set to the first engaging position by the jig.
FIG. 16 shows an enlarged view of section E of FIG. 15 .
Fig. 1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placed in a second engaging position by means of a jig;
Fig. 18(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onnecting member is engaged with a jig. (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the first middle of engaging the connecting member with the jig. (c)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the second middle of engaging the connecting member with the jig. (d)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set to the first engaging position by the jig.
Fig. 19(a)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the middle of setting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with the jig. (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set to the second engaging position by the jig.
Fig. 20 is a front view of installing connecting members in a state where fluid devices are installed in parallel;
Fig. 21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jig is hung on the connecting member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removed.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removed by pulling out the jig.
Fig. 22(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jig is hung on the connecting member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removed. (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removed by pulling out the jig.
23 is a D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d).
FIG. 24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K of FIG. 23 .
Fig. 25 is a top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necting members are installed in fluid devices installed in parallel;
26 is a front view of a connecting member.
27 is a rear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28 is a plan view of a connecting member.
29 is a bottom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30 is a left sid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Fig. 31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3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3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member in a first locking position of a conventional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3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member in a second locking position of a conventional fluid device connecting structure.
Fig. 3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ventional connecting members are installed in fluid devices installed in parallel;
Fig. 3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connecting piece in another embodiment.
3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connecting piece in another embodiment.
Fig. 3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 of Fig. 36;
3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R of FIG. 38;
Fig. 40 is an enlarged view of section J of Fig. 36;
41 is a TT cross-sectional view of FIG. 40;
Fig. 42 is an enlarged view of section Q of Fig. 37;
43 is a UU sectional view of FIG. 42;

본 발명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1)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5)의 여러 각도에 있어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의 연결 부재(5)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연결 부재(5)와 제1 유체 기기(2)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병렬로 설치된 유체 기기에서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The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to 4 show perspective views from various angles of the connecting member 5 in the first locking position. Fig.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5 in a state before engagement. FIG. 6 show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 1 , and FIG. 7 shows a cross-sectional view BB of FIG. 5 . 8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5 and the first fluid device 2 .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necting members are installed in fluid devices installed in parallel.

도 12 중, (a)는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 및 환상 시일 부재(4)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b)는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 및 환상 시일 부재(4)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다. (c)는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 및 환상 시일 부재(4)의 접속 상태에 연결 부재(5)를 삽입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d)는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 및 환상 시일 부재(4)의 접속 상태에 연결 부재(5)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한다.In FIG. 12, (a)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fluid device 2, the second fluid device 3, and the annular seal member 4. As shown in FIG. (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1st fluid device 2, the 2nd fluid device 3, and the annular seal member 4 were connected.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5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fluid device 2, the second fluid device 3, and the annular seal member 4. (d)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fluid device 2, the second fluid device 3, and the annular seal member 4 are connect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5 in the first engaging position.

도 13 중, (a)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b)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걸림 결합하는 도중의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c)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4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여기서, 연결 부재(5)의 제1 걸림 고정 위치에서는, 통상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제2 걸림 고정 위치에서는, 체결력 증대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3과 대응하고 있고, 도 15의 (a) 내지 (c)는 도 13의 (a) 내지 (c)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의 E부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4와 대응하고 있고, 도 14의 정면도를 도시한다.In FIG. 13,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engaging the coupling member 5 by the jig 8. As shown in FIG. (b) shows a state in the middle of engaging the connecting member 5 by the jig 8 in a perspective view. (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5 is placed in the first locking position by the jig 8.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5 is placed in the second locking position by the jig 8. As shown in FIG. Here, the normal use state is shown in the first engagement posi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5, and the fastening force increasing state is shown in the second engagement position. Fig. 15 corresponds to Fig. 13, and Figs. 15(a) to (c) show front views of Figs. 13(a) to (c). FIG. 16 shows an enlarged view of section E in FIG. 15 . FIG. 17 corresponds to FIG. 14 and shows a front view of FIG. 14 .

도 18 중, (a)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일부 단면도로 도시한다. (b)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걸림 결합하는 제1 도중의 상태를 일부 단면도로 도시한다. (c)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걸림 결합하는 제2 도중의 상태를 일부 단면도로 도시한다. (d)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일부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9 중, (a)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하는 도중의 상태를 일부 단면도로 도시한다. (b)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일부 단면도로 도시한다.In FIG. 18 , (a) shows a state before engaging the connecting member 5 by the jig 8 a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b) show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during the first engag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5 by the jig 8. (c) show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during the second engag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5 by the jig 8. (d)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5 is placed in the first engaging position by the jig 8. In FIG. 19 , (a) shows a state in the middle of setting the connecting member 5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by the jig 8 in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5 is placed in the second locking position by the jig 8 a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또한, 도 13 내지 도 19에서는, 연결 부재(5)와 지그(8)의 관계성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제1 유체 기기(2), 제2 유체 기기(3), 환상 시일 부재(4)의 도면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18, 도 19에서는, 지그(8)의 작용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연결 부재(5)의 오목부(6b, 7a)의 도면을 생략하고 있다. 도 20에서는, 유체 기기를 병렬로 설치시킨 상태에서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정면도를 도시한다.13 to 19, in order to more clearl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5 and the jig 8, the first fluid device 2, the second fluid device 3, and the annular sealing member ( 4) is omitted. In addition, in FIG. 18 and FIG. 19,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action|action of the jig 8, drawing of the concave part 6b, 7a of the coupling member 5 is abbreviate|omitted. Fig. 20 shows a front view in which connecting members are installed in a state where fluid devices are installed in parallel.

또한, 도 26 내지 도 31의 연결 부재(5)는 도 1 내지 도 4의 연결 부재(5)의 6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6은 연결 부재(5)의 정면도이며, 도 27은 배면도이며, 도 28은 평면도이며, 도 29는 저면도이며, 도 30은 좌측면도이며, 도 31은 우측면도이다. 도 32의 연결 부재(5)는 도 1 내지 도 4의 연결 부재(5)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단, 도 26 내지 도 32의 연결 부재(5)는 전체적으로 모따기가 이루어져 있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의 연결 부재(5)와 상이하다.Further, the connecting member 5 of FIGS. 26 to 31 shows six side views of the connecting member 5 of FIGS. 1 to 4 . Specifically, FIG. 26 is a front view of the coupling member 5, FIG. 27 is a rear view, FIG. 28 is a top view, FIG. 29 is a bottom view, FIG. 30 is a left view, and FIG. 31 is a right view. The connecting member 5 of FIG. 3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5 of FIGS. 1 to 4 . However, the connection member 5 of FIGS. 26 to 32 is different from the connection member 5 of FIGS. 1 to 4 in that chamfering is formed as a whole.

(유체 기기 접속 구조의 구성)(Configuration of fluid equipment connection structure)

처음에 유체 기기 접속 구조(1)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2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도 12의 (d)의 DD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K부 확대도이다.Firs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1 will be described using FIG. 23 . Fig. 23 is a D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d). Fig. 24 is an enlarged view of section K in Fig. 23;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기기 접속 구조(1)는 제1 유체 기기(2)의 제1 접속부(21)와, 제2 유체 기기(3)의 제2 접속부(31)를 환상 시일 부재(4)를 통하여 접속하고 있다.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외주에 연결 부재(5)를 설치하여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연결 부재(5)는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외형은, 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부(21)의 관상부(28)에는 유로(29)가 형성되고, 제2 접속부(31)의 관상부(38)에는 유로(3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상부(28, 38)는, 후술하는 플랜지부(25, 35)에 각각 인접한 플랜지 인접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3, the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1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 of the first fluid device 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of the second fluid device 3 to an annular sealing member. It is connected through (4). Connecting members 5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to maintain the connected state. The connecting member 5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a second connecting piece 7. The external shape of the 1st connection part 21 and the 2nd connection part 31 is comprised in circular shape. A flow path 29 is formed in the tubular portion 28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 , and a flow path 39 is formed in the tubular portion 38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 Further, the tubular portions 28 and 38 include flange adjacent portions respectively adjacent to the flange portions 25 and 35 described later.

환상 시일 부재(4)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3)와, 본체부(43)의 외주면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4)와, 돌출부(44)의 외주연부에 설치된 파지부(45)를 구비한다. 본체부(43)에는, 환상 시일 홈(46, 47)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시일 부재(4)는 PFA, PTFE 등의 비교적 단단하고 내부식성이 있는 불소 수지를 재질로 한다(또한, 도 23, 24에 있어서의 환상 시일 부재(4)의 단면에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5)와는 다른 패턴의 해칭으로 표시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4, the annular sealing member 4 is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43, the protruding portion 44 protruding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3, and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protruding portion 44. A gripping part 45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43, annular seal grooves 46 and 47 are formed. The annular sealing member 4 is made of a relatively hard and corrosion-resistant fluororesin such as PFA or PTFE (in addition, in the cross section of the annular sealing member 4 in FIGS. 23 and 24, for ease of viewing, It is indicated by hatching in a pattern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necting member 5 made of resin).

제1 접속부(21)의 환상 시일 부재(4)를 장착하는 면에는, 단부면(22)이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22)에는, 제1 접속부(2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고정 볼록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22)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환상 시일 부재(4)의 본체부(43)의 환상 시일 홈(46)에 장착되는 압입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속부(21)에는, 유로(29)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단부면(22)과 반대측의 외주면에, 연결 부재(5)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홈(23)이 플랜지 인접부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22)과 장착 홈(23) 사이에는 플랜지부(25)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25)에는 접속측 테이퍼면(26)이 형성되어 있다.An end surface 2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on which the annular sealing member 4 is attached. The end face 22 is formed with an engaging convex portion 27 protru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 On the inside of the end surface 22 in the radial direction, a press-fitting portion 24 fitted into the annular seal groove 46 of the body portion 43 of the annular seal member 4 is formed. Further, 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pposite to the end face 22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29, an annular mounting groove 23 for attaching the connecting member 5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lange. is formed by A flange portion 25 is provided between the end face 22 and the mounting groove 23 . A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26 is formed on the flange portion 25 .

제2 접속부(31)의 환상 시일 부재(4)를 장착하는 면에는 단부면(32)이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32)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고정 볼록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32)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본체부(43)의 환상 시일 홈(47)에 장착되는 압입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39) 방향의 외주면에는, 연결 부재(5)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홈(33)이 플랜지 인접부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32)과 장착 홈(33) 사이에는 플랜지부(35)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35)에는, 접속측 테이퍼면(36)이 형성되어 있다.An end face 3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on which the annular seal member 4 is attached. On the end face 32, an engaging convex portion 37 protru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A press-fitting portion 34 attached to the annular seal groove 47 of the main body portion 43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end face 32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flow path 39, a mounting groove 33 for attaching the connecting member 5 is annularly formed in the adjacent portion of the flange. A flange portion 35 is provided between the end face 32 and the mounting groove 33 . A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36 is formed on the flange portion 35 .

(연결 부재의 구성)(Configuration of connecting member)

연결 부재(5)의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를 접속하는 접속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connection internal structure which connects the 1st fluid device 2 and the 2nd fluid device 3 of the connection member 5 is demonstrated.

연결 부재(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갖는다.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은 강도와 내부식성이 있는 불소 수지를 재질로 한다(또한, 도 6 등에 있어서의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의 단면에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통상 수지에서 사용되는 해칭(도 23)과는 다른 패턴의 사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은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외주를 따라서 설치되도록 내주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사이에 장착한 환상 시일 부재(4)의 유로(29, 39)의 축심 방향으로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를 멀리 떨어지게 하도록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여, 연결 부재(5)는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necting member 5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a second connecting piece 7.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are made of a fluororesin with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in FIG. 6 and the like ,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see, it is indicated by slanted lines in a pattern different from the hatching usually used in resin (Fig. 23).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have inner peripheral surfaces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to be instal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low paths 29 and 39 of the annular seal member 4 mount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Resisting the force acting to separate them, the connecting member 5 maintains the connected stat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는 제1 연결편(6)의 제1 돌기부(60)와 제2 연결편(7)의 제1 돌기부(70)를 장착 홈(23)에 배치하고, 제1 연결편(6)의 제2 돌기부(61)와 제2 연결편(7)의 제2 돌기부(71)를 장착 홈(33)에 배치한다. 연결 부재(5)의 제1 연결편(6)에는, 제1 접속부(21)의 접속측 테이퍼면(26)과 제2 접속부(31)의 접속측 테이퍼면(36)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측 테이퍼면(60a, 61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5)의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접속 구조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대칭이기 때문에, 제1 연결편(6)의 접속 구조를 설명함으로써, 제2 연결편(7)의 접속 구조의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23, the connecting member 5 arranges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60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70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in the mounting groove 23, , The second projection 61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second projection 71 of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are disposed in the mounting groove 33.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of the connecting member 5 is connec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26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 and the connection-side taper surface 36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respectively. Side tapered surfaces 60a and 61a are formed. Since the connection structures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of the connection member 5 are vertically symmetrical as shown in FIG. 23, By explain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is omitted.

이어서, 연결 부재(5)의 보다 상세한 외관적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한 쌍의 것에 대하여 A, B의 부호를 붙이고 있지만, 설명이 번잡해지기 때문에, 적절히 A, B의 부호를 생략하고 있다.Next, a more detailed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5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1 to 9 . In addition, although the codes of A and B are attached to a pair, the codes of A and B are abbreviate|omitted suitably in order to make description complicated.

연결 부재(5)의 제1 연결편(6)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6a)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을 이룬다. 제1 연결편(6)은 연결 부재(5)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한 위치, 바꾸어 말하면,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원형의 단면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한 위치로부터 제2 연결편(7)과 걸림 결합한다. 제2 연결편(7)은 제1 연결편(6)의 개구부(6a)를 덮는 형상을 이룬다.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의 축방향의 면에는, 축방향으로 오목해진 오목부(6b, 7a)가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의 둘레 방향 일단부에는 단부(65)가 형성되고, 단부(65)의 축방향 양단에는 제1 힌지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편(7)의 둘레 방향 일단부에는 제2 힌지부(73)가 형성되고, 제1 힌지부(63)와 회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제1 힌지부(63)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외주에 표시 볼록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힌지부(73)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외주에 표시 볼록부(73a)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볼록부(63a)와 표시 볼록부(73a)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직선 상에 있는 것을 육안, 또는 촉각으로 확인함으로써 정상적인 걸림 결합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1 힌지부(63)와 제2 힌지부(73)는 본원의 「회동 연결부」의 일례이다.As shown in FIG. 7 ,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of the connecting member 5 has a substantially U-shape with an opening 6a in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5 .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is located at a position exceeding 180 degrees of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member 5, in other words, a position exceeding 180 degrees of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It engages with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from one position.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is shaped to cover the opening 6a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in the axial direction,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6b and 7a concave in the axial direction are radially formed. As shown in Fig. 2, an end portion 65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first hinge portion 63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end portion 65 in the axial direction. A second hinge part 7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first hinge part 63 . The display convex part 63a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1st hinge part 63 along th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a display convex portion 73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hinge portion 73 along the ax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y convex portion 63a and the display convex portion 73a are in a normal engaging position by visually or tactilely confirming that they are in a straight line. In addition, the 1st hinge part 63 and the 2nd hinge part 73 of this embodiment are an example of the "rotation connection part" of this applica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의 둘레 방향의 타단부에는, 연결 부재(5)의 축방향 양단에, 한 쌍의 제1 걸림 고정부(64(64A, 64B))가 제2 연결편(7)을 향하여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걸림 고정부(64A, 64B)는 동일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 걸림 고정부(64)로서 기재한다. 제1 걸림 고정부(64)의 선단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선단부(64aa)가 형성되어 있다.5, at the oth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 pair of first locking portions 64 (64A, 64B)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5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erected and installed facing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In addition, since the 1st locking part 64A, 64B has the same shape, it describes as the 1st locking part 64 below. The front end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64 is formed with a front end portion 64aa bent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제1 연결편(6)의 내주면이며, 중앙에는 일부 절결부(69a)가 있고, 제1 연결편(6)의 외주연에 얇게 형성된 박육부(69)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편(6)의 외주면에는, 박육부(69)에 대응하는 위치에 T자 형상의 한 쌍의 착탈 걸림 고정부(68(68A, 68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편(6)의 제1 걸림 고정부(64)측의 외주면에는, 볼록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6)에는, 제1 연결편(6)의 둘레 방향의 타단부이며, 축방향 중앙에 오목해진 오목부(66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6a)는 후술하는 제2 연결편(7)의 돌기부(76)와 중첩되는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볼록부(66)에는 착탈 걸림 고정부(68)를 향하여 완만한 곡면부(66b)가 형성되어 있다. 곡면부(66b)와 착탈 걸림 고정부(68) 사이에는 제2 지그 걸림부(66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지그 걸림부(66c)는 착탈 걸림 고정부(68)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2 지그 걸림부(66c)의 곡면부(66b)의 반대측에는 지그 걸림 결합면(66d)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편(6)이며, 축방향 양단에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부(6c)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c)는 볼록부(66)보다 한층 작게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렬로 유체 기기가 설치된 경우에도, 오목부(6c)에 의해, 지그(8)를 보다 연결 부재(5)에 들어가게 할 수 있어, 인접하는 연결 부재(5)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I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re is a partial cutout 69a in the center, and a thin portion 69 formed thinly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 pair of T-shaped attaching and detaching fixing portions 68 (68A, 68B)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hin portion 69. A convex portion 66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on the sid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64 . In the convex portion 66, a concave portion 66a, which is the other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linking piece 6 and is recessed at the center in the axial direction, is formed. It can be seen that the concave portion 66a overlaps with the protruding portion 76 of the second linking piece 7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The convex portion 66 is formed with a gently curved portion 66b toward the detachable locking portion 68 . A second jig engaging portion 66c is formed between the curved portion 66b and the detachable engaging portion 68 . The second jig locking portion 66c protrudes toward the detachable locking portion 68. A jig engaging surface 66d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urved portion 66b of the second jig engaging portion 66c. It is the 1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recessed part 6c is formed over the whole circumference at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The concave portion 6c is formed one size smaller than the convex portion 66 . As shown in FIG. 20 , even when fluid equipment is installed in parallel, the jig 8 can be more enter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5 by the concave portion 6c, and the contact with the adjacent connecting member 5 interference can be avoided.

제2 연결편(7)의 둘레 방향의 타단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의 축방향 양단에, 제1 연결편(6)의 제1 걸림 고정부(64(64A, 64B))와 걸림 결합하는 한 쌍의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75A, 75B))가 제1 연결편(6)을 향하여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A, 75B)는 동일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로서 기재한다.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선단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선단부(75a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연결편(7)의 내주면이며,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가 맞닿는 면에,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에 맞닿지 않는 모따기부(7c)가 형성되어 있다. 모따기부(7c)에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도 24에 나타내는 제1 접속부(21)의 플랜지부(25)와 제2 접속부(31)의 플랜지부(35)가 간섭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지그(8)가 걸리는 위치까지 원활하게 제2 연결편(7)을 제1 연결편(6)에 근접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ing piece 7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king member 5, first locking portions 64 (64A, 64B)) and a pair of first engagement accommodating portions 75 (75A, 75B) engaging with each other are erected facing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In addition, since the 1st locking accommodating part 75A, 75B has the same shape, it describes as the 1st latching accommodating part 75 below. The front end of the first locking accommodating portion 75 is formed with a front end portion 75aa bent radially inward. In addition, it i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and a chamfer portion ( 7c) is formed. Since a taper is formed in the chamfer 7c and interference between the flange portion 25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 and the flange portion 35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shown in FIG. 24 can be avoid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can be brought close to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smoothly to the position where the jig 8 is hung.

제1 걸림 고정부(64)의 선단부(64aa)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선단부(75aa)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한다. 이것이, 제1 걸림 고정 위치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에는, 항상 제1 걸림 고정부(64)측을 향하는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다. 그래서,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가 평면에서 걸림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 부재(5)를 벗기려고 하는 힘이 작용했을 때,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가 각각 물려들어가서, 빠지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제1 걸림 고정 위치에서는,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선단부(75aa)와 제1 걸림 고정부(64)의 사이에 간극(X)과, 제1 걸림 고정부(64)의 선단부(64aa)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사이에 간극(Y)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X)과 간극(Y)에 의해,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는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다.The front end 64aa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64 and the front end 75aa of the first locking accommodating portion 75 engage as shown in FIG. 16 . This is the first locking position. In this state, an elastic force always acts on the first locking receiving portion 75 toward the first locking portion 64 side. Therefore, since the distal end 64aa and the distal end 75aa are engaged in a flat plane, when a force for peeling off the connecting member 5 acts, the distal end 64aa and the distal end 75aa are respectively bitten and do not fall out. can keep it from happening. In the first locking position, there is a gap X between the tip 75aa of the first locking accommodating portion 75 and the first locking portion 64, and the tip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64 ( 64aa) and the first locking accommodating portion 75, a gap Y is formed. Due to the gap X and the gap Y, the distal end 64aa and the distal end 75aa can engage reliably.

제2 연결편(7)의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A, 75B)의 사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연장 설치부(78)가 직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연장 설치부(78)의 선단이며 중앙에는, 제1 연결편 방향으로 돌기부(76)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연장 설치부(78)의 돌기부(76)의 반대측에는 제1 지그 걸림부(77)가 축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between the first locking receiving portions 75A and 75B of the second linking piece 7, one extension portion 78 extend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78, a protrusion 76 is er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76 of the extension installation portion 78, a first jig engaging portion 77 protrudes in the axial direction.

제2 연결편(7)의 제2 힌지부(73)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회동 작용부(74)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회동 작용부(7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개방했을 때, 제1 연결편(6)의 단부(65)에 걸림 결합하고, 제2 연결편(7)을 일정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때, 도 20의 우측으로부터 4개째의 연결 부재(5)(도 20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작용부(74)를 지그(8)로 일방향으로부터 누르는 것에 의해, 제1 걸림 고정부(64)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2 연결편(7)을 회전시킬 수 있다.On the side of the second hinge portion 73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7, as shown in FIG. 2, a rotation action portion 7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o as to protrud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7, when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are opened, the rotation action portion 74 engages with the end portion 65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It is made not to rotate the 2 connection piece 7 more than a fixed level. In addition,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5 from the right side of FIG. 20 (FIG. 20(e)), by pressing the rotation action part 74 with the jig 8 from one direction, 1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64 and the first holding receiving portion 75 come close to each other.

또한, 제1 연결편(6)의 제1 힌지부(63) 부근이며, 단부(65)의 내주측에는, 제1 저항 돌기(6d)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편(7)의 제2 힌지부(73) 부근에는, 제1 저항 돌기(6d)와 맞닿는 제2 저항 돌기(7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저항 돌기(6d)와 제2 저항 돌기(7b)가 접촉함으로써, 문질러져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자중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임시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1 저항 돌기(6d)와 제2 저항 돌기(7b)는 본원의 「저항 발생부」의 일례이다.Further,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hinge portion 63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 first resistance protrusion 6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end portion 65.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hinge portion 73 of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a second resistance protrusion 7b is formed to abut against the first resistance protrusion 6d. When the first resistance protrusion 6d and the second resistance protrusion 7b come into contact, they are rubbed and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preventing rotation by its own weight and temporarily fixing it. In addition, the first resistance projection 6d and the second resistance projection 7b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examples of the "resistanc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지그의 구성)(Configuration of jig)

이어서, 유체 기기 접속 지그(8)(이하, 간단히 지그라고 기재한다)의 구성에 대하여 도 10,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지그(8)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CC 단면도를 도시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fluid equipment connection jig 8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jig)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10 and 11 . 10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jig 8. FIG. 11 shows a CC sectional view of FIG. 10 .

지그(8)는 박판상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지그(8)의 길이 방향 일단부(도 10에 있어서 상단)는 연결 부재(5)의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와 걸림 결합하는 한 쌍의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가 형성되어 있다.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는, 지그(8)의 폭 방향 양단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의 사이에는, 돌출부(81a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그(8)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는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의 사이에, 돌출부(81aa)를 넘는 스토퍼(81bb)가 형성되어 있다.The jig 8 has a thin rectangular shap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8 (upper end in FIG. 10) has a pair of detachable and detachable holding portions 81A and 81B engaged with the detachable and detachable locking portions 68A and 68B of the coupling member 5. is formed The attachment/detachment locking accommodation portions 81A, 81B are formed protruding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jig 8 toward the center. A protruding portion 81aa is formed between the attaching and detachable locking accommodating portions 81A and 81B. Further, at one end of the jig 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topper 81bb is formed between the attaching and detaching accommodating portions 81A and 81B and extends beyond the protruding portion 81aa.

지그(8)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도 10에 있어서 하단)는 사각 형상의 제1 관통부(82)가 형성되고, 제1 관통부(82)이며, 지그(8)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공통 걸림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부(82)의 옆이며, 지그(8)의 중앙에는 사각 형상의 제2 관통부(83)가 형성되고, 제2 관통부(83)의 지지축 구멍(83a)에 회동 부재(84)와 일체의 지지축(86)이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회동 부재(84)의 일단부는 라운딩을 띄고 형성된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 부재(84)의 타단부는,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보다도 폭이 작은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의 선단으로부터 지지축(86)의 중심축까지의 길이 L1은,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의 선단으로부터 지지축(86)의 중심축까지의 길이 L2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제2 관통부(83)에는,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에 가까운 측에 있어서, 지그(8)의 폭 방향 양단(도 22 참조)에 한 쌍의 볼록부(83b)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83b)가 있는 것에 의해, 폭이 작은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는 제2 관통부(83)의 내부(한 쌍의 볼록부(83b)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지만, 폭이 큰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는 볼록부(83b)에 맞닿아, 통과할 수 없어, 회동 부재(84)의 회전이 제어된다. 회동 부재(84)의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측에는, 분기부(84c)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1 관통부(82)와 제2 관통부(83)의 사이에는, 제거 가능한 브리지(85)가 형성되어 있다.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8 (lower end in FIG. 10) is formed with a first penetrating portion 82 having a square shape, and is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82, and is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8. A common hooking portion 82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portion. Next to the first penetrating part 82, a second penetrating part 83 of a square shap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jig 8, and the rotation member ( 84) and integral support shaft 86 are rotatably held. One end of the pivoting member 84 is formed with a first engaging position engaging portion 84a formed with a round shape.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member 84 is formed with a second locking position locking portion 84b having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locking position locking portion 84a. 11, the length L1 from the tip of the first locking position engaging portion 84a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shaft 86 is from the tip of the second locking position engaging portion 84b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shaft 86. It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L2 of the support shaft 86 to the central axis. A pair of convex portions 83b are formed in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83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jig 8 (see FIG. 22) on the side close to the attachment/detachment holding portions 81A, 81B. there is. Due to the presence of the convex portion 83b, the second engaging portion 84b of small width can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83 (between the pair of convex portions 83b). , the wide first locking position locking portion 84a abuts against the convex portion 83b and cannot pass through, so that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member 84 is controlled. On the side of the second locking position locking portion 84b of the pivot member 84, a branching portion 84c is erected. A removable bridge 85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hrough portion 82 and the second through portion 83 .

(유체 기기 접속 구조의 작용)(Action of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연결 부재(5)를 초기 상태로부터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통상 사용 상태에 대해서, 도 12 내지 13, 도 15 내지 16, 및 도 1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통상 사용 상태란,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를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설치한 상태를 말한다. 제1 걸림 고정 위치에서는, 제1 연결편(6)의 제1 걸림 고정부(64)가 제2 연결편(7)의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A normal use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5 is set to the first engaging position from the initial state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12 to 13, Figs. 15 to 16, and Fig. 18 . The normal use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5 is installed at the first locking position, as shown in Fig. 12(d). At the first engagement position,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64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receiving portion 75 of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

먼저, 도 12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의 사이에, 환상 시일 부재(4)를 두고, 도시하지 않은 지그를 사용하여 환상 시일 부재(4)를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에 압입하여 임시 접속으로 한 뒤,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5)의 오목부(6b)가 보이지 않게 되도록 감입한다.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의 개구부(6a)의 크기 N은, 제1 접속부(21)의 관상부(28) 및 제2 접속부(31)의 관상부(38)의 직경(외경) P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1 연결편(6)의 박육부(69)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제1 연결편(6)은 제1 접속부(21)의 관상부(28)에 장착할 때에, 관상부(28)의 직경 P로부터 개구부(6a)의 크기의 차 M분 외측으로 넓어지고,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하는 부분에 감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결편(7)을 제1 연결편(6)의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걸림 결합시켜, 통상 사용 상태의 접속을 완료한다. 이때 연결 부재(5)의 오목부(6b, 7a)가 보이지 않게 된다. 오목부(6b, 7a)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에 가려져서 외관으로부터 보이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해, 올바른 위치에서 접속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a) and (b) of FIG. 12, an annular sealing member 4 is placed between the first fluid device 2 and the second fluid device 3, and a jig (not shown) is placed. After press-fitting the annular seal member 4 into the first fluid device 2 and the second fluid device 3 to make a temporary connection, as shown in FIG. 12(c), the connecting member 5 It is inserted so that the concave part 6b of the is not visibl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 the size N of the opening 6a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is the tubular portion 28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tubular portion 38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uter diameter) P. In particular, when the thin portion 69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is elastically deformed,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is attached to the tubular portion 28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the diameter of the tubular portion 28 It extends outward by the difference M in the size of the opening 6a from P, and can fit into a portion exceeding 180 degrees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Then, as shown in (d) of FIG. 12,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connection in normal use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concave portions 6b and 7a of the connecting member 5 are not visible. Since the concave portions 6b and 7a are covered by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and are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y are connected at the correct position.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쪽까지 손이 들어가지 않는 좁은 스페이스에서의 연결 부재(5)의 설치에 대해서,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의 (a)는 통상 사용 시의 접속 완료 상태이다. 그 접속 수순을 도 20의 (b) 내지 (h)까지 순서대로 나타낸다.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시 접속된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에, 설치면(300)의 반대측으로부터 제2 연결편(7)을 인접하는 관상부(28) 사이에 차입한다. 도 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결편(7)을 미리 관상부(28)측에 회동시키고 있고, 제1 연결편(6)을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에 장착한다. 도 2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을 관상부(28)에 감입하면, 제2 연결편(7)은 설치면(300)에 맞닿고, 또한 관상부(28)측으로 회동한다. 도 20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지그(8)를 제1 힌지부(63)측의 설치면(300)의 반대측으로부터 지그(8)의 선단에서 제2 연결편(7)의 회동 작용부(74)를 압출할 때까지 진입시킨다. 이에 의해, 제2 연결편(7)은 제2 힌지부(73)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를 제1 연결편(6)에 근접시켜서, 제1 저항 돌기(6d)와 제2 저항 돌기(7b)가 접촉함으로써, 문질러져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그 위치에서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도 20의 (f), (g),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지그(8)를 제1 걸림 고정부(64)측의 설치면(300)의 반대측으로부터 차입하여, 인상하는 동작 중에, 제2 연결편(7)을 인상하면서 제1 연결편(6)에 걸림 고정한다.In addition, install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5 in a narrow space where hands cannot enter to the back as shown in FIG. 9 will be described using FIG. 20 . Fig. 20(a) shows a connection completion state in normal use. The connection procedure is shown in order from (b) to (h) in FIG. 20 . As shown in (b) of FIG. 20 , a tubular portion ( 28) borrow between As shown in (c) of FIG. 20 ,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is rotated to the tubular portion 28 side in advance, and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 is mounted on As shown in (d) of FIG. 20 , when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portion 28,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abuts against the mounting surface 300, and the tubular portion 28 turn to the side As shown in (e) of FIG. 20, the elongated jig 8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from the tip of the jig 8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installation surface 300 on the side of the first hinge part 63. The rotation action part 74 is entered until it is extruded. As a result,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rotates with the second hinge portion 73 as a support point, bringing the first locking accommodating portion 75 closer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so that the first resistance protrusion 6d ) and the second resistance protrusion 7b contact, it can be temporarily fixed at that position by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rubbing. As shown in (f), (g) and (h) of FIG. 20, the elongated jig 8 is borrow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installation surface 300 on the side of the first locking part 64 to pull up During the operation, the second linking piece 7 is pulled up and engaged with the first linking piece 6.

여기서, 도 20의 (f), (g), (h)의 수순에 대해서, 도 18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를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지그(8)를 연결 부재(5)의 측면에 배치한다. 이때, 연결 부재(5)의 오목부(6c)를 따라서 지그(8)를 진입시키기 위해서, 유체 기기가 병렬로 배열되어 있어도 인접하는 연결 부재(5)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계속해서, 지그(8)의 공통 걸림부(82a)를 도 20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에 가까운 위치에서 임시 고정된 제2 연결편(7)의 제1 지그 걸림부(77)에 걸림 결합시킨다.Here, the procedures of (f), (g) and (h) in FIG.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FIG. 18 . As shown in (a) and (b) of FIG. 18, the jig 8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5 from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5 is mounted. At this time, in order to allow the jig 8 to enter along the concave portion 6c of the connecting member 5, interference with the adjacent connecting member 5 can be avoided even if the fluid devices are arranged in parallel.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0(f), the common hooking portion 82a of the jig 8 is temporarily fix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in the first jig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It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art 77.

이어서, 지그(8)를 화살표 F 방향으로 기울인다. 도 18의 (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것과 동시에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도 화살표 F 방향으로 누르면,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는 제1 연결편(6)의 지그 걸림 결합면(66d)을 따라서 제2 지그 걸림부(66c)에 걸림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제1 걸림 고정부(64)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가 근접하여 걸림 결합하고,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 후, 지그(8)의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를 화살표 F 방향의 반대측으로 누르고, 지그(8)를 제1 지그 걸림부(77)로부터 벗기고, 지그(8)를 벗겨서 통상 사용 상태의 접속이 완료된다. 이때, 제1 연결편(6)의 볼록부(66)와 제2 연결편(7)의 연장 설치부(78)의 사이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극 S가 형성된다. 또한,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76)의 선단 위치가 오목부(66a)의 단부 위치와 일치하고 있고, 이 위치를 눈으로 봄으로써 통상 사용 상태의 접속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Next, tilt the jig 8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As shown in (c) and (d) of FIG. 18, at the same time, when the second engagement position engagement portion 84b is also pushed in the direction of arrow F, the first engagement position engagement portion 84a moves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It is engaged with the second jig engaging portion 66c along the jig engaging surface 66d of (6). Thereby, the 1st latching part 64 and the 1st latching accommodating part 75 approach and engage, and are positioned at the 1st latching position. Then, the second locking position locking portion 84b of the jig 8 is pressed in the opposite side to the direction of arrow F, the jig 8 is released from the first jig locking portion 77, and the jig 8 is peeled off to normal. Connection in the use state is completed. At this time, a gap S i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 66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extension portion 78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position of the tip of the protruding portion 76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concave portion 66a, and by visually observing this pos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is in normal use.

이와 같이, 연결 부재(5)를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지그(8)를 삽입하여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걸림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방향만으로부터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체 기기가 병렬로 다수 설치된 좁은 스페이스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In this way,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are formed by inserting the jig 8 from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5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can be engaged, it is possible to work from only one direction, and work can be performed easily even in a narrow space where a large number of fluid devices are installed in parallel, and the workability is good.

이어서, 연결 부재(5)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부터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체결력 증대 상태에 대해서, 도 14, 도 17, 및 도 1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Next, a tightening force increasing state in which the coupling member 5 is moved from the first locking position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17 and 19 .

여기서,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에 비정상적인 고온의 액체(약액)와 비정상적인 저온의 액체(순수)를 교대로 반복하여 흘리는 것이 장기에 걸치는 경우에 크리프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나, 환상 시일 부재(4)와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사이에 이물을 물고 들어간 채 접속해버린 경우 등, 시일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시일력이 저하되면 누액이 발생한다. 이러한 긴급 시에, 연결 부재(5)의 체결력 증대가 행해진다.Here, creep deformation occurs when flow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1 alternately and repeatedly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alternately flowing an abnormally high-temperature liquid (chemical liquid) and an abnormally low-temperature liquid (pure water). , The sealing force may be reduced, for example, when the annular sealing member 4 and the connection are made while foreign substances are bitte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Leakage occurs when the sealing force decreases. In such an emergency, the tightening force of the connecting member 5 is increased.

이 체결력 증대에는, 연결 부재(5)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할 때에 사용한 지그(8)의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보다도 지지축(86)과의 거리가 긴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를 사용한다.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를 사용하기 위하여 회동 부재(84)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지그(8)의 브리지(85)를 제거한다. 이에 의해, 회동 부재(8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브리지(85)를 제거하는 수순을 가함으로써, 잘못하여 체결력 증대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this fastening force increase, the distance to the support shaft 86 is longer than that of the first engaging position engaging portion 84a of the jig 8 used when setting the coupling member 5 to the first engaging position. The position locking part 84b is used. The bridge 85 of the jig 8 is removed to rotate the pivoting member 84 to use the second locking position locking portion 84b. In this way, the rotation member 84 can be rotated. By adding a procedure for removing the bridge 85,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al increase in fastening force.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8)의 공통 걸림부(82a)를 제2 연결편(7)의 제1 지그 걸림부(77)에 걸림 결합시킨다. 계속해서, 지그(8)를 화살표 G 방향으로 기울인다. 이것과 동시에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도 화살표 G 방향으로 누르면,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는 지그 걸림 결합면(66d)을 따라서 제2 지그 걸림부(66c)에 걸림 결합된다. 또한,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는 볼록부(83b)에 맞닿아서 위치 결정된다.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쪽이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보다도 길기 때문에, 지레의 원리에 의해,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근접시키는 방향의 강한 힘이 작용한다. 이때, 제1 연결편(6)의 볼록부(66)와 제2 연결편(7)의 연장 설치부(78) 사이의 간극 S를 매립하면서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이 근접한다.As shown in (a) of FIG. 19 , the common engaging portion 82a of the jig 8 is engaged with the first jig engaging portion 77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 Subsequently, the jig 8 is til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G. Simultaneously with this, when the first engagement position engagement portion 84a is also pushed in the direction of arrow G, the second engagement position engagement portion 84b is engaged with the second jig engagement portion 66c along the jig engagement surface 66d. are combined Further, the first locking position locking portion 84a abuts against the convex portion 83b and is positioned. Since the first locking position locking portion 84a is longer than the second locking position locking portion 84b, the direction of bringing the first linking piece 6 and the second linking piece 7 closer together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a lever. A strong force works. At this time, while filling the gap S between the convex portion 66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extension installation portion 78 of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come close to each other. do.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의 제1 연결편(6)에는,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접속측 테이퍼면(26, 36)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측 테이퍼면(60a, 61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이 근접하면, 연결측 테이퍼면(60a, 61a)을 접속측 테이퍼면(26, 36)이 압박하고,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가 환상 시일 부재(4)측으로 압박되어, 누액을 멈출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편(7),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접속 구조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대칭이기 때문에, 제1 연결편(6)과 동일한 것이 제2 연결편(7)측에서도 행해지고 있다.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of the connection member 5 corresponds to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s 26 and 36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Since the connection-side taper surfaces 60a and 61a are formed at the position of 26 and 36 are pressed,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are pressed toward the annular seal member 4 side, so that leakage can be stopped.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2nd connection piece 7, the 1st connection part 21, and the 2nd connection part 31 is vertically symmetrical as shown in FIG. 23, the same as the 1st connection piece 6 is the 2nd connection piece The (7) side is also carried out.

여기까지의 수순에 의해 지그(8)를 연결 부재(5)에 걸림 결합시킨 상태에서, 체결력 증대 상태인 제2 걸림 고정 위치에서의 연결 부재(5)의 위치 결정이 완료된다.In the state where the jig 8 is engag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5 by the procedure so far, the positioning of the connecting member 5 at the second engaging position in the fastening force increasing state is completed.

또한, 지그(8)가 연결 부재(5)에 대하여 있는 것에 의해, 작업자에게 체결력 증대의 작업 완료를 알린다. 연결 부재(5)에 지그(8)가 설치된 상태인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를 나타내므로,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을 외관으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시에 한눈에 체결력 증대 상태의 유체 기기를 찾고, 유체를 멈추게 하거나, 연결 부재(5)를 교환하거나 하는 등의 대응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In addition, the completion of the fastening force increase operation is notified to the operator by the jig 8 being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5 . Since the state in which the jig 8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5 indicates the state of increasing the clamping force, it is easy to confirm that the state of the clamping force is increas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fluid equipment in the state of increasing the clamping force can be seen at a glance during maintenance. It is possible to respond such as searching, stopping the fluid, or exchanging the connecting member 5, and the workability is good.

연결 부재(5)의 제거에 대하여 도 21과 도 2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1 중, (a)는 연결 부재(5)를 제거할 때에 지그(8)를 연결 부재(5)에 건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b)는 지그(8)를 끌어 들여서 연결 부재(5)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2 중, (a)는 연결 부재(5)를 제거할 때에 지그(8)를 연결 부재(5)에 건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b)는 지그(8)를 끌어 들여서 연결 부재(5)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Removal of the connecting member 5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21 and 22 . 21 , (a)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jig 8 is hung on the connecting member 5 when the connecting member 5 is removed.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jig 8 is pulled in and the connecting member 5 is removed. 22 , (a) show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jig 8 is hung on the connecting member 5 when the connecting member 5 is removed. (b)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jig 8 is pulled in and the connecting member 5 is removed.

연결 부재(5)의 제거에는, 지그(8)를 사용한다. 도 21의 (a) 및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8)의 돌출부(81aa)를 연결 부재(5)의 한 쌍의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 사이에 삽입하고, 지그(8)의 한 쌍의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를 연결 부재(5)의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에 대하여 슬라이드시켜서 지그(8)의 스토퍼(81bb)에 맞닿을 때까지 걸림 결합시킨다.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와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를 확실히 걸림 결합시킨 후, 지그(8)를 화살표 H 방향으로 인장함으로써, 연결 부재(5)의 제1 걸림 고정부(64)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어, 제1 유체 기기(2) 및 제2 유체 기기(3)로부터 연결 부재(5)를 제거할 수 있다.The jig 8 is used to remove the connecting member 5. As shown in Fig. 21 (a) and Fig. 22 (a), the protrusion 81aa of the jig 8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attaching and detaching fixing parts 68A and 68B of the connecting member 5. and slide the pair of detachable and detachable holding portions 81A and 81B of the jig 8 relative to the detachable and detachable locking portions 68A and 68B of the connecting member 5 to the stopper 81bb of the jig 8 Hook them together until they touch. After securely engaging the detachable and detachable holding portions 81A and 81B and the detachable and detachable locking portions 68A and 68B, the jig 8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H, thereby first locking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5. The engagement between 64 and the first locking receiving portion 75 is released,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5 can be removed from the first fluid device 2 and the second fluid device 3.

또한, 상기에 나타낸 수순과는 역의 수순에 의해, 연결 부재(5)를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5 can be installed by the reverse procedure to the procedure shown above.

연결 부재(5)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 36 내지 도 43에 도시하였다. 도 36은, 제1 연결편(6)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제2 연결편(7)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6의 I부 확대도이며, 도 39는, 도 38의 RR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6의 J부 확대도이며, 도 41은, 도 40의 TT 단면도이다. 도 42는, 도 37의 Q부 확대도이며, 도 43은, 도 42의 UU 단면도이다.Other embodiments of the connecting member 5 are shown in FIGS. 36 to 43 . 3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37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Fig. 38 is an enlarged view of section I in Fig. 36, and Fig. 39 is a RR sectional view in Fig. 38. Fig. 40 is an enlarged view of section J in Fig. 36, and Fig. 41 is a TT sectional view in Fig. 40. Fig. 42 is an enlarged view of section Q in Fig. 37, and Fig. 43 is a UU sectional view in Fig. 42.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의 내주면이며, 제1 접속부(21)의 플랜지부(2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과 대향하는 위치, 및 제2 접속부(31)의 플랜지부(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36)과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2),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3), 및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4)가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6,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position facing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26, which is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25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 31), a pair of convex protrusions 91, a pair of convex protrusions 92, and a pair of convex protrusions at positions facing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36, which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35. (93) and a pair of convex projections (94) are formed at opposing positions, respectively.

또한, 제2 연결편(7)의 내주면이며, 플랜지부(2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 및 플랜지부(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36)에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5)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and a pair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26, which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25, and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36, which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35 A convex-shaped protrusion 95 is formed.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의 형상을 도 38, 도 39에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는 제1 연결편(6)의 내주면에 있고, 내주면을 따른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연결 부재(5)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2)는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와 동일한 형상이다.The shapes of the pair of convex projections 91 are shown enlarged in FIGS. 38 and 39 . As shown in the figure, a pair of convex projections 91 ar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linking piece 6,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5 in the radial direction. has been The pair of convex projections 92 have the same shape as the pair of convex projections 91 .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3)의 형상을 도 40, 도 41에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3)는 제1 연결편(6)의 내주면에 있고, 내주면을 따른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연결 부재(5)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4)는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3)와 동일한 형상이다.The shapes of the pair of convex projections 93 are shown enlarged in FIGS. 40 and 41 .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air of convex projections 93 ar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linking piece 6,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5 in the radial direction. has been The pair of convex projections 94 have the same shape as the pair of convex projections 93 .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5)의 형상을 도 42, 도 43에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5)는 제2 연결편(7)의 내주면에 있고, 내주면을 따른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연결 부재(5)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The shapes of the pair of convex projections 95 are shown enlarged in FIGS. 42 and 43 . As shown in the figure, a pair of convex projections 95 ar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linking piece 7,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5 in the radial direction. has been

이어서, 각각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action and effect of each pair of convex projections 91, 92, 93, 94, and 95 will be described.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의 제1 걸림 고정부(64)의 선단부(64aa)와, 제2 연결편(7)의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선단부(75aa)가 통상 서로 맞닿아서 걸림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제1 연결편(6) 및 제2 연결편(7)의 공차에 의해,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의 맞닿음면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맞물릴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 상태는, 시일력에는 영향 없지만, 사용자가 본 경우에 장착이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distal end 64aa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64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distal end portion 75aa of the first engagement accommodating portion 75 of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 are normally engaged with each other. However, due to the tolerance of the first linking piece 6 and the second linking piece 7,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abutting surfaces of the distal end 64aa and the distal end 75aa, making them unable to engage. This state does not affect the sealing force,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ser feels that the attachment is not completed when view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결편(6)의 내주면이며, 플랜지부(2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과 대향하는 위치, 및 플랜지부(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36)과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2),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3), 및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4)가 각각 형성되고, 또한, 제2 연결편(7)의 내주면이며, 플랜지부(2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 및 플랜지부(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36)에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의 맞닿음면 간의 간극이 없어져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i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position facing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26, which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25, and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36, which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35 ), a pair of convex protrusions 91, a pair of convex protrusions 92, a pair of convex protrusions 93, and a pair of convex protrusions 94 are respectively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 It is als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26, which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25, and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36, which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35 Since the pair of convex projections 95 are formed,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are press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a gap between the abutting surfaces of the tip portion 64aa and the tip portion 75aa is formed. The gap disappears and it is possible to engage securely.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5대의 볼록 형상 돌기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2대, 3대, 4대, 6대, 또는 7대의 볼록 형상 돌기부를 형성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five convex projections are formed, two, three, four, six or seven convex projections may be form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1)에 의하면, (1) 제1 접속부(21)를 갖는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접속부(31)를 갖는 제2 유체 기기(3)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를 접속하는 환상 시일 부재(4)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 부재(5)를 갖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1)에 사용하는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연결 부재(5)는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구비하고,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의 둘레 방향 일단부에 제1 힌지부(63)와 제2 힌지부(73)를 갖는 것,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외형은 원 형상인 것, 제1 연결편(6)은 개구부(6a)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이며,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하여 제2 연결편(7)과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연결 부재(5)의 반경 방향 외측에 걸림 결합부를 설치하고 있지 않아, 연결 부재 자체가 콤팩트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 기기를 병렬로 다수 설치하는 관상부(28, 38)끼리나 벽면이 인접하여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에도,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1) the first fluid device 2 having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having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luid device 3, the annular sealing member 4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In the connecting member (5) used in the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1) having the connecting member (5), the connecting member (5) has a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a second connecting piece (7), and the first connecting piece (5) is provided. Having a first hinge portion 63 and a second hinge portion 73 at one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The outer shape is circular,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is substantially U-shaped with an opening 6a, and extends beyond 180 degrees of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to form a second connecting piece 6. Si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ngages with the connecting piece 7, no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5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member itself is formed compactly. Therefore, even when there is no space because the tubular parts 28 and 38 in which a large number of fluid devices are installed in parallel or the wall surfac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it can be installed and the workability is good.

(2) (1)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개구부(6a)의 크기 N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의 각 관상부(28, 38)의 직경 P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 제1 연결편(6)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의 각 관상부(28, 38)의 직경 P로부터 개구부(6a)의 크기의 차 M분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1 연결편(6)은 일정한 길이 분 외측으로 넓어지고,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에 감입하여 임시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감입 후, 자중이나 외력이 가해져도 빠지기 어려워, 작업성이 좋다.(2) In the connecting member 5 described in (1), the size N of the opening 6a is the diameter P of each tubular portion 28, 38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The first linking piece 6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P of the tubular portions 28 and 38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and the size of the opening 6a by M. Si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deformed to widen outward,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can be widened outward by a certain length and temporarily fixed by fitting into the first connecting part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31, so after fitting , It is hard to come off even when its own weight or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its workability is good.

(3) (1) 또는 (2)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제1 연결편(6)에 절결부(69a)를 가진 박육부(6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1 연결편(6)은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에 장착할 때에, 박육부(69)가 적당한 강도의 탄성 변형을 일으켜서, 개구부(6a)를 확장할 수 있고, 장착 후에는 개구부(6a)가 닫히기 때문에, 적당한 장착력으로, 또한 작업자는 적당한 장착감을 느끼면서 장착할 수 있고, 장착 후에는 빠지기 어려워져, 작업성이 좋다.(3) In the connecting member 5 described in (1) or (2), the thin portion 69 having the cutout portion 69a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is formed. When the connecting piece 6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the thin portion 69 causes an elastic deformation of an appropriate strength, so that the opening 6a can be expanded. Since the opening 6a is closed, the operator can wear it with an appropriate attachment force and while feeling an appropriate attachment feeling, and it is difficult to come off after attachment, and the workability is good.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의 회동 연결부에는, 자중 회동 방지를 위한 제1 저항 돌기(6d)와 제2 저항 돌기(7b)가 형성되어 있는 것, 제2 연결편(7)의 내주면이며,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와 맞닿는 면에,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와 맞닿지 않는 모따기부(7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1 연결편(6)의 제1 저항 돌기(6d)와 제2 연결편(7)의 제2 저항 돌기(7b)가 접촉함으로써,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이 근접할 때에 문질러져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임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또한,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와 간섭하지 않고,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범위가 있음과 동시에, 거기까지는 마찰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1 연결편(6)을 장착 후, 제2 연결편(7)을 걸림 결합시킬 때까지의 동안, 제2 연결편(7)의 위치를 작업하기 쉬운 위치에서 임시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4) In the connection member 5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3), the first resistance protrusion for preventing self-weight rotation is provided in the pivot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6d) and the second resistance protrusion 7b are forme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 and the chamfered portion 7c tha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the first resistance protrusion 6d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have a chamfered portion 7c. When the resistance protrusion 7b contacts, when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come into close contact, they are rubbed and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so that they can be temporarily fixed, so workability is good.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range in whic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can be freely rotated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nd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up to that point, after attaching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The position of the second linking piece 7 can be temporarily fixed at an easy-to-work position until the second linking piece 7 is engaged, and workability is good.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제1 연결편(6)의 외주에는 T자 또는 L자 형상의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를 집을 수 있고, 또한, 지그(8)를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와 걸림 결합시켜서 압박하거나, 인장함으로써, 연결 부재(5)를 장착하거나, 제거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5) In the connecting member 5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4), T- or L-shaped attaching and detaching fixing portions 68A and 68B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Si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t is possible to pick up the detachable and detachable fixing parts 68A and 68B, and also, by engaging the jig 8 with the detachable and detachable fixing parts 68A and 68B to press or pull, the connecting member ( 5) is easy to attach or remove, so workability is good.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제2 연결편(7)의 외주에는 회동 작용부(7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회동 작용부(74)에 연결 부재(5)를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하중을 가함으로써 제2 연결편(7)을 회동시켜져, 작업성이 좋다.(6) In the connection member 5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5), since the rotation action portion 7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the rotation action portion By applying a load to (74) from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5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is rotated and the workability is good. .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제1 연결편(6)의 제1 접속부(21)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제1 연결편(6)의 제2 접속부(31)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8) 제2 연결편(7)의 제1 접속부(21)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제2 연결편(7)의 제2 접속부(31)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9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7) In the connecting member 5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6), the position fac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characterized in that convex protrusions 91, 92, 93, 94 are formed at positions fac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respectively, and (8)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Characterized in that convex projections 95 are formed at positions fac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at positions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respectively. do.

(7) 또는 (8)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즉,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의 제1 걸림 고정부(64)의 선단부(64aa)와, 제2 연결편(7)의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선단부(75aa)가 통상 서로 맞닿아서 걸림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제1 연결편(6) 및 제2 연결편(7)의 공차에 의해,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맞물릴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 상태는, 시일력에는 영향 없지만, 사용자가 본 경우에 장착이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 제1 연결편(6)의 플랜지부(2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과 대향하는 위치, 및 제1 연결편(6)의 플랜지부(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36)과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제2 연결편(7)의 플랜지부(2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과 대향하는 위치, 및 제2 연결편(7)의 플랜지부(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과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은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와 접속측 테이퍼면(26, 36)이 서로 변형되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의 사이의 간극이 없어져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7) or (8), the following effects are exhibited. That is, as shown in FIG. 16, the distal end 64aa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64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engagement accommodating portion 75 of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75aa normally abut and engage each other. However, due to the tolerance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64aa and the distal end portion 75aa, making them unable to engage. This state does not affect the sealing force,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ser feels that the attachment is not completed when viewed. Position facing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26, which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25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36, which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35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convex protrusions 91, 92, 93, 94 are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the connection side taper, which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25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A pair of convex projections 95 ar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urface 26 and at a position facing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 26, which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35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Si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are convex-shaped protrusions 91, 92, 93, 94, 95 and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s 26, 36 are deformed from each other, and the diameter Since they are pressed outward in the direction, the gap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64aa and the distal end portion 75aa disappears, enabling reliable engagement.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제1 연결편(6)의 둘레 방향의 타단부는, 제1 걸림 고정부(64)를 구비하고, 제2 연결편(7)의 둘레 방향의 타단부는, 제1 걸림 고정부(64)가 걸림 고정되는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를 구비하고, 연결 부재(5)는 제1 걸림 고정부(64)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가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는 것, 연결 부재(5)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환상 시일 부재 방향으로 근접한 제2 걸림 고정 위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10) 제1 걸림 고정 위치는, 통상의 사용 상태이며, 제2 걸림 고정 위치는,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에 비정상적인 고온의 약액과 비정상적인 저온의 순수가 교대로 장기간 가해지는 등에 의해, 시일력이 저하되어서 누액이 발생한 경우 등에, 제1 걸림 고정 위치와 제2 걸림 고정 위치가 있기 때문에, 보다 환상 시일 부재 방향으로 근접하고 있는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함으로써,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 사이의 접합력을 높여서, 누액 발생 시에 시급한 대응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9) In the connecting member 5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8), the other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portion 64, The other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wo connecting pieces 7 is provided with a first engaging receiving portion 75 into which the first engaging portion 64 is engaged, and the connecting member 5 is the first engaging portion ( 64) and the first locking receiving portion 75 are positioned at the first locking position where they engage, and the connecting member 5 is closer in the direction of the annular seal member than when it is at the first locking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re are two locking positions, and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ocking position is in a normal use state and the second locking position is in a fastening force increasing state,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1, when an abnormally high-temperature chemical liquid and an abnormally low-temperature pure water are alternately applied for a long period of time, etc., the sealing force is lowered and leakage occurs, etc. Therefore, by setting the second locking position closer in the direction of the annular seal member,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is increased, and it is possible to take urgent measures when leakage occurs. do.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8)에 있어서, 제1 연결편(6)은 외주면에 제2 지그 걸림부(66c)가 형성되고, 제2 연결편(7)은 외주면에 제1 지그 걸림부(77)가 형성되어 있는 것, 유체 기기 접속 지그(8)는 제1 지그 걸림부(77)에 걸림 결합하는 공통 걸림부(82a)와, 제2 지그 걸림부(66c)에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와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유체 기기 접속 지그(8)를 사용함으로써,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제1 걸림 고정 위치와 제2 걸림 고정 위치의 양쪽 접속 상태로 할 수 있다.(11) In the fluid device connecting jig 8 used for the connecting member 5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10), the first connecting piece 6 has a second jig hooking portion 66c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has a first jig engaging portion 77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luid device connection jig 8 is a common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jig engaging portion 77. (82a), a first engagement position engagement portion 84a and a second engagement position engagement portion 84b engaging with the second jig engagement portion 66c, so that the fluid equipment connecting jig By using (8), the 1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2nd connection piece 7 can be made into both connection states of a 1st engagement position and a 2nd engagement position.

(12)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8)에 있어서, 유체 기기 접속 지그(8)는 연결 부재(5)를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걸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일방향만으로부터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체 기기가 병렬로 다수 설치된 좁은 스페이스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12) In the fluid device connecting jig 8 used for the connecting member 5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10), the fluid device connecting jig 8 connects the connecting member 5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Si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are engaged by being inserted from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attachment to the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1, it is possible to work from only one direction, , It is easy to work even in a narrow space where a large number of fluid devices are installed in parallel, and the workability is good.

(13)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8)에 있어서, 유체 기기 접속 지그(8)가 연결 부재(5)에 설치된 상태인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유체 기기 접속 지그가 연결 부재에 설치된 상태인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시에 한눈에 체결력 증대 상태의 유체 기기를 찾아서 대응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13) In the fluid device connection jig 8 used for the connecting member 5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10), the state in which the fluid device connecting jig 8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member 5 Si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force increasing state is indicated by this, the fastening force increasing state can be easi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by the fluid device connection jig being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fastening force increasing state can be easily confirmed during maintenance. Workability is good because fluid equipment can be found and responded to.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전혀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연히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개량, 변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is embodiment is only a mere illustration and does not limit this invention at all. Therefore, various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제1 연결편(6)의 외주에, T자 형상의 착탈 걸림 고정부(68)가 형성되어 있는데, 착탈 걸림 고정부(68)의 형상은, 지그(8)가 걸리면 되고, L자 형상, 또는 1개소만이어도 된다.For example, a T-shaped attachment/detachment fixing portion 68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upling piece 6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he shape of the attachment/detachment attachment portion 68 is It just needs to be caught, and an L-shape or only one location may be sufficient.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제2 연결편(7)의 내주면이며,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와 맞닿는 면에는 모따기부(7c)가 형성되어 있으나,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와 맞닿지 않는 릴리프 형상이면 되고, 모따기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For example, it i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7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chamfer 7c is form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It may be a relief shape tha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two connection portions, and may not be a chamfered shape.

예를 들어, 지그(8)의 재질은, 일반적인 수지 외에, PTF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나, 금속이어도 된다.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jig 8 may be a fluororesin such as PTF or PTFE, or a metal other than a general resin.

예를 들어, 마찰 저항은, 제1 저항 돌기(6d)와 제2 저항 돌기(7b)가 접촉함으로써, 발생시키는 이외에, 제1 힌지부(63)와 제2 힌지부(73)에 설치된 유로(29, 39)의 축심 방향으로 수직인 면끼리의 접촉에 의해 발생시켜도 된다.For example,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resistance protrusion 6d and the second resistance protrusion 7b, as well as the passage provided in the first hinge portion 63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73 ( 29, 39) may be generated by contact between surfaces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는, 각각, 제1 연결편(6) 및 제2 연결편(7)에 있어서, 플랜지부(25, 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 36)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플랜지부(25, 35)의 외주부인 외주면(25a, 35a)(도 24에 있어서 환상 시일 부재(4)의 파지부(45)의 양측)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convex projections 91, 92, 93, 94, 95 are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flange portions 25, 35 in the first connection piece 6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7, respectively. Although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emale connection side taper surfaces 26, 36,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25a, 35a, which are the outer peripheral portions of the flange portions 25, 35 (the holding portion of the annular sealing member 4 in FIG. 24 ( 4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both sides).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는, 각각,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번갈아 설치되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vex projections 91, 92, 93, 94, and 95 are respectively provided as a pair at the same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ut may be alternately provid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와 접속측 테이퍼면(26, 36)은, 서로 변형 가능한데,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의 경도를 비교적 높게 함으로써,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의 변형량을 접속측 테이퍼면(26, 36)보다 작게 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vex projections 91, 92, 93, 94, 95 and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s 26, 36 are mutually deformable, but the convex projections 91, 92, 93, 94, 95 By making the hardness of ) relatively high,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convex projections 91, 92, 93, 94, and 95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connection-side tapered surfaces 26 and 36.

1: 유체 기기 접속 구조
2: 제1 유체 기기
21: 제1 접속부
3: 제2 유체 기기
31: 제2 접속부
4: 환상 시일 부재
5: 연결 부재
6: 제1 연결편
6a: 개구부
6d: 제1 저항 돌기
64: 제1 걸림 고정부
66a: 오목부
69: 박육부
7: 제2 연결편
7b: 제2 저항 돌기
7c: 모따기부
75: 제1 걸림 고정 수용부
76: 돌기부
8: 유체 기기 접속 지그
82a: 공통 걸림부
84a: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
84b: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
91, 92, 93, 94, 95: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
1: fluid equipment connection structure
2: first fluid device
21: first connection part
3: second fluid device
31: second connection part
4: annular seal member
5: connecting member
6: First Connection
6a: opening
6d: first resistance protrusion
64: first locking unit
66a: concave portion
69: thin section
7: Second connecting flight
7b: second resistance protrusion
7c: chamfer
75: first locking receiving portion
76: protrusion
8: fluid equipment connection jig
82a: common clasp
84a: first locking position locking portion
84b: second locking position locking portion
91, 92, 93, 94, 95: a pair of convex projections

Claims (14)

제1 접속부를 갖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접속부를 갖는 제2 유체 기기와,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 사이에 배치된 환상 시일 부재와, 상기 환상 시일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를 접속하는 연결 부재를 갖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의 일단부에 회동 연결부를 갖는 것,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외형은 원 형상인 것,
상기 제1 연결편은, 개구부를 갖는 U자 형상이며,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하여 상기 제2 연결편과 걸림 결합하는 것,
상기 제1 연결편의 외주에는, T자 또는 L자 형상의 착탈 걸림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A first fluid device having a first connecting portion, a second fluid device having a second connecting portion, an annular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via the annular sealing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used in a fluid device connecting structure having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he connecting member has a first connecting piece and a second connecting piece, and has a pivot connecting portion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have circular shapes,
The first connection piece is U-shaped with an opening and engag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piece by exceeding 180 degrees of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T-shaped or L-shaped detachable a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제1 접속부를 갖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접속부를 갖는 제2 유체 기기와,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 사이에 배치된 환상 시일 부재와, 상기 환상 시일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를 접속하는 연결 부재를 갖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의 일단부에 회동 연결부를 갖는 것,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외형은 원 형상인 것,
상기 제1 연결편은, 개구부를 갖는 U자 형상이며,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하여 상기 제2 연결편과 걸림 결합하는 것,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환상 시일 부재와 압입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은,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와 각각 걸림 결합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A first fluid device having a first connecting portion, a second fluid device having a second connecting portion, an annular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via the annular sealing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used in a fluid device connecting structure having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he connecting member has a first connecting piece and a second connecting piece, and has a pivot connecting portion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have circular shapes,
The first connection piece is U-shaped with an opening and engag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piece by exceeding 180 degrees of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connected to the annular sealing member by press fitting,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have protrusions engaged wit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의 각 관상부의 직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
상기 제1 연결편은,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의 각 관상부의 직경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크기의 차분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형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ize of the opening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each tubula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piece is deformable so as to widen outwar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s of the respective tubular portions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size of the opening.
A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by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에 절결부를 가진 박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According to claim 1 or 2,
A thin-walled portion having a cutout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piece.
A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by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의 상기 제1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상기 제1 연결편의 상기 제2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또는 상기 제2 연결편의 상기 제1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상기 제2 연결편의 상기 제2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상기 제1 연결편의 상기 볼록 형상 돌기부와 상기 제2 연결편의 상기 볼록 형상 돌기부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According to claim 1 or 2,
A convex projection is formed at a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a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r Convex projections are formed at positions fac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t positions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At least one of the convex proj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and the convex proj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iece is press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by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의 상기 회동 연결부에는, 자중 회동 방지를 위한 저항 발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According to claim 1 or 2,
A resistance generating portion for preventing self-weight rotation is formed in the rotation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A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by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편의 외주에는 회동 작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상기 회동 작용부를, 상기 제1 연결편을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누름으로써,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이 가까워지도록 제2 연결편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According to claim 1 or 2,
A rotation ac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By pressing the rotation action part from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iece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he second connection piece can be rotated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come closer. thing,
A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by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의 타단부는, 제1 걸림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편의 타단부는, 상기 제1 걸림 고정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1 걸림 고정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걸림 고정부와 상기 제1 걸림 고정 수용부가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는 것,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상기 환상 시일 부재 방향으로 근접한 제2 걸림 고정 위치가 있는 것
상기 제1 걸림 고정 위치는 통상의 사용 상태이며,
상기 제2 걸림 고정 위치는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
상기 제2 연결편에 대하여, 상기 제1 연결편을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에 장착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체결력 증대 상태로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has a first locking por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iece has a first locking accommodating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locking piece is hooked, and the connecting member comprises: being positioned at a first catching position where the first catching part and the first catching receiving part are engaged;
The connecting member has a second engagement position closer in the direction of the annular seal member than when it is at the first engagement position.
The first locking position is a normal use state,
The second locking position is in a fastening force increasing state,
Applying a force to the second connecting pie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ing piece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hereby bringing the fastening force to the increased state.
A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by a.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유체 기기 접속 지그가 상기 연결 부재에 설치된 상태인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를 나타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
In the fluid equipment connection jig used for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or 2,
Indicating a fastening force increase state by the state in which the fluid device connection jig is installed on the coupling member
A fluid device connection jig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은, 외주면에 제2 지그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편은, 외주면에 제1 지그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상기 유체 기기 접속 지그는, 상기 제1 지그 걸림부에 걸림 결합하는 공통 걸림부와, 상기 제2 지그 걸림부에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와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
상기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는, 상기 유체 기기 접속 지그에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회전 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
In the fluid equipment connection jig used for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connecting piece has a second jig engag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has a first jig engag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luid device connection jig is provided with a common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jig engaging portion, a first engaging position engag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second jig engaging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sition engaging portion. ,
The first locking position locking portion and the second locking position locking portion are formed at both ends of a rotating member rotatably held by the fluid equipment connecting jig.
A fluid device connection jig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유체 기기 접속 지그는,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에 삽입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을 걸림 결합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
In the fluid equipment connection jig used for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luid device connection jig engages the first connection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by being inserted from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 fluid device connection jig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A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comprising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or 2.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60419A 2016-12-01 2017-11-28 Coupling member, fluid-device connecting jig and fluid-device connecting structure KR10248110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3961 2016-12-01
JP2016233961 2016-12-01
JP2017211516A JP7078379B2 (en) 2016-12-01 2017-11-01 Connecting members, fluid equipment connection jigs and fluid equipment connection structures
JPJP-P-2017-211516 2017-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952A KR20180062952A (en) 2018-06-11
KR102481101B1 true KR102481101B1 (en) 2022-12-27

Family

ID=6256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419A KR102481101B1 (en) 2016-12-01 2017-11-28 Coupling member, fluid-device connecting jig and fluid-device connecting structur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78379B2 (en)
KR (1) KR102481101B1 (en)
TW (1) TWI74668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0278B2 (en) * 2018-07-18 2022-10-25 淀川ヒューテック株式会社 Attachment confirmation tool for pipe connectors
CN110735979B (en) * 2018-07-18 2022-12-09 淀川惠德株式会社 Installation confirming member for pipe connecting piece
JP7340925B2 (en) * 2018-12-11 2023-09-08 Ckd株式会社 Fluid device connection system and connection member
JP7431416B2 (en) * 2021-06-17 2024-02-15 淀川ヒューテック株式会社 Fluid device connector and fluid device connection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452B2 (en) * 1994-02-10 2001-09-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Application container
KR101021892B1 (en) * 2007-10-05 2011-03-18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Fluid device connecting structure and fluid device unit
KR101505972B1 (en) * 2012-06-14 2015-03-25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rofile clamp
US20160084420A1 (en) * 2013-11-08 2016-03-24 Thc Chile S.A.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pex tubing to a fitting which includes a clamp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5806A (en) * 1953-09-09 1957-01-01 Kac Ltd Adjustable girth clamping ring
JPS5134573B2 (en) 1971-08-13 1976-09-27
JPS6443289U (en) * 1987-09-11 1989-03-15
JP3107189B2 (en) 1994-10-31 2000-11-0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Offset correction method for tracking error signal in optical disk device
JPH11166677A (en) * 1997-12-04 1999-06-22 Hitachi Chem Co Ltd Flange tightening fixture and pipe connection part structure using this flange tightening fixture
FR2920496B1 (en) * 2007-09-05 2009-12-04 Saint Gobain Pont A Mousson NARROW NECKLACE ASSEMBLY, NECKLACE AND TUBULAR CONNECTION.
US8069547B2 (en) * 2008-03-05 2011-12-06 Victaulic Company Installation-ready pipe coupling method of manufacture
DE202012104769U1 (en) * 2012-12-07 2014-03-11 Voss Automotive Gmbh Connector for fluid lines
JP6446629B2 (en) 2014-03-18 2019-01-09 丸一株式会社 Tube connection structure
KR101575896B1 (en) 2014-06-09 2015-12-08 주식회사 서원기술 A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works
JP3205452U (en) 2016-05-13 2016-07-28 イハラサイエンス株式会社 Pipe fitting
JP6163632B1 (en) 2016-06-16 2017-07-19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Fire fighting equipment piping connec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452B2 (en) * 1994-02-10 2001-09-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Application container
KR101021892B1 (en) * 2007-10-05 2011-03-18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Fluid device connecting structure and fluid device unit
KR101505972B1 (en) * 2012-06-14 2015-03-25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rofile clamp
US20160084420A1 (en) * 2013-11-08 2016-03-24 Thc Chile S.A.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pex tubing to a fitting which includes a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78379B2 (en) 2022-05-31
TW201821726A (en) 2018-06-16
KR20180062952A (en) 2018-06-11
JP2018091482A (en) 2018-06-14
TWI746686B (en) 202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101B1 (en) Coupling member, fluid-device connecting jig and fluid-device connecting structure
CN108131515B (en) Connecting member, fluid equipment connecting jig, and fluid equipment connecting structure
JP3988180B2 (en) Quick connector with connection confirmation function
JP2005214240A (en) Quick connector
US20150316187A1 (en) Holding device for pipe joint and pipe joint using same
JP2008286349A (en) Quick connector
JP2005083437A (en) Divided flange
JP2007139139A (en) Pipe joint and move method of movable body in pipe joint
JP2006118714A (en) Connecting element
JP5166173B2 (en) Connection port receiving structure and pipe fittings including the same, pipes
RU2703853C2 (en) Crimp visualization device for crimping connector
JP2005282762A (en) Quick connector
JP5089487B2 (en) Pipe joint structure, pipe fittings equipped with this
JP2016056928A (en)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pipe member to object to be connected
JP2008240928A (en) Pipe fitting
JP2009058117A (en) Water flow pipe, and water flow pipe device
US2018024572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sion coupling for pipes with sheathed grooves
JP5253024B2 (en) Connection port receiving structure and pipe fittings including the same, pipes
JP2009014166A (en) Joint
KR102154693B1 (en) Joining method of PB joint pipe for plastic pipe that can be separated without tools
JP2007154969A (en) Connection branch pipe
US20040061334A1 (en) Plug-in connector for plumbing fixtures
US20220299142A1 (en) Coupling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2011002070A (en) Connecting device for pipe
JP6113312B1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